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962B1 -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for parallel control of electric equipment and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for parallel control of electric equipment and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962B1
KR102278962B1 KR1020200170846A KR20200170846A KR102278962B1 KR 102278962 B1 KR102278962 B1 KR 102278962B1 KR 1020200170846 A KR1020200170846 A KR 1020200170846A KR 20200170846 A KR20200170846 A KR 20200170846A KR 102278962 B1 KR102278962 B1 KR 10227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igger
base
connecto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8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구
이충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델타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델타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델타팜
Priority to KR102020017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9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9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9Mechan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Abstract

A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igger output device acting as a medium between a control device and electric devices and generating a trigger signal based on command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to transfer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 device. The trigger output device includes: a base portion; a receiving terminal unit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d connected to a receiving cable, which is a cable to which the command information generated at the control device is transmitted; a signal generation unit generating the trigger signal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terminal unit; and a transmitting terminal unit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d connected to a transmitting cable, which is a cable transferring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 device. The transmitting terminal unit may be plural in order to connect a plurality of transmitting cabl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lectric devices to transfer the trigger signal to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in parallel.

Description

전기 장비 병렬 제어를 위한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중 트리거 출력 시스템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FOR PARALLEL CONTROL OF ELECTRIC EQUIPMENT AND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FOR PARALLEL CONTROL OF ELECTRIC EQUIPMENT AND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 수의 전기 장비를 동시 다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중 트리거 출력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trigger output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and a multi-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트리거 출력 장치는 제어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명령 정보(일례로, 디지털 신호)를 기반으로 전기 장비를 가동, 제어할 수 있는 트리거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기존의 트리거 출력 장치(한국공개특허공보 10-1998-030936, 1998.07.25, 공개)는 하나의 전기 장비에만 연결되어, 하나의 전기 장비에만 트리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trigger output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converts and outputs a trigger signal capable of operat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equipment based on command information (eg, a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The existing trigger output devic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998-030936, July 25, 1998, published) is connected to only one electrical device, and can provide a trigger signal to only one electrical device.

여기서, 기존의 트리거 출력 장치를 활용할 경우 전기 장비의 개수만큼 트리거 출력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 증가 및 설치 도선이 복잡한 문제가 존재하였다.Here, when using the existing trigger output device, since the number of trigger output devices must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electrical equipment,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installation cost increases and the installation leads are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전기 장비에 트리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o provide a multi-trigger output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 trigger signal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는, 제어 장치와 복 수의 전기 장비를 서로 매개하며, 상기 제어 장치에서 전달되는 명령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전기 장비로 전달하는 트리거 출력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서 발생되는 상기 명령 정보가 전송되는 케이블인 수신 케이블 연결되는 수신 단자부; 상기 수신 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명령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전기 장비로 전달하는 케이블인 송신 케이블이 연결되는 송신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단자부는, 상기 트리거 신호가 병렬적으로 복 수의 상기 전기 장비에 전달되기 위해, 각 각의 상기 전기 장비에 연결된 복 수개의 상기 송신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복 수개일 수 있다.The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diates a control device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with each other, and generates a trigger signal based on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to transmit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al equipment In the trigger output device for transmitting to, the base unit; a receiv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base and connected to a receiving cable that is a cable through which the command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 device is transmitted;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trigger signal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and a transmission terminal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to which a transmission cable, which is a cable for transmitting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al equipment, is connected, wherein the transmission termina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he electrical equipment in parallel with the trigger signal. There may b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able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ical equipment in order to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트리거 신호가 도달되어야 하는 상기 전기 장비와 대응되는 상기 송신 단자부에 가이드하는 신호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guiding the trigger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unit to the transmission terminal unit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equipment to which the trigger signal is to be reached;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신호 전달부는, FPGA 일 수 있다.Also, the signal transfer unit may be an FPGA.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신 단자부와 상기 신호 전달부가 배치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 본체부 및 상기 베이스 본체부에 탈 부착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고, 상기 송신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하나의 송신 케이블만이 하나의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도록, 복 수개가 상기 베이스 본체부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unit includes a base body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area in which the receiving terminal unit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are disposed, and a connector unit detachably connectable to the base body unit and to which the transmission cable can be connected, , A plurality of the connector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body part so that only one transmission cable is connected to the one connector part.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송신 단자부가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본체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본체부 및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 장비의 딜레이 정보가 저장되는 커넥터저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part may include a connector body part connected to the base body part in which the transmission terminal part is disposed, and a connector storage part disposed in the connector body part to store delay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equipment.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저장부에 저장된 딜레이 정보를 초기화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셋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eset button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generating a signal for initializing the delay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또한, 잠금 위치일 경우,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부와 상기 베이스 본체부와 동시에 연결되며, 해제 위치일 경우,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부와 이격되는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the locked position, the connector body and the base body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prevent the connector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body, and in the unlocked position, the connector body is separated from the base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an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or body.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측면이 관통되어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베이스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잠금 본체부 및 상기 잠금 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잠금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 연장부는, 상기 잠금 수단이 잠금 위치일 경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해제 위치일 경우 상기 관통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nector body,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is penetrated to form a through hole, and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body that is moved relative to the base body and a lock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locking body. An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and the lock extension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en the locking means is in the locked position and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when the locking means is in the unlocke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시스템은, 명령 정보를 발생시키는 제어 장치; 및 복 수의 전기 장비와 병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명령 정보를 기반으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출력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서 발생되는 상기 명령 정보가 전송되는 케이블인 수신 케이블 연결되는 수신 단자부, 상기 수신 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명령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전기 장비로 전달하는 케이블인 송신 케이블이 연결되는 송신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단자부는, 상기 트리거 신호가 병렬적으로 복 수의 상기 전기 장비에 전송하기 위해, 각 각의 상기 전기 장비에 연결된 복 수개의 상기 송신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복 수개일 수 있다.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device for generating command information; and a trigger output device connected in parallel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and generating a trigger signal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wherein the trigger output device includes: a base unit, the base unit A receiving terminal connected to a receiving cable connected to a cable through which the command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 device is transmitted, a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ing the trigger signal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base unit It is connected to and includes a transmission terminal unit to which a transmission cable, which is a cable for transmitting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al equipment, is connected, wherein the transmission terminal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trigger signal to a plurality of the electrical equipment in parallel, There may be a plurality of the transmission cable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ical equipment to be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장비 병렬 제어를 위한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중 트리거 출력 시스템은 설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The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and the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for parallel control of electrical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installation costs.

또한, 설치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process can be simplified.

또한, 오프셋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ffset time.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시스템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가 구비하는 잠금 수단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trigger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trigger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ulti-trigger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a multi-trigger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locking means provided in the multi-trigger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rough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may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trigger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시스템은, 명령 정보를 발생시키는 제어 장치(100) 및 복 수의 전기 장비(300)와 병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상기 명령 정보를 기반으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출력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control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300 for generating command information, and the control device ( 100) may include a trigger output device 200 for generating a trigger signal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제어 장치(100)는 전기 장비(30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00 may be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전기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00 may generate comma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equipment.

상기 명령 정보는 디지털 정보 또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The command information may be digital information or an analog signal.

제어 장치(100)와 상기 트리거 출력 장치(200)의 수신 단자부(220)는 명령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수신 케이블(K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reception terminal 220 of the trigger output device 200 may be connected by a reception cable K10 through which comman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트리거 출력 장치(200)는 명령 정보를 기초로 트리서 신호를 발생시켜 전기 장비(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rigger output device 200 may generate a trigger signal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

상기 트리거 출력 장치(200)는 복 수개의 전기 장비(300)와 송신 케이블(K2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trigger output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300 and a transmission cable (K20).

전기 장비(300)는 트리거 신호를 기초로 동작이 구현될 수 있는 장비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al equipment 300 may include all equipment in which an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based on a trigger signal.

일례로, 상기 전기 장비(300)는 주파수 계측 장비, 비젼 카메라, 레이저 응용 장비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may be a frequency measuring equipment, a vision camera, a laser application equipment, or the like.

이하, 트리거 출력 장치(20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trigger output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trigger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trigger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200)는, 제어 장치(100)와 복 수의 전기 장비(300)를 서로 매개하며, 상기 제어 장치(100)에서 전달되는 명령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전기 장비로 전달하는 트리거 출력 장치(200)에 있어서, 베이스부(211, 212), 상기 베이스부(211, 212)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상기 명령 정보가 전송되는 케이블인 수신 케이블(K10) 연결되는 수신 단자부(220), 상기 수신 단자부(22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명령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230) 및 상기 베이스부(211, 212)에 연결되며,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전기 장비(300)로 전달하는 케이블인 송신 케이블(K20)이 연결되는 송신 단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 the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diates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300 with each other, and the control device 100 ) In the trigger output device 200 for generating a trigger signal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d transmitting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al equipment, the base portion 211, 212, the base portion 211, 212 The trigger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220, the receiving terminal 220 connected to the receiving cable K10, which is a cable through which the command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 device 100 is transmitted, and the receiving terminal 220 It is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230 for generating a signal and the base parts 211 and 212, and the transmission terminal 280 to which the transmission cable K20, which is a cable for transmitting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is connected. )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200)는 상기 베이스부(211, 212)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발생부(230)에서 발생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트리거 신호가 도달되어야 하는 상기 전기 장비(300)와 대응되는 상기 송신 단자부(280)에 가이드하는 신호 전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base parts 211 and 212, and the trigger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230 is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to which the trigger signal must arrive. It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unit 240 for guiding the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 corresponding to .

또한, 상기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200)는 상기 베이스부(211, 212)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커넥터저장부(212b)에 저장된 딜레이 정보를 초기화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셋 버튼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trigger output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s 211 and 212, and further includes a reset button unit 250 for generating a signal for initializing delay information stored in a connector storage unit 212b to be described later. may include

또한, 상기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200)는 상기 베이스부(211, 212)에 연결되어 상기 수신 단자부(220), 상기 신호 발생부(230), 상기 신호 전달부(240), 상기 송신 단자부(280)를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trigger output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base parts 211 and 212 to the receiving terminal part 220 , the signal generating part 230 , the signal transmitting part 240 , and the sending terminal part 280 . )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260 for controlling the.

또한, 상기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200)는 후술하는 커넥터 본체부(212a)와 베이스 본체부(211)의 분리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 수단(271, 2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trigger output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locking means 271 and 272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nector body 212a and the base body 211 can be separa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베이스부(211, 212)는 상기 수신 단자부(220), 상기 제어부(260), 상기 신호 발생부(230), 신호 전달부(240), 상기 송신 단자부(280) 및 상기 리셋 버튼부(250)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The base units 211 and 212 include the receiving terminal unit 220 , the control unit 260 , the signal generating unit 230 ,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40 , the transmitting terminal unit 280 , and the reset button unit 250 . may provide a predetermined area that can be connected and arranged.

상기 베이스부(211, 212)는 상기 수신 단자부(220)와 상기 신호 전달부(240)가 배치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 본체부(211) 및 상기 베이스 본체부(211)에 탈 부착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고, 상기 송신 케이블(K20)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base parts 211 and 212 are detachable from the base body part 211 and the base body part 211 providing a predetermined area in which the reception terminal part 22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art 240 are disposed. A connector unit 212 to which the transmission cable K20 can be connected may be provided.

상기 커넥터부(212)는 상기 송신 단자부(280)가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본체부(211)에 연결되는 커넥터 본체부(212a) 및 상기 커넥터 본체부(212a)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 장비(300)의 딜레이 정보가 저장되는 커넥터저장부(212b)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or part 212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or body part 212a and the connector body part 212a connected to the base body part 211 in which the transmission terminal part 280 is disposed,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is disposed inside the connector body part 212a. It may include a connector storage unit 212b in which delay information is stored.

상기 베이스 본체부(211)에는 상기 수신 단자부(220), 상기 제어부(260), 상기 신호 발생부(230), 상기 신호 전달부(240) 및 상기 리셋 버튼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The receiving terminal unit 220 , the control unit 260 , the signal generating unit 230 ,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40 , and the reset button unit 250 may be disposed in the base body unit 211 .

상기 베이스 본체부(211)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212a)가 배치될 수 있는 복 수개의 함입부(P10)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P10 in which the connector body portion 212a may be disposed may be formed in the base body portion 211 .

상기 함입부(P10)의 저면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2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A terminal capabl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body part 212a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P10.

상기 잠금 수단(271, 272)이 배치되고, 상기 잠금 수단(271, 272)이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부(211)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spa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base body 211 so that 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are disposed, and 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can be moved.

커넥터 본체부(212a)는 상기 함입부(P10)에 삽입되어 상기 함입부(P10)의 저면에 배치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혹은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The connector body part 212a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P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P10, so that signals or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상기 커넥터 본체부(212a)에는 하나의 상기 송신 단자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The one transmission terminal part 280 may be formed in the connector body part 212a.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측면이 관통되어 관통홀(h121)이 형성될 수 있다.A side surface of the connector body may be penetrated to form a through hole h121.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딜레이 정보를 상기 커넥터저장부(212b)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60 may store the dela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100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212b.

반대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커넥터저장부(212b)에 저장된 딜레이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Conversely, the storage unit may transmit the delay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212b to the control device 100 .

일례로, 커넥터저장부(212b)는 메모리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or storage unit 212b may be a memory.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커넥터저장부(212b)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type of the connector storage unit 212b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수신 단자부(220)는 상기 수신 케이블(K10)이 연결되어 상기 수신 케이블(K10)로부터 전달되는 명령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The reception terminal unit 220 may receive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ption cable K10 to which the reception cable K10 is connected.

송신 단자부(280)는 상기 송신 케이블(K20)이 연결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able K20.

송신 케이블(K20)은 상기 송신 단자부(280)와 상기 전기 장비(30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cable K2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 and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

복 수개의 송신 단자부(280)는 상기 베이스부(211, 212)에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terminal units 28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units 211 and 212 .

하나의 송신 단자부(280)에는 하나의 송신 케이블(K20)이 연결될 수 있다.One transmission cable K20 may be connected to one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 .

하나의 송신 케이블(K20)은 하나의 전기 장비(300)에 연결될 수 있다.One transmission cable K20 may be connected to one electrical equipment 300 .

즉, 하나의 송신 단자부(280)와 하나의 전기 장비(300)는 송신 케이블(K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at is, one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 and one electrical equipment 300 may be connected by a transmission cable K20 .

신호 발생부(230)는 상기 명령 정보를 기반으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or 230 may generate a trigger signal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상기 신호 발생부(230)는 상기 신호 전달부(240)로 트리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ing unit 230 may transmit a trigger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40 .

여기서, 신호 발생부(230)는 트리거 신호와 함께 트리거 신호가 전달되어야 하는 송신 단자부(28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신호 전달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Here, the signal generating unit 230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unit 280 to which the trigger signal is to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trigger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40 .

상기 신호 전달부(240)는 상기 신호 발생부(230)로부터 전달되는 트리거 신호를 상기 송신 단자부(28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송신 단자부(280)에 트리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40 may transmit the trigg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generating unit 230 to the corresponding transmitting terminal unit 28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unit 280 .

상기 제어부(260), 상기 신호 발생부(230) 및/또는 상기 신호 전달부(240)는 FPGA 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260 , the signal generator 230 , and/or the signal transfer unit 240 may be an FPGA.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어부(260), 상기 신호 발생부(230) 및/또는 상기 신호 전달부(240)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ypes of the control unit 260 , the signal generation unit 230 , and/or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40 may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리셋 버튼부(250)는 후술하는 커넥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 장비(300)의 딜레이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The reset button unit 250 may initialize delay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stored in a connector storage unit to be described later.

잠금 수단(271, 272)은 상기 베이스 본체부(211)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잠금 본체부(271) 및 상기 잠금 본체부(271)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잠금 연장부(272)를 구비할 수 있다.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may include a locking body 271 that is mov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211 and a locking extension 272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locking body 271 . can

잠금 연장부(272)는 복 수개가 상기 잠금 본체부(271)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ock extension portions 27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lock body portion 271 in one direction.

일례로, 상기 잠금 본체부(271)는 로드 형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lock body portion 271 may have a rod shap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잠금 본체부(27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shape of the lock body portion 271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일례로, 상기 잠금 연장부(272)는 로드 형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lock extension 272 may have a rod shap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잠금 본체부(27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shape of the lock body portion 271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t a level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시스템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of a multi-trigger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 수의 전기 장비(300)가 송신 케이블(K20)에 의해 송신 단자부(280)에 연결될 수 있다.2 and 3 ,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 by a transmission cable K20.

상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전기 장비(300)의 정확한 제어를 위해, 딜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00 may calculate delay information for accurate control of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

제어 장치(100)가 각각의 전기 장비(300)에 딜레이 정보를 산출하여 옵셋하는 과정은 공지된 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A process in which the control device 100 calculates and offsets delay information for each electrical equipment 300 utilizes a known technology,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전기 장비(300)마다 고유의 딜레이 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각각의 전기 장비(300) 마다 딜레이 값을 산출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Since a unique delay value exists for each electrical device 300 , it may be important to calculate a delay value for each electrical device 300 .

상기 제어 장치(100)는 각 전기 장비(300)의 딜레이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딜레이 정보를 대응되는 전기 장비(300)가 연결된 커넥터 본체부(212a)의 커넥터저장부(212b)에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260)에 딜레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00 may calculate the delay information of each electrical equipment 300, and store the delay information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212b of the connector body unit 212a to which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equipment 300 is connected. delay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60 so as to

상기 제어부(260)는 딜레이 정보를 대응되는 커넥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60 may store the delay information in a corresponding connector storage unit.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200)는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복 수의 전기 장비(300)에 병렬적으로 트리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200 may transmit a trigger signal in parallel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100 .

상기 트리거 신호가 병렬적으로 복 수의 상기 전기 장비(300)에 전달되기 위해, 각 각의 상기 전기 장비(300)에 연결된 복 수개의 상기 송신 케이블(K20)이 상기 송신 단자부(280) 각각에 연결되도록, 상기 송신 단자부(280)는 복 수개일 수 있다.In order for the trigger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in parallel, a plurality of the transmission cables K20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ical equipment 300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transmission terminal units 280 . In order to be connected, the number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units 280 may be plural.

하나의 송신 케이블(K20)만이 하나의 상기 커넥터부(212)에 연결되도록, 복 수개의 상기 커넥터부(212)는 상기 베이스 본체부(211)에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or units 212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body unit 211 such that only one transmission cable K20 is connected to the single connector unit 212 .

일례로,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전기 장비(300a), 제2 전기 장비(300b) 및 제3 전기 장비(300c)가 송신 케이블(K20)에 의해 제1 송신 단자부(280a), 제2 송신 단자부(280b) 및 제3 송신 단자부(280c)에 연결된다고 예시를 들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ure 4 (a), the first electrical equipment (300a), the second electric equipment (300b) and the third electric equipment (300c) by the transmission cable (K20) the first transmission terminal portion (280a) ,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b and the third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c may be exemplified.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전기 장비(300a), 상기 제2 전기 장비(300a) 및 상기 제3 전기 장비(300c)에 대한 딜레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calculate delay information for the first electric equipment 300a, the second electric equipment 300a, and the third electric equipment 300c.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딜레이 정보를 상기 커넥터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tore the dela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상기 제어 장치는 딜레이 정보를 기초로 옵셋하여 명령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calculate command information by offsetting based on the delay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지 여부를 항시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always monitor whether the connector body part is separated from the base body part.

이는, 커넥터 본체부의 단자와 베이스 본체부의 함입부에 배치된 단자의 연결 여부가 변화될 경우, 감지되는 전류의 변화를 기반으로 감지할 수 있다.This can be sensed based on a change in current sensed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of the connector body part and the terminal disposed in the recessed part of the base body part is changed.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함입부에 대해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로부터 베이스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후 다시 커넥터 본체부가 베이스 본체부에 연결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커넥터저장부로부터 딜레이 정보를 다시 수집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llect delay information from the connector storage unit again when it is sensed that the connector body is connected to the base body again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body from the connector body for any recessed part.

상기 제어부는 수신 케이블을 통해 수집된 딜레이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collected delay information to the control device through a reception cable.

제어 장치는 커넥터 본체부 별로 딜레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store and manage delay information for each connector body unit.

상기 제어 장치는 수신 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릴레이 정보가 기존에 저장된 딜레이 정보와 상이할 경우, 딜레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change the delay information when the rela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stored delay information.

제어 장치는 딜레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딜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새롭게 옵셋 보정을 할 수 있다.When the delay information is changed, the control device may newly perform offset correction based on the changed delay information.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제1 전기 장비(300a), 제2 전기 장비(300b) 및 제3 전기 장비(300c)가 송신 케이블(K20)에 의해 제1 송신 단자부(280a), 제2 송신 단자부(280b) 및 제3 송신 단자부(280c)에 연결된다고 예시를 들 수 있다.4 (b), the first electrical equipment (300a), the second electric equipment (300b) and the third electric equipment (300c) by the transmission cable (K20) to the first transmission terminal portion (280a), For example,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b and the third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c.

이 때, 제1 전기 장비(300a)에 대한 딜레이 정보는 제1 송신 단자부(280a)가 위치되는 제1 커넥터 본체부(212a-1)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 커넥터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lay information for the first electrical equipment 300a may be stored in the first connector storage unit located inside the first connector body unit 212a-1 in which the first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a is located. .

또한, 제2 전기 장비(300b)에 대한 딜레이 정보는 제2 송신 단자부(280b)가 위치되는 제2 커넥터 본체부(212a-2)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 커넥터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Also, the delay information for the second electrical equipment 300b may be stored in a second connector storage unit locat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unit 212a-2 in which the second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b is located.

또한, 제3 전기 장비(300c)에 대한 딜레이 정보는 제3 송신 단자부(280c)가 위치되는 제3 커넥터 본체부(212a-3)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3 커넥터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Also, the delay information for the third electrical equipment 300c may be stored in a third connector storage unit located inside the third connector body unit 212a-3 in which the third transmission terminal unit 280c is located.

사용자는 제3 전기 장비(300c)가 연결된 제3 커넥터 본체부를 베이스 본체부(211)로부터 제거한 후에, 제4 전기 장비(300d)가 연결된 제4 커넥터 본체부(212a-4)를 베이스 본체부(211)로 연결할 수 있다.After the user removes the third connector body part to which the third electrical equipment (300c) is connected from the base body part (211), the fourth connector body part (212a-4) to which the fourth electrical equipment (300d)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base body part ( 211) can be connected.

여기서, 제4 커넥터 본체부(212a-4)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4 커넥터저장부에는 제4 전기 장비(300d)에 대한 딜레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Here, delay information for the fourth electrical equipment 300d may be stored in the fourth connector storage unit located inside the fourth connector body unit 212a - 4 .

상기 제어부는 제4 전기 장비(300d)에 저장된 딜레이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llect delay information stored in the fourth electrical equipment 300d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device 100 .

상기 제어 장치는 송신된 딜레이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옵셋 보정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automatically correct the offset based on the transmitted delay information.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전기 장비(300)를 변경할 때 마다 딜레이 정보를 다시 갱신하여 새롭게 옵셋 보정하는 번거로움을 예방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user can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re-updating the delay information every time the electric equipment 300 is changed to newly correct the offse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가 구비하는 잠금 수단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locking means provided in the multi-trigger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3은 잠금 수단이 잠금 위치일 경우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잠금 수단이 해제 위치일 경우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3 is a view showing when the locking means is in the locked posi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when the locking means is in the unlocking position.

도 5를 참조하면, 잠금 수단(271, 272)이 잠금 위치일 경우, 상기 잠금 수단(271, 272)은 상기 커넥터 본체부(212a)가 상기 베이스 본체부(211)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부(212a)와 상기 베이스 본체부(211)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when 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are in the locked position, 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prevent the connector body 212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body 211 of the connector body. The part 212a and the base body part 211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잠금 수단(271, 272)이 해제 위치일 경우 상기 잠금 수단(271, 272)은 상기 커넥터 본체부(212a)가 상기 베이스 본체부(211)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부(212a)와 이격될 수 있다.When 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are in the unlocked position, 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or body part 212a so that the connector body part 212a is separated from the base body part 211. have.

도 3을 참조하면, 잠금 수단(271, 272)이 잠금 위치일 경우, 잠금 연장부(272)는 커넥터 본체부(212a)에 형성된 관통홀(h121)에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when 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are in the locking position, the locking extension 272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h121 formed in the connector body 212a.

이와 같을 경우, 커넥터 본체부(212a)는 잠금 연장부(272)에 의해 베이스 본체부(211)로부터 분리되지 못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or body 212a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base body 211 by the lock extension 272 .

도 5를 참조하면, 잠금 수단(271, 272)이 해제 위치일 경우, 잠금 연장부(272)는 상기 관통홀(h1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when 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are in the unlocked positions, the locking extension 272 may be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h121.

잠금 본체부(271)가 베이스 본체부(211)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잠금 수단(271, 272)은 위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잇다.When the locking body 271 is moved relative to the base body 211 , 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can be moved.

상기 잠금 수단(271, 272)이 해제 위치일 경우, 커넥터 본체부(212a)는 베이스 본체부(2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locking means 271 and 272 are in the unlocked positions, the connector body 212a may be separated from the base body 211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that are not related to or inferior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riefly expressed or omit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제어 장치 200 : 트리거 출력 장치
300 : 전기 장비 K10 : 수신 케이블
100: control device 200: trigger output device
300: electrical equipment K10: receiving cable

Claims (9)

제어 장치와 복수의 전기 장비를 서로 매개하며, 상기 제어 장치에서 전달되는 명령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전기 장비로 전달하는 트리거 출력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서 발생되는 상기 명령 정보가 전송되는 케이블인 수신 케이블 연결되는 수신 단자부;
상기 수신 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명령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전기 장비로 전달하는 케이블인 송신 케이블이 연결되는 송신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단자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신호가 병렬적으로 복 수의 상기 전기 장비에 전달되기 위해, 각 각의 상기 전기 장비에 연결된 복 수개의 상기 송신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A trigger output device that mediates a control device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and transmits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al equipment by generating a trigger signal based on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base part;
a receiv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base and connected to a receiving cable that is a cable through which the command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 device is transmitted;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trigger signal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and
It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includes a transmission terminal unit to which a transmission cable, which is a cable for transmitting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al equipment, is connected;
The transmitting terminal unit,
Consisting of a plura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able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ic equipment are connected so that the trigger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electric equipment in parallel.
Multiple trigger outpu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트리거 신호가 도달되어야 하는 상기 전기 장비와 대응되는 상기 송신 단자부에 가이드하는 신호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ignal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to guide the trigger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unit to the transmission terminal unit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equipment to which the trigger signal is to be reached; further comprising,
Multiple trigger outpu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FPGA 인,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FPGA,
Multiple trigger outpu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신 단자부와 상기 신호 전달부가 배치되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 본체부 및 상기 베이스 본체부에 탈 부착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고, 상기 송신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하나의 송신 케이블만이 하나의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도록, 복 수개가 상기 베이스 본체부에 연결되는,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part,
A base body providing a predetermined region in which the receiving terminal unit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are disposed, and a connector unit detachably connectable to the base body unit and to which the transmission cable can be connected,
The connector part,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ables are connected to the base body portion so that only one transmission cable is connected to one connector portion,
Multiple trigger output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송신 단자부가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본체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본체부 및 상기 커넥터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 장비의 딜레이 정보가 저장되는 커넥터저장부를 구비하는,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or part,
and a connector body disposed in the transmission terminal part connected to the base body part and a connector storage part disposed in the connector body part to store delay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equipment;
Multiple trigger outpu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저장부에 저장된 딜레이 정보를 초기화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셋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reset button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to generate a signal for initializing the delay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nector storage unit; further comprising:
Multiple trigger outpu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수단이 잠금 위치일 경우,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부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부와 상기 베이스 본체부와 동시에 연결되며,
상기 잠금 수단이 해제 위치일 경우,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부와 이격되는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means for moving the position relative to the base body portion,
When the locking means is in the locked position, the connector body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body and the base body to prevent the connector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se body,
When the locking means is in the unlocked position, the connector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or body so that the connector body is separated from the base body.
Multiple trigger output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측면이 관통되어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베이스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잠금 본체부 및 상기 잠금 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잠금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 연장부는,
상기 잠금 수단이 잠금 위치일 경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해제 위치일 경우 상기 관통홀로부터 분리되는,
다중 트리거 출력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or body part,
A side of the connector body is penetrated to form a through hole
The lock means,
and a locking body part that is moved relative to the base body part and a lock extension part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locking body part;
The lock extension portion,
When the locking means is in the locked position, i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when it is in the unlocked position, it is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Multiple trigger outputs.
명령 정보를 발생시키는 제어 장치; 및
복 수의 전기 장비와 병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명령 정보를 기반으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리거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출력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 장치에서 발생되는 상기 명령 정보가 전송되는 케이블인 수신 케이블 연결되는 수신 단자부, 상기 수신 단자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명령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트리거 신호를 상기 전기 장비로 전달하는 케이블인 송신 케이블이 연결되는 송신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단자부는,
상기 트리거 신호가 병렬적으로 복 수의 상기 전기 장비에 전송하기 위해, 각 각의 상기 전기 장비에 연결된 복 수개의 상기 송신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복 수개인,
다중 트리거 출력 시스템.
a control device for generating command information; and
a trigger output device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plurality of electrical equipment and generating a trigger signal based on the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The trigger output device,
A signal for generating the trigger signal based on the base unit, the receiv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receiving cable, which is a cable connected to the base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mm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It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and the base, and includes a transmission terminal to which a transmission cable, which is a cable for transmitting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al equipment, is connected,
The transmitting terminal unit,
In order for the trigger signal to transmit to a plurality of the electric equipment in parallel, a plurality of the transmission cable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ic equipment are connected, a plurality of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KR1020200170846A 2020-12-08 2020-12-08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for parallel control of electric equipment and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2789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46A KR102278962B1 (en) 2020-12-08 2020-12-08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for parallel control of electric equipment and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846A KR102278962B1 (en) 2020-12-08 2020-12-08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for parallel control of electric equipment and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962B1 true KR102278962B1 (en) 2021-07-19

Family

ID=7712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846A KR102278962B1 (en) 2020-12-08 2020-12-08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for parallel control of electric equipment and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96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551A (en) * 2013-07-04 2016-03-18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Synchronising parallel power switches
KR20160147933A (en) * 2014-05-01 2016-12-23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Dynamically configurable production and/or distribution l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0551A (en) * 2013-07-04 2016-03-18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Synchronising parallel power switches
KR20160147933A (en) * 2014-05-01 2016-12-23 시크파 홀딩 에스에이 Dynamically configurable production and/or distribution l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30720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optical power of passive optical network (PON) and PON system
US20120308239A1 (en) Active Tracking for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WO2007091026A1 (en) Fibre optic system for analogue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station and a second station comprising an antenna unit
KR102278962B1 (en) Multiple trigger output device for parallel control of electric equipment and multiple trigger out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2457884B (en) Wireless network test system, method and device
CN104487802B (en) measuring machine communication
EP3232587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6906638B2 (en) Sensor unit
ES2742694T3 (en) Procedure for monitoring a power transmission line, interference suppression by repeated data transmission
CN104243041A (en) Optical fibe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TW201508499A (en) Guide segment identification
CN116203607A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of self-mobile device, self-mobile device and storage medium
JP4368182B2 (en) Transmission optical power control metho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WO2021210737A1 (en) Vehicle lidar system linked with led headlamp
CN114189594A (en) Three-dimensional scanning device, metho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N204256391U (en) Intelligent house network system
KR101992228B1 (en) Ring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for real time fault processing and restore connection between smart devices and system of the same
JP3996092B2 (en) Optical data transmission network and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for optical data transmission network
KR100450926B1 (en) Power supply for media converter for optical communication
JP2019057816A (en) Transmission channel characteristic measurement device and transmission channel characteristic measurement method
CN215793599U (en) Light source sharing device and automobile
KR101335694B1 (en) Laser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lase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route, and laser communication mesh network system
KR102213236B1 (en) Compatible device for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KR20180058668A (en) Method for using tone channel efficiently in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s
JP3479607B2 (en) Reference signal distribu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