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888B1 -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888B1
KR102271888B1 KR1020200169956A KR20200169956A KR102271888B1 KR 102271888 B1 KR102271888 B1 KR 102271888B1 KR 1020200169956 A KR1020200169956 A KR 1020200169956A KR 20200169956 A KR20200169956 A KR 20200169956A KR 102271888 B1 KR102271888 B1 KR 102271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ared space
space
information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코
Priority to KR1020200169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305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으로서,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부; 상기 네트워크부와 통신하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의 입구마다 위치한 출입문의 일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출입카드가 태그되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를 읽어들이는 출입태그부; 및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관리자단말;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SHARED SPACE}
본 발명은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쉐어하우스, 게스트하우스 등과 같이 여러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에서는 공유공간 대부분의 시설들을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하나의 건물을 공유 오피스, 극장, 갤러리, 강의실 또는 공유 키친 등으로 구획하여 각자의 용도에 맞추어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공간 기획 시스템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공유공간 내 시설들에 대한 사용현황, 예약현황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관리인이 시설 관리를 하는데도 어려움이 따르고, 사용자들 또한 이용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
공유공간 별의 수요도 지역에 따라 나뉘기 때문에 공유공간의 사용률에 따라 공간의 용도를 변경하거나 주기적으로 정비해주는 등 공급자 및 수요자를 위한 편의를 제공하는 발명은 개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88918호
본 발명은 공간 별로 유동 인원의 흐름을 분석하고 시간대 별로 유동 인원의 변화를 통해 해당 공간을 사용하는 인원들의 동선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부; 상기 네트워크부와 통신하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의 입구마다 위치한 출입문의 일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출입카드가 태그되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를 읽어들이는 출입태그부; 및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관리자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유공간의 입구마다 위치한 상기 출입문의 타측면에 각각 마련된 소독제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입태그부는,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가 기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공유공간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입태그부는,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가 기설정된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여 출입이 불가능한 것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부는, 상기 출입태그부와 통신하여 상기 출입태그부로부터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 및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시간을 수신받는 태그수신부; 상기 태그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 및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시간을 기설정된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하는 기록저장부; 및 상기 기록저장부에서 기설정된 상기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한 기록을 기설정된 상기 일정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기록송신부;를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부와 통신하여 상기 기록저장부에서 기설정된 상기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한 기록을 수신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공유공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네트워크부로부터 수신한 기설정된 상기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한 기록을 분석하여 상기 다수 개의 출입문 별로 출입한 시간, 출입한 횟수 또는 출입 후 상기 공유공간의 사용시간과 같은 정보를 추출하는 기록분석부; 상기 기록분석부에서 상기 다수 개의 출입문 별로 출입한 횟수 또는 출입 후 상기 공유공간의 사용시간과 같이 추출한 정보를 나열하되, 출입횟수 또는 사용시간과 같은 항목 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저장하는 기록나열부; 및 상기 기록나열부에서 항목 별로 나열하여 저장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횟수 또는 상기 공유공간의 사용시간이 하위권을 유지하는 출입공간을 추출하는 공간분석부;를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간분석부는, 상기 기록나열부에서 항목 별로 나열한 상기 공유공간의 이용률을 분석하여 전체 공유공간 대비 각 공유공간의 이용률을 백분율로 산출하는 이용률 분석부; 상기 공유공간 별 출입 후, 이용되는 이용시간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이용시간 분석부; 상기 이용률 분석부 및 상기 이용시간 분석부에서 산출한 백분율 및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유공간의 이용률과 이용시간을 나열하되,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일정 기간 별 상기 공유공간 이용률을 부가하여 순위를 부여하는 순위나열부; 상기 순위나열부에서 나열한 순위에 따라 하위권에 존재하는 공유공간을 활용하여 다른 공유공간으로 대체 가능한 공유공간의 존재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대체 가능한 공유공간으로의 시공 기간, 시공 가격 및 시공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대체공간 수집부; 및 상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의 유지기간 및 상기 유지기간에 따른 내부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을 관리하고, 현재 유지중인 상기 다수 개의 공유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독제 거치대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부의 너비보다 하단부의 너비가 더 좁은 너비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둥근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양단에 고정구가 마련되어 있는 고정 모듈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의 입구마다 위치한 출입문의 타측면에 고정 연결되는 고정연결부; 상기 고정연결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꺽여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연결부의 하단부가 삽입 가능한 너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연결부의 비어 있는 내부로부터 통과되는 소독제가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이동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부; 및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을 따라 자바라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부가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은 한 건물 내에 구비되어 있는 공간 별로 유동 인원의 흐름을 분석하고, 시간대 별로 유동 인원의 변화를 통해 해당 공간을 사용하는 인원들의 동선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저조한 공간은 인원 수용력이 떨어지는 다른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다른 공간으로 재정비하여 수요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네트워크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관리서버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거치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10)은 네트워크부(100), 출입태그부(300), 관리서버(500) 및 관리자단말(700)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100) 및 관리자단말(700)은 관리서버(500)와 통신할 수 있고, 출입태그부(300)는 네트워크부(100)와 통신하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의 입구마다 위치한 출입문의 일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출입카드가 태그되는 것을 인식하여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여기서 공유공간이란, 한 건물 내에 다수 개의 공간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요리 또는 미디어 등 자택에서 구비할 수 없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를 사용하기 위하여 일정한 값을 지불하고 해당 공간을 대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가장 대중적인 것으로는 책상, 의자, 화이트보드 또는 빔프로젝터 등이 마련된 스터디룸이 있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맥락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넓혀 서로 공유가 가능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의미로는, 사업주들 간의 임대료 절감을 위하여 한 공간 내에서 다양한 사업체를 운영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출입태그부(300)는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가 기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공유공간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가 기설정된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여 출입이 불가능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네트워크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부(100)는 태그수신부(110), 기록저장부(150) 및 기록송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수신부(110)는 출입태그부(300)와 통신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출입태그부(300)로부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 및 도어락의 잠금 해제 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기록저장부(150)는 태그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 및 도어락의 잠금 해제 시간을 기설정된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기록할 수 있고, 기록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록송신부(190)는 기록저장부(150)에서 기설정된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한 기록을 기설정된 일정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관리서버(5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관리서버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500)는 통신부(510), 기록분석부(530), 기록나열부(550) 및 공간분석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네트워크부(100)와 통신할 수 있어 기록저장부(150)에서 기설정된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한 기록을 수신할 수 있고, 관리자단말(700)과 통신할 수 있어 공유공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단말(700)로 송신할 수 있다.
기록분석부(530)는 네트워크부(100)로부터 수신한 기설정된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한 기록을 분석할 수 있고, 이로부터 다수 개의 출입문 별로 출입한 시간, 출입한 횟수 또는 출입 후 공유공간의 사용시간과 같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기록나열부(550)는 기록분석부(530)에서 다수 개의 출입문 별로 출입한 횟수 또는 출입 후 공유공간의 사용시간과 같이 추출한 정보를 나열할 수 있으며, 출입횟수 또는 사용시간과 같은 항목 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공간분석부(570)는 기록나열부(550)에서 항목 별로 나열하여 저장한 결과를 이용하여 출입횟수 또는 공유공간의 사용시간이 하위권을 유지하는 출입공간을 추출해낼 수 있다.
공간분석부(570)는 이용률 분석부(591), 이용시간 분석부(593), 순위나열부(595), 대체공간 수집부(597) 및 공간관리부(59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률 분석부(591)는 기록나열부(550)에서 항목 별로 나열한 공유공간의 이용률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전체 공유공간 대비 각 공유공간의 이용률을 백분율로 산출할 수 있다.
이용시간 분석부(593)는 공유공간 별로 사용자가 출입 후, 이용되는 이용시간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순위나열부(595)는 이용률 분석부(591) 및 이용시간 분석부(593)에서 산출한 백분율 및 평균값을 이용하여 공유공간의 이용률과 이용시간을 나열할 수 있다.
이때, 순위나열부(595)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일정 기간 별 상기 공유공간 이용률을 부가하여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순위나열부(595)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유행하는 콘텐츠를 알아낼 수 있고, 유행 콘텐츠에 따라 공유공간의 순위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순위나열부(595)는 최근 공유공간 이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이용률 분석부(591) 및 이용시간 분석부(593)에서 산출한 정보를 이용하되, 기설정된 일정 과거의 기간동안 이용률 분석부(591) 및 이용시간 분석부(593)에서 산출한 정보를 학습하여 일정한 과거의 기간동안 공유공간 별로 이용률 분석부(591) 및 이용시간 분석부(593)의 산출 정보를 현재 이용률 분석부(591) 및 이용시간 분석부(593)에서 산출한 정보에 적용시켜 공유공간의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 일정한 기간 동안 요리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공유공간이 이용률 분석부(591) 및 이용시간 분석부(593)의 산출 결과 1순위를 부여받은 경우, 현재 이용률 분석부(591) 및 이용시간 분석부(593)의 산출한 정보로 최하위 순위를 부여받더라도, 과거 일정한 기간 동안의 산출 결과와 합산되어 결과적으로 최하위 순위를 부여받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과거 일정한 기간 동안 최하위 순위를 부여받은 미디어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는 공유공간이 현재 이용률 분석부(591) 및 이용시간 분석부(593)의 산출한 정보로 1순위를 부여받더라도, 과거 일정한 기간 동안의 산출 결과와 합산되어 결과적으로 1순위를 부여받지 못할 수 있다.
대체공간 수집부(597)는 순위나열부에서 나열한 순위에 따라 하위권에 존재하는 공유공간을 활용하여 다른 공유공간으로 대체 가능한 공유공간의 존재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대체 가능한 공유공간으로의 시공 기간, 시공 가격 및 시공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집
공간관리부(599)는 다수 개의 공유공간의 유지기간 및 상기 유지기간에 따른 내부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을 관리하고, 현재 유지중인 상기 다수 개의 공유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거치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독제 거치대(400)는 고정연결부(410), 제1 연결부(430), 제2 연결부(450) 및 배출통로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연결부(4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부의 너비보다 하단부에는 상단부의 너비가 더 좁은 너비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부의 비어 있는 내부는 하단부의 비어 있는 내부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연결부(410)는 상단부의 둥근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양단에 고정구가 마련되어 있는 고정 모듈(411)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고정 모듈(411)로 인해 다수 개의 공유공간의 입구마다 위치한 출입문의 타측면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모듈(411)은 내측고정부(4113) 및 충격흡수부(4111)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고정부(4113)는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의 외측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의 외측면과 같은 너비를 갖는 하단지지부(41139) 및 상단지지부(41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내측고정부(4113)는 제1 고정부(41132), 제2 고정부(41134), 제3 고정부(41136) 및 제4 고정부(41138)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고정부(41132), 제2 고정부(41134), 제3 고정부(41136) 및 제4 고정부(41138)의 각 양단은 하단지지부(41139) 및 상단지지부(41131)와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고정부(41132), 제2 고정부(41134), 제3 고정부(41136) 및 제4 고정부(41138)의 내측면에는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고정 가능한 본드 또는 테이프와 같이 부착이 가능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부(41132), 제2 고정부(41134), 제3 고정부(41136) 및 제4 고정부(41138)의 내측면에 부착이 가능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드 또는 테이프를 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착이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단지지부(41139) 및 상단지지부(41131)는 제1 고정부(41132), 제2 고정부(41134), 제3 고정부(41136) 및 제4 고정부(41138)의 내측면에 마련된 부착이 가능한 장치에 의하여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내측고정부(4113)의 양단에는 서로 맞물려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 외측면에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 외측면에 고정된 후 공유공간의 출입문에 고정 연결이 가능한 나사와 같은 연결구(41135)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연결구(41135)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사를 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출입문에 고정 연결이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4111)는 다수 개의 상부지지판(610), 하부지지판(610') 및 완충모듈(600)이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고정부(4113)의 외측면을 따라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지지판(610) 및 하부지지판(610')은 동일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부지지판(610) 및 하부지지판(610')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는 두 개의 연결홈(611)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완충모듈(600)은 중앙연결부(651), 완충고정부(653), 스프링부(655) 및 중앙완충부(657)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연결부(651)는 완충모듈(6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외측면은 육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는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원형의 형상으로 비어있을 수 있다.
중앙연결부(651)의 비어 있는 내부로는 중앙완충부(657)가 관통 가능하도록 중앙완충부(657)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충고정부(653)는 원형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스프링부(655)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외측면은 하단의 스프링부(655)와 상단의 중앙연결부(651)보다 넓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완충고정부(653)는 내부로 중앙완충부(657)가 관통 가능하도록 중앙완충부(657)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스프링부(655)는 중앙완충부(657)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며 나선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완충부(657)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스프링부(655)는 중앙완충부(657)의 수축에 의하여 중앙연결부(651) 및 완충고정부(653)가 중앙완충부(657)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프링부(655)에 압력이 가해져 스프링부(655)도 수축될 수 있다.
중앙완충부(657)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실린더와 같은 장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중앙완충부(657)의 상단은 상부지지판(610)의 연결홈(611)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하부지지판(610')의 연결홈(611)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중앙완충부(657)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상부지지판(610) 및 하부지지판(610')이 이동하는 경우, 상부지지판(610) 및 하부지지판(610')의 이동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부(655)와 중앙완충부(657)는 스프링 및 실린더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함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흡수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포함할 수 있다.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의 내부 일측면에는 상단부의 비어 있는 내부로 삽입되는 소독제와 같은 액상이 마련되어 있는 병의 입구가 삽입되는 경우 병의 입구 너비에 맞추어 병의 입구에 밀착하는 탄력볼(415)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로 삽입되는 병의 입구의 너비가 넓은 경우 탄력볼(415)은 수축하여 병의 입구가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병의 입구가 좁은 경우 탄력볼(415)은 너비를 유지하여 병의 입구가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의 내부로 삽입한 후 흔들리지 않을 수 있도록 병의 입구를 지지할 수 있다.
고정연결부(410)의 가장 하단에는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병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제와 같은 액상의 배출되는 양을 제어하여 일정한 시간마다 일정한 양의 액상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제어부(4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30)는 고정연결부(41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배출제어부(419)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제와 같은 액상이 이동 가능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꺽여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430)는 내부로 고정연결부(410)의 배출제어부(419)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내부삽입부(431)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삽입부(431)보다 넓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삽입부(431)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굽어지는 형상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보호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430)의 하단에는 외측면 및 내측면이 육각형 이상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육각모듈(439)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에 삽입된 병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제가 하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삽입 공간(435)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연결부(450)는 제1 연결부(43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431)의 내부에는 고정연결부(410)의 비어 있는 내부로부터 이동되는 소독제와 같은 액상이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비어 있는 이동 공간(45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연결부(450)의 본체(431)의 상단에는 제1 연결부(430)의 하단의 제1 육각모듈(439)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육각모듈(439)의 다각형으로 각진 내부의 형상에 맞추어 외측면이 형성된 제2 육각모듈(451)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450)의 본체(431)의 하단에는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459)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459)로 인하여 배출통로부(470)의 내부로 회전하며 고정될 수 있다.
배출통로부(47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되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배출본체(471)를 포함할 수 있고, 배출본체(471)의 외측면을 따라 자바라 형상의 돌기(479)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배출본체(471) 및 자바라 형상의 돌기(479)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할 때 배출통로부(470)에 압력을 가하여 수축함으로 내부에 소독제와 같은 액상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통로부(470)는 제2 연결부(450)가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고정연결부(410)의 상단부에 삽입한 병의 입구로부터 배출되는 소독제가 고정연결부(410), 제1 연결부(430) 및 제2 연결부(450)를 거쳐 배출통로부(470)의 하단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통로부(470)의 상단에는 내측면이 제1 육각모듈(439)이 삽입하여 제1 육각모듈(439)이 배출통로부(470)의 내부에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 육각모듈(4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
100: 네트워크부
300: 출입태그부
500: 관리서버
700: 관리자단말

Claims (2)

  1.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부;
    상기 네트워크부와 통신하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의 입구마다 위치한 출입문의 일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고, 출입카드가 태그되는 것을 인식하여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를 읽어들이는 출입태그부; 및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관리자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공유공간의 입구마다 위치한 상기 출입문의 타측면에 각각 마련된 소독제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태그부는,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가 기설정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공유공간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출입태그부는,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가 기설정된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여 출입이 불가능한 것을 알리고,
    상기 네트워크부는,
    상기 출입태그부와 통신하여 상기 출입태그부로부터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 및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시간을 수신받는 태그수신부;
    상기 태그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출입카드의 고유ID정보 및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시간을 기설정된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하는 기록저장부; 및
    상기 기록저장부에서 기설정된 상기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한 기록을 기설정된 상기 일정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기록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부와 통신하여 상기 기록저장부에서 기설정된 상기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한 기록을 수신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공유공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네트워크부로부터 수신한 기설정된 상기 일정 기간 별로 나누어 저장한 기록을 분석하여 상기 다수 개의 출입문 별로 출입한 시간, 출입한 횟수 또는 출입 후 상기 공유공간의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록분석부;
    상기 기록분석부에서 추출한 상기 다수 개의 출입문 별로 출입한 횟수 또는 출입 후 상기 공유공간의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각 정보를 나열하되, 출입횟수 또는 사용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분류 가능한 항목 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저장하는 기록나열부; 및
    상기 기록나열부에서 항목 별로 나열하여 저장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횟수 또는 상기 공유공간의 사용시간이 하위권을 유지하는 출입공간을 추출하는 공간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분석부는,
    상기 기록나열부에서 항목 별로 나열한 상기 공유공간의 이용률을 분석하여 전체 공유공간 대비 각 공유공간의 이용률을 백분율로 산출하는 이용률 분석부;
    상기 공유공간 별 출입 후, 이용되는 이용시간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이용시간 분석부;
    상기 이용률 분석부 및 상기 이용시간 분석부에서 산출한 백분율 및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유공간의 이용률과 이용시간을 나열하되,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일정 기간 별 상기 공유공간 이용률을 부가하여 순위를 부여하는 순위나열부;
    상기 순위나열부에서 나열한 순위에 따라 하위권에 존재하는 공유공간을 활용하여 다른 공유공간으로 대체 가능한 공유공간의 존재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대체 가능한 공유공간으로의 시공 기간, 시공 가격 및 시공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대체공간 수집부; 및
    상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의 유지기간 및 상기 유지기간에 따른 내부상태를 분석하여 상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을 관리하고, 현재 유지중인 상기 다수 개의 공유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제 거치대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부의 너비보다 하단부의 너비가 더 좁은 너비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둥근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양단에 고정구가 마련되어 있는 고정 모듈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다수 개의 공유공간의 입구마다 위치한 출입문의 타측면에 고정 연결되는 고정연결부;
    상기 고정연결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일정한 각도로 꺽여 있는 '<'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연결부의 하단부가 삽입 가능한 너비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연결부의 비어 있는 내부로부터 통과되는 소독제가 하단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이동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부; 및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을 따라 자바라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부가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로부;를 포함하는,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
  2. 삭제
KR1020200169956A 2020-12-07 2020-12-07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 KR102271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956A KR102271888B1 (ko) 2020-12-07 2020-12-07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956A KR102271888B1 (ko) 2020-12-07 2020-12-07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888B1 true KR102271888B1 (ko) 2021-07-01

Family

ID=7686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956A KR102271888B1 (ko) 2020-12-07 2020-12-07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359B1 (ko) 2022-12-13 2023-09-20 한국교통연구원 도시계획시설 및 근린생활시설 이용분석 기반의 생활권 계획 지원 서버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2335A (ja) * 2000-03-08 2001-09-18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薬剤容器連結体
KR20050025294A (ko) * 2002-07-16 2005-03-14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분말약제 다회 투여기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895907B1 (ko) * 2008-01-31 2009-05-04 김병철 도어록 설치구조를 갖는 손 소독액 분무기용 거치대
KR20180074422A (ko) * 2016-12-23 2018-07-03 (주)유미테크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
JP2019512115A (ja) * 2016-01-21 2019-05-09 ツァイニャオ スマート ロジスティクス ホールディング リミティド 倉庫保管空間計画用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装置
KR102088918B1 (ko) 2018-08-24 2020-03-13 주식회사 5웨이크업 공유기를 이용한 공유공간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2335A (ja) * 2000-03-08 2001-09-18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薬剤容器連結体
KR20050025294A (ko) * 2002-07-16 2005-03-14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분말약제 다회 투여기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895907B1 (ko) * 2008-01-31 2009-05-04 김병철 도어록 설치구조를 갖는 손 소독액 분무기용 거치대
JP2019512115A (ja) * 2016-01-21 2019-05-09 ツァイニャオ スマート ロジスティクス ホールディング リミティド 倉庫保管空間計画用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子装置
KR20180074422A (ko) * 2016-12-23 2018-07-03 (주)유미테크 스마트 화장실 관리서버
KR102088918B1 (ko) 2018-08-24 2020-03-13 주식회사 5웨이크업 공유기를 이용한 공유공간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359B1 (ko) 2022-12-13 2023-09-20 한국교통연구원 도시계획시설 및 근린생활시설 이용분석 기반의 생활권 계획 지원 서버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üller et al. From hashtag to hate crime: Twitter and antiminority sentiment
KR102271888B1 (ko) 공유공간 관리 시스템
US86650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localization and path identification based on RFID sensing
Honnay et al. Plant community assembly along dendritic networks of small forest streams
Lens et al. Is crime bad for business? Crime and commercial property values in New York City
US9082276B2 (en) Barrier pressure detection system
Casini et al. Correlation between facade sound insulation and urban noise: A contribution to the acoustic classification of existing buildings
RU2016134262A (ru) Система допуска
Mboma et al. The consequences of declining population access to insecticide-treated nets (ITNs) on net use patterns and physical degradation of nets after 22 months of ownership
Bishop The Walls Have Ears-and Eyes-and Noses: Home Smart Devices and the Fourth Amendment
Yun et al. Thermal and non-thermal stimuli for the use of windows in offices
Welbourne et al. Longitudinal study of a building-scale rfid ecosystem
ES2902329T3 (es) Obtención de la vida útil restante de la batería
Torres et al. Banishment: A test of specific deterrence in public housing
Hotte et al. Individual protection against property crime: decomposing the effects of protection observability
Armknecht et al. Privacy implications of room climate data
JP2006163803A (ja) 通行可否判断システム
Keeling Later life in rental housing: Current New Zealand issues
KR102225032B1 (ko) 집합건물 운영 플랫폼 시스템, 이를 이용한 집합건물 운영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Greenberg et al. The effectiveness of an electronic security management system in a privately owned apartment complex
Kishan et al. RFID Technology in University Libraries: A Survey
Yan et al. Detection of suspicious patterns in secure physical environments
JP2006260045A5 (ko)
Finkelstein Space-time counterfactuals
Biddle et al. Recent Change in A boriginal and T orres S trait I slander Population and Housing Geograph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