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701B1 -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 Google Patents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701B1
KR102272701B1 KR1020190158997A KR20190158997A KR102272701B1 KR 102272701 B1 KR102272701 B1 KR 102272701B1 KR 1020190158997 A KR1020190158997 A KR 1020190158997A KR 20190158997 A KR20190158997 A KR 20190158997A KR 102272701 B1 KR102272701 B1 KR 102272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oved
expansion hole
gayageum
upper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9766A (en
Inventor
최상화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701B1/en
Priority to PCT/KR2020/016652 priority patent/WO2021112468A1/en
Publication of KR2021006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7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은, 현이 가로 질러 놓여지고, 상기 현의 진동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그 현에 대응되는 개수의 안족이 설치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울림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은, 상기 현의 진동에 의한 음량을 확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울림공간과 소통되는 음량 확장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acoustics. The improved sound gayage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ate on which a string is placed across, and an anjok corresponding to the string is installed so as to expand the vibration of the string; and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late so as to form a resonant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wherein the upper plate includes the resonant spac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lume expansion hole to communicate.

Description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Gayageum with improved sound}Gayageum with improved sound

본 발명은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량의 확대를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의 선택이나 취향에 따라 음량과 음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which enables volume expansion and control of volume and tone according to user's selection or taste.

우리나라는 인간문화재 제도의 도입으로 예로부터 이어져 온 전통 방식으로 가야금(도 1 참조)을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 방식의 가야금에 의하면 소리의 울림이 현을 지지하는 안족을 통해 본체를 거쳐 하판의 구멍을 통해 확대되기 때문에 서양 악기에 비해 통의 울림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In Korea, gayageum (see Fig. 1) is produced in a traditional way that has been passed down since ancient tim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uman cultural property system. According to this traditional gayageu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sonance of the barrel is weaker than that of Western instruments because the resonance of the sound is expanded through the main body through the anjok that supports the strings and through the hole in the lower plat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5-0099923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0999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95030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09503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62260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06226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리의 울림을 확장시킬 수 있게 하는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that can expand the resonance of soun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량과 음색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에 관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which allows volume and tone to be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은, 현이 가로 질러 놓여지고, 상기 현의 진동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그 현에 대응되는 개수의 안족이 설치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울림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은, 상기 현의 진동에 의한 음량을 확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울림공간과 소통되는 음량 확장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includes: a top plate on which strings are placed across, and the number of anjoks corresponding to the strings is installed so as to expand the vibration of the strings; and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late so as to form a resonant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wherein the upper plate includes the resonant spac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lume expansion hole to communicate.

상기 음량 확장공은, 연주자의 현 튕김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olume expansion hole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er's string bouncing portion.

본 발명은, 상기 음량 확장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음량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olume control member movably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volume expansion hole.

본 발명은, 상기 울림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선택적으로 구획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울림공간을 두 개의 공간을 구획시키는 제1위치와 하나의 공간이 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울림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부재; 및 상기 울림공간에 배치된 구획부재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 및 하판과 함께 상기 울림공간을 형성시키는 측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구획부재에 연결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electively dividing the reverberation space into two spaces, so that the reverberation space can be rotated between a first position dividing the two spaces and a second position making it a single space, a partition memb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sounding space; and an operation member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side plate forming the resonance space together with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partition member so that the partition member disposed in the resonance space can be operated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상기 음량 확장공은, 연주자의 현 튕김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확장공과, 상기 복수의 안족들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확장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volume expansion hole may include a first expansion hol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er's string bouncing portion, and a second expansion hole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inner fee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은, 기존 가야금 구조와는 달리 상판에 내부 울림공간으로 통하는 음량 확장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현을 튕길 때의 음량이 상기 음량 확장공 및 울림공간에 의해 확대될 수 있게 하여, 기존 가야금이 상판을 거쳐 내부 공간으로 확대되는 것에 비해 음량을 더욱 크게 확장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The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existing gayageum structure, has a volume expansion hole on the upper plate that leads to the inner resonance space, so that the volume when the string is bounced is the volume expansion hole And by allowing it to be expanded by the reverberation space,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volume to be expanded mor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existing gayageum being expanded 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top plate.

도 1은 일반적인 가야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
도 5은 도 4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의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gayageum.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V-IV of FIG. 3 .
5 is a V-V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VIII of FIG.
9 is a plan view of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of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acous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order to clarify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well-known techniques fo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examples are detailed description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of course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equivalent invention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identification symbols mean the same configuration, and unnecessary redundant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of well-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will also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기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이며, 도 5은 도 4의 Ⅴ-Ⅴ 단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acou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V-IV of FIG. 3, and FIG. 5 is a view of FIG. It is a Ⅴ-Ⅴ cross-sectional view.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은, 서양 악기의 기타와 같이 울림통을 갖도록 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상판(1)과 하판(2)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은 음량 확장공(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and 3,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mproved structure to have a resonant tube like a guitar of a Western musical instrument, and includes an upper plate (1) and a lower plate ( 2), but the top plate (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olume expansion hole (11).

상기 음량 확장공(11)은 연주자의 현 튕김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현 튕김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확장공(11a)과, 상기 복수의 안족(A)들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확장공(1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확장공(11b)은, 상기 안족을 통해 울리는 소리를 더욱 확장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The volume expansion hole 11 may be formed on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er's string bouncing por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hole 11a formed at the string bouncing position, and the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second expansion hole (11b)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eye feet (A). Here, the second expansion hole 11b serves to further expand the sound resonating through the inner foot.

상기 상판(1)은 현이 가로 질러 놓여지는 부분으로, 상기 현의 진동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그 현에 대응되는 개수의 안족(A)이 설치된다. The upper plate 1 is a part on which the strings are placed across, and the number of anjoks (A) corresponding to the strings is installed so as to expand the vibration of the strings.

상기 하판(2)은 상기 상판(1)에 결합되어서, 상기 상판(1)과의 사이에 울림공간(30)을 형성시킨다. The lower plate 2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1 to form a resonant space 30 between the upper plate 1 and the upper plate 1 .

본 발명에 채용된 상기 상판(1)은, 상기 울림공간(30)과 소통되는 음량 확장공(1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현의 진동에 의한 음량을 확대시켜 줄 수 있게 한다. The upper plate 1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lume expansion hole 11 that communicates with the sounding space 30 to increase the volume by vibration of the string.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은, 기존 가야금 구조와는 달리 상판(1)에 내부 울림공간(30)으로 통하는 음량 확장공(11)이 형성되어 있어서, 현을 튕길 때의 음량이 상기 음량 확장공(11) 및 울림공간(30)에 의해 확대될 수 있게 하여, 기존 가야금이 상판(1)을 거쳐 내부 공간으로 확대되는 것에 비해 음량을 더욱 크게 확장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The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acou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unlike the existing gayageum structure, is formed with a volume expansion hole 11 leading to the internal resonant space 30 on the top plate 1, By allowing the volume when bouncing the strings to be expanded by the volume expansion hole 11 and the reverberation space 30, the volume can be expanded to a greater extent compared to the existing gayageum being expanded 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top plate (1). It allows you to anticipate the advantages that make it possible.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음량 확장공(11)은, 연주자의 현 튕김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현의 튕김에 의한 소리가 곧바로 상기 음량 확장공(11)을 통해 확장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olume expansion hole 11 employed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er's string bouncing part so that the sound caused by the string bouncing can be directly expanded through the volume expansion hole 11 desirable.

본 실시예는,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울림공간(30)을 구획하여 현이 튕겨지는 부분에서의 울림과 안족에서의 울림이 효과적으로 확대될 수 있게 하는 구획부재(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shown in FIGS. 4 and 5, the partition member 35 that divides the sounding space 30 so that the echo in the part where the strings are bounced and the echo in the inner foot can be effectively expanded. is made including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제1확장공(11a)과 제2확장공(11b)을 포함하는 음량 확장공(11)은 상판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항상 개방되어 있도록 구현 가능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음량 확장공(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하는 음량 조절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The volume expansion hole 11 including the first expansion hole 11a and the second expansion hole 11b can be implemented so that it is always open by forming a hole in the upper pl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i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volume control member 4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volume expansion hole 11 .

즉, 상기 음량 조절부재(4)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취향에 따라 상기 제1확장공(11a)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를 개방(도 6의 b) 및 폐쇄(도 6의 a)시킬 수 있게 한다. That is, the volume control member 4 is movably installed on the top plate 1,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first expansion hole 11a is partially or All of them can be opened (Fig. 6b) and closed (Fig. 6a).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 음량 조절부재(4)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1)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부(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this embodiment includes a guide rail portion 41 formed on the upper plate (1) to enable smooth movement of the volume control member (4).

한편, 상기 제2확장공(11b)의 경우에도, 상기 제1확장공(11a)을 음량 조절부재(4)로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것과 같이, 별도의 음량 조절부재(4')에 의해 부분적 또는 전부를 사용자의 선택이나 취향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the second expansion hole 11b, as in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expansion hole 11a with the volume control member 4, it is partially or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ll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or preference.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본 실시예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울림공간(30)을 두 개의 공간으로 선택적으로 구획시키기 위한 구획부재(5)와 , 상기 울림공간(30)에 배치된 구획부재(5)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조작부재(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7, a partition member 5 for selectively partitioning the resonant space 30 into two spaces, and a partition member 5 disposed in the reverberation space 30 It comprises an operation member (6) that allows the operation from the outside.

상기 구획부재(5)는,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울림공간(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울림공간(30)을 두 개의 공간을 구획시키는 제1위치(실선 참조)와 하나의 공간이 되게 하는 제2위치(이점쇄선 참조) 사이에서 회전된다. As shown in FIG. 8, the partition member 5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resonant space 30, and the first position (see solid line) dividing the resonant space 30 into two spaces. and the second position (see dashed-dotted line) to become one space.

이와 같이, 상기 구획부재(5)에 의해 상기 울림공간(30)이 하나의 공간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어서, 다양한 음량과 음색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sounding space 30 can be divided into one space or two spac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y the partition member 5, so that various volume and tone adjustments are possible.

상기 조작부재(6)는, 상기 상판(1)과 하판(2)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구획부재(5)에 연결되어서, 외부에서 상기 구획부재(5)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The operation member 6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plate 1 and the lower plate 2 and is connected to the partition member 5 to operate the partition member 5 from the outsid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의 평면도이다. Meanwhile, FIG. 9 is a plan view of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acous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1확장공(71)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것과는 달리, 복수개의 구멍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2확장공(72)도 복수개의 구멍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expansion hole 71 employ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unlike the one formed in the form of a slit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expansion hole 72 also forms a plurality of holes. made including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하나의 큰 슬릿 형태의 구멍을 통해 소리가 울리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리의 흩어짐을 억제한 상태에서 울림이 발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울림시간을 더욱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generate a ringing in a state in which the dispersion of the sound is relatively suppressed compared to that of sound through a single large slit-shaped hole, so that the advantage of further sustaining the ringing time is expected. make it possible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의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of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복수개의 구멍들로 이루어진 제1확장공(71)과 제2확장공(72) 각각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음량 조절부재(81)(8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음량과 음색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volume control members 81 and 82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each of the first expansion hole 71 and the second expansion hole 72 made of a plurality of hol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n opportunity to select various volumes and tones.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and 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only clearly show a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awing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clearly shown.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modific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상판 11:음량 확장공
11a:제1확장공 11b:제2확장공
2:하판 30:울림공간
35:구획부재 A:안족
B:현
1: Top plate 11: Volume expansion hole
11a: first expansion hole 11b: second expansion hole
2: Lower plate 30: Woollim space
35: Partition member A: Anjok
B: prefecture

Claims (6)

현이 가로 질러 놓여지고, 상기 현의 진동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그 현에 대응되는 개수의 안족이 설치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과의 사이에 울림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은, 상기 현의 진동에 의한 음량을 확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울림공간과 소통되는 음량 확장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울림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선택적으로 구획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울림공간을 두 개의 공간을 구획시키는 제1위치와 하나의 공간이 되게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울림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부재; 및 상기 울림공간에 배치된 구획부재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 과 하판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위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구획부재에 연결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The string is placed across, and the upper plate is installed with the number of anjok corresponding to the string so as to expand the vibration of the string; and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late so as to form a resonant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The upper plate is made to include a volume expans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ounding space so as to increase the volume by vibration of the string,
In order to selectively partition the reverberation space into two spaces, the reverberation space rotates in the reverberation space so that it can be rotated between a first position dividing the two spaces and a second position making it a single space. a partition member that is possibly installed; and an operation member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is connected to the partition member so that the partition member disposed in the sounding space can be operated from the outside.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확장공은, 연주자의 현 튕김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According to claim 1,
The volume expansion hole is an improved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er's string bounc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확장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음량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3. The method of claim 2,
Sound-improved gayageu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olume control member movably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volume expansion h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량 확장공은, 연주자의 현 튕김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확장공과, 상기 복수의 안족들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확장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According to claim 1,
The volume expansion hole, the sound is improv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expansion hol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ayer's string bouncing portion, and a second expansion hole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inner feet. improved gayageu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공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구멍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확장공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안족들의 배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구멍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이 개선된 개량 가야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expansion hole consists of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second expansion hole is an improved sound gayageu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holes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anjok.
KR1020190158997A 2019-12-03 2019-12-03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KR1022727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97A KR102272701B1 (en) 2019-12-03 2019-12-03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PCT/KR2020/016652 WO2021112468A1 (en) 2019-12-03 2020-11-24 Improved korean harp having improved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97A KR102272701B1 (en) 2019-12-03 2019-12-03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766A KR20210069766A (en) 2021-06-14
KR102272701B1 true KR102272701B1 (en) 2021-07-05

Family

ID=7622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997A KR102272701B1 (en) 2019-12-03 2019-12-03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2701B1 (en)
WO (1) WO2021112468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960B1 (en) * 2017-02-06 2018-01-18 이재용 Improved aje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6697U (en) * 1983-12-09 1985-07-01 伊藤 哲雄 guitar
JPH09160539A (en) * 1995-12-01 1997-06-20 Teramura Choko:Kk Koto (japanese harp)
KR19980019170U (en) * 1998-04-06 1998-07-06 이성원 lyre
KR20050050722A (en) * 2003-11-26 2005-06-01 배윤수 Resonance box of guitar
KR100622605B1 (en) 2004-09-09 2006-09-19 이춘봉 The manufacture method of the resonator in a Korean harp
KR100950308B1 (en) 2008-04-10 2010-04-01 한국과학기술원 8 scale gayageum that have extended transliteration that use addition holder for string
KR20150099923A (en) 2014-02-24 2015-09-02 한국교원대학교산학협력단 Gayageum for teaching instru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960B1 (en) * 2017-02-06 2018-01-18 이재용 Improved aje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766A (en) 2021-06-14
WO2021112468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1396A1 (en) Semi-hollow body for stringed instruments
JPH08234728A (en) Stringed instrument with device for sound volume intensification and bass reproduction
US7288706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multiple bridge-soundboard units
US5824927A (en) Keyed free-reed instruments scope
US8841529B2 (en) Clarinet mouthpiece and barrel system
KR102272701B1 (en) Gayageum with improved sound
US7528311B2 (en) Keyboard-type percussion instrument
SK10262001A3 (en) Bicameral scale musical intonations and recordings made therefrom
US5182413A (en) Harmonica
US7799980B1 (en) Ocarina
US7528310B2 (en) Percussion instrument and keyboard-type percussion instrument
US2084266A (en) Musical instrument
US20160343358A1 (en) Woodwind Mouthpiece with V-Notch Table and Tone Chamber Insert
KR102472726B1 (en) Musical instruments build with multiple soundboards
US20070204741A1 (en) Variable Timbre Acoustic Instruments
US563113A (en) Haupt
CN210865590U (en) Guitar pitch adjusting structure
US1733595A (en) Hawailan guitar
DK2817798T3 (en) tangent Instrument
US2910906A (en) Musical instrument
Savage et al. Air and structural modes of a harpsichord
US2069447A (en) Accordion
US5814744A (en) Enhancement of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US2208391A (en) String instrument
KR200246114Y1 (en) Guit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