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331B1 - 여러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여러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331B1
KR102285331B1 KR1020190029697A KR20190029697A KR102285331B1 KR 102285331 B1 KR102285331 B1 KR 102285331B1 KR 1020190029697 A KR1020190029697 A KR 1020190029697A KR 20190029697 A KR20190029697 A KR 20190029697A KR 102285331 B1 KR102285331 B1 KR 10228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oration
interaction
user
time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895A (ko
Inventor
박정민
이중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2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3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가상 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는 인터랙션 복원을 수행한 복원 요청 사용자로부터 복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복수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며,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한다.

Description

여러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nteraction Undo for interaction among multiple users}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여러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인터랙션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가지원 연구개발에 대한 설명]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관리 하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사업의 "원격 사용자간 협업을 위한 손 기반 Seamless CoUI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과제 고유번호: 1711082612, 세부과제번호: 2011-0031425)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최근 사용자들은 컴퓨터 기술과 장비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제품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이전과는 다른 다양한 인터랙션을 경험하고 있다. 지금까지 사람과 컴퓨터 간의 효율적이고 개선된 인터랙션(상호작용)을 위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제스처 등의 행위를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서 3차원 물체 또는 다른 사용자와 인터랙션하는 자연스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NUI, Natural User Interface) 분야가 계속해서 발전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가상 공간에서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호 작용을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 1, 사용자 2가 함께 가상 물체를 이동시키는 상호 작용을 하는 경우, 사용자 1의 행위에 대한 인식 오류 등에 따라 가상 공간 내에서의 사용자 1의 행위를 복원(Undo)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은 이전의 상호 작용을 무효(Undo)로 하고 다시 수행하는 것를 의미한다. 상술한 행위 기반의 3차원 가상 공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은 이러한 인터랙션의 복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인터랙션의 복원은 사용자의 행위를 다시 인식하여 가상 물체를 다시 잡아서 인터랙션을 계속 진행하거나, 시스템을 초기화하여 모든 과정을 다시 시작하는 방식으로 제공되었다. 또한, 종래의 인터랙션에서는 인터랙션의 복원을 요청한 사용자와 가상 물체와의 관계만을 고려하여 복원을 제공하였으며, 인터랙션의 복원과 관련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협업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는 고려되지 않았다. 즉,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협력하는 3차원 인터랙션 조작에 대한 복원(Undo)은 협력하는 다른 사용자의 조작에 영향을 미치므로 다른 사용자를 고려하여, 전체 시각적인 관점에서 3차원 인터랙션에 대한 복원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체 시각의 관점에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인터랙션 히스토리를 관리하고, 다른 사용자의 상호 영향을 고려하여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지원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가상 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방법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수행한 복원 요청 사용자로부터 복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복수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가상 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로, 인터랙션 복원을 수행한 복원 요청 사용자로부터 복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복수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며,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에게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 공간 제공 장치;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인식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반영하게 하는 입력 장치; 상기 가상 공간을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 장치;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을 저장하는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하며, 인터랙션 복원을 수행한 복원 요청 사용자로부터 복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복수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며,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중 복원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인터랙션의 복원을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는 전체 시각의 관점에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인터랙션 히스토리를 관리하고, 다른 사용자의 상호 영향을 고려하여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은 보다 개선된 인터랙션 복원을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과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에서 수집된 인터랙션 타입 및 시계열적 정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복원 요청 사용자를 기준으로 인터랙션이 복원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다른 사용자를 기준으로 인터랙션이 복원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기술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 및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 또는 부(unit)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한다. 하드웨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여러 사용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터랙션을 복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각 모듈은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은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공간은 소정의 물리량을 가진 복수의 가상 모델이 구현될 수 있다. 가상 모델은 가상 공간상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실제 물체와 근사하게 물리적인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가상 모델은 그래픽 정보와 물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정보는 가상 모델을 가상 공간에 렌더링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으며, 물리 정보는 가상 물체의 물리 법칙을 적용하기 위한 물리량 및 다른 물리 정보를 가진 가상 물체와의 접촉을 인식하는 접촉 포인트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상 물체의 접촉 포인트는 메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상 물체간의 접촉은 이러한 메쉬 포인트의 접촉으로 인식될 수 있다. 가상 공간은 가상 블록을 활용한 블록 놀이가 가능한 공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스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게임 공간 또는 사무 업무를 처리하는 가상 오피스일 수도 있다.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은 상술한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인식하여 가상 공간에 반영하게 하는 입력 장치(102) 및 가상 공간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 장치(103)를 포함한다. 또한,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의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서버일 수 있으며,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은 상기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에 접속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장치(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04)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손)가 립 모션(Leap Motion) 센서, 카메라와 같은 영상 센서, 특히 RGBD 센서를 포함하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 등과 같은 입력 장치(102)를 통해 인식될 수 있으며, 인식된 손은 입력 정보로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에 제공되어 가상 공간에 가상 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현재 구현되는 가상 공간은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출력 장치(103)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가상 공간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복수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상 공간에서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은 인간(Human) 대 세상(World)의 인간-세상(Human-World) 인터랙션(또는, 인간-물체 인터랙션)과, 인간 대 인간의 인간-세상-인간(Human-World-Human) 인터랙션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공간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해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공간의 가상 물체를 조작하는 인터랙션 또는 가상 공간의 다른 사용자와 물체를 매개로 상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 장치(102), 출력 장치(103) 및 클라이언트 장치(104)는 사용자 각각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104)를 통해 가상 공간에 접속하며, 입력 장치(102)를 통해 가상 공간 상에서 인터랙션을 수행하고, 인터랙션이 반영된 가상 공간은 출력 장치(103)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는 같은 공간에서 상술한 입력 장치(102), 출력 장치(103) 및 클라이언트 장치(104)를 사용하여 가상 공간에 참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1 내지 사용자 3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는 서로 다른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네트워크로 통해 연결되어 하나의 가상 공간에 참여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가 제공하는 가상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터랙션은 인터랙션 타입(Interaction type)으로 미리 분류될 수 있다. 인터랙션 타입은 인터랙션의 최소 의미 단위로 정의 및 분류될 수 있다. 인터랙션 타입은 인터랙션을 기술(Descript)할 수 있는 상위 레벨의 추상적 설명(High-level abstract description)을 의미할 수 있다. 인터랙션 타입은 인식의 레벨뿐만 아니라, 해석, 의도 및 행동에 관련된 다른 레벨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랙션 타입은 단순히 사람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발생되는 사람과 가상 물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가상 물체에 부여한 의미 있는 행위 상태가 정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특정 물체를 조작하는 경우 정의될 수 있는 인터랙션 타입은 접근(Approach), 물러남(Withdraw), 응시(Eye Gaze), 잡기(Grasp), 이동(Translation) 및 회전(Rot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의 상호 협동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동작도 인터랙션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물체를 함께 잡기(InterP-Grasp), 물체를 함께 당기기(InterP-Pull), 물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Handover) 등의 상호작용도 인터랙션 타입으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 타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스처, 음성 등의 사용자 행위를 입력 장치(102)를 통해 획득하고,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식 결과를 복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적절한 인터랙션 타입을 추론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인식 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인터랙션 타입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식 결과는 인터랙션 타입의 확신도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인터랙션 타입의 확신도에 따라 적용될 인터랙션 타입이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인식 결과로 산출된 잡기(Grasp) 인터랙션 타입의 확신도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인터랙션은 잡기(Grasp) 인터랙션 타입으로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인터랙션 타입이 가상공간에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에 의해 분석되어 결정된 인터랙션 타입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은 추론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시계열적 정보가 저장되는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를 포함한다.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는 각 사용자에 대응하여 준비될 수 있다.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에 저장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와 시계열적 정보에 따라 후술할 인터랙션 조작에 대한 복원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인터랙션 타입은 일종의 유저 인터페이스와 같이, 사용자가 참여하는 가상 공간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상술한 인터랙션 타입을 기준으로 가상 공간 내의 인터랙션 조작에 대한 복원(Undo)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은 여러 사용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터랙션을 전체 시각적인 관점에서 제어하도록 구성된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행되는 인터랙션의 복원 과정 및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과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에서 수집된 인터랙션 타입 및 시계열적 정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은 복수의 사용자(사용자 1,..., 사용자 N) 각각에 대응하는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사용자 1, ..., 사용자 N)는 각각 제공된 입력 장치(102), 출력 장치(103) 및 클라이언트 장치(104)를 통해 가상 공간에서 상호 협력적인 인터랙션을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각 사용자의 행동 및 동작은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 타입 내에서 추론되어 가상 공간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추론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이의 시계열적 정보는 대응하는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각 사용자의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각 사용자의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연결된 각 사용자의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로부터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 타입 정보는 추론되어 가상 공간에 구현된 인터랙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시계열적 정보는 상기 인터랙션 타입이 가상 공간에 구현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상술한 인터랙션 타입 정보와 시계열적 정보를 각 사용자의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로부터 수집하는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 및 시간 동기화를 위한 NTP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사용자의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는 NTP 서버(120)와 시간이 동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오차의 발생 없이 각 사용자의 추론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이의 시계열적 정보가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에 수집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1 및 사용자 2로부터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이의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한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사용자 1로부터 제2 시점(t2)에 수행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제4 시점(t4)에 수행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제5 시점(t5)에 수행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2로부터 제1 시점(t1)에 수행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제3 시점(t3)에 수행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제4 시점(t4)에 수행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제6 시점(t6)에 수행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를 각각 수집한다. 여기서, 제1 시점(t1)이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오래된 시점일 수 있고, 제6 시점(t6)이 현재 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시점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시점에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이 동시에 수집된 경우, 복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인터랙션을 수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제4 시점(t4)에 사용자 1 및 사용자 2는 함께 협력적인 인터랙션, 예를 들어, 물체를 함께 잡기(InterP-Grasp), 물체를 함께 당기기(InterP-Pull), 물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Handover ) 등을 수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가상 공간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사용자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하고, 이의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다. 수집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는 특정 사용자의 복원에 대해 다른 사용자의 인터랙션 복원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시계열적 정보에 따른 시점이 사용자들이 수행한 인터랙션에 대응되기에, 각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각 사용자의 복원될 인터랙션을 결정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복원될 인터랙션은 복원 시점을 결정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의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 타입의 복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상 공간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한 명 이상이 인터랙션에 복원을 진행하고, 본인이 수행한 복원과 관련된 복원 정보를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에 송신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중 인터랙션 복원을 진행한 사용자를 복원 요청 사용자로 정의하고, 복수의 사용자 중 복원 요청 사용자 이외의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로 정의한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사용자(사용자 1, ..., 사용자 N)에서 사용자 1이 복원 요청 사용자이면, 나머지 사용자 2, ..., 사용자 N이 다른 사용자에 해당한다. 여기서, 인터랙션 타입의 복원 정보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의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조정할 수 있다. 즉,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변경된 복원 시점을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이 제n 시점(tn)인 경우, 복원 요청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에 대해 제n 시점(tn) 이후인 제n+1 시점(tn+1)의 인터랙션을 모두 무효(Undo)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복원 요청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가 제n 시점(tn)에 인터랙션을 수행한 경우, 제n 시점(tn)으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제n 시점(tn)에 인터랙션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제n 시점(tn)과 가장 가까운 이전 시점으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에서 제2 사용자가 복원 요청 사용자이며, 제2 사용자의 복원 시점이 제4 시점(t4)인 경우, 제1 사용자의 제5 시점(t5)의 행동은 무효가 된다. 그리고, 제1 사용자는 제4 시점(t4)에 인터랙션을 수행하였기에 제1 사용자의 복원 시점은 제4 시점(t4)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가 복원 요청 사용자이며, 제2 사용자의 복원 시점이 제3 시점(t3)인 경우, 제1 사용자의 제4 시점(t4), 제5 시점(t5)의 행동은 무효가 된다. 그리고, 제1 사용자는 제3 시점(t3)에 인터랙션을 수행하지 않았기에, 제1 사용자의 복원 시점은 제3 시점(t3)의 직전 시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제3 시점(t3)과 가장 가까운 이전 시점인 제2 시점(t2)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의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의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할 수 있다.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복원 요청 명령을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로 제공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 시점이 변경될 것이라는 알림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은 변경될 시점에 수행하였던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동작, 포즈로 변경하여 가상 공간의 인터랙션 복원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 요청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복원 정보가 수신된 시간 순서대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복원 요청 사용자의 제1 복원 정보가 제2 복원 요청 사용자의 제2 복원 정보보다 먼저 수신되는 경우, 제1 복원 정보를 기초로 복원 시점을 결정한 이후, 제2 복원 정보를 기초로 복원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복수의 복원 정보의 수신 시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인 경우, 늦게 수신된 복원 정보에 따른 복원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복원 정보와 제2 복원 정보의 수신 시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인 경우, 제2 복원 정보에 따른 복원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과 제2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의 차이가 매우 짧은 경우, 먼저 복원을 요청한 제1 복원 요청 사용자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복원이 수행되고, 제2 복원 요청 사용자가 요청한 복원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복원 요청 사용자는 제1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된 복원 시점에 대응하는 복원이 상술한 과정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복수의 복원 정보의 수신 시간이 동일한 경우, 더 이전 시점으로 복원하는 복원 요청 사용자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복원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복원 정보와 제2 복원 정보의 수신 시간이 동일하고, 제1 복원 정보의 복원 시점이 제2 복원 정보의 복원 시점보다 이전인 경우, 제1 복원 정보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복원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은 수행되지 않고, 제2 복원 요청 사용자는 제1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된 복원 시점에 대응하는 복원이 상술한 과정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복원 요청 사용자를 기준으로 인터랙션이 복원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랙션의 복원을 요청하는 입력(Undo/Redo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이 사용자로부터 획득되면,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의 프로세서는 복원 요청 사용자에게 복원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복원 요청 사용자는 음성 명령 또는 손을 제외한 신체 부위의 제스처 등을 이용하여 인터랙션 복원을 위한 모드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인터랙션의 복원을 요청하는 입력이 획득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인터랙션 타입의 추론이 수행되며(인터랙션 모드), 추론된 인터랙션 타입은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복원 모드에서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로부터 복원 가능 정보를 획득하여, 복원 가능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 가능 정보는 복원 요청 시점 이전에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에 저장되었던 인터랙션 타입 및 이의 시계열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는 가상 물체에 대해 잡기(Grasp), 회전(Rotation), 놓기(Release)하는 인터랙션 타입이 시계열적인 정보에 해당하는 시점(t1, t2, t3)와 함께 저장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각 인터랙션 타입 및 이에 대응하는 시계열적인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복원 인터랙션 선택 UI).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인터랙션 타입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면, 프로세서는 특정 인터랙션 타입을 참조로 하여 사용자의 행위 상태 및 가상 객체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복원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사용자가 복원할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포즈(행위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인식 장치를 통해 인식되는 현재 사용자의 인터랙션 포즈의 그래픽 요소와 복원할 인터랙션 포즈의 그래픽 요소를 같이 제공하여, 사용자가 복원할 인터랙션 포즈와 같은 포즈(행위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원할 인터랙션 포즈의 그래픽 요소를 깜빡이거나, 화살표 등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포즈를 취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 입력이 발생되면(사용자가 포즈를 취했을 때 인터랙션 인식부가 이를 인식하면), 사용자의 현재 인터랙션 포즈와 복원할 인터랙션 포즈를 비교하여 적합 정도를 판단한 후 적합 정도가 기준 이상이 되면, 유지되는 시간(duration)을 체크하여 최종적으로 인터랙션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의 프로세서는 복원을 위한 인터랙션 타입 및 이의 시계열적 정보를 포함한 복원 정보를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복원 요청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복원 명령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6은 다른 사용자를 기준으로 인터랙션이 복원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른 사용자들은 각 사용자들의 요청이 아닌, 상기 복원 명령에 의해 다른 사용자의 복원 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상기 복원 모드에 따라 다른 사용자들에게 복원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원 모드에서,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에 의해 제공된 복원 명령에 따른 복원 시점에 대응하는 인터랙션으로 복원될 수 있다.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복원 모드에서 복원 명령에 따라 결정된 복원 시점(tu)에 대응하는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포즈(행위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인식 장치를 통해 인식되는 현재 사용자의 인터랙션 포즈의 그래픽 요소와 복원할 인터랙션 포즈의 그래픽 요소를 같이 제공하여, 사용자가 복원할 인터랙션 포즈와 같은 포즈(액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원할 인터랙션 포즈의 그래픽 요소를 깜빡이거나, 화살표 등의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포즈를 취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 입력이 발생되면(사용자가 포즈를 취했을 때 인터랙션 인식부가 이를 인식하면), 사용자의 현재 인터랙션 포즈와 복원할 인터랙션 포즈를 비교하여 적합 정도를 판단한 후 적합 정도가 기준 이상이 되면, 유지되는 시간(duration)을 체크하여 최종적으로 인터랙션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중 복원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인터랙션의 복원을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전체 시각의 관점에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인터랙션 히스토리를 관리하고, 다른 사용자의 상호 영향을 고려하여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10)은 보다 개선된 인터랙션 복원을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장치에서 수행되는 인터랙션 복원 방법으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 인터랙션 복원을 수행한 복원 요청 사용자로부터 복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0), 상기 복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복수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S120) 및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먼저,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한다(S100).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는 각 사용자들에 대응하는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각 사용자의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각 사용자의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연결된 각 사용자의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로부터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랙션 타입 정보는 추론되어 가상 공간에 구현된 인터랙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시계열적 정보는 상기 인터랙션 타입이 가상 공간에 구현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각 사용자의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105)는 NTP 서버와 시간이 동기화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는 NTP 서버를 통해 시간이 동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오차의 발생 없이 각 사용자의 추론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이의 시계열적 정보가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이어서, 인터랙션 복원을 수행한 복원 요청 사용자로부터 복원 정보를 수신한다(S110).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연결된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 타입의 복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상 공간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한 명 이상이 인터랙션에 복원을 진행하고, 본인이 수행한 복원과 관련된 복원 정보를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인터랙션 타입의 복원 정보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복수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한다(S120).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기준으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할 수 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이 제n 시점(tn)인 경우, 복원 요청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에 대해 제n 시점(tn) 이후인 제n+1 시점(tn+1)의 인터랙션을 모두 무효(Undo)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110)는 복원 요청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가 제n 시점(tn)에 인터랙션을 수행한 경우, 제n 시점(tn)으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가 제n 시점(tn)에 인터랙션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제n 시점(tn)과 가장 가까운 이전 시점으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한다(S130).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의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할 수 있다.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100)는 복원 요청 명령을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로 제공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생성 장치(101)는 복원 요청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재 시점이 변경될 것이라는 알림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은 변경될 시점에 수행하였던 인터랙션에 대응하는 동작, 포즈로 변경하여 가상 공간의 인터랙션 복원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랙션 복원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 또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
100: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
101: 가상 공간 생성 장치
102: 입력 장치
103: 출력 장치
104: 클라이언트 장치
105: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
110: 글로벌 인터랙션 히스토리 관리부
120: NTP 서버

Claims (11)

  1.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가상 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사이 및 사용자와 상기 가상 공간에 포함된 가상 물체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인터랙션 복원 장치에서 수행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방법으로, 상기 가상 공간에서 상기 상호작용은 인터랙션의 최소 의미 단위로 정의된 인터랙션 타입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의 가상 물체에 대한 복수의 조작 행위와 복수의 사용자의 상호 협동에 따라 수행되는 복수의 동작 행위는 각각 인터랙션 타입으로 정의되며, 상기 인터랙션 복원도 상기 인터랙션 타입을 기준으로 수행되며,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인터랙션 복원을 수행한 복원 요청 사용자로부터 복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복원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되, 상기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은 상기 수집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하는 단계는, 결정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에 대응하는 인터랙션 포즈를 다른 사용자가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정보는 상기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이 제n 시점(tn)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n 시점(tn) 이후에 수행된 제n+1 시점(tn+1)의 인터랙션을 모두 무효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제n 시점(tn)에 인터랙션을 수행한 경우, 상기 제n 시점(tn)으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제n 시점(tn)에 인터랙션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n 시점(tn)과 가장 가까운 이전 시점으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는 NTP 서버를 통해 시간이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방법.
  6.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가상 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사이 및 사용자와 상기 가상 공간에 포함된 가상 물체 사이 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로,
    상기 가상 공간에서 상호작용은 인터랙션의 최소 의미 단위로 정의된 인터랙션 타입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의 가상 물체에 대한 복수의 조작 행위와 복수의 사용자의 상호 협동에 따라 수행되는 복수의 동작 행위는 각각 인터랙션 타입으로 정의되며, 상기 인터랙션 복원도 상기 인터랙션 타입을 기준으로 수행되며,
    상기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하고,
    인터랙션 복원을 수행한 복원 요청 사용자로부터 복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복원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되, 상기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은 상기 수집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하고, 결정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에 대응하는 인터랙션 포즈를 다른 사용자가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정보는 상기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원 요청 사용자의 복원 시점이 제n 시점(tn)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에 대해 상기 제n 시점(tn) 이후에 수행된 제n+1 시점(tn+1)의 인터랙션을 모두 무효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제n 시점(tn)에 인터랙션을 수행한 경우, 상기 제n 시점(tn)으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제n 시점(tn)에 인터랙션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n 시점(tn)의 직전 시점으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
  9. 삭제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는 NTP 서버를 통해 시간이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복원 지원 장치.
  11. 복수의 사용자에게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 공간 제공 장치로서, 상기 가상 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인터랙션의 최소 의미 단위로 정의된 인터랙션 타입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의 가상 물체에 대한 복수의 조작 행위와 복수의 사용자의 상호 협동에 따라 수행되는 복수의 동작 행위는 각각 인터랙션 타입으로 정의되는, 가상 공간 제공 장치;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인식하여 상기 가상 공간에 반영하게 하는 입력 장치;
    상기 가상 공간을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 장치;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을 저장하는 인터랙션 히스토리 저장부; 및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가상 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사이 및 사용자와 상기 가상 공간에 포함된 가상 물체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인터랙션 복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랙션 복원 장치는 상기 인터랙션 타입을 기준으로 상기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를 수집하며, 인터랙션 복원을 수행한 복원 요청 사용자로부터 복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원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상기 복원 요청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을 결정하되, 상기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은 상기 수집된 인터랙션 타입 정보 및 시계열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결정된 복원 시점으로 인터랙션 복원을 요청하고, 결정된 다른 사용자의 복원 시점에 대응하는 인터랙션 포즈를 다른 사용자가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 공간 제공 시스템.
KR1020190029697A 2019-03-15 2019-03-15 여러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8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97A KR102285331B1 (ko) 2019-03-15 2019-03-15 여러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697A KR102285331B1 (ko) 2019-03-15 2019-03-15 여러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95A KR20200109895A (ko) 2020-09-23
KR102285331B1 true KR102285331B1 (ko) 2021-08-04

Family

ID=7270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697A KR102285331B1 (ko) 2019-03-15 2019-03-15 여러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3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3539A (ja) * 2008-11-06 2010-05-2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65178A (ja) 2009-01-15 2010-07-2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481B1 (ko) * 2007-07-06 2010-09-27 엔에이치엔(주) 복수의 편집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편집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4853573B2 (ja) * 2008-06-20 2012-01-1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788957B2 (en) * 2008-08-22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Social virtual avatar modification
KR101304663B1 (ko) * 2011-08-29 2013-09-06 (주)마인드메이플코리아 마인드맵 공동편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3539A (ja) * 2008-11-06 2010-05-2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65178A (ja) 2009-01-15 2010-07-2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95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507B1 (ko) 게임 원격측정 내에서 동기화된 비디오
JP7196179B2 (ja) 複合現実システムにおいて仮想コンテンツを管理および表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841236B1 (en) Distributed computer task management of interrelated network computing tasks
JP7089879B2 (ja) ロボットによるプロセス自動化
WO2019178123A1 (en) Methodologies to transform data analytics systems into cross-platform real-time decision-making systems that optimize for configurable goal metrics
US20200089594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load testing
US10891219B1 (en) Code failure prediction system
CN106681701B (zh) 一种任务的显示方法和装置
US117898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tacktrace signatures for bug triaging in a microservice architecture
JP7449403B2 (ja) 仮想シーンのデータ処理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CN113312153B (zh) 一种集群部署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546509B2 (en) Evaluating user contribution in collaborative environments
WO2015041648A1 (en) Application menu modification recommendations
US11813538B2 (en) Videogame telemetry data and game asset tracker for session recordings
US106351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on analysis of virtual space
KR102285331B1 (ko) 여러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터랙션 복원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Diamantis et al. ASML: Algorithm-agnostic architecture for scalable machine learning
CN113157455A (zh) 内存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35331B1 (ko) 가상 공간의 인터랙션 3차원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JP742291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Zamith et al. Game loop model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n multi-core cpu and gpu games
US20240189724A1 (en) Videogame telemetry data and game asset tracker for session recordings
KR102072440B1 (ko) 인터랙션 타입을 자동으로 지원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
CN118170490A (zh) 任务进度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DE112021004302T5 (de) Synchronisieren einer sprachantwort eines sprachassistenten mit aktivitäten eines benutz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