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755B1 - 블록체인 기반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755B1
KR102272755B1 KR1020190154419A KR20190154419A KR102272755B1 KR 102272755 B1 KR102272755 B1 KR 102272755B1 KR 1020190154419 A KR1020190154419 A KR 1020190154419A KR 20190154419 A KR20190154419 A KR 20190154419A KR 102272755 B1 KR102272755 B1 KR 102272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terminal
vehicle
information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549A (ko
Inventor
김찬수
조한얼
이규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5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755B1/ko
Priority to PCT/IB2020/062152 priority patent/WO2021105973A1/ko
Publication of KR2021006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축산 시설로 출입하는 차량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를 포함하며, 차량의 이력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타 단말기로 서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블록체인 방식을 통해 각각 저장하여, 긴급 상황 발생을 감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그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blockchain }
본 발명은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축산 시설로 출입하는 차량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수역사무국(Office International des Epizooties: OIE)에 따르면 질병에 감염된 가축의 치료비와 폐사 등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 규모를 축산물 생산액의 20%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이 외에도 축산 생산자에 대한 수요의 감소, 축산물 수급의 차질에 의한 축산물 가격 변화 등과 같이 생산자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입게 될 피해 등을 포함한 간접 피해액을 고려하면 그 손실은 더욱 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야기하는 가축 질병의 종류는 무수히 많다 이러한 가축 질병들 중 최근 관심도가 높은 전염병으로는 소해면상뇌증(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 BSE), 구제역(Foot and Mouth Disease : FMD), 돼지 콜레라, 오제스키병(Aujeszky's Disease)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구제역은 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 감염되는 질병으로서 전염성이 매우 강하여 세계동물보건기구에서 A급 질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집중 관리되고 있으나 2010년 11월에 경북 안동에서 발생한 후 경기도 전역으로 확산되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힌 바 있었다.
한국의 경우 현재 운영되고 있는 가축 질병의 방역과 검역 방안에는 가축 질병의 예방, 박멸, 확산 방지 활동과, 외국의 가축 질병의 유입 방지를 위한 검역 활동에 관련한 조직과 역할뿐만 아니라 여기에 종사하는 인력, 필요 예산, 관련 법규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가축 질병의 방역 및 검역 조직의 범위에는 「가축전염병예방법」과 「축산물가공처리법」에 의해 규정된 '국민과 국가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제반 업무를 수행하고, 집행하는데 필요한 국가 조직'과 더불어 이를 수행하는 생산자 단체 등 민간 조직이 포함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그 실효성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가축 질병의 방역과 검역 체계의 강화 방안으로는 가축 방역 조직의 강화, 가축 질병 예찰 및 정보 시스템 구축, 인력의 효율적 이용 및 제도 개선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77803호에는 "축산 시설 출입 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에 관한 내용을 개시한다. 개시된 시스템은 축산 시설(농장)을 방문하는 차량의 출입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관리하여 가축 질병 발생시 질병의 역학적 관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수집된 축산 시설 출입 정보를 토대로 차량이 통제 구역에 진입하는 것을 원격으로 식별 통제하여 질병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개시한다.
개시된 시스템은 축산 시설을 출입하는 차량 내외부에 차량 무선 인식 단말기가 탑재되어, 출입 차량이 축산 시설 중심의 위경도 좌표 내에서 일정 범위의 반경 내로 진입하는 것을 검출하여 출입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무선 인식 단말기를 통한 차량의 위치정보 추적은 개인의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운행자의 악의적인 의도에 따라 비활성화될 수도 있을 뿐더러 개인정보의 노출 위험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축산 시설로 출입하는 차량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를 포함하며, 차량의 이력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타 단말기로 서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블록체인 방식을 통해 각각 저장하여, 긴급 상황 발생을 감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차량의 이력 정보를 복수의 타 단말기와 송수신하고,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테이블을 작성하고, 상기 테이블을 복수의 타 단말기와 송수신하고,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테이블을 취합하여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테이블 블록과 이전 테이블 블록을 체인화하여 통합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특정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상기 통합 테이블 블록에서 빠진 단말기가 있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복수의 참여 단말기, 상기 복수의 참여 단말기를 감시하는 감시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는 ID, 응답 여부,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농장 입출입 정보 및 열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방법은 복수의 단말기가 차량의 이력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타 단말기로 서로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기가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블록체인 방식을 통해 각각 저장하여 긴급 상황 발생을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가 차량의 이력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고, 수신한 이력 정보를 테이블로 작성하여 취합한 테이블 블록을 이전 테이블 블록과 체인화하여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해킹 등을 통한 개인의 조작이 불가능하며,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축산 시설로 출입하는 차량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타 단말기로 서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블록체인 방식을 통해 각각 저장함으로써,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태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200)은 복수의 감시 그룹(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감시 그룹(100)은 복수의 단말기(130)를 포함하며, 차량의 이력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타 단말기로 서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블록체인 방식을 통해 각각 저장하여, 긴급 상황 발생을 감시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130)는 축산 차량에 탑재되거나, 축산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 참여 단말기(110)와, 각 축산 농장, 관련된 기관(군청, 도청, 연구기관 등), 법령에 의해 허가된 또는 의부가 부여된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감시 단말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시 단말기(120)가 참여 단말기들(110)과 같이 1/N (N은 감시 단말기 + 참여단말기)의 형태로 참여하게 되면 감시 단말기(120)는 별도로 참여단말기들(1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필요 없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참여단말기들(110)로만 블록체인화된 경우는 이들의 상태 정보 등 어떠한 형태로든 정보가 감시단말기(120)로 전송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의 정보 왜곡 정보 해킹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정보 보안의 레벨을 다소 완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감시단말기(120)는 블록체인화에 제외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복수의 단말기(130)는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타 단말기와 서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단말기(130)는 차량의 이력 정보를 복수의 타 단말기와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130)는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테이블을 작성한다. 여기서 이력 정보는 ID, 응답 여부,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농장 입출입 정보 또는 열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농장 입출일 정보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응답 여부는 핑 테스트(Ping test)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는 GP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기(130)를 사용하는 각 사용자는 본인을 특정할 수 있는 이름이나 차량 번호 등과는 별개로 ID 를 부여받게 되므로 익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130)가 서로 교환하는 이력 정보는 모두 암호화되어 임의로 열람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말기(130)는 이력 정보가 아닌 종합적인 정보(평균값, 중앙값 등)은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130)는 통신망을 통해 작성한 테이블을 다시 복수의 타 단말기와 송수신한다. 즉 복수의 단말기(130)는 작성한 테이블을 서로 다른 타 단말기로 전송하고, 각각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테이블을 작성된 테이블에 취합하여 테이블 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기(130)는 생성한 테이블 블록과 이전 테이블 블록을 체인화하여 통합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130)는 특정 단말기로부터 이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단말기(130) 각각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특정 단말기로부터 이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기의 전원을 끄는 등의 행위로 간주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130)는 통합 테이블 블록에서 빠진 단말기가 있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단말기(130)는 통합 테이블 블록에서 빠진 단말기가 있을 시에 단말기의 전원을 끄는 등의 행위로 간주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복수의 단말기(13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감염 위험 구역에 출입한 경우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이력 정보를 열람하는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단말기(130)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200)은 복수의 단말기(130)가 차량의 이력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고, 수신한 이력 정보를 테이블로 작성하여 취합한 테이블 블록을 이전 테이블 블록과 체인화하여 복수의 단말기(130) 각각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해킹 등을 통한 개인의 조작이 불가능하며,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축산 시설로 출입하는 차량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200)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타 단말기로 서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블록체인 방식을 통해 각각 저장함으로써,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태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30)는 통신부(131), 저장부(132), 위치 인식부(133) 및 제어부(134)를 포함한다.
통신부(131)는 타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131)는 타 단말기에 이력 정보를 전송하거나, 타 단말기로부터 이력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31)는 이력 정보를 취합한 테이블을 타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타 단말기로부터 이력 정보를 취합한 테이블을 수신한다.
저장부(132)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단말기(13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32)는 이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통합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2)는 생성된 이력 정보, 테이블 블록, 통합 테이블 블록을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인식부(133)는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인식부(133)는 GPS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위치 인식부(133)는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GPS를 통해 단말기가 탑재되거나 소지하고 있는 축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34)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제어부(134)는 이력 정보 생성 모듈(134a), 테이블 블록 생성 모듈(134b), 블록 체인 생성 모듈(134c) 및 긴급 상황 통지 모듈(134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력 정보 생성 모듈(134a)은 응답 여부,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농장 입출입 정보 또는 열람 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31)를 통해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테이블 블록 생성 모듈(134b)은 먼저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때 테이블 블록 생성 모듈(134b)은 작성한 테이블을 통신부(131)를 통해 복수의 타 단말기로 전송하고,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타 단말기의 테이블을 수신한다. 그리고 테이블 블록 생성 모듈(134b)은 자신의 테이블과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테이블을 취합하여 테이블 블록 생성한다.
블록 체인 생성 모듈(134c)은 테이블 블록 생성 모듈(134b)에 의해 생성된 테이블 블록과, 이전 테이블 블록을 체인화하여 통합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부(132)에 저장한다. 즉 블록 체인 생성 모듈(134c)은 이전에 생성된 이전 테이블 블록과, 현재에 생성된 현재 테이블 블록들을 연속적인 통합 테이블 블록으로 체인화하고, 이전 블록의 Hash 키 값을 함께 참조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블록 체인 생성 모듈(134c)은 Hashing Function을 통해 블록의 고유 Hash 키값을 만들고, 이를 다른 단말기와 교차 검증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확보한다.
긴급 상황 통지 모듈(134d)은 무결성이 검증된 통합 테이블 블록들을 분석하여 긴급 상황을 판단한다.
예컨데 긴급 상황 통지 모듈(134d)은 특정 단말기로부터 이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긴급 상황 통지 모듈(134d)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특정 단말기로부터 이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기의 전원을 끄는 등의 행위로 간주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긴급 상황 통지 모듈(134d)은 통합 테이블 블록에서 빠진 단말기가 있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긴급 상황 통지 모듈(134d)은 통합 테이블 블록에서 빠진 단말기가 있을 시에 단말기의 전원을 끄는 등의 행위로 간주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긴급 상황 통지 모듈(134d)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감염 위험 구역에 출입한 경우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이력 정보를 열람하는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보 수집의 실제 사례를 설명한다. 본 사례에 따르면, 1 내지 5번 단말이 있으며, 2번 단말은 통제센터에서 소유로 감시 단말에 해당하는 예이다.
예컨대 10초 간격으로 각 단말들은 서로의 이력정보를 교환한다. 또한, 프라이버시 보호단계를 높음과 낮음 2가지 단계로 구분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라이버시 보호단계가 낮은 단계는 위반감지가 있는 경우나 위반감지가 없는 경우 모두 위치정보를 다 전달하게 되지만, 프라이버시 보호단계가 높은 단계에서는 위반김지가 있는 경우에만 위치정보를 전달하게 되는 경우이다.
<프리이버시 보호 단계가 낮은 경우>
각 셀 별 기록 방식은 위반 여부 "0" 또는 "1" / 통신 두절 또는 누락 여부 "0" 또는 "1" / 차량 좌표 "xxxxxxxx,xxxxxxxxx", 차량좌표 누락시 "0.0"이다. 예컨대 10초 간격으로 각 단말들은 서로의 이력정보를 교환한다. 14:01:20 시각와 14:01:30 시각의 각 단말끼리의 이력정보 교환하는 테이블을 간략히 예시하고 있다.
먼저, 14:01:20 시각의 경우, 이동차량 단말 중 3번 차량 단말에 대한 2번 감시단말의 기록이 통신 두절로 누락된 상황으로 해당 gps 정보 수집 및 판단 불가로 예시된 상황이다. 표 1-1에서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표 1-1]
Figure 112019122375600-pat00001
다음으로, 14:01:30 시각, 이동차량 단말 중 1번 차량의 지역이탈(위반)을 하였고, 4번 단말은 1번 차량에 대한 통신 두절로 감시 누락되고. 5번 단말은 4번 단말에 대한 감시 누락된 상황을 도시하고, 1, 2, 3, 5번 단말은 1번 차량의 위반을 감지한 상황으로 표 1-2에 도시하고 있다.
[표 1-2]
Figure 112019122375600-pat00002
<프리이버시 보호 단계가 높은 경우>
동일한 상황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단계가 높은 경우는 표2-1과 표 2-2에 도시하고 있다.
각 셀 별 기록 방식은 위반 여부 "0 ~ 5" (단말 0개 내지 5개) / 통신 두절 또는 누락 여부 "0 ~ 5" (단말 0개 내지 5개), / 위반 gps 8계단좌표. 감지 없을 시 0이다. 예컨대 10초 간격으로 각 단말들은 서로의 이력정보를 교환한다. 14:01:20 시각와 14:01:30 시각의 각 단말끼리의 이력정보 교환하는 테이블을 간략히 예시하고 있다.
[표 2-1]
Figure 112019122375600-pat00003
[표 2-2]
Figure 112019122375600-pat00004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감시단말(통제센터)의 정책에 따라 1,2 번 테이블의 기록사항으로, gps 보조 배터리 상태, 전원 케이블 상태(강제 전원 철거), 기준시간 이상 누락 시 경보 발생 여부 등의 기록이나 프라이버시 단계 조정 트리거 등의 사항을 추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10 단계에서 단말기는 복수의 타 단말기와 서로 이력 정보를 송수신한다.
다음으로 S20 단계에서 단말기는 제n 단말기로부터 정보 수신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
S20 단계에서 정보 수신에 성공하면, 단말기는 S40 단계에서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테이블을 작성한다.
S20 단계에서 정보 수신에 실패하면, S30 단계에서 정보 수신에 실패한 제n 단말기는 공란으로 하여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테이블을 작성한다.
다음으로 S50 단계에서 단말기는 복수의 타 단말기와 서로 테이블을 송수신한다.
다음으로 S60 단계에서 단말기는 송수신한 테이블을 취합하여 테이블 블록을 생성한다. 즉 자신의 테이블과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테이블을 취합하여 테이블 블록 생성한다. 또한 단말기는 생성된 테이블 블록과, 이전 테이블 블록을 체인화하여 통합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즉 단말기는 이전에 생성된 이전 테이블 블록과, 현재에 생성된 현재 테이블 블록들을 연속적인 통합 테이블 블록으로 체인화하고, 이전 블록의 Hash 키 값을 함께 참조하여 저장한다. 즉 단말기는 Hashing Function을 통해 블록의 고유 Hash 키값을 만든다.
다음으로 S70 단계에서 단말기는 Hash 키값을 다른 단말기와 교차 검증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확보한다.
이때 Hash 키값이 일치 하지 않으면, S80 단계에서 단말기는 유효하지 않은 블록으로 판단하여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해당 프로세스를 재시작한다.
Hash 키값이 일치 하면, S90 단계에서 단말기는 무결성이 검증된 통합 테이블 블록들을 분석하여 긴급 상황을 판단한다.
다음으로 S100 단계에서 단말기는 경보 신호가 필요하면 S110 단계에서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데 단말기는 특정 단말기로부터 이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단말기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특정 단말기로부터 이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기의 전원을 끄는 등의 행위로 간주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통합 테이블 블록에서 빠진 단말기가 있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단말기는 통합 테이블 블록에서 빠진 단말기가 있을 시에 단말기의 전원을 끄는 등의 행위로 간주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감염 위험 구역에 출입한 경우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이력 정보를 열람하는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방법은 복수의 단말기가 차량의 이력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고, 수신한 이력 정보를 테이블로 작성하여 취합한 테이블 블록을 이전 테이블 블록과 체인화하여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해킹 등을 통한 개인의 조작이 불가능하며,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축산 시설로 출입하는 차량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방법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타 단말기로 서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블록체인 방식을 통해 각각 저장함으로써,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100 : 감시 그룹 110 : 참여 단말기
120 : 감시 단말기 130 : 단말기
131 : 통신부 132 : 저장부
133 : 위치 인식부 134 : 제어부
134a : 이력 정보 생성 모듈 134b : 테이블 블록 생성 모듈
134c : 블록 체인 생성 모듈 134d : 긴급 상황 통지 모듈
200 :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Claims (8)

  1. 축산시설을 출입하는 차량의 단말기를 통해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이력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타 단말기로 서로 송수신하여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블록체인 방식을 통해 각각 저장하여,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통해서 긴급 상황 발생을 감시하는 복수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그룹; 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차량의 이력 정보를 복수의 타 단말기와 송수신하고,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테이블을 작성하고, 상기 테이블을 복수의 타 단말기와 송수신하고,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테이블을 취합하여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테이블 블록과 이전 테이블 블록을 체인화하여 통합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가 서로 교환한 이력 정보는 임의로 열람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특정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상기 통합 테이블 블록에서 빠진 단말기가 있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복수의 참여 단말기;
    상기 복수의 참여 단말기를 감시하는 감시 단말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는,
    ID, 응답 여부,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농장 입출입 정보 및 열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7. 축산시설을 출입하는 차량의 단말기를 통해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기가 차량의 이력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타 단말기로 서로 송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테이블을 작성하고, 상기 테이블을 복수의 타 단말기와 송수신하고, 복수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테이블을 취합하여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테이블 블록과 이전 테이블 블록을 체인화하여 통합 테이블 블록을 생성하여 저장하되,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블록체인 방식을 통해 각각 저장하여, 각 단말기의 위치 및 교신 가능 여부를 통해서 긴급 상황 발생을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가 서로 교환한 이력 정보는 임의로 열람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수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특정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력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시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수집 방법.
KR1020190154419A 2019-11-27 2019-11-27 블록체인 기반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102272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19A KR102272755B1 (ko) 2019-11-27 2019-11-27 블록체인 기반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PCT/IB2020/062152 WO2021105973A1 (ko) 2019-11-27 2020-12-18 블록체인 기반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19A KR102272755B1 (ko) 2019-11-27 2019-11-27 블록체인 기반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549A KR20210065549A (ko) 2021-06-04
KR102272755B1 true KR102272755B1 (ko) 2021-07-05

Family

ID=7612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419A KR102272755B1 (ko) 2019-11-27 2019-11-27 블록체인 기반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2755B1 (ko)
WO (1) WO202110597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61237A1 (en) 2016-08-30 2018-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ifying Behavior of Autonomous Vehicle Based on Advanced Predicted Behavior Analysis of Nearby Driv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50B1 (ko) * 2014-12-31 2016-02-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운전 유형 정보를 이용한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라우팅 방법
KR20160139907A (ko) * 2015-05-29 2016-12-07 전자부품연구원 개인 이동 수단의 군집 주행 안전 지원 장치 및 방법
JP7421856B2 (ja) * 2017-08-23 2024-01-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運転管理システム、車両、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164187B1 (ko) * 2019-08-20 2020-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의 군집주행 차량 제어 방법 및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군집주행 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61237A1 (en) 2016-08-30 2018-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ifying Behavior of Autonomous Vehicle Based on Advanced Predicted Behavior Analysis of Nearby Dr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549A (ko) 2021-06-04
WO2021105973A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An intelligent RFID-enabled authentication scheme for healthcare applications in vehicular mobile cloud
Marks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uicide prediction
Gupta et al. Toward the understanding of national culture in the success of non‐pharmaceutical technological interventions in mitigating COVID-19 pandemic
Gogolin The digital crime tsunami
Neupane How conservation will be impacted in the COVID‐19 pandemic
JP2018516419A (ja) 標準化されたフォーマットでサイバー脅威情報を安全に配送し交換する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システム
JP5008633B2 (ja) プライバシー侵害監視装置、プライバシー侵害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Pozo et al. Analysis of the cattle movement network and its association with the risk of bovine tuberculosis at the farm level in Castilla y Leon, Spain
CN10877770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异常行为处理方法及系统
US9563770B2 (en) Spammer group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7483438A (zh) 一种基于大数据的网络安全态势感知预警系统和方法
US20140026226A1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preventing information leakage
McLachlan et al. Bluetooth Smartphone Apps: Are they the most private and effective solution for COVID-19 contact tracing?
McLachlan et al.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COVID-19 contact tracing methods and how to resolve them with a Bayesian network approach
CN110149319A (zh) Apt组织的追踪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Datta Burton et al. The UK Code of Practice for Consumer IoT Cybersecurity: where we are and what next
Prince Reproductive health surveillance
O’Connor et al. For the greater good? Data and disasters in a post-COVID world
CN113535518B (zh) 一种用户行为的分布式实时动态监控方法及系统
Juneidi Covid-19 tracing contacts apps: technical and privacy issues
KR102272755B1 (ko) 블록체인 기반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Boutet et al. Contact Tracing by Giant Data Collectors: Opening Pandora's Box of Threats to Privacy, Sovereignty and National Security
US20220292953A1 (en) Mobile collection of sensitive information including tracking system and method
CN111739655A (zh) 提示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Alshareef et al. Using social media and the mobile cloud to enhance emergency and risk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