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729B1 -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729B1
KR102275729B1 KR1020200150627A KR20200150627A KR102275729B1 KR 102275729 B1 KR102275729 B1 KR 102275729B1 KR 1020200150627 A KR1020200150627 A KR 1020200150627A KR 20200150627 A KR20200150627 A KR 20200150627A KR 102275729 B1 KR102275729 B1 KR 102275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heat
visitor
face recogn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요섭
이재문
지삼현
정회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텍
Priority to KR102020015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larm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과 결합하는 두 개의 기둥부, 및 상기 두 개의 기둥부 하부를 고정하는 밑판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는 출입자의 발열을 측정하는 발열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감지부는 덮개부의 상판 전방의 전판에 설치하여 열화상 카메라에 절대 온도 정보를 제공하는 블랙바디와, 상기 덮개부의 상판 전방의 전판 또는 기둥부에 설치하여 출입자가 게이트 입구로 소정 거리에 접근하면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와, 상기 거리측정센서가 출입자를 감지하면 얼굴을 인식 및 캡쳐하는 가시광 카메라와, 상기 블랙바디와 서로 마주 보도록 경사면을 갖는 상판 후방의 후판에 설치하여 발열 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상기 덮개부의 경사면을 갖는 후판에 설치하여 출입자의 얼굴 캡쳐 표시와 동시에 발열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출입자 발열 온도가 정상 또는 비정상일 경우의 멘트와 마스 착용 지시 멘트를 발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기둥부 양측 전방 상하에 설치하여 출입자의 발열 온도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LED모듈,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 가시광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LED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sensing fever based on face recognition of gate typ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이트를 출입하는 출입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발열을 측정하는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스(SARS), 에볼라,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증후군(COVID-19) 등 신종 호흡기성 전염병이 새롭게 발생하여 광범위하게 사람들에게 감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염성 질병들은 열을 동반하게 되어 심한 열을 가진 사람들은 1차적으로 해당 질병 의심자로 판단할 수 있고, 정밀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 증후군(COVID-19)에 감염되면 2~14일 잠복기를 거쳐 발열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COVID-19의 추가 전염 억제를 위해 비접촉 방식으로 발열을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하여 환자에 대해 선별 분류를 하고 있다.
이러한 발열 환자 선별을 통해 출입문을 통과시키는 한국등록특허 제10-1912390호에는 열화상카메라와 거리측정센서를 이용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사람의 체열을 측정하여 출입을 통제하며 RF태그를 통해 출입자를 식별하는 출입통제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장치에 사용하는 열화상 카메라는 체열측정 정확도가 떨어지며, RF태그를 지니지 않은 출입자에 대해서는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12390호(2018.10.22.)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에 접근하는 출입자의 거리 측정과 동시에 얼굴을 인식하여 발열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QR코드 인식기 또는 QR코드를 통해 출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과 결합하는 두 개의 기둥부, 및 상기 두 개의 기둥부 하부를 고정하는 밑판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및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는 출입자의 발열을 측정하는 발열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감지부는 덮개부의 상판 전방의 전판에 설치하여 열화상 카메라에 절대온도 정보를 제공하는 블랙바디와, 상기 덮개부의 상판 전방의 전판 또는 기둥부에 설치하여 출입자가 게이트 입구로 소정 거리에 접근하면 감지하는 거리측정센서와, 상기 거리측정센서가 출입자를 감지하면 얼굴을 인식 및 캡쳐하는 가시광 카메라와, 상기 블랙바디와 서로 마주 보도록 경사면을 갖는 상판 후방의 후판에 설치하여 발열 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상기 덮개부의 경사면을 갖는 후판에 설치하여 출입자의 얼굴 캡쳐 표시와 동시에 발열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출입자 발열 온도가 정상 또는 비정상일 경우 멘트와 마스 착용 지시 멘트를 발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기둥부 양측 전방 상하에 설치하여 출입자의 발열 온도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LED모듈, 및 상기 거리측정센서, 가시광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LED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출입자가 게이트 입구로부터 1.2m~0.5m 접근 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볼로미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의 기둥부 전방에 설치하여 휴대단말기를 통해 개인 QR코드를 발급 받아 출입자 정보를 인식하는 QR코드 인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의 기둥부 전방에 QR코드를 부착하여 휴대단말기를 통해 스캔하여 출입자 정보를 인식시키는 QR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감지부에서 수집한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모듈은 출입자의 발열 온도가 정상 이하, 정상 또는 정상 이상(37.5℃ 이상)일 경우 파란색, 녹색 또는 적색의 빛을 각각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출입자의 게이트 접근 거리와, 열화상 카메라 및 가시광 카메라에서 촬영한 열화상 영상 및 가시광 영상과, 블랙바디의 온도를 수신하여 출입자의 발열을 검출하고, 검출된 발열로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에 출입문 또는 차단봉을 설치하여 출입자의 발열 온도가 비정상일 경우 출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의 2개 기둥부 상중하 부분에 금속감지기를 설치하여 출입자의 몸속에 지닌 금속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의 양 기둥부 내측에 노즐을 설치하여 소독제 또는 살균제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 기둥부 전면 또는 내측의 소정 높이에 받침대를 형성하여 손 소독제를 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방법은 게이트 출입자의 기록 정보를 QR코드 인식기 또는 QR코드를 통해 확보하는 단계;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출입자가 게이트 입구로부터 1.2m~0.5m 접근 시 감지하는 단계; 가시광 카메라에서 얼굴을 인식 및 캡쳐하면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발열을 측정하는 단계; 출입자 얼굴 캡쳐 표시와 발열 온도를 디스플레이에 표시와 함께 스피커를 통해 멘트와 경고음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발열 온도가 정상 이하, 정상 또는 정상 이상(37.5℃ 이상)일 경우에 따라 LED모듈에서 파란색, 녹색 또는 적색 빛을 각각 발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시광 카메라에서 캡쳐한 얼굴 이미지와 열화상 카메라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발열 온도를 통신부를 통해 원격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에 접근하는 출입자의 거리 측정과 동시에 얼굴을 인식하여 정확한 발열 측정으로 효율적인 출입 통제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 측정 후 QR코드 인식기 또는 QR코드를 통해 출입자의 휴대단말기와 연동하여 식별함으로써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의 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감지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의 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감지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는 게이트(100)와, 상기 게이트(100)를 출입하는 출입자의 발열을 측정하는 발열감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감지부(200)는 출입자의 동의 시 얼굴 발열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여 저장하거나 원격서버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100)는 덮개부(110)와, 상기 덮개부(110)의 양쪽 측면과 결합하여 지지하는 2개의 기둥부(120), 및 상기 2개의 기둥부(120) 하부를 고정하는 밑판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100)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덮개부(110)는 상판(111) 전후방의 전판(112)과 후판(113)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2개의 기둥부(120)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발열감지부(200)는 블랙바디(210), 거리측정센서(220), 가시광 카메라(230), 열화상 카메라(240), QR코드 인식기(250) 또는 QR코드, 제어부(260), 디스플레이(270), 스피커(271), 통신부(280), 및 LED모듈(290)을 포함한다.
상기 블랙바디(210)와 열화상 카메라(240)는 덮개부(110) 상판(111)의 전후방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전판(112)과 경사면(113-1)을 갖는 후판(113)에 각각 설치한다.
상기 블랙바디(210)는 소정의 온도로 발열되며, 열화상 카메라(240)에 절대 온도 정보를 제공한다. 즉, 블랙바디(210)는 사전에 설정된 특정 온도를 발산하는 제1 흑체소스와, 상기 제1 흑체소스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를 발산하는 제2 흑체소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가시광 카메라(230)에서 얼굴을 인식하여 열화상 카메라(240)로 발열을 측정 시 거리에 따라 발열 온도차가 발생하여 정확한 발열을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발열 온도가 정확한 거리에 출입자가 접근 시 이를 거리측정센서(220)에서 감지하면 가시광 카메라(230)에서 얼굴을 인식 및 캡쳐하면서 열화상 카메라(240)를 통해 발열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출입자가 게이트(100) 입구로부터 1.2m~0.5m 접근 시 발열을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거리측정센서(220)는 게이트(100) 덮개부(110)의 전판(112) 또는 기둥부(120)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측정센서(220)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레이저거리측정센서, 라이다센서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센서를 사용한다.
상기 가시광 카메라(230)는 가시광 대역으로 피사체를 촬상하는 일반 카메라로, 게이트(100)를 출입하는 얼굴을 인식, 캡쳐 및 촬영하여 출입자별 얼굴 이미지와 함께 열화상 카메라(220)에서 측정한 발열을 획득하여 제어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270)에 표시하며 날짜와 시간을 묶어 원격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가시광 카메라(230)에서 출입자를 인식 후 얼굴을 캡처하여 얼굴 영역을 표시하면서 블랙바디(210)로부터 절대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열화상 카메라(240)로 정확한 발열을 획득하여 제어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270)에 표시하며 날짜와 시간을 묶어 원격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240)는 촬영된 공간 내의 출입자의 발열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240)는 볼로미터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QR코드 인식기(250)는 게이트(100)의 기둥부(120) 전방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하며, 휴대단말기를 통해 개인 QR코드를 발급 받아 전자출입명부를 만들어 QR코드 인식기(250)에 접근 후 게이트(100) 통과할 수 있다. 또는 게이트(100)의 기둥부(120) 전방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QR코드를 부착하여 휴대단말기를 통해 스캔 후 게이트(100)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QR코드 인식기(250) 또는 QR코드를 통하여 상시 출입자 또는 상시 출입자가 아닌 불특정한 출입자의 기록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정보를 원격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70)는 출입자의 얼굴 캡쳐 표시와 동시에 발열 온도를 표시하며, 정상 또는 비정상(37.5℃ 이상) 발열 온도일 경우 디스플레이(270) 상단 또는 하단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270)는 덮개부(110)의 경사면(113-1)을 갖는 후판(113)에 설치하여 출입자가 발열 온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71)는 출입자의 발열 온도가 정상 또는 비정상일 경우에 대한 멘트와 마스크 착용 지시 멘트를 발생하고, 출입자의 QR코드 인식 방법을 안내하며,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270)에 문자로 멘트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271)는 출입자의 발열을 체크하기 위한 화면(디스플레이) 주시 멘트와 QR코드 스캔 멘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출입자의 QR코드 인식 방법 안내와 비정상 온도일 경우, 원격서버에 설치된 중앙관제실이나 중앙통제실에서 스피커(271)를 통해 경고 멘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통신부(260는 발열감지부(200)에서 수집한 정보를 무선통신(RF, WiFi, 이동통신 3G, 4G, 5G, LTE 등)을 통해 원격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가시광 카메라(230), 열화상 카메라(240)에서 수집된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서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LED모듈(290)은 게이트(100)의 기둥부(120) 양측 전방 상하에 설치하고, 게이트(100)를 통과하는 출입자의 발열 온도가 정상 이하, 정상 또는 정상 이상(37.5℃ 이상)일 경우 파란색, 녹색 또는 적색의 빛을 각각 발산한다. 여기서, 발열 온도 범위는 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260)는 거리측정센서(220), 가시광 카메라(230), 열화상 카메라(240), 디스플레이(270), 스피커(271), 통신부(280), LED모듈(29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60)는 거리측정센서(220)를 통해 출입자의 게이트 접근 거리와, 열화상 카메라(240) 및 가시광 카메라(230)에서 촬영한 열화상 영상 및 가시광 영상과, 블랙바디(210)의 온도를 수신하여 출입자의 발열을 검출하고, 검출된 발열로 비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60)는 열화상 영상 및 가시광 영상과 검출된 발열을 통신부(280)를 통해 원격서버에 전송하며, 이와 함께 검출된 날짜 및 시간에 대한 데이터도 함께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가시광 카메라(230), 제어부(260), 디스플레이(270), 스피커(271), 통신부(280)는 안드로이드 기반 타블렛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271)는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100)에 출입문 또는 차단봉을 설치하여 출입자의 발열 온도가 비정상일 경우 출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100) 덮개부(110) 상단에 CCTV를 설치하여 발열 온도가 비정상(37.5℃ 이상)인 출입자가 게이트(100)를 통과 시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100)의 2개 기둥부(120) 상중하 부분에 금속감지기를 설치하여, 출입자의 몸속에 지닌 금속을 감지하여 금속을 지니면 녹색, 그렇지 않으면 적색으로 LED모듈(290)로 표시하거나 스피커(271)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10)의 전판(112) 전면에 제품명이나 로그를 투각 후 후면에 LED모듈을 설치할 수 있으며, 게이트(100)의 양 기둥부(120) 내측에 노즐을 설치하여 소독제, 살균제 등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100) 기둥부(120) 전면 또는 내측의 소정 높이에 받침대를 형성하여 손 소독제를 비치할 수 있다.
상기 원격서버는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서버 장치 등 컴퓨팅 처리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출입자의 얼굴 이미지와 얼굴 발열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발열 온도와 함께 날짜 및 시간을 기록하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서버는 중앙관제실이나 중앙 통제실 등에 설치되는 서버로서, 기록된 데이터를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방법은 먼저, 게이트(100)를 출입하는 상시 출입자나 상기 출입자가 아닌 불특정한 출입자의 기록 정보를 QR코드 인식기(250) 또는 QR코드를 통해 확보한다(S100). 이때, 수집한 출입자의 정보는 저장하거나 통신부(280)를 통해 원격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거리측정센서(220)를 통해 출입자가 게이트(100) 입구로부터 1.2m~0.5m 거리에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S200) 가시광 카메라(230)에서 얼굴을 인식 및 캡쳐하면서 열화상 카메라(240)를 통해 발열을 측정한다(S300).
여기서, 상기 발열 측정은 블랙바디(210) 영역의 열화상 값으로 기준 화상값을 산출하고, 기준 화상값으로 열화상 영상을 정규화하며, 열화상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며, 얼굴 영역의 대표 화상값으로 발열을 측정한다.
이어서, 출입자 얼굴 캡쳐 표시와 발열 온도를 디스플레이(270)에 표시와 함께 스피커(271)를 통해 멘트와 경고음을 발생한다(S400).
다음으로, 상기 발열 온도가 정상 이하, 정상 또는 정상 이상(37.5℃ 이상)일 경우에 따라 게이트(100)의 기둥부(120) 전면에 설치한 LED모듈(290)이 파란색, 녹색 또는 적색의 빛을 각각 발산한다(S500). 이때, 상기 발열 온도 범위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가시광 카메라(230)에서 캡쳐한 얼굴 이미지와 열화상 카메라(240)에서 측정한 출입자의 발열 온도를 저장하거나 통신부(280)를 통해 원격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원격서버의 컴퓨터(PC) 모니터에는 출입자의 출입 순번에 따른 정상 및 비정상 표시, 미등록 표시, 얼굴 이미지, 발열온도, 게이트 위치, ID, 출입 날짜 및 시간 등을 표시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원격서버의 정보를 휴대단말기를 통해 수시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출입자가 비정상 발열 온도 시 원격서버에서 관리자 휴대단말기로 즉시 알려줌과 동시에 휴대단말기 화면이 적색으로 깜빡거리면서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게이트 110: 덮개부
111: 상판 112: 전판
113: 후판 120: 기둥부
130: 밑판부 200: 발열감지장치
210: 블랙바디 220: 거리측정센서
230: 가시광 카메라 240: 열화상 카메라
250: QR코드 인식기 260: 제어부
270: 디스플레이 271: 스피커
280: 통신부 290: LED모듈

Claims (14)

  1. 상판 전후방의 전판과 후판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과 결합하는 두 개의 기둥부, 및 상기 두 개의 기둥부 하부를 고정하는 밑판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는 출입자의 발열을 측정하는 발열감지부; 및
    상기 발열감지부에서 수집한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감지부는,
    덮개부의 상판 전방의 전판에 설치하여 열화상 카메라에 절대온도 정보를 제공하는 블랙바디와,
    상기 덮개부의 상판 전방의 전판 또는 기둥부에 설치하여 출입자가 게이트 입구로 소정 거리에 접근하면 감지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초음파센서가 출입자를 감지하면 얼굴을 인식 및 캡쳐하는 가시광 카메라와,
    볼로미터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블랙바디와 서로 마주 보도록 경사면을 갖는 상판 후방의 후판에 설치하여 가시광 카메라에서 얼굴을 인식 및 캡쳐하면 발열 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상기 덮개부의 경사면을 갖는 후판에 설치하여 출입자의 얼굴 캡쳐 표시와 동시에 발열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출입자의 발열 온도가 정상 또는 비정상일 경우 멘트와 마스크 착용 지시 멘트를 발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기둥부 양측 전방 상하에 설치하여 출입자의 발열 온도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LED모듈, 및
    상기 초음파센서, 가시광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LED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자가 게이트 입구로부터 1.2m~0.5m 거리에 접근 시 초음파센서에서 출입자를 감지하면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발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게이트의 기둥부 전방에 QR코드 인식기를 설치하여 휴대단말기를 통해 개인 QR코드를 발급 받아 출입자 정보를 인식하거나, 상기 게이트의 기둥부 전방에 QR코드를 부착하여 휴대단말기를 통해 스캔하여 출입자 정보를 인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은 출입자의 발열 온도가 정상 이하, 정상 또는 정상 이상(37.5℃ 이상)일 경우 파란색, 녹색 또는 적색의 빛을 각각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거리측정센서를 통해 출입자의 게이트 접근 거리와 열화상 카메라 및 가시광 카메라에서 촬영한 열화상 영상 및 가시광 영상과 블랙바디의 온도를 수신하여 출입자의 발열을 검출하고, 검출된 발열로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에 출입문 또는 차단봉을 설치하여 출입자의 발열 온도가 비정상일 경우 출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 감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의 2개 기둥부 상중하 부분에 금속감지기를 설치하여 출입자의 몸속에 지닌 금속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 감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의 양 기둥부 내측에 노즐을 설치하여 소독제 또는 살균제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 감지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의 기둥부 전면 또는 내측의 소정 높이에 받침대를 형성하여 손 소독제를 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 감지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150627A 2020-11-12 2020-11-12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275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627A KR102275729B1 (ko) 2020-11-12 2020-11-12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627A KR102275729B1 (ko) 2020-11-12 2020-11-12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729B1 true KR102275729B1 (ko) 2021-07-13

Family

ID=76858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627A KR102275729B1 (ko) 2020-11-12 2020-11-12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793A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디지윌 Did가 구비된 출입 관리시스템
KR102658872B1 (ko) * 2023-07-14 2024-04-18 주식회사 인씨스 온도 측정센서를 구비하는 문형금속탐지장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936A (ko) * 2015-11-02 2017-05-11 홍미선 흑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 기반 체온 감시 시스템
KR101912390B1 (ko) 2016-01-11 2018-10-26 (주) 비엑스 솔루션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
KR102135633B1 (ko) * 2020-04-20 2020-08-26 김승호 출입자의 id와 체온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2153879B1 (ko) * 2020-05-08 2020-09-10 박용완 체온 검색대
JP3228205U (ja) * 2020-06-05 2020-10-15 泰光 小鹿 入退場管理支援装置、及び入退場管理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936A (ko) * 2015-11-02 2017-05-11 홍미선 흑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 기반 체온 감시 시스템
KR101912390B1 (ko) 2016-01-11 2018-10-26 (주) 비엑스 솔루션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
KR102135633B1 (ko) * 2020-04-20 2020-08-26 김승호 출입자의 id와 체온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KR102153879B1 (ko) * 2020-05-08 2020-09-10 박용완 체온 검색대
JP3228205U (ja) * 2020-06-05 2020-10-15 泰光 小鹿 入退場管理支援装置、及び入退場管理支援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793A (ko) *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디지윌 Did가 구비된 출입 관리시스템
KR102637583B1 (ko) 2021-12-15 2024-02-16 주식회사 디지윌 Did가 구비된 출입 관리시스템
KR102658872B1 (ko) * 2023-07-14 2024-04-18 주식회사 인씨스 온도 측정센서를 구비하는 문형금속탐지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327B1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체온 추적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78264B1 (ko) 비접촉식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999B1 (ko) 인체 감시 발열 경보 장치
EP25772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internal body temperature of a patient
KR102275729B1 (ko) 게이트형 얼굴인식 발열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806400B1 (ko) 흑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 기반 체온 감시 시스템
US20200365002A1 (en) Crowd management in an enclosed premises
KR101637653B1 (ko) 영상열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US20200258364A1 (en) Human Activity Detection Using Thermal Data and Time-of-Flight Sensor Data
US11864860B2 (en) Biometric imaging and biotelemetry system
US202103049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isolating persons suspected of having an infectious disease
KR20160046733A (ko) 사람 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212773B1 (ko) 체온측정을 겸비한 영상감시장치 및 그 방법
CN214476427U (zh) 一种智能入院信息登记机器人系统
US20230410519A1 (en) Suspicious person alarm notification system and suspicious person alarm notification method
CN212721763U (zh) 一种基于人脸识别红外热场测温系统
KR102168651B1 (ko) 열-감지센서를 구비한 체온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열-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Mushahar et al. Human body temperature detection based on thermal imaging and screening using YOLO Person Detection
KR102479543B1 (ko) 무인결제시스템
Azman et al. A Wearable Non-Contact Temperature Detector for Early Detection of Fever
KR102619796B1 (ko) 체온측정 장치 및 시스템
US20230067950A1 (en) Non-contact body temperature system and method
KR102339251B1 (ko) 살균봉 어레이를 구비한 게이트형 살균 장치
US20210307616A1 (en) Fever Detector
CN113405666A (zh) 结合识别人脸的红外热成像人体温度差值检测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