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391B1 -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391B1
KR102281391B1 KR1020210039249A KR20210039249A KR102281391B1 KR 102281391 B1 KR102281391 B1 KR 102281391B1 KR 1020210039249 A KR1020210039249 A KR 1020210039249A KR 20210039249 A KR20210039249 A KR 20210039249A KR 102281391 B1 KR102281391 B1 KR 102281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unit
plate
separator
form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메탈
Priority to KR102021003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3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21D19/14Reinforcing edges, e.g. armour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separator; and a forming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separator and includes drive shafts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through a driving unit, forming a pai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in multiple rows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eparator, and forming rollers installed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drive shafts, formed to have the same or different diameters from each other, and alternately forming materials of inner or outer plates used for a fire door. Th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ternately form steel plates, which are materials used for inner and outer plates of a fire door, and can form the steel plates regardless of fire door size.

Description

포밍기{FORMING APPARATUS}Forming machin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방화문에 사용되며 철 재질로 형성되는 내판과 외판을 교대로 포밍하는 포밍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ming machine used for a fire door and alternately forming an inner plate and an outer plate formed of an iron material.

일반적으로 포밍기는 화재시 화염의 전파를 차단시키기 위해 철판으로 형성되는 방화문의 문틀을 포밍하기 위해 사용된다.In general, a forming machine is used to form a door frame of a fire door formed of an iron plate to block the propagation of flames in case of fire.

이에 따른 종래의 포밍기는 2개의 수직판을 포함하는 베드와, 이 수직판의 내부에 방화문에 사용되는 철판을 포밍하는 다수개의 회동 가능한 롤러가 장착된 포밍부와, 상기 베드에 고정되어 롤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ccordance with this, the conventional forming machine includes a bed including two vertical plates, a forming part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rotatable rollers for forming an iron plate used for a fire door inside the vertical plate, and a driving force fixed to the bed and applied to the rollers It is composed of a driving means that provides

이러한 구성에 따른 종래의 포밍기는 방화문에 사용되는 철판을 사용함에 있어서 양 수직판의 내폭 길이보다 규격이 큰 철판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use a steel plate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inner width length of both vertical plates when using the iron plate used for the fire door.

즉 양 수직판의 내폭 길이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철판을 포밍하기 위해서는 양 수직판의 내폭 길이에 맞는 규격의 철판을 선택 사용해야만 했다.In other words, since the length of the inner width of both vertical plates is fixed, in order to form the steel plate, it was necessary to select and use a steel plate of a standard suitable for the inner width of both vertical plates.

그리고 양 수직판의 내폭 길이보다 규격이 큰 철판을 사용할 경우 절단기등을 이용하여 포밍할 수 있도록 양 수직판의 내폭 길이에 맞게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 작업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소비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a steel plate that is larger than the inner width of both vertical plates, it is cumbersome to cut according to the inner width of both vertical plates so that it can be formed using a cutter, etc. There is a problem being

한편 방화문에 사용되는 철판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밍기외에 절곡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절곡기를 사용할 경우 10 ~ 13회 정도의 공정을 통해 철판을 절곡하기 때문에 철판을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공정에 사용되는 금형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비용에 대한 부담이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forming machine used to manufacture the steel plate used for the fire door, a bending machine may be used. However, when using a bending machine, it takes a lot of time to manufacture the steel plate because it bends the steel plate through a process of about 10 to 13 times, and there is a burden on the cost because the price of the mold used in the process is high.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185031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50311

본 발명은, 방화문의 내판과 외판으로 사용되는 소재인 철판을 교대로 포밍할 수 있으며, 방화문의 규격에 제한을 받지 않고 포밍할 수 있고, 방화문의 크기에 상관 없이 포밍할 수 있는 포밍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ming machine capable of alternately forming an iron plate, a material used as an inner plate and an outer plate of a fire door, capable of forming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pecifications of the fire door, and capable of forming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ire door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밍 전과 후에 소재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한 방화문을 제공할 수 있는 포밍기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ing machine capable of providing a clean fire door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material before and after form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밍이 완료된 소재를 작업자가 선자세로 용이하게 들어서 옮기도록 할 수 있는 포밍기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rming machine that allows the operator to easily lift and move the forming material in a standing posi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는, 분리대; 상기 분리대에 설치되되, 구동부를 통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상,하 방향 한 쌍을 이루고 수평 방향의 다수 열로 배열되면서 양측이 분리대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 및 상기 분리대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측의 구동축 및 하측의 구동축에 각각 장착되고 서로 동일한 직경 또는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방화문에 사용되는 내판 또는 외판의 소재를 교대로 포밍하는 포밍롤러; 상기 포밍롤러를 대체하여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도록 나선홀을 가지며, 서로 상이한 형상 또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부가 포밍롤러; 상기 분리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동구동부; 상기 이동구동부에 의해 상기 분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2 전,후진 구동부; 상기 제1 전,후진 구동부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어 상기 분리대의 일측으로 돌출된 포밍롤러의 상측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탈되며, 상측과 하측에 위치된 포밍롤러의 가장자리 부위를 향해 각각 빛을 발광 및 수광하여 상기 포밍롤러의 마모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포밍롤러의 교체신호를 출력하는 제1 마모율 감지부; 상기 제2 전,후진 구동부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어 상기 분리대의 타측으로 돌출된 포밍롤러의 상측에 각각 위치되거나 또는 이탈되며, 상측과 하측에 위치된 포밍롤러의 가장자리 부위를 향해 빛을 발광 및 수광하여 상기 포밍롤러의 마모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포밍롤러의 교체신호를 출력하는 제2 마모율 감지부; 상기 분리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포밍 전 소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이물질 제거부; 상기 제1 이물질 제거부에 후행되어 작동되며, 상기 소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포밍성형부에 의해 포밍이 완료된 소재를 일정한 기울기로 기립시키는 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외주연과 상기 포밍롤러에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나선 및 나선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물질 제거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 및 상기 가압실린더에 의해 각각 전진되면서 소재의 가장자리면을 가압하는 가압판을 포함하여 상기 소재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고정부; 상기 소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각각 여러겹으로 포개지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소재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한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부착필름; 및 상기 부착필름이 상기 소재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을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소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기; 상기 소재의 일면 또는 타면을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 및 상기 소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열을 가해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기와 스크래퍼 및 건조부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의 이동판에 공동으로 고정되어 상기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기립부는, 상기 포밍이 완료된 소재가 안착되는 안착판; 상면 일측이 상기 안착판의 저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면과 안착판의 저면에 공동으로 힌지 결합되고, 신장 작동에 의해 상기 안착판을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기립실린더;를 포함한다.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or; A drive shaft installed in the separator,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hrough a drive unit, forming a pai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arranged in multiple r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oth sides projecting to both sides of the separator, and an upper driving shaft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separator and forming roller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lower drive shaft and formed to have the same or different diameters and alternately forming the material of the inner or outer plate used in the fire door; a plurality of additional forming rollers having a spiral hole to be coupled to the drive shaft instead of the forming roller, and formed to have different shapes or sizes; a moving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a moving plate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parator by the moving driving unit; first,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The first forward or backward driving unit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is located above or separated from the forming roller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eparator, and emits and receives light toward the edge of the forming roller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replacement signal of the forming roller when the wear rate of the forming roll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second forward or backward driving unit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is respectively located or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orming roller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or, and emits and receives light toward the edge of the forming roller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replacement signal of the forming roller when the wear rate of the forming roll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a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materials present on on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material before forming; a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operated following the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on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material; and a standing part for standing the material, which has been formed by the forming part, at a constant inclination, wherein a spiral and a spiral hole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e shaft and the forming roller to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1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includes a pair of pressure cylinder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ressure plate that presses the edge surface of the material while being advanced by the pressure cylinder, respectively, and a fixing unit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 plate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terial; an adhesive film fixed to the base plate in a form overlapping each of several layers and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material; and a lifting cylinder for raising or lowering the base plate, respectively, so that the attachment film is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terial, wherein the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sprays steam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material steamer; a scraper for scraping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and a drying unit for drying by applying heat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wherein the steamer, scraper and drying unit are jointly fixed to one moving plat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pneumatic cylin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terial It moves along, and the standing portion includes: a seating plate on which the forming material is seated; a support plate having one upper surface hinged to on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and a standing cylinder which is hinged joint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and rotates the seating plate in an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by an extension ope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방화문의 내판과 외판으로 사용되는 소재인 철판을 교대로 포밍할 수 있으며, 방화문의 규격에 제한을 받지 않고 포밍할 수 있고, 방화문의 크기에 상관 없이 포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lternately form an iron plate, which is a material used as an inner plate and an outer plate of a fire door, form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pecifications of the fire door, and can form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ire door. can have an effect.

그리고, 포밍 전과 후에 소재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한 방화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lean fire door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material before and after forming.

또한, 포밍이 완료된 소재를 작업자가 선자세로 용이하게 들어서 옮기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llow the operator to easily lift and move the forming material in a standing posi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구동축, 포밍롤러 및 모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구동축, 상 기어, 하기어, 연결기어 및 모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포밍롤러 및 부가 포밍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이동구동부, 제1,2 전,후진 구동부 및 제1,2 마모율 감지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이동구동부, 제1,2 전,후진 구동부 및 제1,2 마모율 감지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제1 이물질 제거부를 도시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제2 이물질 제거부를 도시한 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기립부를 도시한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제3 이물질 제거부를 도시한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제3 이물질 제거부가 기립부에 의해 기립된 소재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shaft, the forming roller and the motor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e shaft, the upper gear, the lower gear, the connecting gear and the motor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ming roller and an additional forming roller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moving driving unit, first,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s, and first and second wear rate sensing units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oving driving unit, first,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s, and first and second wear rate sensing units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nding part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third foreign matter removal unit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applied to the material erected by the third foreign matter removal unit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standing unit.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23]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구동축, 포밍롤러 및 모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구동축, 상 기어, 하기어, 연결기어 및 모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ive shaft, a forming roller and a motor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ive shaft, an upper gear, a lower gear, a connecting gear, and a motor applied to a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1)는, 소재(P)를 포밍하도록 분리대(10) 및 포밍성형부(20)를 포함한다.The form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or 10 and a forming forming unit 20 to form the material P.

이때, 소재(P)는 방화문에 사용되는 내판과 외판으로 분할 될 수 있으며, 내판 및 외판을 교대로 포밍한다.At this time, the material P may be divided into an inner plate and an outer plate used for a fire door, and the inner plate and the outer plate are alternately formed.

분리대(10)는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갖는 작업대의 상면에 고정된다.The separator 1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bench having a certain height and length.

분리대(10)는 대략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or 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분리대(10)는 내부에 포밍성형부(20)의 구동축(2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면 이상이 개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Separator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surface can be opened and closed to accommodate the driving shaft 21 of the forming part 20 therein.

분리대(10)의 일측과 타측에는 포밍성형부(20)에 의해 포밍되는 소재(P)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테이블(11)과 제2 지지테이블(12)이 각각 형성된다.A first support table 11 and a second support table 12 for supporting the material P to be formed by the forming forming unit 20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or 10 , respectively.

포밍성형부(20)는 분리대(10)에 설치되되, 구동부인 모터(M)를 통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상,하 방향 한 쌍을 이루고 수평 방향의 다수 열로 배열되면서 양측이 분리대(1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21) 및 분리대(10)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측의 구동축(21) 및 하측의 구동축(21)에 각각 장착되며 방화문에 사용되는 내판 또는 외판의 소재(P)를 교대로 포밍하는 포밍롤러(22a,22b)를 포함한다.The forming part 20 is installed on the separator 10,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hrough a motor M as a driving unit, forms a pai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is arranged in multiple r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0. It is mounted on the drive shaft 21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upper drive shaft 21 and the lower drive shaft 21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0, respectively, and the material (P) of the inner or outer plate used in the fire door is alternated. It includes a forming roller (22a, 22b) for forming with.

구동축(21) 분리대(10)의 내부공간에 마련된 회전가이드판(13)에 각각 축 고정된다.The drive shaft 21 is respectively shaft-fixed to the rotation guide plate 13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parator 10 .

회전가이드판(13)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The rotation guide plate 13 is composed of two pairs,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구동축(21)은 회전가이드판(13)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하 한 쌍을 이루며 종방향의 다수열로 배열되며, 그 양측이 회전가이드판(13)을 관통하여 분리대(10)의 양측으로 돌출된다.The drive shaft 21 is disposed between the rotation guide plates 13 and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pair of top and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0 pass through the rotation guide plate 13 on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21 . is protruded into

이때, 회전가이드판(13)에는 구동축(21)의 제자리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베어링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guide plate 13 may be provided with each bearing for guiding the in-situ rotation of the drive shaft 21 .

구동축(21)에는 상,하 방향으로 맞물리는 상,하 기어(24)가 각각 장착된다.Upper and lower gears 24 engag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re mounted on the drive shaft 21 , respectively.

그리고, 상 기어(23) 또는 하 기어(24)의 사이에는 연결기어(25)가 개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gear 2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gear 23 or the lower gear 24 .

연결기어(25)는 상 또는 하 기어(24) 사이에 개제되어 각 열의 이웃한 상 기어(23) 또는 하 기어(24)를 연동 회전시킨다.The connecting gear 25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or lower gears 24 to interlock and rotate the adjacent upper or lower gears 23 or 24 in each row.

하측에 위치된 구동축(21) 중 어느 하나는 모터(M)와 스프로켓(S) 및 체인(C)을 통해 연결된다.Any one of the drive shaft 21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connected to the motor (M) through the sprocket (S) and the chain (C).

따라서, 모터(M)가 회전되면 모든 구동축(21)들이 동시에 제자리 회전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otor M is rotated, all the driving shafts 21 are rotated in place at the same time.

포밍롤러(22a)는 상측에 위치된 구동축(21)에 결합되고 포밍롤러(22b)는 하측에 위치된 구동축(21)에 결합된다.The forming roller 22a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21 located at the upper side and the forming roller 22b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21 located at the lower side.

상측에 위치된 구동축(21)에 결합되는 포밍롤러(22a)는 하측에 위치된 구동축(21)에 장착되는 포밍롤러(22b)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orming roller 22a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21 located on the upper side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orming roller 22b mounted on the driving shaft 21 located on the lower side.

모터(M)를 통해 구동축(21)에 결합되어 있는 포밍롤러를 회전시킨 후 포밍롤러(22a,22b)의 사이에 소재(P)를 삽입시키면, 소재(P)가 포밍롤러(22a,22b)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포밍된다.After rotating the forming roller coupled to the drive shaft 21 through the motor (M) and inserting the material (P) between the forming rollers (22a, 22b), the material (P) forming rollers (22a, 22b) It forms while passing between the

특히, 구동축(21)이 분리대(10)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구동축(21)의 양측에 포밍롤러(22a,22b)를 결합가능하다. 이로 인해 소재(P)의 크기에 상관없이 포밍이 가능하므로 방화문의 크기에 상관 없이 소재(P)를 포밍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drive shaft 21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separator 10 ,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can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rive shaft 21 . Due to this, since forming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aterial P, the material P can be form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fire door.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form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분리대(10)에 마련된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모터(M)를 구동시킨다.First, the motor M is driven through a switch (not shown) provided on the separator 10 .

모터(M)가 구동하면 체인(C) 연결된 구동축(21)이 회전되며, 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하 기어(24)가 회전된다.When the motor M is driven, the drive shaft 21 connected to the chain C is rotated, and the lower gear 24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이와 같이 체인(C) 연결된 구동축(21)이 회전됨에 따라 하 기어(24)에 맞물려 있는 상 기어(23)가 연동 회전하게 된다. 또한, 하 기어(24)의 회전에 따라 하 기어(24) 사이에 맞물려 있는 연결기어(25)가 연동 회전되어 모터(M)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전,후 방향으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 구동축(21)이 회전되면서 포밍롤러(22a,22b)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drive shaft 21 connected to the chain C rotates, the upper gear 23 engaged with the lower gear 24 rotates interlocking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wer gear 24, the connecting gear 25 engaged between the lower gears 24 is rotated interlockingly to transmit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motor M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ccordingly, as the upper and lower drive shafts 21 are rotated,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are also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이와 같이 방화문에 사용되는 철판을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상,하의 포밍롤러(22a,22b) 사이에 삽입시키면 포밍롤러(22a,22b)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일정 형상으로 포밍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iron plate used for the fire door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orming rollers 22a and 22b that rotate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it is 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특히, 포밍롤러(22a,22b)는 분리대(10)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돌출됨으로, 분리대(10)의 일측으로 돌출된 포밍롤러를 통해 방화문의 내판을 형성하는 소재(P)를 포밍하고, 분리대(10)의 타측으로 돌출된 포밍롤러를 통해서는 방화문의 외판을 형성하는 소재(P)를 포밍하는 것이 가능하여 방화문을 제조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protrude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or 10, respectively, the material P forming the inner plate of the fire door is formed through the forming roller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eparator 10, It is possible to form the material P forming the outer plate of the fire door through the forming roller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or 10, thereby providing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time for manufacturing the fire door.

그리고, 포밍이 완료된 내판 및 외판은 별도의 결합공정을 거쳐 방화문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ner and outer plates, which have been formed, undergo a separate bonding process to form a fire door.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1)에 적용된 포밍롤러(22a,22b), 구동축(21) 및 부가 포밍롤러(3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the drive shaft 21 and the additional forming roller 30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포밍롤러 및 부가 포밍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rming roller and an additional forming roller applied to a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포밍롤러(22a,22b)의 중앙에는 나선홀(221a,221b)이 각각 형성되고, 구동축(21)의 양측 외주연에는 나선홀(221a,221b)에 체결되는 나선(21a)이 형성된다.Spiral holes 221a and 221b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and spirals 21a fastened to the spiral holes 221a and 221b are formed on both outer periphery of the drive shaft 21 .

그리고, 부가 포밍롤러(30)는 포밍롤러(22a,22b)와 상이한 형상 또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And, the additional forming roller 30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shape or size from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도면에는 부가 포밍롤러(30)가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심부(31) 및 중심부(31)의 외주연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부채꼴 형상을 이루는 압출편(32)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다.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additional forming roller 3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ral portion 31 and the central portion 31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ncludes an extruded piece 32 having a sectoral shape.

부가 포밍롤러(3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It is revealed that the additional forming roller 3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s, and can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그리고, 중심부(31)에는 구동축(21)이 체결되는 나선홀(31a)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piral hole 31a to which the driving shaft 21 is fastene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31 .

또한, 구동축(21)은 일부분이 분리대(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drive shaft 2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or 10 .

따라서, 구동축(21)에 포밍롤러(22a,22b)를 각각 결합하여 소재(P)를 포밍하거나 또는, 구동축(21)에서 포밍롤러(22a,22b)를 분리한 다음, 부가 포밍롤러(30)를 결합하여 소재(P)를 다른 형태로 포밍하면 된다.Therefore, forming the material P by coupling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to the drive shaft 21, or separating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from the drive shaft 21, and then the additional forming roller 30 By combining them, the material (P) can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1)에 적용된 제1 마모율 감지부(70a) 및 제2 마모율 감지부(70b)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70a and the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 70b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이동구동부, 제1,2 전,후진 구동부 및 제1,2 마모율 감지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이동구동부, 제1,2 전,후진 구동부 및 제1,2 마모율 감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showing a moving driving unit, first,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s, and first and second wear rate sensing units applied to a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orm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ving driving unit, the first, second, and second forward and reverse driving units and the first and second wear rate sensing units applied to the machine.

제1 마모율 감지부(70a) 및 제2 마모율 감지부(70b)는 이동구동부(40), 이동판(50) 및 제1,2 전,후진 구동부(60a,60b)에 의해 이동하면서 모든 포밍롤러(22a,22b)의 마모율을 감지한다.The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70a and the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 70b move by the moving driving unit 40, the moving plate 50, and the first,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s 60a and 60b while moving all the forming rollers. The wear rate of (22a, 22b) is sensed.

이동구동부(40)는 분리대(1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동구동부(40)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driving unit 4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10 . The moving driving unit 40 may be formed of a pneumatic cylinder.

이동판(50)은 이동구동부(40)에 의해 분리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된다.The moving plate 50 is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parator 10 by the moving driving unit 40 .

제1 전,후진 구동부(60a) 및 제2 전,후진 구동부(60b)는 이동판(50)의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The first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 60a and the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 60b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50 .

제1 전후진 구동부 및 제2 전,후진 구동부(60b)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orward/backward driving unit and the second forward/backward driving unit 60b may be formed of a pneumatic cylinder.

제1 마모율 감지부(70a)는 제1 전,후진 구동부(60a)에 의해 전진될 경우 어느 상측에 위치된 구동축(21)에 결합된 어느 하나의 포밍롤러(22a) 또는, 하측에 위치된 구동축(21)에 결합된 어느 하나의 포밍롤러(22b)의 상측에 위치되고, 후진될 경우에는 포밍롤러(22a,22b)의 상측에서 이탈되어 이동판(50)의 상측에 위치된다.The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70a is any one forming roller 22a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21 located on the upper side when it is advanced by the first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 60a, or the driving shaft located on the lower side I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any one of the forming rollers 22b coupled to (21), and when it is moved backward, it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plate 50 .

제1 마모율 감지부(70a)는 화이버 센서로 형성되어 포밍롤러(22a,22b)의 가장자리 부위를 향해 빛을 발광 및 수광할 수 있다.The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70a may be formed of a fiber sensor to emit and receive light toward the edge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제1 마모율 감지부(70a)는 포밍롤러(22a,22b)의 마모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포밍롤러(22a,22b)의 교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포밍롤러(22a,22b)가 얼마나 마모되었는지를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하지 아니하더라도 포밍롤러(22a,22b)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바, 포밍롤러(22a,22b)가 과도하게 마모되어 소재(P)가 정상적으로 포밍되지 아니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70a outputs a replacement signal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when the wear rate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refore, the operator can know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without visually checking how much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are worn, and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are excessively wor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material (P) is not formed normally.

제2 마모율 감지부(70b)는 제2 전,후진 구동부(60b)에 의해 전진될 경우 어느 하나의 포밍롤러(22a,22b)의 상측에 위치되고, 후진될 경우에는 포밍롤러(22a,22b)에서 이탈되어 이동판(50)의 상측에 위치된다.The second wear rate sensing unit 70b is positioned above any one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when it is advanced by the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 60b, and when it is moved backward,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It is separated from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plate (50).

제2 마모율 감지부(70b)는 화이버 센서로 형성되어 포밍롤러(22a,22b)의 가장자리 부위를 향해 빛을 발광 및 수광할 수 있다.The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 70b may be formed of a fiber sensor to emit and receive light toward the edge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제2 마모율 감지부(70b)는 포밍롤러(22a,22b)의 마모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포밍롤러(22a,22b)의 교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포밍롤러(22a,22b)가 얼마나 마모되었는지를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하지 아니하더라도 포밍롤러(22a,22b)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바, 포밍롤러(22a,22b)가 과도하게 마모되어 소재(P)가 정상적으로 포밍되지 아니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 70b outputs a replacement signal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when the wear rate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refore, the operator can know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without visually checking how much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are worn, and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are excessively wor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material (P) is not formed normally.

이때, 이동구동부(40)는 포밍롤러(22a,22b) 간의 간격에 대응되게 이동판(50)을 기 설정된 거리 마다 이동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t this time, the moving driving unit 40 is programmed to move the moving plate 50 by a preset distance to correspond to the interval between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즉, 상측에 위치된 포밍롤러(22a,22b)가 하측에 위치된 포밍롤러(22a,22b)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 분리대(10)의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측에 위치된 포밍롤러(22a,22b)가 하측에 위치된 포밍롤러(22a,22b)의 중앙부분만 가리게 됨으로, 하측에 위치된 포밍롤러(22a,22b)의 양측 부분이 삐져나와 보여지게 되며 제1 마모율 감지부(70a) 및 제2 마모율 감지부(70b)는 하측에 위치된 포밍롤러(22a,22b)의 삐져나온 부위를 향해 빛을 발광 및 수광하는 것이며, 이동구동부(40)는 제1 마모율 감지부(70a) 및 제2 마모율 감지부(70b)가 각각 상측에 위치한 포밍롤러(22a,22b) 및 그 아래에 위치한 포밍롤러(22a,22b)와 순차적으로 수직 선상에 위치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이동시킨 다음, 이어서 다음에 위치한 상측에 위치한 포밍롤러(22a,22b) 및 그 아래에 위치한 포밍롤러(22a,22b)와 순차적으로 수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이동시킨다.That is, since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on the upper side ar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on the lower side,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or 10, the forming rollers located on the upper side ( 22a, 22b) covers on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on the lower side, so that both sides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on the lower side are protruded and seen, and the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70a ) and the second wear rate sensing unit 70b emits and receives light towar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the moving driving unit 40 includes the first wear rate sensing unit 70a. and the second wear rate sensing unit 70b is moved by a distance that can be sequentially positioned on a vertical line with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below it, and then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below are sequentially moved by a distance that can be located on a vertical line.

그리고, 제1,2 전,후진 구동부(60a,60b)는 이동판(50)이 기 설정된 거리로 이동할 때마다 제1,2 마모율 감지부(70a,70b)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진 시켰다가 후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제1 마모율 감지부(70a) 및 제2 마모율 감지부(70b)는 모든 포밍롤러(22a,22b)의 마모율을 감지하게 된다.And, the first,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s (60a, 60b) advance the first and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s (70a, 70b) at preset time intervals whenever the moving plate 50 moves to a preset distance. It is programmed to move backward, so that the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70a and the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 70b detect the wear rates of all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즉, 제1,2 마모율 감지부(70a,70b)가 시점에 위치한 포밍롤러(22a,22b)의 마모율을 각각 감지한 후에는 제1,2 전,후진 구동부(60a,60b)가 제1,2 마모율 감지부(70a,70b)를 각각 후진시키고, 이동구동부(40)는 이동판(50)을 2번째에 위치한 포밍롤러(22a,22b) 측으로 이동시킨다.That is, after the first and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s 70a and 70b sense the wear rates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at the time point, respectively, the first,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s 60a and 60b operate the first, 2 The wear rate sensing units 70a and 70b are respectively moved backward, and the moving driving unit 40 moves the moving plate 50 toward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그리고, 제1,2 전,후진 구동부(60a,60b)는 제1,2 마모율 감지부(70a,70b)를 각각 전진시켜 2번째에 위치한 포밍롤러(22a,22b)의 마모율을 감지하도록 한다.Then, the first, second, and second driving units 60a and 60b advance the first and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s 70a and 70b, respectively, to detect the wear rates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이동구동부(40) 및 제1,2 전,후진 구동부(60a,60b)는 이러한 방식으로 제1,2 마모율 감지부(70a,70b)를 기 설정된 거리 및 시간 간격으로 이동시켜, 제1,2 마모율 감지부(70a,70b)가 시점에 위치한 포밍롤러(22a,22b)부터 종점에 위치한 포밍롤러(22a,22b)를 따라 순착적으로 이동하면서 마모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ving driving unit 40 and the first and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s 60a and 60b move the first and second wear rate sensing units 70a and 70b at a preset distance and time interval in this way, and the first and second The wear rate sensing units 70a and 70b sequentially move from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along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located at the end point to detect the wear rate.

이때, 제1 마모율 감지부(70a) 또는 제2 마모율 감지부(70b)가 포밍롤러(22a,22b)의 마모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마도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제1,2 전,후진 구동부(60a,60b) 및 이동구동부(40)의 작동을 정지시키면서 작업자 모니터에 마모사실을 디스플레이하면서 부저를 작동시켜 관리자에게 알리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70a or the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 70b detects that the wear rate of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is worn above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electrically connected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s 60a and 60b and the moving driving unit 40 while displaying the fact of wear on the operator's monitor by operating a buzzer to notify the manager.

따라서, 작업자는 현장에 도착하여 제1 마모율 감지부(70a) 또는 제2 마모율 감지부(70b)가 멈춘 위치를 찾아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마모된 포밍롤러(22a,22b)를 찾아 교체하면 된다.Therefore, the operator arrives at the site, finds a position where the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70a or the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 70b stops, and finds and replaces the forming rollers 22a and 22b worn by more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1)에 적용된 제1 이물질 제거부(80), 제2 이물질 제거부(9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and the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90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제1 이물질 제거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제2 이물질 제거부를 도시한 도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applied to a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applied to a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1 이물질 제거부(80)는 포밍 전 소재(P)의 상면과 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구성이다.First, the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is configured to primarily remove the foreign material existing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erial P before forming.

제1 이물질 제거부(80)는 고정부(81), 베이스판(82), 부착필름(83) 및 승강실린더(8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may include a fixing unit 81 , a base plate 82 , an attachment film 83 , and a lifting cylinder 84 .

고정부(81)는 가압실린더(811) 및 가압판(8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81 may include a pressure cylinder 811 and a pressure plate 812 .

가압실린더(811)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며, 2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essure cylinder 811 is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and may be configured as a pair of two.

가압실린더(811)는 받침블록(813)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다.The pressure cylinder 81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813, respectivel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가압판(812)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압실린더(811)의 피스톤(1032)에 각각 결합된다.The pressure plate 812 is composed of two pairs and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iston 1032 of the pressure cylinder 811 .

가압판(812)은 가압실린더(811)에 의해 각각 전진되어 소재(P)의 일측 가장자리면과 타측 가장자리면을 각각 가압하여 소재(P)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킨다.The pressure plate 812 is respectively advanced by the pressure cylinder 811 to press the one edge surface and the other edge surface of the material P, respectively, to separate the material P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베이스판(82)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소재(P)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The base plate 82 is composed of two pairs and i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aterial (P).

부착필름(83)은 각각의 베이스판(82)에 여러겹으로 포개지는 형태로 고정된다.The attachment film 83 is fixed to each of the base plates 82 in the form of being superimposed in multiple layers.

베이스판(82)에 고정되는 부착필름(83)은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The attachment film 83 fixed to the base plate 82 may be fixed through an adhesive.

소재(P)의 상측에 위치된 베이스판(82)에 마련되는 부착필름(83)들의 저면에는 접착물질이 도포되고, 소재(P)의 하측에 위치된 베이스판(82)에 마련되는 부착필름(83)들의 상면에는 접착물질이 도포된다.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ttachment films 83 provided on the base plate 82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terial P, and the attachment film provided on the base plate 82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terial P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83).

승강실린더(84)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fting cylinder 84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승강실린더(84)는 2개 한 쌍으로 형성되어 베이스판(82)을 각각 상승시킨다.The lifting cylinders 84 are formed in pairs to raise the base plate 82, respectively.

상측에 위치된 승강실린더(84)는 베이스판(82)을 하강시켜 최하층에 위치된 부착필름(83)을 소재(P)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하측에 위치된 승강실린더(84)는 베이스판(82)을 상승시켜 최상층에 위치된 부착필름(83)을 소재(P)의 저면에 접촉시킨다.The lifting cylinder 84 located on the upper side lowers the base plate 82 to bring the attachment film 83 located on the lowest layer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P, and the lifting cylinder 84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the base plate By raising the 82, the adhesive film 83 located in the uppermost lay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terial P.

따라서, 소재(P)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부착필름(83)에 도포된 접착물질에 접착되어 제거된다.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dhered to the material P are removed by being adhered to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adhesive film 83 .

부가적으로, 최상층 및 최하층에 위치된 부착필름(83)에 많은 이물질이 부착되어 흡착효율이 저하될 시, 해당 부착필름(83)을 벗겨 냄으로써 다음에 위치한 새로운 부착필름(83)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In addition, when many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to the attachment film 83 located in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and the adsorption efficiency is lowered, the foreign material is removed with a new attachment film 83 located next by peeling off the attachment film 83. Do it.

이와 같이 제1 이물질 제거부(80)를 통해 소재(P)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에는 제2 이물질 제거부(90)를 통해 2차로 소재(P)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In this way, after removing the foreign material attached to the material P through the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 the foreign material attached to the material P is secondarily removed through the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90 .

제2 이물질 제거부(90)는 제1 이물질 제거부(80)에 후행작동되며, 제1 이물질 제거부(80)에서 제거하지 못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90 operates following the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 and is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not been removed by the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

제2 이물질 제거부(90)는 스팀기(91), 스크래퍼(92) 및 건조부(9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90 may include a steamer 91 , a scraper 92 , and a drying unit 93 .

스팀기(91)는 스팀을 소재(P)에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911)을 포함한다.The steamer 91 includes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911 for spraying steam to the material (P).

스크래퍼(92)의 하단에는 소재(P)의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스크래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스크래핑날(921)이 형성된다.A scraping blade 92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craper 92 to efficiently scrape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exis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P.

건조부(93)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히팅블록(931), 히팅블록(931)의 내부에 매립되며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선(9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ying unit 93 may include a heating block 931 made of a metal material, a heating wire 932 embedded in the heating block 931 and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o generate heat.

이러한 스팀기(91)와 스크래퍼(92) 및 건조부(93)는 소재(P)의 상부에서 공압실린더(94)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하나의 이동판(50)에 유압실린더(96)를 매개로 각각 고정되어 소재(P)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steamer 91 and the scraper 92 and the drying unit 93 are a hydraulic cylinder 96 on one moving plate 50 that is reciprocal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pneumatic cylinder 94 on the upper part of the material P. Each is fixed through the media and performs its original function while moving sequenti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terial (P).

구체적으로, 분리대(10)의 일측에 마련된 받침대(97)의 상면에 소재(P)를 안착한 후, 각각의 유압실린더(96)를 각각 구동시켜 스팀기(91), 스크래퍼(92) 및 건조부(93)를 소재(P)의 상측에 위치시킨다.Specifically, after the material P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97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parator 10, each hydraulic cylinder 96 is driven to respectively drive the steamer 91, the scraper 92 and the drying unit ( 93)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terial (P).

이때, 받침대(97)의 상면에는 소재(P)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98)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 pair of supports 98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material (P)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97).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기(91) 및 건조부(93)는 소재(P)의 상면과 약 5cm 내지 10cm 정도 이격되고, 스크래퍼(92)의 스크래핑날(921)은 소재(P)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강된다.And, as shown in FIG. 9, the steamer 91 and the drying unit 93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P by about 5 cm to 10 cm, and the scraping blade 921 of the scraper 92 is the material (P). It is lowered so that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이후, 공압실린더(94)가 구동되어 이동판(50)을 소재(P)의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pneumatic cylinder 94 is driven to move the moving plate 50 forward from one end of the material P to the other end.

이와 같은 경우, 스팀부가 소재(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재(P)의 상면에 스팀을 분사하고, 이어서 스크래퍼(92)가 소재(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재(P)의 상면을 스크래핑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며, 이어서 건조부(93)가 소재(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재(P)들의 상면에 열을 전달하여 스팀기(91)에 의해 생성된 물기를 건조시킨다.In this case, while the steam unit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terial P, steam is spr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P, and then the scraper 92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terial P while the material (P) Removes foreign substances by scraping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and then the drying unit 93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terial P to transfer hea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P to dry the water generated by the steamer 91. make it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포밍기(1)에서 스팀기(91)는 건조부(93)가 소재(P)의 일단에서 타단에 도착하는 시간에 맞춰 작동이 정지되도록 프로그래밍 되며, 스팀기(91)부터 건조부(93)까지 소재(P)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한 다음에는 각 유압실린더(96)가 스팀기(91), 스크래퍼(92) 및 건조부(93)를 상승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되며, 공압실린더(94)는 이동판(50)을 후진시켜 스팀기(91), 스크래퍼(92), 세척수분사부, 건조부(93) 및 수분제거부를 원위치 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t this time, the steamer 91 in the form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grammed to stop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drying unit 93 arrives from one end of the material P to the other end, and the steamer 91 ) to the drying unit 93, after moving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material P, each hydraulic cylinder 96 is programmed to raise the steamer 91, the scraper 92 and the drying unit 93, The pneumatic cylinder 94 is programmed to retract the moving plate 50 to return the steamer 91, the scraper 92,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the drying unit 93 and the water removing unit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따라서, 이와 같이 소재(P)의 상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에는 지그를 180도로 뒤집은 후, 전술한 스팀기(91), 스크래퍼(92) 및 건조부(93)를 구동시켜 소재(P)의 저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도 제거하면 된다.Therefore, afte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P in this way, the jig is turned over by 180 degrees, and then the steamer 91, the scraper 92, and the drying unit 93 are drive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terial P. It is also necessary to remove any foreign matter that has been deposited.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1)에 적용된 기립부(100) 및 제3 이물질 제거부(11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tanding unit 100 and the thir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110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기립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제3 이물질 제거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에 적용된 제3 이물질 제거부가 기립부에 의해 기립된 소재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nding part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third foreign matter removal unit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third foreign matter removal unit applied to th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applied to the material erected by the standing unit.

기립부(100)는 포밍성형부(20)에 의해 포밍이 완료된 소재(P)를 일정한 기울기로 기립시키는 구성이다.The stand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stand up the material P on which the forming is completed by the forming forming unit 20 at a constant inclination.

기립부(100)는 안착판(101), 지지판(102) 및 기립실린더(1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ing part 100 may include a seating plate 101 , a support plate 102 , and a standing cylinder 103 .

안착판(101)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복수개의 지지바(101a)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support bars 101a are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seating plate 101 .

지지바(101a)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ar 101a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안착판(101)은 지지판(102)과 함께 높이조절실린더(104)에 상승 또는 하강된다.The seating plate 101 is raised or lowered to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104 together with the support plate 102 .

높이조절실린더(104)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104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높이조절실린더(104)가 지지판(102)을 상승시키면 지지바(101a)의 상면과 제2 지지테이블(12)의 상면이 동일 높이에 위치된다.When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104 raises the support plate 102,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101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table 12 ar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따라서, 포밍성형부(20)에 의해 포밍이 완료되며 제2 지지테이블(12)에 지지된 소재(P)를 밀어 지지바(101a)의 상면에 위치시키면 된다.Accordingly, the forming is completed by the forming forming unit 20 and the material P supported on the second support table 12 is pushed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101a.

그리고, 높이조절실린더(104)가 지지판(102)을 하강시키면 지지바(101a)는 And, when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104 lowers the support plate 102, the support bar 101a is

지지판(102)은 안착판(101)의 하측에 배치된다.The support plate 102 is disposed below the seating plate 101 .

지지판(102)은 안착판(101)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0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seating plate 101 .

지지판(102)의 상면 일측은 안착판(101)의 저면 일측에 힌지(H1) 결합된다.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2 is hinged H1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101 .

따라서, 지지판(102)은 힌지(H1)를 기준으로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pport plate 102 may be rotated in an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H1 .

기립실린더(103)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anding cylinder 103 may be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기립실린더(103)의 몸체(1031)는 지지판(102)의 상면에 힌지(H2) 결합되고, 피스톤(1032)은 안착판(101)의 저면에 힌지(H2) 결합된다.The body 1031 of the standing cylinder 103 is hinged H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2 , and the piston 1032 is hinged H2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101 .

따라서, 기립실린더(103)는 신장 작동에 의해 안착판(101)을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tanding cylinder 103 may rotate the seating plate 101 in an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by an extension operation.

즉, 도 12와 같이 몸체(1031)에 유압이 주입되면 안착판(101)이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소재(P)가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기립된다.That is, when hydraulic pressure is injected into the body 1031 as shown in FIG. 12 , the seating plate 101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material P stands up to have a certain inclination.

그리고, 도 10과 같이 몸체(1031)에서 유압이 배출되면 안착판(101)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소재(P)가 전도된다.And,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discharged from the body 1031 as shown in FIG. 10 , the seating plate 101 is rotated downward to conduct the material P.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기립부(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tanding unit 1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지지판(102) 및 안착판(101)은 높이조절실린더(104)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First, the support plate 102 and the seating plate 101 are maintained in a raised state by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104).

따라서, 작업자는 포밍성형부(20)에 의해 포밍이 완료되며 제2 지지테이블(12)에 지지되어 있는 소재(P)를 밀어서 지지바(101a)의 상면에 위치시키면 된다.Therefore, the operator has to pos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101a) by pushing the material (P) supported on the second support table (12) after the forming is completed by the forming part (20).

이후, 작업자는 분리대(10)에 마련된 높이조절실린더(104) 제어용 버튼(미도시)을 통해 높이조절실린더(104)의 피스톤(1032)을 하강시킨다.Thereafter, the operator lowers the piston 1032 of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104 through a button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104 provided on the separator 10 .

높이조절실린더(104)의 피스톤(1032)이 하강되면 안착판(101)과 지지판(102) 및 소재(P)가 지면과 가까워진다.When the piston 1032 of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104 is lowered, the seating plate 101 and the support plate 102 and the material P are close to the ground.

이후에, 분리대(10)에 마련된 기립실린더(103) 제어용 버튼(미도시)을 통해 기립실린더(103)의 피스톤(1032)을 전진시키면 안착판(101) 및 소재(P)가 경사진 형태로 기립된다.Thereafter, when the piston 1032 of the standing cylinder 103 is advanced through a button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standing cylinder 103 provided on the separator 10, the seating plate 101 and the material P are inclined in an inclined form. stand up

이때, 소재(P)는 안착판(101)의 경사면을 따라 소정거리 슬라이딩되며, 그 하단이 지지판(102)의 끝단에 마련된 이탈방지부(1021)에 지지된다.At this time, the material P is slid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101 ,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021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102 .

이탈방지부(1021)는 소재(P)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1021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to limit the sliding of the material (P).

이와 같이, 소재(P)를 기립시키는 경우 작업자가 허리나 다리를 굽히지 아니하고, 편안하게 선 상태에서 포밍이 완료된 소재(P)를 양손으로 용이하게 들어 별도의 보관장소로 옮기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material (P) is erected, the worker does not bend the waist or legs and can easily lift the forming material (P) with both hands in a comfortable standing state to move it to a separate storage place.

한편, 안착판(101)에서 포밍이 완료된 소재(P)를 이탈한 이후에는 기립실린더(103) 제어용 버튼을 통해 안착판(101)을 전도시키고, 높이조절실린더(104)를 통해 지지판(102)을 상승시켜 지지바(101a)의 상면과 제2 지지테이블(12)의 상면 높이를 일치시켜 이후에 포밍이 완료된 새로운 소재(P)를 받을 수 있도록 셋팅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leaving the forming material P from the seating plate 101, the seating plate 101 is inverted through the button for controlling the standing cylinder 103, and the support plate 102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cylinder 104.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101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table 12 is matched by raising the .

제3 이물질 제거부(110)는 기립부(100)에 의해 기립된 소재(P)에 진동을 가해 포밍 과정에서 소재(P)에 묻게 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다.The thir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110 is configured to apply vibration to the material P erected by the standing unit 100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attached to the material P during the forming process.

즉, 전술한 제1 이물질 제거부(80) 및 제2 이물질 제거부(90)가 일종의 애벌로 이물질을 제거한다면, 제3 이물질 제거부(110)는 최종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한다.That is, if the above-described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80 and the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90 remove the foreign material as a kind of preliminary, the thir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110 finally removes the foreign material.

이때, 전술한 기립부(1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포밍이 완료된 소재(P)를 별도의 경사지지대(미도시)에 기울어지게 거치한 후 제3 이물질 제거부(110)로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standing part 100 may be omitted, and in this case, the material P on which the forming has been completed is mounted at an angle on a separate inclined support (not shown), and then the foreign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thir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110 . should be removed.

제3 이물질 제거부(110)는 안착부(111), 제1 진동전달부(112), 제2 진동전달부(113), 제3 진동전달부(114), 제1 진동발생부(115), 제2 진동발생부(116), 제3 진동발생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110 includes a seating unit 111 , a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 a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 a thir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4 , and a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115 . , a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6 , and a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 may be included.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기(1)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120), 지주(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천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진동발생부(115), 제2 진동발생부(116), 제3 진동발생부(117)는 천장부(13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orming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posts 120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eiling portion 13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sts 120 , The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115 , the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6 , and the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eiling unit 130 .

그리고, 지주(120)의 저면에는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바퀴(121)가 설치될 수 있다.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t 120, a wheel 121 that moves in the cloud along the ground may be installed.

따라서, 제3 이물질 제거부(110)를 용이하게 기립부(100)에 의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소재(P)의 상측에 위치시거나 또는 소재(P)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thir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110 can be easily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terial P maintaining the standing state by the standing unit 100 or separated from the material P.

안착부(111)는 도어의 상면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ating part 111 may be formed in a right triangle shape having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door.

안착부(111)는 경사면이 도어의 상면에 안착된다.The seating part 111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with an inclined surface.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착부(111)는 클램프를 통해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ating part 111 may be fixed to the door through a clamp.

일 예로 클램프는 안착부(1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ㄱ"자 단면 형상을 갖는 고정바, 고정바의 하단에 결합되며 소재(P)의 가장자리를 집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집게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amp may include a fixing ba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part 111 and having a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a clamp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ar and fixed in a way that pinches the edge of the material (P). there is.

즉, 소재(P)의 상면에 안착부(111)를 안착한 다음 집게부로 소재(P)의 가장자리를 집어 고정하면 된다.That is, after the seating portion 11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P, the edge of the material P is clamped with tongs and fixed.

다른 예로, 안착부(111)는 경사면에 소재(P)에 접착되는 접착성분이 도포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n adhesive component that adheres to the material P may be applied to the seating portion 111 on an inclined surface.

이때, 공지된 바와 같이 접착성분은 접착력이 약한 타입과 강한 타입이 있으며, 안착부(111)에 적용되는 접착성분은 안착부(111)를 소재(P)에 부착하면서도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접착력이 약한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is known, the adhesive component has a weak adhesive type and a strong type, and the adhesive component applied to the seating part 111 has an adhesive strength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while attaching the seating part 111 to the material P. Can be applied as a weak type.

제1 진동전달부(112)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may be formed in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with an open bottom surface and an empty space therein.

즉, 제1 진동전달부(112)는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has a cylindrical structure.

그리고, 제1 진동전달부(112)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 소재(P)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안착편(1121)이 형성된다.Then, along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2, the first seating piece 1121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P) is formed.

제1 안착편(1121)은 소재(P)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완충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eating piece 1121 may be formed of a buffer material to prevent damage to the material P, and the material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e material.

제2 진동전달부(113)는 저면이 개방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may be formed in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an open bottom surface.

즉, 제2 진동전달부(113)는 통 구조로 이루어져 제1 진동전달부(112)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may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

그리고, 제2 진동전달부(113)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서는 제1 안착편(1121)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안착편(1131)이 형성된다.Then, along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part 113 , the second seating piece 1131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piece 1121 is formed.

제2 안착편(1131) 또한 소재(P)에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seating piece 1131 may also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e material to prevent excessive impac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aterial P.

제3 진동전달부(114)는 저면이 개방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4 may be formed in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an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an open bottom surface.

즉, 제3 진동전달부(114)는 통 구조로 이루어져 제2 진동전달부(113)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That is, the thir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4 may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

그리고, 제3 진동전달부(114)의 하부 둘레면을 따라서는 제2 안착편(1131)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3 안착편(1141)이 형성된다.And, along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4, the third seating piece 1141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eating piece 1131 is formed.

그리고, 제3 안착편(1141) 또한 소재(P)에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seating piece 1141 may also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e material to prevent excessive impac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aterial P.

아울러, 제1 진동전달부(112), 제2 진동전달부(113), 제3 진동전달부(114)는 소재(P)에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와 같은 경량소재(P)로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2 , the second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3 , and the third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4 are a lightweight material (P) such as synthetic resin to prevent excessive shock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aterial (P). can be made with

제1 진동발생부(115)는 하측이 제3 진동전달부(114)와 제2 진동전달부(113)의 상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진동전달부(112)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이 제1 드럼(1153)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1151), 제1 드럼(1153)에 제1 와이어(1151)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제1 드럼(1153)을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11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side of the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115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s of the thir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4 and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115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 The first wire 1151 fixed to the first drum 1153, the first wire 1151 to the first drum 1153 is wound or unwound by rotating the first drum 1153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 first motor 1152 may be included.

제2 진동발생부(116)는 하측이 제3 진동전달부(114)의 상면을 관통하여 제2 진동전달부(113)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이 제2 드럼(1163)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1161), 제2 드럼(1163)에 제2 와이어(1161)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제2 드럼(1163)을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터(11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6 has a lower side that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4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 and the upper side is fixed to the second drum 1163 . 2 wires 1161 and a second motor 1162 for rotating the second drum 1163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wire 1161 is wound or unwound on the second drum 1163 . .

제3 진동발생부(117)는 하측이 제3 진동전달부(114)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측이 제3 드럼(1173)에 고정되는 제3 와이어(1171), 제3 드럼(1173)에 제3 와이어(1171)가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제3 드럼(1173)을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모터(11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 has a lower sid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4 , and a third wire 1171 having an upper side fixed to the third drum 1173 , the third drum 1173 . It may include a third motor 1172 for rotating the third drum 1173 in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third wire 1171 is wound or unwound.

이때, 제1 모터(1152), 제2 모터(1162) 및 제3 모터(1172)는 지주(120)의 상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천장부(130)의 저면에 설치된 "ㄴ"자 단면 형상의 브라켓(B)에 각각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first motor 1152, the second motor 1162 and the third motor 1172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part 130 incli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st 120. Brackets having a "L" shape cross-section ( B) respectively.

이때, 제1 모터(1152), 제2 모터(1162) 및 제3 모터(1172)는 층을 이루는 형태로 배열된다.At this time, the first motor 1152 , the second motor 1162 , and the third motor 1172 are arranged in a layered form.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제3 이물질 제거부(1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hir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11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안착부(111)를 안착판(101)에 경사진 형태로 기립되게 지지된 소재(P)의 상면에 고정시킨다.First, the seating portion 111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P supported to stand in an inclined form on the seating plate 101 .

이후, 안착부(111)의 상면에 제1 진동전달부(112)를 안착하고, 제2 진동전달부(113)로 제1 진동전달부(112)를 감싸며, 제3 진동전달부(114)로 제2 진동전달부(113)를 감싸, 제1 진동전달부(112)와 제2 진동전달부(113) 및 제3 진동전달부(114)를 안착부(111)의 상면에 적층시킨다.Thereafter, 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unit 111 , and 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is surrounded by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 and the thir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4 .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is wrapped with a furnace, and 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 and the thir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4 ar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unit 111 .

이때, 안착부(111)의 상면에는 제3 진동발생부(117)의 외주연을 감싸는 승강가이드통(118)을 고정하여 제1 진동발생부(115)와 제2 진동발생부(116) 및 제3 진동발생부(117)가 승강과정에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115 and a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6 and a lifting guide tube 118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 are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unit 111 . It is preferable to suppress the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 from shaking during the lifting process.

제1 모터(1152)와 제2 모터(1162) 및 제3 모터(1172)는 각각 상기 제1 진동전달부(112)와 제2 진동전달부(113) 및 제3 진동전달부(114)를 동시에 상승시킨 후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다.The first motor 1152 , the second motor 1162 , and the third motor 1172 respectively connect the first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2 , the second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3 , and the third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4 . It is programmed to rise simultaneously and then descend sequentially.

이를 위해 지주(120)에는 제1 모터(1152)와 제2 모터(1162) 및 제3 모터(1172)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To this end, a button for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motor 1152 , the second motor 1162 , and the third motor 1172 may be provided on the post 120 .

작업자가 버튼을 누르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가 제1 모터(1152)와 제2 모터(1162) 및 제3 모터(1172)를 동시에 작동시킨다.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button, the electrically connected control unit simultaneously operates the first motor 1152 , the second motor 1162 , and the third motor 1172 .

따라서, 제1 모터(1152)와 제2 모터(1162) 및 제3 모터(1172)가 각각 제1 드럼(1153)과 제2 드럼(1163) 및 제3 드럼(1173)을 각각 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와이어(1151)와 제2 와이어(1161) 및 제3 와이어(1171)가 권취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first motor 1152, the second motor 1162, and the third motor 1172 respectively rotate the first drum 1153, the second drum 1163, and the third drum 1173 in the forward direction, respectively. Thus, the first wire 1151, the second wire 1161, and the third wire 1171 are wound.

이로 인해 함으로써, 제1 진동전달부(112)와 제2 진동전달부(113) 및 제3 진동전달부(114)가 동시에 상승된다.By doing this, 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 and the thir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4 are raised at the same time.

이때, 제2 진동전달부(113)는 제1 진동전달부(112)의 상측까지 상승되고, 제3 진동전달부(114)는 제2 진동전달부(113)의 상측까지 상승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is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 and the thir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4 is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

즉, 제2 모터(1162)와 제3 모터(1172)는 각각 제2 진동전달부(113)는 제1 진동전달부(112)의 상측으로 이격되지 않고, 제3 진동전달부(114)는 제2 진동전달부(113)의 상측으로 이격되지 않을 만큼의 길이로 제2 와이어(1161) 및 제3 와이어(1171)를 각각 권취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That is, in the second motor 1162 and the third motor 1172 , the secon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3 is no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2 , and the third vibration transmitting unit 114 is It is programmed to wind the second wire 1161 and the third wire 1171 to a length no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3 , respectively.

이후, 제어부는 제1 모터(1152)와 제2 모터(1162) 및 제3 모터(1172)가 순차적으로 제1 드럼(1153), 제2 드럼(1163) 및 제3 드럼(1173)을 순차적으로 역 방향 회전시켜 제1 진동발생부(115), 제2 진동발생부(116), 제3 진동발생부(117)가 순차적으로 하강된다.Then, the control unit 1152, the second motor 1162 and the third motor 1172 sequentially the first drum 1153, the second drum 1163, and the third drum 1173 sequentially By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115 , the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6 , and the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 are sequentially descended.

제1 진동발생부(115)가 하강 시 제1 안착편(1121)이 안착부(111)를 타격하여 소재(P)에 진동이 1차로 발생되고, 제2 진동발생부(116)가 하강 시 제2 안착편(1131)이 제1 안착편(1121)을 타격하여 소재(P)에 진동이 2차로 발생되며, 제3 진동발생부(117)가 하강 시 제3 안착편(1141)이 제2 안착편(1131)을 타격하여 소재(P)에 진동이 3차로 발생된다.When the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115 descends, the first seating piece 1121 strikes the seating portion 111 so that vibration is primarily generated in the material P, and when the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6 descends The second seating piece 1131 strikes the first seating piece 1121 so that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material P secondarily, and when the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 descends, the third seating piece 1141 is 2 By hitting the seating piece 1131,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material P in the third order.

즉, 제1 진동발생부(115)와 제2 진동발생부(116) 및 제3 진동발생부(117)의 하강에 의해 소재(P)에 진동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소재(P)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지면으로 낙하하게 된다.That is, vibration is repeatedly generated in the material P by the descent of the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115, the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6, and the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 and is buried in the material P.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alls to the ground.

이때, 소재(P)에 전달되는 진동이 가중될 수 있도록 제2 진동발생부(116)가 제1 진동발생부(115)보다 무거운 무게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3 진동발생부(117)가 제2 진동발생부(116)보다 무거운 무게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6 is formed to have a heavier weight than the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115 so that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material P can be increased, and the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 is the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 . 2 It may be formed to have a heavier weight tha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16 .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pertain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 : 포밍기 10 : 분리대
11 : 제1 지지테이블 12 : 제2 지지테이블
13 : 회전가이드판 20 : 포밍성형부
21 : 구동축 21a : 나선
22a,22b : 포밍롤러 221a,221b,31a : 나선홀
23 : 상 기어 24 : 하 기어
25 : 연결기어 30 : 부가 포밍롤러
31 : 중심부 32 : 압출편
40 : 이동구동부 50,95 : 이동판
60a : 제1 전,후진 구동부 60b : 제2 전,후진 구동부
70a : 제1 마모율 감지부 70b : 제2 마모율 감지부
80 : 제1 이물질 제거부 81 : 고정부
811 : 가압실린더 812 : 가압판
813 : 받침블록 82 : 베이스판
83 : 부착필름 84 : 승강실린더
90 : 제2 이물질 제거부 91 : 스팀기
911 : 분사노즐 92 : 스크래퍼
921 : 스크래핑날 93 : 건조부
931 : 히팅블록 932 : 히팅선
94 : 공압실린더 96 : 유압실린더
97 : 받침대 98 : 지지대
100 : 기립부 101 : 안착판
101a : 지지바 102 : 지지판
1021 : 이탈방지부 103 : 기립실린더
1031 : 몸체 1032 : 피스톤
104 : 높이조절실린더 110 : 제3 이물질 제거부
111 : 안착부 112 : 제1 진동전달부
1121 : 제1 안착편 113 : 제2 진동전달부
1131 : 제2 안착편 114 : 제3 진동전달부
1141 : 제3 안착편 115 : 제1 진동발생부
1151 : 제1 와이어 1152 : 제1 모터
1153 : 제1 드럼 116 : 제2 진동발생부
1161 : 제2 와이어 1162 : 제2 모터
1163 : 제2 드럼 117 : 제3 진동발생부
1171 : 제3 와이어 1172 : 제3 모터
1173 : 제3 드럼 118 : 승강가이드통
120 : 지주 121 : 바퀴
130 : 천장부
1: Forming machine 10: Separator
11: first support table 12: second support table
13: rotation guide plate 20: forming forming part
21: drive shaft 21a: spiral
22a, 22b: forming roller 221a, 221b, 31a: spiral hole
23: upper gear 24: lower gear
25: connecting gear 30: additional forming roller
31: central 32: extruded piece
40: moving driving unit 50, 95: moving plate
60a: first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 60b: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
70a: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70b: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
80: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part 81: fixed part
811: pressure cylinder 812: pressure plate
813: support block 82: base plate
83: adhesive film 84: elevating cylinder
90: second foreign matter removal unit 91: steam machine
911: injection nozzle 92: scraper
921: scraping blade 93: drying unit
931: heating block 932: heating wire
94: pneumatic cylinder 96: hydraulic cylinder
97: pedestal 98: support
100: standing unit 101: seating plate
101a: support bar 102: support plate
1021: separation prevention part 103: standing cylinder
1031: body 1032: piston
104: height adjustment cylinder 110: third foreign matter removal part
111: seating part 112: first vibration transmission part
1121: first seating piece 113: second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31: second seating piece 114: third vibration transmission unit
1141: third seating piece 115: first vibration generating unit
1151: first wire 1152: first motor
1153: first drum 116: secon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61: second wire 1162: second motor
1163: second drum 117: third vibration generating unit
1171: third wire 1172: third motor
1173: third drum 118: elevating guide barrel
120: holding 121: wheel
130: ceiling

Claims (2)

분리대;
상기 분리대에 설치되되, 구동부를 통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상,하 방향 한 쌍을 이루고 수평 방향의 다수 열로 배열되면서 양측이 분리대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 및 상기 분리대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측의 구동축 및 하측의 구동축에 각각 장착되고 서로 동일한 직경 또는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방화문에 사용되는 내판 또는 외판의 소재를 교대로 포밍하는 포밍롤러;
상기 포밍롤러를 대체하여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도록 나선홀을 가지며, 서로 상이한 형상 또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부가 포밍롤러;
상기 분리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이동구동부;
상기 이동구동부에 의해 상기 분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2 전,후진 구동부;
상기 제1 전,후진 구동부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어 상기 분리대의 일측으로 돌출된 포밍롤러의 상측에 위치되거나 또는 이탈되며, 상측과 하측에 위치된 포밍롤러의 가장자리 부위를 향해 각각 빛을 발광 및 수광하여 상기 포밍롤러의 마모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포밍롤러의 교체신호를 출력하는 제1 마모율 감지부;
상기 제2 전,후진 구동부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어 상기 분리대의 타측으로 돌출된 포밍롤러의 상측에 각각 위치되거나 또는 이탈되며, 상측과 하측에 위치된 포밍롤러의 가장자리 부위를 향해 빛을 발광 및 수광하여 상기 포밍롤러의 마모율이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포밍롤러의 교체신호를 출력하는 제2 마모율 감지부;
상기 분리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포밍 전 소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이물질 제거부;
상기 제1 이물질 제거부에 후행되어 작동되며, 상기 소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이물질 제거부; 및
상기 포밍성형부에 의해 포밍이 완료된 소재를 일정한 기울기로 기립시키는 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외주연과 상기 포밍롤러에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나선 및 나선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물질 제거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 및 상기 가압실린더에 의해 각각 전진되면서 소재의 가장자리면을 가압하는 가압판을 포함하여 상기 소재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고정부;
상기 소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각각 여러겹으로 포개지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소재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시키기 위한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부착필름; 및
상기 부착필름이 상기 소재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을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소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기;
상기 소재의 일면 또는 타면을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 및
상기 소재의 일면 또는 타면에 열을 가해 건조하는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기와 스크래퍼 및 건조부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의 이동판에 공동으로 고정되어 상기 소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기립부는,
상기 포밍이 완료된 소재가 안착되는 안착판;
상면 일측이 상기 안착판의 저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면과 안착판의 저면에 공동으로 힌지 결합되고, 신장 작동에 의해 상기 안착판을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기립실린더;를 포함하는 포밍기.
reservation;
A drive shaft installed in the separator,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hrough a driving unit, forming a pai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rranged in multiple r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oth sides projecting to both sides of the separator, and an upper driving shaft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separator and a forming roller mounted on the lower drive shaft and formed to have the same or different diameters and alternately forming the material of the inner or outer plate used in the fire door;
a plurality of additional forming rollers having a spiral hole to be coupled to the drive shaft instead of the forming roller, and formed to have different shapes or sizes;
a moving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or;
a moving plate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parator by the moving driving unit;
first, second,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The first forward or backward driving unit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is located above or separated from the forming roller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separator, and emits and receives light toward the edge of the forming roller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 first wear rate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replacement signal of the forming roller when the wear rate of the forming roll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second forward or backward driving unit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is respectively located or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orming roller protru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or, and emits and receives light toward the edge of the forming roller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 second wear rate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replacement signal of the forming roller when the wear rate of the forming roll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a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materials present on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material before forming;
a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operated following the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on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material; and
Including; and a standing part for standing the material on which the forming is completed by the forming part at a constant inclination;
A spiral and a spiral hole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e shaft and the forming roller to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irst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 fixing part for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cluding a pair of pressure cylinder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ressure plate for pressing the edge surface of the material while being advanced by the pressure cylinder, respectively;
Base plate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terial;
an adhesive film fixed to the base plate in a form overlapping each of several layers and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material; and
Containing; and a lifting cylinder for raising or lowering the base plate, respectively, so that the attachment film is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terial.
The second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 steamer for spraying steam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a scraper for scraping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and
Includes; drying unit for drying by applying heat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terial;
The steamer, scraper, and drying unit are jointly fixed to one moving plat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pneumatic cylinder and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terial,
The standing part,
a seating plate on which the forming material is seated;
a support plate having an upper surface hinge-coupl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A forming machine comprising a; hinge-coupled joint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late, and a standing cylinder for rotating the seating plate in an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by an extension operation.
삭제delete
KR1020210039249A 2021-03-26 2021-03-26 Forming apparatus KR1022813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49A KR102281391B1 (en) 2021-03-26 2021-03-26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49A KR102281391B1 (en) 2021-03-26 2021-03-26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391B1 true KR102281391B1 (en) 2021-07-23

Family

ID=7715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249A KR102281391B1 (en) 2021-03-26 2021-03-26 Fo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39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055Y1 (en) * 2005-03-22 2005-06-20 대업(주) A forming machine for fire door frame
KR101850311B1 (en) 2016-12-07 2018-04-20 화성제이엘테크(주) Twin-type multi forming machine
KR102240952B1 (en) * 2020-12-03 2021-04-14 김재원 Jig for pain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055Y1 (en) * 2005-03-22 2005-06-20 대업(주) A forming machine for fire door frame
KR101850311B1 (en) 2016-12-07 2018-04-20 화성제이엘테크(주) Twin-type multi forming machine
KR102240952B1 (en) * 2020-12-03 2021-04-14 김재원 Jig for pain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66833B (en) Sorting device is picked to fruit
CN104308547B (en) Tank body production line
US4493599A (en) Article depalletizer
CN104907478B (en) A kind of automatic riveting machine
CN104665115B (en) A kind of vamp roll unit
CN104325049B (en) A kind of building iron bending production line
CN108297064A (en) A kind of box body pick-and-place manipulator
KR102281391B1 (en) Forming apparatus
KR101201252B1 (en) Processing device of stone
CN110899407A (en) Feeding mechanism for high-speed pipe coiling machine
CN101108695B (en) Rotating press belt type pail device
CN215798369U (en) Height-adjustable's fruit juice production is with getting equipment of covering
CN106966318B (en) A kind of tatami elevator
US5865596A (en) Separating and picking out device
CN106239965A (en) A kind of pop can identifies and pressurizing unit automatically
CN211056337U (en) Automatic pile up device that piles up corrugated paper
CN108043658A (en) A kind of plate glue spreading apparatus
US4648859A (en) Apparatus for applying a sealing material to the edge of a length of packaging
CN106730725A (en) A kind of service robot for football training
KR102043556B1 (en) Material discharging apparatus of tripper
US3906610A (en) De-bunging apparatus
KR102355460B1 (en) Apparatus for supply automatic
CN219193833U (en) Laminated sleeve inlaid soft cloth bag type discharging barrel and lifting device
CN111250618A (en) Fire extinguisher bottle production process
CN209268216U (en) A kind of bacteria stick arran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