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644B1 -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644B1
KR102270644B1 KR1020210033515A KR20210033515A KR102270644B1 KR 102270644 B1 KR102270644 B1 KR 102270644B1 KR 1020210033515 A KR1020210033515 A KR 1020210033515A KR 20210033515 A KR20210033515 A KR 20210033515A KR 102270644 B1 KR102270644 B1 KR 102270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raw water
water purifier
fil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아이
Priority to KR102021003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5Deodoris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하우징-필터하우징 분리형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주화산송이 세라믹 볼 필터 및 복합후카본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프레임, 필터프레임 상부에 구성되어 필터를 고정시키고, 원수, 1차 정제수, 2차 정제수가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프레임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직수형 정수기 본체로 구성되는 정수기 필터 교체가 용이하고, 제주화산송이 필터를 포함하는 화산송이 세라믹 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Ceramic scoria ball and water purifier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터부-필터하우징 분리형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주화산송이 세라믹 볼 필터 및 복합후카본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프레임, 필터프레임 상부에 구성되어 필터를 고정시키고, 원수, 1차 정제수, 2차 정제수가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프레임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직수형 정수기 본체로 구성되는 정수기 필터 교체가 용이하고, 제주화산송이 필터를 포함하는 화산송이 세라믹 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그 내부에 저수조의 구비여부에 따라 저수조형과 직수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과거에는 오염 및 온수 문제로 저수조형이 대세를 이루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이 많이 보완되어 직수형을 설치하는 가정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을 가속화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직수형 정수기의 간편함과 컴팩트함에 있으며, 하우징, 식수배출부, 정수부, 물유입부, 냉/온수탱크, 히터 등 다수의 구성을 포함하는 저수조형과 달리 직수형 정수기는 크게 외부를 덮는 하우징, 식수배출부, 정수부 및 물유입부로 구성되어 간편한 구성 및 그 작은 크기로부터 설치가 쉽고, 경제성에서도 우위를 보이게 되었다.
아울러, 저수조형 정수기는 그 내부구조가 복잡하여 필터 교체시 정수기의 구조를 잘 알고 있는 일반인이 아닌 이상 반드시 전문가를 통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밖에 없으나 직수형 정수기는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하여 필터 교체시 직수형 정수기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성된 필터 커버를 분리하고, 필터 브라켓이 있을 경우 이를 제거한 뒤 필터를 교체하는 단순한 방식을 통해 필터의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직수형 정수기 필터와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1522호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원수 차단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정수필터를 교체하거나 수리 등을 위해 보호문을 개방하면 자동으로 정수기로 공급되는 원수를 차단하여 소비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직수형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는 정수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정수필터들을 보호하는 보호문, 상기 정수필터들로 유입되는 원수가 통과하는 원수이동통로를 개폐하는 원수용 밸브, 그리고, 상기 보호문이 개방되면 상기 원수용 밸브를 폐쇄하고, 보호문이 폐쇄되면 상기 원수용 밸브를 개방하도록 원수용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1636호 ‘정수기의 필터 고정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필터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고정브라켓을 정수기에 설치하기 위한 정수기 필터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둘레면이 밀폐되면서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전면에 형성한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상기 고정브라켓 내부공간에 결합시킨 하나 이상의 필터의 상부 외주연이 체결부재에 의해 압박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을 정수기에 결합되도록 하는 착탈브라켓을 마련하되, 상기 착탈브라켓은 상기 정수기에 장착되도록 절곡된 고정부를 갖고, 상기 착탈브라켓에는 탈착공을 형성하여 고정브라켓에 형성한 걸림돌기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착탈브라켓에서 고정브라켓을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선행기술들과 같이 일반적인 직수형 정수기는 본체로부터 필터케이스를 분리하고,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필터를 분리하기 위해 필터 브라켓 고정부를 풀어 필터 브라켓을 분리하고, 필터 고정부로부터 필터를 분리, 교체한 후 역순으로 조립하면 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필터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 관리 측면에서도 저수조형 정수기와 대비하여 우위를 보인다.
하지만 상기 직수형 정수기들의 경우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단단하게 조립된 필터 브라켓을 분리해야 되므로 조임부, 나사, 볼트 등으로 단단히 결합되어 있을 경우 이를 해제하기 위해 과도하게 힘을 들이거나 드라이버, 스패너 등과 같은 공구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필터구조체는 필터하우징-필터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필터만을 교체할 수 없고, 필터하우징으로 인해 필터구조체 단가가 상승 및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단점을 포함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1522호(2016. 12. 09. 공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636호(2012.07.3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주화산송이 세라믹 볼 필터 및 복합후카본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프레임, 필터프레임 상부에 구성되어 필터를 고정시키고, 원수, 1차 정제수, 2차 정제수가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프레임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로 구성되는 정수기 필터 교체가 용이하고, 제주화산송이 필터를 포함하는 화산송이 세라믹 볼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수형 정수기, 필터하우징 및 필터구조체로 구성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정수기에는 내부의 각 구성을 보호하는 몸체;가 구성되고, 몸체의 일측 상부에는 출수부;가 구성되며, 몸체의 일측 하부에는 물받이;가 구성되고, 몸체의 타측 하부에는 원수를 유입받는 원수 유입부;와 원수 유입부의 유량을 조절하는 원수 유량 조절부; 및 조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조리수 배출부;가 구성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상부덮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수부는 정수 배출구, 스위치 및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성되어,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 또는 차단시켜 정수가 배출 또는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직수형 정수기 내부에는 필터하우징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필터프레임; 상기 필터프레임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필터프레임 받침부; 원수 유입부 및 상기 원수 유량 조절부와 연결되어 원수 유량 조절부의 동작에 따라 정수기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원수 유입 밸브; 유입된 원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필터프레임 내부에 유입시키는 감압밸브; 정수기 내부의 각 구성이 서로 연결되어 유입수, 정화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튜브; 튜브를 연결하는 튜브피팅 및 출수부 내부에 구성되는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감압밸브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필터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원수입구, 필터부를 통해 정수가 완료된 물을 배출 하는 제1정수출구가 구성되고, 필터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필터부가 필터프레임에 삽입될 경우 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은 제1필터부, 제2필터부 및 필터하우징 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2필터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제1필터부에는 UF필터, 제2필터부에는 복합후카본필터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필터하우징 상부에는 제1원수입구로부터 원수를 유입받는 제2원수입구 및 정수가 완료된 물을 배출하는 제2정수출구가 구성되되, 상기 필터하우징이 필터프레임에 삽입, 고정될 때, 제2원구입구가 제1원수입구에 내삽되고, 제2정수출구가 제1정수출구에 내삽되도록 하여, 필터하우징이 안정적이게 고정됨과 동시에 필터부 내부로 원수를 유입시키거나, 필터하우징 내부의 정화된 원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 덮개에는 제1필터부 중심측에 제1필터고정부, 제2필터부 중심측에 제2필터고정부가 구성되며, 제2원수입구로부터 제1필터부로 원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수로, 제1필터고정부로부터 제2필터부로 1차 필터링된 원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정수로, 제2필터부로부터 제2정수출구로 정화가 완료된 정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정수로가 더 구성된다.
상기 필터구조체는 UF필터 및 복합후카본필터를 포함하며, 제1필터고정부에 고정되는 UF필터는 3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UF필터의 상부에 구성되는 폴리설폰 멤브레인 필터부, 폴리설폰 멤브레인 필터부 하단에 구성되는 세라믹 볼 필터부, 세라믹 볼 필터부를 감싸는 카본블럭 필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필터고정부에 고정되는 복합후카본필터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형의 은첨카본블럭부를 포함하며, 은첨카본블럭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폴리아미드 여과막과 하부에 덮개가 구성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정수기의 필터 교체방법은 원수 유입 밸브를 차단하여 제1유입부로부터 원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부덮개를 분리하는 준비단계(ST 1); 필터프레임의 고정수단을 개폐하고, 필터하우징을 필터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필터하우징 분리단계(ST 2); 분리된 필터하우징으로부터 필터하우징 덮개를 개방한 후 제1, 2필터부로부터 각각의 필터를 분리하는 필터 제거단계(ST 3); 필터하우징의 각 구성을 세척, 건조하는 세척단계(ST 4); 세척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ST 3 내지 ST 1단계를 역순으로하여 필터하우징 내부에 필터를 고정하고, 필터하우징과 정수기를 조립하는 조립단계(ST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식수, 조리수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복수의 방법으로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입수를 정수시 화산송이 필터를 통한 탈취, 항곰팡이, 항균효과를 통해 이용자는 높은 수질을 제공받을 수 있고, 화산송이 필터를 분리하여 가열, 건조시켜 사용할 경우 최장 3년 이상의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필터-하우징 일체형 필터와 대비하여 본원 발명은 필터하우징과 필터를 분리하는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기존 필터대비 하우징으로 인한 단가 상승이 없고, 필터-하우징 분리형 필터 구조로부터 일반인이 쉽게 필터를 교체가능하며, 필터하우징을 세척하여 장기간 사용가능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내지 2는 종래기술에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하우징이 내삽된 필터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하우징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은 도 3, 도 4 및 도 8과 같이 직수형 정수기(100), 필터하우징(300) 및 필터구조체(400)로 구성되며, 직수형 정수기에는 내부의 각 구성을 보호하는 몸체(101)가 구성되고, 몸체의 일측 상부에는 출수부가 구성되며, 몸체의 일측 하부에는 물받이(103)가 구성되고, 몸체의 타측 하부에는 원수를 유입받는 원수 유입부(104)와 원수 유입부의 유량을 조절하는 원수 유량 조절부(105) 및 조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조리수 배출부(106)가 구성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상부덮개(107)가 구성된다.
상기 출수부(1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배출구(102a), 스위치(102b) 및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220)가 구성되어,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 또는 차단시켜 정수가 배출 또는 차단되도록 한다.
직수형 정수기(100)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30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필터프레임(200), 상기 필터프레임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필터프레임 받침부(210), 원수 유입부(104) 및 상기 원수 유량 조절부(105)와 연결되어 원수 유량 조절부의 동작에 따라 직수형 정수기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원수 유입 밸브(230), 유입된 원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필터프레임 내부에 유입시키는 감압밸브(231) 및 직수형 정수기 내부의 각 구성이 서로 연결되어 유입 원수, 정화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튜브(240), 튜브를 연결하는 튜브피팅(241) 및 출수부(102) 내부에 구성되는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220)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밸브(231)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필터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원수입구(201),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정수가 완료된 물을 배출 하는 제1정수출구(202)가 구성되고, 필터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필터하우징이 필터프레임에 삽입될 경우 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03)이 구성되며, 상기 제1원수입구의 하부는 상기 감압밸브와 관체로 연결되며, 제1정수출구의 하부는 튜브피팅(241)과 관체로 연결된다.
상기 튜브피팅(241)은 3-way로 구성되어, 튜브(240)를 통해 필터프레임(200)의 제1정수출구(202), 출수부(102)의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220) 및 조리수 배출부(106)가 연결되도록 하며, 출수부에 구성된 스위치(102b)로부터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조절하여 정수가 제1정수출구로부터 출수부 또는 조리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하우징(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터부(310a), 제2필터부(310b) 및 필터하우징 덮개(3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2필터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제1필터부에는 UF필터(410), 제2필터부에는 복합후카본필터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필터하우징 상부에는 제1원수입구(201)로부터 원수를 유입받는 제2원수입구(311) 및 정수가 완료된 물을 배출하는 제2정수출구(312)가 구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300)이 필터프레임(200)에 삽입, 고정될 때, 제2원수입구가 제1원수입구(201)에 내삽되고, 제2정수출구(312)가 제1정수출구(202)에 내삽되도록 하여, 필터하우징이 안정적이게 고정됨과 동시에 제1, 2필터부(310a, 310b) 내부로 원수를 유입시키거나, 필터하우징 내부의 정화된 원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하우징(300)의 상부 고정수단(203) 방향에는 고정수단이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 덮개(320)에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의 제1필터부(310a) 중심측에 제1필터고정부(321a), 제2필터부(310b) 중심측에 제2필터고정부(321b)가 구성되며, 제2원수입구(311)로부터 제1필터부로 원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수로(331), 제1필터고정부로부터 제2필터부(310b)로 1차 필터링된 원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정수로(332), 제2필터부로부터 제2정수출구(312)로 정화가 완료된 정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정수로(333)가 더 구성된다.
상기 필터구조체(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F필터(410) 및 복합후카본필터(420)를 포함하며, 제1필터고정부(321a)에 고정되는 UF필터는 3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UF필터의 상부에 구성되는 폴리설폰 멤브레인 필터부(411), 폴리설폰 멤브레인 필터부 하단에 구성되는 세라믹 볼 필터부(412), 세라믹 볼 필터부를 감싸는 카본블럭 필터부(413)로 구성되고, 상기 제2필터고정부(321b)에 고정되는 복합후카본필터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형의 은첨카본블럭부(421)를 포함하며, 은첨카본블럭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폴리아미드 여과막(422)과 하부에 덮개가 구성된다.
상기 세라믹 볼 필터부(412)에 포함되는 세라믹 볼의 주성분은 제주 화산송이를 사용하며, 그 조성비는 제주 화산송이 60중량%, 점토 30중량%, 이산화규소 10중량%로 구성되며, 소성온도를 850℃하여 제조된다.
상기 세라믹 볼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비중이 1.5미만이며, 입경이 3 ~ 5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30 내지 50개가 분포될 수 있도록 하며, 상술한 화산송이 세라믹 볼은 비중이 1.5 이상인 경우 유기물, 중금속 및 악취제거 효율을 달성이 불가능할 수 있고, 또한, 입경이 3 ~ 5mm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유기물, 중금속 및 악취제거 효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하, 제1, 2필터부(310a, 310b)에 UF필터(410), 복합후카본필터가 구성된 필터하우징(300)이 필터프레임(200)에 삽입, 고정된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동작 및 필터 교환방법을 기술한다.
제1원수입구(201)에 원수를 유입받을 수 있도록 관체가 연결되면, 원수 유입 밸브(230)를 조절하여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고, 직수형 정수기(100)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감압밸브(231)를 통과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필터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감압밸브(231)를 통과한 원수는 상기 필터프레임(200)의 제1원수입구(201)를 통해 필터하우징(300)의 제2원수입구(311)로 유입되며, 유입수로(331)를 통해 제1필터부(310a)에 원수가 공급되면 제1필터부에 구성된 UF필터(410)를 통해 원수가 1차 필터링되고, 1차 필터링된 원수가 제1필터부를 메움에 따라 제1정수로(332)를 통해 제2필터부(310b)로 이송되며, 제2필터부로 이송된 1차 필터링 원수는 제2필터부에 구성된 복합후카본필터를 거쳐 최종 필터링되고, 최종 필터링된 정수가 복합후카본필터를 메움에 따라 제2정수로(333)를 통해 제2정수출구(312)로 수분이 유입되면, 제2정수출구와 연결된 제1정수출구(2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정수출구(312)로부터 배출된 정화수는 튜브(240)를 통해 튜브피팅(241)으로 이송되며, 튜브피팅으로 이송된 정화수가 튜브피팅과 튜브로 연결되는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220) 및 조리수 배출부(106) 중 어느 한곳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출수부(102)의 스위치(102b)를 통해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동작시켜 출수부만으로 수분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거나,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을 막고, 조리수 배출부와 외부 밸브를 연결시켜 외부 밸브의 동작에 따라 조리수 배출부를 통해 정화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정수기 필터 교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존 기술들과 달리 필터하우징-필터하우징 분리형 필터로 구성되어 기존 기술들과 그 구성 및 사용방식에 있어 신규하며, 이로부터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세척 및 필터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필터 교체방법은, 정수기를 사용함에 따라 필터하우징(300) 및 필터구조체(400)의 세척이 필요할 경우 이하 5단계의 과정을 통해 교체가 이루어지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유입 밸브(230)를 차단하여 제1유입부로부터 원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부덮개(107)를 분리하는 준비단계(ST 1), 필터프레임(200)의 고정수단(203)을 개폐하고, 필터하우징을 필터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필터하우징 분리단계(ST 2), 분리된 필터하우징으로부터 필터하우징 덮개(320)를 개방한 후 제1, 2필터부(310a, 310b)로부터 각각의 필터를 분리하는 필터 제거단계(ST 3), 필터하우징의 각 구성을 세척, 건조하는 세척단계(ST 4), 세척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ST 3 내지 ST 1단계를 역순으로하여 필터하우징 내부에 필터를 고정하고, 필터하우징과 정수기를 조립하는 조립단계(ST 5)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 필터 교체방법에 있어서, 필터 교환, 세척시 필터 내부 및 각 튜브(240)의 유입수, 정화수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항으로, 준비단계(ST 1)로부터 정수기 내부에 수분의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원수 유입 밸브(230)를 차단하고, 필터 제거단계(ST 3)로부터 필터 제거전 출수부(102) 및 조리수 배출부(106)를 통해 정수기의 내부 수분이 배출되도록 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식수, 조리수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스위치(102b)를 통해 복수의 방법으로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입수를 정수시 화산송이 필터를 통한 탈취, 항곰팡이, 항균효과를 통해 이용자는 높은 수질을 제공받을 수 있고, 화산송이 필터를 분리하여 가열, 건조시켜 사용할 경우 최장 3년 이상의 사용기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필터-하우징 일체형 필터와 대비하여 본원 발명은 필터하우징(300)과 필터구조체(400)를 분리하는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기존 필터대비 하우징으로 인한 단가 상승이 없고, 필터-하우징 분리형 필터 구조로부터 일반인이 쉽게 필터를 교체가능하며, 필터하우징을 세척하여 장기간 사용가능한 효과가 발생한다.
100 : 직수형 정수기 101 : 몸체
102 : 출수부 102a : 정수 배출구
102b : 스위치 103 : 물받이
104 : 원수 유입부 105 : 유량 조절부
106 : 조리수 배출부 107 : 상부덮개
200 : 필터프레임 201 : 제1원수입구
202 : 제1정수출구 203 : 고정수단
210 : 받침부 220 :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
230 : 원수 유입 밸브 231 : 감압밸브
240 : 튜브 241 : 튜브피팅
300 : 필터하우징 310a : 제1필터부
310b : 제2필터부 311 : 제2원수입구
312 : 제2정수출구 320 : 필터하우징 덮개
321a : 제1필터고정부 321b : 제2필터고정부
331 : 유입수로 332 : 제1정수로
333 : 제2정수로
400 : 필터구조체 410 : UF필터
411 : 폴리설폰 멤브레인 필터부 412 : 세라믹 볼 필터부
413 : 카본블럭 필터부 420 : 복합후카본필터
421 : 은첨카본블럭부 422 : 폴리아미드 여과막

Claims (8)

  1. 직수형 정수기(100), 필터하우징(300) 및 필터구조체(400)로 구성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정수기에는 내부의 각 구성을 보호하는 몸체(101);가 구성되고,
    몸체의 일측 상부에는 출수부(102);가 구성되며,
    몸체의 일측 하부에는 물받이(103);가 구성되고,
    몸체의 타측 하부에는 원수를 유입받는 원수 유입부(104);와
    원수 유입부의 유량을 조절하는 원수 유량 조절부(105); 및
    조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조리수 배출부(106);가 구성되며,
    몸체의 상부에는 상부덮개(107)가 구성되고,
    상기 직수형 정수기(100) 내부에는 필터하우징(30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필터프레임(200);
    상기 필터프레임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필터프레임 받침부(210);
    원수 유입부(104) 및 상기 원수 유량 조절부(105)와 연결되어 원수 유량 조절부의 동작에 따라 직수형 정수기 내부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원수 유입 밸브(230);
    유입된 원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필터프레임 내부에 유입시키는 감압밸브(231);
    직수형 정수기 내부의 각 구성이 서로 연결되어 유입수, 정화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튜브(240);
    튜브를 연결하는 튜브피팅(241); 및 출수부(102) 내부에 구성되는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102)는 정수 배출구(102a), 스위치(102b) 및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220)가 구성되어,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전환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 또는 차단시켜 정수가 배출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200)에는 감압밸브(230)로부터 유입된 원수가 필터하우징(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원수입구(201), 필터하우징으로부터 정수가 완료된 물을 배출 하는 제1정수출구(202)가 구성되고, 필터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필터하우징이 필터프레임에 삽입될 경우 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03)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300)은 제1필터부(310a), 제2필터부(310b) 및 필터하우징 덮개(3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2필터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제1필터부에는 UF필터(410), 제2필터부에는 복합후카본필터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필터하우징 상부에는 제1원수입구(201)로부터 원수를 유입받는 제2원수입구(311) 및 정수가 완료된 물을 배출하는 제2정수출구(312)가 구성되되,
    상기 필터하우징이 필터프레임(200)에 삽입, 고정될 때, 제2원구입구가 제1원수입구에 내삽되고, 제2정수출구가 제1정수출구에 내삽되도록 하여, 필터하우징이 안정적이게 고정됨과 동시에 필터하우징 내부로 원수를 유입시키거나, 필터하우징 내부의 정화된 원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 덮개(320)에는 제1필터부(310a) 중심측에 제1필터고정부(321a), 제2필터부(310b) 중심측에 제2필터고정부(321b)가 구성되며, 제2원수입구(311)로부터 제1필터부로 원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수로(331), 제1필터고정부로부터 제2필터부로 1차 필터링된 원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정수로(332), 제2필터부로부터 제2정수출구(312)로 정화가 완료된 정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정수로(333)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구조체(400)는 UF필터(410) 및 복합후카본필터를 포함하며, 제1필터고정부(321a)에 고정되는 UF필터는 3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UF필터의 상부에 구성되는 폴리설폰 멤브레인 필터부(411), 폴리설폰 멤브레인 필터부 하단에 구성되는 세라믹 볼 필터부(412), 세라믹 볼 필터부를 감싸는 카본블럭 필터부(413)로 구성되고, 상기 제2필터고정부(321b)에 고정되는 복합후카본필터(420)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통형의 은첨카본블럭부(421)를 포함하며, 은첨카본블럭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폴리아미드 여과막(422)과 하부에 덮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8.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필터 교체방법은,
    원수 유입 밸브(230)를 차단하여 제1유입부로부터 원수의 유입을 방지하고, 상부덮개(107)를 분리하는 준비단계(ST 1);
    필터프레임(200)의 고정수단(203)을 개폐하고, 필터하우징(300)을 필터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필터하우징 분리단계(ST 2);
    분리된 필터하우징으로부터 필터하우징 덮개(320)를 개방한 후 제1, 2필터부(310a, 310b)로부터 각각의 필터를 분리하는 필터 제거단계(ST 3);
    필터하우징의 각 구성을 세척, 건조하는 세척단계(ST 4);
    세척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ST 3 내지 ST 1단계를 역순으로하여 필터하우징 내부에 필터를 고정하고, 필터하우징과 직수형 정수기를 조립하는 조립단계(ST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210033515A 2021-03-15 2021-03-15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KR10227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15A KR102270644B1 (ko) 2021-03-15 2021-03-15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15A KR102270644B1 (ko) 2021-03-15 2021-03-15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644B1 true KR102270644B1 (ko) 2021-06-30

Family

ID=7660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515A KR102270644B1 (ko) 2021-03-15 2021-03-15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6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378A (ja) * 1997-02-27 1998-09-08 Sharp Corp ミネラル整水器
KR200461636Y1 (ko) 2010-03-18 2012-07-30 한일월드(주) 정수기의 필터 고정장치
KR101528469B1 (ko) * 2014-01-13 2015-06-12 김영식 냉온수기용 정수필터
KR20160141522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원수 차단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
KR20210039217A (ko) * 2019-10-01 2021-04-09 (주)데이워터 수소수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378A (ja) * 1997-02-27 1998-09-08 Sharp Corp ミネラル整水器
KR200461636Y1 (ko) 2010-03-18 2012-07-30 한일월드(주) 정수기의 필터 고정장치
KR101528469B1 (ko) * 2014-01-13 2015-06-12 김영식 냉온수기용 정수필터
KR20160141522A (ko)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원수 차단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
KR20210039217A (ko) * 2019-10-01 2021-04-09 (주)데이워터 수소수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6875C9 (ru) Очиститель воды
US6977039B2 (en) Fluid filter apparatus and method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CN103372341B (zh) 反冲洗式前置水过滤器
US10835845B2 (en) Water filtr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filter cartridge housing and distributor
US11077391B2 (en) Automatic flushing type pre-filtering device
US6227246B1 (en) Faucet mixing valve housing with check valves and filter
CN105640363A (zh) 滤油电炸锅
CN111035979B (zh) 减压器-过滤器-装置
EP3449995B1 (en) A sludge filter device
KR102270644B1 (ko) 화산송이 세라믹 볼을 포함하는 정수기
KR101623790B1 (ko) 정수기
US7354513B2 (en) Countertop water treatment unit
CN107930236A (zh) 净水器用一体化水路板的水路系统
CN208436496U (zh) 可切换式多流道滤芯结构
KR102653167B1 (ko)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A3236584A1 (en) Water filtration apparatus with improved filter cartridge housing and distributor
CN209060656U (zh) 一种净水过滤装置
US8256625B2 (en) Water filtration system
CA2997163C (en) Water filtration apparatus with top-loading filter cartridge housing
KR101861614B1 (ko) 정수기 필터
CN110478960A (zh) 一种可手动反冲洗的前置过滤器
CN212203302U (zh) 一种新型滤水龙头
CN211445255U (zh) 一种双路冲洗的净水装置
CN214466555U (zh) 过滤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