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540B1 -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540B1
KR102271540B1 KR1020190119345A KR20190119345A KR102271540B1 KR 102271540 B1 KR102271540 B1 KR 102271540B1 KR 1020190119345 A KR1020190119345 A KR 1020190119345A KR 20190119345 A KR20190119345 A KR 20190119345A KR 102271540 B1 KR102271540 B1 KR 102271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path
guide
s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126A (ko
Inventor
김다라
김윤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넷
Priority to KR1020190119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5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4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경로 매핑 방법은, 제 1 구조물 내부에서 시설물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路) 설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는, 해당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된다.

Description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THREE DIMENSIONAL PATH MAPPING METHOD FOR FACILITIES}
본 발명은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선, 하수도, 상수도, 가스 배관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의 망으로 연결된 시설물들을 연결하는 경로를 매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선, 하수도, 상수도, 가스 배관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의 망으로 연결된 시설물의 경우, 하나의 건물 내에서도 동일 층 내에서의 경로 및 층간 경로 등의 복잡한 경로에 의해 연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망으로 연결된 시설물들의 연결 경로를 사용자가 쉽게 실제 경로와 동일하게 맵(Map) 상에서 설정하고, 설정된 경로를 쉽게 사용자를 포함한 다수가 모니터링 가능하다면, 경로 어딘가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013069호 : 3차원 장면에서 제 1 포인트를 제 2 포인트에 연결하는 경로의 설계(2015년 02월 04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전기선, 하수도, 상수도, 가스 배관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의 망으로 연결된 시설물들의 연결 경로를 사용자가 쉽게 실제 경로와 동일하게 맵(Map) 상에서 설정하고, 설정된 경로를 쉽게 사용자를 포함한 다수가 모니터링 가능한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경로 매핑 방법은, 제 1 구조물 내부에서 시설물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路) 설정 단계;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의 제 1 내부 가이드로와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경로를 포함하는 제 1 시설물을 설정하는,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 및 상기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이드로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구조물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는, 해당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내부 가이드로와 상기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에는, '0'개 이상의 내부 가이드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시설물의 개시 부분인 제 1 내부 가이드로; 상기 제 1 내부 가이드로와 상기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의 '0'개 이상의 내부 가이드로; 및 상기 제 1 시설물의 종결 부분인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경로에 의해, 상기 제 1 시설물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물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이드로는, 해당 외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경로 매핑 방법은,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에 다른 경로를 합쳐 연결한 경로를 포함하는 제 3 시설물을 설정하는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에 제 2 시설물의 경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시설물은, 상기 제 1 구조물과 상기 제 2 구조물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이드로를 경로에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2 구조물 내부에서 경로가 형성된 제 4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설물의 경로가 추가된 경로에, 상기 제 4 시설물의 경로를 더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시설물 및 상기 제 2 시설물은 각각, 통신 케이블이고, 상기 제 1 시설물은,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Fiber Distribution Frame)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경로 매핑 방법은, 상기 제 1 시설물과 연결된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 관련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 정보 설정 단계; 및 상기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과 연결된 장비의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장비 정보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로 매핑 방법은, 상기 제 1 시설물을 구성하는 내부 가이드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구조물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내부 가이드로를 연결하는 층간 내부 가이드로인 경우, 상기 층간 내부 가이드로와 연결되는 하나의 층에서의 내부를 연결하는 내부 가이드로; 및 상기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2차원 맵에서 매핑하여, 3차원 맵 상에 상기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시설물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내부 가이드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로 매핑 방법은, 상기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 완료 이후, 상기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내부 가이드로를 이용하는 상기 제 1 시설물을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를 표시하는 시설물 정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설물 정보 표시 단계는, 해당 시설물의 식별 정보; 해당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과 각각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을 통해 연결된 장비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는, 설정하고자 하는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영역의 지정에 의해, 해당 내부 가이드로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에 따르면, 전기선, 하수도, 상수도, 가스 배관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의 망으로 연결된 시설물들의 연결 경로를 사용자가 쉽게 실제 경로와 동일하게 맵(Map) 상에서 설정하고, 설정된 경로를 쉽게 사용자를 포함한 다수가 모니터링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의 매핑 영역을 3차원 도면으로 표시한 예시도.
도 3 및 도 4은 각각 아셈타워라는 구조물에 대해 내부 가이드로 설정 예시도이다.
도 5는 아셈타워 1층에 설정된 내부 가이드로를 3차원 맵상에 표시한 예시도.
도 6은 아셈타워라는 구조물을 코엑스라는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외부 가이드로 설정 예시도.
도 7은 시설물 설정 예시도.
도 8은 코엑스 내부에서 설정된 시설물을 3차원 맵 상에서 표시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코엑스 지하 2층로부터 개시하여 아셈타워 1층에서 종결되는 시설물의 설정 방법에 대한 설명도.
도 12는 시설물 정보의 표시 예시도.
도 13은 설정이 완료된 시설물들의 표시 예시도.
도 14는 장비 현황 정보의 표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시설물은, 전기선, 하수도, 상수도, 가스 배관 또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는 긴 케이블이나 배관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가정, 사무실 등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기반 시설물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은, 제 1 구조물 내부에서 시설물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路)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A100);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이드로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구조물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A200); 제 1 구조물 내부의 제 1 내부 가이드로와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경로를 포함하는 제 1 시설물을 설정하는,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SA300); 및 제 1 시설물의 경로에 다른 경로를 합쳐 연결한 경로를 포함하는 제 3 시설물을 설정하는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SA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은, 제 1 시설물과 연결된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Fiber Distribution Frame, FDF) 관련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 정보 설정 단계(SA500);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과 연결된 장비의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장비 정보 설정 단계(SA600); 및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제 1 구조물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내부 가이드로를 이용하는 제 1 시설물을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를 표시하는 시설물 정보 표시 단계(SA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A100)에서의 내부 가이드로의 예로는, 전기선, 하수도, 상수도, 가스 배관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의 시설물이 탑재될 수 있는 트레이, 관로 또는 공동구를 예로 들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2차원 맵(Map) 상에서 트레이 및 관로의 경우에는 폭이 좁은 선(LINE) 또는 점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고, 공동구의 경우에는 폭이 넓은 면 영역(AREA)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 1 구조물 및 제 2 구조물과 같은 구조물은, 건물 및 교각 등의 건축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A100)에서 내부 가이드로는, 해당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라는 것은, 해당 내부 가이드로를 다른 내부 가이드로 또는 외부 가이드로와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명칭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울러, 내부 가이드로의 위치 정보는, 내부 가이드로가 위치한 제 1 구조물 내의 해당 층에 대한 2차원 맵에서의 좌표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A100)는, 설정하고자 하는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A110); 및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점, 선 또는 면 영역의 지정에 의해, 해당 내부 가이드로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A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물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A2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이드로는, 해당 외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라는 것은, 해당 외부 가이드로를 다른 외부 가이드로 또는 내부 가이드로와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명칭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울러, 외부 가이드로의 위치 정보는, 외부 가이드로의 2차원 맵에서의 좌표 정보또는 외부 가이드로의 양단에 위치하는 건물 명칭을 예로 들 수 있다. 외부 가이드로의 2개의 종결 지점에서의 각각의 좌표값은, 서로 다른 구조물을 가리키게 되어, 외부 가이드로에 의해 서로 다른 구조물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구조물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A200)에서의 외부 가이드로도 내부 가이드로와 마찬가지로, 전기선, 하수도, 상수도, 가스 배관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의 시설물이 탑재될 수 있는 트레이, 관로 또는 공동구를 예로 들 수 있다.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SA300)에서, 제 1 내부 가이드로와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에는, '0'개 이상의 내부 가이드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 시설물은 제 1 내부 가이드로와 제 N 내부 가이드로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내부 가이드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SA300)는, 제 1 시설물의 개시 부분인 제 1 내부 가이드로; 제 1 내부 가이드로와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의 '0'개 이상의 내부 가이드로; 및 제 1 시설물의 종결 부분인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경로에 의해, 제 1 시설물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 내부 가이드로 내지 제 N 내부 가이드로 중 적어도 일부는, 제 1 구조물의 동일한 층에 위치한 층내 내부 가이드로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시설물을 구성하는 내부 가이드로 중 적어도 일부가, 제 1 구조물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내부 가이드로를 연결하는 층간 내부 가이드로인 경우, 층간 내부 가이드로와 연결되는 하나의 층에서의 내부를 연결하는 내부 가이드로; 및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2차원 맵에서 매핑하여, 3차원 맵 상에 상기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포함하여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층간 내부 가이드로는, 해당 층간 내부 가이드로와 연결되는 하나의 층의 내부 가이드로의 말단 부분을 영역으로 설정하여, 연결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SA300)는, 제 1 시설물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A310); 및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A100)에서 설정된 내부 가이드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SA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SA400)는,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오는 단계(SA410); 제 1 시설물의 경로에 제 2 시설물의 경로를 추가하는 단계(SA420); 제 2 구조물 내부에서 경로가 형성된 제 4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오는 단계(SA430); 및 제 2 시설물의 경로가 추가된 경로에, 제 4 시설물의 경로를 더 추가하는 단계(SA4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제 2 시설물의 경로를 추가하는 단계(SA420) 이전에, 제 2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 및 제 4 시설물을 설정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도 1의 흐름도에서는 제 2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 및 제 4 시설물을 설정하는 단계의 도시는 생력되었다.
최종적으로 제 3 시설물은, 제 1 시설물, 제 2 시설물 및 제 4 시설물의 경로에 의해 그 경로가 형성되게 된다. 즉,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SA400)에 의해, 다수의 시설물을 그룹화하여 새로운 시설물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다수의 시설물을 그룹화하여 새로운 시설물을 설정하더라도, 그룹화 이전의 다수의 시설물 또한 별도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시설물은,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이드로를 경로에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시설물, 제 2 시설물, 제 3 시설물 및 제 4 시설물은 각각, 통신 케이블일 수 있다. 이 경우, 시설물 중 적어도 일부는, 2개의 말단에 각각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Fiber Distribution Frame)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은, 네트워크 장비와 같은 장비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설물은,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은,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 정보 설정 단계(SA500), 장비 정보 설정 단계(SA600); 및 시설물 정보 표시 단계(SA700)에 의해 시설물 중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 정보, 장비 정보를 표시하고, 이를 해당 시설물과 연관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시설물 정보 표시 단계(SA700)는, 해당 시설물의 식별 정보; 해당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과 각각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을 통해 연결된 장비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 본 발명의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의 시설물을 통신 케이블로, 구조물은 건물로 예로 들어, 코엑스 등을 포함하는 매핑 영역에 적용한 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의 매핑 영역을 3차원 도면으로 표시한 예시도이다. 아울러, 도 3 및 도 4은 각각 아셈타워라는 구조물에 대해 내부 가이드로 설정 예시도이다. 다만, 도 3은 아셈타워 1층에서 사용하는 층내 내부 가이드로의 설정 예시도이고, 도 4는 아셈타워 1층과 10층을 연결하는 층간 내부 가이드로의 설정 예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아셈타워 1층에 설정된 내부 가이드로를 3차원 맵상에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3에서 좌측의 ①에서 해당 층내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우측의 ②와 같이 층내 내부 가이드로를 마우스 등에 의해 선 영역으로 설정하면, 좌측의 ①에서 좌표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도 3에서 층내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는 '서울-ASEM-1F#11'로 설정되었다.
마찬가지로 도 4에서 좌측의 ①에서 해당 층간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우측의 ②와 같이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마우스 등에 의해 선 영역으로 설정하면, 좌측의 ①에서 좌표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도 4에서 층간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는 '서울-ASEM-1F#1'로 설정되었다.
아울러, 도 5에서, 층내 내부 가이드로는 보라색 선으로, 층간 내부 가이드로는 연두색 점으로 표현되었다.
아울러, 도 6은 아셈타워라는 구조물을 코엑스라는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외부 가이드로 설정 예시도이다.
도 6에서 좌측의 ①에서 해당 외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우측의 ②와 같이 외부 가이드로를 마우스 등에 의해 선 영역으로 설정하면, 좌측의 ①에서 좌표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도 7은 시설물 설정 예시도이다.
도 7의 좌측의 ①에서 해당 외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서 외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는, 'COEX_B2F_전산실-COEX_4F_허브룸#1'로 설정되었다. 아울러, 도 7의 ②와 같이 내부 가이드로 또는 외부 가이드로를 순서대로 설정하면, ③ 영역에서 경로가 표시되게 된다.
도 8은 코엑스 내부에서 설정된 시설물을 3차원 맵 상에서 표시한 예시도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7과 같이 2차원 맵에서 내부 가이드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매핑하여, 3차원 맵 상에 시설물을 도 8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도 8에서 해당 시설물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해당 시설물의 식별 정보; 및 해당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코엑스 지하 2층로부터 개시하여 아셈타워 1층에서 종결되는 시설물의 설정 방법에 대한 설명도이다.
먼저 도 9에서 코엑스 지하 2층에서 시작하는 코엑스 내부에서 설정된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와서 선택하고, 도 10과 같이 코엑스와 아셈타워를 연결하는 외부 가이드로를 경로에 추가하고, 도 11에서 아셈타워 1층에서 종결되는 아셈타워 내부에서 설정된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와 추가하게 된다.
즉, 상술한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SA400)에서, 코엑스 내부에서 설정된 시설물은 제 1 시설물에 대응하고, 외부 가이드로의 경로를 추가한 것은 제 2 시설물의 경로에 대응하고, 아셈타워 내부에서 설정된 시설물은 제 4 시설물에 대응한다.
도 12는 시설물 정보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12에서 시설물은 케이블에 대응하고, 해당 시설물의 식별 정보는 케이블 명에 대응하고, 해당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의 위치 정보는 각각 FROM과 TO에 대응하고, 장비 정보는 장비명에 대응한다.
도 13은 설정이 완료된 시설물들의 표시 예시도이고, 도 14는 장비 현황 정보의 표시 예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에서는, 설정이 완료된 시설물들의 표시 화면에서, 내부 가이드로 또는 외부 가이드로를 클릭 시에, 해당 시설물의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의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가이로를 이용하는 시설물의 정보 및 해당 시설물과 연결된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의 현황 리스트 또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을 클릭 시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이 설치되어 있는 룸과 같은 공간의 장비 현황 정보를 3차원으로 관리 및 편집할 수 있다.
도 1에 의해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을,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매핑 영역에서, 시설물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로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가이드로 설정 단계(SB100);를 포함한다. 가이드로 설정 단계(SB100)에서 가이드로는, 해당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이드로는, 상술한 내부 가이드로 및 외부 가이드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로 설정 단계(SB100)는, 제 1 구조물 내부의 가이드로를 설정하는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B110); 및 제 1 구조물 외부의 가이드로를 설정하는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B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B110)는, 설정하고자 하는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B111); 및 매핑 영역의 2차원 맵 상에서 점, 점, 선 또는 면 영역의 지정에 의해, 해당 가이드로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B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B120)는, 설정하고자 하는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B121); 및 매핑 영역의 2차원 맵 상에서 점, 선 또는 면 영역의 지정에 의해, 해당 가이드로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B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은, 제 1 구조물 내부의 다수의 가이드로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경로를 포함하는 제 1 시설물을 설정하는,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SB200); 제 1 시설물의 경로에 다른 경로를 합쳐 연결한 경로를 포함하는 제 3 시설물을 설정하는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SB300);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제 1 구조물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내부 가이드로를 이용하는 제 1 시설물을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를 표시하는 시설물 정보 표시 단계(SB400);을 더 포함한다.
제 2 시설물은,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SB120)에서 설정된 제 1 구조물 외부의 가이드로를 이용하는,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을 연결하는 경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SB200)는, 제 1 시설물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B210); 및 2차원 맵 상에서, 가이드로 설정 단계(SB100)에서 설정된 가이드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SB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SB300)는,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오는 단계(SB310); 제 1 시설물의 경로에 제 2 시설물의 경로를 추가하는 단계(SB320); 제 2 구조물 내부에서 경로가 형성된 제 4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오는 단계(SB330); 및 제 2 시설물의 경로가 추가된 경로에, 제 4 시설물의 경로를 더 추가하는 단계(SB3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구성하는 다수의 가이드로 중 적어도 일부가, 제 1 구조물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가이드로를 연결하는 층간 내부 가이드로인 경우, 층간 내부 가이드로와 연결되는 하나의 층의 가이드로; 및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2차원 맵에서 매핑하여, 3차원 맵 상에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포함한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구성하는 다수의 가이드로에 의해,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에 따르면, 실제 건물 등에 설치된 시설물 및 그와 관련된 장비 등의 정보를, 2차원 또는 3차원의 맵 상에서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시설물 또는 장비 등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 2차원 또는 3차원의 맵 상에서 표시된 경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오류가 발생한 위치 또는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에 따르면, 전기선, 하수도, 상수도, 가스 배관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의 망으로 연결된 시설물들의 연결 경로를 사용자가 쉽게 실제 경로와 동일하게 맵(Map) 상에서 설정하고, 설정된 경로를 쉽게 사용자를 포함한 다수가 모니터링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26)

  1.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경로 매핑 방법에 있어서,
    제 1 구조물 내부에서 시설물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路) 설정 단계;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의 제 1 내부 가이드로와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경로를 포함하는 제 1 시설물을 설정하는,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 및 상기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 완료 이후, 상기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내부 가이드로를 이용하는 상기 제 1 시설물을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를 표시하는 시설물 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는, 해당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고,
    상기 제 1 내부 가이드로와 상기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에는, '0'개 이상의 내부 가이드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시설물의 개시 부분인 제 1 내부 가이드로; 상기 제 1 내부 가이드로와 상기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의 '0'개 이상의 내부 가이드로; 및 상기 제 1 시설물의 종결 부분인 제 N 내부 가이드로 사이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경로에 의해, 상기 제 1 시설물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시설물을 구성하는 내부 가이드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구조물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내부 가이드로를 연결하는 층간 내부 가이드로인 경우, 상기 층간 내부 가이드로와 연결되는 하나의 층에서의 내부를 연결하는 내부 가이드로; 및 상기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2차원 맵에서 매핑하여, 3차원 맵 상에 상기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시설물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내부 가이드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시설물 정보 표시 단계는, 해당 시설물의 식별 정보; 해당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과 각각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을 통해 연결된 장비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매핑 방법은,
    상기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이드로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구조물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조물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이드로는,
    해당 외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매핑 방법은,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에 다른 경로를 합쳐 연결한 경로를 포함하는 제 3 시설물을 설정하는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에 제 2 시설물의 경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설물은,
    상기 제 1 구조물과 상기 제 2 구조물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가이드로를 경로에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2 구조물 내부에서 경로가 형성된 제 4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설물의 경로가 추가된 경로에, 상기 제 4 시설물의 경로를 더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설물 및 상기 제 2 시설물은 각각, 통신 케이블이고,
    상기 제 1 시설물은,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Fiber Distribution Frame)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매핑 방법은,
    상기 제 1 시설물과 연결된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 관련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 정보 설정 단계; 및
    상기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과 연결된 장비의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장비 정보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설물은,
    전기선, 하수도, 상수도, 가스 배관 또는 통신 케이블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는,
    설정하고자 하는 내부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영역의 지정에 의해, 해당 내부 가이드로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16.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경로 매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매핑 영역에서, 시설물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로를 설정하고 저장하는 가이드로 설정 단계; 제 1 구조물 내부의 다수의 가이드로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경로를 포함하는 제 1 시설물을 설정하는,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 및 상기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 완료 이후, 상기 제 1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층의 2차원 맵 상에서, 상기 제 1 구조물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가이드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내부 가이드로를 이용하는 상기 제 1 시설물을 포함하는 시설물 정보를 표시하는 시설물 정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로 설정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로는, 해당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로 설정 단계는, 제 1 구조물 내부의 가이드로를 설정하는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 및 상기 제 1 구조물 외부의 가이드로를 설정하는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구성하는 다수의 가이드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구조물의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가이드로를 연결하는 층간 내부 가이드로인 경우, 상기 층간 내부 가이드로와 연결되는 하나의 층의 가이드로; 및 상기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2차원 맵에서 매핑하여, 3차원 맵 상에 상기 층간 내부 가이드로를 포함한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구성하는 다수의 가이드로에 의해,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 1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시설물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2차원 맵 상에서, 상기 가이드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가이드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정보 표시 단계는, 해당 시설물의 식별 정보; 해당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시설물의 개시 부분 및 종결 부분과 각각 회전 모듈형 광분배함을 통해 연결된 장비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매핑 방법은,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에 다른 경로를 합쳐 연결한 경로를 포함하는 제 3 시설물을 설정하는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설물의 경로에 제 2 시설물의 경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설물은,
    상기 외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제 1 구조물 외부의 가이드로를 이용하는, 상기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을 연결하는 경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시설물 설정 단계는,
    상기 제 2 구조물 내부에서 경로가 형성된 제 4 시설물의 경로를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설물의 경로가 추가된 경로에, 상기 제 4 시설물의 경로를 더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이드로 설정 단계는,
    설정하고자 하는 가이드로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매핑 영역의 2차원 맵 상에서 영역의 지정에 의해, 해당 가이드로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매핑 방법.
KR1020190119345A 2019-09-27 2019-09-27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 KR10227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345A KR102271540B1 (ko) 2019-09-27 2019-09-27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345A KR102271540B1 (ko) 2019-09-27 2019-09-27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126A KR20210037126A (ko) 2021-04-06
KR102271540B1 true KR102271540B1 (ko) 2021-07-01

Family

ID=7547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345A KR102271540B1 (ko) 2019-09-27 2019-09-27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5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194A (ja) * 2001-10-31 2003-05-16 Kimoto & Co Ltd 通信線路設計システム、通信線路管理システム、通信線路設計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線路管理プログラム
KR101777794B1 (ko) * 2016-07-06 2017-09-13 김윤수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190B1 (ko) * 2007-07-31 2010-02-05 조병태 지하시설물 입체 네비게이션
EP2829993B1 (en) * 2013-07-25 2020-09-30 Dassault Systèmes Design of a path connecting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in a three-dimensional sce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1194A (ja) * 2001-10-31 2003-05-16 Kimoto & Co Ltd 通信線路設計システム、通信線路管理システム、通信線路設計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線路管理プログラム
KR101777794B1 (ko) * 2016-07-06 2017-09-13 김윤수 지하 시설물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126A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36179A1 (en) Computer-assisted evaluation of blueprints using computer-storable evaluation-criteria
CN104794755B (zh) 一种高压电缆三维管线场景构建方法
KR102059904B1 (ko) 건물 평면도 제공장치 및 방법
CN101820532A (zh) 一种全三维智能虚拟机房的实现方法
CN110546460B (zh) 用于电梯轿厢分配显示的步行路径地图的自动渲染的系统和方法
CN106895840A (zh) 自动化构建最小路网子集的室内路径规划方法
WO2013071117A1 (en) Method and automation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extractable from an engineering drawing file using information modeling and correlations to generate output data
KR102271540B1 (ko) 시설물을 위한 3차원 경로 매핑 방법
US89429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d presenting network designs
CN105527680A (zh) 一种室内引入光缆
CN109658725A (zh) 停车场寻车方法、装置及系统、计算机设备、存储介质
CN114186368A (zh) 一种基于蚁群算法的电缆敷设路径优化方法
CN114818226B (zh) 板楼建筑的管线排布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191371A (zh) 一种快速提取计算房屋建筑面积的方法
JP5723395B2 (ja) 地震災害対策の優先順位決定装置及び方法
CN111737788A (zh) 一种消防工程图生成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980708B (zh) 一种电缆通道中电缆敷设空间占用分析方法及系统
CN114925436A (zh) 基于单层户型图生成楼宇建筑模型的方法和系统
Iwamura et al. 4D-GIS (4 dimensional GIS) as spatial-temporal data mining platform and its application to managementand monitoring of large-scale infrastructures
CN110932973B (zh) 一种光缆网点到点的最佳路由计算方法及装置
CN113901558A (zh) 基于ai决策树的管道自动生成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06056232A (zh) 一种导航方法、装置及系统
JP4110136B2 (ja) 建物内光伝送路
CN110162880A (zh) 光电缆敷设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04020543A (zh) 一种用于小区配线的光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