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452B1 -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 Google Patents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452B1
KR102271452B1 KR1020190098320A KR20190098320A KR102271452B1 KR 102271452 B1 KR102271452 B1 KR 102271452B1 KR 1020190098320 A KR1020190098320 A KR 1020190098320A KR 20190098320 A KR20190098320 A KR 20190098320A KR 102271452 B1 KR102271452 B1 KR 102271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fastening
water
tape measur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294A (ko
Inventor
유한선
이진용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8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452B1/ko
Priority to CN202010075725.2A priority patent/CN112393782B/zh
Publication of KR2021001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12Graduation
    • G01D13/20Graduation with luminescent markings
    • G01F23/006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01N2001/1418Depression, aspiratio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는 수위 측정 장치 및 시료 채취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와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수납 공간에 권취되며, 일단이 상기 컨트롤러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하나에 부착된 체결 홈에 체결되고,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WATER LEVEL AND SAMPLING}
아래 실시예들은 시료 채취 및 수위 측정 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 물 시료 채취 장치(또는 베일러) 및 지하수 수위 측정 장치(또는 수위계)는 수질과 수위 측정을 위한 필수 장비(또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베일러 및 수위계는 지하수 관련 업종의 기업과 연구기관에서 수질과 수위 측정을 위해 필수적으로 소요하는 장비일 수 있다.
베일러는 수위가 깊은 관정에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수위계는 수위가 깊은 관정에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베일러는 베일러가 물 속에 들어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 관정 밖으로 꺼내야 비로소 물 채취 여부가 확인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베일러는 시료 채취 행위가 반복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들은 수위 측정 장치 및 시료 채취 장치가 교대로 체결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또는 측정하면서), 시료를 채취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는 수위 측정 장치 및 시료 채취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와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수납 공간에 권취되며, 일단이 상기 컨트롤러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하나에 부착된 체결 홈에 체결되고,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측정 장치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가 상기 물에 접촉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알림을 청각 신호로 제공하는 청각 알림 장치와, 상기 알림을 시각 신호로 제공하는 시각 알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 및 숫자가 표기된 줄자와, 상기 줄자의 일단에 상기 컨트롤러를 체결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줄자의 타단에 상기 어느 하나를 체결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자의 앞면에는 cm 단위의 눈금 및 숫자가 표기될 수 있다.
상기 줄자의 뒷면에는 m 단위의 눈금 및 숫자가 표기될 수 있다.
상기 줄자에 표기된 눈금 및 숫자는 야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어느 하나에 부착된 제1 체결 홈에 상기 줄자를 체결하는 제1 체결 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에 부착된 제2 체결 홈에 상기 줄자를 체결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체결 홈 및 상기 제2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3 체결부와, 일단에 상기 제3 체결부가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물에 접촉하며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료 채취 장치는 상기 물이 채취될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통과, 상기 몸통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체결 홈 및 상기 제2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상기 제4 체결부와, 상기 몸통의 하부에 위치하고, 나선형으로 형성된 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은 상기 내부 공간에 물이 완전히 채워지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와, 상기 내부 공간에 포함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채취된 물의 유실을 막는 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말단부는 상기 공과 접촉하여 상기 채취된 물의 유실을 막는 고무 밴드와, 상기 내부 공간에 오염 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물이 용이하게 채취되면서 상기 오염 물질이 필터링되도록 매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수위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수위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료 채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실시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는 본체(110) 및 측정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130)가 권취되는 수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측정 장치(130)에 체결된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 장치(130)는 수납 공간에 권취되며,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장치(130)는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어느 하나에 부착된 체결 홈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는 측정 장치(130)에 평소에 수위 측정 장치(300)를 체결하여 수위계로써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수위 측정 장치(300)를 시료 채취 장치(500)로 손쉽게 교체하여 베일러로써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즉,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는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가 교대로 체결되어 측정 장치(130) 및/또는 수위 측정 장치(300)를 통해 물의 수위를 측정하고(또는 측정하면서), 시료 채취 장치(500)를 통해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는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는 상황에 맞게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를 손쉽게 교체하여 교대로 사용되게 하고,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사용되는 어느 하나가 견고하게 체결되게 할 수 있다.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는 수위 측정과 시료 채취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장치 사용에 대한 응용성 및 경제성이 매우 좋을 수 있다.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는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를 이용한 수위 측정 행위 및 시료 채취 행위의 반복을 방지할 수 있다.
수위 측정 장치(300)는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위 측정 장치(300)는 수위 측정 장치(300)가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센싱 데이터를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시료 채취 장치(500)는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시료 채취 장치(500)는 시료 채취 장치(500)에 시료가 완전히 채워지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센싱 데이터를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료는 액체 시료로써, 물일 수 있다.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는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는 측정 장치(130)에 서로 교대로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시료를 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다.
본체(110)는 몸통(111), 컨트롤러(113), 손잡이(115), 알림 장치(117), 지지대(119)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의 측정 장치(130)는 도 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몸통(111)은 원기둥(111a), 제1 원판 부재(111b), 제2 원판 부재(111c) 및 수납 공간(A)을 포함할 수 있다.
몸통(111)은 도 2와 같이 원기둥(111a)의 일단에 제1 원판 부재(111b)가 체결되고(또는 위치하고, 부착되고), 원기둥(111a)의 타단에 제2 원판 부재(111c)가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몸통(111)에는 원기둥(111a)의 양단에 각각 제1 원판 부재(111b) 및 제2 원판 부재(111c)가 체결됨으로써, 측정 장치(130)가 권취되는 수납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13)는 측정 장치(130)의 일단에 체결되고, 측정 장치(130)를 통해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측정 장치(130)의 타단에 체결된 어느 하나(300 또는 5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신호는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센싱한 센싱 신호일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 장치(130)의 타단에 체결된 어느 하나(300 또는 500)가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측정 장치(130)의 타단에 체결된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13)는 알림 장치(117)를 제어하여 측정 장치(130)의 타단에 체결된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몸통(111)의 원기둥(111a)에 포함되거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13)는 원기둥(111a)에서 원판 부재들(111b 및 111c)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러(113)는 도 2와 같이 제2 원판 부재(111c)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손잡이(115)는 몸통(111)의 양 측면에 체결되어 측정 장치(130)를 감거나 풀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115)는 몸통(111)의 양 측면에 형성된 원판 부재들(111b 및 111c) 각각에 체결되는 제1 손잡이(115a) 및 제2 손잡이(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수납 공간(A)에 측정 장치(130)가 권취되도록 제1 손잡이(115a)를 통해 몸통(111)을 회전시켜 측정 장치(130)를 감거나 풀 수 있다.
알림 장치(117)는 컨트롤러(113)의 제어에 응답하여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장치(117)는 원기둥(111a)에 포함되어 원기둥(111a)에서 원판 부재들(111b 및 111c)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알림 장치(117)는 알림을 외부에 제공하기 위해 원판 부재들(111b 및 111c) 중에서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장치(117)는 도 2와 같이 제1 원판 부재(111b)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여 제1 원판 부재(111b)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알림 장치(117)는 알림을 제공하는 시각 알림 장치(117a) 및 청각 알림 장치(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 알림 장치(117a)는 알림을 시각 신호(또는 광, 불빛)로 제공하는 장치로써, 램프일 수 있다. 청각 알림 장치(117b)는 알림을 청각 신호(또는 소리)로 제공하는 장치로써, 스피커일 수 있다. 따라서,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는 경우, 알림 장치(117)는 소리를 제공하며 함께 램프를 점등하여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어느 하나와 물 간의 접촉을 알릴 수 있다.
지지대(119)는 몸통(111)을 지지하는 지지하는 지지대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다.
측정 장치(130)는 줄자(131), 제1 체결부(133) 및 제2 체결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줄자(131)는 수납 공간(A)에 권취되며,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 및 숫자가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자(131)의 앞면에는 cm 단위의 눈금 및 숫자가 표기될 수 있다. 줄자(131)의 뒷면에는 m 단위의 눈금 및 숫자가 표기될 수 있다. 이때, 줄자(131)에 표기된 눈금 및 숫자는 야광으로 표시될 수 있다.
줄자(131)는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컨트롤러(113)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자(131)는 컨트롤러(113)와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거나 줄자(131) 자체가 전선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체결부(133)는 줄자(131)의 일단에 컨트롤러(113)를 체결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35)는 줄자(131)의 타단에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체결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35)는 제1 체결 부재(135a) 및 제2 체결 부재(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135a)는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에 부착된 제1 체결 홈에 줄자(131)를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 부재(135a)는 콘센트(또는 콘센트 플러그, 콘센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체결 홈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135b)는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에 부착된 제2 체결 홈에 줄자(131)를 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 부재(135b)는 너트(또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체결 홈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33)의 구조는 제2 체결부(135)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133)의 구조가 제2 체결부(135)의 구조와 동일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133)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컨트롤러(113)와 체결될 수 있다.
측정 장치(130)의 일단은 제1 체결부(133)를 통해 컨트롤러(113)에 체결되고, 측정 장치(130)의 타단은 제2 체결부(135)를 통해 타단이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어느 하나에 부착된 체결 홈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측정 장치(130)는 수위 측정 장치(300) 및 시료 채취 장치(500) 중에서 어느 하나와 더욱 견고하게 체결하고, 체결부위에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줄자(131)에 눈금 및 숫자가 야광으로 표시되어, 측정 장치(130)는 아침 뿐만 아니라 저녁에도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수위를 용이하게 확인 및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수위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내고,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수위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를 나타낸다.
수위 측정 장치(300)는 수위를 측정하는 장치로써, 제3 체결부(310) 및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부(310)는 측정 장치(130)의 제2 체결부(135)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체결부(310)는 제2 체결부(135)에 체결되기 위해 센서(330)의 상부에 위치할(또는 부착될, 체결될) 수 있다.
제3 체결부(310)는 제2 체결부(135)에 포함된 제1 체결 부재(135a) 및 제2 체결 부재(135b)와 체결되기 위해, 제1 체결 홈(311) 및 제2 체결 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 홈(311)은 콘센트로 형성된 제1 체결 부재(135a)와 체결되기 위해, 콘센트가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는 중앙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 홈(313)은 너트로 형성된 제2 체결 부재(135b)와 체결되기 위해, 너트가 견고하게 결착될 수 있는 외부 홈(또는 볼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330)는 일단(또는 상부)에 제3 체결부(310)가 위치하고(또는 제3 체결부(310)가 부착되고, 제3 체결부(310)와 체결되고), 센서(330)의 중간부가 물에 접촉하여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330)는 측정된 물의 수위에 대한 신호(또는 데이터)를 컨트롤러(113) 또는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PC(personal computer), 데이터 서버,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 등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e-북(e-book),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또는 스마트 밴드(smart band)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330)는 센서(330)의 타단 또는 센서(330)와 물 간의 접촉을 감지하고(또는 센싱하고), 감지 결과(또는 센싱 결과)를 컨트롤러(113)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30)는 센서(330)의 타단 또는 센서(330)가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센싱 데이터를 컨트롤러(113)에 전송할 수 있다.
센서(330)는 수위 측정 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30)는 도 4a와 같이 직선형 센서와 도 4b와 같이 곡선형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시료 채취 장치(500)는 상황에 따라 탈부착되어 사용 가능하고, 시료 채취시 물의 유실 없이 물의 채취가 가능하고, 채취된 물에 오염 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시료 채취 성능이 우수하고,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수의 측정 성능 및 응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수위 측정 장치(300)는 수위 측정 장치(300)에 물이 접촉하는 여부를 감지하여 수위 측정 행위의 반복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료 채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나타낸다.
시료 채취 장치(500)는 시료를 채취하는 베일러(baler)로써, 몸통(510), 제4 체결부(530) 및 말단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510)은 물이 채취될 내부 공간(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은 말단부(550)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 공간(B)에 채취될 수 있다.
몸통(510)은 내부 공간(B) 내에 센서(511) 및 공(513)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511)는 센서(511)와 내부 공간(B)에 채취된 물 간의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컨트롤러(113)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511)는 내부 공간(B) 내에서 제4 체결부(5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또는 내장될, 부착될,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센서(511)는 내부 공간(B)에서 물이 유입되는 말단부(550)에서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511)는 센서(511)가 내부 공간(B)에 채취된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에 따라 내부 공간(B)에 물이 완전히 채워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센싱 데이터를 컨트롤러(113)에 전송할 수 있다.
공(513)은 내부 공간(B)에 포함되어 내부 공간(B)에 채취된 물의 유실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513)은 말단부(550)의 입구를 막아 내부 공간(B)에 채취된 물의 유실을 막을 수 있다.
제4 체결부(530)는 측정 장치(130)의 제2 체결부(135)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체결부(530)는 제2 체결부(135)에 체결되기 위해, 몸통(510)의 상부에 위치할(또는 부착될, 체결될) 수 있다.
제4 체결부(530)는 제2 체결부(135)에 포함된 제1 체결 부재(135a) 및 제2 체결 부재(135b)와 체결되기 위해, 체결 홈(5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홈(531)은 제3 체결부(310)의 제1 체결 홈(311)과 동일한 제1 체결 홈(531a) 및 제3 체결부(310)의 제2 체결 홈(313)과 동일한 제2 체결 홈(5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체결부(530)는 몸통(510)의 상부에 부착(또는 체결)되고, 센서(511)를 부착(또는 체결)하기 위해, 연결 부재(5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533)는 제4 체결부(530)와 몸통(510)을 체결하고, 센서(511)가 부착될 수 있다.
말단부(550)는 몸통(510)의 하부에 위치하고(또는 부착되고), 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말단부(550)는 고무 밴드(551) 및 필터(553)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 밴드(551)는 공(513)과 접촉하여 내부 공간(B)에 채취된 물의 유식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밴드(551)는 말단부(550)의 입구 안쪽에 부착되어 공(513)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고부 밴드(551)는 공(513)과 말단부(550)의 입구 사이의 공간을 더욱 견고하게 막아 내부 공간(B)에 채취된 물의 유실을 막을 수 있다.
필터(553)는 내부 공간(B)에 오염 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오염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553)는 말단부(550)의 입구에 부착되어 오염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필터(553)는 말단부(55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오염 물질은 유류 오염 지역의 기름 덩어리, 풀 등 물 이외에 다양한 물질일 수 있다.
필터(553)는 오염 물질을 여러 번 필터링하기 위해 다중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필터(553)는 제1 필터 내지 제n 필터와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중 필터로 구성된 필터(553)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2중 필터로 구성된 필터(553)는 제1 필터(553a), 제2 필터(553b) 및 바디(55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553a)는 말단부(550)에 유입되는 오염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제2 필터(553b)는 제1 필터(553a)가 필터링하지 못한 오염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제1 필터(553a) 및 제2 필터(553b)는 물이 용이하게 채취되면서 오염 물질이 효과적으로 필터링되도록 매쉬 형대(또는 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553c)는 제1 필터(553a) 및 제2 필터(553b)를 고정하고, 필터(553)를 말단부(550)의 입구에 체결할 수 있다.
시료 채취 장치(500)는 상황에 따라 탈부착되어 사용 가능하고, 시료 채취시 물의 유실 없이 물의 채취가 가능하고, 채취된 물에 오염 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시료 채취 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
시료 채취 장치(500)는 시료 채취 장치(500)에 물이 완전히 채워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시료 채취 행위의 반복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수위 측정 장치 및 시료 채취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가 물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와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수납 공간에 권취되며, 일단이 상기 컨트롤러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어느 하나에 부착된 체결 홈에 체결되고,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 및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 및 숫자가 표기된 줄자를 포함하고,
    상기 줄자에 표기된 눈금 및 숫자는 야광으로 표시되고,
    상기 측정 장치는,
    상기 줄자의 일단에 상기 컨트롤러를 체결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줄자의 타단에 상기 어느 하나를 체결하며, 상기 어느 하나에 부착된 제1 체결 홈에 상기 줄자를 체결하는 제1 체결 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에 부착된 제2 체결 홈에 상기 줄자를 체결하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 채취 장치는,
    상기 물이 채취될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물이 완전히 채워지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와 상기 내부 공간에 포함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채취된 물의 유실을 막는 공을 포함하는 몸통;
    상기 몸통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체결 홈 및 상기 제2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4 체결부; 및
    상기 몸통의 하부에 위치하고, 나선형으로 형성된 말단부
    를 포함하는,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측정 장치를 감거나 풀 수 있는 손잡이;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하나가 상기 물에 접촉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알림을 청각 신호로 제공하는 청각 알림 장치; 및
    상기 알림을 시각 신호로 제공하는 시각 알림 장치
    를 포함하는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자의 앞면에는 cm 단위의 눈금 및 숫자가 표기되고,
    상기 줄자의 뒷면에는 m 단위의 눈금 및 숫자가 표기되는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체결 홈 및 상기 제2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 체결되는 제3 체결부; 및
    일단에 상기 제3 체결부가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물에 접촉하며 상기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
    를 포함하는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상기 공과 접촉하여 상기 채취된 물의 유실을 막는 고무 밴드;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오염 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오염 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물이 용이하게 채취되면서 상기 오염 물질이 필터링되도록 매쉬 형태로 형성되는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KR1020190098320A 2019-08-12 2019-08-12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KR10227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20A KR102271452B1 (ko) 2019-08-12 2019-08-12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CN202010075725.2A CN112393782B (zh) 2019-08-12 2020-01-22 水位测量及抽样兼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20A KR102271452B1 (ko) 2019-08-12 2019-08-12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294A KR20210019294A (ko) 2021-02-22
KR102271452B1 true KR102271452B1 (ko) 2021-06-30

Family

ID=7460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320A KR102271452B1 (ko) 2019-08-12 2019-08-12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4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8501A (ja) * 2000-08-01 2002-02-15 Hiraoka & Co Ltd 測長器用長尺シート及び測長器
KR101074586B1 (ko) * 2011-03-29 2011-10-17 (주)백년기술 농업 저수지용 무인 수질측정 및 시료채취장치
KR101493350B1 (ko) * 2013-09-24 2015-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46B1 (ko) * 2013-01-16 2015-08-06 주식회사 인포월드 휴대용 지하수 관측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8501A (ja) * 2000-08-01 2002-02-15 Hiraoka & Co Ltd 測長器用長尺シート及び測長器
KR101074586B1 (ko) * 2011-03-29 2011-10-17 (주)백년기술 농업 저수지용 무인 수질측정 및 시료채취장치
KR101493350B1 (ko) * 2013-09-24 2015-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294A (ko) 2021-02-22
CN112393782A (zh)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gner et al. Guidelines and standard procedures for continuous water-quality monitors: station operation, record computation, and data reporting
US20190257194A1 (en) Dual Telemetric Coiled Tubing System
WO2013093460A3 (en) Seismic monitoring
US201900725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Defects in a Pipe
CA2929635C (en) Fiber optic sensor for measurement of carbon dioxide
JP2014508582A5 (ko)
RU2013139539A (ru) Хранение и поиск информации, характерной для конкре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змерения формы
US9343055B2 (en) Fluid density stratification loc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KR102271452B1 (ko) 수위 측정 및 시료 채취 겸용 장치
JP2008511001A5 (ko)
CN107884365A (zh) 一种基于气体分压动态平衡原理的深海气体检测装置
EA200600421A1 (ru) Персональный радиационный детектор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персонального радиационного детектора
CN108897036A (zh) 一种地震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2393782B (zh) 水位测量及抽样兼用装置
JP2015529494A5 (ko)
JP2013534630A5 (ko)
JP2007248408A (ja) 放射線検出器
JP2019174226A (ja) 油量測定装置および油量測定方法
Mellors et al. Understanding distributed fiber optic sensing response for modeling of signals
CN206540900U (zh) 一种海底水质检测装置
EP2977750A1 (en) Fibre optic chemical sensor
US8543342B1 (en) Towed array flow noise test apparatus
JP2008276314A5 (ko)
CN212872341U (zh) 一种ph计
CN214035633U (zh) 测井用铁屑吸附短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