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797B1 -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797B1
KR102281797B1 KR1020210030246A KR20210030246A KR102281797B1 KR 102281797 B1 KR102281797 B1 KR 102281797B1 KR 1020210030246 A KR1020210030246 A KR 1020210030246A KR 20210030246 A KR20210030246 A KR 20210030246A KR 102281797 B1 KR102281797 B1 KR 102281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edicines
low
information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솔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솔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솔팜
Priority to KR1020210030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은 공급할 의약품의 저온관리 규격정보를 제공하는 공급자 단말; 상기 공급자 단말에서 제공한 저온관리 규격정보를 기초로 공급자가 납품한 의약품의 저온관리 보관환경을 조절하는 의약품 시설관리부;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의 의약품 저온관리환경과 동일한 저온관리 환경을 유지하여 수취자에게 해당 의약품을 이송하는 의약품 이송부; 및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취자 정보, 상기 저온관리 규격정보, 유통량을 전달받아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에 저장 및 등록하고, 의약품의 거점이동 및 상기 거점이동에 따른 의약품의 보관온도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의 노드(블록)에 기록하는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on history information of medicines applied with cold chain through blockchain network}
본 발명은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콜드체인(Cold chain)이란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 식품류, 화훼류, 의약품 등 온도 민감성 제품의 생산, 저장, 운송, 판매, 배송에 이르기까지 유통 전 과정에 걸쳐 적정한 온도로 관리하여 물품의 품질과 안전을 보장하는 저온 유통 시스템이다.
콜드체인 시스템의 본질적인 목적은 대상물을 적정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대상물의 선도 및 가치를 연장시키는 것에 있다. 콜드체인은 온도 유지를 보장하는 공급 사슬이므로 유통 과정 중 어느 한 사슬이라도 끊어지면 전체 시스템이 효과를 낼 수 없다. 전체 콜드체인 시스템의 인증, 표준화 및 검증(validation)이 요구되는 이유다.
그러나, 한국은 축산물을 제외하고는 의약품에 대한 대한 인증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콜드체인 프로세스에 대한 인증 및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온도 민감성 제품, 예컨대, 의약품 운송을 위탁하는 사용자들은 서비스 공급자를 검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보장 온도, 온도 유지 시간은 물론 적정한 가격, 단열 효율, 물류 효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의약품 유통 패키팅 추천에 대한 니즈가 존재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0718호 (발명의 명칭: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갖는 유통 이력 추적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드체인이 적용된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은 콜드체인 유통이력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공급할 의약품의 저온관리 규격정보를 제공하는 공급자 단말; 상기 공급자 단말에서 제공한 저온관리 규격정보를 기초로 공급자가 납품한 의약품의 저온관리 보관환경을 조절하는 의약품 시설관리부;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의 의약품 저온관리환경과 동일한 저온관리 환경을 유지하여 수취자에게 해당 의약품을 이송하는 의약품 이송부; 및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취자 정보, 상기 저온관리 규격정보, 유통량을 전달받아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에 저장 및 등록하고, 의약품의 거점이동 및 상기 거점이동에 따른 의약품의 보관온도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의 노드(블록)에 기록하는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 및 상기 의약품 이송부는 상기 저온관리 규격정보에 기초하여 의약품의 보관환경을 저온관리환경으로 관리하는 스마트 저온관리시스템이 구축된 시설로서, 의약품의 종류 별로 보관하기 위하여 영하 100 ~ 영상 10도 범위의 온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클린룸이고, 상기 의약품 이송부는 상기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로 실시간 적재된 의약품의 유지온도, 적재함 진동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이송될 의약품에 발행된 공개키 값을 통해 상기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의 노드 내에 저장된 의약품 보관정보를 수신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은 공급할 의약품의 품목, 수량, 수취자 정보를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는 상기 공급자 단말에서 입력한 의약품의 유통이력을 추적하기 위한 블록체인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의약품의 거점이동 및 상기 거점이동에 따른 의약품의 보관온도에 대한 트랜잭션이 생성될 때 마다 신규 블록체인 노드를 생성하여 발생되는 트랜잭션 정보를 저장 및 등록하기 위하여,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 간의 연계상태를 관리하고, 외부 침임 및 노출 방지를 위하여 사용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의약품의 품목, 수취자, 저온보관상태, 거점이동에 대한 트랜잭션 검증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부; 상기 공급자 단말에서 공급하는 의약품에 대한 제조일자, 출고일자, 유통기한, 보관온도, 공급수량을 포함하는 의약품에 할당되어 생성된 복수의 노드에 해당 정보들을 분산하여 저장하고, 의약품이 거점에 따라 이동할 때마다 의약품의 보관상태정보(콜드체인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에서 트랜잭션이 생성될 때 마다의 블록을 생성하여 생성된 블록의 해시값, 타임스탬프, 암호화 키 저장값, 트랜잭션 해시값을 저장하고, 의약품의 관리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하이퍼레져 패브릭(Hyperledger Fabric)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의약품 보관상태정보가 저장된 블록에 함께 저장하는 트랙잭션 생성 및 등록부;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 및 상기 의약품 이송부 내에 구축된 저온관리시스템의 동작상태를 검증하고, 상기 구축된 저온관리시스템의 재원정보로 각 보관실 별 온도관리상태가 유지되는 지를 검증하는 시설관리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는 의약품의 온도가 상기 저온관리 규격정보 내에 기록된 온도범위를 벗어날 경우, 온도 확인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신규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하고, 상기 콜드체인 유통이력 서비스 플랫폼은 공급자 및 수취자 간의 1:1 채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 상기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로 의약품의 종류, 의약품의 콜드체인 보관이력정보, 거점이동에 따른 의약품의 온도확인 트랜잭션을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콜드체인 유통 이력 인터페이스; 공급자가 입력한 의약품이 출하시점부터 수취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의약품을 저온보관하는 저온보관시스템의 보관상태정보를 요청하여 수취자 단말 또는 공급자 단말에서 확인하기 위한 저온관리시스템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관리시스템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는 공급자 단말 또는 수취자 단말에서 입력한 의약품에 발급된 공개키 값을 확인한 후, 해당 공개키 값을 기초로 의약품을 저온보관했거나 또는 저온보관할 예정인 저온관리시스템의 저온동작환경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면, 첫째, 의약품 공급 거래 시에 기관 간 거래를 위해 이용되는 서류 작업이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참여자 간의 합의를 통해 분산 공유하게 되므로 데이터 변조 및 조작 측면에서 서류 교환 방식보다 안전하고 투명하게 의약품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급자와 공급자가 허용한 수용자에게만 의약품 정보기록이 공유되고, 수요자 별로 권한이 다르게 부여되므로,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의약품은 보관 온도와 기준이 존재하기 때문에 재고 관리의 어려움 뿐만 아니라, 의약품 이송과정 중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의약품의 제조, 보관, 이송 등의 전 과정에서 의약품의 콜드체인 이력을 실시간 기록 관리하고, 기록된 정보를 공급자와 수취자에게만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본원은 의약품의 콜드체인 유통이력 중 적정 온도를 벗어난 의약품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에 대한 삭제 및 수정행위 또한 기록함으로써, 의약품의 온도, 보관상태에 대한 인위적인 위변조 행위를 근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약품 관리시설 내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장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약품 유통이력 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원의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 구조의 아키텍처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의약품의 온도확인 트랜잭션의 발행과정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의약품의 유통이력에 대한 트랜잭션이 발생되는 각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의약품의 저온관리상태가 기록된 유통이력정보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하고, 원본증명, 무결성 보안성을 증명 및 검증하기 위한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패브릭은 프라빗 블록체인으로, 종래의 퍼블릭 블록체인은 가지지 않는 또는 필요없는 합의 알고리즘의 선택적 사용, 네트워크 참여 권한 통제, 채널 및 멀티 장부 사용 등의 추가적인 여러 기능들을 가진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허가형 블록체인으로서 허가 받은 참여자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 컨트랙트에 일반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스마트 컨트랙트를 일부 노드만 실행하므로 다수의 거래를 병렬적으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넷째, 채널을 이용해 허가받은 사람들에게만 장부(ledger)를 공개할 수 있다.
다섯째, 교체 가능한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SOLO, Kafka 방식, PBFT 등)
여섯째, 허가형 블록체인으로써 네트워크 참여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 발생시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
한편,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은 기본적으로 SOLO(Single Ordering Service Node)라는 싱글 노드 방식과 Kafka 방식이라는 CFT(Crash fault tolerance) 기반 합의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Kafka 방식이 가지는 성질인 CFT(Crash fault tolerance)란 일부 시스템 구성 요소들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올바른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기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주로 사용되는 BFT(Byzantine fault tolerance) 시스템은 시스템 구성요소의 기능적 문제뿐 아니라 악의적인 공격(Malicious attack)까지 고려하므로 CFT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더욱 복잡하며 느리다.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 특정 주체의 승인(Permission)이 필요하지 않은 퍼블릭 블록체인들과는 달리 프라이빗 블록체인에는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참여자만 관리자의 승인을 받고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되므로 악의적인 주체(Malicious actors)의 공격 확률이 매우 작을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는 BFT 기반 합의 프로토콜보다 더 빠르고 간단한 합의 프로토콜 또한 허용 가능한 범위로 간주된다.
패브릭을 사용하는 조직은 지원하는 합의 방식을 사용하거나 직접 구현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합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특성을 패브릭에서는 '교체 가능한 합의 프로토콜(Pluggable consensus)을 지원한다'고 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는 어떤 네트워크 참여자가 어떤 권한을 가지는지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그룹 별로 네트워크의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은 관리자에 의해 정해져 Network Configuration에 저장된다. 또한, 이를 위해 참여자의 ID와 권한을 관리할 주체가 필요하므로, Certificate Authority(이하 CA)가 필요하다. 간단히 말해 CA는 디지털 증명서(Digital certificate)를 발급하는 기관이다. 패브릭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그룹들은 모두 개별 CA를 이용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그룹 또는 조직(Group or organization)
·오더링 서비스 노드들 (Ordering service nodes)
·CA(Certificate Authority)
·컨소시엄(Consortium)
·채널(Channel)
·채널 설정(Channel configuration)
·장부(Ledger)
·피어(Peer)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Client application)
위의 요소들은 모두 하나 또는 여러 개가 네트워크에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요소들은 추가되어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컨소시엄(Consortium)의 사전적 정의는 '함께 협력하기로 동의한 사람 또는 회사의 집단'이다. 하이퍼레져 패브릭에서는 조직들이 하나의 컨소시엄을 구성하면 그 조직들은 트랜잭션 내역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하이퍼레져 패브릭안의 컨소시엄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트랜잭션 내역을 공유하며 협력하는 집단'이라고 볼 수 있겠다. 하나의 네트워크에는 여러 컨소시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어떤 그룹들이 어떤 컨소시엄을 이루는지는 네트워크 설정 안에 정의된다.
다음으로, 채널(Channel)은 하이퍼레져 패브릭에서 매우 중요한 컨소시엄 내 그룹간 커뮤니케이션 메커니즘이다. 채널은 데이터 분리(data isolation)와 기밀화를 가능케 하며, 채널용 장부(channel-specific ledger)는 채널 사용 허가를 받은 컨소시엄 멤버들만이 접근 가능하다. 네트워크 설정(Network Configuration)과 별개로 채널 설정(Channel configuration)이 존재하여, 채널 설정 정보에는 채널(Channel)에 접근할 수 있는 피어(peer)의 권한 정보 등 채널 운영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
채널 설정 정보는 블록에 담겨 장부에 기록된다. 채널(Channel)은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지만 네트워크 설정(Network configuration)과 채널 설정 사이 중복되는 설정이 없으므로, 네트워크 설정이 변경되어도 채널 설정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 프라이버시(Privacy)를 유지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공유(data sharing)가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채널은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은 가지지 못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능이다.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는 여러 컨소시엄들이 사용하는 채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에서 장부(Ledger)란 '변경 불가능한 상태 데이터 베이스(immutable state database)'이다. 하이퍼레져 패브릭에서는 한 채널이 한 장부를 가진다. 이 장부를 물리적으로 호스팅 하는 노드들은 피어(Peer)라고 불리며, 한 채널 안의 여러 피어들이 한 장부의 복사본을 가진다. 장부의 업데이트는 여러 피어들의 합의(Consensus)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피어(Peer)는 장부(Ledger)를 물리적으로 호스팅하고 Chaincode(하이퍼레져 패브릭의 smart contract)를 저장하고 있는 독립체(entity)이다. 피어(Peer)는 CA로부터 Identity를 배정 받고 채널에 참여할 수 있다. 한편,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는 아래와 같은 순으로 트랜잭션이 일어난다.
1.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SDK를 통해 트랜잭션 제안(transaction proposal)을 발생시킨다.
2. 체인코드의 보증 정책(endorsing policy)에 명시된 노드들(endorsing peers)은 체인코드를 실행한다.
3. 각 결과값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된다.
4. 결과값이 보증 정책을 만족시키면, 결과값은 오더링 서비스(ordering service)에 전달된다.
5. 오더링 서비스는 먼저 도착한 순으로 블록을 만들어 채널의 모든 피어(peer)들에게 전달한다.
6. 모든 피어는 도착한 블록이 보증 정책을 만족시키는지, 장부 상태(ledger state)가 트랜잭션이 일어나는 동안 바뀌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7. 각 피어들은 블록을 채널의 체인에 덧붙이며, 장부의 상태를 업데이트 한다.
여기까지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조 및 트랜잭션 순서를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약품 관리시설 내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장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의약품 유통이력 관리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원의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 구조의 아키텍처의 일 예시도이고, 도 6은 의약품의 온도확인 트랜잭션의 발행과정을 설명한 예시도이고, 도 7은 의약품의 유통이력에 대한 트랜잭션이 발생되는 각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의약품 유통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드체인 기반의 의약품 유통 시스템(100)은 공급자 단말(200), 의약품 냉장/냉동 보관부(300), 콜드체인 관리서버(400) 및 수취자 단말(500)를 포함한다.
각 구성들(200, 300, 400, 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할 것이다.
먼저, 공급자 단말(200)은 의약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공급자 단말(200)은 플랫폼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콜드체인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콜드체인 대상물인 의약품의 보관상태 및 해당 의약품이 보관될 콜드체인 보관시설의 환경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상기 공급자 단말(200)은 플랫폼을 통해 의약품이 보관될 콜드체인 보관시설의 통신부와 연동되어, 해당 보관시설에 적재된 의약품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공급자 단말(200)은 플랫폼을 통해 공급할 의약품의 종류에 따른 보관적정온도, 습도, 환기, 출고날짜, 유통기한 등에 대한 보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 단말(200)은 공급한 의약품 내에 부착된 타임스탬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수취자로 하여금 도난, 위조 여부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 단말(200)은 플랫폼을 통해 수취자에게 공급될 의약품 별 공급루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급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약품 시설관리부(10)는 상기 공급자 단말에서 제공한 의약품 관리환경정보를 기초로 적재된 의약품의 관리환경상태를 조절하는 스마트 저온관리 시스템이 구비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10)는 제조된 의약품을 적재하는 공간으로, 제조시설과 같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10)는 의약품의 종류 별로 보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저온실이 구비될 수 있고, 영하 100 ~ 영상 10도 범위의 온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클린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10)은 의약품을 저온관리하여 안전하게 보관 및 유지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10)는 입고 또는 출고되는 제품(W)의 코드
(C)를 인식하는 센서, 내부에 적재된 의약품의 온도, 보관 상태, 분실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열화상 카메라, 초음파 및 레이더, 창고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센서, 열화상 카메라, 초음파, 레이더 및 온습도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온습도 센서, 열화상 카메라, 초음파, 레이더 및 온습도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에 따라 창고 내부 환경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위치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의약품 시설관리부(10)는 후술하는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400)로 저온보관 중인 의약품의 저온관리상태정보를 제공하는 저온관리시스템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의약품 이송부(300)는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의 의약품 관리환경상태와 동일한 관리환경상태를 유지하여 수취자에게 해당 의약품을 이송하기 위한 저온관리시스템이 구비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의약품 이송부(30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후술하는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400)로 실시간 적재된 의약품의 관리상태정보(유지온도, 적재함 진동정보 등)를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이송부(300)는 공급자 단말(200)로부터 이송될 의약품에 발행된 공개키 값를 통해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400)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의 노드 내에 저장된 의약품 보관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500)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의약품의 관리이력 및 등록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400)는 블록체인의 하나의 노드로 중앙 집중형이 아니기 때문에 서버에서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지는 않지만, 데이터가 추가 및 변경되어야 할 때 블록을 생성하는 채굴(마이닝)을 서버의 네트워크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을 소모시켜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400)는,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 시장을 위해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의약품 및 의약품을 이용하는 수취자(병원, 약국, 검사소 등)의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하고 패턴을 추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400)는, 의약품의 관리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저장함으로써 위변조로 인한 범죄나 사기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400)는 공급자 단말(20)에서 제공된 의약품 관리정보 및 수취자 정보, 의약품 이송부(300)에서 전송한 의약품 관리환경상태 정보를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분산저장하고, 상기 의약품이 수취자에게 인도되는 시점까지의 상기 의약품의 관리환경정보 및 상기 관리환경에 대한 변동사항을 상기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400)는 의약품 이송부(300)에서 암호화 코드로 접속시 해당 암호화 코드로 할당되어 분산저장된 블록체인 노드의 주소정보를 의약품 이송부로 전송하여 의약품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의약품의 관리환경상태 정보를 수신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4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부(410), 트랜잭션 생성 및 등록부(420), 시설관리 검증부(430) 및 플랫폼 제공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부(410)는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 간의 연견상태를 관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예로,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인 그룹 또는 조직Group or organization), 오더링 서비스 노드들 (Ordering service nodes), CA(Certificate Authority), 컨소시엄(Consortium), 채널(Channel), 채널 설정(Channel configuration), 장부(Ledger), 피어(Peer) 및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Client application)의 노드를 관리하고 또한 노드들 간에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확장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부(410)는 외부 침입 및 노출 방지를 위하여 사용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의약품의 품목, 수취자, 저온보관상태, 거점이동 등에 대한 트랙잭션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트랜잭션 생성 및 등록부(420)는 공급자 단말(200)에서 공급하는 의약품에 대한 제조일자, 출고일자, 유통기한, 보관온도, 공급수량 등을 포함하는 의약품에 할당되어 생성된 복수의 노드에 해당 정보들을 분산하여 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의약품이 거점에 따라 이동할 때마다 의약품의 보관상태정보(콜드체인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후술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에서 트랜잭션이 생성될 때 마다의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의 해시값, 타임스탬프, 암호화 키 저장값, 트랜잭션 해시값을 생성하면, 상기 의약품 관리정보 등록부에서 생성된 블록 내에 해당 해시값, 타임스탬프, 암호화 키 저장값, 트랜잭션 해시값을 저장한다.
또한, 의약품의 관리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하이퍼레져 패브릭(Hyperledger Fabric)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의약품 보관상태정보가 저장된 블록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온도 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의약품은 폐기 처리 대상으로 결정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시설관리부 검증부(430)는 의약품 시설관리부 및 의약품 이송부 내에 구축된 저온관리시스템의 동작상태를 검증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시설관리부 검증부(430)는 의약품 시설관리부 및 의약품 이송부 내에 구축된 저온관리시스템의 재원정보로 각 보관실 별 온도관리상태가 유지되는 지를 검증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는 의약품이 공급자(제조사)에서 수취자에게 인도되기까지의 의약품 유통이력(저온관리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의약품 관리시설(10)의 저온관리시스템 및 의약품 이송부의 저온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한 의약품 관리변동정보에 대해서도 공급자 및 수취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플랫폼 제공부(550)는 공급자 단말 및 수취자 단말로 콜드체인 유통이력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하는 콜드체인 유통이력 서비스 플랫폼(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자 단말 및 수취자 단말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콜드체인 유통이력 서비스 플랫폼(10)은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공급자 및 수취자에게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①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 ②콜드체인 유통이력 인터페이스, ③ 저온관리시스템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는 공급자 및 수취자 간의 1:1 채팅 서비스를 지원한다.
상기 콜드체인 유통 이력 인터페이스는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500)로 의약품의 종류, 의약품의 콜드체인 보관이력정보, 거점이동에 따른 의약품의 온도확인 트랜잭션을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온관리시스템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는 공급자가 입력한 의약품이 출하시점부터 수취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의약품을 저온보관하는 저온보관시스템의 보관상태정보를 요청하여 수취자 단말 또는 공급자 단말에서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참고로, 저온관리시스템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는 공급자 단말 및/또는 수취자 단말에서 입력한 의약품에 발급된 공개키 값을 확인한 후, 해당 공개키 값을 기초로 의약품을 저온보관했거나 또는 저온보관할 예정인 저온관리시스템의 저온동작환경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언급하는 저온관리시스템은 의약품 유통이력관리서버와 네트워크 통신하여 의약품의 저온보관환경을 제시하고, 해당 저온보관환경정보는 의약품의 품목별, 거점별로 생성된 블록들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콜드체인이 적용된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면, 첫째, 의약품 공급 거래 시에 기관 간 거래를 위해 이용되는 서류 작업이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참여자 간의 합의를 통해 분산 공유하게 되므로 데이터 변조 및 조작 측면에서 서류 교환 방식보다 안전하고 투명하게 의약품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급자와 공급자가 허용한 수용자에게만 의약품 정보기록이 공유되고, 수요자 별로 권한이 다르게 부여되므로,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의약품은 보관 온도와 기준이 존재하기 때문에 재고 관리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의약품 이송과정 중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의약품의 제조, 보관, 이송 등의 전 과정에서 의약품의 콜드체인 이력을 실시간 기록 관리하고, 기록된 정보를 공급자와 수취자에게만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본원은 의약품의 콜드체인 유통이력 중 적정 온도를 벗어난 의약품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에 대한 삭제 및 수정행위 또한 기록함으로써, 의약품의 온도, 보관상태에 대한 인위적인 위변조 행위를 근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
200: 공급자 단말
300: 의약품 이송부
400: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
410: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부
420: 트랜잭션 생성 및 등록부
430: 시설관리부 검증부
440: 플랫폼 제공부

Claims (5)

  1. 콜드체인 유통이력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공급할 의약품의 저온관리 규격정보를 제공하는 공급자 단말;
    상기 공급자 단말에서 제공한 저온관리 규격정보를 기초로 공급자가 납품한 의약품의 저온관리 보관환경을 조절하는 의약품 시설관리부;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의 의약품 저온관리환경과 동일한 저온관리 환경을 유지하여 수취자에게 해당 의약품을 이송하는 의약품 이송부; 및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수취자 정보, 상기 저온관리 규격정보, 유통량을 전달받아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에 저장 및 등록하고, 의약품의 거점이동 및 상기 거점이동에 따른 의약품의 보관온도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하이퍼레저 패브릭 블록체인의 노드(블록)에 기록하는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 및 상기 의약품 이송부는
    상기 저온관리 규격정보에 기초하여 의약품의 보관환경을 저온관리환경으로 관리하는 스마트 저온관리시스템이 구축된 시설로서, 의약품의 종류 별로 보관하기 위하여 영하 100 ~ 영상 10도 범위의 온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클린룸이고,
    상기 의약품 이송부는 상기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로 실시간 적재된 의약품의 유지온도, 적재함 진동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로부터 이송될 의약품에 발행된 공개키 값을 통해 상기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의 노드 내에 저장된 의약품 보관정보를 수신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자 단말은
    공급할 의약품의 품목, 수량, 수취자 정보를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는
    상기 공급자 단말에서 입력한 의약품의 유통이력을 추적하기 위한 블록체인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의약품의 거점이동 및 상기 거점이동에 따른 의약품의 보관온도에 대한 트랜잭션이 생성될 때 마다 신규 블록체인 노드를 생성하여 발생되는 트랜잭션 정보를 저장 및 등록하기 위하여,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 간의 연계상태를 관리하고, 외부 침임 및 노출 방지를 위하여 사용자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의약품의 품목, 수취자, 저온보관상태, 거점이동에 대한 트랜잭션 검증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관리부;
    상기 공급자 단말에서 공급하는 의약품에 대한 제조일자, 출고일자, 유통기한, 보관온도, 공급수량을 포함하는 의약품에 할당되어 생성된 복수의 노드에 해당 정보들을 분산하여 저장하고, 의약품이 거점에 따라 이동할 때마다 의약품의 보관상태정보(콜드체인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부에서 트랜잭션이 생성될 때 마다의 블록을 생성하여 생성된 블록의 해시값, 타임스탬프, 암호화 키 저장값, 트랜잭션 해시값을 저장하고, 의약품의 관리온도를 확인하기 위한 하이퍼레져 패브릭(Hyperledger Fabric)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의약품 보관상태정보가 저장된 블록에 함께 저장하는 트랙잭션 생성 및 등록부;
    상기 의약품 시설관리부 및 상기 의약품 이송부 내에 구축된 저온관리시스템의 동작상태를 검증하고, 상기 구축된 저온관리시스템의 재원정보로 각 보관실 별 온도관리상태가 유지되는 지를 검증하는 시설관리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는
    의약품의 온도가 상기 저온관리 규격정보 내에 기록된 온도범위를 벗어날 경우, 온도 확인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신규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하고,
    상기 콜드체인 유통이력 서비스 플랫폼은
    공급자 및 수취자 간의 1:1 채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
    상기 의약품 유통 관리서버로 의약품의 종류, 의약품의 콜드체인 보관이력정보, 거점이동에 따른 의약품의 온도확인 트랜잭션을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콜드체인 유통 이력 인터페이스;
    공급자가 입력한 의약품이 출하시점부터 수취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의약품을 저온보관하는 저온보관시스템의 보관상태정보를 요청하여 수취자 단말 또는 공급자 단말에서 확인하기 위한 저온관리시스템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관리시스템 모니터링 인터페이스는 공급자 단말 또는 수취자 단말에서 입력한 의약품에 발급된 공개키 값을 확인한 후, 해당 공개키 값을 기초로 의약품을 저온보관했거나 또는 저온보관할 예정인 저온관리시스템의 저온동작환경정보를 표시하는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30246A 2021-03-08 2021-03-08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 KR102281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46A KR102281797B1 (ko) 2021-03-08 2021-03-08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46A KR102281797B1 (ko) 2021-03-08 2021-03-08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797B1 true KR102281797B1 (ko) 2021-07-27

Family

ID=7712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246A KR102281797B1 (ko) 2021-03-08 2021-03-08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7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845B1 (ko) * 2022-08-05 2023-04-11 주식회사 체인익스빌 블록체인 기술로 위변조가 불가능한 의약품의 운송 및 보관 과정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생성하며 의약품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의약품의 현재 품질상태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콜드체인 플랫폼의 운영방법
WO2023128239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이력관리 시스템
WO2023211095A1 (en) * 2022-04-25 2023-11-02 Cj Logist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and medicin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CN117575634A (zh) * 2024-01-15 2024-02-20 首都医科大学 基于区块链的皮肤科药品溯源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367A (ko) * 2014-04-18 2015-10-29 주식회사 루키스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과실율 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2239A (ko) * 2017-09-18 2019-03-27 화이트윙시스템(주)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갖는 유통 이력 추적 시스템
KR20190115525A (ko) * 2018-03-20 2019-10-14 주식회사 워너버스이노베이션 블록체인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0718A (ko) 2020-04-02 2020-04-20 화이트윙시스템(주)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갖는 유통 이력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367A (ko) * 2014-04-18 2015-10-29 주식회사 루키스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과실율 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2239A (ko) * 2017-09-18 2019-03-27 화이트윙시스템(주)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갖는 유통 이력 추적 시스템
KR20190115525A (ko) * 2018-03-20 2019-10-14 주식회사 워너버스이노베이션 블록체인을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0718A (ko) 2020-04-02 2020-04-20 화이트윙시스템(주)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갖는 유통 이력 추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39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우경정보기술 블록체인 기반 이력관리 시스템
WO2023211095A1 (en) * 2022-04-25 2023-11-02 Cj Logist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and medicin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KR102519845B1 (ko) * 2022-08-05 2023-04-11 주식회사 체인익스빌 블록체인 기술로 위변조가 불가능한 의약품의 운송 및 보관 과정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생성하며 의약품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최종 소비자에게 의약품의 현재 품질상태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콜드체인 플랫폼의 운영방법
CN117575634A (zh) * 2024-01-15 2024-02-20 首都医科大学 基于区块链的皮肤科药品溯源系统及方法
CN117575634B (zh) * 2024-01-15 2024-03-15 首都医科大学 基于区块链的皮肤科药品溯源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797B1 (ko) 의약품의 유통이력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시스템
Saxena et al. Blockchain based solutions to secure IoT: Background, integration trends and a way forward
Uddin Blockchain Medledger: Hyperledger fabric enabled drug traceability system for counterfeit drugs in pharmaceutical industry
Rahmadika et al. Blockchain technology for providing an architecture model of decentralize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CA3118511C (en)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individualized medicine platform
Zubaydi et al. A review on the role of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healthcare domain
US10147502B2 (en) Data driven schema for patient data exchange system
Rajput et al. A blockchain-based secret-data sharing framework for personal health records in emergency condition
Zubaydi et al. Leveraging blockchain technology for ensuring security and privacy aspects in internet of thing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Li et al. DMMS: A decentralized blockchain ledger for the management of medication histories
Rodrigues et al. The use of blockchains: Application-driven analysis of applicability
Hulea et al. Pharmaceutical cold chain management: Platform based on a distributed ledger
Al-Sumaidaee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 private blockchain network built on Hyperledger Fabric for healthcare
Zhang et al. Blockchain solutions for healthcare
Li et al. A novel system for medical equipment supply chain traceability based on alliance chain and attribute and role access control
Hang et al. Blockchain for applications of clinical trials: Taxonomy,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Alzubi et al. A blockchain‐enabled security management framework for mobile edge computing
Sarkar Blockchain for combating pharmaceutical drug counterfeiting and cold chain distribution
Sathish et al. A survey on Blockchain mechanisms (BC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s
Hameedi et al. Improving IoT data security and integrity using lightweight blockchain dynamic table
Pincheira et al. A decentralized architecture for trusted dataset sharing using smart contracts and distributed storage
Sharma et al. A novel Hyperledger blockchain-enabled decentralized application for drug discovery chain management
Egala et al. CoviBlock: A secure blockchain-based smart healthcare assisting system
Ugochukwu et al. Enhancing Logistics With the Internet of Things: A Secured and Efficient Distribution and Storage Model Utilizing Blockchain Innovations and Interplanetary File System
Tapas et al. P4uiot: Pay-per-piece patch update delivery for iot using gradual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