KR102288579B1 -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물리적 계층 절차들 - Google Patents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물리적 계층 절차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579B1
KR102288579B1 KR1020207016444A KR20207016444A KR102288579B1 KR 102288579 B1 KR102288579 B1 KR 102288579B1 KR 1020207016444 A KR1020207016444 A KR 1020207016444A KR 20207016444 A KR20207016444 A KR 20207016444A KR 102288579 B1 KR102288579 B1 KR 10228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physical layer
network node
network
re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310A (ko
Inventor
시아오위 왕
아루납하 고쉬
밀랍 마즈문다르
살람 아코움
사이라메시 남미
토마스 노블란
Original Assignee
에이티 앤드 티 인텔렉추얼 프라퍼티 아이,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 앤드 티 인텔렉추얼 프라퍼티 아이, 엘.피. filed Critical 에이티 앤드 티 인텔렉추얼 프라퍼티 아이, 엘.피.
Publication of KR2020008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나타내진 감소된 능력들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은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파라미터들의 네트워크 노드들의 재구성에 기초하여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또한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추천들을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물리적 계층 절차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의 전체가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되는 2017년 12월 13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인 미국 출원 일련 번호 제 15/840,068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에서의 에너지 관리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수행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통신들에서 무선 기술들은 1980년대의 아날로그 셀룰러 시스템들의 시작 이래로, 1980년대의 제 1 세대(1G)로부터 시작하여, 1990년대의 제 2 세대(2G), 2000년대의 제 3 세대(3G), 및 2010년대의 제 4 세대(4G)(롱 텀 에볼루션(LTE) 및 LTE의 변형들을 포함하여)로 빠르게 성장하고 진화하였다.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들이라고도 불릴 수 있는 제 5 세대(5G) 액세스 네트워크들이 현재 개발되고 있고,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특히 모바일 광대역(MBB) 및 기계 유형 통신들(예를 들면,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들을 포함)을 포함하는, 매우 광범위한 사용 경우들 및 요건들을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트워킹의 진보에 직면하여, 사용자 장비(UE)에 의한 배터리 소비의 오랜 문제는 사용자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디바이스 레벨에서, "절전 모드"또는 "배터리 절약 모드"는 상이한 스마트폰 운영 시스템들에서 널리 채택된 최적화 체계이다. UE의 운영 시스템(OS)은 배터리에 남겨진 남아있는 충전량을 식별하고, 배터리 레벨이 특정 임계값 미만일 때, OS는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또는 배터리 방전 속도를 늦추기 위해) UE가 디바이스에 대해 특정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절전 모드를 트리거한다. 현재, 절전 모드에 있는 UE들은 애니메이션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스크린 밝기를 낮추거나,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들을 종료하거나,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하는 것을 방지하거나(예를 들면, 배터리 충전량이 너무 낮을 때 카메라가 사용되지 않게 하거나), 또는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네트워크 문의들(예를 들면, 통지들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들에 관한 상기 기술된 배경은 단순히 일부 현재 문제들의 상황 개요를 제공하도록 의도되고, 철저한 것은 아니다. 다른 상황 정보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리뷰하면 더 명백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수행에 관한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요지의 특정 예시적인 양태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양태들은 요지의 원리들이 구현되거나 채택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만을 나타낸다. 개시된 요지의 다른 양태들, 이점들, 및 신규의 특징들은 제공된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한 상세들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러한 특정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 본 명세서를 설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예를 들면, 프로세스들 및 논리 흐름들)은 여기에 설명된 동작들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계 실행 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UE),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도 10 및 도 11에 설명된 회로 및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본 특허 출원은 사용자 장비(UE)가 배터리 절전 모드의 동작에 진입할 때 구현될 수 있는 감소된(또는 일부는 용어 간략화된을 사용할 수 있음)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에 관한 것이다. UE에 의해 나타내진 감소된 능력들에 기초하여 예시의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이라고도 함)이 구현될 수 있다.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노드가, 그것이 배터리 절약 모드로 진입하고 있다는 것은 UE에 의해 통지되면,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의 파라미터들의 재구성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는 또한, 네트워크 노드가 전체 또는 일부를 수락, 거부 또는 추가할 수 있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추천들을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비제한적 및 철저하지 않은 실시예들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다수의 도면들 전체에서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자 장비(UE)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및 확립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 중일 때 사용자 장비(UE)가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세트를 결정할 수 있는 예의 트랜잭션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 중일 때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파라미터들을 재구성할 수 있는 다른 예의 트랜잭션 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 중일 때 UE가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에 대한 추천들을 제공하는 다른 예의 트랜잭션 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 중일 때 구현될 수 있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흐름도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UE일 수 있는 예시적인 모바일 핸드셋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을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는 컴퓨터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1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100)(이동 시스템(100)이라고도 지칭됨)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이라고도 지칭됨)에서, 이동 시스템(100)은 통신 서비스 제공자들(예를 들면, 이동 네트워크(106))에 의해 일반적으로 동작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 이동(셀룰러라고도 지칭됨) 네트워크(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시스템(1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E)(1021-n)(사용자 디바이스들이라고도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UE들(1021-n)은 이동 네트워크(106)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들(네트워크 노드들이라고도 지칭됨)(1041-n)(단수로 네트워크 노드(104)라고 지칭됨)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1041-n)로부터 UE(1021-n)로의 점선 화살표는 다운링크(DL) 통신들을 나타내고, UE(1021-n)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들(1041-n)로의 실선 화살표들은 업링크(UL) 통신들을 나타낸다.
UE(102)는, 예를 들면, 이동 네트워크(106), 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과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이하를 참조). UE(102)는 수직 및 수평 요소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들을 가질 수 있다. UE(102)의 예들은 타겟 디바이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UE, 기계 유형 UE, 또는 기계 대 기계(M2M) 통신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태블릿, 이동 단말, 스마트폰, 랩탑 장착 장비(LME), 모바일 통신들이 가능한 범용 직렬 버스(USB) 동글들, 모바일 기능들을 갖는 컴퓨터, 휴대폰과 같은 이동 장치, 듀얼 모드 모바일 핸드셋, 랩탑 내장 장비(LEE, 예컨대 모바일 광대역 어댑터)를 갖는 랩탑, 모바일 광대역 어댑터를 갖는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상 현실(VR) 디바이스, HUD(heads-up display) 디바이스, 스마트 카,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UE(102)는 또한 무선으로 통신하는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네트워크(106)는 셀룰러 네트워크들, 펨토 네트워크들, 피코셀 네트워크들, 마이크로셀 네트워크들,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들, 이동 네트워크와 관련된 Wi-Fi 네트워크들(예를 들면, 모바일 핸드셋에 의해 구현된 Wi-Fi "핫스팟") 등을 포함하지만 그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송신 프로토콜들을 구현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이종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구현에서, 이동 네트워크(100)는 다양한 지리적 영역들에 걸쳐 있는 대규모 무선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거나 그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추가 디바이스들 및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추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추가 UE들, 네트워크 서버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를 참조하면, 이동 네트워크(106)는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UE(102) 및 네트워크 노드(104)) 사이의 무선 라디오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셀룰러 시스템들, 기술들, 및 변조 방식들을 채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5G 새로운 라디오(NR) 시스템들에 대해 설명되지만, 실시예들은 UE가 다수의 반송파들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임의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 또는 다중-RAT 시스템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시스템(100)은 임의의 다양한 것일 수 있고, 표준들, 프로토콜들(또는 체계(schemes)라고도 함), 및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고,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3GSM, GSM EDGE(GSM 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ERA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V-DO(Evolution-Data Optimized),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디지털 AMPS(IS-136/TDMA), iDEN(Integrated Digital Enhanced Network), LTE(Long Term Evolution),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LTE FDD), LTE 시분할 듀플렉싱(LTE TDD), 시분할 LTE(TD-LTE), LTE Advanced(LTE-A), 시분할 LTE Advanced(TD-LTE-A), AXGP(Advanced eXtended Global Platform), 고속 패킷 액세스(HSPA),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광대역 CDMA(WCMDA), CDMA2000,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다중-반송파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MC-CDMA), 단일 반송파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SC-CDMA), 단일 반송파 FDMA(SC-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OFDM(DFT-확산 OFDM), 단일 반송파 FDMA(SC-FDMA), 필터 뱅크 기반 다중-반송파(FBMC), 제로 테일 DFT-확산-OFDM(ZT DFT-s-OFDM), 고유 워드 OFDM(UW-OFDM), 고유 워드 DFT-확산 OFDM(UW DFT-Spread-OFDM), CP-OFDM(Cyclic Prefix OFDM), 자원-블록-필터링 OFDM,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MC(Fixed-mobile Convergence), UFMC(Universal Fixed-mobile Convergence), RAB(Multi Radio Bearers), Wi-Fi,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을 포함하지만 그로 제한되지 않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여전히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102)는 이동 네트워크(106)의 네트워크 노드(104)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또는 다시 말해서,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4)는 다양한 송신 동작들(예를 들면, MIMO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캐비닛 및 다른 보호 인클로저들, 안테나 마스트, 및 다중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04)는 안테나의 구성 및 유형에 따라 섹터들이라고도 불리는 여러 셀들을 서빙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4)는 NodeB 디바이스들, 기지국(BS) 디바이스들, 이동국들, 액세스 포인트(AP) 디바이스들,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04)는 또한 MSR BS, eNode B 디바이스(예를 들면, 진화된 NodeB), 네트워크 제어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지국 제어기(BSC), 중계기, 도너 노드 제어 중계기(donor nod controlling relay),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액세스 포인트, 송신 포인트(TP), 송신/수신 포인트(TRP), 송신 노드, 원격 무선 유닛(RRU), 원격 무선 헤드(RRH),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의 노드들 등을 포함하지만 그로 제한되지 않는 다중-표준 무선(MSR) 무선 노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5G 용어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일부에 의해 gNodeB 디바이스라고 지칭된다.
여전히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동 네트워크(106)는 5G 셀룰러 네트워킹 특징들 및 기능들을 제공하고 채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5G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사람 및 기계들이 거의 제로 레이턴시로 기가비트 데이터 속도를 즐기게 할 것이 예상된다. 4G에 비해, 5G는 더 다양한 트래픽 시나리오들을 지원한다. 예를 들면, 4G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종래의 UE들(예를 들면, 전화들, 스마트폰들, 태블릿들, PC들, 텔레비전들, 인터넷 가능 텔레비전들 등) 사이의 다양한 유형들의 데이터 통신들에 더하여, 5G 네트워크들은 무인 자동차 환경들, 뿐만아니라 기계 유형 통신들(MTCs)과 관련된 스마트 자동차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이들 상이한 트래픽 시나리오들의 상이한 통신 요구들을 고려하면, 다중 반송파 변조 방식들(예를 들면, OFDM 및 관련 방식들)의 이점들을 유지하면서 트래픽 시나리오들에 기초하여 파형 파라미터들을 동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능력은 고속/고용량 및 5G 네트워크들의 낮은 레이턴시 요구들에 상당한 기여를 제공할 수 있다. 대역폭을 여러 서브-대역들로 분할하는 파형들에 의해, 가장 적합한 파형 및 수비학에 의해 상이한 유형들의 서비스들이 상이한 서브-대역들에 수용될 수 있어서, 5G 네트워크들에 대해 개선된 스펙트럼 이용을 초래한다.
여전히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된 5G 네트워크들의 특징들은: 증가된 피크 비트 레이트(예를 들면, 20Gbps), 단위 면적당 더 큰 데이터량(예를 들면, 높은 시스템 스펙트럼 효율-예를 들면, 롱 텀 에볼루션(LTE) 시스템들의 스펙트럼 효율의 약 3.5 배), 동시적으로 및 순간적으로 둘 다로 더 많은 디바이스 접속을 허용하는 고용량, 더 낮은 배터리/전력 소비(에너지 및 소비 비용을 감소시킴),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리적 영역에 상관없이 더 나은 접속, 더 많은 수의 디바이스들, 더 낮은 기반 구조의 개발 비용, 및 통신들의 더 높은 신뢰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5G 네트워크들은 다음을 허용할 수 있다: 초당 수십 메가비트의 데이터 속도가 수만 명의 사용자들에 대해, 예를 들면, 동일한 사무실 층에 있는 수십명의 작업자들에게 동시에 제공될 1Gbps, 대규모 센서 배치들을 위해 지원될 수십만 개의 동시 접속들; 개선된 커버리지, 향상된 시그널링 효율; LTE에 비해 감소된 레이턴시가 지원되어야 한다.
다가오는 5G 액세스 네트워크는 용량 증가를 돕기 위해 더 높은 주파수들(예를 들면, > 6 ㎓)을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밀리미터 파(㎜Wave) 스펙트럼의 대부분인, 30 기가헤르츠(㎓)와 300㎓ 사이의 스펙트럼의 대역은 충분히 이용되지 않는다. 밀리미터 파들은 10 밀리미터 내지 1 밀리미터 범위에 있는 짧은 파장들을 가지고, 이들 ㎜Wave 신호들은 심각한 경로 손실, 침투 손실, 및 페이딩을 경험한다. 그러나, ㎜Wave 주파수들에서 파장이 짧을수록 더 많은 안테나들이 동일한 물리적 치수로 패킹되도록 또한 허용하고, 이는 대규모 공간 다중화 및 많은 지향성 빔포밍을 허용한다.
도 2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확립을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예를 들면, LTE 네트워크에서 구현된다. RRC 프로토콜의 기능들은, 예를 들면, 접속 확립 및 해제 기능들, 시스템 정보의 방송, 무선 베어러 확립, 재구성 및 해제, RRC 접속 이동성 절차들, 페이징 통지 및 해제, 및 외부 루프 전력 제어를 포함한다. 시그널링 기능들을 사용하여 RRC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사용자 및 제어 평면들을 구성하고 무선 자원 관리(RRM) 전략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UE(예를 들면, UE(102))가 자원들을 필요로 하는 경우(예를 들면, 회선 교환 또는 패킷 교환 호출을 위해), 이는 네트워크로부터 자원들을 요청할 수 있다. 이들을 수행하기 위해, 일반적인 UE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CC 접속 확립 절차에 관여한다.
스위치 온된 후에, 단계(210)에서, UE는 각 주파수에 동기화하고 상기 주파수가 접속하기를 원하는 올바른 운영자로부터인 것인지를 검사한다. 동기화되면, 단계(220)에서 UE는 마스터 정보 블록(MIB) 및 시스템 정보 블록들(SIBs)을 판독한다. 그 후 프로세스는 단계(230)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로 진행하고, 여기서 네트워크는 처음으로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한다는 것을 알고, 그래서 네트워크는 초기 통신을 위해 UE에 임시 자원들을 제공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RRC 접속 확립 절차(240)는 UE가 네트워크에 정확히 원하는 것을(예를 들면, 첨부, 서비스 요청, 추적 영역 업데이트 등) 알려준다.
여전히 도 2를 참조하면, RRC 접속 확립(240)은 RRC 접속 요청, RRC 접속 설정, 및 RRC 접속 설정 완료를 포함하는 3방향 핸드셰이크 절차(three-way handshake procedure)이다. RRC 접속 요청에서, UE는 그의 아이덴티티를 제공하고 접속 확립의 원인을 제공한다. RRC 접속 설정 메시지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예를 들면, SRB1)에 대한 구성 상세들을 포함하여 나중의 메시지들은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UE에 이용 가능한 상이한 양의 무선 자원들은 상이한 RRC 상태들과 관련될 수 있다. 상이한 양의 자원들이 상이한 상태들에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경험하는 서비스의 품질, 및 UE의 에너지 소비는 이들 RRC 상태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UE가 그것이 절전 모드에 있다고 표시할 때 RRC 시그널링은 UE에 대한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을 활성화/비활성화하고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절전 모드에 진입함으로써, UE는 감소된 애니메이션, 더 낮은 스크린 밝기 등으로 많은 에너지 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최적화는 주로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이고, 현재 LTE 물리적 계층 설계에서, 저전력 모드 UE에 대한 물리적 계층 최적화는 고려되지 않았다. 다시 말해서, 현재 LTE UE는 절전 모드로 진입할 수 있지만, UE가 더 이상 네트워크와의 어떠한 통신들에 관여하기 위해 충분한 배터리 충전을 갖지 않을 때까지 물리적 계층상에서의 동작들은 여전히 정상적인 방식으로 수행된다. 심지어 절전 모드에서도, 송신들을 위한 물리적 계층에서, UE는 여전히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풀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되고(블라인드 디코딩의 44배), 여전히 최대 MIMO 계층들을 사용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송신을 수신하도록 준비하고, UE 능력 메시지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전송 블록 크기에 부착하는 등이 요구된다. 유사하게, UE는 여전히 높은 송신 전력 등에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송신할 것이 요구된다. 요컨대, UE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통신들을 위한 물리적 계층에서의 동작들은 배터리의 수명(즉, 배터리의 충전량이 낮은 지 여부)을 고려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르면, UE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감소된 성능과 함께)의 활성화를 요구 또는 결정하기 위해 그것이 "절전 모드"에 있다는 것을 (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표시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이 특정 임계값(특정 임계값 아래로 떨어짐, 임계값 아래로 감소됨, 충전의 임계값 레벨로 이동 등)으로 떨어지면, UE의 운영 체계 모듈 또는 UE의 일반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의 모듈은 그것이 절전 모드로 진입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네트워크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로) 메시지의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시그널링에 후속하여, 네트워크 및 UE는 감소된 절차들의 상세들에 대해 협의하고 핸드셰이크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주로 어느 디바이스(예를 들면, UE 또는 네트워크 노드)가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을 결정하는지에 관한 실시예들의 차이들과 함께, 물리적 계층 절차들은 감소될 것이고, 감소된 절차들의 상세들이 구현될 것이다.
도 3은 UE(예를 들면, UE(102))가 그것이 절전 모드에 있을 때 어떤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이 구현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예시적인 트랜잭션을 설명한다. UE는 임계 레벨을 과도하는(또는 임계 레벨로 감소하는) 그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의 감소를 검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검출은 UE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가능하게 될 수 있다(예컨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충전 레벨의 감소에 응답하여, UE는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제 1 통지를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잭션(1)에서, UE는,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로 진입하고 있다는 것을 네트워크(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에 나타내는 신호(예를 들면, RRC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진입하고 있다는 UE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는 UE 능력 질의 시그널링을 트리거할 수 있다. 트랜잭션(2)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통지의 수신을 확인 응답할 수 있다. 트랜잭션(3)에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는 그의 물리적 계층 능력이 무엇인지를 질의하는 신호를 UE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의 능력들을 질의하는 신호 및 확인 응답은 하나의 트랜잭션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UE는 단계(305)에서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현재 그룹(현재 그룹이 배터리 비절약 모드와 관련됨)보다 작은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등)상의 송신들과 관련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등)과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들은 또한 송신을 위한 프로토콜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프로세스(예를 들면, CSI 피드백 절차)와 관련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 감소된 절차들은 또한 송신들의 품질(예를 들면, RRM 관련 절차)에 대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예를 들면, 반송파 집성 관련 절차, 반송파 이중 접속성 관련 절차, 및 상위 계층 관련 절차 등)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 6에 관하여 및 그의 수반하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이하에 더 설명된다. 그의 능력들을 결정한 후에(예를 들면,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을 결정), UE는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의 감소된 그룹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알리는 제 2 통지의 송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질의 신호에 응답하여, UE는 트랜잭션(4)에서 그의 능력을 그의 전체 능력들의 서브 세트로서 보고할 수 있고(그의 일부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UE 능력들은 UE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UE 기능들이 어쨌든 구현의 일부이기 때문에, 간단한 표준화 노력일 수 있고,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UE가 무엇을 구현할지를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가 업데이트된 능력으로서 요청한 것을 따르기 때문에 네트워크 노드에 거의 맡겨지지 않는다. 새로운 기능들이 무엇인지 결정하기 위해 모든 것은 UE에 맡길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에 설명된 예들은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을 구현할 때 UE의 능들력에만 관련되고, 단순화들은 UE가 그의 기능들로서 제공하는 것에 관련되고, 이하에 도 4 및 도 5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과 관련되는 어떤 기능들을 적용할지에 대한 더 많은 결정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개별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상세한 구성들을 결정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구성 가능성은 통신 표준(예를 들면, 5G 표준들)의 사양에서 정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랜잭션(1)에서 UE는 배터리 절약 모드에 진입하고 있다는 것을 통지(또는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RRC 시그널링 메시지로서). 네트워크 노드는 UE(예를 들면, UE(102))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이러한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트랜잭션(2)에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통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을 UE에 송신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그 후, 네트워크 노드는 단계(410)에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 중이 아닐 때(예를 들면, RRC 파라미터들을 재구성함으로써) 사용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보다 적은 절차들을 포함하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을 결정한다.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등)을 통한 제 1 송신들 및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등)을 통한 제 2 송신들에 적용 가능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은 제 1 송신들 및 제 2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과 관련된 제 1 파라미터들의 결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절차(예를 들면, CSI 피드백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은 제 1 송신들 및 제 2 송신들의 품질과 관련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된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에 적용 가능한 무선 자원 관리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면, RRM 관련 절차).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예를 들면, 반송파 집성 관련 절차, 반송파 이중 접속성 관련 절차, 및 상위 계층 관련 절차 등)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 6과 관련하여 및 그의 수반하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이하에 더 설명된다.
여전히 도 4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노드가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을 결정한 후,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및 UE에서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파라미터들을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전히 단계(410)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물리적 계층 절차들 중 일부를 간략화하기 위해 RRC 파라미터들을 재구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은, 도 6에 관하여 이하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UE가 수행해야 하는 감소된 수의 블라인드 디코딩, 또는 더 작은 최대 전송 블록 크기 및 MIMO 계층들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심지어 필수적인 기능들조차 감소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가 UE에 의해 알려진 구현 상세들을 알지 못하더라도, UE 기능들의 새로운 세트가 무엇일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든 것은 네트워크 노드에 맡겨질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예시를 제공하고, 여기서 UE(예를 들면, UE(102))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구성의 상세들을 추천한다. 먼저, UE는 사용자 장비의 배터리 충전 레벨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임계값 아래로 충전 레벨이 떨어지는 것에 응답하여, 트랜잭션(1)에서 UE는, 사용자 장비가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보다 배터리 전력을 덜 소비하는 배터리 전력 보존 모드의 동작으로 진입하고 있다는 통지(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메시지로서)를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트랜잭션(2)에서 사용자 장비가 배터리 보존 모드에 진입하고 있다는 통지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확인 응답을 UE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트랜잭션(3)에서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구성의 상세들을 제공하도록 UE에 프롬프트(prompt)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확인 응답 및 프롬프트 신호는 동일한 송신에서 전송될 수 있다. 프롬프트에 응답하여, UE는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에 적용 가능한 제 2 물리적 계층 절차들보다 적은 수의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을 포함하는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E는 트랜잭션(4)에서,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 및 대응하는 구성 상세들의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에 대응하는 구성 상세들을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등)을 통한 및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등)을 통한 송신들에 관련될 수 있다. 제 1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예를 들면, CSI 피드백)의 분석과 관련될 수 있다. 제 1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송신들의 품질과 관련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과 관련할 수 있다(예를 들면, RRM 관련 절차).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예를 들면, 반송파 집성 관련 절차, 반송파 이중 접속성 관련 절차, 및 상위 계층 관련 절차 등)이 도 6에 관하여 및 그의 수반하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아래에 더 설명된다.
여전히 도 5을 참조하면, 추천들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는 단계(510)에서 추천들을 수락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성된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은 UE가 요청한 것들과 상이한 그룹 또는 추가 그룹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들은 추천할 수 있지만, 어느 추천들을 적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여전히 네트워크 노드에 달려 있다. 따라서, 도 5의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는 대부분의 전력을 소비하는 절차들을 간략화할 것을 추천할 수 있고(상이한 UE 벤더들은 각각의 물리적 계층 절차에 대해 상이한 전력 소비 프로파일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노드는 상이한 구성들을 수락/거부, 또는 사용할 수 있거나, 심지어 네트워크들 전체 상황에 따라 새로운 감소된 절차를 추가할 수 있다.
도 6은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구현될 수 있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예들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언급된 범위까지, 각각의 예는 UE(예를 들면, UE(102)) 및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감소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절차(60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네트워크들(예를 들면, 네트워크(106))에서, PDCCH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메시지에 포함되는 UE들(예를 들면, UE(1041-n))에 대한 자원 할당을 운반한다. 다수의 PDCCH들은 제어 채널 요소들(CCE)을 사용하여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수 있고, 그의 각각은 자원 요소 그룹들(REG)로서 알려진 4개의 자원 요소들의 9개의 세트이다. LTE에서 DCI의 디코딩은 블라인드 디코딩으로 정해진 프로세스에 기초하고, 이는 다수의 정해진 DCI 포맷들에 대한 다수의 PDCCH 후보 위치들에 대한 다수의 디코딩 시도들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UE는 PDCCH 위치들, PDCCH 포맷들, 및 DCI 포맷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확인하고, 정확한 주기적 중복 검사들(CRC)과 함께 이러한 메시지들에 작동한다. 모든 가능한 조합들의 이러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은 UE가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많은 PDCCH 디코딩 시도들을 할 것을 필요로 할 것이다. 감소된 PDCCH 물리적 계층 절차는 배터리 절약 모드에서 UE에 의해 수행된 블라인드 디코딩 동작들의 수의 감소와 관련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모든 블라인드 디코딩을 처리하기 위한 시도들의 일부로서 그와 달리 더 소모될 나머지 배터리 충전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PDCCH와 관련하여, 그룹 공통 PDCCH는 현재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표시자일 수 있음)을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는 블라인드 디코딩 절차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룹 공통 PDCCH를 디코딩하기 시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감소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절차(605)는 또한 제어 채널 자원 세트들의 수의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PDCCH에 대하여, 네트워크 측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UE(예를 들면, UE(102))에 대해 K개의 제어 채널 자원 세트들을 구성하고, 여기서 K는 1 이상의 양의 정수이고, 각각의 제어 채널 자원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자원 블록 쌍(PRB 쌍)을 포함한다. 예로서, 네트워크 측은 UE에 대해 3개의 제어 채널 자원 세트들을 구성할 수 있고, 각각의 제어 채널 자원 세트는 4개의 PRB들(물리 자원 블록, 물리 자원 블록) 쌍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는 동안, UE는 사용된 제어 채널 자원 세트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3 대신 2를 사용).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감소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관련 절차(6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네트워크들(예를 들면, 네트워크(106))에서, PDSCH는 동적이고 기회(종종 "최선의 노력"이라고 지칭됨)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할당되는 UE 데이터(예컨대, 예를 들면, 동영상, 이메일, 문서들 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메인 데이터 베어링 채널이다. PDSCH는 기계 계층 데이터 프로토콜 유닛(MAC PDU)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들(TB)로 데이터를 운반하고 송신 시간 간격(TTI)당 1회 MAC 계층으로부터 PHY 계층으로 전달되고, 이는 1 밀리초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블록 크기는 시간 프레임에서 송신되도록 결정된 데이터의 양과 관련될 수 있다.
감소된 PDSCH 관련 절차(610)는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들을 위한 전송 블록 크기의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블록의 크기는 여러 다른 파라미터들에서 유도된 여러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송 블록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는 파라미터들의 일부는 사용자로부터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양, UE(예를 들면, UE(102))에 의해 보고된 채널 품질 표시자(CQI)에 기초하여 가능한 변조 방식, 및 물리적 자원 그리드에서 이용 가능한 자원 블록들의 수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전송 블록 크기는 또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 외에도, PDSCH 자원 할당에 대한 대역폭(대역폭은 UE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데이터가 송신되는 속도를 나타낸다)은 또한 감소될 수 있고, 그에 의해 특정 기간 동안 송신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킨다(예를 들면, 송신 속도를 늦춘다). 따라서, 감소된 PDSCH 관련 절차(610)에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진입한 경우, TB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역폭의 양의 감소(예를 들면, PDSCH 자원 할당을 위한 대역폭 감소)도 구현될 수 있다.
감소된 PDSCH 관련 절차(610)는 또한 에러 처리의 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된 데이터의 손실을 초래하는, 전파 채널 에러들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PDSCH 절차는 순방향 에러 정정(FEC) 및 에러 제어의 사용을 포함하여, 임의의 손실된 데이터 패킷들이 재송신될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기술은 고속 FEC 코딩과 ARQ의 조합인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하이브리드 ARQ 또는 HARQ)이다. 송신이 에러를 포함하는 경우, 재송신 요청은 UE(예를 들면, UE(102))로 다시 전송되어 송신을 재전송한다. 동기식 업링크 시스템들에서, 일정 시간량이 재송신 요건을 전송하기 위해 할당되도록 스케줄링하기 위한 표준들이 존재한다. 동기식 업링크 재송신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일반적으로 재송신이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UE에 8번째 송신 시간 간격(또는 제 1 송신이 전송된 후 8ms)까지 송신을 재전송할 것을 알릴 수 있도록 3ms 시간 기간 내에 업링크 채널 데이터의 처리를 완료하려고 시도한다. 이러한 시간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이동 장치는 16번째 송신 시간 간격 또는 제 1 송신이 전송된 후 16ms까지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없고, 이는 업링크 처리량 대역폭을 느리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을 때 동작에서, 감소된 PDSCH 관련 절차(610)는, 에러 검사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재송신의 요청을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가 기다리는 시간량의 증가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HARQ 처리 시간의 확대(예를 들면, 3ms를 초과하는 업링크 채널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시간량의 확대)일 수 있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감소된 PDSCH 관련 절차(610)는 MIMO 송신 계층들의 수의 감소, 또는 사용된 안테나들의 수의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다중-안테나 기술들은 현재 시스템들에 대해 구현되었고 다가오는 5G 네트워크들에서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들의 사용은 송신의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그에 의해 무선 시스템들의 전체 데이터 전달 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MIMO 기술은 송신 시스템의 하나의 단부상에서 송신 안테나 수(M) 및 수신 안테나 수(N)로 MIMO 구성을 나타내기 위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표기법(M x N)을 사용한다. 다양한 기술들을 위해 사용된 일반적인 MIMO 구성들은: (2 x 1),(1 x 2),(2 x 2),(4 x 2),(8 x 2) 및 (2 x 4), (4 x 4),(8 x 4)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감소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관련 절차(610)는 송신 및 수신 측 상에 하나보다 많은 안테나를 가질 수 있지만, 모든 안테나보다 적은 안테나가 사용되는 상이한 방식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은 두 개의 다운링크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고, 이들 두 개의 안테나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사용될 수 있다. 2 x 2 MIMO 방식에서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것 외에도, 두 개의 안테나들은 또한 MIMO 구성보다는 다이버시티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심지어 다수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특정 방식은 안테나들 중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단일 송신 안테나 및 단일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LTE 사양의 송신 모드 1). 또는, 예를 들면, 다수의 송신기들은 송신 측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수신 측에서 단 하나의 안테나(예를 들면, 다중 입력 단일 출력(MISO))만이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중 안테나 기술들에서, 데이터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되도록 분할될 수 있고, 안테나를 통해 처리 및 송신되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송신 계층으로 지칭된다. 송신 계층들의 수는 일반적으로 송신 안테나들의 수이다. 데이터는 여러 개의 병렬 스트림들로 분할될 수 있고, 각각의 스트림은 상이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유형에서, 들어오는 데이터는 복제되고 각각의 안테나는 동일한 정보를 송신한다. 용어 공간 계층은 다른 계층들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지칭한다. 송신의 랭크는 LTE 공간 멀티플렉싱 송신에서 공간 계층들의 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동시에 송신되는 상이한 송신 계층의 수와 동일하다. 예로서, 다중 안테나 송신기는 모든 4개의 안테나들에서 동일한 콘텐츠 또는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감소된 PDSCH 관련 절차(610)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안테나 송신 프로토콜에서 사용된 송신 계층들의 수의 감소일 수 있다(예를 들면, 송신 계층들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콘텐츠를 갖는 데이터의 4개의 스트림들을 송신하는 대신, 2개만 송신). 다른 예로서, 감소된 PDSCH 관련 절차(610)에서, 심지어 다양한 스트림들이 송신되고 있을 때, 다양한 스트림들의 송신에 참여하는 안테나들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배터리 절약 모드가 활성화되면(또는 다시 말해서, 동작시), 방식을 위하여 사용되지 않을 특정 송신을 위해 그와 달리 선택될 다중-안테나 방식들은 UE(예를 들면, UE(102))에 의한 더 적은 배터리 소비를 포함한다. 따라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진입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는 감소된 PDSCH 관련 절차(610)는 사용되는 안테나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송신들의 수를 또한 감소시키는 안테나 방식들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배터리가 이미 낮은 충전일 때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감소된 채널 상태 정보(CSI) 피드백 절차(620)를 포함할 수 있다. LTE를 포함하는 이동 네트워크(예를 들면, 네트워크(106))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술은 코드북-기반 프리코딩(개방 루프 시스템들은 송신기에서 채널의 지식을 요구하지 않는 반면, 폐쇄 루프 시스템들은 UE에 의해 피드백 채널에 의해 제공된, 송신기에서 채널 지식을 필요로 함)을 사용하는 폐쇄 루프 공간 멀티플렉싱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에서, 기준 신호(파일럿 신호 또는 파일럿이라고도 함)는 먼저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로부터 UE(예를 들면, UE(102))로 전송된다.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은 다운링크 시간-주파수 그리드 내에서 특정 자원 요소들을 점유하는 미리 정해진 신호들이다. 기준 신호(RS)는 사용자 장비에 빔 형성되거나 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기준 신호는 사용자 장비(102)의 프로파일 또는 일부 유형의 모바일 식별자와 관련하여 셀 특정적이거나 UE 특정적일 수 있다. 상이한 방식들로 송신되고 수신 단말에 의해 상이한 목적들을 위해 사용되는 몇몇 유형들의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이 존재한다.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들(CSI-RS)은 특히 채널 상태 정보(CSI) 및 빔 특정 정보(빔 RSRP)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5G에서, CSI-RS는 상당히 더 낮은 시간/주파수 밀도를 갖도록 UE 특정적이다. 때때로 UE-특정 기준 신호들이라고 지칭되는 복조 기준 신호들(DM-RS)은 특히 데이터 채널에 대한 채널 추정을 위해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라벨 "UE- 특정적"은 각각의 복조 기준 신호가 단일 단말에 의한 채널 추정을 위해 의도된 사실과 관련있다. 상기 특정 기준 신호는 이후 데이터 트래픽 채널 송신을 위해 할당된 자원 블록들 내에서만 상기 단말에 송신된다. 이들 기준 신호들(CSI-RS, DM-RS) 외에, 다양한 목적들로 사용되는 다른 기준 신호들, 즉 위상 추적 기준 신호들,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단일-주파수 네트워크(MBSFN) 신호들, 및 포지셔닝 기준 신호들이 존재한다. 기준 신호들로부터, UE는 채널 상태 정보(CSI) 보고에 필요한 채널 추정치들 및 파라미터들을 계산할 수 있다. LTE에서, CSI 보고는, 예를 들면,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덱스(PMI), 채널 품질 표시자(CQI), 랭크 정보(RI) 등을 포함한다. 채널 상태 정보의 표시자(예를 들면, LTE에서의 PMI)는 네트워크 노드와 UE 사이에서 송신되는 상이한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송신 파라미터들의 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을 사용하는 기술들에서, 네트워크 노드 및 UE는 표준 사양에서 찾아질 수 있는 상이한 코드북들을 사용하고, 그의 각각은 상이한 유형들의 MIMO 매트릭스들(예를 들면, 2x2 MIMO를 위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의 코드북)와 관련된다. 코드북은 노드 및 UE 사이트에서 알려지고(포함되고), 네트워크 노드의 프리-코딩 단계에서 신호와 곱해지는 프리코딩 벡터들 및 매트릭스들의 엔트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코드북 엔트리들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에 대한 결정은, CSI가 수신기에는 알려지지만 송신기에는 알려지지 않기 때문에, UE에 의해 제공된 CSI 피드백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노드에서 행해진다. 기준 신호의 평가에 기초하여, UE는 적절한 코드북 중 적합한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대한 추천들을 포함하는 피드백을 송신한다(예를 들면, 코드북 엔트리들 중 하나의 프리코더의 인덱스를 가리킴).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식별하는 이러한 UE 피드백은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PMI)라 불린다. 따라서, UE는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네트워크 노드와 UE 사이의 송신들에 더 적합한지를 평가하고 있다. 추가로, CSI 피드백은 또한 채널 품질의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고(예를 들면, LTE에서 채널 품질 표시자(CQI)), 이는 네트워크 측에서 링크 적응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와 사용자 장비 사이의 채널의 채널 품질을 나타낸다. UE가 보고하는 값에 따라, 노드는 상이한 전송 블록 크기들을 갖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노드가 UE로부터 높은 CQI 값을 수신하는 경우, 더 큰 전송 블록 크기를 갖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CSI 피드백에 랭크의 표시자(LTE 용어에서 랭크 표시자(RI))가 포함될 수 있고, 이는 채널 매트릭스의 랭크의 표시를 제공하고, 랭크는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와 UE 사이에 병렬로 또는 동시에(즉, 공간 계층들의 수) 송신된 상이한 송신 데이터 스트림들(계층들)의 수이다. RI는 나머지 CSI 보고 메시지들의 포맷을 결정한다. 일 예로서, LTE의 경우, RI가 1로 보고될 때, 랭크-1 코드북 PMI는 하나의 CQI로 송신될 것이고, RI가 2일 때, 랭크 2 코드북 PMI 및 두 개의 CQI들이 송신될 것이다. RI는 PMI 및 CQI의 크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수신기가 먼저 RI를 디코딩할 수 있고, 이후 이를 사용하여 나머지 CSI(언급된 바와 같이, 다른 정보 중에서, PMI 및 CQI를 포함)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인코딩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로의 랭크 표시 피드백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서 송신 계층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이 특정 UE에 대한 LTE 사양들(또는 개방 루프 공간 멀티플렉싱)에서 전송 모드 3으로 구성되더라도, 및 동일한 UE가 랭크 값의 표시자를 "1"로서 네트워크 노드에 보고하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데이터를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로 UE에 송신하기 시작한다. UE가 "2"의 RI를 보고하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MIMO 모드(예를 들면, LTE 사양들에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 모드 3 또는 송신 모드 4)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UE가 나쁜 신호 대 잡음비(SNR)를 경험하고 송신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이 어려울 때, RI 값을 "1"로 표시함으로써 피드백의 형태로 네트워크 노드에 조기 경고를 제공한다. UE가 양호한 SNR을 경험할 때, 랭크 값을 "2"로 나타내는 이러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한다. CSI 보고는 주기적으로 또는 수요 기반 CSI(예를 들면, 비주기적 CSI 보고)로 피드백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된다. 네트워크 노드 스케줄러는 이러한 특정 UE의 스케줄링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선택할 때 이러한 정보를 사용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라 불리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상으로 스케줄링 파라미터들을 UE에 전송한다. 그 후, 실제 데이터 전달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UE(예를 들면, PDSCH 상에서)로 일어난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감소된 CSI 피드백 절차(620)는 CSI 피드백 프로토콜에 대한 변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는 동안, CSI 기준 신호들은 계속 전송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비주기적 CSI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및 그에 대응하여 비주기적 CSI 보고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CSI 기준 신호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UE로 전송된 CSI-RS의 수의 감소를 포함하는 감소된 CSI 피드백 절차(620)를 초래할 수 있다. 더 많은 검색이 더 많은 배터리 소비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북 검색 노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CSI 피드백 보고는 위에서 논의되는 안테나 송신 기술들의 선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주의하라. 감소된 CSI 피드백(620)은 또한, 예를 들면, UE가 단일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CSI-RS 기준 신호를 측정하는 CSI 프로세스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다(예를 들면, UE가 다수의 TRP들 대신에 하나의 송신 수신 포인트(TRP)로부터 CSI-RS만을 측정하게 함으로써). CSI-RS 구성들의 수도 감소시킬 수 있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는 감소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관련 절차(6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네트워크(예를 들면, 네트워크(106))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PUSCH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한다. 다운링크(예를 들면, PDSCH)와 유사하게, 업링크 스케줄링 간격은 1ms이다. PUSCH는 사용자 데이터 외에, 전송 포맷 표시자들 및 MIMO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는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절전 모드 동안, PUSCH 절차는 상기에 설명된 PDSCH에 대한 간략화와 유사한 방식들로 감소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PUSCH 자원 할당에 대한 대역폭을 감소시키는 단계; PUSCH에 대한 MIMO 계층들을 감소시키는 단계; PUSCH에 대한 전송 블록(TB)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PUSCH 승인과 PUSCH 송신 사이의 타이밍 갭을 확대하는 단계(이는 UE에, 승인과 송신 사이에, 인코딩 및 처리를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UE의 전력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는 감소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관련 절차(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네트워크(예를 들면, 네트워크(106))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PUCCH 제어 시그널링은 트래픽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를 포함하고, 이는 HARQ ACK/NACK, 채널 품질 표시자들(CQI), MIMO 피드백(랭크 표시자, RI;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 PMI) 및 업링크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대역폭의 하나의 단부에서 송신당 하나의 자원 블록(RB)을 포함하고, 채널 스펙트럼의 반대쪽 단부에 있는 다음 슬롯에서 RB로 후속되고, 따라서 추정된 2dB의 이득으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한다. PUCCH 제어 영역은 모든 2개의 이러한 RB들을 포함한다. 다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과 같이, 감소된 PUCCH 절차(630)는 UE의 안테나의 송신 전력의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PUCCH에서, 자급식 서브프레임 기능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 및 ACK/NACK을 가능하게 한다. 정보의 송신을 허용하는 동안, 감소된 PUCCH 절차(630)에서, 자급식 서브프레임 기능은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는 동안 수행될 필요가 없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는 감소된 반송파 집성 관련 절차(6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네트워크(예를 들면, 네트워크(106))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반송파 집성(CA)은 더 넓은 송신 대역폭들을 지원하기 위해 집성되는 둘 이상의 컴포넌트 반송파들(CCs)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다. UE(예를 들면, UE(102))는 그의 능력들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CC들을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감소된 반송파 집성 관련 절차(635)에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을 때 집성되는 CC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감소된 반송파 집성 관련 절차(635)와 관련하여, 반송파 집성은 CC가 대역 내에서 집성될 수 있는 대역 내 집성(intra-band aggregation), 또는 CC들이 하나의 대역 내에서 그리고 또한 적어도 다른 대역 내에서 집성되는 대역간 집성(inter-band aggreg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소된 절차는 여전히 반송파 집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는 동안에만 대역 내 집성으로 제한될 수 있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는 감소된 이중-접속성 관련 절차(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접속성에 관하여, 이동 네트워크(예를 들면, 네트워크(106))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물리적 계층 파라미터 값들은 ue-CategoryDL 및 ue-CategoryUL 필드들, 각각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UE DL 카테고리 1에 대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레이트는 10 Mbps일 수 있고, 최대 계층들의 수는 1일 수 있다. UE DL 카테고리 6에 대하여, 다운링크 데이터 레이트는 3000 Mbps일 수 있고, 최대 데이터 계층들의 수는 8일 수 있다. 업링크에 대하여, UE UL 카테고리 1에 대하여, 업링크 데이터 레이트는 5Mbps일 수 있고, 최대 데이터 계층들의 수는 1일 수 있다. UE UL 카테고리 8에 대하여, 업링크 데이터 레이트는 1500 Mbps일 수 있고, 최대 데이터 계층들의 수는 4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는 감소된 이중-접속성 관련 절차(640)는 더 낮은 UE DL 및 UL 카테고리들, 및 그에 따라 감소된 데이터 속도 및 계층들의 수의 감소를 포함할 수 있고, UE의 배터리의 더 적은 소비를 초래한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는 감소된 무선 자원 관리(RRM) 관련 절차(64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이동 네트워크들(예를 들면, 네트워크(106))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RRM에 관한 일 양태는 UE(예를 들면, UE(102))가 셀에서 셀로 이동할 때 셀룰러 핸드오버에 관한 것이다. UE가 그의 네트워크 코어(예를 들면, LTE 코어 네트워크)와 접속하고 그것이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에서(예를 들면, 하나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상기 접속을 유지할 때, 이는 LTE 내 이동성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LTE 내 이동성은 주파수 내 이동성(intra-frequency mobility)(RAT 내(intra-RAT)라고도 지칭됨)과 주파수간 이동성(RAT간(inter-RAT)이라고도 지칭됨)의 두 가지 변형들로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내 이동성에 의해, UE는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소스 네트워크 노드와 함께 사용된 동일한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주파수간 이동성에 의해, UE는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소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소스 네트워크 노드와 상이한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정상 동작 상태에서, UE는 일반적으로 RAT 내/RAT간 이동성에 대한 주파수들을 모니터링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는 감소된 RRM 관련 절차(645)는, 사용자 장비가 제 1 이동 네트워크 셀룰러 사이트의 제 1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예를 들면, 섹터)으로부터 제 2 이동 네트워크 셀룰러 사이트의 제 2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이동들에 대해 모니터링하는 주파수들의 수의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면, UE가 RAT 내/RAT간 이동성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있는 주파수들의 수의 UE에 의한 감소, 이는 더 많은 주파수들에 대해 모니터링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UE의 배터리에서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로, RRM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기준 신호 수신 품질(RSRQ),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SINR)를 포함하는 몇몇 파라미터들이 일반적으로 모니터링된다. 파라미터들은 주기적으로 측정되고, 셀들은 간격마다 보고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는 감소된 RRM 관련 절차(645)는 완화 RRM 측정 요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기간 내에 UE에 의한 무선 자원 측정량의 감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충전량이 적은 UE가 자주 측정할 필요가 없도록 측정간 간격(예를 들면, 측정들 사이의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간격당 보고할 셀들의 수도 감소될 수 있다.
여전히 도 6을 참조하면,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는 감소된 상위 계층 관련 절차(6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네트워크(예를 들면, 이동 네트워크(106))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베어러 채널들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UE들에 할당될 수 있다. 요컨대, 베어러는 상기 채널상에 전달된 데이터가 처리될 방법을 정하는 네트워크 파라미터들의 세트이다. 일반적으로, UE가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에 접속할 때, 디폴트 베어러 상에 흐르는 데이터에 대한 최선의 노력 서비스(예를 들면, 보장되지 않은 비트 레이트)를 위한 디폴트 베어러를 할당받는다. 전용 베어러들(하나 이상의 특정 유형들의 트래픽에 전용 터널을 제공함). 하나보다 많은 베어러들이 확립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는 감소된 상위 레벨 관련 절차(650)는 베어러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베어러는 UE의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어서, 베어러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UE의 배터리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감소된 상위 계층 절차(650)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초 신뢰 가능한 및 낮은 레이턴시 통신들(uRLLC)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관한 것이고, 이들 둘 다는 5G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EMBB는 HD(고화질) 비디오들, VR(가상 현실), 및 AR(증강 현실)과 같이 대역폭에 대한 높은 요건들을 가지는 서비스들에 중점을 둔다. URLLC는 지원 및 자동 운전, 및 원격 관리와 같은 레이턴시 민감형 서비스들에 중점을 둔다.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에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는 감소된 상위 계층 관련 절차(650)는 송신들에 사용되는 통신 채널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차는 EMBB, 또는 uRLLC 서비스들 또는 둘 다와 관련된 베어러들의 수의 감소일 수 있다. 상위 레벨 서비스들은 물리적 계층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고, 그래서 배터리 절약 모드에서 UE는 하나 또는 다른 것에 집중함으로써 또는 둘 다에 집중하지 않음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보존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102), 네트워크 노드(104))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대응하는 텍스트로 설명되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방법들 및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7 내지 도 9에 설명된 방법들 및 동작들의 수행을 또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비제한적 실시예들(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라고도 지칭됨)에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동작들(700)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UE(102)).
동작들은 단계(705)에서 임계 충전 레벨을 과도하는 사용자 장비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의 감소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710)에서, 동작들은 사용자 장비가 충전 레벨의 감소에 응답하여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제 1 통지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715)에서, 동작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통지의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들은 단계(720)에서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현재 그룹보다 작은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면, 현재 그룹은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 중이 아닐 때 물리적 계층 절차들과 관련됨).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등)에서의 송신들과 관련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등)과 관련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프로세스(예를 들면, CSI 피드백 절차)와 관련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또한 송신들의 품질(예를 들면, RRM 관련 절차)에 대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예를 들면, 반송파 집성 관련 절차, 반송파 이중 접속성 관련 절차, 및 상위 계층 관련 절차 등)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상기의 도 6을 참조하여 및 그의 수반하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이하에 더 설명된다.
단계(725)에서, 동작들은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알리는 제 2 통지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들(700)은 단계(730)에서 종료할 수 있고, 동작들은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에 따라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예시적인 실시예들이라고도 지칭됨)에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동작들(800)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 동작들은 단계(805)에서 UE(예를 들면, UE(102))로부터 UE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810)에서 동작들(800)은, 통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통지의 확인 응답을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통지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단계(815)에서 동작(800)은 장비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 중이 아닐 때 사용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보다 적은 절차들을 포함하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등)을 통한 제 1 송신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등)을 통한 제 2 송신들에 적용 가능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은 제 1 송신들 및 제 2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과 관련된 제 1 파라미터들의 결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절차(예를 들면, CSI 피드백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은 제 1 송신들 및 제 2 송신들의 품질(예를 들면, RRM 관련 절차)과 관련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된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에 적용 가능한 무선 자원 관리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예를 들면, 반송파 집성 관련 절차, 반송파 이중 접속성 관련 절차, 및 상위 계층 관련 절차 등)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 6에 관하여 및 그의 수반하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이하에 더 설명된다.
동작들(800)은 단계(820)에서 종료될 수 있고, 동작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UE에 의해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 2 파라미터들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900)은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UE(1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900)은 단계(905)에서 시작할 수 있고, 방법은, UE에 의해, 사용자 장비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900)은, 단계(910)에서, 충전 레벨이 떨어지는 것에 응답하여, UE에 의해, 사용자 장비가 표준 전력 작동 모드의 동작보다 적은 배터리 전력을 소비하는 배터리 전력 보존 모드의 동작으로 진입한다는 통지를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915)에서,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1 통지의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의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법(900)은, 920에서,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에 적용 가능한 제 2 물리적 계층 절차들보다 적은 수의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을 포함하는 신호를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등)을 통한 송신 및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등)을 통한 송신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제 1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예를 들면, CSI 피드백)의 분석과 관련될 수 있다. 제 1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송신들의 품질과 관련된 신호들(예를 들면, RRM 관련 절차)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과 관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양태들 및 실시예들에 따른, 감소된 물리적 계층 절차들(예를 들면, 반송파 집성 관련 절차, 반송파 이중 접속성 관련 절차, 및 상위 계층 관련 절차 등)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 6에 관하여 및 그의 수반하는 텍스트를 포함하여 이하에 더 설명된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여기에 설명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 장치(1000)일 수 있는 사용자 장비(예를 들면, UE(102) 등)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된다. 모바일 핸드셋(1000)이 여기에 도시되지만, 다른 디바이스들은 이동 장치일 수 있고, 모바일 핸드셋(1000)은 단순히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실시예들에 대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논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적합한 환경(1000)의 예의 간략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의도된다. 설명은 기계-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구현된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들의 일반적인 콘텍스트를 포함하지만, 당업자는 혁신이 또한 다른 프로그램 모듈들과 조합하여 및/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면,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시스템들, 미니컴퓨터들, 메인프레임 컴퓨터들, 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들,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소비자 전자 장치들 등을 포함한 다른 시스템 구성들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고, 그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디바이스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판독 가능한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들, 착탈식 및 비착탈식 매체들을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들은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판독 가능한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매체들, 착탈식 및/또는 비착탈식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 ROM,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들,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그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매체들은 일반적으로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로 컴퓨터-판독 가능한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데이터를 구현하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들을 포함한다. 용어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에 정보를 인코딩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하나 이상의 그의 특성들을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통신 매체들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들, 및 음향,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들과 같은 무선 매체들을 포함한다. 상기 중 임의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핸드셋(1000)은 모든 온보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제어 및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1002)를 포함한다. 메모리(1004)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프로세서(1002)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1006)(예를 들면, 비디오 플레이어 소프트웨어, 사용자 피드백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등)과 인터페이스한다.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 피드백 신호들의 개시를 가능하게 하는 미리 결정된 음성 명령들의 음성 인식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1006)은 메모리(1004) 및/또는 펌웨어(1008)에 저장될 수 있고, 메모리(1004) 및/또는 펌웨어(1008) 중 하나 또는 둘 다로부터 프로세서(100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펌웨어(1008)는 또한 핸드셋(100)을 초기화시에 실행을 위한 시작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1010)는 외부 시스템들,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들, VoIP 네트워크들 등과의 유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세서(1002)와 인터페이스한다. 여기서, 통신 컴포넌트(1010)는 또한 대응하는 신호 통신들을 위한 적합한 셀룰러 송수신기(1011)(예를 들면, 글로벌 GSM 송수신기) 및/또는 비인가 송수신기(1013)(예를 들면, Wi-Fi, WiMax)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셋(1000)은 휴대 전화, 이동 통신 능력들을 갖춘 PDA, 및 메시징-중심 디바이스들과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1010)는 또한 지상 무선 네트워크들(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 디지털 위성 무선 네트워크들, 및 인터넷-기반 무선 서비스 네트워크들로부터의 통신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핸드셋(1000)은 텍스트들, 이미지, 비디오, 전화 기능들(예를 들면, 발신자 ID 기능), 설정 기능들, 및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01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12)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예를 들면, 음악 메타데이터, 메시지들, 월페이퍼, 그래픽 등)의 프리젠테이션을 수용할 수 있는 "스크린"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012)는 또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비디오 인용들의 생성, 편집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직렬 I/O 인터페이스(1014)는 하드와이어 접속 및 다른 직렬 입력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키보드, 키패드, 및 마우스)를 통해 유선 및/또는 무선 직렬 통신(예를 들면, USB 및/또는 IEEE 1394)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로세서(1002)와 통신으로 제공된다. 이는, 예를 들면, 핸드셋(1000)을 업데이트하고 문제 해결을 지원한다. 오디오 능력들은 오디오 I/O 컴포넌트(1016)가 제공되고, 이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피드백 신호를 개시하기 위해 적절한 키 또는 키 조합을 눌렀다는 표시와 관련된 오디오 신호들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I/O 컴포넌트(1016)는 또한 데이터 및/또는 전화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고 전화 대화를 위한 음성 신호들을 입력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을 통한 오디오 신호들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핸드셋(1000)은 카드 가입자 식별 모듈(SIM) 또는 범용 SIM(1020)의 폼 팩터로 SIC(가입자 식별 컴포넌트)를 수용하고, SIM 카드(1020)를 프로세서(1002)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슬롯 인터페이스(101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SIM 카드(1020)는 핸드셋(1000)으로 제조될 수 있고,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함으로써 업데이트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핸드셋(1000)은, ISP 또는 광대역 케이블 제공자를 통해, 예를 들면,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홈 네트워크, 개인 영역 네트워크 등과 같은 IP 네트워크로부터의 IP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통신 컴포넌트(1010)를 통해 IP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VoIP 트래픽은 핸드셋(1000)에 의해 이용될 수 있고 IP 기반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인코딩된 또는 디코딩된 포맷으로 수신될 수 있다.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해 비디오 프로세싱 컴포넌트(1022)(예를 들면, 카메라)가 제공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싱 컴포넌트(1022)는 비디오 인용들의 생성, 편집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핸드셋(1000)은 또한 배터리들 및/또는 AC 전력 서브시스템의 형태로 전원(1024)을 포함하고, 전원(1024)은 전력 I/O 컴포넌트(1026)에 의해 외부 전력 시스템 또는 충전 장비(도시되지 않음)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핸드셋(1000)은 또한 수신된 비디오 컨텐츠를 처리하고 비디오 컨텐츠를 기록 및 송신하기 위한 비디오 컴포넌트(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컴포넌트(1030)는 비디오 인용들의 생성, 편집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위치 추적 컴포넌트(1032)는 핸드셋(1000)을 지리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는 사용자가 피드백 신호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시작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1034)는 사용자가 품질 피드백 신호를 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1034)는 또한 비디오 인용들의 생성, 편집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1034)는 예를 들면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 및/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이러한 종래의 입력 디바이스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1006)을 다시 참조하면, 히스테리시스 컴포넌트(1036)는 히스테리시스 데이터의 분석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이는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Wi-Fi 트랜스시버(1013)가 액세스 포인트의 비콘을 검출할 때 히스테리시스 컴포넌트(1038)의 트리거링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트리거 컴포넌트(1038)가 제공될 수 있다. 세션 인에이블 프로토콜(session enable protocol; SIP) 클라이언트(1040)는 핸드셋(1000)이 SIP 프로토콜들을 지원하고 가입자를 SIP 등록 서버에 등록하게 한다. 애플리케이션들(1006)은 또한 적어도 멀티미디어 컨텐츠, 예를 들면, 음악의 발견, 재생 및 저장의 능력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104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1010)와 관련하여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셋(1000)은 실내 네트워크 무선 송수신기(1013)(예를 들면, Wi-Fi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은 핸드셋(1000)을 위한 IEEE 802.11과 같은 실내 무선 링크를 지원한다. 핸드셋(1000)은 무선 음성 및 디지털 라디오 칩셋들을 단일 핸드헬드 디바이스로 조합할 수 있는 핸드셋을 통해 적어도 위성 라디오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수행된 기능들 및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컴퓨터(1700)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는 도 17에 설명된 바와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7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서버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 사이에서 네트워킹 및 통신 능력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의 다양한 양태들에 대한 추가 컨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도 17 및 다음의 논의는, 혁신의 다양한 양태들이 엔티티와 제 3 자 사이의 거래의 확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는 적합한 컴퓨팅 환경의 간략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설명이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의 일반적인 컨텍스트 내에 있지만, 당업자는 혁신이 다른 프로그램 모듈들과의 조합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태스크들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방법들이, 그의 각각이 하나 이상의 관련 디바이스들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단일 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들, 미니컴퓨터들, 메인프레임 컴퓨터들, 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들,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소비자 전자 장치들 등을 포함하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들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혁신의 도시된 양태들은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된 원격 처리 디바이스들에 의해 특정 태스크들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들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들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 또는 통신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들을 포함하고, 두 용어들은 여기서 다음과 같이 서로 상이하게 사용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저장 매체들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들, 착탈식 및 비착탈식 매체들을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 프로그램 모듈들, 구조화된 데이터, 또는 비구조화된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 ROM, DVD(digital versatile disk)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들,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및/또는 비일시적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은 매체에 의해 저장된 정보에 대한 다양한 동작들을 위해, 예를 들면 액세스 요청들, 질의들 또는 다른 데이터 검색 프로토콜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로컬 또는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통신 매체들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예를 들면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데이터 신호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구조적 또는 비구조화된 데이터를 구현할 수 있고, 임의의 정보 전달 또는 운송 매체들을 포함한다. 용어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신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들로 정보를 인코딩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갖는 신호를 지칭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통신 매체들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들, 및 음향,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들과 같은 무선 매체들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04))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을 구현하는 것은 컴퓨터(1100)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1100)는 처리 유닛(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를 포함하지만 그로 제한되지 않는 시스템 구성요소들을 처리 유닛(1104)에 연결한다. 처리 유닛(1104)은 다양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처리 유닛(1104)으로서 듀얼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다른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들이 또한 채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다양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버스 아키텍처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메모리 버스(메모리 제어기를 갖거나 갖지 않는), 주변 버스, 및 로컬 버스에 또한 상호 접속될 수 있는 임의의 여러 유형들의 버스 구조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27)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체계(Basic Input/Output System; BIOS)는 ROM, EPROM,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1127)에 저장되고, BIOS는 시동 동안과 같이 컴퓨터(1100) 내의 요소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들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과 같은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0)는 내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면, EIDE, SATA)를 더 포함하고, 내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절한 섀시(chassis)(도시되지 않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면, 착탈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하거나 그에 기록하기 위한)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또는 DVD와 같은 다른 고용량 광 매체들로부터 판독하거나 그에 기록하기 위한)에서 외부 사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학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드라이브 구현들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범용 직렬 버스(USB) 및 IEEE 1294 인터페이스 기술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한다. 다른 외부 드라이브 접속 기술들은 본 발명의 혁신의 고려 내에 있다.
드라이브들 및 그들의 관련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은 데이터, 데이터 구조들,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 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0)에 대하여, 드라이브들 및 매체들은 적합한 디지털 포맷으로 임의의 데이터의 저장을 수용한다. 상기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의 설명은 HDD, 착탈식 자기 디스켓, 및 CD 또는 DVD와 같은 착탈식 광학 매체들을 참조하지만, 당업자에 의해서 zip 드라이브들, 자기 카세트들,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 카트리지들 등과 같은 컴퓨터(1100)에 의해 판독 가능한 다른 유형들의 매체들이 또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임의의 그러한 매체는 개시된 혁신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운영 체계(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1132), 다른 프로그램 모듈들(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포함하여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들이 드라이브들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시스템, 애플리케이션들, 모듈들 및/또는 데이터의 모두 또는 부분들은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혁신은 다양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운영 체계들 또는 운영 체계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입력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해 컴퓨터(1100)로 명령어들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도시되지 않음)은 마이크로폰,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 입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유닛(1104)에 접속되지만, 병렬 포트, IEEE 2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또한 비디오 어댑터(1146)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접속된다. 모니터(1144) 이외에, 컴퓨터(1100)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다른 주변 출력 디바이스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컴퓨터(1100)는 원격 컴퓨터(들)(1148)와 같은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들에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들에 의한 논리 접속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1148)는 워크스테이션, 서버 컴퓨터, 라우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피어 디바이스 또는 다른 공통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관련하여 설명된 많은 또는 모든 요소들을 포함하지만, 간결함을 위하여, 메모리/저장 디바이스(1150)만이 도시된다. 도시된 논리 접속들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들, 예를 들면, 광역 통신망(WAN)(1154)에 대한 유선/무선 접속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들은 사무실들 및 회사들에서 일반적이고, 인트라넷들과 같은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들을 가능하게 하고, 그의 모두는 글로벌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접속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 대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는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 위에 배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0)는 모뎀(114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상의 통신 서버에 접속되거나, 인터넷과 같은 WAN(1154)을 통해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또는 외부 및 유선 또는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입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접속된다. 네트워킹된 환경에서, 컴퓨터 또는 그의 부분들에 대해 도시된 프로그램 모듈들은 원격 메모리/저장 디바이스(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접속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컴퓨터들간에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컴퓨터는 무선 통신에 동작 가능하게 배치된 임의의 무선 디바이스들 또는 엔티티들, 예를 들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탑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데이터 어시스턴트, 통신 위성, 임의의 장비 또는 무선으로 검출 가능한 태그(예를 들면, 키오스크, 신문 가판대, 화장실), 및 전화와 관련된 위치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이는 적어도 Wi-Fi 및 Bluetooth™ 무선 기술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해진 구조일 수 있거나, 또는 단순히 적어도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애드혹 통신일 수 있다.
Wi-Fi, 또는 무선 충실도(WiFi)는 집에서 소파, 호텔 방의 침대, 또는 직장에서 회의실에서 선이 없이 인터넷에 대한 접속을 허용한다. Wi-Fi는 이러한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컴퓨터들이 실내 및 외부에서; 기지국 범위 내 어디서든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게 하는 휴대 전화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들은 IEEE802.11(a, b, g, n 등)이라 불리는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신뢰가능하고, 빠른 무선 접속성을 제공한다. Wi-Fi 네트워크들은 컴퓨터들을 서로, 인터넷 및 유선 네트워크들(IEEE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들은 허가되지 않은 2.4 및 5㎓ 무선 대역들에서, 예를 들면, 11Mbps(802.11b) 또는 54Mbps(802.11a) 데이터 속도로 동작하거나 두 대역(이중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과 함께 동작해서, 네트워크들은 많은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기본 "10BaseT" 유선 이더넷 네트워크들과 유사한 실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시스템", "구성요소",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특정 기능들을 갖는 컴퓨터 관련 엔티티 또는 운영 기계와 관련된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엔티티들은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그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시로서, 서버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둘 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에 위치되고 및/또는 둘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또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된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들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에 따라서와 같이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부터의 데이터). 다른 예로서,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동작되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에 의해 동작되는 기계 부품들에 의해 제공된 특정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한다. 또 다른 예로서, 구성요소는 기계 부품들 없이 전자 구성요소들을 통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고, 전자 구성요소들은 전자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적어도 일부 부여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실행하기 위해 내부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API 구성요소들 뿐만 아니라 입력/출력(I/O)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요지는 개시된 요지를 구현하도록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을 생성하기 위해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 물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디바이스, 컴퓨터 판독 가능 캐리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은 자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들);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블루레이 디스크™(BD));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및/또는 저장 디바이스 및/또는 임의의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을 에뮬레이트하는 가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채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서"는 단일-코어 프로세서들; 소프트웨어 멀티스레드 실행 기능을 갖는 단일-프로세서들; 멀티-코어 프로세서들; 소프트웨어 멀티 스레드 실행 기능을 갖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 하드웨어 멀티스레드 기술을 갖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들; 병렬 플랫폼들; 및 분산 공유 메모리를 갖는 병렬 플랫폼들을 포함하지만 그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컴퓨팅 처리 유닛을 실질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기(PLC), 복잡한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C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또는 여기에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그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은 공간 사용을 최적화하거나 사용자 장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자 및 양자점 기반 트랜지스터들, 스위치들 및 게이트들과 같은 나노-스케일 아키텍처들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처리 유닛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장", "데이터 저장", "데이터 저장 장치", "데이터베이스", "저장소", "대기열"과 같은 용어, 및 실질적으로 구성요소의 동작 및 기능에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정보 저장 구성요소는, "메모리 구성요소들", 또는 "메모리"에서 구현된 엔티티들 또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메모리 구성요소들은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메모리 구성요소들 또는 메모리 요소들은 탈착 가능하거나 고정식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디바이스 또는 구성요소의 내부 또는 외부, 또는 착탈 가능하거나 고정식일 수 있다.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들, zip 드라이브들, 자기 카세트들, 플래시 메모리 카드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메모리 카드들, 카트리지들 등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들의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 가능한 ROM(P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작용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RAM은 동기식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식 DRAM(SDRAM), 2배속 SDRAM(DDR SDRAM), 향상된 SDRAM(ESDRAM), Synchlink DRAM(SLDRAM), 및 직접 램버스 RAM(DRRAM)와 같은 많은 형태들로 이용 가능하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들 또는 방법들의 개시된 메모리 구성요소들은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들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특히 및 상기 설명된 구성요소들, 디바이스들, 회로들, 시스템들 등에 의해 수행된 다양한 기능들에 관하여,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수단"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여)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개시된 구조와 구조적으로 동일하지는 않지만, 설명된 구성요소의 특정된 기능(예를 들면, 기능적 등가물)을 수행하는 임의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도록 의도되고, 이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예시된 예시적인 양태들에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실시예들은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들의 동작들 및/또는 이벤트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인식될 것이다.
컴퓨팅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 및/또는 통신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두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르게 사용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들, 탈착식 및 비탈착식 매체들 둘 다를 포함하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저장 매체들일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 프로그램 모듈들, 구조화된 데이터 또는 비구조화된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 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들,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및/또는 비일시적 매체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은 매체에 의해 저장된 정보에 대한 다양한 동작들을 위해, 예를 들면 액세스 요청들, 질의들 또는 다른 데이터 검색 프로토콜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로컬 또는 원격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통신 매체들은 일반적으로 변조된 데이터 신호, 예를 들면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데이터 신호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다른 구조적 또는 비구조적 데이터를 구현하고, 임의의 정보 전달 또는 전송 매체들을 포함한다. 용어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신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들로 정보를 인코딩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신호를 지칭한다. 예로서, 통신 매체들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들, 및 음향,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들과 같은 무선 매체들을 포함하지만, 그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장비", "사용자 디바이스", "이동 장치", "모바일", 스테이션, "액세스 단말", "단말", "핸드셋", 및 유사한 용어와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제어, 음성, 비디오, 사운드, 게이밍, 또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데이터-스트림 또는 시그널링-스트림을 수신 또는 전달하기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서비스의 가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된 무선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전술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및 관련 도면들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이용된다. 유사하게는, 용어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기지국", "진화된 노드 B", "셀", "셀 사이트" 등은 본 출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가입자국들의 세트로부터 데이터, 제어, 음성, 비디오, 사운드, 게이밍, 또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데이터-스트림 또는 시그널링-스트림을 제공하고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구성요소 또는 기기를 지칭한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스트림들은 패킷화되거나 프레임-기반 흐름들일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들에서, 문맥 또는 명시적 구별은 실외 환경에서 이동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제공하고 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기지국들, 및 한정된, 주로 실외 지역에 오버레이된 실내 환경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기지국들에 대한 차별화를 제공한다는 것이 주의된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스트림들은 패킷화 또는 프레임-기반 흐름들일 수 있다.
또한, 용어들 "사용자", "가입자", "고객", "소비자" 등은 문맥이 용어들 중에서 특정한 구별(들)을 보증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상호 교환적으로 채용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시뮬레이션된 시각, 음향 인식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인공 지능(예를 들면, 복잡한 수학적 형식들에 기초하여 추론하는 능력)을 통해 지원되는 인간 개체들, 관련 디바이스들, 또는 자동화된 구성요소들을 지칭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용어들 "무선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는 본 출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이 명확성을 위해서 구별을 보장할 때, 그러한 구별이 명백해진다.
또한, 단어 "예시적인"은, 예, 경우, 또는 예시의 역할을 의미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설명된 다른 양태들 또는 설계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이로운 것으로 반드시 해석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단어 예시적인의 사용은 구체적인 방식으로 개념들을 제시하도록 의도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또는"은 배타적인 "또는"이 아니라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명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하지 않은 한, "X는 A 또는 B를 채용한다"는 임의의 자연적 포괄적인 치환들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즉, X가 A를 채용하거나; X가 B를 채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를 모두 채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채용한다"는 전술한 경우들 중 임의의 것에서 만족된다. 또한, 본 출원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단수 형태에 대해 지시되도록 문맥으로부터 달리 명시되거나 명백하지 않은 한 "하나 이상의"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 특징은 몇몇 구현들 중 단 하나에 대해서만 개시될 수 있지만, 이러한 특징은 임의의 주어진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바람직하고 이로울 수 있는 다른 구현들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 및 그의 변형들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한, 이러한 용어들은 용어 "포함하는"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대응하는 도면들 및 요약에 기술된 것들에 대한 상기 설명들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여기에서 설명되고, 개시된 실시예들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철저하게 하거나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수정들, 치환들, 조합들 및 추가들을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개시된 요지의 동일, 유사, 대안, 또는 대체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요지는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단일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이하의 청구항들에 따른 폭 및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사용자 장비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동작들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들은:
    임계 충전 레벨을 과도하는(transition) 상기 사용자 장비의 배터리 충전 레벨의 감소를 검출하는 것;
    상기 충전 레벨의 감소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제 1 통지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통지의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것;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현재 그룹보다 작은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상으로의 송신들,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프로세스,
    송신들의 품질에 대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
    주기 내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한 무선 자원 측정들의 양의 감소에 관련되는, 상기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을 결정하는 것,
    상기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알리는 제 2 통지의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 및
    상기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의 감소된 그룹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의 감소된 그룹은 또한 단일 송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의 측정들과 관련되고, 상기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또한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안테나 송신 프로토콜에서 사용된 송신 계층들의 수의 감소에 관련되는, 사용자 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대역폭의 양의 감소에 관련되는, 사용자 장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또한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안테나의 송신 전력의 감소에 관련되는, 사용자 장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계층 동작 능력들의 감소된 그룹은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된 블라인드 디코딩 동작들의 수의 감소에 관련되는, 사용자 장비.
  7. 삭제
  8.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동작들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들은: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통지를 수신하는 것;
    상기 통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통지의 확인 응답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
    상기 사용자 장비가 배터리 절약 모드의 동작 중이 아닐 때 사용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보다 적은 수의 절차들을 포함하는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물리적 업링크 채널을 통한 제 1 송신들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을 통한 제 2 송신들에 적용 가능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절차,
    상기 제 1 송신들 및 상기 제 2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에 관련된 제 1 파라미터들의 결정을 위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절차,
    상기 제 1 송신들 및 제 2 송신들의 품질과 관련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된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에 적용 가능한 무선 자원 관리 절차; 및
    주기 내에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취해진 무선 자원 측정들의 양을 감소시키는 무선 자원 측정 절차를 포함하는, 상기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 2 파라미터들을 재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될 블라인드 디코딩 동작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블라인드 디코딩 절차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은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사용자 장비 송신 전력 절차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절차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전송되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들의 수의 감소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은 상기 제 1 송신들 및 상기 제 2 송신들에 사용되는 통신 채널들의 수의 감소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4.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충전 레벨이 떨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보다 적은 배터리 전력을 소비하는 배터리 전력 보존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통지를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1 통지의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의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에 적용 가능한 제 2 물리적 계층 절차들보다 적은 수의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을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
    상기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의 분석, 및
    상기 송신들의 품질에 관련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들은, 에러 검사 프로토콜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의 재송신을 위한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가 기다리는 시간량의 증가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무선 자원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방법.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안테나 송신 프로토콜에서 사용된 송신 계층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송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방법.
  18.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충전 레벨이 떨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보다 적은 배터리 전력을 소비하는 배터리 전력 보존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통지를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1 통지의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의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에 적용 가능한 제 2 물리적 계층 절차들보다 적은 수의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을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
    상기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의 분석, 및
    상기 송신들의 품질에 관련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상기 물리적 업링크 채널상의 송신 및 상기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상의 송신을 위한 전송 블록 크기의 감소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블록 크기는 시간 프레임에서 송신되도록 결정되는 데이터의 양에 관련되는, 방법.
  19.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충전 레벨이 떨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보다 적은 배터리 전력을 소비하는 배터리 전력 보존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통지를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1 통지의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의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에 적용 가능한 제 2 물리적 계층 절차들보다 적은 수의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을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
    상기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의 분석, 및
    상기 송신들의 품질에 관련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상기 물리적 업링크 채널상의 송신 및 상기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상의 송신을 위한 대역폭의 감소를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은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 사이에서 송신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방법.
  20.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사용자 장비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충전 레벨이 떨어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가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보다 적은 배터리 전력을 소비하는 배터리 전력 보존 모드의 동작에 진입하고 있다는 통지를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 1 통지의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의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전력 모드의 동작에 적용 가능한 제 2 물리적 계층 절차들보다 적은 수의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을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의 물리적 업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로의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을 통한 송신,
    상기 송신들을 위한 프로토콜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의 분석, 및
    상기 송신들의 품질에 관련된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자원 관리 측정들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 1 물리적 계층 통신 절차들의 추천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 1 이동 네트워크 셀룰러 사이트의 제 1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으로부터 제 2 이동 네트워크 셀룰러 사이트의 제 2 셀룰러 커버리지 영역으로의 이동들을 모니터링하는 주파수들의 수의 감소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16444A 2017-12-13 2018-11-23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물리적 계층 절차들 KR102288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40,068 2017-12-13
US15/840,068 US10757601B2 (en) 2017-12-13 2017-12-13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user equipment in power saving mode
PCT/US2018/062397 WO2019118157A1 (en) 2017-12-13 2018-11-23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user equipment in power saving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310A KR20200080310A (ko) 2020-07-06
KR102288579B1 true KR102288579B1 (ko) 2021-08-12

Family

ID=6466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444A KR102288579B1 (ko) 2017-12-13 2018-11-23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물리적 계층 절차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57601B2 (ko)
EP (1) EP3725119B1 (ko)
JP (1) JP7034293B2 (ko)
KR (1) KR102288579B1 (ko)
CN (1) CN111418235A (ko)
WO (1) WO2019118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908B1 (ko) * 2018-04-16 202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70259B2 (en) * 2018-07-17 2021-07-20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 time selective precoding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CA3122869A1 (en) * 2018-12-21 2020-06-2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me-frequency resource, chip and computer program
EP3925286B1 (en) * 2019-02-14 2023-11-01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for adapting relaxed radio measurement procedure
US11316610B2 (en) * 2019-03-08 2022-04-26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CN110557779B (zh) 2019-05-16 2021-08-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连接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563637B2 (en) * 2019-10-13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part switching for dual active protocol stack handover
JP2022527134A (ja) * 2019-11-19 2022-05-30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測定の緩和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210195579A1 (en) * 2019-12-23 2021-06-24 Qualcomm Incorporated Pdcch monitoring reduction for reduced-capability user equipments
US11895736B2 (en) * 2020-04-08 2024-02-06 Qualcomm Incorporated Restricted access and use control for user equipment with reduced capabilities
TWI739481B (zh) * 2020-06-18 2021-09-11 國立陽明交通大學 虛擬使用者裝置訊號合成系統及其方法
CN112203306B (zh) * 2020-10-09 2023-01-17 哲库科技(北京)有限公司 终端、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20131653A1 (en) * 2020-10-22 2022-04-28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process type configuration
WO2022110072A1 (zh) * 2020-11-27 2022-06-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4009714A1 (en) 2020-12-04 2022-06-08 Nokia Technologies Oy Battery aware carrier activation
WO2022263885A1 (en) * 2021-06-15 2022-1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device usage with respect to slices
WO2023017160A1 (en) * 2021-08-13 2023-02-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level energy configuration for energy harvesting wireless devices
WO2023031033A1 (en) * 2021-08-30 2023-03-09 Sony Group Corporation Methods for handling low energy conditions of an energy harvesting wireless device, a related network node and a related wireless device
WO2023087239A1 (en) * 2021-11-19 2023-05-25 Zte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power mana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0170A (ja) * 2003-03-11 2006-08-31 インターディ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ネットワークおよび無線リソース管理から支援されたバッテリ節約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80057894A1 (en) * 2006-08-31 2008-03-06 Ati Technologies Inc. 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5180B1 (en) 1998-12-30 2002-02-05 Ericsson Inc. Mobile terminal reserve power system
US7583984B2 (en) * 2005-08-12 2009-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for battery power conservation in a wireless system
US7760676B2 (en) 2006-06-20 2010-07-20 Intel Corporation Adaptive DRX cycle length based on available battery power
US8515481B2 (en) 2008-09-05 2013-08-20 Mediatek Inc. Power management for multi-carrier transmission
KR20100135385A (ko) * 2009-06-17 2010-12-27 오재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US8340578B2 (en) * 2009-10-05 2012-12-25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existence algorithms in wireless systems
ES2454468T3 (es) 2010-06-11 2014-04-10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étodo para controlar medidas en un terminal de telecomunicaciones inalámbrico
EP2395797B8 (en) 2010-06-11 2014-04-02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ctivity modes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terminal
US9088948B2 (en) 2010-10-27 2015-07-21 Silicon Laboratories Inc. Reduced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network device
US9661588B2 (en) 2010-11-05 2017-05-23 Sun Patent Trust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power allocation method
CN102487541A (zh) * 2010-12-06 2012-06-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ue省电的方法和系统
US9356765B2 (en) 2011-08-24 2016-05-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method for aggregation of heterogeneous component carrier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 using the same
US20130089091A1 (en) 2011-10-07 2013-04-11 Broadcom Corporation Control of Energy Efficiency Above PMD Interface
US9756571B2 (en) 2012-02-28 2017-09-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ergy efficient maximization of network connectivity
US20130250908A1 (en) * 2012-03-23 2013-09-26 Nokia Siemens Networks Oy Base station power savings and control thereof
CN102665245B (zh) 2012-04-19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减少切换信令的方法和设备
CN104335644B (zh) * 2012-06-08 2020-04-10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增强的节能优化配置处理
US9042285B2 (en) * 2012-06-29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User presence driven power saving in 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S20140157017A1 (en) * 2012-12-05 2014-06-0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of communication devices
US9578601B2 (en) * 2013-11-12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modem power based on a present state of charge of battery
KR102108831B1 (ko) 2014-01-22 202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을 위해 피지컬 레이어의 웨이크업 신호를 라우트할 수 있는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EP3108701B1 (en) * 2014-03-21 2022-01-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etwork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194388B2 (en) * 2014-03-31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low power synchronization for large bandwidth wireless LAN systems
US9730208B2 (en) 2014-08-07 2017-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ad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in discontinuous reception
US9253729B1 (en) * 2014-09-29 2016-02-02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user equipment
US11581999B2 (en) * 2014-10-08 2023-02-14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desig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405278B2 (en) * 2014-10-31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scheduling
CN107078863B (zh) * 2014-11-06 2020-11-06 苹果公司 用于mtc的重复传输的提前终止
US9503987B2 (en) * 2014-11-11 2016-11-22 Gainspan Corporatio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stations executing various client applications
WO2016165126A1 (en) * 2015-04-17 2016-10-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Rate matching for a machine type communication channel in time division duplex
US10070339B2 (en) * 2015-06-05 2018-09-0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MO WLAN power optimization
US11356956B2 (en) 2015-06-20 2022-06-07 Ofinno, Llc Uplink power control in a wireless device
CN108464024B (zh) * 2015-11-02 2021-07-0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处理无线设备能力的网络节点、无线设备、介质及其方法
JP6720408B2 (ja) * 2016-10-07 2020-07-0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で動作する通信デバイス向けのビームカバレッジの提供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0170A (ja) * 2003-03-11 2006-08-31 インターディ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ネットワークおよび無線リソース管理から支援されたバッテリ節約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80057894A1 (en) * 2006-08-31 2008-03-06 Ati Technologies Inc. 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34293B2 (ja) 2022-03-11
WO2019118157A1 (en) 2019-06-20
EP3725119B1 (en) 2022-06-29
US11418994B2 (en) 2022-08-16
JP2021507594A (ja) 2021-02-22
US20190182702A1 (en) 2019-06-13
KR20200080310A (ko) 2020-07-06
EP3725119A1 (en) 2020-10-21
US10757601B2 (en) 2020-08-25
CN111418235A (zh) 2020-07-14
US20200351697A1 (en)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579B1 (ko) 절전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한 물리적 계층 절차들
US11095400B2 (en) Configuration of repetition factors for transmitting feedback data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KR102417304B1 (ko) 고 도플러 상태들을 위한 다중-안테나 송신 프로토콜들
US11297554B2 (en) Candidate beam selection and control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0999042B2 (en) Facilitating restric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to improve communication coverage in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s
US11425590B2 (en) Facilitation of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20210028837A1 (en) Determin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dvanced networks
US11540193B2 (en) Mitigating user equipment overheating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20200313737A1 (en) Facilitating semi-open loop based transmission diversity for uplink transmission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s
US20230085262A1 (en) Performance based on inferred user equipment device speed for advance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