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224B1 - Remote emergency situation monite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 - Google Patents

Remote emergency situation monite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224B1
KR102277224B1 KR1020190108050A KR20190108050A KR102277224B1 KR 102277224 B1 KR102277224 B1 KR 102277224B1 KR 1020190108050 A KR1020190108050 A KR 1020190108050A KR 20190108050 A KR20190108050 A KR 20190108050A KR 102277224 B1 KR102277224 B1 KR 10227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tate
emergency
smart switch
indo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6777A (en
Inventor
여운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to KR102019010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224B1/en
Publication of KR2021002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2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84Arrangements monitoring consumption of a utility or use of an appliance which consumes a utility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metering of water, gas or electricity, use of taps, toilet flush, gas stove or electric kett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링 대상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 전등을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 공간 내의 모니터링 대상인의 위급상황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실내에 설치된 실내 전등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와 통신하는 스위치 통신부와,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온/오프 상태 신호를 상기 스위치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스위치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 전등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온/오프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기 설정된 제1 기준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지 않은 경우, 온/오프 상태의 전환을 위한 상기 온 신호 또는 상기 오프 신호를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제2 기준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가 재전환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 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거실이나 화장실과 같은 실내 전등을 온/오프하는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 전환 상태를 이용하여 제1 기준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지 않을 때를 1차적인 위급상황으로 인지하고, 모리터링 서버에서 온/오프 상태를 강제로 전환시켜 독거노인 등이 이를 재전환하는지 여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급상황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a smart switch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to be monitored to control an indoor light, and a smart switch connected to the smart switch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monitor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indoor space a monitoring server for monitoring whether; The smart switch includes an on/off switch for switching on/off of an indoor light installed in a room, a switch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on/off corresponding to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and a switch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status signal to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on/off switch so that the indoor ligh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 The monitoring server monitors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based on the on/off st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switch, and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is switched even when a preset first reference time elapses If not, the on/off signal for switching the on/off stat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switch, and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is not re-switched even after a preset second reference time elapses , characterized in that an emergency event is generated. Accordingly, when the on/off state is not switched until the first reference time elapses by using the on/off switching state of a smart switch that turns on/off an indoor light such as a living room or bathroom, a primary emergency situation By forcibly switching the on/off state in the monitoring server and judging the emergency according to whether the elderly living alone or the like re-switch it, more accurate emergency determination is possible.

Description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REMOTE EMERGENCY SITUATION MONITE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 {REMOTE EMERGENCY SITUATION MONITE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

본 발명은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에 설치된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 전환 상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대상인의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a remote emergency situation using a smart switch that determines the emergency of a person to be monitored using the on/off switching state of a smart switch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It is about the monitoring system.

현재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변해가는 추세에서 개인의 삶을 중시하는 젊은 세대와의 갈등으로 인하여 독거노인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독거노인들의 경우 갑작스러운 건강의 약화 또는 안전사고 등의 위급한 상황에 처하게 되면 응급조치나 긴급신고 등의 즉각적인 대처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더욱이 독거노인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지체장애인 등과 같은 거동이 불편한 자도 위급한 상황에서 즉각적인 대처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거동이 불편한 자들에 대한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여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보살필 수 있는 인력은 한정되어 있다.In the current rapidly aging society, the number of elderly living alone is increasing due to conflicts with the younger generation who value individual life. In the ca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t is not easy to take immediate action, such as emergency measures or emergency reports, when they are in an emergency such as a sudden deterioration in health or a safety accident. Moreover, not only the elderly living alone, but also those with reduced mobility such as the elderly or physically handicapped, it is not easy to respond immediately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such a situation, the number of manpower that can promptly and actively take care of the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situation is limited.

과거에 이를 위한 대안으로 원격에서 독거노인이나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자들의 상황을 인지하기 위하여 유선통신망을 이용하는 호출기가 보급되었다. 호출기에는 긴급버튼이 구비되어 위급한 상황에서 버튼을 눌러 구급대원이나 담당 사회 복지사를 호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호출기에 의한 호출방식은 대상자가 직접 호출버튼을 누르지 못하는 상황인 경우에 무용지물이 될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In the past, as an alternative to this, a pager using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has been distributed to remotely recognize the situation of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disabled, or the elderly. The pager is equipped with an emergency button, and in an emergency situation, press the button to call a paramedic or social worker in charg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ll method by the pager may become useles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subject cannot directly press the call button.

또한, 종래에 냉장고나 수도의 사용 여부에 따라 대상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상황 판단을 대략 1일 단위로 수행하므로 위급한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또한, 카메라 촬영방식은 촬영시간 동안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불가능함과 더불어 사생활 침해 소지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situation of the subject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a refrigerator or water is used in the prior art. Since situation judgment is performed on a daily basis, an immediate response to an emergency situation could not be achieved. In addition, the camera shooting method was not able to continuously monitor during the shooting time, and there was a possibility of invasion of privacy.

카메라를 대체하여 실내 공간 내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를 위급상황으로 인식하는 기술도 제안되었다. 그러나, 독거노인 등이 애완견 등을 키우게 되면 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해당 움직임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to replace a camera and install a mo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movement in an indoor space, and recognizes a case in which no movement is detected as an emergency. However, when an elderly person living alone raises a pet dog, the movement of the animal is sen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ovement is a human or an animal.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5425호에 개시된 "원격 보호 및 감지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과 무선으로 연동하여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체온과 운동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싱부와,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센싱부의 측정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센싱부의 측정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보호자측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호출, 경고 신호 및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와, 상기 센싱부의 측정정보가 위험패턴으로 판정되면, 해당 경고 메시지를 1차적으로 상기 알람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고, 2차적으로 원격지의 보호자측 단말로 통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The "remote protection and detection system"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5425 configures a remote pro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by wirelessly interworking with a user terminal, and includes a sensing unit that periodically measures the wearer's body temperature and exercise amoun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to a guardian's terminal through the smartphone, and a call received from the outside, a warning signal and a message outputting Remote protection comprising an alarm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is a dangerous pattern, outputs a corresponding warning message primarily through the alarm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secondarily notifies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at a remote location and a monitoring system are disclosed.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특허의 경우 독거노인 등의 건강까지 체크하는 점에서 유용할 수 있으나, 독거노인 등이 센서를 항상 착용하여야 하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고,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Korea Registered Patent, it can be useful in check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u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must always wear the sensor, and a lot of money is spent to build the system. There is this.

또한, 상기와 같이 기존의 영상을 이용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관리자 측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은 것이 현실인데, 모니터링 시스템의 지원을 받는 독거노인들은 경제적 약자인 경우가 많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통신비까지 정부에서 지원하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monitoring system using an existing image or a monitoring system using various sensors,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to the manager is large. However, the elderly living alone supported by the monitoring system are often economically disadvantaged. In many cases, the government will support communication cos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그러나, 한두 명의 독거노인 등에게 이를 지원하는 것은 비용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현실은 무수히 많은 독거노인들을 지원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비용이 크게 증가되어 재정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However, it is not a big problem in terms of cost to support one or two elderly people living alone, but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support countles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t will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 공간에 설치된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 전환 상태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대상인의 위급상황을 판단하여, 시스템 구축 비용, 특히 통신비용을 줄이면서도 보다 정확한 위급상황의 판단이 가능한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using the on/off switching state of a smart switch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to determine the emergency situation of a person to be monitored, while reducing system construction costs, particularly communication costs, 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an emergency situa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링 대상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 전등을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 공간 내의 모니터링 대상인의 위급상황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실내에 설치된 실내 전등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와 통신하는 스위치 통신부와,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온/오프 상태 신호를 상기 스위치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스위치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 전등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온/오프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기 설정된 제1 기준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지 않은 경우, 온/오프 상태의 전환을 위한 상기 온 신호 또는 상기 오프 신호를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제2 기준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가 재전환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 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a smart switch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to be monitored to control an indoor light, and a smart switch connected to the smart switch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monitor the indoor space a monitoring server for monitoring whether the target person is in an emergency; The smart switch includes an on/off switch for switching on/off of an indoor light installed in a room, a switch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on/off corresponding to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and a switch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status signal to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on/off switch so that the indoor ligh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 The monitoring server monitors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based on the on/off st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switch, and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is switched even when a preset first reference time elapses If not, the on/off signal for switching the on/off stat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switch, and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is not re-switched even after a preset second reference time elapses , achieved by a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an emergency event.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급상황 이벤트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Here, it further comprises a manag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onitoring server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nitoring server may transmit the emergency event to the manag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스위치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온/오프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위급상황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위급상황 인식부와; 상기 위급상황 인식부에 의해 상기 위급상황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위급상황 이벤트를 전송하는 위급상황 전파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switch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 emergency recogni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on/off st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an emergency propag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event to the manager terminal when the emergency event occurs by the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unit.

그리고,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온/오프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온/오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시간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패턴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based on the on/off st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alyzing the on/off pattern of the indoor light, and periodically updating the first reference time based on the on/off pattern pattern It may further include an analysis unit.

그리고,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를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And, the smart switch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and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The switch control unit may periodically transmit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ed by the humidity sensor to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그리고, 상기 제1 기준시간은 상기 실내 전등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될 때에 대한 시간과, 상기 실내 전등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때에 대한 시간이 상호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ference time may be set to be different from a time when the indoor light is switched from an on state to an off state and a time when the indoor light is switch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거실이나 화장실과 같은 실내 전등을 온/오프하는 스마트 스위치의 온/오프 전환 상태를 이용하여 제1 기준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지 않을 때를 1차적인 위급상황으로 인지하고, 모리터링 서버에서 온/오프 상태를 강제로 전환시켜 독거노인 등이 이를 재전환하는지 여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급상황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off state is switched until the first reference time elapses using the on/off switching state of a smart switch that turns on/off an indoor light such as a living room or a bathroom It is possible to make a more accurate emergency determination by recognizing when it does not work as a primary emergency, and by forcibly switching the on/off state in the monitoring server and judging the emergency according to whether the elderly living alone re-switch it. will do

또한, 기존의 실내 전등은 그대로 두고, 전등 스위치 만을 스마트 스위치로 교체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스템 구축 비용, 특히 통신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existing indoor light is left as it is, and only the light switch is replaced with a smart switch to enable monitoring,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system construction costs, particularly communication costs.

그리고, 독거노인 등이 전등을 온/오프시키는 패턴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온/오프 패턴을 분석하여 이를 제1 기준 시간에 반영함으로써, 모니터링 대상의 생활 패턴에 맞는 보다 정확한 위급상황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by continuously collecting pattern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o turn on/off lights, analyzing the on/off patterns, and reflecting them in the first reference time, it is possible to make more accurate emergency judgments according to the living pattern of the monitoring target.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스위치(100) 및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switch 100 and a monitoring server 300 . In addition, the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nager terminal (500).

스마트 스위치(100)는 모니터링 대상인 실내 공간(10)에 설치되어 실내 전등(2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예컨대, 실내 공간(10)에 설치된 화장실용 전등, 또는 거실용 전등의 온/오프를 위해 설치될 수 있다.The smart switch 100 is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10 to be monitored and controls the on/off of the indoor light 20 . For example, it may be installed to turn on/off a light for a bathroom or a light for a living room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10 .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스위치(100)와 연결되어, 실내 공간(10)에서 생활하는 모니터링 대상인, 예를 들어, 독거 노인, 노약자나 지체장애인 등과 같은 거동이 불편한 자들의 위급상황 여부를 모니터링한다.The monitoring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smart switch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700, and is a monitoring target living in the indoor space 10, for example,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elderly or people with disabilitie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Monitor for emergencie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위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 스위치(100)는 온/오프 스위치(210), 스위치 통신부(130) 및 스위치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switc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smart switch 100 may include an on/off switch 210 , a switch communication unit 130 , and a switch control unit 110 .

온/오프 스위치(210)는 실내 전등(20)의 온/오프를 실질적으로 스위칭한다. 여기서, 온/오프 스위치(210)는 사람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가 가능하면서도, 스위치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서도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데, 기계식이나 전자식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on/off switch 210 substantially switches on/off of the indoor light 20 . Here, the on/off switch 210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turned on/off by a human operation, and can be turned on/off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witch control unit 110, either of a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 can be provided with

스위치 통신부(130)는 통신망(700)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와 통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 통신부(130)가 이동 통신망(700)을 이용하거나, 실내의 WIFI 망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서버(300)와 연결되는 것을 예로 하는데, 통신망(700)의 유형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monitoring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70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700 or by using the indoor WIFI network as an example,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typ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700 Of course, it is not limited.

스위치 제어부(110)는 실내 전등(20)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온/오프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치 통신부(130)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부(110)는 스위치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실내 전등(20)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온/오프 스위치(210)를 제어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switch control unit 110 generates an on/off stat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20 and transmits it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through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130 . In addition, the switch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n/off switch 210 so that the indoor light 20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13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s follows. It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스위치(100)가 온도센서(140)와 습도센서(15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온도센서(140)는 실내 공간(10)의 온도를 감지하고, 습도센서(150)는 실내 공간(10)의 습도를 감지하는데, 스위치 제어부(110)는 온도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습도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습도를 주기적으로 통신망(700)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switch 1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40 and a humidity sensor 150 . The temperature sensor 140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10 , the humidity sensor 150 detects the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10 , and the switch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40 . and the humidity sensed by the humidity sensor 150 is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700 .

이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의 관리자는 현재 모니터링 대상인의 실내 환경이 어떠한지, 예를 들어, 여름이나 겨울에 실내 온도 상태가 어떠한지, 또는 장마철에 실내 습도 상태가 어떠한지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manager of the monitoring server 300 is able to monitor what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current monitoring target is, for example, what the indoor temperature state is in summer or winter, or what the indoor humidity state is in the rainy season. will be able to tak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40), 위급상황 인식부(320), 위급상황 전파부(330) 및 서버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300)는 관리대상 데이터베이스(310)부 및 패턴 분석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the monitor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40 , an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unit 320 , an emergency situation propagation unit 330 , and a server control unit 360 . . 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target database 310 unit and a pattern analysis unit 350 .

서버 통신부(340)는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스위치(100)와 통신한다. 여기서, 서버 통신부(340)의 구성은 기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며, 그 통신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40 communicates with the smart switch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700 .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40 can be applied in various known forms, of cours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mmunication method.

관리대상 데이터베이스(3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300)를 통해 관리되는 독거노인, 노약자나 지체장애인과 같은 모니터링 대상인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이름, 나이, 주소, 연락처와 같은 기본 정보와, 이에 매칭되어 스마트 스위치(100)의 ID 등에 대한 정보, 그리고, 각각의 모니터링 대상인을 관리하는 사회복지사 등의 관리자 정보가 저장된다.In the management database 310, information about the monitoring target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elderly or physically disabled managed through the monitor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basic information such as name, age, address, and contac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ID of the smart switch 100 and the like, and manager information such as a social worker who manages each monitoring target are stored.

위급상황 인식부(320)는 서버 통신부(340)를 통해 스마트 스위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온/오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위급상황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위급상황 전파부(330)는 위급상황 인식부(320)에 의해 위급상황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따른 조치를 위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링 서버(300)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관리자에게 알람을 울리거나, 해당 모니터링 대상인을 관리하는 사회복지사 등의 관리자 단말기(500)로 위급상황 이벤트를 전송할 수 있다.The emergency recognition unit 320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event occurs based on the on/off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mart switch 10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40 . And, when an emergency event occurs by the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unit 320 , the emergency propagation unit 330 takes action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larm to an administrator performing monitoring in the monitoring server 300 . or transmit an emergency event to the manager terminal 500 such as a social worker who manages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target.

패턴 인식부(320)는 서버 통신부(340)를 통해 수신되는 온/오프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 전등(20)의 온/오프 패턴을 분석한다. 그리고, 패턴 분석부(350)는 실내 전등(20)의 온/오프 패턴에 기초하여 후술할 제1 기준 시간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터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pattern recognition unit 320 analyzes the on/off pattern of the indoor lamp 20 based on the on/off st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40 . In addition, the pattern analyzer 350 periodically updates a first reference time to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on/off pattern of the indoor lamp 20 ,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서버 제어부(360)는 서버 통신부(340), 위급상황 인식부(320), 위급상황 전파부(330), 패턴 인식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적 구성과 소프트웨어적 구성을 포함한다.The server control unit 360 includes a hardware configuration and a softwar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40, the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unit 320, the emergency situation propagation unit 330,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320, etc. .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대상인의 위급상황을 파악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 a process of identifying an emergency of a monitoring target in the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모니터링이 개시되면(S40), 스마트 스위치(100)는 실내 전등(20)의 온/오프가 전환될 때마다 온/오프 상태 신호를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는 실내 전등(2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First, when monitoring is started (S40), the smart switch 100 transmits an on/off state signal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whenever the on/off of the indoor light 20 is switched. Through this, the monitoring server 300 checks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20 .

여기서, 실내 전등(20)이 전환되어 온 상태인 경우(S41), 위급상황 인식부(320)는 실내 전등(20)이 온 상태로 전환된 후 기 설정된 제1 기준시간이 경과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 그리고, 위급상황 인식부(320)는 제1 기준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실내 전등(20)의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지 않는 경우, 즉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 서버 통신부(340)를 통해 실내 전등(20)을 오프시키기 위한 오프 신호를 스마트 스위치(100)로 전송한다(S43).Here, when the indoor light 20 is switched on (S41), the emergency recognizing unit 320 determines whether a preset first reference time has elapsed after the indoor light 20 is switched on. do (S42). And, when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20 is not switched, that is, when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amp 20 is not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until the first reference time elapses, the emergency recognizing unit 320 is configured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 340) to transmit an off signal for turning off the indoor light 20 to the smart switch 100 (S43).

오프 신호가 스위치 통신부(130)를 통해 스마트 스위치(100)에 수신되면, 스위치 제어부(110)는 오프 신호에 따라 실내 전등(20)을 오프시키게 된다. 이 경우, 만약 모니터링 대상인이 정상적인 상황에 있다고 가정하면, 실내 전등(20)이 갑자기 소등되는 상황이 발상한 것이므로 이를 다시 점등시킬 것이고, 위급상황이면 이를 다시 점등시키지 못하게 된다.When the off signal is received by the smart switch 100 through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130 , the switch control unit 110 turns off the indoor light 20 according to the off signal. In this case, if it is assumed that the subject to be monitored is in a normal situati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door light 20 is suddenly turned off has occurred, so it will be turned on again.

이에, 모니터링 서버(300)의 위급상황 인식부(320)는 기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이 경과될 때까지(S45), 스마트 스위치(100)로부터 온/오프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로 실내 전등(20)이 다시 점등(온)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4), 제2 기준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실내 전등(20)의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지 않으면 위급상황으로 인식하여 위급상황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위급상황 전파부(330)가 위급상황 이벤트를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전파하게 된다.(S46).Accordingly, the emergency recognizing unit 320 of the monitoring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on/off stat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mart switch 100 until the preset second reference time elapses (S45). 20) is again turned on (on) (S44), and if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amp 20 is not switched until the second reference time elapses, it is recognized as an emergency and an emergency event is generated. , the emergency propagation unit 330 propagates the emergency eve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S46).

마찬가지로, S41 단계에서 실내 전등(20)이 오프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위급상황 인식부(320)는 실내 전등(20)이 오프 상태로 전환된 후 기 설정된 제1 기준시간이 경과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Similarl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 that the indoor light 20 is in the off state, the emergency recognizing unit 320 determines whether a preset first reference time has elapsed after the indoor light 20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t is determined (S42).

여기서, 실내 전등(20)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될 때에 대한 제1 기준시간과, 실내 전등(20)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때에 대한 제1 기준시간이 상호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전등(20)이 화장실용 전등인 경우로 가정하면, 화장실의 경우 전등이 꺼져있는 상태가 길고, 켜져있는 상태가 짧다. 따라서, 제1 기준시간은 화장실용 전등이 꺼져 있다가 다시 켜지는 제1 기준시간은 켜져 있다가 다시 꺼지는 제1 기준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패턴 분석부(350)에 의해 분석된 실내 전등(20)의 온/오프 패턴에 따라 설정 가능하게 된다.Here, the first reference time for when the indoor light 20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and the first reference time for when the indoor light 20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r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b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indoor light 20 is a light for a bathroom, in the case of the bathroom, the off state is long and the on state is short. Accordingly, the first reference time may be set to be longer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in which the toilet light is turned off and then turned on again, which is longer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in which the light is turned on and then turned off again, which is analyzed by the pattern analysis unit 350 . It becomes possible to set according to the on/off pattern of the lamp 20 .

한편, 위급상황 인식부(320)는 제1 기준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실내 전등(20)의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지 않는 경우, 즉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 서버 통신부(340)를 통해 실내 전등(20)을 온시키기 위한 온 신호를 스마트 스위치(100)로 전송한다(S52).On the other hand, when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20 is not switched, that is, when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20 is not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the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unit 32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 340) transmits an ON signal for turning on the indoor light 20 to the smart switch 100 (S52).

온 신호가 스위치 통신부(130)를 통해 스마트 스위치(100)에 수신되면, 스위치 제어부(110)는 온 신호에 따라 실내 전등(20)을 온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모니터링 대상인이 정상적인 상황에 있다고 가정하면, 실내 전등(20)이 갑자기 점등되는 상황이 발상한 것이므로 이를 다시 소등시킬 것이고, 위급상황이면 이를 다시 소등시키지 못하게 된다.When the ON signal is received by the smart switch 100 through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130 , the switch control unit 110 turns on the indoor light 20 according to the ON signal. As described above, if it is assumed that the subject to be monitored is in a normal situati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door light 20 is suddenly turned on has occurred, so it will be turned off again, and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will not be turned off again.

이에, 모니터링 서버(300)의 위급상황 인식부(320)는 기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이 경과될 때까지(S54), 스마트 스위치(100)로부터 온/오프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로 실내 전등(20)이 다시 소등(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하고(S53), 제2 기준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실내 전등(20)의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지 않으면 위급상황으로 인식하여 위급상황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위급상황 전파부(330)가 위급상황 이벤트를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전파하게 된다.(S46).Accordingly, the emergency recognizing unit 320 of the monitoring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on/off stat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mart switch 100 until the second preset time period elapses (S54). 20) is turned off (off) again (S53), and if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20 is not switched until the second reference time elapses, it is recognized as an emergency and an emergency event is generated. , the emergency propagation unit 330 propagates the emergency eve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S46).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거실이나 화장실과 같은 실내 전등(20)을 온/오프하는 스마트 스위치(100)의 온/오프 전환 상태를 이용하여 제1 기준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지 않을 때를 1차적인 위급상황으로 인지하고, 모리터링 서버에서 온/오프 상태를 강제로 전환시켜 독거노인 등이 이를 재전환하는지 여부에 따라 위급상황을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급상황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n/off state is maintained until the first reference time elapses by using the on/off switching state of the smart switch 100 that turns on/off the indoor light 20 such as a living room or a bathroom. By recognizing when the transition does not occur as a primary emergency, and by forcibly switching the on/off state in the monitoring server, the emergency situation is judged according to whether the elderly living alone, etc. it becomes possible

또한, 기존의 실내 전등(20)은 그대로 두고, 전등 스위치 만을 스마트 스위치(100)로 교체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스템 구축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단지 온/오프 상태가 전환될 때만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위급상황의 파악을 위해 단지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 만을 전송함으로써, 통신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existing indoor light 20 is left as it is, and only the light switch is replaced with the smart switch 100 to enable monitoring,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system construction cost. In particular, by transmitting ON/OFF status information only when ON/OFF status is switched, and only transmitting ON signal or OFF signal to identify an emergency, the cost of communica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그리고, 독거노인 등이 전등을 온/오프시키는 패턴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온/오프 패턴을 분석하여 이를 제1 기준 시간에 반영함으로써, 모니터링 대상의 생활 패턴에 맞는 보다 정확한 위급상황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by continuously collecting pattern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o turn on/off lights, analyzing the on/off patterns, and reflecting them in the first reference time, it is possible to make more accurate emergency judgments according to the living pattern of the monitoring target. do.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may be made to thes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실내 공간 20 : 실내 전등
100 : 스마트 스위치 110 : 스위치 제어부
210 : 온/오프 스위치 130 : 스위치 통신부
140 : 온도센서 150 : 습도센서
300 : 모니터링 서버 310 : 관리대상 데이터베이스
320 : 위급상황 인식부 330 : 위급상황 전파부
340 : 서버 통신부 350 : 패턴 분석부
360 : 서버 제어부 500 : 관리자 단말기
700 : 통신망
10: indoor space 20: indoor light
100: smart switch 110: switch control unit
210: on/off switch 130: switch communication unit
140: temperature sensor 150: humidity sensor
300: monitoring server 310: managed database
320: emergency situation recognition unit 330: emergency situation propagation unit
340: server communication unit 350: pattern analysis unit
360: server control unit 500: administrator terminal
70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6)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모니터링 대상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 전등을 제어하는 스마트 스위치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 공간 내의 모니터링 대상인의 위급상황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실내에 설치된 실내 전등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온/오프 스위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와 통신하는 스위치 통신부와,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온/오프 상태 신호를 상기 스위치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스위치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온 신호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 전등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온/오프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기 설정된 제1 기준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지 않은 경우, 온/오프 상태의 전환을 위한 상기 온 신호 또는 상기 오프 신호를 상기 스마트 스위치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제2 기준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상태가 재전환되지 않는 경우, 위급상황 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In the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A smart switch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to be monitored to control the indoor light;
a monitoring server connected to the smart switch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monitor whether a person to be monitored in the indoor space is in an emergency;
The smart switch
An on/off switch for switching on/off of an indoor light installed in the room;
a switch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 on/off stat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and the indoor ligh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on signal or an of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witch communication unit. and a switch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n/off switch so as to be possible;
The monitoring server monitors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based on the on/off st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switch, and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is switched even when a preset first reference time elapses If not, the on/off signal for switching the on/off stat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switch, and the on/off state of the indoor light is not re-switched even after a preset second reference time elapses , a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n emergency ev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급상황 이벤트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manag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onitoring server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nitoring server is a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event to the manag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스위치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온/오프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위급상황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위급상황 인식부와;
상기 위급상황 인식부에 의해 상기 위급상황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위급상황 이벤트를 전송하는 위급상황 전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nitoring server
a serve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switch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 emergency recogni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mergency event has occurred based on the on/off st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nd an emergency propag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emergency event to the manager terminal when the emergency event occurs by the emergency recogni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온/오프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전등의 온/오프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온/오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 시간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패턴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Based on the on/off stat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the on/off pattern of the indoor light is analyzed, and a pattern analysis unit configured to periodically update the first reference time based on the on/off pattern.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위치는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를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switch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It further comprises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The switch control unit is a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a smart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ed by the humidity sensor are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시간은 상기 실내 전등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될 때에 대한 시간과, 상기 실내 전등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때에 대한 시간이 상호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한 원격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ference time is a smart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when the indoor light is switch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and the time when the indoor light is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r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Remote emergency monitoring system using
KR1020190108050A 2019-09-02 2019-09-02 Remote emergency situation monite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 KR102277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50A KR102277224B1 (en) 2019-09-02 2019-09-02 Remote emergency situation monite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050A KR102277224B1 (en) 2019-09-02 2019-09-02 Remote emergency situation monite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77A KR20210026777A (en) 2021-03-10
KR102277224B1 true KR102277224B1 (en) 2021-07-14

Family

ID=7514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050A KR102277224B1 (en) 2019-09-02 2019-09-02 Remote emergency situation monite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2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404B1 (en) * 2021-04-07 2021-10-19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f death alone using smart plu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637A (en) * 2015-05-13 2016-11-23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Monitoring sysyem,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on/off of home appliance
KR101733469B1 (en) * 2015-10-21 2017-05-25 주식회사 보탬 Smart switch system
KR20170077760A (en) * 2015-12-28 2017-07-06 이지세이버 주식회사 System for smart home and smart office using smart switch and smart outlet
KR102035614B1 (en) * 2017-11-10 2019-10-23 김태정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independent persons by using motion sensor and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77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331B2 (en) Monitoring activity of an individual
CA2635229C (en) Rule base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y of an individual
US9412251B2 (en)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inactive behavior of a monitored pers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0792014B1 (en) Circumstances Realtime Monitoring System Based on USN
JP2000090366A (en) Living behavior remote confirmation device and living behavior remote confirmation system
JP2004164282A (en) Personal behavior detection system
KR20180057368A (en) Remote management system using living patterns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KR102035614B1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independent persons by using motion sensor and lamp
WO2016175109A1 (en)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program, and monitoring system
KR102277224B1 (en) Remote emergency situation monitering system using smart switch
KR102231183B1 (en) Learning based life pattern recognition and monitoring of living alone system with IoT network
JPH10257204A (en) Remote daily behavior confirmation device and system
WO2020219260A1 (en) Power-saving sensor
KR102470807B1 (en)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monitoring service for situation detection
WO2017104321A1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101997225B1 (en)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irm people
KR20210066453A (en) Data acquisition and situation recognition system based on smart clothes station for those who have physical weakness
KR102568803B1 (en) Emergency notification call system for care for the elderly
JP6659890B1 (en) Security system
KR202200764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all detections
KR20230055572A (en) Emergency situation sensing system and emergency situation sensing method
JP2020170271A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method, and program
WO2023139041A1 (en) A method of controlling a fall detection system and a fall detection system
WO2024037930A1 (en) A method of and a device for operating a fall detection system and a fall detection system
KR20220115637A (en) Guidance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