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452B1 - How to enter invoice information at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How to enter invoice information at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452B1
KR102287452B1 KR1020190109586A KR20190109586A KR102287452B1 KR 102287452 B1 KR102287452 B1 KR 102287452B1 KR 1020190109586 A KR1020190109586 A KR 1020190109586A KR 20190109586 A KR20190109586 A KR 20190109586A KR 102287452 B1 KR102287452 B1 KR 10228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invoice information
mobile device
interworking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8457A (en
Inventor
유시연
Original Assignee
유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시연 filed Critical 유시연
Priority to KR1020190109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452B1/en
Publication of KR20210028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4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4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키오스크의 송장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을 발송하는 키오스크에서 요구하는 송장정보를 모바일 기기에서 입력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택배 배송이 요구되는 물품의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키오스크에서 키오스크의 고유정보, 연동서버의 인터넷주소 및 인증키가 포함된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키오스크의 고유정보와 인증키를 상기 연동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QR 코드를 촬영한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연동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연동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한 상기 연동서버로부터 요구받은 송장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송장정보를 상기 연동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동서버에서 제공받은 상기 송장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in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required by a kiosk for sending goods in a mobile device.
To this end, the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of goods requiring courier delivery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QR code includ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the Internet address of the interworking server, and an authentication key in the kiosk, and authenticat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providing a key to the interworking server; accessing the interworking server by using the Internet address of the interworking server in the mobile device that has photographed the QR code; receiving invoice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accessed from the mobile device, and providing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er; and providing the in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to the kiosk.

Figure 112019091209386-pat00001
Figure 112019091209386-pat00001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키오스크의 송장정보 입력 방법{How to enter invoice information at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How to enter invoice information at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키오스크의 송장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을 발송하는 키오스크에서 요구하는 송장정보를 모바일 기기에서 입력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in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required by a kiosk for sending goods in a mobile device.

일반적으로 택배 서비스는 구매 또는 전달하고자 하는 물품을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요청하는 장소까지 배달해주는 운송 서비스이다.In general, a courier service is a transportation service that delivers goods to be purchased or delivered to a requested place quickly and safely.

최근에는 가족 규모가 소형화되고 1인 가구도 증가함에 따라 노약자, 여성이나 아이와 같은 사회적인 약자가 혼자 택배를 수령하는 경우가 있고 택배를 가장한 범죄로 인하여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택배 서비스는 신속하면서 안전하게 배달하는 것이 주목적이지만 배달장소에 아무도 없는 경우 물품 배달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관 앞에 두고 가거나 옆집, 경비실, 또는 관리실 등에 대리 보관하게 된다.Recently, as the size of the family has been reduced and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elderly, women or children may receive packages alone, and there are social problems due to crimes disguised as couriers. In addition, the main purpose of the courier service is to deliver quickly and safely, but when there is no one at the delivery place, the delivery of goods is delayed.

또한, 택배 발송 역시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택배 발송은 택배 기사가 물품을 수거하고, 송장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무인으로 물품을 수거하는 시스템에 의해 물품이 발송되고 있다. 일 예로 우체국이나 편의점에 설치된 무인 택배장치를 구성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물품의 발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addition, courier delivery is also evolving into various forms. In general, in courier delivery, a courier collects goods and delivers an invoice to a user. However, recently, goods are being sent by a system that collects goods unmanned. For example, goods are shipped using a kiosk constituting an unmanned delivery device installed at a post office or a convenience store.

이 경우 이용자는 키오스크의 터치스크린이나 물리적 버튼을 조작하여 택배 배송이 요구되는 택배물품의 송장정보를 입력한다. 하지만,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송장정보를 입력할 경우, 키오스크의 각도 및 키패드 자판 배열에 따라 송장정보의 입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송장정보 입력시 대기하고 있는 타 이용자의 시선에 의해 무인시스템에서 물품 발송에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user operates the touch screen or physical button of the kiosk to input the invoice information of the parcel delivery required for delivery. However, when a user directly inputs invoice information using a kiosk, the reality is that it is difficult to input invoice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kiosk and the arrangement of the keypad keyboard. In addition, there are complaints about the inconvenience of sending goods in the unmanned system due to the gaze of other users who are waiting when entering invoice inform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908950호(발명의 명칭: 통합 택배 운영 시스템 및 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08950 (Title of Invention: Integrated courier operation system and method)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4296호(발명의 명칭: 택배함의 식별번호를 이용한 택배 보관과 수령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택배함)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8-0034296 (Title of the invention: method of storing and receiving parcels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arcel box and the delivery box used therefo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택배 발송이 요구되는 물품의 송장정보를 간편하게 입력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conveniently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of goods that require delivery by courie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택배 발송이 요구되는 물품의 송장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to input invoice information of goods that require delivery by courie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키오스크에서 요구하는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kiosk using another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키오스크에서 필요한 송장정보를 모바일 기기에서 입력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required at a kiosk in a mobile devi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택배 배송이 요구되는 물품의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키오스크에서 키오스크의 고유정보, 연동서버의 인터넷주소 및 인증키가 포함된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키오스크의 고유정보와 인증키를 상기 연동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QR 코드를 촬영한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연동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연동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한 상기 연동서버로부터 요구받은 송장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송장정보를 상기 연동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동서버에서 제공받은 상기 송장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of goods requiring courier delivery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QR code includ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the Internet address of the interworking server, and an authentication key in the kiosk, and authenticat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providing a key to the interworking server; accessing the interworking server by using the Internet address of the interworking server in the mobile device that has photographed the QR code; receiving invoice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accessed from the mobile device, and providing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er; and providing the in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to the kiosk.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택배 배송이 요구되는 물품의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서 비콘 모듈에서 송신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비콘 신호에 포함된 비콘 모듈의 고유정보를 연동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연동서버로부터 상기 비콘모듈과 매칭되는 키오스크의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연동서버로 제공할 송장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송장정보를 상기 연동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동서버에서 제공받은 상기 송장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of goods requiring courier deli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when receiving a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a beacon module in a mobile device, driving an installed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driven, the mobile device provid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eacon module included in the beacon signal to an interworking server, receiving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osk matching the beacon module; receiving invoice information to be provided from the mobile device to the interworking server, and providing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er; and providing the in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to the kiosk.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키오스크 송장정보 입력 방법은 키오스크의 터치스크린이나 키패드를 이용하지 않고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택배 배송이 요구되는 물품의 송장정보를 입력하여 키오스크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송장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미리 송장정보를 입력하여 모바일 기기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송장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kiosk invoice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osk by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of goods requiring courier delivery using a mobile device without using the touch screen or keypad of the kiosk and providing it to the kiosk,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You can enter invoice information. In addition, if necessary, since the invoice information can be input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mobile device, the time required to input the invoice information can be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동서버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1 illustrates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system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work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system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rough thes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에 형성된 키패드는 모바일 기기의 문자 입력과 상이하며, 따라서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keypad formed in the kiosk is different from the text input of the mobile device,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put invoice information using the kiosk.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user's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안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안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1 illustrates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

도 1에 의하면, 송장정보의 입력이 요구되는 키오스크는 QR 코드를 생성하며, 모바일 기기는 생성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이동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kiosk that requires input of invoice information generates a QR code, and the mobile device takes the generated QR code and moves to a web page where invoice information can be input.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에 송장정보를 입력한 후 전송 버튼을 조작하면, 송장정보는 연동서버로 제공되며, 연동서버는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키오스크로 제공한다. 키오스크는 연동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키오스크에서 요구하는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When the user inputs invoice information into the mobile device and operates the send button, the invoic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linked server, and the linked server provides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to the kiosk. The kiosk displays the in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kiosk using a mobile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2 illustrates a system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system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에 의하면,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200)은 모바일 기기(202), 키오스크(204) 및 연동서버(206)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ystem 200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includes a mobile device 202 , a kiosk 204 , and an interworking server 206 .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키오스크(204)는 표시부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키오스크(204)는 사용자에 의해 송장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키오스크(204)를 이용하여 물품 배송을 요구하는 사용자는 키오스크(204)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키오스크(204)는 표시부에 QR 코드를 표시하며, QR 코드는 송장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QR 코드는 연동서버(206)의 URL 주소(인터넷 주소)를 포함한다.The kiosk 204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module. The kiosk 204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by a us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information. A user requesting product delivery using the kiosk 204 generally uses the kiosk 204 to input invoice information. However, the kiosk 204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QR code on the display unit, and the QR code includes an Internet address where invoice information can be inpu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QR code includes a URL address (Internet address) of the interworking server 206 .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202)를 이용하여 키오스크에 표시되는 QR 코드를 촬영한다. 모바일 기기(202)가 촬영한 QR 코드는 연동서버(206)의 인터넷 주소가 포함되며, QR 코드를 촬영한 모바일 기기(202)는 연동서버(206)로 접속한다.The user uses the mobile device 202 to photograph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kiosk. The QR code photographed by the mobile device 202 includes the Internet address of the interworking server 206 , and the mobile device 202 photographing the QR code connects to the interworking server 206 .

연동서버(206)에 접속한 모바일 기기(202)는 연동서버에서 요청하는 송장정보를 입력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연동서버(206)에 접속한 모바일 기기(202)는 송장정보의 입력이 요구되는 송장정보 입력창이 표시되며, 표시된 송장정보 입력창에 송장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거나, 저장된 송장정보를 송장정보 입력창에 송장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저장된 송장정보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할 경우, 송장정보를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mobile device 202 accessing the interworking server 206 inputs invoic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interworking server. In other words, the mobile device 202 connected to the interworking server 206 displays an invoice information input window that requires input of invoice information, and sequentially enters invoice information in the displayed invoice information input window or stores stored invoice information. You can enter invoice information in the invoice information input window. When the invoice information is input using the stored invoice information, the time required to input the invoice information can be shortened.

송장정보는 수취인 정보, 수령인 정보, 물품 정보 및 기타 필요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202)에 송장정보 입력창에서 요구하는 송장정보를 입력한다. 송장정보를 입력한 후 전송버튼(또는 확인버튼)을 조작하면, 모바일 기기(202)는 입력된 송장정보를 연동서버(206)로 제공한다.Invoice information includes recipient information, recipient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other necessary information. The user inputs invoice information requested in the invoice information input window into the mobile device 202 . If a transmission button (or a confirmation button) is operated after inputting the invoice information, the mobile device 202 provides the input invoice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er 206 .

연동서버(206)는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키오스크(204)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연동서버(206)는 키오스크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제공한다. 연동서버(206)는 후술할 인증키를 제공한 키오스크 정보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제공할 키오스크를 구별할 수 있다.The interworking server 206 provides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to the kiosk 204 . To this end, the interworking server 206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osk, and provides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using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The interworking server 206 may distinguish a kiosk to provide invoice information using kiosk information that provides an authentication ke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키오스크(204)는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표시된 송장정보 입력창에 입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QR 코드에 포함되는 정보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The kiosk 204 inputs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into the displayed invoice information input window.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user's mobile device. Hereinafter,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will be described.

QR 코드는 인증키를 포함하며, 인증키는 키오스크의 위치정보(고유정보) 및 생성된 연동서버의 URL 주소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인증키는 QR코드의 복제 방지를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 QR 코드는 복제 방지를 위해 설정된 주기 단위로 새로 생성된다. 키오스크에서 생성한 QR 코드는 인증키를 포함하며, 생성된 인증키는 키오스크의 고유정보와 함께 연동서버로 전송한다.The QR code includes an authentication key, and the authentication key is gener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and the URL address of the generated interworking server. The authentication key is used to prevent copying of the QR code. The QR code is newly generated in a cycle unit set for copy protection. The QR code generated by the kiosk includes an authentication key, and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key is transmitted to the interworking server together with the kiosk's unique information.

즉, 키오스크(204)는 생성된 인증키를 연동서버(206)로 전송하며, 이와 동시에 QR 코드에 포함시킨다. QR 코드를 이용하여 연동서버(206)에 접속한 모바일 기기에 대해서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유효성 여부를 판단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연동서버(206)에 접속한 모바일 기기(202)는 인증키 또는 인증키가 포함된 정보를 연동서버(206)로 제공하며, 연동서버(206)는 모바일 기기(202)로부터 제공받은 인증키와 키오스크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 인증키를 비교하여 유효성 여부를 판단한다.That is, the kiosk 204 transmits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key to the interworking server 206, and at the same time includes it in the QR code. For a mobile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working server 206 using a QR code, validity is determined using an authentication key. In detail, the mobile device 202 connected to the interworking server 206 provides an authentication key or information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key to the interworking server 206, and the interworking server 206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202. The validity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provided authentication key with the authentication key provided and stored from the kiosk.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키오스크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kio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에 의하면, 키오스크는 표시부, 입력부,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키오스크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kiosk includes a display unit, an in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module.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kiosk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표시부(204a)는 송장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입력창이 표시되며, 또한, 제어모듈에 의해 생성된 QR 코드가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QR 코드는 일정 주기 단위로 재 생성되며, 재 생성된 QR 코드는 표시부(204a)에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204a displays an input window that can use invoice information, and also displays a QR code generated by the control module. As described above, the QR code is regenerated in units of a certain period, and the regenerated QR c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4a.

표시부(204a)는 모바일 기기에서 입력한 송장정보를 연동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부(204a)에 표시된 송장정보를 확인한 후 이후 절차를 진행한다.The display unit 204a receives the invoi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mobile device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and displays it. After checking the invoic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4a, the user proceeds with the subsequent procedure.

입력부(204b)는 터치스크린 또는 키버튼으로 형성되며, 택배 발송을 요청하는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택배 발송을 요청하는 버튼이 조작되면, 이에 대한 정보가 제어모듈(204e)로 제공된다. 물론 사용자는 키오스크에 포함된 입력부(204b)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04b is formed of a touch screen or a key button, and includes a button for requesting delivery.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button for requesting delivery, information about this is provided to the control module 204e. Of course, the user may input invoice information using the input unit 204b included in the kiosk.

통신부(204c)는 제어모듈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연동서버로 제공한다. 또한, 통신부(204c)는 제어모듈(204e)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연동서버로부터 제공받는다.The communication unit 204c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 modul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04c receives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 module 204e.

통신부(204c)는 연동서버로부터 모바일 기기가 입력한 송장정보를 제공받는다. 통신부(204c)는 송장정보의 일부만을 연동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부(204c)는 연동서버로 인증키를 제공하거나, 인증키를 연동서버에서 생성하는 경우에는 연동서버에서 인증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4c receives invoice information input by the mobile device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The communication unit 204c may receive only a part of the invoice information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The communication unit 204c may provide the authentication key to the interworking server, or may receive the authentication key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when the authentication key is generated by the interworking server.

부연하여 설명하면, 인증키를 연동서버에서 생성하는 경우에는 연동서버가 키오스크로 제공하며, 키오스크에서 생성하는 경우에는 키오스크가 연동서버로 생성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authentication key is generated by the interworking server, the interworking server provides it to the kiosk, and when the authentication key is generated at the kiosk, the kiosk generates it as the interworking server.

저장부(204d)는 키오스크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제어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204d)는 키오스크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연동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204d)는 QR 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QR 코드는 인증키를 포함하며, 연동서버의 URL 정보를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204d stores control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kiosk. The storage unit 204d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osk, and stores the in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The storage unit 204d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to generate a QR code. As described above, the QR code includes an authentication key and includes URL information of the interworking server.

제어모듈(204e)은 사용자로부터 택배 발송이 요구되는 경우, QR 코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QR 코드를 표시부(204a)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모듈(204e)은 일정 시간간격으로 QR 코드를 생성하며, 이 경우 상이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생성한다.The control module 204e generates a QR code when a parcel delivery is requested from the user, and controls to display the generated QR code on the display unit 204a.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odule 204e generates a QR code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in this case, generates a QR code using a different authentication key.

제어모듈(204e)은 QR 코드의 생성에 이용한 인증키를 연동서버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연동서버는 키오스크로부터 제공받은 인증키를 이용하여 접속을 요청한 모바일 기기가 정당한 모바일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The control module 204e controls to provide the authentication key used to generate the QR code to the interworking server. The interworking server uses the authentication key provided from the kiosk to check whether the mobile device requesting access is a legitimate mobile device.

제어모듈(204e)은 연동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표시부(204a)에 표시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확인 버튼의 조작에 따라 표시된 송장정보의 오류 여부를 최종 확인받게 된다.The control module 204e controls to display the in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on the display unit 204a, and finally receives whether the displayed invoice information is in erro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confirmation button.

물론 제어모듈(204e)은 사용자가 표시된 송장정보의 정정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QR 코드를 재 생성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어모듈(204e)은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Of course, the control module 204e regenerates the QR code when the user requests correction of the displayed invoi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04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various control operations.

제어모듈(204e)은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한다고 요청한 경우에는 연동서버에 접속하여 모바일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송장정보가 있는 지 확인한다. When the user requests to input invoice information using the mobile device, the control module 204e connects to the interworking server and checks whether there is in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는 자주 사용하는 송장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송장정보를 연동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미리 송장정보를 모바일 기기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택배 발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frequently used invoice information, and may provide the stored invoice information to an interworking server. In this case, since the user can store the invoice information in the mobile device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delivery of the parcel.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동서버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연동서버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4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work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work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에 의하면, 연동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연동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4, the interworking serv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module.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interworking serv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통신부(206a)는 키오스크 또는 모바일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06a)는 키오스크로부터 키오스크의 식별자 및 인증키를 제공받는다. 통신부(206a)는 키오스크로 송장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동서버에서 인증키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연동서버에서 키오스크로 인증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6a communicates with a kiosk or a mobile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206a receives the kiosk identifier and authentication key from the kiosk. The communication unit 206a provides invoice information to the kiosk.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thentication key is generated by the interworking server, the authentication key may be provided by the interworking server to the kiosk.

통신부(206a)는 모바일 기기로 송장정보를 제공받는다. The communication unit 206a receives invoic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저장부(206b)는 키오스크로부터 제공받은 키오스크의 식별자 및 인증키를 저장한다. 저장부(206b)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저장한다. 이외에도 저장부(206b)는 연동서버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제어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06b stores the identifier and the authentication key of the kiosk provided from the kiosk. The storage unit 206b stores the in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device.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06b stores various programs and control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interworking server.

제어모듈(206c)은 연동서버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모듈(206c)은 인증키를 이용하여 접속을 시도한 모바일 기기가 유효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206c)은 키오스크로부터 제공받은 인증키와 접속을 시도한 모바일 기기의 인증키를 비교한다. The control module 206c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terworking server. The control module 206c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device that has attempted to access using the authentication key is a valid user. To this end, the control module 206c compares the authentication key provided from the kiosk with the authentication key of the mobile device attempting to connect.

제어모듈(206c)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키오스크로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이외에도 제어모듈(206c)은 연동서버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 module 206c requests to provide the in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device to the kiosk.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06c performs various operations for driving the interworking server.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5 illustrates a system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system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invoice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에 의하면,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500)은 모바일 기기, 키오스크 및 연동서버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 system 500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includes a mobile device, a kiosk, and an interworking server.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for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키오스크(504)는 표시부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키오스크(504)는 사용자가 송장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키오스크(504)를 이용하여 물품 배송이 요구되는 사용자는 키오스크(504)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키오스크(504)에 입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The kiosk 504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module. The kiosk 504 includes an input unit for a user to input invoice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information. A user who is required to deliver goods using the kiosk 504 generally uses the kiosk 504 to input invoice inform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into the kiosk 504 using Bluetooth.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50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모바일 기기(502)는 키오스크(504)에서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모바일 기기(502)는 수신된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연동서버로부터 키오스크(504)의 정보를 수신한다. 물론 모바일 기기(502)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The user runs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502 . The mobile device 502 in which the application is driven receives a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iosk 504 . The mobile device 502 in which the application is driven receives information of the kiosk 504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using the received beacon signal. Of course, when the mobile device 502 receives the beacon signal, the installed application may be driven.

모바일 기기(502)는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하며, 입력한 송장정보를 연동서버(506)로 제공한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502)는 비콘 신호를 발신한 비콘 모듈의 고유정보를 연동서버(506)로 제공한다. 물론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모바일 기기(502)는 연동서버(506)에 접속하여 비콘 모듈의 고유정보를 먼저 제공한 이후 입력받은 송장정보를 연동서버(506)로 제공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502 inputs invoice information using the driven application, and provides the input invoice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er 506 .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502 provid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eacon module that has transmitted the beacon signal to the interworking server 506 . Of course, the mobile device 502 in which the application is driven may connect to the interworking server 506 , provide unique information of the beacon module first, and then provide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er 506 .

송장정보는 수취인 정보, 수령인 정보, 물품 정보 및 기타 필요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에 송장정보를 입력한다. 송장정보를 입력한 후 전송 버튼을 조작하면, 모바일 기기에 입력된 송장정보는 연동서버로 제공된다.Invoice information includes recipient information, recipient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and other necessary information. The user inputs invoice information into the mobile device. If the send button is operated after inputting the invoice information, the in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obile device is provided to the interworking server.

송장정보를 제공받은 연동서버(506)는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키오스크(504)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연동서버(506)는 키오스크의 고유정보와 비콘 모듈의 고유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며, 비콘모듈의 고유정보와 키오스크(504)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키오스크(504)로 제공한다.The interworking server 506 that has received the invoice information provides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to the kiosk 504 . To this end, the interworking server 506 matches and stor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eacon module, and provides invoice information to the kiosk 504 us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eacon module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504. .

모바일 기기(502)는 비콘 신호를 송신한 비콘 모듈의 고유정보를 연동서버(506)로 제공하며, 연동서버(506)로부터 제공받은 비콘 모듈의 고유정보와 매칭된 키오스크의 고유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고유정보를 갖는 키오스크(504)로 송장정보를 제공한다. The mobile device 502 provide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eacon module that has transmitted the beacon signal to the interworking server 506, and extracts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matched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eacon module provid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506, Invoic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kiosk 504 having the extracted unique information.

물론 연동서버(506)는 비콘 모듈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504)의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된 키오스크의 위치정보를 모바일 기기(502)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에 표시된 키오스크의 위치정보를 확인한 이후에 필요한 송장정보를 모바일 기기(502)에 입력한다.Of course, the interworking server 506 may use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beacon module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kiosk 504 , and provide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osk to the mobile device 502 . After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kiosk displayed on the mobile device, the user inputs necessary invoice information into the mobile device 502 .

키오스크(504)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송장정보를 입력한다고 요청한 경우에는 연동서버(506)에 접속하여 모바일 기기(502)로부터 제공받은 송장정보가 있는 지 확인한다.When the user requests to input invoice information using the mobile device, the kiosk 504 accesses the interworking server 506 and checks whether there is invo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device 502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200, 500: 송장정보 입력 시스템 202, 502: 모바일 기기
204, 504: 키오스크 206, 506: 연동서버
200, 500: Invoice information input system 202, 502: Mobile device
204, 504: kiosk 206, 506: interworking server

Claims (6)

택배 배송이 요구되는 물품의 송장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키오스크에서 키오스크의 고유정보, 연동서버의 인터넷 주소 및 인증키가 포함된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키오스크의 고유정보와 인증키를 상기 연동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QR 코드를 촬영한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 연동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연동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한 상기 연동서버로부터 요구받은 송장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송장정보를 상기 연동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동서버에서 제공받은 상기 송장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키오스크는 제공받은 송장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복제 방지를 위해 상이한 인증키가 포함된 상기 QR 코드는 설정된 주기 단위로 재 생성되며,
상기 연동서버는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제공받은 인증키와 접속을 요구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유효성을 확인하며,
상기 키오스크는 표시한 송장정보의 정정이 요청되면, 상기 QR 코드를 재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장정보 입력 방법.
In the method of inputting invoice information of goods that require courier delivery,
generating a QR code includ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an Internet address of an interworking server, and an authentication key in the kiosk, and providing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and an authentication key to the interworking server;
accessing the interworking server by using the Internet address of the interworking server in the mobile device that has photographed the QR code;
receiving invoice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accessed from the mobile device, and providing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er;
providing the in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rworking server to the kiosk; and
The kiosk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ceived invoice information,
The QR code with different authentication keys to prevent copying is regenerated in a set cycle unit,
The interworking server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mobile device using the authentication key provided from the kiosk and the authentication key provided from the mobile device requesting access,
Invoice information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kiosk regenerates the QR code when a correction of the displayed invoice information is reques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는 상기 키오스크의 고유정보 및 연동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이용하여 생성하며,
생성된 인증키는 상기 QR 코드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장정보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hentication key is generated us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kiosk and an Internet address of an interworking server,
Invoice information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ed authentication key is included in the QR co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송장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송장정보를 표시된 송장정보 입력창에 입력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송장정보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invoic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comprises:
Invoice information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vo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is input to the displayed invoice information input window.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09586A 2019-09-04 2019-09-04 How to enter invoice information at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 KR1022874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86A KR102287452B1 (en) 2019-09-04 2019-09-04 How to enter invoice information at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86A KR102287452B1 (en) 2019-09-04 2019-09-04 How to enter invoice information at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57A KR20210028457A (en) 2021-03-12
KR102287452B1 true KR102287452B1 (en) 2021-08-06

Family

ID=7517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586A KR102287452B1 (en) 2019-09-04 2019-09-04 How to enter invoice information at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4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717B1 (en) 2023-03-03 2023-10-13 (주) 비지에프네트웍스 Method of providing courier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91577A (en) * 2020-12-09 2022-06-21 株式会社リコー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599A (en) * 2011-02-15 2012-08-2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Kiosk system based on mobile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337041B1 (en) * 2011-09-30 2013-12-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ontrol system for KIOSK
KR101493589B1 (en) * 2013-03-06 2015-02-16 이명덕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Delivery Commodities Service
KR101902548B1 (en) * 2017-01-20 2018-11-22 이규동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rcel delivery box using beacon
KR20180034296A (en) 2017-12-14 2018-04-04 주식회사 바로서비스 Method for keeping and receiving a parcel using identification number of custody box and custody box used therewith
KR101908950B1 (en) 2018-05-31 2018-10-17 주식회사 한로지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ourier ope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717B1 (en) 2023-03-03 2023-10-13 (주) 비지에프네트웍스 Method of providing courier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57A (en)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82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443024B2 (en) Authentication of a client
CN1933402B (en) Data delivery apparatus and data delivery method
US20130018797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JP2006268689A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uthentication device, web server, and driving method and driving program therefor
KR102287452B1 (en) How to enter invoice information at a kiosk using a mobile device
US201901160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via a network
CN103119975A (en) User account recovery
KR20140053913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uthentication of users of a hybrid terminal
JP2005032238A (en) Remote access system and method
US20200286607A1 (en) Prescription data verification
US20060265596A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storage medium that stores a user authentication program, and service equipment
JP2007148471A (en) Service notification system
US20150249578A1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938004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network device
US9705861B2 (en) Method of authorizing a person, an authorizing architectur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2005037A (en) Website login method and website login system
JP2007011756A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its system
CN113015138A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information sharing
JP4228762B2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S11373473B2 (en) Self-directed access card issuance system
US20220278840A1 (en)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utilization control device, user terminal, utiliz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CZ2017165A3 (en) User authentication to third-party applications using a mobile device
KR101266415B1 (en) System for authorizing electronic payment
EP26641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losing personal network information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