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559B1 - 터치 모듈 및 터치검출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모듈 및 터치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559B1
KR102278559B1 KR1020130167694A KR20130167694A KR102278559B1 KR 102278559 B1 KR102278559 B1 KR 102278559B1 KR 1020130167694 A KR1020130167694 A KR 1020130167694A KR 20130167694 A KR20130167694 A KR 20130167694A KR 102278559 B1 KR102278559 B1 KR 102278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rea
palm
threshold value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390A (ko
Inventor
황종희
김기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5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터치모듈은, 터치전극들이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동하여 감지신호들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수신된 터치정보를 이용하여, 팜제거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팜영역으로 판단된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제거한다.

Description

터치 모듈 및 터치검출방법{Touch module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position}
실시 예는 터치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터치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이 있다.
한편,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방법으로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스크린에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입력방법이, 종래에 사용되던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대체하고 있다.
즉, 터치스크린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산업용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금융 자동화기기, 게임기 등과 같은 모니터와, 휴대전화기, MP3, PDA, PMP, PSP, 휴대용 게임기, DMB 수신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및 냉장고, 전자 레인지,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팜(Palm)으로 인한 터치 에러가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을 이용한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펜(Pen)을 사용하기 위해 손바닥을 터치스크린 위에 올려놓거나, 또는 양손으로 전자기기를 잡았을 경우, 펜에 의한 정상적인 터치(B) 이외에, 손바닥(Palm) 등에 의한 비정상적인 터치(Touch)(A)가 발생한다.
상기 비정상적인 터치에 의해 시스템 단에서는 수많은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모듈은 효과적인 팜 리젝션을 수행하는 터치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검출방법은 효과적인 팜 리젝션을 수행하는 터치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모듈은, 터치전극들이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동하여 감지신호들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수신된 터치정보를 이용하여, 팜제거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팜영역으로 판단된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제거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검출방법은, 터치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위치를 통해 터치된 영역을 검출하여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된 영역과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는 팜영역으로 판단된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제거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모듈은 대면적의 터치가 검출되는 경우 전체 터치입력을 제거하여, 의도치 않은 터치입력을 제거하여 터치입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검출방법은, 검출된 팜영역을 포함하는 사각영역에 대해 팜리젝션을 수행하여, 호버링에 의한 의도치 않은 터치입력을 제거하여 터치입력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팜(Palm)으로 인한 터치 에러가 발생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신호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라 검출된 좌표와 로우 데이터를 포함하는 테이블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터치검출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모듈은, 터치전극들이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동하여 감지신호들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수신된 터치정보를 이용하여, 팜제거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팜영역으로 판단된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제거한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터치정보와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터치정보의 터치된 면적이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전체 터치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터치정보의 터치된 면적이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일정한 프레임 수만큼 전체 터치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터치정보의 터치된 면적이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부분적인 팜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분적인 팜제거시, 상기 팜영역의 x좌표 및 y좌표의 최소값영역부터, x좌표 및 y좌표의 최대값 영역까지를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의 연속적으로 서로 다른 터치된 면적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연속되는 다수의 팜영역을 포함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제2 임계치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터치정보의 로우 데이터의 합과 상기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변화된 전압값을 통해 터치좌표를 검출하는 터치위치 검출부; 및 상기 터치좌표에서 팜을 제거한 후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는 상기 터치된 좌표와 로우 데이터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상기 필터링부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검출방법은, 터치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위치를 통해 터치된 영역을 검출하여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된 영역과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는 팜영역으로 판단된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제거한다.
상기 터치된 영역과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영역과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제거를 수행하며,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제2 임계치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상기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전체 터치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일정한 프레임 수만큼 전체 터치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부분적인 팜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분적인 팜제거시, 상기 팜영역의 x좌표 및 y좌표의 최소값영역부터, x좌표 및 y좌표의 최대값 영역까지를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의 연속적으로 서로 다른 영역인 경우 상기 연속되는 다수의 팜영역을 포함하는 사각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된 영역과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위치의 로우 데이터의 합과 상기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0),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전면에 부착되는 터치패널(1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20)과 결합되는 가이드 패널(18)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을 수납하는 바텀 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18)은 중앙영역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18)은 중앙영역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의 광이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패널(18)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패널(80)은 몰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컬러필터 기판(13)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및 컬러필터 기판(13)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은 상기 컬러필터 기판(13)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기판(13)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의 일부를 노출하며 합착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상에는 드라이버 IC(15)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IC(15)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으로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IC(15)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 IC(15)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상에는 연성회로기판(17)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7)은 상기 드라이버 IC(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7)은 휘거나 접힐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7)은 이방성 도전성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에 의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에 부착되어 상기 드라이버 IC(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상기 컬러필터 기판(13)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에는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이를 터치 연성회로기판(110)을 통해 구동칩(미도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광학시트(30), 도광판(40), 광원(50) 및 반사판(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3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과 상기 도광판(4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50)으로부터의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전달한다. 상기 광학 시트(30)는 프리즘 시트, 확산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40)은 상기 광학시트(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40)은 상기 광학시트(30)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원(5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면광으로 변환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로 공급한다. 상기 도광판(40)은 PMMA( 폴리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염화비닐, 아크릴계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계,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herephtalate)계, PE(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PS(폴리스티렌:polystyryene)계, PP(폴리프로필렌:Polyporpylene)계, PI(폴리이미드:Polyimide)계 수지, 유리, 실리카(silic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50)은 발광 다이오드(51) 및 인쇄회로기판(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5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3)에 실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53)으로부터 전압을 전달받고 광을 발생하여 상기 도광판(40) 방향으로 전달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인쇄회로기판(53)은 외부의 드라이버로부터 구동전압을 전달받아 이를 상기 발광 다이오드(51)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60)은 상기 도광판(40)과 상기 바텀 커버(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60)은 상기 광원(50)으로부터의 광을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40) 및 액정표시패널(10)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터치패널(100)이 액정표시패널(1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터치패널(100)은 플라즈마표시장치(PDP) 또는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등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10), 터치패널(100), 게이트 드라이버(200), 데이터 드라이버(300), 타이밍 컨트롤러(400), 터치감지부(500) 및 신호처리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 타이밍 컨트롤러(400), 터치감지부(500) 및 신호처리부(600)는 별도의 터치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 및 상기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의해 다수의 화소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에는 각각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 및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의해 게이트 신호를 전달받아 턴 온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될 때, 상기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전압을 화소전극으로 전달하고, 상기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과 공통전압의 전위차에 의해 전계가 발생하고, 상기 전계에 의해 액정이 변위하여 백라이트로부터의 광의 휘도를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비디오 데이터(RGB), 수평 동기신호(H), 수직 동기신호(V) 및 클럭신호(CLK)를 입력받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응답하여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쉬프트 레지스터, 스캔펄스의 스윙폭을 액정셀의 구동에 적합한 레벨로 쉬프트 시키기 위한 레벨 쉬프터, 출력버퍼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게이트 라인(GL1 내지 GLn)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 온 시켜 데이터전압이 공급될 1 수평라인의 액정셀을 선택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 전압은 게이트 신호에 의해 선택된 수평라인의 액정셀에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전달받은 비디오 데이터(RGB)를 샘플링하고 래치한 다음,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 내지 DLm)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 및 데이터 드라이버(300)은 다수의 데이터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사용자로부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터치패널(100)이 정전용량 방식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배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터치패널(100)이 액정표시패널(10) 상에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00)은 액정표시패널(10) 내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터치패널(10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함께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복수의 터치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500)는 상기 터치패널(10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500)는 상기 터치패널(100)이 뮤추얼 방식 또는 셀프캡 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그 구성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뮤추얼 방식으로 구성된 터치패널(100)을 일예로 하여 본발명을 설명한다.
상기 뮤추얼 방식을 이용한 터치패널(100)은 터치감지부(500)로부터 구동펄스를 입력받는 복수의 구동전극(T1 내지 Tn) 및 상기 구동전극과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감지신호를 사기 터치감지부(500)로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수신전극(R1 내지R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의 구동전극(T1 내지 Tn)으로 터치 검출을 위한 구동펄스가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펜으로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구동전극(T1 내지 Tn)과 수신전극(R1 내지 Rm)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화된다. 상기 정전용량의 변화는 상기 수신전극(R1 내지 Rm)을 통해 상기 터치감지부(500)로 인가되는 전압값을 변화시키게된다.
즉, 상기 수신전극(R1 내지 Rm)은 터치감지부(5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감지부(500)는 상기와 같은 변화된 전압값을 상기 신호처리부(600)로 전달한다.
상기 터치감지부(500)는 상기와 같은 변화된 전압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처리부(600)로 인가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600)는 상기 전압값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600)는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그 결과 값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 또는 외부 시스템의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신호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신호처리부(600)는 터치위치 검출부(610)와 필터링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610)는 상기 터치감지부(500)로부터 전달받은 변화된 전압값을 통해 각각의 터치가 이루어진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610)는 상기 터치감지부(500)로부터 전달받은 변화된 전압값을 통해 각각의 터치가 이루어진 좌표와 변화된 전압값을 로우 데이터(Raw data)로 하여, 도 5와 같은 테이블을 작성한다.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610)는 상기와 같은 좌표와 로우 데이터(Raw)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상기 필터링부(620)로 전달한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도 5와 같은 테이블에서 팜(Palm)을 제거한 후 그 결과값을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링부(620)는 팜제거(Palm rejection)가 수행된 의도된 터치값만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터치검출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610)는 상기 터치감지부(500)로부터 변화된 전압값을 전달받고, 터치가 이루어진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S110)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610)는 터치된 좌표와 로우 데이터(Raw data)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상기 필터링부(6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610)로부터 전달받은 테이블을 이용하여, 터치의 크기와 제1 임계치를 비교한다. (S120)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터치된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된 영역 검출하여 상기 제1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된 좌표의 로우 데이터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터치된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된 영역의 면적을 상기 제1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로우 데이터의 합과 상기 제1 임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전체터치로 판단하고, 입력된 전 데이터를 제거한다. (S130)
즉,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전영역에 의도되지 않은 터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전체 터치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에 어떠한 터치도 입력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어떠한 터치도 입력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S200)
상기 필터링부(620)는 전체터치로 판단된 경우, 일정한 프레임 수만큼 전체 터치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의 수직동기신호(V)에 동기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일정한 프레임 수만큼 전체 터치 데이터를 제거하여, 호버링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팜이 상기 터치패널(100)에 직접 접촉되지는 않으나,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에서의 의도되지 않은 터치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1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터치된 영역과 제2 임계치를 비교한다. (S140)
상기 제2 임계치는 상기 제1 임계치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터치감지부(500)로부터 입력된 값이 전체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이고, 상기 제2 임계치는 부분적인 팜리젝션의 수행기준을 위한 임계값일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치와 제2 임계치는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터치된 좌표를 이용하여, 터치된 영역을 상기 제2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된 좌표의 로우 데이터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터치된 영역으로 판단하고, 상기 터치된 영역의 면적을 상기 제2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링부(620)는 도 5a와 같은 로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A 또는 B와 제2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임계치가 A의 면적과 B의 면적의 사이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B영역을 팜영역으로 검출한다.
또는,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로우 데이터의 합과 상기 제2 임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부분 팜리젝션 수행대상으로 판단하여, 차단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S150)
상기 필터링부(620)는 도 5a의 B영역에 대한 차단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차단영역은 B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B영역을 포함하는 R1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팜영역으로 검출된 영역보다 큰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팜 영역의 x좌표의 최소값, y좌표의 최소값영역부터, x좌표 및 y좌표의 최대값 영역까지를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팜영역의 (x좌표의 최소값, y좌표의 최소값), (x좌표의 최소값, y좌표의 최대값), (x좌표의 최대값, y좌표의 최대값) 및 (x좌표의 최대값, y좌표의 최대값)을 네꼭지점으로 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설정된 차단영역내의 터치를 제거할 수 있다. (S160)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팜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큰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하여, 의도되지 않은 터치 영역을 명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제2 임계치보다 큰 새로운 팜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기존 팜영역과 새로운 팜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링부(620)는 연속적으로 서로 다른 제2 임계치 이상으로된 팜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연속되는 다수의 팜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이 기존의 팜영역인 B영역에 더하여, 새로운 팜영역인 C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B영역과 C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영역은 B영역 및 C영역보다 큰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기존 팜영역과 새로운 팜영역의 x좌표의 최소값, y좌표의 최소값영역부터, x좌표 및 y좌표의 최대값 영역까지를 차단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B영역 및 C영역의 (x좌표의 최소값, y좌표의 최소값), (x좌표의 최소값, y좌표의 최대값), (x좌표의 최대값, y좌표의 최대값) 및 (x좌표의 최대값, y좌표의 최대값)을 네꼭지점으로 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인 R2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팜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큰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하여, 의도되지 않은 터치 영역을 명확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존의 팜영역과 새로운 팜영역에 인접한 영역에는 의도적인 터치가 입력될 확률이 희박하여, 상기 팜영역으로 검출된 영역을 포함하는 큰 영역을 차단하더라도, 터치가 미인식될 확률은 희박하다.
또한, 상기 기존의 팜영역과 새로운 팜영역에 인접한 영역에 발생할 수 있는 호버링에 의한 오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620)는 상기 제거된 영역을 제외한 터치영역 정보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상기 제거된 영역을 제외한 A영역을 수신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S200)
10: 액정표시패널
1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3: 컬러필터 기판
15: 드라이버 IC
18: 가이드 패널
20: 백라이트 유닛
30: 광학 시트
40: 도광판
50: 광원
60: 반사판
70: 바텀 커버
100: 터치패널
200: 게이트 드라이버
300: 데이터 드라이버
400: 타이밍 컨트롤러
500: 터치 감지부
600: 신호처리부
610: 터치위치 검출부
620: 필터링부

Claims (19)

  1. 터치전극들이 형성되어 있는 터치패널;
    터치스크린을 구동하여 감지신호들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수신된 터치정보를 이용하여, 팜제거를 수행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터치정보와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영역으로 판단된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제거하거나, 상기 터치정보의 터치된 면적이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해서 계산되는 일정한 프레임 수만큼 전체 터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터치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터치정보의 터치된 면적이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부분적인 팜제거를 수행하는 터치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인 팜제거시, 상기 팜영역의 x좌표 및 y좌표의 최소값영역부터, x좌표 및 y좌표의 최대값 영역까지를 차단영역으로 설정하는 터치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의 연속적으로 서로 다른 터치된 면적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연속되는 다수의 팜영역을 포함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하는 터치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제2 임계치보다 큰 터치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터치정보의 로우 데이터의 합과 상기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제거를 수행하는 터치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변화된 전압값을 통해 터치좌표를 검출하는 터치위치 검출부; 및
    상기 터치좌표에서 팜을 제거한 후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터치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위치 검출부는 상기 터치된 좌표와 로우 데이터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상기 필터링부로 전달하는 터치모듈.
  12. 터치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 위치를 통해 터치된 영역을 검출하여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된 영역과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된 영역과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영역으로 판단된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제거하거나, 상기 터치된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수직 동기 신호에 동기해서 계산되는 일정한 프레임 수만큼 전체 터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터치검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영역과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치는 상기 제2 임계치보다 큰 값인 터치검출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인 경우 일정한 프레임 수만큼 전체 터치 데이터를 제거하는 터치검출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부분적인 팜제거를 수행하는 터치검출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인 팜제거시, 상기 팜영역의 x좌표 및 y좌표의 최소값영역부터, x좌표 및 y좌표의 최대값 영역까지를 차단영역으로 설정하는 터치검출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팜제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된 영역이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의 연속적으로 서로 다른 영역인 경우 상기 연속되는 다수의 팜영역을 포함하는 사각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설정하는 터치검출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영역과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위치의 로우 데이터의 합과 상기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를 비교하여 팜제거를 수행하는 터치검출방법.
KR1020130167694A 2013-12-30 2013-12-30 터치 모듈 및 터치검출방법 KR102278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694A KR102278559B1 (ko) 2013-12-30 2013-12-30 터치 모듈 및 터치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694A KR102278559B1 (ko) 2013-12-30 2013-12-30 터치 모듈 및 터치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390A KR20150078390A (ko) 2015-07-08
KR102278559B1 true KR102278559B1 (ko) 2021-07-15

Family

ID=5379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694A KR102278559B1 (ko) 2013-12-30 2013-12-30 터치 모듈 및 터치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1937A1 (zh) * 2018-04-04 2019-10-1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方法、触控板和手写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1261A (ja) * 2007-10-11 2011-01-06 エヌ−トリグ リミテッド デジタイザのためのジェスチャ検出
KR101180865B1 (ko) * 2011-05-25 2012-09-07 (주)나노티에스 터치펜 좌표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577A (ko) * 2011-01-14 2012-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서 펜 터치 인식 방법 및 장치
US8766936B2 (en) * 2011-03-25 2014-07-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and method for providing stable touch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1261A (ja) * 2007-10-11 2011-01-06 エヌ−トリグ リミテッド デジタイザのためのジェスチャ検出
KR101180865B1 (ko) * 2011-05-25 2012-09-07 (주)나노티에스 터치펜 좌표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390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181B1 (ko) 양방향 인접 전극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접촉 감지 장치
US10209819B2 (en) Electronic device
US9977527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282018B2 (en) Display device
CN107977107B (zh) 包括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及其触摸感测方法
US9507460B2 (en) Touch sensing device, touch sensing circuit, data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KR102174679B1 (ko) 터치패널
KR102657011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521337B1 (ko) 재배치가능한 터치면 상의 제스처 방위의 검출
US83307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US2013031434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044551B1 (ko) 터치 센싱 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20170168641A1 (en) Display device with force sensing device
KR20130053668A (ko) 터치 센서 구동 장치 및 방법
US9229572B2 (en) Touch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04471B1 (ko) 터치 센싱 장치
KR102325806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70558B1 (ko) 터치 센서의 구동 장치
KR20150087714A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102278559B1 (ko) 터치 모듈 및 터치검출방법
KR102285225B1 (ko) 터치 모듈 및 터치검출방법
KR102235914B1 (ko)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48384B1 (ko) 표시장치
KR20120129501A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키패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키패드입력방법
KR20220157707A (ko) 다수의 센서 기능이 통합된 터치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