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766B1 -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766B1
KR102272766B1 KR1020200149097A KR20200149097A KR102272766B1 KR 102272766 B1 KR102272766 B1 KR 102272766B1 KR 1020200149097 A KR1020200149097 A KR 1020200149097A KR 20200149097 A KR20200149097 A KR 20200149097A KR 102272766 B1 KR102272766 B1 KR 10227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mart farm
humidity
air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익래
정보훈
박종오
Original Assignee
씨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7/00Simultaneous control of variabl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5D1/00 - G05D25/00
    • G05D27/02Simultaneous control of variabl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5D1/00 - G05D25/00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스마트 팜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설물 내부에서 변화되는 온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습도 정보에 따라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여 판단된 모드별로 공조 관리장치를 제어하여 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배관을 통해 온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팜 시설물(100), 온습도 센서(200), 공조 관리장치(300), 제어장치(400), 배관(5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A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ing system of a smart farm}
본 발명은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스마트 팜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설물 내부에서 변화되는 온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습도 정보에 따라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별로 공조 관리장치를 제어하여 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배관을 통해 온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시대는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농업분야를 포함한 많은 산업분야의 변화가 시작되고 있는데, 최근에 요구되는 농업의 목적은 단순히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소품종 대량생산 방식으로 농산물을 공급하는 것이 아닌, 건강하고 풍족한 웰빙(well-being) 식단을 위해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고급 식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농가에서는 쌀과 같은 곡물류부터, 과일류, 채소류까지 다양한 농산물을 경작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부가가치의 농산물을 경작하기 위해 수경재배기, 스마트 팜 시스템과 같은 첨단기술방식의 경작법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현재 농가에서는 고령화에 일손을 구하기 어려운 사정이 겹치면서 스마트 팜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최소의 인력으로도 각종 작물 재배를 진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스마트 팜 시스템을 통한 작물 재배에서 중요한 점은 재배 중인 작물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각각의 작물별로 생장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고 공기를 순환시켜야 하는 것은 공통되는 사항이다.
이때, 스마트 팜 시설물 내부에서 생장중인 작물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난방, 냉방, 제습, 공기순환 모드를 조절해 스마트 팜 시설물 내부 조건을 재배 작물 고유의 자연적인 생장환경에 최대한 근접하게 조성시켜 작물이 받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야 결과적으로 고품질의 작물을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온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스마트 팜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설물 내부에서 변화되는 온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습도 정보에 따라 난방, 냉방, 제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별로 공조 관리장치를 제어하여 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배관을 통해 온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1891호 농장 운영 스마트 시스템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2163호 스마트 그린하우스 제어시스템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9173호 스마트 작물 재배 관리 시스템 및 스마트 작물 재배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온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스마트 팜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설물 내부에서 변화되는 온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습도 정보에 따라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별로 공조 관리장치를 제어하여 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배관을 통해 온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 제습 모드 시에는 배관 내부에 삽입 배치된 탄소 발열선에서 발열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 또는 제습을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 및 가습 모드 시에는 쿨링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냉방 및 가습을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은,
작물 재배를 위한 실내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천창(110)이 설치된 스마트 팜 시설물(100)과;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온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습도 정보를 제어장치(400)로 제공하는 온습도 센서(200)와;
배관(500)에 연결되도록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별로 동작하여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를 배관(500)에 공급하는 공조 관리장치(300)와;
상기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난방, 냉방, 제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별로 천창(110)과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조 관리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0)와;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조 관리장치(300)가 연결되며,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가 공급하는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를 그대로 또는 가열하여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배관(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온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스마트 팜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설물 내부에서 변화되는 온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습도 정보에 따라 난방, 냉방, 제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여 판단된 모드별로 공조 관리장치를 제어하여 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배관을 통해 온습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이므로,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스마트 팜 시설물을 통해 작물 재배를 효과적으로 진행하도록 하여 농촌의 고령화 문제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작물들의 생장에 적합한 생장환경을 조성하여 고품질의 작물을 재배하도록 하여 농가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 제습 모드 시에는 배관 내부에 삽입 배치된 탄소 발열선에서 발열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 또는 제습을 진행하므로, 시설물 내부에서 신속하게 난방 및 제습을 진행하여 작물의 환경에 적합한 생장조건을 조성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 모드 시에는 쿨링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시설물의 냉방을 진행하므로, 물의 친환경적인 속성을 통해 작물에 직접적인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도 쾌적한 환경을 조성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 팜 시설물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 관리장치의 세부 구성도 1
도 5는 본 발명의 공조 관리장치의 세부 구성도 2
도 6은 본 발명의 쿨링부의 세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능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난방 모드 시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냉방 모드 시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습 모드 시 작동 상태도 1
도 11은 본 발명의 제습 모드 시 작동 상태도 2
도 12는 본 발명의 공기순환 모드 시 작동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이하 ‘본 발명’)은, 온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스마트 팜 시설물(100)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200)가 시설물 내부에서 변화되는 온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습도 정보를 제어장치(400)에 제공하면, 상기 제어장치(400)는 측정된 온습도 정보에 따라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별로 공조 관리장치(300)를 제어하여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에 설치된 배관(500)을 통해 온습도가 조절된 공기가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에 공급하도록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10)에 관한 발명이다.
특히,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본 발명의 공조 관리장치(300)는 3-WAY 방식의 공기 유입 덕트부를 갖는 구성으로서, 모드별로 3-WAY 방식의 공기 유입 덕트부를 통해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각기 다른 공기를 유입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10)은 기본적으로 스마트 팜 시설물(100), 온습도 센서(200), 공조 관리장치(300), 제어장치(400), 배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물 재배를 위한 실내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천창(110)이 설치된 스마트 팜 시설물(100)과;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온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습도 정보를 제어장치(400)로 제공하는 온습도 센서(200)와;
배관(500)에 연결되도록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별로 동작하여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를 배관(500)에 공급하는 공조 관리장치(300)와;
상기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난방, 냉방, 제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별로 천창(110)과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조 관리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0)와;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조 관리장치(300)가 연결되며,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가 공급하는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를 그대로 또는 가열하여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배관(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3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은 작물 재배가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외부와 차단되고 일정하게 밀폐되어 일정 크기의 실내공간이 형성된 일종의 온실, 비닐하우스 등을 가리키며,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실내공간에는 작물이 생장하는 재배구역이 형성된다.
여기서,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실내공간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온습도 센서(200), 공조 관리장치(300), 제어장치(400), 배관(500)이 설치되어 재배구역에서 생장중인 작물 재배에 필요한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상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천창(110)이 설치되어 필요시 개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온습도 센서(200)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온습도를 실시간 감지하고, 감지된 온습도 정보를 제어장치(4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온습도 센서(200)의 감지 주기는 사용자가 분 단위, 시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생장환경에 민감한 작물일수록 감지 주기를 짧게 설정해주는 것이 재배에 효과적이다.
도 3, 4를 참조하면,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별로 동작하여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를 연결된 배관(50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1 덕트부(310), 제2 덕트부(320), 제3 덕트부(330), 송풍팬(340), 쿨링부(350), 연결관(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되어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를 연결된 배관(500)에 공급한다.
도 4,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덕트부(310), 제2 덕트부(320), 제3 덕트부(330)는 각각 공조 관리장치(300)에 각각 형성되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외부 또는 내부의 공기를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유입 받는 공기 유입부이다.
상기 제1 덕트부(310), 제2 덕트부(320), 제3 덕트부(330)에는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수단인 제1 개폐수단(311), 제2 개폐수단(321), 제3 개폐수단(331)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 중에 어느 하나의 모드가 판단되면, 상기 제1 덕트부(310), 제2 덕트부(320), 제3 덕트부(330)에 각각 형성된 제1 개폐수단(311), 제2 개폐수단(321), 제3 개폐수단(331)을 개별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외부 또는 내부의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덕트부(310)는 제습 모드 시,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외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고, 상기 제2 덕트부(320)는 난방, 제습, 공기 순환 모드 시,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며, 제3 덕트부(330)는 가습 및 냉방 모드 시,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된다.
도 4, 5를 참조하면, 상기 송풍팬(340)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에 형성되어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제1 덕트부(310), 제2 덕트부(320), 제3 덕트부(330)를 통해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 또는 외부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력과 유입된 공기가 배관(500)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유출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쿨링부(350)는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제3 덕트부(330)가 형성된 부분의 공조 관리장치(300) 내측)에 형성되어 제3 덕트부(330)를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되면 수냉 방식으로 공기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물 공급관(351), 개폐 밸브(352), 쿨링 패드(353), 물 배출부(3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관(351)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쿨링 패드(353) 상측에 공급되도록 하는 배관으로서, 물 공급관(351)의 일측에는 개폐 밸브(352)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 밸브(352)는 물 공급관(351)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개방 되거나 폐쇄되어 쿨링 패드(353)로의 물 공급을 단속한다.
상기 쿨링 패드(353)는 물 공급관(351)을 통해 공급된 물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구성으로, 가습 및 냉방 모드 시, 제3 덕트부(3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쿨링 패드(353)를 수평 방향으로 통과 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는 물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는 공기가 냉각됨과 동시에 수분을 함유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쿨링 패드(353)는 물결 형태의 선형 고형체들의 집합체로서, 물 공급관(351)을 통해 공급된 물이 물결 형태의 선형 고형체들 표면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도록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은 상온 상태에서 주변 공기 온도보다 저온이기 때문에, 공기가 물을 만나게 되면 공기에 포함된 열이 물에 흡수되므로, 물이 흐르는 상기 쿨링 패드(353)를 통해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냉방에 이용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쿨링 패드(353)에 흐르는 물에 공기가 접촉하게 되면 물의 수분이 공기에 전달되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수분이 함유되어 가습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 배출부(354)는 쿨링 패드(353)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쿨링 패드(353)에서 낙하한 물이 공조 관리장치(3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구성으로서 일정 경사면을 갖는 배수판이다.
도 4,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360)의 일측은 공조 관리장치(300)에, 타측은 배관(50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360)은 제1 덕트부(310), 제2 덕트부(320), 제3 덕트부(330)를 통해 공조 관리장치(3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관(500)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된 일종의 공기 유출관로이다.
특히, 상기 연결관(360) 내측으로 형성된 송풍팬(340)에서 발생시키는 송풍력에 의해 공조 관리장치(300)에서 발생시킨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가 연결관(360)을 통해 배관(500)으로 유출된다.
도 1,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400)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별로 천창(110)과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조 관리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400)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200)로부터 온습도 정보를 제공받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외부 온습도 센서(도 1 참조)에서 감지한 외부의 온습도 정보도 제공받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제공받은 정보들을 이용하여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별로 스마트 팜 시설물(100)에서 생장중인 작물에 필요한 환경이 조성되고 유지되도록 천창(110)과 공조 관리장치(300), 탄소 발열선(5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어장치(400)를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환경 상태 관리를 위한 목표 온습도를 직접 설정하거나, 후술할 사용자 단말기(600)를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환경 상태 관리를 위한 목표 온습도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제어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 3을 참조하면, 상기 배관(500)은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조 관리장치(300)가 연결되며,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에서 발생시킨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를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에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배관(500)은 공조 관리장치(300)가 공급하는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를 그대로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가열하여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며, 이를 위해 배관(500)에는 탄소 발열선(510)과 다수의 공기 배출공(520)이 구성된다.
상기 탄소 발열선(5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5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공조 관리장치(300)에서 배관(500)으로 공급된 공기를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모드별로 가열하게 되는데, 난방 모드 시에는 공기를 고열로 가열하여 난방이 되도록 하고, 제습 모드 시에는 공기를 미열로 가열하여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관(500)의 표면에는 다수의 공기 배출공(520)이 형성되어, 공조 관리장치(300)에서 공급된 공기 또는 공조 관리장치(300)에서 공급된 공기를 가열한 공기가 재배구역에 공급되도록 배출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장치(400)가 난방, 냉방, 제습, 가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별로 천창(110)과 공조 관리장치(300), 탄소 발열선(5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난방 모드에 대한 제어장치(4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한 온도 정보에 의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난방 목표 온도(난방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난방 모드를 진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 7, 8과 같이, 공조 관리장치(300), 탄소 발열선(510)을 각각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400)가 난방 모드로 판단했다는 것은,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목표 난방 온도 이하로 내려갔음을 의미하며, 이때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온도는 외부 온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겨울철이어서 밀폐된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온도는 외부 온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음)이기 때문에, 난방을 위해 가열할 공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것이 에너지 사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즉, 온도가 낮은 공기를 가열하는 것보다 온도가 높은 공기를 가열하는 것이 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 사용량이 적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의 제1 개폐수단(311)이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하고, 냉방을 위한 제3 덕트부(330)의 제3 개폐수단(331)도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2 덕트부(320)의 제2 개폐수단(321)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송풍팬(340)이 송풍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여 제2 덕트부(320)를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가 배관(50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탄소 발열선(510)이 난방을 위한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제어하여, 공조 관리장치(300)에서 배관(500)으로 유입된 공기가 가열되어 배관(500)의 공기 배출공(520)을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난방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냉방 모드에 대한 제어장치(4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한 온도 정보에 의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냉방 목표 온도(냉방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냉방 모드를 진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 7, 9와 같이, 공조 관리장치(300)와 천창(110)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400)가 냉방 모드로 판단했다는 것은,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냉방 목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의 제1 개폐수단(311)이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2 덕트부(320)의 제2 개폐수단(321)도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냉방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3 덕트부(330)의 제3 개폐수단(331)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송풍팬(340)이 송풍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여 제3 덕트부(330)를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가 쿨링 패드(353)를 수평으로 통과해 배관(50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쿨링부(350)의 개폐 밸브(352)가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물 공급관(351)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쿨링 패드(353) 상측에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쿨링 패드(353)를 통과 하면서 식혀진 후, 배관(500)의 공기 배출공(520)을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어 냉방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쿨링 패드(353)를 통과 하면서 식혀진 공기는 쿨링 패드(353)를 흐르는 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일정양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가습 효과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400)는 광량 센서에서 감지한 광량 정보를 통해, 낮과 밤을 판단하고, 낮인 경우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 상부에 설치된 천창(110)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밤인 경우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 상부에 설치된 천창(110)이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냉방을 위해 배관(500)의 공기 배출공(520)을 통해 식혀진 공기가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에 있는 상대적으로 더운 공기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상측 공간으로 모이게 되는데, 상측으로 모인 더운 공기가 자연스럽게 개방된 천창(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낮에는 천창(110)을 개방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습 모드에 대한 제어장치(4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한 습도 정보에 의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습도가 설정된 목표 습도(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습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제습 모드를 진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 7, 10, 11과 같이, 공조 관리장치(300), 탄소 발열선(510)을 각각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400)가 제습 모드로 판단했다는 것은,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습도가 설정된 목표 습도 이상으로 올라갔음을 의미하며, 이때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습도와 외부 습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제어장치(400)는 제습할 대상 공기를 선택한다.
즉,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습도가 외부 습도보다 낮으면 제습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반대로,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습도가 외부 습도보다 높으면 제습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서는 제습을 위해서 유입된 공기를 미온으로 가열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의 공기를 선택해 미온으로 가열하는 것이 에너지 사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즉, 습도가 높은 공기를 가열하는 것보다 습도가 낮은 공기를 가열하는 것이 제습 모드를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 사용량이 적게 되기 때문이다.
먼저,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습도가 외부 습도보다 낮은 경우, 도 10을 참조하여 제어장치(4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의 제1 개폐수단(311)이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내부 공기보다 높은 습도인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게 하고, 냉방을 위한 제3 덕트부(330)의 제3 개폐수단(331)도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외부 공기보다 낮은 습도인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2 덕트부(320)의 제2 개폐수단(321)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송풍팬(340)이 송풍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여 제2 덕트부(320)를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가 배관(50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탄소 발열선(510)이 제습을 위한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제어하여, 공조 관리장치(300)에서 배관(500)으로 유입된 공기가 미온으로 가열되어 제습된 후 배관(500)의 공기 배출공(520)을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제습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습도가 외부 습도보다 높은 경우, 도 11을 참조하여 제어장치(4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의 제1 개폐수단(311)이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내부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습도인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냉방을 위한 제3 덕트부(330)의 제3 개폐수단(331)과 제2 덕트부(320)의 제2 개폐수단(321)이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송풍팬(340)이 송풍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여 제1 덕트부(310)를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외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가 배관(50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탄소 발열선(510)이 제습을 위한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제어하여, 공조 관리장치(300)에서 배관(500)으로 유입된 공기가 미온으로 가열되어 제습된 후 배관(500)의 공기 배출공(520)을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제습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가습 모드에 대한 제어장치(4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한 습도 정보에 의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습도가 설정된 목표 습도(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습도) 이하로 내려가면 가습 모드를 진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 7, 9와 같이, 공조 관리장치(30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400)가 가습 모드로 판단했다는 것은,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습도가 설정된 목표 습도 이하로 내려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의 제1 개폐수단(311)이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2 덕트부(320)의 제2 개폐수단(321)도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가습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3 덕트부(330)의 제3 개폐수단(331)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송풍팬(340)이 송풍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여 제3 덕트부(330)를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가 쿨링 패드(353)를 수평으로 통과해 배관(50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쿨링부(350)의 개폐 밸브(352)가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물 공급관(351)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쿨링 패드(353) 상측에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쿨링 패드(353)를 통과 하면서 쿨링 패드(353)를 따라 흐르는 물로부터 수분을 전달 받은 후, 배관(500)의 공기 배출공(520)을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어 가습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냉방 모드와 가습 모드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3 덕트부(330)를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 공기를 유입 받아 냉방이나 가습에 사용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천창(110) 개폐 제어를 하느냐 하지 않느냐에 차이가 있다.
즉, 냉방 모드 시에는 천창(110) 개폐를 수행하지만, 가습 모드 시에는 천창(110) 개폐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공기순환 모드에 대한 제어장치(40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한 온습도 정보에 의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온도가 적정 온도, 내부 습도가 적정 습도이면 공기순환 모드를 진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 7, 12와 같이, 공조 관리장치(30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400)가 공기순환 모드로 판단했다는 것은,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목표 온도(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이고, 내부 습도가 설정된 목표 습도(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습도)이어서, 난방, 냉방, 제습, 가습 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의 제1 개폐수단(311)이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냉방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3 덕트부(330)의 제3 개폐수단(331)도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2 덕트부(320)의 제2 개폐수단(321)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송풍팬(340)이 송풍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여 제2 덕트부(320)를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유입된 공기가 배관(50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 덕트부(320)를 통해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된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 공기가 배관(500)의 공기 배출공(520)을 통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어 공기순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7,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10)은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온습도 정보와 공조 관리장치(300)의 작동 모드 정보를 표시하여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환경 상태와 공조 관리장치(300)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하는 사용자 단말기(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스마트 팜 시설물(100) 목표 온습도 설정 정보를 제어장치(4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6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통신, 터치입력방식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 중에 가장 널리 보급되고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와 공조 관리장치(300)의 작동 모드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6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600)가 제공한 목표 온습도 설정 정보와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공조 관리장치(300)의 모드별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600)를 통해, 도 13과 같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환경 상태와 공조 관리장치(300)의 작동 상태를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팜 시설물(100) 관리를 위한 목표 온습도 설정 정보를 원격으로 제어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어, 스마트 팜 시설물(100)에 대한 원격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100 : 스마트 팜 시설물
200 : 온습도 센서
300 : 공조 관리장치
400 : 제어장치
500 : 배관
6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0)

  1.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작물 재배를 위한 실내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천창(110)이 설치된 스마트 팜 시설물(100)과;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온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습도 정보를 제어장치(400)로 제공하는 온습도 센서(200)와;
    배관(500)에 연결되도록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고,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난방, 냉방, 제습, 공기순환 모드별로 동작하여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를 배관(500)에 공급하는 공조 관리장치(300)와;
    상기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난방, 냉방, 제습, 공기순환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모드별로 천창(110)과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조 관리장치(300)와 배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0)와;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조 관리장치(300)가 연결되며,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가 공급하는 온습도 관리에 필요한 공기를 그대로 또는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가열하여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실내공간으로 배출하는 배관(500)을 포함하되,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외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1 덕트부(310)와,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2 덕트부(320)와,
    냉방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의 내부 공기가 공조 관리장치(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3 덕트부(330)와,
    상기 제1 덕트부(310), 제2 덕트부(320), 제3 덕트부(3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관(500)으로 이송되도록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340)과,
    상기 제3 덕트부(3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쿨링부(350)와,
    상기 제1 덕트부(310), 제2 덕트부(320), 제3 덕트부(3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관(500)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배관(500)에 연결되는 연결관(360)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500)은,
    내부에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발열하는 탄소 발열선(510)이 배치되고, 표면에는 다수의 공기 배출공(5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부(350)는,
    외부의 물이 쿨링 패드(353) 상측에 공급되도록 하는 물 공급관(351)과,
    상기 물 공급관(351)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쿨링 패드(353)로의 물 공급을 단속하는 개폐 밸브(352)와,
    상기 물 공급관(351)을 통해 공급된 물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도록 하고, 제1 덕트부(310) 또는 제3 덕트부(3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수평 방향으로 통과 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는 물에 의해 냉각 되도록 하는 쿨링 패드(353)와,
    상기 쿨링 패드(353)에서 낙하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물 배출부(354)를 포함하고,
    상기 쿨링 패드(353)는,
    물결 형태의 선형 고형체들의 집합체로서, 물 공급관(351)을 통해 공급된 물이 물결 형태의 선형 고형체들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에 의해 난방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와 냉방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3 덕트부(330)는 폐쇄되고,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2 덕트부(320)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의 송풍팬(340)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관(500)에 배치된 탄소 발열선(510)이 난방을 위한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에 의해 냉방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와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2 덕트부(320)는 폐쇄되고, 냉방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3 덕트부(330)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의 송풍팬(340)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외부의 물이 쿨링 패드(353) 상측에 공급되도록 쿨링부(350)의 개폐 밸브(352)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어장치(400)는,
    광량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 상부에 설치된 천창(110)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광량이 설정치 이하인 경우는 스마트 팜 시설물(100) 상부에 설치된 천창(110)이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에 의해 제습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냉방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3 덕트부(330)는 폐쇄되고,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와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제2 덕트부(320) 중 어느 하나만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의 송풍팬(340)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관(500)에 배치된 탄소 발열선(510)이 제습을 위한 목표 온도로 발열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에 의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습도가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습도보다 낮은 경우는 제2 덕트부(320)는 개방되고 제1 덕트부(310)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에 의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습도가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습도보다 높은 경우는 제1 덕트부(310)는 개방되고 제2 덕트부(3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에 의해 가습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와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2 덕트부(320)는 폐쇄되고, 가습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3 덕트부(330)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의 송풍팬(340)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외부의 물이 쿨링 패드(353) 상측에 공급되도록 쿨링부(350)의 개폐 밸브(352)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에 의해 공기순환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팜 시설물(100) 외부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1 덕트부(310)와 냉방을 위해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3 덕트부(330)는 폐쇄되고,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내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조 관리장치(300)의 제2 덕트부(320)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조 관리장치(300)의 송풍팬(340)이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온습도 정보와 공조 관리장치(300)의 작동 모드 정보를 표시하여 스마트 팜 시설물(100) 내부의 환경 상태와 공조 관리장치(300)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스마트 팜 시설물(100) 목표 온습도 설정 정보를 제어장치(400)로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400)는,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와 공조 관리장치(300)의 작동 모드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6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600)가 제공한 목표 온습도 설정 정보와 온습도 센서(200)가 제공하는 온습도 정보를 이용하여 공조 관리장치(300)의 모드별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KR1020200149097A 2020-11-10 2020-11-10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KR10227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097A KR102272766B1 (ko) 2020-11-10 2020-11-10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097A KR102272766B1 (ko) 2020-11-10 2020-11-10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766B1 true KR102272766B1 (ko) 2021-07-05

Family

ID=7689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097A KR102272766B1 (ko) 2020-11-10 2020-11-10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7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7566A (zh) * 2021-12-31 2022-05-13 台州通禾流体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土壤湿度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2438735B1 (ko) * 2022-03-30 2022-08-31 씨이에스 주식회사 작물의 온도 변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스마트팜 온도 제어 시스템
KR102447621B1 (ko) 2021-12-29 2022-09-28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온습도 센서 및 레일을 이용한 온실 내 온습도 제어시스템
KR20230039990A (ko) * 2021-09-15 2023-03-22 나명환 비닐하우스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3128110A1 (ko) * 2021-12-30 2023-07-06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열환경 제어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679A (ko) * 2011-02-23 2012-08-31 이동욱 열에너지 회수형 환기장치
JP2013111072A (ja) * 2011-12-01 2013-06-10 Dyna Air Kk 栽培空間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栽培空間空調方法
KR101316083B1 (ko) * 2013-01-29 2013-10-11 (주) 조흥전력공사 농업용 전기 열풍 공급 장치
KR20160057603A (ko) * 2014-11-14 2016-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열회수 환기장치 및 열회수 환기방법
KR101681891B1 (ko) 2016-02-22 2016-12-05 박기선 농장 운영 스마트 시스템
KR101745518B1 (ko) * 2016-03-07 2017-06-12 주식회사 이너지테크놀러지스 온실용 팬 코일 유닛을 구비한 작물 생육시설의 생육환경 조절 시스템
KR101815149B1 (ko) * 2014-10-31 2018-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봉 히터를 이용한 농축산 시설의 스마트 온습도 제어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89217B1 (ko) * 2017-03-07 2018-08-16 이규도 식물재배용 공조장치
KR101892163B1 (ko) 2016-11-04 2018-08-2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그린하우스 제어시스템
KR20190084699A (ko) * 2018-01-09 2019-07-17 대환카본(주) 근권부 가온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9173A (ko) 2019-08-13 2019-08-26 나경성 스마트 작물 재배 관리 시스템 및 스마트 작물 재배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679A (ko) * 2011-02-23 2012-08-31 이동욱 열에너지 회수형 환기장치
JP2013111072A (ja) * 2011-12-01 2013-06-10 Dyna Air Kk 栽培空間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栽培空間空調方法
KR101316083B1 (ko) * 2013-01-29 2013-10-11 (주) 조흥전력공사 농업용 전기 열풍 공급 장치
KR101815149B1 (ko) * 2014-10-31 2018-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봉 히터를 이용한 농축산 시설의 스마트 온습도 제어 네트워크 시스템
KR20160057603A (ko) * 2014-11-14 2016-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열회수 환기장치 및 열회수 환기방법
KR101681891B1 (ko) 2016-02-22 2016-12-05 박기선 농장 운영 스마트 시스템
KR101745518B1 (ko) * 2016-03-07 2017-06-12 주식회사 이너지테크놀러지스 온실용 팬 코일 유닛을 구비한 작물 생육시설의 생육환경 조절 시스템
KR101892163B1 (ko) 2016-11-04 2018-08-2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그린하우스 제어시스템
KR101889217B1 (ko) * 2017-03-07 2018-08-16 이규도 식물재배용 공조장치
KR20190084699A (ko) * 2018-01-09 2019-07-17 대환카본(주) 근권부 가온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9173A (ko) 2019-08-13 2019-08-26 나경성 스마트 작물 재배 관리 시스템 및 스마트 작물 재배 관리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990A (ko) * 2021-09-15 2023-03-22 나명환 비닐하우스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72553B1 (ko) 2021-09-15 2024-06-04 나명환 비닐하우스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47621B1 (ko) 2021-12-29 2022-09-28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온습도 센서 및 레일을 이용한 온실 내 온습도 제어시스템
WO2023128110A1 (ko) * 2021-12-30 2023-07-06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열환경 제어장치
CN114467566A (zh) * 2021-12-31 2022-05-13 台州通禾流体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土壤湿度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4467566B (zh) * 2021-12-31 2023-01-31 台州通禾流体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土壤湿度智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2438735B1 (ko) * 2022-03-30 2022-08-31 씨이에스 주식회사 작물의 온도 변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스마트팜 온도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766B1 (ko) 스마트 팜 온습도 관리시스템
CN105075731A (zh) 一种人工模拟植物气候箱
KR101898591B1 (ko) 수경재배 시스템
JP2012532308A (ja) 冷熱蓄積技術を用いる気候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889217B1 (ko) 식물재배용 공조장치
KR101510710B1 (ko) 시설 하우스의 냉난방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205611294U (zh) 一种食用菌培养箱
CN105746175A (zh) 一种食用菌培养箱
CN203454321U (zh) 一种节能型可调风量防结露空调系统
CN108522091A (zh) 一种家用植物生长箱及其多目标优化控制方法
CN107166550B (zh) 室内环境调节设备
CN105165585A (zh) 一种全自动家庭植物工厂
KR101926644B1 (ko) 밀폐형 식물 공장의 환경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206596409U (zh) 一种智能植物培育装置
JP6708420B2 (ja) 人工気候室複合型放射式試験装置
Mukazhanov et al. Microclimate control in greenhouses
KR101263333B1 (ko) 에어컨을 이용한 시설원예 공조 시스템
KR101580132B1 (ko) 저온형 버섯재배용 공조시스템
CN109328764A (zh) 一种智慧化育苗密室
JP4529164B2 (ja) 無風環境型植物育成チャンバー及び温度調整方法
KR20230033299A (ko) 냉난방 순환형 송풍 시스템
TWM318913U (en) Cultivation chamber for graft seedling
KR20120122622A (ko) 비닐하우스 냉?난방장치
CN110352747A (zh) 一种用于金银草越冬性能改良的培育装置
CN211458431U (zh) 用于测试实验动物热舒适度的实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