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572B1 -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 - Google Patents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572B1
KR102282572B1 KR1020200086491A KR20200086491A KR102282572B1 KR 102282572 B1 KR102282572 B1 KR 102282572B1 KR 1020200086491 A KR1020200086491 A KR 1020200086491A KR 20200086491 A KR20200086491 A KR 20200086491A KR 102282572 B1 KR102282572 B1 KR 102282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gear
power
unit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영
Original Assignee
정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회영 filed Critical 정회영
Priority to KR102020008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572B1/ko
Priority to PCT/KR2020/014323 priority patent/WO2022014785A1/ko
Priority to CN202090001156.0U priority patent/CN219041556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60Motors or generators having rotating armatures and rotating excitation fie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8/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ynamo-electric motors rotating step by step
    • H02P8/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peed or speed and torque
    • H02P8/2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peed or speed and torque characterised by bidirectional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방향과 역방향의 구동력이 동일하게 발생하는 고출력의 양방향 구동한 모터와 상기 모터를 이용하고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제동이 가능하여 동력피복개폐기를 소형화를 할 수 있으며, 우수 내지 결로로부터 방수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고 손잡이부를 통해 사용자나 작업자가 이동 및 수리가 용이한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high power bi-directional motor and Pow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antle of vinyl house}
본 발명은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방향과 역방향의 구동력이 동일하게 발생하는 고출력의 양방향 구동한 모터와 상기 모터를 이용하고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제동이 가능하여 동력피복개폐기를 소형화를 할 수 있으며, 우수 내지 결로로부터 방수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고 손잡이부를 통해 사용자나 작업자가 이동 및 수리가 용이한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각종 채소류 등의 성장을 촉진시켜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채소의 재배가 어려운 동절기에도 내부의 온도가 유지되게 하여 채소류의 성장 조건을 보존되게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동절기에는 내부의 온도를 적극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난방시설이 부가 설치되며, 일례로 비닐하우스의 상단을 부직포 등으로 피복하여 보온을 유도하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복재는 동력피복개폐기에 의해 권취되어 개폐가 이루어지고, 개폐정도에 따라 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 상기 동력피복개폐기와 관련된 특허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978호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0416호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978호에는 감속기 부품의 생산성 향상과 아울러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0416호에는 피복을 권취 개폐한 상태에서 동력피복개폐기가 역추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감속기의 구조를 가진 동력피복개폐기는 내구성 향상에 많은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구성부재의 자체 강도 향상이나 결합 구조를 변경하는 등 다양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내구성의 향상 정도는 매우 미비함은 물론, 오랜 사용기간과 우수 내지 결로에 의한 노후 문제로 수리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모든 동력피복개폐기는 기어박스를 기준으로 양측에 입력부와 출력부가 결합되는 형태이고, 여리에서 수리를 위해 입력부나 출력부를 해체할 경우 기어박스의 기어들이 외부로 고스란히 노출되면서 이탈이 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분해와 조립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력부와 출력부 및 기어박스의 각 결합면에는 미세한 간극이 형성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형성된 간극 사이로 우수 또는 결로에 의한 물기가 진입하면서 장치의 마모를 촉진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동력피복개폐기의 경우에는 부피가 커서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공간뿐만 아니라 위치에 대한 제약이 있으며, 수리 시에도 이동 등의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978호 (2009.10.20.)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0416호 (2004.1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의 정방향과 역방향 구동시 동일한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를 소형화를 하여 설치 및 수리가 용이한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적 브레이크가 가능한 내치구조를 채택하여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 없이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는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 기능을 적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이격시킨 공간에 회전 동작에 필요한 자계를 확립하기 위해 권선이 되어 있는 계자; 상기 계자가 형성한 자계 속에서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힘을 받아서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전기자; 상기 전기자의 일측에 형성되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유지시켜주는 정류자; 및 상기 정류자의 외면에 접하여 전력을 공급해주되, 상기 계자권선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정류자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브러시는 반시계방향으로 11.25° ~ 22.5°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이격시킨 공간에 회전 동작에 필요한 자계를 확립하기 위해 권선이 되어 있는 계자와, 상기 계자가 형성한 자계 속에서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힘을 받아서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전기자와, 상기 전기자의 일측에 형성되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유지시켜주는 정류자와, 상기 정류자의 외면에 접하여 전력을 공급해주되 상기 계자권선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정류자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브러시로 이루어져 외부 전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교류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부에서 발생한 동력을 감속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감속된 동력을 이용하여 시설하우스의 피복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브러시 반시계방향으로 11.25° ~ 22.5°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부는, 상기 모터부와 맞물려 동력을 공급받는 공급기어와, 서로 상이한 기어비로 이루어진 복수의 기어가 맞물려 구동하면서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어와, 상기 공급기어와 감속기어를 연결해주는 메인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와 권취부 사이에 위치하여 감속기어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우수 혹은 결로 로부터 방수가 되게 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의 외면 일측에 부설되어 사용자가 이동 혹은 수리 시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모터의 정방향과 역방향 구동시 동일한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화를 하여 설치 및 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적 브레이크가 가능한 내치구조를 채택하여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 없이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 기능을 적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터의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의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의 모습,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100)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이격시킨 공간에 회전 동작에 필요한 자계를 확립하기 위해 권선이 되어 있는 계자(110); 상기 계자(110)가 형성한 자계 속에서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힘을 받아서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전기자(120); 상기 전기자(1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코일(1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유지시켜주는 정류자(140); 및 상기 정류자(140)의 외면에 접하여 전력을 공급해주되, 상기 계자권선(11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정류자(140)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브러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100)는 기본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모터와 유사하다.(도 1 참조) 일반적으로 전동기에서 고정되는 부분을 고정자(stator)라고 부르고 회전하는 부분을 회전자(rotor)라고 부르며, 일반적으로는 고정자가 바깥쪽에 회전자가 안쪽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단방향으로 모터(혹은 전동기)의 구성은 가운데 축(160)이 형성되어 있고 축을 중심으로 전기자(120)(armature)가 형성되고 전기자(120)는 회전 전기기기에 주요한 동작하는 권선(혹은 전기자(120)권선)을 수용한다. 전기자(120)는 계자(110)가 만들어낸 자속을 끊어내어 플레밍의 왼손 법칙을 통해 토크를 생성한다. 모터(혹은 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해주면 모터(혹은 전동기)가 회전하는데 이때 전원의 전류가 흐르는 곳이 전기자(120)이다.
그리고 상기 전기자(120) 일측에는 전력을 공급받는 정류자(140)(commutator)가 형성된다. 정류자(140)는 직류기·교류정류자(140) 전동기 등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류의 방향을 주기적으로 바꿔 전기자(120)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정류자(140)와 접촉하여 형성되는 2개의 브러시(150)(brush)가 형성된다. 브러시(150)는 전동기나 발전기 등에 있어서 회전자와 정지하고 있는 부분(고정자 등)을 접속하는 경우의 접촉자의 역할을 하는 도체이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는 축의 양측에는 회전의 용이성을 위해 베어링이 들어갈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자(120)의 주변을 일부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계자(110)(field magnet)가 형성된다. 계자(110)는 자속의 생성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전기자(120)와 상호작용하여 자기회로를 구성하는데 계자(110)가 만들어준 자속을 전기자(120)가 받아 회전력을 얻는다. 필요한 자속만 생성해주기만 하면 되기에 전기자(120)보다는 전류가 비교적 적게 흐르며 자속을 만들기 위해 영구자석을 이용하거나 전자석을 이용한다. 영구자석을 이용하면 별도의 권선 없이 자속을 만들어 낼 수 있지만 자속을 제어하지 못하여 속도조절이 힘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터(100)는 전기를 공급해주면 회전하게 되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반대 방향으로 모터(100)를 회전하기 위해서는 동작 중에 전기를 반대방향으로 공급하게 되면 회전하던 방향으로 계속 회전이 되며, 상기 모터(100)가 완전히 멈춰서 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반대방향으로 공급해줄 경우에 상기 모터(10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회전은 가능하지만 불꽃이 일어나면서 상기 모터(100)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단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100)에서 정류자(140)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브러시(150)가 전기를 공급해주는 방향을 변경함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100)가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류자(140)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브러시(150)가 계자권선(11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정류자(140)에 전력을 공급해주도록 구성이 되며,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상기 브러시(150)는 계자권선(11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정류자(140)에 전력을 공급해준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브러시(150)가 계자권선(11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에 위치하여 전력을 공급해주면, 정방향으로 구동할 때는 최대의 힘을 발휘할 수 있으나, 역방향으로 구동할 때에는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불꽃을 내며 구동하다가 모터(100)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결국에는 모터(100)를 교체해야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러시(150)가 계자권선(11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에 위치하여 전력을 공급해주면 정방향과 역방향 구동시 힘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러시(150)가 계자권선(11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에 위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정류자(140)에 전력을 공급해주면, 상기 모터(100)가 정방향은 물론이고 역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불꽃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없으며 안정적으로 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정방향과 역방향 구동시 발생되는 동력이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러시(150)가 계자권선(11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11.25° ~ 22.5°으로 회전한 상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에 발생하던 문제점인 역방향 회전시 불꽃을 일으키면서 모터(10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방향과 역방향 구동시 동일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200)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이격시킨 공간에 회전 동작에 필요한 자계를 확립하기 위해 권선이 되어 있는 계자(110)와, 상기 계자(110)가 형성한 자계 속에서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힘을 받아서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전기자(120)와, 상기 전기자(1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코일(13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유지시켜주는 정류자(140)와, 상기 정류자(140)의 외면에 접하여 전력을 공급해주되 상기 계자권선(111)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정류자(140)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브러시(150)로 이루어져 외부 전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교류모터부(210); 상기 교류모터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교류모터부(210)에서 발생한 동력을 감속하는 기어부(220); 상기 기어부(2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220)와 연결되어 감속된 동력을 이용하여 시설하우스의 피복을 권취하는 권취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류모터부(21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피복을 권취하는 역할을 하는데, 피복재를 권취하여 피복하거나 걷기 위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교류모터부(210)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교류모터부(210)는 외부 전력으로 구동하는 모터(100)와, 상기 모터(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100)를 기어부(220)의 일측과 결합시키는 모터판(211)과, 외부적인 요인으로부터 모터(100)를 보호하는 모터커버(212)로 구성이 된다.
상기 모터(100)의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모터(10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동을 위해 유니버셜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AC 혹은 DC모터에 비해 큰 출력을 발휘할 수 있는데 반해 크기가 작아서 상기 동력피복개폐기(200)를 소형화하는데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모터판(211)은 기어부(220)에 체결되는 홀과 상기 모터(100)에 체결되는 홀을 구분 구비함으로써 상기 모터판(211)이 기어부(2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100)만을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모터(100)의 수리 혹은 교체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상기 모터(100)를 안전하게 분리해놓은 상태에서 상기 기어부(220)를 수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리나 교체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용이하다.
상기 기어부(220)는 내부에 복수의 기어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교류모터부(210)가 공급한 동력을 인계받아 기어들이 회전하면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동력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등의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기어부(220)는 먼저 비닐하우스의 상단에 설치 가능한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 복수의 기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228)이 형성된 기어몸체(221)와, 상기 기어몸체(221)의 정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저장공간(228)의 정면을 차단하는 정면커버(222)와, 상기 기어몸체(221)의 배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저장공간(228)의 배면을 차단하는 배면커버(22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기어몸체(221)에서 기어가 수용되는 공간을 앞뒤 양분하는 격벽(224)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격벽(224)으로 인해 구분된 공간의 일측은 상기 교류모터부(2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공급부로 사용하고, 타측은 공급된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부로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배면커버(223)는 교류모터부(210)(혹은 모터판(211))의 배면과 밀접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급부의 둘레를 따라 개스킷(240)이 삽입되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우수 혹은 결로가 상기 공급부로 침투하여 기어가 부식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상기 기어부(220)는 기어몸체(221) 내에 모터(100)의 동력을 최초로 전달받는 공급기어(225)와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어(226) 및 상기 공급기어(225)와 감속기어(226)를 연결하는 메인기어(227)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기어(225)는 모터(100)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모터(100)부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감속기어(226)는 감속부의 내주연에 설치되는 2개소의 내치기어와, 내치기어의 톱니를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헬리컬기어(22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치기어는 고정형 내치기어(226-1)와 회전형 내치기어(226-2)로 이루어져 감속부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형 내치기어(226-1)는 감속부에 고정되어 헬리컬기어(226-3)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고, 상기 회전형 내치기어(226-2)는 고정형 내치기어(226-1)의 정면에 밀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헬리컬기어(226-3)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형 내치기어(226-1)와 회전형 내치기어(226-2)로 구분되고, 사용자의 조작 상황에 따라 고정형 내치기어(226-1)를 고정하는 브레이킹 샤프트(미도시)가 회전형 내치기어(226-2)로 진입하여 회전형 내치기어(226-2)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장치를 정지시킬 수 있는 기계식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형 내치기어(226-2)의 단면에는 본 발명의 주장하는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정면커버(222)가 설치된다. 상기 정면커버(222)는 감속부의 내부공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정면커버(222)가 회전형 내치기어(226-2)에 설치될 경우 외부로부터 감속부의 내부공간을 완벽하게 차폐하게 된다.
상기 정면커버(222)는 기어부(220) 내에서 감속기어(226)의 최전방에 설치됨에 따라 권취부(230)의 수리 또는 교체를 이유로 상기 기어부(220)로부터 권취부(230)를 분해하여도 정면커버(222)의 존재에 의해 감속기어(22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감속부로 진입하는 우수 혹은 결로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면커버(222)는 기어부(220)로부터 권취부(230)의 분리를 자유롭게 하여 수리 및 교체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권취부(230)는 기어부(2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220)와 연결되어 감속된 동력을 이용하여 시설하우스의 피복을 권취한다. 상기 시설하우스는 비닐하우스, 시설원예, 축사 등을 대표해서 사용하는 표현으로 피복재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막거나 열기의 유실 방지 등에 사용하는 시설은 모두 시설하우스에 포함된다 하겠다.
그리고 상기 동력피복개폐기(200)는 단순히 시설하우스의 외부에만 사용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는 내피용개폐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어몸체(221)의 일측에 지지봉 또는 롤러를 추가적으로 부설하여 시설하우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피복재도 상기 동력피복개폐기(20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폐할 수 있는 등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권취부(230)는 피복을 권취하는 권취봉(미도시)과, 상기 정면커버(222) 및 귄취봉을 연결하는 스플라인(231)과, 상기 스플라인(231)을 작동부의 정면에 배치시키는 권취몸체(2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권취몸체(232)는 기어부(220)와의 결합면을 따라 개스킷(240)이 삽입되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우수 혹은 결로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기어부(220)의 내부공간을 방수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취몸체(232)는 스플라인(231)이 수용되는 단부에 리데나(미도시)가 더 삽입됨에 따라 개스킷(240)과 마찬가지로 우수 혹은 결로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기어부(220)의 내부 공간을 방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기어부(220)의 외면 일측에 부설되어 사용자가 이동 혹은 수리 시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작업자 혹은 사용자가 이동시 혹은 수리시에 들고 이동하거나 수리시 상기 손잡이부(250)를 잡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단방향 회전 모터를 이용하여 양방향 구동을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모터(100)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동력피복개폐기(200)를 소형화 할 수 있어 설치 및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교류모터부(210)와 기어부(220) 사이와 상기 기어부(220)와 권취부(230) 사이 결합면마다 개스킷(240)이 삽입되어 방수 기능이 형성되면서 부식과 마모 등이 적극적으로 방지되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모터
110 - 계자 111 - 계자권선
120 - 전기자
130 - 코일
140 - 정류자
150 - 브러시
160 - 축
200 - 동력피복개폐기
210 - 교류모터부
211 - 모터판 212 - 모터커버
220 - 기어부
221 - 기어몸체 222 - 정면커버
223 - 배면커버 224 - 격벽
225 - 공급기어 226 - 감속기어
226-1 - 고정형 내치기어 226-2 - 회전형 내치기어
226-3 - 헬리컬기어 227 - 메인기어
228 - 저장공간
230 - 권취부
231 - 스플라인 232 - 권취몸체
240 - 개스킷
250 - 손잡이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양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후면과 측면을 내포하는 모터커버와, 상기 모터의 전면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커버의 전면을 폐쇄하는 모터판을 포함하는 교류모터부;
    상기 교류모터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감속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와 연결되어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설하우스의 피복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이격시킨 공간에 회전 동작에 필요한 자계를 확립하기 위해 권선되어 있는 계자와, 상기 계자가 형성한 자계 속에서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힘을 받아서 회전력을 생산하는 전기자와, 상기 전기자의 일측에 형성되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유지시켜 주는 정류자와, 상기 정류자의 외면에 접하여 전력을 공급하되 상기 계자권선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정류자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모터판과 결착하며, 기어부의 후면을 커버하는 배면커버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공급기어와,
    상기 공급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메인기어와,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축의 주위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헬리컬 기어와,
    복수개의 상기 헬리컬 기어를 내포하며, 상기 헬리컬 기어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고정형 내치기어와,
    복수개의 상기 헬리컬 기어를 내포하며 상기 고정형 내치기어의 일측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복수개의 상기 헬리컬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형 내치기어와,
    상기 고정형 내치기어를 고정하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형 내치기어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형 내치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브레이킹 샤프트와,
    기어부의 정면을 커버하되, 상기 회전형 내치기어에 결착되어 일체로 회전하며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에 결합되는 상기 권취부의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정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반시계방향으로 11.25° ~ 22.5°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와 권취부 및 기어부와 모터부 사이에 위치하여 우수 혹은 결로로부터 방수가 되게 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
  7. 제3항,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의 외면 일측에 부설되어 사용자가 이동 혹은 수리시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양방향 구동식 동력피복개폐기.
KR1020200086491A 2020-07-14 2020-07-14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 KR102282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491A KR102282572B1 (ko) 2020-07-14 2020-07-14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
PCT/KR2020/014323 WO2022014785A1 (ko) 2020-07-14 2020-10-20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
CN202090001156.0U CN219041556U (zh) 2020-07-14 2020-10-20 大功率双向驱动马达及利用其的电动覆盖物开闭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491A KR102282572B1 (ko) 2020-07-14 2020-07-14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572B1 true KR102282572B1 (ko) 2021-07-27

Family

ID=7712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491A KR102282572B1 (ko) 2020-07-14 2020-07-14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82572B1 (ko)
CN (1) CN219041556U (ko)
WO (1) WO2022014785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416Y1 (ko) 2004-09-24 2004-12-14 주식회사 부성시스템 비닐하우스용 동력피복개폐기
JP2005295687A (ja) * 2004-03-31 2005-10-20 Ntt Data Ex Techno Corp 整流子電動機
KR20080004978U (ko) 2007-04-24 2008-10-29 하영숙 변압기 무정전 교체용 이동형 연료전지차와 이를 이용한배전용 변압기 교체작업 공법
JP2012075269A (ja) * 2010-09-29 2012-04-12 Aisin Seiki Co Ltd 回転電機
KR20120040829A (ko) * 2010-10-20 2012-04-30 주식회사 아모텍 방수구조 워터펌프 모터
KR20160032957A (ko) * 2014-09-17 2016-03-25 (주) 보쉬전장 모터용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JP6258615B2 (ja) * 2013-07-12 2018-01-10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5687A (ja) * 2004-03-31 2005-10-20 Ntt Data Ex Techno Corp 整流子電動機
KR200370416Y1 (ko) 2004-09-24 2004-12-14 주식회사 부성시스템 비닐하우스용 동력피복개폐기
KR20080004978U (ko) 2007-04-24 2008-10-29 하영숙 변압기 무정전 교체용 이동형 연료전지차와 이를 이용한배전용 변압기 교체작업 공법
JP2012075269A (ja) * 2010-09-29 2012-04-12 Aisin Seiki Co Ltd 回転電機
KR20120040829A (ko) * 2010-10-20 2012-04-30 주식회사 아모텍 방수구조 워터펌프 모터
JP6258615B2 (ja) * 2013-07-12 2018-01-10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KR20160032957A (ko) * 2014-09-17 2016-03-25 (주) 보쉬전장 모터용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4785A1 (ko) 2022-01-20
CN219041556U (zh)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1024B (zh) 具有无刷电机的电池驱动的电动工具
CN101369767B (zh) 水下一体化电机推进器
US6555941B1 (en) Brushless permanent magnet motor or alternator with variable axial rotor/stator alignment to increase speed capability
PL1792381T3 (pl) Generator/silnik elektryczny, zwłaszcza do zastosowania w siłowniach wiatrowych, urządzeniach napędu linowego i urządzeniach hydraulicznych
CN102769344A (zh) 可无级变矩和调速的直驱式电动机或发电机
EP1742235A3 (en) Generator
KR100947095B1 (ko) 원격송전 가공전선의 고정용 절연애자
WO2001052386A3 (en) Electric motor with external rotor
CN201172557Y (zh) 一种内驱动电缆卷盘
US20210408881A1 (en)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magnetic action, electric generator using same, and part for same
EP1981163A3 (en) Controller of electric motor
KR102282572B1 (ko) 고출력 양방향 구동 모터와 이를 이용한 동력피복개폐기
CN102082408A (zh) 一种电缆收线装置
US20130038069A1 (en) Disk-shaped coaxial inversion generator and wind driven generating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CN203095286U (zh) 一种恒定拉力装置
CN206787279U (zh) 一种用于回转窑的永磁直驱系统
WO2003026995A3 (en) Combination cable reel
KR20110111894A (ko) 듀얼모터를 이용한 기어식 구동장치
CN204538932U (zh) 一种用于大功率电镐的内置式双绝缘直流无刷电机
CN102452586A (zh) 一种新型电缆收线装置
CN210330502U (zh) 一种异物清理装置
CN209962999U (zh) 基于物联网的数字化操控器通讯装置
CN218370950U (zh) 一种继电保护维护用绕线装置
KR101718706B1 (ko) 고출력유지모터
DE102006047883B3 (de) Elektromotor für ein Elektrohandwerk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