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994B1 -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994B1
KR102272994B1 KR1020210023765A KR20210023765A KR102272994B1 KR 102272994 B1 KR102272994 B1 KR 102272994B1 KR 1020210023765 A KR1020210023765 A KR 1020210023765A KR 20210023765 A KR20210023765 A KR 20210023765A KR 102272994 B1 KR102272994 B1 KR 10227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adapter
pinboard
boar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관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이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to KR102021002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선단에 배치된 다수의 핀에 의해 검사 대상물을 검사하되, 검사 대상물의 폭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폭으로 제작되는 핀보드; 및 일측이 검사장비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폭이 다른 여러 종류의 상기 핀보드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상기 핀과 상기 검사장비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핀보드는 상기 핀 대향측 후단의 활주판이 상기 어댑터의 타측에 서랍식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수납됨으로써 상기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어댑터와 핀보드를 조립할 때, 외부에서 체결하는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핀보드를 어댑터에 서랍식의 미끄럼 이동으로 수납하여 조립함으로써, 단순히 삽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고, 검사 대상물의 폭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형성되는 핀보드의 교체가 간편하게 된다..

Description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Slip Fastening General Purpose Pinboard Assembly}
본 발명은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어댑터와 핀보드를 조립할 때, 외부에서 체결하는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핀보드를 어댑터에 서랍식의 미끄럼 이동으로 수납하여 조립함으로써, 단순히 삽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고, 검사 대상물의 폭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형성되는 핀보드의 교체가 간편하도록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핀보드(Pin Board) 조립체는 디스플레이의 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대상물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검사 대상물의 일부분에 배치된 접촉부에 핀보드 조립체의 핀을 접속하여 검사를 지시하는 및 모니터링하는 검사장비 본체와 검사 대상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핀보드 조립체는 기판 일측에 핀이 결합되고, 타측에 검사장비 본체와 연결되는 연결부분이 형성되는데, 최근에는 다양한 패널을 검사하기 위해, 핀보드 및 어댑터로 구성되어, 핀보드를 어댑터에서 탈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해 검사 대상물에 따라 핀보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일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10-2004441호의 "핀 보드 조립체"는 검사 대상물과 접속될 수 있도록 헤더(110)와 기판(120) 및 바디(130)를 포함하는 핀보드(100), 검사장비 본체에 연결되어 핀보드(100)가 탈착되는 어댑터(200)로 구성하여, 검사장비 본체에 고정연결된 어댑터(200)에 핀보드(10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어댑터(200)의 양쪽의 록킹부(210)를 핀보드(100)의 외측부(131)에 걸어 록킹부(210)를 회전시키면, 록킹부(210)의 하단의 외측부(131) 내부에 걸려 잠금되며, 잠금상태에서 록킹부(2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킹부(210)와 외측부(131)의 잠금이 해제되어 핀보드(10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이 록킹부(210)를 이용한 핀보드(100) 탈착방식은 양쪽의 외측부(131)에 한 쌍의 록킹부(210)를 구멍에 맞게 위치시켜 삽입하고난 뒤, 양쪽 록킹부(210)를 각각 회전시켜 잠가야지만 핀보드(100)가 어댑터(200)에 고정되므로, 이러한 결합방법은 록킹부(210)와 같이 외부 조작으로 핀보드(100)와 어댑터(200)를 고정하는 수단을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어댑터(200)의 록킹부(210)는 양 측면에 고정되어 위치하고있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검사 대상물에 맞도록 형성된 핀보드(100)가 외측부(131)의 폭 또한 변경되었을 때, 고정된 위치의 록킹부(210)는 핀보드(100)의 양쪽 외측부(131)와 위치하는 폭이 다르게 되므로 고정할 수 없고, 핀보드(100)의 형상에 맞게 어댑터(200)를 새로 제작하면 제조 단가가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댑터(200)는 핀보드(100)를 물리적으로만 결합하는 바, 검사장비 본체와 핀보드(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검사장비 본체에서 별도로 연결수단을 뽑아서 핀보드(100)의 기판(120)과 직접 연결해야 하므로, 핀보드(100)를 탈착할 때 마다 록킹부(210)의 잠금 및 잠금해제 외에도 연결수단을 기판(120)으로부터 접속 및 해제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KR 10-200444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핀보드 조립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어댑터에 핀보드를 탈착할 때, 별도로 고정을 위한 조작을 하지 않고, 핀보드를 어댑터에 수납하는 것 만으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핀보드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검사 대상물에 대응하여 여러 핀보드를 사용할 때, 어댑터를 새로 제작하지 않아도 기존의 어댑터에 다양한 크기의 핀보드를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는 핀보드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는, 선단에 배치된 다수의 핀에 의해 검사 대상물을 검사하되, 검사 대상물의 폭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폭으로 제작되는 핀보드; 및 일측이 검사장비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폭이 다른 여러 종류의 상기 핀보드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상기 핀과 상기 검사장비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핀보드는 상기 핀 대향측 후단의 활주판이 상기 어댑터의 타측에 서랍식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수납됨으로써 상기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핀보드는, 몸체를 이루며, 상기 활주판이 상기 어댑터에 서랍식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된 핀보드몸체부; 다수의 상기 핀을 소그룹으로 묶어 장착하도록, 상기 핀보드몸체부 선단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헤더; 및 선단에 상기 핀이 실장되고, 후단에 상기 어댑터가 접속되도록, 상기 핀보드몸체부에 탑재되는 핀보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몸체를 이루며, 후단이 상기 검사장비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몸체부; 상기 어댑터몸체부 상하면 중 어느 일면에 돌출되어 받이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핀보드가 조립될 때 상기 활주판을 상기 받이홈에 앞뒤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우는 핀보드수납부; 및 선단에 상기 핀보드기판이 접속되고, 후단에 상기 검사장비 본체가 접속되도록, 상기 어댑터몸체부에 탑재되는 어댑터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보드는 핀보드몸체부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핀보드가 조립될 때 어댑터몸체부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지점에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핀보드가 상기 어댑터에 조립될 때, 상기 끼움부에 스냅식으로 억지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돌출부가 전후방향으로 삽탈될 수 있도록, 입구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를 향하여 열리도록 절결된 끼움홈; 상기 끼움홈의 일변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돌출부와 맞닿는 접촉면이 상기 입구에서부터 상기 돌출부 삽입방향으로 상기 끼움홈의 폭을 점차 좁히도록 경사진 스토퍼; 및 상기 돌출부 삽입 시 상기 접촉면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대해 탄력적으로 반발하도록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는 반발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반발스프링을 수용하도록 상기 스토퍼 배면에 형성된 스프링하우징; 및 상기 반발스프링과 나란하게 상기 스프링하우징을 관통해 상기 스토퍼에 나사 결합되어, 정역회전 시 상기 스토퍼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반발스프링의 반력을 조절하는 반력조절나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접촉면의 상기 끼움홈 내측 부분에 상기 접촉면의 경사를 역구배시켜 상기 돌출부가 스냅식으로 끼워맞춤되도록 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주판과 상기 받이홈의 접촉면 중 어느 한 쪽 면은 상기 활주판의 이동 방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안내홈을 포함하고, 다른 한 쪽 면은 상기 활주판이 상기 받이홈에 삽탈될 때 상기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탄력적으로 돌출된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보드기판과 상기 어댑터기판은 상기 어댑터에 상기 핀보드를 조립할 때 상호 접속되고, 분해할 때 상호 해제되도록, 어느 한 쪽은 다른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안 쪽 면에 복수의 제1 접속단자가 실장되고, 다른 한 쪽은 어느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에 접속커넥터가 탑재되되, 상기 접속커넥터는, 어느 한 쪽을 끼우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과 인접하여 상기 제1 접속단자와 접촉하도록 상기 다른 한 쪽에 실장된 복수의 제1 접속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보드기판과 상기 어댑터기판은 상기 어댑터에 상기 핀보드를 조립할 때 상호 접속되고, 분해할 때 상호 해제되도록, 어느 한 쪽은 다른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제1 접속커넥터가 탑재되고, 다른 한 쪽은 어느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상기 제1 접속커넥터와 대면하도록 제2 접속커넥터가 탑재되되, 상기 제1 접속커넥터와 상기 제2 접속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대응면에는 제1 접속핀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대응면에는 상기 제1 접속핀과 접촉하는 제2 접속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접속핀과 상기 제2 접속핀 중 어느 하나는 블레이드핀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블레이드핀이 끼워맞춤되는 소켓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접속커넥터와 상기 제2 접속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대응면에는 정렬유도핀이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대응면에는 상기 정렬유도핀이 삽입되는 정렬유도소켓이 함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보드기판과 상기 어댑터기판은 상기 어댑터에 상기 핀보드를 조립할 때 상호 접속되고, 분해할 때 상호 해제되도록, 어느 한 쪽은 다른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제1 포고블록이 탑재되고, 다른 한 쪽은 어느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상기 제1 포고블록과 대면하도록 제2 포고블록이 탑재되되, 상기 제1 포고블록와 상기 제2 포고블록 중 어느 하나에는 양단에 프로브가 돌출된 제1 포고핀이 몸체를 관통하여 복수로 삽입되고, 다른 하나에는 일단에 프로브가 돌출되고, 타단에 상기 제1 포고핀과 끼워맞춤되는 소켓이 형성된 제2 포고핀이 몸체를 관통하여 복수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에 따르면, 핀보드를 어댑터에 미끄럼하여 수납하고 돌출부를 끼움부에 스냅식으로 억지끼움되도록 하는 바, 별도로 고정을 위한 조작을 하지 않고 단순한 방법으로 간단하게 핀보드를 탈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핀보드를 조립하거나 교체할 때 쉽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기존의 어댑터에 다양한 크기의 핀보드를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는 바, 어댑터를 새로 제작하지 않아도 다양한 핀보드를 탈착할 수 있으므로, 처음 검사장비 본체에 결합된 초기 어댑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제조비와 제조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핀보드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에서 다른 형태의 핀보드를 조립했을 때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의 A를 확대하여 스냅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2의 B를 확대하여 가이드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에서 핀보드기판과 어댑터기판이 슬롯방식으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에서 핀보드기판과 어댑터기판이 슬롯방식으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에서 핀보드기판과 어댑터기판이 블레이드핀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에서 핀보드기판과 어댑터기판이 포고핀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핀보드(10) 및 어댑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핀보드(10)는 선단에 다수의 핀(12a)이 배치되어 검사 대상물을 검사하는 검사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핀보드몸체부(11), 헤더(12) 및 핀보드기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핀보드몸체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보드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검사 대상물과 접할 방향에 상기 헤더(12)가 위치하고, 평판 평태로 형성되며, 헤더(12)에 장착된 핀(12a)의 대향측 후단에 활주판(11a)이 형성되어 어댑터(20)에 서랍식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주판(11a)은 핀보드몸체부(11)의 저면 양측 끝에 위치하여 어댑터(20)에 서랍식으로 수납될 때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헤더(12)는 일측에 핀(12a)이 장착되어 검사 대상물에 직접 접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물의 핀보드몸체부(11)의 선단에 하나 이상 장착되며, 헤더(12) 하나에 다수의 핀(12a)이 소그룹으로 묶여 장착된다.
핀보드기판(13)은 상기 헤더(12)의 핀(12a)이 검사 대상물과 접속되었을 때 연결되어 어댑터(20)에 신호를 전달하는 기판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보드기판(13)의 저면에 탑재되어 선단에 다수의 핀(12a)이 실장되고, 후단에 어댑터(20)가 접속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핀보드(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12)의 장착 갯수나 폭을 임의로 선택하여 핀보드(10) 전체의 폭을 다양하게 제작하면, 검사 대상물의 폭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어댑터(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검사장비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폭이 다른 여러 종류의 핀보드(10)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핀보드(10)가 검사장비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으로서, 어댑터몸체부(21), 핀보드수납부(22) 및 어댑터기판(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어댑터몸체부(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0)의 전체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후단이 검사장비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한 쌍의 록킹부(91)를 구비하여 양쪽에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검사장비 본체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핀보드수납부(22)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몸체부(21)의 하면에 ㄴ자 형태로 돌출돼 어댑터몸체부(21)와의 사이에 받이홈(22a)을 형성함으로써, 핀보드(10)가 조립될 때 활주판(11a)을 받이홈(22a)에 앞뒤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우도록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보드(10)의 폭에 따라서 위치를 달리해 돌출되도록 하여, 핀보드(10)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활주판(11a)과 받이홈(22a)은 접촉면 중 어느 한 쪽 면에 활주판(11a)의 이동 방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되는 안내홈(51)을 형성하고, 다른 한 쪽 면에 활주판(11a)이 받이홈(22a)에 삽탈될 때 안내홈(51)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52)를 탄력적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판(11a)에 안내홈(51)을, 받이홈(22a)에 안내홈(51)에 안내되도록 안내돌기(52)를 형성하고, 안내홈(51)의 끝단에 구멍을 형성하면, 받이홈(22a)에 활주판(11a)을 삽입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돌기(52)가 안내홈(51)에 걸쳐 눌린 상태로 안내홈(51)을 따라 안내되고, 안내홈(51)의 끝단에 형성된 구멍에 다다르면 눌린 상태가 해제되어 구멍에 맞게 탄력적으로 돌출돼 걸리게 되어, 활주판(11a)이 받이홈(22a)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활주판(11a)과 받이홈(22a)의 가이드방식으로 인해 핀보드(10)를 어댑터(20)에 삽입할 때 핀보드(10)이 흔들리거나 삽입방향 외의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핀보드(10)를 단순히 슬라이딩하여 밀어넣는 것 만으로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어댑터기판(23)은 핀보드기판(13)과 검사장비 본체를 연결하는 기판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핀보드기판(13)이 접속되고, 후단에 검사장비 본체가 접속되도록, 어댑터몸체부(21)의 하면에 탑재된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핀보드(10)와 어댑터(20)는 핀보드(10)를 어댑터(20)에 삽입하였을 때, 핀보드(10)가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데,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보드(10)는 핀보드몸체부(11)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에 돌출되는 돌출부(30)를 구비하고, 어댑터(20)는 돌출부(30)와 대응하는 지점에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부(40)를 구비한다.
돌출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보드(10)의 상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끼움부(40)에 걸릴 수 있도록 상단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끼움부(40)는 돌출부(30)를 스냅식으로 억지끼움하여 핀보드(1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몸체부(21)의 돌출부(30)와 대응하는 지점에 전방 즉, 돌출부(30)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며, 돌출부(30)를 스냅식으로 억지끼움하기 위해 끼움홈(41), 스토퍼(42) 및 반발스프링(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끼움홈(41)은 돌출부(30)가 전후방향으로 삽탈되는 부분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0)가 삽탈되는 입구(41a)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돌출부(30)를 향하여 열리도록 절결되어, 돌출부(30)가 들어갈 입구(41a)가 넓어지므로 끼움홈(41)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42)는 돌출부(30)를 끼움홈(4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41)의 일변을 따라 배치되며, 돌출부(30)와 맞닿는 접촉면(42a)이 입구(41a)에서부터 돌출부(30) 삽입방향으로 끼움홈(41)의 폭을 점차 좁히도록 경사져서 형성되며, 따라서 스토퍼(42)는 돌출부(30)가 끼움홈(41)에 삽입될 때 돌출부(30)의 외면에 접촉면(42a)이 접한 상태로 스토퍼(42)를 가압하여 돌출부(30)가 위치한 방향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스토퍼(42)는 접촉면(42a)의 끼움홈(41) 내측 부분에 접촉면(42a)의 경사를 역구배시켜 돌출부(30)가 수용되는 안착홈(42b)을 구비하여, 돌출부(30)가 끼움홈(41)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안착홈(42b)에 스냅식으로 끼워맞춤되도록 한다.
반발스프링(43)은 스토퍼(42)가 탄력을 가지도록 내장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0)를 끼움홈(41)에 삽입 시 접촉면(42a)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대해 탄력적으로 반발하도록 스토퍼(42)를 지지하고, 따라서 돌출부(30)가 안착홈(42b)에 수용되었을 때 스토퍼(42)를 밀어냄으로써 안착홈(42b)에 스냅식으로 끼움맞춤되도록 하며, 반발스프링(43)은 스토퍼(42)의 배면에 형성된 스프링하우징(44)에 수용되어, 스토퍼(42)를 인장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반발하도록 지지한다.
한편, 끼움부(40)는 스토퍼(42)를 가이드하는 안내봉(45)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안내봉(4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발스프링(43)과 나란하게 스프링하우징(44)을 관통해 스토퍼(42)에 나사결합되어, 스토퍼(42)의 이동방향을 반발스프링(43)과 나란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조립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한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1)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0)에 핀보드(10)를 조립할 때 다양한 방법으로 핀보드기판(13)과 어댑터기판(23)을 연결하여 상호 접속되고, 분해할 때 상호 해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첫번째 예로서,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은 다른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안 쪽 면에 복수의 제1 접속단자(61)를 실장하고, 다른 한 쪽은 어느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에 접속커넥터(62)를 탑재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접속단자(61)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보드기판(13)의 일단을 돌출시켜, 그 상하면에 대칭되도록 복수의 단자를 배치한 것으로서, 상기 접속커넥터(62)의 내부에 슬롯식으로 삽탈된다.
접속커넥터(6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속단자(61)가 삽탈되는 부분으로서, 어댑터기판(23)의 핀보드기판(13)과 연결되는 단부에 형성되며, 제1 접속단자(61)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체결홈(62a)을 형성하고, 체결홈(62a)과 인접하여 제1 접속단자(61)와 접촉하도록 실장된 복수의 제1 접속핀(62b)을 상하로 대칭되도록 형성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단자(61)가 체결홈(62a)에 삽입되었을 때 복수의 제1 접속핀(62b)이 제1 접속단자(61)에 접속 가능하게 되므로, 핀보드기판(13)의 제1 접속단자(61)를 어댑터기판(23)의 접속커넥터(62)에 슬롯식으로 삽탈하여 연결가능하게 된다.
또한, 두번째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은 다른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제1 접속커넥터(63)가 탑재되고, 다른 한 쪽은 어느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상기 제1 접속커넥터(63)와 대면하도록 제2 접속커넥터(64)가 탑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접속커넥터(63)와 제2 접속커넥터(64)는 어느 하나의 대응면에는 제1 접속핀(63a)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대응면에는 제1 접속핀(63a)과 접촉하는 제2 접속핀(64a)이 구비되는데, 제1 접속커넥터(63)에 블레이드핀으로 형성된 제1 접속핀(63a)을 구비하고, 제2 접속커넥터(64)에 소켓핀으로 형성된 제2 접속핀(64a)을 구비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보드기판(13)과 어댑터기판(23)을 접속할 때, 제1 접속커넥터(63)와 제2 접속커넥터(64)가 서로 대응하는 면이 접하게 되고, 제1 접속핀(63a)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제2 접속핀(64a)의 소켓에 삽입돼 접촉되게 되므로, 핀보드기판(13)의 제1 접속커넥터(63)를 어댑터기판(23)의 제2 접속커넥터(64)에 블레이드핀을 이용하여 접촉해 연결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접속커넥터(63)와 제2 접속커넥터(64)를 쉽게 정렬하기 위해, 둘 중 어느 하나의 대응면에 정렬유도핀(71)을 돌출시키고, 다른 하나의 대응면에 정렬유도핀(71)이 삽입되는 정렬유도소켓(72)을 함입시킬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속커넥터(64)에 정렬유도핀(71)을 돌출시키고, 제1 접속커넥터(63)에 정렬유도소켓(72)을 함입시켜, 제1 접속커넥터(63)와 제2 접속커넥터(64)를 접촉시킬 때 정렬유도핀(71)과 정렬유도소켓(72)을 정렬하여 삽입하도록 하면, 다수의 제1 접속핀(63a)과 제2 접속핀(64a)을 각각 정렬할 필요없이, 정렬유도핀(71)과 정렬유도소켓(72)의 정렬만으로 정위치하여 정렬가능하게 되므로, 제1 접속커넥터(63)와 제2 접속커넥터(64)의 연결을 더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의 두 예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사용될 수 있어, 교체가 필요한 커넥터를 선택적으로 분해조립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세번째 예시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은 다른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제1 포고블록(81)이 탑재되고, 다른 한 쪽은 어느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제1 포고블록(81)과 대면하도록 제2 포고블록(82)이 탑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포고블록(81)와 제2 포고블록(82)은 둘 중 어느 하나에는 양단에 프로브(83a)가 돌출된 제1 포고핀(83)이 몸체를 관통하여 복수로 삽입되고, 다른 하나에는 일단에 프로브(84a)가 돌출되고, 타단에 상기 제1 포고핀(83)과 끼워맞춤되는 소켓(84b)이 형성된 제2 포고핀(84)이 몸체를 관통하여 복수로 삽입되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고블록(81)에 제1 포고핀(83)을 형성하고, 제2 포고블록(82)에 제2 포고핀(84)을 형성하면, 제1 포고핀(83)의 프로브(83a)가 양단으로 돌출되어 일단의 프로브(83a)는 핀보드기판(13)에 끼워지고, 타단은 제2 포고블록(82) 방향으로 돌출되게 되어 제2 포고핀(84)의 소켓(84b)에 끼워맞춤되며, 제2 포고핀(84)의 프로브(84a)는 어댑터기판(23)에 끼워져 제1 포고핀(83)과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므로, 핀보드기판(13)의 제1 포고블록(81)이 어댑터기판(23)의 제2 포고블록(82)에 포고핀을 이용하여 끼워맞춤돼 연결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범프형 프로브카드 10: 범프기판
11: 범프 12: 검사면
14: 연결면 20: 서브피시비
30: 연결기판 40: 메인피시비
50: 고정커버

Claims (12)

  1. 선단에 배치된 다수의 핀(12a)에 의해 검사 대상물을 검사하되, 검사 대상물의 폭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폭으로 제작되는 핀보드(10); 및
    일측이 검사장비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에 폭이 다른 여러 종류의 상기 핀보드(10)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상기 핀(12a)과 상기 검사장비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핀보드(10)는 상기 핀(12a) 대향측 후단의 활주판(11a)이 상기 어댑터(20)의 타측에 서랍식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수납됨으로써 상기 어댑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보드(10)는,
    몸체를 이루며, 상기 활주판(11a)이 상기 어댑터(20)에 서랍식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된 핀보드몸체부(11);
    다수의 상기 핀(12a)을 소그룹으로 묶어 장착하도록, 상기 핀보드몸체부(11) 선단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헤더(12); 및
    선단에 상기 핀(12a)이 실장되고, 후단에 상기 어댑터(20)가 접속되도록, 상기 핀보드몸체부(11)에 탑재되는 핀보드기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0)는,
    몸체를 이루며, 후단이 상기 검사장비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몸체부(21);
    상기 어댑터몸체부(21) 상하면 중 어느 일면에 돌출되어 받이홈(22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핀보드(10)가 조립될 때 상기 활주판(11a)을 상기 받이홈(22a)에 앞뒤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우는 핀보드수납부(22); 및
    선단에 상기 핀보드기판(13)이 접속되고, 후단에 상기 검사장비 본체가 접속되도록, 상기 어댑터몸체부(21)에 탑재되는 어댑터기판(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핀보드(10)는 핀보드몸체부(11)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20)는 상기 핀보드(10)가 조립될 때 어댑터몸체부(21)의 상기 돌출부(30)와 대응하는 지점에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30)는 상기 핀보드(10)가 상기 어댑터(20)에 조립될 때, 상기 끼움부(40)에 스냅식으로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40)는,
    상기 돌출부(30)가 전후방향으로 삽탈될 수 있도록, 입구(41a)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30)를 향하여 열리도록 절결된 끼움홈(41);
    상기 끼움홈(41)의 일변을 따라 배치되되, 상기 돌출부(30)와 맞닿는 접촉면(42a)이 상기 입구(41a)에서부터 상기 돌출부(30) 삽입방향으로 상기 끼움홈(41)의 폭을 점차 좁히도록 경사진 스토퍼(42); 및
    상기 돌출부(30) 삽입 시 상기 접촉면(42a)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대해 탄력적으로 반발하도록 상기 스토퍼(42)를 지지하는 반발스프링(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2)는 상기 접촉면(42a)의 상기 끼움홈(41) 내측 부분에 상기 접촉면(42a)의 경사를 역구배시켜 상기 돌출부(30)가 스냅식으로 끼워맞춤되도록 하는 안착홈(4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활주판(11a)과 상기 받이홈(22a)의 접촉면 중 어느 한 쪽 면은 상기 활주판(11a)의 이동 방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안내홈(51)을 포함하고, 다른 한 쪽 면은 상기 활주판(11a)이 상기 받이홈(22a)에 삽탈될 때 상기 안내홈(51)을 따라 안내되도록 탄력적으로 돌출된 안내돌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보드기판(13)과 상기 어댑터기판(23)은 상기 어댑터(20)에 상기 핀보드(10)를 조립할 때 상호 접속되고, 분해할 때 상호 해제되도록, 어느 한 쪽은 다른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안 쪽 면에 복수의 제1 접속단자(61)가 실장되고, 다른 한 쪽은 어느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에 접속커넥터(62)가 탑재되되,
    상기 접속커넥터(62)는,
    어느 한 쪽을 끼우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홈(62a); 및
    상기 체결홈(62a)과 인접하여 상기 제1 접속단자(61)와 접촉하도록 상기 다른 한 쪽에 실장된 복수의 제1 접속핀(6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9.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보드기판(13)과 상기 어댑터기판(23)은 상기 어댑터(20)에 상기 핀보드(10)를 조립할 때 상호 접속되고, 분해할 때 상호 해제되도록, 어느 한 쪽은 다른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제1 접속커넥터(63)가 탑재되고, 다른 한 쪽은 어느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상기 제1 접속커넥터(63)와 대면하도록 제2 접속커넥터(64)가 탑재되되,
    상기 제1 접속커넥터(63)와 상기 제2 접속커넥터(64) 중 어느 하나의 대응면에는 제1 접속핀(63a)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대응면에는 상기 제1 접속핀(63a)과 접촉하는 제2 접속핀(64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핀(63a)과 상기 제2 접속핀(64a) 중 어느 하나는 블레이드핀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블레이드핀이 끼워맞춤되는 소켓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커넥터(63)와 상기 제2 접속커넥터(64) 중 어느 하나의 대응면에는 정렬유도핀(71)이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대응면에는 상기 정렬유도핀(71)이 삽입되는 정렬유도소켓(72)이 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12.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보드기판(13)과 상기 어댑터기판(23)은 상기 어댑터(20)에 상기 핀보드(10)를 조립할 때 상호 접속되고, 분해할 때 상호 해제되도록, 어느 한 쪽은 다른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제1 포고블록(81)이 탑재되고, 다른 한 쪽은 어느 한 쪽을 향하는 모서리를 따라 상기 제1 포고블록(81)과 대면하도록 제2 포고블록(82)이 탑재되되,
    상기 제1 포고블록(81)와 상기 제2 포고블록(82) 중 어느 하나에는 양단에 프로브(83a)가 돌출된 제1 포고핀(83)이 몸체를 관통하여 복수로 삽입되고, 다른 하나에는 일단에 프로브(84a)가 돌출되고, 타단에 상기 제1 포고핀(83)과 끼워맞춤되는 소켓(84b)이 형성된 제2 포고핀(84)이 몸체를 관통하여 복수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KR1020210023765A 2021-02-23 2021-02-23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KR10227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65A KR102272994B1 (ko) 2021-02-23 2021-02-23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65A KR102272994B1 (ko) 2021-02-23 2021-02-23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994B1 true KR102272994B1 (ko) 2021-07-05

Family

ID=7689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765A KR102272994B1 (ko) 2021-02-23 2021-02-23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99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150A (ja) * 1997-04-16 1998-11-04 Enplas Corp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20060117238A (ko) * 2005-05-13 2006-11-16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프로브 카드의 조정 기구 및 프로브 장치
KR20080006681U (ko) * 2007-06-26 2008-12-31 세크론 주식회사 테스트보조체
US20100134129A1 (en) * 2008-12-03 2010-06-03 Formfactor, Inc. Mechanical decoupling of a probe card assembly to improve thermal response
KR101923587B1 (ko) * 2018-06-19 2018-11-29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2004441B1 (ko) 2019-03-25 2019-07-29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2032290B1 (ko) * 2019-03-29 2019-10-15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2171682B1 (ko) * 2019-08-07 2020-10-30 주식회사 디엠엔티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블록의 탈착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150A (ja) * 1997-04-16 1998-11-04 Enplas Corp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20060117238A (ko) * 2005-05-13 2006-11-16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프로브 카드의 조정 기구 및 프로브 장치
KR20080006681U (ko) * 2007-06-26 2008-12-31 세크론 주식회사 테스트보조체
US20100134129A1 (en) * 2008-12-03 2010-06-03 Formfactor, Inc. Mechanical decoupling of a probe card assembly to improve thermal response
KR101923587B1 (ko) * 2018-06-19 2018-11-29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2004441B1 (ko) 2019-03-25 2019-07-29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2032290B1 (ko) * 2019-03-29 2019-10-15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2171682B1 (ko) * 2019-08-07 2020-10-30 주식회사 디엠엔티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블록의 탈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3802B1 (ja) 光コネクタ
CN110249229B (zh) 测试探针以及支撑该测试探针的测试插座
US20110038590A1 (en) Fiber management component
US20090279832A1 (en) Hermaphroditic Fibre Optical Connector System
US20100201386A1 (en) Probe board, test fixture, method for making a probe board, and method for testing a printed circuit board (pcb)
US20070103857A1 (en) Computer chassis assembly
US20110206324A1 (en) Multi-Port Shielded Adapter
KR100963566B1 (ko) 프로브 조립체 및 검사장치
KR102272994B1 (ko) 미끄럼 체결식 범용 핀보드 조립체
US20020137389A1 (en) Connection interface system
US20150125119A1 (en) Connector Comprising a Locking Device
CN218470815U (zh) 浮动插头装置
CN211123220U (zh) 排线测试装置
US6828777B2 (en) Fixture for test cards of testing machine
US11391933B2 (en) Optical adapter system
CN212207752U (zh) 一种内套连接器适配装置
CN214845615U (zh) 血液分析仪电路板测试装置
KR20220011962A (ko) 인쇄회로기판 검사기용 핀블록 장치
CN114589644B (zh) 测试治具
US20210011054A1 (en) Secure holder for probe and test jig using the same
US10698001B2 (en) Integrated modular integrated circuit test fixture and handler interface
KR102174269B1 (ko) 칩 부품 검사용 프로브 조립체
CN220154695U (zh) 回路器盒及光纤回路器
TWI720769B (zh) 測試設備及其活動式連結機構
KR100525871B1 (ko) 클립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