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557B1 - Patch attached to human body for amplifying bioelectric signals - Google Patents

Patch attached to human body for amplifying bioelectric sig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557B1
KR102270557B1 KR1020150160645A KR20150160645A KR102270557B1 KR 102270557 B1 KR102270557 B1 KR 102270557B1 KR 1020150160645 A KR1020150160645 A KR 1020150160645A KR 20150160645 A KR20150160645 A KR 20150160645A KR 102270557 B1 KR102270557 B1 KR 10227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biosignal
amplification
radio signal
adhes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6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7044A (en
Inventor
김원남
김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6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557B1/en
Publication of KR20170057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0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07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using microwaves or terahertz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에 의해 반사된 생체 신호를 증폭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생체 신호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인체 부착형 패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dy-attachable patch that enables more accurate biosignal measurement by amplifying a biosignal reflected by a user or a measurement target.

Description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PATCH ATTACHED TO HUMAN BODY FOR AMPLIFYING BIOELECTRIC SIGNALS}Body-attach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PATCH ATTACHED TO HUMAN BODY FOR AMPLIFYING BIOELECTRIC SIGNALS}

본 발명은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에 의해 반사된 생체 신호를 증폭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생체 신호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인체 부착형 패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dy-attachable patch that enables more accurate biosignal measurement by amplifying a biosignal reflected by a user or a measurement target.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되고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무병장수에 대한 열망이 커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시키는 방법에는 운동, 식이요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하루 중 약 25%의 시간을 할애하는 수면활동을 잘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s the quality of life improves and the aging process rapidly progresses, the desire for disease-free longevity is growing, and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day by day. There are various ways to maintain and improve health, such as exercise and diet, but it is most important to manage sleep, which occupies about 25% of the day. For this reason,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recent years.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수면 상태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수면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자료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다. 수면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면 중 호흡수, 심박수, 움직임(뒤척임)수 및 수면시간 등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것이 기본이 될 것이다.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leep state firs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healthy body by analyzing the sleep state of the user or measurement target and managing it systematically by documenting it. In order to analyze the sleep state, it will be basic to measure various bio-information such as respiration rate, heart rate, movement (toss and turns) and sleep time during sleep.

그러나, 호흡수 또는 심박수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의료용 장비를 동원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생체정보 측정을 위해 신체에 부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수반된다. However, mobilizing medical equipment to measur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respiration rate or heart rate is not only cumbersome, but is accompanied by inconvenience such as having to be attached to the body to measure biometric information.

이 경우,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체정보를 측정함으로써 수반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으로 인해 오히려 수면의 질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caused by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may result in rather impairing the quality of sleep.

따라서, 최근 들어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수면 방해없이 호흡수 등을 측정하기 위해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non-contact biosignal measuring device has been proposed to measure a respiration rate without disturbing sleep of a user or a measurement target.

종래의 방식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를 사용자에게 조사하고 반사되는 신호로부터 호흡 신호를 분리하는 원리에 기반한다.The conventional method is generally based on the principle of irradiating a microwave to a user and separating the respiration signal from the reflected signal.

이 때, 호흡 신호는 일반적으로 Sin 또는 Cos 파형과 유사하기 때문에 종래에는 주파수 분석 기법인 Fourier transform 방식을 사용하여 호흡 신호를 구성하는 Sin 또는 Cos 파형으로 분리되는데, 경우에 따라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호흡 신호의 파형이 Sin 또는 Cos 파형과 유사하지 않은 경우, 정확한 주기성을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At this time, since the respiration signal is generally similar to the Sin or Cos waveform, it is conventionally separated into the Sin or Cos waveform constituting the respiration signal using the Fourier transform method, which is a frequency analysis technique. In some cases, the respiration of the user or the measurement target When the waveform of the signal is not similar to the Sin or Cos waveform,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periodicity.

또한, 기존의 방식의 경우,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이 원거리에 위치하여 호흡 신호가 약하게 수신된 경우, 노이즈 위치에서의 신호를 호흡 신호로 오인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아울러,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주변에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적 물체(클러터)가 존재할 경우, 동적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호흡 신호로 오인하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when a user or a measurement target is located at a distant location and a breathing signal is weakly received, a case where a signal at a noise location is mistaken for a breathing signal frequently occurred. In addition, when a dynamic object (clutter) indicating movement exists in the vicinity of a user or a measurement target, a signal reflected from the dynamic object may be mistaken for a breathing signal.

본 발명은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이 원거리에 위치하거나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주변에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적 개체가 존재하는 노이즈 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호흡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dy-mount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respiration signal of a user or measurement object even under a noise environment in which a user or a measurement object is located in a remote location or a dynamic object indicating movement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user or measurement object. aims to provid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호 부재, 접착 부재 및 전파 신호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including a protective member, an adhesive member, and a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상기 전파 신호는 IR-UWB (impulse radio ultra wideband)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radio signal may provide a body-mount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that is IR-UWB (impulse radio ultra wideband).

상기 전파 신호 반사 부재는 알루미늄, 은 및 백금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may provide a body-mount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uminum, silver, and platinum.

상기 보호 부재는 직포(Woven Fabric), 부직포(Nonwoven Fabric) 및 펠트(pelt)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tective member may provide a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which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and a felt.

상기 접착 부재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비닐 에스테르계, 비닐 에테르계 및 우레탄계 감압성 점착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may provide a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which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crylic, silicone, vinyl ester, vinyl ether, and uretha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상기 접착 부재 하부에 이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further comprising a release member under the adhesive member.

상기 이형 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및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release member may provide a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tha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carbonate (PC).

상기 전파 신호 반사 부재는 상기 접착 부재와 상기 이형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may provide a body-mount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provided between the adhesive member and the release member.

상기 접착 부재 하부에 복수의 전파 신호 반사 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렬로 평행하게 배열된,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ody-mount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in which a plurality of radio wave signal reflect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ranged in parallel in a line under the adhesive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이 원거리에 위치하거나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주변에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적 물체가 존재하는 노이즈 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주기성을 나타내는 생체 전파 신호를 포착하고, 이로부터 호흡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propagation signal indicating the periodicity of the user or the measurement object is captured even under a noise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or the measurement object is located at a distance or there is a dynamic object indicating movement around the user or the measurement object, and from thi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respiratory r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the user or the measurement object to continuously monitor the health status of the user or measurement object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거동의 불편함이나 이물감없이 보다 정확한 생체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more accurate biosignal data without discomfort or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movement of the user or the measurement targe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 이상의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생체 전파 신호를 동시에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acquire bio-propagation signals of two or more users or measurement objects.

도 1은 일반적인 생체 신호의 추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의 추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hows the extraction result of a general biosignal.
2 shows the extraction result of the bio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a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chematically shows a body-mount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chematically shows a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shows a body-mount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shows a body-mount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will only b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보호 부재, 접착 부재 및 전파 신호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또는 측정 시스템에 의해 생체 신호가 측정되도록 의도된 측정 대상(이하에서는 사용자 및 측정 대상을 모두 측정 대상이라 지칭함)에 부착되어 측정 대상의 호흡 패턴, 심박 패턴 또는 호흡수 등 생체 신호를 증폭 시키는 기구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mount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comprising a protective member, an adhesive member, and a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and a measurement target intended to measure a biological signal by a user or a measuremen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and a measurement target). It is a device that is attached to the measurement target) and amplifies biological signals such as the breathing pattern, heart rate pattern, or respiration r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특히, 본 발명은 측정 대상이 원거리에 위치하거나 측정 대상의 주변에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적 물체가 존재하는 노이즈 환경 하에서도 측정 대상의 주기성을 나타내는 생체 전파 신호를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게 하고, 복수의 측정 대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생체 신호를 구분하여 판독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ccurately capture a bio-propagation signal indicating the periodicity of a measurement object, even under a noise environment in which a measurement object is located at a distance or a dynamic object exhibiting motion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and a plurality of measurement object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nd read biosignals extracted from

본 발명의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는 예를 들어, IR-UWB (impulse radio ultra wideband)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된 실시간 측정 시스템의 전파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The body-mount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mplify a radio signal of a real-time measurement system built based on, for example, IR-UWB (impulse radio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R-UWB 통신 기술은 수 ns에서 수백 ps에 이르는 매우 좁은 폭의 임펄스를 사용함으로써 협대역 신호들에 비해 보다 높은 정확도로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전파 신호를 탐지하고 이로부터 생체 전파 신호를 유효하게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R-UWB communication technology detects the reflected radio signal from the measurement target with higher accuracy compared to narrowband signals by using a very narrow impulse ranging from several ns to several hundreds of ps, and effectively extracts the biological radio signal from it.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도 1은 일반적인 생체 신호의 추출 결과 그래프로, 예를 들어 실시간 무선 호흡 측정 시스템에 따라 호흡 신호를 측정한 것이다. 1 is a graph of the extraction result of a general biosignal, for example, a respiration signal is measured according to a real-time wireless respiration measurement system.

이는 측정 대상에 의해 반사된 전파 신호로부터 최적의 호흡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로부터 반사된 전파 신호로부터 호흡에 의해 유발된 호흡 신호를 유효하게 추출하고 이로부터 호흡 패턴 및/또는 호흡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is is to determine the optimal respiration position from the radio signal reflected by the measurement target, effectively extract the respiration signal induced by respiration from the radio signal reflected from the position, and measure the respiration pattern and/or respiration rate therefrom characterized in that

다만, 측정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전파 신호의 세기가 강하지 않기 때문에, 탐지 영역 내 원래부터 존재하였던 정적 객체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된 신호를 노이즈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since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reflected from the measurement target is not strong, it is difficult to noise-process the signal reflected and received from the static object originally existing in the detection area.

또한, 도 1은 서로 다른 측정 대상인 A, B를 각각 측정하여 하나의 그래프에 나타낸 것으로, A와 B의 호흡 신호가 거의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서로 다른 측정 대상이 신호 측정 시스템과 유사한 거리에 이격되어 있을 경우, 측정 대상을 구분하기 어려워 신호가 교란되어 측정이 불가능하거나, 일 측정 대상의 신호를 배경 신호의 동적 개체로 기설정하여 별개로 측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addition, FIG. 1 shows a graph by measuring A and B, which are different measurement objects, respectivel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respiration signals of A and B are almost similar. In particular, when different measurement objects are spaced apart at a similar distance to the signal measurement system,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measurement objects, so the signal is disturbed and measurement is impossible, or the signal of one measurement object is preset as a dynamic object of the background signal and separate It is cumbersome to measure with

이에, 생체 신호를 추출할 측정 대상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를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attaching the p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easurement target from which the biosignal is to be extrac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의 추출 결과 그래프로, 도 1의 측정 대상 A, B에 있어서, 측정 대상 A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를 부착하여 동시에 측정한 것이다.FIG. 2 is a graph showing the extraction result of biosig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measurement objects A and B of FIG. 1 , the p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measurement object A and measured at the same time.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정 대상 A의 호흡 신호가 도 1의 A 신호 대비 증폭되었고, 측정 대상 B의 호흡 신호와 확연히 구별되어 동시에 측정하여도 서로 신호 간섭 없이 별도로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respiration signal of the measurement object A was amplified compared to the signal A of Figure 1, and i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respiration signal of the measurement object B, so that even when measured at the same time, the signal can be extracted separately without signal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패치를 측정대상에 부착시킴으로써, 비측정 대상이 원거리에 위치하거나 사용자 또는 측정 대상의 주변에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적 물체가 존재하는 노이즈 환경 하에서도 측정 대상의 주기성을 나타내는 생체 전파 신호를 포착할 수 있고, 2 이상의 측정 대상의 생체 전파 신호를 동시에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by attaching the p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measurement object, a bio-propagation signal indicating the periodic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even under a noise environment in which a non-measurement object is located at a distance or a dynamic object indicating movement exists in the vicinity of a user or a measurement object can be captured, an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acquire bio-propagation signals of two or more measurement objec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에 내재되는 전파 신호 반사 부재는 생체 전파 신호를 직접적으로 증폭시키는 수단으로,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속들이 유리하며 알루미늄, 은 및 백금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일 수 있다.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included in the body-mount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directly amplifying the biopropagation signal. Metals having a relatively high reflectance are advantageous and at least selected from aluminum, silver and platinum. It may be one, and most preferably, it may be aluminum.

상기 전파 신호 반사 부재는 측정 대상의 표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부착될 수 있고, 측정 대상에 따라 신호 세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형상 및 크기로 조절될 수 있다.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object in a contact or non-contact state, and may be adjusted in shape and size to optimize signal strength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bject.

구체적으로, 상기 전파 신호 반사 부재의 두께는 0.5 ㎛ 내지 10 ㎛일 수 있다. 두께가 0.5 ㎛ 미만일 경우에는 부재 내구성이 떨어져 부착시 측정 대상의 움직임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고, 두께가 10 ㎛ 초과할 경우에는 증폭 효율 대비 제조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may be 0.5 μm to 10 μ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0.5 ㎛, there is a risk of damage by the movement of the measurement target during attachment due to poor durability of the member, and if the thickness exceeds 10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sharply increased compared to the amplification efficiency.

또한, 보호 부재는 직포(Woven Fabric), 부직포(Nonwoven Fabric) 및 펠트(pelt)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측정 대상에 패치를 부착한 경우 가장 바깥 부분에 위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전파 신호 반사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통기성 있는 재질이기 때문에 측정 대상의 피부에 접촉되더라도 장시간 사용시 피부 괴사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memb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and a felt. The protective member may be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when the patch is attached to the measurement target. At this time, it prevents damage to 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and because it is a breathable material, even if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measurement target, skin necrosis when used for a long time is prevented. there is no risk of occurrence

상기 접착 부재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비닐 에스테르계, 비닐 에테르계 및 우레탄계 감압성 점착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거시 측정 대상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한 탈부착이 편리한 접착성을 가진 부재라면 제한되지 않는다.The adhesive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cryl-based, silicone-based, vinyl ester-based, vinyl ether-based, and uretha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has convenient attachment and detachment adhesiveness that can be reused without damaging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target when removed Absence is not limited.

특히, 상기 접착 부재는 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연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접착력이 조절되어 피부 자극이 저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dhesive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softening agent. By including the softener, the adhesive force may be controlled, and skin irritation may be reduced.

상기 연화제는 접착 부재 총중량 대비 3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비율을 만족함으로써 제거시 피부 통증이 저감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잔류 접착제가 적게 조절할 수 있다.The soften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0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dhesive member, and by satisfying the above ratio, skin pain is reduced during removal and residual adhesive can be adjusted to be less even after long-time use.

또한, 상기 접착 부재는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첨가제로서는 감압성 접착제와 혼합될 수 있는 통상의 첨가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 자외선 흡수제, 가용화제, 경피 흡수 촉진제, 충전제, 착색제,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hesive member may include other additives as needed. The other additiv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conventional additives that can be mix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dhering to the skin, a UV absorber, a solubilizer, a transdermal absorption accelerator, a filler, a colorant, a plasticizer, and the like may be mentioned.

상기 접착 부재의 두께는 1 내지 50 ㎛일 수 있다. 접착 부재의 두께가 1 ㎛ 미만인 경우 측정 대상의 표면 예를 들어, 피부, 착용한 옷 등 에 점착성이 불충분할 수 있고, 50 ㎛를 초과하는 경우 적용시 불편감이 높아지거나 제거시 표면 손상 또는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may be 1 to 50 μm. I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member is less than 1 ㎛, the adhesiveness may be insufficient on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target, for example, skin, worn clothes, etc., and if it exceeds 50 ㎛, discomfort increases during application or surface damage or pain when removed may cause

본 발명의 패치에 포함되는 접착 부재 하부에 이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형 부재는 측정 대상에 부착 전 접착 부재의 접착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member under the adhesive member included in the patch, wherein the release member serves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before attachment to the measurement target.

상기 이형 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및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The release memb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carbonate (PC), and most preferab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본 발명의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는 여러 구조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는데, 도 3 내지 도 7에 적층 구조의 일 예시들을 나타내었다.The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stacking in various structures, and examples of the stacked structure are shown in FIGS. 3 to 7 .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10)는 전술한 바에 따른 전파 신호 반사 부재(1), 그 상부에 접착 부재(2), 최상부이고 접착 후 외표면이 되는 위치에 보호 부재(3)를 포함할 수 잇다.Referring to FIG. 3 , the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1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member 2 thereon, the top, and the outer surface after bonding. It may include a protective member (3) in the position.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전파 신호 반사 부재(1)는 상기 접착 부재(2)와 상기 보호 부재(3)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패치(10)의 경우 피부에 부착시 금속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금속 알러지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 유용하다.Referring to FIG. 4 , 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dhesive member 2 and the protection member 3 . In the case of this type of patch 10, since the metal may not directly contact the skin when attached to the skin, it is useful for a user with a metal allergy.

또한, 상기 접착 부재 하부에 복수의 전파 신호 반사 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렬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adio wave signal reflecting member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under the adhesive member and arranged in parallel in a line.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전파 신호 반사 부재(1)는 일정 슬릿 간격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접착 부재(2)에 내재되거나 그 하부에 배열될 수 있다.5 and 6 , 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based on a predetermined slit interval, and may be embedded in the adhesive member 2 or may be disposed under the adhesive member 2 .

이와 같이, 전파 신호 반사 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함으로써, 신호 증폭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적은 양의 금속으로도 동등 이상의 증폭 효과를 낼 수 있어 제조 비용이 감소되어 경제적이다.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radio wave signal reflection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the degree of signal amplification can be controlled, and an equal or greater amplification effect can be achiev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metal,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economical.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10)는 최상부에 보호 부재(3), 보호 부재(3) 하부에 전파 신호 반사 부재(1), 전파 신호 반사 부재(1) 하부에 접착 부재(2) 및 접착 부재(2) 하부에 이형 부재(4)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 the body-attachable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10 includes a protective member 3 at the uppermost portion, a radio signal reflecting member 1 under the protective member 3 , and a radio signal reflecting member 1 under the radio signal reflecting member 1 . to the adhesive member 2 and the adhesive member 2 may include a release member 4 under the adhesive member 2 .

생체 신호 추출시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패치를 이용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활동성에 지장을 주지 않고 측정 대상의 피부에 직접 접촉시 피부 손상이 최소화되며, 전파 신호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세기만을 증폭시켜 보다 정확한 생체 신호를 추출 및 분석할 수 있다.By using these various types of patches when extracting biosignals, skin damage is minimized when directly contacting the skin of the measurement target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activity of the measurement object, and only the intensity is amplified without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radio signal. More accurate biosignals can be extracted and analyz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
1: 전파 신호 반사 부재
2: 접착 부재
3: 보호 부재
4: 이형 부재
10: Body-attach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1: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2: Adhesive member
3: no protection
4: No release member

Claims (9)

보호 부재;
상기 보호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전파 신호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
lack of protection;
an adhesive member disposed under the protection member; and
and a radio signal reflecting member disposed under the adhesive member;
Body-mount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신호는 IR-UWB (impulse radio ultra wideband)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dio signal is IR-UWB (impulse radio ultra wideband),
Body-mount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신호 반사 부재는 알루미늄, 은 및 백금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luminum, silver and platinum,
Body-mount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직포(Woven Fabric), 부직포(Nonwoven Fabric) 및 펠트(pelt)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ective memb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woven fabric, nonwoven fabric and felt,
Body-mount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비닐 에스테르계, 비닐 에테르계 및 우레탄계 감압성 점착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crylic, silicone, vinyl ester, vinyl ether, and uretha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Body-mount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신호 반사 부재가 상기 보호 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접착 부재 하부에 이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is disposed under the protection member, further comprising a release member under the adhesive member,
Body-mount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부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및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elease memb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carbonate (PC),
Body-mount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보호 부재;
상기 보호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접착 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전파 신호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
lack of protection;
an adhesive member disposed under the protection member; and
and a radio signal reflection member provided between the protection member and the adhesive member.
Body-mount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 하부에 복수의 전파 신호 반사 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렬로 평행하게 배열된,
인체 부착형 생체 신호 증폭 패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plurality of radio wave signal reflecting members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under the adhesive member and arranged in parallel in a line,
Body-mounted biosignal amplification patch.

KR1020150160645A 2015-11-16 2015-11-16 Patch attached to human body for amplifying bioelectric signals KR102270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45A KR102270557B1 (en) 2015-11-16 2015-11-16 Patch attached to human body for amplifying bioelectric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45A KR102270557B1 (en) 2015-11-16 2015-11-16 Patch attached to human body for amplifying bioelectric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44A KR20170057044A (en) 2017-05-24
KR102270557B1 true KR102270557B1 (en) 2021-06-29

Family

ID=5905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645A KR102270557B1 (en) 2015-11-16 2015-11-16 Patch attached to human body for amplifying bioelectric sig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55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102B1 (en) 2008-01-12 2009-06-30 주식회사 엑스엘 Contact-free 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KR101096089B1 (en) 2010-01-28 2011-12-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to Detect Sleep Apnea and Classify its Typ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6795A (en) * 2013-02-27 2014-09-04 정양권 UWB-based contactless biometric signals Te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102B1 (en) 2008-01-12 2009-06-30 주식회사 엑스엘 Contact-free biosignal detecting apparatus
KR101096089B1 (en) 2010-01-28 2011-12-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to Detect Sleep Apnea and Classify its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44A (en)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dele et al. Automatic detection of high frequency oscillations during epilepsy surgery predicts seizure outcome
ATE496577T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LEEP CHARACTERIZATION
EP2632327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measuring muscle signals
CN108697348A (en) A kind of physiologic information monitoring method and physiologic information monitoring pad, a kind of mattress
WO2011141765A8 (en) Diagnostic classifications of pulse signal waveform data
WO2005015157A3 (en) Eletrophysiological intuition indicator
CN105476602A (en) Non-contact human vital sign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JP2009539499A (en) System and method for snoring detection and confirmation
WO2010068796A3 (en) Stations for performing physiological stress tests
WO2012154224A3 (en) Patient monitoring device
WO2008008901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ural activity identification
US20160058381A1 (en) Bio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biosignal processing method
EP2595530A2 (en) Correlating frequency signatures to cognitive processes
WO2010011301A3 (en) Morphology feature evaluation in implantable medical devices
EP3432791A1 (en) Fetal move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WO2006096135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ental fatigue
US20190328326A1 (en) Wearable electroencephalography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5125206A (en) Intelligent electrocardio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WO2005002420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ed procedure to detect and monitor early-stage glaucoma
WO20171176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sleep state
US20180279961A1 (en) Multi-channel ballistocardiography with cepstrum smoothing and quality-based dynamic channel selection
KR102270557B1 (en) Patch attached to human body for amplifying bioelectric signals
Ojha et al. Feasibility of using physiological signals from a wearable biosensor to monitor dehydration of construction workers
US2020013831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izure analysis
Xie et al. A signal quality assessment–based ECG waveform delineation method used for wearable monitor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