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312B1 - Automatic peeling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pee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312B1
KR102270312B1 KR1020190088737A KR20190088737A KR102270312B1 KR 102270312 B1 KR102270312 B1 KR 102270312B1 KR 1020190088737 A KR1020190088737 A KR 1020190088737A KR 20190088737 A KR20190088737 A KR 20190088737A KR 102270312 B1 KR102270312 B1 KR 10227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skin
peeled
skinned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1616A (en
Inventor
원용대
Original Assignee
원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대 filed Critical 원용대
Priority to KR102019008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312B1/en
Publication of KR2021001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3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2007/01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by clamping claws, e.g. in high speed slicers for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자동 박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자동 박피 장치는 대상물을 박피하는 박피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박피수단은, 설정된 크기보다 큰 부분에 작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박피하는 제1 박피부; 및 상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부분에 작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박피하는 제2 박피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n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The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of the present technology includes; a peeling means for peeling an object, wherein the peeling means includes: a first peeling skin for peeling the object by acting on a portion larger than a set size; and a second peeling skin that peels off the object by acting on a portion smaller than the set size.

Description

자동 박피 장치{Automatic peeling device}Automatic peel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박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와 같은 채소의 껍질을 벗겨내는 자동 박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ee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peeling device for peeling vegetables such as radishes.

구근류는 땅속에 구형의 저장기관을 형성하는 작물이다. 무, 당근, 마늘, 양파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채소 중 하나로서, 다양한 메뉴에 다양한 조리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Bulbous is a crop that forms a spherical storage organ in the ground. There are various kinds of radish, carrot, garlic, onion, etc. Among them, radish is one of the most used vegetables in Korea, and is used in various recipes in various menus.

무는 조리에 들어가기 전에 가공이 필요하다. 알뿌리이므로 표면에 묻는 흙을 제거해야 하며 껍질을 벗겨내야 한다. Radish needs to be processed before going into cooking. Since it is a root, the soil on the surface must be removed and the skin must be peeled off.

이를 위해 종래에는 세척과정을 거친 후 사람이 직접 칼날을 손에 들고서 무를 깎아냈다. 이때 무를 회전시켜줄 수 있었고, 손으로 칼날을 세게 잡고서 회전하는 무의 표면에 직접 작용시켜 깎아내기도 하였다. To this end, in the prior art, after a washing process, a person directly held the blade in his hand to cut the radish. At this time, it was possible to rotate the radish, and it was also possible to cut the radish by directly acting o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radish by holding the blade firmly.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수공이 많이 들어간다. 각종 기기들이 자동화되고 인공지능화되는 추세에 역행한다.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불리하며, 혹여나 칼날을 손에서 놓치는 경우 회전체에 의해 칼날이 튕겨져 나오는 안전사고의 위험도 상존한다. However, this method is very labor intensive. It goes against the trend of various devices becoming automate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ime and cost, and there is also a risk of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blade is thrown out by the rotating body if the blade is lost in the han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4068호는 자동 박피 장치를 보여준다. 수직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무의 외면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는 칼날을 회동시켜 접촉시킴으로써 무의 껍질을 자동으로 박피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24068 shows an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It is to peel the skin of radish automatically by rotating and contacting the blade with constant pressu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radish fixed on the vertical axis of rotation.

상기 선행특허는 스프링을 이용해 일정한 압력으로 칼날이 무 표면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보여주기도 한다. 무의 형상과 크기는 다양해서 무의 껍질을 일정한 두께로 벗겨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he prior patent also shows a technique for allowing the blade to act on a non-surface with a constant pressure using a spring. This is because the shape and size of radishes vary, so it is necessary to peel the radish to a certain thickness.

그러나, 실제 장치를 동작시켜보면 예상과는 다르게 일정한 두께로 껍질을 벗겨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However, when operating the actual device, it is not easy to peel off the skin with a certain thickness, contrary to expectations.

이를 차치하더라도 무마다 형상이 제각각이어서 박피가 이루어지지 않는 음영지역이 존재하는 경우도 부지기수이다. Aside from this, the shape of each radish is different, so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re are shaded areas where peeling is not done.

보다 빠르고 일관된 박피가 가능한 장치가 요청되는데, 상기 선행특허를 포함한 기존의 기술들은 신속하면서도 동시에 박피의 일관성을 만족시키는 기술을 제시하지는 못한다. A device capable of faster and more consistent peeling is required, and the existing techniques including the prior patent do not provide a technique that satisfies the consistency of peeling while being quick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ong research and trial and erro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상물의 표면을 고르고 신속하게 박피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자동 박피 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peeling device of a novel structure that can even and quickly peel the surface of an object.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objects not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박피 장치는, 대상물을 박피하는 박피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박피수단은, 설정된 크기보다 큰 부분에 작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박피하는 제1 박피부; 및 상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부분에 작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박피하는 제2 박피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eling means for peeling an object, wherein the peeling means includes: a first peeling skin for peeling off the object by acting on a portion larger than a set size; And it may include a second peeling skin for peeling the object by acting on a smaller portion than the set size.

상기 박피수단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송되며 박피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대상물을 박피할 수 있다. The peeling means may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peel the object rotatably fixed to the peeling position.

상기 제1 박피부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박피부는 상기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기울어짐 회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고정날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peeling ski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that rotate in place, and the second peeling skin may include one or more fixed blades that can be tilted and rot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상기 대상물을 박피위치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object to the peeling position.

상기 이송부는 상기 대상물의 초기 안착을 위한 베이스부 및 상기 대상물을 정위치로 정렬시키는 복수의 그리퍼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base portion for initial seating of the object and a plurality of gripper pairs for aligning the object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대상물을 박피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holding unit for rotatably fixing the object to the peeling position.

상기 대상물의 박피위치 아래로 진입하여 박피잔여물과 박피된 상기 대상물을 수거하는 트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tray unit for collecting the peeling residue and the peeled object by entering under the peeling position of the object.

본 기술은 대상물의 표면을 고르고 신속하게 박피할 수 있는 자동 박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n automatic peeling device that can even and quickly peel the surface of an object.

또한 본 기술은 대상물의 표면을 손쉽게 원하는 크기로 박피할 수 있는 자동 박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n automatic peeling device capable of easily peeling the surface of an object to a desired size.

또한 본 기술은 박피를 마친 대상물의 직경을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즈로 일정하게 얻어낼 수 있으므로, 먹기 좋게 후속 처리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technology can obtain a constant diameter of the peeled object to a user's desired siz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subsequent processing to be easy to eat.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박피 장치에서 박피위치에 박피 대상물이 진입되기 전의 상태에 관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박피 장치에서 이송부에 의해 박피위치에 박피 대상물이 진입된 후의 상태에 관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박피 장치에서 홀딩부에 의해 박피위치에 박피 대상물이 고정된 상태에 관한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피수단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피수단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피수단에 의한 박피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베이스부와 그리퍼 쌍의 상세한 구조로서, 그리퍼 쌍에 의해 박피 대상물이 정렬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베이스부와 그리퍼 쌍의 상세한 구조로서, 그리퍼 쌍에 의해 박피 대상물이 정렬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Figure 1a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before the skinned object enters the peeling position in the automatic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after the object to be peeled into the peeling position by the transfer unit in the automatic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c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kinned object is fixed to the skinned position by the holding unit in the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in detail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eel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in detail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eel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diagrams showing the details of the peeling process over time by the peel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of the transfer unit and the gripper p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object to be peeled is aligned by the gripper pair.
4B is a detailed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gripper pair of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bject to be peeled is aligned by the gripper pair.
It is reveal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emplified by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the interval are expres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the actual physical thicknes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ell-known componen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박피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가 자동 박피 장치(100)의 박피위치(P)에 박피 대상물(10)이 진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 1b가 이송부(120)에 의해 박피위치(P)에 박피 대상물이 진입된 후의 상태를, 그리고 도 1c가 홀딩부(130)에 의해 박피위치(P)에 박피 대상물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Figure 1a is the state before the skinned object 10 enters the peeling position (P) of the automatic skinning device 100, Figure 1b is the state after the skinned object is entered into the skinning position (P) by the transfer unit 120 And, Figure 1c shows a state in which the skinned object is fixed in the peeling position (P) by the holding part 130.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박피 장치(100)는 박피 대상물을 박피하는 박피수단(110), 박피 대상물을 박피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20), 박피 대상물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딩부(130) 및 박피 대상물과 바피 잔여물의 회수를 위한 트레이부(1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A to 1C , the automatic skinning device 100 includes a skinning means 110 for peeling a skinned object, a transfer unit 120 for transferring the skinned object to a skinning position, and a rotatably fixing the skinned object It includes a holding unit 130 and a tray unit 140 for the recovery of the skinned object and the skin residue.

박피위치(P)에 박피 대상물(10)이 진입하여 고정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 순서대로 박피 대상물이 박피위치로 진입하여 고정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The skinned object 10 enters and is fixed to the skinned position (P). 1a to 1c show a process in which the object to be peeled is fixed by entering the location to be peeled in sequence.

박피위치(P)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박피 대상물(10)을 박피수단(110)이 제1 위치(Pa)에서 제2 위치(Pb)로 이송되면서(D1 방향, 도 1c 참조) 박피한다. The peeling object 10 rotatably fixed to the peeling position P is peeled while the peeling means 110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position Pa to the second position Pb (D1 direction, see FIG. 1C ).

박피수단의 이송을 위해 자동 박피 장치에 레일(102)이 마련될 수 있다. 레일(102)이 D1 (또는 D2) 방향으로 연장한다. A rail 102 may be provided on the automatic skinning device for the transfer of the skinning means. The rail 102 extends in the D1 (or D2) direction.

박피를 위해 박피수단(110)은 제1 박피부(112)와 제2 박피부(11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For peeling, the peeling means 110 includes a first peeling skin 112 and a second peeling skin 114 .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

박피위치로 박피 대상물의 진입에는 이송부(120)가 관여하고, 박피위치에서 고정에는 홀딩부(130)가 관여한다. The transfer unit 120 is involved in the entry of the skinned object to the skinned position, and the holding unit 130 is engaged in fixing at the skinned position.

이송부(120)는 상승 및 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자동 박피 장치에 마련된다. 도 1a가 이송부의 원래 위치를, 도 1b가 원래 위치로부터 상승 이동된 상태를, 도 1c가 다시 원래 위치로 하강 이동된 상태를 보여준다. The transfer unit 120 is provided in the automatic peeling device to enabl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Fig. 1a shows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transfer unit, Fig. 1b shows the upwardly moved state from the original position, and Fig. 1c shows the downwardly moved state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이러한 이송부 위에 올려진 박피 대상물이 이송부의 상승 이동과 함께 상승하여 박피위치(P)로 진입하게 된다. The skinned object placed on the conveying unit rises with the upward movement of the conveying unit and enters the peeling position (P).

상승 이동간 박피 대상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송부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우 대칭적으로 마련된 집게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집게부들은 이송부 위에 올려진 박피 대상물을 집을 수 있는 구조이다. 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tongs provided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skinned object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during the upward movement. The tongs have a structure that can pick up the skinned object placed on the transfer unit.

홀딩부(130)는 박피위치(P)로 진입한 박피 대상물(10)을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The holding unit 130 rotatably fixes the skinned object 10 that has entered the skinned position (P) in place.

박피 대상물의 양단이 홀딩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홀딩부(130)는 제1 홀딩부(132)와 제2 홀딩부(134)를 포함한다.Both ends of the object to be peeled are rotatably fixed by holding units. To this end, the hold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holding unit 132 and a second holding unit 134 .

제1 홀딩부(132)는 박피 대상물의 일단을 가압하고, 제2 홀딩부(134)는 박피 대상물의 타단을 가압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홀딩부가 신축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어 박피위치로 진입한 박피 대상물의 일단을 제2 홀딩부 쪽으로 밀어줌으로써(D2 방향, 도 1c 참조) 홀딩부들 사이에서 박피 대상물이 단단히 고정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irst holding part 132 presses one end of the object to be peeled, and the second holding part 134 presses the other end of the object to be peel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kinned object is firmly fixed between the holding parts by pushing one end of the skinned object that has entered the peeling position toward the second hold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first holding part in a flexible structure (D2 direction, see FIG. 1c) Although mainly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박피위치에서 박피 대상물이 고정됨과 동시에 제자리에서 회전 또한 가능하도록, 홀딩부들은 그 사이에 고정된 박피 대상물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된다. 회전 방향이 도면에서 도면부호 R로 참조된다. R방향으로의 회전을 위한 모터와 베어링 구조들이 구비될 수 있다. The holding parts are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the skinned object fixed therebetween so that the skinned object is fixed in the skinning position and rotated in place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R in the drawings. A motor and bearing structures for rotation in the R direction may be provided.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피 대상물이 박피위치에 고정되면, 박피수단이 제1 위치(Pa)에서 제2 위치(Pb)로 이송되면서 R방향으로 회전하는 박피 대상물을 박피하는 방식이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object to be peeled is fixed at the location to be peeled, the peeling means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position (Pa) to the second position (Pb) while peeling the object rotating in the R direction.

트레이부(140)는 박피위치 아래로 진입 및 박피위치로부터 원래 위치로 후퇴가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도 1a 및 도 1b가 트레이부의 원래 위치를, 도 1c가 원래 위치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The tray unit 140 is provided in a structure capable of entering under the peeling position and retracting from the peeling position to the original position. 1A and 1B show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tray part, and FIG. 1C shows the state retract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respectively.

트레이부의 전진 및 후퇴를 위해 자동 박피 장치에 레일(104)이 마련될 수 있다. 레일(104)이 D1 (또는 D2)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Rails 104 may be provided on the automatic skinning device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tray portion. The rail 104 may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1 (or D2) direction.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피위치(P)로 박피 대상물(10)을 진입시키는 이송부(120)와 트레이부(140)는 서로 교대로 박피위치 아래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이송부(120)가 상승 이동하여 박피 대상물을 박피위치로 이송한 뒤 하강 이동하여 빠져나오면, 그 자리로 트레이부(140)가 전진 이동하여 박피를 마친 대상물과 박피 잔여물들을 회수하는 방식이다(도 1b 및 도 1c 참조). 트레이부는 박피위치 아래에서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대상물과 잔여물을 수집하고 다시 원래 위치로 후퇴함으로써 회수를 마친다(도 1a 참조). 그리고 원래 위치에 있는 이송부의 빈 자리에 다시 박피 대상물이 올려지면, 위와 같은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A to 1C , the transfer unit 120 and the tray unit 140 for entering the skinned object 10 to the skinning position P may alternately enter under the skinning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transfer unit 120 moves upward to transport the object to be peeled to the peeling position and then descends to exit, the tray unit 140 moves forward to the spot to recover the peeled object and the peeling residues. (see FIGS. 1B and 1C). The tray unit collects the objects and residues falling by gravity under the skinning position, and ends the recovery by retreating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see FIG. 1A ). And when the skinned object is placed again on the empty seat of the transfer unit in the original position, the above process may be repeated.

홀딩부가 박피 대상물을 고정하는 시점은 이송부의 상승 이동 완료 직후이다. 즉, 이송부가 상승 이동하여 박피 대상물을 박피위치로 진입시킨 직후 홀딩부가 박피 대상물을 박피위치에 고정한다. 홀딩부에 의해 고정이 완료되면 이송부는 원래 위치로 하강 이동한다. The time point at which the holding part fixes the skinned object is immediately after completion of the upward movement of the transfer part. That is, immediately after the transfer unit moves upward and enters the skinned object into the skinning position, the holding unit fixes the skinned object at the skinning position. When the fixing by the holding part is completed, the conveying part moves downward to the original position.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박피위치에서 박피 대상물의 박피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 a process of peeling an object to be peeled at a peeling posi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피수단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the peel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가 그 정면도를, 도 2b가 그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Fig. 2a shows its front view and Fig. 2b shows its side view, respectively.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피수단(110)은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박피 대상물을 박피하는 제1 박피부(112) 및 박피 대상물의 표면에 직접 작용하여 박피 대상물을 박피하는 제2 박피부(114)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 the skinning means 110 rotates in place and directly acts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kinned skin 112 for peeling the skinned object and the second foil for peeling the skinned object by acting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skinned object. skin 114 .

제1 박피부와 제2 박피부는 박피의 방식을 서로 달리한다. 제1 박피부는 박피 대상물의 표면을 일정 깊이만큼 갈아서 박피하는 방식이고, 제2 박피부는 박피 대상물의 표면을 (과일 표면을 과도를 이용해 깎듯이, 감자칼을 생각하면 된다) 깎아내는 방식이다. The first peeled skin and the second peeled skin have different methods of peeling. The first peeling skin is a method of grinding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eeled to a certain depth and peeling it, and the second peeling skin is a method of cutting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peeled (think of a potato knife as if cutting the surface of a fruit with excessive use). .

제1 박피부(112)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복수개의 날개들을 포함하는 몸통부(1122) 및 복수개의 날개들에 각각 장착된 복수개의 회전날들(1124)을 포함한다. 날개들의 수와 회전날들의 수는 일치할 수 있다. The first skinned skin 112 includes a body 1122 including a plurality of blades rotating in place, and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1124 respectively mounted on the plurality of blades. The number of blades and the number of rotating blades may match.

제1 박피부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방향이 도면에서 RB로 참조된다. 제1 박피부가 RB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제1 박피부를 구비하고 있는 박피수단(110)이 D1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결과적으로, 제1 박피부가 D1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박피 대상물을 박피한다. A first foil skin is referred to in a direction to rotate in place, with the drawing R B. As the first foil skin is rotated at a high speed by R B direction, this first foil peeling means (110) that is provided with the skin is transferred to the D1 direction, as a result, the transferred to a night skin D1 direction peel object peel off

이때, 박피 대상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자리에서 R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제1 박피부가 지나가는 모든 표면이 박피된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kinned object rotates in the R direction in place, all surfaces through which the first skinned skin passes are peeled off.

제2 박피부(114)는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기울어짐 회동 가능한 아암부(1142) 및 아암부에 장착된 2개의 고정날들(1144, 1146)을 포함한다. The second thinning skin 114 includes an arm portion 1142 that can be tilted and rotatable in close contact along the surface of the object, and two fixed blades 1144 and 1146 mounted on the arm portion.

아암부(1142)는 일단에 레일(10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를 포함한다. 타단에 고정날들의 장착을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The arm unit 1142 includes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rail 102 at one end. It includes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fixed blades on the other end.

고정날들(1144, 1146)은 아암부에 볼팅 결합되는, 바닥이 납작한 둥근날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The fixed blades 1144 and 1146 have a shape like a round blade with a flat bottom, bolted to the arm portion.

본 발명에서는 고정날들이 2개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나, 본 발명이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날은 1개만이 아암부에 장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더욱 많은 수의 날들이 장착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emplary embodiment having two fixed blades is mainly exami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For example, only one fixed blade may be mounted on the arm portion, and a larger number of blades may be mounted as need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고정날들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서로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착되고, 이때 서로 장착되는 각도를 달리함으로써 박피의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회전하는 박피 대상물의 박피면이 고정날들 각각에 대해 진입하는 각도가 가장 예리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대적으로 위에 장착된 고정날(1144)은 자신의 박피위치에서 박피 대상물이 회전해 진입해오는 각도가 가장 예리해지도록 하는 각도로 장착되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아암부에 대해 25°~50° 기울어진 각도로 장착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장착된 고정날(1146)은 자신의 박피위치에서 박피 대상물이 해전해 진입해오는 각도가 가장 예리해지도록 하는 각도로 장착되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아암부에 대해 기울어짐 없이 평행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박피 대상물이 원통형인 바, 그 중심으로부터 접평면에 대해 약간 기울어진 각도로 장착됨으로써 회전해 들어오는 박피면의 진입 각도가 각 날들에 대해 가장 예리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wo or more fixed blades are mounted, they are mounte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 efficiency of peeling can be greatly increased by varying the angle at which they are mounted. This is so that the angle at which the peeling surface of the rotating peeling object enters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xed blades becomes the sharpest. That is, the fixed blade 1144 mounted on the relatively is mounted at an angle such that the angle at which the object to be peeled rotates and enters at its peeling position becomes the sharpest, and as shown in FIG. 2B , generally with respect to the arm portion It can be mounted at an angle of 25° to 50°. The fixed blade 1146 mounted below is mounted at an angle such that the angle at which the object to be peeled enters by sea electrolysis at its peeling position becomes the sharpest, and as shown in FIG. 2B, it is general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rm part Can be mounted parallel without load. Since the object to be peeled is cylindrical, it is mounted at a slightly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angent plane from the center so that the angle of entry of the rotating peeling surface is the sharpest for each blade.

이러한 고정날들이 박피면에 직접 컨택하여 작용할 수 있도록(최대한 밀착되어 박피 대상물의 표면을 깎아낼 수 있도록) 아암부는 상하 기울어짐 운동과 좌우 기울어짐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In order for these fixed blades to directly contact and act on the skinning surface (so that the surface of the skinned object can be shav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as much as possible), the arm unit is provided to enable vertical and horizontal tilting motions.

아암부(1142)가 상하로 기울어지는 방향이 도면에서 RT1으로 참조된다. 아암부가 상하로 기울어지는 방향은 이러한 아암부에 장착된 고정날들이 박피 대상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시소 운동과 같다. 이로써, 박피 대상물의 굴곡에 따라 아암부가 상하로 기울어짐으로써 고정날들(1244, 1246)은 박피 대상물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A direction in which the arm portion 1142 is inclined up and down is referred to as R T1 in the draw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m part is inclined up and dow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blades mounted on the arm part move away from or approach the skinned object. It's like a seesaw movement. Accordingly, the fixed blades 1244 and 1246 can be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kinned object as the arm portion is til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skinned object.

아암부(1142)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방향이 도면에서 RT2로 참조된다. 아암부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방향은 이러한 아암부에 장착된 고정날들이 박피 대상물에 대한 접평면이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과 같은 방향이다. 틸트 운동과 같다. 이로써, 박피 대상물의 굴곡에 따라 아암부가 좌우로 기울어짐으로써 고정날들(1244, 1246)의 넓은 바닥면들이 박피 대상물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A direction in which the arm portion 1142 is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is referred to as R T2 in the draw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arm part is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is the same direction in which the tangent plane of the fixed blades mounted on the arm part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peeled is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It's like a tilt motion. Accordingly, the wide bottom surfaces of the fixed blades 1244 and 1246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kinned object by inclining the arm part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bject to be peeled.

무와 같은 채소는 이상적인 원통형이 아니고 울퉁불퉁한 외면을 갖고 있으므로, 고정날들이 상술한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시소 운동)과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틸트 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박피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Vegetables such as radishes are not ideal cylindrical and have a rough outer surface, so the efficiency of peeling can be improved by making the fixed blades capable of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eesaw motion) and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ilt motion) as described above. can

한편, 박피 과정에서 꾸준히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날들을 박피 대상물 쪽으로 가압하는 역할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박피수단에 더욱 마련될 수 있다. 가압하는 방향이 도면에서 D3으로 참조된다. 예를 들어, 용수철과 같은 탄성부재가 그 일단이 고정단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자유단(도면에서 B로 참조됨)에 연결됨으로써 고정날들이 박피 대상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시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erving to press the fixed blades toward the object to be peeled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peeling mean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during the peeling process. The pressing direction is referred to as D3 in the drawing. For example,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has one end connected to a fixed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free end (referred to as B in the drawing) so that the fixed blades are constantly press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kinned object.

상술한 박피수단을 통한 박피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Let's look at the peeling process through the above-described peeling means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피수단에 의한 박피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skin peeling process by a skin peel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도 3a와 같이 박피가 시작되어 도 3b를 지나 도 3c와 같이 박피가 종료된다. 각각은 자동 박피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에 해당한다. As shown in Figure 3a, the peeling begins, and the peeling is finished as shown in Figure 3c through Figure 3b. Each corresponds to a top view of the automatic peeling device.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박피 대상물(10)은 홀딩부들(132, 134)에 의해 좌우가 고정된 상태로 제자리에서 R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회전 중심이 도면에서 A1으로 참조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3A , the skinned object 10 rotates in the R direction in place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fixed by the holding parts 132 and 134 . Its center of rotation is referred to as A1 in the drawings.

박피수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D1방향으로 레일(10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박피 대상물을 박피한다. The skinning means peels the skinned object while sliding along the rail 102 in the D1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상세하게, 제1 박피부(112)의 회전날들이 RB방향으로 회전하며 홀딩부의 회전 중심(A1)(즉, 박피 대상물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r1+r2)를 지나감으로써 박피 대상물이 소정의 반경(r2)을 갖도록 박피한다. Specifically, the rotation in the rotating days are R B direction of the first foil skin 112 and pass away the position (r1 + r2), some distance away from the rotational center portion holding (A1) (i.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peeling object) Thus, the peeled object is peeled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r2).

전체 박피 과정에서 제1 박피부가 지나가는 병진 이동 궤적은 일관된다. 도면에서 A2로 참조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 걸쳐서 제1 박피부의 병진 이동 궤적이 일관됨이 잘 보여진다. The translational trajectory of the first peeled skin is consistent throughout the entire peeling process. Reference is made to A2 in the drawings. It is well seen that the translational movement trajectory of the first peeled skin is consistent over FIGS. 3A to 3C .

박피 대상물의 소정의 반경(r2)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값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radius r2 of the skinned object may be a value set by the user.

일례로, 사용자가 r2를 5cm로 설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박피수단은 제1 박피부가 박피 대상물을 반경 5cm 보다 큰 부분들을 박피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제1 박피부를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설정된 소정의 반경(r2)에 따라 A1으로부터 A2에 이르는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r1 값은 제1 박피부의 회전반경에 해당하는 값으로서 고정값에 해당한다. As an example, the user may set r2 to 5 cm, and in this case, the peeling means may position the first peeling skin at a position that allows the first peeling skin to peel the areas larger than 5 cm in a radius of the skinned object . That is, the distance from A1 to A2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 predetermined radius r2. On the other hand, the r1 value corresponds to a fixed value a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peeled skin.

보다 작은 직경으로 박피하길 원하는 사용자는 r2를 작게 설정할 수 있고, 보다 큰 직경으로 박피하길 원하는 사용자는 r2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r2는 대체로 박피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크기가 큰 무를 박피할 때에는 r2를 크게 설정하고, 크기가 작은 무를 박피할 때에는 r2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Users who want to peel with a smaller diameter can set r2 to be small, and users who want to peel with a larger diameter can set r2 to be large. r2 is gener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peeled. For example, when peeling a large-sized radish, r2 may be set to be large, and when peeling a small-sized radish, r2 may be set to be small.

물론 별도의 사이즈 판별 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박피 장치에 마련된다면, 사용자가 일일이 설정하는 일 없이, 박피 대상물의 크기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r2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Of course, if a separate size determination device is provided in the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2 value may be set by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size of the skinned object without the user setting one by one.

일관된 궤적의 제1 박피부와는 다르게, 제2 박피부(114)는 박피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A1으로부터의 위치가 가변적이다. 앞서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박피부는 상하 기울어짐 운동(RT1 방향으로 기울어짐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이다. 도 3a가 D3방향으로 중간 정도로 밀착된 상태를 보여준다면, 도 3b가 도 3a보다 덜 밀착된 상태를, 그리고, 도 3c가 도 3a보다 더욱 밀착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Unlike the coherent trajectory of the first skin, the second skin 114 is variable in position from A1 along the surface of the skinned object.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second thinning skin is provided to enable up-and-down tilting motion (tilting motion in the R T1 direction). If FIG. 3A shows a state in close contact in the D3 direction, FIG. 3B shows a state that is less closely adhered than FIG. 3A, and FIG. 3C shows a state that is more closely adhered than FIG. 3A, respectively.

따라서 제2 박피부(114)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반경(r2)보다 작은 부분을 박피한다. Therefore, the second peeling skin 114 peels off a portion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adius r2 set by the user.

도 3a에서 r2보다 작은 박피 대상물의 도입 부분(무의 머리 부분과 같이)이 박피됨이, 도 3b에서 r2보다 작은 박피 대상물의 중간 부분이 박피됨이, 그리고, 도 3c에서 r2보다 작은 박피 대상물의 말미 부분(무의 뿌리 부분과 같이)이 박피됨이 잘 보여진다. 도면에서 제1 박피부에 의해 박피된 부분이 PD1으로 참조되고, 제2 박피부에 의해 박피된 부분이 PD2로 참조된다. In Fig. 3a, the introduction part (such as the head of a radish) of the dermabrasion object smaller than r2 is peeled, in Fig. 3b the middle part of the dermabrasion object smaller than r2 is peeled, and in Fig. 3c the dermabrasion object smaller than r2 It is well seen that the tail part of the squash (like the root part of radish) is peeled off. In the figure, the portion peeled off by the first skinned skin is referred to as PD1, and the portion peeled off by the second skinned skin is referred to as PD2.

이와 같이 제2 박피부는 제1 박피부가 박피하지 못한 부분까지 박피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cond skinned skin may be peeled off to a portion that the first skinned skin could not peel.

또한 제2 박피부는 좌우 기울어짐 운동(RT2 방향으로 기울어짐 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박피 대상물의 도입 부분이 갖는 경사나, 박피 대상물의 말미 부분이 갖는 경사에 무관하게 박피 대상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대상물을 박피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제2 박피부가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져 박피면에 밀착됨이, 도 3c에서는 제2 박피부가 시계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박피면에 밀착됨이 잘 보여진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kinned skin is provided so that a left and right tilting motion (a tilting motion in the R T2 direction)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introduction portion of the skinned object or the inclination of the tail portion of the skinned object, the It adheres to the surface and can peel off the object. In FIG. 3A , it is well seen that the second skinned skin is tilted clockwise and adhered to the peeling surface, and in FIG. 3C, the second peeled skin is tilted counterclockwise and closely adhered to the skinned surface.

이와 같이, 박피수단은 박피 대상물을 박피함에 있어서, 제1 박피부는 설정된 크기(r2)보다 큰 부분을 박피하고, 제2 박피부는 설정된 크기(r2)보다 작은 부분을 박피함으로써, 울퉁불퉁한 표면을 갖는 박피 대상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일관된 크기로, 박피가 안 되는 음영지역 없이 고르게 박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속 회전하는 박피 대상물과 이에 대응하여 고속 회전하는 제1 박피부, 및 박피수단의 슬라이딩 이동간 박피 대상물의 굴곡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밀착 박피하는 제2 박피부를 통해 신속한 박피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In this way, when the skinning means peels off an object to be peeled, the first peeling skin peels a portion larger than the set size r2, and the second peeling skin peels a portion smaller than the set size r2, so that the uneven surface It is possible to peel the skinned object with a consistent size desired by the user, without a shadow area that cannot be peeled off. In addition, a rapid peeling oper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high-speed rotating peeling object, the first peeling skin rotating at a high speed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second peeling skin closely peeling in response to the curvature of the skinned object during sliding movement of the skinning means. .

도 3에서는 제2 박피부를 대표하여 아암부 없이 고정날만이 도시되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FIG. 3 , only the fixed blade is shown without an arm part on behalf of the second thinning skin, but it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홀딩부의 회전 중심(A1)을 기준으로 박피의 양이 결정되는 바, 박피 대상물을 박피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상술한 과정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무와 같은 울퉁불퉁한 무정형의 박피 대상물이 그 회전 중심(A1)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소정의 반경(r2)을 갖도록 박피되므로, 박피 대상물이 홀딩부에 의해 홀딩될 때 센터가 맞아야 한다(홀딩부의 회전 중심(R)과 박피 대상물의 무게 중심(내지는 기하학적 중심)(C)이 대체로 일치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peeling is determined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A1) of the holding part, and accurately positioning the peeling object at the peeling posi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That is, since the bumpy amorphous peeling object such as radish is peeled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r2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its rotation center A1, the center must match when the peeling object is held by the holding part (holding part). The center of rotation (R) and the center of gravity (or geometric center) (C) of the skinned object should approximately coincide).

이를 위해, 이송부(120)는 박피 대상물의 초기 안착을 위한 베이스부(122)와 박피 대상물을 정위치(Pi)로 정렬시키는 복수의 그리퍼 쌍들(124a와 124b, 126a와 126b, 128a와 128b)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transfer unit 120 includes a base portion 122 for initial seating of the skinned object and a plurality of gripper pairs 124a and 124b, 126a and 126b, 128a and 128b for aligning the skinned object to the correct position Pi. may include

복수의 그리퍼 쌍들(124a와 124b, 126a와 126b, 128a와 128b, 도 1a 참조) 각각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그리퍼들을 포함한다. 첫 번째 그리퍼 쌍은 서로 마주하는 그리퍼(124a)와 그리퍼(124b)를 포함한다. 두 번째 그리퍼 쌍은 서로 마주하는 그리퍼(126a)와 그리퍼(126b)를 포함한다. 세 번째 그리퍼 쌍은 서로 마주하는 그리퍼(128a)와 그리퍼(128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그리퍼 쌍들이 도시되나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그리퍼 쌍들이 마련될 수도 있다. 각 그리퍼들(124a, 124b, 126a, 126b, 128a, 128b)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중간에 배치된 두 번째 그리퍼 쌍(126a, 126b)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Each of the plurality of gripper pairs 124a and 124b, 126a and 126b, 128a and 128b (see FIG. 1A ) includes gripper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pair of grippers includes a gripper 124a and a gripper 124b facing each other. The second pair of grippers comprises a gripper 126a and a gripper 126b facing each other. The third pair of grippers comprises a gripper 128a and a gripper 128b facing each other. Although three gripper pairs are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r number of gripper pairs may be provided as needed. Since each of the grippers 124a, 124b, 126a, 126b, 128a, and 128b has the same structure, the second gripper pair 126a, 126b disposed in the middle is viewed as a cent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베이스부와 그리퍼 쌍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가 그리퍼 쌍에 의해 박피 대상물이 정렬되기 전의 상태를, 도 4b가 그리퍼 쌍에 의해 박피 대상물이 정렬된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base portion and a gripper pair of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shows a state before the object to be peeled is aligned by the pair of grippers, and Fig. 4B shows a state after the object to be peeled is aligned by the pair of grippers, respectively.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정렬 전에 박피 대상물(10)은 베이스부(122)에 임의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1a에 도시된 자동 박피 장치에 박피 대상물이 놓이는 경우를 상정하면 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4A , the object to be peeled 10 is placed in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base portion 122 before alignment.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ssume the case where the skinned object is placed in the automatic skinning device shown in FIG. 1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그리퍼(126a, 126b)는 하부 경사부(Ga)와 상부 경사부(Gb), 그리고 이들 사이에 굴곡부(Gc)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each of the grippers 126a and 126b includes a lower inclined portion Ga, an upper inclined portion Gb, and a bent portion Gc therebetween.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정렬을 위해 서로 마주하는 그리퍼 쌍(126a, 126b)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레일(10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퍼 쌍의 이동 방향이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된다. Next, referring to FIG. 4B , the gripper pairs 126a and 126b facing each other move in a direction toward each other for alignment. It can move along the rail 106 .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gripper pair is indicated by arrows in the figure.

그리퍼 쌍이 서로 가까워짐에 따라, 1차로 하부 경사부(Ga)가 박피 대상물을 위로 밀어올리고, 상부 경사부(Gb)가 2차로 박피 대상물을 아래로 밀어내린다. 따라서, 양쪽 굴곡부들(Gc)에 의해 정의되는 정위치(Pi)로 박피 대상물이 정렬될 수 있다.As the pair of grippers get closer to each other, the lower inclined portion Ga pushes the object to be peeled up primarily, and the upper inclined portion Gb secondly pushes the object to be peeled down. Accordingly, the dermabrasion object may be aligned to the position Pi defined by both curved portions Gc.

정렬 과정에서 박피 대상물이 초기 안착되어 있던 베이스부(122)로부터 h만큼(도 4b 참조) 위로 이동하였음을 주목한다. 또한 그리퍼 쌍은 박피 대상물의 양쪽에서 서로 동일한 양만큼 이동하므로, 박피 대상물도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하여 그 중심이 박피 대상물의 중심에 놓이게 됨을 주목한다. Note that in the alignment process, the target to be peeled has moved upward by h (see FIG. 4B ) from the base portion 122 on which it was initially seated. Note also that since the pair of grippers move by the same amount on both sides of the object to be peeled, the object to be peeled also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its center i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object to be peeled.

도 4에서는 두 번째 그리퍼 쌍을 중심으로 정렬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첫 번째 그리퍼 쌍이나 세 번째 그리퍼 쌍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할 수 있다. 만약 박피 대상물의 크기가 작다면 첫 번째와 두 번째 그리퍼 쌍들만이 동작하여도 충분하고, 박피 대상물의 크기가 크기가 크다면 세 번째 그리퍼 쌍까지 모든 그리퍼 쌍들이 동작해서 정위치로 정렬시키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FIG. 4 ,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gripper pair is aligned is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gripper pair or the third gripper pair may also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peeled is small, only the first and second pairs of grippers are sufficient to operate, and if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peeled is large, all gripper pairs up to the third pair of grippers are opera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ligning them in place. can be raised

이와 같이, 박피 대상물(10)은 이송부(120)에 의해 정위치(Pi)에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정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홀딩부(130)로 이송되면, 자연스럽게 박피 대상물은 홀딩부에 의해 홀딩될 때 센터가 맞도록 배치되게 된다. 즉, 홀딩부의 회전 중심(R)과 박피 대상물의 무게 중심(내지는 기하학적 중심(C)이 대체로 일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무정형의 어떠한 박피 대상물이 박피위치로 이송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에 의해 센터가 자동으로 맞춰질 수 있다. In this way, the skinned object 10 may be aligned in the original position Pi by the transfer unit 120 . And when it is transferred to the holding unit 130 in a state aligned in place, the skinned object is naturally arranged so that the center is aligned when held by the holding unit. That is, the rotation center (R) of the holding part and the center of gravity (or the geometric center (C) of the skinned object are substantially coincident. As a result, even if any amorphous skinned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skinning position,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enter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박피 장치에 따르면, 대상물의 표면을 고르고 신속하게 박피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의 표면을 손쉽게 원하는 크기로 박피할 수 있다. 또한, 박피를 마친 대상물의 직경을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즈로 일정하게 얻어낼 수 있으므로, 무와 같은 대상물을 먹기 좋게 후속 처리하는 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pee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el the surface of the object evenly and quickly.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object can be easily peeled to a desired size. 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object after peeling can be obtained uniformly to the size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acilitate the subsequent processing of the object such as radish to be easy to eat.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recorded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explanation and not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박피 대상물
100 : 자동 박피 장치
102, 104, 106 : 레일
110 : 박피수단
112 : 제1 박피부
1122 : 몸통부
1124 : 회전날들
114 : 제2 박피부
1142 : 아암부
1144, 1146 : 고정날들
120 : 이송부
122 : 베이스부
124a, 124b, 126a, 126b, 128a, 128b : 그리퍼 쌍
130 : 홀딩부
132 : 제1 홀딩부
134 : 제2 홀딩부
140 : 트레이부
10: dermabrasion object
100: automatic peeling device
102, 104, 106: rail
110: peeling means
112: first thin skin
1122: body
1124: rotating blades
114: second thin skin
1142: arm
1144, 1146: fixed blades
120: transfer unit
122: base part
124a, 124b, 126a, 126b, 128a, 128b: pair of grippers
130: holding part
132: first holding part
134: second holding part
140: tray unit

Claims (7)

자동 박피 장치로서,
대상물을 박피하는 박피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박피수단은,
설정된 크기보다 큰 부분에 작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박피하는 제1 박피부; 및
상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부분에 작용하여 상기 대상물을 박피하는 제2 박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피수단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송하면서, 박피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대상물을 박피하고,
상기 제1 박피부 및 상기 제2 박피부는, 상기 제1 박피부가 상기 제2 박피부보다 전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함께 이송하고,
상기 제1 박피부가 상기 대상물을 1차 박피한 후 상기 제2 박피부가 상기 대상물을 2차 박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박피 장치.
An automatic peeling device comprising:
Peeling means for peeling the object; including,
The peeling means,
a first peeling skin that peels off the object by acting on a portion larger than a set size; and
and a second peeling skin that peels off the object by acting on a portion smaller than the set size,
The peeling means peels the object rotatably fixed to the peeling position while transferring i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peeled skin and the second peeled skin are transported togeth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peeled skin is located at a front end of the second peeled skin,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first peeling skin first peels the object, the second peeling skin second peels the objec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피부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박피부는 상기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기울어짐 회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고정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박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kinned skin includes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rotating in place,
The second peeling skin is an automatic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one or more fixed blades that can be tilted and rotated in close contact along the surface of the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을 박피위치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박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object to the skin peeling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대상물의 초기 안착을 위한 베이스부 및 상기 대상물을 정위치로 정렬시키는 복수의 그리퍼 쌍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박피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nsfer unit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e portion for the initial seating of the object and a plurality of gripper pairs for aligning the object in pl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을 박피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박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lding unit for rotatably fixing the object to the skin peeling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박피위치 아래로 진입하여 박피잔여물과 박피된 상기 대상물을 수거하는 트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박피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utomatic skin peel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ray unit for entering under the peeling position of the object to collect the peeling residue and the peeled object.
KR1020190088737A 2019-07-23 2019-07-23 Automatic peeling device KR1022703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737A KR102270312B1 (en) 2019-07-23 2019-07-23 Automatic pee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737A KR102270312B1 (en) 2019-07-23 2019-07-23 Automatic pee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616A KR20210011616A (en) 2021-02-02
KR102270312B1 true KR102270312B1 (en) 2021-06-28

Family

ID=74559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737A KR102270312B1 (en) 2019-07-23 2019-07-23 Automatic pee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31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941B1 (en) * 2017-05-15 2018-10-25 정연선 Apparatus for peeling root vegetab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068A (en) * 2010-09-03 2012-03-14 주식회사 삼원테크 Bulbous peel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941B1 (en) * 2017-05-15 2018-10-25 정연선 Apparatus for peeling root veget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616A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70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pomegranate seeds from pomegranates
KR102270312B1 (en) Automatic peeling device
JP41368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protective tape
EP1360908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ling citrus fruit
JP2001511314A (en) Solder ball placement device
US20060292972A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fish for heading
US8205545B2 (en) Melon cutting apparatus
JP2022029874A (en) End effector of harvesting device
KR101067667B1 (en) Onion stem cutting device
KR101164675B1 (en) Method of cutting a protective tape and protective tape cut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KR101987602B1 (en) Blade for automatic peeling device
US4068788A (en) Method for cracking brittle material
CN101010451B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metal sheets
TW201228790A (en) Patterning device
JP3941685B2 (en) Bulb planting equipment
AU2020250012B2 (en) Apparatus for simplifying removal of onion skin
US3451451A (en) Banana peeler
US9060637B2 (en) Onion peeling device
KR20240014721A (en) Tomato peeling device and peeling method
CN210210562U (en) Kiwi fruit section device
JP6906258B1 (en) Peeling aid for potatoes
US3111150A (en) Egg breaking head
FR2706249A1 (en) Device for making cuts in the surface of lumps of bread dough
CN217076055U (en) Overturning jig
WO2022107274A1 (en) End effector for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