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622B1 - 재구성된 영상군에 기초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재구성된 영상군에 기초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622B1
KR102275622B1 KR1020200049734A KR20200049734A KR102275622B1 KR 102275622 B1 KR102275622 B1 KR 102275622B1 KR 1020200049734 A KR1020200049734 A KR 1020200049734A KR 20200049734 A KR20200049734 A KR 20200049734A KR 102275622 B1 KR102275622 B1 KR 10227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group
images
group
compu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932A (ko
Inventor
배웅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9892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0841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노
Priority to KR102020004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6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64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 particular type of beam
    • A61B6/4085Cone-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영상 제공 방법은 (a) 상기 컴퓨팅 장치가, 피사체에 속한 제1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 부피들에 대하여 생성된 일련의 영상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영상군을 획득하거나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영상군을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 영상군 중 일 영상 또는 상기 피사체에 속한 제2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 부피들에 대하여 생성되는 일련의 영상들을 포함하는 제2 영상군 중 일 영상을 현재 열람 영상으로서 제공하거나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컴퓨팅 장치가, 입력 장치의 제1 특정 입력에 응하여, 상기 제1 특정 입력에 주어진 방향성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열람 영상으로서 제공되는 영상을 다음 열람에 제공되도록 정해진 개별 영상으로 반복적으로 갱신하거나 상기 타 장치로 하여금 갱신하도록 지원하는 (c1) 프로세스, 및 상기 입력 장치의 제2 특정 입력에 응하여, 상기 현재 열람 영상을 상기 제1 영상군에 속한 영상과 상기 제2 영상군에 속한 영상 사이에서 전환하거나 상기 타 장치로 하여금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c2)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구성된 영상군에 기초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METHOD FOR PROVIDING AN IMAGE BASED ON A RECONSTRUCTED IMAGE GROUP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병변을 분석함으로써 진단에 이용하기 위한 영상 검사로서 CT(컴퓨터 단층 촬영)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CT 영상을 이루는 개별 영상은 소정 슬라이스 두께의 부피를 평면에 투영(projection)한 것인데, 그 개별 영상의 두께를 편의상 CT 영상의 슬라이스 두께라고 지칭한다. 예를 들어 5mm 슬라이스 두께의 영상은 물리적으로 5mm 슬라이스 두께 공간의 정보를 하나의 영상으로 합쳐 놓은 것으로서 영상이 흐릿하여 품질이 낮다.
CT 영상의 두께는 CT 판독시의 목적과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재구성되고, 슬라이스 두께가 얇을수록 영상의 품질이 높아 정교한 판독이 가능한 데 비하여 CT 영상의 장수가 많아져 판독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슬라이스 두께가 얇은 영상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큰 저장 공간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흉부 CT 영상의 경우 추후 판독의 효율성 및 저장공간 절감을 위해 5mm 슬라이스 두께의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는 경우가 많은데, 5mm 슬라이스 두께의 영상에 기반하여 5mm 미만의 작은 결절은 영상적 특성에 기초하여 훼손되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확한 검진을 위해서는 5mm 슬라이스 두께의 CT 영상 및 그보다 얇은 두께의 CT 영상을 번갈아 확인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터페이스가 요구될 수 있다.
Chao Dong etal. Image Super-Resolution Using Deep Convolutional Networks, arXiv preprint arXiv:1501.00092v3, 2015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영상과 얇은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영상을 효과적으로 전환하여 열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꺼운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하는 영상군의 영상으로부터 얇은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하는 영상군의 영상을 생성하고, 두꺼운 슬라이스 두께의 영상군의 영상과 얇은 슬라이스 두께의 영상군의 영상 사이의 자유로운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의사가 더 정확한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보조할 뿐만 아니라 판독 보조 시스템에 의한 분석 정확도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제공 방법은 (a) 상기 컴퓨팅 장치가, 피사체에 속한 제1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 부피들에 대하여 생성된 일련의 영상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영상군을 획득하거나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영상군을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 영상군 중 일 영상 또는 상기 피사체에 속한 제2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 부피들에 대하여 생성되는 일련의 영상들을 포함하는 제2 영상군 중 일 영상을 현재 열람 영상으로서 제공하거나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컴퓨팅 장치가, 입력 장치의 제1 특정 입력에 응하여, 상기 제1 특정 입력에 주어진 방향성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열람 영상으로서 제공되는 영상을 다음 열람에 제공되도록 정해진 개별 영상으로 반복적으로 갱신하거나 상기 타 장치로 하여금 갱신하도록 지원하는 (c1) 프로세스, 및 상기 입력 장치의 제2 특정 입력에 응하여, 상기 현재 열람 영상을 상기 제1 영상군에 속한 영상과 상기 제2 영상군에 속한 영상 사이에서 전환하거나 상기 타 장치로 하여금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c2)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2 슬라이스 두께는, 상기 제1 슬라이스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영상군은 상기 피사체에 속한 제1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인 부피들에 대하여 생성된 일련의 영상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평면에 투영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제2 영상군은 SR(superresolution)에 의하여, 상기 제1 영상군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서에 나타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서로 다른 슬라이스 두께의 피사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영상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가 제공되는데, 그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1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인 부피들에 대하여 생성된 일련의 영상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영상군을 획득하거나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영상군을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상기 제1 영상군 중 일 영상 또는 상기 피사체에 속한 제2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 부피들에 대하여 생성되는 일련의 영상들을 포함하는 제2 영상군 중 일 영상을 현재 열람 영상으로서 제공하거나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입력 장치의 제1 특정 입력에 응하여, 상기 제1 특정 입력에 주어진 방향성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열람 영상으로서 제공되는 영상을 다음 열람에 제공되도록 정해진 개별 영상으로 반복적으로 갱신하거나 상기 타 장치로 하여금 갱신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입력 장치의 제2 특정 입력에 응하여, 상기 현재 열람 영상을 상기 제1 영상군에 속한 영상과 상기 제2 영상군에 속한 영상 사이에서 전환하거나 상기 타 장치로 하여금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판독자의 판단에 따라 얇은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하는 영상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는 두꺼운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하는 영상을 통해 판독의 속도를 높이고, 보다 정밀한 판단이 요구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재구성된 얇은 슬라이스 두께의 영상을 통해 판독을 진행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판독의 정확도를 높이고, 더불어 판독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의료진의 진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판독의 속도와 품질을 높여 의료 현장에서의 워크플로(workflow)를 혁신할 수 있게 되는 잠재적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에 병원에서 이용하고 있는 의료 영상, 예컨대 3차원적으로 획득된 초음파 영상, MRI 영상 등이 그대로 활용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방법이 특정 형식의 영상이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고 함)에게 있어서는 발명에 이르는 노력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영상군의 영상이 생성되어 저장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한 영상 제공 방법이 적용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이용된 "영상" 또는 "영상 데이터"라는 용어는 이산적 영상 요소들(예컨대, 2차원 영상에 있어서는 픽셀, 3차원 영상에 있어서는 복셀)로 구성된 다차원 데이터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영상"은 (콘-빔형; cone-beam) 전산화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초음파 또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의료 영상 시스템의 의하여 수집된 피사체, 즉 피검체(subject)의 의료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영상은 비의료적 맥락에서 제공될 수도 있는바, 예를 들어 원격 감지 시스템(remote sensing system), 전자현미경(electron microscopy) 등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영상'은 (예컨대, 비디오 화면에 표시된) 눈으로 볼 수 있는 영상 또는 (예컨대, CT, MRI 검출기 등의 픽셀 출력에 대응되는 파일과 같은) 영상의 디지털 표현물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시된 도면에서는 때때로 콘-빔형 CT(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영상 데이터가 예시적 영상 형식(modality)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영상 형식들이 X선 영상, MRI, CT,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CT, SPECT, SPECT-CT, MR-PET, 3D 초음파 영상 등등을 포함하나 3차원적 영상 및 이로부터 파생된 슬라이스 영상이기만 하면 예시적으로 열거된 형식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은 의료용 기기에서 디지털 영상 표현과 통신에 이용되는 여러 가지 표준을 총칭하는 용어인바, DICOM 표준은 미국 방사선 의학회(ACR)와 미국 전기 공업회(NEMA)에서 구성한 연합 위원회에서 발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은 DICOM 표준에 맞게 저장, 가공, 전송하는 시스템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X선, CT, MRI와 같은 디지털 의료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획득된 의료영상 이미지는 DICOM 형식으로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병원 내외의 단말로 전송이 가능하며, 이에는 판독 결과 및 진료 기록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학습' 혹은 '러닝'은 절차에 따른 컴퓨팅(computing)을 통하여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수행함을 일컫는 용어인바, 인간의 교육 활동과 같은 정신적 작용을 지칭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님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하나' 또는 '한'은 하나 이상의 의미로 쓰인 것이며, '또 다른'은 적어도 두 번째 이상으로 한정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특정 구조나 기능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세 사항들은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단지 통상의 기술자가 실질적으로 적합한 임의의 상세 구조들로써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하도록 지침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초 자료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 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미도시)와 직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팅 장치(100)는,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11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와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세션(session)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바, 예컨대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덧붙여, 넓은 의미에서 상기 통신부(110)는 명령어 또는 지시 등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장치, 프린터, 디스플레이, 기타 외부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1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TPU(tensor processing unit),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개별 모듈들은, 예컨대, 컴퓨팅 장치(100)에 포함된 통신부(110)나 프로세서(120), 또는 상기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의 연동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개관하면, 컴퓨팅 장치(100)는 그 구성요소로서 영상 획득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영상 획득 모듈(210)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거나 영상 촬영을 위한 전용 기기로부터 획득되는 제1 영상군에 포함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영상군에 포함되는 영상은 피사체에 속한 제1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인 부피들을 평면에 투영함으로써 생성된 영상일 수 있다. 제1 영상군의 영상은 피사체의 축면 영상(axial image)일 수 있다. 또한, 하기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상 흉부 CT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영상군 및 제2 영상군의 영상이 생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3차원 의료 영상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영상군에 속하는 영상은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일반적으로 판독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비교적 두꺼운 제1 슬라이스 두께의 부피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영상일 수 있다.
획득된 제1 영상군의 영상은 영상 생성 모듈(220)로 전달될 수 있는데, 영상 생성 모듈(220)은 전달된 영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영상군의 영상은 제1 슬라이스 두께에 비해 얇은 제2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영상일 수 있다.
영상 생성 모듈(220)은 대량의 제1 영상군의 영상들과 이에 대응되는 제2 영상군의 영상들에 기초하여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생성 모듈(220)은 제1 영상군의 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에 부합하는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재생성하는 구성인 바, 그 일 예시는 제1 영상군의 영상으로부터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심층 신경망인 완전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생성 모듈(220)은 제1 슬라이스 두께 및 제2 슬라이스 두께를 파라미터로 받고, 수신한 제1 영상군의 영상을 제2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하는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생성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생성 모듈(220)은 제1 슬라이스 두께의 제1 훈련용 영상 및 제2 슬라이스 두께의 제2 훈련용 영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훈련용 영상 쌍을 훈련 데이터로 이용하여 미리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낮은 해상도의 영상을 높은 해상도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즉, 해상도를 높이는 기법인 SR(superresolution; 초해상)이 가능하다는 점은 알려져 있는 바, 이 SR은 예컨대 비특허문헌 1: [Chao Dong etal. Image Super-Resolution Using Deep Convolutional Networks, arXiv preprint arXiv:1501.00092v3, 2015]에 예시된 바와 같다. 이 문헌에서 설명된 SR의 기법 또한 입력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고 그 특징에 부합하는 출력 영상을 재생성하는 것이므로, 통상의 기술자는 이 SR 기법의 적용에 의하여 제2 영상군의 영상이 생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 저장 및 전송 모듈(230)은 생성된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저장 및 전송 모듈(230)은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생성의 기초가 된 제1 영상군의 영상에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저장 및 전송 모듈(230)은 생성된 제2 영상군의 영상들 사이의 상호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제2 영상군의 영상들을 정렬하고, 정렬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영상군 의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저장 모듈(230)은 제2 영상군의 영상의 물리적 위치의 순서에 따라, 즉 영상에 대응되는 깊이 값의 순서로 영상을 정렬하고, 정렬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저장 및 전송 모듈(230)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영상군의 영상 또는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외부 엔티티(entity)에 제공할 수 있다. 외부 엔티티에 제공되는 때에는 영상 저장 및 전송 모듈(230)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할 수도 있거나, 구비된 통신부를 통해 외부 엔티티에 제1 영상군의 영상 또는 제2 영상군의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영상 저장 및 전송 모듈(230)은 판독자의 요청에 따라 제1 영상군의 영상 또는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외부 엔티티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엔티티라고 함은, 상기 컴퓨팅 장치(100)의 사용자, 관리자, 상기 피검체를 담당하는 담당 의료 전문가 등을 포함하나, 이 이외에도 상기 제1 영상군의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제2 영상군의 영상을 필요로 하는 주체라면 어느 주체라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엔티티는 상기 제2 영상군의 영상을 활용하는 별도의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는 외부의 AI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엔티티에서의 '외부(external)'는 상기 제1 영상군의 영상 및 제2 영상군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AI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상기 컴퓨팅 장치(100)에 일체화되는 실시 예를 배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결과물인 제2 영상군의 영상이 타 방법의 입력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도록 이용된 것임을 밝혀둔다. 즉, 상기 외부 엔티티는 컴퓨팅 장치(100) 자체일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생성된 제2 영상군의 영상은 향후 의사의 판독 및 진단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매칭되어 저장된 제1 영상군의 영상 및 제2 영상군의 영상에 기초하여, 영상 저장 및 전송 모듈(230)은 판독자가 효과적으로 영상을 열람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판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꺼운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영상 및 얇은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영상 모두를 피사체로부터 개별적으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판독자가 필요에 의해 독립적인 두 영상을 번갈아서 확인하던 종래의 방식은 두 영상이 서로 매칭되어 있지 않고, 판독자가 직접 독립적인 영상을 번갈아서 확인해야하기 때문에 판독의 단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 발명의 경우 제1 영상군의 영상과 제2 영상군의 영상이 서로 매칭되어 있으며, 제2 영상군의 영상은 상호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 판독 과정에서 단절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독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서 실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100)는 복수개가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단계(S100)에서 피사체에 속한 제1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 부피들에 대하여 생성된 일련의 영상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영상군을 획득하거나 컴퓨팅 장치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제1 영상군을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상군은 피사체에 속한 제1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인 부피들에 대하여 생성된 일련의 영상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평면에 투영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단계(S200)에서 컴퓨팅 장치는 제1 영상군 중 일 영상 또는 피사체에 속한 제2 슬라이스 두께의 연속적 부피들에 대하여 생성되는 일련의 영상들을 포함하는 제2 영상군 중 일 영상을 현재 열람 영상으로서 제공하거나 상기 컴퓨팅 장치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슬라이스 두께는 제1 슬라이스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영상군은 SR(superresolution)에 의하여 제1 영상군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단계(S300)에서 컴퓨팅 장치는 입력 장치의 제1 특정 입력에 응하여, 제1 특정 입력에 주어진 방향성에 기초하여 현재 열람 영상으로서 제공되는 영상을 다음 열람에 제공되도록 정해진 개별 영상으로 반복적으로 갱신하거나 타 장치로 하여금 갱신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특정 입력은 현재 열람 영상을 갱신하기 위한 입력으로, 방향성을 가지는 임의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특정 입력은 방향성을 가지는 마우스 스크롤을 통한 입력 또는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하는 입력일 수 있다. 윗 방향의 마우스 스크롤 입력이 수행된 경우, 컴퓨팅 장치는 현재 열람 영상에 대해 축 방향으로 바로 위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으로 현재 열람 영상을 갱신할 수 있다. 반대로, 아랫 방향의 마우스 스크롤 입력이 수행된 경우, 컴퓨팅 장치는 현재 열람 영상의 축 방향으로 바로 아래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으로 현재 열람 영상을 갱신할 수 있다. 제1 특정 입력은 제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방향성을 가지는 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00)에서 컴퓨팅 장치는 입력 장치의 제2 특정 입력에 응하여, 현재 열람 영상을 제1 영상군에 속한 영상과 제2 영상군에 속한 영상 사이에서 전환하거나 타 장치로 하여금 전환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열람 영상이 제1 영상군의 영상인 경우, 제2 특정 입력이 수행된 경우, 컴퓨팅 장치는 현재 열람 영상에 대응되는 제2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으로 현재 열람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영상군의 영상들은 제1 영상군의 영상에 매칭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의 전환이 지체없이 수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판독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특정 입력은 토글키(toggle key)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군을 현재 열람 영상으로써 제공되는 상황에서 토글키에 기초하여 제2 특정 입력이 수신된 경우, 컴퓨팅 장치는 제2 특정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제공되는 현재 열람 영상에 대응되는 제2 영상군에 속한 영상을 현재 열람 영상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 토글키에 기초한 제2 특정 입력이 다시 수신된 경우, 제2 특정 입력이 다시 수신된 시점의 현재 열람 영상에 대응되는 제1 영상군의 영상을 현재 열람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특정 입력에 대응되는 소정의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컴퓨팅 장치는 제2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을 현재 열람 영상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이 현재 열람 영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제2 특정 입력이 개시되고, 3초간 유지된 경우, 컴퓨팅 장치는 제2 특정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제공되는 현재 열람 영상에 대응되는 제2 영상군의 영상을 현재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제2 특정 입력이 유지되는 3초 동안 제2 영상군의 영상을 현재 영상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 제2 특정 입력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제1 특정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제2 영상군의 영상에서 현재 열람 영상을 갱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특정 입력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윗 방향에 대응되는 제1 특정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현재 열람 영상의 축 방향으로 바로 위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 영상군의 영상으로 현재 열람 영상을 갱신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를 통해 영상이 제공되는 방식의 구체적인 예시는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제시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영상군의 영상이 생성되어 저장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컴퓨팅 장치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제1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410)으로부터 제2 영상군에 대응하는 영상(421, 422, 423, 424, 425)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410)은 5mm의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제1 영상군에 포함되는 영상일 수 있다. 영상(421, 422, 423, 424, 425)는 1mm의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제2 영상군에 포함되는 영상일 수 있다. 5개의 영상(421, 422, 423, 424, 425)은 5mm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영상(410)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영상(410) 및 영상(421, 422, 423, 424, 425)를 상호 매칭하고, 매칭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410)에 기초하여 생성된 영상(421, 422, 423, 424, 425)은 영상(410)과 매칭되어 저장되고, 영상(421, 422, 423, 424, 425)은 각각의 물리적 위치 정보(예를 들어, 대응되는 깊이 정보의 순서)에 기초하여 정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영상(410)과 영상(421, 422, 423, 424, 425)가 매칭되는 방식은 영상 식별 번호 사이에 매칭이 이루어 지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410)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가 A1이고, 영상(421, 422, 423, 424, 425)에 대응되는 식별 번호가 B1, B2, B3, B4, B5)인 경우, A1과 B1 내지 B5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제2 영상군에 포함되는 모든 영상은 대응되는 제1 영상군의 영상과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제2 영상군에 포함되는 영상들은 상호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정렬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한 영상 제공 방법이 적용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510, 520)은 판독자에게 출력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일 수 있다. 제1 특정 입력(531)은 판독자가 현재 열람 영상(512)을 갱신하기 위한 입력으로, 마우스의 스크롤, 키보드의 방향 버튼 등과 같이 방향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5mm의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제1 영상군의 영상(512)이 초기 영상으로 판독자에게 제공되는 상황에서, 판독자로부터 제1 특정 입력(531)을 수신하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영상(521)을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독자는 윗 방향의 마우스 스크롤 입력을 통해 현재 열람 영상(512)보다 깊이 축으로 5mm 상위에 대응되는 영상(513)을 열람하거나, 아랫 방향의 마우스 스크롤 입력을 통해 현재 열람 영상(512)보다 깊이 축으로 5mm 하위에 대응되는 영상(511)을 열람할 수 있다.
보다 세밀한 판독을 위하여, 현재 열람 중이 5mm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영상(510) 보다 얇은 슬라이스 두께의 영상(520)을 열람할 필요가 있는 경우, 판독자는 제2 특정 입력(532)을 통해 영상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열람 영상(512)을 열람하던 도중에 판독자로부터 제2 특정 입력(532)을 수신하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현재 열람 영상(512)에 매칭되어 미리 저장된 영상(521, 522, 523, 524, 525)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제시된 도면에서 영상(521, 522, 523, 524, 525)은 영상(512)에 기초하여 생성된 1mm 슬라이스 두께의 영상일 수 있고, 영상(526, 527)은 영상(513)에 기초하여 생성된 1mm 슬라이스 두께의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는 제2 특정 입력(532)가 유지되는 동안 전환된 영상(520)을 제공하고, 제2 특정 입력(532)가 종료되는 경우, 다시 영상(510)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특정 입력(532)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판독자는 제1 특정 입력(531)을 통해 열람 영상(521, 522, 523, 524, 525, 526) 사이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의 갱신 방식은 앞서 영상(510)에 대해 설명한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특정 입력(532)이 중단되는 경우, 중단되는 시점에 현재 열람 영상(525)에 대응되는 영상(510)으로 영상이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특정 입력(532)는 토글키 방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자는 제2 특정 입력(532)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입력을 유지하지 않아도 제2 특정 입력(532)이 다시 수신되기 전까지 전환된 영상(520)에 대한 열람을 유지할 수 있다.
위 실시 예의 설명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들, 그리고 그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용례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는 범용 컴퓨터 및/또는 전용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특별한 모습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들은 내부 및/또는 외부 메모리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혹은 대안으로서, 상기 프로세스들은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Programmable Array Logic; PAL) 또는 전자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장치들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의 대상물 또는 선행 기술들에 기여하는 부분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Blu-ray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전술한 장치들 중 어느 하나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프로세서 아키텍처 또는 상이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들의 이종 조합, 또는 다른 어떤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기계 상에서 실행되기 위하여 저장 및 컴파일 또는 인터프리트될 수 있는, C와 같은 구조적 프로그래밍 언어, C++ 같은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고급 또는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어셈블리어, 하드웨어 기술 언어들 및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술들)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바, 기계어 코드, 바이트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태양에서는, 앞서 설명된 방법 및 그 조합들이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때, 그 방법 및 방법의 조합들이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실행 가능한 코드로서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일 태양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시스템들로서 실시될 수 있고, 방법들은 장치들에 걸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산되거나 모든 기능들이 하나의 전용, 독립형 장치 또는 다른 하드웨어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태양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수단들은 앞서 설명한 임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든 순차 결합 및 조합들은 본 개시서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RAM 등과 같은 메모리와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MPU, CPU, GPU, TPU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개발자들에 의하여 작성된 명령어들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그와 같이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것에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논리적으로 동치(logically equivalent)인 방법이 포함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들에 의하여 제한되어서는 아니되며, 법률에 의하여 허용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한다.

Claims (10)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1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피사체의 연속적인 부피들 각각에 대해 생성된 영상을 포함하는 제1 영상군의 영상을 제1 사용자 입력의 방향성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 순서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2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상기 피사체의 연속적인 부피들 각각에 대해 생성된 영상을 포함하는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상기 방향성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 순서로 제공하되, 상기 제2 슬라이스 두께는 상기 제1 슬라이스 두께와 다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상기 방향성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 순서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점과 연계된 상기 제1 영상군의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영상군의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을 상기 방향성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 순서로 제공하는, 영상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군의 영상은,
    상기 제1 영상군의 각각의 영상으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제2 영상군의 영상 및 상기 제1 영상군의 영상은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서로 대응되게 매칭되어 저장되며, 상기 제2 슬라이스 두께는 상기 제1 슬라이스 두께보다 작은, 영상 제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점과 연계된 상기 제1 영상군의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영상군의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을 상기 방향성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 순서로 제공하는 것은,
    - 상기 제2 영상군 내의 제1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을 상기 방향성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 순서로 제공하되,
    - 상기 제2 영상군 내에서 제1 영상의 위치는 상기 제1 영상군 내의 제2 영상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영상군 내에서 제2 영상의 위치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시점과 연계되는, 영상 제공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이 영상 축의 일 방향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 순서로 제공되는 과정에서 상기 방향성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을 상기 영상 축의 타 방향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 순서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상기 방향성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 순서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2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을 차례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이 종료되는 경우, 종료 시점에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상군의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상군에 포함된 영상을 상기 방향성에 기초하여 차례로 제공하는, 영상 제공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군의 영상을 상기 방향성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 순서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한 시점에 제공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영상군의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방향성에 기초하여 차례로 제공하는, 영상 제공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군의 영상은,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스 두께에 대응되는 영상들에 기초하여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통해 상기 제1 영상군의 각각의 영상으로부터 생성되는, 영상 제공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군의 영상은, 의료 장치로부터 획득된 단층 촬영 영상인, 영상 제공 방법.
  9.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컴퓨팅 장치.
KR1020200049734A 2019-08-13 2020-04-24 재구성된 영상군에 기초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275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734A KR102275622B1 (ko) 2019-08-13 2020-04-24 재구성된 영상군에 기초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20A KR102108418B1 (ko) 2019-08-13 2019-08-13 재구성된 영상군에 기초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0200049734A KR102275622B1 (ko) 2019-08-13 2020-04-24 재구성된 영상군에 기초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920A Division KR102108418B1 (ko) 2019-08-13 2019-08-13 재구성된 영상군에 기초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932A KR20210019932A (ko) 2021-02-23
KR102275622B1 true KR102275622B1 (ko) 2021-07-12

Family

ID=7468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734A KR102275622B1 (ko) 2019-08-13 2020-04-24 재구성된 영상군에 기초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6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278B1 (ko) * 2018-01-18 2018-09-04 주식회사 뷰노 일련의 슬라이스 영상을 재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898580B1 (ko) * 2018-01-22 2018-09-13 주식회사 뷰노 영상의 열람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278B1 (ko) * 2018-01-18 2018-09-04 주식회사 뷰노 일련의 슬라이스 영상을 재구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898580B1 (ko) * 2018-01-22 2018-09-13 주식회사 뷰노 영상의 열람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932A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6833B2 (en) Method for reconstructing series of slice images and apparatus using same
KR101898575B1 (ko) 진행성 병변에 대한 미래 상태를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943011B1 (ko) 피검체의 의료 영상 판독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8238624B2 (en) Hybrid medical image processing
US11449210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image base on a reconstructed image group and a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102255B1 (ko) 의료 영상에서 병변의 시각화를 보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90117969A (ko) 레이블 있는 데이터 및 레이블 없는 데이터를 병용하는 준지도 강화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149369B1 (ko) 의료 영상을 시각화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7240001B2 (ja) 画像の閲覧を支援する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装置
CN111080583B (zh) 医学图像检测方法、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200131737A (ko) 의료 영상에서 병변의 시각화를 보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885562B1 (ko) 제1 의료 영상의 관심 영역을 제2 의료 영상 위에 맵핑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067412B1 (ko) 치매 평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N114331992A (zh) 图像序列处理方法、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KR102112706B1 (ko) 결절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222816B1 (ko) 진행성 병변의 미래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923962B1 (ko) 의료 영상의 열람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275622B1 (ko) 재구성된 영상군에 기초한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91355B1 (ko)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및 장치
JP7402248B2 (ja) 深層神経網モデルの学習に用いられる学習データに基づいて対象データの品質パターンを変換する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99350B1 (ko) 의료 영상에서 병변의 정량화를 보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20060746A (ko) 의료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200131722A (ko) 훈련된 심층 신경망 모델의 재현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177567B1 (ko) 골 영상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00131723A (ko) 훈련된 심층 신경망 모델의 재현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