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851B1 -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851B1
KR102285851B1 KR1020200089130A KR20200089130A KR102285851B1 KR 102285851 B1 KR102285851 B1 KR 102285851B1 KR 1020200089130 A KR1020200089130 A KR 1020200089130A KR 20200089130 A KR20200089130 A KR 20200089130A KR 102285851 B1 KR102285851 B1 KR 10228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obile device
cushion member
unit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정
차윤아
Original Assignee
김수정
차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정, 차윤아 filed Critical 김수정
Priority to KR102020008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851B1/en
Priority to KR1020210053121A priority patent/KR102464694B1/en
Priority to PCT/KR2021/009015 priority patent/WO2022015038A1/en
Priority to JP2023503081A priority patent/JP20235348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8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5/00Other dwell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For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which assists a user to enjoy content through a mobile device conveniently in various posi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which includes: a cushion unit including a first cushion member and a second cushion member, which can be coupled to the first cushion member; a mounting part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fixing the mobile devi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a coupling part coupling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and rotating the first cushion member around a virtual axis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part.

Description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을 다양한 자세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that assists to conveniently enjoy content through a mobile device in various postures.

모바일기기는 손에 들거나 몸에 간편하게 지니고 다닐 수 있는 정보 통신 기기이다. 모바일기기의 일례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현재는 각 개인이 필수적으로 이를 구비하고 있다.A mobile device is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held in a hand or carried easily on the body. As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widely distributed, and each individual is essentially equipped with it.

특히,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중에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s, which are intelligent terminals that add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to mobile phones is gradually increasing. Such a smartphone can be used by installing a user-desired application, and has feature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fax transmission while moving.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음악이나 동영상 감상과 같은 콘텐츠 감상이나 게임 등을 즐기기 위한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널리 활용되면서 평균 사용시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자세로 인하여 신체 일부에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직접 팔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장시간동안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의 화면을 보기 위해 목을 숙이고 있는 자세를 장시간 유지함으로써, 팔, 손목, 목, 허리 등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Recently, as smartphones are widely used as entertainment devices to enjoy content such as music or video or games, the average usage time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usage time of the smartphone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pain is induced in a part of the body due to the posture of using the smartphone.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smartphone uses the smartphone for a long time while holding the smartphone with his or her arm, or maintains a posture in which the neck is bent to view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for a long time, pain in the arm, wrist, neck, back, etc. may cause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폰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받침의 역할을 하는 다양한 거치대들이 판매되고 있다.In this regard, various cradles that serve as a support for placing and using a smartphone are being sol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치대들은 복잡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획일적인 외형으로 인해 거치에 따른 불편함을 초래하면서 사용자가 사용 중 쉽게 싫증을 내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while these conventional cradles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easily gets bored while using the cradle, while causing inconvenience due to the uniform appearan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을 다양한 자세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개성있는 외형을 가짐으로써 심미적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d assist to conveniently enjoy content through mobile devices in various postures, and perform aesthetic functions by having a unique appearanc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s that can be used.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모바일기기를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고정하는, 거치부 및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제1쿠션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shion unit including a first cushion member and a second cushion member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rst cushion member,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mobile device 1 A mounting portion 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and coupling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rotating the first cushion member about an imagina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portion, coupling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is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위치하는 투명필름부재 및 상기 투명필름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가 개재되도록 상기 모바일기기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필름부재는, 상기 모바일기기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중 상기 투명필름부재와 중첩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olding unit, the transparent film member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mobile device is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film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an opening into which the transparent film member can be inserted, and when the mobile device is not inserted, a region overlapping the transparent film member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ushion member can be visually expos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은,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면과 중첩하도록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제3면 및 상기 제3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의 외측면의 형태는 상기 제1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include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nd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third surface positioned on the second surface to overlap the second surface, and and a first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surface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an accessor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and a first groove, the third surface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may be continuous with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3면의 일부와 중첩하도록 상기 제3면 상에 위치하는 제4면 및 상기 제4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제2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상기 제3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a fourth surface positioned on the third surface so as to overlap a portion of the third surface and one side of the fourth surface,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groove, which can be insert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accessor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i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continuous with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urface. ca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쿠션부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쿠션부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cushion member, and supports the second cushion member so as not to be inclined,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쿠션부재의 외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와이어 또는 사전 설정된 중량을 갖는 무게추물질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art may be a wire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or a weight material having a preset weigh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손으로 직접 휴대하지 않고 다양한 자세에서 편리하게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provided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that assists a mobile device user to conveniently enjoy content through a mobile device in various postures without directly carrying the mobile device by hand. can be implemented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기기 사용자의 자세 및 시선의 위치에 따라 거치된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of the mounted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sture and the gaze of the mobile device user.

물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효과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모바일기기가 거치된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쿠션부가 포함하는 제1쿠션부재 및 제2쿠션부재가 분리된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the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of FIG. 4 .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included in the cushion part of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of FIG. 9 are separat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on or on another part, it is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there i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Where certain embodiments are otherwise feasibl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described.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은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As used herein, "A and/or B" refers to A, B, or A and B. And, "at least one of A and B" represents the case of A, B, or A and B.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또는/및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및/또는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connected, when the film, region, or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and in the middle of another film, region, or component Including cases where they are interposed and indirectly connected.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film, region, component, etc. are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film, region, component, etc. are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and/or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to indicate an indirect electrical connection.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m.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는 편의상 거치부(200)의 세부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즉, 도 1 및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거치부(200)는 모바일기기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었을 때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거치부(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For reference, the illustra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radle 200 is omitted in FIGS. 1 and 2 for convenience. That is, the cradle 200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S. 1 and 2 may be understood as an area where the mobile device is positioned when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on the cradle 2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unit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쿠션부(100) 및 거치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shion unit 100 and a mounting unit 200 .

쿠션부(100)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전반적인 외형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cushion unit 100 serves to configur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일 실시예로, 쿠션부(100)는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쿠션부(100)를 구비함으로써, 모바일기기 거치 기능뿐만 아니라 심미적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쿠션부(100)가 갖는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는 형상의 예시로서 직육면체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cushion unit 100 may have a shape including a design element. That is, the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ushion unit 100 having a shape including a design element, so that it can perform an aesthetic function as well as a function of holding the mobile device. In FIG. 1 ,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a shape including a design element of the cushion unit 10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인 예로, 쿠션부(100)는 각기둥, 각뿔, 각뿔대, 정다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 또는 구, 원기둥, 원뿔 등과 같은 비다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쿠션부(100)는 가로, 세로, 높이가 있는 3차원 도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cushion unit 100 may have a polyhedral shape such as a prism, a pyramid, a truncated pyramid, a regular polyhedron, or the like, or a non-polyhedral shape such as a sphere, a cylinder, or a cone. That is, the cushion unit 100 may have a shape of a three-dimensional figure having horizontal, vertical, and height dimensions.

구체적인 다른 예로, 쿠션부(100)는 곰, 사자, 호랑이,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다양한 동물 형상, 나무, 꽃 등의 식물 형상, 그 밖의 캐릭터 형상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쿠션부(100)의 형상이 갖는 팔, 다리, 꼬리 등은 쿠션부(100)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cushion unit 100 may have various animal shapes such as bears, lions, tigers, puppies, and cats, plant shapes such as trees and flowers, and other character shapes. On the other hand, arms, legs, tails, etc. of the shape of the cushion unit 100 may serve to support the cushion unit 100 not to fall.

거치부(200)는 모바일기기를 쿠션부(100)의 일측면 상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거치부(200)는 쿠션부(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즉, 쿠션부(100)의 외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기기를 거치부(200)에 거치하여 고정시킨 상태로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콘텐츠를 감상하기 위하여 해당 모바일기기를 손으로 직접 들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모바일기기를 장시간 이용하더라도 팔, 손목 등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unting unit 200 serves to fix the mobile device on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100 . The mounting unit 20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100 , and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faces forward. That is, it is configured to mount the mobile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100 .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enjoy content reproduc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while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on the cradle 200 and fixed. In other words,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hold the mobile device with his/her hand in order to enjoy the content through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minimize pain in the arm, wrist, etc. even if the mobile device is used for a long time. .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회전부(201)를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 the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part 201 .

참고로 도 2에서는 편의상 회전부(201)의 세부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즉,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회전부(201)는 회전부(201)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reference, illustra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part 201 is omitted in FIG. 2 for convenience. That is, the rotating part 201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2 may be understood as an area in which the rotating part 201 is located.

구체적으로, 거치부(200)는 쿠션부(100)의 일측면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치부(200)의 쿠션부(100) 방향의 하면과 쿠션부(100) 사이에는 회전부(201)가 개재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unting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100 . To this end, the rotating part 20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200 in the direction of the cushion part 100 and the cushion part 100 .

구체적인 예로, 회전부(201)는 거치부(200)의 쿠션부(100) 방향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1회전부재(미도시) 및 쿠션부(100)의 일측면 중 거치부(200)와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회전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는 서로 매칭하여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임의의 부재일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rotating unit 201 overlaps with the mounting unit 200 among the first rotating member (not shown)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unit 200 in the cushion unit 100 direction and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100 . It may include a second rotating member (not shown) located in the region. In this case,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may be combined and separated by matching with each other, and may be any member capable of rotation in the coupled state.

예컨대, 제1회전부재는 중심에 개구를 포함하는 링 형상의 부재 및 상기 링 형상의 부재 상에 중첩하도록 위치하며 복수개의 패터닝된 홀들을 갖는 제1원판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부재의 제1원판 형상의 부재는 링 형상 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회전부재는 제2원판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제2원판 형상의 부재 상에는 원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회전부재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패터닝된 홀에 매칭되는 복수개의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otating member may include a ring-shaped member including an opening in the center, and a first disk-shaped member positioned to overlap the ring-shaped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atterned holes. At this time, the first disk-shaped member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ring-shaped member. The second rotating member includes a second disc-shaped member,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 and matching a plurality of patterned holes included in the first rotating member are formed on the second disc-shaped member. may have been

이에 따라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는 제2회전부재의 돌출부들이 제1회전부재의 패터닝된 홀들에 매칭하여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제1회전부재의 제1원판 형상의 부재가 링 형상 부재 상에서 회전함으로써 제1회전부재가 위치하는 거치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rotating member and the second rotating member may be coupled by inserting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rotating member to match the patterned holes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In addition, by rotating the first disk-shaped member of the first rotating member on the ring-shaped member in the coupled state,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mounting portion 200 in which the first rotating member is located.

한편, 이와 같은 제1회전부재가 쿠션부(100)의 일측면 상에 위치하고, 제2회전부재가 거치부(200)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회전부(201)는 쿠션부(100)의 외측면의 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쿠션부(100)가 동물의 얼굴 형상을 갖는 경우 회전부(201)는 동물의 눈, 코, 입 등과 같이 주변영역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는 부분에 중첩하여 위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first rotating member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10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econd rotating member is located in the mounting portion (200). 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201 may be located in a portion capable of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part 100 . For example, when the cushion unit 100 has the shape of an animal's face, the rotating unit 201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a portion having a characteristic distinguishing it from the surrounding area, such as an animal's eyes, nose, and mouth.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3에서는 편의상 거치부(200)의 세부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즉,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거치부(200)는 모바일기기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었을 때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거치부(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For reference, illustra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radle 200 is omitted in FIG. 3 for convenience. That is, the cradle 200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3 may be understood as an area where the mobile device is positioned when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on the cradle 2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unit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쿠션부(100), 거치부(200) 및 결합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지지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may include a cushion unit 100 , a mounting unit 200 , and a coupling unit 300 . 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unit 400 .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쿠션부(100)는 복수의 쿠션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쿠션부재들은 서로 결합하여 쿠션부(1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쿠션부(100)가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쿠션부(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쿠션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cushion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A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constitute the cushion unit 100 . 2 and 3 , the cushion unit 10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ushion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cushion members.

전술한 바와 같이, 쿠션부재들 각각은 디자인적 요소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쿠션부재들 각각은 다면체, 비다면체와 같은 입체도형 형상 또는 동물 형상, 식물 형상, 캐릭터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cushion members may have a shape including a design element, and the shape is not limited. For example, each of the cushion members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a polyhedron or a non-polyhedron, or an animal shape, a plant shape, a character shape, or the like.

이때, 복수개의 쿠션부재들 각각의 형상은, 쿠션부재들이 서로 결합하였을 때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쿠션부재들이 결합하여 쿠션부(100)를 구성하였을 때, 쿠션부재들 각각이 갖는 형상은 서로 조화되어 특정한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0)는 동물의 머리 형상을 갖는 제1쿠션부재(110) 및 해당 동물의 몸체 형상을 갖는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가 서로 결합하였을 때, 동물의 머리 및 몸체가 연결되어 하나의 완전한 동물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쿠션부(100)는 나무의 잎사귀 형상을 갖는 제1쿠션부재(110) 및 나무의 줄기 형상을 갖는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거나, 꽃잎 형상을 갖는 제1쿠션부재(110) 및 꽃의 줄기 형상을 갖는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sha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may be formed to be continuous when the cushion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cushion members are combined to form the cushion unit 100 , the shapes of each of the cushion members may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pecific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cushion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cushion member 110 having an animal head shape and a second cushion member 120 having a body shape of the animal. In this case, when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ead and the body of the animal are connected to form one complete animal shape. Similarly, the cushion unit 100 includes a first cushion member 110 having a shape of a leaf of a tree and a second cushion member 120 having a shape of a tree trunk, or a first cushion member 110 having a shape of a petal. And,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including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having a flower stem shape.

한편, 복수개의 쿠션부재들 중 일부를 다르게 조합하여 쿠션부(10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쿠션부(100)가 사자의 머리 형상을 갖는 제1쿠션부재(110) 및 사자의 몸체 형상을 갖는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는 경우, 다른 동물(예컨대, 호랑이)의 머리 형상을 갖는 쿠션부재를 제2쿠션부재(120)에 결합함으로써 쿠션부(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자와 호랑이의 몸체부의 형상은 유사하므로 제1쿠션부재(110)만 변경하고, 동일한 제2쿠션부재(120)를 이용하여 상이한 형상을 갖는 쿠션부(100)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쿠션부(100)가 갖는 형상에 싫증이 난 경우,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전체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형상의 쿠션부(100)를 조합하여 색다른 디자인 요소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ushion part 100 by different combinations of some of the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For example, when the cushion unit 100 includes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having a lion's head shape and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120 having a lion's body shape, the head shape of another animal (eg, tiger) By coupling the cushion member having a to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the cushion unit 100 can be configured. In this case, since the shapes of the body parts of the lion and the tiger are similar, only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is changed, and the cushion part 100 having a different shape can be configured using the same second cushion member 120 . . Through this, when the user is tired of the shape of the cushion unit 10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ifferent design element by combining the cushion unit 100 of a new shape without changing the entir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이러한 쿠션부(100)의 내부는 쿠션감있는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예컨대, 쿠션부(100)의 내부는 퀄팅솜, 방울솜, 구름솜, 와플솜, 실크솜, 에어론솜, 마이크로화이바솜, 구스솜, 양모솜 등과 같은 솜 또는 스펀지 등의 물질로 채워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쿠션부(100)는 푹신한 쿠션감을 제공하고, 쿠션부(100)의 일부가 외력으로 인해 눌리더라도 복원되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cushion part 100 may be filled with a cushiony material. For example, the inside of the cushion unit 100 may be filled with a material such as cotton or sponge such as quilting cotton, bell cotton, cloud cotton, waffle cotton, silk cotton, aeron cotton, microfiber cotton, goose cotton, wool cotton, etc. it is not Accordingly, the cushion unit 100 may provide a soft cushioning feeling, and even if a portion of the cushion unit 100 is pressed due to an external force, it may be restored to maintain its original shape.

거치부(200)는 모바일기기를 쿠션부(100)의 일측면 상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mounting unit 200 serves to fix the mobile device on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10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0)는 제1쿠션부재(1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쿠션부(100)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쿠션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mounting part 200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included in the cushion unit 100 .

한편, 도 3에서는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의 장변이 두 눈 사이를 연결하는 선과 평행하도록 고정하여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를 감상하는 점을 고려하여, 거치부(200)가 x방향의 장변 및 z방향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영역을 가지며 쿠션부(10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거치부(200)는 x방향의 단변 및 z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영역을 가지며 쿠션부(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바일기기의 단변이 두 눈 사이를 연결하는 선과 평행하도록 고정하여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하지만, 두 경우 중 어떠한 경우라도 후술하는 결합부(300)를 통해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모바일기기의 장변 또는 단변이 두 눈 사이를 연결하는 선과 평행하도록 고정하여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를 감상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FIG. 3,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long side of the mobile device is generally fix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two eyes to enjoy the content through the mobile device, the mounting unit 200 is positioned on the long side of the x-direction and the z-direction. It has a rectangular region having a short side and is illustrated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10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ounting unit 200 may have a rectangular region having a short side in the x-direction and a long side in the z-direction, and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cushion unit 100 . In this case, the content can be viewed through the mobile device by fixing the short side of the mobile device to be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two eyes. However, in any of the two cases, by rotating the cushion member on which the mounting unit 200 is located through the coupl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long side or short side of the mobile device is fixed so that it is parallel to the line connecting the two eyes. It is possible to enjoy content through the device.

결합부(300)는 쿠션부(100)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쿠션부재들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The coupling unit 300 serves to couple a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included in the cushion unit 100 .

일 실시예로, 결합부(300)는 결합된 복수개의 쿠션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00)는 결합된 복수개의 쿠션부재들 중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를 거치부(200)에 수직한 가상의 축(AX)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0)가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고 거치부(200)가 제1쿠션부재(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경우, 결합부(300)는 제1쿠션부재(110)를 거치부(200)에 수직한 가상의 축(AX)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coupling unit 300 is configured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coupled plurality of cushion members. Specifically, the coupling unit 30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cushion member on which the mounting unit 200 is located among a plurality of coupled cushion members about an imaginary axis AX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unit 200 . d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cushion unit 100 includes a first cushion member 110 and a second cushion member 120 , and the mounting unit 2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 When positioned, the coupling unit 30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about a virtual axis AX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unit 200 .

한편,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각도 및 회전방향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결합부(300)는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가 0도(degree) 내지 360도 범위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limit to the angle and rotation direction at which the cushion member in which the mounting part 200 is located can be rotated.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3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ushion member on which the mounting part 200 is located can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a range of 0 degrees to 360 degrees.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자세에서 모바일기기를 통해 콘텐츠 감상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의하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의 시선의 각도에 대응하여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앉은 자세에서의 사용자의 두 눈을 연결하는 직선과 모바일기기의 장변(또는 단변)이 평행하도록 모바일기기를 거치하고, 앉은 자세에서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재생되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자세를 바꿀 시, 사용자는 누운 자세의 사용자의 두 눈을 연결하는 직선과 모바일기기의 장변(또는 단변)이 평행하도록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예컨대, 제1쿠션부재(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거치부(200)에 거치된 모바일기기의 각도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자세와 상관없이 거치된 모바일기기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기기의 화면을 보기 위해 목을 숙이거나 꺾는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이 가능하다.Through this, users can enjoy content through mobile devices in various positions.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cushion member on which the mounting unit 200 is located in response to different angles of the user's gaze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For example, the user mounts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long side (or short side) of the mobile device is parallel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user's two eyes in the sitting posture on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and plays the mobile device on the display unit in the sitting position content can be viewed. At this time, when the user changes his or her posture from a sitting position to a lying position, the cushion member in which the holder 200 is positioned so that the long side (or short side) of the mobile device is parallel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eyes of the user in the lying position. (For example,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can be rotated. That is, the user can rotate the angle of the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00 by rotating the cushion member on which the mounting unit 200 is located. Accordingly,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angle of the mounted mobile device regardless of the user's posture. Users do not need to bow or bend their neck to view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y can enjoy content through the mobile device more conveniently.

이와 같은 결합부(3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unit 3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

지지부(400)는 쿠션부(100)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part 400 serves to support the cushion part 100 so as not to incline or fall.

일 실시예로, 지지부(400)는 쿠션부(100)가 포함하는 쿠션부재들 중 거치부(200)가 위치하지 않는 쿠션부재 내부에 위치하며, 해당 쿠션부재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unit 400 is located inside the cushion member in which the mounting unit 200 is not located among the cushion members included in the cushion unit 100, and can support the cushion member so as not to incline or fall. .

이를 통해 사용자가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모바일기기를 거치하는 과정 또는 모바일기기를 거치한 후 콘텐츠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이 모바일기기의 무게 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고 원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모바일기기를 통한 콘텐츠 감상이 가능하다.Through this, the cushion for mobile device does not tilt or fall due to the weight or external impact of the mobile device in the process of the user placing the mobile device on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or in the process of viewing the contents after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osition of

이와 같은 지지부(40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unit 4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모바일기기가 거치된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part of a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of FIG. 4 It is also an example of

참고로 도 5에서는 모바일기기(500)의 일례로 스마트폰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모바일기기(500)는 휴대가 가능한 정보 통신 기기로서, 스마트패드, 태블릿 PC, 이북(e-book) 또는 PMP 등의 다양한 휴대용 정보 처리기기, 통신기기 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일 수 있다. 또한, 거치하려는 모바일기기(500) 종류에 따라 쿠션부(100)의 크기 및 거치부(200)의 크기를 설계 및 디자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although a smartphone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the mobile device 500 in FIG. 5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500 is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may be a smart pad, a tablet PC, various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such as an e-book or a PMP, a communication device, or a multimedia player. In addi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design and design the size of the cushion unit 100 and the size of the mount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obile device 500 to be mounted.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이 구비하는 거치부(200)는 투명필름부재(210) 및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holder 200 provided in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parent film member 210 and an opening.

투명필름부재(210)는 쿠션부(100)가 포함하는 쿠션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 상에 위치한다.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cushion members included in the cushion unit 100 .

이와 같은 투명필름부재(210)는 투명한 재질의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투명필름부재(210)로 덮인 영역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시각적으로 노출시킨다"는 것은 투명필름부재(210)로 덮인 영역이 육안으로 인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투명필름부재(210)로 덮인 영역은 투명필름부재(210)가 덮였을 때와 덮이지 않았을 때가 시각적으로 동일하게 인지될 수 있다.Such a transparent film member 210 is composed of a film of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ly, the area covered by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can be visually exposed. In this case, "visually exposed" means that the area covered by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is visually recognized. That is, the region covered by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can be visually recognized as the same when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is covered and not covered.

구체적으로, 모바일기기(5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지 않았을 때, 즉, 모바일기기(500)가 투명필름부재(210) 하부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 투명필름부재(210)는 쿠션부재의 외측면 중 투명필름부재(210)와 중첩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킨다. 즉, 모바일기기(500)가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거치되지 않았을 때, 투명필름부재(210)로 덮인 영역의 형태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바, 거치부(200)가 쿠션부(100)의 전체적인 외형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모바일기기(500)가 거치되지 않았을 때, 거치부(20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심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mobile device 500 is not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00 , that is, when the mobile device 500 is not inserted under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is a cushion memb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and the overlapping area is exposed visually. That is, when the mobile device 500 is not mounted on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the shape of the area covered by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is visually exposed, and the mounting unit 200 is the overall cushion unit 100 . It will not affect the appearance. Accordingly, when the mobile device 500 is not mounted,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may perform an aesthetic func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mounting unit 200 .

이와 달리, 모바일기기(5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었을 때, 즉, 모바일기기(500)가 투명필름부재(210) 하부에 삽입되었을 때, 투명필름부재(210)는 삽입된 모바일기기(500)의 디스플레이부를 시각적으로 노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기기(500)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거치하지 않았을 때와 동일하게 모바일기기(5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되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mobile device 5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00 , that is, when the mobile device 500 is inserted under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is the inserted mobile device. The display unit of the 500 is visually exposed. Accordingly, the user can enjoy the content reproduc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500 in the same way as when the mobile device 500 is not mounted on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한편, 일 실시예로, 투명필름부재(210)는 모바일기기(500)의 스피커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홀은 모바일기기(5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었을 때 모바일기기(500)의 스피커부에 매칭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콘텐츠가 소리를 포함하는 경우, 거치된 모바일기기의 스피커부로부터 출력된 소리는 투명필름부재(210)에 영향받지 않고 직접 외부로 전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출력된 소리가 투명필름부재(210)로 인해 사용자에게 온전히 전달되지 못 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speaker hol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speaker unit of the mobile device 500 . Such a speaker hole matches the speaker unit of the mobile device 500 when the mobile device 5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200 . Accordingly, when the content reproduced through the mobile device includes sound,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unit of the mounted mobile device may be directly propagat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minimize the sound output from being completely transmitted to the user due to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

개구부는 투명필름부재(210)와 쿠션부재의 외측면 사이에 모바일기기(500)가 개재되도록 모바일기기(500)를 삽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opening serves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bile device 500 can be inserted so that the mobile device 500 is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일 실시예로, 투명필름부재(210)는 단일 필름으로서,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어느 세 개의 모서리들이 쿠션부(10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한 개의 모서리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모서리는 개구부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기기(500)를 개방된 모서리를 통해 삽입하여 투명필름부재(210) 및 쿠션부(100)의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500)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거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is a single film, any three corners of the left, right, upper and lower sides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100, and the other corner can be opened. there is. In this case, the open edge may be used as an opening. That is, the user inserts the mobile device 500 through the open edge so that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100, thereby placing the mobile device 500 on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can be mounted

다른 실시예로, 투명필름부재(210)는 이중 필름으로서,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필름은 네 개의 모서리 전부가 쿠션부(100)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부 필름은 하부 필름 상에 중첩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은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어느 세 개의 모서리들이 결합되어 있고, 나머지 한 개의 모서리는 개방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모서리는 개구부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기기(500)를 개방된 모서리를 통해 삽입하여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 사이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500)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필름과 하부 필름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고,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transparent film member 210 is a double film, and may include a lower film and an upper film. All four corners of the lower film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100 , and the upper film is positioned to overlap the lower film. In addition, any three corners of the left, righ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ower film and the upper film may be combined, and the other corner may be opened. In this case, the open edge may be used as an opening. That is, the user inserts the mobile device 500 through the open corner so that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film and the upper film, so that the mobile device 500 can be mounted on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The upper film and the lower film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may be made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는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는 전면과 반대인 후면에 핸드그립 액세서리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핸드그립 액세서리는 원형의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디를 포함하는 그립톡(Griptok) 등과 같은 핸드그립을 위한 액세서리일 수 있다. 이 경우, 핸드그립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예컨대, 원형의 상판 부분의 일부)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삽입함으로써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The user's mobile device may have a hand grip accessory attached to the rear opposite to the front where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is located. For example, the hand grip accessory may be an accessory for a hand grip, such as a griptok including a circular top plate and a body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op plate and disposed under the top plate. 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can be mounted by inserting at least a part of the hand grip accessory (eg, a part of the circular top plate part) into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의 외측면은 제1면(P1) 및 제2면(P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00)는 제2면(P2)과 중첩하도록 제2면(P2)상에 위치하는 제3면(P3) 및 제3면(P3)의 일측에 형성된 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on which the mounting part 200 is positioned may include a first surface P1 and a second surface P2 .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200 includes a third surface P3 positioned on the second surface P2 to overlap the second surface P2 and a groove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surface P3. can do.

이때, 제1면(P1)은 거치부(200)가 거치되는 쿠션부재의 외측면 중 거치부(200)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면을 의미하고, 제2면(P2)은 거치부(200)가 거치되는 쿠션부재의 외측면 중 거치부(200)와 중첩하는 영역의 면을 의미한다. 또한, 제3면(P3)은 제2면(P2)을 덮으며 제2면(P2) 상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first surface P1 refers to a surface of an area that does not overlap the holder 200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cushion member on which the mounting unit 200 is mounted, and the second surface P2 is the mounting unit 200 . ) means the surface of the area overlapping the mounting part 200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cushion member on which it is mounted. In addition, the third surface P3 refers to a surface that covers the second surface P2 and is located on the second surface P2 .

제2면(P2)과 제3면(P3)은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지 않음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2면(P2)과 제3면(P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220)이 위치하는 제3면(P3)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하부의 제2면(P2)과 부착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를 홈(220)을 통해 거치부(200)에 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면(P2) 및 제3면(P3) 사이에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함으로써, 모바일기기를 거치부(200)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3면(P3)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내부에는 고무줄 등과 같은 탄력있는 재질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P2 and the third surface P3 is not attached,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P2 and the third surface P3 if necessary. Specifically,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third surface P3 on which the groove 220 is located may not be attached to the lower second surface P2 . Through this, the accessor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can be mounted on the holder 200 through the groove 220 . Specifically, by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ccessor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between the second surface P2 and the third surface P3 to be interposed, the mobile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200 . Meanwhile, a member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such as a rubber band, may be disposed inside one side of the third surface P3 where the groove 220 is 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fixing force.

또한, 제3면(P3)의 외측면의 형태는 제1면(P1)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도 상에서 제2면(P2)은 제3면(P3)으로 덮여서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제1면(P1)은 제3면(P3)으로 덮이지 않으므로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쿠션부재의 외형의 통일성을 위하여 제1면(P1)의 형태와 제3면(P3)의 형태는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Als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urface P3 may be continuous with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P1 . As shown in FIG. 6 , in the front view, the second surface P2 is covered with the third surface P3 and is not visually exposed, and the first surface P1 is not covered with the third surface P3. visually exposed. Therefore, for the unity of the outer shape of the cushion member, the shape of the first surface P1 and the shape of the third surface P3 may be naturally connected.

예컨대,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가 정면도 상에서 동물의 얼굴 형상을 갖는 경우, 제3면(P3)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윗부분에 위치한 제1면(P1)의 외측면의 형태와 제3면(P3)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제3면(P3)의 외측면의 형태는 서로 조화를 이루며 하나의 동물의 얼굴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200)가 쿠션부(100)의 전체적인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이 거치부(20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심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shion member on which the mounting part 200 is located has the shape of an animal's face in the front view, the third surface P3 outside of the first surface P1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one side where the groove 220 is formed.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urface P3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one side where the groove 220 of the third surface P3 is formed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and can constitute the face shape of one animal. . Accordingly, since the mounting unit 200 does not affect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ushion unit 100 ,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can perform an aesthetic func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mounting unit 200 .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거치부(200)가 하나의 홈(220)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거치부(200)가 갖는 홈(220)의 개수 및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도 7의 거치부(200)가 세 개의 홈(220)들을 갖는 것과 같이, 거치부(200)는 복수개의 홈(220)들을 가질 수 있다.Although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mounting unit 200 has one groove 220 ,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grooves 220 of the mounting unit 200 are not limited. For example, just as the mounting unit 200 of FIG. 7 has three grooves 220 , the mounting unit 200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220 .

이와 같이 거치부(200)가 복수개의 홈(220)들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높이 또는 기호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다양한 위치에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when the mounting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220,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mounted in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user's eye level or preferenc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에서는 거치부(200)가 제3면(P3)만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거치부(200)가 갖는 면의 개수 및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6 and 7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mounting unit 200 has only the third surface P3 ,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surfaces of the mounting unit 200 .

일 실시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0)는 제3면(P3)의 일부와 중첩하도록 제3면(P3) 상에 위치하는 제4면(P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면(P4)의 일측에는 별도의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면(P3)과 제4면(P4)은 적어도 일부가 부착되지 않음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3면(P3)과 제4면(P4)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220)이 위치하는 제4면(P4)의 일측의 적어도 일부는, 하부의 제3면(P3)과 부착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를 홈(220)을 통해 거치부(200)에 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면(P3) 및 제4면(P4) 사이에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함으로써, 모바일기기를 거치부(200)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4면(P4)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내부에는 고무줄 등과 같은 탄력있는 재질의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 the mounting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urface P4 positioned on the third surface P3 to overlap a portion of the third surface P3 . can In addition, a separate groove 2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ourth surface P4 .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surface P3 and the fourth surface P4 is not attached,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third surface P3 and the fourth surface P4 if necessary. Specifically, at least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fourth surface P4 on which the groove 220 is positioned may not be attached to the lower third surface P3 . Through this, the accessor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can be mounted on the holder 200 through the groove 220 . Specifically, by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an accessor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between the third surface P3 and the fourth surface P4 to be interposed, the mobile device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200 . Meanwhile, a member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such as a rubber band may be disposed inside one side of the fourth surface P4 where the groove 220 is 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fixing force.

또한, 제4면(P4)의 외측면의 형태는 제3면(P3)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도 상에서 제2면(P2)은 제3면(P3)으로 덮여서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제1면(P1)은 제3면(P3)으로 덮이지 않으므로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또한, 제3면(P3)은 제4면(P4)으로 덮이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만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쿠션부재의 외형의 통일성을 위하여 제1면(P1)의 형태, 제3면(P3)에서 제4면(P4)으로 덮이지 않는 부분의 형태 및 제4면(P4)의 형태는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Als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surface P4 may be continuous with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urface P3 . As shown in FIG. 8 , in the front view, the second surface P2 is covered with the third surface P3 and is not visually exposed, and the first surface P1 is not covered with the third surface P3. visually exposed. In addition, only a portion of the third surface P3 except for a portion covered by the fourth surface P4 is visually exposed. Therefore, for the unity of the outer shape of the cushion member, the shape of the first surface P1, the shape of the portion not covered by the third surface P3 to the fourth surface P4, and the shape of the fourth surface P4 are naturally It may be in the form of a connection.

예컨대, 거치부(200)가 위치하는 쿠션부재가 정면도 상에서 동물의 얼굴 형상을 갖는 경우, 제3면(P3)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윗부분에 위치한 제1면(P1)의 외측면의 형태와 제3면(P3)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제3면(P3)의 외측면의 형태는 서로 조화를 이루고, 제4면(P4)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윗부분에 위치한 제3면(P3)의 외측면의 형태와 제4면(P4)의 홈(220)이 형성된 일측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제4면(P4)의 외측면의 형태는 서로 조화를 이루며 하나의 동물의 얼굴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200)가 쿠션부(100)의 전체적인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이 거치부(20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심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shion member on which the mounting part 200 is located has the shape of an animal's face in the front view, the third surface P3 outside of the first surface P1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one side where the groove 220 is formed.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urface P3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one side where the groove 220 of the third surface P3 is formed harmonize with each other, and the groove 220 of the fourth surface P4 ),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urface P3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e side formed and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surface P4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one side where the groove 220 of the fourth surface P4 is formed can harmonize with each other and compose the face shape of a single animal. Accordingly, since the mounting unit 200 does not affect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ushion unit 100 ,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can perform an aesthetic func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mounting unit 200 .

이와 같이 거치부(200)가 각각 별도의 홈을 갖는 복수개의 면들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높이 또는 기호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다양한 위치에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when the mounting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urfaces each having separate groov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mounted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user's eye level or preferenc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거치부(200)가 위치하지 않는 쿠션부재 내부에 위치하고, 쿠션부(100)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부(400)를 구비한다.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side the cushion member where the mounting unit 200 is not located, and the support unit 400 serves to support the cushion unit 100 so that it does not tilt or fall. be prepared

일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0)는 쿠션부재의 외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와이어일 수 있다. 와이어는 특정 수준 이상의 무게를 가지며, 쿠션부(100)의 무게중심이 거치부(200)가 위치하지 않는 쿠션부재 쪽으로 편중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와이어는 철, 등, 구리 등의 금속이나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 the support 400 may be a wire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hape of the cushion member. The wire has a weight above a certain level,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ushion unit 100 is biased toward the cushion member where the mounting unit 200 is not located. Such a wir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metals or alloys such as iron, etc., and copper.

다른 실시예로, 지지부(400)는 사전 설정된 중량을 갖는 무게추물질(미도시)일 수 있다. 무게추물질은 거치부(200)가 위치하지 않는 쿠션부재 내부에 위치하며 쿠션부(100)의 무게중심이 거치부(200)가 위치하지 않는 쿠션부재 쪽으로 편중되도록 한다. 한편, 무게추물질은 쿠션부재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무게중심이 거치부(200)로부터 보다 멀리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게추물질은 복수개의 알갱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게추물질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400 may be a weight material (not shown) having a preset weight. The weight material is located inside the cushion member where the mounting unit 200 is not located,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ushion unit 100 is biased toward the cushion member where the mounting unit 200 is not located.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material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side the cushion membe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can be located farther from the mounting unit 200 if necessary. Such a weight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grains. In addition, the weight material is polyethersulfone (polyethersulphone), polyacrylate (polyacrylate), polyetherimide (polyetherimid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phenylene sulfide (polyphenylene) sulfide), polyarylate, polyimide, polycarbonate, or a polymer resin such as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도 10은 도 9의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의 쿠션부가 포함하는 제1쿠션부재 및 제2쿠션부재가 분리된 모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FIG. 10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included in the cushion part of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of FIG. 9 are sepa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은 쿠션부재들을 결합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한다.The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art 300 for coupling the cushion members.

일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0)가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를 포함하는 경우, 결합부(300)는 제1쿠션부재(110)에 형성된 오목부와 제2쿠션부재(120)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가 오목부에 삽입됨으로써 제1쿠션부재(110)와 제2쿠션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의 단면 및 오목부의 단면은 원형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쿠션부재(110)와 제2쿠션부재(120)가 결합된 후, 제1쿠션부재(1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돌출부의 외측면 및 오목부의 내측면은 매끄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제1쿠션부재(110)의 회전이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 when the cushion part 100 includes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 the coupling part 300 is a first cushion member ( It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formed in 110 and a protrusion formed in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By inserting the protrusion into the concave portion,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may be coupled.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cross-s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are formed to have a circular shape, so that after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are coupled,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can be rotated.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are made of a smooth material,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can be made easier.

다른 실시예로, 결합부(300)는 제1쿠션부재(110) 및 제2쿠션부재(120)의 연결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쿠션부재(110)에는 제1결합부재가 위치하고, 제2쿠션부재(120)에는 제2결합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와 제2결합부재는 서로 매칭하여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임의의 부재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upling part 300 may include a separate coupling member position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 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member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may be combined and separated by matching with each other, and may be any member capable of rotation in the coupled state.

예컨대, 제1결합부재는 중심에 개구를 포함하는 링 형상의 부재 및 상기 링 형상의 부재 상에 중첩하도록 위치하며 복수개의 패터닝된 홀들을 갖는 제1원판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의 제1원판 형상의 부재는 링 형상 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결합부재는 제2원판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제2원판 형상의 부재 상에는 원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결합부재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패터닝된 홀에 매칭되는 복수개의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ring-shaped member including an opening in the center, and a first disk-shaped member positioned to overlap the ring-shaped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patterned holes. At this time, the first disk-shaped member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ring-shaped member. The second coupling member includes a second disc-shaped member,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c and matching the plurality of patterned holes included in the first coupling member are formed on the second disc-shaped member. may have been

이에 따라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는 제2결합부재의 돌출부들이 제1결합부재의 패터닝된 홀들에 매칭하여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재의 제1원판 형상의 부재가 링 형상 부재 상에서 회전함으로써 제1결합부재가 위치하는 제1쿠션부재(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may be coupled by inserting the protrusions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to match the patterned holes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In addition, in the coupled state, the first disk-shaped member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rotates on the ring-shaped member to rotate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in which the first coupling member is located.

한편, 이와 같은 제1결합부재가 제2쿠션부재(120)에 위치하고, 제2결합부재가 제1쿠션부재(110)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such a first coupling member is located on the second cushion member 12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econd coupling member is located on the first cushion member (110).

지금까지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러한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을 제조하기 위한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제조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So far, only the cushion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for manufacturing such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쿠션부
110 : 제1쿠션부재
120 : 제2쿠션부재
200 : 거치부
201 : 회전부
210 : 투명필름부재
220 : 홀
300 : 결합부
400 : 지지부
500 : 모바일기기
100: cushion part
110: first cushion member
120: second cushion member
200: mount
201: rotating part
210: transparent film member
220: Hall
300: coupling part
400: support
500: mobile device

Claims (6)

삭제delete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모바일기기를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고정하는, 거치부; 및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제1쿠션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위치하는 투명필름부재; 및
상기 투명필름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가 개재되도록 상기 모바일기기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필름부재는, 상기 모바일기기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중 상기 투명필름부재와 중첩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A cushion unit comprising a first cushion member and a second cushion member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cushion member;
a cradl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fixing the mobile devi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rotating the first cushion member about an imagina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part;
to provide
The cradle is
a transparent film member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an opening into which the mobile device can be inserted so that the mobile device is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film memb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including,
The transparent film member, when the mobile device is not inserted, visually exposing a region overlapping the transparent film memb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 cushion for mobile device mounting.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모바일기기를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고정하는, 거치부; 및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제1쿠션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은,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2면과 중첩하도록 상기 제2면 상에 위치하는 제3면; 및
상기 제3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면 및 상기 제3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제1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3면의 외측면의 형태는 상기 제1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A cushion unit comprising a first cushion member and a second cushion member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cushion member;
a cradl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fixing the mobile devi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rotating the first cushion member about an imagina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part;
to provid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include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The cradle is
a third surface positioned on the second surface to overlap the second surface; and
a first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surface and capable of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an accessor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between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to be interposed;
including,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urface is continuous with the form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3면의 일부와 중첩하도록 상기 제3면 상에 위치하는 제4면; 및
상기 제4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면 및 상기 제4면 사이에 상기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액세서리의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도록 삽입할 수 있는, 제2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상기 제3면의 외측면의 형태와 연속적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radle is
a fourth surface positioned on the third surface to overlap a portion of the third surface; and
a second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fourth surface and capable of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an accessory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third surface and the fourth surface;
further comprising,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surface and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surface are continuous,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1쿠션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제1쿠션부재의 일측에 위치하고, 모바일기기를 상기 제1쿠션부재의 외측면 상에 고정하는, 거치부;
상기 제1쿠션부재와 상기 제2쿠션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제1쿠션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수직한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제2쿠션부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쿠션부재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A cushion unit comprising a first cushion member and a second cushion member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cushion member;
a cradl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fixing the mobile devi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ushion member;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first cushion member and the second cushion member, rotating the first cushion member about an imagina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part; and
a support part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cushion member and supporting the second cushion member not to be inclined;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쿠션부재의 외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와이어 또는 사전 설정된 중량을 갖는 무게추물질인, 모바일기기 거치용 쿠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part,
A cushion for holding a mobile device, which is a wire or a weight material having a preset weight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second cushion member.
KR1020200089130A 2020-07-17 2020-07-17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KR1022858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130A KR102285851B1 (en) 2020-07-17 2020-07-17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KR1020210053121A KR102464694B1 (en) 2020-07-17 2021-04-23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PCT/KR2021/009015 WO2022015038A1 (en) 2020-07-17 2021-07-14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JP2023503081A JP2023534809A (en) 2020-07-17 2021-07-14 Mobile device stationary cush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130A KR102285851B1 (en) 2020-07-17 2020-07-17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121A Division KR102464694B1 (en) 2020-07-17 2021-04-23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851B1 true KR102285851B1 (en) 2021-08-04

Family

ID=7731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130A KR102285851B1 (en) 2020-07-17 2020-07-17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85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933A (en) * 2011-05-09 2012-11-19 오치완 Phone holder equipped with air freshener/ ash tray
KR20130026856A (en) * 2011-09-06 2013-03-14 차병미 The plaything type mobile device seat
KR20150082756A (en) * 2014-01-07 2015-07-16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Mobile-device dock
KR20180080832A (en) * 2017-01-05 2018-07-13 한상택 Toys,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fants using the same
KR20180091155A (en) * 2017-02-06 2018-08-16 정해윤 Multifunctional wearable cellular phone hol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5933A (en) * 2011-05-09 2012-11-19 오치완 Phone holder equipped with air freshener/ ash tray
KR20130026856A (en) * 2011-09-06 2013-03-14 차병미 The plaything type mobile device seat
KR20150082756A (en) * 2014-01-07 2015-07-16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Mobile-device dock
KR20180080832A (en) * 2017-01-05 2018-07-13 한상택 Toys, Tea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fants using the same
KR20180091155A (en) * 2017-02-06 2018-08-16 정해윤 Multifunctional wearable cellular phone hold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amazon.ca/PopSockets-PopMount-Windshield-Mount-White/dp/B07YBH5T9D (2019.10.01) *
https://www.amazon.co.uk/UVKLAEE-Visible-Cushion-Transparent-Dropshipping/dp/B089K7PYN2 (2020.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039B2 (en) Audio headphones for virtual reality head-mounted display
JP6248227B1 (en) Microdisplay-based immersive headset
US8150090B2 (en) Headphone and ear pad
US20130177181A1 (en) Protecting case assembly with foldable slim speaker for portable apparatus
JP6418155B2 (en) headphone
CN107102437A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export structure
EP3005724B1 (en) Audio headset accommodating ear geometry variations
US10932029B2 (en) Headphones
US11294430B1 (en)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US20220117104A1 (en) Media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power-delivery mechanism with integrated stand
KR102285851B1 (en)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US6369958B1 (en) Sports binocular assembly
KR102464694B1 (en) Cushion for holding mobile device
US20120036643A1 (en) Pillow having speakers
JP2000316198A (en) Headphone
US11740691B1 (en) Sensor assembly for head-mountable device
CN209526750U (en) Terminal protection shell
JP2008124733A (en) Ear-hooking headphone
TWI688725B (en) Support platform
CN206728237U (en) Wear-type projects Headphone structure
JP3234340U (en) Handheld communication equipment stand
CN213403424U (en) Head-wearing earphone hanging and electronic product combined base
TWM621730U (en) Mobile phone holder with loud speaker function
JP2013150080A (en) Headphone
CN211718798U (en) Tablet personal computer supporting and protecting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