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627B1 -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 Google Patents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627B1
KR102286627B1 KR1020200069149A KR20200069149A KR102286627B1 KR 102286627 B1 KR102286627 B1 KR 102286627B1 KR 1020200069149 A KR1020200069149 A KR 1020200069149A KR 20200069149 A KR20200069149 A KR 20200069149A KR 102286627 B1 KR102286627 B1 KR 102286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lighting
unit
signal processing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민석
Original Assignee
서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석 filed Critical 서민석
Priority to KR102020006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액티브 스피커는 조명부; 스피커; 상기 조명부와 상기 스피커 간에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음향기기와 근거리 통신되어, 상기 외부음향기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후, 증폭시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에 따른 조명값을 상기 조명부로 제공하는 조명신호 처리부;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 및 조명신호 처리부의 출력값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Active speaker for use as a lighting}
본 발명은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을 휴대하고, 휴대한 모바일 기기를 장소에 구애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모바일기기들은 기본적으로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된 음악 파일을 예컨대,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받아서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 헤드셋 장치 등이 많이 개발, 제작 및 유통되고 있다. 특히, 스피커 장치는 블루투스 스피커 장치로 불리우며, 야외 활동이 많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대부분 사용자가 휴대하여 원하는 장소에서 음악 감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블루투스(Bluetooth)는 표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서, 이러한 블루투스 장치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와 페어링(pairing)이라는 일련의 작업을 통해 두 장치 간에 상호 인식 및 연결되어, 블루투스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신호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블루투스 스피커 장치는 모바일 기기의 스피커 장치보다는 음질이 좋지만, 가정이나 다른 장소에 있는 고출력의 스피커 장치의 음질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보다 좋은 음질로 감상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어, 보다 더 좋은 음질의 스피커 장치를 찾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블루투스 스피커 장치가 필요한 설정이다. 또한, 근자에 와서는 에너지 절액 차원에서 엘이디 모듈을 사용하여 절전의 효과를 얻도록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조명 모듈을 사용하여 빛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방열에 대한 연구가 집중될 뿐, 실질적으로 실내 공간에서 조명을 비롯하여 음원을 무선으로 재생함과 아울러, 해당 재생 음원에 따라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75891호(2013. 06. 11)
본 발명은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조명과 스피커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조명과 스피커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빛과 소리의 방향을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기존 공간에 이미 설치되어있는 레일 조명 또는 매립형 전구 소켓의 전극에 끼우기고, 조명 스위치만 켜면 조명부 및 별도의 구동 앰프가 필요 없는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2채널 스테레오 출력을 제공하고, 각각의 스피커 장치에는 액티브 크로스오버와 앰프가 내장되어 있어, 무선으로 음악 및 음향 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장치와 조명부가 결합된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블루투스 마스터 기기와 연결되어 무선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조명의 컬러와 밝기가 무선으로 조정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음악을 감상할 수 있으며, 복수의 스피커를 설치하여 사용 공간의 고음질의 음향효과를 설치비용 없이 간단하게 높일 수 있는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는 조명부; 스피커; 및 상기 조명부와 상기 스피커 간에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천장에 구비된 전극레일과 결속되기 위한 체결 브라켓 또는 천장에 매립된 매립공간에 구비된 전구 소켓 전극과 체결되는 연결지지대 및 상기 연결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고정수단; 외부음향기기와 근거리 통신되어, 상기 외부음향기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후, 증폭시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에 따른 조명값을 상기 조명부로 제공하는 조명신호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 및 조명신호 처리부의 출력값 조절하는 출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지지대를 따라 상하 이동하되, 상부로 이동시 상기 매립공간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하부로 이동시 상기 매립공간의 내측면에 이탈되도록 구성되고, 스피커의 출력 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의 양 측은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스피커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천장에 구비된 전극레일과 결속되기 위한 체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레일과 탈부착 가능한 브라켓 체결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전극레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한쌍의 연결전극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는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진동 차단 패드;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미세 진동을 배출하기 위한 진동 배출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전원 공급 모듈이 장착되어 조명 전극에 체결과 분리가 간편하며, 조명 및 음향 설비의 설치가 간단해지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둘째, 빛을 발생시켜 조명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조명부의 각도와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기기와 연결하여 조명의 밝기 또는 색상까지 조절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셋째, 별도의 구동 앰프와 스피커 케이블이 필요 없는 액티브 스피커 방식으로, 좌·우 장치 제어부 내부에 앰프가 내장되어 있어 설치작업이 대폭 간소화되므로, 스피커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및 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넷째, 스마트폰과 같은 블루투스 마스터 기기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다섯째, 블루투스 송수신기가 내장되어 있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받은 제어 신호 및 음원 데이터를 복수의 스피커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스피커의 각도와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서 최적의 음향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의 일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액티브 스피커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기능을 갖는 액티브 스피커의 체결 방식에 따라 조명 전극에 결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실시 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의 상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의 2채널 스테레오 음향출력과 4채널 스테레오 확장 출력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의 일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액티브 스피커의 확대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100)는 거실 공간, 휴식공간, 판매 공간 등의 천장(T) 또는 벽면(W)에 고정 설치된 조명용 레일(60), 천장(W) 내에 매립된 공간(61) 내의 조명용 전구소켓(61)에 결속되어 사용될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외부음향기기는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MP3 플레이어, 블루투스 리시버,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100)는 조명부(110), 스피커부(120) 및 제어부(1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2채널 스테레오 방식으로 최적의 음향효과를 얻기 위해, 좌, 우 스피커를 분리하고 일정거리를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원의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100)는 2개가 1세트로 구성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100)는 조명부(110), 스피커(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부(110)는 원통형 하우징(111) 및 조명전구(112)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제어부(130)의 전원부(135)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출력제어부(134)로부터 조명신호값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패턴으로 발광한다. 여기서, 조명전구(112)는 LED 및 일반전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발광가능한 전구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스피커부(120)는 하우징(121) 및 우퍼(14)와 트위터(13)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스피커(122) 또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일체형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1)의 후방부는 스피커(122)의 진동과 소리를 배출하기 위한 진동 배출홀(15)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21)은 스피커(122)와 접촉되는 면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링 형태의 진동 차단 패드(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차단 패드(16)는 스피커(122)를 매립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내부 구성의 파손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조명부(110) 및 상기 스피커부(120)는 후술하는 제어부(130)의 양측과 결속되어 상하 회동하는 상하 회동부(4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조명부(110)와 상기 스피커부(120) 간에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110) 및 상기 스피커부(120)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의 상부는 천장(W)에 설치된 조명레일 전극(60)과 연결되는 한쌍의 체결 브라켓(43a, 43b)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체결 브라켓(43a, 43b)은 브라켓 탈부착 레버(44)를 통해 상기 조명레일 전극과 탈착(결속 및 분리)된다.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전극레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한쌍의 연결전극단자(41, 4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체결 브라켓(43a, 43b)을 통해 한쌍의 연결전극단자(41, 42)가 조명레일 전극과 결속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동하기 위한 좌우 회동부(45a)가 설치될 수 있어, 제어부(130)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스피커부(120) 및 조명부(110)를 사용자가 원하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상부에 천장(W)에 매립된 매립공간에 구비된 전구 소켓 전극과 체결되는 연결지지대(53) 및 지지대 고정수단(54)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54)는 연결지지대(53)를 따라 상하 이동하되, 상부로 이동시 매립공간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하부로 이동시 매립공간의 내측면에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대 고정수단(54)는 전구소켓에 본체를 체결한 후, 매립공간과 밀착되어 스피커 출력 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기능을 갖는 액티브 스피커의 체결 방식에 따라 조명 전극에 결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실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레일형은 두 개의 연결 전극(41, 42)을 가진 체결 브라켓(43a, 43b)으로 레일전극(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켓형은 두 개의 연결 전극(51, 52)을 가진 전구 베이스(52)로 전구 소켓(62)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무선통신부(131), 오디오 신호 처리부(132), 조명신호 처리부(133), 출력제어부(134) 및 전원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31)는 외부음향기기와 근거리 통신되어, 상기 외부음향기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32)는 외부음향기기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후, 증폭시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조명신호 처리부(133)는 오디오 신호처리부(132)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에 따른 조명값을 상기 조명부로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출력제어부(134)는 오디오 신호처리부(132) 및 조명신호 처리부(133)의 출력값을 조절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액티브 스피커(100)는 도 8을 참조, 2대가 동기화되어 2채널 스테레오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각 장치의 제어부(130)에 전원이 공급되면 2개의 액티브 스피커(100)의 무선통신부(131)가 동기화되고, 외부에서 전송되는 무선 기기의 음악 및 음향 데이터가 제어부로 송신된다. 각 제어부(130)로 송신된 음악 및 음향데이터는 액티브 크로스 오버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좌, 우, 고음과 저음을 분리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에 내장된 앰프에서 소리를 증폭하여 좌, 우 스피커에 고음역(Twitter), 저음역(Woofer)로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는 2채널 스테레오 음향 출력뿐만 아니라, 4채널 스테레오 음향출력이 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스피커 장치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4개 채널 또는 그 이상의 채널로 음향을 고음역(Twitter) 및 저음역(Woofer)로 분리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전원 공급 모듈이 장착되어 조명 전극에 체결과 분리가 간편하며, 조명 및 음향 설비의 설치가 간단해지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둘째, 빛을 발생시켜 조명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조명부의 각도와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통신 기기와 연결하여 조명의 밝기 또는 색상까지 조절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셋째, 별도의 구동 앰프와 스피커 케이블이 필요 없는 액티브 스피커 방식으로, 좌·우 장치 제어부 내부에 앰프가 내장되어 있어 설치작업이 대폭 간소화되므로, 스피커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및 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넷째, 스마트폰과 같은 블루투스 마스터 기기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다섯째, 블루투스 송수신기가 내장되어 있어,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받은 제어 신호 및 음원 데이터를 복수의 스피커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스피커의 각도와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서 최적의 음향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110: 조명부
111. 조명 하우징
112. 조명전구
120: 스피커부
121. 스피커 하우징
122. 일체형 스피커
130: 제어부
131: 무선통신부
132: 오디오 신호 처리부
133: 조명 신호 처리부
134: 출력 제어부
13. 트위터(Twitter)
14. 우퍼(Woofer)
15. 우퍼 진동 배출 홀
16. 스피커 진동 차단 패드
21. 장치제어부 수용 하우징
22. 전원 스위치
23. 스피커 전원 표시등
24. 조명 전원 표시등
41, 42 연결 전극단자
43a. 체결 브라켓
43b. 체결 브라켓
44. 브라켓 탈부착 레버
45a, 45b: 회동부
46. 스피커 진동 차단 패드
51. 전구 소켓 연결 전극
52. 전구 베이스
53. 연결 지지대
54. 지지대 고정수단
60. 조명용 레일
61a. 전극 스트립
61b. 전극 스트립
62. 전구 소켓
63. 매립 조명용 원통
T. 천정
W. 벽

Claims (6)

  1. 조명부;
    스피커; 및
    상기 조명부와 상기 스피커 간에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천장에 구비된 전극레일과 결속되기 위한 체결 브라켓 또는 천장에 매립된 매립공간에 구비된 전구 소켓 전극과 체결되는 연결지지대 및 상기 연결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고정수단;
    외부음향기기와 근거리 통신되어, 상기 외부음향기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변환한 후, 증폭시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처리부;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에 따른 조명값을 상기 조명부로 제공하는 조명신호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처리부 및 조명신호 처리부의 출력값 조절하는 출력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지지대를 따라 상하 이동하되, 상부로 이동시 상기 매립공간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하부로 이동시 상기 매립공간의 내측면에 이탈되도록 구성되고, 스피커의 출력 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양 측은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스피커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천장에 구비된 전극레일과 결속되기 위한 체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전극레일과 탈부착 가능한 브라켓 체결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전극레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한쌍의 연결전극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진동 차단 패드;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미세 진동을 배출하기 위한 진동 배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KR1020200069149A 2020-06-08 2020-06-08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KR102286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49A KR102286627B1 (ko) 2020-06-08 2020-06-08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49A KR102286627B1 (ko) 2020-06-08 2020-06-08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627B1 true KR102286627B1 (ko) 2021-08-05

Family

ID=7731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149A KR102286627B1 (ko) 2020-06-08 2020-06-08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6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975A (ko) * 2004-11-19 2006-05-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벽걸이형 텔레비전의 진동방지 스피커 장착 구조
KR100912224B1 (ko) * 2008-08-14 2009-08-14 이은주 일체형 음향 조명 장치
KR20090111892A (ko) * 2008-04-23 2009-10-28 노창석 진동방지용 소켓
KR101275891B1 (ko) 2012-09-17 2013-06-17 (주)합동전자산업 퍼블릭 어드레스 블루투스 스피커
KR20150102844A (ko) * 2014-02-28 2015-09-08 송원길 레일 스피커
KR101722711B1 (ko) * 2015-11-24 2017-04-03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전극 레일 결합 구조의 조명 기능을 가진 음향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975A (ko) * 2004-11-19 2006-05-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벽걸이형 텔레비전의 진동방지 스피커 장착 구조
KR20090111892A (ko) * 2008-04-23 2009-10-28 노창석 진동방지용 소켓
KR100912224B1 (ko) * 2008-08-14 2009-08-14 이은주 일체형 음향 조명 장치
KR101275891B1 (ko) 2012-09-17 2013-06-17 (주)합동전자산업 퍼블릭 어드레스 블루투스 스피커
KR20150102844A (ko) * 2014-02-28 2015-09-08 송원길 레일 스피커
KR101722711B1 (ko) * 2015-11-24 2017-04-03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전극 레일 결합 구조의 조명 기능을 가진 음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4627B2 (ja) 音響システム
JP2019097204A (ja) 三次元拡張オーディオ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TW201644282A (zh) 光與擴音器驅動器裝置
JP2008536443A (ja) マルチモード音声再生装置
US11943594B2 (en) Automatically allocating audio portions to playback devices
JP2008035133A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スピーカ装置
CN103179483A (zh) 具有多动态驱动单元的入耳式耳机
JP6875437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スピーカー
WO2010106957A1 (ja) ヘッドホン
JP2004166272A (ja) オーディオ装置およびその改良
JP5034437B2 (ja) スピーカ装置
CN101849419A (zh) 一种改善声音再现和听觉享受的方法
KR102286627B1 (ko) 조명기능을 갖는 무선 액티브 스피커
US20200167123A1 (en) Audio system for flexibly choreographing audio output
CN102014329A (zh) 一种电子设备音响的低音补充方法及装置
CN106535063A (zh) 一种无线网络音频高保真流媒体播放机
KR102055187B1 (ko) 음색 보정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기반의 음성 방송시스템
US9503806B2 (en) Loudspeaker system audio recovery imaging amplifier
JP6195781B2 (ja) 音響装置
CN107155141B (zh) 可校准音效的音响灯、音效校准方法及系统
CN102036145A (zh) 整合照明的居家音乐播放系统与方法
KR100912224B1 (ko) 일체형 음향 조명 장치
US10735860B2 (en) Soundbar
KR100705966B1 (ko) 디지털 음성 신호 파일의 재생 및 저장 기능을 내재한에코마이크
KR200247762Y1 (ko) 다채널 멀티미디어 스피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