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103B1 - Arcificial intelligence air tre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Arcificial intelligence air tre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103B1
KR102287103B1 KR1020190084094A KR20190084094A KR102287103B1 KR 102287103 B1 KR102287103 B1 KR 102287103B1 KR 1020190084094 A KR1020190084094 A KR 1020190084094A KR 20190084094 A KR20190084094 A KR 20190084094A KR 102287103 B1 KR102287103 B1 KR 10228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et
unit
processo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7505A (en
Inventor
박윤식
한다윤
황성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103B1/en
Publication of KR2021000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5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1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를 처리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하거나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하는 공기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하여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애완동물의 생활 영역을 추정하는 연산부; 유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 처리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처리부로 공급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연산부에서 추정한 생활 영역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애완동물 모드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공기처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roc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rocessor that purifies air by treating air or humidifies by supplying moisture to the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unit for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to detect a pet; a calculation unit for detecting a pe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and estimating a living area of the pet; an air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ir, including a filter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troduced air; a driving unit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supplying it to the air processing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re may be provided an air processor including a process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discharge air toward the living area estimated by the calculating unit to perform a pet mod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scription

인공지능 공기처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Arcificial intelligence air tre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Artificial intelligence air tre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를 처리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하거나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하는 공기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roc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rocessor that purifies air by treating air or humidifies by supplying moisture to the air.

공기처리기는 가정 내 또는 사무소와 같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공기를 처리하여 공기 중 이물질, 냄새, 먼지 또는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청정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청정기와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여 가습하는 가습기를 포함할 수 있다. Air handlers include air purifiers to supply clean air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dors, dust, or fine dust from the air by processing air within a limited space such as a home or office, and a humidifier that humidifies the air by supplying moisture. can do.

최근에는 공기 질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조건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즉, 단순히 깨끗한 공기뿐만 아니라 적정 습도 조절을 위해 공기 청정 기능과 가습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공기처리기가 제공되고 있다. Recently, users' requirements for air quality are very high. That is, an air processor that performs both an air cleaning function and a humidifying function for controlling not only clean air but also proper humidity is provided.

기본적으로 이러한 공기처리기는 공기처리기 외부 즉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처리된 공기를 공기 처리기 외부로 공급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이때, 공기 중의 미세먼지, 먼지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물, 전기 분해 또는 화학적 물질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로 공기를 청정하는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필터 기능에 더하여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 기능 또한 탑재될 수 있다. Basically, such an air processor can be said to be a device for supplying the treated air to the outside of the air processor by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air processor, that is, indoors. In this case, various types of filters may be provided to filter fine dust,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a function of purifying the air in various forms through water, electrolysis, or chemical substances may be mounted.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filter function, a humidification function for supplying moisture in the air may also be mounted.

최근에는 먼지 센서를 탑재하여 감지된 먼지의 농도에 따라 공기 처리 세기와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기처리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즉, 먼지량에 따라 공기처리기가 최적으로 운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공기처리기를 사용할 수 있다. Recently, an air processor capable of increasing the air processing intensity and air volume according to the detected dust concentration by mounting a dust sensor has been widely used. That is, by allowing the air processor to operate optimal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the user can use the air processor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그러나, 공기처리기의 필터는 점차 미세한 먼지까지 감지하여 처리하도록 진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애완동물의 털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감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However, although the filter of the air processor is gradually evolving to detect and process even fine dust, it is not easy to detect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such as pet hair.

최근에는 가정 내에서 애완동물과 함께하는 사용자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털로 인해서 필터가 막혀 공기처리기에서 최적의 공기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users with pets at home is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filter is clogged due to the pet's hair, so that the optimal air treatment is not performed in the air processor.

본 발명은 사용자와 애완동물이 실내에서 함께 생활하는 경우 최적으로 공기 처리가 수행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optimally treating air when a user and a pet live together indoor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생활 영역을 추정하여 상기 생활 영역으로 처리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estimating the living area of a pet and providing the air treated to the living area.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비전 센서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모션이나 활동량 추정하여, 활동량의 정도에 따라 공기 청정 세기, 풍량 그리고 풍향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rocessor capable of estimating the motion or activity amount of a pet through a vision sensor, and optimally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intensity, air volume and wi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activ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먼지량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운전되는 자동 모드와 함께 애완동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운전되는 애완동물 모드를 갖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rocessor having a pet mode automatically operated by detecting a pet together with an automatic mode operated automatically based on the amount of dus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환경에 따라 자동 모드와 애완동물 모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rocessor in which a user can easily select an automatic mode and a pet mode according to an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자동 모드와 애완동물 모드 사이에서 자동으로 운전 모드가 전환될 수 있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rocessor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a driving mode between an automatic mode and a pet mod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애완동물 감지 및 분석 수행을 최소화하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handler capable of minimizing the load by minimizing the detection and analysis of pets 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영상 정보(비젼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정보(비젼 정보)를 통하여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애완동물의 생활 영역을 추정하는 연산부; 유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 처리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처리부로 공급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연산부에서 추정한 생활 영역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애완동물 모드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공기처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unit for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vision information) to detect a pet; a calculation unit for detecting a pe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vision information) and estimating a living area of the pet; an air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ir, including a filter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troduced air; a driving unit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supplying it to the air processing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rocessor including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discharge air toward the living area estimated by the calculating unit to perform a pet mod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 구동부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고 풍량이 가변되도록 구동될 수 있는 팬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an motor capable of generating a flow of air and driving the air volume to be variable.

상기 구동부는, 공기의 토출 방향(풍향)이 가변되도록 구동될 수 있는 풍향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wind direction motor that can be driven to change the air discharge direction (wind direction).

상기 공기 처리부는, 전동 구동에 의해서 공기 중에서 이물질, 먼지, 미세 먼지 또는 냄새 분자를 제거하거나 분리하도록 구동되는 공기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처리부는, 전동 구동에 의해서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n air processing device driven to remove or separate foreign substances, dust, fine dust, or odor molecules from the air by electric driving. The air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humidifier that supplies moisture to the air by electric driving.

상기 공기처리기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 센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processor may include a dust sensor that detects a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nd a control panel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서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을 추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calculator may be provided to estimate an activity amount or a cumulative activity amount of the pe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감지된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detected amount of activity or accumulated activity of the pet.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감지된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에 기반하여 상기 필터부의 교체 또는 청소 시기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placement or cleaning time of the filter unit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activity or accumulated activity of the pet.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복수 개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운전 모드 선택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trol panel is provided with a driving mode selection unit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driving modes.

상기 복수 개의 운전 모드는, 상기 애완동물 모드와 상기 먼지 센서에서 감지된 먼지 농도에 따라 공기 청정 세기와 풍량이 가변되어 운전되는 자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riving modes may include the pet mode and an automatic mode in which an air cleaning intensity and an air volume are varied depending on th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pet mode and the dust sensor.

상기 자동 모드에서는, 공기의 배출 방향(풍향)이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utomatic m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wind direction) of the air is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chang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완동물 모드의 활성화 시, 상기 활동량의 정도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달리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rocessor controls the driving uni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activity amount when the pet mode is activat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동량이 낮은 경우, 상기 애완동물 모드를 상기 먼지 센서에서 감지한 먼지 농도에 기반하여 공기 청정 세기와 풍량을 달리 제어하는 자동 모드로 전환하여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amount of activity is low,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pet mode by switching to an automatic mode in which an air cleaning intensity and an air volume are differently controlled based on th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dust senso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동량이 낮은 경우, 상기 공기 청정부와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즉,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공기의 순환과 공기 청정 기능이 정지될 수 있다. The processor, when the activity amount is low,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and the driving unit. That is,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air circula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s may be stopp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동량이 높은 경우, 상기 공기 청정 세기 및 풍량을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에서 풍향이 상기 생활 영역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청정 세기 및 풍량이 각각 3 단계의 강도로 구비되는 경우, 강한 단계에서 운전될 수 있다. When the activity amount is high, the processor may control a wind direction to face the living area in a state where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the air volume are relatively high. For example, when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the air volume are each provided with three levels of intensity,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a stronger level.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활동량이 중간인 경우, 상기 공기 청정 세기 및 풍량을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에서 상기 풍향이 상기 생활 영역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청정 세기 및 풍량이 각각 3 단계의 강도로 구비되는 경우, 중간 또는 약한 단계에서 운전될 수 있다. When the activity amount is medium,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wind direction to face the living area in a state where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the air volume are relatively low. For example, when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the air volume are provided with three levels of intensity, respectively,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an intermediate or weak level.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먼지 감지 센서 그리고 상기 먼지 센서에서 감지한 먼지 농도에 따라 풍량과 공기처리 세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모드로 운전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공기처리기에 있어서, 애완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하여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애완동물의 생활 영역과 활동량을 추정하는 연산부; 유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 처리부;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처리부로 공급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동 모드 운전 시, 상기 추정된 활동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추정된 생활 영역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애완동물 모드로 전환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detection sensor and a processor that operates in an automatic mod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irflow and air processing intensity according to th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dust sensor. An air processor comprising: a camera unit for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to detect a pet; a calculation unit for detecting a pe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and estimating a living area and an activity amount of the pet; an air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ir, including a filter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troduced air; and a driving unit for sucking in air from the outside, supplying it to the air processing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An air processor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switching to a pet mode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area may be provided.

상기 자동 모드 운전 시, 상기 추정된 활동량이 기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또는 가장 낮은 단계로 분류된 경우, 상기 자동 모드 운전을 지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driving in the automatic mode, when the estimated amount of activity is smaller than a preset value or is classified as the lowest level, the automatic mode driving may be controlled to continue.

상기 추정된 활동량은 상하, 상중하 또는 4 이상으로 분류되며, 추정된 활동량의 분류가 클수록 상기 공기 처리 세기와 풍량은 증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estimated activity amount may be classified into upper and lower, upper, middle, lower, or 4 or more, and as the classification of the estimated activity increases, the air processing intensity and air volume may be controlled to increase.

상기 애완동물 모드로의 전환 운전이 종료하면, 상기 자동 모드 운전이 재개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witching operation to the pet mode ends, it is preferable that the automatic mode operation is resumed.

상기 자동 모드에서, 풍향은 변경 가능한 최대 범위에서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애완동물 모드에서, 풍향은 상기 추정된 생활 영역에 대응되는 범위 내에서 고정되거나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In the automatic mode, the wind direction is controlled to change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in a changeable maximum range, and in the pet mode, the wind direction is controlled to be fixed or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changed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living area. This is preferable.

상기 자동 모드와 애완동물 모드에서의 운전은, 풍량과 공기 청정 세기를 결정하는 인자가 서로 상이하다. 자동 모드는 먼지 센서에서 감지한 먼지량을 인자로 하며, 애완동물 모드는 감지되고 추정되는 애완동물의 활동량을 인자로 할 수 있다. In the driving in the automatic mode and the pet mode, factors determining the air volume and the air cleaning intensit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utomatic mode may use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as a factor, and the pet mode may use the detected and estimated amount of activity of the pet as a factor.

또한, 자동 모드와 애완동물 모드에서의 운전은, 풍향 제어가 서로 상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자동 모드에서는 가능한 전 영역으로 풍향이 결정되어 제어되며, 애완동물 모드에서는 특정 영역으로 풍향이 결정되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모드에서 공기가 직접 공급되는 영역은 애완동물 모드에서 공기가 직접 공급되는 영역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driving in the automatic mode and the pet mode, wind direction control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In the automatic mode, the wind direction is determined and controlled in all possible areas, and in the pet mode, the wind direction is determined and controlled in a specific are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rea to which air is directly supplied in the automatic mode is larger than the area to which air is directly supplied in the pet mode.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Feature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unless they are contradictory or mutually exclusiv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생활 영역을 추정하여 상기 생활 영역으로 처리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providing the air treated to the living area by estimating the living area of the pe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모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을 추정하여, 활동량의 정도에 따라 공기 청정 세기, 풍량 그리고 풍향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rocessor capable of estimating the motion, activity amount, or accumulated activity amount of a pet, and can optimally control the intensity of air cleaning, the air volume, and the wi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activity amoun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먼지량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운전되는 자동 모드와 함께 애완동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운전되는 애완동물 모드를 갖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rocessor having a pet mode automatically operated by detecting a pet together with an automatic mode operated automatically based on the amount of dus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환경에 따라 자동 모드와 애완동물 모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rocessor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automatic mode and the pet mod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자동 모드와 애완동물 모드 사이에서 자동으로 운전 모드가 전환될 수 있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rocessor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a driving mode between an automatic mode and a pet mod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애완동물 감지, 애완동물의 모션이나 활동량 감지 및 분석 수행을 최소화하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rocessor capable of minimizing a load by detecting a pet, detecting a motion or activity amount of a pet, and performing an analysi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활동량 및 모션 감지를 통해 털 날림 정도를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누적 활동량 기반으로 필터 청소 또는 교체 주기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rocessor capable of estimating the degree of hair loss through the amount of activity and motion detection of the pet, and effectively suggesting a filter cleaning or replacement cycle based on the estimated accumulated activity.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공기처리기의 외형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에서 애완동물 모드에서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1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an air processor applicable to a tempo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air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user interface of an air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control flow of an air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control flow of an air proc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xample of a control method in the pet mode in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공기처리기의 일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1 shows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an air processor.

공기처리기(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2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processor 10 includes a case 20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the cas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일례로, 작은 용량의 공기처리기는 상부 케이스(22) 또는 하부 케이스(23)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으며, 큰 용량의 공기처리기는 상부 케이스(22)와 하부 케이스(23)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n air processor with a small capacity may be provided with either the upper case 22 or the lower case 23 , and the air processor with a large capacity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upper case 22 and the lower case 23 are stacked. can be

상기 케이스(20)은 토출 케이스(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케이스(21)는 상부 케이스(22) 또는 하부 케이스(23)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case 20 may include a discharge case 21 , and the discharge case 21 may be movably provided in the upper case 22 or the lower case 23 .

상부 케이스(22) 및/또는 하부 케이스(23)에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 케이스(21)에는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50)가 구비될 수 있다. 많은 경우, 공기처리기(10)의 하부에서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부에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The upper case 22 and/or the lower case 23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40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port 5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case 21 . can be provided. In many cases, air may be introduc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processor 10 and air may be discharged from the upper portion.

유입구(40)를 통해 공기처리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처리부를 거쳐 처리된 후 토출구(50)를 통해서 배출된다. 따라서, 케이스(20)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 공기의 토출 방향을 가변시키기 위한 풍향 모터 그리고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처리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processing unit through the inlet 40 is processed through the air processing unit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50 . Accordingly, a fan motor for generating a flow of air, a wind direction motor for changing a discharge direction of air, and an air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ir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20 .

상기 필터부, 팬 모터, 풍향 모터 그리고 공기처리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filter unit, the fan motor, the wind direction motor, and the air processing unit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케이스(2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위한 컨트롤패널(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토출 케이스(21)에 상기 컨트롤패널(30)이 구비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처리기의 케이스의 형태와 형상은 매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컨트롤패널(3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하도록 케이스(20)의 전면 상부에 컨트롤패널(30)이 위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case 20 may include a control panel 30 for a user interface (UI).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rol panel 30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case 21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ape and shape of the case of the air processor can be changed in many ways, the position of the control panel 30 can be changed. However, it will be preferable that the control panel 30 is position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case 20 so that the user's access and operation are easy.

도 1에는 상부 케이스(22)에 대해서 토출 케이스(21)가 360도 회전하도록 구비된 공기청정기가 도시되어 있다. 즉, 풍향 가변 범위가 360도라 할 수 있다. 물론, 케이스(20)의 형태가 원통형이 아닌 사각형이 경우 풍향 가변 범위가 대략 180도로 가변될 수도 있을 것이다. 1 shows an air purifier in which the discharge case 21 rotates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case 22 .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wind direction variable range is 360 degrees. Of course, when the shape of the case 20 is a rectangle rather than a cylindrical shape, the variable range of the wind direction may be varied by approximately 180 degrees.

본 실시예 따른 공기처리기는 카메라(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0)는 실내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는 케이스(20)의 전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amera 110 . The camera 110 may be provided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room. Therefore, the camera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ase (20).

원통형의 케이스(20)인 경우 케이스의 전면 식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조사 로고 등을 케이스(20)에 표시함으로써 이를 통해서 케이스(20)의 전면이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ylindrical case 20, it may not be easy to identify the front of the case. In this case, by displaying the manufacturer's logo or the like on the case 20, the front of the case 20 can be identified through this.

도 1에는 카메라(110)가 상부 케이스(110)의 전면에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110)는 컨트롤패널(30) 또는 토출 케이스(2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공기처리기의 전방에서 실내 영역을 가장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위치라면 공기처리기의 어느 부분에 카메라가 구비되도 무방할 수 있다.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amera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case 110 . The camera 110 may be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30 or the discharge case 21 . That is, the camera may be provided at any part of the air processor as long as it is a position in front of the air processor where the indoor area can be most effectively photographed.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카메라부(100)는 상기 카메라(110)와 카메라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20)는 공기처리기의 메인 프로세서(300)와 통신하며 상기 카메라(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00)는 실내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연산부(200)로 제공하게 된다. The camera unit 100 may include the camera 110 and the camera control unit 120 . The camera controller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main processor 300 of the air process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mera 110 . The camera unit 100 provides image information of an indoor photograph to the operation unit 200 .

상기 연산부(200)는 카메라부(10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정보를 처리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alculation unit 200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and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amera unit 100 .

연산부(200)는 영상 정보를 통해서 애완동물 감지를 수행하는 애완동물 감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영상 정보 내에서 대상물의 움직임, 크기 및 위치 등을 통해서 애완동물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200 may include a pet detection unit 210 that detects a pet through image information.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pet through the movement, size, and position of the object in the image information.

연산부(200)는 애완동물의 생활 영역을 감지하는 영역 감지부(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감지된 애완동물의 이동 위치와 경로를 통해서 생활 영역과 비생활 영역을 구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200 may include a region detection unit 220 that detects the living area of the pet.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distinguish a living area and a non-living area through the sensed movement location and path of the pet.

연산부(200)는 애완동물의 활동량을 감지하는 활동량 감지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감지된 애완동물의 이동 속도와 이동 범위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활동량 정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애완동물이 천천히 걸어가는 것과 뛰어 가는 것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기지개나 몸을 흔드는 동작 등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 특히, 애완동물의 몸 흔들기 동작은 털날림 모션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털날림 모션을 감지하고, 털날림 모션의 정도와 빈도를 추정함으로써 털날림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털날림 정도의 추적은 누적 활동량으로 증가될 수 있다. The calculation unit 200 may include an activity amount detection unit 230 that detects the amount of activity of the pet.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degree of activity of the pet through the sensed movement speed and movement range of the pe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nd detect whether the pet is walking slowly and running, and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and detect the stretching or shaking motion of the pet. In particular, the shaking motion of the pet's body may be referred to as a hair-flipping motion. Accordingly, the degree of hair loss can be estimated by detecting the hair loss motion and estimating the degree and frequency of the hair loss motion. The tracking of the degree of such hair loss can be increased as a cumulative amount of activity.

여기서, 상기 애완동물 감지부(210), 영역 감지부(220) 그리고 활동량 감지부(230)는 서로 구분되는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모듈을 통해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Here, the pet sensing unit 210 , the area sensing unit 220 , and the activity amount sensing unit 230 may be implemented through separate modules,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y one module.

상기 애완동물 감지, 영역 감지 그리고 활동량 감지들은 인공지능 로직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 정보를 통해서 추정된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The pet detection, area detection, and activity detection may be implem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logic, and an estimated result is outputted through image information.

연산부(200)는 상기 감지부들(210, 220, 230)의 출력 결과를 제어 신호로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는 애완 동물 감지 여부, 추정된 영역 정보 그리고 추정된 활동량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프로세서(30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calculator 200 may include a control signal generator 240 that generates the output result of the detectors 210 , 220 , and 230 as a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whether a pet is detected, the estimated area information, and the estimated activity amount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main processor 300 .

이러한 제어 신호를 통해서, 메인 프로세서는 애완동물이 감지되었는지 여부, 애완 동물의 생활 영역이 전체 영역 중 어느 영역에 해당되는지 그리고 애완 동물의 활동량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활동량은 실시간적인 활동량을 포함할 수 있으면 누적 활동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rough such a control signal, the main processor may determine whether a pet is detected, which area the pet's living area corresponds to among the entire area, and the degree of activity of the pet. If the activity amount may include a real-time activity amount, it may include an accumulated activity amount.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35)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공기처리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main processor bas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rocessor based on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I) 35 . The user interface will be described later.

공기처리기가 공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하기 위한 구동부 즉 팬 모터(60)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팬 모터(60)의 구동을 통해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순환 팬 모터라 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60)의 RPM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의 순환량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공기의 토출량 내지는 풍량이 달라질 수 있다. In order for the air processor to process air, a driving unit for sucking in and discharging external air, that is, the fan motor 60 must be provided. Since suction and discharge of air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hrough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60, it may be referred to as a circulation fan motor. As the RPM of the fan motor 60 increases, the amount of air circulation may vary. That is, the discharge amount or air volume of air may vary.

여기서, 풍량의 증가는 공기 처리 세기와 연관될 수 있다. 즉, 흡입하고 토출하는 공기의 양이 많을수록 처리하는 공기의 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처리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면 공기 처리의 세기 또한 증가해야 함을 의미한다. Here, an increase in the air volume may be associated with an air treatment intensity. That is, the greater the amount of air to be sucked in and discharged, the greater the amount of air to be treated. Therefore, if the amount of air to be treated increases, it means that the intensity of air treatment should also be increased.

공기의 토출 방향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좌우 가변뿐만 아니라 상하 가변도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내에 골고루 처리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풍향 모터(70)가 구비될 수 있다. 풍향 모터(70)는 토출구 자체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도 있고, 토출 그릴을 이동시킴으로써 토출 방향(풍향)을 가변시킬 수도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is variabl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not only the left-right variable but also the up-down variable is performed. This can be said to supply uniformly treated air to the room. To this end, a wind direction motor 70 may be provided. The wind direction motor 7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itself, or may change the discharge direction (wind direction) by moving the discharge grill.

공기처리기는 공기처리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처리부(80)는 기본적으로 필터(8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매쉬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 중의 먼지나 미세먼지를 물리적으로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통과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터(81)는 물리적인 구성으로 자체적으로 공기의 통과 시 필터링하도록 구비되므로, 별도의 전동 구성이 아니라 할 수 있다. The air processor may include an air processing unit 80 . The air processing unit 80 may basically include a filter 81 . The filt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sh, and may be provided to physically filter dust or fine dust in the air to pass the filtered air. In general, since the filter 81 is provided to filter when air passes by itself in a physical configuration, it may not be a separate electric configuration.

상기 필터(81)는 공기 처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매쉬에 오염물질이 많이 걸러진 상태가 되면 필터링 효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필터 교환이나 청소가 필요하게 된다. The filter 81 can be said to be the most basic configuration of air treatment. If the mesh is in a state in which a lot of contaminants are filtered, the filtering efficiency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place or clean the filter periodically or periodically.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 필터(81)의 교체 또는 청소 시기는 제조사에 의해서 제안되거나 안내될 수 있다. 일례로 연속 사용 환경에서 대략 2-3달 주기로 필터의 교체 또는 청소가 제안될 수 있다. The replacement or cleaning time of the filter 81 in a general use environment may be suggested or guided by the manufacturer. For example, it may be suggested to replace or clean the filter every 2-3 months in a continuous use environment.

그러나, 이러한 사용 환경은 일반적인 실내 환경을 전제로 한 것이며, 특히 애완동물 털이 많은 사용 환경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애완동물 털은 필터링하는 먼지나 미세먼지보다 크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털이 필터에 걸린 상태에서는 필터의 효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애완동물과 함께 실내에서 생활하는 환경에서는 필터의 교환 또는 교체 시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애완동물 모드를 통해서 필터의 교환 또는 교체 시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However, such a use environment is based on a general indoor environment, and does not specifically assume a use environment with a lot of pet hair. It can be said that pet hair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dust or fine dust to be filtered.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pet's hair is caught in the filter, the efficiency of the filter is inevitably reduced. Therefore, in an environment living indoors with pet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effectively managing the replacement or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pose a method for effectively managing the replacement or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through the pet mod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공기처리부(80)는 공기청정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분해 또는 물 순환 등을 통해서 공기 내의 냄새 분자, 먼지 또는 미세 먼지를 효과적으로 걸러내거나 제거하기 위한 공기청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ir processing unit 80 may include an air cleaning unit 82 . An air cleaning unit for effectively filtering or removing odor molecules, dust, or fine dust in the air through electrolysis or water circulation may be provided.

상기 공기청정부(82)는 전동 구동을 통해서 공기를 청정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프로세서(300)의 제어를 통해 구동 여부, 구동 세기 즉 공기 청정 세기가 가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air purifier 82 may be configured to purify air through electric driving. Accordingly, whether or not driving, that is, the intensity of air cleaning, may be controlled to be variable through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00 directly.

먼지 센서(400)를 통해서 먼지량이 많은 경우 공기 청정 세기는 증가됨이 바람직하다. 즉, 많은 먼지를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공기 청정을 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먼지량이 적은 경우 공기 청정 세기는 낮아짐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공기 청정 효율이 감소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센서(400)는 애완동물의 털과 같이 부피가 큰 오염물은 감지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털의 증감 여부나 정도를 먼지 센서(400)에서 감지하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부와 연산부를 통해서, 먼지 센서에서 감지하지 못하는 애완동물의 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운전할 수 있는 공기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When the amount of dust is large through the dust sensor 400, the air cleaning intensity is preferably increased. That is, it is to clean the air by effectively removing a lot of dust in a short time. Conversely, when the amount of dust is small, the air cleaning intensity is preferably lowered. This is because the air cleaning efficiency is inevitably reduced. Here, as described above, the dust sensor 400 generally does not detect bulky contaminants such as pet hair. Accordingly, since the dust sensor 400 does not detect whether or not the pet's fur is increased or decreased, a separate countermeasure for this is requi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rocessor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to pet hair that is no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and driving through the camera unit and the calculating uni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공기처리부(80)은 가습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부(83)는 초음파 진동이나 가열 등을 통해서 수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부(83)는 강제적으로 물과 공기를 접촉 면적을 증가하여 가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습부(83) 또한 상기 프로세서(300)를 통해 적극적으로 구동이 제어되는 전동 구성이라 할 수 있다. The air processing unit 80 may include a humidifying unit 83 . The humidifier 83 may generate moisture through ultrasonic vibration or heating. In addition, the humidifying unit 83 may forcibly humidify the water and air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Accordingly, the humidification unit 83 may also be said to be an electric configuration in which driving is actively controlled through the processor 300 .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는 상기 가습부(83)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청정부(82)가 구비되지 않은 가습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는 상기 가습부(83)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공기 청정부(82)가 구비된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는 상기 가습부(83)와 공기 청정부(82)가 모두 구비되는 가습기 겸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humidifier provided with the humidifier 83 and not provided with the air cleaner 82 .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 air purifier provided with the air cleaner 82 without the humidifier 83 .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humidifier and air purifier in which both the humidifying unit 83 and the air cleaning unit 82 are provide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편의상 컨트롤패널에 UI가 구비되므로 컨트롤패널과 UI는 동일한 도면 부호인 35로 설명한다. 도시된 UI는 가습 기능일 적용되지 않은 공기청정기의 UI라 할 수 있다. 도시된 UI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처리부(80)의 상세 구성이 달라짐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a user interface (UI) of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For convenience, since the UI is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the control panel and the UI ar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 35. The illustrated UI can be said to be the UI of the air purifier to which the humidification function is not applied. The illustrated UI may be appropriately deformed a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ir processing unit 80 changes as described above.

사용자 인터페이스(30)은 전원 입력부(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38)는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공기처리기의 전원이 입력될 수 있으며, 전원이 입력되면 기본적으로 세팅된 운전 모드로 공기처리기가 운전될 수 있다. 물론, 전원이 입력된 후 운전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공기처리기가 운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전원 입력부(38)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30 may include a power input 38 . The power input unit 38 may be selected by a user to input power of the air processor, and when power is input, the air processor may be operated in a basically set operation mode. Of course, the air processor may be operated by the user selecting an operation mode after power is input. The power input unit 38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사용자 인터페이스(30)는 다양한 입력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30 may include various input units 39 .

상기 입력부(39)는 운전모드 입력부(39a)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모드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운전모드 입력부를 선택함에 따라 현재의 운전모드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 입력부(39a)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 입력부(39a)를 통해 입력된 운전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운전모드 표시부(33, 3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39 may include an operation mode input unit 39a.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may be provided, and the current operation mod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selection of the operation mode input unit. The operation mode input unit 39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Operation mode display units 33 and 34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mod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mode input unit 39a may be provided.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처리기에서 제어 인자는 공기처리부(80)에서의 공기 처리 세기, 풍향 그리고 풍량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인자가 사용자의 입력과 무관하게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이 운전 모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 인자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옵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어 인자에 대해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복수 개의 옵션 선택부(39b, 39c, 39d)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청정 세기를 변경할 수 있는 선택부(39b), 풍량의 세기를 변경할 수 있는 선택부(39c) 그리고 풍향을 변경할 수 있는 선택부(39d)가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factors in the air processing unit may be air processing intensity, wind direction, and air volume in the air processing unit 80 . A driving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driving mode in which these control factors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irrespective of a user's input. And the user can manually select these control factors. That is, it may be possible to select an option. Accordingly, a plurality of option selection units 39b, 39c, and 39d may be provided for the user to select for each control factor. For example, a selection unit 39b capable of changing the intensity of air cleaning, a selection unit 39c capable of changing the strength of air volume, and a selection unit 39d capable of changing the wind direction may be provided.

사용자가 특정 운전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옵션 선택부를 선택하면, 상기 옵션 선택부에서 선택된 옵션이 특정 운전 모드에 반영되어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driving mode and selects the option selection unit, the option selected by the option selection unit may be reflected in the specific driving mode and driving may be performed.

상기 운전모드는 자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모드는 먼지 센서(400)을 통해 감지된 먼지량에 기반하여 공기처리기가 자동으로 운전을 수행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즉, 풍량, 풍향 그리고 공기 처리 세기가 자동으로 세팅되어 운전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일례로, 먼지량이 증가하면 풍량과 공기 처리 세기가 커지도록 세팅되어 운전되고, 먼지량이 감소하면 풍량과 공기 처리 세기가 작아지도록 세팅되어 운전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The driving mode may include an automatic mode. The automatic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air processor automatically operates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400 . That i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ode in which the air volume, wind direction, and air processing intensity are automatically set and operated.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dust increases, the air volume and the air treatment intensity are set to increase, and when the dust amount decreases, the air volume and the air treatment intensity are set and operated to decrease.

자동 모드에서의 풍향은 최대 가변 범위에서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좌우 360도 가변되는 공기처리기에서, 풍향 모터(70)는 풍향이 360도로 가변되도록 구동 제어될 수 있다. 좌우 180도 가변되는 공기처리기에서, 풍향 모터(70)는 풍향이 180도로 가변되도록 구동 제어될 수 있다. 자동 모드에서는 실내 공기를 골고루 청정하여야 하므로, 최대 가변 범위에서 풍향이 가변됨이 바람직하다. The wind direction in automatic mode can be varied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over a maximum variable range. In the air processor that is variable by 360 degrees left and right, the wind direction motor 70 may be driven and controlled so that the wind direction is changed by 360 degrees. In the air processor that is variable by 180 degrees left and right, the wind direction motor 70 may be driven and controlled so that the wind direction is changed by 180 degrees. In the automatic mode, since the indoor air must be uniformly clea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 direction is variable in the maximum variable range.

상기 자동 모드(오토 모드)에서 옵션 선택부(39b)를 통해서 공기 청정 세기가 강하게 선택되면, 자동 모드 운전 중에서는 항상 공기 청정 세기가 강하게 운전될 수 있다. 동일하게 풍향과 풍량도 옵션 선택부에 의해서 달리 세팅할 수 있다. When the air cleaning intensity is strongly selected through the option selection unit 39b in the automatic mode (auto mode), the high air cleaning intensity may always be operated during the automatic mode operation. Likewise, the wind direction and air volume can be set differently by the option selector.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0)은 먼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선택부(39e)와 예약을 설정할 수 있는 선택부(39f)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30 may include a selection unit 39e for checking the dust state and a selection unit 39f for setting a reservation.

사용자가 먼지 선택부(39e)를 누르면 먼지센서에서 감지하는 현재의 먼지량이 먼지 표시부(31. 32))를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먼지 또는 미세먼지 여부 그리고 이들의 양(수치)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냄새 입자 감지 여부 또한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dust selection unit 39e, the current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ust display unit 31. 32). Whether dust or fine dust and their amount (number) can be displayed, respectively. Whether or not odor particles are detected may also be displayed.

사용자가 상기 먼지 선택부(39e)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먼지 표시부(31)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서, 현재 공기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dust selection unit 39e, the current air condition can be intuitively and easily grasped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ust display unit 31 .

사용자는 예약 선택부(39f)를 통해서 특정 시간 일례로 취침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약 시간대를 선택하면 이 시간대에서 공기청정기가 작동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The user may set a bedtime as an example of a specific time through the reservation selection unit 39f. When a reservation time is selected,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can be controlled to minimize operating noise during this time period.

상기 표시부는 현재 선택된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부(33, 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include mode display units 33 and 34 for displaying the currently selected driving mode.

상기 표시부는 현재의 공기 청정 세기를 단계적으로 표시하거나 및/또는 청정 정도가 자동으로 운전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청정 표시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cleanliness display unit 35 that displays the current air cleanliness intensity in stages and/or displays whether the cleanliness level is automatically operated.

상기 표시부는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의 정도를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활동량 표시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동량 표시부(36)는 애완동물 모드 운전시에는 현재 또는 실시간 애완동물의 활동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동량 표시부(36)는 애완동물 모드 운전이 아닌 다른 모드 운전 시이거나 운전 정지 시(전원은 인가된 상태에서)에는 애완동물의 누적 활동량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n activity amount display unit 36 that displays the level of the pet's activity amount or accumulated activity in stages. The activity amount display unit 36 may display the current or real-time activity amount of the pet when driving in the pet mode. In addition, the activity amount display unit 36 may display the accumulated activity amount of the pet when driving in a mode other than the pet mode driving or when the driving is stopped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여기서, 상기 애완동물의 누적 활동량은 필터의 교체 또는 청소 시기와 연관될 수 있다. 즉, 짧은 기간 동인에 애완동물의 누적 활동량이 많은 경우 필터 내부에 애완동물의 털이 많이 걸려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누적 활동량의 단계가 높게 표시되면 필터의 교체 또는 청소 시기가 도래했음을 알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Here, the accumulated activity amount of the pet may be related to a filter replacement or cleaning time. That is, when the cumulative amount of activity of the pet is large for a short period of time, it may mean that a lot of pet hair is hung inside the filter. Therefore, when the level of the accumulated activity amount is displayed as high, it can be said that the time to replace or clean the filter has arrived.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의 표시 특히 애완동물의 활동량 표시부(36)를 통해서 필터의 교체 시기를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grasp the filter replacement time through the display of the display unit, in particular, the activity amount display unit 36 of the pet.

상기 필터를 케이스(20)에서 분리하면 활동량 누적이 초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필터를 분리한 후 재장착할 때, 활동량 누적이 초기화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필터 교체 및 청소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filter is removed from the case 20, the accumulation of the activity amount can be initialized. Accordingly, when the filter is removed and then reinstalled to replace or clean the filter, the accumulated activity amount may be initialized and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check whether the filter replacement and cleaning have been completed.

복수 개의 운전 모드는 자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모드와 구분되는 애완동물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 세기와 풍량을 강하게 운전하는 강력 모드와 공기 청정 세기와 풍량을 약하게 운전하는 일반 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강력 모드와 일반 모드는 먼지 센서에서 감지하는 먼지량과 무관하게 일정한 패턴 또는 설정 로직을 통해서 자동으로 운전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riving modes may include an automatic mode and a pet mode distinguished from the automatic mode.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strong mode in which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air volume are strongly driven and a normal mode in which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air volume are weakly operated. These strong mode and normal mode can be said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through a certain pattern or setting logic regardless of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 모드는 옵션 선택부의 옵션 선택이 없는 경우, 미세 먼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먼지량에 기반하여 풍량과 청정 세기가 자동적으로 가변 제어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이때 풍향은 가변 가능한 최대 범위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가변되어 운전될 것이다. 즉, 특정 영역이나 상기 최대 범위 내의 특정 범위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되지 않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mode in which the air volume and the cleaning intensity are automatically variably controlled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through the fine dust sensor when no option selection is made by the option selection unit. At this time, the wind direction will be changed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to supply air in a variable maximum range. That is, it will not be controlled to supply air to a specific area or to a specific range within the maximum range.

물론, 강력 모드와 일반 모드에서도 옵션 선택부의 옵션 선택이 없는 경우, 풍향은 가변 가능한 최대 범위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가변되어 운전될 것이다. Of course, even in the strong mode and the normal mode, if there is no option selection in the option selection unit, the wind direction will be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changed to supply air in a variable maximum range.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에서의 애완동물 모드에서는 풍향이 적극적으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감지된 애완동물의 활동 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적극적으로 풍향 모터(70)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 direction is actively controlled in the pet mode in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driving of the wind direction motor 70 may be actively controlled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detected activity area of the pet.

여기서, 감지되거나 추정된 활동 영역은 풍향의 변경이 없이도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애완동물 모드에서 프로세서는 풍향 모터(60)의 구동을 제어하여 풍향이 가변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풍향이 먼저 활동 영역을 향하도록 풍향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 후, 풍향이 유지되도록 풍향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detected or estimated active area may be covered without changing the wind direction. In this case, in the pet mod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wind direction motor 60 so that the wind direction is not changed. Of course, the driving of the wind direction motor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wind direction first faces the active area, and then the driving of the wind direction motor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wind direction is maintained.

또한, 감지되거나 추정된 활동 영역은 어느 정도의 풍향이 변경됨으로써 커버될 수 있다. 물론, 최대 풍향 범위보다는 작은 일부 범위로 활동 영역이 한정될 것이다. 이 경우, 애완동물 모드에서 프로세서는 풍향 모터(60)가 활동 영역에 대응되는 범위에서 풍량이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가변되도록 풍향을 가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ected or estimated active area may be covered by some degree of wind direction change. Of course, the activity area will be limited to some range smaller than the maximum wind direction range. In this case, in the pet mode, the processor may control the wind direction motor 60 to vary the wind direction so that the air volume is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varied 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active area.

여기서, 상기 풍향을 감지되거나 추정된 애완동물의 활동 영역에 집중시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o focus the wind direction on the detected or estimated activity area of the pet for the following reasons.

애완동물의 활동 영역에서는 애완동물의 털 비산이 많은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활동에 의해서 먼지 비산이 많은 영역이라 할 수 있다. In the pet's activity area, it can be said that the pet's hair scatters a lot. Also, it can be said to be an area where there is a lot of dust scattering due to the activities of pets.

따라서, 활동 영역으로 공기 공급을 집중시킴으로써 비산된 먼지가 유동되어 공기처리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공기 처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concentrating the air supply to the active area, the scattered dust can flow and flow into the air handler. In this way, air treatment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아울러, 애완동물의 털은 먼지보다 무겁고 부피가 크다. 따라서, 활동 영역으로 공기 공급을 집중시키면 애완동물의 털은 실내의 구석으로 집중시킴과 함께 공기처리기와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애완동물의 털이 공기처리기로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털이 활동 영역의 일부 구석에 집중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털을 청소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pet fur is heavier and bulkier than dust. Therefore, concentrating the air supply to the active area increases the distance from the air handler while concentrating the pet's fur to the corner of the room.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et's hair from entering the air processor to some extent. It may also make it easier for the user to clean the pet's fur by allowing the pet's fur to be concentrated in some corners of the active area.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는 애완동물의 활동 영역과 아울러 활동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활동량의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활동량의 증가할 수록 먼지 비산과 털 비산이 많아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활동량의 정도에 따라 공기 청정 세기와 풍량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활동 영역으로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공급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풍향 제어뿐만 아니라 풍량과 공기 청정 세기의 정도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애완동물에 의한 공기 오염 및 털 비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detect an activity amount as well as an activity area of the pet. That is, the degree of the activity amount can be detected. It can be said that as the amount of activity increases, dust scattering and hair scattering increas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the air volume intens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activity. This means that more air is supplied to the active are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of air pollution and hair scattering caused by pets by controlling the wind volume and the degree of air cleaning intensity differently as well as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한편, 상기 애완동물 모드와 자동 모드는 서로 구분되는 운전 모드로 운전 모드 선택부(39a)를 통해서 배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애완동물 모드는 자동 모드 운전 도중에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et mode and the automatic mode may be exclusively selected through the driving mode selection unit 39a as driving mod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pet mode may be performed during automatic mode driving.

즉, 애완동물 모드는 운전 모드 선택부(39a)를 통해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비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pet mode is not provided for the user to select through the driving mode selection unit 39a, but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일례로, 자동 모드가 선택되고 운전되는 도중, 애완동물이 감지되는 경우, 자동 모드에서 애완동물 모드로 운전이 전환될 수 있다. 특히, 감지되는 애완동물의 활동량의 정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 애완동물 모드로 운전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automatic mode is selected and a pet is detected while driving, driving may be switched from the automatic mode to the pet mode. In particular, when the detected amount of activity of the pe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driving may be switched to the pet mode.

애완동물 모드로 설정 시간 동안 운전된 후 다시 자동 모드로 전환되어 운전되도록 할 수 있다. 애완동물 모드 운전 도중 더 이상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다시 자동 모드로 전환되어 운전되도록 할 수 있다. After driving for a set period of time in pet mode, it can be switched back to automatic mode and driven. Pet mode If no more pets are detected while driving, it can be switched back to automatic mode to drive.

이 경우, 사용자가 애완동물 모드를 수동으로 선택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애완동물 모드를 수행할 수 있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애완동물 모드가 필요 시 수행되는 것을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활동량 표시부(36)를 통해서 또는 다른 표시부를 통해서 애완동물 모드로 공기처리기가 운전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select the pet mode, the pet mode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so that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Howev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user to understand that the pet mode is performed when necessary. For this purpose,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desirable to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air processor is operating in the pet mode through the activity amount display unit 36 or through another display unit.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처리기에서 애완동물 모드가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운전 모드 중 다른 운전 모드와 구별되어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t mode may be individually provided in the air processor, and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other driving modes among a plurality of driving modes.

전원이 인가되어 애완동물 모드가 선택되거나 활성화가 판단(S20)되면, 카메라부(100)을 통해서 영상 정보 내지는 비젼 정보가 생성되어 획득(S30)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300)에서 카메라 제어부(120)를 통해서 카메라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0)는 실내 공간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 내지는 비젼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When power is applied and the pet mode is selected or activation is determined (S20), image information or vis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acquired (S30) through the camera unit 100 may be performed. The main processor 300 may control camera driving through the camera controller 120 . The camera 110 generates image information or vision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an indoor space.

상기 생성되어 획득된 영상 정보 내지는 비젼 정보는 연산부(200)를 통해서 분석(S40)될 수 있다. The generated and acquired image information or vision information may be analyzed ( S40 ) through the operation unit 200 .

상기 분석단계(S40)은 애완동물 인식 내지는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식 내지는 감지는 학습을 통해서 진화될 수 있다. The analysis step (S40) may include a step of recognizing or sensing a pet, and such recognition or sensing may evolve through learning.

상기 분석단계(S40)은 감지된 애완동물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영상 정보 내지는 비젼 정보를 통해 인식된 전체 영역에서 애완동물의 활동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analyzing step (S40) may include analyzing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t. That is, the step of estimating the activity area of the pet from the entire area recognized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or the vis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이러한 분석단계(S40)는 애완동물의 활동량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영상 정보 내지는 비젼 정보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행위, 움직임의 정도, 움직임의 빠르기 등의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활동량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누적 활동량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This analysis step (S40) may include a step of analyzing the activity amount information of the pet. That is, the step of estimating information such as the behavior of the pet, the degree of movement, and the speed of the movemen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or the vis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is, the degree of activity can be estima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egree of the cumulative activity amount.

상기 분석단계(S40) 종료 후 분석된 정보에 기반하여 공기처리기의 운전(S50)이 수행될 수 있다. After the analysis step (S40) is completed, the operation (S50) of the air processor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애완동물 모드에서의 구체적인 운전 로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 detailed driving logic in the pet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애완동물 모드에서 운전 수행 도중, 상기 분석된 정보에 기반하여 필터의 교체 또는 청소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S60)가 수행될 수 있다. While driving in the pet mode, a step S60 of notifying the user of information about filter replacement or cleaning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상기 애완동물 모드는, 다른 운전 모드로 변경되기 전 그리고 전원이 해제되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pet mode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before changing to another driving mode and as long as the power is not released.

한편, 상기 공기처리기는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와이파이를 통해서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processor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For example, communication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Fi.

상기 공기처리기는 획득된 영상 정보 또는 비젼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서버에서는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애완동물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의 종류 파악은 비젼 정보를 통한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The air processor may transmit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or vision information to the external server. The external server can identify the type of pet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This kind of pet identif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through vision information.

인공지능 모듈이 공기처리기에 탑재된 경우, 공기처리기 자체에서 비젼 정보를 통해 애완동물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라 하더라도 서버에 탑재된 인공지능 모듈에 의해서 애완동물의 종류를 더욱 정확히 파악될 수도 있다. I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is mounted on the air processor, the type of pet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vision information from the air processor itself. 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type of pet may be more accurately identifi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mounted on the server.

애완동물의 종류의 파악은 털갈이 시기 정보와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정 애완동물과 이의 털갈이 시기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처리기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It can be said that the identification of the type of pet is related to the molting time information. The operation of the air processor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by using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et and its moulting time.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부를 통한 영상 정보 또는 비젼 정보의 생성 및 획득, 그리고 정보의 분석은 사용자가 애완동물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 이러한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공기처리기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in this embodiment, generation and acquisition of image information or vision information through the camera unit, and analysis of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selects the pet mode. Accordingly, by allowing these steps to be performed only when necessary, unnecessary load on the air processor can be minimized.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나 다만 자동 모드와 애완동물 모드가 전환되는 관계인 것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It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cep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matic mode and the pet mode is different.

본 실시예에서 애완동물 모드는 사용자가 별도로 선택하는 모드가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 자동으로 수행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자동 모드 수행 중에 필요한 경우에만 애완동물 모드가 수행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t mode is not a mode that the user selects separately, but a mode that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necessary. For example, it may be said that the pet mode is performed only when necessary while performing the automatic mode.

왜냐하면, 자동 모드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선택하는 운전 모드이며, 먼지 정도뿐만 아니라 애완동물 영향에 대해서도 자동으로 공기처리기가 운전되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automatic mode is the most frequently selected driving mode by users, and it is necessary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air handler not only for the degree of dust but also for the influence of pets.

먼저, 전원이 인가되어 공기처리기가 운전을 시작(S100)하면, 자동 모드 여부를 판단(S110)할 수 있다. First, when power is applied and the air processor starts to operate ( S100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ir processor is in an automatic mode ( S110 ).

자동 모드인 경우, 먼지 센서에서 감지한 먼지량에 기반하여 풍량과 공기 청정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운전된다. 또한, 풍향은 최대 가변 범위에서 가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자동 모드에서의 상세한 운전 로직은 전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In the automatic mode, the air volume and air cleaning intensity are automatically adjusted and operated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In addition, the wind direction can be controlled to vary in the maximum variable range. Detailed driving logic in the automatic mode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자동 모드 운전 도중, 영상 정보 획득(S130) 단계와 애완동물 위치 분석(S13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들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During the automatic mode driving,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S130) step and pet location analysis (S130) may be performed. These steps may b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분석단계에서 분석되거나 추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애완동물 모드 운전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자동 모드에서 애완동물 모드로 운전을 전환할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전환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자동 모드로 운전이 지속되고,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애완동물 모드로 운전이 전환되어 수행된다.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or estimated in the analysis step,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pet mode driving is necessary. That i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driving is switched from the automatic mode to the pet mode. When switching is unnecessary, driving continues in automatic mode, and when switching is required, driving is switched to pet mode and performed.

애완동물 모드로 운전이 전환되면, 애완동물 모드로 운전이 제어(S160)된다. 이는 전술한 운전 제어(S50)에서와 동일한 제어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 알림(S170) 단계도 이와 같다. When driving is switched to the pet mode, driving is controlled in the pet mode (S160). This may be the same control as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control ( S50 ). Similarly, the filter notification (S170) step is also the same.

애완동물 모드는 설정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설정 시간 경과 후 애완동물 모드는 다시 자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Pet mode can be performed for a set time.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the pet mode can be switched back to the automatic mode.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부를 통한 영상 정보 또는 비젼 정보의 생성 및 획득, 그리고 정보의 분석은 사용자가 자동 모드를 선택하고 자동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 이러한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공기처리기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in this embodiment, generation and acquisition of image information or vision information through the camera unit, and analysis of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selects an automatic mode and the automatic mode is performed. Accordingly, unnecessary load on the air processor can be minimized by allowing these steps to be performed only when necessary.

한편, 본 실시예에서 애완동물 모드는 사용자와 선택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공기처리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애완동물 모드의 수행과 애완동물 모드의 수행을 통해서 필터의 교환 또는 교체 시기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t mode may be performed regardless of the user and selec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use the air processor. However, it would be preferable to perform a notification step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understand the replacement or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 pet mode and the performance of the pet mode.

도 6을 참조하여 애완동물 모드에서의 공기처리기 운전 모습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An operation of the air processor in the pet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 모드에서는 추정된 애완동물의 활동량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강도를 갖도록 공기처리기가 운전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pet mode, the air processor may be operated to have different intensities according to the estimated amount of activity of the pet.

활동량 정도는 복수 개의 단계로 구분되어 결정될 수 있으며, 2단계, 3 단계 내지는 4 단계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6에는 편의상 3단계로 활동량 정도가 구분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The level of activity may be determin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and may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ree stages, or four or more stages.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egree of activity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for convenience.

공기 청정 세기와 풍량 세기는 활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도록 세팅되어 운전될 수 있다.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the air volume intensity may be set and operated to increase as the activity amount increases.

애완동물 모드에서, 가장 활동량이 작은 단계에서는 공기처리기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지속적으로 애완동물을 감지하되, 팬 모터, 풍향 모트 그리고 공기 처리부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다. In pet mode, the air handler may not work at the stage with the least activity. That is, although the pet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fan motor, the wind direction motor, and the air processing unit may be stopped.

전술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 모드와 자동 모드의 차이는 풍향의 제어라 할 수 있다. 애완동물 모드에서 가장 활동량이 작은 단계에서는, 오토 모드로 전환되어 공기처리기의 운전이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오토 모드로 전환되어 운전되는 도중 지속적으로 애안동물을 감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t mode and the automatic mode is the control of the wind direction. In the stage with the smallest activity amount in the pet mode, it may be switched to the auto mo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processor. Of course, the step of continuously detecting the pet animal while being switched to the auto mode while driving may be performed.

이 경우, 먼지 센서에서 감지한 먼지량에 근거하여 풍량, 풍량 그리고 공기 청정 세기가 가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결국, 이 때에는 애완동물 모드이나 실질적으로는 자동 모드로 공기처리기가 운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ir volume, air volume, and air cleaning intensity may be controlled to vary based on the amount of dust detected by the dust sensor. After all, in this case, the air processor may be operated in a pet mode or in an automatic mode substantially.

활동량이 가장 작은 단계보다 큰 단계에서는 애완동물 활동 영역으로 풍향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활동량이 클 수록 공기 청정 세기와 풍량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wind direction to the pet activity area in the stage where the activity amount is greater than the smallest stag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the intensity of the air volume as the amount of activity increases.

여기서, 애완동물 모드에서 활동량이 가장 작은 단계(활동이 감지되지 않는 단계 포함)에서는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애완동물 감지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처리기의 부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간격으로 이러한 단계들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Here, in the pet mode, the step of detecting the pet may be continuously or repeatedly performed in a step with the smallest amount of activity (including a step in which no activity is detected). However, in order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oad of the air handler, it is preferable that these steps are perform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그러나, 애완동물 모드에서 활동량이 가장 작은 단계보다 큰 단계에서는 지속적으로 애완동물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는 공기처리기의 부하 증가보다는 애완동물의 영향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더욱 필요하기 때문이다. However, in the pet mode, it is preferable to continuously detect the pet in a stage where the amount of activity is greater than the smallest stage. This is because, in this case, it is more necessary to effectively deal with the effects of pets than to increase the load on the air handler.

이하에서는 영상 정보 또는 비젼 정보를 통해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생활 영역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etecting a pet and estimating a living area through image information or vis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획득된 영상 정보 또는 비젼 정보를 통해서, 움직이는 애완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대상물의 위치 변화를 통해서 애완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변화의 정도를 통해서 애완동물의 행위 모습과 활동량을 추정할 수 있다. Through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or vis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moving pet. That is, the pet can be detec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behavior of the pet and the amount of activity through the degree of location change.

먼저, 영상 정보 또는 비젼 정보를 통해서, 공기처리기에서 근거리, 중거리 그리고 원거리 등 거리 단계를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대상물의 크기와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전체 영역에서 대상물의 원근 위치뿐만 아니라 좌우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대상물 감지의 누적 결과를 잘 알려진 심경 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 기반 공간 감지 알고리즘에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딥 러닝(deep learning)의 핵심 모델로 활용되고 있다. First, through image information or vision information, the air processor can distinguish distance steps such as short-range, medium-distance, and long-distance, and through this, the size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object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as well as the far and near positions of the object in the entire area. The cumulative result of such object detection can be input into a well-known deep neural network (DNN)-based spatial detection algorithm. These algorithms are being used as core models of deep learning.

이러한 딥 러닝을 통해서, 전체 영역에서 활동 영역을 추정할 수 있다. 즉, 애완동물 감지 데이터를 입력 인자로 하고, 활동 영역(생활 영역)을 출력 인자로 하여 딥 러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추정된 활동 영역으로 풍향을 집중하여 효과적으로 애완동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공기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처리기에 따르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서 애완동물의 활동 영역을 추정하여 출력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풍향을 활동 영역으로 집중하여 애완동물에 의한 영향을 최소로 하여 효과적으로 공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rough such deep learning,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activity area in the entire area. That is, deep learning may be performed using pet detection data as an input factor and an activity area (living area) as an output factor. By concentrating the wind direction to this estimated activity area,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inimize the influence of pets and perform air treatment effectively.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tivity area of the pet is estimated and output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nd based on this, the wind direction is concentrated in the activity area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pet and effectively Air treatment can be performed.

10 : 공기처리기 20 : 케이스
30 : 사용자인터페이서(컨트롤패널) 40 : 흡입부
50 : 토출부 110 : 카메라
10: air handler 20: case
30: user interface (control panel) 40: suction unit
50: discharge unit 110: camera

Claims (17)

애완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하여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애완동물의 생활 영역을 추정하는 연산부;
유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유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거나 제거하는 공기 청정부를 포함하여, 공기를 처리하는 공기 처리부;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처리부로 공급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연산부에서 추정된 생활 영역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공기 처리부로 공기를 공급하되, 상기 애완동물의 털을 상기 추정된 생활 영역으로 집중시켜 상기 애완동물의 털과 상기 공기 처리부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애완동물 모드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공기처리기.
a camera unit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to detect a pet;
a calculation unit for detecting a pe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and estimating a living area of the pet;
an air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ir, including a filter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troduced air, and an air cleaning unit for filtering 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troduced air;
a driving unit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supplying it to the air processing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and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he air is discharged toward the living area estimated by the calculating unit to supply air to the air processing unit, but the pet's hair is concentrated in the estimated living area, so that the pet's hair and the air An air processor comprising a processor that performs a pet mode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proces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 센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n air handler comprising a dust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nd a control panel providing a user inte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해서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을 추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alculating unit is provided to estimate the amount of activity or the accumulated activity of the pe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감지된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을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panel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detected amount of activity or accumulated activity of the p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감지된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에 기반하여 상기 필터부의 교체 또는 청소 시기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anel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placement or cleaning time of the filter unit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activity or accumulated activity of the pet.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복수 개의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운전 모드 선택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anel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mode selection unit provided to allow a user to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운전 모드는, 상기 애완동물 모드와 상기 먼지 센서에서 감지된 먼지 농도에 따라 공기 청정 세기와 풍량이 가변되어 운전되는 자동 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7.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e the pet mode and an automatic mode in which an air cleaning intensity and an air volume are variable according to th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dust sens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에서는, 공기의 배출 방향(풍향)이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automatic mode, the air discharging direction (wind direction) is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changed.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완동물 모드의 활성화 시,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의 정도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달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and the processor, when the pet mode is activated, differently controls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amount of activity of the pet or a degree of accumulated activit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이 낮은 경우, 상기 애완동물 모드를 상기 먼지 센서에서 감지한 먼지 농도에 기반하여 공기 청정 세기와 풍량을 달리 제어하는 자동 모드로 전환하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activity amount or accumulated activity amount of the pet is low, the processor switches the pet mode to an automatic mode that controls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the air volume differently based on th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dust sensor to control air conditioner with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이 낮은 경우, 상기 공기 청정부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when the activity amount or the accumulated activity amount of the pet is low, the air process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and the driv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이 높은 경우, 공기 청정 세기 및 풍량이 강한 상태에서 풍향이 상기 생활 영역을 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processor, when the activity amount or accumulated activity amount of the pet is high, controls the wind direction to face the living area in a state where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air volume are stro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완동물의 활동량 또는 누적 활동량이 중간인 경우, 공기 청정 세기 및 풍량이 약한 상태에서 풍향이 상기 생활 영역을 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processor controls the wind direction toward the living area in a state where the air cleaning intensity and air volume are weak when the activity amount or accumulated activity amount of the pet is medium.
먼지 센서 그리고 상기 먼지 센서에서 감지한 먼지 농도에 따라 풍량과 공기 처리 세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모드로 운전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공기처리기에 있어서,
애완동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정보를 통하여 애완동물을 감지하고 애완동물의 생활 영역과 활동량을 추정하는 연산부;
유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공기를 처리(청정/가습)하는 공기 처리부; 그리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처리부로 공급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동 모드로 운전 시, 상기 연산부에서 추정된 애완동물의 활동량이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산부에서 추정된 애완동물의 생활 영역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애완동물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공기 처리부로 공기를 공급하되, 상기 애완동물의 털을 상기 추정된 생활 영역으로 집중시켜 상기 애완동물의 털과 상기 공기 처리부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An air processor comprising: a dust sensor;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operate in an automatic mod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air volume and an air treatment intensity according to the dust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dust sensor,
a camera unit generating image information to detect a pet;
a calculation unit for detecting a pe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and estimating a living area and an activity amount of the pet;
An air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cleaning/humidifying) air, including a filter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troduced air; And
and a driving unit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supplying it to the air processing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The processor, when driving in the automatic mode, when the amount of activity of the pet estimated by the operation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switches to the pet mode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living area of the pet estimated by the operation unit, and the The air process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ir is supplied to the air processing unit, and an operation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pet's hair and the air processing unit by concentrating the fur of the pet into the estimated living are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애완동물의 활동량은 상하, 상중하 또는 4 이상으로 분류되며, 상기 추정된 애완동물의 활동량의 분류가 클수록 상기 공기 처리부의 공기 처리 세기와 풍량은 증가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estimated activity amount of the pet is classified into upper and lower, upper, middle, lower, or 4 or more, and the air treatment intensity and air volume of the air processing unit are controlled to increase as the classification of the estimated activity amount of the pet increase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모드로의 전환 운전이 종료하면, 상기 자동 모드 운전이 재개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n the conversion operation to the pet mode ends, the automatic mode operation is resume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에서, 풍향은 변경 가능한 최대 범위에서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애완동물 모드에서, 풍향은 상기 추정된 애완동물의 생활 영역에 대응되는 범위 내에서 고정되거나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처리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In the automatic mode, the wind direction is controlled to change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in the maximum range that can be changed,
In the pet mode, the wind direction is fixed with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living area of the pet, or controlled to be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changed.
KR1020190084094A 2019-07-11 2019-07-11 Arcificial intelligence air tre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2287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094A KR102287103B1 (en) 2019-07-11 2019-07-11 Arcificial intelligence air tre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094A KR102287103B1 (en) 2019-07-11 2019-07-11 Arcificial intelligence air tre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505A KR20210007505A (en) 2021-01-20
KR102287103B1 true KR102287103B1 (en) 2021-08-06

Family

ID=7430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094A KR102287103B1 (en) 2019-07-11 2019-07-11 Arcificial intelligence air tre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10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8430A (en) * 2007-12-21 2009-07-30 Panasonic Corp Air conditioner
JP2014077599A (en) 2012-10-11 2014-05-01 Daikin Ind Ltd Air conditio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6124B2 (en) * 1992-10-21 2002-07-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Human body activity amount calculation device and living room environment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123215A (en) * 2009-05-14 2010-11-24 이철규 The air conditioner controller with image detector for a air conditioner
KR20120096722A (en) * 2011-02-23 2012-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50358B1 (en) * 2016-11-02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ce Ai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63496B1 (en) * 2017-11-01 2023-08-10 코웨이 주식회사 Air purifier having human sensing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8430A (en) * 2007-12-21 2009-07-30 Panasonic Corp Air conditioner
JP2014077599A (en) 2012-10-11 2014-05-01 Daikin Ind Ltd Air cond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505A (en)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657B1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250047B2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429925B (en) Air purifier
CN106662350B (en) Air purifier and equipment machine with air-cleaning function
KR20170067627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20220034023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66800B2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CN107624078B (en) Air purifier
KR20190049053A (en) Air purifier having human sensing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7071901B2 (en) Electrical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KR102287103B1 (en) Arcificial intelligence air tre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JP6437195B2 (en) Air cleaning system and control device
CN113203157B (en) Ai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5129595A (en) air conditioner
KR100651306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cleaner having a dust sensor
JP2010269058A (en) Air cleaner
CN109731419B (en) Control method of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device
CN111765601A (en) Remote regulation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dehumidifier and remote regulation and control system
KR100781089B1 (en) Robot cleaner
JP2013070791A (en) Air purifier
KR100669026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KR20200047509A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CN214809300U (en) Filter equipment and cabinet air conditioner
JP2012057862A (en) Air cleaner
KR20220006824A (en) Clothes Car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