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646B1 -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646B1
KR102286646B1 KR1020190054347A KR20190054347A KR102286646B1 KR 102286646 B1 KR102286646 B1 KR 102286646B1 KR 1020190054347 A KR1020190054347 A KR 1020190054347A KR 20190054347 A KR20190054347 A KR 20190054347A KR 102286646 B1 KR102286646 B1 KR 102286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fastening
uni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9637A (en
Inventor
윤홍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5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646B1/en
Publication of KR2020012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6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6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환자를 검진할 때에 양면의 미러를 활용하여 제1미러를 통하여서는 발광부에 의해 반사된 빛이 환자의 구강 내부에 닿도록 하여 구강 내 미생물을 형광빛을 통해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제2 미러를 통하여서는 환자의 구강 내부가 직접 반사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미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examines a patient, the mirror is used on both sides to allow the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to reach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through the first mirror.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mirror that allows microbes in the oral cavity to be viewed through fluorescent light and a second mirror to directly reflect the interior of a patient's oral cavity.

Description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본 발명은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환자를 검진할 때에 양면의 미러를 활용하여 제1미러를 통하여서는 발광부에 의해 반사된 빛이 환자의 구강 내부에 닿도록 하여 구강 내 미생물을 형광빛을 통해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제2 미러를 통하여서는 환자의 구강 내부가 직접 반사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미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examines a patient, the mirror is used on both sides to allow the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to reach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through the first mirror. It relates to a multi-purpose mirror that allows microbes in the oral cavity to be viewed through fluorescent light and a second mirror to directly reflect the interior of a patient's oral cavity.

치아 검진용 미러, 또는 치경-치아 거울로도 불리는 해당 기구는 환자들의 치과 검진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구이다. 종래의 치아 검진용 미러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긴 형상의 손잡이와 그 말단부에 미러가 붙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치아 검진용 미러는 일반적으로 치과 내에서 일회성으로 사용된 후 버려지거나 또는 소독 후 사용되는 등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This device, also called a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or an alveolar-tooth mirror, is the most used device for dental examinations of patients. The conventional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is generally made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has a simple structure with a long handle and a mirror attached to its distal end. It is commonly used, such as being discarded or used after disinfection.

한편, 최근에는 단순히 육안으로 치아를 관찰하던 것에 그치지 않고 치아를 향해 빛을 조사한 후 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형광색깔을 관찰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내 미생물까지 관찰이 가능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구강 내 미생물을 관찰하기 위한 장치들은 발광부가 구비된 별도의 독립된 장치의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가령 의사가 환자의 구강 내 미생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치아 검진용 미러를 내려 놓은 후 미생물 관찰을 위한 장치를 다시 파지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검진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존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cently, devices capable of observing even the microbes in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have been proposed by not only simply observing the teeth with the naked eye, but also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teeth and observing the fluorescence color of the reflected light. However, since devices for observing microbes in the oral cavity are provided only in the form of separate and independent devices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part, for example, in order for a doctor to check the microbes in a patient's mouth, he puts down the conventional dental mirror and then observes microbes. There may be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hold the device again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and furthermor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more time is required for examination.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 내지 불편함에 착안하여 치과 병원 내에서 환자의 치아상태를 관찰하고자 할 때에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는 것은 물론 파지하고 있던 치아 검진용 미러를 단순히 방향을 바꾸어 파지하는 것만으로 환자 구강 내 미생물 상태까지도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nconvenien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irect observation of the patient's teeth in a dental hospital, as well as direct observation of the patient's teeth in a dental hospital by simpl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olding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nd holding it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It was proposed to make it easy to observe even the state of microorganism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5698호 (2013.10.10.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15698 (2013.10.10. Announcement)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부를 검진할 때에 사용하는 종래 치아 검진용 미러를 개선시킴으로써 단순히 육안으로 구강 내부를 확인하는 것뿐 아니라, 특정 파장대역의 빛에 대해 형광색을 반사시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 미생물까지도 확인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imply checks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with the naked eye by improving the conventional dental examination mirror used when examin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but also uses the characteristic of reflecting the fluorescent color for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check even the microbes inside the oral cavity.

특히, 본 발명은 두 면의 미러를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되, 이 중 하나의 미러를 통해서는 직접 육안을 통해 환자의 구강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미러를 통해서는 특정 대역의 빛을 비추는 경우 구강 내 미생물 활성도에 따라 형광색을 반사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 미생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때 사용자로 하여금 단순히 치아 검진용 미러의 방향을 바꾸어 파지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환자의 구강 내부 상태를 다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having a mirror of two sides, one of which can directly check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through the naked eye, and the other mirror provides a specific band of light The purpose of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check the microbiome information of the patient's oral cavity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that reflects the fluorescent color according to the microbial activity in the oral cavity. The purpose of this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internal stat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from various angles.

또한 본 발명은 미러피스를 가능한 한 간단한 구조로, 그리고 비용이 저렴한 재질로 제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미러피스를 소모품과 같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또는 소독이 쉽도록 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미러피스를 교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위생관리가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mirror piece as simple as possible and to be manufactured from a material that is inexpensive, so that the mirror piece can be replaced with consumables or sterilized easily. That is, it aims to facilitate hygiene management of the entire device by making the mirror piece replaceable.

또한 본 발명은 미러피스가 몸체부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도 상기 몸체부에 캡(cap)을 씌움으로써 환자의 구강 내부 미생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일종의 조명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mirror piece to be used as a kind of lighting device that can check the state of microbes inside the patient's oral cavity by covering the body with a cap even when the mirror piece is removed from the body.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미러피스 및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미러피스의 광통로부를 향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피스는,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빛이 통과하는 광통로부;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미러 및 제2미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1미러는 상기 광통로부를 통과한 빛을 임의의 조사대상을 향해 반사시키는 미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rror piece and a body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a fastening unit fastened to the mirror piece; and a light emit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ans and outputting arbitrary light toward the optical path of the mirror piece, wherein the mirror piece is coupled to the fastening unit, and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passes an optical path unit; a mirror uni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light path unit, each having first and second mirrors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first mirror reflecting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path unit toward an arbitrary irradiation target; includes

또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광통로부의 외부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외부 케이싱의 외주면 중 일부에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광통로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임의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휘어짐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the mirror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from the outer casing of the optical passage part, and only contacts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optical passage part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bent into a curve having an arbitrary curvature.

또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체결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미러피스와 상기 몸체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광통로부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the light emitting part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astening part, and may be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optical path part when the mirror piece and the body part are fastened.

또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광통로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에는 당해 광통로부를 통과한 빛이 출력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the mirror part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optical path part, and may exten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optical path part. In this case, an opening through which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ssage is outpu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optical passage.

또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과 관절부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관절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미러부와 상기 광통로부가 이루는 소정의 각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the mirror unit is extended by one end and the joint part of the optical path part, and a predetermined angle formed between the mirror part and the optical path part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int part. there is.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미러피스 및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피스는 상기 몸체부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체결부 내 삽입되는 로드(rod)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미러 및 제2미러가 구비되는, 미러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mirror piece and a body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a fastening unit fastened to the mirror piece;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astening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to output an arbitrary light; Including, wherein the mirror piece includes a rod (rod) portio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with the body portion; and a mirro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rod portion and having a first mirror and a second mirror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원뿔 형상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one end of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and the light emitting part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ical shape.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미러피스 및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결합되는 결합홈;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On the other hand, in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includes a mirror piece and a body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mirror piece; a light emit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ans to output an arbitrary light;

상기 미러피스는,The mirror piece,

상기 몸체부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홈 내 삽입되는 로드(rod)부;a rod part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with the body part;

상기 로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미러 및 제2미러가 구비되는, 미러부;를 포함한다.and a mirro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rod portion and having a first mirror and a second mirror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르면 1회 검진 시 환자의 구강 내부를 다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사용자(치과 의사)는 간단하게 파지 방향을 바꾸는 것 만으로도 다각적 관찰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검진의 효율성 및 신속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from multiple angles during a one-time examination, and in particular, the user (dentist) is able to observe from multiple angles by simply changing the gripping direction.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spe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미러피스를 쉽게 교체할 수 있게 제작함으로써 위생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manage hygiene more easily by manufacturing a mirror piece that can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so that it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러피스가 몸체부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도 몸체부를 구강 내 미생물 관찰을 위한 독립적인 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치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mirror piece is removed from the body, the body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device for observing microorganisms in the oral cavity, thereby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devi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위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활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미러피스 내 구비된 미러부가 관절부에 의해 연장되어 관절운동을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미러피스가 탈거된 상태에서 몸체부에 캡을 씌워 활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위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미러피스가 탈거된 상태에서 몸체부에 캡을 씌워 활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중 미러피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중 몸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irror unit provided in the mirror piece is extended by the joint portion to perform joint motion.
5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cap is applied to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mirror piece is remov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8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cap is applied to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mirror piece is removed.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11 to 13 show another embodiment of a mirror piece among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dy of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purpose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s regarding the operational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or us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escription inclu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have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ly, any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for bette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including certain components is an expression of “open type” and merely refers to the existence of the componen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more,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do.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라는 용어 대신 치아 검진용 미러 또는 다용도 미러라는 용어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나, 해당 용어들은 모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임을 밝힌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크게 두 가지 실시예의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제안하는데,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을,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을, 도 9에서는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을, 도 10에서는 제4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을 기재하고 있음을 밝힌다.Hereinafter,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term dental examination mirror or multi-purpose mirror may be used together instead of the term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reveal tha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proposes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of two embodiments, in FIGS. 1 to 5, a description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and in FIGS. 6 to 8, a description related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revealed that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third embodiment is described in FIG. 9 and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fourth embodiment is described in FIG. 10 .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살펴본다.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크게 몸체부(100)와 미러피스(200)라는 두 개의 큰 조립체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때 몸체부(100)는 사용자(예: 치과의사, 가정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개인)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부(100) 내부 공간의 여러 구성들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몸체부(100)에는 스위치(104)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작동을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미러피스(200)는 몸체부(100)와 탈착이 가능한 것으로,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 말단에 양면 미러부(202)가 형성되되,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의 또 다른 말단은 몸체부(100) 중 체결부(102)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위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는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광 통로부(201)라 칭하기로 하며, 뒤에서도 설명하겠지만 광 통로부(201)는 내부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채널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몸체부(100)와 미러피스(200)의 세부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rst,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two large assemblies called a body part 100 and a mirror piece 200, and in this case, the body part 100 is used by a user (eg, a dentist, at home). An individual who wants to) serves as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accommodate various components of the body portion 100 internal space.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0 is provided with a switch 104 so that the user can turn the operation on / off as needed. On the other hand, the mirror piece 200 is detachable from the body part 100, and the double-sided mirror part 20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ong bar-shaped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long bar-shaped member is the body part 100. It has a structur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iddle fastening part 102 . The above long bar-shaped member will be referred to as a light passage part 201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ight passage part 201 includes a channe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therein. 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mirror piec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앞서 도 1에서 살펴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이 때 당해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몸체부(100)와 미러피스(200)가 결합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s seen in FIG. 1 above. At this time,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100 and the mirror piece 200 are combined.

먼저 몸체부(100) 내에 포함되는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면, 몸체부(100)는 크게 전원공급수단(101), 체결부(102), 그리고 발광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looking at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body 100 , the body 100 may largel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01 , a fastening unit 102 , and a light emitting unit 103 .

전원공급수단(101)은 당해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성이 필수인 당해 장치의 특성상 위 전원공급수단(101)은 건전지 또는 충전지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사용을 위해 건전지를 구입하여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삽입할 수 있으며, 또는 이미 내부에 충전지가 삽입된 몸체부(100)를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시킴으로써 장치 사용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2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몸체부(100) 내에는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회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몸체부(100)를 충전기 상에 올려두는 행위만으로 해당 장치를 충전할 수 있게 당해 전원공급수단(101)을 구현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means 101 i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device, and the power supply means 101 may be a dry cell or a rechargeable battery due to the nature of the device, which is essential for portability. That is, the user can purchase a battery for use of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nd insert it into the body 100, or connect the body 100 in which the rechargeable battery is already inser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cable or the like. By connecting with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electrical energy required to use the device.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FIG. 2, a series of circuits that enable wireless charging may be included in the body part 100. In this case, the user puts the body part 100 on the charger. The power supply means 101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device can be charged only by an action.

다음으로 체결부(102)는 기본적으로 미러피스(200)와 체결되는 부분을 일컫는다. 도 2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체결부(102)는 몸체부(100)의 한쪽 끝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미러피스(200)가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미러피스(200)가 체결부(102)와 체결되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러피스(200)의 구성 중 원통형의 광 통로부(201)가 그대로 체결부(10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광 통로부(201)와 체결부(102)가 체결되는 부분을 암수나사의 구조로 형성하여 회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광 통로부(201)의 말단에 후크(hook)를 형성시키고 체결부(102) 내부에는 상기 후크가 걸릴 수 있는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체결시 위 후크가 홈에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다. Next, the fastening part 102 basically refers to a part fastened to the mirror piece 200 . As can be seen in FIG. 2 , the fastening portion 102 is preferably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0 , and a recessed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so that the mirror piece 200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A structure in which the mirror piece 20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102 may exis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 a cylindrical light passage part ( In such a way that the 201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art 102 as it is and can be fixed, the part where the light passage part 201 and the fastening part 102 are fastened is formed in a male and female screw structure so that it can be fixed by rotation. A method of forming a hook at the end of the light passage part 201 and forming a groove in which the hook can be caught in the fastening part 102 so that the hook can be caught and fixed in the groove during fastening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다음으로 발광부(103)는 전술한 전원공급수단(101)으로 전류 및 전압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380~800nm 파장대역의 빛을, 더 바람직하게는 655nm 파장영역의 빛을 발광하거나 또는 380 내지 420nm 파장의 청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위 파장대역의 빛은 미생물이 활성화 되어 있는 대상물(치아) 상에 조사되었을 때 형광색의 반사광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사용자는 위 발광부(103)에 의해 출력되는 빛, 그리고 이 빛의 미생물에 의한 반사광을 관찰함으로써 환자의 구강상태를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된다. 즉, 미생물의 대사과정 중에 발생되는 물질이 형광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생물의 대사 과정 중에 발생되는 포피린이라는 물질은 380 내지 420nm의 청색광에서 형광 현상을 일으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파장영역대의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발광부(103)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위 발광부(103)는 대표적으로 LED,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크세논 램프, EL램프, 레이저 발광장치 등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Next, the light emitting unit 103 is configured to emit light by receiving current and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means 101 described above, and preferably emits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380 nm to 800 nm, more preferably in a wavelength region of 655 nm. It may emit light or output blu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80 to 420 nm. The light of the above wavelength band enables observation of the reflected light of fluorescent color when the microorganism is irradiated on the object (tooth) in which the microorganism is activated, and the user can observe the light output by the light emitting unit 103 above, and the microorganism of this light By observing the reflected light by That is, substances generated during the metabolic process of microorganisms may cause fluorescence. For example, a substance called porphyrin generated during the metabolic process of microorganisms causes fluorescence in blue light of 380 to 420 nm. The light emitting unit 103 may be implemented to output a large amount of light.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103 can be implemented by typically using an LED, a mercury lamp, a sodium lamp, a xenon lamp, an EL lamp, a laser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ke.

한편, 본 발광부(103)는 몸체부(100) 내에 구비되어 미러피스(200)의 광 통로부(201)를 향해 빛을 출력할 수 있는 한 그 구비 위치에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체결부(102)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광 통로부(201)가 체결부(102)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광 통로부(201)와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103)의 크기는, 도면 상에서는 광 통로부(201)의 면적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광 통로부(201)의 직경과 동일한 면적, 상기 광 통로부(201)의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광 통로부(201)가 체결될 때에 상기 광 통로부(201)의 내부로 발광부(103)가 삽입되도록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구현하는 경우 미러피스(200)는 체결부(102)에 의해 고정되는 것 이외에 광 통로부(201) 내부에 발광부(103)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고정력까지 얻을 수 있으므로 더욱 체결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long as the light emitting part 103 is provided in the body part 100 and can output light toward the light path part 201 of the mirror piece 200,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location of the light emitting part, but preferably It may be formed inside the fastening part 102 as shown in FIG. 2 , and in particular, when the light path part 201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102 , it will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ight path part 201 . can In addition, although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part 103 is shown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at of the light passage part 201 in the drawing, an area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light passage part 201 and the light passage It may be formed in an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201 . In particular, a structure may be form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103 is inserted into the light passage part 201 when the light passage part 201 is fastened. In addition to being fixed by (102), since the light emitting part 103 is inserted into the light passage part 201 to obtain a fixed fixing force,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can be achieved.

한편, 몸체부(100)는 스위치(10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스위치(104)는 전원공급수단(101)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당해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정방향으로 파지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수단(101)을 오프 시키고,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반대방향으로 파지하여 환자의 구강 내 미생물 상태를 관찰하고자 할 때에는 전원공급수단(101)을 온 시키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104, the switch 104 is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power supply means 101, the user to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If you want to visually observe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by holding it in the forward direction, turn off the power supply means 101 It can be utilized to turn on the means 101 .

이상 몸체부(100)에 대해 살펴보았다.The above body part 100 was looked at.

다음으로 미러피스(200)에 대해 살펴보면, 미러피스(200)는 크게 광 통로부(201), 그리고 미러부(202)를 포함한다.Next, referring to the mirror piece 200 , the mirror piece 200 largely includes a light passage part 201 and a mirror part 202 .

광 통로부(201)는 이미 앞선 몸체부(100)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이 되었던 구성으로, 몸체부(100)의 체결부(102)에 체결될 수 있고, 또한 발광부(103)에서 출력된 빛이 통과하는 구성이다. 위 광 통로부(201)를 다시 세부적으로 나누어 보면 내부에 빛이 전반사되어 통과되는 광 채널(2012), 그리고 광 채널(2012)을 둘러싸는 외부 케이싱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이 때 광 채널(2012)은 빛의 전반사 성질을 이용하여 일단에서 타단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이 없다 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광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역시 형성 물질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할 것이며 플라스틱, 금속 등이 케이싱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light passage part 201 has a configuration that has already been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body part 100 , and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102 of the body part 100 , and also outpu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103 . It is the composition through which light passes. When the above light passage part 201 is divided again in detail, i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an optical channel 2012 through which light is totally reflected and passed therein, and an outer casing surrounding the optical channel 2012 . In this case, the optical channel 2012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pass from one end to the other using the total reflection property of light, and an optical fiber may be preferably used. In addition, the casing will also say that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forming material, and plastic, metal, etc. may be used as the casing.

한편, 상기 광 통로부(201)는 비단 하드 타입으로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플렉서블한 물성의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의 환자 검진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광 통로부(201)는 사용자가 임의의 외력을 가하는 경우 그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로서는 자신이 개별 환자의 구강 내부를 살필 때마다 적절한 휘어짐 정도를 정하여 광 통로부(201) 모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광 통로부(201)는 복원력 내지 탄성력이 더 좋은 물성의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환자의 구강 상태를 살필 때에 광 통로부(20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를 지지점으로 삼아 구강 내부의 구석구석을 살필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 passage part 201 is not only formed of a hard type, bu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le physical properties if necessary,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in patient examination can be improved. That is, the light passage part 20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its bent state when the user applies an arbitrary external force.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shape of the light passage part 201 by setting . In addition, the light passage part 20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etter restoring force or elastic force. In this case, the user uses the elastic force of the light passage part 201 to examine the patient's oral condition. It also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xamine every nook and cranny of the oral cavity by using the teeth as a support point.

한편, 상기 미러피스(200)의 광 통로부(201) 일단에는 미러부(202)가 구비되는데, 더 정확하게는 광 통로부(201)의 외부 케이싱의 외주면 중 일부만 접하도록 미러부(2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미러부(202)는 하나의 패널(2021)을 두고 위 패널(2021)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 미러(2022) 및 제2 미러(20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러부(202)의 특징은 2 개의 미러가 각각 전면과 배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는 점 이외에도, 상기 광 통로부(20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광 통로부(20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연장된다는 점에서도 기술적으로 특징점이 있다. 즉, 도 2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미러부(202)의 패널(2021)은 광 통로부(201)의 일단과 연장되되 광 통로부(201)와 직선을 이루지 않고 굽어져 있는데, 이는 패널(2021)의 전면 및 배면에 구비된 각 미러들을 서로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에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미러(2022)는 광 통로부(201)를 통과한 빛을 반사시키기에 적합한 각도로, 제2 미러(2023)는 사용자가 환자의 구강 내부를 육안으로 쉽게 관찰하기에 적합한 각도로 구비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irror part 20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ight passage part 201 of the mirror piece 200 . More precisely, the mirror part 202 is in contact with only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asing of the light passage part 201 .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mirror unit 202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panel 2021 is provided, and a first mirror 2022 and a second mirror 2023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pper panel 2021, respectively. A feature of the mirror unit 202 is that,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wo mirrors are disposed to face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the mirror unit 202 extends from one end of the light path unit 201 and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ight path unit 201 . There is also a technical feature in that. That is, as can be seen in FIG. 2 , the panel 2021 of the mirror unit 202 extends with one end of the light path unit 201 , but does not form a straight line with the light path unit 201 and is bent, which is the panel 2021 . This is to facilitate the use of mirrors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nit for different purposes. That is, the first mirror 2022 is at an angle suitable for reflecting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passage portion 201, and the second mirror 2023 is at an angle suitable for the user to easily observe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with the naked eye. to make it available.

한편, 위 미러부(202)의 패널(2021)은 상기 광 통로부(201)의 케이싱과 반드시 동일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광 통로부(201)의 케이싱과 동일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제조상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즉, 광 통로부(201)와 미러부(202)의 패널(2021)을 동일한 압출 단계에서, 또는 동일한 주조 단계에서 제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2021)의 전면 및 배면에 형성되는 미러들은 각각 미리 제작된 미러를 접착 또는 부착하는 방식, 또는 상기 패널(2021)의 전면 및 배면에 빛 반사가 가능한 물질로 코팅을 하는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anel 2021 of the mirror unit 202 is not necessari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asing of the light passage unit 201, but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asing of the light passage unit 201. By forming it, convenience in manufacturing can be improved. That is, by allowing the panel 2021 of the light passage part 201 and the mirror part 202 to be manufactured in the same extrusion step or in the same casting step,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In addition, the mirror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anel 2021 are each by bonding or attaching prefabricated mirrors, or by coa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anel 2021 with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etc. This can be utilized.

상기 미러부(202)와 관련하여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도 1 및 도 2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러부(202)의 제1 미러(2022)는 광 통로부(201)의 타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제2 미러(2023)는 상기 제1 미러(2022)와 반대되는 쪽을 향해 형성된다는 점, 나아가 상기 미러부(202)의 패널(2021)은 광 통로부(201)의 케이싱 면 중 일부와만 접한다는 점이다. 도 1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미러피스(200)의 구조는 궁극적으로 제1 미러(2022)를 통해서는 광 채널(2012)을 통해 통과한 빛들이 효과적으로 반사되어 더 넓은 영역의 환자 구강 내부를 비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미러(2022)로 하여금 광 통로부(201)의 타단에 형성된 개구부 쪽을 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처럼 미러부(202)의 패널(2021)이 케이싱 면 중 일부와만 접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발광부(103)에 의한 빛이 외부로 발광될 수 있는 구멍, 즉 개구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궁극적으로는 도 3의 (a)와 같이 더 넓은 영역으로의 빛 조사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광 통로부(201)의 개구부를 통한 빛이 직접 대상을 향하여 조사될 수도 있겠으나, 제1 미러(2022)의 존재에 의해 상기 개구부로부터 출력된 빛들이 반사에 의해 대상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비출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미러피스(200)의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환자의 구강 내 다각적 관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t is noteworthy in relation to the mirror unit 202 , and as can be seen in FIGS. 1 and 2 , the first mirror 2022 of the mirror unit 202 is an opening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ight passage unit 201 . is formed toward, and the second mirror 2023 is formed toward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mirror 2022 , and furthermore, the panel 2021 of the mirror unit 202 is the casing of the light passage unit 201 . The point is that it only touches some of the sides. The structure of the mirror piece 200 that can be confirmed in FIGS. 1 and 2 is that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channel 2012 is effectively reflected through the first mirror 2022, so that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of a wider area is covered. This is to allow the light to shine.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irror 2022 is directed toward the opening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ight passage unit 201 . In addition, as in FIGS. 1 and 2 , the panel 2021 of the mirror unit 202 is implemented to contact only a part of the casing surface, thereby forming a hole through which light by the light emitting unit 103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that is, an opening. and ultimately, light irradiation to a wider area as shown in FIG. Although light through the opening of the light passage part 201 may be directly irradiated toward the object, the presence of the first mirror 2022 allows the light output from the opening to more effectively illuminate the object by reflection. it was made to As such,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multi-faceted observation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by the above structure of the mirror piece 200 .

또한, 미러피스(200)를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조하는 경우,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제1 미러(2022)를 패널(2021)의 전면에 추가로 배치하는 것, 그리고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광섬유 등의 광 채널(2012)을 광 통로부(201) 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기술적 효과가 뛰어난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상 이점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irror piece 200 is manufactur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a relatively inexpensive first mirror 2022 is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anel 2021, and a relatively inexpensive optical fiber, etc. By inserting the optical channel 2012 of the optical path part 201 into the optical passage part 201,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evice having excellent technical effect, so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manufacturing.

한편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활용하는 예시들을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치과의사)가 정방향으로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파지한 후 환자의 구강을 향해 특정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b)는 사용자가 반대방향으로 파지한 후 환자의 구강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로서는 단순히 파지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구강 내부를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거나 또는 미생물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1회 검진 시 구강 상태에 대한 여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며 검진 시간을 크게 줄일 수도 있다. Meanwhile, FIG. 3 shows examples of using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It shows an embodiment of irradiating the light of a specific band toward the patient's mouth after doing this, and Figure 3 (b) shows an embodiment of visually observ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after the user holds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will be. As such, the user can directly observe the inside of the patient's mouth or observe the microbial state with the naked eye just by changing the gripping direction. can be greatly reduced.

참고로,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정방향으로 파지하여 환자의 구강 내 미생물을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대역의 빛을 필터링 시키는 관찰장비를 착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치과의사)는 필터가 구비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미생물 활성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위와 같은 관찰장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For reference, if you want to observe the microbes in the patient's mouth by holding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user can wear observation equipment that filters the light of a specific band, for example, the user (dentist) The microbial activation state can be observed while wearing glasses equipped with a filter.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 observation equipment will be omitted.

도 4는 미러부(202)가 광 통로부(201)와 관절부(2024)를 통해 연장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irror unit 202 extends through the light passage unit 201 and the joint unit 2024 .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미러부(202)의 패널(2021)이 광 통로부(201)로부터 직접 연장되거나 또는 미러부(202)의 패널(2021)과 광 통로부(201)가 일체로 형성된 예시들을 설명하였는데, 도 4에서는 미러부(202)가 광 통로부(201)와 관절부(2024)를 통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관절부(2024)는 구성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 연결된 구성의 관절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도 4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미러부(202)가 연결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amples in which the panel 2021 of the mirror unit 202 extends directly from the light path unit 201 or the panel 2021 of the mirror unit 202 and the light path unit 201 are integrally formed are shown.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irror unit 202 is connected through the light passage unit 201 and the joint unit 2024 . As can be seen from the name of the configuration, the joint part 2024 enables joint movement of the connected configuration, and the mirror part 202 uses the connection point as a reference point to rotate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FIG. 4 .

이처럼 미러부(202)가 광 통로부(201)에 관절부(2024)로 연결되도록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미러부(20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상태를 관찰할 때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구강 내부의 구석구석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미러부(202)와 광 통로부(201)가 이루는 각도가 고정된 것보다는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고, 또는 어린이와 성인의 구강 내부를 살필 때에도 필요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미러부(202)가 관절부(2024)를 통하여 광 통로부(201)와 연결되도록 하는 실시예도 제안한다. As such, when the mirror unit 202 is implemented to be connected to the light passage unit 201 by the joint unit 2024 , the user observes the oral condition of the patient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mirror unit 202 as needed.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In order to look at every nook and cranny of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t may be more effective that the angle between the mirror unit 202 and the light path unit 201 can be flexibly adjusted rather than fixed, or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of children and adults. Adjusting the angle as needed can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even when look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pos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irror unit 202 is connected to the light passage unit 201 through the joint unit 2024 .

또 다른 한편, 상기 관절부(2024)에는 복원력 내지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더 삽입시킴으로써 원래 상태에서는 미러부(202)가 광 통로부(201)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있도록 유지가 되되, 사용자가 환자의 치아에 미러를 댄 상태에서 힘을 주는 경우에는 관절부(2024)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다시 미러를 치아에서 떼는 경우에는 복원력 또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관절부(202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미러부(202)를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검진이 끝난 후에는 다시 원래의 각도로 복귀가 될 것이므로 매번 미러부(202)의 각도를 조절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further inserting a spring having a restoring force or an elastic force into the joint portion 2024, the mirror portion 202 is maintain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ight passage portion 201 in the original state, but the user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tooth while the mirror is applied, the joint 2024 can be rotated, and when the mirror is removed from the tooth again, it can be implemente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by a restoring force or an elastic force. In this implementation, the user can adjust the mirror unit 202 to a desired angle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joint unit 2024, and after the examination, it will return to the original angle, so each time the mirror unit ( 20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adjusting the angle.

도 5는 미러피스(200)가 몸체부(100)로부터 탈거된 상태의 도면으로, 더 정확하게는 미러피스(200)가 탈거된 후 몸체부(100)에 캡(300)(CAP)을 씌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캡(300)은 크게 두 가지 용도, 다시 말해 미생물 관찰 장치용 또는 보호용으로 활용이 가능한데, 도 5에 개시된 캡(300)은 몸체부(100)를 미생물 관찰용 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5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irror piece 200 is removed from the body portion 100, more precisely, a cap 300 (CAP) is placed on the body portion 100 after the mirror piece 200 is removed. will show The cap 300 can be largely used for two purposes, that is, for a device for observing microorganisms or for protection, and the cap 300 disclosed in FIG.

앞서에서도 언급하였듯 몸체부(100)의 체결부(102) 내부에는 발광부(103)가 구비될 수 있는데, 미러피스(200)가 탈거된 상태에서는 위 발광부(103)가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발광부(103)에 손상이 가해져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러피스(200)가 탈거된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캡(30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캡(300)은 체결부(102) 부분을 완전히 덮어 씌우기 위한 것, 또는 개구부를 두어 미생물 관찰용 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 이렇게 두 가지 종류가 구비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light emitting part 103 may be provided inside the fastening part 102 of the body part 100, and when the mirror piece 200 is removed, the light emitting part 103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This may cause a sanitary problem, and also may cause damage to the light emitting unit 103, making it impossible to use the device. In order to prevent this, a cap 300 that can be used when the mirror piece 200 is removed may be further provided. In order to be able to use it as a device for observing microorganisms, two types may be provided.

도 5에 개시된 캡(300)처럼 미생물 관찰용 장치로 활용하기 위한 캡(300)은 체결부(102) 및 발광부(103) 위에 씌워진 경우 빛을 전방을 향해 조사할 수 있게 하며, 특히 개구부에는 별도의 렌즈를 두어 조사되는 빛의 포커싱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Like the cap 300 disclosed in FIG. 5, the cap 300 for use as a device for observing microorganisms enables light to be irradiated forward when covered on the fastening part 102 and the light emitting part 103, and in particular, in the opening A separate lens may be provided to enable focusing of the irradiated light.

이상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대해 살펴보았다.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살펴본다.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도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크게 몸체부(400)와 미러피스(500)라는 두 개의 큰 조립체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몸체부(4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부(400) 내부 공간의 여러 구성들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고, 몸체부(400)에는 스위치(404)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작동을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미러피스(500)는 몸체부(400)와 탈착이 가능한 것으로,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 말단에 양면 미러부(502)가 형성되되,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의 또 다른 말단은 몸체부(400) 중 체결부(402)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광 통로부 또는 광 채널이라는 구성을 두어 몸체부 내에 구비되는 발광부로부터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몸체부의 내부에 발광부가 구비되는 대신 체결부(402)의 바깥쪽에 노출이 되도록 발광부(403)가 구비되므로 광 통로부 내지 광 채널과 같은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후술하겠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광 통로부, 광 채널 대신 단순한 막대기 형태의 로드부(501)를 두어 단순히 몸체부(400)와의 체결만 가능하도록 하였다. Referring to FIG. 6 ,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lso configured by combining two large assemblies, a body 400 and a mirror piece 500 , as in the first embodiment.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400 serves as a handle that the user can grip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accommodate various components of the body portion 400 inner space, and the body portion 400 is provided with a switch 404 . This allows the user to turn the operation on/off as needed. On the other hand, the mirror piece 500 is detachable from the body portion 400, and a double-sided mirror portion 50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ong rod-shaped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long rod-shaped member is the body portion 400. It has a structur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iddle fastening part 402 . 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ight passage part or the light channel is configured so that light can pass through the light emitting part provided in the body part. Since the light emitting part 403 is provided to be exposed on the outside of the 402 , a configuration such as a light passage part or a light channel is not requir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rod part 501 in the form of a simple rod is provided instead of the light passage part and the optical channel so that only the coupling with the body part 400 is possible.

도 7은 앞서 도 6에서 살펴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다.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s seen in FIG. 6 above.

먼저 몸체부(400) 내에 포함되는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면, 몸체부(400)는 크게 전원공급수단(401), 체결부(402), 그리고 발광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전원공급수단(401)은 앞선 제1 실시예에서의 전원공급수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체결부(402), 발광부(403)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looking at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body 400 , the body 400 may largel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401 , a fastening unit 402 , and a light emitting unit 403 . Among them, the power supply means 40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ower supply means in the first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here the fastening part 402 and the light emitting part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first embodiment (403) will be described.

제2 실시예에서의 체결부(402)는 기본적으로 미러피스(500)가 체결될 수 있는 부분이라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와 공통되지만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미러피스(500)의 긴 로드부(501)가 상당부분 수용될 수 있도록 깊고 긴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또한 체결부의 내부에 발광부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한편 이 때, 체결부(402)의 내부 공간에는 미러피스(500)의 로드부(501)가 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그 외에 미러피스(500)의 로드부(501)가 견고하게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 등의 또 다른 구성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402 in the second embodiment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a part to which the mirror piece 500 can be fastened, bu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long rod of the mirror piece 50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some difference in that a deep and long space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portion 501 can be accommodated in a significant portion, and also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light emitting part is not provided inside the fastening part. Meanwhile, at this time,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astening part 402 so that the rod part 501 of the mirror piece 500 can be easily fastened, or otherwise the rod part 501 of the mirror piece 500 . ) may be formed in other configurations such as hooks to be firmly fastened and fixed.

한편, 제2 실시예에서는 발광부(403)가 체결부(402)의 일단에 구비되되, 체결부(402)를 이루는 외부 케이싱(40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케이싱(4011)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의 발광부(403)는 몸체부(4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몸체부(40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 통로부 또는 광 채널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미러피스(500)의 미러부(502)에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403)는 전원공급수단(401)과 전기적으로 전선(405)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해당 전선(405)은 체결부(402)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싱(4011)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소재의 것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4011)로 하여금 발광부(403)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위 외부 케이스(4011)는 필수 구성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Meanwhil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part 40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astening part 402 ,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outer casing 4011 constituting the fastening part 402 , preferably the outer casing. It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4011 . That is, the light emitting part 403 in the second embodiment is not provided inside the body 400 but is provided outside the body 400, so that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light passage or the light channel directly. Light may be irradiated to the mirror unit 502 of the mirror piece 500 . At this time, the light emitting unit 40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ans 401 through an electric wire 405 ,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 wire 405 may be provided in the fastening unit 402 . In addition, the outer casing 4011 may preferably be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material, and may allow the outer casing 4011 to protect the light emitting unit 403 .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the outer case 4011 is not essential and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미러피스(500)에 대해 살펴본다. 미러피스(500)는 크게 로드부(501)와 미러부(502)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500)와 비교할 때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가 광 통로부라는 별도의 빛 통과용 구성을 구비하고 있던 것에 비하여, 제2 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500)는 이러한 구성이 배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Next, the mirror piece 500 of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mirror piece 500 is largely composed of a rod part 501 and a mirror part 502, and has a simpler structure as compared to the mirror piece 500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mirror piece 500 in the second embodiment excludes this configuration, whereas the mirror piece in the first embodiment has a separate light passage configuration called a light passage. .

로드부(501)는 기본적으로 앞서 언급한 체결부(402)의 내부공간(4021) 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501)의 말단은 몸체부(400)와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밖에 견고한 체결을 위해 다른 구성들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The rod part 501 is basically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4021 of the aforementioned fastening part 402, and may be a long bar-shaped member, preferably a metallic member. In addition,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rod part 501 for solid fastening with the body part 400 , and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formed for firm fastening.

미러부(502)는 제1 미러(5022) 및 제2 미러(5023)를 포함하며, 이 때 제1 미러(5022)는 발광부(403)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반사한다. 제1 미러(5022)로 하여금 발광부(403)의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미러부(502)는 로드부(50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의 미러부(502) 구성은 앞선 제1 실시예의 미러부(502)와 상당히 유사하며, 패널(5021)을 기준으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미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irror unit 502 includes a first mirror 5022 and a second mirror 5023 , wherein the first mirror 5022 reflects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03 . In order for the first mirror 5022 to effectively reflec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403 , the mirror unit 502 may exten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od unit 501 . The configuration of the mirror unit 502 in the second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the mirror unit 502 in the first embodiment, and mirrors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anel 5021, respectively.

이와 같이 미러피스(500)를 구성하는 경우, 해당 미러피스(5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러피스(500)에 비해 광 통로부와 같은 구성이 배제되어 있으므로 소독을 하기가 더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제조단가 역시 크게 낮출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면이 있다. In the case of configuring the mirror piece 500 in this way, the corresponding mirror piece 500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such as a light path portion compared to the mirror piece 5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o it is easier to disinfect. It is effective, and also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which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이상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대해 살펴보았다.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bove.

도 8은 제2 실시예의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따른 구성들 중 미러피스(500)가 탈거된 상태의 모습, 그리고 몸체부(400)에 캡(600)이 씌워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도 5에서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2 실시예의 몸체부(400)에도 체결부(402) 말단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의 캡(600), 또는 몸체부(400)를 미생물 관찰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캡(600)이 씌워질 수 있으며, 특히 몸체부(400)를 미생물 관찰용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캡(600)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의 발광부(403)는 외부 케이싱(4011)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는데, 캡(600) 역시 위 발광부(403)의 구비 형태에 맞추어 투명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함으로써 발광부(403)로부터 출력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mirror piece 500 is removed amo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an embodiment in which the cap 600 is covered on the body portion 400 . Similar to the embodiment in FIG. 5 above, the cap 600 for protecting the end of the fastening part 402 also in the body part 400 of the second embodiment, or the body part 400 is utilized for observing microorganisms. The cap 600 may be covered, and in particular, when the body part 400 is to be used for observing microorganisms, the cap 60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the light emitting part 403 in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ing 4011 , and the cap 600 is also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match the shape of the light emitting part 403 above.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03 may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살펴본다.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9를 참조할 때,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크게 몸체부(700)와 미러피스(800)라는 두 개의 큰 조립체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몸체부(7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부(700) 내부 공간의 여러 구성들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고, 몸체부(400)에는 스위치(704)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작동을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미러피스(800)는 몸체부(700)와 탈착이 가능한 것으로,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 말단에 양면 미러부(802)가 형성되되,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의 또 다른 말단은 몸체부(700) 중 결합홈(702)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가늘고 긴 막대기 형상을 가진다. 한편,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도 볼 수 있듯 몸체부의 일단에 발광부(703)가 구비되며, 이 때 발광부(703)에 의해 출력되는 빛은 미러부(802)에 반사되어 환자의 구강 내 곳곳에 빛이 닿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by combining two large assemblies of a body 700 and a mirror piece 800 . At this time, the body part 700 serves as a handle that the user can grip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accommodate various components of the body part 700 internal space, and the body part 400 is provided with a switch 704 . This allows the user to turn the operation on/off as needed. On the other hand, the mirror piece 800 is detachable from the body part 700, and the double-sided mirror part 80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ong bar-shaped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long bar-shaped member is the body part 700. It has a long and thin bar shape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middle coupling groove 702 . 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 a light emitting unit 70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at this time, the light output by the light emitting unit 703 is reflected by the mirror unit 802 and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light can reach all parts of the oral cavity.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몸체부(700)와 미러피스(80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body portion 700 and the mirror piece 8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

먼저 몸체부(7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살펴볼 때, 몸체부(700)에는 전원공급수단(701), 체결홈(702), 발광부(7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더 나아가 스위치(7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701)은 앞선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여기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다른 구조를 가지는 체결홈(702), 발광부(703)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rst, when looking at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body part 700, the body part 700 may include a power supply means 701, a fastening groove 702, and a light emitting part 703, and furthermore, a switch ( 704) may be further included. Since the power supply means 701 is the same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3 실시예에서의 체결홈(702)은 기본적으로 미러피스(800)가 체결될 수 있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들과 공통되나, 본 실시예에서의 체결홈(702)은 몸체부의 중심부가 아니라 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몸체부(700)는 일단(발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말단)과 타단(손잡이 부분)의 단면적이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9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몸체부(700) 일단의 단면은 물방을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위 일단에는 발광부(703)가 원형으로, 그리고 발광부(703)의 바깥쪽에는 체결홈(702)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체결홈(702)의 아래 쪽에는 미러피스(800)의 로드부(801)가 수용될 수 있도록 몸체부(700) 내에 임의 공간이 더 존재할 수 있다. The fastening groove 702 in the third embodiment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s in that it is a part to which the mirror piece 800 can be fastened, but the fastening groove 702 in this embodiment is the central part of the body part. It is different in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deviat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dy. To this end, the body portion 700 in this embodiment may be manufactured to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of one end (the end at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is formed) and the other end (the handle portion). 9, the cross-section of one end of the body portion 700 may have a water drop shape, and the light emitting unit 703 has a circular shape at one end of the upper end, and the light emitting unit 703 has a fastening groove 702 on the outside of the light emitting unit 703. ) is found to be formed. On the other hand, an arbitrary space may further exist in the body part 700 below the fastening groove 702 so that the rod part 801 of the mirror piece 800 can be accommodated.

다른 한편, 제3실시예에서의 발광부(70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700)의 일단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발광부(703)은 몸체부(700) 내부에 배선된 전선(705)에 의해 전원공급수단(701)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발광부(703)는 도 9에서 볼 수 있듯 몸체부(700) 일단의 평면에 접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위 평면에는, 바람직하게는 빛을 원하는 방향 또는 대상으로 효과적으로 조사시키기 위한 렌즈가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part 703 in the third embodiment may be formed on one end surface of the body part 700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ans 701 by a wire 705 . 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part 703 in this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lane of one end of the body part 700 as shown in FIG. A lens for irradiating may be further provided.

다음으로 미러피스(800)의 구성들에 대해 더 살펴볼 때, 본 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800)는 실질적으로는 앞서 살펴 본 제2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와 그 형태가 유사하며,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800)는 로드부(801)가 몸체부(700)의 중심에서 벗어나 존재하는 체결홈(702)에 체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만 일부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도 9와 도 7의 로드부를 각각 비교할 때에, 본 실시예에서의 로드부(801)가 상대적으로 더 짧은 길이를 가짐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로드부의 길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Next, whe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s of the mirror piece 800 further, the mirror piece 800 in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in shape to the mirror piece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only The mirror piece 800 in the embodiment has some differences only in that the rod part 801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702 that exists outside the center of the body part 700 .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rod portions of FIGS. 9 and 7,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the rod portion 801 in this embodiment has a relatively shorter length, but the length of the rod por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understand

한편, 제3실시예에서와 같은 미러피스(800)의 경우, 해당 미러피스는 1회용품으로 제작하기가 용이하므로 생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는 점,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소독이 편한 점 등의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mirror piece 800 as in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mirror piece is easy to manufacture as a disposable product,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so disinfection is convenient. there is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경우, 미러피스(80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치아를 밝히기 위한 조명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구강 내부를 위 미러피스(800)로 제끼는 등의 행위를 통해 구강 내부에 대한 관찰이 종료된 이후, 사용자(치과의사)로서는 미러피스(800)를 몸체부(700)로부터 분리한 후 발광부(703)를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 시킴으로써, 종전 미러피스(800)가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비출 수 없던 영역까지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역시 미러피스(80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용도에 맞는 장치 활용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mirror piece 800 is separated, it may be used as a lighting means for illuminating the teeth. For example, after the observation of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is completed through an action such as scrap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with the upper mirror piece 800, the user (dentist) uses the mirror piece 800 as the body part 700 . By placing the light emitting unit 703 inside the patient's oral cavity after separation from the patient, light can be irradiated to an area that could not be illuminated when the conventional mirror piece 800 is coupled. As such,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enables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mirror piece 800, so that a device suitable for each use can be utilized.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살펴본다. A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0을 참조할 때,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크게 제1본체(900), 제2본체(910), 그리고 미러피스(100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앞선 것들과 달리 총 세 개의 주요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각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Referring to FIG. 10 ,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largely include a first body 900 , a second body 910 , and a mirror piece 1000 . That is,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a total of three main parts, unlike the previous ones. Hereinafter, each of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1본체(900)는 가장 밑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전원공급수단(901), 발광부(903), 스위치(90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본체(900)가 전술한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몸체부와 가장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제1본체(900) 상에 제2본체(9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조가 이루어지는 점이며, 이는 도 10의 제1본체(900) 상단에 발광부가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즉, 돌출형태의 발광부에 의해 후술하게 될 제2본체(910)이 제1본체(90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제1본체(900)는 제2본체(910)와의 결합을 위해 더 다양한 구조, 예를 들어 나선형의 돌출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rst, the first body 900 is located at the lowest end, and 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means 901 , a light emitting unit 903 , and a switch 904 .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ody 900 and the body of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is that the structure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body 910 can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900,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light emitting par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900 of FIG. 10 to protrude from the plane. That is, the second body 91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900 by the protruding light emitting part.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first body 90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piral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body 910 .

다음으로 제2본체(910)는 아래쪽으로는 제1본체(900)와 결합되고, 위쪽으로는 미러피스(1000)와 결합이 되는 중간 성격의 구성에 해당한다. 제2본체(910) 내부에 구비되는 세부구성들에는 결합홈(902), 그리고 광섬유(906)가 포함될 수 있다. 결합홈(902)는 미러피스(1000)의 로드부(1001)가 결합이 되는 구성이며 이는 제3실시예의 결합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광섬유(906)는 일단과 타단을 가지며 전반사 성질을 이용하여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또는 그 반대로 빛이 전달될 수 있는 일종의 광채널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서도 볼 수 있듯 제2본체(910) 내부에 광섬유가 배치될 수 있다. 배치된 광섬유(906)의 일단은 제2본체(910)의 상단으로 노출되어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광섬유(906)의 타단은 발광부(903)으로부터 출력된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발광부(903)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Next, the second body 910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900 at the bottom, and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mediate nature that is coupled with the mirror piece 1000 at the top. Detailed configurations provided in the second body 910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902 and an optical fiber 906 . The coupling groove 90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d part 1001 of the mirror piece 1000 is coupled, and since thi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upling groove of the thir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optical fiber 906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means a kind of optical channel through which light can be transmitt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r vice versa by using the property of total reflection. ) an optical fiber may be disposed therein. One end of the disposed optical fiber 906 may be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910 to output light, and the other end of the optical fiber 906 may receive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903 to be incident. It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ight emitting unit 903 so as to be able to do so.

한편, 그 외 설명이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들은 전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other configurations for which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will be referred to the description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to third embodiments.

한편, 도 11 내지 도 14는 미러피스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제3 실시예의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기준으로 도시한 것이다. 비록 도 11 내지 도 14는 제3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나, 해당 미러피스의 구조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Meanwhile, FIGS. 11 to 14 are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mirror piece, and are illustrated based on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11 to 1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hird embodi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structure of the mirror piece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할 때, 미러피스의 세부구성은 로드부(801b), 미러부(802), 그리고 체결피스(8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로드부(801b)와 체결피스(803)는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체결피스(803)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11 to 13 ,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irror piece may include a rod part 801b, a mirror part 802, and a fastening piece 803, in particular, the rod part 801b and the fastening piece ( 803 may be implemented to be coupled or separated, and the fastening piece 803 may have a polygonal shape.

먼저, 로드부(801b)와 체결피스(803)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구현된 것과 관련하여, 도 13을 참조할 때 로드부(801b)의 말단에는 나사홈(W)을 형성시켜 해당 나사홈이 상기 체결피스(803)에 회전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부(801b)와 체결피스(803)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로드부(801b) 및 미러부(802) 부분을 1회용으로 갈아 끼울 수 있게 되어 매번 환자 또는 개인 사용자의 구강 내부를 관찰하고자 할 때에 위생적으로 새 것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1회용으로 로드부(801b)와 미러부(802)를 별도로 제작하여 공급을 할 수 있게 되므로 그 만큼 수익을 위한 구성품을 다양화 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장점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로드부(801b)와 체결피스(803)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현하는 경우, 제작자로서는 기존에 생산해 오던 형상의 체결피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새로이 제품 생산을 위한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제품 제작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꾀할 수 있다. First, in relation to that the rod portion 801b and the fastening piece 803 are implemented to be coupled or separated, a screw groove W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rod portion 801b when referring to FIG. 13 to form a corresponding screw. It can be seen that the groove enables rotational coupling to the fastening piece 803 . In this way, when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rod portion 801b and the fastening piece 803 is possible, the user can replace the rod portion 801b and the mirror portion 802 for one-time use, so that each patient Alternative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new one can be used hygienically when an individual user wants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and from the standpoint of the manufacturer, the rod part 801b and the mirror part 802 can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supplied. Therefore, there may be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components for profit. In addition, when the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rod part 801b and the fastening piece 803 is possible, the manufacturer can use the previously produced fastening piece as it is, so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a new mold for product produ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st for manufacturing the product.

한편, 도 13에서는 로드부(801b)의 말단에 나사홈(W)이 형성됨으로써 미러부(802)와의 분리 결합이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위 두 개의 구성품 간 분리 결합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단에 의해서도 가능함을 이해한다.On the other hand, in FIG. 13, a screw groove (W)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od part (801b), so that separation and coupling with the mirror part (802) is possible. I understand that it is also possible by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 따를 때,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피스(803)의 단면이 육각형, 즉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렇게 체결피스의 형상을 다각형으로 형성한 이유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체결피스(803)의 방향을 바꾸어 체결홈(702a)에 꽂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도 14를 참조할 때에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서의 몸체부(70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이를 참조할 때 평면도 상에서의 몸체부(700)에는 체결홈(702a)과 발광부(703)가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700) 상에는 육각형의 체결홈(702a)이 형성되는데, 이 체결홈(702a)에는 앞서 언급한 체결피스(803)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피스(803) 및 체결홈(702a)이 모두 육각형이기 때문에, 상기 체결피스(803)는 60도 마다 방향이 바뀌어 삽입이 될 수 있으며, 이렇게 체결피스(803)를 다양한 방향으로 삽입하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미러부(802)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둔 채 해당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Next, according to FIGS. 11 to 13, in this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fastening piece 803 is formed in a hexagon, that is, a polygon. i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piece 803 as need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702a. This can be understood more clearly when referring to FIG. 14 . 14 is a plan view of the body part 700 in the third embodiment as viewed from above, and when referr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fastening groove 702a and the light emitting part 703 are visible in the body part 700 in the plan view. . At this time, a hexagonal fastening groove 702a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aforementioned fastening piece 803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702a. Since both the fastening piece 803 and the fastening groove 702a are hexagonal, the fastening piece 803 can be inserted by changing the direction every 60 degrees. As such,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can be used while the mirror unit 802 is placed in a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이상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The embodiment of the multi-purpose mirror for abnormal teeth examination has been looked at.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carried out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these modifications are not to be understood as being distinct from the spirit or vi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
몸체부 100
전원공급수단 101, 체결부 102, 발광부 103, 스위치 104
미러피스 200
광 통로부 201, 케이싱 2011, 광 채널 2012 미러부 202,
패널 2021, 제1 미러 2022, 제2 미러, 2023,
관절부 2024
캡 300
[제2 실시예]
몸체부 400
전원공급수단 401, 체결부 402, 발광부 403, 스위치 404, 전선 405
케이싱 4011, 체결부 내부공간 4021
미러피스 500
로드부 501, 미러부 502,
패널 5021, 제1 미러 5022, 제2 미러 5023,
캡 600
[제3 실시예]
몸체부 700
전원공급수단 701, 체결홈 702, 702a,
발광부 703, 스위치 704, 전선 705
미러피스 800
로드부 801, 801b,
미러부 802
[제4 실시예]
제1몸체 900
제2몸체 910
전원공급수단 901, 체결홈 902, 발광부 903, 스위치 904, 광섬유 906
미러피스 1000
로드부 1001, 미러부 1002,
[First embodiment]
body 100
Power supply means 101, fastening part 102, light emitting part 103, switch 104
mirror piece 200
optical passage part 201, casing 2011, optical channel 2012 mirror part 202,
panel 2021, first mirror 2022, second mirror, 2023;
joint 2024
cap 300
[Second embodiment]
body 400
Power supply means 401, fastening part 402, light emitting part 403, switch 404, wire 405
Casing 4011, internal space of the fastening part 4021
mirror piece 500
rod part 501, mirror part 502,
panel 5021, first mirror 5022, second mirror 5023;
cap 600
[Third embodiment]
body 700
power supply means 701, fastening grooves 702, 702a;
Light emitting part 703, switch 704, wire 705
mirror piece 800
Rod 801, 801b;
mirror unit 802
[Fourth embodiment]
first body 900
second body 910
Power supply means 901, fastening groove 902, light emitting part 903, switch 904, optical fiber 906
mirror piece 1000
rod part 1001, mirror part 1002;

Claims (10)

미러피스가 체결 가능한 몸체부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미러피스의 로드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체결부를 이루는 외부 케이싱 - 상기 외부 케이싱은 투명한 소재의 것임 - 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피스는,
상기 몸체부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체결부 내 삽입되는 로드(rod)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에 제1미러가 구비되는, 미러부;
를 포함하는,
몸체부.
In the body portion to which the mirror piece can be fastened,
The body part,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a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mirror piece, wherein a space in which the rod part of the mirror piece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a light emitting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astening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means to output an arbitrary light as provided inside an outer casing constituting the fastening part, wherein the outer casing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cluding,
The mirror piece,
a rod part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with the body part;
a mirror uni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rod unit and having a first mirror on the front side;
containing,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피스가 탈거된 상태의 몸체부 상에서, 상기 체결부에 씌워지는 것으로서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캡;
을 더 포함하는,
몸체부.
According to claim 1,
a cap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cover the fastening part on the body part in which the mirror piece is removed;
further comprising,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원뿔 형상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부.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in a cone shape,
The light emitt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e shape,
body part.
미러피스가 체결 가능한 몸체부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미러피스의 로드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피스는,
상기 몸체부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홈 내 삽입되는 로드(rod)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에 제1미러가 구비되는, 미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 -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발광부 및 상기 결합홈이 형성됨 - 의 단면적이 상기 몸체부의 타단의 단면적보다 더 크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몸체부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한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몸체부.
In the body portion to which the mirror piece can be fastened,
The body part,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a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mirror piece and having a space into which the rod part of the mirror piece can be inserted;
a light emit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to output an arbitrary light;
including,
The mirror piece,
a rod part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with the body part;
a mirror uni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rod unit and having a first mirror on the front side;
includ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one end of the body part -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coupling groove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plan view of the body part,
body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54347A 2019-05-09 2019-05-09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KR1022866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47A KR102286646B1 (en) 2019-05-09 2019-05-09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47A KR102286646B1 (en) 2019-05-09 2019-05-09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37A KR20200129637A (en) 2020-11-18
KR102286646B1 true KR102286646B1 (en) 2021-08-05

Family

ID=7369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347A KR102286646B1 (en) 2019-05-09 2019-05-09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64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195B2 (en) * 1986-06-11 2000-02-14 プロシオン・フアーマシユーテイ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JP3859461B2 (en) * 2000-08-30 2006-12-20 株式会社カナガワファニチュア Camera unit for intraoral examination
JP2008173143A (en) * 2007-01-16 2008-07-31 Osada Res Inst Ltd Dental intraoral observation apparatus
US20090147531A1 (en) * 2007-12-06 2009-06-11 Foxsemicon Integrated Technology, Inc. Oral illumin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195U (en) * 1994-08-23 1995-03-07 卓司 中村 Dental endoscope
KR101241374B1 (en) * 2011-01-28 2013-03-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ental Mirror
KR101315698B1 (en) 2011-04-04 2013-10-10 윤홍철 Portable observing apparatus and evaluation method for detecting bacterial activ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195B2 (en) * 1986-06-11 2000-02-14 プロシオン・フアーマシユーテイ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JP3859461B2 (en) * 2000-08-30 2006-12-20 株式会社カナガワファニチュア Camera unit for intraoral examination
JP2008173143A (en) * 2007-01-16 2008-07-31 Osada Res Inst Ltd Dental intraoral observation apparatus
US20090147531A1 (en) * 2007-12-06 2009-06-11 Foxsemicon Integrated Technology, Inc. Oral illumin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37A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5025T3 (en) Oral hygiene utensil
ES2930472T3 (en) Flashing Lighted Toothbrush
US7631981B2 (en) Disposable medical-examination light
US10258442B2 (en) Oral irrigator appliance with radiant energy delivery for bactericidal effect
US4993945A (en) Heated dental mirror
US7168122B1 (en) Reciprocating germicidal toothbrush and system
US20110162155A1 (en) Germicidal UV-C Toothbrush Method and Apparatus
CN108697495A (en) The toothbrush of transmitting short-wavelength visible light with the mutual lock control of electronic signal
JP6505138B2 (en) Interdental brush
ES2729788T3 (en) Toothbrush with optical indication element
KR100894892B1 (en) Tooth brush
US6702577B2 (en) Dental or surgical illuminated mirror
JP5139371B2 (en) toothbrush
US9386913B2 (en) Tongue depressor
US20060057537A1 (en) Combination dental instrument
KR20110070119A (en) Portable toothbrush sterilizer
KR102286646B1 (en) 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ES2263840T3 (en) OTOSCOPE.
CN109906050A (en) A kind of otoscope
CN210124419U (en) Toothbrush with illumination function
TW201609019A (en) Toothbrush with the function of detecting plaque
CN215383876U (en) Oral cavity mouth mirror with illumination function
KR102182096B1 (en) Oral care device
TW202007351A (en) Dental mirror structure with illumination capable of ensuring hygiene and safety and being easy and convenient to assemble
KR101352977B1 (en) An odontoscope having illumin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