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130B1 - Use restriction type billiard table of billiard ball and billiard cue - Google Patents

Use restriction type billiard table of billiard ball and billiard c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130B1
KR102273130B1 KR1020200062084A KR20200062084A KR102273130B1 KR 102273130 B1 KR102273130 B1 KR 102273130B1 KR 1020200062084 A KR1020200062084 A KR 1020200062084A KR 20200062084 A KR20200062084 A KR 20200062084A KR 102273130 B1 KR102273130 B1 KR 102273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ard
cue
billiard ball
uni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0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드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드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드림진
Priority to KR102020006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1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63D15/10Apparatus for holding or handing-up cues, e.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table with a use-limited-type of a billiard ball and a billiard cue, which increases management efficiency of a billiard hall, comprising: a billiard ball exposing unit (100)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 upper plate part (10); a billiard cue exposing unit (300) for allowing a billiard cue to be exposed; and a control unit (400).

Description

당구공 및 큐대의 사용제한형 당구대{USE RESTRICTION TYPE BILLIARD TABLE OF BILLIARD BALL AND BILLIARD CUE}{USE RESTRICTION TYPE BILLIARD TABLE OF BILLIARD BALL AND BILLIARD CUE}

본 발명은 당구공 및 큐대의 사용제한형 당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구게임의 진행을 위해 필요한 당구공과 큐대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당구장의 관리효율을 높이고, 고객과의 불필요한 분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당구공 및 큐대의 사용제한형 당구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ball and cue table limited use type, and more particularly, to effectively control the use of billiard balls and cue tables necessary for the progress of a billiard game, thereby increas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billiard hall and preventing unnecessary disputes with customers. It relates to a billiards ball and cue table that allows for limited use of the billiard table.

일반적으로 당구는 남녀노소 누구나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실내스포츠로서 포켓볼, 3쿠션, 4구, 나인볼등의 게임으로 구분되며, 그러한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게임종목별로 당구대를 구비하여야 한다. In general, billiards is an indoor sport that can be enjoyed by anyone, regardless of age or gender, and is divided into games such as pocket ball, three-cushion, four-ball, and nine-ball. In order to play such a game, a billiard table must be provided for each game item.

이러한 당구대는 보통 당구장이라는 장소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고 당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각 당구대에는 점수를 계산할 수 있는 주판알 형태의 스코어보드와 큐대를 보관하는 큐대보관대가 비치된다. A plurality of such billiard tables are usually installed in a place called a billiard room to pay a certain fee to use billiards. Each billiard table is equipped with an abacus-shaped scoreboard for calculating scores and a cue table for storing cue tables.

또한, 당구를 이용하기 위한 당구공은 당구장의 카운터에 보관하고 있다가 당구 이용객의 요청에 의해 관리자나 직원이 당구공을 소정의 당구대에 놓아줌으로써 당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addition, billiard balls for using billiards are stored at the counter of the billiard room, and at the request of billiard users, a manager or an employee places the billiard balls on a predetermined billiard table so that billiards can be used.

그러나, 종래의 당구장에서는 당구게임의 종료후 또는 경기가 없는 당구대 등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사용된 당구공과 큐대를 사용하여 연습경기를 함에 따라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고 당구게임을 하려는 고객을 대비한 사전작업(당구대의 청소나 당구공의 크린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billiard room, after the end of the billiard game or at a billiard table where there is no game, a large number of people do not pay a fair fee, but rather pay a fair fee and play a billiard game by using the used billiard ball and cue tab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preliminary work for customers (cleaning the billiard table or cleaning the billiard ball).

또한,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연습경기만을 하는 고객의 증가로 당구장 매출 감소는 물론 연습경기만을 수행하는 고객과의 분쟁으로 인한 당구장 인식의 저하와 몸싸움 유발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ustomers who only play practice games without paying a fair fee, there is a problem in that billiard room sales decrease as well as decrease in awareness of the billiard room due to disputes with customers who perform only practice games and cause physical fight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8038호의 당구장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As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lliard room management system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058038 is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당한 비용의 지불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당구공을 수용한 수용박스와 큐대가 보관된 큐대노출유닛이 당구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당구공과 큐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당구장의 관리효율을 높이고, 고객과의 불필요한 분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당구공 및 큐대의 사용제한형 당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pose the receiving box accommodating the billiard balls and the cue table exposing unit in which the cue table is stored to the outside of the billiard table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when a fair cost is paid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iard ball and cue table with limited use of billiard balls and cue tables, which increases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billiard hall and effectively prevents unnecessary disputes with customers by allowing the use of billiard balls and cue tabl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당구공(40)이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름판(11) 및 상기 구름판(1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틀부재(12)로 이루어진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서포터(20)로 이루어진 당구대에 있어서, 상기 당구공(40)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판부(10)의 하측방향에 위치한 수용박스(30)를 상기 상판부(10)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1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당구공노출유닛(100); 상기 당구공(40)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큐대가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상판부(10)의 하부에 장착되게 설치되고,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상판부(1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큐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큐대노출유닛(300);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과 큐대노출유닛(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과 큐대노출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은 상기 상판부(10)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축에 연결된 상태도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수용박스(30)가 장착된 회전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폴(12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과 상기 회전폴(1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111)의 회전시 상기 회전폴(120)의 연동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컨트롤유닛(200)이 설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upper plate portion (10) comprising a rolling plate (11) allowing the billiard ball (40) to roll and a frame member (12) provid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rolling plate (11). And, in the billiard table comprising the supporter 20 provided to support the top plate 10, the accommodating box 30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op plate 10 in a state in which the billiard ball 40 is accommodated is placed in the a billiard ball exposing unit 100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top plate 10 so as to be exposed by rotating the top plate 10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cue bars for hitting the billiard ball 40 are installed to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10 while seated therein, and ar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10 by a driving signal to move the a cue stand exposing unit 300 for allowing the cue stand to be exposed; A control unit 4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illiard ball exposing unit 100 and the cue table exposing unit 3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illiard ball exposing unit 100 and the cue table exposing unit 300; , the billiard ball exposing unit 100 includes a driving motor 110 mounted on the upper plate portion 10, an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110 i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unted rotating pole (120).
In addition, the driving shaft 111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longitudinal one side of the rotation pole 120 are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ole 120 so that the rotation pole ( A rotation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interlocking rotation of 120 is installed.

삭제delete

또한, 상기 큐대노출유닛(300)은 상기 상판부(10)의 하측에 장착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설치공간(212)이 마련된 장착케이스(310)와, 상기 장착케이스(310)의 내부에 인입출구동부재(320)를 매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큐대가 안착되는 큐대보관케이스(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ue stand exposure unit 300 is installed to b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10, and one side is opened in a mounting case 310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212 therein, and the mounting case 310. It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inlet/outlet driving member 320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ue stand storage case 330 in which a plurality of cue stands are seated.

본 발명에 따르면 정당한 비용의 지불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당구공을 수용한 수용박스와 큐대가 보관된 큐대노출유닛이 당구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당구장의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당구대가 많은 당구장에서 관리인원의 증가를 방지하여 인건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연습경기와 같은 불법적인 당구대 이용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어 당구장의 소득증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air cost is paid, the receiving box containing the billiard balls and the cue table exposing unit in which the cue table is stored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illiard table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billiard room can be increased By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anagers in the billiard room, labor cost savings can be expected, and illegal use of the billiard table such as practice game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ereby increasing the income of the billiard h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공 및 큐대 사용제한형 당구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공노출유닛의 단면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컨트롤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바디의 내측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도 3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큐대노출유닛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a billiard ball and cue table limited use typ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installation state of the billiard ball exposur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state of the rot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inner state of the cas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state view of part A of FIG. 3;
Figure 6 is an enlarged state view of part B of Figure 3;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cue-to-exposur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당구공 및 큐대 사용제한형 당구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Hereinafter, a billiard ball and cue table usage-limited typ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or manufacturer producing the product, and the thickness of the lines shown in the drawing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etc.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공 및 큐대 사용제한형 당구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공노출유닛의 단면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컨트롤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바디의 내측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3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큐대노출유닛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전기적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a billiard ball and cue table limited use typ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installation state of a billiard ball expo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inner state of the cas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state diagram of part A of FIG. 3, and FIG. 6 is part B of FIG. is an enlarged state diagram, FIG.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ate of the cue unit exposur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구공 및 큐대의 사용제한형 당구대는 당구공(40)이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름판(11) 및 상기 구름판(1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틀부재(12)로 이루어진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서포터(20)로 이루어진 당구대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1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당구공(40)이 수용된 수용박스(30)를 상기 상판부(10)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당구공노출유닛(100)과, 다수개의 큐대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상판부(10)의 하부에 장착되어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상판부(1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큐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큐대노출유닛(300)과,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과 큐대노출유닛(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과 큐대노출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to 8, the billiard ball and cu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limited use type billiard table with a rolling plate 11 that allows the billiard ball 40 to roll, and the edge of the rolling plate 11. In a billiard table comprising an upper plate part 10 made of a frame member 12 provided to surround and a supporter 20 provided to support the upper plate part 10, i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part 10 and the billiard ball A billiard ball exposing unit 100 that allows the receiving box 30 in which the 40 is accommodated to be exposed by rotating it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1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ue tables are seated. The cue table exposing unit 300 mounted on the pole and moved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10 by a driving signal to expose the cue table, and the billiard ball exposing unit 100 and the cue table exposing unit 3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illiard ball exposure unit 100 and the cue table exposure unit 300 .

즉, 본 발명에 따른 당구공 및 큐대의 사용제한형 당구대는 평상시 당구게임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당구공과 큐대가 당구대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 위치되고, 당구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당구공과 큐대가 당구대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당구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billiard ball and cue table limited to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the billiard ball and cue table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illiard table when a billiard game is not normally played, and when a billiard game is played, the billiard ball and the billiard table The cue tabl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ol table so that a game of billiards can be performed.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은 상기 당구공(40)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판부(10)의 하측방향에 위치한 수용박스(30)를 상기 상판부(10)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10)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The billiard ball exposure unit 100 rotates the accommodating box 30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op plate 10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10 to be exposed while accommodating the billiard ball 40 . I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10).

즉,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은 당구게임의 진행시 상기 상판부(10)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수용박스(30)를 상기 상판부(10)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용박스(30)에서 상기 당구공(40)을 꺼내어 당구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billiard ball exposure unit 100 rotates the accommodating box 30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top plate 10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10 during the progress of the billiard game, and in the accommodating box 30 The billiard ball 40 is taken out so that the billiard game can be played.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은 상기 상판부(10)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축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수용박스(30)가 장착된 회전폴(12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billiard ball exposing unit 100 as an embodiment includes a driving motor 110 mounted on the upper plate 10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one longitudinal side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110 . It may be composed of a rotating pole 120 on which the receiving box 30 is mounted.

즉, 상기 구동모터(110)는 상기 상판부(10)의 틀부재(12)에 마련된 장착홈(13)에 장착되되 구동축(111)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당구대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틀부재(12)에 상기 장착홈(13)을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구동모터(110)를 장착하도록 하고, 당구대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작과정에서 상기 장착홈(13)이 형성된 상태의 당구대를 제작하여 상기 구동모터(110)의 장착을 손쉽게 이룰 수 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the driving motor 110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13 provided in the frame member 12 of the upper plate 10 and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riving shaft 111, and is applied to the existing billiard table. In this case, the mounting groove 13 is separately formed in the frame member 12 to mount the driving motor 110, an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billiard table, the mounting groove 13 is form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manufacturing a billiard table,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driving motor 110 .

또한, 상기 회전폴(120)은 상기 구동축(111)의 회전시 연통하여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일 예로써 상기 회전폴(120)을 엘보우형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수용박스(30)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rotary pole 120 is configured to be rota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111 , and as an example, the rotary pole 120 is formed in an elbow shape and the receiving box 3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ed.

이때, 상기 당구공(40)이 수용되는 수용박스(30)의 상부에는 별도의 개폐커버구(31)를 설치하여 당구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수용박스(3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당구게임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잠금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수용박스(30)의 내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잠금장치는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후술되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조작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At this time, a separate opening and closing cover sphere 31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box 30 in which the billiard ball 40 is accommodated so that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box 30 can be opened when playing a billiard game. When not playing a billiard gam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box 30 may be closed by a separate locking device (not shown), and the locking device may be manually operated or the controller 4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revealed that it can have a structure that is manipulated by the control signal of

또한, 상기 서포터(20)에는 상기 수용박스(30)가 인입출되는 인서트홀(2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인서트홀(21)은 상기 수용박스(30)의 인입인출은 가능하면서 상기 수용박스(30)가 인입되는 경우 상기 수용박스(30)의 내부에서 당구공을 인출할 수 없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않는 경우에도 상기 당구공(40)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upporter 20 may be formed with an insert hole 21 through which the accommodating box 30 is drawn in and out, and the insert hole 21 allows the accommodating box 30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receiving box 30 . When the box 30 is retracted, it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cannot take out the billiard ball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box 30, so that the use of the billiard ball 40 can be effectively restricted even when the locking device is not provided. will be able to make it

이때, 상기 수용박스(30)는 상기 당구공(40)을 내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당구공(40)을 일렬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서트홀(21)은 상기와 같은 수용박스(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accommodating box 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illiard balls 40 can be stacked and stor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r left and right to store the billiard balls 40 in a line.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insert hole 21 may preferably be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ccommodating box 30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회전폴(12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과 상기 회전폴(1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111)의 회전시 상기 회전폴(의 연동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컨트롤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driving shaft 111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rotation pole 120 are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ole 120 to rotate the driving shaft 111 when the rotation pole ( A rotation control unit 200 to control the interlocking rotation of the may be installed.

즉, 상기 회전컨트롤유닛(200)은 상기 구동모터(110)의 예기치 않은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하게 되어 상기 회전폴(120)이 회전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써,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회전컨트롤유닛(200)은 내부에 설치공간(212)이 형성된 유닛케이스(210)와, 상기 유닛케이스(2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111)의 일측이 연결되는 구동기어구(220)와, 상기 구동기어구(220)에 연결기어구(225)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폴(1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는 회전기어구(230)와, 상기 연결기어구(225)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유닛케이스(210)에 형성된 왕복가이드홈(213)을 따라 왕복이동되어 상기 구동기어구(220)와 회전기어구(230)의 연결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이탈편(240)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at is, the rotation control unit 200 is a safety device that is driven by an unexpected driving signal of the driving motor 110 to prevent the rotation pole 120 from being rotated. The rotation control unit 200 of the unit case 210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212 formed therein, and one side of the drive shaft 111 in a rotatably installed state inside the unit case 210 are connected A driving gear unit 220 and a rotating gear unit 230 to which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rotating pole 120 is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gear unit 220 is rotatably installed via a connecting gear unit 225 as a medium, and the connector Gear departure that reciprocates along the reciprocating guide groove 213 formed in the unit case 21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gear 225 to control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driving gear unit 220 and the rotary gear unit 230 . It may consist of pieces 240 .

즉, 상기 기어이탈편(240)은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연결기어구(225)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유닛케이스(2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이탈편(240)의 길이방향 타측을 상기 유닛케이스(210)의 내측으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연결기어구(225)가 상기 구동기어구(220)와 회전기어구(230)에 기어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구(22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기어구(230)로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기어이탈편(24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구(220)와 회전기어구(230)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구동모터(110)가 구동하더라도 상기 회전폴(1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gear release piece 240 is installed so that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unit case 210 while the connecting gear unit 225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ear detachment piece Whe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240 is pushed into the inside of the unit case 210, the connecting gear 225 is gear-coupled to the driving gear 220 and the rotating gear 230, and the driving gear 220 of The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rotating gear unit 230, and when the gear detachment piece 240 is pull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gear unit 220 and the rotating gear unit 230 is released and the driving motor ( Even if 110) is driven, the rotation of the rotary pole 120 can be limited.

상기 유닛케이스(210)는 내부에 설치공간(212)이 마련된 상태로 내부 하측면에 상기 왕복가이드홈(213)이 형성된 케이스바디(211)와, 상기 케이스바디(211)의 상측에 장착되어 내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커버(215)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unit case 210 includes a case body 211 in which the reciprocating guide groove 213 is formed on an inner lower surface in a state in which an installation space 212 is provided therein,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body 211 to the interior It may be composed of a case cover 215 that allows to close the.

이때, 상기 케이스커버(215)에는 상기 상판부(10)에 장착되어 상기 유닛케이스(2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연결부(2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se cover 215 has a mounting connection part 216 mounted on the upper plate part 10 to fix the unit case 210 .

또한, 상기 구동기어구(220)에는 상기 구동축(111)에 끼움결합되는 축끼움구(221)가 상기 케이스커버(215)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기어구(230)에는 상기 회전폴(120)에 끼움결합되는 폴끼움구(231)가 상기 케이스바디(211)를 관통하여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기어구(225)의 중앙부에는 이탈편연결홀(226)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shaft fitting hole 221 fitted to the drive shaft 111 is formed in the drive gear mechanism 220 to protrude upward through the case cover 215 , and the rotary gear mechanism 230 has the rotation A pole fitting hole 231 fitted to the pole 120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through the case body 211 , and a separation piece connection hole 226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on gear piece 225 . do.

또한, 상기 기어이탈편(240)은 상기 왕복가이드홈(213)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무빙편(241)과, 상기 무빙편(241)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탈편연결홀(226)에 끼움결합되되 상기 연결기어구(225)에 걸림되는 다수개의 걸림후크(244)가 형성된 돌출조인트구(243)와, 상기 무빙편(241)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핑거걸림편(246)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gear departure piece 240 is a moving piece 241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reciprocating guide groove 213, and protrudes upward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piece 241 to the separation piece connection hole ( A protruding joint sphere 243 fitt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hooks 244 to be engaged with the connecting gear unit 225 while being fitted to the 226, and a finger engaging piece 246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piece 2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could be done.

이때, 상기 무빙편(241)에는 상기 케이스바디(211)의 왕복가이드홈(213)에 형성된 무빙제한구(2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대응장공(24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기어이탈편(240)의 왕복이동길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moving piece 241 has a corresponding long hole 242 formed in the reciprocating guide groove 213 of the case body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llow the moving limiting hole 214 to be inserted, so that the gear It is made to limit the reciprocating movement length of the departure piece (240).

또한, 상기 유닛케이스(210)에는 상기 기어이탈편(240)의 왕복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락킹부(25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락킹부(250)는 상기 유닛케이스(210)의 케이스커버(215)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송수신바디(251)와, 상기 송수신바디(251)에 연결된 상태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기어이탈편(240)의 돌출조인트구(243)에 형성된 락킹홈(245)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락킹구(25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locking part 250 may be installed in the unit case 210 to limit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gear detachment piece 240 , and the locking part 250 is the unit case 210 . The transmission/reception body 251 mounted on the case cover 215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protruding joint of the gear detachment piece 240, which are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body 251 and telescopically It may be made of a locking hole 252 that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locking groove 245 formed in the sphere 243 .

즉, 상기 제어부(40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송수신바디(251)에 연결된 상기 락킹구(252)가 상기 기어이탈편(240)으로 이동되어 상기 락킹홈(245)에 끼워지거나 상기 락킹홈(245)에 끼워진 상기 락킹구(252)가 이탈하여 상기 기어이탈편(24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당구게임의 진행시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락킹구(252)가 상기 락킹홈(245)에서 이탈되어 상기 기어이탈편(24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당구공(40)이 상기 상판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by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400, the locking hole 252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body 251 is moved to the gear release piece 240 and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245 or the locking mechanism. The locking sphere 252 fitted in the groove 245 is separa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gear release piece 240 . In this case, the locking ball 252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245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0 during the progress of the billiard game so that the gear detachment piece 240 can be moved, so that the billiard ball (40) i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late (10).

이때, 상기 락킹구(252)가 상기 락킹홈(245)으로부터 이탈되어 락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이탈편(240)의 이동을 사용자가 직접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기어이탈편(240)이 상기 왕복가이드홈(213)에서 왕복이동되는 전자동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At this time, the locking hole 252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245 and the user can directly perform the movement of the gear release piece 240 in the unlocked st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unit ( 400), it is revealed that a fully automatic structure in which the gear release piece 240 reciprocates in the reciprocating guide groove 213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큐대노출유닛(300)은 상기 당구공(40)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큐대가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상판부(10)의 하부에 장착되게 설치되고,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상판부(1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큐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ue table exposure unit 300 is installed to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1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ue tables for hitting the billiard ball 40 are seated therein, and the It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late part 10 so that the cue table can be exposed.

즉, 당구게임의 진행시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큐대노출유닛(300)이 구동되어 상기 상판부(10)의 하부에서 측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내부에 수용된 큐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큐대를 선택한 후에는 다시 상기 상판부(10)의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감춰짐으로써 당구게임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during the progress of the billiard game, the cue table exposing unit 300 is driven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00 so that the cue table accommodated therein can be exposed by sli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top plate 10 to the side. And, after the user selects the cue table, the billiard game can be smoothly progressed by sliding and hiding it again to the lower part of the top plate 10 .

일 실시예로서의 상기 큐대노출유닛(300)은 상기 상판부(10)의 하측에 장착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장착케이스(310)와, 상기 장착케이스(310)의 내부에 인입출구동부재(320)를 매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큐대가 안착되는 큐대보관케이스(33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ue stand exposure unit 300 as an embodiment is installed to b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0, and one side is opened and an installation space is provided therein. The mounting case 310 and the inside of the mounting case 310 It may be composed of a cue stand storage case 330 that is installed to be slidable through the inlet/outlet driving member 320 on the inside, and a plurality of cue stands are seated therein.

이때, 상기 장착케이스(310)의 내측에는 상기 큐대보관케이스(330)의 폭방향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상기 큐대보관케이스(3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지지대(311)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a guide support 311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ue stand storage case 330 by supporting the width direction edge of the cue stand storage case 3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ounting case 310 .

또한, 상기 인입출구동부재(320)는 상기 장착케이스(310)의 폭방향 일측 내부에 장착되게 설치되되 회동축(322)이 상기 큐대보관케이스(330)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모터부재(321)와, 상기 모터부재(321)의 단부에 장착되되 외주연 둘레를 따라 기어날이 형성된 스핀기어구(323)와, 상기 큐대보관케이스(330)의 폭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하측면에 상기 스핀기어구(323)의 기어날에 대응되는 대응기어날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어연결편(324)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pull-in/out drive member 320 is installed to be mounted inside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unting case 310, and the rotation shaft 322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queue storage case 330. Motor member 321. and a spin gear tool 323 mounted on the end of the motor member 321 and having gear blade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a lower side form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e stand storage case 3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rresponding gear blade corresponding to the gear blade of the spin gear mechanism 323 may be formed of a gear connection piece 324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상기 제어부(400)의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부재(321)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스핀기어구(323)와 기어연결편(324)의 기어결합에 의해 상기 큐대보관케이스(330)가 상기 가이드지지대(311)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장착케이스(310)의 외부로 이동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큐대가 노출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motor member 321 is driven by the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 unit 400, the cue stand storage case 330 is guided by the gear coupling between the spin gear mechanism 323 and the gear connection piece 324. As it slides on the support 311 and moves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case 310, the cue board accommodated therein is exposed.

이때, 상기 큐대보관케이스(330)에는 상기 큐대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331)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큐대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큐대보관케이스(330)에서 큐대를 꺼내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부재(321)의 구동을 통해 상기 큐대보관케이스(330)가 다시 상기 장착케이스(31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a sensor unit 331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cue stand is installed in the cue stand storage case 330, and when the user takes out the cue stand from the cue stand storage case 330 to use the cue stand, the control unit 400 By sensing this, the cue stand storage case 330 can be slidably moved back into the mounting case 310 through the driving of the motor member 321 .

여기서, 상기 센서부(331)는 상기 큐대보관케이스(330)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나 상기 큐대의 안착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큐대의 유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Here, the sensor unit 331 may apply various sensors such as a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cue stand storage case 330 or a position sensor installed at the seating position of the cue stand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cue stand It is revealed

또한, 상기 인입출구동부재(320)가 상기 모터부재(321)와 스핀기어구(323), 상기 기어연결편(324)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큐대보관케이스(330)를 슬라이딩 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inlet/outlet drive member 320 is composed of the motor member 321, the spin gear mechanism 323, and the gear connection piece 324,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may be various embodiments that allow for sliding reciprocation.

이와 같이 상기 큐대노출유닛(300)은 기존의 당구대에 즉시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새로 제작되는 당구대에 설치시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적용성 및 제작상의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As such, the cue table exposure unit 300 can be applied immediately to an existing billiard tabl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when installed in a newly manufactured billiard table, thereby providing advantages in applicability and manufacturing.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과 큐대노출유닛(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과 큐대노출유닛(30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당구대가 설치된 당구장의 카운터나 당구대의 인접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illiard ball exposure unit 100 and the cue table exposure unit 300 to control the billiard ball exposure unit 100 and the cue table exposure unit 300 to be driven.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400 may be installed at a counter of a billiard room where the billiard table is installed o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billiard table.

이때,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구동모터(110)와 락킹부(250), 상기 큐대노출유닛(300)의 모터부재(321) 및 센서부(3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0 , the locking unit 250 , the motor member 321 and the sensor unit 331 of the cue stand exposure unit 300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상판부 20: 서포터
30: 수용박스 40: 당구공
100: 당구공노출유닛 110: 구동모터
120: 회저폴 200: 회전컨트롤유닛
210: 유닛케이스 220: 구동기어구
225: 연결기어구 230: 회전기어구
240: 기어이탈편 250: 락킹부
300: 큐대노출유닛 310: 장착케이스
320: 인입출구동부재 330: 큐대보관케이스
400: 제어부
10: upper plate 20: supporter
30: receiving box 40: billiard ball
100: billiard ball exposure unit 110: drive motor
120: gangrene pole 200: rotation control unit
210: unit case 220: drive gear
225: connecting gear 230: rotary gear
240: gear departure piece 250: locking unit
300: cue exposed unit 310: mounting case
320: inlet and outlet drive member 330: queue storage case
400: control unit

Claims (4)

당구공(40)이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름판(11) 및 상기 구름판(1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틀부재(12)로 이루어진 상판부(10)와, 상기 상판부(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서포터(20)로 이루어진 당구대에 있어서,
상기 당구공(40)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판부(10)의 하측방향에 위치한 수용박스(30)를 상기 상판부(10)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1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당구공노출유닛(100); 상기 당구공(40)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큐대가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상판부(10)의 하부에 장착되게 설치되고,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상판부(1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큐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큐대노출유닛(300);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과 큐대노출유닛(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과 큐대노출유닛(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당구공노출유닛(100)은, 상기 상판부(10)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1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축에 연결된 상태도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수용박스(30)가 장착된 회전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공 및 큐대의 사용제한형 당구대.
To support the upper plate portion 10 and the rolling plate 11 that allows the billiard ball 40 to roll, and a frame member 12 provid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rolling plate 11, and the upper plate portion 10 In the billiard table comprising the supporter 20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billiard ball 40 is accommodated, the accommodating box 30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top plate 10 is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10 to be exposed so that i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top plate 10 . a billiard ball exposure unit 100; A plurality of cue bars for hitting the billiard ball 40 are installed to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op plate 10 while seated therein, and ar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top plate 10 by a driving signal to move the a cue stand exposing unit 300 for allowing the cue stand to be exposed; A control unit 4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illiard ball exposure unit 100 and the cue table exposing unit 3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illiard ball exposing unit 100 and the cue table exposing unit 300; ,
The billiard ball exposing unit 100 includes a driving motor 110 mounted on the upper plate 10 and a state in which one longitudinal side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receiving box 30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Restricted use of billiard balls and cue tab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pole (120)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폴(12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과 상기 회전폴(120)의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111)의 회전시 상기 회전폴(120)의 연동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컨트롤유닛(2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공 및 큐대의 사용제한형 당구대.
According to claim 1,
At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rotary pole 120 , a drive shaft 111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rotary pol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rotate the rotary pole 120 when the drive shaft 111 rotates. ) of a billiard ball and cue table,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on control unit 200 is installed to control the interlocking rotation of the billiard ball and cue tab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큐대노출유닛(300)은, 상기 상판부(10)의 하측에 장착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설치공간(212)이 마련된 장착케이스(310)와, 상기 장착케이스(310)의 내부에 인입출구동부재(320)를 매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되 내측에 다수개의 큐대가 안착되는 큐대보관케이스(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공 및 큐대의 사용제한형 당구대.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cue stand exposure unit 300 is installed to b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part 10 and has a mounting case 310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212 therein with one side open, and the mounting case 310. A billiard ball and cue table limited-use type billiard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lidably installed insid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ue table storage case 330 in which a plurality of cue tables are seated.
삭제delete
KR1020200062084A 2020-05-25 2020-05-25 Use restriction type billiard table of billiard ball and billiard cue KR102273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084A KR102273130B1 (en) 2020-05-25 2020-05-25 Use restriction type billiard table of billiard ball and billiard c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084A KR102273130B1 (en) 2020-05-25 2020-05-25 Use restriction type billiard table of billiard ball and billiard c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130B1 true KR102273130B1 (en) 2021-07-05

Family

ID=7689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084A KR102273130B1 (en) 2020-05-25 2020-05-25 Use restriction type billiard table of billiard ball and billiard c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13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18387U (en) * 2009-12-24 2010-11-03 东莞崧崴电子科技有限公司 Billiard table with drawer
CN208244072U (en) * 2018-02-07 2018-12-18 屈国栋 A kind of track ball-collecting device
KR102076788B1 (en) * 2019-11-27 2020-02-12 주식회사 뉴펀코리아 System for managing manless billiard ha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18387U (en) * 2009-12-24 2010-11-03 东莞崧崴电子科技有限公司 Billiard table with drawer
CN208244072U (en) * 2018-02-07 2018-12-18 屈国栋 A kind of track ball-collecting device
KR102076788B1 (en) * 2019-11-27 2020-02-12 주식회사 뉴펀코리아 System for managing manless billiard h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6896B2 (en) Gaming device having a door with a moveable and/or a removable bolster
KR102273130B1 (en) Use restriction type billiard table of billiard ball and billiard cue
JP4589260B2 (en) Game machine
JP4131545B2 (en) Slot machine
JP3454185B2 (en) Gaming machine
KR102321548B1 (en) Use restriction type billiard table
JP7247162B2 (en) game machine
JP2006136509A (en) Variable prize winning device for pachinko game machine
JP5060084B2 (en) Nozzle chute and medallion machine
JP4120204B2 (en) Coin feeding device and game machine
JP5923782B2 (en) Amusement stand
JP4589259B2 (en) Game machine
JP2003024597A (en) Game machine
JP3703790B2 (en) Game machine
JP2022101026A (en) Game machine
JP6182751B2 (en) Amusement stand
JPS63299Y2 (en)
JPH0756063Y2 (en) Pachinko machine
JPS5846864Y2 (en) Game ball launch control device for pinball game machines
JP3784669B2 (en) Game machine
JP2915493B2 (en) Pachinko machine
JP5838507B2 (en) Amusement stand
JP6085412B2 (en) Game machine unit
JP2005342248A (en) Ball withdrawing device for pinball game machine
JPH10179882A (en) Gam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