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174B1 - 우산빗물제수기 - Google Patents

우산빗물제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174B1
KR102272174B1 KR1020180134610A KR20180134610A KR102272174B1 KR 102272174 B1 KR102272174 B1 KR 102272174B1 KR 1020180134610 A KR1020180134610 A KR 1020180134610A KR 20180134610 A KR20180134610 A KR 20180134610A KR 102272174 B1 KR102272174 B1 KR 10227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rainwater
moving groove
ho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351A (ko
Inventor
이유구
Original Assignee
이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구 filed Critical 이유구
Priority to KR102018013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1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본체 내부에 수직설치 되며 그 상단과 하단에는 투입구와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탈수통과 상기 탈수통 내부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방사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다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지름이 지표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되어 우산 삽입시 상기 우산을 고정시키는 스토퍼기능을 하는 탈수패드 및 우산을 상기 탈수패드의 관통공에 끼워 승강시키면 상기 우산에 묻은 빗물이 상기 탈수패드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빗물제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산빗물제수기{UMBRELLA HYDROEXTRACTOR}
개시된 내용은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우산빗물제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을 제거하는 방식이 머금는 것뿐만 아니라 탈수패드 또는 브러쉬형태의 제수솔을 사용하여 빗물을 짜거나 터는 방식이 혼합된 우산빗물제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우산의 외피에 묻어있는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가오는 날에는 우산을 들고 다니는데 이때, 실내에서 우산을 들고 다닐 경우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로 인하여 실내 바닥이 지져분해지거나 빗물에 의해 실내 바닥이 미끄럽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 외에도, 이때에 바닥에 떨어져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청소부들의 추가적인 인건비 손실도 문제가 되고 있다. 그리고 백화점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는 장소에서는 실내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산용 비닐커버를 나눠주는 경우가 있지만 사용된 후에는 재활용되지 못하고 쓰레기통에 버려져 자원낭비 및 환경 문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274476호에 개시된 고안을 살펴보면,
본체 내부에 수직설치되며 그 상단과 하단에는 투입구와 배수구가 각각 형성된 탈수통과, 이 탈수통의 내부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의 둘레에는 방사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탈수패드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우산을 상기 탈수패드의 관통공에 끼워 승강시키면 이 우산에 묻은 빗물이 탈수패드에 의해 제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탈수기에 관해 기술하고 있다.
다만, 상기 우산 탈수기는 상기 탈수통이 장우산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게 형성되어 단우산을 삽입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사용상의 제한과 상기 관통공의 둘레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탈수통 하부에 별도의 스톱퍼를 제작하여 결합하여야 함으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3832호에 개시된 고안을 살펴보면,
우산을 세운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홈이 형성되고 내부 저면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부가 형성되고 이동홈 저면에 빗물이 흘러내리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한 저장부에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배수마개가 탈착되는 배수구멍과, 상기한 하우징에서 이동홈의 양측면에 교체 수단에 의해 설치됨과 아울러 우산이 이동할 때 우산과 접촉되면서 우산의 빗물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초극세사 타월을 포함하는 우산 빗물 제거 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다만, 상기 우산 빗물 제거 장치는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초극세사로 이루어진 타월을 구성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우산 이동시 빗물을 머금어 제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타월이 한번 빗물을 머금은 후에는 빗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떨어져 여러번 사용하지 못하고 마모가 쉬운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74476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3832호
개시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우산 뿐만 아니라 단우산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탈수패드의 형상만으로 우산을 고정시 킬수 있는 우산빗물제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명세서의 개시내용은 내부에 수직방향의 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며 그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는 방사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는 탈수패드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출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받이부를 포함하며 우산을 상기 본체에 삽입하여 상기 우산을 승강하면 상기 탈수패드와의 접촉으로 상기 우산에 묻은 빗물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빗물제수기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의 직경이 상기 본체의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 하부에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가 형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상기 본체가 복수개로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각각의 일면이 상호 맞닿게 결합 되며 삽입되는 우산의 길이에 따라 배수구가 형성되는 지점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우산을 세운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내부 저면에 물을 저장하는 수저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 저면에 빗물이 흘러내리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이동홈의 양측면에 교호적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우산이 상기 이동홈을 이동할 때 상기 우산과 접촉되어 그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회전을 하며 외면 둘레에 제수솔이 형성되어 상기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제수부를 포함하는 우산빗물제수기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수솔은 극세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우산빗물제수기는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배수구의 설치위치를 달리하여 단우산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회전가능하고 브러쉬형태의 제수솔을 사용함으로써 우산의 빗물을 머금는 것뿐만 아니라 털어내는 방식이 혼합 사용되어 여러번 사용하더라도 빗물제거 효과가 유지되고 마모가 적은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나태내는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하강시 탈수패드의 수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상승시 탈수패드의 이완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본체가 결합 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절단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삽입시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에는 수직방향의 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배수구(13)가 형성된다.
본체(10)의 형상은 직육면체, 정육면체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을 세워서 삽입사용하는 것인바, 본체(10)는 직립 되어 형성되어야 하고 우산(1)의 일반적인 형상에 대응하여 본체(10)의 하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10)의 재질은 스틸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우산(1)은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됨으로 우산빗물제수기의 이동이 용이해야 함으로 가볍고 제조단가가 비싸지 않는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내부의 저면에는 배수구(13)가 형성된다.
배수구(13)의 형상은 직사각형, 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10)가 원통형인바 이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3)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배출공(14)이 형성된다.
배출공(14)의 형상과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부(30)가 형성된다.
물받이부(3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본체(10)의 내부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물받이부(30)로 모아져야 함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받이부(30)는 본체(10)의 하부에 출납이 가능하도록 결합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하부에는 물받이부(3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의 크기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물받이부(30)가 수납되어 출납이 가능해야 함으로 물받이부(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받이부(30)가 본체(10)의 하부에 출납이 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구조와 방법은 공지의 기술로써 자명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은 구조의 본체(10)는 상부와 하부가 따로 제작되어 결합 될 수 있지만, 생산단가 절감을 위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저면에는 바퀴(40)가 결합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우산빗물제수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장점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패드(20)는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 되어 수평설치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패드(2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그 둘레에는 방사방향으로 절개부(23)가 형성된다.
이러한 탈수패드(20)의 형상과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원통형의 경우에 탈수패드(20)는 원형의 형상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체(10)가 원통형으로 형성됨에도, 탈수패드(20)의 형상이 사각형이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본체(10)의 내측에 접하게 되는 면적이 줄어들어 탈수패드(20)가 본체(10)의 내부에 강력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탈수패드(20)의 형상은 본체(1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수패드(20)의 재질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을 삽입하면 탈수패드(20)의 절개부(23)가 우산(1)이 삽입되는 진행방향으로 아래로 벤딩된 후 우산(1)을 상승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벤딩이 됨으로써 우산(1)의 빗물을 짜듯이 제거하는 것이므로 탄성력을 갖는 재질 중에 제조단가가 저렴한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탈수패드(20)의 관통공직경(21R)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0) 내부에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는 다수개의 탈수패드(20)의 관통공직경(21R)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관통공직경(21R)은 우산(1)의 둘레에 상응하는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우산(1)의 둘레보다 상당한 정도의 큰 값을 갖게 형성된다면, 우산(1) 삽입시 우산(1)의 둘레면이 탈수패드(20)에 접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우산(1)의 승강에 따라 탈수패드(20)가 수축이완되지 못하여 우산(1)의 빗물을 제거하고자 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탈수패드(20)의 관통공직경(21R)이 본체(10)의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우산(1) 삽입시 우산꼭지(3)의 직경보다 작은 값의 관통공직경(21R)이 형성된 탈수패드(20)가 본체(10)에 직립삽입된 우산(1)의 우산꼭지(3)가 맞닿는 지점에 형성된다면, 별도의 스토퍼 필요없이 우산(1)을 고정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탈수패드(20)는 본체(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지만, 탈수패드(20) 마모시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1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수패드(20)를 본체(10)의 내부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할 수 있고, 글루와 같은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고정 시킬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선 본체(10) 내측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고정면(11)이 형성되어야 한다.
고정면(11)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형상에 맞게 중앙부가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면(11)의 일면에 탈수패드(20)의 일면이 접하게 놓이게 되고 고정부재나 접착부재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을 본체(10)에 삽입하여 수차례 승강을 하게 되면 삽입된 우산(1)의 빗물은 탈수패드(20)의 수축이완으로 제거되고, 이러한 빗물은 배수구(13)의 배출공(14)을 통해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물받이부(30)로 흘러 들어가 모이게 된다.
사용자는 출납가능한 물받이부(30)를 빼내어 수거된 빗물을 제거한 후 다시 본체(10)의 수납공간(15)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우산(1)을 삽입할 수 있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본체(10)가 따로 제작되어 일면이 맞닿게 결합 되어 사용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본체(10)가 결합 된 일체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외형상의 미감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와 별도의 결합부재가 사용되어야 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는바, 일체로써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구(13)의 높이는 삽입되는 우산(1)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본체(10)가 결합 된 일체의 상태로 제작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본체(10)의 내부에는 배수구(13)가 본체(10)의 중간지점(단우산(2) 삽입시 우산꼭지(3)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로써 종래의 우산빗물제거기에 단우산(2)을 사용하는 경우, 삽입하여 승강을 하다가 단우산(2)을 놓치게 되면 본체(10)내부로 완전삽입되어 단우산(2)을 꺼내지 못하는 문제가 해결되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다수개의 본체(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되는 우산(1)의 길이에 따라 배수구(13)의 설치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다양성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중앙에는 우산(1)을 세운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홈(3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물을 저장하는 수저장부(20')가 형성된다.
하우징(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을 세운 상태로 하우징(10')의 내부로 이동시켜 사용하는 것인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우산(1)을 이동홈(30')으로 이동시키면서 우산(1)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수평방향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밑면이 안정적으로 바닥에 지지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홈(30')은 하우징(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이동홈(30')의 수평방향의 길이는 하우징(10')의 수평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
또한 이동홈의 폭(W)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우산(1)이 삽입되어야 함으로 삽입되는 우산(1)의 폭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만약 이동홈의 폭(W)이 우산(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면 우산(1)의 삽입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홈(30')의 양측에는 제수부(40')가 교호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홈(30')의 상하에는 회전축돌기(32)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수부(40')의 중앙에 회전홀(35)이 관통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돌기(32)는 제수부(40')의 회전홀(35)에 결합 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제수부(40')는 우산(1)을 이동홈(30')을 따라 이동시킬 때 우산(1)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을 한다.
제수부(40')의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수부(40')는 이동홈(30')의 회전축돌기(32)에 결합되어 회전을 해야함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수부의 길이(L)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우산(1)의 빗물을 제거하기 위해 우산꼭지(3)에서부터 우산손잡이(5) 일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위의 길이보다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된다면 제수부(40')의 제수솔(43')이 우산(1)의 모든면을 커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우산손잡이(5)의 말단까지의 길이와 동일한 값을 갖게 형성되면 우산손잡이(5)가 이동홈(30')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어 사용자가 우산손잡이(5)를 파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수부의 길이(L)는 사용자가 이동홈(30')에 우산(1)을 삽입하게 되면 우산(1)의 외피(천)는 제수부(40')에 의해 커버되되 우산손잡이(5)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수부(40')의 둘레에는 그 면을 따라 제수솔(43')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제수솔(43')의 이격간격과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수솔(43')의 재질은 스폰지, 고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우산(1)의 빗물을 흡수할 수 있고 단면적이 작은 극세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수솔(43')은 제수부(40')의 표면에 글루 등의 접착부재로 결합 된다.
이러한 제수솔(43')은 사용자가 우산(1)을 이동홈(30')에 삽입시켜 이동시키는 경우 제수부(40')의 회전에 의해 빗물을 털어낼 뿐만 아니라 우산(1)의 빗물을 흡수하여 제거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홈(30')의 내부저면에는 빗물이 흘러내리는 다수의 배수공(13')이 형성된다.
배수공(13')의 형상과 개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수부(40')의 제수솔(43')에 의해 제거된 빗물은 배수공(13')을 통해 수저장부(20')로 흘러 들어가 모이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장부(20')는 하우징(10')의 하부에 출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하부면에는 바퀴(4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퀴(40)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 우산빗물제수기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우산빗물제수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수부(40')의 회전에 별도의 동력장치가 필요 없어, 사용비용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고 종래에 스폰지, 극세사 등으로 빗물을 흡수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회전에 의해 빗물을 털어내는 방식이 혼합된 것으로 빗물제거의 효과가 탁월한 장점이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산 : 1
단우산 : 2
우산꼭지 :3
우산손잡이: 5
본체 : 10
고정면 : 11
배수구 : 13
배출공 : 14
수납공간 :15
탈수패드 : 20
관통공 : 21
관통공직경 : 21R
절개부 : 23
물받이부 : 30
바퀴 :40
하우징 : 10'
배수공 : 13'
수저장부 : 20'
이동홈 : 30'
이동홈의 폭 : W
회전축돌기 : 32
회전홀 : 35
제수부 :40'
제수부의 길이 : L
제수솔 :43'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우산을 세운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중앙에 이동홈이 형성되고 내부 저면에 물을 저장하는 수저장부가 출납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의 저면에 빗물이 흘러내리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바퀴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이동홈의 양측면에 교호적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우산이 상기 이동홈을 이동할 때 상기 우산과 접촉되어 그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회전을 하며 외면 둘레에 제수솔이 형성되어 상기 우산의 빗물을 제거하는 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홈의 상하에는 회전축돌기가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수부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돌기에 대응되는 회전홀이 관통되어 상기 제수부가 상기 회전축돌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수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수솔은 스폰지, 고무 및 극세사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빗물제수기.
  6. 삭제
KR1020180134610A 2018-11-05 2018-11-05 우산빗물제수기 KR102272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610A KR102272174B1 (ko) 2018-11-05 2018-11-05 우산빗물제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610A KR102272174B1 (ko) 2018-11-05 2018-11-05 우산빗물제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351A KR20200051351A (ko) 2020-05-13
KR102272174B1 true KR102272174B1 (ko) 2021-07-02

Family

ID=7072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610A KR102272174B1 (ko) 2018-11-05 2018-11-05 우산빗물제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1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476Y1 (ko) * 2002-01-29 2002-05-06 김희훈 우산 탈수기
KR200393832Y1 (ko) * 2005-05-31 2005-08-30 박진영 우산 빗물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718A (ja) * 1997-12-08 1999-06-22 Shiyuugo Miyagawa 傘の水きり機
KR20040098428A (ko) * 2003-05-15 2004-11-20 신황희 우산 빗물 흡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476Y1 (ko) * 2002-01-29 2002-05-06 김희훈 우산 탈수기
KR200393832Y1 (ko) * 2005-05-31 2005-08-30 박진영 우산 빗물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351A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341B2 (en) Mop assembly
US4209916A (en) Hand-operated kitchen appliance for drying vegetables and the like
US5974601A (en) Small animal washing container
US9192270B2 (en) Drain system and method for vacuum cleaner
KR200393832Y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1173237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KR101963564B1 (ko) 우산 탈수기
WO2011082203A1 (en) Ringed umbrella dryer
KR102272174B1 (ko) 우산빗물제수기
KR101405814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104720726B (zh) 鞋底自动清洗、烘干及鞋面自动擦刷、烘干一体机
KR101851589B1 (ko) 우산 빗물제거 탈수장치
US20180153350A1 (en) Portable Campground Sink
KR200459855Y1 (ko) 자루걸레용 회전 탈수장치
US10813504B2 (en) Portable campground sink
JP5046347B1 (ja) 傘立
KR102092309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00007407A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20150002867U (ko) 우산 빗물 제거기
KR20100020856A (ko) 원터치 방식으로 수납되는 우산커버를 포함하는 우산
KR102151115B1 (ko) 에어컴프레셔를 구비한 우산제수기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KR20200094923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US10258847B2 (en) Golf club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CN204889908U (zh) 一种便携式拖把甩干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