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379B1 -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 - Google Patents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379B1
KR102275379B1 KR1020190118856A KR20190118856A KR102275379B1 KR 102275379 B1 KR102275379 B1 KR 102275379B1 KR 1020190118856 A KR1020190118856 A KR 1020190118856A KR 20190118856 A KR20190118856 A KR 20190118856A KR 102275379 B1 KR102275379 B1 KR 102275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sual perception
perception training
user
t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1884A (en
Inventor
강동화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0654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28036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냅스
Priority to KR1020190118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379B1/en
Publication of KR2019011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8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3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은, 컴퓨터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200; 공간이동영상제공단계); 컴퓨터가 시지각훈련영상을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제공하는 단계(S400; 시지각훈련영상제공단계); 및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의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100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재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The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providing, by a computer, a spatial motion image to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S200; providing a spatial motion image); providing, by the computer,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or subsequent to the spatial movement image (S400; providing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and receiving, by the computer,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from the user (S1000).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step is described.

Description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

본 발명은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뇌 기능 저하 또는 손상에 의해 저하된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키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ased on brain connectiv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improving visual perception function that is lowered by brain function deterioration or damage.

일반적으로 뇌졸중은 단일 질병으로 국내 불구원인 1위로, 상기 뇌졸중으로 인한 뇌기능 손상 중, 시야 장애는 전체 환자의 20~30%의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주요 장애이다. 이러한 시야 장애는 통상적으로 영구결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시야 장애 재활치료 시도 자체가 전무한 것이 현실이고, 뇌졸증에 따라 시각피질에 뇌손상을 입은 환자는 특징적으로 병변 반대편에 반측 시야장애(hemianopia)를 보인다. 일례로 좌측 시각피질 부위에 뇌졸중이 발생한 환자는 우측에 반측 시야장애를 보이는데, 이때 환자는 두 눈을 모두 뜨고 정면을 바라보았을 때, 우측시야에 있는 사물이나 움직임을 인식하지 못한다.In general, stroke is a single disease and ranks first for disability in Korea. Among the brain function impairments due to the stroke, visual field impairment is a major disability that occurs in a high proportion of 20-30% of all patients. This visual field impairment is generally accepted as a permanent defect, and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no attempt to rehabilitate the visual field disorder itself. Patients with brain damage to the visual cortex following a stroke characteristically show hemianopia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esion . For example, a patient who has had a stroke in the left visual cortex has a visual field impairment on the right side. In this case, the patient cannot recognize objects or movements in the right visual field when both eyes are open and looking straight ahead.

그러나 시각피질 부위에 발생한 뇌졸중에 의한 시야 장애 환자 중에는 보이지 않는 시야에서 어떤 움직임이나 형태를 알아차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보이지 않는 시야에 X 또는 O를 보여주며 글자를 맞춰보라고 하면, 환자는 보이지 않는다고 대답하면서도 확률적으로 chance level 이상으로 글자를 맞추고, 심지어 시각자극에 적절한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환자는 자극을 시각적으로 지각하지 못하지만, 뇌는 움직임이나 형태를 알아차리는 것이다. 1970년대 Lawrence Weiskrantz가 발견한 이 현상을 맹시(blindsight)라고 불리우고 있는데, 상기 맹시는 보이지 않는데도 알아차리는 현상을 말한다. 상기한 맹시 현상의 존재는 망막을 통해 들어온 시각정보가 시각피질이 아닌 다른 곳을 통해서도 처리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However, some patients with visual field impairment due to a stroke occurring in the visual cortex may notice a movement or shape in an invisible field of view. While answering, it is possible to match the letters more than the chance level with probability, and even show an appropriate response to a visual stimulus. These patients do not perceive stimuli visually, but the brain notices movements or shapes. This phenomenon, discovered by Lawrence Weiskrantz in the 1970s, is called blindsight, which refers to the phenomenon of noticing even though it cannot be seen. The existence of the above-mentioned blindness phenomenon suggests that visual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retina can be processed through other places than the visual cortex.

따라서, 반복적인 시지각 자극 제공을 통해 시지각 학습(훈련)을 수행하여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키는 시지각 훈련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 visual perception function by performing visual perception learning (training) through repetitive provision of visual perception stimulation.

본 발명은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는 제공하는 것과 함께 시각피질과 연결성을 가지는 해마를 훈련함에 따라 시지각 기능 향상효과를 높이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based on brain connectivity that provides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and increases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improvement effect by training the hippocampus having connectivity with the visual cortex.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은, 컴퓨터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되, 상기 공간이동영상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경로를 이동하는 영상인, 공간이동영상제공단계; 컴퓨터가 시지각훈련영상을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제공하는 단계; 및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의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vides a spatial motion image to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wherein the spatial motion image is an image in which a user moves a path in a virtual space, Spatial moving image providing step; providing, by a computer,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or subsequent to the spatial movement image; and receiving, by the computer,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from the user.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제공단계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경로이동을 통해 가상공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진입하면, 컴퓨터가 각 공간에 부여된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follow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the user in the virtual space moves a plurality of existing in the virtual space through path movement. When entering any one of the spaces, the computer generates and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based on the conditions given to each space.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컴퓨터가 이전 시행과 동일한 공간에 진입하는 제2테스크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제2테스크를 성공하면, 컴퓨터가 상기 제2테스크 수행결과를 상기 제1테스크 수행결과에 반영하여 최종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uter requesting a second task to enter the same space as the previous trial to the user; and if the user succeeds in the second task, calculating, by the computer,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second task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to calculate a final result.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제공단계는,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공간이동영상 상에 상기 단위시간 간격으로 생성되는 시지각훈련영상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at the same time as the spatial movement image,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generated on the spatial movement image at the unit time interv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by combining the frames of.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테스크는, 상기 시지각훈련영상 내의 사용자의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보행 시에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고, 상기 제1테스크 수행결과는, 보행 중인 사용자가 상기 제1테스크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지 여부이다.Also,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task is displayed on the user's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and is to be performed when the user is walking, and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is, It is whether the user performs a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sk.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제공단계는, 상기 공간이동영상 내에 포함된 제1영상프레임과 상기 시지각훈련영상 내에 포함된 제2영상프레임을 결합하여 최종출력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영상프레임은 사용자의 고개움직임 또는 동공움직임에 의해 변경되는 것이고, 상기 제2영상프레임은 사용자의 고개움직임 또는 동공움직임에 의해 변경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viding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comprises combining the first image frame included in the spatial movement image and the second image frame includ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to generate a final output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mage frame is changed by the user's head or pupil movement, and the second image frame is fixed without being changed by the user's head or pupil movement.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공간이동영상은, 보행센싱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실제 보행을 센싱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이다.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patial motion image is generated based on data sensed by the user's actual walking by the gait sensing device.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은, 상기 시지각훈련영상 내의 사용자의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에 테스크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고, 컴퓨터가 상기 테스크이미지가 표시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에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to display a task image in the user's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and the computer sounds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task image is displayed. outputting; further includes.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컴퓨터가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시야범위 내의 트레이닝영역에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의 테스크이미지의 표시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uter acquiring the user's gaze direction; and determining a display position of the task image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n a training area within a viewing range based on the gaze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제공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The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viding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to execute the above-mentioned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and is stored in the medium.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컴퓨팅 장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는 통신부; 시지각훈련영상을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의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수신하여 시지각트레이닝의 최종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이동영상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경로를 이동하는 영상이다.Brain connectivity-based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providing a spatial motion image to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or follow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and receiving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from the user to calculate the final resul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includes; However, the space movement image is an image in which a user moves a path in a virtual space.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경로이동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고, 가상공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분할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진입한 각 분할공간에 부여된 시지각훈련영상 제공조건에 따라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생성하되, 상기 시지각훈련영상 제공조건은, 각 분할공간에서 시지각훈련영상 제공여부 또는 각 분할공간에서 시지각훈련영상 수행 시에 제공되는 리워드의 수준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patial motion image is provided as the user moves a path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spatial motion image is provided as the user enters any one of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existing in the virtual space. Subsequently,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according to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providing condition given to each divided space entered by the user, but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providing condition is the level of reward provided when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s are provided in each segmented space or when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s are performed in each segmented space.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이전 시행과 동일한 공간에 진입하는 제2테스크를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테스크를 성공하면 제2테스크 수행결과를 상기 제1테스크 수행결과에 반영하여 최종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quests the user for a second task to enter the same space as the previous trial, and when the user succeeds in the second task, the second task execution result is displayed as the first task execution resul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al result is calculated by reflecting it.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경로이동을 수행함에 따른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제1테스크를 시지각트레이닝 영역에 표시하는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동시에 제공하고, 경로이동 중에 상기 제1테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수신하여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provides the spatial movement image and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for displaying the first task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according to the path movement, and during the movement of the path, the fir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ask performance result is calculated by receiving the user's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test.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보행센싱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실제 보행을 센싱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이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spatial motion image based on data sensed by the user's actual gait by the gait sens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고, 제1테스크를 포함하는 시지각훈련영상을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제공하고,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에 대한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기반으로 시지각트레이닝의 최종결과를 산출하거나 상기 최종결과를 산출하는 컴퓨팅 장치로 상기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전송하되, 상기 제1테스크 수행결과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조작이 상기 제1테스크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조작은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것이고, 상기 공간이동영상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경로를 이동하는 영상이다.A head-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tial motion image on the screen of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provides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ncluding a first task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as the spatial motion image. It is provided follow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and the final resul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is calculated based o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o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or the result of the first task is transmitted to a computing device that calculates the final result. , The first task performance result is generated by determining whether a user operation received from a user matches the first task, and the user operation is input through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the space is A video is an image of a user moving a path in a virtual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장치는,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경로 이동을 제공하는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고, 시지각훈련영상을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의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수신한다.The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tial motion image that provides a user's path movement in a virtual space, and display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tion image or The spatial movement image is then provided, and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received from the us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뇌연결성을 갖는 시각피질과 해마를 함께 트레이닝함에 따라, 시각피질에 대한 시지각 트레이닝을 수행할 때에 비해 높은 시지각 기능 향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training the visual cortex and the hippocampus having brain connectivity toge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er visual perception function improvement effect than when performing visual perception training for the visual cortex.

또한, 공간이동과 시지각훈련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서 시각피질과 해마를 함께 트레이닝하는 다양한 훈련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patial movement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can be provid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training forms for training the visual cortex and the hippocampus together.

또한, 동일한 공간을 찾아가는 제2테스크를 제공함에 따라 공간이동을 수행한 공간 형태를 기억하도록 하여, 해마 자극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second task of finding the same space, the spatial shape in which the spatial movement is performed is memorized,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stimulating the hippocampus.

또한, 공간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 시지각 자극에 해당하는 제1테스크를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는 지시로 제공할 수 있어서, 재미있는 컨텐츠 형태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존에 비해 시지각 기능 향상 효과(즉, 치료효과)는 높이면서 사용자에게 훈련 시에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patial movement, the first task corresponding to the visual perceptual stimulus can be provided as an instruction to perform a specific motion, so that training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interesting content.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fun to the user during training while increasing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improvement effect (ie, treatment effect)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이동영상을 생성하는 가상공간인 방사형 미로(Radial maze)의 예시도면이다.
도 3(a)는 정상인에게 보이는 시야 범위의 예시도면이다.
도 3(b) 및 도 3(c)는 뇌 손상에 따른 시지각 장애 환자에게 보이는 시야 범위의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간이동을 수행한 후 특정한 공간 내에서 제공되는 시지각훈련영상의 예시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전 시행과 동일한 공간에 진입하는 제2테스크 수행과정을 더 포함하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스크이미지 출력방향에서 음향출력을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선방향에 따라 테스크이미지를 출력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based on brain conne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adial maze that is a virtual space for generating a spatial motio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n exemplary view of a field of view seen by a normal person.
3(b) and 3(c) are exemplary views of the visual field range seen by a patient with visual perception impairment due to brain damage.
4 is an exemplary view of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provided in a specific space after performing spatia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further including a second task execution process of entering the same space as the previous t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process of providing a sound output in the task image output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process of adjusting an output position of a task image according to a gaze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ublish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Note Book)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가 컴퓨팅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HMD장치가 컴퓨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서버가 해당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puter includes all of various devices capable of providing a result to a user by performing arithmetic processing. For example, computers include desktop PCs, notebooks (Note Books) as well as smart phones, tablet PCs, cellular phones, PCS phone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s), synchronous/asynchronous A mobile terminal of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IMT-2000), a Palm Personal Computer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the like may also be applicable. Also, when a head mounted display (HMD) device includes a computing function, the HMD device may be a computer.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correspond to a server that receives a request from a client and performs information processing.

본 명세서에서 '시지각트레이닝 영역'은 시야범위 내에서 시지각훈련에 의해 시지각 기능이 향상되어야 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뇌손상에 의한 시야장애 환자의 경우, '시지각트레이닝 영역'은 뇌 손상으로 시야범위 내의 보이지 않는 특정영역일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region' means an area in which visual perception function should be improved by visual perception training within the field of view.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atient with visual field impairment due to brain injury,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region' may be a specific region that is not visible within the visual field due to brain injury.

본 명세서에서 '공간이동영상'은 사용자의 가상공간 내에서의 이동을 표현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a 'spatial movement image' means an image expressing movement of a user in a virtual space.

본 명세서에서 '시지각훈련영상'은, 시지각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해 시지각트레이닝 영역에 과제를 제시하는 영상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refers to an image in which a task is present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in order to perform visual perception training.

본 명세서에서 '제1테스크'는 시지각훈련영상(200) 내에 제공되는 과제를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first task' means a task provid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

본 명세서에서 '제2테스크'는 공간이동영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과제로서, 사용자의 공간기억을 평가하는 과제를 의미한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As used herein, the 'second task' is a task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spatial motion image, and refers to a task for evaluating the user's spatial memory. Referring to the drawings, brain connectivit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의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based on brain connec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은, 컴퓨터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간이동영상(100)을 제공하는 단계(S200; 공간이동영상제공단계); 컴퓨터가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상기 공간이동영상(100)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에 이어서 제공하는 단계(S400; 시지각훈련영상제공단계); 및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의 제1테스크(210) 수행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100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재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viding a spatial motion image 100 to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S200; providing a spatial motion image step) ; providing, by a computer,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or subsequent to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S400; providing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and receiving, by the computer,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210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from the user (S1000).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step is described.

시각피질(Visual cortex)은, 대뇌피질 내에서 직접 시각 정보처리에 관여하는 후두엽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대뇌(cerebrum)겉질의 감각영역에서 촉각, 통각 등의 몸 감각과 시각, 청각, 미각, 후각 등 각각의 감각기관에서 들어온 신호들을 접수하고 처리해 인식하고 지각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로 중 한 부분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해당 감각에 대한 지각(Perception)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이 감각자극(예를 들어, 시각자극)을 인식하는 과정은, 감각기(예를 들어, 눈)에 감각자극(예를 들어, 시각자극)이 입력되어 감각 (Sensation)을 수행한 후, 대뇌의 감각영역(예를 들어, 시각피질)이 지각(Perception)하고, 감각표상(예를 들어, 시각표상)을 기억표상으로 연합시켜 의미를 도출하는 인식(Recognition)이 수행된다. 이 때, 시각자극이 감각기가 수용하는 경우에 시각피질이 손상되면, 감각기의 감각과정에는 이상이 없으나 시각자극을 지각하지 못하게 되어 물체를 보지 못하게 된다.The visual cortex is a region located in the occipital lobe directly involved in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within the cerebral cortex. The sensory area of the cerebrum cortex receives and processes signals from the body senses such as touch and pain, and each sensory organ such as sight, hearing, taste, and smell,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and perceived. If there is a problem in one of these pathways, perception of that sensation may become impossible. Specifically, the process in which a person recognizes a sensory stimulus (for example, a visual stimulus) is a process in which a sensory stimulus (for example, a visual stimulus) is input to a sensory organ (for example, the eye) to perform the Sensation. After that, the sensory area of the cerebrum (eg, the visual cortex) perceives, and the sensory representation (eg, the visual representation) is associated with the memory representation to derive meaning is performed. At this time, if the visual cortex is damaged when the visual stimulus is received by the sensory organ,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sensory process of the sensory organ, but the visual stimulus cannot be perceived and the object cannot be seen.

해마(Hippocampus)는 대뇌의 측뇌실하각 바닥면에 돌출하는 대뇌피질의 일부. 시상하부와 밀접한 신경연락을 하며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 영역이다. 해마(Hippocampus)는 장기 기억과 공간 탐색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다. 시각피질이 손상되어 물체를 보지 못하는 환자 중에서, 해마(Hippocampus)가 손상된 시각피질을 보완하여 물체를 인식하게 되는 환자가 존재한다. 즉, 해마(Hippocampus)는 대뇌 시각피질과 밀접한 신경연락을 하여 연결성을 가진다.The hippocampus (Hippocampus) is a part of the cerebral cortex that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ateral subventricle of the cerebrum. It is an invisible area in close neural communication with the hypothalamus. The hippocampus is a structur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long-term memory and spatial navigation. Among patients who cannot see objects due to damage to the visual cortex, there are patients in which the hippocampus compensates the damaged visual cortex to recognize objects. That is, the hippocampus (Hippocampus) has connectivity through close neural communication with the cerebral visual cortex.

따라서, 시각피질(Visual cortex)과 해마(Hippocampus)를 함께 자극함에 따라 손상 또는 저하된 시지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뇌에서, 시공간의 자기중심적(Egocentric: 감각수용기 중심) 처리를 수행하는 뇌영역(예를 들어, 1차 시각영역, parietal lobe, frontal lobe)과 시공간의 타인중심적(Allocentric: 시공간 환경 자체) 처리를 수행하는 해마는 뇌연결성을 가진다. 즉, 시공간 기억력을 담당하는 해마가 시지각 기능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시공간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Hippocampus)를 자극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트레이닝을 시각 자극을 제공하는 시지각 트레이닝과 함께 제공됨에 따라 시지각 훈련에 따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stimulating the visual cortex and the hippocampus togeth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amaged or decreased visual perception ability. Specifically, in the human brain, brain regions that perform egocentric processing of space-time (e.g., primary visual region, parietal lobe, frontal lobe) and allocentric space-time (Allocentric: space-time) The hippocampus, which processes the environment itself), has brain connectivity. In other words, the hippocampus, which is responsible for spatiotemporal memory, affects visual perception. Accordingly, as navigation training for stimulating the hippocampus in charge of spatiotemporal memory is provided together with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viding visual stimulation, the effec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can be improved.

컴퓨터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화면에 공간이동영상(100)을 제공한다(S200; 공간이동영상제공단계).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경로를 이동하는 영상이다.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일실시예로, 사용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가상공간을 이동함에 따라 변경되는 영상일 수 있다. 즉, 공간이동영상(100)이 사용자의 움직임을 수반하지 않고 시각적인 공간의 이동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터는 시각적인 공간변화를 제공하여 사용자 뇌의 해마를 자극할 수 있다.The computer provides the spatial moving image 100 on the head mounted display screen (S200; spatial moving image providing step). The space movement image 100 is an image in which a user moves a path in a virtual space. The space movement image 100 may be an image that is changed as the user moves through the virtual space regardless of a user's manipulation. That is,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may provide only visual movement of space without accompanying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is, the computer can stimulate the hippocampus of the user's brain by providing a visual spatial change.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다른 일실시예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가상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보행센싱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실제 보행을 센싱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행센싱장치는 사용자가 보행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트레드밀 장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터는 사용자가 실제 보행을 수행하도록 하여 현실공간에서 이동하면서 시공간 환경을 인지하는 것과 동일한 가상공간 내 움직임을 통해 해마를 자극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pace moving image 100 may be an image moved in a virtual space by a user's movement. For example,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is generated based on data sensed by the user's actual gait by the gait sensing device. The gait sensing device may be a virtual reality (VR) treadmill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walk. Through this, the computer can stimulate the hippocampus through movement in the virtual space that is the same as recognizing the space-time environment while moving in the real space by allowing the user to actually walk.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도 2에서와 같이, 방사형 미로(Radial Maze) 형태의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방사형 미로 형태의 가상공간은 사용자가 움직임을 시작하는 중앙영역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경로가 중앙영역에서부터 연장되어 존재한다. 방사형 미로 형태의 가상공간은 사용자가 각각의 경로를 구별할 수 있는 식별표지(예를 들어, 가상공간의 벽면에 배치되는 특정한 액자, 가상공간 내의 특정한 위치에 세워진 꽃병 등)를 공간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식별표지를 기반으로 방사형 미로의 특정한 경로를 구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일반 미로(Maze) 형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이 때, 일반 미로의 구조는 특정 훈련 주기가 종료된 후에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회 훈련을 수행하는 중에는 사용자가 미로 구조를 기억하는 트레이닝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일반 미로 구조가 유지되고, 1회 훈련 종료 후에 새로운 훈련이 시작될 때 일반 미로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The spatial motion image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spaces. As an embodiment,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 user moves in a virtual space in the form of a radial maze, as shown in FIG. 2 . That is, in the virtual space in the form of a radial maze, there is a central region where the user starts moving, and a plurality of paths that the user can move extend from the central region. In a virtual space in the form of a radial maze, an identification mark (for example, a specific picture frame placed on the wall of the virtual space, a vase erected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etc.) can be placed in the space for the user to distinguish each path. have. That is, the computer allows the user to distinguish a specific path of the radial maz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mark.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may be an image in which the user moves in the form of a general maze.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general maze may be changed after a specific training cycle is completed. For example, since the user must perform training to remember the maze structure while the user performs one training session, the general maze structure is maintained, and the general maze structure can be changed when a new training starts after the first training session ends. .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이미 생성되어 저장된 프레임을 시간 경과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이동영상은 특정한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주시방향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실시간 영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patial motion image 10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frames that have already been generated and stored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lapse of time or a user's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spatial motion image may be implemented as a real-time imag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location and the user's gaze direction in a specific virtual space.

컴퓨터가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상기 공간이동영상(100)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에 이어서 제공한다(S400; 시지각훈련영상(200) 제공단계).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은 시야범위 내의 시지각 트레이닝이 필요한 영역(즉,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에 훈련을 위한 테스크(즉, 제1테스크(210))를 제공하는 영상이다. The computer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or subsequent to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S400;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is an image for providing a task for training (ie, the first task 210 ) to an area requiring visual perception training (ie,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within the field of view.

사용자가 뇌이상에 의한 시지각 장애 환자인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시각피질에 이상이 생겨서 시야범위의 일부영역이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컴퓨터는 시지각훈련영상(200)을 통해 시야범위 내에 보이지 않는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에 테스크를 제공하고 해당 테스크를 맞추도록 하여 시지각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When the user is a patient with a visual perception disorder due to a brain abnormality, as shown in FIG. 3 ,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visual cortex, so that a partial region of the visual field may not be visible. The computer provides a task to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that is not visible within the visual field through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and allows the corresponding task to be matched to treat the visual perception disorder.

또한, 사용자가 시지각 장애가 없는 일반인인 경우, 시지각 기능이 정상범위에는 속하나 시각자극에 대한 반응이 빠르지 않는 등으로 시지각 기능이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 때, 시지각 트레이닝을 수행하여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is a non-visual perceptual impairment, the visual perceptual function may fall within the normal range, but the visual perceptual function may not be fast enough to respond to a visual stimulus. In this case,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may be improved by performing visual perception training.

상기 제1테스크(210)는 화면(즉, 시지각훈련영상(200)) 내의 특정영역에 사용자가 맞추어야 하는 문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테스크(210)는 다양한 형태로 화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컴퓨터는 상이한 도형 또는 패턴을 구별하는 문제를 제1테스크(210)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에 가로줄무늬 또는 세로줄무늬를 구별하는 문제를 제1테스크(21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task 210 is to provide a problem that the user needs to fit into a specific area within the screen (ie,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The first task 210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in various forms. In one embodiment, the computer presents the first task 210 with the problem of distinguishing different figures or patterns. For example, the computer may provide the problem of distinguishing horizontal stripes or vertical stripes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as the first task 210 .

또한, 상기 제1테스크(210)는, 다른 일실시예로, 시지각훈련영상(200)이 공간이동영상(100)과 함께 제공되는 경우, 공간이동영상(100) 내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과제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실제 보행 움직임을 통해 가상공간의 공간이동영상(100)이 변경되는 경우, 컴퓨터는 시지각훈련영상(200) 내 시지각트레이닝영역에 방향전환 지시(예를 들어, 특정한 방향으로 경로 전환을 지시하는 화살표 또는 방향 전환을 수행하여야 하는 위치에 대한 안내)를 제1테스크(210)로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는 제1테스크(210)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사용자가 수행하는 지 여부를 통해 제1테스크(210)를 인지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보행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지각트레이닝영역(예를 들어, 시각피질 손상에 따라 보이지 않는 영역 또는 시지각 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영역)에 방향 전환을 안내하는 화살표와 방향 전환을 수행할 때까지 남은 거리를 나타내는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컴퓨터는 사용자가 안내된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경로전환을 수행하거나 안내된 지점과 다른 위치에서 경로전환을 수행하면 제1테스크를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task 210 ,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 the task to be performed within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is may be applicable. For example, when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of the virtual space is changed through the user's actual walking movement, the computer instruct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to change direction (eg, a specific direction). to the first task 210 )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task 210 ). The computer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ask 210 is recognized through whether the user performs a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sk 210 . For example, an arrow that guides direction change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for example, an area invisible due to damage to the visual cortex or an area in which visual perception ability is deteriorated) in the process of a user walking in a virtual space In the case of displaying guid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stance remaining until the direction change is performed, the computer performs the first task when the user performs a route chang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guided direction or performs a route change at a location different from the guide point. may be considered not to be recognized.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 제공단계(S400)는,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에 이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제공하는 경우,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경로이동을 통해 가상공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진입하면, 컴퓨터가 각 공간에 부여된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공간이동영상(100)은 복수의 분할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상공간의 구조를 기억함에 따라 공간이동영상(100) 내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특정한 공간에 진입하는 과정을 통해 해마를 자극한다. 예를 들어, 방사형 미로 상에서 사용자가 경로이동을 수행하는 경우, 컴퓨터는 각각의 경로 끝의 공간(즉, 분할공간)에서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 S400 ),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is provided follow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 the user in the virtual space Upon enter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paces existing in the virtual space through path movement, the computer generates and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based on the conditions assigned to each space.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and as the user remembers the structure of the virtual space, the hippocampus is moved along the path in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to enter a specific space. stimulate For example, when a user moves a path on a radial maze, the computer may provide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n a space (ie, a divided space) at the end of each path.

이 때, 각각의 분할공간은 각각 시지각훈련영상(200) 제공조건이 부여될 수 있다. 시지각훈련영상(200) 제공조건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가상공간 내의 분할공간에서 시지각훈련영상 제공여부, 시지각훈련영상 제공 시에 제공되는 리워드의 수준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복수의 분할공간 중에 일부만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시지각훈련을 수행함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받는 경우, 컴퓨터는 사용자가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지 않는 분할공간에 진입하면 리워드를 획득하지 못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컴퓨터는 각각의 분할공간이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되 시지각훈련을 수행함에 따라 획득되는 리워드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divided spaces may be provided with a condition for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 respectively. The conditions for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may correspond to whether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in a divided space within the virtual space that the user moves, the level of rewards provided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computer may provide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to only a part of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When a reward is provided as a result of performing visual perception training, the computer sets so that a reward cannot be obtained when the user enters a partitioned space that does not provide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Also, for example, the computer may provide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for each divided space, but may set different rewards obtained a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s performed.

예를 들어, 가상공간 내의 방사형 미로(Radial maze) 상에서 공간이동을 수행하는 경우, 컴퓨터는 복수개의 방사 경로 중에서 특정한 조건(즉, 각 훈련 시마다 설정되는 조건)에 부합하는 경로의 끝에서만 리워드를 제공하는 시지각트레이닝이 수행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건에 부합하는 경로를 탐색 및 기억하도록 한다. For example, when performing spatial movement on a radial maze in a virtual space, the computer provides a reward only at the end of a path that meets a specific condition (that is, a condition set for each training) among a plurality of radial paths. visual perception training is performed, and through this, the user searches for and remembers a path that meets the conditions.

또한, 예를 들어, 경로탐색을 반복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리워드 제공조건에 해당하는 경로를 최초 탐색하고, 다음 시행(예를 들어, 방사형 미로의 중앙에서 다시 경로 탐색을 시작하거나 제1테스트를 제공받은 위치에서 다른 분할공간을 찾아가는 시행)에서 리워드제공조건에 해당하는 동일 또는 상이한 경로를 기억하여 이동을 수행함에 따라 해마(Hippocampus)가 자극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경로를 탐색하는 수행하는 제2테스크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 컴퓨터는 리워드가 제공되는 경로를 동일하게 탐색하면 더 높은 리워드를 제공하거나, 이미 이동하였던 경로에서는 리워드가 제공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공간기억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if the route search is repeatedly performed, the user searches the route corresponding to the reward provision condition first, and then starts the route search again in the center of the radial maze or performs the first test. The hippocampus may be stimulated as the movement is performed by memorizing the same or different paths corresponding to the reward provision condition in the trial to find another partition space from the provided location). That is, when the user repeatedly performs the second task of searching for a route, the computer provides a higher reward if the same search for a route on which a reward is provided, or prevents a reward from being provided on a route that has already been moved Thus,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s spatial memory.

컴퓨터는 사용자가 진입한 공간 내에서 상기 제공조건에 따른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해마를 자극하는 훈련과정에 이어서 시각피질을 자극하는 훈련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 제공단계(S400)는, 상기 공간이동영상(100)과 동시에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공간이동영상(100) 상에 상기 단위시간 간격으로 생성되는 시지각훈련영상(200)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상기 공간이동영상(100) 내에 포함된 제1영상프레임과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 내에 포함된 제2영상프레임을 결합하여 최종출력영상을 생성한다. As the computer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according to the provision condition within the space entered by the user, it may provide the user with a training process for stimulating the visual cortex following the training process for stimulating the hippocampus. ,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 S400 ),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is provided at the same time as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 by combining the frames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generated at the unit time interval on the image. For example, the computer generates a final output image by combining the first image frame included in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and the second image frame includ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

이 때, 일실시예로, 상기 제1영상프레임은 사용자의 고개움직임 또는 동공움직임에 의해 변경되는 것이고, 상기 제2영상프레임은 사용자의 고개움직임 또는 동공움직임에 의해 변경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고개를 움직이거나 시선을 움직이더라도 제1테스크(210)가 시지각트레이닝 영역에 표시되어야 손상된 시각피질 영역을 훈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개를 움직이거나 동공을 움직임에 따라 제1테스크(210)의 위치도 변경되게 되면, 사용자는 제1테스크(210)가 시야범위 내의 정상영역에 표시됨에 따라 제1테스크(210)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테스크(210)를 시지각트레이닝영역에 고정하기 위해, 컴퓨터는 시지각훈련영상(200)에 포함된 제2영상프레임을 고개움직임이나 안구움직임에 상관없이 고정되도록 설정한다. In this case, as an embodiment, the first image frame is changed by the user's head or pupil movement, and the second image frame is fixed without being changed by the user's head or pupil movement. . Even if the user moves his/her head or gazes in the process of moving in the virtual space, the damaged visual cortex region can be trained only when the first task 210 is displayed o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region. When the position of the first task 210 is also changed as the user moves the head or the pupil, the user can check the first task 210 as the first task 210 is displayed in a normal area within the field of view. be able to Therefore, in order to fix the first task 210 to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the computer sets the second image frame includ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to be fixed regardless of the head movement or the eye movement.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의 제1테스크(210) 수행결과를 수신한다(S1000). 컴퓨터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공간이동영상(100)을 제공한 후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제공하는 경우, 컴퓨터는 사용자가 진입한 공간 내에서 제공되는 시지각훈련영상(200)의 제1테스크(210)에 대해 정답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테스크(210)는, 도 4에서와 같이,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 상의 특정 위치에 제공되는 문제(예를 들어, 여러 도형 중에서 시지각트레이닝 영역에 표시된 도형을 선택하는 문제)일 수 있고, 제1테스크(210) 수행결과는 시지각트레이닝 영역에 표시되는 문제에 대한 입력값이 정답인지 여부이다.The computer receive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210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from the user (S1000). When the computer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after provid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through the head mounted display screen, the computer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provided in the space entered by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rrect answer is input for the first task 210 . That is, the first task 210 is a problem (eg, a problem of selecting a figure display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from among several figures) provided at a specific location o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s in FIG. 4 .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210 is whether the input value for the problem display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is the correct answer.

공간이동영상(100)과 시지각훈련영상(200)을 함께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1테스크(210)는 시지각훈련영상(200) 내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보행 시에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고, 상기 제1테스크(210) 수행결과는 보행 중인 사용자가 상기 제1테스크(210)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지 여부이다. 즉, 공간이동영상(100)과 시지각훈련영상(200)을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시지각훈련영상(200) 내의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and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are provided together, the first task 210 is display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and is performed when the user walk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210 is whether the walking user performs a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sk 210 . That is, when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and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are simultaneously provided, the computer may allow the user to input an answer to a problem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

일실시예로, 컴퓨터는 사용자가 공간이동영상(100)에 대응하는 가상공간 내를 이동하는 중에 일측에 표시되는 제1테스크(210)에 대한 정답을 양손에 파지하는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받는다. 두 개의 도형 중에서 제1테스크(210)에 포함된 도형을 선택하는 문제인 경우, 컴퓨터는 제1도형을 왼손 컨트롤러에 매칭하고 제2도형을 오른손 컨트롤러에 매칭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컨트롤러 종류에 의해 정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uter receives an input through a controller that holds the correct answer to the first task 210 displayed on one side while the user moves in the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in both hands. In the case of selecting a figure included in the first task 210 among two figures, the computer matches the first figure to the left-hand controller and the second figure to the right-hand controller to determine the correct answer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roller the user operates can be input.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1테스크(210)가 공간이동영상(100)에 대응하는 가상공간 내를 이동하는 중에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 또는 움직임인 경우, 컴퓨터는 제1테스크(210)가 화면 상에 제공된 후에 사용자가 제1테스크(210)에 따른 동작이나 움직임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바탕으로 제1테스크(210)를 시각적으로 인지하였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동작 또는 움직임이 사용자의 보행 방향 전환인 경우, 컴퓨터는 사용자가 방향 전환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로 제1테스크(210)의 시각적 인지를 파악한다. 또한, 예를 들어, 컴퓨터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비전센서 또는 모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 유형을 판단하고, 제1테스크(210)에 대응되는 동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rst task 210 is an operation or movement to be performed while moving in a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 the computer displays the first task 210 on the scre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task 210 is visually recognized based on whether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or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task 210 after being provided on the screen.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or movement is the user's gait direction change,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performed the direction change or not, and recognizes the visual recognition of the first task 210 . Also, for example, the computer determines the user's movement type through a vision sensor or a motion sensor that recognizes the user's moveme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task 210 .

컴퓨터는 제1테스크(210) 수행결과를 기반으로 시지각 트레이닝 수행결과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시지각 기능 상태를 파악한다. The computer calculates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performance result based on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first task 210, and identifies the user's visual perception function state.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에 이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제공하는 경우, 컴퓨터가 이전 시행과 동일한 공간에 진입하는 제2테스크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S500); 및 사용자가 상기 제2테스크를 성공하면, 컴퓨터가 상기 제2테스크 수행결과를 상기 제1테스크(210) 수행결과에 반영하여 최종결과를 산출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공간이동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간을 이동한 경로를 사용자에게 기억한 후 재수행하도록 하여, 컴퓨터는 공간기억을 담당하면서 시지각 기능과 연관된 해마를 자극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테스크는 공간이동영상(100) 내의 가상공간에서 이전 시행과 동일한 경로를 기억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과제이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as in FIG. 5 , when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follow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 the computer performs the second task of entering the same space as the previous trial. requesting the user (S500); and when the user succeeds in the second task, the computer reflects the result of the second task to the result of the first task 210 to calculate a final result (S600). In addition to performing spatial movement, the computer can stimulate the hippocampus,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while the computer is responsible for spatial memory by memorizing the path traveled through space to the user and then re-performing it. That is, the second task is a task to memorize and move the same path as the previous trial in the virtual space within the spatial moving image 100 .

컴퓨터는 이전 시행과 동일한 공간에 다시 진입하는 제2테스크를 사용자에게 요청한다(S500). 예를 들어, 컴퓨터는 복수의 분할공간을 가지는 동일한 가상공간 내에서 공간이동을 시작하는 위치를 변경한 후 동일한 공간을 찾아가도록 요청할 수 있다. 즉, 컴퓨터는 이전 시행 과정에서 가상공간 내를 이동하면서 확인한 공간 구조를 기억하도록 하여 해마를 자극할 수 있고, 뇌연결성을 통해 해마를 자극하여 시지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mputer requests the user for the second task to re-enter the same space as the previous trial (S500). For example, the computer may request to find the same space after changing the location where the space movement starts in the same virtual space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spaces. That is, the computer can stimulate the hippocampus by making it remember the spatial structure identified while moving in the virtual space in the previous implementation process, and it can improve the visual perception function by stimulating the hippocampus through brain connectivity.

그 후, 컴퓨터는, 사용자가 상기 제2테스크를 성공하면, 컴퓨터가 상기 제2테스크 수행결과를 상기 제1테스크(210) 수행결과에 반영하여 최종결과를 산출한다(S600). 즉, 동일한 공간을 찾아가는 제2테스크를 성공하면 공간기억 수행을 통해 해마 자극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컴퓨터는 제2테스크 성공여부를 특정 공간 내에서 시지각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제1테스크(210) 수행결과와 함께 반영하여 시지각 훈련의 최종결과를 산출한다.Thereafter, when the user succeeds in the second task, the computer reflects the result of the second task in the result of the first task 210 to calculate the final result ( S600 ). That is, if the second task of finding the same space is successful, the hippocampus is stimulated through performing spatial memory, so the computer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task succeeds or not with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210 for performing visual perception training in a specific space. It is reflected together to calculate the final resul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도 6에서와 같이, 컴퓨터가 제1테스크(210)(즉, 테스크이미지)가 표시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에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한다. 뇌손상에 의해 시야범위의 일부가 보이지 않는 환자는 시지각훈련영상(200) 내의 테스크이미지(210)를 시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다른 감각을 통해 시지각 자극이 제공되는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컴퓨터가 3차원 음향 출력을 통해 테스크이미지(210)가 표시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에서 음향을 제공하여, 음향이 제공되는 방향의 시야영역에서 테스크이미지(210)를 인지하려는 시도를 통해 시지각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 the computer outputting soun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ask 210 (ie, task image) is displayed (S700) further includes; . A patient whose visual field is not partially visible due to brain damage may not be able to visually recognize the task image 210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so it can gu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visual stimulation is provided through other senses. have. The computer provides soun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task image 210 is displayed through three-dimensional sound output, and provides a visual perception function through an attempt to recognize the task image 210 in the field of view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is provided. This can be improved.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도 7에서와 같이, 컴퓨터가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획득하는 단계(S800); 및 상기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시야범위 내의 트레이닝영역에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의 테스크이미지(210)의 표시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90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의 시선이동에 의해 제1테스크(210)(즉, 테스크이미지)가 시지각트레이닝영역(예를 들어, 시지각 손상영역)에 배치되지 않고 정상영역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시선방향(즉, 바라보는 방향의 시야중심)을 기준으로 시지각트레이닝영역으로 제1테스크(210)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시선방향은 고개움직임과 안구움직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컴퓨터는 사용자의 고개움직임을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구비된 모션센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사용자의 안구움직임을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아이트래커(Eye-Tracker)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7, the computer obtaining the user's gaze direction (S800); and determining a display position of the task image 210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in a training area within a viewing range based on the gaze direction (S900).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first task 210 (that is, the task image) from being placed in the normal area instead of being plac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eg, the visual perception impaired area) due to the user's gaze movement. To this end, the user's gaze direction is measured in real time,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task 210 is adjust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based on the gaze direction (ie, the viewing center of the viewing direction). The gaze direction may be determined by a head movement and an eyeball movement. The computer may recognize the user's head movement through a motion sensor provid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detect the user's eye movement through an eye-tracker provided in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구체적으로, 컴퓨터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모션센서 또는 아이트래커를 통해 시선방향(즉,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범위의 중심방향)을 획득한다(S800). 그 후, 컴퓨터는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시지각트레이닝영역을 판단하여 제1테스크(210)(즉, 테스크이미지(210))의 가상공간 내 표시위치를 조절한다(S900). 예를 들어, 시야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영역이 뇌손상에 의해 보이지 않는 영역인 경우, 사용자의 고개움직임 또는 동공움직임에 의해 시선방향이 변경되면, 컴퓨터는 변경된 시선방향을 파악하고,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시야범위를 결정한 후,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시야범위의 좌측상단에 해당되는 범위를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으로 조절하여 제1테스크(210)를 표시한다.Specifically, the computer acquires the gaze direction (ie,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viewing range viewed by the user) through the motion sensor or the eye tracker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S800). Thereafter, the computer determin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based on the gaze direction and adjusts the display position of the first task 210 (ie, the task image 210 ) in the virtual space ( S900 ). For example, if the upper left area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view is an area that is not visible due to brain damage, if the gaz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user's head or pupil movement, the computer recognizes the changed gaze direction and determines the gaze direction. After determining the user's viewing range as a reference, the first task 210 is displayed by adjusting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upper left of the viewing range based on the viewing direction a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고, 제1테스크를 포함하는 시지각훈련영상을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제공하고,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에 대한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기반으로 시지각트레이닝의 최종결과를 산출하거나 상기 최종결과를 산출하는 컴퓨팅 장치로 상기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전송한다. 상기 제1테스크 수행결과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조작이 상기 제1테스크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조작은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사용하는 장치, 사용자가 착석하여 보행을 수행하는 보행센싱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이동영상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경로를 이동하는 영상이다.A head-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tial motion image on the screen of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provides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ncluding a first task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as the spatial motion image. It is provided following the spatial motion image, and the final resul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is calculated based o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o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or the result of the first task is transmitted to a computing device that calculates the final result. .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is generated by determining whether a user operation received from the user matches the first task. The user operation is input through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device gripped and used by the user, a gait sensing device for the user to sit and walk, and the like. The space movement image is an image in which a user moves a path in a virtual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컴퓨팅장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에 공간이동영상(100)을 제공하고,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상기 공간이동영상(100)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에 이어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의 제1테스크(210) 수행결과를 수신한다.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경로를 이동하는 영상이다.The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tial motion image 100 to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r a client device to which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s connected, and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 200) is provided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or subsequent to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and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210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space movement image 100 is an image in which a user moves a path in a virtual sp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컴퓨팅장치는,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특정한 가상공간에 대한 공간이동영상(100)을 생성하거나 기 저장된 공간이동영상(100)을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경로를 이동하는 영상이다. 일실시예로,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가상공간을 이동함에 따라 변경되는 영상일 수 있다. 즉, 공간이동영상(100)이 사용자의 움직임을 수반하지 않고 시각적인 공간의 이동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터는 시각적인 공간변화를 제공하여 사용자 뇌의 해마를 자극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가상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은, 보행센싱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실제 보행을 센싱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행센싱장치는 사용자가 보행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트레드밀 장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터는 사용자가 실제 보행을 수행하도록 하여 현실공간에서 이동하면서 시공간 환경을 인지하는 것과 동일한 가상공간 내 움직임을 통해 해마를 자극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generates a space movement image 100 for a specific virtual space or extracts a pre-stored space movement image 100 in real time. The space movement image 100 is an image in which a user moves a path in a virtual space. In one embodiment,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may be an image that is changed as the user moves in a virtual space regardless of a user's manipulation. That is,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may provide only visual movement of space without accompanying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is, the computer can stimulate the hippocampus of the user's brain by providing a visual spatial change. In another embodiment,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may be an image that is moved in a virtual space by a user's movement. For example,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is generated based on data sensed by the user's actual gait by the gait sensing device. The gait sensing device may be a virtual reality (VR) treadmill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walk. Through this, the computer can stimulate the hippocampus through movement in the virtual space that is the same as recognizing the space-time environment while moving in the real space by allowing the user to actually walk.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어부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이동영상(100)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방사형 미로(Radial Maze) 형태 또는 일반 미로(Maze) 형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영상을 공간이동영상(100)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provides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based on various types of spaces.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n image in which the user moves in the form of a radial maze or a general maze as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어부는, 일반 미로의 구조를 가상공간에 적용하는 경우, 특정 훈련 주기가 종료된 후에 미로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회 훈련을 수행하는 중에는 사용자가 미로 구조를 기억하는 트레이닝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일반 미로 구조가 유지되고, 1회 훈련 종료 후에 새로운 훈련이 시작될 때 일반 미로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Also, 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general maze structure is applied to the virtual space,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maze structure after a specific training period ends. For example, since the user must perform training to remember the maze structure while the user performs one training session, the general maze structure is maintained, and the general maze structure can be changed when a new training starts after the first training session ends. .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어부는 이미 생성되어 저장된 공간이동영상(100) 프레임을 시간 경과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어부는 특정한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주시방향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실시간 영상으로 공간이동영상(100)을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implement the already generated and stored spatial movement image 100 frame in a form that provides it according to the lapse of time or a user's manipulation. Also, as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implement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as a real-time imag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location and the user's gaze direction in a specific virtual space.

또한, 제어부는, 시지각훈련영상(200)을 공간이동영상(100)과 동시에 또는 공간이동영상(100)에 이어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은 시야범위 내의 시지각 트레이닝이 필요한 영역(즉,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에 훈련을 위한 테스크(즉, 제1테스크(210))를 제공하는 영상이다. 상기 제1테스크(210)는 화면(즉, 시지각훈련영상(200)) 내의 특정영역에 사용자가 맞추어야 하는 문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erves to provide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or subsequent to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is an image for providing a task for training (ie, the first task 210 ) to an area requiring visual perception training (ie,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within the field of view. The first task 210 is to provide a problem that the user needs to fit into a specific area within the screen (ie,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상기 제1테스크(210)는 다양한 형태로 화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컴퓨터는 상이한 도형 또는 패턴을 구별하는 문제를 제1테스크(210)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에 가로줄무늬 또는 세로줄무늬를 구별하는 문제를 제1테스크(21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task 210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in various forms. In one embodiment, the computer presents the first task 210 with the problem of distinguishing different figures or patterns. For example, the computer may provide the problem of distinguishing horizontal stripes or vertical stripes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as the first task 210 .

또한, 상기 제1테스크(210)는, 다른 일실시예로, 시지각훈련영상(200)이 공간이동영상(100)과 함께 제공되는 경우, 공간이동영상(100) 내에서 수행하여야 하는 과제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실제 보행 움직임을 통해 가상공간의 공간이동영상(100)이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는 시지각훈련영상(200) 내 시지각트레이닝영역에 방향전환 지시(예를 들어, 특정한 방향으로 경로 전환을 지시하는 화살표 또는 방향 전환을 수행하여야 하는 위치에 대한 안내)를 제1테스크(21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task 210 ,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 the task to be performed within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is may be applicable. For example, when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of the virtual space is changed through the user's actual walking movement, the control unit instruct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to change direction (eg, a specific direction). to the first task 210 )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task 210 ).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어부는, 상기 공간이동영상(100)에 이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제공하는 경우,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경로이동을 통해 가상공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진입하면, 컴퓨터가 각 공간에 부여된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공간이동영상(100)은 복수의 분할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상공간의 구조를 기억함에 따라 공간이동영상(100) 내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특정한 공간에 진입하는 과정을 통해 해마를 자극한다. 예를 들어, 방사형 미로 상에서 사용자가 경로이동을 수행하는 경우, 컴퓨터는 각각의 경로 끝의 공간(즉, 분할공간)에서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분할공간은 각각 시지각훈련영상 제공조건이 부여될 수 있다. 기설명된 시지각훈련영상 제공조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사용자가 진입한 공간 내에서 상기 제공조건에 따른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해마를 자극하는 훈련과정에 이어서 시각피질을 자극하는 훈련과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follow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 the user moves in the virtual space through a plurality of paths existing in the virtual space. When entering any one of the spaces, the computer generates and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based on the conditions given to each space.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and as the user remembers the structure of the virtual space, the hippocampus is moved along the path in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to enter a specific space. stimulate For example, when a user moves a path on a radial maze, the computer may provide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n a space (ie, a divided space) at the end of each path. In this case, each of the divided spaces may be provided with a condition for providing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respective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ditions for providing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s will be omitted. By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according to the provision condition in the space enter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may provide the user with a training process for stimulating the visual cortex following the training process for stimulating the hippocampus.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가 경로이동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고, 가상공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분할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진입한 각 분할공간에 부여된 시지각훈련영상 제공조건에 따라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시지각훈련영상 제공조건은, 각 분할공간에서 시지각훈련영상 제공여부 또는 각 분할공간에서 시지각훈련영상 수행 시에 제공되는 리워드의 수준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patial motion image is provided as the user moves a path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spatial motion image is provided as the user enters any one of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existing in the virtual space. Subsequently,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according to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provision condition given to each divided space entered by the user. The condition for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whether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in each divided space or the level of a reward provided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erformed in each divided space.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이전 시행과 동일한 공간에 진입하는 제2테스크를 사용자에게 요청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2테스크를 성공하면 제2테스크 수행결과를 상기 제1테스크 수행결과에 반영하여 최종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requests the user for a second task to enter the same space as the previous trial, and when the user succeeds in the second task, the second task execution result is displayed as the first task execution resul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al result is calculated by reflecting it.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제어부는, 상기 공간이동영상(100)과 동시에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공간이동영상(100) 상에 상기 단위시간 간격으로 생성되는 시지각훈련영상(200)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상기 공간이동영상(100) 내에 포함된 제1영상프레임과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 내에 포함된 제2영상프레임을 결합하여 최종출력영상을 생성한다. 이 때, 일실시예로, 상기 제1영상프레임은 사용자의 고개움직임 또는 동공움직임에 의해 변경되는 것이고, 상기 제2영상프레임은 사용자의 고개움직임 또는 동공움직임에 의해 변경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공간에서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고개를 움직이거나 시선을 움직이더라도 제1테스크(210)가 시지각트레이닝 영역에 표시되어야 손상된 시각피질 영역을 훈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controller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at the same time as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 a message generated on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at the unit time interval It serves to combine and provide the frames of each training image 20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final output image by combining the first image frame included in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and the second image frame includ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 In this case, as an embodiment, the first image frame is changed by the user's head or pupil movement, and the second image frame is fixed without being changed by the user's head or pupil movement. . Even if the user moves his/her head or gazes in the process of moving in the virtual space, the damaged visual cortex region can be trained only when the first task 210 is displayed o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reg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200)의 제1테스크(210) 수행결과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컨트롤러(Controller) 또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제1테스트 수행결과를 수신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하는 장치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보행 등의 움직임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보행센싱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실제 보행을 센싱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공간이동영상을 생성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210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receives a first test execution result from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or a client apparatus connected to the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The controller may be a device operated while the user holds it, or a device that performs a movement such as walking while the user is seat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spatial motion image based on data sensed by the user's actual walking by the gait sensing device.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사용자가 공간이동영상(100)에 대응하는 가상공간 내를 이동하는 중에 일측에 표시되는 제1테스크(210)에 대한 정답을 양손에 파지하는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공간이동영상(100)에 대응하는 가상공간 내를 이동하는 중에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 또는 움직임을 제1테스크 수행결과로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경로이동을 수행함에 따른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제1테스크를 시지각트레이닝 영역에 표시하는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동시에 제공하고, 경로이동 중에 상기 제1테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수신하여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시지각훈련영상을 사용자의 보행 방향 전환을 명령하는 이미지로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가 특정시점에 특정한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는 동작 또는 움직임을 제1테스크 수행결과로 수신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performs the first task input through the controller holding the correct answer to the first task 210 displayed on one side while the user moves in the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in both hands. results can be received. Also, the controller may receive an operation or movement to be performed while moving in the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That is,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provides the spatial movement image and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displaying the first task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according to the path movement, and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st during the path movement.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is calculated by receiving the movement. For example,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as an image for instructing the user to change the walking direction, the controller may receive an operation or movement of the user to change the direction in a specific direction at a specific time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기반으로 시지각 트레이닝 수행결과를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시지각 트레이닝 수행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지각 기능 상태를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erves to calculate a result of perform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based o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erves to determine the user's visual perception functional state based on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일실시예로, 제1테스크(210)가 공간이동영상(100)에 대응하는 가상공간 내를 이동하는 중에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 또는 움직임인 경우, 제어부는 제1테스크(210)가 화면 상에 제공된 후에 사용자가 제1테스크(210)에 따른 동작이나 움직임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바탕으로 제1테스크(210)를 시각적으로 인지하였는지 판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공간이동영상(100)을 제공한 후 시지각훈련영상(200)을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가 진입한 공간 내에서 제공되는 시지각훈련영상(200)의 제1테스크(210)에 대해 정답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first task 210 is an operation or movement to be performed while moving in a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task 210 to be provided on the screen. Afterwa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visually recognized the first task 210 based on whether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or movement according to the first task 210 .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200 is provided after provid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through the head mounted display screen,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vided within the space entered by the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rrect answer is input for the first task 210 of the image 200 .

상기 통신부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에 공간이동영상(100)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서버장치이고,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클라이언트 장치에 연결되어 제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통신부는 클라이언트장치로 공간이동영상(100)을 전송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는 클라이언트 장치인 경우, 컴퓨팅 장치는 공간이동영상(100)을 생성하여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장치는,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경로 이동을 제공하는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고, 시지각훈련영상을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의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수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provides the spatial movement image 100 to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r a client device to which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he computing device is a server device, and when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client device to display the provided image,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patial motion image 100 to the client device. When the computing device is a client device to which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he computing device generates a spatial motion image 100 and provides it to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Brain connectivity-ba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pparatus provides a spatial motion image providing a path movement of the user in a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tion image or following the spatial motion image, and the visual perception from the user Receive the first task execution result of the training image.

일실시예로, 상기 시지각 트레이닝 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가 가상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경로 이동을 제공하는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고, 시지각훈련영상을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one embodiment,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serves to provide a spatial motion image providing a user's path movement in a virtual space, and to provide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tion image or following the spatial motion image.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and stored in a medium in order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C, C++, JAVA, machine language, etc. that a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can read through a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read the program and execute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It may include code (Code) coded in the computer language of Such code may include functional code related to a function defining functions necessary for executing the methods, etc., and includes an execution procedure related control cod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can do. In addition, the code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or code related to memory reference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in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should be referenced. hav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located remotely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remotely.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for whether to communica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 and receive during communication.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a cache, a memory, etc.,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computer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and a computer readable code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7)

컴퓨터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되, 상기 공간이동영상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경로를 이동하는 영상인, 공간이동영상제공단계;
컴퓨터가 시지각훈련영상을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제공하는, 시지각훈련영상제공단계; 및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의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제공단계는, 상기 공간이동영상 내에 포함된 제1영상프레임 및 상기 시지각훈련영상 내에 포함된 제2영상프레임을 결합한 최종출력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제1영상프레임은, 상기 사용자의 고개 또는 동공의 움직임에 의해 변경되며,
제2영상프레임은, 상기 사용자의 고개 또는 동공의 움직임에 의해 변경되지 않고 고정되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
A computer providing a spatial motion image to the head-mounted display device, wherein the spatial motion image is an image of a user moving a path in a virtual space, a spatial motion image providing step;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providing step, in which the computer provides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or follow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and
Receiving, by a computer,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from the user;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providing step generates and provides a final output image by combining the first image frame included in the spatial movement image and the second image frame includ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The first image frame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user's head or pupil,
The second image frame is fixed without being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user's head or pupil,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제공단계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경로이동을 통해 상기 가상공간 내의 각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으로 진입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한 공간에 부여된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providing step,
When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follow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When the user enters any one of the spaces in the virtual space through path movement,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generated and provided based on the condition given to the space entered by the user, brain connectivity-based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이전 시행과 동일한 공간에 진입하는 제2테스크를 상기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제2테스크를 성공하면, 제2테스크 수행결과를 제1테스크 수행결과에 반영하여 최종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requesting a second task to enter the same space as the previous trial to the user; and
When the user succeeds in the second task, calculating the final result by reflecting the second task performance result in the first task performance result; further comprising, a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제공단계는,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공간이동영상 상에 단위시간 간격으로 생성되는 시지각훈련영상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제공하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providing step,
When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at the same time as the spatial movement image,
A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that combines and provides frames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s generated at unit time intervals on the spatial movement image.
제4항에 있어서,
제1테스크는,
상기 사용자가 보행 시에 수행하여야 하는 과제로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 내의 상기 사용자의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에 표시되고,
제1테스크 수행결과는,
보행 중인 상기 사용자가 제1테스크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지 여부인,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task is
As a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while walking, displayed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of the user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The results of the first task are:
Whether the walking user performs a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sk, a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이동영상은,
보행센싱장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실제 보행을 센싱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patial motion image is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that is generated based on data sensed by the user's actual walking by a gait sen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은,
상기 시지각훈련영상 내의 상기 사용자의 시지각 트레이닝 영역에 테스크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테스크이미지가 표시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방향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Displaying a task image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area of the user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Outputting a soun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task image is displayed; further comprising, a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시야범위 내의 트레이닝영역에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의 테스크이미지의 표시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btaining a user's gaze direction; and
Determin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task image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n a training area within the viewing range based on the gaze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method.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뇌연결성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제공프로그램.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that is hardware, any one of claims 1 to 8 stored in the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viding program.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 또는 상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간이동영상을 제공하는 통신부-상기 공간이동영상은,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경로를 이동하는 영상이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상기 경로이동을 수행할 때에 제공됨-;
시지각훈련영상을 상기 공간이동영상과 동시에 또는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의 제1테스크 수행결과를 수신하여 시지각트레이닝의 최종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공간 내의 각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공간이동영상에 이어서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진입한 공간에 부여된 시지각훈련영상 제공조건에 따라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시지각훈련영상의 제공조건은, 상기 각 공간에서 시지각훈련영상의 제공 여부 또는 상기 각 공간에서 시지각훈련영상 수행 시에 제공되는 리워드의 수준인, 시지각 트레이닝 컴퓨팅 장치.
A communication unit that provides a spatial motion image to a client device connected to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r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 The spatial motion image is an image in which a user moves a path in a virtual space, and the user moves in a virtual space in the virtual space provided when performing the route movement;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spatial movement image or follow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and receiving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irst task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from the user to calculate the final result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 includes; and,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following the spatial movement image as the user enters any one of the spaces in the virtual space,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for providing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to the space entered by the user. Create each training video,
The provision condition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whether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s provided in each space or the level of a reward provided when performing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image in each space, a visual perception training compu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18856A 2018-01-18 2019-09-26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 KR1022753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856A KR102275379B1 (en) 2018-01-18 2019-09-26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546A KR102028036B1 (en) 2018-01-18 2018-01-18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
KR1020190118856A KR102275379B1 (en) 2018-01-18 2019-09-26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546A Division KR102028036B1 (en) 2018-01-18 2018-01-18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884A KR20190111884A (en) 2019-10-02
KR102275379B1 true KR102275379B1 (en) 2021-07-12

Family

ID=6842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856A KR102275379B1 (en) 2018-01-18 2019-09-26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3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089B1 (en) * 2020-03-13 2021-11-16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Device for providing a visual perceptual train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526B1 (en) 1996-12-27 2001-03-02 전주범 Controller for head mounted display and sensor for sensing visual angle
JP2008534157A (en) * 2005-03-30 2008-08-28 ノバビジ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sual stimuli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during vision training
KR101764061B1 (en) * 2016-07-15 2017-08-0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Augmented reality-based gait trai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168B1 (en) * 2014-04-11 2015-10-2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Brain damage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526B1 (en) 1996-12-27 2001-03-02 전주범 Controller for head mounted display and sensor for sensing visual angle
JP2008534157A (en) * 2005-03-30 2008-08-28 ノバビジ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sual stimuli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during vision training
KR101764061B1 (en) * 2016-07-15 2017-08-0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Augmented reality-based gait trai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884A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6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or a synthetic 3-dimensional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of human ocular performance
Serino Peripersonal space (PPS) as a multisensory interface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defining the space of the self
US202400995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ion assessment
US75497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sual discrimination
CN104603673B (en) Head-mounted system and the method for being calculated using head-mounted system and rendering digital image stream
JP2020509790A (en) Screening device and method
KR101939339B1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training memory using brain stimulation
KR101965393B1 (en) Visual perception train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using head mounted device
Hassan et al. What is the minimum field of view required for efficient navigation?
US117747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binocular vision
KR20160090065A (en)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gaze tracking
US11249549B2 (en) Brain connectivity-based visual perception train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2275379B1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brain connectivity
WO2018056791A1 (en)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visual perception training, and method and program, based on head-mounted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visual perception training
US11337605B2 (en) Simulator for the evaluation of a concussion from signs displayed during a visual cranial nerve assessment
Apfelbaum et al. Heading assessment by “tunnel vision”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standing or walking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hatia et al. A review on eye tracking technology
EP4052636A1 (en) A system for treating visual neglect
US20240306942A1 (en) A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human sensorimotor ability
KR20230036576A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searching and training preferred retinal locus of sight damaged patient
Bhowmik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Human sensory‐perceptual requirements and trends for immersive spatial computing experiences
Jolij et al. Cognitive Neuroergonomics of Per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