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909B1 - 근감소증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근감소증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909B1
KR102274909B1 KR1020190083696A KR20190083696A KR102274909B1 KR 102274909 B1 KR102274909 B1 KR 102274909B1 KR 1020190083696 A KR1020190083696 A KR 1020190083696A KR 20190083696 A KR20190083696 A KR 20190083696A KR 102274909 B1 KR102274909 B1 KR 102274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reatment surface
user
sarcopenia
electrical st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365A (ko
Inventor
김용일
김재영
김바울
허수희
최정이
Original Assignee
(주)솔라루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라루체 filed Critical (주)솔라루체
Priority to KR102019008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9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3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감소증(sarcopenia)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감소증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근감소증 치료 장치{SARCOPENIA THERAPY DEVICE}
본 발명은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리치료라 함은 수술 또는 약물요법이 아닌, 전기나 광선, 소리, 운동요법을 비롯하여 각종 기구 및 기계장치 등의 다양한 물리적 소재를 이용한 치료 방법으로서, 이를 치료 목적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시키고, 나아가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물리치료는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 재활 의학과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의료분야에 걸쳐서 폭넓게 실시되고 있으며, 또한 각 가정에서도 의사의 도움없이 간편하게 실시되고 있다.
종래의 물리치료를 위한 장치로는 전기적 주파수를 이용한 물리치료 장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주파수를 이용한 물리 치료 장치는 '+' 및 '-'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전극 단자를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킨 후, 펄스 발생 장치를 구동하여 직류 전류가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자극을 매개로 소정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적 주파수를 이용한 물리치료 장치는 대부분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매개로 물리적인 통증을 완화하는데 사용되므로, 그 치료범위가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 새로운 치료 방식으로서 광치료법(light therapy)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광치료법을 위한 장치는 치료가 필요한 환부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기판에 광 이미터(light emitter)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광치료법을 위한 광치료 장치는 외상, 부종, 정맥류, 전염성 질환 및 다른 질병들의 치료뿐만 아니라, 피부과 치료 및 미용 치료의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전기 자극 또는 광을 이용한 치료 방법은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근감소증 치료에 특화되어 개발된 치료 장비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바, 전기 자극 및/또는 광치료법을 적용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 자극 및/또는 광치료법을 적용하여 근감소증 치료에 효과가 있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인체의 다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치료면과 상기 제2 치료면을 굴곡지게 연결하는 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면의 법선 방향과 상기 제2 치료면의 법선 방향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방측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전면 치료부를 더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돌출부의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을 마주하는 면에는 측면 치료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 치료부는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돌출부의 상면에는 착탈부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측면 돌출부와 결합되는 보조 치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치료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착탈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둥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기둥 부재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치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부재에는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치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치료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기둥 부재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치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부재에는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될 수 있는 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재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면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에 구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타격할 수 있는 마사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치료면과 상기 제2 치료면의 사이에서 요입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치료면과 상기 제2 치료면을 연결하는 요입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면의 법선 방향과 상기 제2 치료면의 법선 방향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입 연결부에 제공되고, 상기 요입 연결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연장 가능한 보조 치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치료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요입 연결부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둥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기둥 부재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치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부재에는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면이 상기 제1 치료면으로서 제공되는 제1 바디; 상면이 상기 제2 치료면으로서 제공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상기 제2 바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신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착탈부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보조 치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치료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착탈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둥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기둥 부재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치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부재에는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 부재는 휨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치료 부재의 상기 기둥 부재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 또는 냉열을 선택적으로 가할 수 있는 찜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면 사용자의 신체 내 근육량을 측정할 수 있는 근육량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 부분에 상기 전기 자극 수단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전기 자극 수단의 주변부로 상기 발광 수단이 하나 이상 배열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 부분에 상기 발광 수단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발광 수단의 주변부로 상기 전기 자극 수단이 하나 이상 배열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자극 수단에서 발생되는 전기 자극은 1 내지 100 Hz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갖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수단에서 발생되는 광은 617 내지 950 nm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술이나 약물 요법에 의하지 않고 전기 자극, 광 자극과 같은 물리 치료 요법을 적용함으로써, 근감소증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얻을 수 있고, 근감소증의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조 치료부가 분리된 상태의 근감소증 치료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근감소증 치료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포함되는 근육량 측정 수단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근감소증 치료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보조 치료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의 근감소증 치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보조 치료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근감소증 치료 장치의 제1 바디가 제2 바디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어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근감소증 치료 장치의 본체에 보조 치료부가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근감소증 치료 장치의 제1 바디가 제2 바디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어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근감소증 치료 장치의 지지부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근감소증 치료 장치의 본체에 보조 치료부가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근감소증 치료를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전기 자극, 광 자극, 지압 등의 물리 치료를 진행하여 근육의 소실 현상을 억제하고 근육 세포가 재생성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인체의 근육 중 허벅지와 종아리 부위의 근육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근감소증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허벅지와 종아리를 지지한 상태에서 허벅지와 종아리 부위에 집중적으로 물리 치료를 진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효과적으로 근감소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1)는 본체(10)를 포함하며, 본체(10)의 상면(100)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체(10)는 일 예로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제어를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이 저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면(100)은 제1 치료면(102)과 제2 치료면(1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치료면(102)은 상면(100)의 일부를 구성하며, 제2 치료면(104)은 상면(100)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치료면(102)과 제2 치료면(104)은 서로 굴곡지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치료면(102)과 제2 치료면(104)이 연결되는 지점에 곡부(10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치료면(102)은 지면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반면, 제2 치료면(104)은 제1 치료면(102)에 대하여 소정 각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치료면(102)의 법선 방향과 제2 치료면(104)의 법선 방향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면(100)은 일부가 함몰 형성된 함몰부(1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함몰부(108)는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108)는 인체의 다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108)는 상면(100)에 있어서 양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면(100)의 중앙 부분에는 함몰부(108)에 비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가 사용자의 하체를 지탱할 때 사용자의 엉덩이를 향하는 전방측에는 전면 치료부(10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양 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 돌출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 돌출부(110)에는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을 바라보는 면에 측면 치료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측면 돌출부(110)의 상면에는 착탈부(114)가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착탈부(114)에는 후술할 보조 치료부(16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착탈부(114)의 내부에는 보조 치료부(160)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쐐기 등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전기 자극 수단(120)은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기 자극 수단(120)이 제1 치료면(102)과 제2 치료면(104)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 해석될 것은 아니며, 전기 자극 수단(120)이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기 자극 수단(120)은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 발생기 및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단자는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펄스 신호 발생기로부터 소정 패턴으로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전극 단자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신체로 전기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펄스 신호 발생기는 제어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자극 수단(120)의 전극 단자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치료면(102)과 제2 치료면(104)에 소정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극 수단(120)은 전면 치료부(109)와 측면 치료부(112)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극 수단(120)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자극은 1mA 이하의 1 내지 100 Hz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갖는 저주파 자극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극 수단(120)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 자극이 저주파 자극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기 자극 수단(120)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 자극은 중주파 자극 또는 고주파 자극일 수도 있다.
한편, 발광 수단(130)은 제1 치료면(102)와 제2 치료면(104)에 구비되고, 광 에너지를 발광하여 환부에 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발광 수단(130)이 제1 치료면(102)와 제2 치료면(104)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 해석될 것은 아니며, 발광 수단(130)이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광 수단(130)과 전기 자극 수단(120)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치료면(104)의 중앙에 전기 자극 수단(120)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전기 자극 수단(120)의 주변부로 발광 수단(130)이 하나 이상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제2 치료면(104)의 중앙에 발광 수단(130)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발광 수단의 주변부로 전기 자극 수단(120)이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광 수단(130)은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 발생 소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광 발생 소자들이 매트릭스(matrix) 패턴을 이루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130)을 구성하는 광 발생 소자들은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의 표면 내부에 구비되어 빛이 투과되는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의 표면을 통과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발광 수단(130)을 구성하는 광 발생 소자들은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 수단(130)의 광 발생 소자들은 적외선(IR) 및 자외선(UV) 스펙트럼에서의 넓은 스펙트럼 범위 내에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한된 파장 범위 내의 광이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수단(130)은 617 내지 950 nm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치료면(102) 및/또는 제2 치료면(104)에는 찜질 수단(125)이 구비될 수 있다. 찜질 수단(125)은 일 예로 열전 소자 등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 또는 냉열을 선택적으로 가하여 근육을 이완시키거나 수축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변화 자극을 가함으로써 근감소증 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치료면(102) 및/또는 제2 치료면(104)에는 마사지 수단(17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마사지 수단(170)은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타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마사지 수단(170)은 제어부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모터 등의 구동부(미도시)와, 이러한 구동부에 의해 상하 병진 운동 또는 회전 운동 등 소정 패턴의 운동을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지압하거나 마사지하기 위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사지 수단(170)은 고무 등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의 하측에 구비되어 소정의 운동에 의해 제1 치료면(102)과 제2 치료면(104)에 움직임을 발생시켜서 마사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전기 자극 수단(120), 발광 수단(130) 및 마사지 수단(170)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모듈은 일 예로 리튬 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3.7v의 전압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모듈은 제어부와, 전기 자극 수단(120), 발광 수단(130) 및 마사지 수단(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로도를 구성할 수 있으며, 후술할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 신호를 받아서 on/off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 모듈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총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전원 모듈의 on/off 제어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기 자극 수단(120), 발광 수단(130) 및 마사지 수단(1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는 전기 자극 수단(120), 발광 수단(130) 및 마사지 수단(17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메모리에는 각종 질병에 대응하는 각 주파수 데이터 및 광 파장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저장된 주파수의 목록 및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일 예로 PCB 기판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 동작을 위한 소정의 회로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전원 모듈의 on/off, 전기 자극 수단(120)의 저주파의 세기 및 주파수, 발광 수단(130)의 광 파장, 전기 자극과 광의 발생 패턴 및 시간, 마사지 수단(170)의 마사지 패턴 및 시간 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입력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본체(10)에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일 예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부(14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140)의 상면에는 접지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부재(142)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금속으로 된 단자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내 근육량 측정을 위해, 제1 치료면(102) 및 제2 치료면(10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면 사용자의 신체 내 근육량을 측정할 수 있는 근육량 측정 수단(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근육량 측정 수단(180)은 상술한 전원 모듈과 연결되어 미세 전류 인가를 위한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근육량 측정 수단(180)은 예를 들어 미세 전류 인가 및 근육량 측정을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이 저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근육량 측정 수단(180)은 접지부재(142)와 연결되어 접지부재(142)로 미세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근육량 측정 수단(180)은 미세 전극 단자(182)와 측정 전극 단자(184)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 전극 단자(182)는 사용자의 종아리가 지지될 수 있는 제1 치료면(102)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부재(142)로 미세 전류가 인가되면, 접지부재(142)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통해 미세 전극 단자(182)로 미세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정 전극 단자(184)는 접지부재(142)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를 통해 미세 전극 단자(182)로 흘러간 미세 전류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측정 전극 단자(184)는 사용자의 허벅지가 지지될 수 있는 제2 치료면(104)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세 전극 단자(182)가 제2 치료면(104)에, 측정 전극 단자(184)가 제1 치료면(102)에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측정 전극 단자(184)는 사용자의 두 다리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지부재(142)에 접촉하면, 근육량 측정 수단(180)로부터 접지부재(142)로 미세 전류가 인가될 수 있고, 접지부재(142)로부터 사용자의 신체로 미세 전류가 흘러서 미세 전극 단자(182)로 인가되고, 이렇게 흐르는 미세 전류는 측정 전극 단자(184)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신체, 그 중에서도 특히 허벅지 부근의 근육량을 키, 몸무게 등 다른 데이터의 입력 없이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근육량 측정 프로세스는 전기 자극 수단(120)이 작동되기 전에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측정된 근육량 데이터는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보조 치료부(160)는 본체(10)의 측면 돌출부(110)에 형성된 착탈부(114)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측면 돌출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치료부(160)는 기둥 부재(162) 및 치료 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부재(162)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착탈부(114)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착탈부(114)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보조 치료부(160)를 착탈부(114)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치료 부재(164)는 기둥 부재(162)의 타단으로부터 기둥 부재(162)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기둥 부재(162)가 착탈부(114)에 삽입되었을 때 제1 및 제2 치료면(102, 104)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부재(164)에는 전기 자극 수단(120) 및 발광 수단(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치료 부재(164)에 제공되는 전기 자극 수단(120) 및 발광 수단(130)은 치료 부재(164)의 저면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치료 부재(164)는 배터리를 내장하여 전력이 자가 공급될 수도 있고, 착탈부(114)에 기둥 부재(162)가 삽입되어 체결될 때 본체(10)의 전원 모듈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 모듈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치료 부재(164)는 제어부와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조 치료부(16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본체(10)의 상면(1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착탈부(114)에 삽입 체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일부, 특히 무릎 부위에 전기 자극 및/또는 광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2)는 본체(20)를 포함하며, 본체(20)의 상면(200)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체(20)는 일 예로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내부에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제어를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이 저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상면(200)은 제1 치료면(202)과 제2 치료면(2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치료면(202)은 상면(200)의 일부를 구성하며, 제2 치료면(204)은 상면(200)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치료면(202)과 제2 치료면(204)은 서로 굴곡지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치료면(202)과 제2 치료면(204)이 연결되는 지점에 요입 연결부(206)가 형성될 수 있다. 요입 연결부(206)는 제1 치료면(102)과 제2 치료면(104)의 사이에서 요입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치료면(102)과 제2 치료면(104)을 연결한다. 이렇게 형성된 요입 연결부(206)에 후술할 보조 치료부(26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치료면(202)은 지면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반면, 제2 치료면(204)은 제1 치료면(202)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치료면(202)의 법선 방향과 제2 치료면(204)의 법선 방향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치료면(202)과 제2 치료면(204) 중 적어도 하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에 대하여 피벗 가능하게 구비되어 지면에 대한 각도가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치료면(202) 및 제2 치료면(204)의 저면에는 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틸팅 후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 또한 추가로 본체(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면(200)은 일부가 함몰 형성된 함몰부(2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함몰부(208)는 제1 치료면(202) 및 제2 치료면(204)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208)는 인체의 다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208)는 상면(200)에 있어서 양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면(200)의 중앙 부분에는 함몰부(208)에 비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게 될 수 있다.
전기 자극 수단(220)은 제1 치료면(202) 및 제2 치료면(204)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기 자극 수단(220)이 제1 치료면(202)과 제2 치료면(204)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 해석될 것은 아니며, 전기 자극 수단(220)이 제1 치료면(202) 및 제2 치료면(204)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기 자극 수단(220)은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 발생기 및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단자는 제1 치료면(202) 및 제2 치료면(204)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펄스 신호 발생기로부터 소정 패턴으로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전극 단자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신체로 전기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펄스 신호 발생기는 제어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자극 수단(220)의 전극 단자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치료면(202)과 제2 치료면(204)에 소정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극 수단(220)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자극은 1mA 이하의 1 내지 100 Hz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갖는 저주파 자극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극 수단(220)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 자극이 저주파 자극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기 자극 수단(220)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 자극은 중주파 자극 또는 고주파 자극일 수도 있다.
한편, 발광 수단(230)은 제1 치료면(202)와 제2 치료면(204)에 구비되고, 광 에너지를 발광하여 환부에 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발광 수단(230)이 제1 치료면(202)과 제2 치료면(204)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 해석될 것은 아니며, 발광 수단(230)이 제1 치료면(202) 및 제2 치료면(204)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광 수단(230)과 전기 자극 수단(220)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치료면(204)의 중앙에 전기 자극 수단(220)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전기 자극 수단(220)의 주변부로 발광 수단(230)이 하나 이상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제2 치료면(204)의 중앙에 발광 수단(230)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발광 수단의 주변부로 전기 자극 수단(220)이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광 수단(230)은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 발생 소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광 발생 소자들이 매트릭스(matrix) 패턴을 이루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230)을 구성하는 광 발생 소자들은 제1 치료면(202) 및 제2 치료면(204)의 표면 내부에 구비되어 빛이 투과되는 제1 치료면(202) 및 제2 치료면(204)의 표면을 통과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발광 수단(230)을 구성하는 광 발생 소자들은 제1 치료면(202) 및 제2 치료면(204)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 수단(230)의 광 발생 소자들은 적외선(IR) 및 자외선(UV) 스펙트럼에서의 넓은 스펙트럼 범위 내에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한된 파장 범위 내의 광이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수단(230)은 617 내지 950 nm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체(20)의 내부에는 전기 자극 수단(220) 및 발광 수단(230)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모듈은 일 예로 리튬 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3.7v의 전압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모듈은 제어부와, 전기 자극 수단(220) 및 발광 수단(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로도를 구성할 수 있으며, 후술할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 신호를 받아서 on/off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 모듈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총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전원 모듈의 on/off 제어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기 자극 수단(220) 및 발광 수단(2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는 전기 자극 수단(220) 및 발광 수단(2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메모리에는 각종 질병에 대응하는 각 주파수 데이터 및 광 파장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저장된 주파수의 목록 및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일 예로 PCB 기판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 동작을 위한 소정의 회로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전원 모듈의 on/off, 전기 자극 수단(220)의 저주파의 세기 및 주파수, 발광 수단(230)의 광 파장, 전기 자극과 광의 발생 패턴 및 시간 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입력부(250)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250)는 본체(20)에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일 예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치료부(260)는 요입 연결부(206)에 제공되고, 요입 연결부(206)로부터 선택적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치료부(260)는 기둥 부재(262) 및 치료 부재(264)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부재(262)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요입 연결부(206)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둥 부재(262)는 일 예로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서로 중첩 가능한 관들이 이어져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치료 부재(264)는 기둥 부재(262)의 단부로부터 기둥 부재(262)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치료면(202, 204)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부재(264)에는 전기 자극 수단(220) 및 발광 수단(2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치료 부재(264)에 제공되는 전기 자극 수단(220) 및 발광 수단(230)은 치료 부재(264)의 저면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치료 부재(264)는 배터리를 내장하여 전력이 자가 공급될 수도 있고, 본체(20)의 전원 모듈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 모듈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치료 부재(264)는 제어부와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조 치료부(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입 연결부(206)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본체(20)의 상면(200) 상에 안착된 후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일부, 특히 무릎 부위에 전기 자극 및/또는 광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치료부(260)는 기둥 부재(262)와 치료 부재(264)를 연결하는 틸팅 연결 부재(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 부재(264)는 틸팅 연결 부재(266)에 대하여 피벗 가능하게 구비되어 치료 부재(264)의 기둥 부재(262)에 대한 각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체(20)의 하단부 모서리 측에는 이동 수단(24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 수단(240)은 일 예로 휠(wheel) 등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수단(240)은 지면상에서 본체(20)의 이동을 보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체(20)를 용이하게 운반하여 원하는 곳에 거치하거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3)는 본체(30)를 포함하며, 본체(30)의 상면(300)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체(30)는 일 예로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30)의 내부에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제어를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이 저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30)의 상면(300)은 제1 치료면(302)과 제2 치료면(3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치료면(302)은 상면(300)의 일부를 구성하며, 제2 치료면(304)은 상면(300)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제1 바디(301)와 제2 바디(303)를 포함하며, 제1 바디(301)의 상면은 제1 치료면(302)으로서 제공되고, 제2 바디(303)의 상면은 제2 치료면(304)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치료면(302)은 지면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반면, 제2 치료면(304)은 제1 치료면(302)에 대하여 소정 각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치료면(302)의 법선 방향과 제2 치료면(304)의 법선 방향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치료면(302)과 제2 치료면(304)의 사이에는 신축 연결부(306)가 제공될 수 있다. 신축 연결부(306)는 제2 바디(303)에 대하여 제1 바디(30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바디(301)와 제2 바디(303)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바디(303)에 대하여 제1 바디(301)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바디(301)에 대하여 제2 바디(303)가 슬라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신축 연결부(306)는 제1 바디(301) 또는 제2 바디(303)로부터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와,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가 제2 바디(303) 또는 제1 바디(301)에 요입 형성된 수용홈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용홈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제1 바디(301) 또는 제2 바디(303)가 제2 바디(303) 또는 제1 바디(30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301)와 제2 바디(303)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301)에는 착탈부(340)가 요입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 바디(301)의 양 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착탈부(340)는 제2 바디(30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착탈부(340)에 후술할 보조 치료부(36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착탈부(340)의 내부에는 보조 치료부(360)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쐐기 등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면(300)은 일부가 함몰 형성된 함몰부(3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함몰부(308)는 제1 치료면(302) 및 제2 치료면(304)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308)는 인체의 다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308)는 상면(300)에 있어서 양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면(300)의 중앙 부분에는 함몰부(308)에 비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게 될 수 있다.
전기 자극 수단(320)은 제1 치료면(302) 및 제2 치료면(304)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기 자극 수단(320)이 제1 치료면(302)과 제2 치료면(304)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 해석될 것은 아니며, 전기 자극 수단(320)이 제1 치료면(302) 및 제2 치료면(304)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기 자극 수단(320)은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 발생기 및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단자는 제1 치료면(302) 및 제2 치료면(304)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펄스 신호 발생기로부터 소정 패턴으로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전극 단자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신체로 전기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펄스 신호 발생기는 제어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자극 수단(320)의 전극 단자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치료면(302)과 제2 치료면(304)에 소정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극 수단(320)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자극은 1mA 이하의 1 내지 100 Hz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갖는 저주파 자극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극 수단(320)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 자극이 저주파 자극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기 자극 수단(320)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 자극은 중주파 자극 또는 고주파 자극일 수도 있다.
한편, 발광 수단(330)은 제1 치료면(302)와 제2 치료면(304)에 구비되고, 광 에너지를 발광하여 환부에 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발광 수단(330)이 제1 치료면(302)과 제2 치료면(304)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 해석될 것은 아니며, 발광 수단(330)이 제1 치료면(302) 및 제2 치료면(304)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광 수단(330)과 전기 자극 수단(320)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치료면(304)의 중앙에 전기 자극 수단(320)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전기 자극 수단(320)의 주변부로 발광 수단(330)이 하나 이상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제2 치료면(304)의 중앙에 발광 수단(330)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발광 수단의 주변부로 전기 자극 수단(320)이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광 수단(330)은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 발생 소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광 발생 소자들이 매트릭스(matrix) 패턴을 이루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330)을 구성하는 광 발생 소자들은 제1 치료면(302) 및 제2 치료면(304)의 표면 내부에 구비되어 빛이 투과되는 제1 치료면(302) 및 제2 치료면(304)의 표면을 통과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발광 수단(330)을 구성하는 광 발생 소자들은 제1 치료면(302) 및 제2 치료면(304)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 수단(330)의 광 발생 소자들은 적외선(IR) 및 자외선(UV) 스펙트럼에서의 넓은 스펙트럼 범위 내에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한된 파장 범위 내의 광이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수단(330)은 617 내지 950 nm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체(30)의 내부에는 전기 자극 수단(320) 및 발광 수단(330)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모듈은 일 예로 리튬 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3.7v의 전압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모듈은 제어부와, 전기 자극 수단(320) 및 발광 수단(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로도를 구성할 수 있으며, 후술할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 신호를 받아서 on/off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 모듈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총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전원 모듈의 on/off 제어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기 자극 수단(320) 및 발광 수단(3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는 전기 자극 수단(320) 및 발광 수단(3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메모리에는 각종 질병에 대응하는 각 주파수 데이터 및 광 파장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저장된 주파수의 목록 및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일 예로 PCB 기판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 동작을 위한 소정의 회로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전원 모듈의 on/off, 전기 자극 수단(320)의 저주파의 세기 및 주파수, 발광 수단(330)의 광 파장, 전기 자극과 광의 발생 패턴 및 시간 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입력부(350)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350)는 본체(30)의 측면에 형성된 입력부 수용홈(352) 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보관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일 예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치료부(360)는 본체(30)의 양 측 상부에 형성된 착탈부(34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 바디(301) 및 제2 바디(303)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치료부(360)는 기둥 부재(362) 및 치료 부재(364)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부재(362)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착탈부(34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착탈부(340)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보조 치료부(360)를 착탈부(34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본체(3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기둥 부재(362)는 휨 변형 가능한 연질의 재질 또는 주름진 금속 관 형태의 자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치료 부재(264)의 기둥 부재(362)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치료 부재(364)는 기둥 부재(362)의 타단으로부터 기둥 부재(362)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기둥 부재(362)가 착탈부(340)에 삽입되었을 때 제1 및 제2 치료면(302, 304)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부재(364)에는 전기 자극 수단(320) 및 발광 수단(3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치료 부재(364)에 제공되는 전기 자극 수단(320) 및 발광 수단(330)은 치료 부재(364)의 저면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치료 부재(364)는 배터리를 내장하여 전력이 자가 공급될 수도 있고, 착탈부(340)에 기둥 부재(362)가 삽입되어 체결될 때 본체(30)의 전원 모듈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 모듈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치료 부재(364)는 제어부와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조 치료부(36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본체(30)의 상면(3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착탈부(340)에 삽입 체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일부, 특히 무릎 부위에 전기 자극 및/또는 광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4)는 본체(40)를 포함하며, 본체(40)의 상면(400)은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체(40)는 일 예로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40)의 내부에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제어를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이 저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40)의 상면(400)은 제1 치료면(402)과 제2 치료면(4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치료면(402)은 상면(400)의 일부를 구성하며, 제2 치료면(404)은 상면(400)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제1 바디(401)와 제2 바디(403)를 포함하며, 제1 바디(401)의 상면은 제1 치료면(402)으로서 제공되고, 제2 바디(403)의 상면은 제2 치료면(404)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치료면(402)은 지면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반면, 제2 치료면(404)은 제1 치료면(402)에 대하여 소정 각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치료면(402)의 법선 방향과 제2 치료면(404)의 법선 방향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40)의 상면(400)에는 수용 그루브(405)가 요입 형성되고, 수용 그루브(405) 상에 제1 바디(401)와 제2 바디(403)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그루브(405) 내의 양 측벽에는 슬라이딩 가이드(406)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가이드(406)에 제1 바디(401)와 제2 바디(403)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계합되어 슬라이딩 가이드(406)에 의해 제1 바디(401)와 제2 바디(403)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401)와 제2 바디(403)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면(400)은 일부가 함몰 형성된 함몰부(408)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함몰부(408)는 제1 치료면(402) 및 제2 치료면(404)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408)는 인체의 다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408)는 상면(400)에 있어서 양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면(400)의 중앙 부분에는 함몰부(408)에 비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체(40)의 저면에는 지지부(41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지지부(410)는 본체(40)의 저면에 수용되거나 피벗되어 저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부(410)가 본체(4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면 본체(40)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게 되어 본체(40)에 소정의 경사도를 줄 수 있다.
전기 자극 수단(420)은 제1 치료면(402) 및 제2 치료면(404)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기 자극 수단(420)이 제1 치료면(402)과 제2 치료면(404)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 해석될 것은 아니며, 전기 자극 수단(420)이 제1 치료면(402) 및 제2 치료면(404)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기 자극 수단(420)은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 발생기 및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단자는 제1 치료면(402) 및 제2 치료면(404)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펄스 신호 발생기로부터 소정 패턴으로 발생되는 전기 신호가 전극 단자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신체로 전기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펄스 신호 발생기는 제어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자극 수단(420)의 전극 단자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치료면(402)과 제2 치료면(404)에 소정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극 수단(420)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자극은 1mA 이하의 1 내지 100 Hz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갖는 저주파 자극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자극 수단(420)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 자극이 저주파 자극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기 자극 수단(420)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 자극은 중주파 자극 또는 고주파 자극일 수도 있다.
한편, 발광 수단(430)은 제1 치료면(402)와 제2 치료면(404)에 구비되고, 광 에너지를 발광하여 환부에 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발광 수단(430)이 제1 치료면(402)과 제2 치료면(404)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한정 해석될 것은 아니며, 발광 수단(430)이 제1 치료면(402) 및 제2 치료면(404)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광 수단(430)과 전기 자극 수단(420)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치료면(404)의 중앙에 전기 자극 수단(420)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전기 자극 수단(420)의 주변부로 발광 수단(430)이 하나 이상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제2 치료면(404)의 중앙에 발광 수단(430)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발광 수단의 주변부로 전기 자극 수단(420)이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발광 수단(430)은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 발생 소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광 발생 소자들이 매트릭스(matrix) 패턴을 이루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430)을 구성하는 광 발생 소자들은 제1 치료면(402) 및 제2 치료면(404)의 표면 내부에 구비되어 빛이 투과되는 제1 치료면(402) 및 제2 치료면(404)의 표면을 통과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발광 수단(430)을 구성하는 광 발생 소자들은 제1 치료면(402) 및 제2 치료면(404)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 수단(430)의 광 발생 소자들은 적외선(IR) 및 자외선(UV) 스펙트럼에서의 넓은 스펙트럼 범위 내에서 광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한된 파장 범위 내의 광이 발생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수단(430)은 617 내지 950 nm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체(40)의 내부에는 전기 자극 수단(420) 및 발광 수단(430)에 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모듈은 일 예로 리튬 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3.7v의 전압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모듈은 제어부와, 전기 자극 수단(420) 및 발광 수단(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로도를 구성할 수 있으며, 후술할 입력부(450)를 통해 입력 신호를 받아서 on/off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 모듈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해 총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전원 모듈의 on/off 제어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기 자극 수단(420) 및 발광 수단(4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는 전기 자극 수단(420) 및 발광 수단(4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의 메모리에는 각종 질병에 대응하는 각 주파수 데이터 및 광 파장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저장된 주파수의 목록 및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일 예로 PCB 기판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 동작을 위한 소정의 회로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전원 모듈의 on/off, 전기 자극 수단(420)의 저주파의 세기 및 주파수, 발광 수단(430)의 광 파장, 전기 자극과 광의 발생 패턴 및 시간 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입력부(450)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450)는 본체(40)의 측면에 형성된 입력부 수용홈(452) 내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보관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어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일 예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치료부(46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된 측면 경사부(440)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측면 경사부(440)는 수용 그루브(40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치료부(460)는 기둥 부재(462), 치료 부재(464), 착탈 부재(466) 및 접속 부재(468)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 부재(462)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에는 측면 경사부(440)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착탈 부재(46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둥 부재(462)는 휨 변형 가능한 연질의 재질 또는 주름진 금속 관 형태의 자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치료 부재(464)의 기둥 부재(462)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치료 부재(464)는 기둥 부재(462)의 타단으로부터 기둥 부재(462)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기둥 부재(462)가 측면 경사부(440)에 부착되었을 때 제1 및 제2 치료면(402, 404)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부재(464)에는 전기 자극 수단(420) 및 발광 수단(4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치료 부재(464)에 제공되는 전기 자극 수단(420) 및 발광 수단(430)은 치료 부재(464)의 저면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착탈 부재(466)는 일 예로 자석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 경사부(44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력에 의해 착탈 부재(466)가 측면 경사부(440)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착탈 부재(466)가 측면 경사부(440)에 분리가 용이하게 부착되는 방식은 주지의 기술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체(40)에 형성된 접속 단자(409)에 기둥 부재(462)로부터 연장된 접속 부재(468)가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접속 단자(409)는 전원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접속 부재(468)가 접속 단자(409)에 접속됨에 따라 치료 부재(464)로부터 전원 모듈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치료 부재(464)는 제어부와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조 치료부(46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본체(40)의 상면(4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측면 경사부(440)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일부, 특히 무릎 부위에 전기 자극 및/또는 광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따르면, 수술이나 약물 요법에 의하지 않고 전기 자극, 광 자극과 같은 물리 치료 요법을 적용함으로써, 근감소증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얻을 수 있고, 근감소증의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2, 3, 4: 근감소증 치료 장치 10, 20, 30, 40: 본체
100, 200, 300, 400: 상면 102, 202, 302, 402: 제1 치료면
104, 204, 304, 404: 제2 치료면 120, 220, 320, 420: 전기 자극 수단
130, 230, 330, 430: 발광 수단 150, 250, 350, 450: 입력부
160, 260, 360, 460: 보조 치료부

Claims (21)

  1.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인체의 다리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2. 삭제
  3.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면과 상기 제2 치료면을 굴곡지게 연결하는 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면의 법선 방향과 상기 제2 치료면의 법선 방향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4.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측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전면 치료부를 더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5.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양 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돌출부의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을 마주하는 면에는 측면 치료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 치료부는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돌출부의 상면에는 착탈부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측면 돌출부와 결합되는 보조 치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치료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착탈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둥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기둥 부재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치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부재에는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7.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치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치료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기둥 부재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치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부재에는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8.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될 수 있는 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부재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면 사용자의 근육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9.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부착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에 구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10.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타격할 수 있는 마사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11.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면과 상기 제2 치료면의 사이에서 요입 형성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치료면과 상기 제2 치료면을 연결하는 요입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면의 법선 방향과 상기 제2 치료면의 법선 방향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 연결부에 제공되고, 상기 요입 연결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연장 가능한 보조 치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치료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요입 연결부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둥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기둥 부재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치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부재에는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13.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면이 상기 제1 치료면으로서 제공되는 제1 바디;
    상면이 상기 제2 치료면으로서 제공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상기 제2 바디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는 신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착탈부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는 보조 치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치료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착탈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기둥 부재; 및
    상기 기둥 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기둥 부재의 연장 형성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치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부재에는 상기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발광 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부재는 휨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치료 부재의 상기 기둥 부재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16.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온열 또는 냉열을 선택적으로 가할 수 있는 찜질 수단을 더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17. 근감소증(sarcopenia)을 치료하기 위한 근감소증 치료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상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치료면;
    상기 상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치료면;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전기 자극 수단; 및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광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면 사용자의 신체 내 근육량을 측정할 수 있는 근육량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18. 제1 항 및 제3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 부분에 상기 전기 자극 수단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전기 자극 수단의 주변부로 상기 발광 수단이 하나 이상 배열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19. 제1 항 및 제3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료면 및 상기 제2 치료면 중 적어도 하나의 중앙 부분에 상기 발광 수단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발광 수단의 주변부로 상기 전기 자극 수단이 하나 이상 배열되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20. 제1 항 및 제3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극 수단에서 발생되는 전기 자극은 1 내지 100 Hz 범위 내의 주파수를 갖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21. 제1 항 및 제3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에서 발생되는 광은 617 내지 950 nm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근감소증 치료 장치.
KR1020190083696A 2019-07-11 2019-07-11 근감소증 치료 장치 KR102274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696A KR102274909B1 (ko) 2019-07-11 2019-07-11 근감소증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696A KR102274909B1 (ko) 2019-07-11 2019-07-11 근감소증 치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365A KR20210007365A (ko) 2021-01-20
KR102274909B1 true KR102274909B1 (ko) 2021-07-08

Family

ID=7430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696A KR102274909B1 (ko) 2019-07-11 2019-07-11 근감소증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4482B (zh) * 2021-07-21 2022-04-22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用于个体化治疗肌少症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249B1 (ko) 2005-10-11 2007-02-05 주식회사 지오피오 저주파 물리치료 장치
KR101416612B1 (ko) * 2014-03-12 2014-07-09 에인에이 (주) 염증치료 및 살균효과를 갖는 led 탑재형 골반근육강화장치
KR101888254B1 (ko) 2016-10-06 2018-08-1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사용자의 골반 및 허리의 바른 자세 유도와 근위 집중 안마를 통해 허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탑재한 안마의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5448A (ko) * 2007-01-09 2008-07-14 (주)아이통크 다리 마사지기
KR20120041525A (ko) * 2010-10-21 2012-05-02 김창현 전신용 전기 자극 치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249B1 (ko) 2005-10-11 2007-02-05 주식회사 지오피오 저주파 물리치료 장치
KR101416612B1 (ko) * 2014-03-12 2014-07-09 에인에이 (주) 염증치료 및 살균효과를 갖는 led 탑재형 골반근육강화장치
KR101888254B1 (ko) 2016-10-06 2018-08-1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사용자의 골반 및 허리의 바른 자세 유도와 근위 집중 안마를 통해 허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탑재한 안마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365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medical therapy
JP5728502B2 (ja) ボディコントワリング装置
US5643331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on of deep vein thrombosis
KR200412781Y1 (ko) 복합 기능 물리치료기
JPH08511445A (ja) 神経刺激装置および連係支持装置
KR101528195B1 (ko) 심부근육 자극용 전기 치료 자극기
KR101191951B1 (ko) 전기자극을 개선한 피부미용장치
KR102201967B1 (ko) 요실금 치료를 위한 의료 복합 기기
KR102252780B1 (ko) 근적외선 온열 저주파 진동 마사지기
KR20170034010A (ko) 안마 및 소염 기능을 갖는 요대
KR102274909B1 (ko) 근감소증 치료 장치
KR101710313B1 (ko) 중주파 마사지기
KR200489550Y1 (ko) 바디 슬리밍과 토닝이 가능한 다용도 벨트
KR200401329Y1 (ko) 허리 벨트용 및 관절 밴드용 레이저 치료기
KR101828893B1 (ko) 다기능 레이저 치료 장치
KR101416611B1 (ko) Led 탑재형 복합 전기자극장치
KR101617018B1 (ko) 저주파 치료기
US20060142674A1 (en) Device for health and beauty care
KR20210027725A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KR200417052Y1 (ko) 휴대용 전위치료기
KR102580629B1 (ko) 척추 광 조사 장치
KR20200136270A (ko) 손목 질병 치료 장치
KR200338397Y1 (ko) 패드형 안마기
KR20020019830A (ko) 저주파 치료 장치
KR20040052970A (ko) 다기능 통합 물리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