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727B1 - Cushion chair combined with handstand aids, and home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ushion chair combined with handstand aids, and home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727B1
KR102279727B1 KR1020200083644A KR20200083644A KR102279727B1 KR 102279727 B1 KR102279727 B1 KR 102279727B1 KR 1020200083644 A KR1020200083644 A KR 1020200083644A KR 20200083644 A KR20200083644 A KR 20200083644A KR 102279727 B1 KR102279727 B1 KR 10227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tand
cut
chair
mechanism uni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민경
Original Assignee
전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민경 filed Critical 전민경
Priority to KR102020008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7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chair combined with handstand aids and an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supporting the face, the neck and the shoulders of a user; and a cover type chair unit (110) being used as a stool and a chair used in the home by covering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and enabling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to be used as handstand aids by being separated from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n the case of performing a handstand exercis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sed even in the general home by enabling the user to perform the handstand effectively and safely even in a narrow space.

Description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Cushion chair combined with handstand aids, and home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Cushion chair combined with handstand aids, and home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상적으로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스툴 및 의자로 사용하며,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하는 경우 보조기구로 사용할 수 있는 쿠션 의자에 해당하는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and an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is used as a stool and chair for everyday use at home, and can be used as an auxiliary device when performing handstand exercise. It relates to a cushion chair that can be used as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corresponding to a cushion chair, and an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물구나무서기는 흔히 혈액이 머리 쪽으로 흐르게 되므로 뇌분비 시스템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성장발달, 소화, 신진대사 등의 기능을 하는 호르몬 분비를 증진시켜주며 혈액 순환에도 도움을 준다 알려져 있다.Since the blood often flows toward the head, it is known that it stimulates the brain secretion system and promotes blood circulation, promotes the secretion of hormones that perform functions such as growth and development, digestion, and metabolism, and helps blood circulation.

주로 집안에서 물구나무서기를 하는 방법으로는 거꾸리를 사용하거나 벽을 이용하여 하는 방법들이 있으나, 거꾸리의 경우 집안에 많은 자리를 차지하며 보관 하기도 힘든 점이 있으며, 벽에 대고 할 경우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신체에 무리를 가하여 부상의 위험성도 있다. 이에 따라 알려진 효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일반인들이 다른 운동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There are mainly ways to do handstands at home, either using an upright or using a wall, but in the case of upside down, it takes up a lot of space in the house and is difficult to store. There is also a risk of injury due to excessive force. As a result, many ordinary people substitute other exercises, despite their known effects.

또한, 물구나무서기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많은 기구들이 생산되고 있지만, 주로 물구나무서기만을 위한 제품들이어서 소비자로 인하여 구매하기에는 고민하게 되는 실정이다. In addition, although many tools are being produced to make handstands more efficient, they are mainly products for handstands only, so consumers are worried about purchasing them.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015159(2014.02.06)호 "등받이 각도 조절형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Back seet angle regulation type inversion table)"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15159 (2014.02.06) No. "Back seet angle regulation type inversion tabl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은 공간에서도 보다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물구나무서기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n assistive device for handstand, and an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which is intended to be used in a general home by enabling more effective and safe handstands in a small spac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기구 위에 의자형태의 덮개를 형성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의자로 사용 가능하도록 개량함으로써,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and an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which is intended to be easily stored by forming a chair-shaped cover on the handstand and improving it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hair in daily life. it is to do

또한,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를 이용해 운동량을 측정하고 신체 변화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hion chair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xercise and knowing body changes using a cushion chair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and an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는, 사용자의 얼굴과 목을 지탱하고 어깨를 받쳐주는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 및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를 덮어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스툴 및 의자로 사용하도록 하며,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하는 경우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부터 분리하여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가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형 의자부(1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for supporting a user's face and neck and supporting a shoulder; And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s covere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tool and chair used at home, and when performing a handstand exercise, it is separated from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so that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can be used as a handstand aid device. a cover-type chair unit 110;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때,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는, 절개형 받침단(122)의 상부에 절개형 받침단(122)의 높이 방향의 길이에 비해 1.3 내지 2.2배 사이로 길게 형성되며, 플렉시블 체결단(111)의 두께 보다 12 내지 25배 사이의 두께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일측이 미리 설정된 길이 만큼 절개되어 수평 절개단(124)이 형성되는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s formed to be between 1.3 and 2.2 time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ut-out support end 12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t-out support end 122, and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of the a cut-out-type around member 121 having a preset thickness corresponding to a thickness of between 12 and 25 times the thickness, one side of which is cut by a preset length to form a horizontal cut-out end 124;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에서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종방향의 단면 중 수평 절개단(124)이 형성된 영역은 수평 절개단(124)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굽은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머리를 물구나무서기를 위해 수평 걸개단(124) 또는 수직홀(123)로 삽입하는 경우 마찰력에 의해 머리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에 해당하는 날카로운 부분이 없이 머리를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on in which the horizontal cut-out 124 is formed among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is formed in an inwardly curved curve with the horizontal cut-out 124 as the center, so that the head of the human body is handcuffed. When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anger end 124 or the vertical hole 123 for standing,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not only protects the head by frictional force, but also allows the head to be inserted without a sharp part corresponding to the corner.

또한, 절개형 받침단(122)은,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하부면에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와 동일하게 수직홀(123)과 수평 절개단(124)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에 비해 두께가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out support end 122 has a shape in which a vertical hole 123 and a horizontal cut-out end 124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in the same manner as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is formed wider than that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

또한, 절개형 받침단(122)은,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외주면으로 플렉시블 체결단(111) 및 쿠션형 덮개단(112)이 삽입되는 경우,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와, 플렉시블 체결단(111) 및 쿠션형 덮개단(112) 각각 간에 이루는 두께와 동일하거나 미리 설정된 두께에 해당하는 1 내지 5mm 사이로 넓게 형성됨으로써,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체결단(111)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t-out support end 122 is, when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and the cushion-type cover end 112 ar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and the flexible The flexible fastening end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cision-type around member 121 by being formed widely between 1 to 5 mm corresponding to the same or preset thickness as the thickness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end 111 and the cushion-type cover end 112, respectively. 111)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stably support 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은, 작은 공간에서도 보다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물구나무서기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provide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use even in a general home by enabling more effective and safe handstands in a small sp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은, 물구나무서기 기구 위에 의자형태의 덮개를 형성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의자로 사용가능하도록 개량함으로써,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ushion chair combined with the handstand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form a chair-shaped cover on the handstand handstand mechanism, and improve it to be used as a chair in daily life. It provide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do.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그리고 이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은,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를 이용해 운동량을 측정하고 신체 변화를 알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ushion chair combined with the handstan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provide the effect of measuring the amount of exercise and knowing the body changes using the cushion chair combined with the handstand assis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에서 덮개형 의자부(110)와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가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에서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에서 덮개형 의자부(110)가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에서 덮개형 의자부(110)가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1) 중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에 추가로 구비된 전자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cushion chair 100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and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are separated from the cushion chair 100 combined with the handstan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stand standing mechanism unit 120 in the cushion chair 100 for handstand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is fastened with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n the cushion chair 100 for the handstand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is fastened to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n the cushion chair 100 used as an auxiliary device for hand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ercise system 1 using a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electronic equipment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ushion chair 100 for handstand assistance in the exercise system 1 using a cushion chair for handstand as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에서 덮개형 의자부(110)와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가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에서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에서 덮개형 의자부(110)가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에서 덮개형 의자부(110)가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cushion chair 100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and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are separated from the cushion chair 100 combined with the handstan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stand standing mechanism unit 120 in the cushion chair 100 for handstan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is fastened to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n the cushion chair 100 for handstand as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is fastened with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n the cushion chair 100 used as an auxiliary device for hand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는 크게 덮개형 의자부(110)와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to 5 , the cushion chair 100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may largely include a cover-type chair unit 110 and a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

덮개형 의자부(110)는 플렉시블 체결단(111) 및 쿠션형 덮개단(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may include a flexible fastening end 111 and a cushion-type cover end 112 .

플렉시블 체결단(111)은 쿠션형 덮개단(112)의 하부에 미리 설정된 높이 방향의 길이를 같는 환형의 테두리 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외주면을 타고 플렉시블 체결단(111)의 내주면이 맞닿 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가 놓인 상부 끝단으로 플렉시블 체결단(111)의 하부 끝단이 포개짐으로서, 덮개형 의자부(110)이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is formed as an annular edge surface having the sam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as the lower portion of the cushion-type cover end 112,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is abutted, and the lower end of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is overlapped with the upper end on which the cut-out type around member 121 is placed, so that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is a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to enable the fastening.

쿠션형 덮개단(112)은 상부면 뿐만 아니라, 측부의 내부가 충진재로 충진되어 외피면에 의해 덮혀진 형태로, 플렉시블 체결단(111)의 내주면의 직경과 동일한 내주면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은 닫히고 하부면을 개구되어 플렉시블 체결단(111)과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ushion-type cover end 112 is not only the upper surface, but also the inside of the side part is filled with a filler and covered by the outer skin surface, and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is closed and the lower surface is opened to be formed in a form connected to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는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 절개형 받침단(122), 수직홀(123), 수평 절개단(1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may include a cut-out around member 121 , a cut-out support end 122 , a vertical hole 123 , and a horizontal cut-out end 124 .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는 절개형 받침단(122)의 상부에 절개형 받침단(122)의 높이 방향의 길이에 비해 1.3 내지 2.2배 사이로 길게 형성되며, 플렉시블 체결단(111)의 두께 보다 12 내지 25배 사이의 두께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갖으며, 일측이 미리 설정된 길이 만큼 절개되어 수평 절개단(124)이 형성될 수 있다.The cut-out around member 12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t-out support end 122 to be 1.3 to 2.2 time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ut-out support end 122, and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It has a preset thickness corresponding to a thickness of between 12 and 25 times, and one side is cut by a preset length to form a horizontal cut end 124 .

여기서,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종방향의 단면 중 수평 절개단(124)이 형성된 영역은 수평 절개단(124)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굽은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머리를 물구나무서기를 위해 수평 걸개단(124) 또는 수직홀(123)로 삽입하는 경우 마찰력에 의해 머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에 해당하는 날카로운 부분이 없이 머리를 손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region in which the horizontal cut-out 124 is formed among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s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is formed as a curved inwardly curved line around the horizontal cut-out 124, so that the head of the human body can be crossed. When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hanger end 124 or the vertical hole 123, it not only functions to protect the head by frictional force, but also functions to easily insert the head without a sharp part corresponding to the corner. there is.

절개형 받침단(122)은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하부면에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와 동일하게 수직홀(123)과 수평 절개단(124)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에 비해 두께가 넓게 형성됨으로써,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외주면으로 플렉시블 체결단(111) 및 쿠션형 덮개단(112)이 삽입되는 경우,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와, 플렉시블 체결단(111) 및 쿠션형 덮개단(112) 각각 간에 이루는 두께와 동일하거나 미리 설정된 두께에 해당하는 1 내지 5mm 사이로 넓게 형성됨으로써,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체결단(111)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ut-out support end 122 has a shape in which a vertical hole 123 and a horizontal cut-out end 124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in the same manner as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 but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has a shape. When the thickness is formed wider than the member 121,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and the cushion-type cover end 112 ar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and,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and the cushion-type cover end 112 are formed widely between 1 to 5 mm corresponding to the same or preset thickness as the thickness formed between each, and the flexible fastening end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stably support (111).

수직홀(123)은 상하로 연결된 구조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 및 절개형 받침단(122)이 전체적으로 두께의 넓이 및 높이의 길이가 다른 2단의 원통 구조물로 형성되는 경우 전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아동, 성인, 여성, 남성에 구분없이 머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 1 단계는 아동용으로 11 내지 13 cm, 제 2 단계는 여성용으로 13 내지 15cm, 제 3 단계는 남성용으로 15 내지 20c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vertical hole 123 is formed as a two-stage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and the cut-out support end 122 of the vertically connected structure are formed of a two-stage cylindrical structure with different thicknesses and heights as a whole. It is formed by penetrating, and it may be formed for each of the first to nth steps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so that the head can be inserted regardless of children, adults, women, and men. He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may be formed between 11 and 13 cm for children, the second step is between 13 and 15 cm for women, and the third step is between 15 and 20 cm for men.

수평 절개단(124)은 수직홀(123)이 형성된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 및 절개형 받침단(122)의 전체 측면 중 일측에 길이 수직홀(123)의 단계에 비례하는 테두리 길이만큼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cut end 124 is cut by the length of the edge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he vertical hole 123 on one side of the entire sid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and the cut-out support end 122 in which the vertical hole 123 is formed. may be formed in the form

여기서,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수직홀(123)의 제 1 단계에 해당하는 경우 수평 절개단(124)은 8 내지 10 cm, 수직홀(123)의 제 2 단계에 해당하는 경우 수평 절개단(124)은 10 내지 12 cm, 수직홀(123)의 제 2 단계에 해당하는 경우 수평 절개단(124)은 12 내지 15 cm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tep of the vertical hole 123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cut-out end 124 is 8 to 10 cm, when the second step of the vertical hole 123 is horizontal The cut end 124 may be 10 to 12 cm long, and when the vertical hole 123 corresponds to the second stage, the horizontal cut end 124 may be formed to be between 12 to 15 cm long.

한편, 수평 절개단(124) 내부로는 측부 보강부(130)가 삽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ide reinforcement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cut-out 124 .

보다 구체적으로 측부 보강부(130)는 보강단(131), 고정단(132)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단(131) 중 외면은 절개형 받침단(122)의 두께 보다 1 내지 2mm 사이로 넓게 형성되고 수평 절개단(124) 중 절개형 받침단(122)에 형성된 높이와 길이에 해당하는 음각으로 삽입되기 위해 음각과 매칭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ide reinforcement part 130 may include a reinforcement end 131 and a fixed end 132 .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end 131 is formed to be 1 to 2 mm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ut-out support end 122, and is inserted into an intaglio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nd length formed in the cut-out support end 122 of the horizontal cut-out end 124. It can be formed in the same shape to match the intaglio to be.

이에 따라 보강단(131) 중 내면을 중심으로 양측부에는 2개의 고정단(132)이 두께 1 내지 2mm 사이로 형성됨으로써, 보강단(131)이 절개형 받침단(122) 영역의 수평 절개단(124)으로 외면이 대응되도록 삽입되는 경우, 수평 절개단(124)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이웃하는 절개형 받침단(122)의 영역의 내부면에 외부면이 걸리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wo fixed ends 132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a thickness of 1 to 2 m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end 131, so that the reinforcing end 131 is a horizontal cut end ( When the outer surface is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124),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allowing the outer surface to be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rea of the cut-out support end 122 adjacent to both sides around the horizontal cut-out end 124.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4와 같이 측부 보강부(130)가 없는 형태의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상부로 덮개형 의자부(110)가 덮여짐으로써,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덮여진 덮개형 의자부(110)가 덮여지는 반대 방향으로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수평 절개단(124)의 방향에 사람의 머리를 댄 채로 물구나무 서기를 하여 수직홀(123)로 사람의 머리를 넣는 경우,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상부면을 이용해 어깨를 받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 the cover-type chair part 110 is cover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handstand mechanism part 120 without the side reinforcement part 130, so that the cushion chair 100 for the handstand support mechanism is provided. It can be formed, and when the covered chair unit 110 is separated from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it is covered, the person's head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cut end 124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 When a person's head is put into the vertical hole 123 by standing with the handstand on,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shoulder can be provided u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cision-type around member 121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

한편, 도 3과 같이 측부 보강부(130)를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절개형 받침단(122)에 형성된 수평 절개단(124)으로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를 중심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삽입을 수행하고, 도 5와 같이 측부 보강부(130)가 삽입된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상부로 덮개형 의자부(110)가 덮여짐으로써,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부 보강부(130)는 측부 보강부(130)가 없는 형태의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상부로 덮개형 의자부(110)가 덮여진 상태에서도 측부 보강부(130)를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절개형 받침단(122)에 형성된 수평 절개단(124)으로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를 중심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삽입을 수행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 the side reinforcement part 130 is a horizontal cut end 124 formed on the incised support end 122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n an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around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 As shown in FIG. 5 , the cover-type chair part 110 is cover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handstand mechanism part 120 into which the side reinforcement part 130 is inserted, so that the cushion chair 100 is used as an auxiliary tool for handstand support. can be formed. Here, the side reinforcement part 130 is the side reinforcement part 130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type chair part 110 is cover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handstand mechanism part 120 of the form without the side reinforcement part 130. Insertion may be performed in an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around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as a horizontal incision 124 formed on the incision-type support end 122 of 120 .

이 경우에도, 덮여진 덮개형 의자부(110)가 덮여지는 반대 방향으로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부터 분리될 뿐만 아니라,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부터 측부 보강부(130)가 분리되는 경우,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수평 절개단(124)의 방향에 사람의 머리를 댄 채로 물구나무 서기를 하여 수직홀(123)로 사람의 머리를 넣는 경우,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상부면을 이용해 어깨를 받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well as being separated from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ed chair unit 110 is covered, the side reinforcement unit 130 is separated from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n the case of putting a person's head into the vertical hole 123 by standing with the person's head in th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cut-out 124 of the standing mechanism unit 120, the incision-type around member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 121) can be used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 shoulder.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1)은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 모바일 스마트 단말(200), 네트워크(300), 운동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6 is a view showing an exercise system 1 using a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exercise system 1 using a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includes a cushion chair 100, a mobile smart terminal 200, a network 300, and an exercise management server 400. may includ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1) 중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에 추가로 구비된 전자 장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는 상술한 덮개형 의자부(110),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 측부 보강부(130) 외에 센서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송수신부(170), 열선(180), 송풍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FIG. 7 is a view showing electronic equipment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ushion chair 100 for handstand assistance among the exercise system 1 using a cushion chair for handstand as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 the cushion chair 100 used as an auxiliary device for handstand support includes a sensor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in addition to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 and the side reinforcement unit 130 described above. ), a storage unit 160 , a transceiver unit 170 , a heating wire 180 , and a blower unit 190 .

한편, 센서부(140)는 압력센서 모듈(141), 중량 측정 모듈(142), 체온 측정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센서 모듈(141)은 제 1 압력센서(141a), 제 2 압력센서(141b) 및 중앙 압력센서(141c)를 포함하며, 중량 측정 모듈(142)은 제 1 중량 측정 센서(142a), 제 2 중량 측정 센서(142b)를 포함하며, 체온 측정 모듈(143)은 제 1 체온 측정 센서(143a), 제 2 체온 측정 센서(143b)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module 141 , a weight measurement module 142 , and a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odule 143 . Here, the pressure sensor module 141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or 141a, a second pressure sensor 141b and a central pressure sensor 141c, and the weight measurement module 142 includes a first weight measurement sensor 142a, The second weight measurement sensor 142b may be included, and the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odule 143 may include a firs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143a and a second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143b.

제 1 압력센서(141a), 제 1 중량 측정 센서(142a), 제 1 체온 측정 센서(143a)는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상부면 중 제 1 측부(A1, 도 6)에 형성됨으로써,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를 하는 경우 왼쪽 어깨측 영역에 대한 압력, 중량, 체온을 각각 측정하여 제 1 압력값, 제 1 중량값, 제 1 체온값을 획득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pressure sensor 141a, the first weight measurement sensor 142a, and the first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143a are the first side portions A1, 6), when the user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performs handstands, the pressure, weight, and body temperature for the left shoulder region are respectively measured to obtain the first pressure value, the first weight value, and the first body temperature value. It can be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50 .

한편, 제 2 압력센서(141b), 제 2 중량 측정 센서(142b), 제 2 체온 측정 센서(143b)는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상부면 중 제 2 측부(A2, 도 6)에 형성됨으로써,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를 하는 경우 오른쪽 어깨측 영역에 대한 압력, 중량, 체온을 각각 측정하여 제 2 압력값, 제 2 중량값, 제 2 체온값을 획득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41b, the second weight measurement sensor 142b, and the second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143b are formed on the second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cision-type around member 121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 By being formed in A2 (FIG. 6), when the user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performs handstand standing, the pressure, weight, and body temperature of the right shoulder region are respectively measured to the second pressure value, the second weight value, and the second body temperature. A value may be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150 .

중앙 압력센서(141c)은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상부면 중 중앙(Ac, 도 6)에 형성됨으로써,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를 하지 않고,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에 덮개형 의자부(110)를 체결과 분리를 인지하도록 하기 위해 중앙 압력값을 획득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central pressure sensor 141c is formed in the center (Ac, Fig. 6)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so that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user does not stand on the handstand, The central pressure value may be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50 in order to recognize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to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어부(150)는 제 1 압력값, 제 2 압력값, 중앙 압력값에 대한 동시 입력되고, 동시 입력 전후에 제 1 체온값 및 제 2 체온값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경우,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에 대한 덮개형 의자부(110)에 대한 체결을 통해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로 사용함을 인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제 1 체온값 및 제 2 체온값에 대한 실시간 수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최적 온도 범위를 벗어나되 최적 온도 범위 중 최하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열선부(180)에 대한 제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최적 온도 범위로의 온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150 simultaneously inputs the first pressure value, the second pressure value, and the central pressure value, and analyzes the first body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body temperature value before and after the simultaneous input to exceed a preset threshold value. If it does not change to, it can be recognized that it is used as a cushion chair 100 combined with an auxiliary device for handstands through the fastening of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to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50 deviates from the preset optimum temperature range through real-time reception of the first body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body temperature value, but when the temperature falls below the lowest temperature among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through the control of the heating wire unit 180 . Temperature setting to a preset optimum temperature range can be performed.

반대로, 제어부(150)는 제 1 체온값 및 제 2 체온값에 대한 실시간 수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최적 온도 범위를 벗어나되 최적 온도 범위 중 최대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송풍부부(190)에 대한 제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최적 온도 범위로의 온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Conversely, the controller 150 deviates from the preset optimum temperature range through real-time reception of the first body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body temperature value, but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through the control of the blower unit 190 Temperature setting to a preset optimum temperature range can be performed.

여기서 열선부(180)는 아두이노 보드 기반으로 형성되는 제어부(150)의 단자로 연결되어 덮개형 의자부(110)의 쿠션형 덮개단(112)의 상부면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송풍부(190)도 동일하게 제어부(150)의 단자로 연결되어 덮개형 의자부(110)의 구션형 덮개단(112)의 상부면 내부에 형성되며, 이 경우 구션형 덮개단(112)의 상부면은 통풍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heating wire unit 180 is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150 formed based on the Arduino board and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type cover end 112 of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and the blower unit 190 is also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150 in the same manner and is form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Gusion-type cover end 112 of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 and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Gusion-type cover end 112 . may be formed of a ventilation sheet.

이후, 제어부(150)는 제 1 압력값, 제 2 압력값, 중앙 압력값에 대한 동시 입력이 수행되지 않고, 제 1 압력값, 제 2 압력값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고, 입력 전후에 제 1 체온값 및 제 2 체온값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에 대한 덮개형 의자부(110)에 대한 분리 이후,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에 대한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로의 사용을 인지할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170)에 대한 제어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커버리지 범위 내에 있는 모바일 스마트 단말(200)에 대한 호출을 통해 미리 설정된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의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일련번호에 대한 입력을 통해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의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에 대한 모바일 스마트 단말(200)에 의한 액세스 권한 설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50 does not simultaneously input the first pressure value, the second pressure value, and the central pressure value, but performs the input of the first pressure value and the second pressure value, and performs the first input before and after the input. When the body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body temperature value are analyzed to exceed a preset threshold, after separation of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for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the handstand for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Not only recognizing the use as a standing aid, but also using a cushion chair for handstand aid set in advance through a call to the mobile smart terminal 200 with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verage range through the control of the transceiver 170 ) through the input of the serial number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to automatically set the access authority by the mobile smart terminal 200 for the handstand mechanism portion 120 of the cushion chair 100 combined with an auxiliary device. can

즉, 일반적으로 물구나무서기를 하는 경우, 양 어깨가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상부면 중 양 어깨가 닿는 영역에만 접촉이 일어나며, 덮개형 의자부(110)를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에 덮어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상부면 중 중앙 영역에도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내부면이 압력을 제공하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That is, in the case of general handstand, both shoulders contact only the area where both shoulders touch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and the cover-type chair unit 110 is held in place. When not in use by covering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the inner surface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provides pressure even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of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will be.

이후, 제어부(150)는 제 1 체온값 및 제 2 체온값에 대한 분석시의 각각 제 1 중량값 및 제 2 중량값에 해당하는 초기 제 1 중량값 및 초기 제 2 중량값으로부터 운동설정 중량 변화값을 초과하여 초기 제 1 중량값 및 초기 제 2 중량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변화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중량값 별로 카운팅을 수행하고, 카운팅된 수량을 저장부(160)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카운팅된 수량을 모바일 스마트 단말(200)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50 changes the exercise setting weight from the initial first weight value and the initial second weight value corresponding to the first weight value and the second weight value, respectively, when the first body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body temperature value are analyzed. When at least one of the initial first weight value and the initial second weight value is changed by exceeding the value, counting is performed for each first and second weight value, and the counted quantity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as well as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ransceiver 170 to transmit the counted quantity to the mobile smart terminal 2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이에 따라, 모바일 스마트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동 관리 서버(400)로 제 1 및 제 2 중량값 별로 카운팅된 수량을 전송할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상으로 다시 모바일 스마트 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해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수행함을 제어부(150)가 인식하여 초기 제 1 중량값 및 초기 제 2 중량값을 제공받은 경우, 초기 제 1 중량값 및 초기 제 2 중량값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운동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여 빅데이터 기반으로 저장할 뿐만 아니라, 운동 관리 서버(400)에 의해 인공지능 기반으로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100)의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의 사용 횟수에 따른 체중 변화량 추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bile smart terminal 200 not only transmits the counted quantity for each first and second weight value to the exercise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etwork 300, but also the mobile smart terminal ( When the controller 150 recognizes that the handstand exercise is performed by the user of 200) and receives the initial first weight value and the initial second weight value, the initial first weight value and the initial second weight value are transferred to the network 300 ) through the exercise management server 400 and not only stored on the basis of big data, but also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the exercise management server 400. You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weigh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also includ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110 : 덮개형 의자부
111 : 플렉시블 체결단
112 : 쿠션형 덮개단
120 : 물구나무서기 기구부
121 :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
122 : 절개형 받침단
123 : 수직홀
124 : 수평 절개단
130 : 측부 보강부
140 : 센서부
150 : 제어부
160 : 저장부
170 : 송수신부
180 : 열선
190 : 송풍부
200 : 모바일 스마트 단말
300 : 네트워크
400 : 운동 관리 서버
100: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110: cover-type chair part
111: flexible fastening end
112: cushion type cover end
120: handstand mechanism part
121: cut-out around member
122: cut-out support end
123: vertical hole
124: horizontal incision
130: side reinforcement
140: sensor unit
150: control unit
160: storage
170: transceiver
180: hot wire
190: blower
200: mobile smart terminal
300: network
400: exercise management server

Claims (5)

사용자의 얼굴과 목을 지탱하고 어깨를 받쳐주는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 및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를 덮어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스툴 및 의자로 사용하도록 하며,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하는 경우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로부터 분리하여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가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형 의자부(110); 를 포함하고,
상기 물구나무서기 기구부(120)는,
절개형 받침단(122)의 상부에 절개형 받침단(122)의 높이 방향의 길이에 비해 1.3 내지 2.2배 사이로 길게 형성되며, 플렉시블 체결단(111)의 두께 보다 12 내지 25배 사이의 두께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일측이 미리 설정된 길이 만큼 절개되어 수평 절개단(124)이 형성되는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that supports the user's face and neck and supports the shoulder; And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s covere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tool and chair used at home, and when performing handstand exercise, it is separated from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so that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can be used as a handstand aid device. a cover-type chair unit 110; including,
The handstand mechanism unit 120,
I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ut-out support end 122 to be between 1.3 and 2.2 time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ut-out support end 122, and at a thickness of 12 to 25 time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A cut-out-type around member 121 having a corresponding preset thickness, one side of which is cut by a preset length to form a horizontal cut-out end 124; A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종방향의 단면 중 수평 절개단(124)이 형성된 영역은 수평 절개단(124)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굽은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머리를 물구나무서기를 위해 수평 절개단(124) 또는 수직홀(123)로 삽입하는 경우 마찰력에 의해 머리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에 해당하는 날카로운 부분이 없이 머리를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gion in which the horizontal cut-out 124 is formed among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s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is formed as a curved inwardly curved line around the horizontal cut-out 124, so that the head of the human body is horizontally cut to stand upright. When inserted into the step 124 or the vertical hole 123, it protects the head by friction, as well as a cushion chair for handstand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the head to be inserted without a sharp part corresponding to the corner.
청구항 3에 있어서, 절개형 받침단(122)은,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하부면에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와 동일하게 수직홀(123)과 수평 절개단(124)이 형성된 형태를 가지나,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에 비해 두께가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ut-out support end 122,
The lower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has a shape in which a vertical hole 123 and a horizontal cut-out 124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 but the thickness is lower than that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 A cushion chair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idely formed.
청구항 4에 있어서, 절개형 받침단(122)은,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외주면으로 플렉시블 체결단(111) 및 쿠션형 덮개단(112)이 삽입되는 경우,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와, 플렉시블 체결단(111) 및 쿠션형 덮개단(112) 각각 간에 이루는 두께와 동일하거나 미리 설정된 두께에 해당하는 1 내지 5mm 사이로 넓게 형성됨으로써, 절개형 어라운드 부재(121)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체결단(111)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보조기구 겸용 쿠션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ut-out support end 122,
When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and the cushion-type cover end 112 ar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and the cushion-type cover end ( 112) By being formed widely between 1 to 5 mm corresponding to the same or preset thickness as the thickness formed between each, the flexible fastening end 111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out around member 121 provides a structur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structure. A cushion chair combined with a handstand assi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KR1020200083644A 2020-07-07 2020-07-07 Cushion chair combined with handstand aids, and home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KR102279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44A KR102279727B1 (en) 2020-07-07 2020-07-07 Cushion chair combined with handstand aids, and home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44A KR102279727B1 (en) 2020-07-07 2020-07-07 Cushion chair combined with handstand aids, and home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727B1 true KR102279727B1 (en) 2021-07-22

Family

ID=7715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644A KR102279727B1 (en) 2020-07-07 2020-07-07 Cushion chair combined with handstand aids, and home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72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279Y1 (en) * 2006-01-16 2006-04-18 이미진 Versatile sheet
KR20110093538A (en) * 2010-03-22 2011-08-18 노광수 Assisting goods for handstanding sport
US20190200770A1 (en) * 2014-11-25 2019-07-04 Wemesh, Llc Yoga s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279Y1 (en) * 2006-01-16 2006-04-18 이미진 Versatile sheet
KR20110093538A (en) * 2010-03-22 2011-08-18 노광수 Assisting goods for handstanding sport
US20190200770A1 (en) * 2014-11-25 2019-07-04 Wemesh, Llc Yoga stoo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015159(2014.02.06)호 "등받이 각도 조절형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Back seet angle regulation type inversion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627B1 (en) Massage chair with voice recognition
Leijssen Focusing microprocesses
KR102279727B1 (en) Cushion chair combined with handstand aids, and home exercise system using the same
CN109568897B (en) Pelvic floor muscle function training device and system
CN103680055A (en) Child fall-off-bed warning system and method
WO2018213124A3 (en) Passive foot sensor insole real-time feedback device
CN106781324A (en) Vertebra system for prompting and light fixture are protected in a kind of eyeshield
KR20160135583A (en) Smart seat,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sitting posture of user,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program thereof
CN109219162B (en) Door handle heating method and device
KR102660280B1 (en) Use of infant and toddler-activated audio players
CN108319174B (en) Method for intelligently identifying human body adjustment parameters and safely monitoring massage bathtub
KR102014358B1 (en) Method of providing a health care program
CN108304730A (en) The physique tes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identity-based identification
EP3437687A1 (en) Assistance method, assistance system, and program
KR101683160B1 (en) Object recogni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886622B1 (en) Massage chair with ventilation sheet
KR102413789B1 (en) Skin care device that can check improved skin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KR101580317B1 (en) Pose recognition apparatus using smartphone
CN213204826U (en) Intelligent floor
US20220240702A1 (en) Apparatuses and systems for improving visibility of a mat
Cisco Russian
KR101914174B1 (en) Subway seating system for pregnant women
ES1227019U (en) INTELLIGENT MEDITATION SET TO TEACH, KNOW AND CORRECT THE SEEDING MEDITATION POSTURE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CN211658346U (en) Frame body for rheumatism immunity waist treatment device
KR200343208Y1 (en) The beauty and bathtube system for pet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