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900B1 - Automatic hand disinfection device and building quarantine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matic hand disinfection device and building quarantine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900B1
KR102284900B1 KR1020200131646A KR20200131646A KR102284900B1 KR 102284900 B1 KR102284900 B1 KR 102284900B1 KR 1020200131646 A KR1020200131646 A KR 1020200131646A KR 20200131646 A KR20200131646 A KR 20200131646A KR 102284900 B1 KR102284900 B1 KR 102284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ody temperature
module
user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김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원 filed Critical 김성원
Priority to KR102020013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9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9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hand sanitizer, and specifically, provides an automatic hand sanitizer, which comprises: a storage tank (110) in which a disinfectant solution is stored; a load cell module (120); a hand receiving module (130); a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a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an arithmetic module (17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0); and an integrated server (190), and in which re-measurement of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is perform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The present invention would like to propose a configuration that not only accurately provides a manager with the replacement time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automatic hand sanitizer, but also provides predictive information on the replacement time.

Description

자동 손소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방역 시스템{Automatic hand disinfection device and building quarantine system using the same}Automatic hand disinfection device and building quarantin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손소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hand sanitizer and a building prevention system using the same.

전세계적으로 감염병(Infection, Infectious Disease)이 발생되고 있으며, 감염병은 병원체인 미생물이 생물체에 옮아 증식하여 일으키는 병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다른 사람과의 접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발생된다.Infectious diseases (Infectious Diseases) are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and infectious diseases refer to diseases caused by microorganisms, which are pathogens, transmitted and multiply in living organisms, and are generated through various routes such as contact with other people.

이러한 감염병으로는, 1900년대 초에 미국 시카고에서 시작되어 전세계적으로 5천만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스페인 독감과 1968년에 홍콩에서 시작되어 아시아, 호주, 아프리카, 유럽 및 남미를 등으로 확산되면서 100만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홍콩 독감, 및 2009년 멕시코에서 시작되어 214개국에서 1만 8천 5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신종플루가 있으며, 신종플루 발생 당시 대한민국에서도 75만명이 감염되어 이 중 25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되었다.Examples of such infectious diseases include the Spanish flu, which started in Chicago, USA in the early 1900s and caused more than 50 million deaths worldwide, and 1 million people as it started in Hong Kong in 1968 and spread to Asia, Australia, Africa, Europe and South America. Hong Kong flu, which caused more than one death, and swine flu, which started in Mexico in 2009 and caused 18,500 deaths in 214 countries. has occurred

한편, 2019년에 중국 우한에서 감염병인 코로나 19(COVID-19)가 처음 발생된 이후 중국 전역과 전세계로 확산되어 최근까지 많은 확진자와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있다.Meanwhile, since the first outbreak of the infectious disease COVID-19 in Wuhan, China in 2019, it has spread throughout China and the world, causing many confirmed cases and casualties until recently.

이로 인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 WHO)는 코로나 19를 감염병의 최고 경고등급인 펜데믹(Pendemic), 즉 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하였다.As a resul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COVID-19 a pandemic, the highest level of warning for an infectious disease, that is, a global pandemic.

여기서, 코로나 19는 호흡기 감염질환으로서, 병원체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이고, 주로 감염자의 비말이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침투하여 전파된다. 즉, 기침이나, 재채기 등으로 인해 전파되거나, 바이러스로 오염된 물질을 만진 뒤 손으로 눈, 코 및 입을 만짐으로써 전파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에어로졸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Here, Corona 19 is a respiratory infection disease, the pathogen is SARS-CoV-2 (SARS-CoV-2), and mainly spread by droplets of an infected person penetrating into the respiratory tract or the mucous membranes of the eyes, nose, and mouth. That is, it is spread by coughing or sneezing, or by touching a material contaminated with the virus and then touching your eyes, nose, and mouth.

코로나 19에 감염 시 약 2일 내지 14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 및 기침이나, 호흡 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과 폐렴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며, 드물게 무증상을 보이는 감염 사례로 발생되고 있다.When infected with COVID-19, after an incubation period of about 2 to 14 days,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fever, cough, difficulty breathing, and pneumonia appear as the main symptoms.

이러한 코로나 19는 고령자,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기저질환을 갖는 환자의 경우,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등 치명적이고 위험한 감염병으로서, 현재까지 마땅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감염자의 증상에 따라 수액 보충, 해열제 투여 등의 대증 치료에 의존할 수 밖에 코로나 19의 예방수칙이 매우 중요하다.Corona 19 is a fatal and dangerous infectious disease that can cause death in the elderly, immunocompromised patients, and patients with underlying diseases. Prevention of COVID-19 is very important, as we can only rely on symptomatic treatment such as supplementation and administration of antipyretics.

따라서, 코로나 19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개인들의 경우, 흐르는 물에 손을 30초 이상 꼼꼼히 씻고,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며, 외출 및 다중 이용시설의 방문 및 이용 시 마스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기침 예절을 준수하며, 눈, 코, 입 등을 만지지 않는 등의 예방수칙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infection of COVID-19, precautions must be observed. Individuals must wash their hands thoroughly under running water for at least 30 seconds, and those with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coughing must wear a mask. There are precautions such as wearing a mask when visiting and using a mask, observing cough etiquette, and not touching your eyes, nose, and mouth.

또한, 학교, 휴게소, 교회, 점포 및 관공서 등을 포함하는 다중 이용시설은, 매일 2회 이상 환기하고, 주기적으로 소독약을 살포하여 소독을 시행하여야 하나, 별도의 방역 관리인 또는 방역 관리자를 지정하여야 하며, 다중 이용시설의 경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시적으로 출퇴근하는 이용자와 외부에서 방문하는 방문자를 포함하는 출입자들이 오가는 공간으로서, 잦은 출입 및 외부에서 방문하는 다양한 방문자들로 인해 감염병에 노출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multi-use facilities including schools, service areas, churches, stores and government offices must be ventilated at least twice a day and disinfected by periodically spraying disinfectant, but a separate quarantine manager or quarantine manager must be designated. , in the case of multi-use facilities, it is a space where visitors, including users who regularly commute to work and visitors from outside, come and go, and are exposed to infectious diseases due to frequent access and various visitors from outside. There was a problem.

한편, 최근 들어 학교, 복지관을 포함하는 다중 이용시설의 경우, 의심증상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발열을 체크하기 위한 열화상 카메라 또는 열감지 카메라를 설치하고 있으며, 열화상 카메라 또는 열감지 카메라에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를 연결한 후 이를 통해 의심증상자를 확인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in the case of multi-use facilities including schools and welfare centers, thermal imaging cameras or thermal cameras have been installed to check the fever by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occupants in order to classify those with suspected symptoms. After connecting a computer including a laptop computer to the detection camera, the suspect is identified through it.

그러나, 열화상 카메라 또는 열감지 카메라에 컴퓨터를 연결한 후 모니터를 통하여 모니터를 통하여 열화상 카메라 또는 열감지 카메라로 촬영되는 출입자의 체온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기 위한 관리인 또는 관리자를 지정하여야 하며, 관리인 또는 관리자가 반복적으로 계속 정상 체온을 초과하는 의심증상자 여부를 모니터링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고, 이로 인해 관리인 또는 관리자의 피로도가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fter connecting the computer to the thermal imaging camera or thermal camera, a manager or administrator must be designated to visually check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erson who is photographed with the thermal imaging camera or thermal camera through the monitor. There was inconvenience, such as having to repeatedly monitor whether the manager or manager has a suspicious symptom exceeding the normal body temperature, and this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ager or manager's fatigue is considerable.

또한, 체온 측정에 따른 발열 체크 시 정상체온을 초과하는 의심증상자가 발견될 경우, 관리인 또는 관리자가 직접 의심증상자를 격리함과 동시에 별도의 소독을 시행하는 등 번잡함이 있었다.In addition, if a person with suspected symptoms exceeding normal body temperature is found during a fever check according to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the manager or manager directly isolates the suspected person and conducts separate disinfection.

이렇게, 학교, 휴게소, 교회, 점포 및 관공서 등을 포함하는 다중 이용시설을 수시로 빈번하게 방문하는 방문자 및 다중 이용시설을 상시적으로 이용하거나, 출퇴근하는 이용자를 포함하는 출입자의 체온을 비대면으로 측정하여 발열 여부를 체크하고, 실시간으로 반복적인 소독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is way, non-face-to-face measurement of body temperature of visitors who frequently visit multi-use facilities including schools, service areas, churches, stores and government offices, and those who regularly use multi-use facilities, or who commute to and from work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check whether there is a fever and repeatedly disinfect in real time.

(특허문헌 0001) 한국등록특허 제10-2159727호(2020.09.24 공고) (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59727 (published on September 24, 2020)

본 발명은 자동 손소독 장치 내의 소독약액의 교체시기를 관리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체시기의 예측정보까지 제공하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nfiguration that not only accurately provides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to the manager, but also provides predictive information on the replacement timing.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손소독 장치가 단순히 사용자의 손 소독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발열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apparatus not only performs the user's hand disinfection, but also measures the user's body temperatur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user's heat state.

본 발명은 건물에 구비되며, 미리 저장된 소독약을 사용자의 손에 자동 분사하는 자동 손소독 장치로서, 소독약액이 저장된 저장탱크(110); 상기 저장탱크(110)의 무게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로드셀모듈(120); 사용자의 손이 수용되는 손 수용모듈(130); 상기 저장탱크(110)와 연결되며, 상기 손 수용모듈(130)의 제1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손 수용모듈(130)에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때, 상기 손을 향해 상기 저장탱크(110)로부터 공급된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약액분사모듈(140); 상기 손 수용모듈(130)의 제2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손 수용모듈(130)에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때, 상기 인입된 손 측의 체온을 센싱하는 체온센싱모듈(150);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이 센싱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모듈(160); 상기 로드셀모듈(120), 체온센싱모듈(150) 및 사용자식별모듈(160)과 연결되는 연산모듈(170)로서, 상기 로드셀모듈(120)로부터 전송되는 무게정보, 상기 사용자식별모듈(16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정보 및 상기 체온센싱모듈(150)로부터 전송되는 체온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정보들을 각각 이용하여 기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하는 연산모듈(170); 상기 연산모듈(170)로부터 연산처리된 결과값, 상기 무게정보, 사용자정보 및 체온정보를 중계기(182)로 무선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80);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180)을 통해 전송된 정보들을 저장 및 연산처리하는 통합서버(190)로서, 상기 정보들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상기 저장탱크(110)의 소독약액 교체시기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센싱된 특정 사용자의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통합서버(190)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모듈(170)은, 상기 통합서버(190)로부터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을 로딩하도록 형성되며, 로딩된 상기 기준체온값 및 상기 특정 사용자의 현재 체온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발열여부를 판단하는 발열판단부(172)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판단부(172)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현재 체온정보 및 상기 기준체온값을 비교하되,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재측정알람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상기 특정 사용자의 체온정보 재측정이 수행되는, 자동 손소독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hand sanitizer device provided in a building and automatically sprays a pre-stored disinfectant onto a user's hand, comprising: a storage tank 110 in which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stored; a load cell module 120 configured to sense the weight of the storage tank 110; a hand receiving module 130 in which the user's hand is accommodated; It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10 and is provide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and when the user's hand is drawn into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the storage tank 110 toward the hand. ) for spray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a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provided at a second position of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and configured to sens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retracted hand side when the user's hand is drawn into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for identifying a user whose body temperature is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As an operation module 170 connected to the load cell module 120 ,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 and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 the weigh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ad cell module 120 ,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 an operation module 170 that receives the transmitted user information and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and calculates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in a preset manner using each of the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sult value calculated from the operation module 170, the weight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repeater 182; and an integrated server 190 for storing and arithmetic processing of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0, by processing the information in a preset manner, to the administrator when the disinfectant solution of the storage tank 110 is replaced and an integrated server 190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generate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the specific user by using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170) is configured to load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the specific user from the integrated server 190, and compares the loaded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with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user has a fever and a fever determining unit 172 that compares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with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and when it is out of a preset range, a re-measurement alarm is provided to the specific user and the administrator. Provided is an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and re-measurement of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is perform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

또한,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정보가 취득되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식별모듈(160)에 의해, 건물의 거주자 또는 방문자로 구분되되, 상기 건물의 거주자는, 각각 고유의 식별ID가 부여된 개인식별수단(201)을 소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건물의 방문자는, 상기 건물의 출입구에서 상기 방문자의 인적사항을 기재한 후, 임시 개인식별수단(202)을 제공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식별모듈(160)은, 무선인식방식 또는 안면인식방식으로 상기 개인식별수단(201)의 식별ID 및 상기 임시개인식별수단(202)의 식별ID를 인식하여 상기 연산모듈(170)로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되, 1차적으로 상기 무선인식방식으로 상기 개인식별수단(201) 및 상기 임시개인식별수단(202)의 식별ID 인식을 수행하며, 인식되지 않을 경우, 2차적으로 상기 안면인식방식으로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산모듈(170)은, 상기 체온센싱모듈(150)로부터 센싱된 체온정보, 상기 사용자식별모듈(160)로부터 식별된 사용자정보, 상기 체온정보가 취득된 시간정보 및 상기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온도정보를 1개의 정보그룹으로 구성한 후, 상기 정보그룹을 상기 통합서버(19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whos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s classified as a resident or a visitor of the building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and the resident of the building has a unique identification ID. It is configured to possess an assigned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visitor of the building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after entering the visitor's personal information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the user The identification module 16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in a wireless recognition method or a face recognition method, and transmits user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module 170 Doedoe configured to transmit, firstly performs identification ID recognition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in the wireless recognition method, and if not recognized, secondarily in the face recognition method It is configured to identify a user, and the operation module 170 include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user information identifi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acquired, and After configuring the external temperatu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into one information group,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group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

또한, 상기 통합서버(190)는, 상기 연산모듈(17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그룹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부(192); 및 상기 정보그룹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는 기준체온연산부(194);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체온연산부(194)는,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와 연령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정보가 취득될 시점의 실내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 및 실외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 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grated server 19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group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module 170; and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calculation unit 194 for generating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a specific user by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group. Including,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calculation unit 194, gender information and 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and in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out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t a time when the specific user acquire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of the specific user by using .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자동 손소독 장치를 이용하는 건물 방역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물의 출입구 측에는, 상기 건물로의 출입자를 식별하면서, 상기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취득하는 출입관리장치(2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관리장치(200)는, 무선인식방식 또는 안면인식방식으로 상기 개인식별수단(201)의 식별ID 및 상기 임시개인식별수단(202)의 식별ID를 인식하는 출입자식별모듈(210); 상기 출입자의 체온을 비접촉 방식으로 센싱하는 출입자체온센싱모듈(220); 및 상기 출입자식별모듈(210)로부터 취득된 출입자정보 및 상기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1개의 정보그룹으로 구성하여 상기 통합서버(190)로 전송하는, 출입자정보전송모듈(230); 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버(190)는, 상기 출입자정보 및 상기 출입자의 체온정보로 구성된 정보그룹을 상기 정보저장부(192)에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ding prevention system using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described above.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 access management device 200 for acquiring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entrant while identifying entrants to the building; Further comprising, the access control device 200, an access identification module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in a wireless recognition method or a face recognition method (210); an entrance/exit self-on-sensing module 220 for sens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erson in a non-contact manner; and an occupant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30 configured to form one information group and transmit the occupant information and the occupant'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occupant identification module 210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Including, the integrated server 190 may be configured to accumulate and store the information group including the occupant information and the occupant'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

또한, 전술한 건물 방역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출입관리장치(200)에 의해, 출입자정보 및 출입자의 체온정보가 취득되어 특정 출입자에 대한 제N 정보그룹이 생성되는 단계(S110); (b) 상기 특정 출입자에 대한 상기 제N 정보그룹이 상기 통합서버(190)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정보저장부(192)에 누적되어 저장되는 단계(S120);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정보저장부(192)에 누적된 상기 특정 출입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이 생성되는 단계로서, 상기 특정 출입자가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정보가 취득될 시점의 실내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 및 실외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출입자의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는 단계(S130); (d) 상기 자동 손소독 장치의 사용자식별모듈(160)에 의해, 상기 특정 출입자가 식별되고,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상기 특정 출입자의 체온이 센싱된 후, 상기 연산모듈(170)로 상기 특정 출입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이 상기 통합서버(190)로부터 로딩되며, 상기 특정 출입자의 현재 체온정보 및 상기 기준체온값을 비교하는 단계(S140); 및 (e) 상기 발열판단부(172)에 의해,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특정 출입자의 현재 체온정보가 상기 기준체온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특정 출입자 및 관리자에게 현재 발열상태를 알람하는 단계(S150); 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s a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building prevention system, (a) generating an N-th information group for a specific occupant by acquiring occupant information and occupa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by the access control device 200 (S110) ; (b) transmitting the N-th information group for the specific visitor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thereby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N-th information group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S120); (c) In the step (b),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the specific occupant accumulat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is generated, wherein the specific entrant receive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generating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of the specific occupant in consideration of in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out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t the time to be acquired (S130); (d) after the specific entrant is identifi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of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and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pecific entrant is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the operation module 170 loading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the specific entrant from the integrated server 190, and comparing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entrant with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S140); and (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fever determination unit 172 that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entrant in step (d) is out of a preset range based on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the specific occupant and manager A step of alarming the current fever state to the (S150); It provides a method comprising:

또한, 상기 로드셀모듈(120)은, 상기 저장탱크(110)의 무게정보를 기설정된 주기로 센싱하되, 상기 약액분사모듈(140)로부터 소독약액이 분사된 직후에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무게정보를 추가적으로 센싱하여 상기 연산모듈(170)로 전송하고, 상기 연산모듈(170)에 포함된 소독약액연산부(174)는,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소독약액의 유효기간정보, 상기 소독약액의 잔량정보 및 상기 소독약액의 사용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탱크(110) 내의 소독약액의 교체시기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ad cell module 120 sens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storage tank 110 at a preset period, and immediately after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sprayed from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module 140 , the weight of the storage tank 110 . The information is additionally sensed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odule 170 , and the disinfectant solution calculation unit 174 included in the operation module 170 includes expiration date inform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tank 110 , the disinfectant solution Based on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d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anager with a replacement time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storage tank 110 .

또한, 상기 약액분사모듈(140)은, 상기 손 수용모듈(130)의 상측에 위치되며,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분사홀(142) 및 근접센서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손 수용모듈(130)에 인입된 사용자 손의 형태를 감지하는 센서부(144);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144)는, 사용자 손의 형태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분사홀(142a)만을 개방하여 센싱된 부위로만 소독약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42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opened and closed and a proximity sensor method, and the hand receiving module ( 130) a sensor unit 144 for detecting the shape of the user's hand; Including, the sensor unit 144 may be configured to spray only the area sensed by opening only the injection hole 142a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hand.

또한, 상기 건물은 기설정된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기설정된 구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구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단위구역마다 자동 손소독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건물 방역 시스템은 제1 내지 제K 자동 손소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서버(190)의 정보저장부(192)는, 사용자의 개인식별수단(201) 및 제L 자동 손소독 장치의 사용자식별모듈(160)과의 무선연결정보가 저장되되, 상기 사용자의 개인식별수단(201)이 복수의 자동 손소독 장치와 무선연결될 경우, 상기 복수의 자동 손소독 장치 중 가장 신호의 세기가 큰 자동 손소독 장치에 대한 무선연결정보만을 저장하고, 상기 통합서버(190)에 포함된 동선생성모듈(196)은, 상기 정보저장부(192)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식별수단(201) 및 상기 자동 손소독 장치와의 무선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선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predetermined area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unit areas. Including a hand sanitiser devic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of the integrated server 190, the user's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wireless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of the L-th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However, when the user's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utomatic hand sanitizers, only the wireless connection information for the automatic hand sanitizer with the high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plurality of automatic hand sanitizers is stored and , the movement line generation module 196 included in the integrated server 190 uses the user's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and wireless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automatic hand sanitizer device.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user's moving line information.

본 발명은 자동 손소독 장치 내의 소독약액의 교체시기를 관리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체시기의 예측정보까지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administrator by not only accurately providing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to the administrator, but also providing predictive information of the replacement timing.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손소독 장치가 단순히 사용자의 손 소독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발열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코로나 시대에서의 국민건강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does not simply disinfect the user's hands, but measures the user's body temperatur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user's fever state, thereby further improving public health in the Corona era to perfor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의 전체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의 약액분사모듈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방역 시스템의 출입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정보그룹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에서 기준체온값을 도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방역 시스템의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방역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동선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방역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schematic diagram of an automatic hand sanit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verall conceptual diagram of an automatic hand sanit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schematic diagram of a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of an automatic hand sanit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ccess control device of a building quaranti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formation group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ss of deriving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in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verall flowchart of a building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user's movement line information in a building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using a building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를 설명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건물'은, 다수의 사람이 출입하거나, 이용하는 모든 건축물을 이용하며, 학교, 상가, 백화점, 음식점, 관공서 등 건물의 용도와는 무관하게 모든 건물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자동 손소독 장치를 먼저 설명하고, 건물 방역 시스템을 이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ilding' as used herein indicates in advance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buildings,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the building, such as schools, shopping malls, department stores, restaurants, and government offices .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automatic hand sanitizer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 building quarantine system will be described later.

자동 손소독 장치 설명Description of automatic hand sanitizer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100)를 설명한다. An automatic hand sanitiz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100)는, 저장탱크(110), 로드셀모듈(120), 손 수용모듈(130), 약액분사모듈(140), 체온센싱모듈(150), 사용자식별모듈(160), 연산모듈(170), 무선통신모듈(180) 및 통합서버(190)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합서버(190)는 자동 손소독 장치(100)에 범주 내에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통합서버(190)는 자동 손소독 장치(100)와는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건물의 관리실 또는 중앙관제실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utomatic hand disinf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tank 110, a load cell module 120, a hand receiving module 130, a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a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 160), an operation module 17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0, and an integrated server 190. Here, the integrated server 190 is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it i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100 , but the integrated server 190 may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100 , and the management office of the building. Or it may be located in the central control room.

저장탱크(110)는 소독약액을 저장한다. 저장탱크(110)는 메인탱크 및 보조탱크로 구성되어 메인탱크의 소독약액이 모두 소진될 경우, 한시적으로 보조탱크에 저장된 소독약액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110)의 형태는 공지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탱크(110)는 별도의 냉방수단(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됨으로써, 저장탱크(110)가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저장탱크(110) 내에 위치된 소독약액의 온도에 따른 변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storage tank 110 stores the disinfectant solution. The storage tank 110 is composed of a main tank and an auxiliary tank, and when all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main tank is exhausted, it may be configured to temporarily use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auxiliary tank. The shape of the storage tank 110 may be formed in a known structure, and the storage tank 110 is connected to a separate cooling means (not shown), so that the storage tank 110 is configured to be maintained at a preset temperature. can This is to prevent deteriora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located in the storage tank 110 .

로드셀모듈(120)은 저장탱크(110)의 무게를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로드셀모듈(120)은 저장탱크(110)의 용량이 변화된 직후에, 다시 센싱을 하여 연산모듈(170)로 무게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저장탱크(110)의 무게값 변화가 발생할 경우, 연산모듈(170)로 무게정보의 변화량까지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The load cell module 120 is configured to sense the weight of the storage tank 110 . The load cell module 12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weight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module 170 by sensing again immediately after the capacity of the storage tank 110 is changed. In addition, when a change in the weight value of the storage tank 110 occurs,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change amount of the weight information to the calculation module 170 .

손 수용모듈(130)은 사용자의 손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형태 또는 내측으로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손 수용모듈(130)의 제1 위치에는 약액분사모듈(140)이 구비되고, 제2 위치에는 체온센싱모듈(150)이 구비된다.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user's hand is accommodat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hollow shape or an indented structure so that a user's hand can be inser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is provided at a first position of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 and a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s provided at a second position.

약액분사모듈(140)은 저장탱크(110)와 연결되어 소독약액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이 인입된 상태를 인지하기 위해, 센서부(144)가 구비된다. 소독약액은 중력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약액분사모듈(140)은 손 수용모듈(130) 중 인입된 사용자 손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10 and configured to receive a disinfectant liquid, and a sensor unit 144 is provided to recognize a state in which the user's hand is draw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spray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chemical solution injection module 14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user's hand drawn in from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

도 3을 참조하여, 약액분사모듈(14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약액분사모듈(140)은 다수의 분사홀(142), 다수의 센서부(144) 및 분사홀개폐부(146)로 구성된다. 분사홀(142)은 기설정된 형태로 형성되며, 도 3에서는, 분사홀(142)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규칙직으로 배열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분사홀(142) 사이에는 센서부(144)가 위치된다. 센서부(144)는 근접센서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물리적 접촉 없이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이 때, 전자기장이나 전자기파(예: 적외선)을 방출하며 그 전기장과 돌아오는 신호를 찾는 원리를 이용한다. 여기서, 각각의 센서부(144)는 인접하는 분사홀(142)과 연결되도록 미리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44)는 손의 형태를 감지하는 바, 복수의 센서부(144)를 통해, 개방될 분사홀(142a)과 폐쇄될 분사홀(142b)을 구분한다. 여기서, 분사홀(142)의 개방 및 폐쇄는 분사홀개폐부(146)에 의해 수행된다. 센서부(144)는 손의 크기,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독약액의 소모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손 이외의 위치에 소독약액이 분사될 경우, 2차 오염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에서는, 감지된 센서부(144a) 및 감지되지 않은 센서부(144b)로 구분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된 센서부(144a)에 대응되는 분사홀(142a)은 개방되고, 감지되지 않은 센서부(144b)에 대응되는 분사홀(142b)는 폐쇄된다. 본원의 구성은 종래의 임의 분사와는 큰 차이점이 있으며, 성인 및 유아에 구분없이 일률적으로 분사할 때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include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42 , a plurality of sensor units 144 , and an injection hole opening/closing unit 146 . The injection holes 142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in FIG. 3 ,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jection holes 142 are arranged in a regular pattern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 sensor unit 144 is positioned between the injection holes 142 . The sensor unit 144 may be configured as a proximity sensor, which i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rrounding object without physical contact. At this time, it emits an electromagnetic field or electromagnetic wave (eg infrared) and uses the principle of finding the electric field and the return signal. Here, each sensor unit 144 is predetermined to be connected to the adjacent injection hole 142 .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44 detects the shape of the hand, and through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144, separates the injection hole 142a to be opened and the injection hole 142b to be closed. Her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jection hole 142 is performed by the injection hole opening and closing unit 146 . The sensor unit 144 not only prevents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by detec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hand, but also prevents secondary contamination when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sprayed on a location other than the hand. to do In FIG. 3, the detected sensor unit 144a and the non-sensed sensor unit 144b are divided, and a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hole 142a corresponding to the sensed sensor unit 144a is opened and not detected. The injection hole 142b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144b is close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ventional arbitrary injection, and solves the problem of uniformly spraying without distinction to adults and infants.

체온센싱모듈(150)은 손 수용모듈(130)의 제2 위치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때, 인입된 손 측의 체온을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체온센싱모듈(150)은 전술한 센서부(144)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바, 센서부(144)를 통해, 손의 인입이 센싱될 때, 체온센싱모듈(150)의 체온센싱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온센싱의 개시는 후술하는 사용자식별모듈(160)의 식별완료와 연동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체온센싱모듈(150)이 상시 체온을 센싱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소모 및 사용수명의 단축을 초래하는 바, 사용자가 실제로 자동 손소독 장치를 사용할 때에만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s provided at the second position of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and is configured to sens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retracted hand side when the user's hand is retracted. At this time,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sensor unit 144 . When a hand input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144 ,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detects the body temperatur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initiation of body temperature sensing may be set to interlock with the completion of identific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since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s configured to sense body temperature at all times cause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shortened service lif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s configured to operate only when the user actually uses the automatic hand sanitizer.

한편, 체온센싱모듈(150)은 사용자의 체온을 일회성으로 측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신체부위마다 체온이 일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가 화장실 또는 세면실에 위치될 경우, 사용자의 손의 물기가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온이 센싱될 수 있는 바, 이는 정확한 체온정보로 판단하기 어렵다. 체온센싱모듈(150)은 제1 내지 제M 체온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손 수용모듈(130)의 각기 다른 위치에 구비되고, 각각 미리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3회)의 체온측정을 수행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사용자의 체온정보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not preferable to configure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to measure the user's body temperature once. This is because the body temperature may be partially different for each part of the body. In particular, when the automatic hand saniti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a toilet or washroom, the body temperature may be sensed in a state in which the moisture of the user's hand is not completely removed, which is difficult to determine as accurat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may include first to Mth body temperature means, which ar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and measure body temperature a preset number of times (eg, 3 times), respectively. After performing the abov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ir average value as the user'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사용자식별모듈(160)은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이 센싱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 여기서, 사용자식별모듈(160)은 무선인식방식 또는 안면인식방식으로 개인식별수단(201)의 식별ID 및 임시개인식별수단(202)의 식별ID를 인식하여 상기 연산모듈(170)로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1차적으로는 무선인식방식으로 개인식별수단(201) 및 임시개인식별수단(202)의 식별ID 인식을 수행(시도)하며, 인식되지 않을 경우, 2차적으로 안면인식방식으로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identifies a user whose body temperature is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 Here,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in a wireless recognition method or a face recognition method,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module 170 configured to transmit.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D recognition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is primarily performed (attempted) by the wireless recognition method, and if not recognized, the user is secondarily recognized by the face recognition method configured to identify.

먼저, 사용자식별모듈(160) 및 개인식별수단(201)의 무선연결방식은, 근거리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근거리통신방식은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인식별수단(201)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테블릿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가능함을 미리 명시한다. First, as for the wireless connection method of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and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pplied. At this tim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is Wi-Fi (Wireless-Fidelity), Bluetooth Low Energy (BL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Wideband), and may be configured to use at least one of ZigBee technologies. 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is at least one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echnologies. It may be configured to use one. In this case,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may be formed of a smart phone or a smart tablet possessed by the user, and it is specified in advance that it is also possible through a separate application.

한편, 상기의 근거리통신방식 이외에 무선인식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무선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은 반도체칩이 내장된 태그(Tag), 라벨(Label), 카드(Card) 등의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인식시스템을 의미한다.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a wireless recognition method may be applied. At this tim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fers to a recognition system that reads stored data such as tags, labels, and cards with semiconductor chips in a non-contact manner using radio frequency. do.

이를 위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개인식별수단(201)은 사용자식별모듈(160)에 의해 무선인식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개인식별수단(201)은 고유의 식별ID를 갖는다. 한편, 건물의 출입자는 거주자(상시 건물을 이용하는 경우를 의미함) 또는 방문자(일회성으로 건물을 이용하는 경우를 의미함)로 구분된다. 건물의 거주자는, 각각 고유의 식별ID가 부여된 개인식별수단(201)을 소지하도록 구성되며, 건물의 방문자는, 건물의 출입구에서 상기 방문자의 인적사항을 기재한 후, 임시 개인식별수단(202)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건물의 출입구에는 방문자인적사항 기록부(203)가 구비되며, 방문자인적사항 기록부(203)에 방문자정보가 입력되면, 임시 개인식별수단(202) 역시 트래킹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provided to the user is configured to be wirelessly recogniz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and each individual identification means 201 has a unique identification ID. On the other hand, people entering and leaving the building are divided into residents (meaning the case of regular use of the building) or visitors (meaning the case of one-time use of the building). The resident of the building is configured to possess a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to which a unique identification ID is assigned, respectively, and the visitor of the building writ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visitor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then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 to be provided. To this end, a visitor personal information recording unit 203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when visitor information is input into the visitor personal information recording unit 203,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may also be tracked.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식별모듈(160)은 1차적으로 개인식별수단(201)으로 식별ID 인식을 수행하며, 2차적으로, 안면인식방식으로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또는 출입자)가 개인식별수단(201)을 소지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식이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imarily perform identification ID recognition by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secondarily, identify the user by a face recognition method. This is a method that can identify the user even when the user (or the visitor) does not possess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

연산모듈(170)은 로드셀모듈(120), 체온센싱모듈(150) 및 사용자식별모듈(160)과 연결되며, 로드셀모듈(120)로부터 전송되는 무게정보, 사용자식별모듈(16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정보 및 상기 체온센싱모듈(150)로부터 전송되는 체온정보를 전송받고, 상기의 정보들을 각각 이용하여 기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연산모듈(170)은 발열판단부(172) 및 소독약액연산부(174)로 구성된다. The calculation module 170 is connected to the load cell module 120 ,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and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 and the weigh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ad cell module 120 ,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 It is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n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and process the calculations in a preset manner using each of the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calculation module 170 is composed of a heat determination unit 172 and a disinfectant solution calculation unit 174 .

발열판단부(172)는 통합서버(190)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을 로딩하도록 형성되며, 로딩된 상기 기준체온값 및 특정 사용자의 현재 체온정보(현재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결정된 값을 의미함)를 비교하여 특정 사용자의 발열여부를 판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는 발열상태를 일률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빅데이터로 현재 통합서버(19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개별적으로 사용자의 발열 여부를 판단한다. 사람마다 기초체온이 상이하며, 이는 성별 및 연령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즉, 발열상태를 일률적으로 판단할 경우, 기초체온이 높은 사람은 발열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발열상태로 판단될 수 있으며, 반대로, 기초체온이 낮은 사람은 발열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발열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심각한 문제를 인식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기준체온값은 통합서버(190)에서 수행되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The fever determination unit 172 is configured to load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a specific user from the integrated server 190, and the loaded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and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the value determined by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means) to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user has a fever or not. That is, the automatic hand saniti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niformly determine the heat state, but individually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heat based on the information currently stored in the integrated server 190 as big data. Each person has a different basal body temperature, which may also vary depending on gender and age. That is, when the fever state is uniformly judged, a person with a high basal body temperature can be judged to be in a fever state even though it is not in a fever state. It recognized a serious problem that was judged not to be. Of course,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is performed in the integrated server 1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발열판단부(172)는, 특정 사용자의 현재 체온정보 및 기준체온값을 비교하되,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특정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재측정알람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특정 사용자의 체온정보 재측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사항을 해당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알람부(101)가 구비되며, 시각적 방식 및/또는 청각적 방식으로 알람을 줄 수 있다. The fever determination unit 172 compares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of a specific user, but is configured to provide a re-measurement alarm to a specific user and an administrator when it is out of a preset range, and is configur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 re-measurement of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is performed. In order to notify the user of such matters, an alarm unit 101 is provided, and may give an alarm in a visual and/or audible manner.

소독약액연산부(174)는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소독약액의 유효기간정보, 소독약액의 잔량정보 및 소독약액의 사용량정보를 기반으로, 저장탱크(110) 내의 소독약액의 교체시기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소독약액은 그 특성에 따라, 유효기간이 존재할 수 있는 바, 저장탱크(110) 내의 소독약액의 잔량이 충분하더라도, 유효기간에 임박할 경우, 관리자에게 알람을 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소독약액의 사용량정보 역시,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소독약액의 사용량정보는 특정 자동 손소독 장치에서의 소독약액 사용속도를 의미한다. 건물 내에 다수의 자동 손소독 장치가 위치될 경우, 모든 자동 손소독 장치의 사용량이 동일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사용정보 및 현재 잔량정보를 토대로, 교체시기(또는 소진시기)를 예측하여 관리자에게 미리 알려주는 것을 의미한다. The disinfectant solution calculation unit 174 is based on the expiration date inform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tank 110,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and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the replacement time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storage tank 110 to the manager is configured to provide Since the disinfectant solution may have an expiration date depending on its characteristics, even i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storage tank 110 is sufficient, when the expiration date is imminent, an alarm is provided to the manager. In addition,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also provided to the manager.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means the speed of use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a specific automatic hand sanitizer device. If multiple automatic hand sanitizers are located in a building, it is very likely that the usage of all automatic hand sanitizers will not be the same. Therefore, it means to predict the replacement time (or exhaustion time)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up to now and the current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d inform the manager in advance.

무선통신모듈(180)은 연산모듈(170)로부터 연산처리된 결과값, 무게정보, 사용자정보 및 체온정보를 중계기(182)로 무선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연산모듈(170)은, 체온센싱모듈(150)로부터 센싱된 체온정보, 사용자식별모듈(160)로부터 식별된 사용자정보, 체온정보가 취득된 시간정보 및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외부온도정보를 1개의 정보그룹으로 구성한 후, 상기의 정보그룹을 통합서버(19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무선통신모듈(160)은 연산모듈(170)에서 세트화된 정보그룹을 중계기(182)를 이용하여 통합서버(19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0 is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the calculated result value, weight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module 170 to the repeater 182 . At this time, the operation module 170 includes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user information identifi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acquired, and external temperatu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fter configuring as one information group,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group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 That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0 serves to transmit the information group set in the operation module 170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using the repeater 182 .

통합서버(190)는 무선통신모듈(180)을 통해 전송된 정보들을 저장 및 연산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보들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상기 저장탱크(110)의 소독약액 교체시기정보를 제공하고,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센싱된 특정 사용자의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The integrated server 190 is configured to store and process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0 . By calculating and processing such information in a preset manner, information on when to replace the disinfectant solution of the storage tank 110 is provided to an administrator, and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s us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to a specific user. is configured to generate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구체적으로, 통합서버(190)는 정보저장부(192) 및 기준체온연산부(194)로 구성된다. 정보저장부(192)는 연산모듈(17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그룹을 누적하여 저장한다. 건물에 상주하는 거주자(편의상 A라 함)를 예로 들면, A가 건물의 출입시, 출입관리장치(200)에 의해 체온정보가 수집되고, 자동 손소독 장치(100)의 사용시 또한, 체온정보가 수집되는 바, 수집될 때마다 A에 대한 정보저장부(192)의 정보그룹은 계속 갱신된다. 한편, 정보저장부(192)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질병정보가 미리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의료기관으로부터 질병을 진단받은 경우, 상기 질병에 기인하여, 특정 사용자의 기준체온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소정의 기간 동안 독감 또는 감기에 걸렸을 경우,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에는 이러한 사유로 인해 체온값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다만, 상기의 질병은 일반적으로, 기저질환으로 볼 수 없는 바, 이러한 정보 역시, 정보저장부(192)에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당뇨, 암 등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기준체온값 연산시 항상 고려될 필요가 있는 바, 이러한 사항 역시, 정보저장부(192)에 미리 저장됨으로써, 실제로 특정 사용자의 발열판단의 정확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tegrated server 190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and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calculation unit 194 .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accumulat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group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module 170 . For example, a resident (referred to as A for convenience) who resides in a building, when A enters the building,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collected by the access control device 200, and when the automatic hand sanitizer 100 is used,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also As it is collected, the information group of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for A is continuously updated whenever it is collected.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is configured to store disease information for a specific user in advance. For example, when a specific user is diagnosed with a disease by a medical institution,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of the specific user may vary due to the disease. For example, if a specific user catches a flu or a col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ody temperature value may change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due to this reason. However, since the above diseases are not generally regarded as underlying diseases, it is preferable that such information is also stored in advance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n underlying disease such as diabetes or cancer, it is always necessary to take this into account when calculating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accuracy can be increased.

기준체온연산부(194)는 정보그룹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에 대한 정보저장부(192)의 정보그룹은 계속 갱신되는 바, 기준체온값 역시, 변동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체온연산부(194)는,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와 연령정보; 및 특정 사용자가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정보가 취득될 시점의 실내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 및 실외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 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A의 성별정보, 연령정보, 실내의 온습도정보, 실외의 온습도정보를 입력변수로 하여, A의 기준체온연산식이 도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머신러닝(예로, 인공신경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calculation unit 194 is configured to generate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a specific user by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group.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formation group of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for A is continuously updated,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may also change. Here,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calculation unit 194 may include: gender information and age information included in user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and in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out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t a time when a specific user acquire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of the specific user using At this time, using A's gender information, age information,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s input variables,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calculation formula of A can be derived, and machine learning (eg,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applied in this process. It is preferable to do

이에 따라, A의 체온정보가 새롭게 센싱될 때, 이와 관련된 입력변수들이 자동으로 입력되면, 기준체온역시 자동으로 연산되고, 기준체온으로부터의 발열판단범위가 설정되고, 만약 A의 측정된 체온정보가 발열판단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A는 현재 발열상태로 판단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newly sensed, if relevant input variables are automatically input,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is also automatically calculated, the fever determination range from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is set, and if the measur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A is When out of the heating determination range, A may be configured to be determined as the current heating stat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100)는 정면에 디스플레이부(10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102)에는 사용자의 측정된 체온정보가 표시됨과 동시에, 정상 또는 비정상의 문구가 함께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hand sanitiz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102 on the front sid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display unit 102 so that the measur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user is displayed and, at the same time, a normal or abnormal phrase is displayed together.

건물 방역 시스템 설명Description of building defense system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자동 손소독 장치를 포함한 건물 방역 시스템을 설명한다. A building prevention system including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건물 방역 시스템은, 출입관리장치(200)를 더 포함하며, 출입관리장치(200)는 출입자식별모듈(210), 출입자체온센싱모듈(220) 및 출입자정보전송모듈(230)을 포함한다. The building quarantine system further includes an access control device 200 ,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n entry/exit identification module 210 , an entry/exit on-sensing module 220 , and an entry/exit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30 .

전술한 자동 손소독 장치(100)으로는 기준체온값을 생성하기 다소 부족할 수 있는 바, 보다 정확한 기준체온값을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출입관리장치(200)를 더 적용한다. 즉, 수집하는 정보그룹의 양을 더욱 많이 확보하기 위함이며, 건물의 거주자는 필연적으로, 출입관리장치(20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자동 손소독 장치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ince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hand sanitizer 100 may be somewhat insufficient to generate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applies the access control device 200 to generate a more accurat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That is, in order to secure a larger amount of information groups to be collected, the resident of the building is inevitably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access control device 200 . A description that overlaps with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hand sanitiser will be omitted.

출입자식별모듈(210)은 무선인식방식 또는 안면인식방식으로 개인식별수단(201)의 식별ID 및 임시개인식별수단(202)의 식별ID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The occupant identification module 210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by a wireless recognition method or a face recognition method.

출입자체온센싱모듈(220)은 출입자의 체온을 비접촉 방식으로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The entrance/exit temperature sensing module 220 is configured to sens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erson in a non-contact manner.

출입자정보전송모듈(230)은 출입자식별모듈(210)로부터 취득된 출입자정보 및 상기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1개의 정보그룹으로 구성하여 상기 통합서버(19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정보그룹은 도 5에 도시된 일 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occupant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3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occupant information and the occupant'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occupant identification module 210 into one information group and transmit it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the information group is shown in FIG. I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shown in .

도 7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방역 시스템에서, 자동 손소독 장치(100) 및 출입관리장치(200)를 동시에 적용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통합서버(190) 및 연산모듈(170)은 상호 기능이 구분됨을 알 수 있다. 통합서버(190)에서는 특정 사용자(또는 출입자) A에 대한 기준체온값을 도출한다. 물론, 기준체온값은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라, 실내의 온도와 습도, 실외의 온도와 습도가 모두 고려된 상태의 수치이다. 즉, 입력변수인 상기의 값들이 달라질 경우, 기준체온값 역시, 달라질 수 있다. 7 illustrates a process of simultaneously applying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apparatus 100 and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200 in the building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tegrated server 190 and the operation module 170 have mutual functions. The integrated server 190 derives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a specific user (or visitor) A. Of course,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is not an absolute value, but a value in a state in which both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considered. That is, when the above values, which are input variables, are changed,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may also be changed.

연산모듈(170)은 기준체온값 및 현재 측정된(실측된) 체온정보를 비교한다. 이 때, 현재를 기준으로, 실내의 온도와 습도, 실외의 온도와 습도는 당연히 센싱되며, 이는 통합서버(190)로 전송되어 기준체온값을 도출하기 위해, 입력된다. 즉, 연산모듈(170)에서는, 통합서버(190)로부터 기준체온값을 로딩하고, 이를 현재의 체온정보와 비교하며, 이를 기반으로 발열판단범위를 설정한다. 상기 체온센싱모듈(150)로부터 센싱된 시점을 기준으로,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하는 실내온습도 센싱부 및 실외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하는 실외온습도 센싱부를 더 포함한다.The calculation module 170 compares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and the currently measured (measur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At this time, based on the present,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naturally sensed, which ar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and input to derive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That is, the calculation module 170 loads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rom the integrated server 190 , compares it with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and sets a fever determination range based on this. Based on the time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t further includes an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ing unit for sensing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n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ing unit for sensing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described.

본 발명은 단계(S110) 내지 단계(S150)으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steps (S110) to (S150).

단계(S110)은 출입관리장치(200)에 의해, 출입자정보 및 출입자의 체온정보가 취득되어 특정 출입자에 대한 제N 정보그룹이 생성되는 단계이다. The step S110 is a step in which the access control device 200 acquires the occupant information and the occupant'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generate an N-th information group for a specific occupant.

단계(S120)은 특정 출입자에 대한 상기 제N 정보그룹이 상기 통합서버(190)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정보저장부(192)에 누적되어 저장되는 단계이다. Step S120 is a step in which the N-th information group for a specific visitor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and accumulat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

단계(S130)은 단계(S120)에서, 상기 정보저장부(192)에 누적된 상기 특정 출입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이 생성되는 단계로서, 상기 특정 출입자가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정보가 취득될 시점의 실내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 및 실외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출입자의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Step S130 is a step of generating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the specific occupant accumulat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in step S120, wherein the specific occupant receive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t is a step of generating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of the specific entrant in consideration of in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out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is acquired.

단계(S140)은 자동 손소독 장치의 사용자식별모듈(160)에 의해, 상기 특정 출입자가 식별되고,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상기 특정 출입자의 체온이 센싱된 후, 연산모듈(170)로 상기 특정 출입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이 상기 통합서버(190)로부터 로딩되며, 상기 특정 출입자의 현재 체온정보 및 상기 기준체온값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In step S140, the specific occupant is identifi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of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and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pecific entrant is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followed by the operation module 170 In this step,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the specific entrant is loaded from the integrated server 190, and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entrant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단계(S150)은 상기 발열판단부(172)에 의해, 상기 단계(S140)에서의 상기 특정 출입자의 현재 체온정보가 상기 기준체온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특정 출입자 및 관리자에게 현재 발열상태를 알람하는 단계이다. In step S150,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fever determination unit 172 that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erson in step S140 is out of a preset range based on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the specific person and This is the stage of notifying the manager of the current fever statu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방역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동선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8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user's movement line information in a building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건물은 기설정된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기설정된 구역은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구역으로 구분되되, 단위구역마다 자동 손소독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건물 방역 시스템은 제1 내지 제K 자동 손소독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8 ,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preset zones, and the preset zones are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unit zon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통합서버(190)는 동선생성모듈(196)을 더 포함하며, 정보저장부(192)에 저장된 정보그룹을 기반으로, 특정 사용자(또는 출입자) A의 시간별 동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생성된 동선정보는 정보저장부(192)에 별도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추후에, 전염병의 확진자가 발생했을 경우, 역학조사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integrated server 190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line generation module 196,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group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may generate time-specific movement line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or entrant) A.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generated moving line information is separately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 This is because, in the future, when a confirmed case of an infectious disease occurs,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can be conducted more quickly and easily.

통합서버(190)의 정보저장부(192)는, 사용자의 개인식별수단(201) 및 제L 자동 손소독 장치의 사용자식별모듈(160)과의 무선연결정보가 저장되되, 사용자의 개인식별수단(201)이 복수의 자동 손소독 장치와 무선연결될 경우, 복수의 자동 손소독 장치 중 가장 신호의 세기가 큰 자동 손소독 장치에 대한 무선연결정보만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즉, 개인식별수단(201) 및 사용자식별모듈(160)의 특성에 따라, 무선인식거리 또는 무선연결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개인식별수단(201)은 복수의 자동 손소독 장치와 무선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자동 손소독 장치는 모두 통합서버(190)와 연결되어 있으며, 개인식별수단(201) 사이의 신호세기정보를 통합서버(19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정보저장부(192)는 모든 자동 손소독 장치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유효한 신호 중 신호의 세기가 가장 큰 값을 선택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of the integrated server 190 stores wireless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of the L-th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and the user's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When 201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utomatic hand sanitizing apparatuses, it is configured to store only wireless connection information for an automatic hand sanitizing apparatus having the high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plurality of automatic hand sanitizing apparatuses. That 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the wireless recognition distance or the wireless connection distance may be formed relatively far, and in this process,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is a plurality of automatic hands. It can be connected wirelessly with the disinfection device. At this time, each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and can transmit signal strength information between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is configured to select and store a value having the greatest signal strength among valid signals, rather than storing information of all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s.

그 다음, 통합서버(190)에 포함된 동선생성모듈(196)은, 정보저장부(192)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식별수단(201) 및 상기 자동 손소독 장치와의 무선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선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또는 출입자)가 제1 구역에 위치할 때에도, 그와 인접한 제2 내지 제4 구역의 자동 손소독 장치(100-2, 100-3, 100-4)와 무선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정보저장부(192)는 이들 중 가장 신호의 세기가 큰 제1 구역의 자동 손소독 장치(100-1)와의 무선연결정보만을 저장하도록 설계된다. Next, the movement line generation module 196 included in the integrated server 190 uses the user's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and wireless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automatic hand sanitizer device.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user's moving line information. Referring to FIG. 8 , even when a user (or an occupant) is located in the first zone, it will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automatic hand sanitizers 100-2, 100-3, and 100-4 in the second to fourth zones adjacent thereto. can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is designed to store only the wireless connection information with the automatic hand sanitizer 100-1 of the first zone having the greatest signal strength among them.

또한, 사용자(또는 출입자)가 제1 구역-제2 구역-제3 구역-제7 구역-제11 구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개인식별수단(201)은 자동 손소독 장치들과 무선연결이 계속 시도되는 바, 이러한 정보들이 통합서버(190)에 전송 및 저장됨으로써, 사용자(또는 출입자)의 동선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the user (or entrant) moving to the first zone - the second zone - the third zone - the seventh zone - the eleventh zone, the user's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automatic hand sanitizers. As the bar continues to be attempted, such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stored in the integrated server 190, so that the user's (or visitor's) movement information can be checked.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modification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자동 손소독 장치
110: 저장탱크
120: 로드셀모듈
130: 손 수용모듈
140: 약액분사모듈
150: 체온센싱모듈
160: 사용자식별모듈
170: 연산모듈
180: 무선통신모듈
190: 통합서버
200: 출입관리장치
210: 출입자식별모듈
220: 출입자체온센싱모듈
230: 출입자정보전송모듈
100: automatic hand sanitizer
110: storage tank
120: load cell module
130: hand receiving module
140: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50: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60: user identification module
170: operation module
18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0: integrated server
200: access control device
210: visitor identification module
220: access self-on-sensing module
230: visitor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Claims (6)

건물에 구비되며, 미리 저장된 소독약을 사용자의 손에 자동 분사하는 자동 손소독 장치로서,
소독약액이 저장된 저장탱크(110);
상기 저장탱크(110)의 무게를 센싱하도록 구성된 로드셀모듈(120);
사용자의 손이 수용되는 손 수용모듈(130);
상기 저장탱크(110)와 연결되며, 상기 손 수용모듈(130)의 제1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손 수용모듈(130)에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때, 상기 손을 향해 상기 저장탱크(110)로부터 공급된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약액분사모듈(140);
상기 손 수용모듈(130)의 제2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손 수용모듈(130)에 사용자의 손이 인입될 때, 상기 인입된 손 측의 체온을 센싱하는 체온센싱모듈(150);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이 센싱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식별모듈(160);
상기 로드셀모듈(120), 체온센싱모듈(150) 및 사용자식별모듈(160)과 연결되는 연산모듈(170)로서, 상기 로드셀모듈(120)로부터 전송되는 무게정보, 상기 사용자식별모듈(16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정보 및 상기 체온센싱모듈(150)로부터 전송되는 체온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정보들을 각각 이용하여 기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하는 연산모듈(170);
상기 연산모듈(170)로부터 연산처리된 결과값, 상기 무게정보, 사용자정보 및 체온정보를 중계기(182)로 무선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80);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180)을 통해 전송된 정보들을 저장 및 연산처리하는 통합서버(190)로서, 상기 정보들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연산처리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상기 저장탱크(110)의 소독약액 교체시기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센싱된 특정 사용자의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통합서버(190)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모듈(170)은,
상기 통합서버(190)로부터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을 로딩하도록 형성되며, 로딩된 상기 기준체온값 및 상기 특정 사용자의 현재 체온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발열여부를 판단하는 발열판단부(172)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판단부(172)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현재 체온정보 및 상기 기준체온값을 비교하되,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재측정알람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상기 특정 사용자의 체온정보 재측정이 수행되며,
상기 로드셀모듈(120)은,
상기 저장탱크(110)의 무게정보를 기설정된 주기로 센싱하되, 상기 약액분사모듈(140)로부터 소독약액이 분사된 직후에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무게정보를 추가적으로 센싱하여 상기 연산모듈(170)로 전송하되, 상기 저장탱크(110)의 무게값이 변화될 경우, 무게값의 변화량정보를 함께 상기 연산모듈(170)로 전송하며,
상기 저장탱크(110)는 메인탱크 및 보조탱크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탱크의 소독약액이 모두 소진될 경우, 상기 보조탱크에 저장된 소독약액을 임시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산모듈(170)에 포함된 소독약액연산부(174)는,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소독약액의 유효기간정보, 상기 소독약액의 잔량정보 및 상기 소독약액의 사용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탱크(110) 내의 소독약액의 교체시기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약액분사모듈(140)은,
상기 손 수용모듈(130)의 상측에 위치되며,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분사홀(142) 및
근접센서방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손 수용모듈(130)에 인입된 사용자 손의 형태와 위치를 직접 감지하는 센서부(144);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홀(142)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제x 행 및 제y 열로 규칙적으로 복수 개로 배열되며, 상기 센서부(144)는 이웃하는 분사홀(142) 사이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되고,
상기 센서부(144) 각각은, 인접한 분사홀(142)의 개폐 동작과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센서부(144) 중 감지된 센서부(144a)에 대응되는 분사홀은 개방되고, 상기 센서부(144) 중 감지되지 않은 센서부(144b)에 대응되는 분사홀은 폐쇄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손 수용모듈(130)에 인입된 사용자 손의 크기 및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손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되는 분사홀만을 개방하여 소독약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된,
자동 손소독 장치.
As an automatic hand sanitiser provided in a building and automatically spraying a pre-stored disinfectant onto a user's hand,
a storage tank 110 in which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stored;
a load cell module 120 configured to sense the weight of the storage tank 110;
a hand receiving module 130 in which the user's hand is accommodated;
It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10 and is provide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and when the user's hand is drawn into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the storage tank 110 toward the hand. ) for spray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a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provided at a second position of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and configured to sens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retracted hand side when the user's hand is drawn into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for identifying a user whose body temperature is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As an operation module 170 connected to the load cell module 120 ,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 and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 the weigh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ad cell module 120 ,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 an operation module 170 that receives the transmitted user information and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and calculates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in a preset manner using each of the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sult value calculated from the operation module 170, the weight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repeater 182; and
As an integrated server 190 for storing and arithmetic processing of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80, by calculating and processing the information in a preset manner, information on when to replace the disinfectant solution of the storage tank 110 to an administrator and an integrated server 190 configured to generate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the specific user using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The operation module 170,
A fever determination unit ( 172);
The heat generation determination unit 172,
Comparing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and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when out of a preset range, provides a re-measurement alarm to the specific user and the manager, an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the specific The user'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re-measured,
The load cell module 120,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storage tank 110 is sensed at a preset period, and immediately after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sprayed from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storage tank 110 is additionally sensed to be sensed by the calculation module 170 ), but when the weight value of the storage tank 110 is changed, the change amount information of the weight value is transmitted together to the calculation module 170,
The storage tank 110 is composed of a main tank and an auxiliary tank, and is configured to temporarily use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auxiliary tank when all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main tank is exhausted,
The disinfectant solution calculation unit 174 included in the calculation module 170,
Based on the expiration date inform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tank 110,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and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the time to replace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storage tank 110 is provided to the manager,
The chemical liquid injection module 140,
I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42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opened and closed, and
It is configured in a proximity sensor method, the sensor unit 144 for directly sensing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user's hand drawn into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including,
The injection hole 142 is
Based on the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regularly arranged in an x-th row and a y-th column, the sensor unit 144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adjacent injection holes 142,
Each of the sensor units 144 is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adjacent injection hole 142, and the inj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sensed sensor unit 144a of the sensor unit 144 is opened, and the sensor unit The inj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144b that is not detected among (144) is formed to be closed, so that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user's hand introduced into the hand receiving module 130 is sensed,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hand configured to spray the disinfectant solution by opening only the corresponding spray hole,
automatic hand sanitiz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정보가 취득되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식별모듈(160)에 의해, 건물의 거주자 또는 방문자로 구분되되,
상기 건물의 거주자는, 각각 고유의 식별ID가 부여된 개인식별수단(201)을 소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건물의 방문자는, 상기 건물의 출입구에서 상기 방문자의 인적사항을 기재한 후, 임시 개인식별수단(202)을 제공받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식별모듈(160)은,
무선인식방식 또는 안면인식방식으로 상기 개인식별수단(201)의 식별ID 및 상기 임시개인식별수단(202)의 식별ID를 인식하여 상기 연산모듈(170)로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되,
1차적으로 상기 무선인식방식으로 상기 개인식별수단(201) 및 상기 임시개인식별수단(202)의 식별ID 인식을 수행하며, 인식되지 않을 경우, 2차적으로 상기 안면인식방식으로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산모듈(170)은,
상기 체온센싱모듈(150)로부터 센싱된 시점을 기준으로,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하는 실내온습도 센싱부 및 실외의 온도와 습도를 센싱하는 실외온습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온센싱모듈(150)로부터 센싱된 체온정보, 상기 사용자식별모듈(160)로부터 식별된 사용자정보, 상기 체온정보가 취득된 시간정보 및 상기 시간정보에 대응되는 실내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 및 실외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를 1개의 정보그룹으로 구성한 후, 상기 정보그룹을 상기 통합서버(19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합서버(190)는,
상기 연산모듈(17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정보그룹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부(192); 및
상기 정보그룹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는 기준체온연산부(194); 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체온연산부(194)는,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정보에 포함된 성별정보와 연령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가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정보가 취득될 시점의 실내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 및 실외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 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자동 손소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user whos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is classified as a resident or visitor of a building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The resident of the building is configured to possess a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to which a unique identification ID is assigned, respectively, and the visitor of the building write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visitor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then performs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means (202);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Doedo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in a wireless recognition method or a face recognition method to transmit user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module 170,
First, the identification ID recognition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is performed by the wireless recognition method, and if not recognized, the user is secondarily identified by the face recognition method becomes,
The operation module 170,
Based on the time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n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user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s acquired, in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nd outdoor After configur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of one information group,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group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The integrated server 190,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group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module 170; and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calculation unit 194 for generating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a specific user by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group; includes,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calculation unit 194,
Gender information and a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and
In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out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t a time when the specific user acquire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configured to generate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of the specific user using
automatic hand sanitizer.
청구항 2에 따른 자동 손소독 장치를 이용하는 건물 방역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물의 출입구 측에는, 상기 건물로의 출입자를 식별하면서, 상기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취득하는 출입관리장치(2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관리장치(200)는,
무선인식방식 또는 안면인식방식으로 상기 개인식별수단(201)의 식별ID 및 상기 임시개인식별수단(202)의 식별ID를 인식하는 출입자식별모듈(210);
상기 출입자의 체온을 비접촉 방식으로 센싱하는 출입자체온센싱모듈(220); 및
상기 출입자식별모듈(210)로부터 취득된 출입자정보 및 상기 출입자의 체온정보를 1개의 정보그룹으로 구성하여 상기 통합서버(190)로 전송하는, 출입자정보전송모듈(230); 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서버(190)는,
상기 출입자정보 및 상기 출입자의 체온정보로 구성된 정보그룹을 상기 정보저장부(192)에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건물 방역 시스템.
As a building prevention system using the automatic hand sanitizer according to claim 2,
At the entrance side of the building, an access management device 200 for acquiring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erson entering the building while identifying the person entering the building; further comprising,
The access control device 200,
an occupant identification module 210 for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1 and the identification ID of the temporary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202 by a wireless recognition method or a face recognition method;
an entrance/exit self-on-sensing module 220 for sens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erson in a non-contact manner; and
an occupant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30 for composing occupant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occupant identification module 210 an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occupants into one information group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includes,
The integrated server 190,
configured to accumulate and store an information group consisting of the occupant information and the occupant'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building protection system.
청구항 3에 따른 건물 방역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출입관리장치(200)에 의해, 출입자정보 및 출입자의 체온정보가 취득되어 특정 출입자에 대한 제N 정보그룹이 생성되는 단계(S110);
(b) 상기 특정 출입자에 대한 상기 제N 정보그룹이 상기 통합서버(190)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정보저장부(192)에 누적되어 저장되는 단계(S120);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정보저장부(192)에 누적된 상기 특정 출입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이 생성되는 단계로서, 상기 특정 출입자가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체온정보가 취득될 시점의 실내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 및 실외의 온도정보와 습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특정 출입자의 기준체온값을 생성하는 단계(S130);
(d) 상기 자동 손소독 장치의 사용자식별모듈(160)에 의해, 상기 특정 출입자가 식별되고, 상기 체온센싱모듈(150)에 의해 상기 특정 출입자의 체온이 센싱된 후,
상기 연산모듈(170)로 상기 특정 출입자에 대한 기준체온값이 상기 통합서버(190)로부터 로딩되며, 상기 특정 출입자의 현재 체온정보 및 상기 기준체온값을 비교하는 단계(S140); 및
(e) 상기 발열판단부(172)에 의해,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특정 출입자의 현재 체온정보가 상기 기준체온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특정 출입자 및 관리자에게 현재 발열상태를 알람하는 단계(S150); 를 포함하는,
방법.
As a method using the building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3,
(a) generating an N-th information group for a specific occupant by acquiring occupant information and entrant'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by the access control device 200 (S110);
(b) transmitting the N-th information group for the specific visitor to the integrated server 190, thereby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N-th information group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S120);
(c) In the step (b),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the specific occupant accumulat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92 is generated, wherein the specific entrant receives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generating a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of the specific occupant in consideration of in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outdo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t the time to be acquired (S130);
(d) after the specific entrant is identifi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160 of the automatic hand sanitizing device, and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pecific entrant is sens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150,
the operation module 170 loading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for the specific entrant from the integrated server 190, and comparing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entrant with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S140); and
(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fever determination unit 172 that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entrant in step (d) is out of a preset range based on the reference body temperature value, the specific entrant and the manager alarming the current heating state (S150); contain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31646A 2020-10-13 2020-10-13 Automatic hand disinfection device and building quarantine system using the same KR102284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46A KR102284900B1 (en) 2020-10-13 2020-10-13 Automatic hand disinfection device and building quarantine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46A KR102284900B1 (en) 2020-10-13 2020-10-13 Automatic hand disinfection device and building quarantine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900B1 true KR102284900B1 (en) 2021-08-04

Family

ID=7731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46A KR102284900B1 (en) 2020-10-13 2020-10-13 Automatic hand disinfection device and building quarantine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90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034B1 (en) 2022-01-17 2022-06-30 전명철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movement management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trrough a disfection device
KR20240009629A (en) 2022-07-14 2024-01-23 강형석 Rental car reservation confirm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283A (en) * 2003-06-24 2005-01-03 박성수 Hand sterilization system
KR20160041511A (en) * 2014-10-08 2016-04-18 삼성전기주식회사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159727B1 (en) * 2020-06-19 2020-09-24 이준성 Body disinfecting system of exothermic check for facial recognition and prevent an epidemi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283A (en) * 2003-06-24 2005-01-03 박성수 Hand sterilization system
KR20160041511A (en) * 2014-10-08 2016-04-18 삼성전기주식회사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159727B1 (en) * 2020-06-19 2020-09-24 이준성 Body disinfecting system of exothermic check for facial recognition and prevent an epidemic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034B1 (en) 2022-01-17 2022-06-30 전명철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movement management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trrough a disfection device
KR20240009629A (en) 2022-07-14 2024-01-23 강형석 Rental car reservation confirm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7700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giene standards compliance
KR102159727B1 (en) Body disinfecting system of exothermic check for facial recognition and prevent an epidemic
US11704992B2 (en) Hand cleanliness monitoring
KR102284900B1 (en) Automatic hand disinfection device and building quarantine system using the same
JP5594963B2 (en) Hand cleanliness detection
US9773402B2 (en) Infectious disease spread prevention
US92359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aregiver and patient protocol compliance
CA3120436A1 (en) Using smart occupancy detection and control in buildings to reduce disease transmission
US10321725B2 (en) Infection control glove with sensory contamination indicator
US20110068930A1 (en) Hygiene monitoring system
US20140327545A1 (en) Hand cleanliness
US11670158B2 (en) Hygiene compliance and monitoring system
US20130127615A1 (en) Sanitization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with security enhancements
WO2008133495A1 (en) A hand-hygiene behaviour monitoring system
KR20230085238A (en) Platform for service and detecting of body action employing AI
CN106557649A (en) Sterilization prompt system and method
CN106205050A (en) A kind of indoor inertia perception warning system and method
WO2011058293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hand hygiene
JP6864280B1 (en) Non-contact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server, program, and entrance / exit management device in medical facilities
US8922378B2 (en) Dispensing and accountability system and method for assuring washing of hands
Darlington How Artificial Intelligence is helping prevent the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WO20191622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providing guidance to health care professionals for hygiene purposes
IE20070081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giene standards compliance.
JP7381675B2 (en) disinfection system
CN213569010U (en) Elevator and elevator virus protective equipmen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