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236B1 - Apparatus for air blowing, Air blow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air blow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ir blowing, Air blow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air blow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236B1
KR102274236B1 KR1020210037115A KR20210037115A KR102274236B1 KR 102274236 B1 KR102274236 B1 KR 102274236B1 KR 1020210037115 A KR1020210037115 A KR 1020210037115A KR 20210037115 A KR20210037115 A KR 20210037115A KR 102274236 B1 KR102274236 B1 KR 102274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ade
inner tube
air b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대성
서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3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2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2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intermediate heat-transf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capable of effectively exchanging exhaust air and incoming air to minimize the problem of reducing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that occurs during the ventilation process, and to an air blowing system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blower by using water supplies.

Description

공기송풍장치, 공기송풍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송풍 시스템{Apparatus for air blowing, Air blow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air blowing}Air blowing device, air blowing system including an air blowing device {Apparatus for air blowing, Air blow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air blowing}

본 발명은 배출되는 공기와 유입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열교환하여, 환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냉방 및 난방 효율저하 문제를 최소화 가능한 공기송풍장치와, 이러한 공기송풍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송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capable of effectively heat-exchanging exhaust air and incoming air, thereby minimizing a problem of a decrease in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occurring during a ventilation process, and an air blowing system including such an air blower.

특허문헌 001은 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전면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홀과 배출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필터링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유닛 하우징의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이물질 제거를 위한 필터가 장착 가능한 필터링유닛; 및 상기 필터링유닛의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배출면에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및 상기 송풍팬과 상기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송풍유닛 하우징을 구비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청정 송풍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1 includes a filtering unit housing in which an inlet hole for introducing air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and an outlet hole for discharging air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o provide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the inlet hole and the exhaust hole, a filtering unit in which a filt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an be mounted on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inside the filtering unit housing; and a blowing fan detachably mounted to the housing of the filtering unit, a blowing fan for providing a negative pressure to the discharge surface, a driving motor for rotatingly driving the blowing fan, and a blowing unit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blowing fan and the driving motor. It presents a technology related to an air purifying blower including; a blowing unit having a blowing unit.

특허문헌 002는 공기조화기가 작동 중인 실내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실내의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배관된 제1환기배관을 개방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배관된 제2환기배관을 개방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통풍시키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에 의한 환기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2 discloses a first step of detecting the degree of pollution in the room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a second step of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by opening a first ventilation pipe piped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units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indoo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n the first step; After the second step, a third step of opening the second ventilation pipe piped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o ventilate the outdoor air into the room. is presenting

특허문헌 003은 냉매배관과 연결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가 설치된 새시와; 상기 새시의 후방에 냉매배관을 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새시의 후면에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배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3 discloses a heat exchanger connected to a refrigerant pipe; a chassis in which the heat exchanger is installed; an opening formed to be vertically ope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hassis so that a refrigerant pipe can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hassis; There is provided a technique related to a pip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ipe cover that covers the opening.

특허문헌 004는 내부에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토출통로와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통로가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된 케이스; 토출통로와 흡입통로의 교차 부분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토출통로와 연통되는 제1유로부와, 토출통로와 연통되는 제2유로부가 형성되어 상기 실내외기가 간접적으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전열교환기; 상기 토출통로와 흡입통로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1,2송풍장치; 상기 토출통로와 흡입통로에 각각 설치되고, 열교환핀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지그장치가 설치되는 제1,2열교환기; 그리고, 상기 제1,2열교환기에 연결된 냉매관에 설치되는 압축기, 사방변 및 팽창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기겸용 공기 조화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4 discloses a case in which a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discharged and a suction passage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sucked cross each other; a total heat exchanger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suction passage, the firs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are formed therein to indirectly exchange heat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air; first and second blower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suction passage, respectively, to flow air;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suction passage, and in which a jig device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heat exchange fin; In addition, a compressor, a quadrilateral and an expansion device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eat exchangers; It presents the technology for air conditioners for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including

KR 10-2021-0023935 A (2021년03월04일)KR 10-2021-0023935 A (March 04, 2021) KR 10-2005-0037164 A (2005년04월21일)KR 10-2005-0037164 A (April 21, 2005) KR 10-2006-0081842 A (2006년07월13일)KR 10-2006-0081842 A (July 13, 2006) KR 10-2004-0054298 A (2004년06월25일)KR 10-2004-0054298 A (June 25, 2004)

본 발명은 배출되는 공기와 유입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열교환하여, 환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냉방 및 난방 효율저하 문제를 최소화 가능한 공기송풍장치와, 이러한 공기송풍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송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capable of effectively heat-exchanging exhaust air and incoming air, thereby minimizing a problem of a decrease in cooling and heating efficiency occurring during a ventilation process, and an air blowing system including such an air blower.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이중관로를 형성하는 관로 형성부(100); 상기 관로 형성부(100)에 결합되어 이중관로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관로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전달 지지부(200); 송풍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관로 형성부(100)를 통해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송풍 발생부(300);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duit forming unit 100 for forming a double conduit; a heat transfer support unit 200 coupled to the conduit forming unit 100 to support the double conduit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and heat exchange between conduits; a blower generating unit 300 for generating blowing energy to ventilate through the pipe forming unit 100; made including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관로 형성부(100)는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관(110); 상기 외부관(110)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관(120); 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wherein the pipe forming part 100 includes an external pipe 110 located on the outside; an inner tube 120 positioned inside the outer tube 110; includes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열전달 지지부(200)는 상기 내부관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 플레이트(210); 상기 외부관(110)과 내부관(120)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20); 상기 삽입 플레이트(210)와 지지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23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and the heat transfer support unit 200 includes an insertion plate 210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a support plate 220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tube 110 and the inner tube 120; a connection plate 230 connecting the insertion plate 210 and the support plate 220; includes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열전달 지지부(200)가 결합되는 내부관(120)의 관통공(121)에 체결되는 실링부(40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comprising: a sealing portion 400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121 of the inner tube 120 to which the heat transfer support portion 200 is coupled; includes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송풍 발생부(300)는 상기 관로 형성부(100)에 체결되는 고정 케이스(310); 상기 고정 케이스(31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블레이드(321)가 형성되는 회전 케이스(320); 상기 회전 케이스(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330); 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and the blower generating unit 300 includes a fixed case 310 fastened to the conduit forming unit 100; Rotating case 320 coupled to the fixed case 310 to be idling and in which a blade 321 is formed; a rotating force generating means 330 for rotating the rotating case 320; includes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블레이드(321)는 상기 회전 케이스(3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110)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제1 블레이드(321A); 상기 회전 케이스(320)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관(120)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제2 블레이드(321B);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wherein the blade 321 includes a first blade 321A formed on the edge of the rotating case 320 to generate a flow of air through the outer tube 110; a second blade (321B)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case (320) to generate a flow of air through the inner tube (120); includes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회전 케이스(320)는 중앙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2 블레이드(321B)가 형성되는 중앙 케이스(320A);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1 블레이드(321A)가 형성되는 가장자리 케이스(320B);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wherein the rotating case 320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second blade 321B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case 320A; an edge case (320B) positioned at the edge and having the first blade (321A)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es

본 발명은 공기송풍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상수도관을 통과하는 물이 상기 관로 형성부(100)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부(500); 상기 유로 가이드부(500)를 통한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0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기를 환기시키는 공기송풍장치에 있어서, 이중관로를 형성하는 관로 형성부(100); 상기 관로 형성부(100)에 결합되어 이중관로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관로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전달 지지부(200); 송풍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관로 형성부(100)를 통해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송풍 발생부(300); 상기 관로 형성부(100)는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관(110). 상기 외부관(110)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관(120); 상기 열전달 지지부(200)는 상기 내부관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 플레이트(210), 상기 외부관(110)과 내부관(120)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20), 상기 삽입 플레이트(210)와 지지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230); 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ing system, comprising: a flow guide part 500 for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passing through a water supply pipe passes through the pipe pipe forming part 100; a control module 60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water through the flow guide part 500; includ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blower for ventilating air, comprising: a conduit forming unit 100 for forming a double conduit; a heat transfer support unit 200 coupled to the conduit forming unit 100 to support the double conduit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and heat exchange between conduits; a blower generating unit 300 for generating blowing energy to ventilate through the pipe forming unit 100; The pipe forming part 100 is an external pipe 110 located on the outside. an inner tube 120 positioned inside the outer tube 110; The heat transfer support 200 includes an insert plate 210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a support plate 220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tube 110 and the inner tube 120 , and the insert plate 210 and support. a connecting plate 230 for connecting the plate 220; includes

본 발명은 이중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유입되는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므로,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inimize the energy consumed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temperature since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ouble pipe and the incoming air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열전달지지부가 내부관과 외부관을 연결하므로, 열교환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 transfer support made of a metal connects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tube, there is an advantage that heat exchange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열전달지지부가 내부관에 서로 다른 각도로 결합되어 내부관을 지지하므로, 내부관을 외부관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support units are coupled to the inner tube at different angles to support the inner tub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device for locating the inner tube in the center of the outer tube is not required.

본 발명은 열전달 지지부의 가장자리면에 굴곡부 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열전달 지지부의 체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a bent portion or a bent portion is formed on the edg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support, so that the heat transfer support can be more easily fastened.

본 발명은 회전축에 멀리 위치되는 제1 블레이드가 회전축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2 블레이드와 비교하여 표면적이 좁거나 개수가 적게 형성되어, 배출되는 공기와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irst blade located far from the rotational shaft has a smaller surface area or a smaller number than the second blade located adjacent to the rotational shaft, so that the amount of discharged air and incoming air can be maintained the same. There is this.

도 1은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의 열전달 지지부를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의 열전달 지지부 결합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의 실링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의 송풍 발생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의 송풍 발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송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ir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heat transfer support of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heat transfer support coupling form of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ling part of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blower.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blower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ir blower.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blowing system including an air blow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explain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The numbers cited in the examples below are not limited only to the objects of reference, and may be applied to all examples. Objects exhibiting the same purpose and effect as the configuration presented in the examples correspond to equivalent replacement objects. The higher-level concept presented in the examples includes sub-concept objects that are not described.

(실시예 1-1)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이중관로를 형성하는 관로 형성부(100); 상기 관로 형성부(100)에 결합되어 이중관로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관로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전달 지지부(200); 송풍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관로 형성부(100)를 통해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송풍 발생부(300); 를 포함하는 공기송풍장치.(Embodiment 1-1) An air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uit forming unit 100 for forming a double conduit; a heat transfer support unit 200 coupled to the conduit forming unit 100 to support the double conduit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and heat exchange between conduits; a blower generating unit 300 for generating blowing energy to ventilate through the pipe forming unit 100; An air blower comprising a.

종래의 공기송풍장치는 공기 배출관과 공기 유입관을 열교환장치로 연결하여, 환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환기 과정에서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실외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경우, 실외 공기가 유입되며 변화되는 실내 온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냉/난방 장치 가동횟수 및 가동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air blower minimizes the waste of energy generated in the ventilation process by connecting the air exhaust pipe and the air inlet pipe to the heat exchange device. Specifically, when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during the ventilation process, the number of operation and operation time of the cooling/heating device increase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changing indoor temperature as the outdoor air flows i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energy is wasted.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고자,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송풍장치는 배출공기와 유입공기의 열교환이 열교환장치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교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에너지 절감 효과가 매우 작은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was exchanged with the exhausted air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room. However, the conventional air blower has a problem in that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exhaust air and the inlet air is limited only in the heat exchange device, so that the energy saving effect obtained through the heat exchange is very small.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형성부(100)가 두 개의 관이 겹쳐진 형태를 가져,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넓은 면적에서 장시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열전달 지지부(200)로 두 개의 관을 연결하여, 관 사이의 열교환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두 개의 관이 일정한 배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송풍 발생부(300)를 통해 배출공기와 유입공기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관로가 길어질 경우 복수개의 송풍발생부(300)가 결합되어 관로저항을 해소 가능하도록 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pipe forming part 100 has a shape in which two pipes are overlapped, so that heat exchange between the inflow air and the exhaust air can be made over a wide area for a long time. And, by connecting the two tubes with the heat transfer support 200 , heat exchange between the tubes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 two tubes can maintain a constant arrangement. In addition, the amount of exhaust air and inlet air is kept constant through the blower generating unit 300, and when the pipe is long, a plurality of blower generating units 300 are combined to solve the pipe resistance.

(실시예 2-1)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관로 형성부(100)는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관(110); 상기 외부관(110)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관(120); 을 포함한다.(Embodiment 2-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and in Embodiment 1-1, the pipe forming part 100 includes an external pipe 110 located outside; an inner tube 120 positioned inside the outer tube 110; includes

(실시예 2-2)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110)과 상기 내부관(120)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2-2) In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2-1, the outer tube 110 and the inner tube 120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includes

(실시예 2-3)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120)과 외부관(11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P1)와 상기 내부관(120)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유로(P2)는 면적이 동일한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2-3) In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2-1, the first flow path P1 formed between the inner tube 120 and the outer tube 110 and the inner tube 120 The second flow path P2 formed therein has the same area; includes

(실시예 2-4)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120)은 금속 또는 폴리머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2-4)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Embodiment 2-1, wherein the inner tube 120 is formed of a metal or a polymer; includes

(실시예 2-5)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관로 형성부(100)는 상기 외부관(110) 외면을 감싸는 단열재; 를 포함한다.(Embodiment 2-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lowe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1, wherein the pipe forming part 100 includes an insulating material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ipe 110; include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관로 형성부(100)는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관(110)과, 외부관(110)의 중앙에 위치되는 내부관(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외부관(110)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와 내부관(110)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가 관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열교환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conduit forming unit 100 includes an outer tube 110 positioned on the outside and an inner tube 120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tube 110, and the outer tube ( The air moving through 110 and the air moving through the inner tube 110 continuously exchange heat while moving along the tube.

상세히 설명하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두 개의 관을 겹쳐진 형태로 배치하여, 공기의 열교환 면적 및 열교환 시간을 극대화 하여 준 것이다. 이때, 내부관(120)과 외부관(11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로(P1)와 내부관(120)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유로(P2)는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져, 배출공기의 양과 유입공기의 양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권장한다.In detail, by arranging two tub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in an overlapping form, the heat exchange area and heat exchange time of air are maximized. At this time, the first flow path P1 formed between the inner tube 120 and the outer tube 110 and the second flow passage P2 formed inside the inner tube 120 have the same area as each other, so that the amount of exhaust air and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let air volume be kept the same.

상세히 설명하면, 배출공기와 유입공기의 양이 서로 다를경우, 실내공간과 외부공간 사이에서 압력차가 발생하여,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은 실내 온도를 변화시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게 하여, 압력차로 인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최소화 하였다.In detail, when the amount of exhaust air and inlet ai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indoor space and the outdoor space, so that the inside air flows out or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inside. At this time, since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changes the room tempera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low path P1 and the second flow path P2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thereby minimiz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그리고, 내부관(120)은 열교환 효과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관(110)과 내부관(120) 사이의 열교환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권장한다. 아울러, 외부관(110)과 내부관(120)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권장하며, 일 실시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다각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ner tube 1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heat exchange effect, so that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er tube 110 and the inner tube 120 is more effective.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outer tube 110 and the inner tube 120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nd in one embodiment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3 , but in addition to this,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It is not limited because it can be

(실시예 3-1)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지지부(200)는 상기 내부관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 플레이트(210); 상기 외부관(110)과 내부관(120)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20); 상기 삽입 플레이트(210)와 지지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230); 를 포함한다.(Embodiment 3-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In Embodiment 2-1, the heat transfer support unit 200 includes an insertion plate 210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a support plate 220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tube 110 and the inner tube 120; a connection plate 230 connecting the insertion plate 210 and the support plate 220; includes

(실시예 3-2)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지지부(200)는 복수개가 상기 내부관(1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3-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lowe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1, wherein a plurality of the heat transfer support parts 20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120; includes

(실시예 3-3)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열전달 지지부(200)는 상기 내부관(120)에 다른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3-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lowe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2, wherein the heat transfer support parts 200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upled to the inner tube 120 in different directions; includes

(실시예 3-4)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삽입 플레이트(210)는 상기 내부관(120)과 접하는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굴곡부(211); 를 포함한다.(Embodiment 3-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lowe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1, wherein the insertion plate 210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211 formed at one edge in contact with the inner tube 120; includes

(실시예 3-5)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삽입 플레이트(210)는 상기 내부관(120)과 접하는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절곡부(212); 를 포함한다.(Embodiment 3-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lowe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1, wherein the insertion plate 210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212 formed at one edge in contact with the inner tube 120; includes

(실시예 3-6)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20)는 상기 외부관(110)과 마주보는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굴곡부(221); 를 포함한다.(Embodiment 3-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lowe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1, wherein the support plate 220 includes a second bent portion 221 formed on the other edge facing the outer tube 110; includes

(실시예 3-7)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20)는 상기 외부관(110)과 마주보는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절곡부(222); 를 포함한다.(Embodiment 3-7)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Embodiment 3-1, wherein the support plate 220 includes a second bent portion 222 formed on the other edge facing the outer tube 110; includes

(실시예 3-8)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230)는 상기 삽입 플레이트(210)와의 연결면에 형성되는 제3 굴곡부(240); 를 포함한다.(Embodiment 3-8) In the embodiment 3-1,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bent portion 240 formed on a connection surface with the insertion plate 210; includes

(실시예 3-9)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20)의 두께(t2)가 삽입 플레이트(210)의 두께(t1)보다 두꺼운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3-9)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Embodiment 3-1, wherein the thickness t2 of the support plate 220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insertion plate 210; includes

(실시예 3-10)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지지부(20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3-10) In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3-1, the heat transfer support 20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cludes

도 3을 참조하면 열전달 지지부(200)는 내부관(120)의 두께방향으로 천공된 관통공(121)에 끼워져 외부관(110)과 내부관(120)의 열교환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 , the heat transfer support 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perfor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ner tube 120 , so that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er tube 110 and the inner tube 120 is more effective.

상세히 설명하면,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삽입 플레이트(210)가 제2 유로(P2)에 위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20)가 제1 유로(P1)에 위치되어, 제1 유로(P1)를 통과하는 공기와 제2 유로(P2)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 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열전달 지지부(200)는 보다 효과적인 열전달을 위하여 높은 열전달 능력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열전달 지지부(200)는 상기 삽입 플레이트(210)가 상기 관통공(1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가 모따기되어 경사진 형태의 제1 절곡부(212)가 형성될 수 있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형태의 제1 굴곡부(211)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detail, the insertion plate 210 position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ositioned on the second flow path P2 , and the support plate 220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ositioned on the first flow path P1 , and the firs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P1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P2 serve as a passage for heat exchange. In this case, it is recommended that the heat transfer support 200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heat transfer capability for more effective heat transfer. 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support 200 is a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insertion plate 210 as shown in FIG. 4 (b) so that the insertion plate 2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1 . may be chamfered to form a first bent portion 212 in an inclined shape, or a first bent portion 211 in a round shape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4C .

그리고, 내부관(120)의 관통공(121)에 열전달 지지부(200)가 체결된 후, 외부관(110)이 내부관(120) 외측에 결합되므로, 외부관(110) 결합이 용이하도록 지지 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 타측 가장자리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되어 경사진 형태의 제2 절곡부(222)가 형성되거나,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태의 제2 굴곡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And, after the heat transfer support 200 is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121 of the inner tube 120 , the outer tube 11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120 , so that the outer tube 110 is supported to facilitate coupling. The other side ed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220 is chamfered as shown in FIG. 4(b) to form a second bent part 222 in an inclined shape, or a curved surface as shown in FIG. 4(c). A second curved portion 221 having a shape may be formed.

아울러, 삽입 플레이트(210)와 지지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며 관통공(121) 상에 위치되는 연결 플레이트(230)는, 연결면에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굴곡부(240)가 형성되어 실링부재의 체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경우, 삽입 플레이트(210)의 길이가 지지 플레이트(2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삽입 플레이트(210)와 지지 플레이트(220)의 열수용 면적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 플레이트(220)의 두께(t2)를 삽입 플레이트(210)의 두께(t1)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열전달 지지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내부관(120)에 나선 형태로 결합되어, 내부관(120)이 외부관(110)의 중앙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late 230 that connects the insertion plate 210 and the support plate 220 and is located on the through hole 121 has a third bent portion ( 240) is formed, so that the coupling of the sealing member can be made more easily. In addition, when the first flow path P1 and the second flow path P2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the length of the insertion plate 210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plate 220 , so the insertion plate 210 and the support plate In order to equalize the hot receiving area of 220 , it is recommended that the thickness t2 of the support plate 220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t1 of the insertion plate 210 .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support units 200 are coupled to the inner tube 120 in a spiral form, so that the inner tube 120 is stable in the center of the outer tube 110 . can be positioned as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개의 열전달 지지부(200)를 도 5의 (a), (b),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120)에 서로 다른 각도로 결합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내부관(120)을 지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detail, as shown in (a), (b), (c), (d) of FIG. 5 , the plurality of heat transfer support parts 200 are coupled to the inner tube 120 at different angles, and various It is to be able to support the inner tube 120 in the direction.

(실시예 4-1)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지지부(200)가 결합되는 내부관(120)의 관통공(121)에 체결되는 실링부(400); 를 포함하는 공기송풍장치.(Embodiment 4-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and in Embodiment 3-1, a sealing part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121 of the inner tube 120 to which the heat transfer support part 200 is coupled. (400); An air blower comprising a.

(실시예 4-2)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400)는 중앙에 위치되는 실링 몸체(410), 상기 실링 몸체(410)의 두께방향 일측과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립(420); 을 포함한다.(Embodiment 4-2) In the air blow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4-1, the sealing part 400 has a sealing body 410 located in the center,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aling body 410 The fastening lip 420 protruding outwardly on the; includes

(실시예 4-3)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4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4-3) In the embodiment 4-1, the air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ealing part 40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includes

내부관(120)에 형성되는 관통공(121)에 열전달 지지부(200)를 체결하더라도, 열전달 지지부(200)와 관통공(121)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공기가 누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230)에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실링부(400)를 체결하여, 열전달 지지부(200)와 관통공(121)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폐쇄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실링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몸체(410) 중앙에 열전달 지지부(200)가 끼워지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두께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체결립(420)이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21)에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Even when the heat transfer support 200 is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121 formed in the inner tube 120, air may leak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heat transfer support 200 and the through hole 121. 3 , the sealing part 400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plate 230 to close the gap formed between the heat transfer support part 200 and the through hole 121 . At this time, the sealing part 40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in which the heat transfer support part 200 is fitted in the center of the sealing body 410 as shown in FIG. 6 , and fastening ribs 420 are formed on both edg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shown in FIG. 3 As shown in , it can be more stably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121 .

(실시예 5-1)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송풍 발생부(300)는 상기 관로 형성부(100)에 체결되는 고정 케이스(310); 상기 고정 케이스(31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블레이드(321)가 형성되는 회전 케이스(320); 상기 회전 케이스(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330); 을 포함한다.(Example 5-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and in Example 2-1, the blower generating unit 300 includes a fixed case 310 that is fastened to the conduit forming unit 100; Rotating case 320 coupled to the fixed case 310 to be idling and in which a blade 321 is formed; a rotating force generating means 330 for rotating the rotating case 320; includes

(실시예 5-2)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송풍 발생부(300)는 상기 고정 케이스(310)와 상기 회전 케이스(320) 사이에 위치되는 베어링(340); 을 포함한다.(Example 5-2) In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5-1, the blower generating unit 300 has a bearing 340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case 310 and the rotating case 320. ; includes

(실시예 5-3)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발생수단(330)은 상기 고정 케이스(310) 내주면에 결합되는 전자석(331), 상기 회전 케이스(320) 외주면에 결합되는 영구자석(332); 을 포함한다.(Embodiment 5-3) In the embodiment 5-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lower device includes an electromagnet 331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case 310, and the rotating case 320, wherein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means 330 is a permanent magnet 332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es

(실시예 5-4)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송풍 발생부(300)는 상기 고정 케이스(310)와 상기 회전 케이스(320)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공기 유입부(350); 를 포함한다.(Example 5-4) In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5-3, the blower generating unit 300 includes a cooling air inlet formed between the fixed case 310 and the rotating case 320 . (350); includes

(실시예 5-5)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기 유입부(350)는 상기 고정 케이스(310)와 상기 회전 케이스(32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351); 을 포함한다.(Example 5-5) In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5-4, the cooling air inlet 350 is a spaced space formed between the fixed case 310 and the rotating case 320 ( 351); includes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송풍 발생부(300)는 관로 형성부(100)에 결합되어 외부관(110)과 내부관(120)을 통해 공기의 배출 및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송풍 발생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케이스(310)가 외부관(110)에 고정 결합되고, 블레이드(321)가 형성된 회전 케이스(320)가 고정 케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력 발생수단(330)이 회전 케이스(320)를 회전시킨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blower generating unit 300 is coupled to the pipe forming unit 100 so that air is smoothly discharged and introduced through the outer tube 110 and the inner tube 120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 in the blow generator 300 , the fixed case 310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tube 110 , and the rotating case 320 in which the blade 321 is formed is attached to the fixed case 310 . It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rotating force generating means 330 rotates the rotating case 320 .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력 발생수단(330)을 구성하는 전자석(331)이 고정 케이스(310) 내주면에 결합되고, 영구자석(332)이 회전 케이스(3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동력장치에서 전자석(331)으로 전기를 입력하면 입력되는 에너지에 대응하여 회전 케이스(32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케이스(320)는 베어링(340)으로 고정 케이스(310)와 연결되어, 회전력 발생수단(330)에 의해 회전하며, 베어링(340)은 복수개일 수 있으나 회전 케이스(320)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한 개만 결합되고, 고정 케이스(310)와 마주보는 회전 케이스(32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양측에 냉각공기 유입부(350)가 형성되어, 회전 케이스(320)와 고정 케이스(310)의 마찰을 방지하는 것을 권장한다.In detail, the electromagnet 331 constituting the rotating force generating means 330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case 310, and the permanent magnet 332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case 320, the electromagnet in the power unit ( 331), the rotation case 320 is rotated in response to the input energy. In addition, the rotating case 320 is connected to the fixed case 310 with a bearing 340 and rotates by the rotating force generating means 330 , and the number of bearings 340 may be plural, but the length of the rotating case 320 . Only one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in the direction, and cooling air inlets 35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rotating case 320 facing the fixed case 310 in the rotating case 320 and the fixed case 310 . It is recommended to avoid friction.

상세히 설명하면, 베어링(340)의 개수가 늘어날 경우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마찰이 커져 회전 케이스(32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냉각공기 유입부(350)를 통해 제1 유로(P1)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입되어 베어링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냉각공기 유입부(3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베어링 역할 이외에도 상기 전자석(331) 및 영구자석(332)을 냉각시키는 역할 또한 하게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냉각공기 유입부(350)는 회전 케이스(320)가 끼워지는 고정 케이스(310)의 체결 홈 길이방향 길이(L1)보다, 회전 케이스(320)의 길이방향 길이(L2)를 짧게 형성하며 형성되는 이격공간(351)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외에도 회전 케이스(32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움푹 파인 형상을 가져 공기 유입을 원활하게 하는 공기유입홈, 회전 케이스(32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중앙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공기유입립 또한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number of bearings 340 is increased, the structure of the device becomes complicated, and friction increases and thus a lot of power is required to rotate the rotating case 320 , so through the cooling air inlet 350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1 is introduced to serve as a bearing. At this time, of cours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cooling air inlet 350 also serves to cool the electromagnet 331 and the permanent magnet 332 in addition to the bearing role. And, the cooling air inlet 350 is short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L1 of the fastening groove of the fixed case 310 into which the rotating case 320 is fitted, the longitudinal length L2 of the rotating case 320 is formed shorter, It may include a spaced space 351 formed, but in addition to this, an air inlet groove that has a concave shape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case 320 to facilitate air inflow,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case 320 It may also include an air inlet lip protruding obliquely to the center at the edge.

(실시예 6-1)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21)는 상기 회전 케이스(3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110)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제1 블레이드(321A);(Example 6-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In Example 5-1, the blade 321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rotation case 320 and passes through the outer tube 110. a first blade 321A that creates a flow of air;

상기 회전 케이스(320)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관(120)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제2 블레이드(321B); 를 포함한다.a second blade (321B)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case (320) to generate a flow of air through the inner tube (120); includes

(실시예 6-2)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321A)와 상기 제2 블레이드(321B)는 회전 케이스(320) 회전 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깃각을 가지는 것; 을 포함한다.(Example 6-2) In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6-1, the first blade 321A and the second blade 321B flow in different directions when the rotating case 320 rotates. having a feather angle forming a; includes

(실시예 6-3)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321A)의 표면적이 상기 제2 블레이드(321B)의 표면적보다 좁은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6-3)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Embodiment 6-1, wherein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blade 321A is small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blade 321B; includes

(실시예 6-4)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321A)의 개수가 상기 제2 블레이드(321B)의 개수보다 작은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6-4)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Embodiment 6-1, 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blades 321A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second blades 321B; includes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져야 하므로, 회전 케이스(320)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321A)와 중앙에 형성되는 제2 블레이드(321B)는 회전 케이스(320) 회전 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블레이드(321A)와 제2 블레이드(321B)를 회전 케이스(320)에 서로 반대 각도로 결합하여, 회전 케이스(320) 회전 시 제1 블레이드(321A)와 제2 블레이드(321B)가 서로 상반된 공기 유동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1 블레이드(321A)가 제2 블레이드(321B)와 비교하여 회전축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제1 블레이드(321A)와 제2 블레이드(321B)를 동일한 개수 및 표면적을 가지게 형성 시, 회전축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제1 블레이드(321A)가 보다 강한 공기 유동을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air mov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P1 and the second flow path P2 must have different directions, the first blade 321A formed at the edge of the rotation case 320 and the second blade formed in the center ( 321B) must move the air in different directions when the rotating case 320 rotate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lade 321A and the second blade 321B are coupled to the rotation case 320 at opposite angles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lade 321A and the second blade 321A and the second blade when the rotation case 320 rotates ( 321B) to create opposing air flows. In addition, since the first blade 321A is farther from the axis of rotation compared to the second blade 321B, when forming the first blade 321A and the second blade 321B to have the same number and surface area, at the rotation ax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atively far apart first blade 321A creates a stronger air flow.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블레이드(321A)의 표면적을 제2 블레이드(321B)의 표면적보다 좁게 하는 방법과, 제1 블레이드(321A)의 개수를 제2 블레이드(321B)의 개수보다 작게 하는 방법으로 제1 블레이드(321A)와 제2 블레이드(321B)가 동일한 세기의 공기 유동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king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blade 321A narrow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blade 321B, and a method of making the number of the first blades 321A smaller than the number of the second blades 321B. The first blade 321A and the second blade 321B were made to create an air flow of the same intensity.

(실시예 7-1) 본 발명은 공기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케이스(320)는 중앙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2 블레이드(321B)가 형성되는 중앙 케이스(320A);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1 블레이드(321A)가 형성되는 가장자리 케이스(320B); 를 포함한다.(Embodiment 7-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er device. In Embodiment 6-1, the rotating case 320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second blade 321B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case. (320A); an edge case (320B) positioned at the edge and having the first blade (321A)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es

(실시예 7-2)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중앙 케이스(320A)는 상기 내부관(120)과 마주보는 단부에 형성되는 단차 립(322A); 을 포함한다.(Embodiment 7-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lowe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7-1, wherein the central case 320A includes a stepped lip 322A formed at an end facing the inner tube 120; includes

(실시예 7-3)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단차 립(322A)은 상기 내부관(120)과 비접촉하는 것; 을 포함한다.(Embodiment 7-3) The air blower according to Embodiment 7-2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tepped lip 322A does not contact the inner tube 120; includes

(실시예 7-4)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단차 립(322A)은 표면에 코팅되는 테프론 코팅층; 을 포함한다.(Example 7-4) The air b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Example 7-2, wherein the stepped lip 322A includes a Teflon coating layer coated on the surface; includes

회전 케이스(320)는 중앙 케이스(320A)의 길이방향 단부가 내부관(120)의 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회전 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 케이스(320A)의 단부가 내부관(120)과 이격 배치된다. 이때, 회전 케이스(320)와 내부관(120)이 이격 배치되며 발생하는 틈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 케이스(320A)의 단부에 단차 립(3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차 립(322A) 또한 내부관(120)과 비접촉 배치되어 단차 립(322A)과 내부관(120)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틈을 통한 공기의 유동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The rotating case 320 is disposed so th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entral case 320A faces the end of the inner tube 120, and the end of the central case 320A has an inner tube ( 120) and spaced apart.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air from moving through the gap that occurs when the rotation case 320 and the inner tube 120 are spaced apart, a stepped lip 322A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central case 320A. In addition, the stepped lip 322A is also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tube 120 so that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stepped lip 322A and the inner tube 120,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ssage P1 and the second passage ( Since the pressure of P2) remains the same, the flow of air through the gap hardly occurs.

(실시예 8-1) 본 발명은 실시예 2-1 내지 실시예 7-1 중 어느 하나의 공기송풍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송풍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수도관을 통과하는 물이 상기 관로 형성부(100)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부(500); 상기 유로 가이드부(500)를 통한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00); 을 포함한다.(Embodiment 8-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lowing system including the air blowing device of any one of Embodiments 2-1 to 7-1, where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forms the pipe line ( 100) a flow guide unit 500 to form a flow path passing through; a control module 60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water through the flow guide part 500; includes

(실시예 8-2) 본 발명인 공기송풍장치는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600)은 상기 관로 형성부(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측정장치(610), 상수도관(10)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 측정장치(620),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 측정장치, 제1 온도 측정장치(610) 및 제3 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온도의 차이가 제2 온도 측정장치(620) 및 제3 온도 측정장치에서 측정되는 온도의 차이보다 크면 유로 가이드부(500)를 통해 물을 이동시키는 제어장치(630); 를 포함한다.(Embodiment 8-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blowe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8-1, wherein the control module 600 is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 610), a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62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0, a thir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room temperature, a first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610, and a thir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a control device 630 for moving water through the flow path guide unit 500 when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measured in i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620 and the thir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includes

본 발명은 상수도관을 통과하는 물과 외부관(110) 또는 내부관(120)을 통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실내 온도와 인접한 온도로 만들어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eat-exchanges water passing through a water supply pipe and air flowing into the room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er pipe 110 or the inner pipe 12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is made to a temperature adjacent to the room temperature. can

상세히 설명하면, 물의 경우 공기와 비교하여 비열이 크기 때문에, 겨울의 경우 공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고, 여름의 경우 공기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므로, 상수도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과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최대한 실내공기와 유사한 온도로 만들어준 것이다. 이때, 상수도관(10)에 유로 가이드부(500)가 연결되어 물이 외부관(110) 또는 내부관(120)을 통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제어모듈(600)이 밸브를 열고 닫아 유로 가이드부(500)를 통한 물의 이동 유무를 제어한다.In detail, since water has a higher specific heat compared to air, in winter it has a higher temperature than air and in summer it has a lower temperature than air. By heat ex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is made as close to that of the indoor air as possible. At this time, the flow guide part 50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0 to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moves through the external pipe 110 or the internal pipe 120 , and the control module 600 opens and closes the valve. The movement of water through the guide unit 500 is controlled.

P1 : 제1 유로 P2 : 제2 유로
100 : 관로 형성부 110 : 외부관
120 : 내부관
200 : 열전달 지지부 210 : 삽입 플레이트
211 : 제1 굴곡부 212 : 제1 절곡부
221 : 제2 굴곡부 222 : 제2 절곡부
220 : 지지 플레이트 230 : 연결 플레이트
240 : 제3 굴곡부
300 : 송풍 발생부 310 : 고정 케이스
320 : 회전 케이스 320A : 중앙 케이스
320B : 가장자리 케이스 321 : 블레이드
321A : 제1 블레이드 321B : 제2 블레이드
322A : 단차 립 330 : 회전력 발생수단
331 : 전자석 332 : 영구자석
340 : 베어링 350 : 냉각공기 유입부
400 : 실링부 410 : 실링 몸체
420 : 체결립
500 : 유로 가이드부
600 : 제어모듈 610 : 제1 온도 측정장치
620 : 제2 온도 측정장치 630 : 제어장치
P1: first flow path P2: second flow path
100: pipe forming part 110: external pipe
120: inner tube
200: heat transfer support 210: insert plate
211: first bent part 212: first bent part
221: second bent part 222: second bent part
220: support plate 230: connection plate
240: third bent part
300: blow generator 310: fixed case
320: rotating case 320A: central case
320B: edge case 321: blade
321A: first blade 321B: second blade
322A: step lip 330: means fo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331: electromagnet 332: permanent magnet
340: bearing 350: cooling air inlet
400: sealing part 410: sealing body
420: fastening lip
500: euro guide part
600: control module 610: first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620: secon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630: control device

Claims (8)

공기를 환기시키는 공기송풍장치에 있어서,
이중관로를 형성하는 관로 형성부(100);
상기 관로 형성부(100)에 결합되어 이중관로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관로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전달 지지부(200);
송풍에너지를 발생시켜 상기 관로 형성부(100)를 통해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송풍 발생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관로 형성부(100)는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관(110); 상기 외부관(110) 내측에 위치되는 내부관(120);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달 지지부(200)는 상기 내부관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 플레이트(210), 상기 외부관(110)과 내부관(120)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20), 상기 삽입 플레이트(210)와 지지 플레이트(22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230); 를 포함하는 공기송풍장치.
In the air blower for ventilating air,
Pipeline forming part 100 for forming a double pipe;
a heat transfer support unit 200 coupled to the conduit forming unit 100 to support the double conduit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and heat exchange between conduits;
Including, but including; a blower generating unit 300 to generate the blowing energy to ventilate through the pipe forming unit (100)
The pipe forming part 100 includes an external pipe 110 located on the outside; Including; the inner tube 120 located inside the outer tube 110,
The heat transfer support 200 includes an insert plate 210 inserted into the inner tube, a support plate 220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tube 110 and the inner tube 120 , and the insert plate 210 and support. a connecting plate 230 for connecting the plate 220; An air blow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지지부(200)가 결합되는 내부관(120)의 관통공(121)에 체결되는 실링부(400); 를 포함하는 공기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aling part 400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121 of the inner tube 120 to which the heat transfer support part 200 is coupled; An air blower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 발생부(300)는 상기 관로 형성부(100)에 체결되는 고정 케이스(310);
상기 고정 케이스(310)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블레이드(321)가 형성되는 회전 케이스(320);
상기 회전 케이스(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발생수단(330); 을 포함하는 공기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wer generating unit 300 includes a fixed case 310 fastened to the conduit forming unit 100;
Rotating case 320 coupled to the fixed case 310 to be idling and in which a blade 321 is formed;
a rotating force generating means 330 for rotating the rotating case 320; An air blower comprising a.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21)는 상기 회전 케이스(3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110)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제1 블레이드(321A);
상기 회전 케이스(320)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관(120)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는 제2 블레이드(321B); 를 포함하는 공기송풍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lade 321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rotating case 320, a first blade (321A) for generating a flow of air through the outer tube (110);
a second blade (321B)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case (320) to generate a flow of air through the inner tube (120); An air blower comprising 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 케이스(320)는 중앙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2 블레이드(321B)가 형성되는 중앙 케이스(320A);
가장자리에 위치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1 블레이드(321A)가 형성되는 가장자리 케이스(320B); 를 포함하는 공기송풍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otating case 320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second blade 321B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case 320A;
an edge case (320B) positioned at the edge and having the first blade (321A)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 air blower comprising a.
청구항 1의 공기송풍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송풍 시스템에 있어서,
상수도관을 통과하는 물이 상기 관로 형성부(100)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부(500);
상기 유로 가이드부(500)를 통한 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00); 을 포함하는 공기송풍 시스템.
In the air blowing system comprising the air blowing device of claim 1,
a flow guide part 500 for form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passes through the pipe pipe forming part 100;
a control module 60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water through the flow guide part 500; An air blowing system comprising a.
KR1020210037115A 2021-03-23 2021-03-23 Apparatus for air blowing, Air blow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air blowing KR102274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115A KR102274236B1 (en) 2021-03-23 2021-03-23 Apparatus for air blowing, Air blow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air blo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115A KR102274236B1 (en) 2021-03-23 2021-03-23 Apparatus for air blowing, Air blow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air blow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236B1 true KR102274236B1 (en) 2021-07-07

Family

ID=7686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115A KR102274236B1 (en) 2021-03-23 2021-03-23 Apparatus for air blowing, Air blow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air blow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236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298A (en) 2002-12-18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with ventilating room
KR20050037164A (en) 2003-10-17 200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Ventilation method by a air-conditioner
KR20060081842A (en) 2005-01-10 200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Pipe structure of air cleaning system
KR100943356B1 (en) * 2009-06-26 2010-02-18 (주)해팍이엔지 Ventilation type's all-season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KR20100120467A (en) * 2009-05-06 2010-11-16 이상현 Ventilation system having heat exchanger
KR20100121559A (en) * 2009-05-09 2010-11-18 오성유 A air fan
KR101437291B1 (en) * 2013-09-10 2014-09-03 주식회사 연합축산 Air ventilation system of heat exchanging duct
KR20210018671A (en) * 2019-08-08 2021-02-18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rotary heat exchange filtration
KR20210023935A (en) 2021-02-23 2021-03-04 서현 Air Blowing System Capable Of Air Cleaning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298A (en) 2002-12-18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with ventilating room
KR20050037164A (en) 2003-10-17 200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Ventilation method by a air-conditioner
KR20060081842A (en) 2005-01-10 200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Pipe structure of air cleaning system
KR20100120467A (en) * 2009-05-06 2010-11-16 이상현 Ventilation system having heat exchanger
KR20100121559A (en) * 2009-05-09 2010-11-18 오성유 A air fan
KR100943356B1 (en) * 2009-06-26 2010-02-18 (주)해팍이엔지 Ventilation type's all-season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KR101437291B1 (en) * 2013-09-10 2014-09-03 주식회사 연합축산 Air ventilation system of heat exchanging duct
KR20210018671A (en) * 2019-08-08 2021-02-18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rotary heat exchange filtration
KR20210023935A (en) 2021-02-23 2021-03-04 서현 Air Blowing System Capable Of Air Clea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3622B2 (en) Air conditioner having a moving guide
CN101210727B (en) Air conditioner
JP2008215795A (en) Movable heat exchange system, and air conditioner, hot water storage device, electric fan, other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system applying the system
US20060270335A1 (en) Total heat exchanger and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same
EP1628081A3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3808156U (en) Fan device and air condensing units
KR102274236B1 (en) Apparatus for air blowing, Air blow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air blowing
CN112460687A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CN206861747U (en) Air-conditioner out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KR20130022576A (en) Fan assembly
CN213808153U (en) Fan device and air condensing units
CN213808155U (en) Fan device and air condensing units
CN213808152U (en) Fan device and air condensing units
CN210197588U (en) Fresh air dehumidifying unit
CN1321862A (en) Heat regeneration horizontal thermotube air-conditioning air-breather equipment
CN210399169U (en) Cabinet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2011174630A (en) Air conditioner
CN109945379B (en) Hub type fresh air ventilation equipment
CN216205115U (en) Drying machine
JP3449551B2 (en) Latest air conditioning unit
CN114320957B (en) Fan device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CN110793132A (en) Heat exchange device and kitchen air conditioning system provided with same
CN218781355U (en) Air treatment devic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N114320959B (en) Fan device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KR200307309Y1 (en) turning air mixer for 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