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345B1 -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345B1
KR102280345B1 KR1020190109683A KR20190109683A KR102280345B1 KR 102280345 B1 KR102280345 B1 KR 102280345B1 KR 1020190109683 A KR1020190109683 A KR 1020190109683A KR 20190109683 A KR20190109683 A KR 20190109683A KR 102280345 B1 KR102280345 B1 KR 102280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unit
language unit
units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380A (ko
Inventor
도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Publication of KR2020012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은, 수치형 언어 단위들, 메타형 언어 단위들 및 각 언어 단위들의 언어 단위 카테고리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수치형 또는 메타형 중 어느 하나의 언어 단위 유형 선택을 지시하는 유형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획득한 언어 단위 중에서 상기 유형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유형 식별 정보가 상기 수치형에 상응하는 유형 식별 정보라면,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선택된 언어 단위의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형 식별 정보가 메타형에 상응하는 유형 식별 정보라면,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선택된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 및 상응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쌍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쌍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리스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COMMENDED ITEMS USING LANGUAGE UNITS}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검색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는 검색 창에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여 원하는 웹 문서 등을 검색하여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화 제목 "인터스텔라"를 검색창에 입력하여 영화 "인터스텔라"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자신이 찾으려는 영화 제목을 기억하지 못할 경우 다른 방식의 정보 제공이 요구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자신이 찾으려는 영화에 출연한 배우나 해당 영화의 감독, 제작자 등을 키워드로 입력하여 검색을 시도할 수 있다. 영화 정보 사이트나 영화 리뷰 사이트에는 영화 정보와 함께 출연진 정보도 제공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운이 나쁘지 않다면 사용자는 배우, 감독, 제작자 등을 키워드로 하여 원하는 영화를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더 나아가, 이와 같이 정형화된 정보가 아닌 비정형적 언어, 예를 들어 감정 언어에 기반한 정보 제공이라면 종래의 검색 방식을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재미있는 영화" 또는 "슬플 때 보는 영화" 등의 검색어에 대해서 종래 검색엔진들이 제공하는 응답은 누군가가 "재미있는 영화" 또는 "슬플 때 보는 영화"라는 키워드를 포함하여 작성해 둔 문서를 검색하는 것에 불과할 것이다. 하지만 비정형적 언어는 출연 배우, (정형화된) 영화 장르, 개봉 년도 등 정형화된 정보와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누군가가 "재미있는 영화" 또는 "슬플 때 보는 영화"라는 키워드를 포함하여 작성해 두지 않았더라도,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재미있다"거나 "슬플 때 보면 좋다"고 느낄 수 있는 영화들이 있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영화 외의 다른 분야에 대해서도, 정형화되지 않은 언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해서 다른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의 속성 키워드 제공 관리 방법은, 수치형 언어 단위들, 메타형 언어 단위들 및 각 언어 단위들의 언어 단위 카테고리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수치형 또는 메타형 중 어느 하나의 언어 단위 유형 선택을 지시하는 유형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획득한 언어 단위 중에서 상기 유형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언어 단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리스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이 수치형에 언어 단위 집합인 경우, 선택된 언어 단위에 대한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언어 단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선택된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 및 상응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쌍을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쌍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한다.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쌍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는,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각 수치형 언어 단위에 대하여 대응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에, 해당 수치형 언어 단위와 임의의 객체에 대응되는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반영한 값을,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들에 대해 누적한 값과 상기 임의의 객체에 대한 정황-객체 연관도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정보 페이지는 언어 단위 검색을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의 검색창에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의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의 각 언어 단위를 언어 단위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되도록 표시한다.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의 각 언어 단위를 언어 단위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되도록 표시한다.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의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언어 단위들을 언어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되도록 표시한다.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은, 복수의 객체를 복수의 항목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단계; 특정 항목 카테고리에 관련된 문서들을 기반으로 상기 언어 단위와 관련된 상기 특정 항목 카테고리의 복수의 객체를 매칭하는 단계; 각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복수의 객체와 연관된 언어 단위를 상기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언어 단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항목 카테고리의 리스트를 항목 카테고리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항목 카테고리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항목 카테고리 중 하나의 항목 카테고리를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받은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언어 단위들을 포함하는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항목 카테고리는 만화, 영화, 소설, 드라마, 예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대표 속성 키워드와 하위 속성 키워드 쌍에 대응되는 대표 속성-하위 속성 연관도 및 하위 속성 키워드와 객체 쌍에 대응되는 하위 속성-객체 연관도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은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연관도를 가상정황으로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가상정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추천 항목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제공장치는 단말로부터 수치형 또는 메타형 중 어느 하나의 언어 단위 유형 선택을 지시하는 유형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유형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통해 수신되는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여, 선정된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리스트를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수신되는 유형 식별 정보가 상기 수치형에 상응하는 유형 식별 정보라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선택된 언어 단위의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쌍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각 수치형 언어 단위에 대하여 대응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에, 해당 수치형 언어 단위와 임의의 객체에 대응되는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반영한 값을,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들에 대해 누적한 값과 상기 임의의 객체에 대한 정황-객체 연관도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도록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복수의 객체를 매칭하고, 상기 복수의 객체를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항목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항목 리스트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항목 리스트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받고, 선택받은 항목에 대응되는 상기 언어단위 리스트를 생성하는 정보제공장치.
정보제공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대표 속성 키워드와 하위 속성 키워드 쌍에 대응되는 대표 속성-하위 속성 연관도 및 하위 속성 키워드와 객체 쌍에 대응되는 하위 속성-객체 연관도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연관도에 대한 저장에 대한 지시를 수신받는다.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연관도를 가상정황에 대한 추천항목으로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추천항목에 포함된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연관도를 포함하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단말에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언어 단위에 기초하여 용이한 추천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속성 키워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3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한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910의 상세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510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530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추천 항목 관리 과정의 순서도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저장된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의 예시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항목 카테고리 설정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 예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항목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검색어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메타형 언어 단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검색창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키워드 저장을 위한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 예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결과미리보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일 예이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 예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항목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2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결과미리보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일 예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언어 단위'는 객체의 특성, 활용방식, 성질 등을 표현, 정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문자열을 의미할 수 있다. '언어 단위'는 '속성 키워드', '키워드' 또는 '키토크(keytalk)TM'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키토크는 토크(talk)의 키(key)가 된다는 의미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언어 단위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단말(200), 정보 제공 장치(300) 및 통신망(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기타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적 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단말(200)은 관리자 단말(200-1) 또는 고객 단말(200-2) 일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0-1)은 예를 들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고객 단말(200-2)은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이다.
정보 제공 장치(300)는 예를 들어 워크스테이션, 서버, 일반용 컴퓨터, 기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적 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단말(200)과 정보 제공 장치(3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망(150)을 통해 연결되며 통신망(150)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200-1)은 정보 제공 장치(300)가 직접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제공 장치(300)에 접근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200-1)이 정보 제공 장치(300)가 직접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제공 장치(300)에 접근하는 경우 정보 제공 장치(300)가 웹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장치(300)에 포함되는 웹 서버/애플리케이션 서버의 구성을 인터페이스 모듈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은 후술하는 웹 서버/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웹 서버/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접속한 단말에게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거나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접속한 단말이 전달하는 정보 및/또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150)은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WI-FI,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타 과거, 현재에 개발되었거나 향후 사용 가능하게 되는 통신 방식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통신망(150)을 언급하지 않고 단말(200)과 정보 제공 장치(300)가 직접 통신하는 것처럼 설명한다.
정보 제공 장치(300)는 관리자 단말(200-1)과 고객 단말(200-2)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모두 제공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사용자(관리자)의 접근 시에는 객체 추천 및 속성 키워드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다른 일반 사용자(고객)의 접근 시에는 본인의 객체 검색 및 조회와 같은 제한된 정보의 조회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300)는 이러한 차별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해, 사용자 인증 또는 단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장치(300)는 접속된 단말과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접속된 단말이 관리자 단말인지 고객 단말인지 구분한다. 또는 정보 제공 장치(300)는 접속된 단말의 단말 인증을 통해 관리자 단말로 등록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장치(300)와 단말(200)간 사용자 인증 또는 단말 인증 절차는 이미 실용화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200)과 정보 제공 장치(3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200)은 입력부(210), 표시부(220), 통신부(230), 저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50)에게 송신한다. 입력부(210)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센서, 터치패드, 키패드, 음성 입력, 기타 현재, 과거에 가능하거나 미래에 가능해질 입력 처리 장치들로써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정보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2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화면을 출력한다. 표시부(220)는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 LED(발광 다이오드),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프로젝터, 기타 현재, 과거에 가능하거나 미래에 가능해질 표시 장치들로써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예를 들어 정보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 페이지나 정보 제공 결과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화면 출력 대신 음성 출력이나 진동 등 기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구성부가 표시부(220)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통신부(230)는 정보 제공 장치(300) 및/또는 기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통신부(230)는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250)에게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전달한다. 통신부(23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은 통신망(150)의 유형이나 기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제어부(250)에게 전달한다.
제어부(250)는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과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정보 제공 요청, 기타 데이터를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송신하고,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페이지 정보에 따라 결과 페이지 및/또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한다.
제어부(250)가 수행하는 동작은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여러 연산 장치에 의하여 분산 처리될 수 있다. 제어부(250)가 수행하는 동작 중 일부는 제1 서버가 수행하고 다른 동작은 제2 서버가 수행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250)는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연산 장치의 총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저장장치의 총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50)나 저장부(240)가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여러 장치의 총합으로 구현되는 경우 여러 장치들 사이의 통신이 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저장부(240)나 제어부(250)가 하나의 객체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다.
단말(200)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관점에 따라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30)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고, 제어부(250)가 통신부(230)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단말(200)의 각 구성부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300)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단말(200) 및/또는 기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통신부(310)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320)에게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31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단말(200)에게 전달한다. 통신부(31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은 통신망(150)의 유형이나 기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320)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제어부(320)에게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과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320)는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또한, 제어부(32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요청, 정보 제공 결과 페이지 요청, 기타 데이터를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하면 저장부(33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오고(load) 페이지 정보를 생성하여 페이지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단말(200)에게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속성 키워드 선택에 대한 검색 결과를 단말(200)에 전달한다.
정보 제공 장치(300)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관점에 따라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310)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고, 제어부(320)가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장치(300)의 각 구성부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 대신 음성이나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한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생성한다.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전달하기 위한 페이지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HTML 문서 또는 기타 마크업 언어 문서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200)이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서식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으며, 컨텐츠에 해당하는 사항만이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단말(20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 또는 기타의 페이지 정보는 HTML 문서 형식으로 전달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42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통신부(31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단말(2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30에서 단말(200)의 제어부(25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HTML 문서를 해석하여 웹 페이지의 형태로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대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계 440에서 단말(200)의 표시부(220)는 사용자(400)에게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표시한다.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400)가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정보 제공을 위한 키워드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고 기타 정보 제공을 위한 설정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단말(200)의 입력부(21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400)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단계 460에서 단말(200)의 통신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식별할 수 있는 입력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7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키워드 및/또는 기타 정보 제공 설정)을 이용하여 결과 페이지 정보를 생성한다. 결과 페이지 정보를 생성하는 위한 준비과정과 결과 페이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결과 페이지 정보는 예를 들어 HTML 문서 형식 및/또는 이미지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48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통신부(310)는 결과 페이지 정보를 단말(2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90에서 단말(200)의 제어부(250)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결과 페이지 정보를 이용하여 결과 페이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HTML형식의 결과 페이지 정보를 해석하여 결과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단계 495에서 단말(200)의 표시부(220)는 결과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말(200)의 제어부(250)가 표시부(220)를 제어하여 표시부(220)가 내용을 출력하게 하거나 통신부(230)를 제어하여 항목 추천 관리 장치(300)과 통신하거나 입력부(210)를 제어하여 내용을 입력받거나, 저장부(240)를 제어하여 저장하는 것을 단말(200)이 동작하는 것으로 기술한다. 단말(200)의 표시부(220)는 입력부(2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입력부(210) 및 표시부(22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표시부(220)에서 입력부(210)의 기능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한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에게 시각적 형태의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음성을 통해 인터페이스나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표시부(220) 대신 음성 출력부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각적/청각적 방식 대신 현재 가능하거나 미래에 가능해질 다른 방식의 인터페이스 방식이 사용자(400)와의 관계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장치(300)는 인터페이스 방식에 맞도록 페이지 정보 대신 다른 방식으로 변환된 정보를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 이후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400)는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특정 관심 분야의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심 분야(관심 항목)는 예를 들어 객체의 유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분야가 '위인' 이라면 이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객체는 '세종대왕', '이순신', '심사임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분야가 '영화'라면 이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객체는 '맨인**', '스파이더*', '신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분야가 '방송 프로그램' 이라면 이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객체는 '무한**', '정글의 **', '왕좌의 **'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키워드들 간의 관계(연관도/가중치 등등)를 평가하기 위해 문서가 수집된다. 수집된 문서는 모두 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될 수도 있고, 최신의 문서가 더 높은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즉, 평가 시점 기준 문서의 나이와 그 문서 내에 등장하는 키워드들 간의 연관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도 5 이후의 과정에서도 문서의 최신성에 따라 가치가 달리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시점 기준 1일 지난 문서에 두 키워드가 함께 등장한 경우가, 평가 시점 기준 10일 지난 문서에 두 키워드가 함께 등장한 경우에 비해 10배 더 높은 연관도로 평가될 수 있다. 문서의 나이는 예를 들어 초단위/분단위/시간 단위로 평가되거나 일 단위/월 단위/연 단위 등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제어부(320)는 문서의 나이가 반영되기 전 평가된 해당 문서에 의하나 부분 연관도 값을 문서의 나이로 나누어 문서 나이가 반영된 부분 연관도를 설정하고, 이러한 부분 연관도를 누적하여 두 키워드 사이의 연관도를 설정할 수 있다.
문서의 나이를 확인하기 위한 문서의 생성 시점은 예를 들어 문서 내에 포함된 게시 시점 및/또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파악하거나, 주기적인 크롤링을 통해, 이전의 크롤링에 발견되지 않은 문서가 새로 발견되는 경우 새로운 크롤링 시점에 신규 문서가 추가된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추천 항목 관리를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제어부(320)는 제1 집합 문서들로부터 대표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을 판단한다. 제어부(320)는 예를 들어 제1 집합 문서 중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문서에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들을 대표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으로 수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510의 상세 순서도이다.
제어부(320)는 특정 분야에 속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객체 키워드와 같은 문서에 등장하는 키워드들 및 특정 분야를 나타내는 분야 키워드와 같은 문서에 등장하는 키워드들을 제1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 및 제2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관심 분야가 유명인이라면, 분야 키워드는 '유명인', '연예인', '영화배우', '스타', '셀럽', 'cele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야 키워드는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제어부(320)에 의하여 추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일부 분야 키워드들을 획득한 뒤 이 분야 키워드들과의 연관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분석된 유사 키워드를 추가적 분야 키워드로 추천/설정할 수 있다.
관심 분야가 유명인이라면, 객체 키워드는 해당 관심 분야에 속하는 개별 인물이 될 수 있다. 즉, 관심 분야 유명인에 해당하는 각각의 인물이 객체 키워드가 될 수 있다.
분야 키워드와 객체 키워드의 관계를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분야 키워드가 객체 키워드의 속성 또는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분야 키워드가 집합을 나타낸다면 객체 키워드는 그 집합에 속하는 원소들을 나타내는 것이 될 수 있다.
객체 키워드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분야 키워드와 비슷한 방식으로 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수집된 문서들의 문맥을 분석하여 상기 분야 키워드가 나타내는 집합에 속하는 원소로 판단되는 키워드들을 객체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인기 객체 키워드와 비인기 객체 키워드는 해당 객체 키워드의 검색/수집량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각 객체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수집하고 수집량이 특정 문턱값 이상인 객체 키워드를 인기 객체 키워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객체 키워드를 비인기 객체 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인기 분야 키워드와 비인기 분야 키워드는 해당 분야 키워드의 검색/수집량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각 분야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수집하고 수집량이 특정 문턱값 이상인 분야 키워드를 인기 분야 키워드로 설정하고 나머지 분야 키워드를 비인기 분야 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인기 객체 키워드와 비인기 객체 키워드를 구분하는 문턱값과 인기 분야 키워드-비인기 분야 키워드를 구분하는 문턱값은 서로 다른 값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편의를 위해 인기 객체 키워드와 인기 분야 키워드를 통틀어 인기 분야객체 키워드라고 칭한다. 또한 편의를 위해 비인기 객체 키워드와 비인기 분야 키워드를 통틀어 비인기 분야객체 키워드라고 칭한다.
변형 실시 예에서는 인기 분야객체 키워드 대신 인기 분야 키워드 또는 인기 객체 키워드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변형 실시 예에서는 비인기 분야객체 키워드 대신 비인기 분야 키워드 또는 비인기 객체 키워드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계 610에서 제어부(320)는 인기 분야객체 키워드와 같은 문서에 함께 등장하는 키워드들을 제1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으로 설정한다.
제어부(320)는 인기 분야객체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들을 검색/수집하고, 수집된 문서에 포함된 키워드들을 제1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수집된 문서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 분야 키워드 및 객체 키워드를 제1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서 제외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320)는 미리 설정된 의미 없는 키워드, 예를 들어 조사/관사 등을 제1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수집된 문서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 미리 설정된 사전(dictionary)에 등록된 키워드를 제1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인기 분야객체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수집하고, 수집된 문서에서 인기 분야객체 키워드 또는 그 키워드가 포함된 문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배치된 키워드들을 제1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인기 분야객체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수집하고, 문맥을 분석하여 인기 분야객체 키워드를 수식/설명하는 용도로 사용된 키워드들을 제1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키워드 사이의 거리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문장의 개수,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단어의 개수,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어절의 개수,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문자의 개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키워드 분석을 위해 형태소 분석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제어부(320)는 비인기 분야객체 키워드와 같은 문서에 함께 등장하는 키워드들을 제2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으로 설정한다.
제어부(320)는 비인기 분야객체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수집하고, 수집된 문서에 포함된 키워드들을 제2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수집된 문서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 분야 키워드 및 객체 키워드를 제2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서 제외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320)는 미리 설정된 의미 없는 키워드, 예를 들어 조사/관사 등을 제2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수집된 문서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 미리 설정된 사전(dictionary)에 등록된 키워드를 제2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비인기 분야객체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수집하고, 수집된 문서에서 비인기 분야객체 키워드 또는 그 키워드가 포함된 문장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배치된 키워드들을 제2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비인기 분야객체 키워드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수집하고, 문맥을 분석하여 비인기 분야객체 키워드를 수식/설명하는 용도로 사용된 키워드들을 제2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키워드 사이의 거리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문장의 개수,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단어의 개수,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어절의 개수,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문자의 개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키워드 분석을 위해 형태소 분석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제어부(320)는 상기 제1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 및 상기 제2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 모두에 속한 키워드들을 상기 대표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인기 분야객체 키워드를 수식하는 표현으로도 쓰이면서 비인기 분야객체 키워드를 수식하는 표현으로도 쓰이는 키워드들이 대표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 수집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510에서 제어부(320)는 인기/비인기 여부에 관계 없이 객체 키워드 및/또는 분야 키워드와 함께 등장하는 키워드들을 대표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5로 돌아가서, 단계 520에서 제어부(320)는 제2 집합 문서들로부터 대표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에 포함되는 각 대표 속성 키워드와 연관된 둘 이상의 하위 키워드들을 판단한다.
단계 520의 하위 키워드 추출에 사용되는 제2 집합 문서와 단계 510의 대표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 추출에 사용되는 제1 집합 문서는 서로 다른 문서 집합일 수도 있고 서로 같은 문서 집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집합 문서는 수집 가능한 문서 전부를 포함하는 집합이고, 제2 집합 문서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관심 분야가 주요한 키워드로 사용된 문서들만을 포함하는 집합이 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수집 가능한 문서들을 분석하여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각 문서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관심 분야가 주요한 키워드로 사용된 문서인지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집합 문서 및 제2 집합 문서 모두 수집 가능한 관련문서 전부를 포함하는 집합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집합 문서는 수집 가능한 관련문서 전부를 포함하는 집합이고 제2 집합 문서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관심분야에 관련된 문서만을 포함하는 집합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집합 문서는 수집 가능한 관련문서 전부를 포함하는 집합이고 제1 집합 문서는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관심분야에 관련된 문서만을 포함하는 집합이 될 수 있다.
단계 520을 위해, 제어부(320)는 예를 들어,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특정 관심분야에 관련된 문서만을 포함하는 집합을 생성하기 위해 해당 관심분야 자체를 나타내는 분야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서들 및/또는 해당 관심분야에 속하는 객체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서들을 수집하고, 그들 중 분야 키워드/객체 키워드의 비중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문서들을 추출하여 특정 관심분야에 관련된 문서만을 포함하는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분야 키워드/객체 키워드의 비중은 분야 키워드/객체 키워드의 등장 빈도나 등장 위치, 문맥 등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야 키워드/객체 키워드가 자주 등장하거나 분야 키워드/객체 키워드가 해당 문서의 타이틀로 사용되거나 큰 글자 또는 강조를 위한 글자체로 표시되는 문서는 특정 관심분야에 관련된 문서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520에서 제어부(320)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집합 문서 중 적어도 일부를 분석하여 각 대표 속성 키워드와 가장 연관도가 높은 하위 키워드들을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추출하여 각 대표 속성 키워드와 연관된 둘 이상의 하위 키워드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예를 들어 하위 키워드가 대표 속성 키워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문맥에 등장하는 빈도를 고려하여 대표 속성 키워드와 하위 키워드 사이의 연관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문장에서 키워드 A의 주변에 등장하는 단어들은 다른 문서에서도 키워드 A와 연관된 단어의 주변에 등장할 수 있으리라고 볼 수 있다.
"큰 맘 먹고 여행을 갔으나 7월이라 날씨가 너무 더워서 고생했다."
"큰 맘 먹고 여행을 갔으나 7월이라 날씨가 너무 습해서 고생했다."
위 두 문장을 살펴보면 같은 문맥에서 "더워서"라는 단어가 "습해서"라는 단어로 대체되었다. 제어부(320)는 "덥다"와 "습하다"가 서로 연관된 단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큰 맘 먹고 여행을 갔으나 7월이라 날씨가 너무 더워서 고생했다."
"큰 맘 먹고 휴가를 갔으나 7월이라 날씨가 너무 더워서 고생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20)는 위 두 문장을 통해 "여행"과 "휴가"가 연관된 단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큰 맘 먹고 여행을 갔으나 7월이라 날씨가 너무 더워서 고생했다."
"큰 맘 먹고 여행을 갔으나 8월이라 날씨가 너무 더워서 고생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20)는 위 두 문장을 통해 "7월"과 "8월"이 연관된 단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이전에 수집된 문서들을 통해 "덥다"와 "습하다"가 서로 연관된 단어이고 "7월"과 "8월"이 서로 연관된 단어이며 "여행"과 "휴가"가 서로 연관된 단어임을 저장해 둘 수 있다 이후 아래와 같은 문장을 수집한다고 가정한다.
"큰 맘 먹고 휴가를 갔으나 7월이라 날씨가 너무 습해서 고생했다."
"큰 맘 먹고 여행을 갔으나 8월이라 날씨가 너무 더워서 힘들었다."
두 문장이 동일한 문맥은 아니지만 덥다"와 "습하다"가 서로 연관된 단어이고 "7월"과 "8월"이 서로 연관된 단어이며 "여행"과 "휴가"가 서로 연관된 단어임을 알고 있다면, 제어부(320)는 위 문장을 통해 "고생했다"와 "힘들었다" 역시 연관된 단어임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동일/유사한 문맥에 등장하는 빈도가 높은 키워드 쌍은 서로 연관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두 키워드가 등장하는 문맥의 유사도가 높을수록 두 키워드 사이의 연관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수집되는 문서들을 이용해 학습을 진행하여 키워드들 사이의 연관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키워드 간 연관도와 문장의 문맥을 이용하여 해당 문장에서 등장하는 키워드들의 연관도를 설정하는 식으로 키워드 간 연관도 판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한 학습 방식으로 NNLM(Neural Net Language Model), RNNLM(Recurrent Neural Net Language Model), word2vec, 스킵그램(skipgram) 및 CBOW(Continuous Bag-of-Words)방식이 알려져 있다. 특히 word2vec을 이용할 경우 word2vec은 문서들을 이용해 학습하여 각 키워드들을 벡터에 대응시키고, 두 키워드 사이의 유사도는 두 벡터의 코사인 유사도 계산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부(320)는 제2 집합 문서 중 적어도 일부를 분석하여 각 대표 속성 키워드와 가장 연관도가 높은 하위 키워드들을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제어부(320)는 상기 제2 집합 문서들로부터 상기 대표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 내 각 대표 속성 키워드와 하위 키워드 쌍에 대응되는 연관 가중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계 530의 상세 순서도이다.
단계 710에서 제어부(320)는 상기 제2 집합 문서 중 적어도 일부를 분석하여 상기 하위 키워드들 사이의 상호 연관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 속성 키워드 A1에 대해 연관된 하위 키워드로서 수집된 것이 B11 내지 B150의 50개 하위 키워드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320)는 이들 50개 하위 키워드들에 대해 두 하위 키워드가 같은 문서에 함께 등장하는 빈도를 이용하여 두 하위 키워드 사이의 상호 연관도를 설정할 수 있다. B11 과 B12가 같은 문서에 등장하는 빈도에 따라 B11 과 B12 사이의 상호 연관도가 결정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B11 과 B12 같은 문서에 등장하는 빈도가 상호 연관도에 영향을 주는 것에 더하여, B11 과 B12가 같은 문서에 등장하는 경우 두 키워드 B11 과 B12 사이의 거리(또는 두 키워드가 등장하는 문장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높은 상호 연관도가 인정될 수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하위 키워드들 사이의 상호 연관도가 설정될 수 있다. 키워드 사이의 거리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문장의 개수,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단어의 개수,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어절의 개수, 두 키워드 또는 키워드와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문자의 개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제어부(320)는 상기 하위 키워드들 사이의 상호 연관도를 기초로 각 대표 속성 키워드와 하위 키워드 간의 연관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예를 들어, 각 대표 속성 키워드에 상응하는 하위 키워드 집합에 대하여, 상기 하위 키워드 집합 내의 특정 하위 키워드와 상기 하위 키워드 집합 내의 다른 하위 키워드 간의 상호 연관도와, 상기 특정 하위 키워드와 상기 대표 속성 키워드 사이의 연관 가중치가,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도록 상기 특정 하위 키워드와 상기 대표 속성 키워드 사이의 연관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 속성 키워드 A1의 하위 키워드 B11과 A1의 다른 하위 키워드들 (B12 내지 B150) 사이의 상호 연관도가 높을 수록 A1과 B11사이의 연관 가중치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B11과 A1의 다른 하위 키워드들 (B12 내지 B150) 사이의 상호 연관도 산술평균(또는 총합)이 B11과 A1 사이의 연관 가중치가 될 수 있다. 단순한 산술평균 대신 기하 평균/조화 평균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위 키워드 B11과 A1의 다른 하위 키워드들 (B12 내지 B150) 사이의 상호 연관도 중 가장 높은 2개(예시)와 가장 낮은 2개(예시)를 제외하고 평균을 구하는 절삭 평균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호 연관도의 산술 평균 대신 중앙값(median)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A1에 대한 B11의 연관 가중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B11과 B12 같은 문서에 등장하는 빈도"는 단순히 B11과 B12 같이 등장하는(또는 같은 문장에 등장하는, 또는 근접하여 등장하는) 문서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B11과 B12 같이 등장하는(또는 같은 문장에 등장하는, 또는 근접하여 등장하는) 문서의 개수를 B11이 등장하는 문서의 개수 및/또는 B12이 등장하는 문서의 개수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B11과 B12 같은 문서에 등장하는 빈도"는 B11과 B12 같이 등장하는(또는 같은 문장에 등장하는, 또는 근접하여 등장하는) 문서의 개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B11이 등장하는 문서의 개수 및/또는 B12이 등장하는 문서의 개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단순하게 흔히 사용되는 단어가 대표 속성 키워드 A1에 높은 연관 가중치를 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노멀라이제이션(normalization)이다.
도 5로 돌아와서, 단계 540에서 제어부(320)는 상기 제1 집합 문서들로부터 객체와 하위 키워드 간의 하위 연관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집합 문서들 중에서 객체를 나타내는 객체 키워드(예를 들어 "테일러 스위프트")와 같은 문서, 또는 같은 문장 또는 근접한 문장에 자주 등장한 하위 키워드들은 해당 객체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해당 객체의 객체 키워드가 등장한 문서를 수집하고, 그 문서들 내에 함께 등장한 빈도에 따라 하위 키워드와 객체 키워드 사이의 하위 연관도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20)는 하위 키워드가 객체 키워드와 같은 문장에 등장하면 하위 키워드가 객체 키워드와 다른 문장에 등장한 경우에 비해 하위 키워드와 객체 사이의 연관도가 더 높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하위 키워드가 등장한 문장이 객체 키워드가 등장한 문장과 근접할 수록 하위 키워드와 해당 객체 키워드의 객체 사이의 연관도가 더 높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두 문장의 근접도는 예를 들어 두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문장의 개수, 두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단어의 개수, 두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어절의 개수, 두 문장 사이에 위치하는 문자의 개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하위 키워드가 등장한 위치가 객체 키워드가 등장한 위치와 근접할 수록 하위 키워드와 해당 객체 키워드의 객체 사이의 연관도가 더 높은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하위 키워드와 객체 키워드 사이의 근접도는 예를 들어 하위 키워드와 객체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는 문장의 개수, 하위 키워드와 객체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는 단어의 개수, 하위 키워드와 객체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는 어절의 개수, 하위 키워드와 객체 키워드 사이에 위치하는 문자의 개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제어부(320)는 단계 540의 하위 연관도 및 단계 530의 연관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와 상기 각 대표 속성 키워드 간의 객체-키워드 연관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C와 대표 속성 키워드 A1 사이의 객체-키워드 연관도는 C와 A1의 하위 키워드들 (예를 들어 B11 내지 B150) 사이의 하위 연관도 및 각 하위 키워드들의 연관 가중치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C와 대표 속성 키워드 A1 사이의 객체-키워드 연관도는, 객체 C와 B11 내지 B150 사이의 하위 연관도가 높을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A1과의 관계에서 연관 가중치가 더 높은 하위 키워드에 대해서 객체 C와의 하위 연관도가 높다면, 연관 가중치가 더 낮은 하위 키워드에 대해서 하위 연관도가 높은 경우에 비하여 객체 C와 대표 속성 키워드 A1 사이의 객체-키워드 연관도가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의 경우가 표 2의 경우보다 연관 가중치 높은 쪽(B11)의 하위 연관도가 높으므로, 표 1의 경우가 표 2의 경우보다 객체 C와 대표 속성 키워드 A1 사이의 객체-키워드 연관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A1과의 연관 가중치 C와의 하위 연관도
B11 0.5 0.5
B12 0.2 0.2
A1과의 연관 가중치 C와의 하위 연관도
B11 0.2 0.5
B12 0.5 0.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하위 키워드에 대응되는 연관가중치 및 하위 연관도를 곱한 값의 총합으로 (또는 이 총합을 이용하여) 객체 C와 대표 속성 키워드 A1 사이의 객체-키워드 연관도(객체-언어 단위 연관도와 혼용하여 사용)를 구할 수도 있다. 표 1의 경우 0.5×0.5+0.2×0.2=0.29가 되고, 표 2의 경우 0.2×0.5+0.5×0.2=0.20이 되므로, 표 1의 경우가 표 2의 경우보다 객체 C와 대표 속성 키워드 A1 사이의 객체-키워드 연관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객체-키워드 연관도 산정 방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단계 540의 C와의 하위 연관도 및 단계 530의 A1과의 연관 가중치가 C 및 A1 사이의 객체-키워드 연관도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면 다른 방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후 통신부(310)가 특정 대표 속성 키워드와 연관된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320)는 단계 550에서 추출한 객체-키워드 연관도를 기반으로 결과 객체를 통신부(3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대표 속성 키워드를 포함한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320)는 해당 대표 속성 키워드와의 관계에서 객체-키워드 연관도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둘 이상의 대표 속성 키워드 및 그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포함한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320)는 각 객체에 대해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대표 속성 키워드들과의 객체-키워드 연관도에 가중치를 곱한(또는 이와 유사하게 가중치를 부가한) 값의 총합(또는 평균)이 가장 높은 순서대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8의 실시 예는 도 5의 실시 예와 동일한 과정들에 더해서 단계 520과 단계 530의 사이에 두 단계들(523, 526)을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는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 단계 523 및 단계 526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단계 523에서 제어부(320)는, 단계 520에서 추출된 하위 키워드들 각각이, 감정 언어(감정어)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330) 또는 외부 서버가 감정어 사전(dictionary)를 보유할 수 있다. 감정어 사전은 어떤 단어(키워드)가 감정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도구로서, 예를 들어 감정어 목록을 보유할 수 있다. 감정어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는 감정어라고 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키워드는 감정어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판단은 사전적 의미에 기반한 것이고, 시대에 따라 변하는 대중의 단어 사용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20)는 대표 속성 키워드 자체의 감정어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대표 속성 키워드에 연관된 하위 키워드들의 감정어 여부를 기준으로 대표 속성 키워드를 활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320)는 감정어 사전에 감정어인 것으로 등록된, 미리 설정된 수 이상의 단어와 연관도가 높은(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학습된 다른 단어를 감정어 사전에 추가할 수 있다.
단계 526에서 제어부(320)는 연관된 하위 키워드의 감정 언어 비율(또는 숫자)이 높은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대표 속성 키워드만을 대표 속성 키워드 후보집합 내에 남기고 나머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감정 언어와 거리가 먼 키워드가 감정 언어처럼 취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추천 항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저장된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의 예시이며,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항목 카테고리 설정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다.
단계 910에서 제어부(320)는 객체와 대표 속성 키워드(언어단위) 쌍에 대응하는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도 10의 실시 예에서 객체는 모두 m개(i1 내지 im)가 있고 대표 속성 키워드는 모두 n개(k1 내지 kn)가 있다.
예를 들어 객체 i5와 대표 속성 키워드 k3의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는 w5,3이 된다.
단계 910의 과정은 전술한 도 5 내지 도 8의 실시 예들 중 일부에 따라 수행되거나 이와 유사한 과정, 또는 이에 상응하는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910의 과정은 관리자의 입력으로 수행되거나 외부 시스템에서 결정된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네트워크 또는 저장매체를 통해 전달받아 수행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제어부(320)는 수치형 언어 단위들, 메타형 언어 단위들 및 각 언어 단위들의 언어 단위 카테고리를 획득하여 저장부(330)에 저장한다.
단계 920의 과정은 관리자의 입력으로 수행되거나 외부 시스템에서 결정된 수치형 언어 단위들, 메타형 언어 단위들 및 각 언어 단위들의 언어 단위 카테고리를 네트워크 또는 저장매체를 통해 전달받아 수행될 수 있다.여기서, 수치형 언어 단위는 임의의 객체에 대하여 사용자 마다 예컨대 '멋진'에 대한 정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는 언어 단위로써, 그 정도의 차이를 0 내지 1 사이의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라는 객체에 '멋진'이라는 수치형 언어 단위에 대한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는 '0.1'이고, 'B'라는 객체에 '멋진' 이라는 수치형 언어 단위에 대한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는 '0.9'인 경우, 'B'라는 객체가 'A' 라는 객체보다 '멋진'이라는 키워드에 더 연관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메타형 언어 단위는 미리 설정된 연관 가중치 예컨대 0 또는 1의 를 갖는다. 예를 들어 메타형 언어 단위는 '딘*', '박*래', '박명*, '백종*', '서장*', '성시*', '송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타형 언어 단위는 임의의 객체에 대하여 '연관이 있다(연관도 1)) 또는 '연관이 없다(연관도 0)'로 대답할 수 있는 언어 단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객체가 임의의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출연자 '딘*', '박*래', '박명*, '백종*', '서장*'의 연관 가중치가 각각 1,1,0,0,1인 경우, '딘*', '박*래', '서장*'은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한 것이며, '박명*, '백종*'은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와 기타 연관관계를 나타내는 값은 모두 값이 클수록 더 연관관계가 긴밀한 값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다른 실시 예에서 일부 연관도 값은 연관도 값이 작을수록 연관관계가 긴밀하고 다른 연관도 값은 연관도 값이 클수록 연관관계가 긴밀한 경우에는 그에 맞도록 양의 상관관계-음의 상관관계가 적절히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언어단위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유저반응', '분위기', '출연자', '장르특성' 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것 일 수 있다.
단계 910 및 단계 920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황에 따라 객체를 추천하기 위한 전처리 단계이다.
다음 단계 930에서 통신부(310)를 통해 단말로부터 수치형 또는 메타형 중 어느 하나의 언어 단위 유형 선택을 지시하는 유형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치형 언어 단위 또는 메타형 언어 단위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 유형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따.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200)에 표시된 수치형 언어 단위 또는 메타형 언어 단위 중 어느 하나의 언어 단위 유형을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에 따라,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한 유형에 대한 유형 식별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부(320)는 유형식별 정보를 수신받는다.
단계 940에서 제어부(320)는 수신받은 유형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한다. 즉, 제어부(320)는 수신받은 유형 식별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 단위가 수치형인지 메타형인지 언어 단위 유형을 확인하여, 선택한 유형의 언어 단위로 이루어진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한다.
단계 950에서 제어부(930)는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한다. 이하에서 단말(200)과 정보 제공 장치(300) 간의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한 정보 전달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을 따른다.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유형 식별 정보가 수치형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이 수치형에 언어 단위 집합인 경우, 선택된 언어 단위에 대한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즉, 단계 940에서 수신받은 유형식별 정보가 메타형에 대응하는 경우, 제1 언어 단위 집합은 메타형 언어 단위들을 포함하고,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메타형 언어 단위로 이루어진 제1 언어 단위 집합에 포함된 언어 단위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단계 950에서 수신받은 유형식별 정보가 수치형에 대응하는 경우, 제1 언어 단위 집합은 수치형 언어 단위들을 포함하고,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수치형 언어 단위로 이루어진 제1 언어 단위 집합에 포함된 언어 단위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선택된 언어 단위에 대한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단계 960에서 제어부(930)는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통해 선택된 언어 단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한다.
제어부(930)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통해 단말로부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의 언어 단위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언어 단위를 확인한다.
확인된 언어 단위의 유형이 수치형인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에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수신받는다.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각 수치형 언어 단위에 대하여 대응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에, 해당 수치형 언어 단위와 임의의 객체에 대응되는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반영한 값을,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들에 대해 누적한 값과 상기 임의의 객체에 대한 정황-객체 연관도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각 수치형 언어 단위에 대하여 대응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에 해당 수치형 언어 단위와 임의의 객체에 대응되는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곱한(또는 이와 유사하게 가중치를 부가한) 값을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들에 대해 누적한 값을 산출하여, 정황-객체 연관도로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320)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와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곱하는 대신 정황-언어 단위와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도록 하는 다른 연산/이용 방식을 적용한 함수를 활용하여 정황-객체 연관도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수치형 언어 단위에 대하여 대응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에 해당 수치형 언어 단위와 임의의 객체에 대응되는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곱한(또는 이와 유사하게 가중치를 부가한) 값을 수신한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들에 대해 누적한 값에 기타 요인에 기반한 보정을 가하여 정황-객체 연관도로써 활용하는 방법 모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언어 단위 유형이 메타형인 경우, 선택된 메타형 언어 단위 들에 대응하는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한다.
단계 980에서 제어부(320)는 정황-객체 연관도에 기초하여 선정된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리스트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언어 단위 C2에 대응하는 정황-객체 연관도가 아래 표 3과 같다면 제어부(320)는 표 4의 순서로 객체를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객체 항목 정황-객체 연관도
i1 0.23
i2 0.33
i3 0.99
i4 0.84
순서 객체 항목 정황-객체 연관도
1 i3 0.99
2 i4 0.84
3 i2 0.33
4 i1 0.23
즉, 제어부(320)는 선택된 언어 단위에 대한 정황-객체 연관도가 높은 순서대로 미리 설정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리스트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객체 리스트를 제공받은 단말(200)은 표시부(220)를 통해 객체 i3에 대한 미리 저장된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200)은 필요에 따라 하위 순서의 다른 객체에 대한 미리 저장된 관련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단말(200)은 표시부(220) 대신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객체 i3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단계 930 내지 단계 950은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단계 930에서 수치형 언어 단위를 선택하여, 수치형 언어 단위 집합인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고, 단계 940에서 수치형 언어 단위로 이루어진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에서 하나 이상의 수치형 언어 단위를 선택한 후, 단계 950에서 선택된 수치형 언어 단위의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설정받아 임시 저장한다. 이후, 다시 단계 940으로 되돌아가 메타형 언어 단위를 선택하여, 매타형 키워드 집합인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고, 단계 950에서 매타형 키워드로 이루어진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에서 하나 이상의 메타형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 960에서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에 상기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반영하여, 정황-객체 연관도를 연산한 후, 선택된 메타형 언어 단위와 연관된 객체들을 필터링한 후, 정황-객체 연관도가 높은 순서로 객체를 선정할 수 있다.
단계 980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연관도에 대한 저장에 대한 지시를 수신받으면,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임의의 가상정황으로서 저장부에 저장한다.
단계 990에서 저장된 가상정황 검색 요청에 따라 저장된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추천 항목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추천 항목과 관련하여서는 도 2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전처리 과정으로서, 항목 카테고리를 분류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항목 카테고리가 분류되는 경우, 분류된 항목 카테고리에 대하여, 추천 항목을 관리할 수 있다.
항목 카테고리 분류 및 항목 카테고리 설정에 대하여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20)는 객체의 유형(항목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된 항목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계 911에서 제어부(320)는 복수의 객체를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한다. 도 5에 설명한 단계들에 기초하여 분류할 수도 있고, 또는 관리자에 의해 분류될 수도 있다.
단계 912에서 특정 항목 카테고리에 관련된 문서들을 기반으로 상기 각 언어 단위들과 관련된 상기 특정 항목 카테고리의 복수의 객체를 매칭한다.
이를 위해, 수치형 언어 단위들, 메타형 언어 단위를 통신부를 통해 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계 912에서 수치형 언어 단위들, 메타형 언어 단위를 획득한 경우, 단계 920에서 수치형 언어 단위들 및 메타형 언어 단위를 획득하는 것은 생략될 수 있다.
단계 913에서 각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복수의 객체와 연관된 언어 단위를 상기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언어 단위로 설정한다.
단계 914에서 상기 항목 카테고리의 리스트를 항목 카테고리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에 제공한다.
단계 915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항목 카테고리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항목 카테고리 중 하나의 항목 카테고리를 선택받는다.
단계 916에서 선택받은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언어단위로 이루어진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한다.
이후, 도 9의 단계 920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 제공 제어부(320)는 상기 항목 리스트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여, 항목 리스트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받고,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기본 언어단위 집합을 생성한다.
생성된 기본 언어단위 집합에 포함된 언어단위들에 대하여만 도 9의 단계를 진행시킨다.
이와 같은, 객체의 유형(항목 카테고리) 관련 문서 기반 분석으로 설정된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는 항목 카테고리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전술한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객체의 유형(항목 카테고리)에 따라 상이한 집합 문서가 수집되므로, 언어 단위의 유사도, 언어 단위의 빈도에 기초한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가 객체의 유형(항목 카테고리)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선택된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기본 언어단위 집합에 포함된 언어 단위들에 대하여만, 단계 920 및 단계 930을 거쳐,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한다.
예컨대, 항목 카테고리가 '만화'인 경우, 기본 언어단위 집합에 포함된 언어 단위들의 언어 단위 카테고리는 '그림체', '캐릭터', '스토리', '소셜반응', '리뷰', '소재', '가을', '어른', '뜨는', '인기' 등 일 수 있고, 항목 카테고리가 '방송'인 경우, 기본 언어단위 집합에 포함된 언어 단위들의 언어 단위 카테고리는 '장르특성', '출연자', '유저반응', '제작진' 등 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 예이고,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항목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며,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다.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정보 제공 장치(300)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단말(300)에 표시된다. 인터페이스 페이지에 표시되는 버튼 또는 탭이 선택되면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을 변환한 입력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추천 항목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페이지(I-100)는 항목 선택부(I-110), 언어단위 검색부(I-120), 언어단위 선택부(I-130), 스냅샷부(I-140), 결과미리보기부(I-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항목 선택부(I-110)는 검색 또는 추천 가능한 객체의 카테고리 리스트를 표시한다. 일례로서, 항목 선택부(I-110)는 만화, 영화, 소설, 드라마, 예능 등의 항목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단말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항목 선택부(I-100)를 통해 복수의 항목 카테고리 중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언어단위 검색부(I-120)는 검색창(I-121)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검색창(I-121)에 원하는 키토크의 전체 또는 일부를 입력하여 가상의 정황에 부합하는 언어단위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언어단위 선택부(I-130)는 언어단위 유형선택탭(I-131, I-132), 언어단위 카테고리 표시부(I-135),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언어단위 유형선택탭(I-131, I-132), 언어단위 카테고리 표시부(I-135),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를 통해 가상의 정황에 부합하는 키워드 및 키워드 연관도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언어단위 유형선택탭(I-131, I-132)은 수치형탭(I-131)과 메타형탭(I-132)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단말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수치형탭(I-131)을 통해 수치형 언어 단위를 선택하면 복수의 수치형 언어 단위로 이루어진 제1 언어 단위 집합이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메타형탭(I-132)을 통해 메타형 언어 단위를 선택하면 복수의 메타형 언어 단위로 이루어진 제1 언어 단위 집합 표시부(I-133)에 표시된다.
언어단위 카테고리 표시부(I-135)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에 대응하는 언어단위 카테고리를 표시한다.
언어단위 카테고리에 표시된 언어단위 카테고리, 예컨대 '장르특성'으로 분류된 제1 언어 단위 집합이 표시된다.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에 포함된 복수의 언어단위들을 표시한다.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에 표시된 복수의 언어단위 중 일부의 언어 단위가 선택되면, 선택된 언어 단위는 추후 설명할 스냅샷부(I-140)에 표시된다.
또한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에 포함된 키워드들이 한 페이지에 모두 보여지지 못할 경우에 대비하여 페이지 이동을 위한 이전 페이지 버튼 및/또는 다음 페이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전 페이지 버튼 및/또는 다음 페이지 버튼은 실제 키워드의 개수 및 현재 페이지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이전 페이지 버튼 및/또는 다음 페이지 버튼 대신 스크롤을 통해 확장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메타형 언어 단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언어단위 카테고리 표시부(I-135)는 메타형 언어 단위를, 예컨대 카테고리가 '출연'인 어 단위를 표시한다. '출연' 카테고리의 언어 단위는 예를 들어 특정 유명인이 해당 방송에 출연했는지 여부에 대한 언어 단위이다.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수치형 언어 단위와 메타형 언어 단위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의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수치형 언어 단위를 긴 타원형의 테두리로 표시하는 반면, 도 15의 메타형 언어 단위를 직사각형의 테두리로 표시한다.
또 다른 예로는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각 키워드의 글자색, 테두리 색, 배경색 등을 변경하여, 수치형 언어 단위와 메타형 언어 단위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메타형 언어 단위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언어단위 카테고리 표시부(I-135)는 메타형 언어 단위를, 예컨대 카테고리가 '출연'인 어 단위를 표시한다. '출연' 카테고리의 언어 단위는 예를 들어 특정 유명인이 해당 방송에 출연했는지 여부에 대한 언어 단위이다.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수치형 언어 단위와 메타형 언어 단위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의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수치형 언어 단위를 긴 타원형의 테두리로 표시하는 반면, 도 15의 메타형 언어 단위를 직사각형의 테두리로 표시한다.
또 다른 예로는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각 키워드의 글자색, 테두리 색, 배경색 등을 변경하여, 수치형 언어 단위와 메타형 언어 단위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검색창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다.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면,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검색창(I-121)에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언어단위들의 집합인 제2 언어단위 집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창(I-121)에 '다'가 입력된 경우, 언어단위 카테고리가 '장르특성'인 제2 언어 단위 집합은 '다양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차원이 다른' 등을 포함하고, 언어단위 카테고리가 '유저반응'인 제2 언어 단위 집합은 '색다른', '사이다 같은', '기다려지는', '기다린보람이있는', '웃다가우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상기 제2 언어 단위 집합에 포함된 언어 단위들 중에서 검색창에 입력된 단어를 나머지 부분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창(I-121)에 '다'가 입력되어, 제2 언어 단위 집합에 '다양한'이 표시되는 경우, '다양한' 에서 '다'와 '양한'은 서로 다른 색 또는 다른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지 않은 언어 단위를 더 표시하고, 검색어를 포함하는 언어 단위와 검색어를 포함하지 않는 언어 단위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언어 단위를 먼저 표시하고, 검색어를 포함하지 않는 언어 단위를 뒤에 표시할 수 있다.
언어단위 집합 표시부(I-133)는 표시된 복수의 언어단위 중에서 하나 이상의 언어 단위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아 제어부(320)에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선택된 언어 단위가 스냅샷부(I-140)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스냅샷부(I-140)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고, 도 1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연관도 조절부(I-149)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고
도 12,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스냅샷부(I-140)는 연관도 설정버튼(I-147), 키워드 삭제버튼(I-148), 및 키워드설정저장 버튼(I-146)을 포함한다.
연관도 설정버튼(I-147)은 단말에 표시된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언어단위 검색부(I-120) 및 언어단위 선택부(I-130)를 통해 선택된 수치형 언어 단위 각각에 대하여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해 조절가능한 연관도 조절부(I-149)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연관도 조절부(I-149)를 통해 선택한 수치형 언어 단위의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입력한다. 연관도 조절부(I-149)는 슬라이드 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슬라이드 바의 일단은 최저 연관도 타단은 최대 연관도에 대응될 수 있다. 연관도는 예를 들어, 0 내지 1 또는 0.1 내지 5일 수 있다. 이러한 연관도 범위는 일 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언어 단위 삭제버튼(I-148)은 선택된 언어 단위 각각에 매칭되어 표시되고, 언어 단위 삭제버튼(I-148)이 선택되면 매칭된 키워드를 삭제처리할 수 있다.
언어 단위 삭제버튼(I-148)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단말(200)은 정보 제공장치(300)에 입력정보를 제공하고,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매칭되어 있는 언어 단위를 삭제할 수 있다. 언어 단위를 삭제한다는 것은 사용자에 의한 언어 단위 선택을 취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 단위 설정저장 버튼(I-146)은 언어단위 선택부(I-130)를 통해 선택된 메타형 언어 단위 및 수치형 언어 단위, 스냅샷부(I-140)를 통해 선택된 수치형 언어 단위의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저장할 수 있다.
언어 단위 설정저장 버튼(I-146)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320)는 스냅샷부(I-140)를 통해 언어 단위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관련 설정을 로그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로그정보와 함께 언어 단위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로그정보로의 검색 시 저장된 언어 단위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바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버튼들(I-148, I-146) 대신 버튼과 유사한 다른 인터페이스 또는 버튼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다른 인터페이스가 활용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9를 참조하면, 결과미리보기부(I-15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미리보기부(I-150)는 선택된 언어단위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에 기초하여 검색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언어단위 선택부(I-130) 및 스냅샷부(I-14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검색된 객체 정보를 결과미리보기부(I-150)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저장된 가상정황(선택된 언어단위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에 따른 결과보기가 선택되면, 결과미리보기부(I-150)는 가상정황에 따른 객체 정보를 제공한다.
결과미리보기부(I-150)는 선택된 언어단위에 기초하여 검색된 객체에 대한 이미지 및 개별 항목명(예컨대, 방송프로그램/책)을 표시할 수 있다. 검색된 객체가 복수인 경우 연관도가 높은 순서대로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된 객체가 예컨대 프로그램들인 경우, 프로그램의 메인 이미지, 제목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객체 중 임의의 객체가 선택되면, 해당 객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검색된 객체가 예컨대 프로그램들인 경우, 임의의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해당 프로그램의 편성, 최고시청율, 장르, 출연자, 제작진, 공식 홈페이지 주소 등이 상세히 표시될 수 있다.
결과미리보기를 통해 사용자는 검색된 객체 항목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가상의 정황에 적합하지 않은 객체가 결과에 포함된 경우, 재검색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생각하는 가상의 정황에 적합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 예이고,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항목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며, 도 2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의 일 예이다.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정보 제공 장치(300)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단말(300)에 표시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추천 항목을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Ⅱ-100)는 항목 선택부(Ⅱ-110), 키워드 선택부(Ⅱ-120) 및 결과미리보기부(Ⅱ-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항목 선택부(I-110)는 검색 또는 추천 가능한 객체의 카테고리 리스트를 표시한다. 일례로서, 항목 선택부(I-110)는 예컨대 영화, 방송, 스타, 웹툰, 와인, 옷, 아트, 비어 등의 항목 카테고리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항목 선택부(I-100)에 표시된 복수의 항목 카테고리의 리스트 중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2를 참조하면, 키워드 선택부(Ⅱ-120)는 카테고리선택탭(Ⅱ-121), 언어단위 집합부(Ⅱ-122)를 포함한다.
카테고리선택탭(Ⅱ-121)은 복수의 언어단위 카테고리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복수개의 언어단위 카테고리는 그림체, 캐릭터, 스토리, 소셜반응, 리뷰, 소재, 가을, 오른, 뜨는, 인기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선택탭(Ⅱ-121)은 표시된 언어단위 카테고리 마다 매칭된 체크박스(Ⅱ-123)를 포함한다. 카테고리선택탭(Ⅱ-121)은 체크박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언어단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언어단위 집합부(Ⅱ-122)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카테고리선택탭(Ⅱ-121)를 통해 언어단위 카테고리 리스트에서 미리 상정한 정황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언어단위 카테고리를 선택한다.
카테고리선택탭(Ⅱ-121)은 메타형 언어단위탭(Ⅱ-221) 및 수치형 언어단위탭(Ⅱ-3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3을 참조하면, 메타형 언어단위탭(Ⅱ-221)은 하나 이상의 메타형 언어 단위의 카테고리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메타형 언어 단위 카테고리를 표시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형 언어단위탭(Ⅱ-221)은 메타형 언어 단위의 카테고리 예컨대 '연재요일'을 표시한다. 메타형 언어 단위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이 언어단위 집합부(Ⅱ-122)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언어단위 집합부(Ⅱ-122)에 표시되는 메타형 언어 단위 예컨대,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메타형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4를 참조하면, 수치형 언어단위탭(Ⅱ-321)은 수치형 언어 단위 카테고리를 표시한다. 수치형 언어단위탭(Ⅱ-321)은 복수의 수치형 언어 단위를 포함하면, 각 수치형 언어 단위에 매칭되는 체크박스(Ⅱ-3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치형 언어단위탭(Ⅱ-321)에 표시된 체크박스(Ⅱ-323)를 선택하여 복수의 수치형 언어 단위 예컨대, 그림체, 캐릭터, 스토리, 소설반응, 리뷰, 소재, 가을, 오른, 뜨는, 인기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치형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수치형 언어단위탭(Ⅱ-321)에서 선택된 수치형 언어 단위에 포함되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이 언어단위 집합부(Ⅱ-322)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언어단위 집합부(Ⅱ-322)에 표시되는 수치형 언어 단위 예컨대, 몽환적인, 기대되는 기분전환되는, 끌리는, 참신한, 오글거리는, 무거운, 끈적한, 유익한, 따뜻한, 성장하는, 달달한, 공감가는, 쾌활한, 무서운, 새로운, 흥미진진한, 웃긴, 잔인한, 야한, 선정적인, 탄탄한스토리의, 훈훈해지는, 교훈적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치형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언어단위 집합부(Ⅱ-322)에 표시되는 각 언어 단위는 언어 단위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23과 도 2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치형 언어 단위와 매타형 언어 단위는 서로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4의 수치형 언어 단위는 긴 타원형의 테두리로 표시되는 반면, 도 23의 메타형 언어 단위는 직사각형의 테두리로 표시된다.
또 다른 예로는 각 키워드의 글자색, 테두리 색, 배경색 등을 변경하여, 수치형 언어 단위와 메타형 언어 단위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5를 참조하면, 큐레이션부(Ⅱ-130)는 언어단위 집합부(Ⅱ-122) 및/또는 언어 단위 집합부(Ⅱ-322)에서 선택된 언어 단위(키워드)에 대한 정황-객체 연관도에 기초하여 검색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큐레이션부(Ⅱ-130)는 큐레이션 저장탭(Ⅱ-131), 선택 언어 단위 표시부(Ⅱ-132) 및 결과미리보기(Ⅱ-133)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검색된 객체 정보를 결과미리보기부(Ⅱ-133)를 통해 제공된다.
선택키워드 표시부(Ⅱ-132)는 키워드 선택부(Ⅱ-120)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표시한다. 하나 이상의 언어 단위가 선택된 순서대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선택된 키워드는 키워드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선택된 키워드가 예컨대 '유익한', '수', '완결'을 포함하는 경우, 수치형 언어 단위인 '유익한'은 긴 타원형으로 표시되고 메타형 언어 단위인 '수', 및 '완결'은 직사각형으로 표시된다.
큐레이션 저장탭(Ⅱ-131)은 선택키워드 표시부(Ⅱ-132)에 표시된 언어 단위를 추천항목으로서 저장부에 저장한다.
미리 저장된 추천항목이 있는 경우, 추천 항목을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Ⅱ-100) 제공시 추천항목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된 추천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언어 단위 유형이나, 언어 단위를 선택하는 과정없이 추천항목에 포함된 선택된 언어 단위가 표시된다. 또한, 추천항목에 포함된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선택된 언어 단위에 대한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에 기초하여, 선정된 객체를 결과미리보기부(Ⅱ-133)에 표시할 수 있다. 객체 선정 방법은, 도 9의 단계 960과 동일하다.
결과미리보기부(Ⅱ-133)는 선택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선정된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리스트를 표시한다. 결과미리보기부(Ⅱ-133)는 검색된 객체에 대한 이미지 및 개별 항목명(예컨대, 만화)을 표시할 수 있다. 검색된 객체가 복수인 경우 연관도가 높은 순서대로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결과미리보기부(Ⅱ-133)는 예컨대, '수'요일에 연재되며, '완결'된 객체들 중 '유익한'과 연관도가 높은 순서대로 객체를 표시한다.
검색된 객체가 예컨대 프로그램들인 경우, 프로그램의 메인 이미지, 제목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결과미리보기부(Ⅱ-133)는 객체 리스트에 포함된 객체들이 한 페이지에 모두 보여지지 못할 경우에 대비하여 페이지 이동을 위한 이전 페이지 버튼 및/또는 다음 페이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전 페이지 버튼 및/또는 다음 페이지 버튼은 객체의 개수 및 현재 페이지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이전 페이지 버튼 및/또는 다음 페이지 버튼 대신 스크롤을 통해 확장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복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면, 해당 객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검색된 객체가 예컨대 만화인 경우, 해당 만화의 작가, 해당 작가의 다른 작품, 작가의 홈페이지 주소 등이 상세히 표시될 수 있다.
결과미리보기를 통해 사용자는 검색된 객체 항목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가상의 정황에 적합하지 않은 객체 항목이 검색된 경우, 재검색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생각하는 가상의 정황에 적합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추후 실제 고객/구매자에게 제공되는 추천 항목은 위에 설정된 가상의 정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만 가상의 정황은 고정되지만 외부의 학습 데이터가 추가됨에 따라서 해당 가상 정황에 따라 추천되는 추천 항목은 점차 변화할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추천항목을 효과적으로 생성해 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고려하는 가상의 정황에 상응하는 추천 항목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8)

  1. 수치형 언어 단위들, 메타형 언어 단위들 및 각 언어 단위들의 언어 단위 카테고리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수치형 또는 메타형 중 어느 하나의 언어 단위 유형 선택을 지시하는 유형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획득한 언어 단위 중에서 상기 유형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언어 단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리스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이 수치형에 언어 단위 집합인 경우, 선택된 언어 단위에 대한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언어 단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선택된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 및 상응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쌍을 수신하여, 상기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쌍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며,
    수신한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쌍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는 단계는,
    수신한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각 수치형 언어 단위에 대하여 대응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에, 해당 수치형 언어 단위와 임의의 객체에 대응되는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반영한 값을, 수신한 수치형 언어 단위들에 대해 누적한 값과 상기 임의의 객체에 대한 정황-객체 연관도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언어 단위 검색을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의 검색창에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의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의 각 언어 단위를 언어 단위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의 각 언어 단위를 언어 단위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의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언어 단위들을 언어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객체를 복수의 항목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단계;
    특정 항목 카테고리에 관련된 문서들을 기반으로 상기 언어 단위와 관련된 상기 특정 항목 카테고리의 복수의 객체를 매칭하는 단계;
    각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복수의 객체와 연관된 언어 단위를 상기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언어 단위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항목 카테고리의 리스트를 항목 카테고리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항목 카테고리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항목 카테고리 중 하나의 항목 카테고리를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받은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언어 단위들을 포함하는 기본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카테고리는 만화, 영화, 소설, 드라마, 예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대표 속성 키워드와 하위 속성 키워드 쌍에 대응되는 대표 속성-하위 속성 연관도 및 하위 속성 키워드와 객체 쌍에 대응되는 하위 속성-객체 연관도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연관도를 가상정황에 대한 추천항목으로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추천항목에 포함된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연관도를 포함하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의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10. 단말로부터 수치형 또는 메타형 중 어느 하나의 언어 단위 유형 선택을 지시하는 유형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유형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통해 수신되는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여, 선정된 객체를 포함하는 객체 리스트를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수신되는 유형 식별 정보가 상기 수치형에 상응하는 유형 식별 정보라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선택된 언어 단위의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수신한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 및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 쌍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한 개수의 객체를 선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수치형 언어 단위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각 수치형 언어 단위에 대하여 대응되는 정황-언어 단위 연관도에, 해당 수치형 언어 단위와 임의의 객체에 대응되는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반영한 값을, 수신한 기 수치형 언어 단위들에 대해 누적한 값과 상기 임의의 객체에 대한 정황-객체 연관도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정보제공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언어 단위 검색을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상기 검색 인터페이스의 검색창에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의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의 각 언어 단위를 언어 단위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정보제공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의 각 언어 단위를 언어 단위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언어 단위 집합 중 일부의 언어 단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언어 단위 집합 중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문자열에 대응되는 언어 단위들을 언어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정보제공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객체를 복수의 항목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특정 항목 카테고리에 관련된 문서들을 기반으로 상기 언어 단위와 관련된 상기 특정 항목 카테고리의 복수의 객체를 매칭하고, 각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복수의 객체와 연관된 언어 단위를 상기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언어 단위로 설정하며, 상기 항목 카테고리의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 카테고리 중 하나의 항목 카테고리를 상기 단말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받은 항목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언어 단위들을 포함하는 기본 언어 단위 집합을 생성하는, 정보제공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카테고리는 만화, 영화, 소설, 드라마, 예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대표 속성 키워드와 하위 속성 키워드 쌍에 대응되는 대표 속성-하위 속성 연관도 및 하위 속성 키워드와 객체 쌍에 대응되는 하위 속성-객체 연관도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언어 단위 연관도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정보제공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연관도에 대한 저장에 대한 지시를 수신받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연관도를 가상정황에 대한 추천항목으로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추천항목에 포함된 선택된 언어 단위 및 상응하는 연관도를 포함하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제공장치.
KR1020190109683A 2019-04-25 2019-09-04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280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576 2019-04-25
KR20190048576 2019-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380A KR20200125380A (ko) 2020-11-04
KR102280345B1 true KR102280345B1 (ko) 2021-07-22

Family

ID=7357115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683A KR102280345B1 (ko) 2019-04-25 2019-09-04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190179414A KR102340404B1 (ko) 2019-04-25 2019-12-31 언어 단위를 이용한 영화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190179413A KR102340403B1 (ko) 2019-04-25 2019-12-31 언어 단위를 이용한 여행지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414A KR102340404B1 (ko) 2019-04-25 2019-12-31 언어 단위를 이용한 영화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190179413A KR102340403B1 (ko) 2019-04-25 2019-12-31 언어 단위를 이용한 여행지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803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439B1 (ko) * 2010-11-22 2012-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콘텐츠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700345B1 (ko) * 2015-06-05 2017-01-2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온톨로지에 기반한 동영상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55920B1 (ko) * 2017-07-24 2019-03-12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속성 언어를 이용한 검색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962B1 (ko) 2008-01-22 2010-02-26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감성 기반의 아이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데이터베이스구축 방법 및 검색 서버
KR20190010278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관심 분야별 취향 검색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439B1 (ko) * 2010-11-22 2012-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콘텐츠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700345B1 (ko) * 2015-06-05 2017-01-2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감정 온톨로지에 기반한 동영상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55920B1 (ko) * 2017-07-24 2019-03-12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속성 언어를 이용한 검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380A (ko) 2020-11-04
KR20200125408A (ko) 2020-11-04
KR102340404B1 (ko) 2021-12-17
KR20200125407A (ko) 2020-11-04
KR102340403B1 (ko)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1827B1 (en) Providing images of named resources in response to a search query
US113977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using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reserved word and attribute language
US201601625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information using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30419720A1 (en) Method for managing item recommendation using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language unit and usage history
US2020004307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mmending items based on areas
KR101955920B1 (ko) 속성 언어를 이용한 검색 방법 및 장치
TW201523305A (zh) 檢索系統、檢索條件設定裝置、檢索條件設定裝置之控制方法、電腦程式產品、及資訊記憶媒體
KR102335408B1 (ko) 영화 속성 언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280345B1 (ko) 언어 단위를 이용한 추천 항목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279125B1 (ko) 취향필터에 기반한 추천 정보 제공 단말 및 장치
CN116414968A (zh) 信息搜索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102226742B1 (ko) 예약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95691B1 (ko) 주종 및 주량에 따른 음식점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00006421A (ko) 이벤트에 따른 핫플레이스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00125507A (ko) 언어 단위와 이용 내역 간의 연관도를 이용한 항목 추천 방법
US202003419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ttribute language
CN107123318B (zh) 一种基于输入法装置的外文写作学习系统
KR20200012252A (ko) 음식점 관련 아이템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434880B1 (ko)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84962B1 (ko) 음성 입력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2223A (ko) 이벤트에 따른 아이템 정보 분포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