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267B1 -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OF PROVIDING BRAI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OF PROVIDING BRAI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267B1
KR102288267B1 KR1020200091206A KR20200091206A KR102288267B1 KR 102288267 B1 KR102288267 B1 KR 102288267B1 KR 1020200091206 A KR1020200091206 A KR 1020200091206A KR 20200091206 A KR20200091206 A KR 20200091206A KR 102288267 B1 KR102288267 B1 KR 10228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n
user
unit
inform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연
Original Assignee
액티브레인바이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티브레인바이오(주) filed Critical 액티브레인바이오(주)
Priority to KR1020200091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267B1/en
Priority to KR1020210042264A priority patent/KR102298943B1/en
Priority to US17/379,199 priority patent/US20220022790A1/en
Priority to US17/379,239 priority patent/US20220218268A1/en
Priority to EP21187036.5A priority patent/EP3944257A1/en
Priority to JP2021121408A priority patent/JP732313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2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61B5/1455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specially adapted for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Neu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 method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of in which a brain signal acquiring unit of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emits near-infrared rays to the brain of a user and detects light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by a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the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in the cerebral blood flow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light; a third step of extracting, by a brain signal analysis unit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and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by a diagnostic unit, a brain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continuously extra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acquiring unit of the first step can be performed while the user is mo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brain state can be determined more precisely.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OF PROVIDING BRAIN INFORMATION}AI-based brai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I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OF PROVIDING BRAIN INFORMATION}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활동하는 상태에서 뇌와 관련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여 피드백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capable of collecting brain-related signals while the user is active, and judging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is and providing feedback How to provide information.

뇌는 우리의 행동과 환경에 따라 회로를 새롭게 바꾸기도 하고, 새로운 기능을 만들어 내거나 세포를 만들어 성장하기도 한다. 그리고 우리가 어떤 생각을 하는가에 따라 뇌 영역의 기능이 바뀌기도 한다.Depending on our behavior and environment, the brain changes circuits, creates new functions, or creates cells to grow. And how we think changes the function of brain regions.

뇌 영역 중에서 학습과 기억력을 담당하는 히포캠퍼스(hippocampus)는 새로운 신경세포(neuron)를 생산(neurogenesis)하는 역할을 하며, 가장 신경 발생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영역이다. 히포캠퍼스 다음으로, 신경세포 생산과 신경 발생이 활발한 부위는 영역은 후각 관련 영역으로서, 새로운 냄새를 맡으면 뇌는 냄새를 감별하는 새로운 뇌세포를 만들어 낸다.Among the brain regions, the hippocampus, which is responsible for learning and memory, plays a role in producing new neurons (neurogenesis) and is the region where neurogenesis occurs most actively. After Hippocampus, the area where nerve cell production and neurogenesis are active is the olfactory-related area, and when a new smell is smelled, the brain creates new brain cells that differentiate the smell.

그러나 뇌 세포를 포함한 모든 신경섬유소는 장기간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소멸한다. 세포의 소멸은 노화 또는 퇴화를 의미하므로, 소멸되는 것보다 세포의 생산 및 신경 발달이 활발해야 한다. 따라서, 신경섬유소, 특히 뇌 세포를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신경 발생의 속도 그리고 신경세포의 생존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However, all neurofibrins, including brain cells, do not survive long-term, but die over time. Since the annihilation of cells means aging or degeneration, the production and neurodevelopment of cells should be active rather than extinction.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neurofibrin, especially brain cells,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speed of neurogenesis and the survival period of neurons.

뇌 세포의 생산, 신경 발생, 신경 발생의 속도 및 생존 기간 등을 활발하게 하는 것을 활성화라고 할 때, 기존에는 뇌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동이나 음식, 자극제, 게임, 음악, 명상 등이 활용하였다. 그러나 최근 신경과학자들에 의해 상기 요인들이 발견되었고, 발견된 요인들을 적용해서 뇌를 활성화하여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When activation refers to activating brain cell production, neurogenesis, speed of neurogenesis, and survival period, exercise, food, stimulants, games, music, and meditation have been used as methods to activate the brain. . However, recently, the above factors have been discovered by neuroscientists, and methods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by activating the brain by applying the discovered factors are being developed.

한편, 뇌기능을 검사하거나 진단하는 경우에는,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r Tomography, CT),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ce Imaging, MRI),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roton Emission Tomography, PET),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 EEG), 뇌자도(magnetoencephalography, MEG),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uctional Magnetic Resonace Imaging, FMRI)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amining or diagnosing brain function, computer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proton emission tomography (PET), electroencephalograph (EEG) ), magnetoencephalography (MEG),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are being used.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54291호 (2017년 7월 6일 공고)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54291 (Announced on July 6, 2017) 2.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58812호 (2016년 5월 25일 공개)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58812 (published on May 25, 2016) 3.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768393호 (2017년 8월 17일 공고)3.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68393 (Announced on August 17, 2017) 4.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295187호 (2013년 8월 9일 공고)4.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95187 (Announced on August 9, 201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method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활동하는 상태에서 뇌와 관련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여 피드백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apable of collecting brain-related signals while the user is active, and judging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is and providing feedback.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뇌의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는 뇌 신호 획득부,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하는 뇌 신호 처리부 및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뇌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뇌 신호 측정부와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rradiates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brain, a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that detects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oxygenation of hemoglobin in the user's cerebral bloodstream based on the detected light Continuously with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cluding a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brain signal analyzing unit for extracting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activatio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an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diagnosis unit for determining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또한, 본 발명은,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뇌 신호 자극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for stimulating a user's brain for a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각 정보를 수집하는 청각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수집하는 걸음걸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보를 수집하는 스트레스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수집하는 심전도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수집하는 수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집중 정보를 수집하는 집중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사용자의 얼굴 랜드마크 마스킹 데이터 수집하여 비 접촉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 사용자의 음성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a gai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gait information, a stres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stress information, and the user's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llection unit, slee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 sleep information, intensiv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s intensive information, and user's face landmark masking data are collected based on user's eye tracking The user's brain state is further utilized by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in a contact manner, and a non-contact emotional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voice chang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 judgmen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뇌 활성화 영역,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 및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uses an image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related medical images, and uses an artificial brain activation region,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and user-related medical images together to more precisel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하는 뇌 질환을 판단할 수 있는 진단부와 진단부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sponds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and the diagnosis unit that can determine the user's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diseases including brain tumors and developmental disorders, brain condition improvement It is intended to propose a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f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이내 상기 사용자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뇌 신호 자극부를 더 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preset criterion, based on the user's brain state,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will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order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case,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stat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that further utilizes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fo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은, 뇌 신호 측정부의 뇌 신호 획득부가 사용자의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뇌의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뇌 신호 처리부가 상기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뇌 신호 분석부가 상기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진단부가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계의 뇌 신호 획득부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of the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irradiates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brain, and receives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a first step of detecting;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by the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the degree of oxygenation of hemoglobin in the user's cerebral blood flow based on the detected light; a third step of extracting, by the brain signal analysis unit of the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and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continuously extra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by the diagnostic unit; , may be performed while the user is moving.

또한,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와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Also, in the second step, the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can be determined by extracting the concentration of oxidized hemoglobin (Oxy Hb) and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in the cerebral bloodstream of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light. .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에서는, 상기 뇌 혈류 내의 산화 헤모글로빈에 의해 수송된 산소가 소비됨으로써,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가 감소하고, 상기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가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oxygen transported by oxidized hemoglobin in the cerebral bloodstream is consumed, so that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decreases, and in response to the decrease in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may be increased.

또한, 상기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와 상기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는, 가시광 영역과 근적외광 영역에서 변화되는 광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뇌 신호 측정부는, 상기 근적외선 조사에 의한 근적외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and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have optical characteristics that change in a visible light region and a near-infrared light region, and in the first step,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the near-infrared irradiation The signal may be collected through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뇌 신호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의 뇌 영역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로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이,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뇌 활성화 영역으로 변화되었는지 또는 상기 뇌 활성화 영역에서 비 활성화 영역으로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step, the brain signal analyzer divides the user's brain region into a plurality, and determines whether each of the divided brain regions is changed to the brain activation region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or whether the brain is activat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egion is changed to an inactive region.

또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일정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의 뇌 활성화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Also,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may determine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y using changes in brain activ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based on the predetermined time unit.

또한,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는,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복수의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의 뇌 활성화 변화를 시간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third step and the fourth step, the display unit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displaying the brain activation chan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over time;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뇌 신호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헤드를 모두 덮는 풀 커버(full cover) 형태 또는 상기 사용자 헤드의 전면부에 밀착되는 전면부 형태일 수 있다.Also, in the first step,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may be in the form of a full cover covering all of the user's head or in the form of a front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rt of the user's head.

또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뇌 신호 자극부가 상기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는 제 0.5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first step, for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fo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0.5 step;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 0.5 단계는, 상기 뇌 신호 자극부의 뇌 활성화 장치가 일정 공간 내에서 미리 타겟팅 된 뇌 영역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강화하고, 상기 뇌 영역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다차원적인 환경적 자극을 가하는 (a)단계; 및 상기 뇌 신호 자극부의 관리 서버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타겟팅 된 뇌 영역에 다차원적인 환경적 자극을 가하도록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b)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0.5, the brain activation device of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intensively strengthens the activity of a pre-targeted brain region within a certain space, and multi-dimensional environmental stimulation is applied to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brain region. adding (a) step; and (b) controlling, by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the driving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to apply a multi-dimensional environmental stimulus to the targeted brain region in the space.

또한, 상기 공간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a) 단계는, 미디어부가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서 연출하고자 하는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를 구현하는 단계; 음향부가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 조명부가 빛을 조사하거나 조명하는 단계; 및 향기 전달부가 향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the step (a) may include: implementing media art corresponding to a concept that the media unit intends to produc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outputting sound by the sound unit; illuminating or illuminating the light; and transmitting the fragrance to the user by the fragrance delivery unit; may include.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의 컨셉에 대응되는 복수의 미디어 정보와 음향 정보,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중에서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복수의 미디어 정보, 음향 파일과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와 프로그램에 따라 변경하도록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b),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media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are stored, Selec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media information, sound files and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from among various information and programs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ntrol the driving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to change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ormation and program there is.

또한, 상기 미디어부는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를 구현하는 복수의 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각 미디어 모듈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를 투사하는 프로젝터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부는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복수의 음향 모듈을 포함하고, 각 음향 모듈은 음악이나 자연의 백색 소음을 포함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앰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a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edia modules for implementing media art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and each media module includes a projector or a display panel for projecting media art including a photo or a moving image, The sound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und modules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and each sound module may include a speaker and an amplifier for outputting sound including music or natural white noise.

또한, 상기 조명부는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거나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모듈을 포함하고, 각 조명 모듈은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기, 빛을 조사하는 LED, 네온 조명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해서 구성되며, 상기 향기 전달부는 각 공간에서 배치된 자연물의 향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복수의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달 모듈은 각 공간에 배치된 자연물에서 발생하는 향기 또는 자연물의 향기를 모방한 향기를 각 공간 내부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ing modules that irradiate or illuminate light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and each lighting module includes one or more of a laser generator irradiating a laser, an LED irradiating light, and neon lighting.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fragrance deliver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elivery modules for delivering the fragrance of a natural object disposed in each space to the user, and each delivery module is configured to deliver a fragrance or a fragrance of a natural object disposed in each space. It may include a blower for blowing air to deliver the imitated fragrance to the user inside each space.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에는, 관리자의 조작에 기초해서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이, 각 공간에 설치되는 각 모듈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정보 파일과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 파일과 프로그램에 따라 미디어, 음향, 조명 등을 선택된 주기적 또는 불규칙하게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c)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step (b), the manager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based on the manager's operation, a plurality of information file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for each module installed in each space a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 selecting one or more programs and controlling to change media, sound, lighting, etc. periodically or irregularly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ormation file and program.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에는,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연령, 성별, 취향, 심리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c)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연령, 성별, 취향, 심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에 기초해서 개인 맞춤형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음향, 조명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step (b), the user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and inputting the user's operation command inputs user information including age, gender, taste, and psychological state from the user, (c) transmitting the input user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d) controlling the management server to determine the user's age, gender, taste, and psychological st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o provide media, sound, and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zed concep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는,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제 3-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third step and the fourth step, the step 3-5 in which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collects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 3-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의 청각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청각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수집된 청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판단하며,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3-5,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of the user data collecting unit collects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and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the hearing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ollected auditory information The degree of damage is determined, and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may determine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degree of hearing damage of the user together.

또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은, 난청에 의한 것이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좌우 순음 역치 평균값, 상기 사용자의 난청 정도 및 상기 청각 정보 수집부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ring loss of the user is due to hearing loss, and the diagnosis unit additionally uses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left and right pure tone threshold values of the user, the degree of hearing loss of the user, and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relat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또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은, 이명에 의한 것이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좌우 순음 역치 평균값, 상기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상기 청각 정보 수집부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ring impairment of the user is due to tinnitus, and the diagnosis unit additionally uses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left and right pure tone threshold values of the user, the degree of tinnitus of the user, and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relat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또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step, the signal collecting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may be performed while the user moves while the user's hearing damage occurs.

또한, 상기 제 3-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수집하는 걸음걸이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보를 수집하는 스트레스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수집하는 심전도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수집하는 수면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사용자의 집중 정보를 수집하는 집중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 패턴, 스트레스 정도, 심전도 변화, 수면 상태 및 집중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며,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 패턴, 스트레스 정도, 심전도 변화, 수면 상태 및 집중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3-5,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a gai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gait information, a stres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stress information, and the user's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an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ing the user's sleep information, a sleep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ing the user's sleep information, and an intensiv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ing the user's intensive information,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at least one of a gait pattern, a stress level, an electrocardiogram change, a sleep state, and a change in concentr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and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comprises: The user's brain state may be determ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gait pattern, stress level, electrocardiogram change, sleep state, and concentration change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또한,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가 변화화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가 변화하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가 변화하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수면 조건이 변화하는 상태 및 상기 사용자의 집중력이 변화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user's gait chang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stress chang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electrocardiogram changes, and a state in which the user's sleep condition changes. and in a situa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a state in which the user's concentration changes is applied, may be performed while the user moves.

또한, 상기 제 3-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 랜드마크 마스킹 데이터 수집하여 비 접촉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3-5,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collects the user's face landmark masking data based on the user's eye tracking and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in a non-contact manner and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wherein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together. .

또한, 상기 제 3-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3-5,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emotion change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hange in the user's voice; further comprising,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user's emotion change information together.

또한, 상기 제 3.5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는, 영상 수집부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수집하는 제 3.7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step 3.5 and step 4, a step 3.7 of collecting a medical image related to the user by an image collecting unit; and,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may determine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nd a medical image related to the user together. .

또한, 상기 제 3.7 단계의 상기 영상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MRI 영상을 수집하는 MRI 영상 획득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CT 영상을 수집하는 CT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fMRI 영상을 수집하는 fMRI 영상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ollecting unit of step 3.7 may include: an MRI image obtaining unit collecting an MRI image related to the user; a CT image acquisition unit for collecting CT images related to the user; and an fMRI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ollects fMRI images related to the user.

또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뇌 질환을 판단하고, 상기 뇌 질환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disease, and the brain disease may include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또한,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는, 관리부가, 상기 진단부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fourth step, a fifth step of providing, by the management unit,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user's brain condition in response to the brain condition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이내 상기 사용자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관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뇌 신호 자극부가 상기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will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order within a certain period based on the user's brain state by applying a preset criterion, the The fifth step may further include,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by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to improve the user's brain cond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활동하는 상태에서 뇌와 관련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여 피드백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 brain-related signals while the user is active,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is, and provide feedback.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뇌의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는 뇌 신호 획득부,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하는 뇌 신호 처리부 및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뇌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뇌 신호 측정부와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rradiates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brain, a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that detects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oxygenation of hemoglobin in the user's cerebral bloodstream based on the detected light Continuously with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cluding a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brain signal analyzing unit for extracting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activatio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an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diagnostic unit for determining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또한, 본 발명은,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뇌 신호 자극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for stimulating a user's brain for a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각 정보를 수집하는 청각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수집하는 걸음걸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보를 수집하는 스트레스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수집하는 심전도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수집하는 수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집중 정보를 수집하는 집중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사용자의 얼굴 랜드마크 마스킹 데이터 수집하여 비 접촉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 사용자의 음성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a gai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gait information, a stres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stress information, and the user's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llection unit, slee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 sleep information, intensiv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s intensive information, and user's face landmark masking data are collected based on user's eye tracking The user's brain state is further utilized by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in a contact manner, and a non-contact emotional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voice ch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ly judging.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뇌 활성화 영역,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 및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 및 제어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uses an image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related medical images, and uses an artificial brain activation region,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and user-related medical images together to more precisel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and a control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하는 뇌 질환을 판단할 수 있는 진단부와 진단부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sponds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and the diagnosis unit that can determine the user's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diseases including brain tumors and developmental disorders, brain condition improve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f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이내 상기 사용자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뇌 신호 자극부를 더 활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preset criterion, based on the user's brain state,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will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order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case,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condition, a system and method further utilizing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fo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 메커니즘 연구 결과로 활용 가능한데, 뇌영상 및 인지 능력 측정실험 설계를 통해, 비침습 진단 및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활용이 가능하고, 뇌 구조 영상 및 뇌 기능 영상 실험을 통해, 뇌영상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반 마련 및 공유가 가능하며, 딥러닝 분석에 기반한 치료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최적의 치료 기법 도출 및 제안이 가능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result of a study on the mechanism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Through brain imaging and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experiment design,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utilize a non-invasive diagnosis and treatment monitoring system, and through brain structure imaging and brain function imaging experiments, the brain It is possible to prepare and share the basis for building an image database, and it becomes possible to derive and propose an optimal treatment technique by identifying the treatment mechanism based on deep learning analysis.

또한,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 조기진단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한데, 망막 영상, 안과 질환 및 eye-tracking 등을 통해 비침습법 치매 진단 플랫폼 개발을 통해 조기 진단에 활용될 수 있고, 시간과 공간 제약 없이 실시간 진단을 통한 삶의 질 개선이 가능하며, 다른 뇌질환에 대한 새로운 분자 표적도 도출 할 수 있으며 해당 질환의 작용 기전 연구 및 조기 진단용으로 확장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early diagnosis platform for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can be utilized for early diagnosi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non-invasive dementia diagnosis platform through retina imaging, ophthalmic disease and eye-tracking, etc., and real-time diagnosis without time and space limitation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또한,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 광 치료·진단 통합 맞춤형 의료기기로 활용 가능한데, 퇴행성 뇌질환용 치료 플랫폼 상용화를 위한 시제품 구현이 가능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업체와 협업하여 의료기기 제품 상용화가 가능하며, ‘치매국가 책임제’의 지역 치매센터와의 연계를 통해 치료 의료기기의 활용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integrated customized medical device for phototherapy and diagnosis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prototype for commercialization of a treatment platform for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possible to commercialize medical device products by collaborating with compani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rapeutic medical devices by linking with local dementia centers under the 'National Dementia Responsibility System'.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분야 별 표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단계별 품질 검증을 통해 고품질의 AI 데이터 셋 확보가 가능하고, AI 기술개발에 필수적인 기반데이터를 제공하고 민간에서 AI 기술 발전에 따라 자생적으로 데이터를 확장, 개방하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pare standard guidelines for each field of data construction for AI learning, to secure high-quality AI data sets through step-by-step quality verification, to provide basic data essential for AI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follow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in the private sector. It is possible to create a virtuous cycle ecosystem that expands and opens data autonomous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퇴행성 뇌질환과 난청 치료의 관계를 규명함으로 뇌과학 분야를 선도할 수 있고, 뇌영상 데이터 분석 딥러닝 기법 연구 통한, 첨단 의료 영상 분석 분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ead the field of brain scienc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treatment for hearing loss, and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advanced medical image analysis through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analyzing brain image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침습 형태 효과적인 퇴행성 뇌질환 조기 진단 방법의 새롭고 독창적인 기술 확보가 가능하고, 뇌영상 및 인지능력 실험을 기반으로 한, 비침습 뇌질환 진단 및 치료 경과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new and original technology for an effective non-invasive method for early diagnosis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development of a non-invasive brain disease diagnosis and treatment progress monitoring system based on brain imaging and cognitive ability experiments is possible.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매 질병 관련 사망률 감소, 치료율 증가, 치료비용 감소 효과를 통해 관련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노인들의 사회참여 활동 증가로 인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solving related social problems through the effects of reducing dementia disease-related mortality, increasing the treatment rate, and reducing treatment costs, and contributing to productivity improvement due to the increase in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출산 시대에 영유아 및 아동의 뇌전증, 뇌졸중, 뇌종양, 발달장애 등의 뇌질환 증가로 뇌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뇌질환 증상이 의심될 경우 예방 및 진단을 통해 뇌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ge of low fertility, if you have a brain disease or a brain disease symptom is suspected due to an increase in brain diseases such as epilepsy, stroke,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orders in infants and children, brain health status through prevention and diagnosis can be veri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뇌 신호 정로를 측정함에 있어, 웨어러블의 형태 및 아동친화적 디자인 제품이 적용됨으로써, 사용대상의 경험가치가 상승하고, 수면 및 마취제를 사용하지 않아 건강한 뇌발달을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easuring the brain signal path, the wearable type and child-friendly design product are applied, so that the experience value of the user is increased, sleep and anesthetics are not used, which can help healthy brain development.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대면 학습 및 감정 노동 분야 지원을 위해 멀티모달 감성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과 N차원의 감성 매핑 공간을 활용한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 서비스인 감성교감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motional sympathy AI service, which is a human-centere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using a multi-modal emotional data network construction and N-dimensional emotional mapping space to support non-face-to-face learning and emotional labor fields.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회적 감성을 인식하고, 감성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및 개인 감성 AI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비대면 학습 및 산업현장 지원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social emotions are recognized, the emotional data network is built and the personal emotional AI service is provided, and this can be used for non-face-to-face learning and industrial field support.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요소인 뇌 신호 측정부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의 측정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의 전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가 측정한 신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가 측정한 신호를 뇌 관련 정보로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가 측정한 신호, 시각화된 정보 및 처리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운영관리를 위한 저작도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요소인 뇌 신호 자극부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자극부의 뇌 활성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자극부를 공간으로 구축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자극부의 뇌 활성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 및 영상 획득부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난청 및 치매의 연관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진전된 알츠하이머병의 뇌 용적 손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청각 장애로 인한 인지기능 손상과 치매 간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청력손실(이명)과 알츠하이머병(치매)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청각과 인지장애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순음청력 검사에 따른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순음청력 검사에 활성화된 뇌 신호 구조를 적용한 일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액티브 브레인 의료 생체 AI 데이터 모델/알고리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Inceptions V3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및 검증 방안의 SW 개념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및 검증 방안의 전처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및 검증 방안의 진단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및 검증 방안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생체데이터 수집을 위한 요인 탐색 및 구조화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1a 및 도 31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집된 데이터의 연계방안 예시와 감성 매핑을 위한 design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아동의 뇌 발달 측정 결과에 따른 6단계로 구분된 훈련 프로그램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훈련 전(before) 프로그램 결과 예시와 훈련 후(after) 프로그램 결과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활동하는 상태에서 뇌와 관련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여 피드백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복수의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의 뇌 활성화 변화를 시간에 따라 표시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수집하는 걸음걸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보를 수집하는 스트레스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수집하는 심전도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수집하는 수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집중 정보를 수집하는 집중 정보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한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성 변화를 기초로 한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추가적으로 수집 및 활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뇌를 자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show an example of the form of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asurement operation of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n example of the entire system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xample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ample of visualizing and displaying the signal measured by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as brain-related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show examples of signals measured by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visualized information, and processed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C show an example of an authoring tool for data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of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rain activation device of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is constructed in spa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an example of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rain activation method of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6A and 16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 user data collection unit and an image acquisition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7A to 17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loss and dementia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brain volume loss in advanced Alzheimer's diseas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due to hearing impairment and dementia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hearing loss (tinnitus) and Alzheimer's disease (dementia)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hearing and cognitive impairmen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according to a pure tone hearing tes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n activated brain signal structure is applied to a pure tone hearing tes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4 shows an example of an active brain medical biometric AI data model/algorithm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5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Inceptions V3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6 shows an example of a SW conceptual diagram of a data quality management and verification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7 shows an example of pre-processing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verification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8 shows an example of diagnosis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verification method for AI lear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29 shows an example of a data quality management and verification method for AI lear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0 shows an example of factor search and structuring for collecting biometric data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1A and 31B show an example of a design example for an example of a connection method of collected data and emotion mapp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2 shows an example of a training program divided into 6 stage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hild's brain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3A and 33B show an example of a program result before training and an example of a program result after trai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ecting brain-related signal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active, and determining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i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change in brain activ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over time and determining a user's brain state through thi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imulating a user's brain for a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ecting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and additionally using it to determine a user's brain stat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hearing impairment degree and additionally using it to determine a user's brain stat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gai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s gait information, a stres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s stress information, an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s ECG information, and sleep of the user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brain state by additionally using a sleep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information and a focuse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user's focused information.
4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brain state by additionally using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based on eye track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brain state by additionally using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based on a voice chang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4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brain state by additionally collecting and utilizing medical images related to the user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a user's brain state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stat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4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imulating the brain to improve a user's brain stat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퇴행성 뇌 질환degenerative brain disease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율은 전체 인구의 13.2%이나,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2025년을 기점으로 그 비율이 20%에 달하는 초 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As of 2019,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65 years and older) in Korea is 13.2% of the total population, but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rtion will reach 20% by 2025.

향후 45년간 유소년 및 생산가능인구의 비중은 각각 3.7%p, 23.3%p씩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2060년에는 고령 인구의 비율이 40.1%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Over the next 45 years, the proportion of the youth and working age population is expected to decrease by 3.7%p and 23.3%p, respectively, and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ected to account for 40.1% in 2060.

향후 노인부양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050년에는 미국의 2배 수준에 달하며, 2060년에는 일본과 함께 세계에서 제일 높은 나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In the future, the dependency ratio for the elderly will continue to rise, reaching twice that of the United States by 2050, and is expected to become the world's highest country along with Japan in 2060.

초고령화 사회에서 예견되는 치매 인구의 급격한 증가세가 나타나는데, 치매의 유병율은 나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60세부터는 유병율이 4-5년마다 두 배씩 증가하여 80세 인구 1/3 이상이 치매 증상을 보이고 있다.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dementia predicted in an aging society.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creases with age, and from the age of 60, the prevalence doubles every 4-5 years, with more than one third of the population aged 80 years or older. showing symptoms of dementia.

따라서, 치매는 앞으로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 현 시대에서 극복해야 할 중요한 당면 과제 중 하나이고, 세계 치매 유병자의 수는 스페인 인구보다 많은 4천6백으로, 20년마다 두 배씩 증가하여 2050년에는 1억3천만 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Therefore, dementia is one of the important challenges to be overcome in the present age as we enter a super-aging society in the future, and the number of people with dementia in the world is 4,600, more than the population of Spain, doubling every 20 years, and by 2050 It is expected to surge to 130 million people.

동아시아권의 치매인구 수는 2050년까지 19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치매 환자 수는 2050년에 271만 명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된다.The number of people with dementia in East Asia is expected to increase by 193% by 2050, and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n Korea is expected to reach 2.71 million by 2050.

따라서 국가 치매 관리 비용의 상승 및 경제, 사회적 부담이 발생되고 있는데, 치매 환자수의 급증은 국가 치매 관리 비용의 상승을 야기하고, 2019년 기준 연간 약 1조원 (GDP의 약 0.7%)의 국가치매관리비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향후 10년마다 2배씩 증가하여 2050년에는 130조원 (GDP의 약 2.0%)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Therefore, the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cost is rising and the economic and social burden is occurring.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causes an increase in the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cost. Management costs are occurring, and are expected to double every 10 years and exceed 130 trillion won (about 2.0% of GDP) by 2050.

이러한 치매 유발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심장병이나 암보다 각각 2배, 3배 이상으로 치매로 인한 전 세계적 사회·경제적 비용은 2015년 기준 818억 달러가 소요되었고, 2030년 2조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The economic cost of inducing dementia is two and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heart disease and cancer, respectively. do.

치매로 인한 국내의 사회·경제적 손실이 연간 2조원에 육박하고 있으며, 최근 4년간 2배 이상 급증하고 있다(출처: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조사 보고서).The social and economic loss in Korea due to dementia is approaching 2 trillion won a year, and it has more than doubled in the past four years (Source: Research Report of Health Insurance Policy Institute).

세계적 인구 고령화에 따른 퇴행성 뇌 질환의 발병률 증가와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로 증대되고 있는데, 치매 등 퇴행성 뇌 질환 치료제 및 예방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지만, 여전히 답보 상태이고, 현재의 치매 진단 기술은 대학병원 및 전문병원 급에서 고가의 정밀검사를 통해 진행되어 낮은 심리적, 지리적, 경제적 접근성을 보이는 문제가 있다.The incidence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is increasing due to the aging of the global population and the resulting social problems. Research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such as dementia is active, but it is still at a standstill, and the current dementia diagnosis technology is There is a problem with low psychological, geographical, and economic accessibility as it is conducted through expensive detailed examinations at the specialized hospital level.

현재 치매환자의 검진률 45%에 불과하고(4대암 유병자 90% 이상), 치매 환자의 비침습 치매 진단법은 다양한 분야에서 제안이 되었으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정보를 종합하여 진단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Currently, the screening rate of dementia patients is only 45% (more than 90% of the four major cancers), and non-invasive dementia diagnosis methods for dementia patients have been proposed in various fields. does not exist,

또한, 치매 치료제 개발 실패율은 약 9.6%이며, 많은 기대를 모은 아밀로이드 베타표적 치료제인 솔라네주맙은 최근 임상 3상 시험에서 최종 실패를 발표하는 등 답보 상태이다.In addition, the failure rate of developing a treatment for dementia is about 9.6%, and solanezumab, an amyloid beta-targeting treatment that has gathered much expectation, is in a standing state, such as announcing a final failure in a recent phase 3 clinical trial.

치매 치료제 개발 성공률이 1%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치매의 발병 기전을 아직 명확히 밝혀내지 못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success rate of developing a treatment for dementia is less than 1% is that the pathogenesis of dementia has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종래 진단 기술의 문제점Problems of conventional diagnostic techniques

현재의 치매 진단은 뇌 이미징, 뇌파검사, 혈액검사, 뇌척수액 검사, 신경심리검사 등 여러 검사를 토대로 종합적인 판단에 의거하여 이루어진다.The current diagnosis of dementia is made based on a comprehensive judgment based on various tests such as brain imaging, electroencephalography, blood tests, cerebrospinal fluid tests,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비용과 관련하여, 뇌 이미징은 뇌 위축 등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볼 수 있어 널리 이용되며, 자기공명촬영 (MRI), 단일광자방출촬영 (SPECT), 양자방출단층촬영(PET) 등 여러 가지 이미징기술을 이용하며, 이중 PET 이미징은 조기 진단에 도 도움이 되고 있다.Regarding cost, brain imaging is widely used because it can directly see the form of brain atrophy, and there are several imaging techniques such a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ingle photon emission imaging (SPECT), and quantum emission tomography (PET). , and dual PET imaging is also helpful in early diagnosis.

신경심리검사는 기억력, 주의집중력, 언어능력, 시공간감각, 계산능력 등을 검사하여 전반적인 인지기능 저하를 살펴보는 검사로 조기진단뿐만 아니라 병의 진행과정 모니터링 또는 치료약물의 효과를 판단하는 용도로 사용된다.Neuropsychological test is a test to examine overall cognitive decline by examining memory, attention, language ability, spatial and spatial sense, and computational ability. do.

하지만, 이 검사의 가장 큰 문제는 검사의 정확도가 치매진행률과 비례하다는 점으로, 뚜렷한 증상이 없는 매우 초기단계에서는 오진률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iggest problem with this test is that the accuracy of the test is proportional to the dementia progression rat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isdiagnosis rate is high in the very early stage when there are no obvious symptoms.

또한, 뇌 척수액 검사의 경우 직접적으로 뇌의 축척된 바이오마커들을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뇌 척수액 채집과정이 고통스럽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erebrospinal fluid tes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rectly detect the accumulated biomarkers in the brain, bu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cerebrospinal fluid collection process is painful and inconvenient.

아동의 뇌 발달과 관련된 종래기술의 문제점Problems of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brain development of children

2019년 현재 지적장애 인구는 21.3만명, 자폐성 장애는 2.9만명, ADHD 인구는 206만명으로 나타나고 있다.As of 2019, the number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213,000, autistic disorder is 29,000, and the population of ADHD is 2.06 million.

지적 장애와 자폐성장애의 경우 치료를 통한 효과가 더딘 반면 ADHD 인구는 소아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게 되면 성인기로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초기에 진단과 치료를 필요로 한다.In the case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tic disorder, the effect through treatment is slow, whereas the ADHD population requires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because it does not persist into adulthood if appropriate treatment is received during childhood.

기존의 MRI, fMRI, CT 등으로 아동의 뇌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발달적 특성과 달리 움직임이 적어야 하며, 영유아의 경우에는 수면제 및 마취제 투여가 필수이다.In order to measure a child's brain condition with conventional MRI, fMRI, CT, etc., unlike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movement must be small, and in the case of infants, the administration of sleeping pills and anesthetics is essential.

이때, 2살 미만 영유아가 여러 번 마취제에 노출되었을 때 영구적 학습장애 발생 위험성이 2배 이상 증가한다.At this time, the risk of developing permanent learning disability increases more than twice when infants under 2 years of age are exposed to anesthetics several times.

또한, 뇌발달 등 각종 신약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투자를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일정 기간의 바이오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make various new drugs such as brain developmen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invest a lot of time, but also to collect bio data in real ti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뇌 발달의 경우 다자간 상호작용을 통해 뇌의 발달을 확인하는 방법도 있으나 기존 제품은 다자간 뇌상태 측정을 위한 하이퍼스캐닝이 어려워 뇌발달 측정 방법의 다양성이 요구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품 개발 및 이동형 뇌상태 측정기기 개발 요구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brain development, there is a method to check brain development through multilateral interaction, but the existing product requires a variety of methods for measuring brain development because hyper-scanning for multilateral brain state measurement is difficult.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condition measuring devices is expanding.

본 발명의 목적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인구고령화에 따라 급증하는 퇴행성 뇌질환 질병 및 귀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유 기능의 기술 개발을 위한 딥러닝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을 통해 뇌신경 질환의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solving social problems of cranial nerve diseases by constructing a dataset for deep learning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early diagnosis and healing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s and ear diseases,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with aging of the population.

즉,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Active MRI 치매 뇌활동 평가 및 조기 진단 딥러닝 기술의 필요하다.That i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active MRI dementia brain activity evaluation and early diagnosis deep learning technology.

임상적인 증상이 관찰되기 훨씬 전부터 뇌의 구조 및 기능의 감퇴가 발생하므로 뇌 기능 측정을 통한 예측이나 조기 진단이 치매 발병이나 예후에 중요하다.Since the decline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rain occurs long before clinical symptoms are observed, prediction or early diagnosis through brain function measurement is important for the onset or prognosis of dementia.

AI가 스스로 인식, 이해할 수 있으려면 AI SW가 사물간 연관성을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된 대규모 AI 학습용 데이터 확보가 중요하고, 기계학습 기반의 AI 성능은 다양한 환경에서 수집된 방대한 데이터의 활용에 좌우되며 앞으로는 데이터와 AI간 시너지가 중요하다.In order for AI to recognize and understand itself, it is important to secure large-scale AI learning data processed in a form that AI SW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machine learning-based AI performance depends on the utilization of massive data collected in various environments. In the future, synergy between data and AI will be important.

다른 본 발명의 목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아동의 “실시간 뇌 측정을 위한 다자간 무선 뇌신호 측정기기” 및 “뇌발달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A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ulti-party wireless brain signal measuring device for real-time brain measurement" and "brain development test service" of children.

본 발명의 기술을 통해, 아동의 뇌발달 상태를 확인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1) ADHD 등의 뇌질환을 예방 및 진단하며 2) 일상생활 및 학습에서의 집중력을 기르는 데 있어 경험 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heck the brain development status of children and to grow healthy, 1) preventing and diagnosing brain diseases such as ADHD, and 2) providing experience value in nurturing concentration in daily life and learning do.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뇌 상태 측정 결과를 일정기간 동안 수집 가능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안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뇌질환 등 질병의 위험도를 예측하고 일상생활 및 학습에서 적용가능한 집중력 등의 뇌발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brain state measurement results for a certain period is proposed, predicting the risk of diseases such as brain diseas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brain development such as concentration applicable in daily life and learning We want to provide solutions that provide programs.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비대면 학습 및 감정 노동 분야 지원을 위해 멀티모달 감성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과 N차원의 감성 매핑 공간을 활용한 감성 인지/교감용 인공지능(Human-centered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a multi-modal emotional data network construction and N-dimensional emotional mapping space are used to support non-face-to-face learning and emotional labor fields. ) service can be provided.

감성인식기술로는, ICT를 활용한 이벤트 스트림(사용자 행동) 및 비접촉 생체 반응*을 통한 사회감성 인지와 감성교감의 지능 수준을 정의하고, N차원의 감성 매핑 공간에서 기본감성과 사회감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다.As emotional recognition technology, we define the intelligence level of social emotional recognition and emotional sympathy through event stream (user behavior) and non-contact bioreaction* using ICT, and recognize basic emotions and social emotions in the N-dimensional emotional mapping space.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또한, 비접촉 생체 반응으로는, 일상생활에서 가용한 센서 카메라, AI스피커 등을 활용하여 오감 기반의 생체신호 측정하여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a non-contact bioreaction, it can be utilized by measuring a biosignal based on the five senses by using a sensor camera, an AI speaker, etc. available in daily life.

또한, 사용자의 행동 이벤트와 비접촉 생체 반응을 유니모달 형태의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사회감성과 매핑이 가능한 멀티모달 데이터 네트워크로 단계적으로 확장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성장과 진화가 가능한 데이터 네트워크를 제안 및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radually expand the user's behavioral events and non-contact bioreactions from a unimodal data network to a multimodal data network that can map social sensibility and propose and build a data network that can grow and evolv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is.

또한, 감성 AI 서비스로서, 멀티모달 감성 데이터 네트워크를 활용해서 학습자와 감정 노동자의 예측 불가능한 행위나 감성을 인지적 수준에서 직관적 수준으로 극복하는 새로운 차원의 인간 중심적인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s an emotional AI service, we intend to provide a new level of human-centered AI service that overcomes the unpredictable behaviors and emotions of learners and emotional workers from a cognitive level to an intuitive level by using a multi-modal emotional data network.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활동하는 상태에서 뇌와 관련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여 피드백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brain-related signal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active, and judging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is and providing feedback. want to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뇌의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는 뇌 신호 획득부,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하는 뇌 신호 처리부 및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뇌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뇌 신호 측정부와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rradiates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brain, a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that detects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oxygenation of hemoglobin in the user's cerebral bloodstream based on the detected light Continuously with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cluding a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brain signal analyzing unit for extracting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activatio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an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ystem including a diagnosis unit that determines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또한, 본 발명은,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뇌 신호 자극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including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fo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for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각 정보를 수집하는 청각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수집하는 걸음걸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보를 수집하는 스트레스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수집하는 심전도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수집하는 수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집중 정보를 수집하는 집중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사용자의 얼굴 랜드마크 마스킹 데이터 수집하여 비 접촉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 사용자의 음성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a gai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gait information, a stres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stress information, and the user's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llection unit, slee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 sleep information, intensiv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s intensive information, and user's face landmark masking data are collected based on user's eye tracking The user's brain state is further utilized by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in a contact manner, and a non-contact emotional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voice change We want to provide a system that makes precise judgment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뇌 활성화 영역,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 및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uses an image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related medical images, and uses an artificial brain activation region,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and user-related medical images together to more precisel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하는 뇌 질환을 판단할 수 있는 진단부와 진단부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sponds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and the diagnosis unit that can determine the user's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diseases including brain tumors and developmental disorders, brain condition improvement We would like to propose a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f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이내 상기 사용자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뇌 신호 자극부를 더 활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preset criterion, based on the user's brain state,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will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order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case,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stat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ystem that further utilizes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fo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cannot be said that the entir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essential as a solu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AI-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1)는, 뇌 신호 측정부(10), 뇌 신호 자극부(20),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 영상 획득부(40), 진단부(50) 및 관리부(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pparatus 1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10 ,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 a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 and an image acquisition unit ( 40), a diagnosis unit 50 and a management unit 60 may be included.

먼저, 뇌 신호 측정부(10)는, 사용자의 뇌와 관련된 신호를 수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First,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provides a function of collecting a signal related to the user's brai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뇌 신호 측정부(10)는, 사용자의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뇌의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며,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rradiates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brain, detects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and based on the detected light, the user's brain blood flow It provide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oxygenation of hemoglobin in the brain and extracting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본 발명의 큰 특징으로서, 뇌 신호 측정부(10)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As a grea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may be performed while the user is moving.

다음으로, 뇌 신호 자극부(20)는, 뇌 신호 측정부(10)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는 기능을 제공한다.Next,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provides a function of stimulating the user's brain for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10 .

나아가 뇌 신호 자극부(20)는, 관리부(6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may provide a function of stimulating the user's brain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cond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unit 60 .

또한,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는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provides a function of collecting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청각 정보, 걸음걸이 정보, 스트레스 정보, 심전도 정보, 수면 정보, 집중 정보, 감정 변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gait information, stress information,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sleep information, concentration information, emotion change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영상 획득부(40)는,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수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Also, the image acquisition unit 40 provides a function of collecting medical images related to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부(40)는, 사용자와 관련된 MRI 영상을 수집하는 MRI 영상 획득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CT 영상을 수집하는 CT 영상 획득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fMRI 영상을 수집하는 fMRI 영상 획득부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MRI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ollects an MRI image related to a user, a CT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ollects a CT image related to the user, and an fMRI image that collects an fMRI image related to the user. An acquisition unit and the like may be used.

또한, 진단부(50)는 뇌 신호 측정부(10)가 수집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iagnosis unit 50 provide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e signal collected by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

진단부(50)는, 사용자의 뇌 질환을 판단할 수 있고, 대상이 되는 뇌 질환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disease, and the target brain disease may include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order.

마지막으로, 관리부(60)는 진단부(50)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Finally, the management unit 60 provides a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user's brain condi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50 .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이내 상기 사용자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관리부(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뇌 신호 자극부(20)의 동작이 트리거 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will fall under at least one of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within a certain period based on the user's brain state by applying a preset criterion , a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fo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may be triggered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cond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r 6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구체적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structure and func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뇌 신호 측정부brain signal measuring unit

도 2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요소인 뇌 신호 측정부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뇌 신호 측정부(10)는, 뇌 신호 획득부(11), 뇌 신호 처리부(12), 뇌 신호 분석부(13), 통신부(14) 및 디스플레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10 includes a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11 , a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12 , a brain signal analysis unit 13 , a communication unit 14 , and a display unit 15 . can do.

먼저, 뇌 신호 획득부(11)는, 사용자의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뇌의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First, the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11 provides a function of irradiating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brain and detecting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여기서 뇌 신호 측정부(11)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수행되는 특징을 갖는다.Here,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1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performed while the user is moving.

다음으로, 뇌 신호 처리부(12)는, 상기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Next, the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12 provide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oxygenation of hemoglobin in the user's cerebral blood flow based on the detected light.

뇌 신호 처리부(12)는,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와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한다.The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12 determines the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by extracting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and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in the user's cerebral blood flow based on the detected light.

또한, 뇌 신호 분석부(13)는,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Also, the brain signal analyzer 13 provides a function of extracting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activatio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에서는, 뇌 혈류 내의 산화 헤모글로빈에 의해 수송된 산소가 소비됨으로써,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가 감소하고, 상기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가 증가되는 특성을 갖는다.Here, in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oxygen transported by oxidized hemoglobin in the cerebral bloodstream is consumed, so that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decreases, and the reduction corresponds to the decrease in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is increased.

상기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와 상기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는, 가시광 영역과 근적외광 영역에서 변화되는 광 특성을 가지고,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뇌 신호 측정부(10)는, 상기 근적외선 조사에 의한 근적외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집하게 된다.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and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have optical properties that change in a visible light region and a near infrared light region. The signal is collected through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by irradiation.

한편, 뇌 신호 분석부(13)는, 사용자의 뇌 영역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로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이,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뇌 활성화 영역으로 변화되었는지 또는 상기 뇌 활성화 영역에서 비 활성화 영역으로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ain signal analyzer 13 divides the user's brain region into a plurality, and whether each of the divided brain regions is changed to the brain activation region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or is inactive in the brain activation region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area has changed.

이를 기초로, 진단부(50)는, 일정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복수의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의 뇌 활성화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Based on this,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using changes in brain activ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unit.

또한, 통신부(14)는, 뇌 신호 측정부(10)와 다른 구성요소(뇌 신호 자극부(20),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 영상 획득부(40), 진단부(50), 관리부(60) 등)들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 includes components other than the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10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image acquisition unit 40, diagnosis unit 50, and management unit). (60), etc.) to establish a network between them to support data communication.

여기서 이용될 수 있는 상기 무선 통신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can be used here,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etc. may be used. there is.

또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Wide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또한, 디스플레이부(15)는, 상기 복수의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의 뇌 활성화 변화를 시간에 따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 provides a function of displaying changes in brain activ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over time.

디스플레이부(15)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다자간 뇌 상태 및 발달상황을 측정하게 된다. 즉, 특별한 제한 없이 실시간 및 무선으로 뇌 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다중 사용자의 뇌 신호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뇌 신호 측정기기가 제안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multilateral brain state and development status are measured in real time while the user is moving. That is, a brain signal measur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brain signals of multiple users is proposed so that the brain signals can be measured and analyzed in real time and wirelessly without any special limitations.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의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4a and 4b shows an example of the form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뇌 신호 측정부(10)는, 도 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헤드를 모두 덮는 풀 커버(full cover) 형태 또는 도 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헤드의 전면부에 밀착되는 전면부 형태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as shown in (a) of Figure 4a, a full cover (full cover) form covering all of the user's head or as shown in (b) of Figure 4a Likewise, it may be in the form of a front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rt of the user's head.

또한, 아동용으로 활용될 서을 고려하여 도 4b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뇌 신호 측정부(10)는, 아동 맞춤형 디자인을 적용하고 사용자 친화적 환경을 구성하여 경험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UI/UX 맞춤형 디자인이 고려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a) and (b) of Figure 4b in consideration of the book to be used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10 applies a child-specific design and configures a user-friendly environment Therefore, UI/UX customized design can be considered to provide experience value.

본 발명에서는, 저전력 블루투스 프로토콜(BLE)을 이용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웨어러블 뇌신호 측정 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하여 유아의 머리 모양에 맞도록 설계된 뇌신호 측정 기기의 초경량화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earable brain signal measurement technology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using Bluetooth Low Energy Protocol (BLE) can be applied, and it is possible to make ultra-lightweight brain signal measurement devices designed to fit the shape of a child's head using a flexible substrate.

또한, 뇌활성화 분석을 통한 집중력, 뇌발달을 생리학적 측면에서 측정할 수 있는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concentration and brain development in physiological aspects through brain activation analysis.

뇌신호 분석 알고리즘, 채널 상태가 변하여도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알고리즘 및 뇌 활성화 영역 상태 인지 알고리즘 등이 활용될 수 있다.A brain signal analysis algorithm, a data transmission algorithm that can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data even if the channel state changes, and an algorithm for recognizing the state of the brain activation region can be utilized.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Meanwhile, FIGS.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분석법(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기술에서, fNIRS란 약 650~1000nm의 파장을 가지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뇌에 조사하여 뇌조직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여 비침습적으로 뇌의 혈류 변화에 따른 헤모글로빈의 농도의 변화를 수술 등의 위험 없이 계측할 수 있는 영상 기술이다.Referring to FIG. 5A , in the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techniqu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NIRS is a near-infrared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650 to 1000 nm to the brain to irradiate the brain tissue. It is an imaging technology that can detect the transmitted light and non-invasively measure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hemoglobin according to the change of blood flow in the brain without risk of surgery.

본 발명에 적용되는 fNIRS 기술은 환자가 고정된 상황이 아닌 움직일 수 있는 Live 상황에서 실시간 뇌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사용한다.The fNIRS technolog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to perform real-time brain measurements in a live situation in which the patient can move rather than in a stationary situation.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은 약 650~1000nm의 파장을 가지는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뇌에 조사하여 뇌조직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여 비침습적으로 뇌의 혈류 변화에 따른 헤모글로빈의 농도의 변화를 수술 등의 위험 없이 계측할 수 있는 영상 기술이다.The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method irradiates the brain with light in the near-infrared region with a wavelength of about 650 to 1000 nm to detect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rain tissue, and non-invasively detects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hemoglobin according to the change in blood flow in the brain. It is an imaging technology that can be measured without it.

이러한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은, 기존 평가방식보다 실시간으로 결과를 보여주고, 기기구입 및 관리비용이 낮고, 측정된 결과가 사회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Thi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method can show results in real time than existing evaluation methods, have lower equipment purchase and management costs, and increase reliability by directly showing sociality of the measured results.

도 5b는 현재의 뇌 측정 기술과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분석법 비교하여 정리한 것이다.5B is a comparison of the current brain measurement technology and the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의 측정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로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을 위한 데이터 수집 절차를 함께 설명한 것이다.Meanwhile, FIGS. 6A and 6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asurement operation of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ta collection procedure for constructing data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is also described.

도 6a를 참조하면, 비식별화된 MRI 뇌 이미지를 수집하고(S1), 활성화된 MRI 뇌 촬영술 영상 자료와 판독 임상 자료를 수집하며(S2), 뇌 영상 판독 전문의의 피드백을 받아(S4), 이를 종합하고(S3), 영상 전처리(S5)를 통해, 레이블된 뇌 촬영영상과 엑셀 파일 등으로 임상 정보를 구조화 시킬 수 있다(S6).Referring to FIG. 6A , unidentified MRI brain images are collected (S1), activated MRI brain imaging data and read clinical data are collected (S2), and feedback from a brain image reader is received (S4), By synthesizing these (S3) and pre-processing the image (S5), the clinical information can be structured into a labeled brain imaging image and an Excel file (S6).

즉, 병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의료데이터베이스에서 MRI 진단을 위해 촬영한 비활성화된 MRI 뇌를 촬영한 촬영 영상 및 임상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영상판독문 및 병리판독문을 활용하여 정확한 난청, 이명 및 더 나아가 치매의 기준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it collects images and clinical information of inactivated MRI brains taken for MRI diagnosis from the medical database operated by the hospital, and uses the image readings and pathological readings to provide accurate hearing loss, tinnitus, and further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criteria for dementia.

또한, MRI 촬영영상의 진단 결과는 난청, 이명, 정상의 PSAP 결과 데이터와 MRI 뇌 이미지 영상으로 구분하고, 난청, 이명, 정상의 경우 판독 당시 오진이 있을 수 있으므로 특수한 환경에서 데이터 구축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gnostic results of MRI images are divided into PSAP result data for hearing loss, tinnitus, and normal PSAP image and MRI brain image images. there is.

후술하는 난청 세부 기준으로서, PSAP 검사 결과 난청으로 확진된 환자 뇌 촬영 영상 이미지가 이용될 수 있고, 이명 세부 기준으로서, PSAP 검사 결과 이명으로 확진된 환자 뇌 촬영 영상 이미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정상 세부 기준으로서, PSAP 검사 결과 정상으로 확진 된 환자 뇌 촬영 영상 이미지가 이용될 수 있다.As a detailed criterion for hearing loss to be described later, a brain imaging image of a patient confirmed with tinnitus as a result of the PSAP test may be used, and as a detailed criterion for tinnitus, a brain imaging image of a patient confirmed with tinnitus as a result of the PSAP test may be used, and normal details As a reference, a brain imaging image of a patient confirmed to be normal as a result of the PSAP test may be used.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자료수집, 측정을 포함한 protocol 과정의 일례가 도시된다.Also, referring to FIG. 6B , an example of a protocol process including data collection and measurement is shown.

도 6b를 참조하면, 백그라운드 서비스를 등록하고(S7), 기관방문 전 설문지 작성을 수행하며(S8), 뇌 측정 당일 기관을 방문하고(S9), 뇌 측정 전 기분, 활력 등 인터뷰를 실시하며(S10), 뇌 측정을 위한 태스크를 선택하고(S11), 태스크를 수행하며(S12), 충분한 자료가 수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3)에 측정을 종료(S14)하거나 S11 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B, the background service is registered (S7), questionnaires are filled out before visiting the institution (S8), the institution is visited on the day of the brain measurement (S9), and an interview such as mood and vitality is conducted before the brain measurement (S9). S10), selecting a task for brain measurement (S11), performing the task (S12), and determining whether sufficient data has been collected (S13) ends the measurement (S14) or performs step S11 again.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 데이터는 활성화 뇌MRI 영상 촬영 영상이미지 데이터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dat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as active brain MRI imaging image image data.

또한, 영상 데이터 비식별화는, 비식별화 방법 및 비식별화 tag 구조(RAW data 양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In addition, image data de-identification may be processed using a de-identification method and a de-identification tag structure (RAW data format).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메타데이터는, 영상정보에 대한 환자의 메타정보를 수집하여, 난청, 이명 환자에 한해서는 추가적인 정보를 통해 품질검수에 활용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metadat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as securing reliability by collecting patient's meta information for image information and utilizing it for quality inspection through additional information only for patients with hearing loss or tinnitus.

한편,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의 전체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shows an example of the entire system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a)는 데이터 수집 장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b)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분석 장비를 사용자가 착용한 보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c)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기 신호의 시계열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7 (a) shows an example of data collection equipment, (b) shows an example of moisturizing wearing a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equipment by a user, (c) is a time series of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equipment signals An example of data is shown.

도 7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면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여 처리하면 산화헤모글로빈과 환원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하여 뇌의 활성화 영역을 수술 없이 안전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a) to (c) of Figure 7, when near-infrared rays are irradiated to the brain, when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is detected and processed, the concentration of oxidized hemoglobin and reduced hemoglobin is measured so that the activated region of the brain is safe without surgery. can be checked with

또한, 사용상 위험성이 거의 없으며, 주변의 잡음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little risk in us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hardly affected by surrounding noise.

또한, 편의성과 휴대성이 매우 높으며 다른 뇌 측정 영상 장비에 비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ience and portability are very high,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inexpensive compared to other brain measurement imaging equipment.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가 측정한 신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an example of the signal measured by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는, 채널 위치 별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기 신호의 시계열 블록 평균이 도시된다.In FIG. 8, the time series block average of the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meter signal for each channel position is shown.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가 측정한 신호를 뇌 관련 정보로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an example of visualizing and displaying the signal measured by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as brain-related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는, 채널 위치 별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기 신호의 시계열 블록 평균을 머리에 매핑한 일례가 도시된다.In FIG. 9 , an example in which the time series block average of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meter signals for each channel position is mapped to the head is shown.

본 발명에서는, 기계 학습 적용을 위해, 알고리즘 편향 방지위한 데이터 구성 및 수집방법이 다음과 같이 이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a data configuration and collection method for preventing algorithm bias can be used as follows.

샘플편향과 관련하여, 수집된 데이터가 AI 시스템이 실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환경을 대표하거나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을 때 발생될 수 있다.Regarding sample bias, it can occur when the data collected is not representative or accurately representativ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AI system is expected to run.

어떤 알고리즘도 전체 데이터세트에 대해 학습할 수는 없으며 전체 데이터세트에서 대체로 신중하게 선택한 부분집합의 데이터세트를 학습한다. 따라서 샘플 편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분집합의 데이터세트를 선택할 때, 충분히 큰 데이터세트뿐 아니라 전체 데이터세트를 대표할 수 있는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No algorithm can train on the entire dataset, it usually learns on a dataset from a carefully selected subset of the entire dataset. Therefore, to reduce sample bias, when selecting a subset of datasets, it is important to select a subset that is representative of the entire dataset, not just a sufficiently large dataset.

또한, 측정 편향과 관련하여, 어떤 것을 관찰 또는 측정하는데 사용된 장치에 의해 시스템적으로 값이 왜곡되는 문제가 있는 경우 발생하며 이러한 종류의 편향은 데이터를 특정 방향으로 왜곡하는 경향이 있다.Also, with respect to measurement bias, there is a problem in that values are systematically distorted by the device used to observe or measure something, and this kind of bias tends to skew the data in a specific direction.

측정 편향이 있는 도구는 모델이 작동할 환경을 그대로 복제하지 못하며 학습 데이터가 실제데이터를 왜곡되어 편향된 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측정 편향은 단순히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A tool with measurement bias does not replicate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model will operate, and the training data distorts the actual data, resulting in biased results. Measurement bias cannot be avoided simply by collecting more data.

따라서 이를 해결 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시 편향된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는 환경구성을 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collect data by configuring an environment that does not bring biased results when collecting data.

한편,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가 측정한 신호, 시각화된 정보 및 처리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S. 10A to 10C show examples of signals measured by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visualized information, and processed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는 비활성화 MRI 뇌이미지 촬영 영상을 나타낸 것으로, 사람의 조직(뼈, 근육, 내장 등)에 따라서 물과 지방의 분포비율이 다름을 MRI를 통해 수소원자의 분포 측정하여 물과 지방의 분포비율이 다른 생체조직의 영상 생성 가능하다.10A is an image of an inactivated MRI brain image, and the distribution ratio of water and fat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distribution of hydrogen atoms through MRI. It is possible to create an image of this other living tissue.

그러나 도 10a와 같은 정보는, 실제 사람이 행동하거나 활동상태일 때의 현상 파악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information shown in FIG. 10A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grasp a phenomenon when an actual person is acting or in an active state.

이에 반해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MRI 뇌이미지 촬영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In contrast, FIG. 10b shows an example of an activated MRI brain imaging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에서는, 채널 위치 별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기 신호의 시계열 블록 평균을 머리에 매핑하게 된다.In FIG. 10B, the time series block average of the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meter signal for each channel position is mapped to the head.

비침습적인 뇌기능 계측방법으로 근적외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은 근적외광을 이용해서 뇌의 혈류변화를 비침습적으로 계측하는 방법이며, 계측원리는 근적외광을 이용한 뇌혈류의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의 측정에 바탕을 두고 있다.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is a non-invasive method for measuring brain function that non-invasively measures changes in brain blood flow using near-infrared light. It is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degree of oxygenation.

생체에 근적외광을 조사하여 조직을 투과한 fNIRS 신호를 검출하여 처리하면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와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를 측정할 수 있다.By irradiating a living body with near-infrared light to detect and process the fNIRS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issue,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and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can be measured.

뇌의 활성화 영역은 혈액 속의 Oxy Hb에 의해 수송된 산소를 소비하고, Oxy Hb는 Deoxy Hb로 변함. 이 두 가지 헤모글로빈은 가시광과 근적외광 영역에서 광 특성을 가지며, 기능적 근적외 분광법으로 측정한 이들의 농도는 뇌활동의 척도로서 사용 가능하다.Active regions of the brain consume oxygen transported by Oxy Hb in the blood, and Oxy Hb turns into Deoxy Hb. These two hemoglobins have optical properties in the visible and near-infrared regions, and their concentrations measured by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can be used as a measure of brain activity.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식은, 평상시 뛰거나 움직이는 태에서 측정이 가능하고, 검사 후 AI를 통해 짧은 시간 내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while running or moving normally, and that results can be provided within a short time through AI after the examination.

또한, 약물사용 없이 측정이 가능하고, 주변소리 통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without the use of drugs and control of ambient sound.

도 10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기기 신호의 시계열 데이터 정제 결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10c shows an example of time-series data purification results of a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meter signal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c에서는, 적합한 모델을 만들기 위해 이상 탐지 대상 항목과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한 변수 중에서 설명력이 가장 높은 변수들을 선정한다.In FIG. 10C , variables having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are selected from among variables determine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an anomaly detection target item to create a suitable model.

또한, 각 부분 집합에 대해 adjust R^2를 측정하여 값이 가장 큰 부분 집합 중 가장 적은 개수의 변수로 구성된 항목을 선정하게 된다.Also, by measuring adjust R^2 for each subset, the item consisting of the smallest number of variables among the subsets with the largest value is selected.

한편,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운영관리를 위한 저작도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S. 11A to 11C show an example of an authoring tool for data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AI lear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저작도구가 필요하다.In order to efficiently build data for AI learning, an authoring tool is needed.

즉, 이미지 라벨링 앱 솔루션으로 서버에 저장된 라벨링 프로젝트의 정보와 라벨링 대상 이미지, 라벨 목록, 참조 이미지 등 자동으로 태깅, 라벨링 해주는 기능이 필요하다.In other words, as an image labeling app solution, it is necessary to automatically tag and label the information of the labeling project stored in the server, the labeling target image, the label list, and the reference image.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운영관리를 위한 저작도구 방안으로서, 이미지 추가, 저장 및 생성 기능이 이용될 수 있다.As an authoring tool method for data operation management for AI learning, image addition, storage, and generation functions may be used.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자동화툴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검사하고 싶은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고, 휴대용 MRI를 활용하여 뇌나 골절부위를 추가 한후 플러스 버튼을 눌러 추가 저장 및 생성 기능을 접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1A , an image to be examined can be added using the corresponding automated tool authoring tool, and after adding a brain or fracture site using a portable MRI, additional storage and generation functions can be combined by pressing the plus button. there is.

또한, 어노테이션 기능을 활용한 저작도구로서, 어노테이션 기능을 활용하여 추가 저장 및 생성한 이미지에 대해 tagging 작업과 특이점 및 메모기능을 통해 추가 정보 기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authoring tool utilizing the annotation function,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entered through tagging and singularity and memo functions for images that are additionally saved and created using the annotation function.

도 11b 및 도 11c는 어노테이션 활용의 일례들을 도시한 것이다.11B and 11C show examples of annotation utilization.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운영관리를 위한 활용 방안으로, 활성화된 MRI 뇌 이미지에 대하여 정상과 난청, 이명 판독 시범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cross validation을 수행할 수 있다.As a utilization method for data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cross validation can be performed to verify normal, deafness, and tinnitus reading demonstration models on activated MRI brain images.

또한, 다양한 판독 척도를 활용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평가 척도로서 민감도, 특이도, ROC curve의 AUC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github를 통해 의료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의 판독 시범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valuate performance using various reading scales, measur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UC of ROC curve as evaluation metrics, and build a reading demonstration model of medical AI learning data through github based on this.

전술한 것과 같이, 뇌 신호 측정부(10)는, 사용자의 뇌와 관련된 신호를 수집하고, 뇌 신호 측정부(10)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수행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collects a signal related to the user's brain, and the signal collecting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is performed while the user is moving.

한편, 진단부(50)는, 상기 수집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Meanwhile,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collected signal.

구체적으로, 진단부(50)는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detail,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continuously extra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여기서 진단부(50)는, 사용자의 뇌 질환을 판단할 수 있고, 뇌 질환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disease, and the brain disease may include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a brain tumor, and a developmental disorder.

나아가 진단부(50)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부(60)가 추가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Furthermore,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50, the management unit 60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user's brain condition may be additionally utilized.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이내 상기 사용자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관리부(60)는 후술하는 뇌 신호 자극부(2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신호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will fall under at least one of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within a certain period based on the user's brain state by applying a preset criterion , the management unit 60 may control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a signal fo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is provided to the user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condition.

뇌 신호 자극부brain signal stimulator

뇌 신호 자극부(20)는, 뇌 신호 측정부(10)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provides a function of stimulating the user's brain for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10 .

나아가 뇌 신호 자극부(20)는, 관리부(6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may provide a function of stimulating the user's brain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cond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unit 60 .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요소인 뇌 신호 자극부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자극부의 뇌 활성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12 is a block diagram of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that is a compon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block diagram of a brain activation device of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diagram is shown.

뇌 신호 자극부(20)는 뇌 세포들이 소통하기 위해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시냅스를 집중적으로 자극하며 시작된다. 장기 기억으로 뇌 영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장소(place), 감정(emotion), 스토리(story)를 통해 뇌 영역을 자극해야 한다.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starts by intensively stimulating a synapse, which means a part where brain cells are connected to communicate. In order to activate a brain region with long-term memory, it is necessary to stimulate the brain region through place, emotion, and story.

따라서 뇌 신호 자극부(20)는 전시, 음악, 움직임 등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배치된 자연물을 기반으로 하여 다차원적인 환경적 자극을 통해 집중적으로 타겟팅된 뇌 영역의 활동을 강화하고, 뇌 영역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미국 정신과 협회에서 정의한 DSM-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의 뇌 영역 분류 기준에 따르면 뇌 영역은 주로 주의집중력, 시공간능력, 기억력, 집행능력, 언어능력, 계산능력 및 소리 인지력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Therefore,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intensively strengthens the activity of the targeted brain region through multi-dimensional environmental stimulation based on natural objects arranged in a space where activities such as exhibition, music, and movement are performed, and Optionally activate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DSM-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brain region classification criteria defin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brain regions are mainly classified into attention, spatiotemporal ability, memory, executive ability, language ability, calculation ability, and sound perception. can do.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자연물, 특히 식물과 소리, 촉감, 향, 시각, 기억 등 다차원적인 환경적 자극을 통해 집중력, 공감력, 창의력, 기억력, 힐링 등 다양한 뇌 영역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강화하고, 기능을 활성화한다.Through multidimensional environmental stimuli such as natural objects, especially plants, sounds, touch, scent, sight, and memory, the activities of various brain areas such as concentration, empathy, creativity, memory, and healing are intensively strengthened and functions are activa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뇌 활성화 시스템(1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물이 설치된 공간 내에서 미리 타겟팅된 뇌 영역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강화하여 뇌 영역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시스템화된 다차원적인 환경적 자극을 가하는 뇌 활성화 장치(24) 및 상기 공간에서 타겟팅된 뇌 영역에 다차원적인 환경적 자극을 가하도록 뇌 활성화 장치(24)의 구동을 제어하는 관리 서버(2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brain activ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the function of a brain region by intensively enhancing the activity of a pre-targeted brain region in a space where natural objects are installed. A brain activation device 24 that applies a multi-dimensional environmental stimulus that is systemized to includes

뇌 활성화 장치(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타겟팅된 뇌 영역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강화하고 뇌 영역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공간에서 연출하고자 하는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를 구현하는 미디어부(30),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40), 빛을 조사하거나 조명하는 조명부(50) 및 자연물의 향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향기 전달부(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rain activation device 24 implements media art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to be produced in space in order to intensively enhance the activity of a pre-targeted brain region and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brain region. It may include a media unit 30, a sound unit 40 for outputting sound, a lighting unit 50 for irradiating or illuminating light and a fragrance transmitting unit 60 for delivering the fragrance of a natural object to the user.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자극부를 공간으로 구축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1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is constructed in spac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간, 예컨대 전시 공간(11)은 전시 공간(11)을 조명하는 빛을 따라 내면 세계인 본질적 자연에 귀 기울이고, 그 안에서 찾은 새로운 나의 내면 세계, 즉 자아에 집중하기 위한 상상 속 포레스트를 메인 테마로 하며, 서로 다른 컨셉을 갖는 복수의 공간을 통한 스토리와 감각을 자극하는 미디어 아트를 구현한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14 , the space, for example, the exhibition space 11, follows the light illuminating the exhibition space 11, listens to the inner world, essential nature, and finds a new inner world of mine, that is, an imagination to focus on the self. The forest is the main theme, and media art that stimulates the senses and stories through multiple spaces with different concepts is implemented.

이와 같은 전시 공간(11)은 조경 설치미술과 생화 배열, 프로젝션 매핑(projection mapping), 라이트 아트(light art), 인터랙티브 콘텐츠(interactive contents) 및 조각 오브제(objet)를 통해 연출될 수 있다.Such an exhibition space 11 can be produced through landscape installation art, arrangement of flowers, projection mapping, light art, interactive contents, and sculpture objects.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 공간(11)은 각각의 컨셉을 갖는 제1 내지 제4 공간(12 내지 15) 및 체험 공간과 포토 터널을 구현한 제5 공간(16)을 포함해서 총 5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 the exhibition space 11 includes first to fourth spaces 12 to 15 having respective concepts and a fifth space 16 implementing an experience space and a photo tunnel. It can be divided into a total of 5 spaces including

제1 공간 내지 제5 공간(12 내지 16)은 다양한 색을 연출할 수 있는 조명, 오브제, 미디어 아트를 통해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사용자 자신의 특별한 자아에 대해 탐색하고 싶은 사용자의 심리적 만족도를 향상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to fifth spaces 12 to 16 are designed to stimulate the sympathetic nerve through lighting, objects, and media art that can produce various colors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users who want to explore their own special self. can be implemented.

이를 위해, 뇌 활성화 장치(24)는 강렬한 컬러의 움직임으로 다채로운 조각작품과 미디어 오브제가 배치된 공간으로 몰입을 유도하고, 몽환적 미디어를 자연물 속에 녹여 사용자와 교감을 유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rain activation device 24 can induce immersion into a space where colorful sculptures and media objects are arranged with intense color movements, and can induce sympathy with the user by melting dreamy media into natural objects.

예를 들어, 제1 공간(12)의 컨셉은 'INTRO - Awaken Your Brain'이고, 제2 공간(13)의 컨셉은 'STATE - Turning Back Your Nature'이며, 제3 공간(14)의 컨셉은 'Creative - Feel Your Nature'이고, 제4 공간(15)의 컨셉은 'Healing - That's Me!'이며, 제5 공간(16)의 컨셉은 'Active - Vivid & Rejuvenation'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cept of the first space 12 is 'INTRO - Awaken Your Brain', the concept of the second space 13 is 'STATE - Turning Back Your Nature', and the concept of the third space 14 is 'Creative - Feel Your Nature', the concept of the fourth space 15 may be 'Healing - That's Me!', and the concept of the fifth space 16 may be 'Active - Vivid & Rejuvenation'.

즉, 제1 공간(12)은 해당 공간에 들어서면서 시냅스를 집중적으로 자극하여 뇌를 활성화시키는 공간이고, 제2 공간(13)은 현재 기점으로 unfamiliar한 자극을 제공하여 뇌의 상태(state of Brain)를 알아보는 공간이며, 제3 공간(14)은 scent를 통해 뇌를 자극하여 프루닝(pruning)시키는 공간이고, 제4 공간(15)은 제1 공간(12)부터 제3 공간(14)까지를 거치면서 제3자적 입장에서 자신과 마주하는 공간으로 뇌가 힐링되는 공간이며, 제5 공간(16)은 체험을 통해 뇌의 감각이 살아나는 공간이다.That is, the first space 12 is a space that activates the brain by intensively stimulating synapses while entering the space, and the second space 13 provides unfamiliar stimulation from the current starting point to the state of the brain. ), the third space 14 is a space for stimulating the brain through scent to prune, and the fourth space 15 is the first space 12 to the third space 14 . It is a space where the brain is healed as a space facing oneself from a third person's point of view while going through up to, and the fifth space 16 is a space where the brain's senses are revived through experience.

미디어부(30)는 제1 내지 제5 공간(12 내지 16)의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를 구현하는 제1 내지 제5 미디어 모듈(31 내지 35)을 포함하고, 음향부(40)는 제1 내지 제5 공간(12 내지 16)의 컨셉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제1 내지 제5 음향 모듈(41 내지 45)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dia unit 30 includes first to fifth media modules 31 to 35 implementing media art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the first to fifth spaces 12 to 16, and the sound unit 40 includes the first to fifth media modules 31 to 35. It may include first to fifth sound modules 41 to 45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the first to fifth spaces 12 to 16 .

마찬가지로, 조명부(50)는 빛을 조사하거나 조명하는 제1 내지 제5 조명 모듈(51 내지 55)을 포함하고, 향기 전달부(60)는 전시 공간(11) 내부에 배치된 자연물, 즉 나무와 꽃 등의 향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1 내지 제5 전달 모듈(61 내지 65)을 포함할 수 있다.Similarly, the lighting unit 50 includes first to fifth lighting modules 51 to 55 for irradiating or illuminating light, and the fragrance delivery unit 60 is a natural object disposed inside the exhibition space 11, that is, a tree and It may include first to fifth delivery modules 61 to 65 for delivering fragrances such as flowers to the user.

여기서, 각 미디어 모듈(31 내지 35)은 사진이나 동영상의 미디어 아트를 각 공간이나 벽면, 자연물에 투사하는 프로젝터나 디스플레이 패널 등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media modules 31 to 35 may be provided as a device that displays media art of a photo or a moving image in various ways, such as a projector or a display panel that projects the media art of a photo or video onto each space, wall, or natural object.

각 음향 모듈(41 내지 45)은 음악이나 음향, 특히 자연의 백색 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앰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sound modules 41 to 45 may include a speaker and an amplifier that output music or sound, in particular, natural white noise.

각 조명 모듈(51 내지 55)은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기, 빛을 조사하는 LED, 네온 조명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해서 구성될 수 있다.Each of the lighting modules 51 to 55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one or two or more of a laser generator for irradiating a laser, an LED for irradiating light, and neon lighting.

각 전달 모듈(61 내지 65)은 각 공간에 배치된 자연물에서 발생하는 향기 또는 자연물의 향기를 모방한 향기를 각 공간 내부의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delivery modules 61 to 65 may include a blower that blows air to effectively deliver a fragrance generated in a natural object disposed in each space or a fragrance that mimics the fragrance of a natural object to a user inside each space.

여기서, 각 모듈은 구획된 각 공간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module may be provided for each partitioned space.

한편,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자극부의 뇌 활성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15 shows an example of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rain activation method of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의 S10단계에서 뇌 활성화 장치(24)는 전시 공간(11)의 구획된 각 공간, 즉 제1 내지 제5 공간(12 내지 16)의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와 음향, 조명, 향기를 전달한다.In step S10 of FIG. 15 , the brain activation device 24 generates media art, sound, lighting, and fragrance corresponding to the concepts of each partitioned space of the exhibition space 11 , that is, the first to fifth spaces 12 to 16 . transmit

사용자가 전시 공간(11)의 제1 공간(12)에 진입하면, 제1 공간(12)에 마련된 제1 미디어 모듈, 음향 모듈, 조명 모듈 및 전달 모듈(31 내지 61)은 각각 제1 공간(11)에 배치된 자연물, 즉 식물 및 오브제와 함께 제1 공간(12)의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와 음향, 조명을 출력하고, 향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When the user enters the first space 12 of the exhibition space 11, the first media module, the sound module, the lighting module, and the delivery modules 31 to 61 provided in the first space 12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space ( 11) together with natural objects, that is, plants and objects, output media art, sound, and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the first space 12, and deliver the fragrance to the user.

이에 따라, 뇌 활성화 장치(24)는 사용자의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등 다차원 감각을 통해 시냅스를 자극한다(S12).Accordingly, the brain activation device 24 stimulates the synapse through the user's visual, auditory, tactile, and olfactory multi-dimensional senses (S12).

S14단계에서 사용자가 제2 공간(13)에 진입하면, 제2 공간(13)에 마련된 제2 미디어 모듈, 음향 모듈, 조명 모듈 및 전달 모듈(32 내지 62)은 각각 제2 공간(13)에 배치된 자연물과 오브제와 함께 제2 공간(13)의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와 음향, 조명을 출력하고, 향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When the user enters the second space 13 in step S14 , the second media module, the sound module, the lighting module, and the delivery module 32 to 62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13 a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second space 13 . Media art, sound, and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the second space 13 are output together with the arranged natural objects and objects, and the fragrance is delivered to the user.

이에 따라, 뇌 활성화 장치(24)는 전시 공간(11)과 사용자의 교감을 유도하는 뉴럴 네트워크를 구현한다.Accordingly, the brain activation device 24 implements a neural network that induces a user's sympathy with the exhibition space 11 .

S16단계에서 사용자가 제3 공간(14)에 진입하면, 제3 공간(14)에 마련된 제3 미디어 모듈, 음향 모듈, 조명 모듈 및 전달 모듈(33 내지 63)은 각각 제3 공간(14)에 배치된 자연물과 오브제와 함께 제3 공간(14)의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와 음향, 조명, 향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When the user enters the third space 14 in step S16 , the third media module, the sound module, the lighting module, and the delivery modules 33 to 63 provided in the third space 14 are in the third space 14 , respectively. Media art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the third space 14 along with the arranged natural objects and objects, sound, lighting, and fragrance are delivered to the user.

이에 따라, 뇌 활성화 장치(24)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선을 안내하고, 사용자의 뇌 기능을 프루닝한다.Accordingly, the brain activation device 24 guides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prunes the user's brain function.

모듈, 음향 모듈, 조명 모듈 및 전달 모듈(34 내지 64)은 각각 제4 공간(15)에 배치된 자연물 및 오브제와 함께 제4 공간(15)의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와 음향, 조명을 출력하고, 향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module, sound module, lighting module, and delivery module 34 to 64 output media art, sound, and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the fourth space 15 together with natural objects and objects arranged in the fourth space 15 , respectively. and deliver the fragrance to the user.

이에 따라, 뇌 활성화 장치(24)는 사용자가 살아 움직이듯 연출된 숲 길을 걷는 동안 뇌의 휴식을 통해 힐링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brain activation device 24 provides healing through relaxation of the brain while the user walks on a forest road that is rendered as if it is alive.

S20단계에서 사용자가 제5 공간(16)에 진입하면, 제5 공간(16)에 마련된 제5 미디어 모듈, 음향 모듈, 조명 모듈 및 전달 모듈(35 내지 65)은 각각 제5 공간(16)에 배치된 자연물 및 오브제와 함께 제5 공간(16)의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와 음향, 조명을 출력하고, 향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When the user enters the fifth space 16 in step S20 , the fifth media module, sound module, lighting module, and delivery module 35 to 65 provided in the fifth space 16 a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fifth space 16 . Media art, sound, and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the fifth space 16 are output together with the arranged natural objects and objects, and the fragrance is delivered to the user.

이에 따라, 뇌 활성화 장치(24)는 자연을 소재로한 다양한 마감재로 연출된 자연물과 함께, 사용자, 특히 어린이가 직접 만져보며 체험과 스토리를 갖는 미디어 아트 동화를 통해 시각, 촉각 등 오감을 자극하고, 포토 터널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brain activation device 24 stimulates the five senses, such as sight and touch, through a media art assimilation that the user, especially a child, directly touches and has experiences and stories, along with natural objects made with various finishing materials made of nature. , providing a photo tunnel.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내지 제5 공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각 공간을 순차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관람 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o fifth spaces, each space has been sequentially described, but the viewing order of the user is not limited thereto.

즉, 제1 공간을 통해 제2 공간으로 진입한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3 공간뿐만 아니라, 제4 공간이나 제5 공간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That is, a user who enters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first space may move not only to the third space but also to the fourth space or the fifth space along the arrow direction shown in FIG. 3 .

그리고 사용자는 제3 공간에서 제4 공간뿐만 아니라, 제5 공간으로 이동하거나 다시 제2 공간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move from the third space to the fourth space as well as to the fifth space or move back to the second space.

또, 사용자는 제4 공간에서 제5 공간뿐만 아니라, 다시 제2 공간이나 제3 공간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move from the fourth space to the fifth space as well as to the second space or the third space.

또한, 사용자는 제5 공간에서 다시 제2 공간이나, 제3 공간 또는 제4 공간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Also, the user may move from the fifth space back to the second space, the third space, or the fourth space.

따라서 사용자는 각 공간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관람한 공간으로 다시 이동해서 반복 관람함으로써, 각 공간에서 활성되환 뇌 영역을 집중적으로 활성화시켜 기능을 강화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selectively move, rather than moving through each space in a certain order, and by moving back to the viewed space and viewing it repeatedly, the function can be strengthened by intensively activating the brain regions that are activated in each spac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전시 공간에 배치된 자연물과 함께 다차원 자극을 통해 요구되는 부분의 뇌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ate the brain function of the required part through multi-dimensional stimulation together with natural objects arranged in the exhibition space.

또한, 본 발명은 자연물, 특히 식물과 소리, 촉감, 향, 시각, 기억 등 다차원적인 자극을 통해 집중력, 창의력, 기억력, 공감, 힐링 등 다양한 뇌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ate various brain functions, such as concentration, creativity, memory, empathy, and healing, through multidimensional stimuli such as natural objects, especially plants and sounds, touch, scent, sight, and memory.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 영상 획득부, 진단부 및 관리부User data collection unit, image acquisition unit, diagnosis unit and management unit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는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provides a function of collecting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는, 사용자의 청각 정보, 걸음걸이 정보, 스트레스 정보, 심전도 정보, 수면 정보, 집중 정보, 감정 변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gait information, stress information,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sleep information, concentration information, emotion change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16a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16A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data collection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를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는, 사용자의 청각 정보를 수집하는 청각 정보 수집부(3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A ,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may include an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1 that collects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이때, 진단부(50)는, 상기 수집된 청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판단하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the degree of hearing damage of the user based on the collected auditory information, and uses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degree of hearing damage of the user together to determine the brain state of the user. can judge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청력 손상은, 난청에 의한 것이고, 상기 진단부(50)는,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좌우 순음 역치 평균값, 상기 사용자의 난청 정도 및 상기 청각 정보 수집부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s hearing loss is due to hearing loss, and the diagnosis unit 50 additionally adds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left and right pure tone threshold values of the user, the degree of hearing loss of the user,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using

다른 일예로서, 사용자의 청력 손상은, 이명에 의한 것이고, 진단부(50)는,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좌우 순음 역치 평균값, 상기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상기 청각 정보 수집부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s hearing impairment is due to tinnitus, and the diagnosis unit 50 additionally adds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left and right pure tone thresholds of the user, the degree of tinnitus of the user, and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relat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using

한편, 뇌 신호 측정부(10)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may be performed while the user moves while the user's hearing damage occurs.

또한,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는, 사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수집하는 걸음걸이 정보 수집부(32),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보를 수집하는 스트레스 정보 수집부(33),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수집하는 심전도 정보 수집부(34),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수집하는 수면 정보 수집부(35) 및 사용자의 집중 정보를 수집하는 집중 정보 수집부(36)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includes a gai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2 that collects the user's gait information, a stres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3 that collects the user's stress information, and the user's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It may include an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4 , a sleep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5 collecting user's sleep information, and a focuse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6 collecting user's focused information.

이때, 진단부(50)는,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 패턴, 스트레스 정도, 심전도 변화, 수면 상태 및 집중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며, 사용자의 걸음걸이 패턴, 스트레스 정도, 심전도 변화, 수면 상태 및 집중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iagnosis unit 50,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user's gait pattern, stress level, ECG change, sleep state, and concentration change, At least one of the user's gait pattern, stress level, electrocardiogram change, sleep state, and concentration change and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re used together to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또한, 뇌 신호 측정부(10)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가 변화화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가 변화하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가 변화하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수면 조건이 변화하는 상태 및 상기 사용자의 집중력이 변화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is a state in which the gait of the user chang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stress chang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electrocardiogram changes, and the sleeping condition of the user In a situa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a changing state and a changing state of the user's concentration is applied, it may be performed while the user moves.

또한,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는,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37)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may include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on unit 37 in a relationship with the user.

이러한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37)는, 사용자의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 랜드마크 마스킹 데이터 수집하여 비 접촉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가 이용될 수 있다.The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37 is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face landmark masking data based on the user's eye tracking and collects the user's emotion change information in a non-contact manner. can be used

이때, 진단부(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user's emotion change information together.

또한,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37)는, 사용자의 음성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가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37 may use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emotion chan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voice change.

이때, 진단부(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user's emotion change information together.

구체적으로, 진단부(50)는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detail,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continuously extra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여기서 진단부(50)는, 사용자의 뇌 질환을 판단할 수 있고, 뇌 질환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disease, and the brain disease may include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a brain tumor, and a developmental disorder.

나아가 진단부(50)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부(60)가 추가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Furthermore,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50, the management unit 60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user's brain condition may be additionally utilized.

이하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의 종류 중 대표적으로, 청각 정보 수집부(31)와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37)를 이용한 진단부(5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functions of the diagnosis unit 50 using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1 and the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on unit 37 will be described as representative of the types of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

먼저, 청각 정보 수집부(31)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rst, an embodiment using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난청 및 치매의 연관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진전된 알츠하이머병의 뇌 용적 손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7A to 17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loss and dementia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ss of brain volume in advanced Alzheimer's diseas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청각 장애로 인한 인지기능 손상과 치매 간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Also, FIG. 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due to hearing impairment and dementia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 내지 도 17d를 참조하면, 고령사회에 따른 치매 인구가 급증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로 진입되면서 노인의 문제로만 인식되었던 치매가 최근에는 젊은 층으로까지 확대되어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Referring to FIGS. 17A to 17D , the population of dementia according to an aging society is rapidly increasing, and as Korea enters an aging society, dementia, which was only recognized as a problem for the elderly, has recently been extended to young people and is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특히, 치매 환자 중 중증 치매 환자의 비율은 2016년 32%에서 2018년 30%로 감소 추세로 전환되었고, 이는 중증 치매 환자에 대한 약물치료 및 다양한 치매 프로그램을 통해서 환자들의 증세가 호전되고 있으나, 반대로 초기치매가 증가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severe dementia patients among dementia patients changed from 32% in 2016 to 30% in 2018. It is analyzed that early dementia is increasing.

소음성 난청과 관련하여, 괴롭고 원치 않는 큰 소리를 소음이라 하는데 이러한 소음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음 신경성 난청을 “소음성난청”이라 한다.In relation to noise-induced hearing loss, painful and unwanted loud sounds are called noises.

이는 소리를 감지하는 기관, 즉 달팽이관이 손상된 경우이며 특히 외유모세포가 주로 손상 받게 되고, 보통 75db 이하의 소리는 난청을 유발하지 않으나 사무실이나 대화환경이 60dB 정도이며 버스, 지하철, 식당 내의 소음이 80 dB 정도, MP3나 휴대용 CD플레이어를 이어폰으로 들을 경우 최대 음량이 100dB 정도, 모터사이클은 120dB, 비행기 소음이 140dB, 총소리가 170dB 에 이른다 함. 옆 사람이 다 들릴 정도로 이어폰 듣는 것은 100 - 115dB 정도가 됨. 85dB 이상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때는 귀에 손상을 줄 수 있다.This is a case of damage to the sound-sensing organ, that is, the cochlea. In particular, the outer hair cells are mainly damaged. Sound below 75 dB does not cause hearing loss, but the office or conversation environment is about 60 dB, and the noise in the bus, subway, and restaurant is 80 About dB, when listening to MP3 or portable CD player with earphones, the maximum volume is about 100 dB, for a motorcycle, 120 dB, for an airplane noise, 140 dB, and a gun sound reaches 170 dB. Listening to earphones so that everyone next to you can hear it is about 100 - 115 dB. Continuous exposure to noise above 85 dB can damage your ears.

100dB에서 보호장치 없이 15분 이상 노출될 때, 110dB에서 1분 이상 규칙적으로 노출될 때 청력 손실의 위험에 처하고, 버스, 지하철 내의 소음이 보통 80㏈ 정도인데, 이러한 장소에서 청소년들이 음악소리를 들으려고 90㏈ 이상의 소리크기를 유지해야 하며 이를 반복 되풀이하면 난청에 이르게 된다.When exposed for more than 15 minutes at 100 dB without protection, and when exposed regularly at 110 dB for more than 1 minute, there is a risk of hearing loss, and the noise in buses and subways is usually around 80 dB. In order to hear,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loudness of 90 dB or higher, and repeating this repeatedly leads to hearing loss.

소리의 강도는 음파의 진폭에 의해 결정되며 dB(데시벨)로 측정하고, 소리의 강도가10dB씩 증가할 때마다 소음의 크기는 두 배씩 증가하며, 대개 75dB 이하에서는 청력에 손상을 미치지 않는다.The intensity of a sound is determined by the amplitude of the sound wave and is measured in dB (decibels). For every 10 dB increase in the intensity of a sound, the loudness of the sound doubles, and usually below 75 dB there is no hearing damage.

소음성 난청 증상 관련하여, 소음성난청 발생 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도 크게 켜 놓는 양상을 보이고, 친구들 말을 잘 알아 듣지 못해 '사오정' ‘가는귀’ 라는 말을 듣게 된다.Regarding the symptoms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when noise-induced hearing loss occurs, the TV or radio is also turned on loudly.

주변이 조금만 시끄러워도 상대방의 이야기를 정확히 못 알아 듣고 딴 소리를 하며 공통적으로 고음 영역, 특히 4 k㎐에서 청력저하를 보이며 귀가 울어대는 이명을 동반하는 경우 많다.Even if the surrounding is a little noisy, it is not possible to understand the other person's story accurately and makes a different sound. Hearing loss in the high-pitched range, especially 4 kHz, is often accompanied by tinnitus.

청각 손상, 이명 외에도 불쾌감, 불안감, 불면증, 피로, 스트레스, 두통에 시달리는 등 정상 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맥박과 혈압에도 영향을 주며 소화장애 및 자율신경계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In addition to hearing loss and tinnitus, you may experience difficulties in your normal life, including discomfort, anxiety, insomnia, fatigue, stress, and headaches. In severe cases, it affects the pulse rate and blood pressure, and can cause digestive disorder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bnormalities.

소음성 난청 진단과 관련하여, 순음청력검사 및 이명검사, 이음향방사검사, 음누가검사, 청성뇌간유발반응검사 등 청력을 주파수 별로 정확히 측정하는 검사를 시행하고, 장기간 소음노출 후 서서히 진행되는 청력소실, 특히 4kHz 주변의 고음영역의 청력손실이 뚜렷한 경우 진단을 하게 된다.In relation to the diagnosis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tests that accurately measure hearing by frequency, such as pure-tone audiometry, tinnitus test, otoacoustic radiation test, sound leak test, and auditory brainstem induced response test, are performed, and hearing that progresses slowly after long-term exposure to noise Diagnosis is made when hearing loss is evident, especially in the high-pitched region around 4 kHz.

소음성난청으로 한번 망가진 청력을 근본적으로 되돌릴 수 있는 방법 없는데, 이는 이미 손상된 청각세포는 회복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수일 이내에 갑자기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면 돌발성난청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정확한 검사와 더불어 스테로이드 호르몬, 혈관 확장제, 항바이러스제 등으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There is no way to fundamentally restore the hearing once damaged by noise-induced hearing loss, because the already damaged hearing cells cannot be restored. In particular, if there is no sound suddenly within a few days, it may be sudden hearing loss.

이 경우에는 반드시 일정기간 귀를 쉬게 해주어야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give the ear a res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recovery can be expected.

돌발성 난청은, 뚜렷한 원인이 없이 갑자기 일어나는 감각신경성 난청 (귀가 잘 안 들리는 것)을 돌발성 난청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한쪽 귀에 나타나나 드물게 양측성인 경우도 있고, 때때로 난청과 더불어 이명 및 현기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Sudden hearing loss is a sensorineural hearing loss that occurs suddenly without any apparent cause, called sudden hearing loss, which usually appears in one ear, but rarely bilateral. there is also

보통 응급질환으로 간주하여 조기에 입원치료를 시작하여야 하고,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지만 청각 신경에 발생한 바이러스 감염, 내이 혈류의 장애, 달팽이관내 막의 파열, 그리고 내이 면역 질환, 신경학적 질환, 종양, 이독성 약물 등으로 발생원인을 추정하고 있다. It is usually regarded as an emergency disease and requires early hospitalization, and although it is not yet clear, viral infection of the auditory nerve, inner ear blood flow disturbance, rupture of the cochlear membrane, and inner ear immune disease, neurological disease, tumor, ototoxicity The cause is presumed to be drugs.

돌발성 난청 환자의1~2% 정도에서 청신경종양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자기공명영상(MRI)촬영을 통해 진단하고, 대개 입원하여 조용한 분위기에서 안정을 취하면서 부신피질 호르몬제, 혈관 확장 및 혈류 개선제, 대사 개선제, 진정제 등의 병용요법을 시행. 그 외에 저염식, 고단백 식이 권유. 발생 시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한 환자에서 치료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About 1 to 2% of patients with sudden hearing loss may have an auditory nerve tumor, which is diagnosed throug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 a combination therapy with metabolic improvers and sedatives. In addition, low-sodium and high-protein diets are recommended. It is known that the cure rate is high in patients who are actively treated at an early stage.

치료의 결과는 대개 1/3에서 완전한 회복을 보이며 1/3은 발생 시보다 청력이 개선되지만 정상으로 회복되지는 못하며 1/3이하에서는 치료에 큰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As a result of treatment, complete recovery is usually seen in 1/3, and hearing is improved in 1/3, but it cannot be restored to normal.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치매에 걸릴 위험은 가벼운 청력 손실이 있는 노인의 경우 2배, 중간 정도의 청력 손실이 있는 경우 3배가 된다.18 and 19 , the risk of dementia is doubled in the elderly with mild hearing loss and tripled in the case of moderate hearing loss.

심각한 청력 손실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 위험은 청력 손실을 겪지 않은 사람들보다 5배의 발생 위험이 있고, Lancet 연구에 따르면 치매 발별에 대한 9가지 잠재적 위험 요인 중 난청이 9%로 가장 높았다.For people with severe hearing loss, the risk is five times higher than those without hearing loss, and according to the Lancet study, hearing loss was the highest at 9% of the nine potential risk factors for developing dementia.

청력 손실은 특히 배경 소음이 있는 상태에서 언어 지각력을 저하시키는 알츠하이머 병의 초기 증상이 될 수 있다.Hearing loss can be an early symptom of Alzheimer's disease, which impairs speech perception, especially in the presence of background noise.

또한, 청력 손실은 인지 자원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키고, 뇌는 청각 능력이 떨어지면서 훨씬 더 열심히 일해야 한다.Also, hearing loss increases the demand for cognitive resources, and the brain has to work much harder as hearing diminishes.

대화를 이해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은 뇌가 뇌의 다른 부분, 특히 기억력으로부터 인지 능력을 ‘빌려 가는’ 것을 요구하고, 기본적으로 더 많은 정보를 받아들일수록 기억으로 전달되는 정보가 줄어들게 된다.Efforts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dialogue require the brain to “borrow” cognitive abilities from other parts of the brain, particularly memory, and basically, the more information it receives, the less information it passes into memory.

청력 손실은 뇌 조직개편 및 또는 사회적 박탈을 초래하여 인지능력 저하를 초래하고, 청각 능력의 감소는 종종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여의 감소를 야기한다.Hearing loss results in brain reorganization and/or social deprivation, leading to cognitive decline, and a decrease in auditory ability often results in reduced social interaction and engagement.

이에 따라 환경에 접근하고 상호작용하는 데 필요한 인지 기능이 감소하고, 난청 예방을 통한 치매의 진행 75%까지 늦출 수 있는 연구결과가 있다.As a result, the cognitive function required to access and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is reduced, and there are research results that can delay the progression of dementia by up to 75% through the prevention of hearing loss.

또한, 난청 같은 조기 감지 및 치료는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In addition,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such as hearing loss, is very important in preventing or reducing cognitive decline.

60세 이상 노인 중 경도난청이 있는 경우 정상청력 인구보다 2배, 심한 난청의 경우 치매 확률이 5배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Lin, Albert, 2014).Among the elderly over 60 years of age, those with mild hearing loss are twice as likely to have normal hearing loss, and those with severe hearing loss are five times more likely to have dementia (Lin, Albert, 2014).

도 2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청력손실(이명)과 알츠하이머병(치매)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hearing loss (tinnitus) and Alzheimer's disease (dementia)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난청인구 중 30%가 이명경험, 난청치료와 더불어 이명에 대한 검사, 치료가 추가적으로 제공 필요하고(Healthy Hearing, 2019), 이명환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이명은 청각기능에 영향을 미친 뒤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고(특히 집중과 사고), 치매에 영향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Referring to FIG. 20 , 30% of the population with hearing loss experienced tinnitus and required additional examination and treatment for tinnitus in addition to hearing loss treatment (Healthy Hearing, 2019). It was confirmed that it affects cognitive function (especially concentration and thinking) and affects dementia.

결국, 이명은 치매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Mahoney, Rohrer, Goll, Fox, Rossor, Warren, 2010).Eventually, tinnitus is more likely to lead to dementia (Mahoney, Rohrer, Goll, Fox, Rossor, Warren, 2010).

1996년부터 2014년까지 이명관련 문헌 18편을 분석한 결과, 이명은 인지능력을 낮추고, 불안/우울증을 높이고 있다(Tegg-Quinn, Bennett, Eikelboom, & Baguley, 2016).As a result of analyzing 18 tinnitus related literature from 1996 to 2014, tinnitus lowered cognitive ability and increased anxiety/depression (Tegg-Quinn, Bennett, Eikelboom, & Baguley, 2016).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청각과 인지장애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hearing and cognitive impairmen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의 S21 단계 내지 S24 단계를 참조하면, 청각손상이 있으면 인지장애 걸릴 확률이 30dB 마다 2배씩 높아진다.Referring to steps S21 to S24 of FIG. 21 , if there is hearing impairment, the probability of having cognitive impairment is doubled every 30 dB.

구체적으로, 30dB 차이면 2배, 60dB이면 4배 치매확률 높고(Uhlmann, Rees, 1989), 25dB의 변화에 따라 인지기능 수준이 낮아진다(347명 5년동안 추적한 결과, Lin, Ferrucci, Metter, An, Zonderman, & Resnick, 2011).Specifically, a 30 dB difference is 2 times higher, and a 60 dB difference is 4 times higher (Uhlmann, Rees, 1989), and the cognitive function level is lowered according to a 25 dB change (As a result of tracking 347 people for 5 years, Lin, Ferrucci, Metter, An , Zonderman, & Resnick, 2011).

결국, 청각문제 > 문장듣기문제 > 단어듣기 > 전체적 이해문제 > 반응문제 > 경도인지장애로 이어지게 된다.In the end, it leads to hearing problems > sentence listening problems > word listening > overall comprehension problems > reaction problems > mild cognitive impairment.

30dB마다 청각손상이 있으면 2배 정도 인지장애를 가진 확률 있고, 이러한 것들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청각, 인지, 시각 중 하나라도 문제가 발생하면 인지장애로 이어지게 된다(이수정, 이승진, 송지연, 김형희, 2014).If there is a hearing loss every 30 dB, there is a double chance of having a cognitive impairment. 2014).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순음청력 검사에 따른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순음청력 검사에 활성화된 뇌 신호 구조를 적용한 일례를 설명한 도면이다.2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according to a pure tone hearing tes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n activated brain signal structure is applied to a pure tone hearing tes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는, 사용자의 청각 정보를 수집하는 청각 정보 수집부(3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may include an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1 that collects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이때, 진단부(50)는, 상기 수집된 청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판단하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the degree of hearing damage of the user based on the collected auditory information, and uses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degree of hearing damage of the user together to determine the brain state of the user. can judge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청력 손상은, 난청에 의한 것이고, 상기 진단부(50)는,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좌우 순음 역치 평균값, 상기 사용자의 난청 정도 및 상기 청각 정보 수집부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s hearing loss is due to hearing loss, and the diagnosis unit 50 additionally adds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left and right pure tone threshold values of the user, the degree of hearing loss of the user,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using

다른 일예로서, 사용자의 청력 손상은, 이명에 의한 것이고, 진단부(50)는,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좌우 순음 역치 평균값, 상기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상기 청각 정보 수집부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s hearing impairment is due to tinnitus, and the diagnosis unit 50 additionally adds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left and right pure tone thresholds of the user, the degree of tinnitus of the user, and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relat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using

한편, 뇌 신호 측정부(10)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may be performed while the user moves while the user's hearing damage occurs.

다음으로,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37)를 이용한 진단부(5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function of the diagnosis unit 50 using the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37 will be described.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37)를 기초로, 개인 감성 인식을 위한 생체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증강이 가능해질 수 있다.Based on the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37 , biometric data collection and data augmentation for personal emotion recognition may be enabled.

다양한 도메인(연령대, 성별, 액세서리의 유무 등)에 대해 균일한 분포로 6가지 기본 감정을 나타내고 있는 텍스트 및 표정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ollect text and facial expression data representing six basic emotions with a uniform distribution for various domains (age, gender, presence or absence of accessories, etc.).

기본 감성 6가지(화남, 혐오, 공포, 행복, 슬픔, 놀람) 및 중립에 대하여 성별, 나이, 지역을 고려한 대규모 일상 음성 데이터 및 해당 감성을 나타내는 라벨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For six basic emotions (angry, disgust, fear, happiness, sadness, surprise) and neutral, it is possible to collect large-scale daily voice data in consideration of gender, age, and region and labeling data indicating the corresponding emotion.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기본 감정 라벨 태깅하고, Eye tracking을 포함한 얼굴 랜드마크 마스킹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Basic emotion label tagging of the collected data is possible, and facial landmark masking data including eye tracking can be collected.

또한, 대상의 의도 파악을 위한 pose estimation 영상 및 이미지를 수집하고, 감성 간 데이터 불균형 해소를 위한 음성 증강 기술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voice augmentation technology for collecting pose estimation images and images for identifying the intention of a target and resolving data imbalance between emotions may be provided.

생체 데이터 기반 개인감성 인식 관련,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훈련된 DNN(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통한 감정을 인식할 수 있다.In relation to biometric data-based personal emotion recognition, emotions can be recognized through a trained deep neural network (DNN) model using the collected data.

감성 인식 성능 향상을 위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제거, 음성 구간 추출 등 전처리 기술 개발 및 적용 가능하고, 감성 인식에 적합한 음성 특징 선별 및 특징 추출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emotion recognition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apply pre-processing technologies such as noise removal and voice section extraction for collected data, and a voice feature selection and feature extraction module suitable for emotion recognition can be applied.

또한, 딥러닝 기반 발화 단위 기본 감정 인식 모델이 적용가능하고, 대상 데이터에 대한 기본 감정 추론 및 음성데이터를 활용한 개인감정 인식을 위해 음성의 시계열 특징 추출이 가능하다.In addition, deep learning-based speech unit basic emotion recognition model is applicable, and time series feature extraction of speech is possible for basic emotion inference on target data and personal emotion recognition using speech data.

딥러닝 기술 중 시계열 데이터를 고려한 순환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주의집중기법을 사용하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등을 활용한 감정 인식 AI 모델이 적용될 수 있고, 설계한 감정 인식 AI 모델 학습 및 bayesian optimization 등과 같은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감정 인식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Among deep learning technologies, an emotion recognition AI model us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considering time series data and a transformer using an attention-focusing technique can be applied, and the designed emotion recognition AI model learning and bayesian optimization can be applied. The same hyperparameter tuning technique can be used to enable optimal emotion recognition.

또한, 이미지와 영상에서 눈, 코, 입, 눈썹, 얼굴 윤곽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고, 수집된 eye tracking 데이터와 얼굴 랜드마크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집중도 추출이 가능하다(연속적인 데이터를 이용하므로 어텐션(attention) 기반의 인공 신경망 기술 사용 가능).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eyes, nose, mouth, eyebrows, and facial contours from images and videos, and it is possible to extract concentration from the collected eye tracking data and facial landmark time series data (since continuous data is used, attention ) 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ology available).

개인감성 및 일상상황 추적을 통한 사회감성 인식 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감정 임베딩 고도화, 감정을 하나로 분류하는 것이 아닌 연속적인 공간에 표현할 수 있고 시계열 데이터의 연속성을 반영하는 임베딩 공간으로 강화, 시각, 음성, 자연어에서 추출한 감정 임베딩을 결합하여 multi-modal 감정 분석 등이 이에 적용된다.Social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through personal emotion and daily situation tracking can be applied, emotion embedding can be advanced, emotions can be expressed in a continuous space rather than classified as one, and reinforced with an embedding space that reflects the continuity of time series data, visual, voice , multi-modal emotion analysis, etc. are applied to this by combining emotion embeddings extracted from natural language.

사회 감성의 인식을 위해 음성으로부터 텍스트, d-vector 기반 화자 임베딩, 기 개발한 음성 감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감성을 추출 및 벡터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For the recognition of social emotion, individual emotion extraction and vectorization technology can be applied using text from speech, d-vector based speaker embedding, and previously developed speech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감정으로 인해 어조가 평탄하지 않은 일상 대화 음성에 대해 성능 저하를 억제하기 위한 CMVN(Cepstral mean and variance normalization)을 적용한 특징 추출하여 적용 가능하고, 상황정보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어법, 단어의 특징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도메인 적응 (Domain adaptation)을 적용한 언어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extract and apply CMVN (Cepstral Mean and Variance Normalization) to suppress performance degradation in everyday conversational voices whose tone is not flat due to emotions. A language model to which domain adaptation is applied may be applied.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37)는, 사용자의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 랜드마크 마스킹 데이터 수집하여 비 접촉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가 이용될 수 있다.The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37 is used by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facial landmark masking data based on the user's eye tracking and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in a non-contact manner. can be

이때, 진단부(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user's emotion change information together.

또한,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37)는, 사용자의 음성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가 이용될 수 있다.Also, the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37 may use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emotion chan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voice change.

이때, 진단부(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user's emotion change information together.

구체적으로, 진단부(50)는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detail,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continuously extra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여기서 진단부(50)는, 사용자의 뇌 질환을 판단할 수 있고, 뇌 질환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disease, and the brain disease may include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a brain tumor, and a developmental disorder.

나아가 진단부(50)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부(60)가 추가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Furthermore,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50, the management unit 60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user's brain condition may be additionally utilized.

한편, 도 16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영상 획득부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16B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acquisition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부(40)는,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수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collecting medical images related to a user.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획득부(40)는, 사용자와 관련된 MRI 영상을 수집하는 MRI 영상 획득부(41),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CT 영상을 수집하는 CT 영상 획득부(42),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fMRI 영상을 수집하는 fMRI 영상 획득부(43)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MRI image acquisition unit 41 that collects an MRI image associated with a user, a CT image acquisition unit 42 that collects a CT image associated with the user, and an fMRI associated with the user. An fMRI image acquisition unit 43 that collects images may be used.

이때, 진단부(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and the user-related medical image together.

진단부(50)는, 사용자의 뇌 질환을 판단할 수 있고, 대상이 되는 뇌 질환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disease, and the target brain disease may include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order.

마지막으로, 관리부(60)는 진단부(50)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Finally, the management unit 60 provides a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user's brain condi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50 .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이내 상기 사용자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관리부(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뇌 신호 자극부(20)의 동작이 트리거 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will fall under at least one of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within a certain period based on the user's brain state by applying a preset criterion , a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fo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may be triggered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cond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r 60 .

인공지능 데이터 활용 응용서비스AI data utilization application service

액티브 브레인 의료 생체 AI 데이터와 관련하여, 다양한 영상 분석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며, 영상 분석 딥러닝 알고리즘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모델 중 inception v3을 사용하여 인공지능 판독 시범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In relation to active brain medical biometric AI data, it shows high performance in various image analysis and uses inception v3 among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models that are most widely used among image analysis deep learning algorithm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reading demonstration model. This can be applied.

액티브 브레인 의료 생체 AI 데이터 필요성 관련, 본 발명에서는 의료 인공지능 판독 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기반데이터를 제공하고, 공공 및 민간에서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라 자생적으로 데이터를 확장, 개방하는 선순환 생태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따라서 구축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In relation to the need for active brain medical biometric AI data,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basic data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medical AI reading technology, and to create a virtuous cycle ecosystem that autonomously expands and opens data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ed data.

도 2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액티브 브레인 의료 생체 AI 데이터 모델/알고리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24 shows an example of an active brain medical biometric AI data model/algorithm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Inception v3은 널리 사용되는 영상 인식 모델로서, ImageNet 데이터세트에서 78.1% 이상의 정확성을 실현하고, 라벨이 지정된 대량 이미지 집합을 사용한 지도 학습 과정이 필요하다.Referring to Figure 24, Inception v3 is a widely used image recognition model, which realizes an accuracy of over 78.1% in the ImageNet dataset, and requires a supervised learning process using a large set of labeled images.

이미지에는 라벨이 지정된 객체의 보다 정확한 위치를 지정하는 경계 상자도 포함된다.The image also contains a bounding box that specifies the more precise location of the labeled object.

또한, 도 2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Inceptions V3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25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Inceptions V3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학습 및 평가 데이터세트는 의도적으로 분리되어 유지되고, 모델 학습에는 학습 데이터세트의 이미지만 사용되며 모델 정확성 평가에는 평가 데이터세트의 이미지만 사용한다.Referring to FIG. 25 , the training and evaluation datasets are intentionally kept separate, and only images from the training dataset are used for model training, and only images from the evaluation dataset are used for model accuracy evaluation.

모델 자체는 컨볼루션, 평균 풀링, 최대 풀링, 이어붙이기, 드롭아웃, 완전 연결 레이어를 비롯한 대칭/비대칭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The model itself consists of symmetric/asymmetric components including convolution, average pooling, max pooling, concatenation, dropout, and fully connected layers.

도 2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및 검증 방안의 SW 개념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26 shows an example of a SW conceptual diagram of a data quality management and verification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을 참조하면, 소스코드와 실시간 데이터 연결을 통해 데이터품질의 사전분석, 진단, 평가, 개선하고, 저장장치인 repository를 기준정보에 맞추어 데이터 저장이 수행되며, 저장된 데이터를 인공지능 엔진을 사용하여 품질관리를 실행한다.Referring to FIG. 26 , through the connection of source code and real-time data, pre-analysis, diagnosis,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data quality, data storage is performed by matching the repository, which is a storage device, to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tored data is used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to implement quality control.

도 2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및 검증 방안의 전처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27 shows an example of pre-processing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verification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을 참조하면, 품질 관리 사전분석 하여 인적비용 최소화를 위한 자동화를 수행하고, 데이터 유형별 자동 판별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표 및 방법 자동 매칭 생성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7 , it is possible to perform automation for minimizing human cost by performing quality control prior analysis, and to build a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for each data type to automatically create index and method matching.

도 2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및 검증 방안의 진단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28 shows an example of diagnosis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verification method for AI lear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을 참조하면, 데이터 품질 측정하여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진단 기술이 적용되고, 텍스트, 이미지, 수치, 파형등에 맞추어 데이터 품질 측정이 가능하며, 산업별 업무규칙(법률, 의료, 금융 등) 에 따라 해당 데이터 축적 및 피드백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8 , various types of data diagnosis technology are applied by measuring data quality, and data quality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ext, image, numerical value, waveform, etc. Data accumulation and feedback are possible.

도 2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및 검증 방안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29 shows an example of a data quality management and verification method for AI lear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9를 참조하면, 개선 및 피드백을 진행하여 품질 평가 라이프사이클 전 과정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평가는 다양한 관점별 품질 진단 수준 평가 및 오류유형 분류 및 개선 가이드하고, 개선은 군집도 분석을 개선데이터 추천 및 개선결과 피드백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29 , improvement and feedback are performed to target the entire quality evaluation lifecycle, evaluation is quality diagnosis level evaluation by various viewpoints, error type classification and improvement guide, and improvement is cluster analysis improvement data Recommendations and feedback on improvement results are performed.

데이터 수집을 위한 방법으로, 학습자의 일상 데이터 및 학습생활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As a method for data collec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learner's daily data and learning life characteristics.

예를 들어, 일상생활에서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 및 생체데이터를 파악하고, 대상 연령을 만6세(미취학) ~ 만15세(중학교 3학년), 총 10개 학년 구간으로 하고, 생체데이터 수집을 위한 요인 탐색 및 구조화하며, 관련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중요 요인을 탐색(행동 및 음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dentify data and biometric data that can be collected in daily life, set the target age to 6 years old (preschool) to 15 years old (3rd year middle school), a total of 10 grades, and collect biometric data.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and structure factors for the purpose of data collection, and to search for important factors (behavioral and voice) for collecting related data.

도 30의 S31 단계 내지 S39 단계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생체데이터 수집을 위한 요인 탐색 및 구조화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Steps S31 to S39 of FIG. 30 show an example of a factor search and structuring for collecting biometric data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감성매핑을 위한 design과 관련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분류를 통하여 사회감성에 대한 군집화, 감성매핑을 위해 포함되어야 하는 요인결정 및 분류 등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design for emotional mapping, clustering of social emotions, determination of factors to be included for emotional mapping, classification, etc. can be applied throug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감성매핑 정확도에 대한 예시로서, 도 31a를 도시하였다.As an example of sentiment mapping accuracy, FIG. 31A is shown.

또한, 도 31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집된 데이터의 연계방안 예시로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간 네트워크 고도화를 위해,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고도화된 생체데이터 수집이 적용될 수 있고, 사회감성 및 학습활동과 연계된 생체데이터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수집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31B is an example of a method for linking collected data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liable data transmission and data-to-data network advancement, advanced biometric data collection for accuracy improvement can be applied, social sensibility and learning A collec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biometric data related to activity may be applied.

한편, 도 3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아동의 뇌 발달 측정 결과에 따른 6단계로 구분된 훈련 프로그램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Meanwhile, FIG. 32 shows an example of a training program divided into 6 step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hild's brain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모델은, 아동의 “실시간 뇌 측정을 위한 다자간 무선 뇌신호 측정기기” 및 “뇌발달 검사 서비스”로 본 발명이 활용될 때 적용될 수 있다.This model can be applie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as a “multi-party wireless brain signal measuring device for real-time brain measurement” and “brain development test service” of children.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자간 무선 뇌신호 측정기기” 및 “뇌발달 검사 서비스”를 기초로 실시간 뇌 측정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맞춤형 뇌발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32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ized brain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real-time brain measurement results based on “multilateral wireless brain signal measuring device” and “brain development test service”.

즉, 뇌 발달 상태 측정 결과 제공(어플리케이션), 일상생활 및 학습에서의 집중력 등 뇌발달 훈련 프로그램 제공할 수 있는데, 뇌발달 훈련 프로그램의 경우 주요 내용으로는 집중력 측정을 통한 수준향상이 필요한 뇌영역(전전두엽 활성화 정도, 후두엽 활성화 정도, 측두엽 활성화 정도) 및 집중력 수준 도출(Level I-5분, Level II-10분, Level III-20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brain 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such as providing brain development status measurement results (application) and concentration in daily life and learning. degree of prefrontal activation, occipital lobe activation, temporal lobe activation) and concentration level derivation (Level I-5 min, Level II-10 min, Level III-20 min), and the like.

이때, 각각의 수준에 따른 적절한 집중력 훈련 프로그램(불안 줄이기, 몰입의 즐거움 알기, 한눈파는 시간 줄이기), 뇌변화 프로그램(신체적 과제수행, 인지적 과제수행, 시각적 훈련-단순선택, 청각적 훈련-단순선택, 얼제지속, 작업기능 순방향/역방향)이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training program for each level (reducing anxiety, knowing the pleasure of immersion, reducing glance time), brain change program (physical task performance, cognitive task performance, visual training-simple selection, auditory training-simple) selection, continuity, work function forward/reverse) may be provided.

도 33a 및 도 33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훈련 전(before) 프로그램 결과 예시와 훈련 후(after) 프로그램 결과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33A and 33B show an example of a program result before training and an example of a program result after train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3a에서 빨간색은 평균이하로 집중력관련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고, 녹색은 평균이상으로 집중력이 높음을 나타내며, 도 33b에서 녹색은 평균이상으로 집중력관련 문제가 없음을 나타낸다.In FIG. 33A , red indicates a problem related to concentration below average, green indicates high concentration above average, and green in FIG. 33B indicates that there is no problem related to concentration above average.

따라서 진단부(50)는, AI를 기초로, 뇌 활성화 영역,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대상이 되는 뇌 질환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agnosis unit 50 may determine the user's brain condition by using the brain activation region,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and the user-related medical image together based on the AI, and a target brain disease silver,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s and developmental disorders.

또한, 관리부(60)는 진단부(50)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management unit 60 may provide a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user's brain condi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50 .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여 피드백하는 방법How to judge the user's brain state and give feedback

도 3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활동하는 상태에서 뇌와 관련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여 피드백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ecting brain-related signal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active, and determining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i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를 참조하면, 가장 먼저, 뇌 신호 측정부(10)의 뇌 신호 획득부(11)가 사용자의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뇌의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4, first, the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11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irradiates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brain, and detects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S100) carry out

특히, 본 발명에 따른 S100 단계에서, 뇌 신호 획득부(11)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in step S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11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while the user is moving.

여기서 뇌 신호 측정부(11)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헤드를 모두 덮는 풀 커버(full cover) 형태 또는 상기 사용자 헤드의 전면부에 밀착되는 전면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ull cover covering all of the user's head or in the form of a front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rt of the user's head.

이후, 상기 뇌 신호 측정부(10)의 뇌 신호 처리부(12)가 상기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12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determines the degree of oxygenation of hemoglobin in the user's cerebral blood flow based on the detected light ( S200 ).

구체적으로, S200 단계에서는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와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한다.Specifically, in step S200, the hemoglobin oxygenation degree is determined by extracting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and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in the user's brain bloodstream based on the detected light.

또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에서는, 상기 뇌 혈류 내의 산화 헤모글로빈에 의해 수송된 산소가 소비됨으로써,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가 감소하고, 상기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가 증가되는 특성을 갖는다.In addition, in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oxygen transported by oxidized hemoglobin in the cerebral bloodstream is consumed, so that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decreases, and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decreases in response to the decrease in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is increased.

결국, 상기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와 상기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는, 가시광 영역과 근적외광 영역에서 변화되는 광 특성을 가지고, 본 발명에 따른 뇌 신호 측정부는, 상기 근적외선 조사에 의한 근적외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집하게 된다.After all,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and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have optical properties that change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the near-infrared light region, and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is collected through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S200 단계 이후에는, 뇌 신호 측정부(10)의 뇌 신호 분석부(13)가 상기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After step S200, the brain signal analysis unit 13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extracts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activatio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to perform the step (S300).

이후, 진단부(50)가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00)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continuously extra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 S400 ).

뇌 상태 표시 및 판단 방법How to display and judge brain state

뇌 신호 측정부(10)의 뇌 신호 분석부(13)가 상기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3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xtracting, by the brain signal analysis unit 13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an activated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S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복수의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의 뇌 활성화 변화를 시간에 따라 표시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change in brain activ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over time and determining a user's brain state through this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를 참조하면, S300 단계는, 사용자의 뇌 영역을 복수로 분할하는 단계(S310), 복수로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이,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뇌 활성화 영역으로 변화되었는지 또는 상기 뇌 활성화 영역에서 비 활성화 영역으로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5 , step S300 includes dividing the user's brain region into a plurality ( S310 ), whether each of the divided brain regions is changed to the brain activation region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or in th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determining whether it has changed to an inactive area ( S320 ).

이후, 뇌 신호 측정부(10)의 디스플레이부(15)가, 상기 복수의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의 뇌 활성화 변화를 시간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S330)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display unit 15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performs a step (S330) of displaying changes in brain activ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over time.

또한, 일정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의 뇌 활성화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00)가 진행된다.In addition,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 step (S400) of determining the user's brain state using changes in brain activ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is performed.

뇌 자극 방법brain stimulation method

한편, S100 단계 이전에는, 뇌 자극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fore the step S100, the step of stimulating the brain may be additionally utilized.

도 3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imulating a user's brain for a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을 참조하면, 먼저, 뇌 신호 측정부(10)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뇌 신호 자극부(20)가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는 단계(S50)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36 , first, for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 the brain signal stimulating unit 20 stimulating the user's brain ( S50 ) is performed.

이후, 뇌 신호 측정부(10)의 뇌 신호 획득부(11)가 사용자의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뇌의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는 단계(S100)를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11 of the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10 irradiates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brain and detects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 S100 ).

한편, S50 단계는, 뇌 신호 자극부의 뇌 활성화 장치가 일정 공간 내에서 미리 타겟팅 된 뇌 영역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강화하고, 상기 뇌 영역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다차원적인 환경적 자극을 가하는 (a)단계와 상기 뇌 신호 자극부의 관리 서버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타겟팅 된 뇌 영역에 다차원적인 환경적 자극을 가하도록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b)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step S50, the brain activation device of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intensively strengthens the activity of a pre-targeted brain region within a certain space, and applies a multi-dimensional environmental stimulus to activate the function of the brain region (a ) and (b) of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to apply a multi-dimensional environmental stimulus to the targeted brain region in the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a) 단계는, 미디어부가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서 연출하고자 하는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를 구현하는 단계, 음향부가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 조명부가 빛을 조사하거나 조명하는 단계, 및 향기 전달부가 향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in step (a), the media unit implements media art corresponding to a concept to be produc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and the sound unit outputs sound. Step, the step of irradiating or illuminating the light by the lighting unit, and the fragrance delivery unit may include the step of delivering the fragrance to the user.

또한, (b) 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의 컨셉에 대응되는 복수의 미디어 정보와 음향 정보,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중에서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복수의 미디어 정보, 음향 파일과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와 프로그램에 따라 변경하도록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b),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media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are stored, It is possible to selec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media information, sound files and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from among various information and programs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ntrol the driving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to change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ormation and program .

또한, 상기 미디어부는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를 구현하는 복수의 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각 미디어 모듈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를 투사하는 프로젝터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부는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복수의 음향 모듈을 포함하고, 각 음향 모듈은 음악이나 자연의 백색 소음을 포함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앰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a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edia modules for implementing media art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and each media module includes a projector or a display panel for projecting media art including a photo or a moving image, The sound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und modules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and each sound module may include a speaker and an amplifier for outputting sound including music or natural white noise.

또한, 조명부는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거나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모듈을 포함하고, 각 조명 모듈은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기, 빛을 조사하는 LED, 네온 조명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해서 구성되며, 상기 향기 전달부는 각 공간에서 배치된 자연물의 향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복수의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달 모듈은 각 공간에 배치된 자연물에서 발생하는 향기 또는 자연물의 향기를 모방한 향기를 각 공간 내부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ing modules for irradiating or illuminating light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and each lighting module includes one or two or more of a laser generator irradiating a laser, an LED irradiating light, and a neon light. Consisting of a combination, the fragrance deliver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elivery modules that deliver the fragrance of a natural object disposed in each space to the user, and each delivery module mimics the fragrance or the fragrance of a natural object disposed in each space. It may include a blower for blowing air to deliver a fragrance to a user inside each space.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에는, 관리자의 조작에 기초해서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이, 각 공간에 설치되는 각 모듈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정보 파일과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 파일과 프로그램에 따라 미디어, 음향, 조명 등을 선택된 주기적 또는 불규칙하게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c)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step (b), the manager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based on the manager's operation, a plurality of information file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for each module installed in each space a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c) of selecting one or more programs and controlling to change media, sound, lighting, etc. periodically or irregularly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ormation file and program.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에는,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연령, 성별, 취향, 심리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c) 단계와 관리 서버가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연령, 성별, 취향, 심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에 기초해서 개인 맞춤형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음향, 조명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step (b), the user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and inputting the user's operation command inputs user information including age, gender, taste, and psychological state from the user, and input (c) of delivering the user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e age, gender, taste, and psychological stat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media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zed concep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d) of controlling to provide sound and lighting.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A method of judging a brain state using body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determining a brain state using body information related to a user may be applied.

도 37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ecting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and additionally using it to determine a user's brain stat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7을 참조하면, 뇌 신호 측정부(10)의 뇌 신호 분석부(13)가 상기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7 , the brain signal analysis unit 13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selects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activation region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The extraction step (S300) is performed.

이때, S400 단계로 넘어가기 이전에,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20)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60)를 수행한다.In this case, before proceeding to step S400,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20 collects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S360).

또한, 진단부(400)는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과 더불어 S360 단계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00)를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iagnosis unit 400 determines the user's brain state by using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360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continuously extra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400) will perform

이하에서는, S360 단계와 관련된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d to step S360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rst, FIG. 3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hearing impairment degree and additionally using it to determine a user's brain stat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을 참조하면, 전술한 S400은, 진단부(50)가 수집된 청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S410) 및 진단부(50)가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2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8 , in S400 described above,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the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of the user based on the collected auditory information ( S410 ) and the diagnosis unit 50 performs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determining the user's brain state by using the user's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together (S420).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청력 손상은, 난청에 의한 것이고, 진단부(50)는, 상기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좌우 순음 역치 평균값, 상기 사용자의 난청 정도 및 상기 청각 정보 수집부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s hearing loss is due to hearing loss, and the diagnosis unit 50 may collect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left and right pure tone thresholds of the user, the degree of hearing loss of the user,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dditionally, the user's brain state can be determined.

또한, 사용자의 청력 손상은, 이명에 의한 것이고, 진단부(50)는, 상기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좌우 순음 역치 평균값, 상기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상기 청각 정보 수집부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hearing impairment is due to tinnitus, and the diagnosis unit 50 additionally uses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left and right pure tone threshold values of the user, the degree of tinnitus of the user, and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related information.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또한, 금번 실시예의 경우, 뇌 신호 측정부(10)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may be performed while the user moves while the user's hearing damage occurs.

또한, 도 39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수집하는 걸음걸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보를 수집하는 스트레스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수집하는 심전도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수집하는 수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집중 정보를 수집하는 집중 정보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9 is a gai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gait information, the stres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stress information, the ECG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ECG information, the user It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brain state by additionally using a slee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sleep information of

도 39를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가, 사용자의 걸음걸이 정보,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보,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 사용자의 수면 정보 및 사용자의 집중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60)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9 ,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collects the user's gait information, the user's stress information, the user's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the user's sleep information, and the user's concentration information ( S360 ). .

이후, 진단부(50)는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 패턴, 스트레스 정도, 심전도 변화, 수면 상태 및 집중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S410)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at least one of the user's gait pattern, stress level, ECG change, sleep state, and concentration change (S410). carry out

이후, 진단부(50)는, 상기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 패턴, 스트레스 정도, 심전도 변화, 수면 상태 및 집중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20)를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the user's brain state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gait pattern, stress level, electrocardiogram change, sleep state, and concentration change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step (S420) is performed.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뇌 신호 측정부(10)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가 변화화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가 변화하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가 변화하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수면 조건이 변화하는 상태 및 상기 사용자의 집중력이 변화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10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gait chang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stress chang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electrocardiogram changes, and the user's In a situa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a state in which sleep conditions change and a state in which the user's concentration changes are applied,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ile the user moves.

또한, 도 40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한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Also, FIG. 4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brain state by additionally using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based on eye tracking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을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가, 사용자의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 랜드마크 마스킹 데이터 수집하여 비 접촉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60)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0 ,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collects the user's face landmark masking data based on the user's eye tracking and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in a non-contact manner. (S360) is performed.

이후, 진단부(50)는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20)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the user's brain state using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 S420 ).

또한, 도 4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성 변화를 기초로 한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brain state by additionally using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based on a voice chang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1을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는 사용자의 음성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60)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1 ,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collects the user's emotion chan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voice change ( S360 ).

이후, 진단부(50)는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20)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the user's brain state using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 S420 ).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A method of determining a brain state using a medical image related to a user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이용하여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determining a brain state using a medical image related to a user may be provided.

도 4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추가적으로 수집 및 활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user's brain state by additionally collecting and utilizing medical images related to the user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를 참조하면, 뇌 신호 측정부(10)의 뇌 신호 분석부(13)가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2 , the brain signal analysis unit 13 of the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10 extracts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activatio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to perform the step (S300).

이후,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30)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60)를 수행하고, S400 단계로 진입하기 이전에, 영상 획득부(40)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수집하는 단계(S370)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0 collects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 S360 ), and before entering the step S400 , the image acquisition unit 40 collects a medical image related to the user. step (S370) is performed.

S370 단계에서는, 사용자와 관련된 MRI 영상을 수집하는 MRI 영상 획득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CT 영상을 수집하는 CT 영상 획득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fMRI 영상을 수집하는 fMRI 영상 획득부 등이 활용될 수 있다.In step S370, an MRI image acquisition unit for collecting an MRI image related to the user, a CT image acquisition unit for collecting a CT image related to the user, an fMRI image acquisition unit for collecting an fMRI image related to the user, etc. may be utilized. .

이후, 진단부(50)가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00)를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the user's brain state by using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and the user-related medical image together ( S400 ).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How to provide feedback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st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in response to a user's brain state may be provided.

도 4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for improving a user's brain state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stat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3을 참조하면, 진단부(50)가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00)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3 , the diagnosis unit 50 determines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continuously extra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 S400 ).

이후, 관리부(60)가, 상기 진단부(50)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00)를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management unit 60,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state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50, provides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user's brain state (S500).

S500 단계과 관련하여, 도 44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뇌를 자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In relation to step S500, FIG. 4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timulating the brain to improve a user's brain stat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4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이내 상기 사용자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것으로 예측되는 단계(S410)가 진행된다.Referring to FIG. 44 , by applying a preset criterion, based on the user's brain state,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will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Step S410 is performed.

이해, 관리부(6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뇌 신호 자극부(20)가 상기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단계(S510)를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cond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unit 60 ,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20 may perform the step S510 of stimulating the user's brain.

이 이외에도 사용자의 상태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에 해당하는 경우, 현재 상태에 대한 판단을 기록하고, 추후 해당 장애의 변화를 트래킹하면서, 사용자의 뇌 건강 상태를 체크 및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f the user's condition corresponds to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user's brain health status is checked while recording the current status judgment and tracking changes in the disorder later and manage it.

본 발명에 따른 효과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활동하는 상태에서 뇌와 관련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여 피드백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llect brain-related signals while the user is active,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based on this, and give feedback.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뇌의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는 뇌 신호 획득부,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하는 뇌 신호 처리부 및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뇌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뇌 신호 측정부와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rradiates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brain, a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that detects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oxygenation of hemoglobin in the user's cerebral bloodstream based on the detected light Continuously with a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cluding a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brain signal analysis unit that extracts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activatio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including a diagnosis unit that determines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또한, 본 발명은,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뇌 신호 자극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system including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for stimulating a user's brain for a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각 정보를 수집하는 청각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수집하는 걸음걸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보를 수집하는 스트레스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수집하는 심전도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수집하는 수면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집중 정보를 수집하는 집중 정보 수집부, 사용자의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사용자의 얼굴 랜드마크 마스킹 데이터 수집하여 비 접촉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 사용자의 음성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 등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a gai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gait information, a stres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stress information, and the user's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llection unit, slee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 sleep information, intensiv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s intensive information, and user's face landmark masking data are collected based on user's eye tracking The user's brain state is further utilized by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in a contact manner, and a non-contact emotional change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voice chan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for precise judgmen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뇌 활성화 영역,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 및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uses an image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user-related medical images, and uses an artificial brain activation region,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and user-related medical images together to more precisely determine the user's brain state. An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하는 뇌 질환을 판단할 수 있는 진단부와 진단부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sponds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and the diagnosis unit that can determine the user's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diseases including brain tumors and developmental disorders, brain condition improve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including a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f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뇌 상태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이내 상기 사용자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위한 뇌 신호 자극부를 더 활용하는 시스템을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preset criterion, based on the user's brain state,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will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order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case,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state, a system that further utilizes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for stimulating the user's brai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 메커니즘 연구 결과로 활용 가능한데, 뇌영상 및 인지 능력 측정실험 설계를 통해, 비침습 진단 및 치료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활용이 가능하고, 뇌 구조 영상 및 뇌 기능 영상 실험을 통해, 뇌영상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반 마련 및 공유가 가능하며, 딥러닝 분석에 기반한 치료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최적의 치료 기법 도출 및 제안이 가능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result of a study on the mechanism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Through brain imaging and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experiment design, it is possible to develop and utilize a non-invasive diagnosis and treatment monitoring system, and through brain structure imaging and brain function imaging experiments, the brain It is possible to prepare and share the basis for building an image database, and it becomes possible to derive and propose an optimal treatment technique by identifying the treatment mechanism based on deep learning analysis.

또한,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 조기진단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한데, 망막 영상, 안과 질환 및 eye-tracking 등을 통해 비침습법 치매 진단 플랫폼 개발을 통해 조기 진단에 활용될 수 있고, 시간과 공간 제약 없이 실시간 진단을 통한 삶의 질 개선이 가능하며, 다른 뇌질환에 대한 새로운 분자 표적도 도출 할 수 있으며 해당 질환의 작용 기전 연구 및 조기 진단용으로 확장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early diagnosis platform for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can be utilized for early diagnosi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non-invasive dementia diagnosis platform through retina imaging, ophthalmic disease and eye-tracking, etc., and real-time diagnosis without time and space limitation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또한,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 광 치료·진단 통합 맞춤형 의료기기로 활용 가능한데, 퇴행성 뇌질환용 치료 플랫폼 상용화를 위한 시제품 구현이 가능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업체와 협업하여 의료기기 제품 상용화가 가능하며, ‘치매국가 책임제’의 지역 치매센터와의 연계를 통해 치료 의료기기의 활용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integrated customized medical device for phototherapy and diagnosis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prototype for commercialization of a treatment platform for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possible to commercialize medical device products by collaborating with compani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rapeutic medical devices by linking with local dementia centers under the 'National Dementia Responsibility System'.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분야 별 표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단계별 품질 검증을 통해 고품질의 AI 데이터 셋 확보가 가능하고, AI 기술개발에 필수적인 기반데이터를 제공하고 민간에서 AI 기술 발전에 따라 자생적으로 데이터를 확장, 개방하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pare standard guidelines for each field of data construction for AI learning, to secure high-quality AI data sets through step-by-step quality verification, to provide basic data essential for AI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follow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in the private sector. It is possible to create a virtuous cycle ecosystem that expands and opens data autonomous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퇴행성 뇌질환과 난청 치료의 관계를 규명함으로 뇌과학 분야를 선도할 수 있고, 뇌영상 데이터 분석 딥러닝 기법 연구 통한, 첨단 의료 영상 분석 분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ead the field of brain scienc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treatment for hearing loss, and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advanced medical image analysis through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analyzing brain image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침습 형태 효과적인 퇴행성 뇌질환 조기 진단 방법의 새롭고 독창적인 기술 확보가 가능하고, 뇌영상 및 인지능력 실험을 기반으로 한, 비침습 뇌질환 진단 및 치료 경과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new and original technology for an effective non-invasive method for early diagnosis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and development of a non-invasive brain disease diagnosis and treatment progress monitoring system based on brain imaging and cognitive ability experiments is possible.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매 질병 관련 사망률 감소, 치료율 증가, 치료비용 감소 효과를 통해 관련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노인들의 사회참여 활동 증가로 인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solving related social problems through the effects of reducing dementia disease-related mortality, increasing the treatment rate, and reducing treatment costs, and contributing to productivity improvement due to the increase in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출산 시대에 영유아 및 아동의 뇌전증, 뇌졸중, 뇌종양, 발달장애 등의 뇌질환 증가로 뇌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뇌질환 증상이 의심될 경우 예방 및 진단을 통해 뇌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ge of low fertility, if you have a brain disease or a brain disease symptom is suspected due to an increase in brain diseases such as epilepsy, stroke,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orders in infants and children, brain health status through prevention and diagnosis can be verif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뇌 신호 정로를 측정함에 있어, 웨어러블의 형태 및 아동친화적 디자인 제품이 적용됨으로써, 사용대상의 경험가치가 상승하고, 수면 및 마취제를 사용하지 않아 건강한 뇌발달을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easuring the brain signal path, the wearable type and child-friendly design product are applied, so that the experience value of the user is increased, sleep and anesthetics are not used, which can help healthy brain development.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대면 학습 및 감정 노동 분야 지원을 위해 멀티모달 감성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과 N차원의 감성 매핑 공간을 활용한 인간 중심의 인공지능 서비스인 감성교감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motional sympathy AI service, which is a human-centered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using a multi-modal emotional data network construction and N-dimensional emotional mapping space to support non-face-to-face learning and emotional labor fields.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회적 감성을 인식하고, 감성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 및 개인 감성 AI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비대면 학습 및 산업현장 지원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social emotions are recognized, the emotional data network is built and the personal emotional AI service is provided, and this can be used for non-face-to-face learning and industrial field support.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case of implementation by hardware,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driven by the processor.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processor by various known means.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a new claim by amendment after filing.

Claims (30)

뇌 신호 측정부의 뇌 신호 획득부가 사용자의 뇌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뇌의 대뇌 피질을 투과한 빛을 검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뇌 신호 처리부가 상기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뇌 신호 분석부가 상기 판단된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의 복수의 영역 중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진단부가 일정 기간 동안 연속하여 추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계의 뇌 신호 획득부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는,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제 3-5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청각 정보를 수집하는 청각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 정보를 수집하는 걸음걸이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보를 수집하는 스트레스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 정보를 수집하는 심전도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수면 정보를 수집하는 수면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의 집중 정보를 수집하는 집중 정보 수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수집된 청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 패턴, 스트레스 정도, 심전도 변화, 수면 상태 및 집중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 걸음걸이 패턴, 스트레스 정도, 심전도 변화, 수면 상태 및 집중력 변화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a first step of irradiating near-infrared rays to the user's brain by the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and detecting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erebral cortex of the brain;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by the brain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the degree of oxygenation of hemoglobin in the user's cerebral blood flow based on the detected light;

a third step of extracting, by the brain signal analysis unit of the brain signal measurement unit, at least one activated brain reg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of the user's brain based on the determined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and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by a diagnostic unit,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continuously extrac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acquisition unit of the first step is performed while the user is moving,

Between the third step and the fourth step,
Steps 3-5 of collecting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by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further comprising,

In steps 3-5,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An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a gait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gait information, a stres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stress information, and an electrocardiogram for collecting the user's electrocardiogram informa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 sleep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sleep information, and an intensiv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user's focused information,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tic unit,
Based on the collected auditory information, determin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hearing impairment degree, the user's gait pattern, stress level, ECG change, sleep state, and concentration change,
Artific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brain state is determined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hearing impairment degree, gait pattern, stress level, electrocardiogram change, sleep state, and concentration change and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together. A method of providing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검출된 빛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뇌 혈류 내의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와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헤모글로빈 산소화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step,
Based on the detected light, by extracting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and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in the user's cerebral blood flow, the degree of hemoglobin oxygenation is determined. metho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에서는,
상기 뇌 혈류 내의 산화 헤모글로빈에 의해 수송된 산소가 소비됨으로써,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가 감소하고, 상기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의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Oxygen transported by oxidized hemoglobin in the cerebral bloodstream is consumed, so that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decreases, and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increases in response to the decrease in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헤모글로빈 농도(Oxy Hb)와 상기 환원 헤모글로빈 농도(Deoxy Hb)는, 가시광 영역과 근적외광 영역에서 변화되는 광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뇌 신호 측정부는, 상기 근적외선 조사에 의한 근적외 분광법(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xidized hemoglobin concentration (Oxy Hb) and the reduced hemoglobin concentration (Deoxy Hb) have optical properties that change in a visible light region and a near-infrared light region,
In the first step,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through the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by the near-infrared irradiatio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collect the sign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뇌 신호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의 뇌 영역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로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이,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뇌 활성화 영역으로 변화되었는지 또는 상기 뇌 활성화 영역에서 비 활성화 영역으로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third step, the brain signal analysis unit,
dividing the user's brain region into a plurality,
AI-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is changed to the brain active region or changed from the brain active region to an inactive region by a predetermined time uni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일정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의 뇌 활성화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Based on the predetermined time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brain state is determined by using changes in brain activ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는,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복수의 분할된 뇌 영역 각각의 뇌 활성화 변화를 시간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Between the third step and the fourth step,
displaying, by the display unit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changes in brain activ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brain regions over tim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뇌 신호 측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헤드를 모두 덮는 풀 커버(full cover) 형태 또는 상기 사용자 헤드의 전면부에 밀착되는 전면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first step,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form of a full cover covering all of the user's head or in the form of a front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rt of the user's hea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전에,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을 위해, 뇌 신호 자극부가 상기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는 제 0.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ior to the first step,
a 0.5 step of stimulating the brain of the user by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for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0.5 단계는,
상기 뇌 신호 자극부의 뇌 활성화 장치가 일정 공간 내에서 미리 타겟팅 된 뇌 영역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강화하고, 상기 뇌 영역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도록, 다차원적인 환경적 자극을 가하는 (a)단계; 및
상기 뇌 신호 자극부의 관리 서버가, 상기 공간 내에서 상기 타겟팅 된 뇌 영역에 다차원적인 환경적 자극을 가하도록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b)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0.5 step is,
(a) step of applying multi-dimensional environmental stimuli so that the brain activation device of the brain signal stimulator intensively strengthens the activity of a pre-targeted brain region within a predetermined space and activates the function of the brain region; and
(b) controlling, by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the driving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to apply a multi-dimensional environmental stimulus to the targeted brain region in the space; based brain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a) 단계는,
미디어부가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서 연출하고자 하는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를 구현하는 단계;
음향부가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
조명부가 빛을 조사하거나 조명하는 단계; 및
향기 전달부가 향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e step (a) is,
implementing media art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to be produced by the media uni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outputting sound by the sound unit;
illuminating or illuminating the light; and
A fragrance delivery unit delivering a fragrance to the use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의 컨셉에 대응되는 복수의 미디어 정보와 음향 정보,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중에서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복수의 미디어 정보, 음향 파일과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와 프로그램에 따라 변경하도록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step (b),
management server,
A plurality of media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paces, and a database in which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is stored,
Selecting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media information, sound files and programs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from among various information and programs stored in the databas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to change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ormation and program A method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부는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아트를 구현하는 복수의 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각 미디어 모듈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아트를 투사하는 프로젝터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부는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복수의 음향 모듈을 포함하고,
각 음향 모듈은 음악이나 자연의 백색 소음을 포함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앰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edia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edia modules that implement media art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Each of the media modules includes a projector or a display panel for projecting media art including pictures or moving pictures,
The sound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ound modules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Each sound module comprises a speaker and an amplifier for outputting sound including music or natural white nois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각 공간의 컨셉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거나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모듈을 포함하고,
각 조명 모듈은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발생기, 빛을 조사하는 LED, 네온 조명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해서 구성되며,
상기 향기 전달부는 각 공간에서 배치된 자연물의 향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복수의 전달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달 모듈은 각 공간에 배치된 자연물에서 발생하는 향기 또는 자연물의 향기를 모방한 향기를 각 공간 내부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ing modules that irradiate or illuminate light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 each space,
Each lighting module is composed of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a laser generator that irradiates a laser, an LED that irradiates light, and a neon light,
The fragrance deliver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delivery modules that deliver the fragrance of natural objects arranged in each space to the user,
Each delivery module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lower that blows air to deliver a fragrance generated from a natural object disposed in each space or a fragrance that mimics the fragrance of a natural object to a user inside each space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는,
관리자의 조작에 기초해서 상기 뇌 활성화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관리자 단말이,
각 공간에 설치되는 각 모듈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정보 파일과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 파일과 프로그램에 따라 미디어, 음향, 조명 등을 선택된 주기적 또는 불규칙하게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c)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step (b),
A manager terminal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ain activation device based on the manager's operation,
Selec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information files and program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for each module installed in each space, and periodically or irregularly change media, sound, lighting, etc. according to the selected information file and program (c) controll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는,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연령, 성별, 취향, 심리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c)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연령, 성별, 취향, 심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에 기초해서 개인 맞춤형 컨셉에 대응되는 미디어, 음향, 조명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step (b),
A user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and inputting a manipulation command of the user inputs user information including age, gender, taste, and psychological state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input user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c) to do; and
(d) controlling the management server to determine the user's age, gender, taste, and psychological st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to provide media, sound, and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zed concep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의 청각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청각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수집된 청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판단하며,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정도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3-5,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of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collects the user's auditory information,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determines the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of the user based on the collected auditory information,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determines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degree of hearing impairment of the user together.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은, 난청에 의한 것이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좌우 순음 역치 평균값, 상기 사용자의 난청 정도 및 상기 청각 정보 수집부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user's hearing loss is due to hearing loss,
wherein the diagnosis unit additionally uses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left and right pure tone threshold values of the user, the degree of hearing loss of the user, and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related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brain state of the user How to provide brain information.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은, 이명에 의한 것이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 관련 신체 정보, 상기 사용자의 좌우 순음 역치 평균값, 상기 사용자의 이명 정도 및 상기 청각 정보 수집부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user's hearing impairment is due to tinnitus,
The diagnosis unit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brain state is determined by additionally using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left and right pure tone threshold values of the user, the degree of tinnitus of the user, and the auditory information collection unit-related information. How to provide brain information.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상이 발생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In the first step,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s performed while the user is moving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hearing loss has occurr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뇌 신호 측정부의 신호 수집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걸음걸이가 변화화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가 변화하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심전도가 변화하는 상태, 상기 사용자의 수면 조건이 변화하는 상태 및 상기 사용자의 집중력이 변화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ignal collection operation of the brain signal measuring unit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gait of the user chang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stress chang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electrocardiogram changes, a state in which the user's sleep condition changes,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while the user moves in a situation where at least one of the states in which the user's concentration changes is appli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아이 트래킹(Eye tracking)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 랜드마크 마스킹 데이터 수집하여 비 접촉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3-5,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collects the user's face landmark masking data based on the user's eye tracking and collects the user's emotional change information in a non-contact manner Emotion change collection unit; further comprising,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determines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emotion change information of the user toge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5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수집하는 비접촉식 감정 변화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 변화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3-5,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a non-contact emotion change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emotion change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hange in the user's voice; further comprising,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determines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and the emotion change information of the user toge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5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 사이에는, 영상 수집부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수집하는 제 3.7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뇌 활성화 영역,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신체 정보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tween step 3.5 and step 4, a step 3.7 of collecting, by an image collecting unit, a medical image related to the user; further comprising,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determines the brain state of the user by using the at least one brain activation region, the user-related body information, and the user-related medical image together. How to provide brain information.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7 단계의 상기 영상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MRI 영상을 수집하는 MRI 영상 획득부;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CT 영상을 수집하는 CT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fMRI 영상을 수집하는 fMRI 영상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image collection unit of step 3.7,
an MRI image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collect MRI images related to the user; a CT image acquisition unit for collecting CT images related to the user; and an fMRI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ollects fMRI images related to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뇌 질환을 판단하고,
상기 뇌 질환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ourth step, the diagnosis unit determines the user's brain disease,
The brain disease,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evelopmental disorder.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이후에는,
관리부가, 상기 진단부가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After the fourth step,
A fifth step of providing, by the management unit,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user's brain condi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brain condition determined by the diagnosis unit;
제 29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를 기반으로, 일정 기간 이내 상기 사용자가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뇌전증, 뇌종양 및 발달장애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관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뇌 상태 개선을 위해, 뇌 신호 자극부가 상기 사용자의 뇌를 자극하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30. The method of claim 29,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user will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dementia, Parkinson's disease, stroke, epilepsy, brain tumor, and developmental disorder within a certain period based on the user's brain state by applying a preset criterion,
The fifth step is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brain cond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unit,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imulating the user's brain by a brain signal stimulation unit.
KR1020200091206A 2020-07-22 2020-07-22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OF PROVIDING BRAIN INFORMATION KR1022882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206A KR102288267B1 (en) 2020-07-22 2020-07-22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OF PROVIDING BRAIN INFORMATION
KR1020210042264A KR102298943B1 (en) 2020-07-22 2021-03-31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informative method provides brain information determined when the user is in motion, and information for brain activation
US17/379,199 US20220022790A1 (en) 2020-07-22 2021-07-19 Ai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device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US17/379,239 US20220218268A1 (en) 2020-07-22 2021-07-19 Ai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EP21187036.5A EP3944257A1 (en) 2020-07-22 2021-07-21 Ai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JP2021121408A JP7323137B2 (en) 2020-07-22 2021-07-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206A KR102288267B1 (en) 2020-07-22 2020-07-22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OF PROVIDING BRAIN INFORM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264A Division KR102298943B1 (en) 2020-07-22 2021-03-31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informative method provides brain information determined when the user is in motion, and information for brain activ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267B1 true KR102288267B1 (en) 2021-08-11

Family

ID=773139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206A KR102288267B1 (en) 2020-07-22 2020-07-22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OF PROVIDING BRAIN INFORMATION
KR1020210042264A KR102298943B1 (en) 2020-07-22 2021-03-31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informative method provides brain information determined when the user is in motion, and information for brain activa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264A KR102298943B1 (en) 2020-07-22 2021-03-31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informative method provides brain information determined when the user is in motion, and information for brain activ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826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9319A (en) * 2021-11-08 2022-03-22 华南理工大学 fNIRS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graph network and adaptive denoising
CN114795117A (en) * 2022-04-14 2022-07-29 南开大学 Brain signal analysis method based on graph signal processing
CN115153554A (en) * 2022-08-17 2022-10-11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Cognitive load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WO2023101506A1 (en) * 2021-12-03 2023-06-08 서울대학교병원 Brain water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near-infrared spectroscopy
CN116756657A (en) * 2023-08-16 2023-09-15 成都信息工程大学 CNN and transducer-based fNIRS brain load detec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5282A1 (en) * 2022-10-20 2024-04-25 (주)오비이랩 Metho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personalized photo-stimulation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ing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385B1 (en) * 2009-11-30 2011-05-0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troubl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KR101295187B1 (en) 2012-01-20 2013-08-09 (주)가바플러스 Improvement-effect of brain-function system for dementia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KR20160058812A (en) 2013-09-20 2016-05-25 트랜스뮤럴 바이오테크, 에스.엘. Image analysis techniques for diagnosing diseases
KR20160121348A (en) * 2015-04-09 2016-10-1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effective channel of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KR101754291B1 (en) 2017-04-04 2017-07-06 이현섭 Medic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status determination
KR101768393B1 (en) 2016-09-27 2017-08-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Individual brain function measuring apparatus abnormality part using EEG
KR20190012089A (en)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창 헬스케어 Device for light stimulating a brain
KR20190101951A (en) * 2016-06-07 2019-09-02 뉴로스티어 엘티디.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brain activity and their applications
KR20190114303A (en) * 2018-03-29 2019-10-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cognitive function test
JP2020103879A (en) * 2018-12-27 2020-07-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iological measurement method, map data generation method, program,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biological measurement devic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385B1 (en) * 2009-11-30 2011-05-0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troubl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KR101295187B1 (en) 2012-01-20 2013-08-09 (주)가바플러스 Improvement-effect of brain-function system for dementia prevention and method thereof
KR20160058812A (en) 2013-09-20 2016-05-25 트랜스뮤럴 바이오테크, 에스.엘. Image analysis techniques for diagnosing diseases
KR20160121348A (en) * 2015-04-09 2016-10-19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effective channel of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KR20190101951A (en) * 2016-06-07 2019-09-02 뉴로스티어 엘티디.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brain activity and their applications
KR101768393B1 (en) 2016-09-27 2017-08-1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Individual brain function measuring apparatus abnormality part using EEG
KR101754291B1 (en) 2017-04-04 2017-07-06 이현섭 Medic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brain disease diagnosis and status determination
KR20190012089A (en)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창 헬스케어 Device for light stimulating a brain
KR20190114303A (en) * 2018-03-29 2019-10-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cognitive function test
JP2020103879A (en) * 2018-12-27 2020-07-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Biological measurement method, map data generation method, program,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biological measurement de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9319A (en) * 2021-11-08 2022-03-22 华南理工大学 fNIRS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graph network and adaptive denoising
CN114209319B (en) * 2021-11-08 2024-03-29 华南理工大学 fNIRS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graph network and self-adaptive denoising
WO2023101506A1 (en) * 2021-12-03 2023-06-08 서울대학교병원 Brain water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near-infrared spectroscopy
CN114795117A (en) * 2022-04-14 2022-07-29 南开大学 Brain signal analysis method based on graph signal processing
CN114795117B (en) * 2022-04-14 2024-05-14 南开大学 Brain signal analysis method based on graph signal processing
CN115153554A (en) * 2022-08-17 2022-10-11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Cognitive load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N116756657A (en) * 2023-08-16 2023-09-15 成都信息工程大学 CNN and transducer-based fNIRS brain load detection method
CN116756657B (en) * 2023-08-16 2023-11-17 成都信息工程大学 CNN and transducer-based fNIRS brain load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943B1 (en)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267B1 (en)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OF PROVIDING BRAIN INFORMATION
KR102298940B1 (en)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device provides brain information determined when the user is in motion, and information for brain activation
US119748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brain activity and applications thereof
Schmidt et al. Wearable affect and stress recognition: A review
KR102388596B1 (en) device and method that collect signals related to the brain in an active state and provide digital therapeutics information
US114003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 invasive and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JP73231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Zhang et al. Reaction time and physiological signals for stress recognition
KR102211050B1 (en)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USING MEDICAL IMAGING INFORMATION
Sundaravadivel et al. i-rise: An iot-based semi-immersive affective monitoring framework for anxiety disorders
KR102211051B1 (en)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DE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IMPROVE BRAIN ACTIVATION
KR102211048B1 (en)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USING AUDITORY INFORMATION
KR102222335B1 (en)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DEVICE THAT PROVIDES BRAIN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WHILE THE USER IS IN MOTION
KR102211049B1 (en)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ING BIOMETRIC INFORMATION
KR102211030B1 (en) AI(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BRAI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USING BRAIN STIMULATION
CN115335102B (en) Method, system and brain keyboard for generating feedback in brain
Russo et al. Analyzing EEG patterns in young adults exposed to different acrophobia levels: a VR study
Katmah Stress Management Using Physiological Signals and Audio Stimulation
Walvekar et al. Recent Advanc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Zou Towards Emotionally Intelligent Buildings: An Integrated Approach to Quantify Human Emotions in Designed Spaces
Villarroel et al. Wireless smart environment in Ambient Assisted Living for people that suffer from cognitive dis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