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79B1 -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 Google Patents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979B1
KR102280979B1 KR1020207026460A KR20207026460A KR102280979B1 KR 102280979 B1 KR102280979 B1 KR 102280979B1 KR 1020207026460 A KR1020207026460 A KR 1020207026460A KR 20207026460 A KR20207026460 A KR 20207026460A KR 102280979 B1 KR102280979 B1 KR 102280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peripheral
displaying
user interfa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387A (ko
Inventor
아리안 베흐자디
카엘란 지. 스택
임란 차우드리
패트릭 엘. 코프만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KPA201670727A external-priority patent/DK201670727A1/en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riority to KR102021702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375A/ko
Publication of KR2020010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06F13/124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where hardware is a sequential transfer control unit, e.g. microprocessor, peripheral processor or state-machine
    • G06F13/128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where hardware is a sequential transfer control unit, e.g. microprocessor, peripheral processor or state-machine for dedicated transfers to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무선 주파수(RF) 회로부, 및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방법이 수행된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라는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여기서 결합 기준들은 제1 주변기기가 제2 주변기기에 결합되는 것을 요구한다.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와 전자 디바이스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페어링 어포던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와 제2 주변기기의 결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WIRELESS PAIRING WITH PERIPHERAL DEVICES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CONCERNING THE PERIPHERAL DEVICES}
이는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를 주변 장치들과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전자 디바이스들의 무선 페어링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 주변 장치들의 사용은 최근에 실질적으로 증가하였다.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페어링 기술들은 종종 그러한 디바이스들에 주변기기들을 연결("페어링")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은, 특히 다수의 주변 장치들이 수반되는 경우, 번거롭고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주어진 전자 디바이스와 함께 주변기기들을 사용하기 전에, 각각의 주변기기를 디바이스와 개별적으로 페어링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장치들과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보다 빠르고 보다 효율적인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이 필요하다. 그러한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옵션적으로 주변기기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을 보완하거나 대체한다. 그러한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의 수, 크기, 및/또는 종류를 줄이고 보다 효율적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배터리-작동형 디바이스들의 경우, 그러한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전력을 절약하고 배터리 충전들 사이의 시간을 증가시킨다.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과 연관된 상기의 결함들 및 다른 문제들은 개시된 디바이스들에 의해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데스크톱 컴퓨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휴대용(예컨대,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터치패드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도 알려짐)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 프로그램들 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주로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스타일러스 및/또는 손가락 접촉들 및 제스처들을 통해 GUI와 상호작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능들은, 옵션적으로, 이미지 편집, 그리기, 프레젠팅(presenting), 워드 프로세싱, 스프레드시트 작성, 게임 하기, 전화 걸기, 화상 회의, 이메일 보내기,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운동 지원, 디지털 사진촬영, 디지털 비디오 녹화, 웹 브라우징, 디지털 음악 재생, 메모하기(note taking),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 구성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은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회로부, 및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수행된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라는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여기서 결합 기준들은 제1 주변기기가 제2 주변기기에 결합되는 것을 요구한다.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제1 주변기기와 전자 디바이스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페어링 어포던스(pairing affordance)를 디스플레이한다.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와 제2 주변기기의 결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회로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 및 디스플레이 유닛, 무선 주파수(RF) 회로부 및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에 결합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인에이블한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라는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여기서 결합 기준들은 제1 주변기기가 제2 주변기기에 결합되는 것을 요구한다.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싱 유닛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제1 주변기기와 전자 디바이스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페어링 어포던스의 디스플레이를 인에이블한다.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싱 유닛은 제1 주변기기와 제2 주변기기의 결합에 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인에이블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들, 무선 주파수(RF) 회로부, 및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에는, 주변 장치들과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보다 빠르고 보다 효율적인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유효성, 효율성, 및 사용자 만족도를 증가시킨다. 그러한 방법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주변기기들을 페어링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다양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의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 유사한 도면 부호들이 도면 전체에 걸쳐서 대응 부분들을 나타내는 하기의 도면들과 관련하여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참조되어야 한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벤트 처리를 위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갖는 예시적인 다기능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메뉴에 대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와는 별개인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갖는 다기능 디바이스에 대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5a 내지 도 5z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주변 장치들과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주변 장치들과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많은 종래의 전자 디바이스들은 주변기기들과 페어링하는 능력을 갖는다. 그러나, 둘 이상의 주변기기들이 관련되는 경우(예를 들어, 2개의 이어버드들 또는 2개의 이어버드들 및 이어버드들을 위한 케이스), 종래의 전자 디바이스들은 전형적으로 사용 전에 각각의 주변기기와 개별적으로 페어링할 필요가 있다.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관련 주변기기들은 주어진 디바이스에 동시에 페어링될 수 있어서, 단일 페어링 동작에 응답하여 다수의 주변기기들 사이의 페어링을 동기화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개선된 페어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든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일 동작에서 다수의 관련 주변기기들과 효율적으로 페어링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주어진 디바이스를 다수의 관련 주변기기들에 페어링하려고 시도할 때 사용자 실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이러한 개선된 페어링 프로세스가 없으면, 사용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상이한 주변기기들과 개별적으로 페어링하기 위해 추가적인 단계들을 취해야 할 것이다. 디바이스를 다수의 주변기기들과 개별적으로 페어링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인 프로세스일 수 있고, 사용자는 페어링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데 요구되는 증가된 수의 사용자 입력들로 인해 실수를 하는 경향이 더 크다.
또한, 종래의 전자 디바이스들은 페어링된 주변기기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거의 또는 전혀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주변기기들에 관한 상태 정보는 주변기기들이 디바이스에 근접해 있을 때 디스플레이된다(예컨대, 하나 이상의 배터리 레벨들). 주변기기들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듦으로써(예를 들어, 사용자가 각각의 주변기기를 물리적으로 검사해야 함이 없이 주변기기들에 관한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디바이스 및 주변기기들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인에이블한다.
이하에서, 도 1a와 도 1b, 도 2, 도 3, 및 도 7은 예시적인 디바이스들의 설명을 제공한다. 도 4a와 도 4b 및 도 5a 내지 도 5z는 주변기기들을 예시적인 디바이스와 선택적으로 페어링하고 예시적인 디바이스 상에 주변기기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전자 디바이스를 주변 장치들과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z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도 6a 내지 도 6c의 프로세스들을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시적인 디바이스들
이제,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참조될 것이며, 그 실시예들의 예들이 첨부 도면들에 예시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많은 구체적인 상세사항들이 다양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재된다. 그러나, 다양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이 이들 구체적인 상세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잘 알려진 방법들, 절차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 네트워크들은 실시예들의 양태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기술되지 않았다.
일부 예들에서, 용어들, 제1, 제2 등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지만, 이들 요소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이들 용어들은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예를 들면, 다양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제1 접촉이 제2 접촉으로 지칭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접촉이 제1 접촉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접촉 및 제2 접촉은 둘 모두 접촉이지만, 문맥상 명백히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이들은 동일한 접촉인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목적만을 위한 것이고,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다양한 기술된 실시예들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의 형태("a", "an", 및 "the")는 문맥상 명백히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복수의 형태도 마찬가지로 포함하려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연관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나타내고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용어들 "포함한다(include)",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는 경우(if)"라는 용어는, 옵션적으로, 문맥에 따라 "~할 때(when)" 또는 "~ 시(upon)"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cting)"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유사하게, 구절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진술된 상태 또는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는, 옵션적으로,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진술된 상태 또는 이벤트] 검출 시" 또는 "[진술된 상태 또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자 디바이스들, 그러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기 위한 연관된 프로세스들의 실시예들이 기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PDA 및/또는 음악 재생기 기능들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또한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예컨대 이동 전화기이다.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소재의 애플 인크.(Apple Inc.)로부터의 아이폰(iPhone)®, 아이팟 터치(iPod Touch)®, 및 아이패드(iPad)® 디바이스들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표면들(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들 및/또는 터치패드들)을 갖는 랩톱 또는 태블릿 컴퓨터들과 같은 다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이 옵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아니라 터치 감응형 표면(예컨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또는 터치패드)을 갖는 데스크톱 컴퓨터임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논의에서, 디스플레이 및 터치 감응형 표면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기술된다. 그러나, 전자 디바이스가 옵션적으로 물리적 키보드, 마우스 및/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메모하기 애플리케이션, 그리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 워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 웹사이트 제작 애플리케이션, 디스크 저작 애플리케이션,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게이밍 애플리케이션, 전화 애플리케이션, 화상 회의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사진 관리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기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기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한다.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옵션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보편적인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터치 감응형 표면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응하는 정보는, 옵션적으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음 애플리케이션으로 그리고/또는 개개의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조정되고/되거나 변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터치 감응형 표면과 같은) 보편적인 물리적 아키텍처는, 옵션적으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투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한다.
이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들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들의 실시예들에 주목한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을 갖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은 때때로 편의상 "터치 스크린"이라고 지칭되고, 때때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로 단순히 지칭된다. 디바이스(100)는 메모리(102)(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을 포함함), 메모리 제어기(122),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CPU)(120),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 RF 회로부(108),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마이크로폰(113), 입/출력(I/O) 서브시스템(106), 다른 입력 또는 제어 디바이스들(116), 및 외부 포트(124)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광 센서(optical sensor)들(164)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옵션적으로, 디바이스(100) 상의 접촉들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세기 센서들(165)(예컨대, 디바이스(100)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과 같은 터치 감응형 표면)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옵션적으로, 디바이스(100) 상의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또는 디바이스(300)의 터치패드(355)와 같은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을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는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들 또는 신호 라인들(103)을 통해 통신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촉각적 출력"이라는 용어는 디바이스의 이전 위치에 대한 디바이스의 물리적 변위,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예컨대, 하우징)에 대한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예컨대, 터치 감응형 표면)의 물리적 변위, 또는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검출될 디바이스의 질량 중심에 대한 컴포넌트의 변위이다. 예컨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컴포넌트가 터치에 민감한 사용자의 표면(예컨대, 사용자의 손의 손가락, 손바닥, 또는 다른 부위)과 접촉하는 상황에서, 물리적 변위에 의해 생성된 촉각적 출력은 사용자에 의해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컴포넌트의 물리적 특성들의 인지된 변화에 대응하는 촉감(tactile sensation)으로서 해석될 것이다. 예컨대, 터치 감응형 표면(예컨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또는 트랙패드)의 이동은, 옵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물리적 액추에이터 버튼의 "다운 클릭" 또는 "업 클릭"으로서 해석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물리적으로 눌리는(예컨대, 변위되는) 터치 감응형 표면과 연관된 물리적 액추에이터 버튼의 이동이 없는 경우에도 "다운 클릭" 또는 "업 클릭"과 같은 촉감을 느낄 것이다. 다른 예로서, 터치 감응형 표면의 이동은, 터치 감응형 표면의 평탄성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도, 옵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터치 감응형 표면의 "거칠기(roughness)"로서 해석 또는 감지된다. 사용자에 의한 터치의 이러한 해석들이 사용자의 개별화된 감각 인지(sensory perception)에 영향을 받을 것이지만, 대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보편적인 많은 터치 감각 인지가 있다. 따라서, 촉각적 출력이 사용자의 특정 감각 인지(예컨대, "업 클릭", "다운 클릭", "거칠기")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기술될 때,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생성된 촉각적 출력은 전형적인(또는 평균적인) 사용자에 대한 기술된 감각 인지를 생성할 디바이스 또는 그의 컴포넌트의 물리적 변위에 대응한다.
디바이스(100)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의 일례일 뿐이고, 디바이스(100)는, 옵션적으로,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들을 갖거나, 옵션적으로, 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옵션적으로 컴포넌트들의 상이한 구성 또는 배열을 갖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에 도시된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프로세싱 및/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을 비롯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메모리(102)는, 옵션적으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고, 또한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non-volatile solid-state memory device)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CPU(들)(120) 및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와 같은 디바이스(1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한 메모리(102)에 대한 액세스는 옵션적으로 메모리 제어기(122)에 의해 제어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는 디바이스의 입력 및 출력 주변기기들을 CPU(들)(120) 및 메모리(102)에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20)은 디바이스(100)에 대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그리고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메모리(102)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을 구동 또는 실행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 CPU(들)(120) 및 메모리 제어기(122)는, 옵션적으로, 칩(104)과 같은 단일 칩 상에서 구현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옵션적으로 별개의 칩들 상에 구현된다.
RF(radio frequency) 회로부(108)는 전자기 신호들이라고도 지칭되는 RF 신호들을 수신 및 전송한다. RF 회로부(108)는 전기 신호들을 전자기 신호들로/로부터 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들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들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RF 회로부(108)는, 옵션적으로,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들,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DEC 칩셋,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잘 알려진 회로부를 포함한다. RF 회로부(108)는, 옵션적으로, 네트워크들, 예컨대 월드 와이드 웹(WWW)으로도 지칭되는 인터넷, 인트라넷,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및 다른 디바이스들과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한다. 무선 통신은, 옵션적으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EV-DO(Evolution, Data-Only), HSPA, HSPA+, DC-HSPDA(Dual-Cell HSPA), LTE(long term evolu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예컨대, IEEE 802.11a, IEEE 802.11ac, IEEE 802.11ax,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용 프로토콜(예컨대,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및/또는 POP(post office protocol)), 인스턴트 메시징(예컨대,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SIMPLE(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 IMPS(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및/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본 문헌의 출원일 현재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한다.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및 마이크로폰(113)은 사용자와 디바이스(100) 사이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회로부(110)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 전기 신호를 스피커(111)에 송신한다. 스피커(111)는 전기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변환한다. 오디오 회로부(110)는 또한 마이크로폰(113)에 의해 음파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오디오 회로부(110)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프로세싱을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에 송신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옵션적으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에 의해 메모리(102) 및/또는 RF 회로부(108)로부터 인출되고/되거나 이로 송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오디오 회로부(110)는 또한 헤드셋 잭(예컨대, 도 2의 212)을 포함한다. 헤드셋 잭은 출력-전용 헤드폰들, 또는 출력(예컨대, 한쪽 또는 양쪽 귀용 헤드폰) 및 입력(예컨대, 마이크로폰) 양쪽 모두를 갖는 헤드셋과 같은 분리가능한 오디오 입/출력 주변기기들과 오디오 회로부(11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O 서브시스템(106)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및 다른 입력 또는 제어 디바이스들(116)과 같은, 디바이스(100) 상의 입/출력 주변기기들을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와 결합한다. I/O 서브시스템(106)은 옵션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광 센서 제어기(158), 세기 센서 제어기(159), 햅틱 피드백 제어기(161) 및 다른 입력 또는 제어 디바이스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기들(16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입력 제어기들(160)은 다른 입력 또는 제어 디바이스들(116)로부터/로 전기 신호들을 수신/전송한다. 다른 입력 또는 제어 디바이스들(116)은 옵션적으로 물리적 버튼들(예컨대, 푸시 버튼, 로커 버튼(rocker button) 등),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조이스틱, 클릭 휠 등을 포함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입력 제어기(들)(160)는 옵션적으로 키보드, 적외선 포트, USB 포트, 스타일러스,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터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과 결합된다(또는 어떤 것에도 결합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버튼들(예컨대, 도 2의 208)은 옵션적으로 스피커(111) 및/또는 마이크로폰(113)의 음량 제어를 위한 업/다운 버튼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버튼들은 옵션적으로 푸시 버튼(예컨대, 도 2의 206)을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은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156)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으로부터/으로 전기 신호들을 수신 및/또는 전송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출력을 디스플레이한다. 시각적 출력은 옵션적으로 그래픽, 텍스트, 아이콘, 비디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총칭하여 "그래픽"으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에 대응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어포던스"라는 용어는 사용자 상호작용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예컨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 쪽으로 향하는 입력들에 응답하도록 구성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이다. 사용자 상호작용형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의 예들은, 제한 없이, 버튼, 슬라이더, 아이콘, 선택가능한 메뉴 항목, 스위치, 하이퍼링크,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은 햅틱 및/또는 촉각적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용하는 터치 감응형 표면, 센서 또는 센서들의 세트를 갖는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156)는 (메모리(102) 내의 임의의 연관된 모듈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과 함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상의 접촉(및 접촉의 임의의 이동 또는 중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접촉을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상에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예컨대, 하나 이상의 소프트 키들, 아이콘들, 웹 페이지들 또는 이미지들)과의 상호작용으로 변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과 사용자 사이의 접촉 지점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에 대응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은, 옵션적으로, LCD(액정 디스플레이) 기술, LPD(발광 중합체 디스플레이) 기술, 또는 LED(발광 다이오드) 기술을 이용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들이 이용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156)는, 옵션적으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근접 센서 어레이들 또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 지점들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현재 알려져 있거나 추후에 개발될 복수의 터치 감지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접촉 및 그의 임의의 이동 또는 중단을 검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소재의 애플 인크.로부터의 아이폰®, 아이팟 터치®, 및 아이패드®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투영형 상호 정전용량식 감지 기술(projected mutual capacitance sensing technology)이 이용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은, 옵션적으로, 100dpi를 초과하는 비디오 해상도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 스크린 비디오 해상도는 400 dpi를 초과한다(예를 들어, 500 dpi, 800 dpi, 또는 그 이상). 사용자는 옵션적으로 스타일러스, 손가락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부속물을 이용하여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과 접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손가락 기반 접촉 및 제스처를 이용하여 작업하도록 설계되는데, 이는 터치 스크린 상의 손가락의 더 넓은 접촉 면적으로 인해 스타일러스 기반 입력보다 덜 정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대략적인 손가락 기반 입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밀한 포인터/커서 위치 또는 커맨드로 변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 스크린 이외에, 디바이스(100)는, 옵션적으로, 특정 기능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터치패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패드는, 터치 스크린과는 달리, 시각적 출력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디바이스의 터치 감응형 영역이다. 터치패드는, 옵션적으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과는 별개인 터치 감응형 표면, 또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형성된 터치 감응형 표면의 연장부이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162)을 포함한다. 전력 시스템(162)은, 옵션적으로, 전력 관리 시스템, 하나 이상의 전원들(예컨대, 배터리, 교류 전류(alternating current, AC)), 재충전 시스템, 전력 고장 검출 회로, 전력 변환기 또는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 및 휴대용 디바이스들 내에서의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와 연관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광 센서들(164)을 포함한다. 도 1a는 I/O 서브시스템(106) 내의 광 센서 제어기(158)와 결합된 광 센서를 도시한다. 광 센서(들)(164)는 옵션적으로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포토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광 센서(들)(164)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을 통해 투영된 주변환경으로부터의 광을 수신하고, 그 광을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미징 모듈(143)(카메라 모듈이라고도 지칭됨)과 함께, 광 센서(들)(164)는 옵션적으로, 정지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캡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 센서는 디바이스(100)의 전면 상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의 반대편인 디바이스의 배면 상에 위치되어, 터치 스크린이 정지 및/또는 비디오 이미지 획득을 위한 뷰파인더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의 이미지가 획득되도록(예를 들어, 셀카를 위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다른 화상 회의 참가자들을 보는 동안 화상 회의를 위해 등) 다른 광 센서가 디바이스의 전면 상에 위치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접촉 세기 센서들(165)을 포함한다. 도 1a는 I/O 서브시스템(106) 내의 세기 센서 제어기(159)와 결합된 접촉 세기 센서를 도시한다. 접촉 세기 센서(들)(165)는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압전 저항 스트레인 게이지들, 용량성 힘 센서들, 전기적 힘 센서들, 압전 힘 센서들, 광학적 힘 센서들, 용량성 터치 감응형 표면들, 또는 다른 세기 센서들(예를 들면,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접촉 힘(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센서들)을 포함한다. 접촉 세기 센서(들)(165)는 주변환경으로부터 접촉 세기 정보(예를 들면, 압력 정보 또는 압력 정보에 대한 대용물(proxy))를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세기 센서는 터치 감응형 표면(예컨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과 함께 위치(collocate)되거나 그에 근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세기 센서는 디바이스(100)의 전면 상에 위치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의 반대편인 디바이스(100)의 배면 상에 위치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근접 센서들(166)을 포함한다. 도 1a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와 결합된 근접 센서(166)를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근접 센서(166)는 I/O 서브시스템(106) 내의 입력 제어기(160)와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근접 센서는 다기능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귀 근처에 위치될 때(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하고 있을 때),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을 끄고 디스에이블시킨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을 포함한다. 도 1a는 I/O 서브시스템(106) 내의 햅틱 피드백 제어기(161)와 결합된 촉각적 출력 생성기를 도시한다.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는 옵션적으로 스피커들 또는 다른 오디오 컴포넌트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자음향 디바이스들 및/또는 모터, 솔레노이드, 전기활성 중합체, 압전 액추에이터, 정전 액추에이터, 또는 다른 촉각적 출력 생성 컴포넌트(예를 들면, 전기 신호들을 디바이스 상의 촉각적 출력들로 변환하는 컴포넌트)와 같이 에너지를 선형 모션(linear motion)으로 변환하는 전자기계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는 햅틱 피드백 모듈(133)로부터 촉각적 피드백 생성 명령어들을 수신하여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디바이스(100) 상의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는 터치 감응형 표면(예컨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과 함께 위치되거나 그에 근접하며, 옵션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을 수직으로(예컨대, 디바이스(100)의 표면 내/외로) 또는 측방향으로(예컨대, 디바이스(100)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에서 앞뒤로) 이동시킴으로써 촉각적 출력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 센서는 디바이스(100)의 전면 상에 위치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의 반대편인 디바이스(100)의 배면 상에 위치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들(168)을 포함한다. 도 1a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와 결합된 가속도계(168)를 도시한다. 대안적으로, 가속도계(168)는 옵션적으로 I/O 서브시스템(106) 내의 입력 제어기(160)와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분석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세로보기(portrait view) 또는 가로보기(landscape view)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디바이스(100)는, 옵션적으로, 가속도계(들)(168) 외에도, 자력계(도시되지 않음), 및 디바이스(100)의 위치 및 배향(예컨대, 세로 또는 가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또는 GLONASS 또는 다른 글로벌 내비게이션 시스템) 수신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은 운영 체제(126), 통신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28), 접촉/모션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30), 그래픽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32), 햅틱 피드백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33), 텍스트 입력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34), GPS 모듈(또는 명령어들의 세트)(135), 및 애플리케이션들(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136)을 포함한다. 게다가,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2)는 도 1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글로벌 내부 상태(157)를 저장한다. 디바이스/글로벌 내부 상태(157)는, 존재하는 경우, 어느 애플리케이션들이 현재 활성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활성 애플리케이션 상태; 어떤 애플리케이션들, 뷰들 또는 다른 정보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의 다양한 영역들을 점유하는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 디바이스의 다양한 센서들 및 다른 입력 또는 제어 디바이스들(116)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상태; 및 디바이스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관한 위치 및/또는 위치관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운영 체제(126)(예컨대, iOS, 다윈(Darwin), RTXC,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OS X, 윈도우(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형 운영 체제)는 일반적인 시스템 태스크들(예컨대, 메모리 관리, 저장 디바이스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하고,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통신 모듈(128)은 하나 이상의 외부 포트들(124)을 통한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인에이블하고, 또한 RF 회로부(108) 및/또는 외부 포트(124)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외부 포트(124)(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파이어와이어(FIREWIRE) 등)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직접적으로 또는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무선 LAN 등)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부 포트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소재의 애플 인크.로부터의 일부 아이폰®, 아이팟 터치®, 및 아이패드®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되는 30-핀 커넥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하거나 호환가능한 멀티-핀(예컨대, 30-핀) 커넥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외부 포트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소재의 애플 인크.로부터의 일부 아이폰®, 아이팟 터치®, 및 아이패드®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되는 라이트닝 커넥터(Lightning connector)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하거나 호환가능한 라이트닝 커넥터이다.
접촉/모션 모듈(130)은, 옵션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기(156)와 함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및 다른 터치 감응형 디바이스들(예컨대, 터치패드 또는 물리적 클릭 휠)과의 접촉을 검출한다. 접촉/모션 모듈(130)은 접촉이 발생했는지 결정하는 것(예컨대, 손가락-다운 이벤트(finger-down event)를 검출하는 것), 접촉의 세기(예컨대, 접촉의 힘 또는 압력, 또는 접촉의 힘 또는 압력을 대체하는 것)를 결정하는 것, 접촉의 이동이 있는지 결정하고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가로지르는 이동을 추적하는 것(예컨대, 하나 이상의 손가락-드래그 이벤트(finger-dragging event)들을 검출하는 것), 및 접촉이 중지되었는지 결정하는 것(예컨대, 손가락-업 이벤트(finger-up event) 또는 접촉 중단을 검출하는 것)과 같은, (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한, 또는 스타일러스에 의한) 접촉의 검출에 관련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접촉/모션 모듈(130)은 터치 감응형 표면으로부터 접촉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련의 접촉 데이터에 의해 표현되는 접촉 지점의 이동을 결정하는 것은, 옵션적으로, 접촉 지점의 속력(크기), 속도(크기 및 방향), 및/또는 가속도(크기 및/또는 방향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동작들은, 옵션적으로, 단일 접촉들(예컨대, 한 손가락 접촉들 또는 스타일러스 접촉들)에 또는 다수의 동시 접촉들(예컨대, "멀티터치"/다수의 손가락 접촉들)에 적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모션 모듈(130)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156)는 터치패드 상의 접촉을 검출한다.
접촉/모션 모듈(130)은, 옵션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제스처 입력을 검출한다. 터치 감응형 표면 상에서의 상이한 제스처들은 상이한 접촉 패턴들(예컨대, 검출된 접촉들의 상이한 모션들, 타이밍들, 및/또는 세기들)을 갖는다. 따라서, 제스처는, 옵션적으로, 특정 접촉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검출된다. 예를 들어, 손가락 탭 제스처(finger tap gesture)를 검출하는 것은 손가락-다운 이벤트를 검출한 다음에 손가락-다운 이벤트와 동일한 위치(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예를 들어, 아이콘의 위치에서) 손가락-업(리프트오프)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터치 감응형 표면 상에서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finger swipe gesture)를 검출하는 것은 손가락-다운 이벤트를 검출한 다음에 하나 이상의 손가락-드래그 이벤트들을 검출하고, 그에 후속하여 손가락-업(리프트오프)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탭, 스와이프, 드래그, 및 다른 제스처들은 옵션적으로 스타일러스를 위한 특정 접촉 패턴을 검출함으로써 스타일러스를 위해 검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손가락 탭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은, 손가락-다운 이벤트와 손가락-업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 사이의 시간의 길이에 좌우되지만, 손가락-다운 이벤트와 손가락-업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 사이의 손가락 접촉의 세기에 독립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탭 제스처는, 탭 동안의 손가락 접촉의 세기가 (공칭 접촉-검출 세기 임계치보다 큰) 주어진 세기 임계치, 예컨대 가볍게 누르기 또는 깊게 누르기 세기 임계치를 충족하는지 여부에 독립적으로, 손가락-다운 이벤트와 손가락-업 이벤트 사이의 시간의 길이가 미리결정된 값 미만(예컨대, 0.1, 0.2, 0.3, 0.4 또는 0.5초 미만)이라는 결정에 따라 검출된다. 따라서, 손가락 탭 제스처는, 특정 입력 기준들이 충족되기 위하여 접촉의 특성 세기가 주어진 세기 임계치를 충족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 특정 입력 기준들을 충족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탭 제스처에서의 손가락 접촉은 전형적으로, 손가락-다운 이벤트가 검출되기 위하여 공칭 접촉-검출 세기 임계치(이 미만에서는 접촉이 검출되지 않음)를 충족할 필요가 있다. 스타일러스 또는 다른 접촉에 의한 탭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에 유사한 분석이 적용된다. 디바이스가 터치 감응형 표면 위에 호버링(hovering)하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경우에, 공칭 접촉-검출 세기 임계치는 옵션적으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터치 감응형 표면 사이의 물리적 접촉에 대응하지 않는다.
동일한 개념들이 다른 유형의 제스처들에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스와이프 제스처, 핀치 제스처, 디핀치 제스처, 및/또는 길게 누르기 제스처는 옵션적으로, 그 제스처에 포함되는 접촉들의 세기들에 독립적이거나, 또는 그 제스처를 수행하는 접촉(들)이 인식되기 위하여 세기 임계치들에 도달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 기준들의 만족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예를 들어, 스와이프 제스처는 하나 이상의 접촉들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검출되고; 핀치 제스처는 둘 이상의 접촉들의 서로를 향하는 이동에 기초하여 검출되고; 디핀치 제스처는 둘 이상의 접촉들의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에 기초하여 검출되고; 길게 누르기 제스처는 임계량 미만의 이동을 갖는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접촉의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이와 같이, 특정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충족되기 위하여 접촉(들)의 세기가 개개의 세기 임계치를 충족할 것을 특정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요구하지 않는다는 진술은, 특정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그 제스처에서의 접촉(들)이 개개의 세기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충족될 수 있고, 그 제스처에서의 접촉들 중 하나 이상이 개개의 세기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그를 초과하는 상황들에서도 또한 충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탭 제스처는, 접촉이 미리정의된 기간 동안 개개의 세기 임계치 초과인지 미만인지 여부에 무관하게, 손가락-다운 및 손가락-업 이벤트가 미리정의된 기간 내에서 검출된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검출되고, 스와이프 제스처는, 접촉이 접촉 이동의 끝에서 개개의 세기 임계치 초과이더라도, 접촉 이동이 미리정의된 크기보다 더 크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제스처의 검출이 제스처를 수행하는 접촉들의 세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 구현예들(예컨대, 디바이스는 접촉의 세기가 세기 임계치 초과일 때 길게 누르기를 더 신속하게 검출하거나, 또는 접촉의 세기가 더 높을 때 탭 입력의 검출을 지연시킴)에서도, 그러한 제스처들의 검출은, 접촉이 특정 세기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는 상황들에서 제스처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들이 충족될 수 있는 한(예컨대, 제스처를 인식하는 데 걸리는 시간량이 변화하더라도) 접촉들이 특정 세기 임계치에 도달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접촉 세기 임계치들, 지속기간 임계치들, 및 이동 임계치들은, 일부 상황들에서, 동일한 입력 요소와의 다수의 상이한 상호작용들이 보다 풍부한 세트의 사용자 상호작용들 및 응답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동일한 입력 요소 또는 영역으로 향하는 둘 이상의 상이한 제스처들을 구별하기 위한 휴리스틱(heuristic)들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조합들로 조합된다. 특정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충족되기 위하여 접촉(들)의 세기가 개개의 세기 임계치를 충족할 것을 특정 세트의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요구하지 않는다는 진술은, 제스처가 개개의 세기 임계치 초과의 세기를 갖는 접촉을 포함할 때 충족되는 기준들을 갖는 다른 제스처들을 식별하기 위한 다른 세기 의존적 제스처 인식 기준들의 동시 평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 상황들에서, 제1 제스처에 대한 제1 제스처 인식 기준들 ― 이는 제1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충족되기 위하여 접촉(들)의 세기가 개개의 세기 임계치를 충족할 것을 요구하지 않음 - 은 제2 제스처에 대한 제2 제스처 인식 기준들 - 이는 개개의 세기 임계치에 도달하는 접촉(들)에 의존함 - 과 경쟁 관계에 있다. 그러한 경쟁들에서, 제스처는, 옵션적으로, 제2 제스처에 대한 제2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먼저 충족되는 경우 제1 제스처에 대한 제1 제스처 인식 기준들을 충족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촉이 미리정의된 이동량만큼 이동하기 전에 접촉이 개개의 세기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 스와이프 제스처보다는 오히려 깊게 누르기 제스처가 검출된다. 역으로, 접촉이 개개의 세기 임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접촉이 미리정의된 이동량만큼 이동하는 경우, 깊게 누르기 제스처보다는 오히려 스와이프 제스처가 검출된다. 그러한 상황들에서도, 제1 제스처에 대한 제1 제스처 인식 기준들은 여전히, 제1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충족되기 위하여 접촉(들)의 세기가 개개의 세기 임계치를 충족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데, 이는 접촉이 제스처(예컨대, 개개의 세기 임계치 초과의 세기로 증가하지 않은 접촉을 갖는 스와이프 제스처)의 끝까지 개개의 세기 임계치 미만으로 머무른 경우, 제스처가 제1 제스처 인식 기준들에 의해 스와이프 제스처로서 인식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특정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충족되기 위하여 접촉(들)의 세기가 개개의 세기 임계치를 충족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 특정 제스처 인식 기준들은, (A) 일부 상황들에서 (예컨대, 탭 제스처의 경우) 세기 임계치와 관련한 접촉의 세기를 무시하고/하거나 (B) 일부 상황들에서 (예컨대, 인식을 위해 깊게 누르기 제스처와 경쟁하는 길게 누르기 제스처의 경우) (예컨대, 길게 누르기 제스처에 대한) 특정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입력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인식하기 전에 (예컨대, 깊게 누르기 제스처에 대한) 세기 의존적 제스처 인식 기준들의 경쟁 세트가 입력을 세기 의존적 제스처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인식하는 경우 특정 제스처 인식 기준들이 실패할 것이라는 의미에서 세기 임계치와 관련한 접촉의 세기에 여전히 의존할 것이다.
그래픽 모듈(132)은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의 시각적 효과(예컨대, 밝기, 투명도, 채도, 콘트라스트 또는 다른 시각적 속성)를 변경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상에서 그래픽을 렌더링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다양한 공지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래픽"이라는 용어는, 텍스트, 웹페이지들, 아이콘들(예컨대, 소프트 키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 디지털 이미지들, 비디오들, 애니메이션들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임의의 객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래픽 모듈(132)은 사용될 그래픽을 표현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각각의 그래픽에는 옵션적으로 대응하는 코드가 할당된다. 그래픽 모듈(132)은, 필요한 경우, 좌표 데이터 및 다른 그래픽 속성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그래픽을 특정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들을 애플리케이션들 등으로부터 수신하며, 이어서 스크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제어기(156)에 출력한다.
햅틱 피드백 모듈(133)은 디바이스(100)와의 사용자 상호작용들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서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에 의해 이용되는 명령어들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옵션적으로 그래픽 모듈(132)의 컴포넌트인 텍스트 입력 모듈(134)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예컨대, 연락처(137), 이-메일(140), IM(141), 브라우저(147), 및 텍스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들을 제공한다.
GPS 모듈(135)은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 정보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의 사용을 위해 (예컨대, 위치 기반 다이얼링에서 사용하기 위해 전화(138)에, 사진/비디오 메타데이터로서 카메라(143)에, 그리고 날씨 위젯들, 지역 옐로 페이지 위젯들 및 지도/내비게이션 위젯들과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들(136)은, 옵션적으로, 다음의 모듈들(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 또는 수퍼세트(superset)를 포함한다:
Figure 112020097134000-pat00001
연락처 모듈(137)(때때로 주소록 또는 연락처 목록으로 지칭됨);
Figure 112020097134000-pat00002
전화 모듈(138);
Figure 112020097134000-pat00003
화상 회의 모듈(139);
Figure 112020097134000-pat00004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
Figure 112020097134000-pat00005
인스턴트 메시징(IM) 모듈(141);
Figure 112020097134000-pat00006
운동 지원 모듈(142);
Figure 112020097134000-pat00007
정지 및/또는 비디오 이미지들을 위한 카메라 모듈(143);
Figure 112020097134000-pat00008
이미지 관리 모듈(144);
Figure 112020097134000-pat00009
브라우저 모듈(147);
Figure 112020097134000-pat00010
캘린더 모듈(148);
Figure 112020097134000-pat00011
옵션적으로 날씨 위젯(149-1), 주식 위젯(149-2), 계산기 위젯(149-3), 알람 시계 위젯(149-4), 사전 위젯(149-5), 및 사용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위젯들뿐 아니라 사용자-생성 위젯들(149-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젯 모듈들(149);
Figure 112020097134000-pat00012
사용자-생성 위젯들(149-6)을 만들기 위한 위젯 생성기 모듈(150);
Figure 112020097134000-pat00013
검색 모듈(151);
Figure 112020097134000-pat00014
옵션적으로 비디오 재생기 모듈 및 음악 재생기 모듈로 구성된 비디오 및 음악 재생기 모듈(152);
Figure 112020097134000-pat00015
메모 모듈(153);
Figure 112020097134000-pat00016
지도 모듈(154); 및/또는
Figure 112020097134000-pat00017
온라인 비디오 모듈(155).
옵션적으로 메모리(102) 내에 저장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들(136)의 예들은 다른 워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들, 다른 이미지 편집 애플리케이션들, 그리기 애플리케이션들, 프레젠테이션 애플리케이션들, JAVA-인에이블형 애플리케이션들, 암호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음성 인식 및 음성 복제를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연락처 모듈(137)은, 하기를 비롯한, 주소록 또는 연락처 목록(예컨대, 메모리(102) 또는 메모리(370) 내의 연락처 모듈(137)의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에 저장됨)을 관리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이름(들)을 주소록에 추가하는 것; 주소록으로부터 이름(들)을 삭제하는 것; 전화번호(들), 이메일 주소(들), 물리적 주소(들) 또는 다른 정보를 이름과 연관시키는 것; 이미지를 이름과 연관시키는 것; 이름들을 분류 및 정렬하는 것; 전화(138), 화상 회의(139), 이메일(140) 또는 IM(141)에 의한 통신을 개시하고/하거나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화번호들 및/또는 이메일 주소들을 제공하는 것 등.
RF 회로부(108),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마이크로폰(113),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전화 모듈(138)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문자들의 시퀀스를 입력하고, 주소록(137) 내의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들에 액세스하고, 입력된 전화번호를 수정하고, 각각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대화를 하고, 대화가 완료된 때 접속해제하거나 끊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은 옵션적으로 복수의 통신 표준들, 프로토콜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한다.
RF 회로부(108),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마이크로폰(113),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광 센서(들)(164), 광 센서 제어기(158),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연락처 목록(137) 및 전화 모듈(138)과 함께, 화상 회의 모듈(139)은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사용자와 한 명 이상의 다른 참여자들 사이의 화상 회의를 개시, 시행 및 종료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은 사용자 지시들에 응답하여 이메일을 생성, 전송, 수신, 및 관리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이미지 관리 모듈(144)과 함께,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은 카메라 모듈(143)로 촬영된 정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들을 갖는 이메일을 생성 및 전송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인스턴트 메시징 모듈(141)은,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문자들의 시퀀스를 입력하고, 이전에 입력된 문자들을 수정하고, (예를 들면, 전화 기반 인스턴트 메시지들을 위한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프로토콜을 이용하거나 인터넷 기반 인스턴트 메시지들을 위한 XMPP, SIMPLE,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또는 IMPS를 이용하여) 개개의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인스턴트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들을 보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들은 옵션적으로 그래픽, 사진, 오디오 파일, 비디오 파일 및/또는 MMS 및/또는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에서 지원되는 다른 첨부물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징"은 전화 기반 메시지들(예컨대, SMS 또는 MMS를 이용하여 전송된 메시지들) 및 인터넷 기반 메시지들(예를 들면, XMPP, SIMPLE, APNs, 또는 IMPS를 이용하여 전송된 메시지들) 둘 모두를 지칭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GPS 모듈(135), 지도 모듈(154), 및 음악 재생기 모듈(146)과 함께, 운동 지원 모듈(142)은 (예컨대, 시간, 거리, 및/또는 열량 소비 목표와 함께) 운동들을 창출하고; (스포츠 디바이스들 및 스마트 워치들 내의) 운동 센서들과 통신하고; 운동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운동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센서들을 교정하고; 운동을 위한 음악을 선택 및 재생하고; 운동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저장 및 송신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광 센서(들)(164), 광 센서 제어기(158),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이미지 관리 모듈(144)과 함께, 카메라 모듈(143)은 정지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함)를 캡처하여 이들을 메모리(102)에 저장하고/하거나,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특성을 수정하고/하거나, 메모리(102)로부터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삭제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및 카메라 모듈(143)과 함께, 이미지 관리 모듈(144)은 정지 및/또는 비디오 이미지들을 배열하거나, 수정(예컨대, 편집)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조작하고, 라벨링하고, 삭제하고, (예컨대, 디지털 슬라이드 쇼 또는 앨범에) 제시하고, 저장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브라우저 모듈(147)은 웹 페이지들 또는 이들의 부분들은 물론 웹 페이지들에 링크된 첨부물들 및 다른 파일들을 검색하고, 그에 링크하고,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비롯한,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인터넷을 브라우징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캘린더 모듈(148)은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캘린더들 및 캘린더들과 연관된 데이터(예컨대, 캘린더 엔트리들, 할 일 목록들 등)를 생성, 디스플레이, 수정, 및 저장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위젯 모듈들(149)은, 옵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 및 사용되거나(예컨대, 날씨 위젯(149-1), 주식 위젯(149-2), 계산기 위젯(149-3), 알람 시계 위젯(149-4) 및 사전 위젯(149-5))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예컨대, 사용자-생성 위젯(149-6)) 미니-애플리케이션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젯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파일, CSS(Cascading Style Sheets) 파일 및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파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젯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및 자바스크립트 파일(예컨대, 야후(Yahoo)! 위젯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위젯 생성기 모듈(150)은 위젯들을 생성(예를 들면, 웹 페이지의 사용자-지정 부분을 위젯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검색 모듈(151)은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검색 기준들(예컨대, 하나 이상의 사용자-지정 검색어)에 매칭되는 메모리(102) 내의 텍스트, 음악, 사운드, 이미지, 비디오, 및/또는 다른 파일들을 검색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RF 회로부(108),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비디오 및 음악 재생기 모듈(152)은 사용자가 MP3 또는 AAC 파일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파일 포맷들로 저장된 녹음된 음악 및 다른 사운드 파일들을 다운로드 및 재생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 및 비디오들을 (예컨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상에서, 또는 무선으로 또는 외부 포트(124)를 통해 접속된 외부 디스플레이 상에서) 디스플레이하거나, 제시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재생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0)는 옵션적으로 아이팟(애플 인크.의 상표)과 같은 MP3 재생기의 기능을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및 텍스트 입력 모듈(134)과 함께, 메모 모듈(153)은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메모들, 할 일 목록들 등을 생성 및 관리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RF 회로부(108),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텍스트 입력 모듈(134), GPS 모듈(135),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지도 모듈(154)은 사용자 지시들에 따라 지도들 및 지도들과 연관된 데이터(예컨대, 운전 방향; 특정 위치에서의 또는 그 인근의 상점들 및 다른 관심 지점들에 관한 데이터; 및 다른 위치 기반 데이터)를 수신, 디스플레이, 수정, 및 저장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어기(156), 접촉 모듈(130), 그래픽 모듈(132), 오디오 회로부(110), 스피커(111), RF 회로부(108), 텍스트 입력 모듈(134),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 및 브라우저 모듈(147)과 함께, 온라인 비디오 모듈(155)은 사용자가 H.264와 같은 하나 이상의 파일 포맷들의 온라인 비디오들에 액세스하고, 그들을 브라우징하고, (예컨대, 스트리밍 및/또는 다운로드에 의해) 수신하고, (예컨대, 터치 스크린(112) 상에서, 또는 무선으로 또는 외부 포트(124)를 통해 접속된 외부 디스플레이 상에서) 재생하고, 특정 온라인 비디오로의 링크와 함께 이메일을 전송하고, 달리 관리하도록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보다는 오히려 인스턴트 메시징 모듈(141)이 특정 온라인 비디오로의 링크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식별된 모듈들 및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은 전술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 및 본 출원에 기술되는 방법들(예컨대, 컴퓨터 구현 방법들 및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른 정보 프로세싱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의 세트에 대응한다. 이러한 모듈들(즉, 명령어들의 세트)은 개별적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절차들 또는 모듈들로서 구현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모듈들의 다양한 서브세트들은, 옵션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재배열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2)는 옵션적으로, 앞서 식별된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의 서브세트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02)는, 옵션적으로, 전술되지 않은 추가의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상의 미리정의된 세트의 기능들의 동작이 터치 스크린 및/또는 터치패드를 통해 전용으로 수행되는 디바이스이다. 터치 스크린 및/또는 터치패드를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주 입력 제어 디바이스로서 사용함으로써, 디바이스(100) 상의 (푸시 버튼들, 다이얼들 등과 같은) 물리적 입력 제어 디바이스들의 수가 옵션적으로 감소된다.
전적으로 터치 스크린 및/또는 터치패드를 통해 수행되는 미리정의된 세트의 기능들은, 옵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사이의 내비게이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패드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때, 디바이스(100)를 디바이스(1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메인, 홈 또는 루트 메뉴로 내비게이팅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메뉴 버튼"이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메뉴 버튼은 터치패드 대신에 물리적 푸시 버튼 또는 다른 물리적 입력 제어 디바이스이다.
도 1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벤트 처리를 위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2(도 1a) 또는 370(도 3))는 (예컨대, 운영 체제(126)에서의) 이벤트 분류기(170) 및 개개의 애플리케이션(136-1)(예컨대, 전술한 애플리케이션들(136, 137 내지 155, 380 내지 390)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한다.
이벤트 분류기(170)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이벤트 정보를 전달할 애플리케이션(136-1), 및 애플리케이션(136-1)의 애플리케이션 뷰(191)를 결정한다. 이벤트 분류기(170)는 이벤트 모니터(171) 및 이벤트 디스패처 모듈(event dispatcher module)(17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136-1)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 상태이거나 실행 중일 때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현재 애플리케이션 뷰(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글로벌 내부 상태(157)는 이벤트 분류기(170)에 의해 어느 애플리케이션(들)이 현재 활성인지 결정하는 데 이용되며,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는 이벤트 분류기(170)에 의해 이벤트 정보를 전달할 애플리케이션 뷰들(191)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는 애플리케이션(136-1)이 실행을 재개할 때 이용될 재개 정보, 애플리케이션(136-1)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디스플레이될 준비가 된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 정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136-1)의 이전 상태 또는 뷰로 되돌아가는 것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상태 큐(queue), 및 사용자에 의해 취해진 이전 액션들의 재실행(redo)/실행취소(undo) 큐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추가 정보를 포함한다.
이벤트 모니터(171)는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 이벤트 정보는 서브이벤트(예컨대, 멀티-터치 제스처의 일부로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상의 사용자 터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는 I/O 서브시스템(106) 또는 센서, 예컨대, 근접 센서(166), 가속도계(들)(168), 및/또는 (오디오 회로부(110)를 통한) 마이크로폰(113)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가 I/O 서브시스템(106)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또는 터치 감응형 표면으로부터의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모니터(171)는 요청들을 미리결정된 간격으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에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는 이벤트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주변기기 인터페이스(118)는 중요한 이벤트(예컨대, 미리결정된 잡음 임계치를 초과하는 입력 및/또는 미리결정된 지속기간 초과 동안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가 있을 때에만 이벤트 정보를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분류기(170)는 또한 히트 뷰(hit view) 결정 모듈(172) 및/또는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을 포함한다.
히트 뷰 결정 모듈(172)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이 하나 초과의 뷰를 디스플레이할 때 하나 이상의 뷰들 내에서 서브이벤트가 발생한 장소를 결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절차들을 제공한다. 뷰들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볼 수 있는 제어부들 및 다른 요소들로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양태는 본 명세서에서 때때로 애플리케이션 뷰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윈도우(user interface window)들로 지칭되는 한 세트의 뷰들이며, 여기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터치 기반 제스처가 발생한다. 터치가 검출되는 (개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뷰들은 옵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또는 뷰 계층구조 내의 프로그램 레벨들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터치가 검출되는 최하위 레벨의 뷰는 옵션적으로 히트 뷰라고 지칭되고, 적절한 입력들로서 인식되는 이벤트들의 세트는 옵션적으로 터치 기반 제스처를 시작하는 초기 터치의 히트 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된다.
히트 뷰 결정 모듈(172)은 터치 기반 제스처의 서브이벤트들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애플리케이션이 계층구조에서 조직화된 다수의 뷰들을 갖는 경우, 히트 뷰 결정 모듈(172)은 히트 뷰를, 서브이벤트를 처리해야 하는 계층구조 내의 최하위 뷰로서 식별한다. 대부분의 상황들에서, 히트 뷰는 개시되는 서브이벤트가 발생하는 최하위 레벨 뷰이다(즉, 이벤트 또는 잠재적 이벤트를 형성하는 서브이벤트들의 시퀀스에서의 제1 서브이벤트임). 일단 히트 뷰가 히트 뷰 결정 모듈에 의해 식별되면, 히트 뷰는 전형적으로 그것이 히트 뷰로서 식별되게 하는 것과 동일한 터치 또는 입력 소스에 관련된 모든 서브이벤트들을 수신한다.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은 뷰 계층구조 내에서 어느 뷰 또는 뷰들이 서브이벤트들의 특정 시퀀스를 수신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은 히트 뷰만이 서브이벤트들의 특정 시퀀스를 수신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은 서브이벤트의 물리적 위치를 포함하는 모든 뷰들이 적극 참여 뷰(actively involved view)들인 것으로 결정하고, 그에 따라 모든 적극 참여 뷰들이 서브이벤트들의 특정 시퀀스를 수신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터치 서브이벤트들이 전적으로 하나의 특정 뷰와 연관된 영역으로 한정되었더라도, 계층구조 내의 상위 뷰들은 여전히 적극 참여 뷰들로서 유지될 것이다.
이벤트 디스패처 모듈(174)은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인식기(예컨대, 이벤트 인식기(180))에 디스패치한다.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디스패처 모듈(174)은 이벤트 정보를 활성 이벤트 인식기 결정 모듈(173)에 의해 결정된 이벤트 인식기에 전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디스패처 모듈(174)은 이벤트 큐 내에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벤트 정보는 개개의 이벤트 수신기 모듈(182)에 의해 인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운영 체제(126)는 이벤트 분류기(170)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136-1)은 이벤트 분류기(17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분류기(170)는 독립형 모듈이거나, 또는 접촉/모션 모듈(130)과 같이 메모리(102)에 저장되는 다른 모듈의 일부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136-1)은 복수의 이벤트 핸들러들(190) 및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뷰들(191)을 포함하며, 이들의 각각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개의 뷰 내에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들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136-1)의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뷰(191)는 하나 이상의 이벤트 인식기들(180)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개개의 애플리케이션 뷰(191)는 복수의 이벤트 인식기들(18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인식기들(180)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키트(kit)(도시되지 않음) 또는 애플리케이션(136-1)이 방법들 및 다른 속성들을 물려받는 상위 레벨 객체와 같은 별개의 모듈의 일부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이벤트 핸들러(190)는 데이터 업데이터(176), 객체 업데이터(177), GUI 업데이터(178), 및/또는 이벤트 분류기(17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데이터(179)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벤트 핸들러(190)는 옵션적으로 데이터 업데이터(176), 객체 업데이터(177) 또는 GUI 업데이터(178)를 이용하거나 호출하여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를 업데이트한다. 대안적으로, 애플리케이션 뷰들(191)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개개의 이벤트 핸들러들(190)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업데이터(176), 객체 업데이터(177), 및 GUI 업데이터(178) 중 하나 이상은 개개의 애플리케이션 뷰(191) 내에 포함된다.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분류기(170)로부터 이벤트 정보(예컨대, 이벤트 데이터(179))를 수신하고 그 이벤트 정보로부터 이벤트를 식별한다.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수신기(182) 및 이벤트 비교기(18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인식기(180)는 또한 적어도 메타데이터(183) 및 이벤트 전달 명령어들(188)(옵션적으로 서브이벤트 전달 명령어들을 포함함)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이벤트 수신기(182)는 이벤트 분류기(170)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 이벤트 정보는 서브이벤트, 예를 들어 터치 또는 터치 이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브이벤트에 따라서, 이벤트 정보는 또한 서브이벤트의 위치와 같은 추가 정보를 포함한다. 서브이벤트가 터치의 모션과 관련되는 경우, 이벤트 정보는 또한 옵션적으로 서브이벤트의 속력 및 방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들은 하나의 배향으로부터 다른 배향으로(예컨대, 세로 배향으로부터 가로 배향으로, 또는 그 반대로)의 디바이스의 회전을 포함하며, 이벤트 정보는 디바이스의 현재 배향(디바이스 자세로도 지칭됨)에 관한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벤트 비교기(184)는 이벤트 정보를 미리정의된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 정의들과 비교하고, 그 비교에 기초하여,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를 결정하거나,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의 상태를 결정 또는 업데이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비교기(184)는 이벤트 정의들(186)을 포함한다. 이벤트 정의들(186)은 이벤트들(예컨대, 서브이벤트들의 미리정의된 시퀀스들), 예를 들어 이벤트 1(187-1), 이벤트 2(187-2) 등의 정의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187) 내의 서브이벤트들은, 예를 들어, 터치 시작, 터치 종료, 터치 이동, 터치 취소, 및 다중 터치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이벤트 1(187-1)에 대한 정의는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에의 더블 탭이다. 더블 탭은, 예를 들면 미리결정된 페이즈(phase) 동안의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의 제1 터치(터치 시작), 미리결정된 페이즈 동안의 제1 리프트오프(터치 종료), 미리결정된 페이즈 동안의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의 제2 터치(터치 시작), 및 미리결정된 페이즈 동안의 제2 리프트오프(터치 종료)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이벤트 2(187-2)에 대한 정의는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에의 드래깅이다. 드래깅은,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페이즈 동안의 디스플레이된 객체 상의 터치(또는 접촉),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을 가로지르는 터치의 이동, 및 터치의 리프트오프(터치 종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는 또한 하나 이상의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들(19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정의(187)는 개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에 대한 이벤트의 정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비교기(184)는 어느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가 서브이벤트와 연관되어 있는지 결정하도록 히트 테스트(hit test)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이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상에 디스플레이된 애플리케이션 뷰에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상에서 터치가 검출되는 경우에, 이벤트 비교기(184)는 3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들 중 어느 것이 터치(서브이벤트)와 연관되는지 결정하도록 히트 테스트를 수행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된 객체가 개개의 이벤트 핸들러(190)와 연관되는 경우, 이벤트 비교기는 어느 이벤트 핸들러(190)가 활성화되어야 하는지 결정하는 데 히트 테스트의 결과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 비교기(184)는 히트 테스트를 트리거하는 객체 및 서브이벤트와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를 선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이벤트(187)에 대한 정의는 또한 서브이벤트들의 시퀀스가 이벤트 인식기의 이벤트 유형에 대응하는지 대응하지 않는지 여부가 결정된 후까지 이벤트 정보의 전달을 지연시키는 지연된 동작들을 포함한다.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가 일련의 서브이벤트들이 이벤트 정의들(186) 내의 이벤트들 중 어떠한 것과도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불가능, 이벤트 실패, 또는 이벤트 종료 상태에 진입하고, 그 후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는 터치 기반 제스처의 후속적인 서브이벤트들을 무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일 있다면, 히트 뷰에 대해 활성 상태로 유지되는 다른 이벤트 인식기들이 진행 중인 터치 기반 제스처의 서브이벤트들을 계속해서 추적 및 프로세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전달 시스템이 어떻게 적극 참여 이벤트 인식기들에 대한 서브이벤트 전달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구성가능한 속성들, 플래그(flag)들, 및/또는 목록들을 갖는 메타데이터(18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타데이터(183)는 이벤트 인식기들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는지, 또는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구성가능한 속성들, 플래그들, 및/또는 목록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타데이터(183)는, 서브이벤트들이 뷰 또는 프로그램 계층구조에서의 다양한 레벨들에 전달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구성가능한 속성들, 플래그들, 및/또는 목록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의 하나 이상의 특정 서브이벤트들이 인식될 때 이벤트와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190)를 활성화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와 연관된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핸들러(190)에 전달한다. 이벤트 핸들러(190)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개개의 히트 뷰에 서브이벤트들을 전송(및 지연 전송)하는 것과는 별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인식기(180)는 인식된 이벤트와 연관된 플래그를 보내고, 그 플래그와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190)는 그 플래그를 캐치하고 미리정의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전달 명령어들(188)은 이벤트 핸들러를 활성화시키지 않으면서 서브이벤트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전달하는 서브이벤트 전달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대신에, 서브이벤트 전달 명령어들은 일련의 서브이벤트들과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들에 또는 적극 참여 뷰들에 이벤트 정보를 전달한다. 일련의 서브이벤트들 또는 적극 참여 뷰들과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들은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결정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업데이터(176)는 애플리케이션(136-1)에서 이용되는 데이터를 생성 및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업데이터(176)는 연락처 모듈(137)에서 이용되는 전화번호를 업데이트하거나, 비디오 재생기 모듈(145)에서 이용되는 비디오 파일을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객체 업데이터(177)는 애플리케이션(136-1)에서 이용되는 객체들을 생성 및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객체 업데이터(177)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위치를 업데이트한다. GUI 업데이터(178)는 GUI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GUI 업데이터(178)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정보를 준비하고 이를 그래픽 모듈(132)에 전송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핸들러(들)(190)는 데이터 업데이터(176), 객체 업데이터(177), 및 GUI 업데이터(178)를 포함하거나 이들에 액세스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업데이터(176), 객체 업데이터(177), 및 GUI 업데이터(178)는 개개의 애플리케이션(136-1) 또는 애플리케이션 뷰(191)의 단일 모듈 내에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들은 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내에 포함된다.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터치들의 이벤트 처리에 관하여 전술한 논의는 또한 입력 디바이스들을 갖는 다기능 디바이스들(1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다른 형태들의 사용자 입력들에도 적용되지만, 그 모두가 터치 스크린들 상에서 개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 또는 다수의 키보드 누르기 또는 유지(hold)와 옵션적으로 조화된 마우스 이동 및 마우스 버튼 누르기; 터치패드 상에서의, 탭, 드래그, 스크롤 등과 같은 접촉 이동들; 펜 스타일러스 입력들; 디바이스의 이동; 구두 명령어들; 검출된 눈 이동들; 생체측정 입력들;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은, 인식될 이벤트를 정의하는 서브이벤트들에 대응하는 입력들로서 옵션적으로 이용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스크린(예컨대,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도 1a)을 갖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를 예시한다. 터치 스크린은, 옵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200) 내에서 하나 이상의 그래픽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물론 하기에 기술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손가락들(202)(도면에서 축척대로 도시되지 않음) 또는 하나 이상의 스타일러스들(203)(도면에서 축척대로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그래픽 상에 제스처를 행함으로써 그래픽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인에이블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그래픽들의 선택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그래픽들과의 접촉을 중단할 때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스처는 옵션적으로 디바이스(100)와 접촉한 손가락의 하나 이상의 탭들,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상측으로의 그리고/또는 하측으로의) 하나 이상의 스와이프들, 및/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상측으로의 그리고/또는 하측으로의) 롤링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 또는 상황들에서, 그래픽과 부주의하여 접촉되면 그 그래픽은 선택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택에 대응하는 제스처가 탭일 때,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위를 스윕(sweep)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는 옵션적으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지 않는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옵션적으로 "홈" 또는 메뉴 버튼(204)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들을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메뉴 버튼(204)은 옵션적으로, 디바이스(100) 상에서 옵션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세트 내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136)으로 내비게이팅하는 데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뉴 버튼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된 GUI에서 소프트 키로서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 버튼(204), 디바이스의 전원을 켜거나/끄고 디바이스를 잠그기 위한 푸시 버튼(206), 음량 조절 버튼(들)(208),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 슬롯(210), 헤드셋 잭(212), 및 도킹/충전 외부 포트(124)를 포함한다. 푸시 버튼(206)은 옵션적으로, 버튼을 누르고 버튼을 미리정의된 시간 간격 동안 누른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고/시키거나; 버튼을 누르고 미리정의된 시간 간격이 경과하기 전에 버튼을 누름해제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잠그고/잠그거나; 디바이스를 잠금해제하거나 잠금해제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100)는 또한 마이크로폰(113)을 통해 일부 기능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구두 입력을 수신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옵션적으로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상의 접촉들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촉 세기 센서들(165) 및/또는 디바이스(100)의 사용자를 위해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을 포함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갖는 예시적인 다기능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디바이스(300)가 휴대용일 필요는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300)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어린이 학습 장난감과 같은) 교육용 디바이스, 게이밍 시스템, 또는 제어 디바이스(예컨대, 가정용 또는 산업용 제어기)이다. 디바이스(300)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CPU)들(310),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또는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들(360), 메모리(370), 및 이들 컴포넌트들을 상호접속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들(320)을 포함한다. 통신 버스들(320)은 옵션적으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상호접속하고 이들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회로부(때때로 칩셋이라고 지칭됨)를 포함한다. 디바이스(300)는 전형적으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인 디스플레이(340)를 포함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스(330)를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330)는 또한, 옵션적으로,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또는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350) 및 터치패드(355), 디바이스(300) 상에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촉각적 출력 생성기(357)(예컨대, 도 1a를 참조하여 전술된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167)와 유사함), 및 센서들(359)(예컨대, 도 1a를 참조하여 전술된 접촉 세기 센서(들)(165)와 유사한 광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터치 감응형 센서, 및/또는 접촉 세기 센서)을 포함한다. 메모리(370)는 DRAM, SRAM, DDR RAM 또는 다른 랜덤 액세스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며; 옵션적으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370)는 옵션적으로 CPU(들)(310)로부터 원격으로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70)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도 1a)의 메모리(10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과 유사한 프로그램들,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 또는 이들의 서브세트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370)는, 옵션적으로,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의 메모리(102) 내에 존재하지 않는 추가의 프로그램들,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300)의 메모리(370)는 옵션적으로 그리기 모듈(380), 프레젠테이션 모듈(382), 워드 프로세싱 모듈(384), 웹사이트 제작 모듈(386), 디스크 저작 모듈(388), 및/또는 스프레드시트 모듈(390)을 저장하고, 반면에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도 1a)의 메모리(102)는 옵션적으로 이러한 모듈들을 저장하지 않는다.
도 3에서의 앞서 식별된 요소들 각각은, 옵션적으로, 전술된 메모리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에 저장된다. 앞서 식별된 모듈들 각각은 앞서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세트에 대응한다. 앞서 식별된 모듈들 또는 프로그램들(즉, 명령어들의 세트들)은 별개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절차들 또는 모듈들로서 구현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이들 모듈의 다양한 서브세트들이 옵션적으로 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재배열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70)는, 옵션적으로, 앞서 식별된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의 서브세트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370)는, 옵션적으로, 전술되지 않은 추가의 모듈들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한다.
이제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 상에서 옵션적으로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UI")의 실시예들에 주목한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 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의 메뉴에 대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옵션적으로 디바이스(300) 상에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는 하기의 요소들, 또는 그들의 서브세트나 수퍼세트를 포함한다:
Figure 112020097134000-pat00018
셀룰러 및 Wi-Fi 신호들과 같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신호 세기 표시자(들)(402);
Figure 112020097134000-pat00019
시간(404);
Figure 112020097134000-pat00020
블루투스 표시자(405);
Figure 112020097134000-pat00021
배터리 상태 표시자(406);
Figure 112020097134000-pat00022
다음과 같은, 빈번하게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아이콘들을 갖는 트레이(408):
Figure 112020097134000-pat00023
부재 중 전화들 또는 음성메일 메시지들의 개수의 표시자(414)를 옵션적으로 포함하는 "전화"라고 라벨링된 전화 모듈(138)에 대한 아이콘(416);
Figure 112020097134000-pat00024
읽지 않은 이메일들의 개수의 표시자(410)를 옵션적으로 포함하는 "메일"이라고 라벨링된 이메일 클라이언트 모듈(140)에 대한 아이콘(418);
Figure 112020097134000-pat00025
"브라우저"라고 라벨링된 브라우저 모듈(147)에 대한 아이콘(420);및
Figure 112020097134000-pat00026
아이팟(애플 인크.의 상표) 모듈(152)로도 지칭되는, "아이팟"이라고 라벨링된 비디오 및 음악 재생기 모듈(152)에 대한 아이콘(422); 및
Figure 112020097134000-pat00027
다음과 같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아이콘들:
Figure 112020097134000-pat00028
"메시지"라고 라벨링된 IM 모듈(141)에 대한 아이콘(424);
Figure 112020097134000-pat00029
"캘린더"라고 라벨링된 캘린더 모듈(148)에 대한 아이콘(426);
Figure 112020097134000-pat00030
"사진"이라고 라벨링된 이미지 관리 모듈(144)에 대한 아이콘(428);
Figure 112020097134000-pat00031
"카메라"라고 라벨링된 카메라 모듈(143)에 대한 아이콘(430);
Figure 112020097134000-pat00032
"온라인 비디오"라고 라벨링된 온라인 비디오 모듈(155)에 대한 아이콘(432);
Figure 112020097134000-pat00033
"주식"이라고 라벨링된 주식 위젯(149-2)에 대한 아이콘(434);
Figure 112020097134000-pat00034
"지도"라고 라벨링된 지도 모듈(154)에 대한 아이콘(436);
Figure 112020097134000-pat00035
"날씨"라고 라벨링된 날씨 위젯(149-1)에 대한 아이콘(438);
Figure 112020097134000-pat00036
"시계"라고 라벨링된 알람 시계 위젯(149-4)에 대한 아이콘(440);
Figure 112020097134000-pat00037
"운동 지원"이라고 라벨링된 운동 지원 모듈(142)에 대한 아이콘(442);
Figure 112020097134000-pat00038
"메모"라고 라벨링된 메모 모듈(153)에 대한 아이콘(444); 및
Figure 112020097134000-pat00039
디바이스(100) 및 그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136)에 대한 설정에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설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듈에 대한 아이콘(446).
도 4a에 예시된 아이콘 라벨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디오 및 음악 재생기 모듈(152)에 대한 아이콘(422)은 "음악" 또는 "음악 재생기"로 라벨링된다. 기타 라벨들이 옵션적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에 대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라벨은 개개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라벨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름과는 별개이다.
도 4b는 디스플레이(450)와는 별개인 터치 감응형 표면(451)(예컨대, 태블릿 또는 터치패드(355), 도 3)을 갖는 디바이스(예컨대, 디바이스(300), 도 3) 상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디바이스(300)는 또한, 옵션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451) 상의 접촉들의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촉 세기 센서들(예컨대, 센서들(357) 중 하나 이상) 및/또는 디바이스(300)의 사용자에 대한 촉각적 출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촉각적 출력 생성기들(359)을 포함한다.
도 4b는 디스플레이(450)와는 별개인 터치 감응형 표면(451)(예컨대, 태블릿 또는 터치패드(355), 도 3)을 갖는 디바이스(예컨대, 디바이스(300), 도 3) 상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후속하는 예들 중 많은 것들이 (터치 감응형 표면과 디스플레이가 조합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2) 상의 입력들을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와는 별개인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입력들을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터치 감응형 표면(예컨대, 도 4b의 451)은 디스플레이(예컨대, 450) 상의 주축(예컨대, 도 4b의 453)에 대응하는 주축(예컨대, 도 4b의 452)을 갖는다. 이들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상의 개개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예컨대, 도 4b에서, 460은 468에 대응하고, 462는 470에 대응함)에서 터치 감응형 표면(451)과의 접촉들(예컨대, 도 4b의 460, 462)을 검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예컨대, 도 4b의 451) 상에서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 입력들(예컨대, 접촉들(460, 462) 및 그 이동들)은 터치 감응형 표면이 디스플레이와는 별개인 경우 디바이스에 의해 다기능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4b의 450)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는 데 사용된다. 유사한 방법들이, 옵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이용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로, 하기의 예들이 주로 손가락 입력들(예컨대, 손가락 접촉들, 손가락 탭 제스처들, 손가락 스와이프 제스처들 등)과 관련하여 주어지는 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손가락 입력들 중 하나 이상은 다른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마우스 기반 입력 또는 스타일러스 입력)으로 대체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스와이프 제스처는, 옵션적으로, 마우스 클릭(예컨대, 접촉 대신) 및 뒤이은 스와이프의 경로를 따른 커서의 이동(예컨대, 접촉의 이동 대신)으로 대체된다. 다른 예로서, (예컨대, 접촉의 검출에 이어 접촉을 검출하는 것을 중지하는 대신에) 커서가 탭 제스처의 위치 위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에 탭 제스처가 옵션적으로 마우스 클릭으로 대체된다. 유사하게, 다수의 사용자 입력들이 동시에 검출되는 경우, 다수의 컴퓨터 마우스들이 옵션적으로 동시에 사용되거나, 또는 마우스와 손가락 접촉들이 옵션적으로 동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커스 셀렉터"라는 용어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현재 부분을 나타내는 입력 요소이다. 커서 또는 다른 위치 마커를 포함하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커서가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예컨대, 버튼, 윈도우, 슬라이더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위에 있는 동안에 입력(예컨대, 누르기 입력)이 터치 감응형 표면(예컨대, 도 3의 터치패드(355) 또는 도 4b의 터치 감응형 표면(451)) 상에서 검출될 때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검출된 입력에 따라 조정되도록, 커서는 "포커스 셀렉터"로서의 역할을 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인에이블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예컨대, 도 1a의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또는 도 4a의 터치 스크린)를 포함하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입력(예컨대, 접촉에 의한 누르기 입력)이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예컨대, 버튼, 윈도우, 슬라이더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위치에 있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검출될 때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가 검출된 입력에 따라 조정되도록, 터치 스크린 상의 검출된 접촉은 "포커스 셀렉터"로서의 역할을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예를 들어, 포커스를 하나의 버튼으로부터 다른 버튼으로 이동시키도록 탭 키 또는 화살표 키를 사용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대응하는 커서의 이동 또는 접촉의 이동 없이 포커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의 영역으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며;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포커스 셀렉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이한 영역들 사이에서의 포커스의 이동에 따라 움직인다. 포커스 셀렉터가 갖는 특정 형태와 무관하게, 포커스 셀렉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를 디바이스에 나타내는 것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의 의도된 상호작용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접촉)이다. 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표면(예컨대, 터치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누르기 입력이 검출되는 동안 개개의 버튼 위의 포커스 셀렉터(예컨대, 커서, 접촉 또는 선택 상자)의 위치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지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과 달리) 사용자가 개개의 버튼을 활성화시키려고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연관된 프로세스
이제,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회로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터치 감응형 표면), 및 (옵션적으로) 터치 감응형 표면과의 접촉들의 세기들을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갖는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 또는 디바이스(300)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UI") 및 연관된 프로세스들의 실시예들에 주목한다.
도 5a 내지 도 5z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주변 장치들과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이 도면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도 6a 내지 도 6c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프로세스들을 예시하는 데 사용된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실시예들의 일부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을 갖는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포커스 셀렉터는, 옵션적으로: 개개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접촉이거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접촉에 대응하는 대표 지점(예컨대, 개개의 접촉의 중심, 또는 개개의 접촉과 연관된 지점), 또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12) 상에서 검출된 둘 이상의 접촉들의 중심이다. 그러나, 옵션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디스플레이(450) 상에 포커스 셀렉터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면서, 터치 감응형 표면(451) 상의 접촉들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사한 동작들이 디스플레이(450) 및 별개의 터치 감응형 표면(451)을 갖는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된다.
도 5a는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112) 상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바이스(100)는 주변기기(들)를 디바이스(100)와 페어링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주변기기들(예컨대, 이어버드들(502-1, 502-2)뿐만 아니라 이어버드 케이스(502-3))로부터 무선 브로드캐스트 신호들(예컨대, 페어링 요청들)을 주기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리스닝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5a 내지 도 5z에 걸쳐 예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주변기기가 디바이스(100)의 임계 거리(508) 내에 있을 때 주변기기로부터의 페어링 요청들을 검출할 수 있고, 주변기기가 임계 거리(508) 밖에 있을 때 주변기기로부터의 페어링 요청들을 검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도 5a의 저부는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들(502-1, 502-2)뿐만 아니라 이어버드 케이스(502-3) 사이의 예시적인 공간적 관계(예컨대, 물리적 거리)를 예시하는데, 여기서 이어버드들(502-1, 502-2)뿐만 아니라 이어버드 케이스(502-3)는 디바이스(100)의 임계 거리(508) 밖에 있다. 대조적으로, 도 5b는 이어버드(502-1), 이어버드(502-2)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집합적으로 이어버드 세트(503)로 지칭됨)가 디바이스(100)의 임계 거리(508) 내에 있는 경우를 예시하며, 여기서 디바이스는 주변기기들로부터의 페어링 요청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어버드들이 또한 이어팟, 이어폰, 및 인-이어 헤드폰으로도 지칭됨을 주목해야 한다.)
도 5b는 주변기기(예컨대, 이어버드(502-1))와 디바이스(100)의 페어링을 개시하기 위한, 도 5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5b에서, 디바이스(100)는 임계 거리(508) 내에서 주변기기(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이어버드(502-1) 및 이어버드 세트(503)의 일부)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이어버드(502-1)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502-1)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 결합 기준들은 이어버드 세트(503)를 형성하기 위해 이어버드(502-1)가 이어버드 케이스(502-3) 내에 배치되고/되거나 그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때 충족된다.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502-1)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한 후에,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 세트(503)를 도시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1)를 디스플레이한다. 윈도우(520-1)는 사용자 입력(예컨대, 탭 제스처)에 의해 활성화될 때, 이어버드 세트(503)의 주변기기들(예컨대, 도 5a에 도시된 이어버드들(502-1, 502-2)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과 디바이스(100)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연결" 버튼(522-1)을 포함한다.
도 5c 내지 도 5e는 디바이스(100)와 주변기기(예컨대, 이어버드 세트(503)의 이어버드(502-1))의 페어링을 개시하기 위한, 도 5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5c에서, 디바이스(100)는 버튼(522-1) 상에서 탭 제스처(530-1)를 검출한다. 탭 제스처(530-1)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 세트(503)의 주변기기들과 디바이스(100)의 페어링을 개시한다. 도 5d에서,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 세트(503)의 주변기기들과 페어링되는 동안, 디바이스(100)는 윈도우(520-1) 내에 "연결중..." 통지 그래픽(523-1)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e에서,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 세트(503)의 주변기기들과 페어링된 후,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들(502-1, 502-2)의 배터리 레벨을 나타내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1)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의 배터리 레벨을 나타내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2)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윈도우(520-1) 내에 디스플레이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탭 제스처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윈도우(520-1)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사용자가 디바이스(100) 상에서 다른 종래의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완료" 버튼(524-1)을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윈도우(520-1)는 "완료"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더라도, 미리결정된 기간 후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중지한다.
도 5f는, 결합 기준들이 충족되지 않을 때 디바이스(100)를 주변기기(예컨대, 이어버드(502-1))와 페어링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도 5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5f에서, 디바이스(100)는 임계 거리(508) 내에서 이어버드(502-1)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이어버드(502-1)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502-1)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5f에 도시된 예에서, 이어버드(502-1)가 이어버드 케이스(502-3) 내에 배치되지 않고/않거나 그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때 결합 기준들이 충족되지 않는다. 이어버드(502-1)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않는 2개의 상이한 예들이 도 5f의 저부에 예시된다. 도 5f의 저부 좌측 부분에서, 이어버드(502-1)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는 임계 거리(508) 내에 있는 반면, 이어버드(502-2)는 임계 거리(508) 내에 있지 않다. 도 5f의 저부 우측 부분에서, 이어버드(502-1), 이어버드(502-2)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는 모두 임계 거리(508) 내에 있다. 그러나, 둘 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이어버드(502-1)는 이어버드 케이스(502-3) 내에 배치되지 않고 그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며, 따라서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502-1)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않는다고 결정한 후에,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502-1)(및, 옵션적으로, 이어버드(502-2))를 케이스(502-3)에 결합하는 것에 관한 정보(예컨대 사용자에게 "케이스 내에 이어팟을 넣어주세요" 및 "케이스 내에 이어팟들 둘 다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라고 지시하는 그래픽)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2)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어버드(502-1)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킨 후에(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버드(502-1)가 이어버드 케이스(502-3) 내에 배치된 후에),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를 이어버드 세트(503)와 페어링하기 위한,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5g는 주변기기가 디바이스(100)와 이전에 페어링한 후에 주변기기에 관한 소정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도 5e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5g에서,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502-1)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 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3)를 디스플레이한다. 윈도우(520-3)는 이어버드(502-1)에 관한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3)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이어버드(502-1)는 윈도우(520-3) 내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예컨대, "L")에 의해 사용자 에밀리의 좌측 이어버드로서 지정된다. 다른 예들에서, 이어버드는 다른 그래픽(예컨대, 도 5h의 이어버드(502-2)에 대해 도시된 "R"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우측 이어버드로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버드(502-1)에 관한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3)은 "50%"의 배터리 레벨을 예시한다.
도 5h 내지 도 5p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기기가 디바이스(100)와 페어링된 후에 둘 이상의 주변기기들에 관한 소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도 5e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5h에서,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들(502-1, 502-2) 각각으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페어링 요청들을 검출한 후,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들(502-1, 502-2)이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라고 결정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이어버드들(502-1, 502-2) 둘 다가 단일 페어링 프로세스에서 디바이스(100)와 이전에 페어링되었기 때문이다. 이어버드들(502-1, 502-2)이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4)를 디스플레이한다. 윈도우(520-4)는 이어버드(502-1)에 대한 "50%"의 배터리 레벨을 예시하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4) 및 이어버드(502-2)에 대한 "100%"의 배터리 레벨을 예시하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5)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i에서,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들(502-4, 502-5)뿐만 아니라 이어버드 케이스(502-3)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이어버드들(502-4, 502-5)은, 이들 이어버드가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디바이스(100)와 이전에 페어링되지 않았음을 예시하기 위해 도 5i의 저부에 두꺼운 흑색 라인들로 도시된다. 페어링 요청들을 검출한 후, 디바이스(100)는, 예를 들어, 이어버드들(502-4, 502-5) 둘 다가 디바이스(100)와 이전에 페어링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어버드들(502-4, 502-5)이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가 아니라고 결정한다. 이어버드들(502-4, 502-5)이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가 아니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5)를 디스플레이한다. 윈도우(520-5)는 이어버드들(502-4, 502-5)과 이어버드 케이스(502-3) 사이의 불일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는 이어버드들(502-4, 502-5)이 디바이스(100)와 이전에 페어링되지 않은 반면(이어버드들(502-4, 502-5) 각각에 인접하게 나타나는 "!"와 같은 그래픽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이어버드 케이스(502-3)는 디바이스(100)와 이전에 페어링되었기 때문이다. 윈도우(520-5)는 또한 사용자 입력(예컨대, 탭 제스처)에 의해 활성화될 때, 이어버드들(502-4, 502-5)이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들(502-4, 502-5)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연결" 버튼(522-2)을 포함한다.
도 5j 및 도 5k는, 주변기기들의 상태 특성들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주변기기들에 대한 별개의 또는 조합된 상태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도 5e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이러한 예들에서,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들(502-1, 502-2)의 각각으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페어링 요청들을 검출한 후,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들(502-1, 502-2)이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라고 결정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이어버드들(502-1, 502-2) 둘 다가 단일 페어링 프로세스에서 디바이스(100)와 이전에 페어링되었기 때문이다. 이어버드들(502-1, 502-2)이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502-1)와 이어버드(502-2) 사이의 배터리 레벨(상태 특성의 일례임)의 차이가 미리결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10%)를 초과하는지 초과하지 않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가 차이가 미리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6)를 디스플레이하며, 이는 이어버드들(502-1, 502-2) 둘 다에 대한 조합된 상태 정보를 윈도우(520-4) 내에 포함한다(예컨대, 이어버드들(502-1, 502-2)에 대한 50%의 단일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6)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반대로, 디바이스(100)가 도 5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이가 미리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7)를 디스플레이하며, 이는 이어버드들(502-1, 502-2) 각각에 대한 별개의 상태 정보를 윈도우(520-5) 내에 포함한다(예컨대, 이어버드(502-1)에 대한 50%의 배터리 레벨을 도시하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7) 및 이어버드(502-2)에 대한 100%의 배터리 레벨을 도시하는 별개의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8)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도 5l 내지 도 5p는 도 5h 내지 도 5k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대안적인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5l에서,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들(502-1, 502-2)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고 이어버드들(502-1, 502-2)뿐만 아니라 이어버드 케이스(502-3)가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라고 결정한 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8)를 디스플레이하며, 이는 이어버드들(502-1, 502-2)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 각각의 상태 정보를 윈도우(520-8) 내에 포함한다(예컨대, 이어버드(502-1)에 대한 50%의 배터리 레벨을 예시하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9), 이어버드(502-2)에 대한 100%의 배터리 레벨을 예시하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10),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에 대한 100%의 배터리 레벨을 도시하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11)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도 5m은,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502-1)에 대한 배터리 레벨이 최소 충전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진다고 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l과 유사하다. 이어버드(502-1)에 대한 배터리 레벨이 최소 충전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진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502-1)의 상태 정보로서 낮은 배터리 그래픽(527)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9)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5n은, 디바이스(100)가 도 5m의 이어버드들(502-1, 502-2)이 도 5m의 이어버드 케이스(502-3)(이어버드들을 위한 전원을 포함함)에 결합되어 이어버드 세트(503)를 형성한다고 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m과 유사하다. 이어버드들(502-1, 502-2)이 전원에 결합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10)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는 이어버드들(502-1, 502-2)이 충전되고 있는 것을 예시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이어버드들(502-1, 502-2)이 충전되고 있음을 예시하는 충전 배터리 그래픽(528-1)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에 대한 100%의 배터리 레벨을 도시하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11)).
도 5o는,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 세트(503)가 외부 전원(535)(예컨대, 벽 콘센트)에 결합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n과 유사하다. 이어버드 세트(503)가 외부 전원(535)에 결합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11)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는 이어버드들(502-1, 502-2)뿐만 아니라 이어버드 케이스(502-3)가 충전되고 있음을 예시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예컨대, 이어버드(502-1)가 충전되고 있고 30%의 배터리 레벨을 갖는 것을 예시하는 충전 배터리 그래픽(528-2), 이어버드(502-2)가 충전되고 있고 70%의 배터리 레벨을 갖는 것을 예시하는 충전 배터리 그래픽(528-3),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가 충전되고 있고 70%의 배터리 레벨을 갖는 것을 예시하는 충전 배터리 그래픽(528-4)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도 5p는 이어버드(502-1)가 디바이스(100)와 이전에 페어링되었던 반면 이어버드(502-5)는 디바이스(100)와 이전에 페어링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5i와 유사하다.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들(502-1, 502-5)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고 이어버드들(502-1, 502-5)이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가 아니라고 결정한 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12)를 디스플레이한다. 윈도우(520-12)는 이어버드들(502-1, 502-5) 사이의 불일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이어버드들(502-1, 502-5)이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가 아니며 사용되기 전에 페어링될 필요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낸다. 윈도우(520-12)는 또한 사용자 입력(예컨대, 탭 제스처)에 의해 활성화될 때, 디바이스(100)와 이어버드들(502-1, 502-5)의 페어링을 개시하여 미리정의된 세트를 형성하는 "연결" 버튼(522-3)을 포함한다.
도 5q 내지 도 5z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가 잠금 상태에 있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를 하나 이상의 주변기기들과 페어링하고 후속적으로 주변기기(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5q는 디바이스(100)가 잠금 상태에 있는 동안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112) 상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디바이스(100)가 잠금 상태에 있는 동안,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잠금 스크린이다. 잠금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502-1), 이어버드(502-2)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와 같은 주변기기들로부터의 페어링 요청들을 반복적으로 리스닝하여, 주변기기를 디바이스(100)와 페어링한다. 이 예에서, 이어버드(502-1), 이어버드(502-2)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는 디바이스(100)의 임계 거리(508) 밖에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502-1), 이어버드(502-2) 또는 이어버드 케이스(502-3)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할 수 없다.
도 5r은 디바이스(100)를 주변기기(예컨대, 이어버드 세트(503)의 이어버드)와 페어링하는 것을 개시하기 위한, 도 5q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5r에서, 이어버드 세트(503)가 임계 거리(508) 내에 있을 때,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 세트(503)의 이어버드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이어버드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예에서, 결합 기준들은 이어버드 세트(503)를 형성하기 위해 이어버드가 이어버드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되거나 그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때 충족된다.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한 후에,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임계 거리(508) 내에 있는 이어버드 세트(503)를 도시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13)를 디스플레이한다. 윈도우(520)는 또한 사용자 입력(예컨대, 탭 제스처)에 의해 활성화될 때, 이어버드 세트(503)의 주변기기들(예컨대, 도 5q에 도시된 이어버드들(502-1, 502-2)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과 디바이스(100)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연결을 위해 잠금해제" 버튼(522-4)을 포함한다.
도 5s 내지 도 5u는 제1 인증 입력(예컨대, 지문 센서(204) 상의 손가락 입력)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0)를 주변기기와 페어링하는 것을 개시하기 위해, 도 5r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5s에서,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502-1)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킨다고 결정한 후에, 디바이스(100) 디바이스(100)는 지문 센서(204) 상의 터치 입력(530-2)(예컨대, 고정 누르기 또는 탭)을 검출한다. 터치 입력(530-2)에 의한 유효한 사용자 인증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 세트(503)의 주변기기들과 디바이스(100)의 페어링을 개시한다. 도 5t에서,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 세트(503)의 주변기기들과 페어링되는 동안, 디바이스(100)는 윈도우(520-13) 내에 "연결중..." 통지 그래픽(523-2)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u에서,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502-1), 이어버드(502-2)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와 페어링된 후에, 디바이스(100)는 상태 정보(예컨대, 이어버드들(502-1, 502-2)이 충전되고 있는 것을 예시하는 충전 배터리 그래픽(528-5)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에 대한 100%의 배터리 레벨을 도시하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12))를 윈도우(520-13) 내에 디스플레이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탭 제스처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윈도우(520-13)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사용자가 디바이스(100) 상에서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완료" 버튼(524-2)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v 내지 도 5y는 제2 인증 입력(예컨대, 키패드 상에 타이핑된 패스코드)에 기초하여 주변기기(예컨대, 이어버드 세트(503)의 이어버드)와 디바이스(100)의 페어링을 개시하기 위한, 도 5r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5v에서,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 세트(503)의 이어버드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한다고 결정한 후에, 디바이스(100)는 "연결을 위해 잠금해제" 버튼(522-4) 상에서 탭 제스처(530-3)를 검출한다. 도 5w에서, 탭 제스처(530-3)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키패드(536)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예에서, 키패드(536)는, 숫자 값들 일(1) 내지 구(9)에 각각 대응하는 고유한 숫자 입력들(537-1 내지 537-9)을 갖는 숫자 키패드이다. 이어서, 디바이스(100)는 숫자 입력들(537-1 내지 537-9) 중 하나 이상 상에서 탭 제스처(530-4)(예컨대, 탭 제스처)에 의한 사용자 인증 입력을 검출한다. 디바이스(100)가 유효 인증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 세트(503)의 주변기기들과 디바이스(100)의 페어링을 개시한다. 도 5x에서,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 세트(503)와 페어링되는 동안, 디바이스(100)는 윈도우(520-13) 내에 "연결중..." 통지 그래픽(523-3)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바이스(100)가 페어링되는 동안, 디바이스(100)는 잠금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고, 잠금 상태에서 계속해서 동작한다. 도 5y에서, 도 5u에 유사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가 이어버드 세트(503)의 주변기기들과 페어링된 후, 디바이스(100)는 상태 정보(예컨대, 이어버드 세트(503)의 이어버드들(502-1, 502-2)이 충전되고 있음을 예시하는 충전 배터리 그래픽(528-6) 및 이어버드 세트(503)의 이어버드 케이스(502-3)에 대한 100%의 배터리 레벨을 도시하는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13)을 디스플레이하는 것)를 윈도우(520-13) 내에 디스플레이한다. 디바이스(100)는 또한 탭 제스처와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윈도우(520-13)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사용자가 디바이스(100) 상에서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완료" 버튼(524-2)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z는 주변기기들이 디바이스(100)와 이전에 페어링한 후에 주변기기에 관한 소정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도 5y 또는 도 5u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도 5z에서, 디바이스(100)는 이어버드(502-1) 및 이어버드(502-2)로부터의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 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520-14)를 디스플레이한다. 윈도우(520-14)는 이어버드(502-1) 및 이어버드(502-2)에 관한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14)(상태 정보의 예임)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버드들(502-1, 502-2)에 관한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14)은 "50%"의 배터리 레벨을 예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주변 장치들과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600)을 예시하는 흐름도들이다. 방법(600)은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회로부, 및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예컨대, 터치 감응형 표면)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예컨대, 도 3의 디바이스(300), 또는 도 1a의 휴대용 다기능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이고, 터치 감응형 표면은 디스플레이 상에 있거나 그와 통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터치 감응형 표면과는 별개이다. 방법(600)에서의 일부 동작들은 옵션적으로 조합되고/되거나, 일부 동작들의 순서는 옵션적으로 변경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방법(600)은 주변기기들을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고 주변기기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직관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주변기기들을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고 주변기기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의 수, 범위, 및/또는 특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배터리-작동형 전자 디바이스들에 대해, 사용자로 하여금 주변기기들을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고 상태 정보를 보다 빠르고 보다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전력을 보존하고 배터리 충전들 사이의 시간을 증가시킨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홈 스크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웨이크 스크린, 잠금 스크린 등)를 디스플레이한다(602).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예컨대, 이어버드들(502-1, 502-2), 이어버드 케이스(502-3) 등)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라는 페어링 요청을 검출한다(604). 일부 실시예들에서, 페어링 요청은 사용자가 이어버드들 중 하나 또는 둘 다 또는 이어버드들의 케이스로 전자 디바이스를 터치하거나, 또는 전자 디바이스 및 이어버드들을 서로의 임계 거리 내로 가져오는 경우에 페어링 요청이 검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이어버드(들) 또는 이어버드들의 케이스에 의해 방출되는 무선 신호들(예컨대, 브로드캐스트 블루투스 신호들 또는 블루투스 페어링 요청)을 통해 이어버드(들) 또는 이어버드들의 케이스의 존재 및 근접성을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 및 이어버드들 및/또는 이어버드들의 케이스 내에 내장된 다른 근접성 감지 메커니즘(예를 들어, 다른 RF 신호 감지 메커니즘)을 통해 이어버드(들) 또는 이어버드들의 케이스의 존재 및 근접성을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라는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은,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들을 검출하는 것 및 제1 주변 장치가 검출된 무선 신호들에 기초하여 근접성 기준들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606). 일부 실시예들에서, 근접성 기준들은 제1 주변기기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신호 강도 임계치를 초과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근접성 기준들은 전자 디바이스 및 이어버드들이 서로의 임계 거리 내에 있을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변기기(예컨대, 이어버드(502-1))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임계 거리(508) 내에 있다.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여기서 결합 기준들은 제1 주변기기가 제2 주변기기에 결합될(예컨대, 전기적으로, 자기적으로, 그리고/또는 무선으로) 것을 요구한다(608). 제2 주변기기는 전자 디바이스와는 별개이며, 제1 및 제2 주변기기들 둘 다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주변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는 이어버드(예컨대, 이어버드(502-1))이고, 제2 주변기기는 제1 이어버드를 보관 및 충전하기 위한 이어버드 케이스(예컨대, 이어버드 케이스(502-3))이며, 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고(이어버드 세트(503)의 일부로서); 결합 기준들은 이어버드 및 케이스가 서로에 대해(예를 들어, 이어버드가 케이스 내에 있고 옵션적으로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근접해 있음을 요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는 이어버드(예컨대, 이어버드(502-1))이고, 제2 주변기기는 제2 이어버드(예컨대, 이어버드(502-2))이고; 결합 기준들은 제1 이어버드 및 제2 이어버드가 케이스(예컨대, 이어버드 케이스(502-3))를 통해 서로 결합될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이어버드 둘 다는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예를 들어, 덮개가 닫힌 상태로 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때).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는 제1 이어버드이고 제2 주변기기는 제2 이어버드이고, 결합 기준들은 제1 이어버드 및 제2 이어버드가 서로에 그리고 디바이스에 근접해 있는 것을 요구한다(예컨대, 제1 및 제2 이어버드들 둘 다는 이어버드 케이스 내에 보관되거나 또는 케이스 없이 서로 가까이 배치됨).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는 이어버드의 케이스이고 제2 주변기기는 이어버드 또는 이어버드들 둘 다이고; 결합 기준들은 이어버드(들) 및 케이스가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에 대해 그리고 디바이스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요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합 기준들은 제1 주변기기가 제2 주변기기와는 별개인 제3 주변기기에 (예컨대, 전기적으로, 자기적으로, 그리고/또는 무선으로) 결합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610).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는 이어버드이고, 제2 주변기기는 다른 이어버드이고, 제3 주변기기는 이어버드의 케이스이고, 결합 기준들은 제1 이어버드 및 제2 이어버드가 이어버드 케이스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될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버드(502-1), 이어버드(502-2) 및 이어버드 케이스(502-3)는 모두 이어버드 세트(503)를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는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들이고 제2 주변기기는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들을 위한 케이스이다(612).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합 기준들은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들이 케이스 내부에 있는 것, 및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것 중 적어도 하나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614).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버드들(502-1, 502-2)은 이어버드 세트(503)를 형성하기 위해 이어버드 케이스(502-3)의 내부에 있고 그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합 기준들은 케이스의 덮개가 닫힐 때 충족되는 추가 기준을 포함한다.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제1 주변기기와 전자 디바이스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페어링 어포던스(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예컨대, 윈도우(520-1)) 내의 버튼 또는 다른 아이콘(예컨대, "연결" 버튼(522-1)))를 디스플레이한다(616). 일부 실시예들에서, 페어링 어포던스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또한 제2 주변기기(및 제1 및/또는 제2 주변기기에 결합되는 임의의 다른 주변기기들)와의 페어링을 개시한다.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와 제2 주변기기의 결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예컨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520-2) 내의 그래픽 디스플레이)(618).
주변기기들이 다른 주변기기들에 결합될 때와 같이, 관련 주변기기들을 선택적으로 페어링하는 것은, 단일 페어링 동작에 응답하여 다수의 주변기기들 사이의 페어링을 동기화하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에게 개선된 페어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든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일 동작에 응답하여 주어진 디바이스를 다수의 관련 주변기기들과 효율적으로 페어링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주어진 디바이스를 다수의 관련 주변기기들에 페어링하려고 시도할 때 사용자 실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이러한 개선된 페어링 프로세스 없으면, 사용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상이한 주변기기들과 개별적으로 페어링하기 위해 추가적인 단계들을 취해야 할 것이다. 디바이스를 다수의 주변기기들과 개별적으로 페어링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인 프로세스일 수 있고, 사용자는 페어링 프로세스를 완료하는 데 요구되는 증가된 수의 사용자 입력들로 인해 실수를 하는 경향이 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주변기기와 페어링된 후에,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예컨대, 모델, 제조자, 아이콘, 컬러, 및/또는 배터리 레벨)를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한다(620). 예를 들어,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변기기는 이어버드(502-1)이고, 제2 주변기기는 이어버드(502-2)이고,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윈도우(520-4)이다. 윈도우(520-4)는 이어버드(502-1)에 대한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4) 및 이어버드(502-2)에 대한 배터리 레벨 그래픽(526-5)을 디스플레이한다.
주변기기들이 디바이스와 페어링한 후에, 주변기기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주변기기들이 디바이스에 근접할 때 주변기기들에 관한 정보(예컨대, 하나 이상의 배터리 레벨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주변기기들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듦으로써(예를 들어, 사용자가 각각의 주변기기를 물리적으로 검사해야 함이 없이 주변기기들에 관한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디바이스 및 주변기기들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인에이블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와 전자 디바이스의 페어링 후에, 디바이스는 제2 주변기기 및 제1 주변기기가 전자 디바이스와 이전에 페어링되었던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인지 여부를 결정한다(622).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단일 페어링 프로세스에서 이어버드들의 세트 및 그들의 케이스와 이전에 페어링되었을 때(예컨대, 도 5c 내지 도 5e에 예시된 바와 같음), 전자 디바이스는 이어버드들의 세트 및 그들의 케이스를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세트로서 정의하는 페어링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하나의 세트가 2개의 이어버드들 및 케이스를 포함하고,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다른 세트는 스피커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경우, 스피커들 및 이어버드들은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동일한 세트에 속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단일 페어링 프로세스에서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주변기기들이 단일 페어링 프로세스에서 전자 디바이스에 이전에 페어링되었을 때, 제1 및 제2 주변기기들은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이다. 제2 주변기기 및 제1 주변기기가 전자 디바이스와 이전에 페어링되었던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라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예컨대, 모델, 제조자, 아이콘, 컬러, 및/또는 배터리 레벨)를 디스플레이한다(예컨대, 도 5h 및 도 5j 내지 도 5o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응하는 그래픽들은 주변기기 휴리스틱(예컨대, 열린 케이스 덮개를 도시하는 그래픽)을 예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 주변기기 및 제1 주변기기가 전자 디바이스와 이전에 페어링되었던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가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와 제2 주변기기 사이의 불일치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예컨대, 도 5i 및 도 5p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주변기기들이 단일 페어링 프로세스 동안에 디바이스와 이전에 페어링되었고 따라서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세트를 형성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주변기기들이 즉각적인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지 여부, 또는 주변기기들이 사용 전에 함께 페어링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수의 주변기기들의 개선된 페어링 기능을 주어진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든다(예를 들어, 주변기기들이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때를, 또는 대안적으로, 주변기기들이 사용 전에 디바이스와 함께 페어링될 필요가 있을 때를 사용자가 신속하게 이해하는 것을 도움으로써). 이러한 정보 없이, 사용자는 미리결정된 세트의 일부가 아닌 주변기기들을 사용하려고 실수로 시도할 수 있고(예컨대, 하나 이상의 페어링되지 않은 이어버드들을 사용하고 디바이스로부터 이어버드들로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시도함으로써), 후속적으로 주변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가 디바이스와 동작불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와 제2 주변기기 사이의 불일치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제2 주변기기와 전자 디바이스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제2 페어링 어포던스(예컨대,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된 윈도우(예컨대, 윈도우(520-5)) 내의 버튼 또는 다른 아이콘(예컨대, "연결" 버튼(522-2))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624).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페어링 어포던스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또한 제1 및/또는 제2 주변기기에 결합되는 임의의 다른 주변기기들과의 페어링을 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예컨대, 모델, 제조자, 아이콘, 컬러, 및/또는 배터리 레벨)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제1 주변기기의 제1 주변기기 상태 특성(예컨대, 배터리 레벨)과 제2 주변기기의 제2 주변기기 상태 특성(예컨대, 배터리 레벨) 사이의 차이가 미리결정된 임계치보다 작고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는 동일한 유형의 주변기기(예컨대, 이어버드들)라는 결정에 따라(예컨대, 도 5h 및 도 5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단일 조합의 주변기기 상태 특성(예컨대, 조합된 배터리 레벨)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626).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리결정된 임계치는 5%, 10%, 15%, 또는 20%의 수치차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예컨대, 모델, 제조자, 아이콘, 컬러, 및/또는 배터리 레벨)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제1 주변기기의 제1 주변기기 상태 특성(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과 제2 주변기기의 제2 주변기기 상태 특성(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 사이의 차이가 미리결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가 동일한 유형의 주변기기(예컨대, 이어버드들)(예컨대, 도 5l에 도시된 바와 같이)라는 결정에 따라, 제1 주변기기에 관한 제1 주변기기 상태 특성(예를 들어, 제1 주변기기의 배터리 레벨)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주변기기에 관한 제2 주변기기 상태 특성(예를 들어, 제2 주변기기의 배터리 레벨)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628).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리결정된 임계치 차이는 5%, 10%, 15%, 또는 20%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제1 주변기기에 관한 배터리 레벨이 최소 충전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진다는 결정에 따라 낮은 배터리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예컨대, 도 5m에 도시된 바와 같이)(630). 일부 실시예들에서, 최소 충전 임계치는 10%, 15%, 또는 20%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제1 주변기기가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는 결정에 따라 충전 배터리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예컨대, 도 5n 및 도 5o에 도시된 바와 같이)(632).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원은 배터리 또는 벽 콘센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는 이어버드이고, 전원은 제2 주변기기(예컨대, 케이스)에 통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도 5q 내지 도 5y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스크린, 잠금 상태에 대한 웨이크 스크린 등)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잠금 상태에 있다(634). 페어링 어포던스(예컨대, 도 5v의 윈도우(520-12) 내의 "연결" 버튼(522-3))을 활성화시킨 후,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인증 입력에 대한 요청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그리고/또는 청각적으로) 제시한다(예컨대, 도 5w에 도시된 패스코드 키패드(536)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디바이스는 인증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신된 인증 입력은 전자 디바이스를 잠금해제하는 인증 입력(예를 들어, 지문 스캔, 패스코드, 슬라이드 제스처 등)과 동일한 입력이다. 인증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디바이스는 (예컨대, 도 5x 및 도 5y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고, 전자 디바이스를 잠금 상태에서 유지한다.
디바이스가 잠금 상태에 있는 동안, 디바이스와 주변기기 사이에 페어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디바이스의 동작성을 향상시키고, 디바이스를 주변기기와 페어링하는 데 요구되는 사용자 입력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디바이스와 동작/상호작용할 때 사용자 실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든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한다(636).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이 완료된 후에 전자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한다(638).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이 완료된 후에 전자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동안, 디바이스는 제1 주변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예컨대, 단일 이어버드 케이스, 불일치 케이스, 배터리 상태 케이스 등)를 디스플레이한다(예컨대, 도 5z의 윈도우(520-13)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640).
도 6a 내지 도 6c에서의 동작들이 기술된 특정 순서는 단지 일례이며 기술된 순서가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는 유일한 순서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동작들을 재순서화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인식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7은 다양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의 원리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700)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들은, 옵션적으로, 다양한 기술된 실시예들의 원리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된다. 당업자라면 다양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의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해 도 7에서 기술된 기능 블록들이 옵션적으로 조합되거나 서브블록들로 분리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설명은 옵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 블록들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 또는 분리 또는 추가 정의를 지원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7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702);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RF 회로부 유닛(704);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 유닛들(706); 및 디스플레이 유닛(702), RF 회로부 유닛(704), 및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 유닛들(706)에 결합된 프로세싱 유닛(708)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708)은 디스플레이 인에이블링 유닛(710), 검출 유닛(712), 결정 유닛(714), 제시 유닛(716), 수신 유닛(718), 페어링 유닛(720) 및 유지 유닛(722)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708)은 디스플레이 유닛(702) 상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예컨대, 디스플레이 인에이블링 유닛(710)을 이용하여)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된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프로세싱 유닛(708)은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라는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도록(예를 들어, 검출 유닛(712)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싱 유닛(708)은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예를 들어, 결정 유닛(714)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결합 기준들은 제1 주변기기가 제2 주변기기에 결합되는 것을 요구한다.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킨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싱 유닛(708)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제1 주변기기와 전자 디바이스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페어링 어포던스의 디스플레이를 인에이블하도록(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인에이블링 유닛(710)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제1 주변기기가 결합 기준들을 충족시키지 않는다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싱 유닛(708)은 제1 주변기기와 제2 주변기기의 결합에 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인에이블하도록(예컨대, 디스플레이 인에이블링 유닛(710)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라는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은, 제1 주변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들을 검출하는 것 및 제1 주변 장치가 검출된 무선 신호들에 기초하여 근접성 기준들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합 기준들은 제1 주변기기가 제2 주변기기와는 별개인 제3 주변기기에 결합될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는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들이고 제2 주변기기는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들을 위한 케이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합 기준들은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들이 케이스 내부에 있는 것, 및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것 중 적어도 하나일 때 충족되는 기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708)은,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주변기기와 페어링된 후에,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인에이블하도록(예컨대, 디스플레이 인에이블링 유닛(710)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708)은, 제1 주변기기와 전자 디바이스의 페어링 후에, 제2 주변기기 및 제1 주변기기가 전자 디바이스와 이전에 페어링되었던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예를 들어, 결정 유닛(714)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제2 주변기기 및 제1 주변기기가 전자 디바이스와 이전에 페어링되었던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라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싱 유닛(708)은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인에이블하도록(예컨대, 디스플레이 인에이블링 유닛(710)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제2 주변기기 및 제1 주변기기가 전자 디바이스와 이전에 페어링되었던 연관된 주변기기들의 미리정의된 세트의 일부가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프로세싱 유닛(708)은 제1 주변기기와 제2 주변기기사이의 불일치에 관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인에이블하도록(예컨대, 디스플레이 인에이블링 유닛(710)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와 제2 주변기기 사이의 불일치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제2 주변기기와 전자 디바이스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제2 페어링 어포던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제1 주변기기의 제1 주변기기 상태 특성과 제2 주변기기의 제2 주변기기 상태 특성 사이의 차이가 미리결정된 임계치보다 작고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가 동일한 유형의 주변기기라는 결정에 따라,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단일 조합의 주변기기 상태 특성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제1 주변기기의 제1 주변기기 상태 특성과 제2 주변기기의 제2 주변기기 상태 특성 사이의 차이가 미리결정된 임계치보다 크고 제1 주변기기 및 제2 주변기기가 동일한 유형의 주변기기라는 결정에 따라, 제1 주변기기에 관한 제1 주변기기 상태 특성을 디스플레이하는 것 및 제2 주변기기에 관한 제2 주변기기 상태 특성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제1 주변기기에 관한 배터리 레벨이 최소 충전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진다는 결정에 따라 낮은 배터리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주변기기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제1 주변기기가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는 결정에 따라 충전 배터리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잠금 상태에 있고, 프로세싱 유닛(708)은, 페어링 어포던스의 활성화 후에,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인증 입력에 대한 요청을 제시하고(예를 들어, 제시 유닛(716)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인증 입력을 수신하고(예를 들어, 수신 유닛(718)을 이용하여); 인증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고(예를 들어, 페어링 유닛(720)을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도록(예를 들어, 유지 유닛(722)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708)은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동안 전자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도록(예를 들어, 유지 유닛(722)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708)은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이 완료된 후에 전자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도록(예를 들어, 유지 유닛(722)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유닛(708)은, 제1 주변기기를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는 것이 완료된 후에 전자 디바이스의 잠금 상태와 연관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동안, 제1 주변기기에 관한 상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인에이블하도록(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인에이블링 유닛(710)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전술된 정보 프로세싱 방법들에서의 동작들은 옵션적으로 (예컨대, 도 1a 및 도 3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칩들과 같은 정보 프로세싱 장치 내의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실행시킴으로써 구현된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들은, 옵션적으로, 도 1a, 도 1b 또는 도 7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된다.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c에 설명된 적어도 일부 기능은 옵션적으로 이벤트 분류기(170), 이벤트 인식기(180), 및 이벤트 핸들러(190)에 의해 구현된다. 이벤트 분류기(170) 내의 이벤트 모니터(171)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112) 상의 접촉을 검출하고, 이벤트 디스패처 모듈(174)은 이벤트 정보를 애플리케이션(136-1)에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136-1)의 개개의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정보를 개개의 이벤트 정의들(186)과 비교하고, 터치 감응형 표면 상의 제1 위치에서의 제1 접촉(또는 디바이스의 회전)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객체의 선택, 또는 하나의 배향으로부터 다른 배향으로의 디바이스의 회전과 같은 미리정의된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개개의 미리정의된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가 검출될 때, 이벤트 인식기(180)는 이벤트 또는 서브이벤트의 검출과 연관된 이벤트 핸들러(190)를 활성화시킨다. 이벤트 핸들러(190)는 옵션적으로 데이터 업데이터(176) 또는 객체 업데이터(177)를 이용하거나 호출하여, 애플리케이션 내부 상태(192)를 업데이트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벤트 핸들러(190)는 개개의 GUI 업데이터(178)에 액세스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업데이트한다. 유사하게, 다른 프로세스들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에 기초하여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설명의 목적을 위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예시적인 논의들은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규명하거나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많은 수정들 및 변형들이 상기 교시 내용들의 관점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그의 실제적인 응용들을 가장 잘 설명하여 당업자들이 본 발명 및 다양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을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바와 같은 다양한 변형들을 갖고서 가장 잘 이용하는 것을 인에이블하도록, 실시예들이 선택 및 설명되었다.

Claims (21)

  1.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회로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제1 주변 디바이스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하라는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 요청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페어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후에,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 및 제2 주변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 둘 다는 제3 주변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의 배터리 레벨을 나타내는 제1 배터리 레벨; 및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의 배터리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배터리 레벨
    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 배터리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 배터리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에 관한 배터리 레벨이 최소 충전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진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낮은 배터리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에 관한 배터리 레벨이 최소 충전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진다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낮은 배터리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의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의 제1 주변 디바이스 상태 특성과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의 제2 주변 디바이스 상태 특성 사이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이고,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가 동일한 유형의 주변 디바이스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에 관한 단일의 결합된 주변 디바이스 상태 특성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활성화를 검출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기간 후에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는 제1 이어버드이고,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는 제2 이어버드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이고,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의 케이스인, 방법.
  12.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회로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활성화를 검출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기간 후에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는 제1 이어버드이고,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는 제2 이어버드인, 전자 디바이스.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이고,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의 케이스인, 전자 디바이스.
  17.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RF) 회로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활성화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활성화를 검출하지 않고, 미리 결정된 기간 후에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는 제1 이어버드이고,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는 제2 이어버드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이고, 상기 제2 주변 디바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어버드의 케이스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26460A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KR102280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2726A KR20210093375A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83976P 2016-09-06 2016-09-06
US62/383,976 2016-09-06
DK201670727 2016-09-19
DKPA201670727A DK201670727A1 (en) 2016-09-06 2016-09-19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Wireless Pairing with Peripheral Devices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Concerning the Peripheral Devices
US15/271,114 US10042595B2 (en) 2016-09-06 2016-09-20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wireless pairing with peripheral devices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concerning the peripheral devices
US15/271,114 2016-09-20
PCT/US2017/043047 WO2018048510A1 (en) 2016-09-06 2017-07-20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wireless pairing with peripheral devices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concerning the peripheral devices
KR1020197035730A KR102157759B1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730A Division KR102157759B1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726A Division KR20210093375A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387A KR20200109387A (ko) 2020-09-22
KR102280979B1 true KR102280979B1 (ko) 2021-07-26

Family

ID=6440171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211A KR102054633B1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KR1020207026460A KR102280979B1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KR1020197035730A KR102157759B1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KR1020217022726A KR20210093375A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211A KR102054633B1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730A KR102157759B1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KR1020217022726A KR20210093375A (ko) 2016-09-06 2017-07-20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10042595B2 (ko)
EP (1) EP3488599A1 (ko)
JP (4) JP6619911B2 (ko)
KR (4) KR102054633B1 (ko)
CN (3) CN112565515B (ko)
AU (6) AU2017324072B2 (ko)
WO (1) WO2018048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06856B2 (en) 2006-09-06 2012-01-3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US9954996B2 (en) 2007-06-28 2018-04-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versation management for incoming instant messages
US8689128B2 (en) 2009-03-16 2014-04-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EP2480957B1 (en) 2009-09-22 2017-08-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706096B2 (en) 2011-08-18 2020-07-07 Apple Inc. Management of local and remote media items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20160019360A1 (en) 2013-12-04 2016-01-21 Apple Inc. Wellness aggregator
EP4365725A2 (en) 2014-05-30 2024-05-08 Apple Inc. Continuity
US9185062B1 (en) 2014-05-31 2015-11-10 Apple Inc. Message user interfaces for capture and transmittal of media and location content
US10212136B1 (en) 2014-07-07 2019-02-19 Microstrategy Incorporated Workstation log-in
EP3195098A2 (en) 2014-07-21 2017-07-26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CN111128339B (zh) 2014-09-02 2024-02-09 苹果公司 身体活动和健身监视器
EP4050467A1 (en) 2014-09-02 2022-08-31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WO2016036603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US10652385B2 (en) * 2014-10-06 2020-05-12 Mi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iewing available devices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
US10254911B2 (en) 2015-03-08 2019-04-09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CN107925691A (zh) 2015-04-03 2018-04-17 品诺有限公司 个人无线媒体站
EP3337583B1 (en) 2015-08-20 2024-01-17 Apple Inc. Exercise-based watch face
US10231128B1 (en) 2016-02-08 2019-03-12 Microstrategy Incorporated Proximity-based device access
US10855664B1 (en) 2016-02-08 2020-12-01 Microstrategy Incorporated Proximity-based logical access
AU2017100667A4 (en) 2016-06-11 2017-07-06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DK201670622A1 (en) 2016-06-12 2018-0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US10042595B2 (en) * 2016-09-06 2018-08-0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wireless pairing with peripheral devices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concerning the peripheral devices
US10264343B2 (en) * 2017-03-10 2019-04-16 Quip Technologies Inc. Mobile device storage and charging apparatus
US11544104B2 (en) * 2017-03-22 2023-01-03 Bragi GmbH Load sharing between wireless earpieces
US10657242B1 (en) 2017-04-17 2020-05-19 Microstrategy Incorporated Proximity-based access
US11140157B1 (en) 2017-04-17 2021-10-05 Microstrategy Incorporated Proximity-based access
US10771458B1 (en) * 2017-04-17 2020-09-08 MicoStrategy Incorporated Proximity-based user authentication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10928980B2 (en) 2017-05-12 2021-02-2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laying and managing audio items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US11064459B2 (en) * 2017-06-30 2021-07-13 Maxlinear, Inc. Method for informing a user about communication capability mismatch in a home network, client devices and access points for a home network
US10372298B2 (en) 2017-09-29 2019-08-0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user communication session
US10609537B2 (en) * 2017-11-22 2020-03-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ity platform
CN108683968A (zh) * 2018-04-23 2018-10-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10413134B (zh) * 2018-04-26 2023-03-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佩戴状态检测方法及相关设备
CN108769849A (zh) * 2018-04-26 2018-1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式设备的控制方法及相关产品
DK201870364A1 (en) 2018-05-07 2019-12-03 Apple Inc. MULTI-PARTICIPANT LIV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US11317833B2 (en) 2018-05-07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ies
US10887193B2 (en) 2018-06-03 2021-01-0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network connection settings of external devices
CN109121060B (zh) * 2018-07-26 2020-12-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麦克风堵孔检测方法及相关产品
CN109040893A (zh) * 2018-09-11 2018-12-18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Tws耳机电量显示方法及系统
US11026083B2 (en) * 2018-09-27 2021-06-01 Apple Inc. Identification and user notification of mismatched devices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KR102606041B1 (ko) * 2018-11-23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전자 장치
WO2020132831A1 (en) * 2018-12-24 2020-07-02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iring devices using visual recognition
USD968436S1 (en) 2019-01-08 2022-11-01 Sleep Number Corporatio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A3131489A1 (en) 2019-02-27 2020-09-03 Louisiana-Pacific Corporation Fire-resistant manufactured-wood based siding
JP6559921B1 (ja) * 2019-03-06 2019-08-14 株式会社ネイン 音声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の制御方法、情報処理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音声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音声出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11340778B2 (en) 2019-05-06 2022-05-24 Apple Inc. Restricted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DK201970535A1 (en) 2019-05-06 2020-12-21 Apple Inc Media browsing user interface with intelligently selected representative media items
DK201970532A1 (en) 2019-05-06 2021-05-03 Apple Inc Activity trends and workouts
USD916745S1 (en) 2019-05-08 2021-04-20 Sleep Number Corporatio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363071B2 (en) 2019-05-31 2022-06-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 local network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JP7097515B2 (ja) * 2019-05-31 2022-07-0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ーディオ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10904029B2 (en) 2019-05-31 2021-01-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JP7075547B2 (ja) * 2019-05-31 2022-05-2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ーディオメディア制御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10802843B1 (en) 2019-05-31 2020-10-13 Apple Inc. Multi-user configuration
US11979467B2 (en) 2019-06-01 2024-05-07 Apple Inc. Multi-modal activity tracking user interface
US11172298B2 (en) 2019-07-08 2021-11-09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headphone fit adjustment and audio output control
CN110267145A (zh) * 2019-07-09 2019-09-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状态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20210020541A (ko) 2019-08-16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D928805S1 (en) * 2019-09-04 2021-08-24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EP3999936A4 (en) * 2019-11-14 2023-04-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NCTION ACTIVATIONS VIA DISPLAY DEVICE DEPRESSIONS
KR20210092614A (ko) * 2020-01-16 2021-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DK202070613A1 (en) 2020-02-14 2021-10-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AU2020239748B2 (en) * 2020-02-14 2022-03-17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WO2021201924A1 (en) 2020-04-01 2021-10-07 UDP Lab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patient screening and triage
WO2021210923A1 (ko) * 2020-04-14 2021-10-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27388A (ko) * 2020-04-14 2021-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의 무선 연결 방법 및 장치
US11079913B1 (en) * 2020-05-11 2021-08-0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status indicators
US11722178B2 (en) 2020-06-01 2023-08-08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audio routing
US11375314B2 (en) 2020-07-20 2022-06-28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udio output modes of wearable audio output devices
US11941319B2 (en) 2020-07-20 2024-03-26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udio output modes of wearable audio output devices
CN114466100B (zh) * 2020-07-30 2022-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配件主题自适应方法、装置和系统
US11341075B2 (en) 2020-08-12 2022-05-24 Dell Products L.P. Method for selectively connecting to a smart peripheral and system therefor
KR20220022707A (ko) * 2020-08-19 202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오디오 출력 장치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US11523243B2 (en) 2020-09-25 2022-12-06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sing spatialized audio during communication sessions
WO2022119137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
USD965623S1 (en) * 2020-12-31 2022-10-04 Snap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TW202315354A (zh) 2021-01-10 2023-04-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可提升藍牙主控裝置與藍牙設備群進行資料傳輸所需金鑰的產生效率的藍牙通信系統及相關的藍牙設備群
US11671697B2 (en) 2021-01-31 2023-06-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e angle video conference
KR20220112032A (ko) * 2021-02-03 2022-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449188B1 (en) 2021-05-15 2022-09-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907605B2 (en) 2021-05-15 2024-02-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893214B2 (en) 2021-05-15 2024-02-06 Apple Inc. Real-tim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EP4323992A1 (en) 2021-05-15 2024-02-2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group workouts
US20220394428A1 (en) * 2021-06-04 2022-12-08 Apple Inc. Pairing Groups of Accessories
US11960615B2 (en) 2021-06-06 2024-04-16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user profile management
US11847378B2 (en) 2021-06-06 2023-12-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EP4334811A1 (en) * 2021-06-06 2024-03-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CN115514842A (zh) * 2021-06-10 2022-12-23 荣耀终端有限公司 用于提示设备电量信息的方法、设备、芯片及存储介质
US11868294B2 (en) * 2021-06-28 2024-01-09 Learning Squared, Inc. Image based pairing system
CN113505157B (zh) * 2021-07-08 2023-10-20 深圳市研强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IoT云的可穿戴设备配对方法及系统
US11812135B2 (en) 2021-09-24 2023-11-07 Apple Inc. Wide angle video conference
US20230171819A1 (en) * 2021-11-30 2023-06-01 Cisco Technology, Inc. Shared lock screen across paired devices
US11977729B2 (en) 2022-06-05 2024-05-07 Apple Inc.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user interfaces
US20230390626A1 (en) 2022-06-05 2023-12-07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hysical activity information
WO2023239037A1 (ko) * 2022-06-10 2023-1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6968A1 (en) * 2007-01-06 2008-07-10 Appl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that facilitate the transfer of power and information among electrical devices
JP2013051626A (ja) * 2011-08-31 2013-03-14 Sony Corp イヤホン装置
US20150200558A1 (en) * 2009-06-22 2015-07-16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Transport and/or storage container for rechargeable wireless earphones

Family Cites Families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7956A (ja) 2002-05-28 2003-12-05 Toshiba Corp オーディオ出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401841B2 (ja) 2004-03-30 2010-01-2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音声信号送受信システム、ヘッドホン及び音声信号送信装置
US8526646B2 (en) * 2004-05-10 2013-09-03 Peter V. Boesen Communication device
KR100585705B1 (ko) 2004-12-02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의 배터리 잔량표시방법
KR101246023B1 (ko) 2005-01-06 2013-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7778601B2 (en) * 2005-01-24 2010-08-17 Broadcom Corporation Pairing modular wireless earpiece/microphone (HEADSET) to a serviced base portion and subsequent access thereto
US10417700B2 (en) * 2005-03-03 2019-09-17 Refinitiv Us Organization Llc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al display of multivariate data
US7865140B2 (en) * 2005-06-14 2011-01-0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evice pairing via intermediary device
US8073137B2 (en) 2006-03-06 2011-12-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dio headset
US7689168B2 (en) 2006-03-30 2010-03-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emote user interface for Bluetooth™ device
US9144204B2 (en) * 2006-06-20 2015-09-29 Rain Bird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 sensor-based interface device for interrupting an irrigation controller
US20070300063A1 (en) * 2006-06-23 2007-12-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Pairing to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at the Lock-Screen
US20080076489A1 (en) * 2006-08-07 2008-03-27 Plantronics, Inc. Physically and electrically-separated, data-synchronized data sinks for wireless systems
US7913297B2 (en) * 2006-08-30 2011-03-22 Apple Inc. Pairing of wireless devices using a wired medium
US8155335B2 (en) * 2007-03-14 2012-04-10 Phillip Rutschman Headset having wirelessly linked earpieces
US8213908B2 (en) * 2007-04-05 2012-07-0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iring bluetooth devices
JP4506778B2 (ja) * 2007-04-27 2010-07-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
US7912020B2 (en) 2007-09-21 2011-03-22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mobile conferencing with automatic pairing
US8107879B2 (en) * 2007-12-31 2012-01-31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multiple wireless connections
US8355515B2 (en) 2008-04-07 2013-01-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Gaming headset and charging method
EP2133976B1 (en) * 2008-05-12 2016-10-12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US8620213B2 (en) 2009-12-24 2013-12-3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Wireless device pairing methods
US8626249B2 (en) * 2008-08-12 2014-01-07 T-Mobile Usa, Inc. Charging station that operates as an intermediary device between mobile devices and other devices
EP2401865B1 (en) * 2009-02-27 2020-07-15 Foundation Productions, Llc Headset-based telecommunications platform
US20110286615A1 (en) * 2010-05-18 2011-11-24 Robert Olodort Wireless stereo headsets and methods
CN102271011A (zh) * 2010-06-02 2011-12-07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蓝牙耳机与充电底座的连接方法及装置
TW201229766A (en) * 2011-01-14 2012-07-16 Primax Electronics Ltd Method of piaring a computer and wireless electronic devices
CN102073577B (zh) * 2011-01-17 2013-01-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蓝牙耳机电量在便携式电子设备上显示的系统及其方法
US8965285B2 (en) * 2011-05-13 2015-02-24 Nokia Corporation Touch inquiry
KR101825799B1 (ko) 2011-06-05 2018-03-22 애플 인크.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로부터 수신된 통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8732319B2 (en) 2011-06-10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awareness proximity-based establish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O2013012401A1 (en) * 2011-07-19 2013-01-24 Kozlay Alan D Apparatus & method to improve pairing security in bluetoothtm headsets & earbuds
JP5101742B1 (ja) * 2011-08-23 2012-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システム
WO2013030736A1 (en) * 2011-08-26 2013-03-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ocking system with automatic music playback via bluetooth
US9942379B2 (en) * 2011-12-06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ocking
US9342139B2 (en) * 2011-12-19 2016-05-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iring a computing device to a user
JP2013157863A (ja) 2012-01-31 2013-08-15 Sharp Corp 通信装置、そ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130304583A1 (en) * 2012-05-14 2013-11-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311694A1 (en) * 2012-05-21 2013-11-2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irect pairing in a wireless docking system
US9949205B2 (en) * 2012-05-26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Smart battery wear leveling for audio devices
US9191988B2 (en) * 2012-05-26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Smart pairing using bluetooth technology
KR101963768B1 (ko) * 2012-08-03 2019-07-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2946650A (zh) * 2012-10-23 2013-02-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外接设备电量的显示方法、终端和外接设备
US9647481B2 (en) * 2012-12-04 2017-05-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docking a dockee with a docking host utilizing a wireless charger in a wireless docking environment
US9942661B2 (en) * 2013-05-14 2018-04-10 Logitech Europ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rtable audio devices
WO2015006950A1 (en) 2013-07-18 2015-01-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airing of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2128751B1 (ko) * 2013-08-21 2020-07-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운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전자 장치
US20150230022A1 (en) 2014-02-07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system
KR101518010B1 (ko) * 2014-02-26 2015-05-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용 다기능 이어폰
WO2015151179A1 (ja) * 2014-03-31 2015-10-08 株式会社 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無線接続方法
US9486823B2 (en) 2014-04-23 2016-11-08 Apple Inc. Off-ear detector for personal listening device with active noise control
US9712948B2 (en) 2014-04-30 2017-07-1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Image triggered pairing
JP2015213286A (ja) * 2014-05-07 2015-11-2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69858B2 (en) * 2014-05-30 2017-09-19 Apple Inc. Seamless connectivity between hearing aid and multiple devices
US20170257472A1 (en) 2014-06-04 2017-09-07 Sonova Ag Audio device network and audio device pairing method
US9516401B2 (en) * 2014-07-10 2016-12-06 T.REX Holdings, LLC Wireless in-ear headphones
US20160029114A1 (en) 2014-07-28 2016-01-28 Yung-Lin Chen Wireless earphone set
EP4050467A1 (en) 2014-09-02 2022-08-31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US20160073249A1 (en) 2014-09-05 2016-03-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a wireless device
US10296471B2 (en) * 2014-09-30 2019-05-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ing access to peripheral devices
EP3007029B1 (en) * 2014-10-07 2017-1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wearable device
US9857863B2 (en) * 2014-10-20 2018-01-02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and program that can switch an operation mode of a display apparatus from a normal operation mode to a battery replacement mode
US9794670B2 (en) 2014-10-22 2017-10-17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BT and BCC communication for wireless earbuds
EP3015975A1 (en) * 2014-10-30 2016-05-04 Speech Processing Solutions GmbH Steering device for a dictation machine
US20160134141A1 (en) * 2014-11-07 2016-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harger for group of devices
US9210498B1 (en) * 2014-11-12 2015-12-08 Alpha Audiotronics, Inc. Wearable earbud charging band
US9565255B2 (en) * 2014-12-04 2017-02-07 Apple Inc. Electronic accessory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a connection attribute corresponding to another electronic accessory
US9613586B2 (en) 2014-12-23 2017-04-04 Roku, Inc. Providing a representation for a device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US20160241972A1 (en) 2015-02-17 2016-08-18 Gobeli Garth W Modifications for Hearing Deficiencies
JP6459711B2 (ja) * 2015-03-30 2019-0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9807491B2 (en) * 2015-04-03 2017-10-31 Pinn, Inc. Electronic device with wireless earbud
DE112016001843T5 (de) 2015-04-22 2018-01-0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rahtlose Mehrquellenkopfhörer- und Tonumschalteinrichtung
US9967647B2 (en) 2015-07-10 2018-05-08 Avnera Corporation Off-ear and on-ear headphone detection
US10136214B2 (en) * 2015-08-11 2018-11-20 Google Llc Pairing of media streaming devices
US20170108906A1 (en) * 2015-10-16 2017-04-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ingle Fuel Gauge for Multiple Energy Storage Devices
US9900680B2 (en) * 2015-11-10 2018-02-20 Skullcandy, Inc. Wireless earbuds and related methods
US9779716B2 (en) 2015-12-30 2017-10-03 Knowles Electronics, Llc Occlusion reduction and active noise reduction based on seal quality
US20170195466A1 (en) 2016-01-02 2017-07-06 Erato (Cayman) Holdings Co., Ltd. Radio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
US20170214994A1 (en) 2016-01-25 2017-07-27 Knowles Electronics, Llc Earbud Control Using Proximity Detection
US20170245039A1 (en) * 2016-02-19 2017-08-24 Erato (Cayman) Holdings Co., Ltd. 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10200780B2 (en) * 2016-08-29 2019-02-05 Bragi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battery life of wireless earpiece
US10042595B2 (en) * 2016-09-06 2018-08-0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wireless pairing with peripheral devices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concerning the peripheral devices
KR102301386B1 (ko) * 2017-06-27 2021-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334347B2 (en) 2017-08-08 2019-06-25 Bose Corporation Earbud insertion sensing method with capacitive technology
US10609537B2 (en) * 2017-11-22 2020-03-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ity platfo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6968A1 (en) * 2007-01-06 2008-07-10 Apple Inc. Apparatuses and methods that facilitate the transfer of power and information among electrical devices
US20150200558A1 (en) * 2009-06-22 2015-07-16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Transport and/or storage container for rechargeable wireless earphones
JP2013051626A (ja) * 2011-08-31 2013-03-14 Sony Corp イヤホ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4200357A1 (en) 2024-02-08
WO2018048510A1 (en) 2018-03-15
CN107800864B (zh) 2021-01-22
KR20200109387A (ko) 2020-09-22
CN112565515A (zh) 2021-03-26
JP2020074090A (ja) 2020-05-14
US20210255816A1 (en) 2021-08-19
US10628105B2 (en) 2020-04-21
JP7361815B2 (ja) 2023-10-16
US20180341448A1 (en) 2018-11-29
AU2019203626B2 (en) 2021-03-11
AU2021290349B2 (en) 2023-11-09
AU2019203626A1 (en) 2019-06-13
AU2021201777B2 (en) 2021-12-16
JP7046890B2 (ja) 2022-04-04
US20180067712A1 (en) 2018-03-08
JP2023182728A (ja) 2023-12-26
US11204733B2 (en) 2021-12-21
AU2017101032A4 (en) 2017-08-31
US11269575B2 (en) 2022-03-08
JP2019533329A (ja) 2019-11-14
AU2017324072B2 (en) 2019-02-28
EP3488599A1 (en) 2019-05-29
US20200218486A1 (en) 2020-07-09
AU2021201777A1 (en) 2021-04-15
AU2017324072A1 (en) 2019-02-21
CN107800864A (zh) 2018-03-13
KR20210093375A (ko) 2021-07-27
KR102054633B1 (ko) 2019-12-10
CN112565516A (zh) 2021-03-26
US10042595B2 (en) 2018-08-07
AU2021290349A1 (en) 2022-02-03
KR20190137953A (ko) 2019-12-11
JP6619911B2 (ja) 2019-12-11
US20220107771A1 (en) 2022-04-07
KR20220065104A (ko) 2022-05-19
KR20190022883A (ko) 2019-03-06
CN112565516B (zh) 2023-11-28
JP2022078056A (ja) 2022-05-24
AU2017101032B4 (en) 2018-05-10
KR102157759B1 (ko) 2020-09-18
CN112565515B (zh)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79B1 (ko)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EP3680763B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US11120220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redictive keyboard
US20150346973A1 (en) Seamlessly enabling larger ui
US20170357568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ebugging Accessibility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US11275499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hanging a number of columns of an application region
KR102668131B1 (ko) 주변 장치들과 무선 페어링하고 주변 장치들에 관한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DK201670727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Wireless Pairing with Peripheral Devices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Concerning the Peripher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