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904B1 - 전기 스탠드 - Google Patents

전기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904B1
KR102276904B1 KR1020190053934A KR20190053934A KR102276904B1 KR 102276904 B1 KR102276904 B1 KR 102276904B1 KR 1020190053934 A KR1020190053934 A KR 1020190053934A KR 20190053934 A KR20190053934 A KR 20190053934A KR 102276904 B1 KR102276904 B1 KR 102276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upport bar
electric stand
tube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478A (ko
Inventor
김재춘
Original Assignee
김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춘 filed Critical 김재춘
Priority to KR102019005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90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2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capable of being elongated or shortened by the insertion or removal of intermediate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5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or ground via a support, e.g. standing lamp for ambien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는 손쉽게 지지바(20)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 스탠드를 사용하지 않아서 보관할 때, 또는 전기 스탠드를 운반할 때, 상기 단관(23)을 분리하여 지지바(20)의 길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분리된 단관(23)을 받침대(10)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스탠드{electric stand}
본 발명은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를 조명할 때 사용되는 전기 스탠드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전기 스탠드 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의 일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바(20)와, 상기 지지바(20)의 상단에 구비된 램프(30)와, 상기 램프(30)의 둘레부를 가리도록 상기 지지바(20)에 결합된 전등갓(40)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바(20)의 상단에는 상기 램프(30)가 결합되는 소켓(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30)에는 전원선(22)이 연결되며, 상기 전원선(22)은 지지바(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받침대(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선(22)의 중간부에 구비된 전원스위치를 on시키면, 상기 램프(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램프(30)가 점등되어, 주변을 밝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 스탠드는 상기 지지바(20)의 길이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음으로, 상기 램프(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30862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 스탠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바(20)와, 상기 지지바(20)의 상단에 구비된 램프(30)를 포함하는 전기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0)는 복수개의 단관(23)을 상호 상하방향으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관(2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측에 구비된 단관(23)의 하단에 삽입결합되는 결합관부(23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1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이 삽입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10)의 내부 하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1)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지지관체(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램프(30)에 연결되는 전원선(22)은 상기 단관(23)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관체(12)의 일측에는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전원선(22)이 통과하는 개구부(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11)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이 삽입결합되는 가이드관체(16)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의 내외측이 상기 가이드관체(16)와 지지관체(12)에 의해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10)는 상면에 상기 관통공(11)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받침대본체(14)와, 상기 받침대본체(14)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본체(14)의 하측면을 개폐하며 상면에는 상기 지지관체(12)가 구비된 바닥판(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관체(16)일측에는 받침대(10)의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바(17)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2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지지바(20)의 하측으로 연장된 전원선(22)의 중간부를 상기 고정바(17)의 중간부에 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관체(16)는 의 상단 둘레부에는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 걸리는 플랜지부(16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17)는 상기 플랜지부(16a)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17a)와, 상기 수직부(17a)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연장부(17b)와, 상기 상향연장부(17b)의 선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향연장부(17b)를 향하는 쪽의 면에는 고정홈(17d)이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부(17c)와, 상기 고정홈(17d)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프링(17f)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외측 하단에는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7g)이 형성된 가압블록(17e)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부(17a)의 하단 둘레부에 전원선(22)의 중간부를 감아 전원선(22)이 상기 수직부(17a)와 상향연장부(17b)의 사이에 1차 고정되도록 하고, 전원선(22)의 선단부쪽 부위를 상기 상향연장부(17b)와 가압블록(17e)의 사이에 삽입하면, 상기 가압블록(17e)이 전원선(22)을 상향연장부(17b)로 가압하여 밀착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관(23)의 결합관부(23a)에는 관통공(23c)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3c)에 지지부재(24)를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합관부(23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관부(23a)를 상측에 구비된 단관(23)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는 손쉽게 지지바(20)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 스탠드를 사용하지 않아서 보관할 때, 또는 전기 스탠드를 운반할 때, 상기 단관(23)을 분리하여 지지바(20)의 길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분리된 단관(23)을 받침대(10)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스탠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의 지지바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의 요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의 받침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의 지지바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의 제3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설명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스탠드를 도시한 것으로,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바(20)와, 상기 지지바(20)의 상단에 구비된 램프(30)와, 상기 램프(30)의 둘레부를 가리도록 상기 지지바(20)에 결합된 전등갓(4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지지바(20)의 상단에는 상기 램프(30)가 결합되는 소켓(21)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0)는 복수개의 단관(23)을 상호 상하방향으로 결합하여 구성되어, 상호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단관(23)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바(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단관(2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형관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단에는 상측의 단관(23)의 하단에 삽입결합되는 결합관부(23a)가 구비되며, 하단에는 상기 결합관부(23a)가 삽입결합되는 확경부(23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관부(23a)를 하측에 구비된 단관(23)의 확경부(23b)에 끼움결합함으로써, 여러개의 단관(23)을 연결하여 지지바(2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램프(30)에 연결되는 전원선(22)은 상기 지지바(20), 즉, 상기 단관(23)의 내부를 통해 상기 램프(3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이 삽입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10)의 내부 하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1)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지지관체(12)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대(10)는 상면에 상기 관통공(11)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받침대본체(14)와, 상기 받침대본체(14)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본체(14)의 하측면을 개폐하며 상면에는 상기 지지관체(12)가 구비된 바닥판(1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5)은 양단에 구비된 걸림돌기(15a)와 탄성후크(15b)를 이용하여, 원터치로 상기 받침대본체(14)의 하단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체(12)는 외경이 상기 단관(23)의 하단에 형성된 확경부(23b)에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측에는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전원선(22)이 통과하는 개구부(12a)가 형성되며, 상기 전원선(22)은 상기 개구부(12a)를 통해 상기 받침대본체(14)의 일측을 관통하여 받침대(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지지관체(12)의 하단 둘레부에는 상기 단관(23)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걸림턱(13)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a)의 하단부는 상기 걸림턱(13)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11)에는 상기 지지바(20)의 하단부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관체(16)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관체(16)는 내경이 상기 단관(23)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원형의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 둘레부에는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 걸리는 플랜지부(16a)가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16a)가 받침대(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관통공(11)에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체(16)에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을 삽입하면,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이 가이드관체(16)와 지지관체(12)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즉,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의 내외측이 상기 가이드관체(16)와 지지관체(12)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스탠드의 지지바(20)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0)는 소수개의 단관(23)만이 결합되고 나머지 단관(23)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수납된다.
이때, 상기 전원선(22)은 일단은 상기 램프(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대(10)의 내에 수납된 단관(2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받침대(10)의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지지바(2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5)을 분리하고, 상기 받침대(10)의 내부에 수납된 단관(23)을 순차적으로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에 결합하여 지지바(20)를 연장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0)를 상측으로 당겨, 가장 하측에 결합된 단관(23)이 상기 가이드관체(16)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 후, 남은 단관(23)이 상기 받침대(1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바닥판(15)을 결합하고, 상기 받침대(10)를 바로 세운 후, 지지바(20)를 하강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바(20)의 하단이 상기 지지관체(12)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지지바(2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선(22)은 상기 개구부(12a)를 통해 지지관체(12)의 외부로 연장된다.
반대로 지지바(20)의 길이를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바닥판(15)을 분리하고, 지지바(20)를 하측으로 밀어낸 후, 줄이고 싶은 길이 만큼의 단관(23)을 분리하고, 다시 상기 바닥판(15)을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지지바(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스탠드는 손쉽게 지지바(20)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 스탠드를 사용하지 않아서 보관할 때, 또는 전기 스탠드를 운반할 때, 상기 단관(23)을 분리하여 지지바(20)의 길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분리된 단관(23)을 받침대(10)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바(20)의 상단에는 상기 램프(30)의 둘레부를 가리기 위한 전등갓(40)이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전등갓(40)의 구조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15)은 양단에 구비된 걸림돌기(15a)와 탄성후크(15b)를 이용하여, 원터치로 상기 받침대(10)의 하단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바닥판(15)은 일단이 상기 받침대본체(14)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관통공(11)의 일측에는 오목부(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체(16)의 플랜지부(16a)의 하측면에는 상기 오목부(11a)를 통해 받침대(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바(17)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2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지지바(20)의 하측으로 연장된 전원선(22)의 중간부를 상기 고정바(17)의 중간부에 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바(17)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6a)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17a)와, 상기 수직부(17a)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연장부(17b)와, 상기 상향연장부(17b)의 선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향연장부(17b)를 향하는 쪽의 면에는 고정홈(17d)이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부(17c)와, 상기 고정홈(17d)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프링(17f)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가압블록(17e)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블록(17e)은 마찰력이 높은 고무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외측 하단에는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7g)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지지바(2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바닥판(15)을 결합하기 전에, 상기 수직부(17a)의 하단 둘레부에 전원선(22)의 중간부를 감은 후, 하측으로 누르면, 전원이 상기 수직부(17a)와 상향연장부(17b)의 사이로 삽입되어 1차 고정된다.
그리고, 전원선(22)의 선단부쪽 부위를 상기 상향연장부(17b)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올려, 상향연장부(17b)와 가압블록(17e)의 사이에 삽입하면, 상기 가압블록(17e)이 전원선(22)을 상향연장부(17b)로 가압하여 밀착고정함으로써, 전원선(22)을 2차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스탠드는 상기 지지바(20)의 하측으로 연장된 전원선(22)의 중간부를 상기 지지바(20)에 감아 고정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가 실수로 전원선(22)을 당겨 전원선(22)과 램프(30)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바(17)는 상기 플랜지부(16a)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17a)와, 상기 수직부(17a)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연장부(17b)와, 상기 상향연장부(17b)의 선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향연장부(17b)를 향하는 쪽의 면에는 고정홈(17d)이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부(17c)와, 상기 고정홈(17d)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프링(17f)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가압블록(17e)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고정바(17)는 상기 가이드관체(16)의 중간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형태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단관(23)의 결합관부(23a)에는 관통공(23c)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3c)에 지지부재(24)를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23c)은 상기 결합관부(23a)의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24)는 상기 관통공(23c)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구성된 바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관통공(23c)에 지지부재(24)를 삽입하여 결합한 후, 상기 지지부재(24)에 모빌이나 다양한 장식부재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관부(23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관부(23a)를 상측에 구비된 단관(23)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확경부(23b)의 내주면에도 상기 결합관부(23a)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23c)에 지지부재(24)를 삽입한 후, 상기 결합관부(23a)에 상기 확경부(23b)를 나사결합하면, 단관(23)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24)의 상하면이 가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스탠드는 상기 지지바(20)의 중간부 적절한 위치에 상기 지지부재(24)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바(20)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관통공(23c)은 상기 결합관부(23a)의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관통공(23c)은 상기 결합관부(23a)의 둘레면에 3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4)는 모빌이나 장식부재를 걸어놓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부재(24)를 옷걸이 형태로 구성하여, 옷을 걸어놓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상기 지지부재(24)에 선반 등을 결합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 받침대 20. 지지바
30. 램프 40. 전등갓

Claims (10)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바(20)와,
    상기 지지바(20)의 상단에 구비된 램프(30)를 포함하는 전기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0)는 복수개의 단관(23)을 상호 상하방향으로 결합하여 구성되되,
    상기 받침대(10)는,
    상면에 관통공(11)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받침대본체(14)와,
    상기 받침대본체(14)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본체(14)의 하측면을 개폐하는 바닥판(15)과,
    상기 관통공(11)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이 삽입결합되는 가이드 관체(16)와,
    상기 바닥판(15)의 상면에서 상기 가이드 관체(16)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관체(16) 하부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관체(12)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관체(16)와 상기 지지관체(12) 사이에 상기 지지바(20)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2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측에 구비된 단관(23)의 하단에 삽입결합되는 결합관부(23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30)에 연결되는 전원선(22)은 상기 단관(23)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관체(12)의 일측에는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전원선(22)이 통과하는 개구부(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체(16)일측에는 받침대(10)의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바(17)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2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지지바(20)의 하측으로 연장된 전원선(22)의 중간부를 상기 고정바(17)의 중간부에 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체(16)의 상단 둘레부에는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 걸리는 플랜지부(16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바(17)는
    상기 플랜지부(16a)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17a)와,
    상기 수직부(17a)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연장부(17b)와,
    상기 상향연장부(17b)의 선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향연장부(17b)를 향하는 쪽의 면에는 고정홈(17d)이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부(17c)와,
    상기 고정홈(17d)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프링(17f)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외측 하단에는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7g)이 형성된 가압블록(17e)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부(17a)의 하단 둘레부에 전원선(22)의 중간부를 감아 전원선(22)이 상기 수직부(17a)와 상향연장부(17b)의 사이에 1차 고정되도록 하고, 전원선(22)의 선단부쪽 부위를 상기 상향연장부(17b)와 가압블록(17e)의 사이에 삽입하면, 상기 가압블록(17e)이 전원선(22)을 상향연장부(17b)로 가압하여 밀착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23)의 결합관부(23a)에는 관통공(23c)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3c)에 지지부재(24)를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23)의 결합관부(23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관부(23a)를 상측에 구비된 단관(23)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
KR1020190053934A 2019-05-08 2019-05-08 전기 스탠드 KR10227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34A KR102276904B1 (ko) 2019-05-08 2019-05-08 전기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34A KR102276904B1 (ko) 2019-05-08 2019-05-08 전기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78A KR20200129478A (ko) 2020-11-18
KR102276904B1 true KR102276904B1 (ko) 2021-07-13

Family

ID=7369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934A KR102276904B1 (ko) 2019-05-08 2019-05-08 전기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74Y1 (ko) * 2022-06-28 2023-02-06 고도영 카드꽂이홈이 구비된 촛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556Y1 (ko) 2004-04-12 2004-09-14 이재구 독서대겸용 전기 스텐드
KR200363572Y1 (ko) * 2004-06-29 2004-10-13 김미정 현수막 거치대
KR200410843Y1 (ko) 2005-12-30 2006-03-08 박기호 현수막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4426A (en) * 1997-12-04 1999-09-21 Whittington; Anderson H. Interchangeable lamp
KR100327910B1 (ko) * 1999-12-27 2002-03-15 권영상 최기영 가로 구조물
KR200308627Y1 (ko) 2002-12-11 2003-03-28 깅코우 인더스트리얼 컴파니 리미티드 전기 스탠드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556Y1 (ko) 2004-04-12 2004-09-14 이재구 독서대겸용 전기 스텐드
KR200363572Y1 (ko) * 2004-06-29 2004-10-13 김미정 현수막 거치대
KR200410843Y1 (ko) 2005-12-30 2006-03-08 박기호 현수막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78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4527B2 (en) Cable interface furniture for a conference table
US20030111435A1 (en) Reinforced hanging rod with a built-in lighting integration
KR102276904B1 (ko) 전기 스탠드
US7004782B2 (en)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socket of an electrical apparatus with a power cord plug
US20230349540A1 (en) Stand for portable accessory
US20190292007A1 (en) String light storage container
KR20180033918A (ko) 캠핑용 옷걸이
KR100819888B1 (ko)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
CN206647828U (zh) 一种便于收纳的组合式台灯
JP3235207U (ja) 伸長式の屋外用筒型防水ランプ
US6588915B1 (en) Hanging device
KR20180034865A (ko) 비누홀더
CN207298673U (zh) 一种可调节高度吊灯
KR101925856B1 (ko) 자립 가능한 우산
US2317049A (en) Christmas tree stand
KR101582791B1 (ko) 랜턴 걸이대
CN208025207U (zh) 一种带有晾干衣物功能的落地灯
KR101594865B1 (ko) 우산 꽂이대
KR102153227B1 (ko) 포터블 스탠드형 행거
CN209386166U (zh) 一种蜡烛灯
KR101941663B1 (ko) 모드 전환형 듀얼 조명등
KR20110007577U (ko) 랜턴걸이 지지대
CN219550453U (zh) 一种带有触控板的条形灯具
JPH0817214A (ja) 照明スタンド
CN218738310U (zh) 人造树及其可伸缩的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