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090B1 -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090B1
KR102277090B1 KR1020200144113A KR20200144113A KR102277090B1 KR 102277090 B1 KR102277090 B1 KR 102277090B1 KR 1020200144113 A KR1020200144113 A KR 1020200144113A KR 20200144113 A KR20200144113 A KR 20200144113A KR 102277090 B1 KR102277090 B1 KR 10227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bial particles
water
distribution tank
plate
solid 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현
옥경용
Original Assignee
정관현
옥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현, 옥경용 filed Critical 정관현
Priority to KR1020200144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B01F15/02
    • B01F15/04
    • B01F15/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15/0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44Mixing of ingredients for microbiology, enzymology, in vitro culture or genetic manipulation
    • B01F2215/00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미생물 입자들이 하향 공급될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정량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되는 상기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하향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를 포함하는 이송투입부;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수용하는 분배탱크; 상기 분배탱크 내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분배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과 상기 이송투입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혼합하는 믹싱펌프; 및 상기 분배탱크에 수용되어 혼합된 미생물 용액을 공급관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분배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량의 고형의 미생물을 액상으로 혼합할 수 있도록 이송하는 이송투입부를 구비하여 물과 혼합함으로써 정량의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고, 액상 혼합에 필요한 물에 의하여 염화나트륨을 주 원료로서 포함하는 고형의 미생물이 굳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미생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Supply device of quantitative microorganism}
본 발명은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상의 미생물을 일정량의 액상의 미생물 형태로 변환 공급하는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토양 및 지하수에 자연 상태에는 존재하지 않은 다량의 유기화합물이 오염원으로 잔류하고 있다. 지하수와 토양은 지표수와 대기와 달리 운반성이 나쁘고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지 하수 오염과 토양 오염은 장기적이며 범지역적인 경향을 띤다. 따라서 초기에 지하수 오염 및 토양 오염을 해결하여야 하는데, 지하수 오염 및 토양 오염을 처리하는 데는 상당한 기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국내외에서 대표적인 지하수 오염 물질로는 석유계 총-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벤젠 (benzene), 톨루엔(toluene), 에틸벤젠(ethyl benzene) 및 자일렌(xylene)을 지칭하는 BTEX, 염소화 지방족 탄 화수소(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 CAHs) 등을 들 수 있다.
오염 지역을 정화, 제거하기 위한 방법은 처리 방법에 따라 i) 토양 세정(Soil Flushing), 토양 증기 추출 (Soil Vapor Extraction), 용제 추출(Solvent Extraction)과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 ii) 유리화 (Vitrification), 소각(Incineration), 고온 열-탈착(High-Temperature Thermal Desorption)과 같은 열적 처리 방법, iii) 생물학적 분해(Biodegradation), 생물주입배출(Bioventing), 토양경작(Land-framing)과 같은 생물 학적 처리 방법으로 구분된다.
오염 지역을 정화, 제거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도 최근에는 가장 에너지가 적게 들며 저비용으로 토양 또는 지하 수의 오염 물질을 제거, 정화하는 방법으로서,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원래의 자연 상태로 복귀시키는 생물복원 (Bioremediation)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생물복원에 의한 오염물질의 정화란 오염 지역에 잔류하는 유기화 합물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탄산가스, 메탄, 수분, 무기염 및 바이오가스 등과 같은 무해한 물질로 분해하고, 무기물을 안전한 물질로 변화, 안정화시켜 단순한 구조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정화 방법은 부작용이 없고, 정화를 위해 투여된 미생물 역시 다른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순환되는 등 다른 처리 방법에 비하여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오염 부지의 토양 및 지하수 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생물학적 과정을 이용하여 생태계 자체의 환경 기능을 촉진시키는 친환경적 환경복원 방법으로 자연저감 기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자연저감 기법은 오염된 토양 또는 부 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환경오염 물질 분해 능력을 활용하여 인위적인 처리 없이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 물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한편, 반도체 공정, 금속세정 공정, 드라이클리닝 등에 사염화에틸렌(perchloroethylene, PCE)이나 삼염화에틸렌(trichloroethylene, TCE) 등과 같은 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CAHs)로 대표되는 염소계 유기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염소계 유기화합물은 가장 흔한 환경오염 물질의 하나로서, 공단 지역이나 도시 주거 지역 주변의 지하수나 토양은 기준치를 초과하는 농도의 염소계 화합물로 오염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염소계 유기화합물로 오염된 토양이나 지하수를 생물학적 복원 방법으로 무해한 산물로 분해하는 생물학적 처리 공정은 혐기성 공정과 호기성 공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혐기성 공정 중에서도 혐기성 환원적 탈염소화 (Anaerobic Reductive Dechlorination, ARD) 공정이 가장 경제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ARD 공정은 산소가 존재 하지 않는 혐기성 조건에서 PCE 등의 염소계 유기화합물을 분해하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염소 이온과 수소 이온이 치환되면서 TCE, cis-1,2-이염화에틸렌(cis-2-dichloroethylene, c-DCE) 및/또는 trans-1,2-이염화에틸 렌(trans-1,2-dichloroethylene, t-DCE)과 같은 DCE, 염화비닐(Vinyl chloride, VC)로 순차적으로 환원되어 인체에 무해한 에틸렌(ethylene, EC)까지 환원된다.
이와 같이 염소계 유기화합물을 생물학적 방법으로 분해하는 탈염소화 공정을 위해서는 해당 공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이 오염 현장에 존재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공급하여야 하며, 해당 미생물의 성장을 위한 적절한 기질을 공급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미생물의 투입은 정해진 용법에 따라 정량이 이루어져야 하며, 고상의 미생물 입자는 정량의 투입이 어렵기 때문에 물과 혼합하여 액상으로 투입하게 되며, 이러한 정량 투입 장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고형의 미생물을 액상으로 혼합하여 정량을 투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 혼합에 필요한 물에 의하여 고형의 미생물이 굳게 됨으로써 투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 자체로서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을 최소화하여 미생물의 투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미생물 입자들이 하향 공급될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정량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되는 상기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하향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를 포함하는 이송투입부;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수용하는 분배탱크; 상기 분배탱크 내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분배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과 상기 이송투입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혼합하는 믹싱펌프; 및 상기 분배탱크에 수용되어 혼합된 미생물 용액을 공급관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분배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퍼 및 상기 이송투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하는 제1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는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이 상기 토출구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복사 방식으로 상기 경사면을 가열하는 제2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탱크로부터 잔여 물 또는 액상의 미생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탱크 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의 미생물 입자는 염화나트륨을 주원료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투입부는, 상기 토출구가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가 고정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투입구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이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투입부는, 상기 토출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토출 미생물 입자 수용부; 상기 토출 미생물 입자 수용부로부터 상기 투입구 측으로 연장되는 이송튜브; 및 상기 입자 수용부로부터 상기 이송튜브를 통하여 상기 투입구의 상부까지 구비되고, 회전하여 상기 입자 수용부 내의 고형의 미생물을 상기 투입구 측으로 이송하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 입자의 투입 시 개방되고, 미 투입 시 폐쇄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량의 고형의 미생물을 액상으로 혼합할 수 있도록 이송하는 이송투입부를 구비하여 물과 혼합함으로써 정량의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 혼합에 필요한 물에 의하여 염화나트륨을 주 원료로서 포함하는 고형의 미생물이 굳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미생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을 최소화하여 고형의 미생물이 굳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투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투입장치의 일 구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투입장치의 일 구성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미생물 투입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투입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투입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투입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투입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투입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투입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10)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를 투입한 후 이를 물과 혼합된 액상형태로 정량을 투입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10)는 호퍼(100), 이송투입부(200), 분배탱크(300) 등을 포함한다.
호퍼(100)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미생물 입자들이 하향 공급될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된다. 이송투입부(200)는 토출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정량 이송시켜서 분배탱크(300) 내로 투입한다. 분배탱크(300)는 투입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수용하고, 물공급부로부터 급수밸브(4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동시에 수용하는 내측 공간부를 형성한다. 급수밸브(400)는 물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정량 공급되도록 정량 솔레노이드 밸브 타입으로 구비할 수 있다.
믹싱펌프(310)는 분배탱크(300)에 구비되어 수용되는 물과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혼합한다. 제3 히터(320)는 물과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의 혼합용액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배펌프(500)는 분배탱크에 수용되어 혼합된 미생물 용액을 별도의 공급관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한다. 수준센서(330)는 분배탱크 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한다. 드레인부(drain)는 분배탱크로부터 잔여 물 또는 액상의 미생물을 외부로 배출하며, 수동 방식의 드레인 밸브(600)를 개폐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고형의 미생물 입자는 염화나트륨을 주원료로 포함한다. 따라서 적은 습기에도 굳게 되어 호퍼(100)로부터 정상적인 공급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열 전도방식의 제1 히터(미도시)를 호퍼(100) 및 이송투입부(200)에 구비하여 가열함으로써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별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투입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투입장치의 일 구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투입장치의 일 구성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미생물 투입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투입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투입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호퍼(100)는 개폐형 커버를 손잡이(103) 등을 이용하여 개폐하여 수동으로 고형의 미생물 입자를 투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관찰창(101)을 통하여 잔여 고형 미생물 입자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호퍼(100)의 하부에는 이송투입부(200)가 구비되어 상술한 분배탱크(300)로 고형 미생물 입자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0)의 하부에는 토출구(109)가 구비되어 호퍼(100) 내부에 수용된 고형의 미생물 입자가 하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토출구(109)에 인접한 위치에는 호퍼(100) 내부의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이 토출구(109) 측으로 미끌어져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경사면(104)이 형성된다. 이 때 경사면(104)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0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열복사 방식으로 경사면(104)을 가열하는 제2 히터(107)를 포함하여 호퍼(100)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이송투입부(200)는 토출구(109)를 통하여 토출된 고형의 미생물 입자를 정량만큼 투입구(209) 측으로 이동시켜서 상술한 분배탱크(3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이송투입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10), 회전 플레이트(220) 및 제2 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210)는 토출구(109)가 고정되고, 제2 플레이트(230)는 제1 플레이트(210)와 평행하게 구비되고, 투입구(209)가 고정된다. 이 때 토출구(109)와 투입구(209)는 서로 수직방향으로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토출구(109)와 투입구(209)가 수직방향에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회전플레이트(22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연속적인 통로를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회전 플레이트(220)는 회전축(235)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플레이트(220)의 외측 에지에는 기밀부(2209)가 구비되어 회전 플레이트(220)의 제1 수용홈(221a)과 제2 수용홈(221b)이 외부로부터 기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플레이트(22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 수용홈(221a) 및 제2 수용홈(221b)이 형성된다. 제1 수용홈(221a) 및 제2 수용홈(221b)은 회전 플레이트(220) 회전 시에 일정한 궤도를 일주하는 방식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1 수용홈(221a) 및 제2 수용홈(221b)는 각각 번갈아 토출구(109) 및 투입구(209)의 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즉, 제1 수용홈(221a)은 회전함에 따라 토출구(109)의 하부에 위치하여 호퍼(100)의 내부에 있던 고형의 미생물 입자를 제1 수용홈(221a)의 내측으로 수용한다. 이후 회전 플레이트(220)가 회전하여 제1 수용홈(221a)이 투입구(209)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1 수용홈(221a) 내부에 수용된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이 투입구(209)를 통하여 낙하하게 되고, 낙하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은 상술한 분배탱크(300)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작동과정은 제2 수용홈(221b)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한편, 제1 수용홈(221a) 및 제2 수용홈(221b)의 용적은 한번에 투입될 고형의 미생물 입자의 용량에 해당한다. 제1 수용홈(221a) 및 제2 수용홈(221b)과 같이 2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1개 또는 복수의 수용홈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출구(109)와 투입구(209)의 위치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 즉 서로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 플레이트(220)의 제1 수용홈(221a) 및 제2 수용홈(221b)가 서로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을 가정할 경우 도 5의 경우에는 90도 마다 제1 수용홈(221a) 및 제2 수용홈(221b)이 토출구(109)와 투입구(209)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완전히 폐쇄되는 상태가 번갈아 형성되며, 도 6의 경우에는 회전 플레이트(220)가 90도 회전할 때 마다 제1 수용홈(221a) 및 제2 수용홈(221b) 중 어느 하나가 토출구(109)와 투입구(209)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고상의 미생물 입자가 수용 및 투입 상태가 번갈아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회전 플레이트(220)의 회전상태에 따라 투입구(209)의 상태가 개방되거나 폐쇄됨으로써 투입구(209)를 개폐하는 구성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생물 입자의 미 투입 시 투입구(209)를 폐쇄하기 위한 구성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풀리(237)는 상술한 회전축(235)와 연결되며, 모터(290)와 구동밸트(2371) 등으로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투입부를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투입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송투입부는 다른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투입부(200a)는 토출 미생물 입자 수용부(221c), 이송튜브(224) 및 스크류(220a) 등을 포함한다.
토출 미생물 입자 수용부(221c)는 토출구(109)의 하부에 위치하여 토출구(109)로부터 토출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송 튜브(224)는 토출 미생물 입자 수용부(221c)로부터 투입구(230) 측으로 연장되어 고형의 미생물 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스크류(220a)는 입자 수용부(221c)로부터 이송튜브(224)를 통하여 투입구(230)의 상부까지 이르도록 구비된다. 스크류(220a)는 제2 풀리(235a)와 연결되며, 제2 풀리(235a) 등이 모터 등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입자 수용부(221c) 내의 고형의 미생물을 투입구(230)의 상부로 이송한다. 이 때 투입구(230)에는 개폐부(239)를 구비할 수 있다. 개폐부(239)는 이송튜브(224)의 단부에서 고형의 미생물 입자가 낙하하는 경우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폐부(239)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 미 투입 시에는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투입구(230)를 통하여 분배튜브(300) 내의 습기가 이송투입부(200a)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앞서 설명한 모터(290), 회전 플레이트(220) 및 개폐부(239) 등을 제어하여 정량의 미생물 입자를 공급하거나, 습기를 차단하기 위한 작동을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100)의 기타 구성부들을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투입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퍼(100)는 도 4의 제2 히터(107)와 진동부(105)를 대체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호퍼(100)는
제2 모터(107a)와 호퍼(100) 내측의 공간부에 구비되고 상술한 제2 모터(107a)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경화방지부(1081)를 포함한다. 경화방지부(1081)는 제2 모터(107a)와 연결되는 회전축으로부터 복수개로 분기되는 바 형상들을 포함하여 제2 모터(107a)의 회전 시 호퍼(100) 내부에 수용된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휘젓는다. 또한 제2-1 가열부(108)를 포함한다. 제2-1 가열부(108)는 제2 모터(107a)에 연결되는 회전축을 가열하여 경화방지부(1081)에 열을 전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졍화방지부(1081)는 호퍼(100) 내부의 고형의 미생물 입자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고 굳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
100: 호퍼
200: 이송투입부
300: 분배탱크
310: 혼합펌프
320: 제3 히터
330: 수준센서
400: 급수밸브
500: 공급밸브
600: 드레인 밸브

Claims (12)

  1.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미생물 입자들이 하향 공급될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상기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정량 이송시키고, 이송되는 상기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하향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구를 포함하는 이송투입부;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수용하는 분배탱크;
    상기 분배탱크 내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상기 분배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과 상기 이송투입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을 혼합하는 믹싱펌프; 및
    상기 분배탱크에 수용되어 혼합된 미생물 용액을 공급관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분배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는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고형의 미생물 입자들이 상기 토출구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호퍼 및 상기 이송투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하는 제1 히터와, 열복사 방식으로 상기 경사면을 가열하는 제2 히터와, 상기 분배탱크 내에 구비되어 가열하는 제3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투입부는,
    상기 토출구가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가 고정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이 형성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투입구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이 상기 토출구 및 상기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외곽 둘레에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기밀을 형성하는 기밀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퍼는,
    상기 호퍼의 내부에 복수개로 분기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화방지부;
    상기 경화방지부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로부터 상기 경화방지부로 연결되는 회전축을 가열시키는 제2-1 가열부;를 포함하는 미생물 정량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미생물 정량 공급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탱크로부터 잔여 물 또는 액상의 미생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미생물 정량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탱크 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준센서;를 포함하는 미생물 정량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는 미생물 정량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의 미생물 입자는 염화나트륨을 주원료로 포함하는 미생물 정량 공급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44113A 2020-11-02 2020-11-02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 KR10227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13A KR102277090B1 (ko) 2020-11-02 2020-11-02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13A KR102277090B1 (ko) 2020-11-02 2020-11-02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090B1 true KR102277090B1 (ko) 2021-07-14

Family

ID=7686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113A KR102277090B1 (ko) 2020-11-02 2020-11-02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0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019A (ko) * 1997-05-12 1998-12-05 윤만호 분말입자 용해장치
KR101165675B1 (ko) * 2011-11-17 2012-07-16 (주)에스지알테크 교반조가 구비된 미생물제제 살포장치
KR20150051703A (ko) * 2013-11-05 2015-05-13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작은 입자 약제 정량 배출 장치 및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시스템
KR20190022942A (ko) * 2010-01-20 2019-03-06 질레코 인코포레이티드 공급원료의 분산 및 재료의 가공처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019A (ko) * 1997-05-12 1998-12-05 윤만호 분말입자 용해장치
KR20190022942A (ko) * 2010-01-20 2019-03-06 질레코 인코포레이티드 공급원료의 분산 및 재료의 가공처리
KR101165675B1 (ko) * 2011-11-17 2012-07-16 (주)에스지알테크 교반조가 구비된 미생물제제 살포장치
KR20150051703A (ko) * 2013-11-05 2015-05-13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작은 입자 약제 정량 배출 장치 및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ms et al. In Situ Bioremediation of Contaminated Ground Water 1
KR100830565B1 (ko) 오염토양 정화 장치 및 방법, 그에 사용되는 예열 건조기 및 로터리 킬른
US20190381544A1 (en) Systems, methods and treatment cells for rehabilitating and valorizing a soil
US5217617A (en) Multi-cell transportable bioslurry reactor
Mulder et al. Prediction of complete bioremediation periods for PAH soil pollutants in different physical states by mechanistic models
Sheng et al. A mobile, modular and rapidly-acting treatment system for optimizing and improving the removal of non-aqueous phase liquids (NAPLs) in groundwater
KR102277090B1 (ko) 미생물 정량 투입장치
KR101691425B1 (ko) 유류오염 지하수의 물리적 및 화학적 복합정화시스템
JP3538643B1 (ja) 汚染された土壌、地下水或いは底質土の修復に使用する添加剤
KR100288578B1 (ko) 쓰레기 매립장 정비 및 복원에 있어서 선별과 토양정화 방법
Ayen et al. Thermal desorption
Hamadani et al. Global scenario of remediation techniques to combat environmental pollution
Brubaker et al. In situ bioremediation of aquifers containing polyaromatic hydrocarbons
Chien et al. Development of a four-phase remedial scheme to clean up petroleum-hydrocarbon contaminated soils
CN205442858U (zh) 臭氧气浮循环处理装置
KR101496704B1 (ko) 하이브리드 열탈착 장치
Kampbell et al. Bioremediation of chlorinated solvents in the vadose zone
Wang Site remediation and groundwater decontamination
Oleszkiewicz et al. Groundwater contamination with trichloroethylene: The problem and some solutions—A review
Shorthouse The Combination of High-Intensity Soil Washing and Bioremediation in the Decontamination of Petroleum-Polluted Soils
Goltz et al. Field Experiments Using In Situ Bioremediation to Treat Trichloroethylene (TCE)-Contaminated Groundwater
JP2011131127A (ja) 廃棄有機物の低温磁気分解処理装置
KR0170626B1 (ko) 오염 토양의 생물학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Anderson et al. Remedial alternatives for agricultural contamination
Hartman Remediation process uses dairy, ye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