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525B1 -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 Google Patents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3525B1 KR102273525B1 KR1020190049084A KR20190049084A KR102273525B1 KR 102273525 B1 KR102273525 B1 KR 102273525B1 KR 1020190049084 A KR1020190049084 A KR 1020190049084A KR 20190049084 A KR20190049084 A KR 20190049084A KR 102273525 B1 KR102273525 B1 KR 1022735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nunciation
- japanese
- learning
- content
- individu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YYJNOYZRYGDPNH-MFKUBSTISA-N fenpyroximate Chemical compound C=1C=C(C(=O)OC(C)(C)C)C=CC=1CO/N=C/C=1C(C)=NN(C)C=1OC1=CC=CC=C1 YYJNOYZRYGDPNH-MFKUBSTI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41517 Etlingera elati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90997 Moolgarda enge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695 Sparse hai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음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 발음의 한계로 영어 발음의 한계가 있는 일본인의 발음 교정을 위해 한국어의 받침 소리 규칙을 체계화하여 학습에 제공함으로써 발음을 교정할 수 있는 발음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pronunciation that can correct pronunciation by systematizing and providing the rules for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language for correcting the pronunciation of Japanese, who have a limitation in English pronuncia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pronunciation of the support. It's about learning systems.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음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 발음의 한계로 영어 발음의 한계가 있는 일본인의 발음 교정을 위해 한국어의 받침 소리 규칙을 체계화하여 학습에 제공함으로써 발음을 습득 및 교정할 수 있는 발음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acquire and correct pronunciation by systematizing and providing for learning by systematizing and providing the rules for the pronunciation of Japanese for correcting the pronunciation of Japanese, who have limitations in English pronuncia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pronunciation of the support. It relates to a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일본어는 모든 모음과 자음을 단독으로 풀어쓰는 음절어이므로 연음이라는 개념이 없고 받침으로 말을 끝맺는 체계가 아니며, 한국어처럼 받침 발음과 연음체계를 구사할 수 있는 언어라는 발음상의 한계 때문에 일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일본인의 입장에서 영어 발음을 익히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Since Japanese is a syllable language in which all vowels and consonants are unraveled independently, there is no concept of linking, and it is not a system that ends with a consonant. From the point of view of a Japanese who speaks English, there is a limit to learning English pronunciation.
즉, 일본어는 연음이 없기 때문에 영어의 연음 발음이 어렵고, 받침이 없기 때문에 받침이 되는 자음에 무조건 모음 "ㅡ"를 부여하여 따로 분리하게 되므로 한국어 받침 발음이 엉성해질 수 밖에 없다.In other words, since Japanese does not have liaisons, it is difficult to pronounce liaisons in English, and since there is no support, the vowel “ㅡ” is unconditionally added to the supported consonants to separate them, so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supporters is sloppy.
특히, 한국어 받침 발음인 "ㅇ, ㄴ, ㅁ"가 모두 구분없이 일본어 표기 "ん" 한 글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ㅇ, ㄴ, ㅁ"을 구분하지 못하고 동일하게 발음하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s of "ㅇ, ㄴ, ㅁ" are recognized as a single Japanese letter "N" without distinction, "ㅇ, ㄴ, ㅁ" cannot be distinguished and are pronounced the same.
그리고 한국어 받침 발음인 "ㄱ,ㅅ,ㅂ,ㄷ" 역시 모두 구분없이 일본어 표기 "っ" 한 글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ㄱ,ㅅ,ㅂ,ㄷ"을 구분하여 발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ifferentiate the pronunciation of "ㄱ, ㅅ, ㅇ, ㄴ" because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of "ㄱ, ㅅ, ㅇ, ㄴ" is recognized as a single Japanese letter "っ" without any distinction.
또한, 한국어 받침 발음 "ㄹ"은 발음은 물로 표기도 없기 때문에 발음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consonant "ㄹ" was impossible because the pronunciation itself was not written in water.
상기와 같은 일본어 발음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 발음의 한계로 영어 발음의 한계가 있는 일본인의 발음 교정을 위해 한국어의 받침 소리 규칙을 체계화하여 학습에 제공함으로써 발음을 교정할 수 있는 발음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was derived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of Japanese pronunci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ystematize and provide learning with the Korean accent sound rules for correcting the pronunciation of Japanese, who have limitations in English pronuncia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upporting pronunci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capable of correcting pronunci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음 학습 시스템은 한국어 발음 중 일본어의 구조상 발음이 어려운 특정 발음군의 개별 발음에 대하여 발음이 가능한 개별 일본어 발음 규칙에 매핑하여 생성된 발음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학습 컨텐츠 관리 수단과; 상기 발음 학습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특정 발음군의 개별 발음을 구분하여 발음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발음 교정 효과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s generated by mapping individual pronunciations of a specific pronunciation group that are difficult to pronounce due to the structure of Japanese among Korean pronunciations to individual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that can be pronounced.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ans to manage and; and a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ans for providing a pronunciation correction effect by providing the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er to classify the individual pronunciations of the specific pronunciation group so that the pronunciation is possible.
상기 학습 컨텐츠 제공 수단은 학습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UI 모듈과; 상기 UI 모듈을 통해 제공될 학습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학습 프로세서 모듈과;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학습자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ans includes: a UI module responsible for an interface for providing the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er; a learning processor module for controlling output of learning content to be provided through the UI module; and a learner management module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상기 학습 프로세서 모듈은 한국어 발음 중 발음이 어려운 특정 발음단위에 포함된 개별 발음을 정확히 구분해서 발음할 수 있도록 일본어 발음 규칙에 매핑시켜 개별 발음 별로 생성된 발음 기준 컨텐츠를 포함하는 발음 학습 컨텐츠를 통해 학습자에게 발음을 습득시키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arning processor module maps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so that individual pronunciations included in specific pronunciation units that are difficult to pronounce among Korean pronunciations can be accurately distinguished and pronounced. It is characterized by guiding them to learn pronunciation.
상기 발음 학습 컨텐츠는 일본인들이 어려워하는 특정 한국어 발음단위(이하, "특정 발음단위" 이라 함)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발음군에 포함된 개별 발음 별로 발음이 가능한 일본어 발음 규칙을 매핑시켜 생성된 발음 기준 컨텐츠와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한 발음의 습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is a pronunciation generated by extracting a specific Korean pronunciation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cific pronunciation unit”) that Japanese people find difficult, and mapping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that can be pronounced for each pronunci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pronunciation group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ference content and test content for confirming the degree of acquisition of pronunciation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상기 학습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한 발음 학습을 제공한 후,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한 발음 교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에 대응한 테스트 컨텐츠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발음 교정 효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fter providing pronunciation learning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the learning processor module provides te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in order to confirm the pronunciation correction effect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so that the learner can see the pronunciation correction effect in real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checked.
여기서,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상기 특정 발음단위는 일본어의 발음 구조 상 발음 구분이 어렵거나 발음 자체가 어려운 발음들로 구성된 것으로서 한국 받침 발음, 한국 된소리 발음, 한국 자음 발음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is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composed of pronunciation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or pronunciation itself is difficult due to the pronunciation structure of Japanese, and is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Korean traditional sound pronunciation, and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do it with
상기 특정 발음단위가 한국 받침 발음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 모두 동일하게 일본어 “ん”로 발음되어 발음 구분이 어려운 한국 받침 발음 “ㅇ, ㄴ, ㅁ”이 하나의 특정 발음단위가 되어 개별 발음으로 추출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상기 개별 발음 “ㅇ”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1(ん 뒤에 ㄱ,ㅋ,ㅇ,ㅎ, 그리고 뒤에 아무것도 오지 않을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발음 “ㄴ”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2(ん 뒤에 오는 글자의 자음이 'ㄴ,ㄷ,ㄸ,ㅅ,ㅆ,ㅈ,ㅉ,ㅊ,ㅌ' 일 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발음 “ㅁ”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3(ん 뒤에 'ㅁ,ㅂ,ㅍ' 즉 입이 다물어지는 자음이 올 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selected from the pronunciations of Korean consonants,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s “ㅇ, ㄴ, ㅁ”, which are all pronounced as Japanese “n”, and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pronunciations, become on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and are extracted as individual pronunciations;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 1 (when ㄴ, ㅋ, ㅇ, heh, and nothing follows)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ㅇ”;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2 (when the consonant of the letter following n is 'ㄴ, C, ㄸ, ㅅ, ㅆ, ㅎ, ㅜ, ㅆ, ')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b”; For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ㅁ”,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 3 (when a consonant with a closed mouth comes after ん ).
상기 특정 발음단위가 한국 받침 발음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 모두 동일하게 일본어 “っ”로 발음되어 발음 구분이 어려운 한국 받침 발음 “ ㄱ,ㅅ,ㄷ,ㅂ,ㅎ”이 하나의 특정 발음단위가 되어 개별 발음으로 추출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상기 개별 발음 “ㄱ”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4(っ 뒤에 자음 ㄱ,ㅋ,이 올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발음 “ㄷ, ㅅ”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5(っ 뒤에 자음 ㄴ,ㄷ,ㅈ,ㅊ,ㅌ,ㅅ이 올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발음 “ㅂ”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6(っ 뒤에 자음 "ㅂ,ㅁ,ㅍ" 즉 입을 다무는 자음이 올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발음 “ㅎ”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7(っ 뒤에 자음 ㅎ,ㅇ 즉 모음과 거의 동일한 자음이 올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selected from among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s,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which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cause it is all pronounced as Japanese “っ”, becomes on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and is individually pronounced. extracted with;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 4 (when a consonant ㄱ, ㅋ, comes after っ )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a”;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5 (when consonants ㄴ, ㄴ, ㅎ, ㅎ, ㅅ follow) for the individual pronunciations " , ㅅ"; For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b”,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6 (when a consonant “f, ㅁ, P” comes after っ , that is, a closed consonant);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ㅎ”,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 7 (when a consonant ㅎ, ㅇ, that is, a consonant almost identical to a vowel comes after っ ).
상기 특정 발음단위가 한국 받침 발음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 일본에 발음과 표기가 없는 한국어 받침 발음 'ㄹ'이 개별 발음으로 추출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상기 개별 발음 “ㄱ”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8 (다음에 자음 "ㄹ"오는 2음절이 반복되는 발음의 첫소리를 강조하여 강하게 끌면서 발음하도록 유도)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selected from among the pronunciations of the Korean consonants,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ㄹ', which has no pronunciation and notation in Japan, is extracted as an individual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8 (inducing pronunciation with strong drag by emphasizing the first sound of the repeated pronunciation of the two syllables following the consonant “ㄹ”)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a” do it with
상기 특정 발음단위가 한국 된소리 발음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 일본어 발음 표기가 없어서 발음이 어려운 된소리 발음인 "ㄲ, ㅆ, ㅃ, ㄸ"이 하나의 특정 발음단위가 되어 개별 발음으로 추출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개별 발음 "ㄲ, ㅆ, ㅃ, ㄸ"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규칙9 (“ㅅ,ㅂ,ㅌ,ㄷ,ㄱ,ㅋ”의 발음 앞에 [っ] 가 붙을 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selected from among Korean pronunciations, “ㄲ, ㅆ, ㅃ, ㄸ”, which are difficult pronunciations because there is no Japanese pronunciation mark, become on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and are extracted as individual pronunciations; The abov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s are word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9 (when [っ] is added before the pronunciation of “ㅅ, ㅅ, t, c, ㄱ, ㅋ”) for the individual pronunciations “ㄲ, ㅆ, ㅃ, ㄸ”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상기 특정 발음단위가 한국 자음 발음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 한국어 자음 발음 "ㅓ/ㅕ", "ㅗ/ㅛ"가 하나의 특정 발음단위가 되어 개별 발음이 추출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개별 발음 "ㅓ/ㅕ", "ㅗ/ㅛ"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규칙 10 (お로 끝날때는 "ㅓ"로 발음하고, よ로 끝날 때는 "ㅕ"로 발음, "お" 앞에 모음 "ㅏ" 가 왔을 때 'ㅗ"로 발음되는 단어와 "ㅛ"로 발음되는 단어가 구분됨을 토대로 "ㅗ,ㅛ" 발음 인식)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selected from among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s,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s “ㅓ/ㅕ” and “ㅗ/ㅛ” become on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and individual pronunciations are extracted; The abov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s are 10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for individual pronunciations "ㅓ/ㅕ" and "ㅗ/ㅛ" (pronounced as "ㅓ" when ending in お, "ㅕ" when ending in よ, pronounced as "ㅕ" before "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words corresponding to "ㅗ,ㅛ" pronunciation recognition)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a word pronounced as 'ㅗ' and a word pronounced as "ㅛ" when the vowel "a" comes.
상기 테스트 컨텐츠는 일본어 발음 구조상 발음 구분이 어렵거나 발음 자체가 없어서 발음이 어려운 특정 발음단위에 포함되는 개별 발음별 발음 기준 컨텐츠에 대응되어 종래에 발음 구분이 어렵거나 발음이 없어서 발음 자체가 어려운 발음을 포함하는 단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st content corresponds to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for each pronunciation included in a specific pronunciation unit that is difficult to pronounc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Japanese pronunciation or the pronunciation itself is difficult to pronou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words containing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음 학습 시스템은 일본어 구조적 특성상 발음 구분이 어렵거나 발음 자체가 없는 발음을 발음이 가능한 일본어 발음 규칙에 매핑하여 생성된 발음 학습 컨텐츠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음 습득 및 교정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earners with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s created by mapping pronunciation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or without pronunciation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to pronunciation rules in which pronunciation is possible.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correction effect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가 제공된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learning content is provided to a lear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creen on which learning content is provid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음 학습 시스템은 한국어 발음 중 일본어의 구조상 발음이 어려운 특정 발음군의 개별 발음에 대하여 발음이 가능한 개별 일본어 발음 규칙에 매핑하여 생성된 발음 학습 컨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학습 컨텐츠 관리 수단(10)과 상기 발음 학습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특정 발음군의 개별 발음을 구분하여 발음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발음 교정 효과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 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d manages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s generated by mapping individual pronunciations of a specific pronunciation group that are difficult to pronounce due to the structure of Japanese among Korean pronunciations to individual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capable of pronunciation. and a learning content providing
상기 학습 컨텐츠 관리 수단(10)은 상기 생성된 발음 학습 컨텐츠를 통합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학습 컨텐츠 제공 수단(20)은 상기 학습 컨텐츠 관리 수단을 통해 관리되는 발음 학습 컨텐츠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을 통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ans 10 is responsible for integrally storing and managing the generated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and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ans 20 extracts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managed through the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ans. Thus, it plays a role of providing to the learner through the learner terminal.
즉, 상기 학습 컨텐츠 관리 수단(10)은 데이터 베이스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학습 컨텐츠 제공 수단(20)은 발음 학습 시스템 제공을 위한 프로세서 또는 프로그램 역할을 담당한다.That is, the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ans 10 serves as a database, and the learning
상기 학습 컨텐츠 관리 수단(10)과 학습 컨텐츠 제공 수단(20)은 학습자 단말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외부 서버로 구축되고,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학습 요청이 있는 경우에 인증을 통해 발음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는 통합 관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ans 10 and the learning
상기 발음 학습 컨텐츠는 한국어 발음 중 일본인이 구별하여 발음할 수 없거나 한국어 받침 발음 "ㄹ"과 같이 발음 자체가 없어서 어려운 발음에 대하여 발음을 구별하여 발음할 수 있거나 발음이 가능하도록 일본어 발음 규칙에 적용하여 생성된 컨텐츠인 발음 기준 컨텐츠와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한 발음의 습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컨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is applied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so that the Japanese can distinguish and pronounce difficult pronunciations because there is no pronunciation itself, such as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backing "ㄹ", or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pronunciation is possible. The generated content may includ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and test content for confirming a degree of acquisition of pronunciation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여기서,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일본인들이 어려워하는 특정 한국어 발음단위(이하, "특정 발음단위" 이라 함)를 추출하고, 상기 특정 발음단위에 포함된 개별 발음 별로 발음이 가능한 일본어 발음 규칙을 매핑시켜 생성되고, 상기 테스트 컨텐츠는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해 연습된 개별 발음의 습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개별 발음에 대해 상기 일본어 발음 규칙이 적용되지 않아서 발음 구별이 어렵거나 발음 자체가 없어서 발음이 어려운 발음들로 구성된다.Here,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generated by extracting a specific Korean pronunciation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cific pronunciation unit”) that Japanese people find difficult, and mapping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that can be pronounced for each pronunci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n order to confirm the degree of acquisition of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practiced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the test content includes pronunciation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because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are not applied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s or are difficult to pronounce because there is no pronunciation itself. is composed of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특정 발음단위로 구분되고, 상기 특정 발음단위는 개별 발음 단위로 세분화되어 제공되고, 상기 테스트 컨텐츠도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의 세분화된 개별 발음 단위 별로 매핑되어 제공될 수 있다.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may be divided into specific pronunciation units,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may be subdivided into individual pronunciation units and provided, and the test content may also be mapped and provided for each subdivided individual pronunciation unit of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예를 들어, 세분화된 개별 발음 단위가 한국어 받침 발음 "ㅇ"인 경우 발음 기준 컨텐츠가 일본어 발음 규칙에 따른 ばんごう(번호) -> "방고"가 제공된다면, 이에 따라 한국어 받침 발음 "ㅇ"을 제대로 발음할 수 있으며, 교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컨텐츠는 한국어 받침발음 "ㅇ"을 발음하기 어려웠던 단어인 "동네"(일본인은 "돈네"라고 발음함)가 제공되어 발음을 유도하여 한국어 받침발음 "ㅇ"의 교정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ubdivided individual pronunciation unit is the pronunciation of Korean backing "ㅇ",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ばんごう (number) -> "Bango" accor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In order to be able to pronounce properly, and to check the correction effect, the test content provides the word “dongne” (pronounced “donne” in Japanese), a word that is difficult to pronounce with the Korean backing pronunciation “ㅇ”, to induce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backing pronunciation. The correction effect of "o" can be confirmed.
즉, 상기 학습 컨텐츠 제공 모듈은 발음 기준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일본인에게 어려운 발음인 특정 발음군에 포함된 개별 발음을 정확히 발음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해 상기 개별 발음 연습을 통해 습득한 연상 및 각인 효과에 의해 상기 개별 발음에 대해 일본어 발음 규칙이 적용되지 않은 발음에 대해서도 정확히 구분하여 발음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at is, the learning content providing module provides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to the learner so that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included in a specific pronunciation group, which is difficult for Japanese people, can be accurately pronounced, and through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practice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According to the acquired association and imprinting effects, it is possible to guide the pronunciation of the individual pronunciations by accurately distinguishing them even for the pronunciations to which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are not applied.
예를 들어, 일본어의 경우 한국어 받침 발음 "ㅇ, ㄴ, ㅁ"을 모두 "ん"이라는 한 글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ㅇ, ㄴ, ㅁ"을 구분하지 못하고 동일하게 발음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Japanese, since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s "ㅇ, ㄴ, ㅁ" are all recognized as one letter "N", "ㅇ, ㄴ, ㅁ" cannot be distinguished and are pronounced the same.
그러나, 받침 "ㅇ"이라는 개별 발음에 대해, "ん" 뒤에 "ㄱ,ㅋ,ㅇ,ㅎ" 그리고 뒤에 아무것도 오지 않을 때 정확하게 한국어 받침 발음 "ㅇ"을 발음할 수 있다. 즉, "ん" 뒤에 "ㄱ,ㅋ,ㅇ,ㅎ" 그리고 뒤에 아무것도 오지 않을 때가 하나의 일본어 발음 규칙이 된다. However, for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ㅇ", it is possible to correctly pronounce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ㅇ" when "ㄴ" is followed by "a, ㅋ, ㅇ, heh" and nothing comes after it. In other words, when "n" is followed by "a, ㅋ, ㅇ, heh" and nothing followed, it becomes a Japanese pronunciation rule.
결국, 한국어 받침 발음을 구분해서 발음할 수 없어서가 아니라 일본어 특성상 습관적인 발음에 의해 구분된 발음을 하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음이 어려운 특정 발음군에 포함된 개별 발음을 정확히 구분해서 발음할 수 있는 일본어 발음 규칙에 매핑시켜 개별 발음을 습득시키고, 상기 일본어 발음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발음 사례를 통해 연습 시킴으로써 특정 발음단위에 대한 발음 교정이 가능하다.After all, it is not because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consonants cannot be distinguished, but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pronounce the pronunciation separate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so it is a Japanese language that can accurately distinguish and pronounce individual pronunciations included in a specific pronunciation group that are difficult to pronounce. By mapping to pronunciation rules to learn individual pronunciations, and practicing through pronunciation cases to which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do not apply, pronunciation correction for specific pronunciation units is possible.
이하, 학습 컨텐츠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earning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정 발음단위의 개별 발음에 대한 발음이 가능한 일본어 발음 규칙을 매핑시킨 표이다.[Table 1] below is a table mapping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capable of pronunciation for individual pronunciations of specific pronunciation uni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표 1]을 참조하면, 발음이 어려운 특정 발음단위의 개별 발음을 정확히 발음할 수 있는 일본어 발음 규칙에 매핑시킬 경우 개별 발음을 구분하여 정확히 발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일본어 발음 규칙이 적용되지 않아서 구분하여 발음하지 못했던 발음을 습득하여 구분하여 발음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above, when individual pronunciations of specific pronunciation units that are difficult to pronounce are mapped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that can be correctly pronounced, individual pronunciations can be distinguished and correctly pronounced. You can learn pronunciation that could not be pronounced separately because it is not applied and can be pronounced separately.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발음이 어려운 특정 발음단위는 상기 특정 발음단위는 일본어의 발음 구조 상 발음 구분이 어렵거나 발음 자체가 어려운 발음들로 구성된 것으로서 하기와 같이 크게 5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with difficulty in pronunciation is composed of pronunciation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or difficult to pronounce due to the pronunciation structure of Japanese, and can be broadly divided into five types as follows. have.
1. 한국 [받침 1. Korea [base] ㅇ,ㄴ,ㅁㅇ, b, ㅁ ] -> 일본 [ん] ] -> Japan [n]
2. 한국 [받침 2. Korea [base] ㄱ,ㅅ,ㅂ,ㄷA, S, F, C ] -> 일본 [っ]] -> Japan [っ]
3. 한국 [받침으로 사용되는 ㄹ] -> 일본 [발음도 표기도 없음]3. Korea [d used as a base] -> Japan [no pronunciation or notation]
4. 한국 [된소리 ㄲ, ㅆ, ㅃ, ㄸ] -> 일본 [발음 표기 없음]4. Korea [Handsori ㄲ, ㅆ, ㅃ, ㄸ] -> Japan [No pronunciation mark]
5. 한국 [자음 발음 ㅓ/ㅕ, ㅗ/ㅛ] -> 일본 발음 구분없음5.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ㅓ/ㅕ, ㅗ/ㅛ] -> Japanese pronunciation no distinction
그러나,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 5개의 특정 발음단위를 정확하게 구별하여 발음하거나 발음 자체가 없었던 발음을 정확히 발음할 수 있는 일본어 발음 규칙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특정 발음단위의 개별 발음에 매핑하여 정확한 발음을 구분하거나, 종래에 일본어에 없었던 발음을 할 수 있도록 인지하고 발음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도출하였다.However,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scovered a Japanese pronunciation rule that can accurately distinguish and pronounce the five specific pronunciation units or correctly pronounce a pronunciation that does not have a pronunciation itself, and map i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of a specific pronunciation unit to obtain accurate pronunciation A method of inducing recognition and pronunciation in order to differentiate or pronounce a pronunciation that was not previously in Japanese was derived.
1. 한국1. Korea [받침 [support ㅇ,ㄴ,ㅁㅇ, b, ㅁ ] -> 일본 [ん] ] -> Japan [n]
(1) 한국 [받침 "ㅇ" 발음](1) Korea [pronounced “ㅇ”]
일본어 받침 규칙 1: Japanese support rule 1:
ん 뒤에 ㄱ,ㅋ,ㅇ,ㅎ, 그리고 뒤에 아무것도 오지 않을때 정확히 한국어 받침"ㅇ"를 발음을 할 수 있다.When ん is followed by ㄱ, ㅋ, ㅇ, heh, and nothing comes after it, you can pronounce the Korean consonant "ㅇ" correctly.
상기 일본어 받침 규칙 1을 모를 경우, ん다음에 ㄴ이 오면 자동으로 ん을 ㄴ 받침으로 발음하게 되는 일본어 습관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ㅇ"이 아닌 "ㄴ"으로 발음하게 된다.If you do not know the Japanese consonant rule 1, you will unconsciously pronounce it as "ㄴ" instead of "ㅇ" because of the Japanese habit of automatically pronouncing ㄴ as a consonant when ㄴ comes after ん.
예를 들어, "동네"를 발음하는 경우 "돈네"로 발음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pronouncing "neighborhood", it is pronounced as "donne".
그러나, 상기 일본어 받침 규칙 1을 적용하면 한국어 받침 발음 "ㅇ"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발음할 수 있다.However, if the Japanese consonant rule 1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istinguish and pronounce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ㅇ”.
(규칙에 의해 유도 가능한 단어들 예시)(Examples of words that can be derived by rules)
ばんごう(번호) -> 방고ばんごう (number) -> Bango
そんがい(손해)-> 송가이そんがい (damage) -> Songgai
どんかん(둔감) -> 동캉どんkan (insensitivity) -> Dongkang
じゃんけん(가위바위보)-> 장갱じゃんけん (Rock, Paper, Scissors) -> Janggaeng
まんいん(만원) -> 망잉Manin (10,000 won) -> Manning
まんえん(만엔) -> 망엥Manえん (10,000 yen) -> Mangeng
ろんほう(논법) -> 롱호ろんほう (argument) -> Longho
ぎゅうどん(음식규동) -> 규동ぎゅうどん (food gyudon) -> gyudon
(2) 한국 [받침 "ㄴ" 발음](2) Korea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b"]
일본어 발음 규칙 2 : Japanese pronunciation rule 2:
ん 뒤에 오는 글자의 자음이 'ㄴ,ㄷ,ㄸ,ㅅ,ㅆ,ㅈ,ㅉ,ㅊ,ㅌ' 일 때 정확히 한국어 받침"ㄴ"을 발음을 할 수 있다.When the consonant of the letter following ん is 'ㄴ, ㄴ, ㄸ, ㅅ, ㅆ, ㄱ, TT, ch, t', you can pronounce the Korean consonant "ㄴ" correctly.
상기 일본어 발음 규칙 2를 모를 경우, ん다음에 ㄱ이 오면 자동으로 ん을 ㅇ 받침으로 발음하게 되는 일본어 습관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ㄴ"이 아닌 "ㅇ"으로 발음하게 된다.If you do not know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2 above, you will unconsciously pronounce it as "ㅇ" instead of "ㄴ" because of the Japanese habit of automatically pronouncing ん as an ㅇ consonant when ㄴ comes after ㄴ.
예를 들어, "신고"를 발음하는 경우 "싱고"로 발음하게 된다.For example, if you pronounce "Shingo", you'll pronounce it as "Singo".
그러나, 상기 일본어 받침 규칙 2을 적용하면 한국어 받침 발음 "ㄴ"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발음할 수 있다.However, if the Japanese consonant rule 2 is applied,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b” can be accurately distinguished and pronounced.
(규칙에 의해 유도 가능한 단어들 예시)(Examples of words that can be derived by rules)
あんない(안내)-> 안나이あんない (information) -> Annai
かんだい(관대)-> 칸다이だい (Generous) -> Kanda
かんさい(관서)-> 칸사이Kansai -> Kansai
さんざん(많이)-> 산잔サンざん (a lot) -> Sanzan
あんちゃん(사람이름)-> 안짱あんちゃん (person's name) -> An-chan
かんたん(간단)-> 칸탕Kantan (simple) -> Kantang
ばんだい(기업이름)-> 반다이ばんだい (company name) -> Bandai
こんどう(사람이름)-> 콘도konbou (person's name) -> Kondo
そんちょう(촌장)-> 손쵸そんちょう (village chief) -> Soncho
ざんしょ(남은더위)-> 잔쇼ざんしょ (remaining heat) -> Jansho
けんどう(검도)-> 검도けんどう (Kendo) -> Kendo
ろんそう(논쟁)-> 론소ろんそう (dispute) -> Ronso
こんなん(곤란)-> 콘난konnan (difficulty) -> Konnan
きんてつ(근철)-> 킨테츠Kintetsu -> Kintetsu
けんとう(검토)-> 켄토けんtou (review) -> Kento
こんてんつ(컨텐츠)-> 컨텐츠コンてんつ (content) -> content
(3) 한국 [받침 "ㅁ" 발음](3) Korea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ㅁ"]
일본어 발음 규칙 3 : Japanese pronunciation rule 3:
ん 뒤에 'ㅁ,ㅂ,ㅍ' 즉 입이 다물어지는 자음이 올 때 정확히 한국어 받침"ㅁ"을 발음을 할 수 있다.When n is followed by a consonant of 'ㅁ, ㅇ, p', that is, a closed-mouth consonant, it is possible to pronounce the Korean consonant "ㅁ" accurately.
상기 일본어 발음 규칙 3을 모를 경우, ん다음에 ㅉ이 오면 자동으로 ん을 "ㄴ" 받침으로 발음하게 되는 일본어 습관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ㅁ"이 아닌 "ㄴ"으로 발음하게 된다.If you do not know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3 above, you will unconsciously pronounce it as "ㄴ" instead of "ㅁ" because of the Japanese habit of automatically pronouncing ん as a "ㄴ" consonant when t comes after ん.
예를 들어, "몸짱"을 발음하는 경우 "몬짱"으로 발음하게 된다.For example, if you pronounce "Mom-chan", you'll pronounce it as "Mon-chan".
그러나, 상기 일본어 받침 규칙 3을 적용하면 한국어 받침 발음 "ㅁ"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발음할 수 있다.However, if the Japanese consonant rule 3 is applied,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ㅁ” can be accurately distinguished and pronounced.
(규칙에 의해 유도 가능한 단어들 예시)(Examples of words that can be derived by rules)
わんまん (원맨)-> 왐망わんMAN (One Man) -> Wang Man
じゅんばん (순번)-> 줌방じゅんばん (order) -> Zoom
けんぽう(헌법)-> 겜포けんぽう (Constitution) -> Gempo
さんばん(삼번)-> 삼방 sanbon (three times) -> three
かんもん(관문)-> 캄몽kannan (gateway) -> Kammong
せんもん(전문)-> 셈몽せんもん (Special) -> Semmon
さんまん(삼만)-> 삼망sanman (three thousand) -> three thousand
らいんも(라인도(조사포함))->라임모ラインも (Raindo (with irradiation)) -> Lime Mo
(じゃん)けんぽん(가위바위보)-> 켐퐁(じゃん)けんぽん (rock, paper, scissors) -> Kempong
こんぽん(근본)-> 콤퐁konpon (root) -> compong
さんぱつ(산발)-> 삼파츠sanぱつ (sparse hair) -> three parts
あんぱん (팟빵)-> 팜빵あんぱん (Padpan) -> Pampang
ぱんっぱん (빵빵)-> 팜빵ぱんッぱん (bread bread) -> palm bread
ちゃんぽん(짬뽕)-> 참퐁Champon (Champong) -> Champon
2. 한국 [받침 2. Korea [base] ㄱ,ㅅ,ㅂ,ㄷA, S, F, C ] -> 일본 [っ]] -> Japan [っ]
(1) 한국 [받침 "ㄱ" 발음](1) Korea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a"]
일본어 발음 규칙 4 : Japanese pronunciation rule 4:
っ 뒤에 자음 ㄱ,ㅋ,이 올때 정확히 한국어 받침"ㄱ"을 발음을 할 수 있다.When the consonants ㄱ, ㅋ, come after っ , you can pronounce the Korean consonant "ㄱ" accurately.
(규칙에 의해 유도 가능한 단어들 예시)(Examples of words that can be derived by rules)
がっこう(학교)-> 각코がッコウ (school) -> gakko
すもっぐ(스모그)-> 스목그スもッぐ (smog) -> smog
さっこん(최근)-> 삭콩Sakkong (recent)-> Sakkong
さっか(작가)-> 삭카Sakka (author) -> Sakka
けっこん(결혼)-> 켁공けッkon (marriage) -> kekong
えどっこ(에도시대 사람)-> 에독코えどッコ (people from the Edo period) -> edokko
えりっく(사람이름)-> 에릭쿠えリック (person's name) -> Eric
あ?ぼっぐ(사람이름)-> 아복구あ?ぼっぐ (person's name) -> Ah Bok-gu
けっか(결과)-> 켁카けッカ (result)-> kekka
かっこう(폼)-> 칵코Kakkou (form) -> Cakco
(2) 한국 [받침 "ㅅ, ㄷ" 발음](2) Korea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ㅅ, ”]
일본어 발음 규칙 5 : Japanese pronunciation rule 5:
っ 뒤에 자음 ㄴ,ㄷ,ㅈ,ㅊ,ㅌ,ㅅ이 올때 정확히 한국어 받침"ㅅ, ㄷ"을 발음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한국어 받침 "ㅅ,ㄷ"은 발음 상 큰 차이가 없으며, 받침 뒤의 글자에 중점을 두지 않고 「っ」발음 자체로만 구별을 하기 위한 것이므로 [ㄷ]과 하나로 합쳐서 취급해도 무방하다. When the consonants ㄴ, ㄴ, ㄱ, chu, t, ㅅ come after っ , you can pronounce the Korean consonants "ㅅ, ㄴ" exactly. Her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nunciation between the Korean consonants "ㅅ, ㄴ", and it is okay to combine them with [c] and treat them as one, since it is for distinguishing only the pronunciation of "っ" without focusing on the letters after the consonants.
(규칙에 의해 유도 가능한 단어들 예시)(Examples of words that can be derived by rules)
ぶっだ(붓다)-> 붇타ぶッだ (Buddha) -> Butta
がっちゃん(사람이름)-> 갇짱がっちゃん (person's name) -> Trapped
ロッジ(?幄?)-> ?幄?Lodge(?幄?)-> ?幄?
ざっし(잡지)-> 잗시ざッシ (magazine) ->
ハッピ?(해피)-> ??삐ハッピ? (Happy) -> ??
スザッナ(영어이름)-> 잗나Shuna (English name) -> Jenna
がったい(결합)-> 갇타이がっtai (combination) -> gattai
だかっね(사투리)-> 다??네だカッね (speaking dialect) -> All?? Yes
けっとう(결투)-> ?ヅ?けっとう (duel) -> ?ヅ?
けっちゃく(결착,결과)-> ?ヂ苔?けっちゃKU (conclusion, result) -> ?ヂ苔?
はってん(발전)-> ??텐hatsun (development) -> ??ten
(3) 한국 [받침 "ㅂ" 발음](3) Korea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b"]
일본어 발음 규칙 6 : Japanese pronunciation rule 6:
っ 뒤에 자음 "ㅂ,ㅁ,ㅍ" 즉 입을 다무는 자음이 올때 정확히 한국어 받침"ㅂ"을 발음을 할 수 있다.When っ is followed by the consonant "f, ㅁ, p", that is, when the consonant that closes the mouth comes, you can pronounce the Korean consonant "b" accurately.
(규칙에 의해 유도 가능한 단어들 예시)(Examples of words that can be derived by rules)
さっぽろ(지역이름)-> 삽포로Sappo (region name) -> Sapporo
いっぱい(많이)-> 입빠이イッぱい (a lot) -> Ippai
がっぺい(합병)-> 갑페이がっぺい (merger) -> Gappay
いっぽん(한병)-> 입퐁Ippong (one bottle) -> Ippong
ゴッマン(사람이름)-> 곱망Goman (person's name) -> Gobman
パッパン(한국음식팥빵)-> 팝빵Pappan (Korean red bean bread) -> Pop bread
らっぱ(나팔)-> 랍빠ラッぱ (trumpets) -> rappa
いっぽう(일방)-> 입뽀イッぽう (one-way) -> Ippo
でっぱ(돌출형 앞니)-> 뎁빠でぱ (protruding front teeth) -> Deppa
そっぽ(저쪽)-> 솝뽀そっぽ (over there) -> Soppo
かっぱ(우비)-> 삽빠Kappa (raincoat) -> Sapppa
てっぽう(대포)-> 댑뽀てっぽう (cannon) -> dappo
(4) 한국 [받침 "ㅎ" 발음](4) Korea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heh"]
일본어 발음 규칙 7 : Japanese Pronunciation Rule 7:
っ 뒤에 자음 ㅎ,ㅇ 즉 모음과 거의 동일한 자음이 올때 정확히 한국어 받침"ㅎ"을 발음을 할 수 있다.When っ is followed by a consonant ㅎ, ㅇ, that is, a consonant that is almost identical to a vowel, the Korean consonant "heh" can be pronounced exactly.
(규칙에 의해 유도 가능한 단어들 예시)(Examples of words that can be derived by rules)
うっうっ(흐느끼는소리)-> ?Y우うっうっ (weeping) -> ?Y woo
マッハ(마하)-> 맣하マハ (mach) -> mach
ゴッホ(사람이름)-> ?接?ゴッホ (person's name) -> ?接?
ばっは(사람이름)-> ?W하ばっwa (person's name) -> ?W ha
わっはっはっ(남자 웃음소리표기)-> ?프K?Kわttawatta (man's laughter) -> ?p K?K
おっほっほっ(여자 웃음소리표기)-> ?늘P?Pおっほっほっ (female laughter sound) -> ?Never P?P
3. 한국 [받침으로 사용되는 ㄹ] -> 일본 [발음도 표기도 없음]3. Korea [d used as a base] -> Japan [no pronunciation or notation]
한국어 받침 발음 중 'ㄹ'은 일본어에 발음은 물로 표기도 없기 때문에 발음하기 가장 어려운 단어이다. 따라서, 발음이 가능한 일본어 발음 규칙을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지만, 정식 단어나 발음은 아니지만 받침 'ㄹ'과 유사한 발음을 할 수 있는 상황을 상정하여 정확한 받침 'ㄹ' 발음을 유도할 수 있다.'ㄹ' in Korean is the most difficult word to pronounce because it is not even written in water in Japanese. Therefore, although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Japanese pronunciation rule that can be pronounced,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the support 'ㄹ' by supposing that the pronunciation is similar to the support 'ㄹ', although it is not an official word or pronunciation.
일본어 발음 규칙 8 : 다음에 자음 "ㄹ"오는 2음절이 반복되는 발음의 첫소리를 강조하여 강하게 끌면서 발음하도록 유도Japanese Pronunciation Rule 8: Inducing the pronunciation of two syllables followed by the consonant "ㄹ" by emphasizing the first sound of repeated pronunciation with strong dragging
예를 들어, 일본어 "がりがり"를 아주 빼빼마른 사람을 상상하면서 강조하여 발음하도록 유도.For example, the Japanese "がりがり" is imagining a very skinny person, and emphasized it.
일본어 "がりがり"는 마른 사람이라는 뜻으로, "가리가리"라고 발음하게 되는데, 너무 빼빼 마른 사람을 보는 것을 가정하여 감정을 최대한으로 끌어 올려 첫음을 강하게 끌면서 발음하면 "갈~~~리가리"라고 발음하여 받침 "ㄹ"을 발음 할 수 있다.The Japanese word "がりがri" means skinny person, and it is pronounced "garigari". Assuming that you see someone who is too skinny, raise your emotions as much as possible, and when you pronounce the first note strongly, you say "gal~~~rigari". You can pronounce the base "ㄹ" by pronouncing it.
또한, "ギリギリ" 기리기리는 "아슬 아슬"이라는 뜻으로, 역시 너무 너무 아슬아슬한 상황을 가정하여 감정을 최대한으로 끌어 올려 첫음을 강하게 끌면서 발음하면 "길~~~리길리"라고 발음하여 받침 "ㄹ"을 발음 할 수 있다. In addition, "ギリギリ" girigiri means "closely". Also, assuming that the situation is too close, raise the emotions to the maximum, and if you pronounce the first note strongly while pronouncing it as "Gil~~~ Rigilli", the support "ㄹ" " can be pronounced.
한국어 받침 "ㄹ"은 일본어 발음과 표기가 없기 때문에 발음할 수 있는 규칙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일본어 발음 규칙 7은 출원인이 인위적으로 도출해내 예외적인 규칙에 해당한다.Since there is no Japanese pronunciation and notation for the Korean consonant "ㄹ", it is impossible to find a pronunciation rule. Therefore,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7 is an exceptional rule artificially derived by the applicant.
상기 일본어 "がりがり"를 아주 빼빼마른 사람을 상상하면서 강조하여 발음하면 첫음을 강하게 끌면서 발음하면 "갈~~~리가리"로 발음하도록 유도한 후 "일본"을 발음시킬 경우 "이르본"이 아닌 "일본"으로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다.If you pronounce the Japanese "がリがり" above while imagining a very skinny person, if you pronounce it with a strong drag on the first note, induce it to pronounce "gal~~~rigari" and then pronounce "Japan" instead of "Irbon" You can pronounce it correctly as "Japanese".
4. 한국 [된소리 ㄲ, ㅆ, ㅃ, ㄸ] -> 일본 [발음 표기 없음]]4. Korea [Dongsori ㄲ, ㅆ, ㅃ, ㄸ] -> Japan [No pronunciation mark]]
일본어 발음규칙 9 : “ㅅ,ㅂ,ㅌ,ㄷ,ㄱ,ㅋ”의 발음 앞에 [っ] 가 붙을 때Japanese Pronunciation Rule 9: When [っ] is added in front of the pronunciation of “ㅅ, ㅅ, t, c, ㄱ, ㅋ”
한국 발음의 된소리(ㄲ, ㅆ, ㅃ, ㄸ)은 일본어에는 표기가 없는 발음이므로 발음이 어려울 수 밖에 없지만, “ㅅ,ㅂ,ㅌ,ㄷ,ㄱ,ㅋ”의 발음 앞에 [っ] 가 붙으면 된소리 발음을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다.The Korean pronunciation of Doesori (ㄲ, ㅆ, ㅃ, ㄸ) is difficult to pronounce as there are no transcriptions in Japanese. You can pronounce the pronunciation correctly.
예를 들어, "っば(바) -> 빠, った(다) -> 따, っか(가) -> 까, っさ(사) -> 싸"와 같이 “ㅅ,ㅂ,ㅌ,ㄷ,ㄱ,ㅋ”의 발음 앞에 [っ] 가 붙으면 된소리 발음을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n "ば (ba) -> b, tta (da) -> ta, っか (ga) -> ka, っさ (sa) -> cheap", “S, F, T, If [っ] is added in front of the pronunciation of ㄴ, ㄱ, ㅋ”, the pronunciation of the sound can be accurately pronounced.
(규칙에 의해 유도 가능한 단어들 예시)(Examples of words that can be derived by rules)
캇파かっぱ(일본괴물) -> 캇빠, Kappa (Japanese monster) -> Kappa,
밧타ばった(메뚜기) -> 밧따batta (locust) -> batta
욧카よっか(4일) -> 욧까Yokkah (4 days) -> Yokka
잣시ざっし(잡지) -> 잣씨Pine nuts (Magazine) -> Pine nuts
5. 한국 [자음 발음 ㅓ/ㅕ, ㅗ/ㅛ] -> 일본 발음 구분없음5.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ㅓ/ㅕ, ㅗ/ㅛ] -> Japanese pronunciation no distinction
일본어 발음규칙 10: お로 끝날때는 "ㅓ"로 발음하고, よ로 끝날 때는 "ㅕ"로 발음, "お" 앞에 모음 "ㅏ" 가 왔을 때 'ㅗ"로 발음되는 단어와 "ㅛ"로 발음되는 단어가 구분됨을 토대로 "ㅗ,ㅛ" 발음 인식Japanese Pronunciation Rule 10: Pronounced as “ㅓ” when ending in お, “ㅕ” when ending in よ, and “ㅗ” and “ㅛ” when the vowel “a” comes before “o” Recognize the pronunciation of "ㅗ,ㅛ"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words
일본어는 하기와 같이 ㅓ/ㅕ와 ㅗ/ㅛ의 구별이 없다.In Japanes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ㅓ/ㅕ and ㅗ/ㅛ as shown below.
어, 오 ->모두 お uh, oh -> all o
여, 요 ->모두 よW, yo -> all よ
의, 위 ->모두 うぃof, above -> all うぃ
따라서, ㅓㅗ, ㅕㅛ의 발음의 구분을 힘들어할 수 밖에 없지만 이 역시 일본어 발음규칙9에 따라 특정 단어를 발음할 때 규칙적으로 정확하게 구분짓고 발음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inevitably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pronunciations of ㅓㅗ and ㅕㅛ, but accor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9, when pronouncing a specific wor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nd pronounce it regularly and accurately.
즉, 잠재적으로 구분된 발음을 하고 있지만, 발음 표기가 없어서 발음 구분을 인지하지 못하고 습관적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발음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했던 것이기 때문에, 이미 발음되고 있는 ㅓ와 ㅕ의 사례와 ㅗ와 ㅛ의 사례를 통해 개별 발음의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시키고 필요에 따라 개별 발음을 구분하여 발음할 수 있도록 자각하게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lthough the pronunciation is potentially differentiated, the pronunciation distinction is not recognized because there is no pronunciation mark, and the pronunciation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because the pronunciation is habitually pronounced. Therefore, the cases of ㅓ and ㅕ that are already being pronounced, and the cases of ㅗ and ㅛ Through examples,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pronunciations can be clearly recognized, and individual pronunciations can be differentiated and pronounced if necessary.
(1) "ㅓ, ㅕ" 유도(1) Derivation of "ㅓ, ㅕ"
단어의 끝이 [어]나 [여]로 끝날 때 정확히 어와 여를 구분하여 발음할 수 있다. 즉, お로 끝날때는 "ㅓ"로 발음하고, よ로 끝날 때는 "ㅕ"로 발음한다. When a word ends with [uh] or [fe], it is possible to pronounce it correctly by distinguishing between eo and u. That is, when it ends in お, it is pronounced "ㅓ", and when it ends in よ, it is pronounced as "ㅕ".
따라서, "ㅓ"발음되는 단어와 "ㅕ"로 발음되는 단어의 발음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시키고, 구분하여 발음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a difference in pronunciation between a word pronounced as “ㅓ” and a word pronounced as “ㅕ”, and to induce them to be pronounced separately.
(규칙에 의해 유도 가능한 단어들 예시)(Examples of words that can be derived by rules)
それを(그것을)-> 소레어そレを (it) -> Sorare
かつお(가쓰오)-> 카츠어katsuo -> katsuo
おすなよ(밀지마) -> 오스나여Osunae (don't push) -> Osuna
いくよ(갈거야)-> 이쿠여Ikuye (I'm going) -> Ikuye
まつよ(기다릴래)-> 마츠요マつよ (Waiting for you) -> Matsuyo
それよ(그거야)-> 소레여そレよ (that's it) -> Soray
(2) "ㅗ, ㅛ" 유도(2) Induction of "ㅗ, ㅛ"
"お" 앞에 모음 "ㅏ" 가 왔을 때, 정확히 ‘ㅗ,ㅛ’를 발음할 수 있다. When the vowel "a" comes before "o", you can pronounce 'ㅗ,ㅛ' correctly.
즉, "お" 앞에 모음 "ㅏ" 가 왔을 때 'ㅗ"로 발음되는 단어와 "ㅛ"로 발음되는 단어가 이미 구분되어져 있기 때문에 해당 단어들로부터 발음 "ㅗ"와 "ㅛ"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의해주고 구분된 발음의 차이를 인식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vowel "a" comes before "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nunciation "ㅗ" and "ㅛ" is clear from the words because the word pronounced 'ㅗ' and the word pronounced "ㅛ" are already separated. It can be clearly defined and recognized the difference in the distinguished pronunciation.
따라서, "ㅗ"로 발음되는 단어와 "ㅛ"로 발음되는 단어의 발음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시키고, 구분하여 발음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a difference in pronunciation between a word pronounced as “ㅗ” and a word pronounced as “ㅛ”, and to induce a differentiated pronunciation.
(규칙에 의해 유도 가능한 단어들 예시)(Examples of words that can be derived by rules)
だぼだぼ -> 다보다보だぼだぼ -> Dabodabo
あお(푸른색)-> 아오あお (blue) -> ao
かお(얼굴)-> 카오kao (face) -> kao
さお(작대기)-> 사오sao -> sao
なよなよ -> 나요나요 なよなよ -> I am
やよい(사람이름)-> 야요이やよい (person's name) -> Yayoi
まよい(고민)-> 마요이マよい (worry) -> Mayoi
かよわい(가녀린)-> 카요와이かよわい -> Kayowai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본인에게 이미 잠재해 있었지만 전혀 의식하지 못하고 힘들어했던 한국어 개별 발음에 대하여 일본 발음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발음을 구별함은 물로 정확히 발음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distinguishing pronunciation by applying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to individual Korean pronunciations, which were already latent in Japanese, but had difficulty without being conscious of them at all, can lead to accurate pronunciation with water.
한편, 테스트 컨텐츠는 특정 발음단위에 포함되는 개별 발음별 발음 기준 컨텐츠에 대응되어 종래에 발음 구분이 어렵거나 발음이 없어서 발음 자체가 어려운 발음을 포함하는 단어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st content may be composed of a word including a pronunciation that is difficult to pronounce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 conventional pronunciation or there is no pronunciation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for each pronunciation included in a specific pronunciation unit.
상기 테스트 컨텐츠는 한국어 발음이 표시되면서 발음 표시가 같이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음 표시는 일본어 발음 표시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st conten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Korean pronunciation is displayed and a pronunciation display is also displayed, and the pronunciation display may be configured as a Japanese pronunciation display.
여기서, 상기 일본어 발음 표시는 상기 발음 학습 컨텐츠를 통해 학습된 특정 발음 단위에 대응되는 한국어 발음표시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Japanese pronunciation displa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Korean pronunciation display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ronunciation unit learned through the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본어 특성상 하기와 같이 받침 발음 구분이 없거나, 발음 자체가 없는 경우 이에 대한 표기가 어렵기 때문에 한국어 발음을 포함하여 표시할 경우 단어군을 올바르게 발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it is difficult to indicate when there is no separation of base pronunciations or when there is no pronunciation itself. Therefore, when displaying including Korean pronuncia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correct pronunciation of the word group.
<특정 발음 단위><specific pronunciation unit>
1. 한국 [받침 ㅇ,ㄴ,ㅁ] -> 일본 [ん] 1. Korea [Consent ㅇ, ㄴ, ㅁ] -> Japan [N]
2. 한국 [받침 ㄱ,ㅅ,ㅂ,ㄷ] -> 일본 [っ]2. Korea [Consent ㄱ, ㅅ, F, C] -> Japan [っ]
3. 한국 [받침으로 사용되는 ㄹ] -> 일본 [발음도 표기도 없음]3. Korea [d used as a base] -> Japan [no pronunciation or notation]
4. 한국 [된소리 ㄲ, ㅆ, ㅃ, ㄸ] -> 일본 [발음 표기 없음]4. Korea [Handsori ㄲ, ㅆ, ㅃ, ㄸ] -> Japan [No pronunciation mark]
5. 한국 [자음 발음 ㅓ/ㅕ, ㅗ/ㅛ] -> 일본 발음 구분없음5.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ㅓ/ㅕ, ㅗ/ㅛ] -> Japanese pronunciation no distinction
즉, 받침 발음 "ㅇ", "ㄴ", "ㅁ"의 구분이 없는 "ん"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구분된 "ㅇ", "ㄴ", "ㅁ"으로 표시하고, 받침 발음 "ㄱ", "ㅅ", "ㅂ", "ㄷ"의 구분이 없는 "っ"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구분된 "ㄱ", "ㅅ", "ㅂ", "ㄷ"여 올바른 발음으로 유도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stead of displaying the sound "ㅇ", "b", and "ㅁ"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vowels "ㅇ", "b", and "ㅁ", they are expressed as the separated "ㅇ", "b", and "ㅁ", and the end pronunciation "a". , "ㅅ", "ㅁ", and "ㄴ" are not displayed as "っ", but are separated "A", "S", "F", and "C" can be induced by correct pronunciation.
따라서,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한 발음 학습을 진행한 후, 상기 테스트 컨텐츠를 통한 학습을 통해 발음 교정 및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after pronunciation learning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pronunciation correction and improvement effects can be confirmed through learning through the test cont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따른 발음 교정 시스템에 의해 학습자에게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content to a learner by the pronunciation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 수단(20)은 학습자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UI 모듈(210)과 상기 UI 모듈을 통해 제공될 학습 컨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학습 프로세서 모듈(220)과 상기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학습자관리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earning
상기 UI 모듈(210)은 학습자의 인증을 수행하고, 학습자가 원하는 학습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학습자의 응답을 입력받아 상기 학습 프로세서 모듈(220)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학습 프로세서 모듈(220)은 상기 UI 모듈로부터 요청된 학습자의 학습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자동으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학습자의 이전 학습 정보와 수준 또는 진도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고, 발음 교정 정도 분석을 위해 학습자의 응답이 필요한 경우 학습자의 응답 정보로부터 학습자의 발음 상태를 분석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learning content is provided to a lear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을 위한 학습 방법은 학습자에게 학습 컨텐츠 중 발음 기준 컨텐츠를 제공하여 발음이 어려운 단어에 대한 발음 교정을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learning method for correcting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guide information for correcting pronunciation of difficult-to-pronounce words by providing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among learning contents to a learner.
상기 학습 프로세서 모듈(220)은 한국어 발음 중 발음이 어려운 특정 발음단위에 포함된 개별 발음을 정확히 구분해서 발음할 수 있도록 일본어 발음 규칙에 매핑시켜 개별 발음 별로 생성된 발음 기준 컨텐츠는를 통해 발음을 습득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learning
즉,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발음 기준 컨텐츠는 하기의 5개 특정 발음 단위에 포함된 개별 발음을 구분시켜 인식시키거나, 일본어 특성상 발음이나 표기가 없는 발음도 발음이 가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발음 교정을 가이드하게 한다. That is,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is corrected by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individual pronunciations included in the following five specific pronunciation units, or by inducing pronunciation to be possible even with pronunciations without pronunciation or not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to guide
1. 한국 [받침 ㅇ,ㄴ,ㅁ] -> 일본 [ん] 1. Korea [Consent ㅇ, ㄴ, ㅁ] -> Japan [N]
2. 한국 [받침 ㄱ,ㅅ,ㅂ,ㄷ] -> 일본 [っ]2. Korea [Consent ㄱ, ㅅ, F, C] -> Japan [っ]
3. 한국 [받침으로 사용되는 ㄹ] -> 일본 [발음도 표기도 없음]3. Korea [d used as a base] -> Japan [no pronunciation or notation]
4. 한국 [된소리 ㄲ, ㅆ, ㅃ, ㄸ] -> 일본 [발음 표기 없음]4. Korea [Handsori ㄲ, ㅆ, ㅃ, ㄸ] -> Japan [No pronunciation mark]
5. 한국 [자음 발음 ㅓ/ㅕ, ㅗ/ㅛ] -> 일본 발음 구분없음5.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ㅓ/ㅕ, ㅗ/ㅛ] -> Japanese pronunciation no distinction
상기 학습 프로세스 모듈은 상기 5개의 특정 발음단위 중 하나의 특정 발음 단위에서 발음 기준 컨텐츠를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learning process module may extract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from on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among the five specific pronunciation units and provide it to the learner.
따라서, 상기 5개의 특정 발음단위 별로 포함된 개별 발음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발음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dividual pronunciations included in each of the five specific pronunciation units can be accurately distinguished and induced to be pronounced.
본 발명은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만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발음 교정 효과가 발생하지만,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한 발음 교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에 대응한 테스트 컨텐츠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발음 교정 효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nunciation correction effect occurs only by providing only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to the learner. However, in order to check the pronunciation correction effect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the te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is provided so that the learner can pronounce the pronunci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visually confirm the correction effect.
하기의 <표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정 발음단위 별 발음 기준 컨텐츠의 예시와 이에 대응되는 테스트 컨텐츠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The following <Table 2> schematically represents examples of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s for each specific pronunciation unit and examples of test contents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테스트 컨텐츠는 한국어 단어와 발음 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음 표시는 일본어 발음 표시이며 상기 발음 학습 컨텐츠를 통해 학습된 특정 발음 단위에 대응되는 한국어 발음표시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The test content may include a Korean word and a pronunciation display, and the pronunciation display is a Japanese pronunciation display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Korean pronunciation display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ronunciation unit learned through the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학습 프로세서 모듈(220)은 하나의 발음 기준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발음을 유도한 후, 이에 대응되는 테스트 컨텐츠를 이어서 제공하여 학습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의 발음 교정 효과를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the learning
따라서, 상기 테스트 컨텐츠는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한 학습을 수행한 후 테스트 차원에서 제공될 수도 있지만, 도 3과 같이 하나의 발음 기준 컨텐츠가 제공된 후 테스트 컨텐츠가 바로 제공됨으로써 자신의 발음 교정 효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발음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test content may be provided in a test dimension after learning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but as shown in FIG. 3 , the test content is provided immediately after on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is provided, so that the pronunciation correction effect can be realized in real time. can be confirmed, so the effect of improving pronunciation can be maximized.
여기서, 상기 학습 프로세서 모듈(220)은 학습자에게 표준 발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학습자의 발음을 입력받아 학습자의 발음과 표준 발음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라 발음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발음평가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learning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학습 컨텐츠 관리 수단 20 : 학습 컨텐츠 제공 수단10: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ans 20: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ans
Claims (12)
상기 발음 학습 컨텐츠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특정 발음군의 개별 발음을 구분하여 발음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발음 교정 효과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 수단을 포함하되;
학습 컨텐츠 제공 수단은
한국어 발음 중 발음이 어려운 특정 발음단위에 포함된 개별 발음을 정확히 구분해서 발음할 수 있도록 일본어 발음 규칙에 매핑시켜 개별 발음 별로 생성된 발음 기준 컨텐츠를 포함하는 발음 학습 컨텐츠를 통해 학습자에게 발음을 습득시키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발음 학습 컨텐츠는
일본인들이 어려워하는 특정 한국어 발음단위(이하, "특정 발음단위" 이라 함)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발음군에 포함된 개별 발음 별로 발음이 가능한 일본어 발음 규칙을 매핑시켜 생성된 발음 기준 컨텐츠와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한 발음의 습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학습 시스템.
A UI module responsible for an interface that provides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to learners, and extracting and providing the learner's learning content requested from the UI module, and automatically providing the learning content, the learner's previous learning information and level or progress When a learner's response is needed to extract and provid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ronunciation correction level analysis, a learning processor module that analyzes the learner's pronunciation status from the learner's response information and a learner management module that stores and manages the learner's learning results a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ans for storing and managing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generated by mapping individual pronunciations of a specific pronunciation group in which pronunciation is difficult due to the structure of Japanese among Korean pronunciations, including, to individual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capable of being pronounced;
a learning content providing means providing a pronunciation correction effect by providing the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er to classify individual pronunciations of the specific pronunciation group and inducing them to be pronounced;
The means of providing learning content
It maps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so that individual pronunciations included in specific pronunciation units that are difficult to pronounce among Korean pronunciations can be accurately distinguished and pronounced, so that learners can learn pronunciation through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s including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s created for each pronunciation. to guide you;
The pronunciation learning content is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and the pronunciation generated by extracting a specific Korean pronunciation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cific pronunciation unit”) that Japanese people find difficult, and mapping Japanese pronunciation rules that can be pronounced for each pronunciation included in the specific pronunciation group A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comprising test contents for confirming the degree of acquisition of pronunciation through reference contents.
상기 학습 프로세서 모듈은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한 발음 학습을 제공한 후,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를 통한 발음 교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에 대응한 테스트 컨텐츠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발음 교정 효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학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rning processor module
After providing pronunciation learning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in order to check the pronunciation correction effect through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tes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reference content is provided so that the learner can check the pronunciation correction effect in real time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상기 특정 발음단위는 일본어의 발음 구조 상 발음 구분이 어렵거나 발음 자체가 어려운 발음들로 구성된 것으로서 한국 받침 발음, 한국 된소리 발음, 한국 자음 발음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학습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1 or 5,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a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pronunciation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or pronunciation itself is difficult due to the pronunciation structure of Japanese, and consists of any one selected from among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and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상기 특정 발음단위가 한국 받침 발음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
모두 동일하게 일본어 “ん”로 발음되어 발음 구분이 어려운 한국 받침 발음 “ㅇ, ㄴ, ㅁ”이 하나의 특정 발음단위가 되어 개별 발음으로 추출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상기 개별 발음 “ㅇ”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1(ん 뒤에 ㄱ,ㅋ,ㅇ,ㅎ, 그리고 뒤에 아무것도 오지 않을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발음 “ㄴ”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2(ん 뒤에 오는 글자의 자음이 'ㄴ,ㄷ,ㄸ,ㅅ,ㅆ,ㅈ,ㅉ,ㅊ,ㅌ' 일 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발음 “ㅁ”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3(ん 뒤에 'ㅁ,ㅂ,ㅍ' 즉 입이 다물어지는 자음이 올 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학습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selected from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s “ㅇ, ㄴ, ㅁ”, which are all pronounced equally in Japanese, which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pronunciations, become on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and are extracted as individual pronunciations;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 1 (when ㄴ is followed by ㄱ, ㅋ, ㅇ, heh, and nothing follows)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ㅇ”;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2 (when the consonant of the letter following ' is 'ㄴ, ㄴ, ㄸ, ㅅ, ㅆ, ㄱ, t, ch, t')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b”;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ㅁ”,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 3 (when a consonant with a closed mouth comes after ん)
상기 특정 발음단위가 한국 받침 발음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
모두 동일하게 일본어 “っ”로 발음되어 발음 구분이 어려운 한국 받침 발음 “ ㄱ,ㅅ,ㄷ,ㅂ,ㅎ”이 하나의 특정 발음단위가 되어 개별 발음으로 추출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상기 개별 발음 “ㄱ”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4(っ 뒤에 자음 ㄱ,ㅋ,이 올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발음 “ㄷ, ㅅ”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5(っ 뒤에 자음 ㄴ,ㄷ,ㅈ,ㅊ,ㅌ,ㅅ이 올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발음 “ㅂ”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6(っ 뒤에 자음 "ㅂ,ㅁ,ㅍ" 즉 입을 다무는 자음이 올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고;
상기 개별 발음 “ㅎ”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7(っ 뒤에 자음 ㅎ,ㅇ 즉 모음과 거의 동일한 자음이 올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학습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selected from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All of them are pronounced in the same way as Japanese “っ”, so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 ㄱ, ㅅ, ㄴ, ㅎ, ㅎ”, which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comes on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and is extracted as individual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 4 (when consonants ㄱ, ㅋ, come after っ)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a”;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5 (when consonants ㄴ, ㄴ, ㅎ, ㅎ, ㅅ, ㅅ follow)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s " , ㅅ";
For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b”, it is composed of words corresponding to Japanese pronunciation rule 6 (when a consonant “f, ㅁ, P” comes after っ, that is, a closed consonant);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ㅎ”, a word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7 (when a consonant ㅎ, ㅇ is followed by a consonant almost identical to a vowel) is formed.
상기 특정 발음단위가 한국 받침 발음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
일본에 발음과 표기가 없는 한국어 받침 발음 'ㄹ'이 개별 발음으로 추출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상기 개별 발음 “ㄱ”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 규칙8 (다음에 자음 "ㄹ"오는 2음절이 반복되는 발음의 첫소리를 강조하여 강하게 끌면서 발음하도록 유도)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학습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selected from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Th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ㄹ', which has no pronunciation and notation in Japan, is extracted as an individual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8 (inducing pronunciation while strongly dragging by emphasizing the first sound of repeated pronunciation of the two syllables following the consonant "ㄹ")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 "a"
상기 특정 발음단위가 한국 된소리 발음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
일본어 발음 표기가 없어서 발음이 어려운 된소리 발음인 "ㄲ, ㅆ, ㅃ, ㄸ"이 하나의 특정 발음단위가 되어 개별 발음으로 추출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개별 발음 "ㄲ, ㅆ, ㅃ, ㄸ"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규칙9 (“ㅅ,ㅂ,ㅌ,ㄷ,ㄱ,ㅋ”의 발음 앞에 [っ] 가 붙을 때)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학습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selected from pronun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unds
"ㄲ, ㅆ, ㅃ, ㄸ", which are difficult pronunciations because there is no Japanese pronunciation mark, become on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and are extracted as individual pronunciations;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pronunciation rule 9 (when [っ] is added before the pronunciation of “ㅅ,b,t,c,a,ㅋ”) 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ronunciations “ㄲ, ㅆ, ㅃ, ㄸ”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상기 특정 발음단위가 한국 자음 발음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
한국어 자음 발음 "ㅓ/ㅕ", "ㅗ/ㅛ"가 하나의 특정 발음단위가 되어 개별 발음이 추출되고;
상기 발음 기준 컨텐츠는
개별 발음 "ㅓ/ㅕ", "ㅗ/ㅛ"에 대하여 일본어 발음규칙 10 (お로 끝날때는 "ㅓ"로 발음하고, よ로 끝날 때는 "ㅕ"로 발음, "お" 앞에 모음 "ㅏ" 가 왔을 때 'ㅗ"로 발음되는 단어와 "ㅛ"로 발음되는 단어가 구분됨을 토대로 "ㅗ,ㅛ" 발음 인식)에 대응되는 단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학습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is selected from among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s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s "ㅓ/ㅕ" and "ㅗ/ㅛ" become one specific pronunciation unit and individual pronunciations are extracted;
The pronunciation standard content is
Japanese pronunciation rule 10 for individual pronunciations “ㅓ/ㅕ” and “ㅗ/ㅛ” (pronounced as “ㅓ” when ending in お, “ㅕ” when ending in よ, and vowel “a” before “o”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words corresponding to the pronunciation of "ㅗ,ㅛ")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word pronounced as 'ㅗ' and the word pronounced as "ㅛ" when coming.
상기 테스트 컨텐츠는
일본어 발음 구조상 발음 구분이 어렵거나 발음 자체가 없어서 발음이 어려운 특정 발음단위에 포함되는 개별 발음별 발음 기준 컨텐츠에 대응되어 종래에 발음 구분이 어렵거나 발음이 없어서 발음 자체가 어려운 발음을 포함하는 단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학습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1 or 5,
The test content is
It is a word that contains a pronunciation that is difficult to pronounce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pronunciation or has no pronunciation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content of the pronunciation standard for each pronunciation included in a specific pronunciation unit that is difficult to pronounc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Japanese pronunciation.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1538855A JP2022529762A (en) | 2019-04-26 | 2020-04-27 | Learning system for improving pronunciation |
PCT/KR2020/005533 WO2020218906A1 (en) | 2019-04-26 | 2020-04-27 | Learning system for improving pronunci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42952 | 2019-04-12 | ||
KR1020190042952 | 2019-04-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0445A KR20200120445A (en) | 2020-10-21 |
KR102273525B1 true KR102273525B1 (en) | 2021-07-06 |
Family
ID=730345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9089A KR102273526B1 (en) | 2019-04-12 | 2019-04-26 | English Learning System |
KR1020190049084A KR102273525B1 (en) | 2019-04-12 | 2019-04-26 |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9089A KR102273526B1 (en) | 2019-04-12 | 2019-04-26 | English Learn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27352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18906A1 (en) * | 2019-04-26 | 2020-10-29 | 이가혜 | Learning system for improving pronunciatio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308194A (en) * | 1989-05-23 | 1990-12-21 | Fujitsu Ltd | Foreign language learning device |
KR0175249B1 (en) * | 1992-01-09 | 1999-04-01 | 정용문 | How to process pronunciation of Korean sentences for speech synthesis |
KR100438347B1 (en) * | 2000-12-11 | 2004-07-02 | 김부식 |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language study |
KR20170092968A (en) * | 2016-02-04 | 2017-08-14 | 이명숙 | Teaching material for learning korean |
KR102100811B1 (en) * | 2016-03-23 | 2020-04-14 | 장승익 | Record mediumM marking for Hangul stage of Japanese pronunciation expression |
-
2019
- 2019-04-26 KR KR1020190049089A patent/KR10227352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04-26 KR KR1020190049084A patent/KR102273525B1/en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2-308194호(1990.12.21. 공개)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3526B1 (en) | 2021-07-07 |
KR20200120446A (en) | 2020-10-21 |
KR20200120445A (en) | 2020-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63841B2 (en) | Speech training method with alternative proper pronunciation database | |
CN104992705B (en) | Automatic English spoken language scoring method and system | |
US11410642B2 (en) | Method and system using phoneme embedding | |
KR2014007107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using phonetic symbol | |
Patil et al. | Detection of phonemic aspiration for spoken Hindi pronunciation evaluation | |
Hayes-Harb et al. | THE INFLUENCE OF WRITTEN STRESS MARKS ON NATIVE ENGLISH SPEAKERS'ACQUISITION OF RUSSIAN LEXICAL STRESS CONTRASTS | |
KR102273525B1 (en) |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 |
Bloem et al. | Automatically identifying characteristic features of non-native English accents | |
JP2001249679A (en) | Foreign language self-study system | |
JP2022529762A (en) | Learning system for improving pronunciation | |
Muliati et al. | Problems on Pronunciation of Fricative Cononants Faced by the Tenth Grade Students of MAN 2 Kutai Kartanegara | |
Przedlacka et al. | Comparing the received pronunciation of JR Firth and Daniel Jones: A sociophonetic perspective | |
Rositzke | The articulation of final stops in General American speech | |
CN112951208B (en) | Method and device for speech recognition | |
Ball et al. | The use of the terms phonetics and phonology in the description of disordered speech | |
KR101487006B1 (en) | Learning method and learning apparatus of correction of pronunciation for pronenciaion using linking | |
Bekker | The weak vowels of South African English: A critical review and comparative acoustic analysis | |
TW308666B (en) | Intelligent Chinese voic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Burgos et al. | Dutch vowel production by Spanish learners: Duration and spectral features | |
Ling et al. | A research on guangzhou dialect's negative transfer on british english pronunciation by speech analyzer software Praat and ear recognition method | |
Sokhey | The women (and men) who speak Funnyi: negotiating social meanings through palatalization of the Cairene nasal | |
Bates et al. | Phonetic and Phonological Systems Analysis (PPSA) | |
Guskaroska | The Potential of ASR for Facilitating Vowel Pronunciation Practice for Macedonian Learners | |
Avcu et al. | Neural Tracking of Implicit vs Explicit Phonotactic Learning | |
Fringi | The effects of child language development on the performance of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