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424B1 - A charnel tomb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 Google Patents
A charnel tomb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3424B1 KR102273424B1 KR1020200036858A KR20200036858A KR102273424B1 KR 102273424 B1 KR102273424 B1 KR 102273424B1 KR 1020200036858 A KR1020200036858 A KR 1020200036858A KR 20200036858 A KR20200036858 A KR 20200036858A KR 102273424 B1 KR102273424 B1 KR 1022734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storage stability
- charnel
- base
- tom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외에 위치하는 봉안묘에 우수에 의한 침식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자연재해에 의한 내부의 봉안함 파손을 방지하는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al cat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erosion caused by rainwater in an enshrine cat located outdoors,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internal burial box due to natural disasters. It's about the tomb.
묘(墓)를 형성하여 사자(死者)를 기리는 것은 선사시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인간의 본능적 행동이다.Forming tombs to commemorate the dead is an instinctive human behavior that has been continued since prehistoric times.
과거에는 이러한 묘를 매장에 의하여 조성하였는 바, 장례(葬禮)가 모두 이루어지고 난 후에 시신을 그대로 관(棺)에 안치하여 땅에 묻고 봉분(封墳)을 형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져 왔다.In the past, such tombs were created by burial, and after all funerals were completed, the body was placed in a coffin and buried in the ground to form a tomb.
그러나, 인구의 폭발적 증가와 그에 따른 묘지의 부족에 따라 이러한 봉분을 형성하는 장례문화는 더이상 지속하기 어려워져, 최근에는 대부분 화장(火葬)을 통해 얻어진 골분(骨粉)을 봉안함(奉安函)에 안치하거나 매장하고 있다.However, due to the explosive growth of the population and the accompanying shortage of cemeteries, it is difficult to sustain the funeral culture that forms such tombs, and in recent years, most of the bones obtained through cremation are enshrined in burial. buried or buried.
최근에는, 가족 구성원의 묘를 한 곳에 집단적으로 형성하여 제사지내는 유교적 관습을 유지하여, 야외에 묘지와 같은 환경을 조성하여 다수의 봉안함을 한 곳에 안치하는 봉안묘(奉安墓)가 많이 조성되고 있다.Recently, the Confucian custom of collectively forming the tombs of family members in one place has been maintained, and many burial graves have been created in which a large number of enshrines are enshrined in one place by creating an outdoor cemetery-like environment. is becoming
그러나, 대부분의 봉안묘는 석재를 이용하여 야외에 설치되어 우수(雨水)에 의한 침식에 취약한 면이 있고, 이에 따라 벽체에 음각 형성된 문자를 알아보기 힘들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burial tombs are installed outdoors using stone materials, they are vulnerable to erosion by rainwater.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such as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characters engraved on the wall.
또한, 최근에는 지진이나 불측의 외력에 의해 내부의 봉안함이 전도되거나 충돌하여 파손되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였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re have also been problems such as the inner enclosure is overturned or collided and damaged due to an earthquake or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우수에 의한 침식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외관상 주요한 인식부에 대한 침식속도를 최대한 감소시키고, 외부의 충격에도 내부의 봉안함이 보호될 수 있는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erosion by rainwater or reduce the erosion rate for the main recognition part in appearanc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inner enclosure can be protected even from external imp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rial cat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는 복수개의 봉안함이 보관되는 봉안묘에 있어서, 최하단에 구비되되 중공형 직육면체인 기단; 상기 기단의 상부에 동심 구비되고, 상기 기단보다 상대적으로 밑넓이가 작되 정면측 모서리가 내측 절입된 직육면체인 퇴물림; 상기 퇴물림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기단과 동일한 밑넓이를 가지는 중공형 직육면체인 벽체; 상기 벽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를 밀폐하는 상판; 및 상기 벽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복수개의 상기 봉안함을 각각 수평지지하도록 형성된 보관구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seal cat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in which a plurality of seal boxes are stored, the base end being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Toemulrim, which is provided concentric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and has a relatively smaller base than the base, and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 front edge cut inside; Doedo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emulrim,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wall having the same base area as the base; an upper plate provided on the wall to seal the wall; And it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w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torage device formed to horizontally support each of the plurality of said encapsulation boxes.
또한, 상기 보관구는 구획 공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프로파일로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rofile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compartment space.
또한, 상기 보관구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storage device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luminum or stainless steel.
또한, 상기 벽체는 측면 및 후면에 복수개의 수직홈이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ll is technicall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ertical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and back.
또한, 상기 상판은 지붕형태이되, 용마루가 후면측으로 편향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is a roof shape,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 ridge is formed to be deflected to the rear side.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봉안함 내부는 구획이 될 수 있어, 복수개의 봉안함이 상호 충돌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력이나 지진에 의한 흔들림에도 충돌에 의해 파손이 되지 않는다.The inside of the enclosure can be divided, so that a plurality of enclosures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so that even when shaking due to external force or earthquake, it is not damaged by collision.
또한, 복수개의 봉안함을 구획할 뿐 아니라 수평지지하고 있어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전도가 되지 않고 견고하게 보관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encapsulation boxes are partitioned and supported horizontally, they can be securely stored without being conducted even by shaking or impact.
특히, 봉안함은 일반적으로 도기(陶器)로 이루어지거나 목재로 이루어져 있어 충돌이나 전도에 매우 약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봉안함의 안정적인 보관은 큰 효과일 수 있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enclosure is generally made of pottery or wood and is very weak against collision or overturning, stable storage of the enclosure can be a great effect.
봉안묘의 외부는 상판을 지붕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우수가 고이지 않아 침식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 우수에 의해 낙엽이나 먼지가 침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봉안묘의 외관 유지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terior of the burial mound is constructed in a roof shape, so rainwater does not accumulate,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erosion, and preventing the deposition of fallen leaves or dust by rainwater,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aintain the appearance of the burial mausoleum.
특히, 지붕형 상판은 용마루를 후면측으로 편향 형성함으로써 우수의 낙하를 측면과 후면으로 집중이 되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정면측으로는 우수의 낙하가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면의 침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oof-type top plate deflects the ridge toward the rear so that the fall of rainwater is concentrated to the side and rear, and the fall of the rainwater is made quickly, but the erosion of the front can be minimized by slowing the fall of the rainwater to the front.
특히, 정면은 봉안묘에서 가장 크게 인식되는 부분으로서 우수에 의한 침식이나 오염이 최소화되어 봉안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ront face is the most recognized part of the burial mound, and erosion or contamination by rainwater is minimized, making it easier to manage the burial mound.
또한, 용마루가 후면측에 편향 배치됨으로써, 정면에서 보았을 때 봉안묘의 높이가 낮아보이면서 후측면에 중심이 형성된 듯 안정적인 심미감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idge is biased toward the rear side, it is possible to form a stable aesthetic feeling as if the center is formed on the rear side while the height of the bonanmyo appears low when viewed from the front.
측면과 후면에는 우수의 고임이 일어나지 않고, 봉안묘 하부로 신속하게 낙하되어 상판 하부를 통해 우수의 침투 가능성을 감소시켜, 봉안함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Rainwater does not accumulate on the side and rear surfaces, but falls rapidly to the lower part of the encapsulation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rainwater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thereby minimizing the impact on the encapsulation.
상술한 효과들은 결국 봉안함이나 봉안묘의 수리 및 보수를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그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의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ffects can ultimately delay the repair and maintenance of the enshrined box or the enshrined tomb, and ultimatel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nsumption of costs and ti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단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퇴물림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구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atfish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embodied cat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n embodied cat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eemulri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op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nshrine cat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단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퇴물림의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전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전체 구성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구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d cat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rod cat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of a burial cat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op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100), 퇴물림(200), 벽체(300), 상판(400) 및 보관구(50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 the burial cat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먼저, 상기 기단(100)을 살펴본다.First, look at the
기단(100)은 봉안묘의 최하단에 구비되어 봉안묘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바람직하게는, 기단(100)은 지열, 냉기 또는 습기가 지면으로부터 후술할 벽체(300) 내부의 봉안함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된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중공형 직육면체형을 구성하기 위하여 4개의 직육면체 석재를 기단(100)의 4면에 배치하여 형성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석재간의 이음부가 정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정면과 후면의 석재가 측면의 석재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조합될 수 있다.In order to configure the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size can be adjusted by arranging fou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ones on the four sides of the
다음으로, 상기 퇴물림(200)을 살펴본다.Next, look at the
퇴물림(200)은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올라가면서 조금씩 들여쌓기를 해 전체적으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 상술한 기단(100)의 중심에 중공부를 폐쇄하여 후술할 벽체(300) 내부에 안치되는 봉안함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oemulrim 200 refers to a method of maintaining structural stability as a whole by indenting little by little while ascend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it is placed inside the
퇴물림(200)은 기단(100)과 중심이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기단(100)의 상부에 구비되는데, 기단(100)보다 상대적으로 밑넓이가 작은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정면에 위치하는 퇴물림(200)의 모서리는 내측으로 절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퇴물림(200)의 정면에 위치한 모서리 끝단 일부가 사각 모따기 형으로 내측으로 절입된 형태일 수 있다.The edge of the
이러한 형태로 인하여, 후술할 벽체(300)에 형성된 수직홈(350)에 의해 낙하된 우수가 퇴물림(200)에서 정면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정면부의 침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Due to this shape, rainwater falling by the
다음으로, 상기 벽체(300)를 살펴본다.Next, look at the
벽체(300)는 내부에 봉안함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퇴물림(200)의 상부에 형성된 중공형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중공형 내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술한 기단(100)과 동일한 형태로 4개의 직육면체를 4면에 배치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기단(100)의 밑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order to form a hollow interior, it may be formed in the same form as the
퇴물림(200)은 기단(100)의 밑넓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나, 퇴물림(200) 위에 형성되는 벽체(300)는 기단(100)의 밑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게 되므로, 벽체(300)는 내측이 퇴물림(200) 위에 걸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moemulrim 200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base width of the
벽체(300)는 구성상의 특징상 내측부(310)와 외측부(330)로 구분될 수 있으며, 내측부(310)와 외측부(330)는 상호 접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벽체(300)의 구성시 내측부(310)는 봉안묘의 내면을 형성하고 외측부(330)는 봉안묘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두께보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큰 구조적 특징에도 불구하고, 외부 노출면이 많아 외력으로부터 내부 봉안함을 보호하기 위하여, 벽체(300)는 강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도록 내측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In spite of the structural feature that the heigh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thickness, the
추가적으로는, 내측부(310)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이나 습기로부터 내부의 봉안함을 보호할 수 있도록 단열성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내측부(310)는 정면 내측부(311)와 후면 내측부(313)는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벽체(300) 형성시 측면 내측부(315) 사이에 정면 내측부(311)와 후면 내측부(313)가 내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외측부(330)는 봉안묘의 외관에 나타나는 부분으로서 심미감의 형성을 위하여 색상이나 무늬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측면 외측부(335)와 후면 외측부(333)는 정면 외측부(331)와 구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측면 외측부(335)와 후면 외측부(333)에는 복수개의 수직홈(350)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복수개의 수직홈(350)은 외측부(330)의 최상단면으로부터 최하단면까지 형성되어 있어, 외측부(330) 최상단면에 위치한 우수가 수직홈(350)을 통하여 최하단면으로 빠르게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정면 외측부(331)는 상술한 정면 내측부(311)와 달리 후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정면에서 보았을 때 봉안묘의 부피가 커보이는 심미감을 형성하고, 각인을 위한 공간도 충분하게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The front
이러한 형태로 인하여, 내측부(310)의 전체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 내측부(315) 사이에 정면 내측부(311)와 후면 내측부(313)가 내접한 형태이나, 외측부(330)의 전체 구성은 후면 외측부(333)는 측면 외측부(335) 사이에 내접하지만 정면 외측부(331)는 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Due to this shap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외측부(330)와 내측부(310)는 접합된 형태임을 고려하여 설명하자면, 후면의 벽체(300)는 후면 외측부(333)와 후면 내측부(313)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측면의 벽체(300)는 측면 내측부(315)가 측면 외측부(335)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이되 정면측으로 편향 형성될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정면의 벽체(300)는 정면 내측부(311)가 정면 외측부(33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로 구성되되 동심(同心)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형태적 특징으로 배치하면, 후면의 벽체(300)는 측면의 벽체(300) 사이에 내접하도록 형성하고, 정면의 벽체(300)는 내측부(310)는 측면의 벽체(300) 사이에 내접하되 외측부(330)는 측면의 벽체(300)에 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When arranged with such a morphological feature, the
벽체(300)의 내부면 상부 끝단은 내측으로 절입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보관구(500)의 수평대(510)가 안착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By allowing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다음으로, 상기 상판(400)을 살펴본다.Next, look at the
상판(400)은 상기 벽체(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벽체(300)를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일반적으로 봉안묘에 봉안함을 안치하는 방법은, 상판(400)을 제거하여 봉안묘의 내부 공간이 노출되도록 한 후, 봉안함을 안치하고 상판(400)을 다시 설치하여 밀폐하게 된다.In general, in the method of placing the engraftment box in the burial chamber, the
상판(400)은 벽체(300)를 밀폐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여 직육면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지붕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상세하게는, 중앙에 용마루(410)가 형성되는 지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용마루(410)의 방향은 양측이 측면에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용마루(410)가 형성되는 지붕형태로는,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또는 팔작지붕 등이 있으며, 네 면에 모두 지붕면이 있고 용마루(410)와 추녀마루(430)가 형성된 우진각 지붕 형태가 바람직할 수 있다.As a roof type in which the
용마루(410)는 상판(400)의 중심이 아닌 후면측으로 편향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추녀마루(430)가 정면부보다 후면부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상판(400)을 용마루(410)를 기준으로 구분하면, 정면측은 면적이 넓고 완만하게 형성되고, 후면측은 면적이 좁고 급격하게 형성되며, 측면측은 정면측과 후면측의 면적과 기울기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상판(400)의 정면 끝단은 정면 외측부(331)와 동일한 수직면에 형성되고, 측면 끝단은 측면 외측부(335)보다 내측으로 함입되며, 후면 끝단은 후면 외측부(333)보다 내측으로 함입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이러한 형태로 인하여, 상판(400)에 위치한 우수는 상판(400)의 측면과 후면으로 신속하게 낙하되며, 벽체(300)의 측면 외측부(335)와 후면 외측부(333)에 형성된 수직홈(350)을 따라 봉안묘의 하부로 낙하될 수 있다.Due to this shape, the rainwater located on the
바람직하게는, 상판(400)의 측면 폭은 정면 외측부(33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정면에서 보았을 때 일체화된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ide width of the
마지막으로, 상기 보관구(500)를 살펴본다.Finally, look at the
보관구(500)는 상기 벽체(30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 공간에 구비됨으로써 내부에 안치된 봉안함의 보관 공간이 구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일반적으로 봉안묘 내부의 봉안함은 그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구획이 설정되지 않은 채로 보관되고 있다.In general, since the burial boxes inside the burial chambers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they are kept without a separate division.
보관구(500)는 벽체(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봉안함이 안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고, 추가적으로는 봉안함을 수평지지하여 봉안함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보관구(500)는 수평대(510), 수직대(530) 및 구획대(550)로 구분될 수 있다.The
수평대(510)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벽체(300)의 내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보관구(500)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벽체(300)의 내부면 상부 끝단이 내측으로 절입된 경우에는, 수평대(510)는 벽체의 내부면 상부 끝단에 안착되어서 수평지지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When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수직대(530)는 상기 수평대(510)에 수직하게 설치되거나, 후술할 구획대(550)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바닥면인 퇴물림(200)으로부터 보관구(500)가 상부로 이격되도록 하는 역할 및 수평대(5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수직대(530)의 구비 및 높이를 조절하여, 보관구(500)는 봉안함의 중앙 혹은 상부를 지지할 수 있어 봉안함의 수평지지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provision and height of the
구획대(550)는 상기 수평대(510)와 동일하게 수평하게 설치되되, 수평대(510)의 내부에 내접하도록 복수개 설치되어, 보관구(500)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artition table 550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same manner as the
구획대(550)는 공히 수평하게 설치되되 상호 수직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공간의 구획을 더욱 세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partition table 550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each other, so that the partition of the space can be formed more precisely.
수평대(510)와 수직대(530) 및 구획대(550)는 그 조립과 구획 공간의 조절의 용이함을 위하여 프로파일(profile)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재질은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내부식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The
프로파일은 공간구조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용접하지 않고 조인트의 사용을 통해 조립할 수 있는 시스템 구조재인 규격화된 압출 부재를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ofile facilitates the formation of a spatial structure, and may collectively refer to a standardized extruded member that is a system structural material that can be assembled through the use of a joint without welding.
봉안함을 보관구(500)에 보관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정면과 후면의 공간을 구획하는 제1구획대(551)에 의해 구획 형성된 공간에 봉안함을 안치하고, 수평하되 제1구획대(551)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2구획대(553)를 조절하여 봉안함의 외면에 접하도록 하여 고정함으로써, 봉안함은 봉안묘 내부에서 견고하게 수평지지될 수 있다.Looking at the method of storing the encapsulation box in the
구획대(550)는 그 수를 다양하게 구비함으로써 구획을 세밀하게 구성하거나, 구획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By having the number of
추가적으로는, 봉안함은 열경화성 플라스틱(Thermosetting plastic)으로 형성되어 성형이 용이하면서도 열이나 충격과 같은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며, 항균(抗菌)기능을 가지는 첨가물이 부가됨으로써 세균에 대한 저항성도 높여 내구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encapsulation box is made of thermosetting plastic, so it is easy to mold and increases resistance to external forces such as heat or shock, and by adding an additive having an antibacterial function, it also increases resistance to bacteria and improves durability. improvement can be obtained.
즉, 봉안묘에 의해 외력이나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봉안함을 보호함과 동시에, 봉안함 자체적으로도 외력과 세균으로부터 내부의 분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at is, the encapsulation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forces or the external environment by the enshrined cat, and at the same time, the enclosing box itself can serve to protect the internal bone from external forces and bacteria.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ied other embodiments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ove embodiments but also other embodiments variously modifi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0: 기단
200: 퇴물림
300: 벽체
310: 내측부
311: 정면 내측부
313: 후면 내측부
315: 측면 내측부
330: 외측부
331: 정면 외측부
333: 후면 외측부
335: 측면 외측부
350: 수직홈
400: 상판
410: 용마루
430: 추녀마루
500: 보관구
510: 수평대
530: 수직대
550: 구획대
551: 제1구획대
553: 제2구획대100: base
200: regression
300: wall
310: inner part
311: front inner part
313: rear inner part
315: side inner part
330: outer part
331: front outer part
333: rear outer part
335: side outer part
350: vertical groove
400: top plate
410: ridge
430: ugly floor
500: storage
510: level
530: vertical bar
550: compartment
551: Division 1
553: Segment 2
Claims (5)
최하단에 구비되되 중공형 직육면체인 기단;
상기 기단의 상부에 동심 구비되고, 상기 기단보다 상대적으로 밑넓이가 작되 정면측 모서리가 내측 절입된 직육면체인 퇴물림;
상기 퇴물림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기단과 동일한 밑넓이를 가지는 중공형 직육면체인 벽체;
상기 벽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를 밀폐하는 상판; 및
상기 벽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복수개의 상기 봉안함을 각각 수평지지하도록 형성된 보관구로 이루어진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In the bonanmyo in which a plurality of burial boxes are stored
The base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is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Toemulrim, which is provided concentric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has a relatively smaller base than the base, and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 front edge cut inside;
Doedo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emulrim,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wall having the same base area as the base end;
an upper plate provided on the wall to seal the wall; and
Doedo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wall, the storage stability is improved comprising a storage tool formed to support each of the plurality of the sealing box horizontally.
상기 보관구는 구획 공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프로파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device is an improved storage st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rofile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compartment space.
상기 보관구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terial of the storage tool is improved storage st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luminum or stainless.
상기 벽체는 측면 및 후면에 복수개의 수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has improved storage st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ertical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and back.
상기 상판은 지붕형태이되, 용마루가 후면측으로 편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안정성이 향상된 봉안묘.5.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or 4,
The top plate is in the form of a roof, and the storage stability is improved, characterized in that the ridge is deflected to the rear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6858A KR102273424B1 (en) | 2020-03-26 | 2020-03-26 | A charnel tomb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6858A KR102273424B1 (en) | 2020-03-26 | 2020-03-26 | A charnel tomb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3424B1 true KR102273424B1 (en) | 2021-07-06 |
KR102273424B9 KR102273424B9 (en) | 2022-03-11 |
Family
ID=7686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6858A KR102273424B1 (en) | 2020-03-26 | 2020-03-26 | A charnel tomb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342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9554Y1 (en) * | 2003-07-25 | 2003-10-10 | 노인달 | Apparatus for Keeping a Cinerary Urn |
KR100751419B1 (en) | 2006-06-12 | 2007-08-23 | 송웅재 | Enshrined tomb for person's ashes to rest |
KR101727663B1 (en) | 2016-09-21 | 2017-04-17 | 이수희 | charnel house with a ventilation structure |
-
2020
- 2020-03-26 KR KR1020200036858A patent/KR10227342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9554Y1 (en) * | 2003-07-25 | 2003-10-10 | 노인달 | Apparatus for Keeping a Cinerary Urn |
KR100751419B1 (en) | 2006-06-12 | 2007-08-23 | 송웅재 | Enshrined tomb for person's ashes to rest |
KR101727663B1 (en) | 2016-09-21 | 2017-04-17 | 이수희 | charnel house with a ventilation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3424B9 (en) | 2022-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199376A1 (en) | Modular Columbarium System | |
US6295705B1 (en) | Burial urn for cremated remains | |
US4463527A (en) | Grave marker for memorial | |
KR102273424B1 (en) | A charnel tomb with improved storage stability | |
US5692344A (en) | Columbarium | |
US11285067B2 (en) | Cremation storage device and system, methods of forming cremation storage device and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on of cremation storage device and system | |
WO2022198280A1 (en) | Above-ground ash interment system | |
CN208650636U (en) | The granite slab coffin chamber of bottomless button | |
JP2001173272A (en) | Simple gravestone | |
KR100381112B1 (en) | Structure of a charnel house made use of steel & PC concrete | |
KR200179369Y1 (en) | Building structure for charnel house | |
JP3222057U (en) | Shelf grave | |
JP3154472U (en) | Cemetery structure | |
JP3215973U (en) | Tomb with waterproof structure | |
JP3196387U (en) | Ossuary box and ossuary altar capable of storing the ossuary box | |
KR200238544Y1 (en) | the structure of a grave by laying ashes to rest | |
KR200186885Y1 (en) | A pile type stone charnel box enshrining altar | |
KR100342182B1 (en) | structure for charnel box | |
GB2313587A (en) | Interment memorial | |
JP2004024403A (en) | Buddhist altar objects | |
KR200281240Y1 (en) | A case for ashes box | |
KR20060049730A (en) | Grave structure | |
KR200224083Y1 (en) | Cremation and burial family cemetery_ | |
AU715396B2 (en) | Above ground interment memorial | |
KR200345492Y1 (en) | A chest for laying funeral ur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