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958B1 - 부상(浮上)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상(浮上)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958B1
KR102276958B1 KR1020210006990A KR20210006990A KR102276958B1 KR 102276958 B1 KR102276958 B1 KR 102276958B1 KR 1020210006990 A KR1020210006990 A KR 1020210006990A KR 20210006990 A KR20210006990 A KR 20210006990A KR 102276958 B1 KR102276958 B1 KR 102276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support
injury prevention
membrane structure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미
Original Assignee
임순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순미 filed Critical 임순미
Priority to KR102021000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상(浮上)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멤브레인 지지대가 결합 또는 연장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이 배열을 갖추어 전체 뼈대를 이루며, 멤브레인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지지대의 상측으로 결속되어 천장을 이루는 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프레임 사이에서 구비되어 상기 멤브레인의 부상(浮上)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 방지부는, 서로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길이를 가지며,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와 연결되고, 양단에는 결속부재가 마련되는 보조 지지대; 상기 멤브레인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지지대의 길이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삽입 포켓 및 상기 복수의 삽입 포켓을 따라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결속부재에 각각 결속되는 부상 방지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상(浮上)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Membrane structure with enhanced rising prevent function}
본 발명은 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멤브레인이 부상(浮上)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구조물은, 여러 개의 지지대를 세우고 그 위에 멤브레인(Membrane)을 설치하여 그늘이나 차양을 만들어 줌으로써 햇빛이나 눈,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막구조물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막구조물은,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 지지대(11)와, 기초 지지대(11)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멤브레인 지지대(12)로 프레임(10)을 이루고, 프레임(10)이 배열되어 형성된 복수의 멤브레인 지지대(12)에 멤브레인(20)을 결속시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막구조물은, 크게는 폭이 40m에 이를 정도로 매우 크며, 주로 야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종래의 막구조물은 프레임(10)만으로 멤브레인(20)을 지탱하기 때문에 멤브레인(20)과 프레임(10)간의 연결부가 파손될 경우 멤브레인(20)이 부상(浮上)하였고, 그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이나 시설물 등으로 날라가 피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막구조물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구조물 내부에 기초 지지대(11) 등을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더 세우고, 더 세워진 기초 지지대(11)를 막구조물과 연결하여 바람에 의한 멤브레인(20)의 부상(浮上)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막구조물의 형태는, 기초 지지대(11)를 더 필요로 하는 구조로서, 기초 지지대(11)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큰 강관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부피와 무게 등을 많이 차지하여 운반과 설치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멤브레인(20)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기초 지지대(11)를 막구조물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보강하게 되면 외관상 미려하지 않고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며, 다양한 구조의 막구조물을 설치하는 데 제약을 받고, 막구조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부딪칠 위험이 많아지게 된다.
그렇다고, 기초 지지대(11)를 모서리를 따라서만 보강하여 설치하게 되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중심부는 여전히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도록 노출되어 있고, 멤브레인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식의 부상 방지 기능을 갖춘 막구조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기초 지지대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포켓과 케이블을 이용하여 부상 방지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막구조물의 사용 공간으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하고, 위험성이 적고 효율적이면서도 강하게 부상 방지 기능을 할 수 있는 막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은,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멤브레인 지지대가 결합 또는 연장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이 배열을 갖추어 전체 뼈대를 이루며, 멤브레인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지지대의 상측으로 결속되어 천장을 이루는 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프레임 사이에서 구비되어 상기 멤브레인의 부상(浮上)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 방지부는, 서로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길이를 가지며,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와 연결되고, 양단에는 결속부재가 마련되는 보조 지지대; 상기 멤브레인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지지대의 길이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삽입 포켓 및 상기 복수의 삽입 포켓을 따라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결속부재에 각각 결속되는 부상 방지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멤브레인에 구비되는 스키드와 연결되고, 스키드는 상기 부상 방지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구조물은, 상기 부상 방지 케이블의 일단 또는 양단을 신장 또는 신축시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멤브레인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십자(+)형태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상응하는 십자(+)형태의 제2 체결홀이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마주하는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로 삽입되는 고정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중공부를 마련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몸체 및 상기 부상 방지 케이블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몸체 중공부로 삽입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포켓은, 서로 연결되어 멤브레인 상면과 하면을 교차 관통하며 양단에는 당김부가 마련되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 포켓으로 형성되어, 당김부를 통해 당길 경우 탄성 포켓이 삽입된 부상 방지 케이블을 멤브레인과 밀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구조물은, 상기 보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부상 방지 케이블과 연결되는 권취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 장치는, 상기 멤브레인의 적설량 또는 우량을 판단하는 측량 센서와 연동되어, 설정 기준치 이상의 적설량 또는 우량이 감지될 경우 권선과 권취 작동을 반복하여 멤브레인에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은, 기초 지지대와 멤브레인 지지대로 구성되는 프레임의 부가나 축소 없이도 용이하게 멤브레인의 부상을 방지할 수가 있어, 제조 비용, 운반 비용, 유지 보수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가용 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은, 외관상 미려함을 가지면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은, 기설치된 막구조물에도 활용될 수 있는 범용성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은, 장력 조절부를 통해 장력 조절이 용이하여 각종 상황에 맞춘 멤브레인의 팽창 정도의 조절이 가능한 유연성을 지닌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막구조물 일례이다.
도 2는 부상 방지 기능을 갖는 종래 막구조물의 일례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의 일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장력 조절부가 마련된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장력 조절부의 분해도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도 5의 장력 조절부의 작동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삽입 포켓이 탄성 포켓으로 마련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 및 (b)는 도 8의 탄성 포켓의 작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구성인 권취 장치의 설치 예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막구조물 일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막구조물은 기초 지지대(11)와 멤브레인 지지대(12)가 하나의 프레임(10)을 이루고, 이 프레임(10)이 배열을 갖추어 막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전체 뼈대를 이루며, 멤브레인(20)이 뼈대로 갖춰진 프레임(10) 배열에 멤브레인 지지대(12)의 상측으로 결속되어 천장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초 지지대(11)는 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수직상으로 길이를 형성하거나 경사지도록 길이를 형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멤브레인 지지대(12)는 기초 지지대(11)의 상단부에서 기초 지지대(11)와 결합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기초 지지대(11)는 하나의 프레임(10) 기준으로 하나 또는 둘이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셋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멤브레인 지지대(12)는 기초 지지대(11)의 상단부에서 기초 지지대(11)에 직결 또는 브라켓 등을 매개로 기초 지지대(11)와 결합될 수도 있고, 한편으론 기초 지지대(11)와 일체를 이루도록 기초 지지대(11)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이때, 연장은 기초 지지대(11)의 제조 시 사출 등으로 함께 일체를 이루도록 제조될 수도 있으나, 각기 제조되어 기초 지지대(11)에 용접 등으로 연접되어 연장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 지지대(12)는 일 프레임(10) 기준으로 마련된 기초 지지대(11)를 모두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초 지지대(11)가 2개가 마련되어 양측에 형성되는 경우, 멤브레인 지지대(12) 1개가 각각 양측에 마련된 기초 지지대(11)에 결합 또는 연결되어 하나의 프레임(10)을 이룰 수 있고, 기초 지지대(11)가 3개가 마련되어 삼각 배열로 형성되는 경우, 멤브레인 지지대(12)는 3개가 마련되어 삼각 배열의 기초 지지대(11)를 모두 연결하도록 프레임(10)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멤브레인 지지대(12)는 프레임(10)이 복수로 마련됨에 따라 함께 복수로 마련되어 멤브레인(20)이 천장을 이루도록 멤브레인(20)을 받치는 지지대로서, 멤브레인(20)이 보다 안정적인 아치형 구조를 이루도록 멤브레인 지지대(12) 또한 아치형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형, 경사형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초 지지대(11), 멤브레인 지지대(12)가 이루는 프레임(10)은 복수로 마련되어 다양한 배열을 이룰 수가 있다.
예컨대, 프레임(10)은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고, 서로 마주하는 십자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교차하거나 활대와 같이 곡선 반경을 그리며 배열될 수도 있고, 설명되지 아니한 다른 배열도 갖출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0)이 배열을 갖추면, 상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멤브레인 지지대(12)가 마련되는데, 복수의 멤브레인 지지대(12)를 통해 멤브레인(20)은 결속될 수 있고, 막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설명된 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막구조물에 있어서 부상 방지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의 일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의 부상 방지부(100)는 인접한 프레임(10) 사이에 구비되어 멤브레인(20)의 부상(浮上)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막구조물의 경우 크게는 폭이 40m에 이를 정도로 매우 크고, 주로 실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종래의 막구조물은 프레임(10) 만으로 멤브레인(20)을 지탱하는 구조를 지녀 멤브레인(20)과 프레임(10) 간의 연결부가 파손될 경우 멤브레인(20)이 부상(浮上) 되었고,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이나 시설물 등으로 날라가 피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구성되는 것으로, 부상 방지부(100)를 구성하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상 방지부(100)는 보조 지지대(110), 삽입 포켓(120) 및 부상 방지 케이블(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지지대(110)는 서로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이 일렬로 배열된 형태이면 보조 지지대(110)는 일렬로 배열된 프레임들 중 2개의 프레임(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보조 지지대(110)는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1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12)에 모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지지대(110)는 멤브레인 지지대(12)와의 연결을 연결대(112)를 결합하거나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연결 방식을 가질 수도 있으며, 연결대(112)는 강관이나 와이어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서 어느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보조 지지대(110)는 양단에 결속부재(115)가 마련될 수 있다. 결속부재(115)는 후술하는 부상 방지 케이블(130)이 결속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부상 방지 케이블(130)이 삽입될 삽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결속부재(115)는 보조 지지대(110)에 결합되거나, 보조 지지대(110)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보조 지지대(110)의 단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삽입 포켓(120)은 멤브레인(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20)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삽입 포켓(12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보조 지지대(110)의 길이를 따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삽입 포켓(120)은 멤브레인(20)의 하면에 구비되어 보조 지지대(110)와 멤브레인(20) 사이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부상 방지 케이블(130)은 멤브레인(20)을 따라 마련된 삽입 포켓(120)에 삽입될 수 있고, 양단부가 각각 결속부재(115)의 삽입구로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부상 방지부(100)는 보조 지지대(110)의 양단에 마련된 결속부재(115)에 부상 방지 케이블(130)의 양단이 결속되고, 부상 방지 케이블(130)은 삽입 포켓(120)을 통해 멤브레인(20)과 결속되어 있으므로, 멤브레인(20)이 부상(浮上)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결속부재(115)는 멤브레인(20)에 스키드(25)가 구비될 경우, 스키드(25)와도 연결되어 부상 방지 케이블(130)과 함께 이중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키드(25)는 부상 방지 케이블(130)과도 연결되어, 결속부재(115), 스키드(25) 및 부상 방지 케이블(130)이 서로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스키드(25)는 부채꼴 모양의 판체 2개가 겹쳐지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재로서, 그 사이로 멤브레인(20)의 모서리부가 삽입되어 멤브레인(20)과 결속될 수 있으며, 멤브레인(20)과 결속된 스키드(25)는 연결부재(30)를 통해 부상 방지 케이블(130)과 연결될 수 있고, 와이어 등의 연결 케이블(25a)이 돌출되어 결속부재(115)로 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는, 막구조물의 크기가 클수록 많은 프레임(10)을 설치해야 하는데 막구조물을 이루는 프레임(10)이 부피가 큰 강관으로 마련되어야 되기 때문에 값이 비싸면서도 제조와 운반 등이 쉽지 않을 수 있고, 그렇다고 프레임(10)을 조금 설치하기에는 지지력의 문제가 있을 수 있는 종래의 문제점에 대비하여, 프레임(10)의 부가나 축소를 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멤브레인의 부상을 방지할 수가 있어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더욱이, 구조적으로 이미 설치된 막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범용성이 매우 큰 장점을 지닌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은, 장력 조절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장력 조절부가 마련된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장력 조절부의 분해도이고, 도 7의 (a) 내지 (c)는 도 5의 장력 조절부의 작동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장력 조절부(200)는 부상 방지 케이블(130)의 일단 또는 양단을 신장 또는 신축시켜 장력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멤브레인(20)과 부상 방지 케이블(130)이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될 경우, 연결부재(30)가 장력 조절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장력 조절부(200)는 고정축(210), 회전축(220), 고정핀(230), 조절몸체(240) 및 조절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축(210)은 멤브레인(2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축으로, 멤브레인(20)이 스키드(25)를 구성할 경우 스키드(25)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체결되거나 스키드(25)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이때, 고정축(210)은 십자(+)형태의 제1 체결홀(215)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220)은 고정축(210)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축으로서, 고정축(210)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거나, 고정축(210)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고정축(210)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220)은 고정축(210)의 제1 체결홀(215)이 마련된 위치에 상응하는 높이로 제2 체결홀(22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체결홀(225) 또한 십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230)은 제1 체결홀(215)과 제2 체결홀(225)이 서로 마주할 때에 그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 고정축(210)에 대한 회전축(2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조절몸체(240)는 회전축(2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중공부를 마련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몸체(240)는 회전축(220)과는 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중공부는 조절몸체(240)의 길이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재(25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몸체(240)의 중공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조절부재(250)와 조절몸체(240)의 나사산은 서로 상응하도록 하나는 암나사산이며 다른 하나는 수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조절부재(250)는 조절몸체(240)에 대해 회전하며 전진하거나 후퇴할 수 있다.
이때, 조절부재(250) 내부에는 부상 방지 케이블(13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절부재(250)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면 부상 방지 케이블(130)가 신장되거나 신축되면서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조절몸체(240)와 연결된 회전축(220)을 회전시키고 고정핀(230)으로 고정시키면 연결된 부상 방지 케이블(130)을 꺾을 수도 있어 이중으로 장력을 조절할 수가 있다.
한편, 장력 조절부(200)는 조절부재(250)의 일단으로 마련되는 조절너트(260)와 타단으로 마련되는 스토퍼(2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조절너트(260)는 육각 등의 다각형태의 너트로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스토퍼(270)는 조절몸체(240)의 중공부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조절부재(250)가 조절몸체(2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으론, 스토퍼(270) 자리에 조절너트(260)를 마련하여 조절너트(260)가 스토퍼(270)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은, 상술한 삽입 포켓(120)이 스프링 형태의 탄성 포켓(300)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삽입 포켓이 탄성 포켓으로 마련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9의 (a) 및 (b)는 도 8의 탄성 포켓의 작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프링 형태의 탄성 포켓(300)은 복수의 삽입 포켓(120)이 모두 연결된 형태로서, 멤브레인(20)의 상면과 하면을 교차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멤브레인(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부상 방지 케이블(130)이 멤브레인(20) 상면 또는 하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형태의 탄성 포켓(300)은 양단에 당김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당김부(310)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 포켓(300)을 당기면 멤브레인(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기 돌출된 반경이 좁아지도록 할 수 있고, 반경이 좁아지면서 삽입된 부상 방지 케이블(130)이 멤브레인(20)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키드(25)나 결속부재(115) 등에는 당김부(310)를 당긴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미도시)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은, 권취 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 구성인 권취 장치의 설치 예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권취 장치(400)는 보조 지지대(110)에 설치되며, 부상 방지 케이블(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권취 장치(400)는 부상 방지 케이블(130)과는 와이어 등으로 연결되어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권취 장치(400)는 멤브레인(20)의 적설량 또는 우량을 판단하는 측량 센서(미도시)와 연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측량 센서(미도시)가 멤브레인(20)의 적설량 또는 우량을 판단할 시에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적설량 또는 우량이 감지될 경우, 권취 장치(400)로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고, 권취 장치(400)는 권선과 권취 작동을 반복할 수 있다.
권취 장치(400)가 권선과 권취 작동을 반복하면 멤브레인(20)에는 진동이 유발되어 눈이나 비 등이 털어지도록 할 수 있어, 다양한 기후 상황에도 막구조물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프레임
11 : 기초 지지대
12 : 멤브레인 지지대
20 : 멤브레인
25 : 스키드
25a : 연결 케이블
30 : 연결부재
100 : 부상 방지부
110 : 보조 지지대
112 : 연결대
115 : 결속부재
120 : 삽입 포켓
130 : 부상 방지 케이블
200 : 장력 조절부
210 : 고정축
215 : 제1 체결홀
220 : 회전축
225 : 제2 체결홀
230 : 고정핀
240 : 조절몸체
250 : 조절부재
260 : 조절너트
270 : 스토퍼
300 : 탄성 포켓
310 : 당김부
400 : 권취 장치

Claims (5)

  1.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멤브레인 지지대가 결합 또는 연장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이 배열을 갖추어 전체 뼈대를 이루며, 멤브레인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지지대의 상측으로 결속되어 천장을 이루는 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프레임 사이에서 구비되어 상기 멤브레인의 부상(浮上)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 방지부는,
    서로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길이를 가지며,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와 연결되고, 양단에는 결속부재가 마련되는 보조 지지대;
    상기 멤브레인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지지대의 길이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삽입 포켓 및
    상기 복수의 삽입 포켓을 따라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결속부재에 각각 결속되는 부상 방지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막구조물은,
    상기 부상 방지 케이블의 일단 또는 양단을 신장 또는 신축시켜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멤브레인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십자(+)형태의 제1 체결홀이 형성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상응하는 십자(+)형태의 제2 체결홀이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마주하는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로 삽입되는 고정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중공부를 마련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몸체 및
    상기 부상 방지 케이블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몸체 중공부로 삽입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멤브레인에 구비되는 스키드와 연결되고, 스키드는 상기 부상 방지 케이블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3. 삭제
  4.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멤브레인 지지대가 결합 또는 연장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이 배열을 갖추어 전체 뼈대를 이루며, 멤브레인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지지대의 상측으로 결속되어 천장을 이루는 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프레임 사이에서 구비되어 상기 멤브레인의 부상(浮上)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 방지부는,
    서로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길이를 가지며,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와 연결되고, 양단에는 결속부재가 마련되는 보조 지지대;
    상기 멤브레인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지지대의 길이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삽입 포켓 및
    상기 복수의 삽입 포켓을 따라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결속부재에 각각 결속되는 부상 방지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포켓은,
    서로 연결되어 멤브레인 상면과 하면을 교차 관통하며 양단에는 당김부가 마련되는 스프링 형태의 탄성 포켓으로 형성되어,
    당김부를 통해 당길 경우 탄성 포켓이 삽입된 부상 방지 케이블을 멤브레인과 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5. 지면에 고정되는 기초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멤브레인 지지대가 결합 또는 연장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이 배열을 갖추어 전체 뼈대를 이루며, 멤브레인이 상기 복수의 멤브레인 지지대의 상측으로 결속되어 천장을 이루는 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프레임 사이에서 구비되어 상기 멤브레인의 부상(浮上)을 방지하는 부상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 방지부는,
    서로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 사이에 마련되어 길이를 가지며, 인접한 멤브레인 지지대와 연결되고, 양단에는 결속부재가 마련되는 보조 지지대;
    상기 멤브레인에 형성되되, 상기 보조 지지대의 길이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삽입 포켓 및
    상기 복수의 삽입 포켓을 따라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결속부재에 각각 결속되는 부상 방지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막구조물은,
    상기 보조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부상 방지 케이블과 연결되는 권취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 장치는,
    상기 멤브레인의 적설량 또는 우량을 판단하는 측량 센서와 연동되어, 설정 기준치 이상의 적설량 또는 우량이 감지될 경우 권선과 권취 작동을 반복하여 멤브레인에 진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KR1020210006990A 2021-01-18 2021-01-18 부상(浮上)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KR102276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90A KR102276958B1 (ko) 2021-01-18 2021-01-18 부상(浮上)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90A KR102276958B1 (ko) 2021-01-18 2021-01-18 부상(浮上)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958B1 true KR102276958B1 (ko) 2021-07-12

Family

ID=7685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990A KR102276958B1 (ko) 2021-01-18 2021-01-18 부상(浮上)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5377B1 (ko) * 2023-12-04 2024-06-14 (주)엠엠스페이스 일체형텐션조절장치가 구비된 막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16Y1 (ko) * 2011-12-14 2012-12-10 권혁종 이중막 텐트의 내피 처짐 방지 조립구조
KR102066660B1 (ko) * 2019-02-15 2020-01-15 손영길 프레임의 호환성을 향상시킨 막 구조물
KR102123240B1 (ko) * 2020-02-13 2020-06-16 주식회사 엠테크 막구조 부상(浮上)방지 수단을 구비한 스마트 재인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16Y1 (ko) * 2011-12-14 2012-12-10 권혁종 이중막 텐트의 내피 처짐 방지 조립구조
KR102066660B1 (ko) * 2019-02-15 2020-01-15 손영길 프레임의 호환성을 향상시킨 막 구조물
KR102123240B1 (ko) * 2020-02-13 2020-06-16 주식회사 엠테크 막구조 부상(浮上)방지 수단을 구비한 스마트 재인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5377B1 (ko) * 2023-12-04 2024-06-14 (주)엠엠스페이스 일체형텐션조절장치가 구비된 막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09181T3 (es) Sistema de fijacion de un poste con base unica y metodo de montaje de dicho sistema.
US3909993A (en) Arch supported membrane structure
DK2773819T3 (en) Construction unit for immediate or permanent shelter
JP6490959B2 (ja) 水上設置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浮体係留装置
US6273115B1 (en) Wind and weather protective device in the form of a folding roof and/or partition
US5638851A (en) Modular shelter
US4192112A (en) Pliable awning system
US20100108113A1 (en) Aeroelastic canopy with solar panels
US20090056781A1 (en) Shelter System
WO2014166422A1 (en) A noise barrier and a method of costruction thereof
KR102115516B1 (ko) 케이블 고정식 태양광 패널 지지 구조
KR102276958B1 (ko) 부상(浮上) 방지기능이 강화된 막구조물
ES2775873T3 (es) Conjunto de seguimiento solar de un único eje y procedimiento de instalación de tal conjunto de seguimiento solar de un único eje
US4051638A (en) Removable enclosure for a swimming pool or the like
US6454340B1 (en) Collapsible top for child's vehicle, one-piece method of assembly and packaging design for storage and transport
EP3583279B1 (en) Inflatable beam and use of this inflatable beam
US8567424B2 (en) Tent and tent frame
US6843261B2 (en) Lightweight flexible frame for shelter structure
KR20080015200A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US5327927A (en) Tents for screening the sunlight
KR200429769Y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US2675769A (en) Contractile-expansible roof support
US20180195304A1 (en) Banner frame with anchor stakes
CN101868586A (zh) 具有杆定位器的帐篷
US1664922A (en) Support for overhead 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