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580B1 -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580B1
KR102284580B1 KR1020190014584A KR20190014584A KR102284580B1 KR 102284580 B1 KR102284580 B1 KR 102284580B1 KR 1020190014584 A KR1020190014584 A KR 1020190014584A KR 20190014584 A KR20190014584 A KR 20190014584A KR 102284580 B1 KR102284580 B1 KR 10228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pport bar
bracket
insertion ho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156A (ko
Inventor
김현식
유창무
Original Assignee
김현식
유창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식, 유창무 filed Critical 김현식
Priority to KR102019001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5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2Screens moving during pro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혹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형의 지지바; 외부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의 양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바를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키는 브래킷; 루프(loop)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지지바를 중심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스크린; 및 탄성력을 통하여 상기 스크린을 외측으로 인장시켜 상기 스크린에 장력을 부가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스크린의 체험영역의 위치를 변경 가능함에 따라, 체험 운동 시 스크린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집중적으로 충격이 전달되어, 해당 부위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스크린의 사용수명을 증대시켜 제품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Screen rotation device of experimental exercise system using screen}
본 발명은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야외에서만 즐기던 운동을 실내에서 즐길 수 있도록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체험형 운동 시스템으로는, 야구, 골프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체험형 운동 시스템은 동일한 운동을 야외에서 즐기는 것보다 다소 현장감은 부족하지만, 넓은 시설면적이 필요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은 체험자가 타격한 공의 방향, 거리, 스피드 등을 판독하여 데이터화하는 센싱부, 가상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부,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 체험차의 체험이 이루어지는 체험공간, 체험자의 체험상태를 기록하는 촬영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 각종 전기ㅇ전자ㅇ기계적인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체험형 운동 시스템은 스크린이 설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고, 체험자의 체험 시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스크린의 특정 부위가 쉽게 파손 또는 변형되고, 이로 인해 스크린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스크린을 회전시켜 스크린의 특정 부위의 파손을 예방하고, 스크린의 사용을 장기화할 수 있는 스크린 회전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크린 회전장치(10)는 루프 형상의 스크린(11)과. 스크린(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동력수단(12)으로 구성되어, 회전동력수단(12)의 구동 시 스크린(11)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체험이 이루어질 영역을 변경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 회전장치(10)는 스크린(11)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 중 스크린(11)의 장력이 저하되어 중력방향으로 스크린(11)의 변형이 발생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부위가 우그러지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스크린(11)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을 구비해야만 함에 따라, 고가의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크린 회전장치(10)는 복잡한 설비로 인해 설치 및 유지관리가 어렵고, 곡면 형태의 스크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여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426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스크린의 변형을 최소화 하며, 평면은 물론 곡면 형태의 스크린에도 적용 가능한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혹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형의 지지바; 외부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의 양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바를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키는 브래킷; 루프(loop)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지지바를 중심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스크린; 및 탄성력을 통하여 상기 스크린을 외측으로 인장시켜 상기 스크린에 장력을 부가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은, 내측에 상기 지지바가 축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수용된 상기 지지바의 외면을 지지 가능한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향 배치되어, 내측에 상기 지지바가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출입 가능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지지바의 외면을지지 가능한 제2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외부 구조물에 설치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내측에 상기 지지바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일 측에 상기 삽입공 또는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절곡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일 측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브래킷에 지지된 상태에서, 타 측이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브래킷에 지지되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지지바의 일 측이 상기 삽입공의 중심축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삽입공에 대응되는 장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지지바의 외면의 1/4 내지 1/2을 지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수용홈은 상기 브래킷 내에서 직선 혹은 곡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수용홈에는 내측에 수용된 상기 지지바의 이동 방향을 전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절곡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외부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지구;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린의 양 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체결구; 및 상기 지지구와 상기 체결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체결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스크린에 장력을 부가하는 탄성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을 통과한 상기 지지바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의 유동을 제한하는 이탈방지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는 관형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일 측에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고, 단부에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크린을 회전 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스크린의 체험영역의 위치를 변경 가능함에 따라, 체험 운동 시 스크린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집중적으로 충격이 전달되어, 해당 부위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스크린의 사용수명을 증대시켜 제품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지지바와 스크린만으로 스크린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스크린과 회전동력수단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종래의 스크린 회전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에 형성된 삽입공 및 수용홈을 사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하고, 곡선 형태로 형성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절곡구간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린을 통해 지지바에 충격이 전달될 경우에도 지지바가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이를 통해 지지바가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바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스크린의 상측을 들어 올려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평면 형태의 스크린은 물론, 곡면 형태의 스크린에도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린 회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의 지지바가 곡선 형상으로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의 브래킷이 외부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의 브래킷과 지지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의 브래킷에 지지바가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의 지지바가 브래킷에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의 브래킷에 형성된 삽입공 및 수용홈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의 브래킷에 설치된 이탈방지구가 지지바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를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스크린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의 지지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100)의 지지바(110)가 곡선 형상으로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100)(이하 '스크린 회전장치(100)'라 함)는 스크린 골프 등과 같이 실내에서 스크린을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체험형 운동 시스템에 적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체험형 운동 시스템은 후술할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와 함께,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스크린(130)으로 체험 운동과 관련된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부, 체험자의 움직임 또는 스크린(130)에 가해진 충격 또는 체험자를 통해 구동되는 체험장비의 움직임 및 충격 등을 감지하는 센싱부, 스크린(130)에 투사되는 영상에 맞추어 체험자에게 소리, 바람 등과 같은 부가 체험요소를 제공하는 효과부, 및 영상부, 센싱부 및 효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체험형 운동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체험형 운동 시스템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되거나, 다양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100)(이하 '스크린 회전장치(100)'라 함)는 지지바(110)를 포함한다.
지지바(110)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스크린(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스크린(130)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바(110)의 양 단부는 외부 구조물(200)에 설치된 후술할 브래킷(120)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브래킷(120)에 안착된 지지바(110)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110)는 직선 혹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지지바(110)는 평면 형태의 스크린(1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곡면 형태의 스크린(1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지지바(110)의 길이는 스크린(130)의 폭(width)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바(110)가 스크린(130)을 지지할 경우, 스크린(130)의 외측으로 지지바(110)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바(110)는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외경의 크기가 일정한 단일관 또는 필요에 따라 신축 가능한 다중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110)는 스크린(130)의 회전이 용이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원형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바(11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 및 소재 등으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는 브래킷(120)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의 브래킷(120)이 외부 구조물(200)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래킷(120)은 나사못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외부 구조물(200)(예컨대, 벽 또는 천장 등)에 설치되고, 내측에 수용된 지지바(110)의 양 단부를 지지하여, 지지바(110)를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킨다.
예컨대, 브래킷(12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에 설치될 경우 일면이 벽에 밀착된 상태로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설치될 경우 일면이 천장에 밀착된 상태로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천정에 설치되는 브래킷(120)의 경우, 상측에 천정에 밀착될 수 있는 별도의 지지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120)은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계열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구조물(200)과 브래킷(120) 사이에는 브래킷(120)을 외부 구조물(2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브래킷(12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의 브래킷(120)과 지지바(11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의 브래킷(120)에 지지바(110)가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의 지지바(110)가 브래킷(120)에 설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브래킷(120)은 지지바(110)의 일 측을 지지 가능한 제1 브래킷(121) 및 지지바(110)의 타 측을 지지 가능한 제2 브래킷(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래킷(121)은 도 5의 (a) 및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지지바(110)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1212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브래킷(121)의 일 측에는 수용공간(1212a)과 연통되어 지지바(110)가 축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삽입공(1212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공(1212b)은 지지바(11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래킷(121)은 삽입공(1212b)에 수용된 지지바(110)의 외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지바(110)가 삽입공(1212b)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제2 브래킷(122)은 제1 브래킷(121)에 대향 배치되고, 도 5의 (b)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hook)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지지바(110)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1222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브래킷(122)의 일 측에는 수용공간(1222a)과 연통되고, 지지바(110)가 수직방향으로 출입 가능한 수용홈(1222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홈(1222b)은 지지바(11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브래킷(122)은 수용홈(1222b)에 수용된 지지바(110)의 외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지바(110)가 수용홈(1222b)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래킷(121) 및 제2 브래킷(122)은 각각 고정편(1211, 1221)과 절곡편(1212, 12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편(1211, 1221)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별도의 체결수단이 관통 가능한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편(1211, 1221)은 외부 구조물(2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공을 관통하여 외부 구조물(200)에 체결되는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외부 구조물(2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절곡편(1212, 1222)은 고정편(1211, 1221)으로부터 연장되고,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내측에 지지바(110)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1212a, 1222a)을 형성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브래킷(121)의 절곡편(1212)은 단부가 고정편(1211)의 외면에 접하여 관형상을 형성 될 수 있도록 고정편(121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내측에 상술한 수용공간(1212a)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브래킷(121)의 절곡편(1212)에는 지지바(110)가 수평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바(110)의 외면에 대응되는 삽입공(121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브래킷(122)의 절곡편(1222)은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편(122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내측에 상술한 수용공간(1222a)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브래킷(122)의 절곡편(1222)에는 지지바(11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바(110)의 외면에 대응되는 수용홈(122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바(110)가 제1 브래킷(121) 및 제2 브래킷(122)에 설치될 경우, 지지바(110)는 일 측이 먼저 수평방향을 따라 제1 브래킷(121)의 삽입공(1212b)에 사선방향으로 삽입되고, 이후 일 측이 제1 브래킷(121)에 지지된 상태에서, 타 측이 수직방향을 따라 제2 브래킷(122)의 수용홈(1222b)으로 삽입되어 제2 브래킷(122)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공(1212b)은, 지지바(110)의 일 측이 삽입공(1212b)의 중심축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수용홈(1222b)은, 삽입공(1212b)에 대응되는 장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장공 형태로 형성된 제1 브래킷(121)의 삽입공(1212b) 및 장홈 형태로 형성된 제2 브래킷(122)의 수용홈(1222b)에 수용되는 지지바(110)는, 삽입공(1212b) 및 수용홈(1222b)을 통하여 외면의 1/4 내지 1/2의 영역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브래킷(121)의 삽입공(1212b)과 제2 브래킷(122)의 수용홈(1222b)은 각 브래킷(120) 내에서 지지바(1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의 브래킷(120)에 형성된 삽입공(1212b) 및 수용홈(1222b)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1 브래킷(121)의 삽입공(1212b) 및 제2 브래킷(122)의 수용홈(1222b)은 브래킷(120) 내에서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브래킷(121)의 삽입공(1212b) 및 제2 브래킷(122)의 수용홈(1222b)은 지지바(110)가 각 브래킷(120) 내에서 수직방향이 아닌, 사선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도록 지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진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직선 형태의 삽입공(1212b) 및 수용홈(1222b)은 반드시 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브래킷(120) 내에서 지지바(1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직선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 및 (c)를 참조하면, 제1 브래킷(121)의 삽입공(1212b) 및 제2 브래킷(122)의 수용홈(1222b)은 브래킷(120) 내에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브래킷(121)의 삽입공(1212b) 및 제2 브래킷(122)의 수용홈(1222b)은 지지바(110)가 각 브래킷(120) 내에서 곡률을 그리며 유동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의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곡선 형태의 삽입공(1212b) 및 수용홈(1222b)은 반드시 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J" 또는 "U"형상과 같이 직선과 곡선이 병합된 형상은 물론, "S"형상과 같이 서로 다른 방향의 곡선이 연계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삽입공(1212b) 및 수용홈(1222b)이 곡선 형태로 형성된 경우, 삽입공(1212b) 및 수용홈(1222b)에는 내측에 수용된 지지바(110)의 이동 방향을 전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절곡구간(1212b′, 122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바(110)의 유동을 보다 제한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바(110)가 스크린(130)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는 스크린(130)을 포함한다.
스크린(130)은 수평방향을 따라 내부가 관통된 루프(loop)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린(13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필름지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며, 스크린(130)의 표면은 외측에서 투사된 영상이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백색 혹은 이와 유사한 밝기의 색상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30)은 수직방향을 따라 체험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린(130)은 내부를 관통하여 제1 브래킷(121) 및 제2 브래킷(122)에 설치된 지지바(110)를 통해 소정의 높이로 들어 올려져, 지지바(110)에 걸려 지지된다. 따라서, 지지바(110)에 걸려 지지되는 스크린(130)은, 하측으로 당겨질 경우, 지지바(110)를 중심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되고, 이를 통해 체험에 적용될 스크린(130)의 영역을 수직방향을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30)은 수평방향을 따라 체험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를 수평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켰을 때 스크린(130)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크린(130)은 스크린(130)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A) 및 우측 영역(B)으로 구분되는데, 스크린(13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좌측 영역(A) 및 우측 영역(B)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는 스크린(130)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바(110)를 제1 브래킷(121) 및 제2 브래킷(122)으로부터 분리한 후, 지지바(110)와 스크린(130)을 수평방향을 따라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린(130)의 좌측 영역(A) 및 우측 영역(B)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험 운동 시 스크린(130)의 좌측 영역 또는 우측 영역 중 어느 하나에만 집중적으로 충격이 전달되어, 해당 부위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스크린(130)의 사용수명을 증대시켜 제품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는 장력조절부(140)를 포함한다.
도 9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장력조절부(140)는 외부 구조물(200)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스크린(130)의 양 단부에 연결되되, 탄성력을 통하여 스크린(130)을 외측으로 인장시켜 스크린(130)에 장력을 부가한다.
이에 따라, 스크린(130)에는 우그러지거나 굴곡진 부분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체험자에게 정확한 영상의 전달이 가능하고, 체험 운동 시 스크린(13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스크린(130)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140)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장력조절부(140)는 지지구(141), 체결구(142) 및 탄성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구(141)는 외부 구조물(200)에 설치되어 후술할 탄성구(143)의 일 측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구(141)는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구(141)는 외부 구조물(200)에 설치되는 레일부와, 레일부에 설치되어 레일부를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구(141)에는 탄성구(143)의 일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수단은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수단에 결합된 탄성구(143)는 결합수단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체결구(142)는 집게 혹은 후크의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스크린(130)의 양 측 가장자리 또는 필요에 따라 스크린(130)의 양 측 모서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구(142)에는 탄성구(143)의 타 측과 연결되되, 탄성구(143)의 타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리형상의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구(143)는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구(141)와 체결구(142)를 서로 연결하고, 탄성력을 통하여 체결구(142)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스크린(130)에 장력을 부가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구(143)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지지구(141)와 체결구(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고리 형태의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탄성구(143)는 스크린(130)에 부가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구(143)는 지지구(141)와 연결되고, 회전을 통하여 축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길이조절수단, 및 길이조절수단과 체결구(142)를 서로 연결하고, 길이조절수단의 신장 또는 수축 시 탄성력이 조절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지지구(141)에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체결구(142) 및 탄성구(143)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는 이탈방지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의 브래킷(120)에 설치된 이탈방지구(150)가 지지바(110)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탈방지구(150)는 제1 브래킷(121)에 설치되고, 삽입공(1212b)을 통과한 지지바(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바(110)의 반경방향으로 지지바(11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는 지지바(110)를 통하여 스크린(1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스크린 회전장치(100)의 지지바(1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바(110)는 회전 지지부(111) 및 회전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111)는 브래킷(120)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내측에 회전 가능한 구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회전 지지부(111)는 브래킷(120)에 설치되는 관형의 하우징(1111)과, 하우징(1111)의 내측에 수용되어 하우징(1111)의 중심축과 동축 위치에 배치되고, 스크린(130)을 지지하는 회전부(112)와 결합되며, 회전력을 발생시켜 회전부(112)를 회전시키는 구동축(11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축(1112)의 타 측에는 구동축(1112)을 구동 시키는 제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구동축(1112)의 타 측에는 구동축(1112)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고, 구동기어의 둘레에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기어에 치합 가능한 복수개의 가압볼을 구비한 체인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술한 체인 형태의 제어수단을 조작하여 구동축(1112)에 결합된 회전부(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축(1112)은 자동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구동축(1112)은 모터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리모컨 등과 같은 명령입력장치의 제어명령을 통하여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112)의 일 측에는 하우징(11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부(112)와 결합 가능한 체결돌기(1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돌기(1112a)는 회전부(112)에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12)는 스크린(130)을 지지하고, 단부에 체결돌기(1112a)에 대응되는 체결홈(112a)이 형성되어 회전 지지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112)는 구동축(1112)의 회전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크린(130)을 회전 시킬 수 있다.
예컨대, 회전부(112)의 외면에는 실리콘 혹은 고무재질의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112)가 회전될 경우 코팅층이 스크린(130)의 내면에 점착되어 스크린(130)을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스크린(130)의 체험영역의 위치를 변경 가능함에 따라, 체험 운동 시 스크린(130)의 좌측 영역(A) 또는 우측 영역(B) 중 어느 하나에만 집중적으로 충격이 전달되어, 해당 부위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스크린(130)의 사용수명을 증대시켜 제품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지지바(110)와 스크린(130)만으로 스크린(130)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에 따라, 스크린과 회전동력수단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종래의 스크린 회전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20)에 형성된 삽입공(1212b) 및 수용홈(1222b)을 사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하고, 곡선 형태로 형성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절곡구간(1212b′, 1222b′)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린(130)을 통해 지지바(110)에 충격이 전달될 경우에도 지지바(110)가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이를 통해 지지바(110)가 브래킷(12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바(110)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스크린(130)의 상측을 들어 올려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평면 형태의 스크린(130)은 물론, 곡면 형태의 스크린(130)에도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스크린 회전장치
110. 지지바
111. 회전 지지부
1111. 하우징
1112. 구동축
1112a. 체결돌기
112. 회전부
112a. 체결홈
120. 브래킷
121. 제1 브래킷
1211. 고정편
1212. 절곡편
1212a. 수용공간
1212b. 삽입공
1212b′. 절곡구간
122. 제2 브래킷
1221. 고정편
1222. 절곡편
1222a. 수용공간
1222b. 수용홈
1222b′. 절곡구간
130. 스크린
140. 장력조절부
141. 지지구
142. 체결구
143. 탄성구
150. 이탈방지구
200. 외부 구조물

Claims (9)

  1.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혹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형의 지지바;
    외부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바의 양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바를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배치시키는 브래킷;
    루프(loop)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지지바를 중심으로 수직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스크린; 및
    탄성력을 통하여 상기 스크린을 외측으로 인장시켜 상기 스크린에 장력을 부가하는 장력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내측에 상기 지지바가 축 방향으로 삽입 가능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수용된 상기 지지바의 외면을 지지 가능한 제1 브래킷; 과
    상기 제1 브래킷에 대향 배치되어, 내측에 상기 지지바가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출입 가능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지지바의 외면을 지지 가능한 제2 브래킷;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외부 구조물에 설치되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되어, 내측에 상기 지지바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일 측에 상기 지지바의 외면에 대응되는 상기 삽입공 또는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절곡편; 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지지바가 상기 외부 구조물에 설치된 상기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2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한,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일 측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브래킷에 지지된 상태에서, 타 측이 상기 수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브래킷에 지지되며,
    상기 삽입공은, 상기 지지바의 일 측이 상기 삽입공의 중심축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삽입공에 대응되는 장홈 형태로 형성되는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지지바의 외면의 1/4 내지 1/2을 지지 가능한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수용홈은 상기 브래킷 내에서 직선 혹은 곡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 및 상기 수용홈에는 내측에 수용된 상기 지지바의 이동 방향을 전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절곡구간이 형성되는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외부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지구;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스크린의 양 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체결구; 및
    상기 지지구와 상기 체결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체결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스크린에 장력을 부가하는 탄성구;
    를 포함하는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을 통과한 상기 지지바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의 유동을 제한하는 이탈방지구;를 더 포함하는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는 관형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일 측에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고, 단부에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크린을 회전 시키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KR1020190014584A 2019-02-07 2019-02-07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KR10228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84A KR102284580B1 (ko) 2019-02-07 2019-02-07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584A KR102284580B1 (ko) 2019-02-07 2019-02-07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56A KR20200097156A (ko) 2020-08-18
KR102284580B1 true KR102284580B1 (ko) 2021-08-03

Family

ID=7226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584A KR102284580B1 (ko) 2019-02-07 2019-02-07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5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582B1 (ko) * 2008-10-27 2009-01-19 (유)해강산업 현수막 걸이대
KR100964632B1 (ko) * 2009-09-14 2010-06-21 이석신 현수막 게시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7748B2 (ja) * 1996-08-06 2003-03-17 合資会社サカワ黒板製作所 スクリ−ン装置
KR101142641B1 (ko) 2010-01-22 2012-05-10 이재혁 스크린골프의 스크린 회전장치
KR20130006624U (ko) * 2012-05-09 2013-11-19 임평선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및 고정장치
KR102094060B1 (ko) * 2016-08-10 2020-03-26 최해용 실탄 사격용 가상훈련 영상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582B1 (ko) * 2008-10-27 2009-01-19 (유)해강산업 현수막 걸이대
KR100964632B1 (ko) * 2009-09-14 2010-06-21 이석신 현수막 게시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56A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530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회동 방법
KR100775379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US7952863B1 (en) Display mount
US20060071141A1 (en) Location controller for tv receiver
US7502219B2 (en) Thin display device
KR100383888B1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JP2002522981A (ja) 情報カバー外被を伴う3次元可動カメラ組立体
US9423072B2 (en) Flying platform with visually transparent flexible support members
CN109973774A (zh) 可调节式投影仪支架
KR102284580B1 (ko) 스크린을 이용한 체험형 운동 시스템의 스크린 회전장치
US20080137038A1 (en) System and mehtod for projecting images
KR200441352Y1 (ko) 벽걸이 티브이의 자동 시청각 조절장치
KR9700235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설치용 구조물
EP1840447A1 (en) Display rotation apparatus
JP2007079271A (ja) 表示スクリーン装置
KR10095547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TWI740617B (zh) 曲面顯示模組
JP4176209B2 (ja) 透明ガラス外壁の内側に外に向けた巨大画面ディスプレイを装備した高層建築物
KR20030020642A (ko) 디스플레이 제품의 기둥형 고정장치
CN110307450A (zh) 一种多媒体会议管理平台用演示投影装置
KR101142641B1 (ko) 스크린골프의 스크린 회전장치
KR10221330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각도조절장치
CN105041006B (zh) 观影旋转台、观影系统和球幕观影剧场
KR102222951B1 (ko) 회전형 엘시디 모니터에 적층되는 역회전 모니터 장치
KR20070022920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각도 조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