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283B1 - Safety door handles for toddlers - Google Patents

Safety door handles for toddl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283B1
KR102287283B1 KR1020210063632A KR20210063632A KR102287283B1 KR 102287283 B1 KR102287283 B1 KR 102287283B1 KR 1020210063632 A KR1020210063632 A KR 1020210063632A KR 20210063632 A KR20210063632 A KR 20210063632A KR 102287283 B1 KR102287283 B1 KR 102287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auxiliary lever
handle
safety doo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준서
Original Assignee
강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서 filed Critical 강준서
Priority to KR102021006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2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2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oor handle for toddlers of a new structure that allows the door handle to be operated to open the door when the toddler operates an auxiliary lever par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oor handle for toddlers comprising: a ring part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door handle; an adjustment part which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ing part to adjust the length; an auxiliary lev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adjustment par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and the auxiliary lever part to operate the door handl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lever part.

Description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SAFETY DOOR HANDLES FOR TODDLERS}SAFETY DOOR HANDLES FOR TODDLERS

본 발명은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의 손잡이로부터 유아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보조레버부를 문의 일면에 부착시켜 유아가 보조레버부를 작동하면 문의 손잡이도 작동하여 문을 열 수 있게 한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by attaching the auxiliary lever to one side of the door at a position that can be reached by infants from the door handle, when the infant operates the auxiliary lever, the door handle also operates to open the door It is about a child safety door handle that made it possible.

일반적으로 도어손잡이는 어른이 여닫을 수 있도록 어른 신장에 맞게 출입문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지는 것으로서, 도어손잡이부에 손이 닿지 않는 키작은 어린이들이나 유아들이 출입문을 열기에는 애로사항이 있다.In general, the door handl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door to fit an adult's height so that an adult can open and close it.

그리고 도어손잡이를 잡더라도 도어손잡이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전이 용이하지 못한 것이다.And even if the door handle is gripped, the rotation is not easy because the door handl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따라서, 어린이나 유아들은 출입문을 열기 위하여 도어 손잡이에 무리한 힘을 주거나 출입문을 두들기게 되는데, 이는 출입문이 직접적으로 파손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Therefore, children or infants apply excessive force to the door handle or knock on the door to open the door, which causes the door to be directly damaged.

한편,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83-0005512호(1985.02.28. 공개)인 "도어손잡이용 보조구"를 살펴보면, 고무캡의 후면에 작동판을 부착하고 작동판의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인장끈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looking at the "Auxiliary Tool for Door Handle", which is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1983-0005512 (published on February 28, 1985), an operation plate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rubber cap. and provides a configuration using a tension string having a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ration plate.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손잡이를 아래로 잡아 당겨서 도어손잡이를 회전시킨 다음에 출입문이 개방될 때까지 계속해서 인장끈을 잡아당기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has an inconvenient problem in that the tension string must be continuously pulled until the door is opened after the door handle is rotated by pulling the handle down.

또한, 인장끈이 길게 형성되어 출입문과 문틀사이에 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원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없고, 인장끈이 끊어지거나 인장끈이 결합된 결합부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nsile string is formed long, it is often caught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so that the original function cannot be maintained,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tensile string is broken or the coupling part to which the tensile string is coupled is damaged.

다음, 다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88-0013644호(1990.03.08. 공개)인 "도오록크에 부착된 장식용 보조 손잡이"를 살펴보면, 도어손잡이부에 동물형상의 보조 손잡이를 접착테이프에 의해 부착하여 동물형상의 보조손잡이를 잡고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켜 개방시키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Next, as another prior art, looking at the "Decorative auxiliary handle attached to the door lock", which is the 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1988-0013644 (published on Aug. 3, 1999), the auxiliary handle in the shape of an animal is attached to the door handle with adhesive tape. It provides a configuration for holding an animal-shaped auxiliary handle and rotating the door handle to open it.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어손잡이와 같은 높이에 부착되는 것으로 키작은 어린이나 유아들이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is attached to the same height as the door handle, there is a problem that small children or infants cannot use.

또한, 접착테이프에 의해 고정되어지므로 장시간 사용 시 떨어지거나 접착테이프가 밀려 도어손잡이부가 지져분해지고, 분리 및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fixed by an adhesive tape,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falls off or the adhesive tape is pushed for a long time, and the door handle part becomes dirty, and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combine it.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83-0005512호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1983-000551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88-0013644호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1988-001364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의 손잡이로부터 유아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보조레버부를 문의 일면에 부착시켜 유아가 보조레버부를 작동하면 문의 손잡이도 작동하여 문을 열 수 있게 한 새로운 구조의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he auxiliary lever to one side of the door at a position where children can reach from the door handle. It is to provide a safety door handle for children of a new structure.

또한, 문의 손잡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고리부에 집게부를 형성하여 회전축의 지름에 대응하여 연결할 수 있게 하고, 고리부의 하부방향으로 메인프레임의 내측 또는 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서브프레임으로 형성한 조절부를 형성하여 유아키에 대응하여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clamp portion is formed in the 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oor handle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and an adjustment portion formed as a sub-frame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r one surface of the main fram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ring portion is formed. Therefore, it is to provide a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that can adjust the length in response to the infant ke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문의 손잡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고리부;a 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oor handle;

상기 고리부의 하부로부터 신축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a control unit tha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ring to adjust the length;

상기 조절부의 하부에 회전되게 연결된 보조레버부; 및an auxiliary lev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part; and

상기 문의 손잡이와 상기 보조레버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보조레버부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문의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and the auxiliary lever part respectively to operate the door handl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lever part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를 제공한다.Provide safety door handles for childr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조절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측을 둘러싸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타측에 마주보며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조절부의 상부에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타측을 둘러싸는 집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portion is exten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djustment portion to surround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holder portion; and a clamp part disposed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part and having a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djusting part by a spring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홀더부와 상기 집게부의 각각의 내측을 따라 형성된 실리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ilicone formed along the inside of each of the holder portion and the to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 또는 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서브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일면에 적어도 둘 이상 관통된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을 원하는 길이로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ment unit is a main fram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ub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r one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a fastening hole penetrating at least two or more through each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the subframe, wherein the fastening hole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to position the subframe to a desired length.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버부는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홀; 상기 결합홀에 힌지체를 구비한 레버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결합홀을 축으로 회동하는 보조손잡이; 및 상기 힌지체의 일측이 상기 문의 일면으로 부착되도록 흡착판이 형성된 흡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lever part includes a coupl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adjusting part; an auxiliary handle in which a lever having a hinge body i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lever rotates about the coupling hole as an axis; and an adsorption unit in which a suction plate is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hinge body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do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를 형성할 수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문의 손잡이에 연결된 상부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레버부에 연결된 하부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body portion capable of forming a length whose length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portion; an upper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and a lower connection part formed under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auxiliary lever part.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는 문의 손잡이로부터 유아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보조레버부를 문의 일면에 부착시켜 유아가 보조레버부를 작동하면 문의 손잡이도 작동하여 문을 열 수 있게 하여 유아가 편리하게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he auxiliary lever to one side of the door at a position that can be reached by infants from the door handl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easily.

또한, 문의 손잡이의 회전축의 지름에 대응하여 고리부의 지름을 크게 하여 고리부를 연결하는 집게부를 형성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문의 손잡에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ring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door hand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quickly and conveniently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by forming a tongs connecting the ring portion.

또한, 메인프레임의 내측 또는 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서브프레임이 형성된 조절부를 형성하여 유아의 키에 대응하여 보조손잡이를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키에 상관없이 유아가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handle can be positioned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infant by forming an adjustment part having a sub-frame sliding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r one surface of the main frame, the infant can open and close the door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infant. there is.

또한, 문의 손잡이와 보조레버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의 단순한 구조로 인해, 고장이나 파손의 위험이 적어 유아가 안전하게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impl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door handle and the auxiliary lever part to each other, there is little risk of breakdown or damage, so that a child can safely open and close the door.

또한, 흡착부를 문의 일면에 부착시켜 보조레버부의 보조손잡이를 문의 일면에 견고하게 위치시켜 회전체가 고리부를 축으로 회동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가 보조손잡이를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the adsorption unit to one side of the door to firmly position the auxiliary handle of the auxiliary lever on one side of the door, the rotating body prevents the ring portion from rotating or shaking about the axis, so that infants can safely operate the auxiliary hand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를 방 문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의 고리부에 형성된 집게부를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의 보조레버부를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afety door handle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ngs formed in the hook portion of the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lever part of the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is op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hild safety door han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를 방 문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의 고리부에 형성된 집게부를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의 보조레버부를 작동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oor,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afety door handle for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ngs formed in the ring portion of the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rated, and Figure 4 is an auxiliary lever part of the safety door handl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sta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10)는 고리부(100), 조절부(200), 보조레버부(300) 및 연결부(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safety door handle 10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ng part 100 , an adjustment part 200 , an auxiliary lever part 300 and a connection part 400 .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10)는 문의 손잡이의 회전축(11)에 연결되는 고리부(100), 고리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200), 조절부의 하부에 회전되게 연결된 보조레버부(300) 및 문의 손잡이와 보조레버부에 각각 연결되어 보조레버부의 작동에 대응하여 문의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연결부(40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safety door handle 10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ing portion 100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11 of the door handle, from the ring portion The control unit 200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adjust the length, the auxiliary lever unit 300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unit, and the door handle and the auxiliary lever uni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lever unit. and an actuating connection 400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리부(100)는 문의 손잡이의 하부에 보조레버부(300)를 위치시키기 위해 문의 손잡이를 형성하는 회전축에 연결된다.2 and 3 , the ring part 100 is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forming the door handle in order to position the auxiliary lever part 300 under the door handle.

이를 위해, 고리부(100)는 홀더부(110) 및 집게부(120)를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ring part 100 further includes a holder part 110 and a clamp part 120 .

홀더부(110)는 조절부(20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회전축(11)의 일측을 둘러싸는 프레임으로 형성된다.The holder part 110 is formed as a frame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adjusting part 200 and enclosing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11 .

이러한, 홀더부(110)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1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elasticity.

또한, 통상적인 도어락을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된 반원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게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형, 타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to be formed in a semicircular frame with one side open to surround a conventional door lock, it may be formed in a square or oval shape.

집게부(120)는 홀더부(110)의 타측에 마주보며 배치되고 하부가 조절부(200)의 상부에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회전축(11)의 타측을 둘러싸는 역할을 한다.The tongs 120 are disposed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unit 110 , and the low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djusting unit 200 by a spring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11 .

즉, 집게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는 반원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조절부(200)의 상부에 하부가 스프링으로 연결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tongs 120 are formed as semi-circular frames facing each other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older 110 , and the lower part of the adjusting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by a spring.

여기서,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도시하는 것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으로 구비하여 집게부(120)가 홀더부(110)를 향하여 지속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힘을 작용하게 한다.Here, the spring is generally known and omitted from illustration. And the spring is provided as a torsion spring so that the forceps 120 can continuously rotate toward the holder 110 .

이로 인해, 집게부(120)는 회전축(11)의 타측을 둘러 싸고 홀더부(110)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회전축(11)에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tongs 120 may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11 and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holder part 110 to be firmly positioned on the rotation shaft 11 .

이때, 집게부(120)는 하부로부터 연장된 가압부를 형성하여 가압부를 누름에 다라 집게부(120)가 홀더부(110)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ngs 120 form a press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tongs 120 are spaced apart from the holder 110 as the pressing portion is pressed.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10)의 고리부(100)는 실리콘(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ring part 100 of the child safety door hand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licone 130 .

실리콘(130)은 홀더부(110)와 집게부(120)의 각각의 내측을 따라 형성된다.The silicon 130 is formed along each inner side of the holder 110 and the tongs 120 .

이는, 회전축(11)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홀더부(110)와 집게부(120)의 내측면에 마찰력을 높여 미끄러지지않고 회전축(11)에 견고하게 위치시키기 위해서이다.This is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portion 110 and the tongs portion 120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11 to be firmly positioned on the rotation shaft 11 without slipping.

또한, 실리콘(130)의 일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protrusion on one surface of the silicon 130,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도 2를 참조하면, 조절부(200)는 고리부(100)의 하부로부터 신축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ure 2, the adjustment unit 200 serves to adjust the length by stretch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ing portion (100).

이를 위해, 조절부(200)는 메인프레임(210), 서브프레임(220) 및 체결공(230)을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adjustment unit 200 further includes a main frame 210 , a subframe 220 and a fastening hole 230 .

메인프레임(2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main frame 2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may form an empty space therein.

또한, 메인프레임(210)은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일면에 서브프레임(220)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main frame 210 may exten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a guide rail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so that the subframe 220 is slidably inserted.

서브프레임(220)은 메인프레임(210)의 내측 또는 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진다.The subframe 220 is sliding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r one surface of the main frame 210 ,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체결공(230)은 메인프레임(210)과 서브프레임(220)의 각각의 일면에 적어도 둘 이상 관통된 홀을 형성한다.The fastening hole 230 forms at least two or more through-holes in each surface of the main frame 210 and the subframe 220 .

특히, 체결공(230)은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서브프레임(220)을 원하는 길이로 위치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fastening hole 230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and serves to position the subframe 220 to a desired length.

즉, 메인프레임(210)과 서브프레임(220)에 각 형성된 체결공(230)의 중심을 서로 연통하게 배치하고 고정부재로 결합하여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는 것이다.That is, the centers of the fastening holes 230 formed in the main frame 210 and the sub-frame 220 ar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oupled with a fixing member to adjust the desired length.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조레버부(300)는 조절부(200)의 하부에 회전되게 연결된 프레임이다.1 and 2 , the auxiliary lever unit 300 is a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djustment unit 200 .

이러한 보조레버부(300)는 결합홀(310), 보조손잡이(320) 및 흡착부(330)을 더 포함한다.The auxiliary lever unit 300 further includes a coupling hole 310 , an auxiliary handle 320 , and an adsorption unit 330 .

결합홀(310)은 조절부(200)의 일단에 형성된다.The coupling hole 3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djusting unit 200 .

즉, 결합홀(310)은 조절부(200)의 일단에 소정의 넓이로 판을 형성하고, 판의 일면을 관통하여 보조손잡이(320)가 결합되도록 관통된 단면을 나선형으로 형성되거나 일반적으로 공지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coupling hole 310 forms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width at one end of the adjusting unit 200, and passes through one surface of the plate so that the auxiliary handle 320 is coupled therethrough to form a helical cross section or generally known. A bonded structure can be formed.

보조손잡이(320)는 결합홀(310)에 힌지체(321)를 구비한 레버가 형성되어 레버가 결합홀(310)을 축으로 회동하는 손잡이이다.The auxiliary handle 320 is a handle in which a lever having a hinge body 321 i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310 so that the lever rotates about the coupling hole 310 as an axis.

즉, 보조손잡이(320)는 문에 구비된 손잡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손잡이로 형성되되, 힌지체(321)의 외주면에 결합홀(310)로 체결될 수 있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handle 320 is formed as a handle capable of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handle provided on the door, and a spiral that can be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3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inge body 321 . .

흡착부(330)는 힌지체(321)의 일측이 문의 일면으로 부착되도록 흡착판이 형성된다.The suction unit 330 is formed with a suction plate so that one side of the hinge body 321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oor.

이러한, 흡착부(330)는 조절부(200)로 높이를 조절하여 위치한 문의 일면에 밀착시켜 힌지체(321)가 해당 위치 배치되어 보조손잡이(320)를 작동 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준다.The adsorption unit 33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door located by adjusting the height with the adjusting unit 200 , so that the hinge body 321 is dispos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prevent the auxiliary handle 320 from shaking when operating.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400)는 문의 손잡이와 보조레버부(300)에 각 연결되어 보조레버부(300)의 작동에 대응하여 문의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2 and 4 , the connection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and the auxiliary lever unit 300 , and serves to operate the door handl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lever unit 300 .

이를 위해, 연결부(400)는 바디부(410), 상부연결부(420) 및 하부연결부(430)를 더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nnection part 400 further includes a body part 410 , an upper connection part 420 , and a lower connection part 430 .

바디부(410)는 조절부(200)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를 형성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형성된다.The body portion 410 is formed of a frame capable of forming a length whose length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unit 200 .

즉, 바디부(410)는 조절부(200)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210), 서브프레임(220) 및 체결공(230)의 구성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body portion 41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of the main frame 210 , the subframe 220 , and the fastening hole 230 forming the adjustment unit 200 .

또한, 바디부(410)는 보조레버부(300)를 회동시키면 문의 손잡이도 회동시키는 탄성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41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rotates the door handle when the auxiliary lever portion 300 is rotated.

상부연결부(420)는 바디부(4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문의 손잡이에 연결된다.The upper connection part 42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410 and is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특히, 상부연결부(420)는 탄성력을 가지는 관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이 분리되어 벨크로 접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upper connection part 4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having elastic force, or one side may be separated and adhered with Velcro.

따라서, 문의 손잡이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거나 벨크로의 접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uple to the handle of the door by force fitting or by the adhesive method of Velcro.

하부연결부(430)는 바디부(4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보조레버부(300)에 연결된다.The lower connection part 430 is formed under the body part 410 a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lever part 300 .

여기서, 하부연결부(430)는 전술한 상부연결부(420)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Here, the lower connection part 430 plays the same role as the above-described upper connection part 420 .

이와 같은, 연결부(400)는 보조레버부(300)를 형성하는 보조손잡이(320)의 회동과 문의 손잡이의 회동에 대응하여 바디부(410)의 상부와 하부에 각 힌지를 구비하여 상부연결부(420)와 하부연결부(43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uch, the connection part 400 is provided with each hinge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part 410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auxiliary handle 320 forming the auxiliary lever part 300 and the rotation of the door handle, so that the upper connection part (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420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430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이하, 각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operating using the child safety door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20)의 하부에 형성된 가압부를 눌러 홀더부(110)와 집게부(120)의 사이를 이격시켜 회전축(11)에 끼운 후, 누르고 있던 가압부를 해제하여 고리부(100)를 회전축(11)에 견고하게 위치시킨다.As shown in FIGS. 3 and 4 , by pressing the pressing part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tongs 120 , the holder 110 and the tong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11 , and then the pressing is pressed. By releasing the part, the ring part 100 is firmly positioned on the rotating shaft 11 .

그리고 유아의 키에 대응하여 문의 손잡이의 하부에 보조레버부(3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서브프레임(220)을 메인프레임(210)으로부터 신장시킨다.And the sub-frame 220 is extended from the main frame 210 so that the auxiliary lever part 300 can be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door handle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infant.

그리고 메인프레임(210)과 서브프레임(220)에 각 형성된 체결공(230)의 원의 중심을 연통하게 하여 고정부재를 삽입하고, 고정부재의 일단에 다른부재를 구비하여 나선 결합한다.Then, a fixing member is inserted by communicating the center of the circle of the fastening hole 230 formed in the main frame 210 and the subframe 220, and another membe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xing member to be spirally coupled.

다음, 연결부(400)를 구비하여 상부연결부(410)로 문의 손잡이에 연결하고 바디부(410)의 길이를 조절하여 하부연결부(430)로 보조손잡이(320)에 연결한다.Next, the connection part 400 is provided, and the upper connection part 410 is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and the length of the body part 410 is adjusted,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430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handle 320.

이때, 유아가 보조손잡이(32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힌지체(321)를 축으로 보조손잡이(320)가 회동하여 하부연결부(430)가 하향이동 한다.At this time, when the child rotates the auxiliary handle 320 in the lower direction as shown in FIG. 4 , the auxiliary handle 320 rotates about the hinge body 321 as an axis,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430 moves downward.

그리고 하부연결부(430)에 연동된 상부연결부(420)도 하향 이동하여 문의 손잡이도 보조손잡이(3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한다.And the upper connection part 420 linked to the lower connection part 430 also moves downward, and the door handle also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11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uxiliary handle 320 .

이로 인해, 유아는 문의 손잡이를 직접 작동시키지 않고도 방의 문을 열어 출입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the child can open the door of the room to enter and exit without directly operating the door hand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by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 :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
11 : 회전축 100 : 고리부
110 : 홀더부 120 : 집게부
130 : 실리콘 200 : 조절부
210 : 메인프레임 220 : 서브프레임
230 : 체결공 300 : 보조레버부
310 : 결합홀 320 : 보조손잡이
321 : 힌지체 330 : 흡착부
400 : 연결부 410 : 바디부
420 : 상부연결부 430 : 하부연결부
10 : Child safety door handle
11: axis of rotation 100: ring part
110: holder part 120: clamp part
130: silicon 200: control unit
210: main frame 220: subframe
230: fastening hole 300: auxiliary lever part
310: coupling hole 320: auxiliary handle
321: hinge body 330: adsorption unit
400: connection part 410: body part
420: upper connection 430: lower connection

Claims (5)

문의 손잡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고리부;
상기 고리부의 하부로부터 신축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의 하부에 회전되게 연결된 보조레버부; 및
상기 문의 손잡이와 상기 보조레버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보조레버부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문의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
a ring part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oor handle;
a control unit tha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ring to adjust the length;
an auxiliary lev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part; an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and the auxiliary lever unit respectively to operate the door handl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lever unit.
Child safety door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조절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측을 둘러싸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타측에 마주보며 배치되고 하부가 상기 조절부의 상부에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타측을 둘러싸는 집게부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ring part
a holder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adjusting portion and surrounding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and
It is disposed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djusting part by a spring and further comprising a tongs part surrounding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Child safety door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 또는 일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서브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일면에 적어도 둘 이상 관통된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은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을 원하는 길이로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mainfram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ub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r one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penetrating through each side of the main frame and the subframe,
The fastening hole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frame can be positioned to a desired length.
Child safety door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레버부는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홀;
상기 결합홀에 힌지체를 구비한 레버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결합홀을 축으로 회동하는 보조손잡이; 및
상기 힌지체의 일측이 상기 문의 일면으로 부착되도록 흡착판이 형성된 흡착부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lever part
a coupl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adjusting unit;
an auxiliary handle in which a lever having a hinge body i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so that the lever rotates about the coupling hole as an axis; and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unit formed with a suction plate so that one side of the hinge body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door
Child safety door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절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를 형성할 수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문의 손잡이에 연결된 상부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레버부에 연결된 하부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안전 문손잡이.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art
a body portion capable of forming a length of which the length is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portion;
an upper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door handle; and
Further comprising a lower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auxiliary lever portion
Child safety door handle.
KR1020210063632A 2021-05-17 2021-05-17 Safety door handles for toddlers KR1022872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32A KR102287283B1 (en) 2021-05-17 2021-05-17 Safety door handles for toddl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32A KR102287283B1 (en) 2021-05-17 2021-05-17 Safety door handles for toddl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283B1 true KR102287283B1 (en) 2021-08-06

Family

ID=7731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632A KR102287283B1 (en) 2021-05-17 2021-05-17 Safety door handles for toddl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28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4268A (en) * 1961-04-24 1964-08-11 Robert W Rowe Pivotally mounted auxilliary door ope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4268A (en) * 1961-04-24 1964-08-11 Robert W Rowe Pivotally mounted auxilliary door ope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1848A (en) Portable foot operated door opener
US5535765A (en) Hair binder
WO2015030540A1 (en) Safety handle for driving string of blind and fixing device therefor
US8402571B1 (en) Toilet seat handle
JP2005177183A (en) Assistance device for chopsticks
KR102287283B1 (en) Safety door handles for toddlers
KR100938468B1 (en) A Length Adjustable Handle
US6066162A (en) Pacifier with retractable nipple
US1401340A (en) Bedclothes-holder
TWI246415B (en) Ascending and descending device of window curtains
EP1847307A1 (en) Dummy-holding cuddly toy
KR101202844B1 (en) Bag capable of handling strap
JP6289544B2 (en) Hanging hanger
US20080178372A1 (en) Toilet seat holder
JPS6127460Y2 (en)
US20130066373A1 (en) Body hauling mechanism
CN211750570U (en) Unlocking operation mechanism and folding wheelchair support with same
CN214630486U (en) Umbrella buckle
JPH0725050Y2 (en) Cover storage umbrella
KR200266983Y1 (en) A door's knob of using a baby
KR200257610Y1 (en) a utensil for the door knob
JP2020062144A (en) Folding type cane
JP3047043U (en) Automatic umbrella
TWM615999U (en) Door opening device with anti-epidemic effect
KR200379273Y1 (en) Fishing rod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