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411B1 -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 - Google Patents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411B1
KR102273411B1 KR1020157032676A KR20157032676A KR102273411B1 KR 102273411 B1 KR102273411 B1 KR 102273411B1 KR 1020157032676 A KR1020157032676 A KR 1020157032676A KR 20157032676 A KR20157032676 A KR 20157032676A KR 102273411 B1 KR102273411 B1 KR 10227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keyboard
force generating
keys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032A (ko
Inventor
홍 지 탄
자오유안 마
첸 자오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1702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7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 H01H13/8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characterised by tactile feedback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7/00Electrostrictive relays; Piezoelectric re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7/00Electrostrictive relays; Piezoelectric relays
    • H01H2057/006Micromechanical piezoelectric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5Tactile feedback electromechanical
    • H01H2215/052Tactile feedback electromechanical piezo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키보드의 물리적인 비작동식 키에 한정되는 시뮬레이트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기법 및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키보드는 키보드의 커버부 내에 규정된 복수의 비작동식 키와, 커버부 아래에 인접한 기판에 결합된 복수의 힘 생성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힘 생성 메커니즘은 복수의 비작동식 키의 레이아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기판 상에 기계적으로 격리되어 배열되는 기판의 부유 부분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힘 생성 메커니즘은 특정 키에 한정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촉감을 생성하기 위해 커버부 아래의 기판의 부유 부분을 휘도록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힘 생성 메커니즘은 압전 액츄에이터이다.

Description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LOCALIZED KEY-CLICK FEEDBACK}
키보드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하고 인기있는 입력 메커니즘이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 및 제스처 인식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사람에 의한 입력 기법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키보드는 여전히 컴퓨팅 장치에 대해 사람이 입력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남아 있다. 중간 내지 빠른 속도(즉, 대략 분당 50 단어 이상)로 타이핑할 수 있는 대부분의 숙달된 타이피스트는 타이피스트에게 키가 눌러졌음을 나타내는 햅틱 피드백(즉, 터치 또는 촉각 피드백)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기계적으로 이동가능한 키를 구비한 키보드(본 명세서에서는 "기계식 키보드"라 함)는 일반적으로 키보드의 스프링 작동형(spring-loaded) 이동가능 키를 동작시키는 사용자에게 몇몇 형태의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이 요구를 만족시켜왔다. 예를 들어, 통상의 기계식 키보드에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사용된 인기있는 한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키를 조작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의 충분한 압력 하에서 좌굴되는(buckle) 각 키 아래에서의 "버클링 스프링(buckling spring)" 메커니즘이다. 스프링의 좌굴은 키가 작동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자에게 촉감(tactile sensation)을 제공하는 딸깍 소리를 내는 액션(snapping action)을 일으킨다.
컴퓨터 기술의 진보로 컴퓨팅 장치는 더욱 작아져서 휴대가능하게 되었으므로, 기존의 기계식 키보드는, 특히 비교적 작은 폼팩터(form factor)를 갖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는, 덜 일반적이 되고 있다. 이것은 기계식 키보드에 사용된 기술이 키보드의 최대 두께에 대한 설계상의 제한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장치의 휴대성과 관련하여 제조업체는 기계적으로 이동가능한 키를 이용하지 않는 다른 키보드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해왔다. 그 결과, 이른바 "비작동식(non-actuating)" 키를 갖는 이들 키보드는 심지어 가장 얇은 기계식 키드보다도 더 얇게(3 밀리미터 이하의 두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지 키보드는 기계적으로 이동가능한 키 또는 부분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압력 감지 키보드의 두께에 대한 주요 제약사항은 구조 및 감지 기능을 제공하는 키보드의 컴포넌트 층에 사용되는 재료이다. 이들 대안적인 키보드 기술은 보다 휴대가능한 컴퓨팅 장치 및 키보드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비작동식 키(즉, 일반적으로 기계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키)를 갖는 보다 얇은 키보드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런 키보드를 사용하는 타이피스트는 자신의 손가락이 키의 표면에 있음을 느낄 뿐 어떠한 키의 움직임도 느낄 수 없다. 햅틱 피드백 없이는, 숙련된 타이피스트들도 키스트로크가 기록되었는지(registered) 여부에 대해 확신할 수 없게 되고, 손가락 배치를 확인함으로써 시각적 피드백을 받을 수 밖에 없는데, 이는 타이핑 속도를 떨어뜨린다. 통상의 기계식 키보드의 느낌을 되찾기 위한 노력으로 일부 형태의 시뮬레이트된 피드백이 개발되었지만, 현재의 기술은 일반적으로 "전체적인(global)" 촉각 피드백(즉, 전체 키보드 또는 장치의 진동)을 제공하는데, 이는 터치 기반 타이피스트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물리적 키보드의 개별 비작동식 키에 국한되는(local) 시뮬레이트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및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햅틱 피드백은 키를 누르는데 사용된 손가락이 촉감을 느끼도록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개별 키에 대한 시뮬레이트된 "키 클릭(key-click)" 형태일 수 있다. 피드백은 실제 키를 누른 결과가 아니라(즉, 키가 기계적으로 이동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시뮬레이트"된다. 대신에, 햅틱 피드백은 사용자가 기계적으로 이동가능한 키를 작동시켰다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기 위해 기계식 키(예컨대, 버클링 스프링, 팝돔(pop-dome) 키 스위치 등)의 촉감을 흉내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키보드 조립체의 커버 부분 상에 복수의 비작동식 키를 구비한 키보드 조립체는 각각의 비작동식 키 아래에 복수의 힘 생성(force-producing)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키보드 조립체는 키보드 조립체의 커버 부분에 인접한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기판은 기판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부유하며 키보드의 비작동식 키의 레이아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부유 부분(suspended portion)을 포함한다. 힘 생성 메커니즘은 부유 부분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부유 부분은 힘 생성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된 힘에 반응하여 기판에 대해 면외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힘 생성 메커니즘은, 기계적 힘이 분리되어 키보드의 각각의 비작동식 키에 한정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키보드는 키보드 상의 키의 작동을 위한 기계적 부분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휴대가 용이한 보다 얇은 키보드를 가능하게 한다. 키들의 작동을 위한 기계적인 부분을 제거하면 부품의 감소로 인해 신뢰성이 높아지고 견고해진다. 또한, 국한된 햅틱 피드백을 경험할 수 있는데, 이는 터치 기반 타이피스트에게 친숙하고 유용하다.
본 개요는 후속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되는 개념들 중 선택된 것들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고자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요는 청구항의 청구대상의 핵심적인 특징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을 밝히고자 함이 아니며, 청구항의 청구대상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도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의 맨좌측 숫자는 그 참조번호가 처음 나타나는 도면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 상이한 예들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항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국한된(localized) 햅틱 피드백을 위한 복수의 압전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키보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키보드의 비작동식 키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2개의 기판의 부분 사이에 제공된 압전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햅틱 피드백 조립체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햅틱 피드백 조립체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제1 기판을 휘게 하도록 구성된 압전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도 2의 섹션 라인(A-A)을 따른 햅틱 피드백 조립체의 부분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제1 기판을 수직 배치시키는 압전 액츄에이터에 전기장이 인가된 후의 도 4a의 햅틱 피드백 조립체의 부분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부유 부분(suspended portion)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1 기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햅틱 피드백 조립체를 구현하는 키보드 상에 제공된 국한된 햅틱 피드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무엇보다도, 물리적 키보드의 개별 비작동식 키에 국한되는 시뮬레이트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슬레이트 또는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또는 랩탑 컴퓨터 등에 통합되거나 또는 이들에 대한 주변 장치로서 사용되는 키보드에 응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터치 타이피스트를 위한 기능인 향상된 휴대성을 갖는 비교적 얇은 키보드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컴퓨팅 장치에 유용하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들은 텔레비전이나 유사한 장치에 대한 리모트 컨트롤 입력 장치, 게이밍 시스템 컨트롤러, 모바일 폰, 자동차 사용자 입력 메커니즘,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예컨대, 가구, 벽 등에 내장된 키보드)을 비롯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도 유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 및 시스템은 비작동식 키를 갖는 키보드 내의 햅틱 피드백 조립체의 일부로서의 복수의 힘 생성(force-producing)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힘 생성 메커니즘"이라 하지만, "힘 생성"이란 용어의 의미는 힘 생성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된 힘뿐만 아니라 생성된 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의 변위(displacement)도 포함하는데, 왜냐하면 힘과 변위 모두가 촉감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힘 생성 메커니즘은 실질적으로 키보드의 비작동식 키의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으로 기판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은, 기판과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기판에 결합된 힘 생성 메커니즘을 배치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부유 부분(suspended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각각의 힘 생성 메커니즘에 의해 생성된 기계적 힘이 분리되어 키보드의 각각의 비작동식 키에 국한되도록, 비작동식 키를 포함하는 키보드의 커버부에 인접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힘 생성 메커니즘은 압전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시뮬레이트된 햅틱 피드백은 개별 비작동식 키를 누르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국한된 촉각 키 클릭 감각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법 및 시스템은 다수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키보드 조립체
도 1은 각각의 개별 비작동식 키에 대해 국한된(localized)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힘 생성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키보드 조립체(100)(또는 키보드(100))의 부분 사시도이다. 키보드(100)는 터치 기반 타이핑 입력이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컴퓨팅 장치에 대한 주변기기이거나, 또는 이런 컴퓨팅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키보드(100)는 유선, 핀, 커넥터 등과 같은 전기적 결합을 통해 이런 컴퓨팅 장치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키보드(100)는 예컨대 단파 무선 주파수(예컨대, Bluetooth®), 또는 다른 적절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컴퓨팅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키보드(100)는 사람이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배열 또는 레이아웃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개별 비작동식 키(102(1), 102(2), ....,102(N))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키보드(100)는 QWERTY 레이아웃을 사용하는 영어나 또는 다른 언어로 기록하는 타이피스트에게 친숙한 통상의 "QWERTY"형 레이아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임의의 특정 키보드 레이아웃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키보드 조립체(100)의 기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임의의 배열 또는 레이아웃의 임의의 수의 키(102(1)-(N))를 갖는 키보드가 이용될 수도 있다.
키(102(1)-(N))는, 이들 키가 키 누름(key-press)을 기록하기 위해 키(102(1)-(N))의 기계적인 작동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작동식(non-actuating) 키이다. 이런 의미에서, 키(102(1)-(N))는, 예컨대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키(102(1)-(N))의 상부에 힘이 가해질 때, 실질적으로 고정된 채로 움직임 없이 유지된다. 키보드 조립체(100)의 커버부(104)는 비작동식 키(102(1)-(N))를 포함한다. 커버부(104)는 기계적인 압력 하에서 약간 휠 수도 있지만, 키(102(1)-(N))는 통상의 기계적으로 이동가능한 키와 같이 움직이거나 작동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커버부(104)는 적절한 플라스틱이나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커버부(104)의 재료는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반강성(semi-rigid)일 수도 있고, 적당한 기계적 압력이 가해질 때 최소한으로 변위할 정도로 유연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커버부(104) 상에서 각 키(102(1)-(N))에 대응하는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키(102(1)-(N))가 커버부(104) 상에서 약간 돌출해 있어, 타이피스트가 키보드(100)를 보지 않고 타이핑을 할 때 자신의 손가락 위치를 찾기가 좀 더 쉬울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의 홈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융기된 탭, 양각 자국 등이 키들(102(1)-(N)) 중 특정 키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WERTY 레이아웃에서, "F"와 "J" 키는 사용자가 단지 터치 감지를 통해 특정 키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게 하는 융기된 탭 또는 양각 자국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키(102(1)-(N))는 글자, 숫자, 부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문자로 각 키를 식별하도록 적절히 라벨링될 수 있다.
키보드 조립체(100)는 키보드 조립체(100)의 내부 컴포넌트를 감싸고 키보드 조립체(100)의 나머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이스부(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6)는 강화된 폴리머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와 같이 키보드(100)용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절하게 강성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휴대성 및 구조적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구조적으로 강성이면서 비교적 경량인 재료가 베이스부(106)에 적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키보드(100)는 내부에 복수의 부유 부분(110(1), 110(2), ..., 110(N))을 포함하는 제1 기판(108)을 포함한다. 제1 기판(108)의 나머지 부분은 실질적으로 움직임 없이 유지되는 반면에 부유 부분(110(1)-(N))은 제1 기판(108)에 대해 기계적으로 변위하거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부유 부분(110(1)-(N))은 제1 기판(108)의 나머지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부유 부분(110(1)-(N))은 실질적으로 격자나 어레이 레이아웃을 닮은 키보드(100)의 비작동식 키(102(1)-(N))의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1은 부유 부분(110(1)-(N))을 생성하거나 정의하는 예시적인 수단으로서 제1 기판(108) 내의 단속형(interupted) 링 형상의 컷아웃(cutout) 또는 개구를 도시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유 부분(110(1)-(N))은 복수의 비작동식 키(102(1)-(N))의 각 키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들(102(1)-(N)) 중 일부는 단일의 부유 부분(110(1)-(N))과 연관되는 반면에, 다른 키(102(1)-(N))는 부유 부분의 그룹과 같이 부유 부분들(110(1)-(N)) 중 둘 이상과 연관될 수 있다.
도 1은 제1 기판(108)이 그 내부에서 규정된 부유 부분(110(1)-(N))을 갖는 하나의 부분임을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기판(108)은 임의의 크기 또는 형상의 복수의 개별 부분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8)은 키(102(1)-(N))의 각 행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평 스트립 또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기판(108)은 각각의 부유 부분(110(1)-(N))과 연관된 개별 부분 또는 부유 부분(110(1)-(N))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기판(108)의 개별 부분은, 접합(joint), 심(seam), 리벳, 핀, 용접, 접착, 또는 임의의 적절한 결합 수단에 의한 결합과 같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키보드 조립체(100)는 힘, 진동, 펄스, 모션 등을 생성하여 키보드(100)의 커버부(104) 상에서 촉감이 느껴지게 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힘 생성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힘 생성 메커니즘은 ERM(eccentric rotating mass), LRA(linear resonant actuator), 음성 코일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 압전 액츄에이터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힘 생성 메커니즘을, 압전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힘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압전 액츄에이터(112(1), 112(2), ..., 112(N))로서 나타낸다. 즉, 액츄에이터(112(1)-(N))의 평면내(in-plane)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전기장이 압전 액츄에이터(112(1)-(N))에 인가되어, 압전 액츄에이터(112(1)-(N))가 기계적 변형 및 스트레인을 나타낼 수 있다. 압전 액츄에이터(112(1)-(N))는 부유 부분(110(1)-(N))의 위치에서 제1 기판(108)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압전 액츄에이터(112(1)-(N))의 작동으로 인해 제1 기판(108)의 부유 부분(110(1)-(N)) 상에 힘이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자연적 및 합성 재료가 압전 효과(흔히 "역(inverse)" 압전 효과라고 하며, 직접적인 압전 효과는 압전 재료에 가해진 기계적인 힘으로 인한 내부 전하 생성이다)를 나타낸다. 압전 액츄에이터(112(1)-(N))에 적합한 재료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세라믹 재료, 크리스탈 재료 등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은 원반형인 압전 액츄에이터(112(1)-(N))를 도시하고 있지만, 키보드 조립체(100)의 기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 액츄에이터(112(1)-(N))는 정방형,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도 있고, 다양한 단면 두께를 갖거나 또는 형상이 균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압전 액츄에이터(112(1)-(N))는 다층일 수도 있다. 압전 액츄에이터(112(1)-(N))를 사용하면 키 클릭 유형의 햅틱 피드백을 시뮬레이트하는데 필요한 고속 응답 시스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제1 기판(108)의 부유 부분(110(1)-(N))은 기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지만,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전히 복수의 접속점을 통해 제1 기판(108)에 연결될 수 있다. 압전 액츄에이터(112(1)-(N))는, 키보드(100)의 비작동식 키(102(1)-(N))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레이아웃에 따라서 배열될 수 있는 부유 부분(110(1)-(N))의 위치에서 제1 기판(108)에 결합될 수 있다. 부유 부분(110(1)-(N))은 압전 액츄에이터(112(1)-(N))의 작동에 의해 생성된 힘에 반응하여 제1 기판(108)에 대해 평면 밖(out-of-plane) 방향으로(즉, 제1 기판(108)의 평면 밖으로) 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압전 액츄에이터(112(1)-(N))는 기계적 힘이 분리되어 키보드(100)의 각각의 비작동식 키(102(1)-(N))에 한정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작동된 압전 액츄에이터(112)의 운동 에너지를 각 키(102(1)-(N)) 아래의 제1 기판(108)의 제각기의 부유 부분(110)에 격리시킴으로써, 각 키(102(1)-(N))에 대한 한정된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기판(108)은 압전 액츄에이터(112(1)-(N)) 상에 전기장을 생성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전기적으로 도통될 수 있다. 금속(예컨대, 구리)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도전성 재료가 제1 기판(108)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키보드 조립체(100)는, 압전 액츄에이터(112(1)-(N)) 아래에 제공되며 압전 액츄에이터(112(1)-(N)) 각각을 활성화하기 위해 압전 액츄에이터(112(1)-(N)) 각각에 구동 전압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2 기판(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14)은 도전성일 수 있으며, 각각의 압전 액츄에이터(112(1)-(N))에 구동 신호를 개별적으로 어드레스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트레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114)은 압전 액츄에이터(112(1)-(N))의 하면의 압전 액츄에이터(112(1)-(N))에 접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절연층(116)은 제1 기판(108)과 제2 기판(114) 사이에 제공된다. 절연층(116)은 2개의 기판(108, 114)을 서로 절연시키고 각각의 압전 액츄에이터(112(1)-(N))를 서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절연층(116)은 관련 회로의 단락 방지를 돕고, 압전 액츄에이터(112(1)-(N))가 점유하지 않은 2개의 기판(108, 114) 사이의 영역 내의 공간을 채움으로써 키보드 조립체(100)에 대한 구조를 제공한다. 절연층(116)은 플라스틱,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머 재료, 유리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전기 절연 재료일 수 있다. 절연층(116)은, 두 기판(108, 114)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압전 액츄에이터(112(1)-(N))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홀(118(1), 118(2), ....,118(N)), 또는 개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기판(108)의 하면은 부유 부분(110(1)-(N))의 표면 영역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얇은 절연 페인트층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층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커버될 수 있다.
압전 액츄에이터(112(1)-(N))에 대한 전기장의 인가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관련 비작동식 키(102(1)-(N))를 누를 때와 같이, 키 누름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키 누름을 검출하기 위한 키 누름 검출 메커니즘 및 관련 제어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키 누름을 검출하기 위한 이런 메커니즘은 임의의 적절한 힘 또는 압력 감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가 가해진 압력이 키 누름을 나타내는 임계 압력을 만족시키거나 이를 초과함을 검출하면 키 누름을 기록할 수 있다. 키 누름을 트리거하기 위한 임계치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원치않는 키 누름이 기록되게 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손가락을 키보드(100) 상에 둘 수 있다. 개별 키(102(1)-(N))에 대해 가해진 압력이 임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는 키 입력이 기록되지 않는다. 압력 감지 메커니즘을 사용하면 비작동식 키(102(1)-(N))를 비롯한 키보드(100)와 같은 얇은 키보드를 구성할 수 있다. 키보드(100)는 3 ㎜ 이하로 얇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압력 감지 메커니즘으로 한정되지 않고, 키 누름을 검출하고 기록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감지 장치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전 액츄에이터(112(1)-(N))와 같은 힘 생성 메커니즘 자체가 키 누름 검출 메커니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힘 생성 메커니즘은 "변환기(transducer)"로 생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 액츄에이터(112(1)-(N))는 제각기의 키(102(1)-(N))에 힘을 가할 시에 키 누름 이벤트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경우 변환기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압전 액츄에이터(112(1)-(N)) 또는 변환기는 액츄에이터 및 검출 메커니즘 또는 센서 역할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를 누를 경우, 압전 액츄에이터(112(1)-(N))는 변형되어, 사용자에 의한 키 누름을 감지하도록 측정되고 검출될 수 있는 내부 전하를 생성할 수 있다. 압전 재료의 변형에 의해 생성된 전압 레벨은 키 누름 이벤트가 기록되어야 하는 임계 전압 레벨과 비교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전 액츄에이터(112(1)-(N))가 키 누름을 기록하고 시뮬레이트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것이므로, 별도의 키 누름 검출 메커니즘은 필요치 않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따라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는 도 1의 키보드 조립체(100)와 같은 전체 키보드 조립체의 일부일 수 있다. 예시를 위해, 단일 키(102)에 대응하는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의 일부분(즉, 컷아웃 뷰(cutout view))만 도시한다. 도 2는 키보드(100)의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에 포함되는 압전 액츄에이터(112)의 형태로 단일 힘 생성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전 액츄에이터(112)는 세라믹 원반 형태일 수 있다. 압전 액츄에이터(112)는 압전 액츄에이터(112)에 대응하는 부유 부분(110)을 포함하는 제1 기판(108)에 결합될 수 있다. 압전 액츄에이터(112)를 제1 기판(108)의 하면에 결합하기 위해 도전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압전 액츄에이터(112)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그 한 면에 맞는 래치 또는 이와 유사한 피처와 같이, 압전 액츄에이터(112)를 제1 기판(108)에 부착하는 어떠한 적절한 수단도 이용될 수 있다.
제1 기판(108)은 전도성이며, 도 2의 단속형 링 형상의 개구(202)와 같은 복수의 단속형(interrupted) 링 형상의 개구,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단속형 링 형상의 개구(202)는, 찍어진 홀(stamped hole) 또는 예컨대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머신으로 만들어진 머신형 컷아웃과 같이, 제조하는 중에 제1 기판(108)의 고체 재료로부터 잘려질 수 있다. 단속형 링 형상의 홀(202)의 생성에 의해, 제1 기판(108)의 나머지로부터 기계적으로 실질적으로 격리되는 제1 기판(108) 내 부유 부분(110)이 생성된다. 부유 부분(110)은 제1 기판(108) 내에 정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부유 부분은 제1 기판(108)의 주요 몸체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단속형 링 형상의 개구(202)에 의해 생성된 공간은 부유 부분(110)이 평면 밖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한편 기계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부유 부분(110)은 도 2에 원반형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원반형 압전 액츄에이터(112)를 자신에게 결합시키는데 적합하며, 그러나 부유 부분이 원반형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부유 부분(110)의 직경(d)은 그 위의 키의 수평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단속형 링 형상의 개구(202)는 또한 복수의 연결 지점(204) 또는 고정 브리지를 수반하는데, 이것은 링 형상의 개구(202) 내에서의 연속성을 방해하고 부유 부분(110)을 고정시키며 매달아둔다. 연결 지점(204)은 부유 부분(110)의 움직임을 격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격리 특징은 각 키(102(1)-(N))에 대응하는 제한된 햅틱 피드백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4개의 연결 지점(204)을 도시하고 있지만, 링 형상 개구(202)는 적게는 2개의 연결 지점까지 임의의 수의 연결 지점(204)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연결 지점(204)을 사용함으로써, 부유 부분(110)은 제1 기판(108)의 나머지로부터 기계적으로 격리되면서도 충분한 안정성 및 강성을 갖춘다. 연결 부분(204)은 단속형 링 형상의 개구(202)의 원주에 일정하게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전성의 제1 기판(108)의 연결 지점(204)은 또한 압전 액츄에이터(112)에 대해 전기를 도통하는 역할을 하며, 부유 부분(110)은 압전 액츄에이터(112)에 대한 도전성 백킹(backing)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 1 및 2의 제1 기판(108)을 사용하는 제조 프로세스에서 납땜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제1 기판(108)의 두께(t)는 압전 액츄에이터(112)와 같은, 힘 생성 메커니즘의 작동 시에 부유 부분(110)의 자유 버클링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두께이다. 제1 기판(108)에 대한 예시적인 두께는 200 내지 400㎛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절연층(116)과 같은 절연층이 제1 기판(108)과 제2 기판(114) 사이에 제공된다. 제2 기판(114)은 압전 액츄에이터(112) 상에 전기장을 생성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전성일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116)은 2개의 기판(108, 114)을 서로 절연시키고 각각의 압전 액츄에이터(112(1)-(N))를 서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절연층(116)은 압전 액츄에이터(112)가 두 기판(108, 114)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홀(11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기판(114)은 액츄에이터(112)의 하면에서 압전 액츄에이터(112)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206) 또는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206)은 제2 기판(114)으로부터 잘려질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제조되어 제2 기판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는 제2 기판(114)으로부터 절단된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206)을 보여준다. 압전 액츄에이터(112)는 제2 기판(114)과의 전기 접속/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압전 액츄에이터(112)의 하면에 니켈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코팅되거나 도금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도전성 재료(예컨대, 은, 금 등) 또는 도전성 재료들의 조합이 압전 액츄에이터(112)의 하면을 코팅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납땜을 용이하게 하거나 다른 역할을 할 수 있는 비교적 적은 양의 주석이 실질적으로 니켈을 포함하는 도금 위에 증착될 수도 있다.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가 완전히 조립되면, 압전 액츄에이터(112)는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206)을 눌러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206)과의 접촉을 확고히 유지한다. 즉,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206)이 스프링 작동되어 압전 액츄에이터(112)의 하면과의 접촉부 쪽으로 편향된다. 압전 액츄에이터(112)를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206)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가 완전히 조립될 때 압전 액츄에이터(112)가 구동 회로의 공급 전압을 증폭하는 고전압 증폭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206)을 포함하는 제2 기판(114) 상의 영역(208)은 압전 액츄에이터(112)의 바닥/하부면에 전기 접속 또는 접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영역(208)은 각각의 압전 액츄에이터(112)에 고전압이 독립적으로 전달되도록 허용한다. 또한, 도전성 트레이스(210)는 개별 구동 신호가 각각의 압전 액츄에이터(112(1)-(N))에 전달/어드레스되게 할 수 있다. 제2 기판(114)에서의 전기 접속은 또한 압전 액츄에이터(112) 상의 납땜 지점을 제거하며, 이는 다시 자동화된 제조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고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납땜 지점은 키보드(100)의 디자인에 두께를 추가하므로 납땜 지점을 제거하는 것은 전체 키보드 조립체(100)에 대해 원하는 두께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완전히 조립된 형태에서, 햅팅 피드백 조립체(200)는 키보드 조립체(100)의 커버부(104) 아래 및 베이스부(106) 위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전 액츄에이터(112)는 키 누름 감지 메커니즘(즉, 변환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은 키(102(1)-(N)) 상에 인가된 압력 및 그 결과의 압전 액츄에이터(112(1)-(N))의 변형에 반응하여 키 누름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가적인 키 누름 감지 메커니즘이 키보드 조립체(1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또는, 키 누름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해 압력 감지 메커니즘과 같은 부가적인 키 누름 감지 메커니즘이 키보드 조립체(100)에 추가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 및 2의 키보드 조립체(100) 및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컴퓨팅 장치(300)를 도시한 것이다. 컴퓨팅 장치(300)는 도 1의 키보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300)는 컴퓨팅 장치의 일례일 뿐이며 컴퓨팅 장치의 사용 범위나 기능에 대한 어떠한 제한을 암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컴퓨팅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한 어떠한 의존관계도 요건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적어도 한 구성에서, 컴퓨팅 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302)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304)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300)는 도 1의 키보드(10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306)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306)는 힘 생성 메커니즘(308)을 비롯한 도 2의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의 햅틱 피드백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장치(306)는 원하는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힘 생성 메커니즘(308)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306)는 또한, 키보드(100) 외에,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등과 같은 입력 장치(312)를 가질 수 있다.
컴퓨팅 장치(300)는 프로세서(302)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304)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출력 장치(3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300)는 또한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팅 장치(300)가 다른 컴퓨팅 장치(316)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300)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304)는 운영 체제(318)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 데이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320)는, 키보드(100) 상에서의 키 누름 이벤트의 검출과 같이, 입력 장치(306)에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320)는 또한, 압전 액츄에이터(110(1)-(N))와 같은 힘 생성 메커니즘(308)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구동 회로(3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 회로(310)는 도 1의 압전 액츄에이터(112(1)-(N))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회로는 집적 회로(IC) 또는 이와 유사한 전기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키(102(1)-(N))에서의 키 누름 이벤트를 나타내는 키 누름 감지 메커니즘에 반응하여 제각기의 위치에서 개별 압전 액츄에이터(112(1)-(N))에 전압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키 누름 이벤트를 기록할 시에, 프로세서(예컨대, 키보드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302))는 입력 제어 신호를 발행하여 구동 회로(310)를 통해 대응하는 압전 액츄에이터(112(1)-(N))에 대한 전압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는 압전 액츄에이터(112(1)-(N))에 각각 제공된 복수의 제어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키보드 조립체(100)의 기본 특징을 변경시키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구동 회로(310) 및 파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키 클릭 유형의 촉감을 생성하기 위해 구동 회로에 의해 스텝 함수 파형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유형의 파형(예를 들어, 복수의 사인파, 고주파수 파형)에 의해 진동 또는 버징(buzzing) 타입의 촉각 피드백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전압 신호의 레벨을 변화시킴으로써 힘의 크기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도 4a는 완전히 조립된 형태의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를 갖는, 섹션 라인(A-A)을 따른 도 2의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의 부분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제1 기판(108)의 부분은 압전 액츄에이터(112)의 작동시에 휘어지도록 구성된 부유 부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액츄에이터(112)는 도전성 접착제(400), 테이프, 또는 이와 유사한 접착 재료를 사용하여 제1 기판(108)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판(114)은 압전 액츄에이터(112)에 고전압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 목적으로 단일 압전 액츄에이터(112)만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의 완전히 조립된 구성에서,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206)이 제2 기판(114)과 평면내 정렬하는 쪽으로 눌러진다. 스트립(206)의 위쪽으로 편향되는 성질은 도전성 재료(예컨대, 은)의 도전층(402)으로 코팅될 수 있는 압전 액츄에이터(112)의 하면과 견고한 접촉을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도 4b는 압전 액츄에이터(112)가 구동 전압 신호로 구동된 후의 도 4a의 햅틱 피드백 조립체(200)를 도시한 것이다. 전압 구동 신호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은 도 4b에서 압전 액츄에이터(112)가 이중 화살표(x-x)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평면내에서 확장 또는 수축하게 한다. 확장 또는 수축은 확장/수축이 도 4b와 관련하여 페이지 내부로 그리고 밖으로 진행되도록 2차원 평면 내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평면내(즉, x-x) 방향으로의 압전 액츄에이터(112)의 확장/수축으로 인한 운동 에너지는, 도 4b에서 화살표(y-y)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08)의 부유 부분(110)의 국한된, 면외(out-of-plane), 또는 수직 버클링 또는 휨 동작으로 변환된다. 이것은 주로 압전 액츄에이터(112)를 제1 기판(108)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비록된다. 예를 들어,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압전 액츄에이터(112)를 제1 기판(108)에 결합함으로써, 압전 액츄에이터(112)는 비교적 뻣뻣하고/강성이고 심지어 부유 부분(110)에서도 실질적으로 평면내 변위에 강한 제1 기판(108) 덕분에 평면내(즉, x-x 방향)에서 기계적으로 제한된다. 그 결과, 압전 액츄에이터(112)는 면외로 또는 수직(즉, y-y) 방향으로 이동/휨 또는 좌굴하도록 힘을 받는다. 이 휨 동작은 제1 기판(108)이 커버부(104)에 인접한 덕분에 키보드(100)의 커버부(104)에 힘을 생성하며, 이 힘은 커버부(104) 상의 관련 키(102(1)-(N))와 접촉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촉감을 제공한다. 또한, 부유 부분(110)의 기계적 격리는 키보드 조립체(100)의 커버부(104)에서 키 클릭을 모방하는 압전 액츄에이터(112) 위에 위치하는 키(102)에서의 제한된 촉감을 일으킨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키보드(100) 상의 각 키(102(1)-(N))를 누를 경우, 검출된 키 누름에 반응하여 눌러진 키(102)와 연관된 압전 액츄에이터(112)가 작동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액츄에이터(112)의 작동은 압전 액츄에이터(112)가 결합되는 부유 부분(110)의 휨을 일으킨다. 부유 부분(110)의 휨에 의해 눌러진 키(102)를 터치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느껴지는 촉감이 제한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제1 기판(500)을 도시한 것이다. 제1 기판(500)은 제1 기판(500)에서 정의된 복수의 실질적으로 정방형인 부유 부분(502(1), 502(2), ..., 502(N))을 포함한다. 부유 부분(502(1)-(N))이 제1 기판에 대해 기계적으로 변위하거나 면외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반면에 제1 기판(500)의 나머지는 실질적으로 움직임 없이 유지된다는 점에서, 부유 부분(502(1)-(N))은 도 1, 2 및 4의 제1 기판(108)과 유사한 제1 기판(500)의 나머지로부터 기계적으로 격리될 수 있다. 부유 부분(502(1)-(N))은 또한 격자 또는 어레이 레이아웃을 닮은 키보드(100)의 비작동식 키(102(1)-(N))의 레이아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500) 내에서의 단속형 정방형의 컷아웃(504) 또는 개구가 부유 부분(502(1)-(N))을 생성 또는 정의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의 햅틱 피드백 조립체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키보드(100)를 도시한 것이다. 타이피스트와 같은 사용자는, 자신이 손가락(600)이 아이즈프리(eyes-free) 타이핑에 사용하기 위해 숙련된 타이피스트에게 친숙한 홈 위치에 있을 때와 같이, 자신의 손가락(600)을 키보드(100) 위에 올려놓을 수 있다. 키 누름 이벤트는 키(102(1)-(N)) 상의 누름이 임계 압력을 만족시키거나 초과해서 키 누름 감지 메커니즘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는 기록되지 않을 수 있다. 소정의 키(102(1)-(N))에서의 키 누름을 검출하거나 기록할 시에, 압전 액츄에이터(112(1)-(N))와 같은 힘 생성 메커니즘이 키 누름 이벤트에 반응하여 시뮬레이트된 햅틱을 생성할 수 있다. 도면들을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반응은 키보드(100) 상에 놓여있는 다른 손가락(600)이 촉감을 느끼지 않도록 눌러진 특정 키로 국한될 수 있다. 즉, 키(102)를 누른 손가락만이 힘 생성 메커니즘으로 인한 촉감을 느낄 수 있다. 사실, 제1 기판(108)의 부유 부분들(110) 중 한 부분의 휨은 휘어진 부유 부분(110)을 둘러싸는 제1 기판(108)의 인식할 수 있는 움직임을 일으키며, 그 결과 훨씬 작더라도 구별가능한 촉감이 휘어진 부유 부분(110)과 연관된 키(102)에 대해 이웃 키들(102(1)-(N))에서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웃 키(102(1)-(N)) 근방에서의 이른바 "누설된(leaked)' 햅틱 피드백이 사용자에 의해 마스킹될 수도 있고 아니면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눌러진 키(102(1)-(N))에서 더 강한 신호의 존재가 더 약한 신호를 마스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오른 손의 손가락들 중 하나가, 키 누름을 기록한 키(예컨대, "K" 키)를 누른 후의, 햅틱 피드백을 느끼는 것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복수의 키(102(1)-(N))(예컨대, SHIFT 및 "K")를 동시에 누르거나 또는 동시에 차례로 누를 수도 있는데, 이는 복수의 키를 누른 양 손가락(600)에 의해 제각기의 햅틱 피드백이 느껴지게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환경 및 개별 요소들은 많은 다른 논리적, 프로그램적 및 물리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첨부 도면에 도시된 것들은 단지 본 명세서에서의 논의사항과 관련되는 예들일 뿐이다.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아키텍처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이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책임 분배가 논의의 목적으로 위에서 정의되지만, 다양한 기능 및 책임이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배되고 분할될 수 있다.
결론
결론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조적인 특징 및/또는 방법적 동작에 특유한 언어로 기술되어 있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 청구대상은 반드시 전술한 특정한 특징이나 동작으로 제한되지는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전술한 특정한 특징 및 동작은 청구항 및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개시되어 있다.

Claims (20)

  1. 키보드로서,
    상기 키보드의 커버부(cover portion) 상에 정의되고 촉각 입력(tactile input)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키- 상기 복수의 키는 물리적인 비작동식(physical, non-actuating) 키임 -와,
    상기 커버부 아래에(underneath) 위치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기판 상에서 상기 복수의 키의 레이아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정렬된 복수의 부유 부분(suspended portions)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유 부분 중의 개개의 부유 부분은 다수의 연결 지점에 의해 상기 제1 기판으로부터 부유됨 -과,
    상기 제1 기판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부유 부분 중 하나 이상의 부유 부분에서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된 복수의 힘 생성 메커니즘(force-producing mechanisms)과,
    상기 복수의 힘 생성 메커니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기판은 도전성이고 복수의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upwardly-biased strips)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 각각은 상기 복수의 힘 생성 메커니즘 중의 대응하는 힘 생성 메커니즘과의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대응하는 힘 생성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복수의 부유 부분 중의 대응하는 부유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상기 대응하는 힘 생성 메커니즘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커버부에 인접한
    키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개의 부유 부분은 상기 제1 기판 내의 링 형상의 개구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링 형상의 개구의 연속성은 상기 다수의 연결 지점에 의해 끊어지는
    키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 지점은 적어도 3개의 연결 지점을 포함하는
    키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힘 생성 메커니즘은 압전 액츄에이터(piezoelectric actuator)를 포함하는
    키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도전성이고,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는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는
    키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은 키 누름 이벤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대응하는 힘 생성 메커니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키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도전성이고,
    상기 키보드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복수의 힘 생성 메커니즘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간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는(facilitate)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키보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는 세라믹 디스크를 포함하는
    키보드.
  10. 전자 장치로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상에 물리적으로 정의되고 촉각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키- 상기 복수의 키는 비작동식 키임 -와,
    상기 커버부 아래에 인접한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복수의 키 중 하나 이상의 키 아래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부유 부분을 포함함 -과,
    상기 제1 기판 아래에 위치한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은 도전성이고 하나 이상의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을 포함함 -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부유 부분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힘 생성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생성 메커니즘 중의 대응하는 힘 생성 메커니즘과의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대응하는 힘 생성 메커니즘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하나 이상의 부유 부분 중의 대응하는 부유 부분을 휘게 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상기 대응하는 힘 생성 메커니즘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복수의 키 중 상기 대응하는 힘 생성 메커니즘과 연관된 키에 대해 기록된(registered) 키 누름에 응답하여 제공되는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유 부분 중의 개개의 부유 부분은 링 형상의 개구의 원주 상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연결 지점에 의해 상기 제1 기판 내에서 부유되는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힘 생성 메커니즘은 압전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액츄에이터는 도전성 접착제를 통해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되는
    전자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 지점은 적어도 3개의 연결 지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 지점은 등간격을 갖는(equidistant)
    전자 장치.
  18. 촉각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키 중의 키에서 키 누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는 비작동식이며 키보드의 커버부 상에 물리적으로 정의됨 -와,
    상기 키 누름을 검출한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응하여, 도전성이고 상기 커버부 아래에 위치한 제1 기판 상의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을 통해, 상기 위쪽으로 편향된 스트립과 접촉하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커버부 사이에 위치한 제2 기판의 부유 부분에 결합된 힘 생성 메커니즘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힘 생성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야기하고 또한 상기 키 아래에 위치한 상기 부유 부분의 휘어짐을 야기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키 누름은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에 포함된 도전성 트레이스를 통해 구동 전압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57032676A 2013-05-15 2014-05-14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 KR10227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20213A KR102401795B1 (ko) 2013-05-15 2014-05-14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94,866 2013-05-15
US13/894,866 US9448628B2 (en) 2013-05-15 2013-05-15 Localized key-click feedback
PCT/US2014/037940 WO2014186428A1 (en) 2013-05-15 2014-05-14 Localized key-click feedback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213A Division KR102401795B1 (ko) 2013-05-15 2014-05-14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032A KR20160009032A (ko) 2016-01-25
KR102273411B1 true KR102273411B1 (ko) 2021-07-05

Family

ID=510230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213A KR102401795B1 (ko) 2013-05-15 2014-05-14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
KR1020157032676A KR102273411B1 (ko) 2013-05-15 2014-05-14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213A KR102401795B1 (ko) 2013-05-15 2014-05-14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448628B2 (ko)
EP (1) EP2997447A1 (ko)
KR (2) KR102401795B1 (ko)
CN (1) CN105518573B (ko)
TW (2) TW201506686A (ko)
WO (1) WO2014186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7759B2 (en) 2009-09-30 2013-07-16 Apple Inc. Self adapting haptic device
US9710069B2 (en) 2012-10-30 2017-07-18 Apple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having flex tails upon which keyboard keycaps are coupled
US9502193B2 (en) 2012-10-30 2016-11-22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US9449772B2 (en) 2012-10-30 2016-09-20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CN105144017B (zh) 2013-02-06 2018-11-23 苹果公司 具有可动态调整的外观和功能的输入/输出设备
US9448628B2 (en) * 2013-05-15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lized key-click feedback
JP6103543B2 (ja) 2013-05-27 2017-03-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短行程スイッチアッセンブリ
JP2015002428A (ja) * 2013-06-14 2015-01-05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機能制御方法および機能制御プログラム
US9908310B2 (en) 2013-07-10 2018-03-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reduced friction surface
WO2015047661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with reduced thickness
WO2015047372A1 (en) 2013-09-30 2015-04-02 Pearl Capital Developments Llc Magnetic actuators for haptic response
WO2015047606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having reduced thickness
US9514902B2 (en) 2013-11-07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er-less quick tactile feedback keyboard
JP6013388B2 (ja) * 2014-03-18 2016-10-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キーボード装置、押しボタン装置、及び電子機器
CN106489116B (zh) 2014-04-21 2019-08-16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多触摸输入设备的力的分配
WO2016025890A1 (en) 2014-08-15 2016-02-18 Apple Inc. Fabric keyboard
US10082880B1 (en) 2014-08-28 2018-09-25 Apple Inc. System level features of a keyboard
CN106716320B (zh) * 2014-09-30 2020-10-30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可配置的力敏输入结构
US10134539B2 (en) 2014-09-30 2018-11-20 Apple Inc. Venting system and shield for keyboard
CN105588400B (zh) 2014-11-07 2018-04-13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控制方法
KR101659181B1 (ko) * 2014-12-22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0B1 (ko) 2014-12-22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2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9184B1 (ko) 2014-12-24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668921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WO2016140909A1 (en) * 2015-03-02 2016-09-0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Embedding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additive manufacturing
AU2016100399B4 (en) 2015-04-17 2017-02-02 Apple Inc. Contracting and elongating materials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16183510A1 (en) 2015-05-13 2016-11-17 Knopf Eric A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
WO2016183498A1 (en) 2015-05-13 2016-11-17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 for an input device
US9997304B2 (en) 2015-05-13 2018-06-12 Apple Inc.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CN205959841U (zh) 2015-05-13 2017-02-15 苹果公司 电子设备和键盘组件
TWI578360B (zh) * 2015-06-05 2017-04-1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按鍵結構及輸入裝置
US9934915B2 (en) 2015-06-10 2018-04-03 Apple Inc. Reduced layer keyboard stack-up
EP3314381B1 (en) * 2015-06-26 2023-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ssive haptics as reference for active haptics
US10566888B2 (en) 2015-09-08 2020-02-18 Apple Inc. Linear actuators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9971084B2 (en) 2015-09-28 2018-05-15 Apple Inc. Illumination structure for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KR101736608B1 (ko) 2015-11-27 201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039080B2 (en) 2016-03-04 2018-07-31 Apple Inc. Situationally-aware alerts
US20220035521A1 (en) * 2016-03-28 2022-02-03 Apple Inc. Multifunction device control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US10268272B2 (en) 2016-03-31 2019-04-23 Apple Inc. Dampening mechanical modes of a haptic actuator using a delay
CN107463246A (zh) * 2016-06-03 2017-12-1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90025017A (ko) * 2016-07-01 2019-03-08 플렉스트로닉스 에이피, 엘엘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들 상의 국부화된 햅틱 피드백
US10353485B1 (en) 2016-07-27 2019-07-16 Apple Inc. Multifunction input device with an embedded capacitive sensing layer
US10115544B2 (en) 2016-08-08 2018-10-30 Apple Inc. Singulated keyboard assembli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 keyboard
US10755877B1 (en) 2016-08-29 2020-08-25 Apple Inc.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DE102016116763A1 (de) * 2016-09-07 2018-03-08 Epcos Ag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haptischen Rückmeldung
US11500538B2 (en) 2016-09-13 2022-11-15 Apple Inc. Keyless keyboard with force sensing and haptic feedback
WO2018051606A1 (ja) * 2016-09-14 2018-03-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1394385B1 (en) * 2016-09-20 2022-07-19 Apple Inc. Input device having adjustable input mechanisms
US10591993B2 (en) * 2016-09-21 2020-03-17 Apple Inc. Haptic structure for providing localized haptic output
TWI634576B (zh) * 2016-12-27 2018-09-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按鍵結構
EP3358447B1 (en) * 2017-02-06 2021-07-21 Aito BV Haptic signalizing device
CN106843496A (zh) * 2017-02-21 2017-06-13 苏州攀特电陶科技股份有限公司 非致动按钮触觉反馈装置及方法
CN107422867A (zh) * 2017-04-13 2017-12-01 苏州攀特电陶科技股份有限公司 触觉反馈键盘、方法及终端
US20180329493A1 (en) * 2017-05-11 2018-11-15 Immersion Corporation Microdot Actuators
US11049674B2 (en) * 2017-07-12 2021-06-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Push button with haptic feedback
US10622538B2 (en) 2017-07-18 2020-04-14 App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a haptic output and sensing a haptic input using a piezoelectric body
US10775850B2 (en) 2017-07-26 2020-09-15 Apple Inc. Computer with keyboard
FI20175754A1 (en) * 2017-08-23 2019-02-24 Aito Bv Operation of a piezoelectric device
US10732676B2 (en) 2017-09-06 2020-08-04 Apple Inc. Illuminated device enclosure with dynamic trackpad
US10864686B2 (en) * 2017-09-25 2020-12-15 Apple Inc. Continuous carbon fiber winding for thin structural ribs
US10996755B2 (en) * 2018-02-28 2021-05-04 Google Llc Piezoelectric haptic feedback module
WO2020241166A1 (ja) * 2019-05-27 2020-12-03 神田工業株式会社 ラミネート型通信デバイス用の不可逆スイッチ、及びそ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型通信デバイス
US11380470B2 (en) 2019-09-24 2022-07-05 Apple Inc. Methods to control force in reluctance actuators based on flux related parameters
FR3104762B1 (fr) 2019-12-12 2022-09-16 Actronika Procédé de génération de sensations tactiles localisées sur une surface et interface haptique mettant en œuvre ce procédé
US11662820B2 (en) * 2020-01-08 2023-05-30 Dell Products, Lp System for a solid-state keyboard and touchpad providing haptic feedback
US11294469B2 (en) * 2020-01-31 2022-04-05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via a reconfigurable haptic interface assembly for displaying a modified keyboard configuration
US11079816B1 (en) * 2020-01-31 2021-08-03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vapor chamber directional heat dissipation for a piezoelectric keyboard assembly
US11579695B2 (en) * 2020-01-31 2023-02-1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ound effects on fingertips with piezoelectric actuators of a haptic keyboard
US11079849B1 (en) 2020-01-31 2021-08-03 Dell Products, Lp System for extended key actions and haptic feedback and optimized key layout for a solid-state keyboard and touchpad
US10936073B1 (en) 2020-01-31 2021-03-02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high-frequency and mid-frequency audible sound via piezoelectric actuators of a haptic keyboard
TWI728917B (zh) * 2020-09-17 2021-05-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鍵盤模組
US11977683B2 (en) 2021-03-12 2024-05-07 Apple Inc. Modular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localized haptic feedback using inertial actuators
CN112992580B (zh) * 2021-04-28 2023-01-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按键结构及电子设备
US11809631B2 (en) 2021-09-21 2023-11-07 Apple Inc. Reluctance haptic engin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513600B1 (en) * 2021-10-04 2022-11-29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glass keyboard with deflection and haptic feedback
CN114415855A (zh) * 2021-12-31 2022-04-29 青岛歌尔智能传感器有限公司 触控反馈结构、触控屏幕以及电子设备
US11656685B1 (en) 2022-04-27 2023-05-23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keyboard with haptic enhanced membrane trigg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5297A1 (en) 2005-12-16 2007-07-19 Thilo Sandner Microoptic reflecting component
US20110193787A1 (en) 2010-02-10 2011-08-11 Kevin Morishige Input mechanism for providing dynamically protruding surfaces for user interaction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214B2 (ko) * 1973-10-15 1979-05-02
US4516112A (en) * 1982-02-22 1985-05-07 Eaton Corporation Transparent touch switching system
JPH01130215A (ja) 1987-11-02 1989-05-23 Ind Technol Res Inst デイジタルコンピユータ書込みボード
DE4124604C1 (ko) 1991-07-25 1993-02-11 Ing. Wolfgang Schaefer Elektrotechnik + Maschinenbau, 7480 Sigmaringen, De
US5231326A (en) 1992-01-30 1993-07-27 Essex Electronics, Inc. Piezoelectric electronic switch
US5883459A (en) 1997-07-21 1999-03-16 Balboa Instruments Inc. Electrical switch assembly encapsulated against moisture intrusion
US6429846B2 (en)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EP1699065A3 (en) 2000-05-22 2006-11-15 Digit Wireless, Llc Input devices and their use
DE20202297U1 (de) 2001-09-07 2002-08-29 Drei S Werk Praez Swerkzeuge G Flacher Aktor oder Sensor mit interner Vorspannung
AU2002348399A1 (en) 2001-10-23 2003-07-09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of using tactile feedback to deliver silent status information to a user of an electronic device
FR2875024B1 (fr) 2004-09-09 2007-06-08 Itt Mfg Enterprises Inc Dalle tactile comportant des moyens pour produire une impulsion mecanique en reponse a une action de commande, et agencement pour le montage de cette dalle
US20080251364A1 (en) 2007-04-11 2008-10-16 Nokia Corporation Feedback on input actuator
WO2008125130A1 (en) 2007-04-12 2008-10-23 Nokia Corporation Keypad
JP5602626B2 (ja) * 2007-06-29 2014-10-08 アーティフィシャル マッスル,インク. 感覚性フィードバック用途のための電気活性ポリマートランスデューサー
US7667371B2 (en) * 2007-09-17 2010-02-23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and circuit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US9857872B2 (en) 2007-12-31 2018-01-02 Apple Inc. Multi-touch display screen with localized tactile feedback
US20100038227A1 (en) 2008-08-13 2010-02-18 Wintone Technology, Inc. Touch detected voice-prompted 2-stage keypad
US8339250B2 (en) 2008-10-10 2012-12-25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localized haptic response
EP2202619A1 (en) 2008-12-23 2010-06-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actile touch-sensitive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2334089A (zh) 2009-01-21 2012-01-25 拜耳材料科技公司 用于触觉反馈设备的电活性聚合物换能器
US8378797B2 (en) 2009-07-17 2013-02-19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ization of haptic feedback
US20110148608A1 (en) 2009-12-18 2011-06-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
JP2011242386A (ja) 2010-04-23 2011-12-01 Immersion Corp 接触センサと触覚アクチュエータとの透明複合圧電材結合体
EP2418705B1 (en) 2010-08-11 2013-07-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Actuato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8320131B2 (en) * 2010-08-11 2012-11-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Actuato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0013058B2 (en) 2010-09-21 2018-07-03 Apple Inc. Touch-based user interface with haptic feedback
CN201955733U (zh) * 2010-11-22 2011-08-31 智点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触控键盘
EP3306449B1 (en) 2011-03-04 2022-03-09 Apple Inc. Linear vibrator providing localized and generalized haptic feedback
US20120268386A1 (en) 2011-04-19 2012-10-25 Karamath James Robert Touch-screen device including tactile feedback actuator
US20130002556A1 (en) 2011-07-01 2013-01-03 Jason Tyler Griffi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switching among different text entry systems on an ambiguous keyboard
KR101452055B1 (ko) * 2012-12-03 2014-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발생장치
US9448628B2 (en) * 2013-05-15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lized key-click feedback
US9514902B2 (en) 2013-11-07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er-less quick tactile feedback key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5297A1 (en) 2005-12-16 2007-07-19 Thilo Sandner Microoptic reflecting component
US20110193787A1 (en) 2010-02-10 2011-08-11 Kevin Morishige Input mechanism for providing dynamically protruding surfaces for user inter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40208A1 (en) 2014-11-20
US9448628B2 (en) 2016-09-20
KR20210084662A (ko) 2021-07-07
CN105518573A (zh) 2016-04-20
US10242821B2 (en) 2019-03-26
US20170040129A1 (en) 2017-02-09
TW201804287A (zh) 2018-02-01
CN105518573B (zh) 2019-07-16
TW201506686A (zh) 2015-02-16
WO2014186428A1 (en) 2014-11-20
KR102401795B1 (ko) 2022-05-24
EP2997447A1 (en) 2016-03-23
KR20160009032A (ko)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411B1 (ko) 국한된 키 클릭 피드백 기법
US1172327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ctuator switch
JP6129994B2 (ja) 局所化された力の感知の為の装置および方法
JP4545168B2 (ja) 力イメージング入力のデバイスとシステム
US9772688B2 (en) Haptic feedback assembly
JP2019517048A (ja) 力感知及び触覚フィードバックを伴うキーレスキーボード
US20100300772A1 (en) Depressable touch sensor
US20140253305A1 (en) Force sensing input device
EP3172652A1 (en) Dynamic input surface for electronic devices
CN110032275B (zh) 用于触摸传感器的动态悬架和被动触觉反馈
WO2023115209A1 (en) Trackpad system with piezo-electric actuators
KR100904001B1 (ko) 촉각센서를 이용한 슬림형 마우스 및 그 제조 방법
EP2946275B1 (en) Input device
JP2011237916A (ja) 静電容量型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