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553B1 -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553B1
KR102271553B1 KR1020200161988A KR20200161988A KR102271553B1 KR 102271553 B1 KR102271553 B1 KR 102271553B1 KR 1020200161988 A KR1020200161988 A KR 1020200161988A KR 20200161988 A KR20200161988 A KR 20200161988A KR 102271553 B1 KR102271553 B1 KR 102271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omt
image
information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553B9 (ko
Inventor
박동순
정정일
Original Assignee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553B1/ko
Publication of KR10227155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55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호흡기도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헬스컨텐츠와 홈 환경컨텐츠 수집 및 관리를 위해 다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진단기 본체(A)와,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광학 엘이디 및 센서로서 이루어져 원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A)와 교체 결합할 수 있는 렌즈유니트커버(B)와, 혈압 및 맥박과 온도ㆍ습도 및 미세먼지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A)와 무선통신(WIFI, BT)이나 유에스비(USB)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또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진단기 크래들(Cradle)(C)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생체센서측정(체온, 혈압, 호흡수, 맥박수) 및 영상·음향진단(이비인후, 피부, 폐음, 기관지음, 수면중호흡음)과 환경진단(온습도, 미세먼지)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장비로 구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Personal respiratory airway disease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IoMT smart mobile's image, sound, living body, and environmental sensors}
본 발명은 IoMT(IoMT:Internet of Medical Things)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상건강 관리와 호흡기도질환(예컨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폐렴 등) 등의 예방을 위한 개인건강관리와 국민의 건강한 삶 및 최적의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의 만족과, 의료기관의 서비스 질적 향상 및 비용 절감, 보건의료정책의 맞춤형 질환 예방/ 진단 및 만성질환 관리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IoMT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 정보 수집/분석을 통해 데이터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을 실현할 수 있는 IoMT(IoMT:Internet of Medical Things)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흡기도질환은 상기도와 하기도의 다양한 질환을 포함하며 그 유병률이 매우 높고 흔한 질환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크게 유행하여 지구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신종코 로나 바이러스 질환도 호흡기도 질환중 하나인 폐렴을 유발하며, 매년 국내에서 황사 및 미세먼지로 인한 문제도 주로 호흡기도 질환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호흡기도질환에는 아래의 '상하부 호흡기도 질환의 개요도'에서와 같이 상기도에서 주로 발생하는 알레르기비염, 비염, 부비동염, 인두염, 편도선염, 후두염, 중이염 등이 해당하며, 하기도에서 주로 발생하는 기관지염, 천식, 폐렴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상하부 호흡기도 질환의 개요도*

Figure 112020128076987-pat00001


Figure 112020128076987-pat00002
[국민건강영양평가 자료에 따르면 알레르기비염의 유병률은 전 연령층에서 남녀 모두에서 30%내외로 매우 높음 (출처, Clinical &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2010)]

Figure 112020128076987-pat00003
[국민건강영양평가 자료에 따르면 부비동염의 유병률은 전연령층에서 남녀 모두에서 5%내외로 상당히 매우 높음 (출처, Clinical &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2010)]

Figure 112020128076987-pat00004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에는 여름철에도 폐렴의 발생은 감소하지 않고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됨. 특히, 단체생활을 하는 어린이나 면역력이 약한 노인, 만성질환자, 호흡기 기저질환자 등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폐렴에 취약할 수 있는 생활환경을 점검하고 폐렴 예방을 위한 수칙을 잘 숙지해둘 것을 권고하고 있음].
호흡기도질환은 각 개인의 면역상태를 포함한 건강상태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호흡기도질환의 이환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꾸준한 건강관리와 환경관리가 중요하다.
일상적인 건강관리를 위해서 적절한 신체의 체온과 수분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고, 이는 체온과 수분이 인체의 면역력과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며, 직접적으로 체온과 수분을 측정하는 것을 통해서 건강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압, 호흡수/맥박수 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측정하여 건강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호흡기도질환 관리를 위해서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 온도차이, 그리고 실내와 실외의 습도, 습도 차이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중요하고, 신체는 급격한 온도의 차이와 낮은 온도, 낮은 습도 등에 의해서 면역력이 쉽게 저하되기 때문이며, 또한 호흡기도질환을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실내와 실외의 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측정도 필수적이다.
호흡기도질환이 발생할 경우 중요활성징후(vital sign), 즉, 체온, 혈압, 맥박수, 호흡수에 변화가 생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시경으로 쉽게 관찰이 가능한 비강, 구강, 중이 등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호흡기도음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수면중 호흡음이 거칠게 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일상적으로 쉽게 감지하여 종합적으로 호흡기도질환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면, 호흡기도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여 대처함으로써 질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질환과 같은 감염성 질환의 확산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기존의 생체신호진단 및 영상·음향진단 의료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장비로 구현하고자하여, 크기가 크고 휴대가 불편하고 일정장소에 거치하여 사용함으로 불편함이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생체센서측정(체온, 혈압, 호흡수, 맥박수) 및 영상·음향진단(이비인후, 피부, 폐음, 기관지음, 수면중호흡음)을 위한 다양한 외산 의료기기와 지원 알고리즘은 분리해서 구동이 되고 또한 고가로써 1차 의료기관을 비롯한 다수 의료기관에서 구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30426호(2016. 06. 15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30648호(2017. 04. 27 공고).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홈헬스 IoMT기기로 사용자 헬스컨텐츠와 홈 환경컨텐츠 수집을 위한 시스템으로써 일상건강 관리와 호흡기도질환(예컨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폐렴 등) 등의 예방을 위한 개인건강관리와 국민의 건강한 삶 및 최적의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의 만족과, 의료기관의 서비스 질적 향상 및 비용 절감, 보건의료정책의 맞춤형 질환 예방/ 진단 및 만성질환 관리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IoMT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 정보 수집/분석을 통해 데이터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을 실현할 수 있는 IoMT(IoMT:Internet of Medical Things)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호흡기도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헬스컨텐츠와 홈 환경컨텐츠 수집 및 관리를 위해 다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진단기 본체와,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광학 엘이디 및 센서로서 수분센서와 체온계, 광학엘이디, 전자청진기 및 호흡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와 교체 결합할 수 있는 렌즈유니트커버와, 사용자의 혈압 및 맥박과 온습도 및 미세먼지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와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진단기 크래들(Cradle)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는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부(CPU)와, 상기 렌즈유니트커버를 교체 결합할 수 있는 렌즈 인터페이스부를 구성하며,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부에는 멀티플렉서(MUX)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멀티플렉서(MUX)는 중앙처리장치부(CPU)와 연결되며, 또한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부에는 중앙처리장치부(CPU)의 신호명령에 의해 렌즈 인터페이스부가 광학 엘이디 및 센서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하는 옵티컬 및 센서 디텍션 에이디시(ADC)회로를 연결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부에는 중앙처리장치부(CPU)의 신호명령에 의해 광학 엘이디를 온/오프시키는 엘이디 드라이브(LED Drive)를 연결 구성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CPU)에는 수분측정용 마이컴을 연결 구성하고 수분측정용 마이컴의 신호명령에 의해 수분측정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구성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부(CPU)에는 음성이나 영상을 압축(증폭)하는 오디오 코덱(Audio Codec)을 연결 구성하고, 상기 오디오 코덱에는 엠프 및 스피커를 연결하며 또한 스위치와 마이크를 연결 구성하며 스위치는 멀티플렉서(MUX)와 연결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CPU)에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로서 카메라 전환스위치를 구성하고 카메라 전환스위치에 의해 선택 전환되는 고배율 카메라와 1배측정 카메라 및 영상통화카메라를 구성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CPU)는 지자기센서와 멀티 터치센서 패널 및 엘시디 디스플레이부와 백라이트 드라이버가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CPU)에는 외부조명을 위한 프레쉬 엘이디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파워/업/다운을 위한 기기작동용 작동키와 키/로고용 엘이디를 밝히는 데코엘이디와 유아트 인터페이스와 진동모터기능을 위한 바이브레이터와 외부출력을 위한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가 연결 구성되고 또한 중앙처리장치부(CPU)와 외부 모듈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WIFI, BT)를 구성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에 전원부를 구성하고 충전된 전원을 전원부에 공급하는
베터리부를 구성하며, 그리고 또한 진단기 크래들(Cradle)의 사용자 혈압 및 맥박과 홈환경 온습도 및 미세먼지에 대해 취득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유에스비(USB) 전원부를 구성하여 포함한다.
상기 진단기 크래들(Cradle)은 마이콤(Micom)이 구성되고 상기 마이콤은 메인 진단기 본체와 I2C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또한 유에스비에 의해 마이콤(Micom)에 저장된 정보를 메인 진단기 본체와 송수신한다.
상기 마이콤(Micom)은 디시컨버터가 연결되고 디시컨버터는 아답터와 결합되며 또한 자외선 살균처리를 위한 유브이시(UVC) 엘이디와 유브이시(UVC) 엘이디를 작동시키는 UVC LED 작동용 센서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Micom)의 명령에 의해 I2C 통신을 통해 온습도의 정보를 취득하는 온습도센서와, 상기 마이콤(Micom)의 명령에 의해 ADC/GPIO를 통해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미세먼지센서와, 상기 마이콤(Micom)과 I2C 통신을 통해 컨트롤러를 제어하여 밴드와 진공펌프로써 사용자의 혈압/맥박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충전기능을 갖는 데코 엘이디(DECO LED)를 구성하여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첫째, 홈헬스 IoMT기기로 사용자 헬스컨텐츠와 홈 환경컨텐츠 수집을 고도화함으로서 생체신호진단(체온, 수분, 혈압, 호흡수, 맥박수)과 환경진단(온습도, 미세먼지) 및 영상(이비인후, 피부)·음향(폐음, 기관지음, 수면중호흡음)진단의료기기 산업의 가정용 신개념 의료기기 생태계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생체센서측정(체온, 혈압, 호흡수, 맥박수) 및 영상·음향진단(이비인후, 피부, 폐음, 기관지음, 수면중호흡음)과 환경진단(온습도, 미세먼지)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장비로 구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다.
둘째, 일상건강 관리와 호흡기도질환(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폐렴 등) 등의 예방을 위한 개인건강관리와 국민의 건강한 삶 및 최적의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 증가, 의료기관의 서비스 질적 향상 및 비용 절감, 보건의료정책의 맞춤형 질환 예방/진단 및 만성질환 관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측정 및 진단기기를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서비스가 시행될 수 있는 생태계가 형성할 수 있는 기술적 파급효과가 있다.
셋째, 생체신호진단(체온, 수분, 혈압, 호흡수, 맥박수)과 환경진단(온습도, 미세먼지) 및 영상(이비인후, 피부)·음향(폐음, 기관지음, 수면중호흡음)진단의 모니터링으로 질환 예방 /조기 치료에 기여로 국민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넷째, 의료서비스에 첨단 IoMT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언제나 어디서나 Stand Alone IoMT Mobile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비인후, 피부의 영상진단, 폐음, 기관지음, 수면중호흡음의 음향진단, 체온, 수분, 혈압, 호흡수, 맥박수의 생체신호진단, 온습도, 미세먼지의 환경진단을 간단하게 측정, 자가진단 및 코칭하여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홈 헬스케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 및 의료 접근성 및 편의성을 제고하고 의료취약 계층의 의료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 외형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 외형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다른 예의 전체 구성 외형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에서 메인 진단기 본체와 렌즈유니트커버가 결합된 구성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에서 메인 진단기 본체와 렌즈유니트커버가 결합된 구성 외형 사시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사용자의 호흡기도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헬스컨텐츠와 홈 환경컨텐츠 수집 및 관리를 위해 다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진단기 본체(A)와,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광학 엘이디 및 센서로서 수분센서(1)와 체온계(2), 광학엘이디(이비인후, 피부 정보취득)(3), 전자청진기(4) 및 호흡센서(5)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A)와 선택적으로 교체 결합할 수 있는 렌즈유니트커버(B)와, 사용자의 혈압 및 맥박과 온습도 및 미세먼지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A)와 무선통신(WIFI, BT) 또는 유에스비(USB)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또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진단기 크래들(Cradle)(C)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A)는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부(CPU)(100)와, 상기 렌즈유니트커버(B)를 교체 결합할 수 있는 렌즈 인터페이스부(6)를 구성한다.
상기 렌즈유니트커버(B)는 수분센서(1)와 체온계(2), 광학엘이디(이비인후, 피부 정보취득)(3), 전자청진기(4) 및 호흡센서(5)로 이루어지고 커버형태로서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자는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렌즈 인터페이스부(6)에 결합 및 분리하면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광학엘이디(이비인후, 피부 정보취득)(3)는 피부(모발포함) 및 이비인후과와 관련된 코, 귀, 입과 치과와 관련된 치아에 대한 영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부(6)에는 멀티플렉서(MUX)(7)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멀티플렉서(MUX)(7)는 중앙처리장치부(CPU)(100)와 연결되어 렌즈 인터페이스부(6)를 통해 렌즈유니트커버(B)의 정보를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 전송하고 또한 중앙처리장치부(CPU)(100)의 신호명령을 렌즈유니트커버(B)에 전송하여 정보취득을 운영한다.
또한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부(6)에는 중앙처리장치부(CPU)(100)의 신호명령에 의해 렌즈 인터페이스부(6)가 광학 엘이디(3) 및 센서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하는 옵티컬 및 센서 디텍션 에이디시(ADC)회로(8)를 연결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부(6)에는 중앙처리장치부(CPU)(100)의 신호명령에 의해 광학 엘이디(3)를 온/오프시키는 엘이디 드라이브(LED Drive)(9)를 연결 구성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는 수분측정용 마이컴(10)을 연결 구성하고 수분측정용 마이컴(10)의 신호명령에 의해 수분측정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11)를 구성한다.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부(6)에 수분센서(1)를 결합하면 수분측정용 마이컴(10)의 신호명령에 의해 타이머(11)를 통해 수분측정 시간을 제어하면서 수분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취득된 정보는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 전송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는 음성이나 영상을 압축(증폭)하는 오디오 코덱(Audio Codec)(12)을 연결 구성하고, 상기 오디오 코덱(12)에는 엠프(Amp)(13) 및 스피커(SPK)(14)를 연결하며 또한 스위치(15)와 마이크(16)를 연결 구성하며 스위치(15)는 멀티플렉서(MUX)(7)와 연결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로서 카메라 전환스위치(17)를 구성하고 카메라 전환스위치(17)에 의해 선택 전환되는 고배율 카메라(18)와 1배측정 카메라(19) 및 영상통화카메라(20)를 구성한다.
즉, 상기 영상정보 취득 대상에 따라 카메라 전환스위치(17)에 의해 상기 고배율 카메라(18)와 1배측정 카메라(19) 및 영상통화카메라(20)를 선택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취득된 영상정보는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 전송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CPU)(100)는 지자기센서(21)와 필요한 기능을 작동시키는 멀티 터치센서 패널(22) 및 취득한 정보를 출력하여 볼 수 있는 엘시디 디스플레이부(23)와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드라이버(24)가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는 외부조명을 위한 프레쉬 엘이디(Flash LED)(2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0)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6)와 파워/업/다운을 위한 기기작동용 작동키(27)와 키/로고용 엘이디를 밝히는 데코엘이디(28)와 유아트 인터페이스(29)와 진동모터기능을 위한 바이브레이터(30)와 외부출력을 위한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31)가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또한 중앙처리장치부(CPU)(100)와 외부 모듈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WIFI, BT)(32)를 구성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0)에 전원부(33)를 구성하고 충전된 전원을 전원부(33)에 공급하는 베터리부(34)를 구성하며, 그리고 또한 진단기 크래들(Cradle)(C)의 사용자 혈압 및 맥박과 홈환경 온습도 및 미세먼지에 대해 취득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유에스비(USB) 전원부(35)를 구성하여 포함한다.
상기 진단기 크래들(Cradle)(C)은 마이콤(Micom)(200)이 구성되고 상기 마이콤(200)은 메인 진단기 본체(A)와 I2C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또한 유에스비(USB)(u)에 의해 마이콤(Micom)(200)에 저장된 정보를 메인 진단기 본체(A)와 송수신한다.
상기 마이콤(Micom)(200)은 디시컨버터(DCDC Converter)(36)가 연결되고 디시컨버터(36)는 아답터(Adapter)(37)와 결합되며 또한 자외선 살균처리를 위한 유브이시 엘이디(UVC LED)(38)와 유브이시 엘이디(UVC LED)(38)를 작동시키는 유브이시 엘이디(UVC LED) 작동용 센서(39)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Micom)(200)의 명령에 의해 I2C 통신을 통해 온도와 습도의 정보를 취득하는 온습도센서(Temp·Humidity Sensor)(40)와, 상기 마이콤(Micom)(200)의 명령에 의해 ADC/GPIO를 통해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미세먼지센서(41)와, 상기 마이콤(Micom)(200)과 I2C 통신을 통해 컨트롤러(42)에 의해 밴드(43)와 진공펌프(44)로써 사용자의 혈압/맥박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충전기능을 갖는 데코 엘이디(DECO LED)(45)를 구성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생체센서측정(체온, 혈압, 호흡수, 맥박수) 및 영상·음향진단(이비인후, 피부, 폐음, 기관지음, 수면중호흡음)과 환경진단(온습도, 미세먼지)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장비로 구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홈헬스 IoMT기기로 사용자 헬스컨텐츠와 홈 환경컨텐츠 수집을 고도화함으로써 생체신호진단(체온, 수분, 혈압, 호흡수, 맥박수)과 환경진단(온습도, 미세먼지) 및 영상(이비인후, 피부)·음향(폐음, 기관지음, 수면중호흡음)진단의료기기 산업의 가정용 신개념 의료기기 생태계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일상건강 관리와 호흡기도질환(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폐렴 등) 등의 예방을 위한 개인건강관리와 국민의 건강한 삶 및 최적의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기대 증가, 의료기관의 서비스 질적 향상 및 비용 절감, 보건의료정책의 맞춤형 질환 예방/진단 및 만성질환 관리를 할 수 있고, 그리고 모바일 측정 및 진단기기를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서비스가 시행될 수 있는 생태계가 형성할 수 있는 기술적 파급효과가 있다.
생체신호진단(체온, 수분, 혈압, 호흡수, 맥박수)과 환경진단(온습도, 미세먼지) 및 영상(이비인후, 피부)·음향(폐음, 기관지음, 수면중호흡음)진단의 모니터링으로 질환 예방 /조기 치료에 기여로 국민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의료서비스에 첨단 IoMT 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언제나 어디서나 Stand Alone IoMT Mobile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비인후, 피부의 영상진단, 폐음, 기관지음, 수면중호흡음의 음향진단, 체온, 수분, 혈압, 호흡수, 맥박수의 생체신호진단, 온습도, 미세먼지의 환경진단을 간단하게 측정, 자가진단 및 코칭하여 질 좋은 의료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홈 헬스케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 및 의료 접근성 및 편의성을 제고하고 의료취약 계층의 의료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
A: 메인 진단기 본체 B: 렌즈유니트커버
C: 진단기 크래들(Cradle) 100: 중앙처리장치부(CPU)
200: 마이콤(Micom) 1: 수분센서
2: 체온계 3: 광학엘이디
4: 전자청진기 5: 호흡센서
6: 렌즈 인터페이스부 7: 멀티플렉서(MUX)
8: 옵티컬 및 센서 디텍션 에이디시(ADC)회로
9: 엘이디 드라이브(LED Drive) 10: 수분측정용 마이컴
11: 타이머 12: 오디오 코덱
13: 엠프(Amp) 14: 스피커(SPK)
15: 스위치 16: 마이크
17: 카메라 전환스위치 18: 고배율 카메라
19: 1배측정 카메라 20: 영상통화카메라
21: 지자기센서 22: 멀티 터치센서 패널
23: 엘시디 디스플레이부 24: 백라이트 드라이버
25: 프레쉬 엘이디(Flash LED) 26: 메모리부
27: 기기작동용 작동키 28: 데코엘이디
29: 유아트 인터페이스 30: 바이브레이터
31: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32: 무선 통신부(WIFI, BT)
33: 전원부 34: 베터리부
35: 유에스비(USB) 전원부 36: 디시컨버터
37: 아답터(Adapter) 38: 유브이시 엘이디(UVC LED)
39: 유브이시 엘이디(UVC LED) 작동용 센서
40: 온습도센서(Temp·Humidity Sensor) 41: 미세먼지센서
42: 컨트롤러 43: 밴드
44: 진공펌프 45: 데코 엘이디(DECO LED)

Claims (15)

  1. 호흡기도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헬스컨텐츠와 홈 환경컨텐츠 수집 및 관리를 위해 다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진단기 본체(A)와,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광학 엘이디 및 센서로서 이루어져 원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A)와 교체 결합할 수 있는 렌즈유니트커버(B)와,
    혈압 및 맥박과 온도ㆍ습도 및 미세먼지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A)와 무선통신(WIFI, BT)이나 유에스비(USB)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또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진단기 크래들(Cradle)(C)과,
    상기 메인 진단기 본체(A)는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부(CPU)(100)와, 상기 렌즈유니트커버(B)를 교체 결합할 수 있는 렌즈 인터페이스부(6)를 구성하고,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부(6)에는 멀티플렉서(MUX)(7)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멀티플렉서(MUX)(7)는 중앙처리장치부(CPU)(100)와 연결되어 렌즈 인터페이스부(6)를 통해 렌즈유니트커버(B)의 정보를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 전송하고 또한 중앙처리장치부(CPU)(100)의 신호명령을 렌즈유니트커버(B)에 전송하며 정보취득을 운영함을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렌즈유니트커버(B)는 수분센서(1)와 체온계(2), 광학엘이디(3), 전자청진기(4) 및 호흡센서(5)로 이루어지며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메인 진단기 본체(A)에 결합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렌즈 인터페이스부(6)에는 중앙처리장치부(CPU)(100)의 신호명령에 의해 렌즈 인터페이스부(6)가 광학 엘이디(3) 및 센서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하는 옵티컬 및 센서 디텍션 에이디시(ADC)회로(8)를 연결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렌즈 인터페이스부(6)에는 중앙처리장치부(CPU)(100)의 신호명령에 의해 광학 엘이디(3)를 온/오프시키는 엘이디 드라이브(LED Drive)(9)를 연결 구성하여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는 수분측정용 마이컴(10)을 연결 구성하고 수분측정용 마이컴(10)의 신호명령에 의해 수분측정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11)를 구성하여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는 음성이나 영상을 압축(증폭)하는 오디오 코덱(Audio Codec)(12)을 연결 구성하고, 상기 오디오 코덱(12)에는 엠프(Amp)(13) 및 스피커(SPK)(14)를 연결하며 또한 스위치(15)와 마이크(16)를 연결 구성하고 스위치(15)는 멀티플렉서(MUX)(7)와 연결하여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부(CPU)(100)에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로서 카메라 전환스위치(17)를 구성하고 카메라 전환스위치(17)에 의해 선택 전환되는 고배율 카메라(18)와 1배측정 카메라(19) 및 영상통화카메라(20)를 구성하여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부(CPU)(100)는 지자기센서(21)와 필요한 기능을 작동시키는 멀티 터치센서 패널(22) 및 취득한 정보를 출력하여 볼 수 있는 엘시디 디스플레이부(23)와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드라이버(24)가 연결 구성하여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부(CPU)(100)는 외부조명을 위한 프레쉬 엘이디(Flash LED)(2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100)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6)와 파워/업/다운을 위한 기기작동용 작동키(27)와 키/로고용 엘이디를 밝히는 데코엘이디(28)와 유아트 인터페이스(29)와 진동모터기능을 위한 바이브레이터(30)를 구성하여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부(CPU)(100)는 외부출력을 위한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31)가 연결 구성하여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부(CPU)(100)는 외부 모듈간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WIFI, BT)(32)를 구성하여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부(CPU)(100)는 전원부(33)를 구성하고 충전된 전원을 전원부(33)에 공급하는 베터리부(34)를 구성하며, 또한 진단기 크래들(Cradle)(C)의 사용자 혈압 및 맥박과 홈환경 온습도 및 미세먼지에 대해 취득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유에스비(USB) 전원부(35)를 구성하여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진단기 크래들(Cradle)(C)은 마이콤(Micom)(200)이 구성되고 상기 마이콤(200)은 메인 진단기 본체(A)와 I2C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또한 유에스비(USB)(u)에 의해 마이콤(Micom)(200)에 저장된 정보를 메인 진단기 본체(A)와 송수신하며, 상기 마이콤(Micom)(200)은 디시컨버터(DCDC Converter)(36)가 연결되고 디시컨버터(36)는 아답터(Adapter)(37)와 결합되며 또한 자외선 살균처리를 위한 유브이시 엘이디(UVC LED)(38)와 유브이시 엘이디(UVC LED)(38)를 작동시키는 유브이시 엘이디(UVC LED) 작동용 센서(39)를 구성하여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마이콤(Micom)(200)의 명령에 의해 I2C 통신을 통해 온도와 습도의 정보를 취득하는 온습도센서(Temp·Humidity Sensor)(40)와, 상기 마이콤(Micom)(200)의 명령에 의해 ADC/GPIO를 통해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미세먼지센서(41)와, 상기 마이콤(Micom)(200)과 I2C 통신을 통해 컨트롤러(42)에 의해 밴드(43)와 진공펌프(44)로써 사용자의 혈압/맥박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충전기능을 갖는 데코 엘이디(DECO LED)(45)를 구성하여 전원을 공급함을 포함하는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15. 삭제
KR1020200161988A 2020-11-27 2020-11-27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KR102271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988A KR102271553B1 (ko) 2020-11-27 2020-11-27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988A KR102271553B1 (ko) 2020-11-27 2020-11-27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553B1 true KR102271553B1 (ko) 2021-07-01
KR102271553B9 KR102271553B9 (ko) 2021-09-17

Family

ID=7685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988A KR102271553B1 (ko) 2020-11-27 2020-11-27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5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426B1 (ko) 2015-08-05 2016-06-15 아람휴비스(주) 개인용 건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210262A1 (en) * 2013-01-14 2016-07-21 Welch Allyn, Inc. Portable instrument and docking station with divided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device
KR101730648B1 (ko) 2016-09-02 2017-04-27 아람휴비스(주) 다기능을 갖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190094049A (ko) * 2018-02-02 2019-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건강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134148A (ko) * 2018-05-25 2019-12-04 인충교 적외선 귀 체온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10262A1 (en) * 2013-01-14 2016-07-21 Welch Allyn, Inc. Portable instrument and docking station with divided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device
KR101630426B1 (ko) 2015-08-05 2016-06-15 아람휴비스(주) 개인용 건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730648B1 (ko) 2016-09-02 2017-04-27 아람휴비스(주) 다기능을 갖는 건강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190094049A (ko) * 2018-02-02 2019-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건강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134148A (ko) * 2018-05-25 2019-12-04 인충교 적외선 귀 체온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553B9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8582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medical diagnostic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telehealth services
US10973471B2 (en) Integrated medical device and home based system to measure and report vital patient physiological data via telemedicine
JP2022002157A (ja) 医療診断情報を取得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遠隔医療サービスの提供
US8840549B2 (en) Modular patient monitor
US9161696B2 (en) Modular patient monitor
ES2748669T3 (es) Sistema de adquisición, comunicación y evaluación de datos de auscultación que incorpora instalaciones móviles
US201500879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emote Medical Diagnosis and Consultation
CN115568847A (zh) 用于收集肺活量测定法数据的方法和系统
US20150327775A1 (en) Medical examination apparatus
TW202115678A (zh) 偵測臨床表徵的方法以及影像系統
US20170007126A1 (en) System for conducting a remote physical examination
KR101849955B1 (ko)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
US10736515B2 (en) Portable monitoring device for breath detection
TW201440729A (zh) 無線電子聽診器裝置
WO2006064635A1 (ja) 診断システム
WO2018120643A1 (zh) 生理监测结果的反馈方法及装置
WO2018120635A1 (zh) 生理数据的监测方法及装置
US202202182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ersonal medical monitoring device
KR102271553B1 (ko) IoMT 스마트 모바일의 영상, 음향, 생체, 환경 센서를 활용한 개인용 호흡기도질환 건강관리 시스템
CN117121116A (zh) 用于外科装置增强的多传感器处理
US20040225476A1 (en) Inspection apparatus for diagnosis
US20110077454A1 (en) Interactive hypnotic bio-stabilization system
CN106108856A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睡眠初筛仪
CN117043882A (zh) 用于建议术后监测和感测方案的术前和术中数据
US20210021787A1 (en) Audio-video conferencing system of tele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