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038B1 - Automated restoring apparatus for escape stair of safety rail - Google Patents

Automated restoring apparatus for escape stair of safety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038B1
KR102270038B1 KR1020190025108A KR20190025108A KR102270038B1 KR 102270038 B1 KR102270038 B1 KR 102270038B1 KR 1020190025108 A KR1020190025108 A KR 1020190025108A KR 20190025108 A KR20190025108 A KR 20190025108A KR 102270038 B1 KR102270038 B1 KR 10227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winch
safety
main fram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6642A (en
Inventor
김병환
Original Assignee
김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환 filed Critical 김병환
Priority to KR102019002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038B1/en
Publication of KR2020010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6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8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traction cable inside post or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난계단 원상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기타 건물에 설치되는 접이식 안전난간의 피난계난을 전개후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자동 원상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복원 장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하측으로 전개된 피난계단을 원래 위치로 상승시키는 윈치와; 상기 메인프레임을 하방에서 지지하되 안전난간의 난간본체의 상부프레임 상에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베이스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on staircase resto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restoration device for restoring an evacuation system to its original state after unfolding an evacuation system of a foldable safety rail installed in an apartment or other building. A safety railing evacuation staircase automatic resto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a winch fixedly coupled to the main frame and raising the evacuation stairway deployed downward to its original position; It supports the main frame from below, but includes a mounting base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frame of the handrail body of the safety handrail.

Description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AUTOMATED RESTORING APPARATUS FOR ESCAPE STAIR OF SAFETY RAIL}Safety handrail evacuation stairs automatic restoration device {AUTOMATED RESTORING APPARATUS FOR ESCAPE STAIR OF SAFETY RAIL}

본 발명은 피난계단 원상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기타 건물에 설치되는 접이식 안전난간의 피난계난을 전개후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자동 원상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cuation staircase resto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restoration device for restoring an evacuation system to its original state after unfolding an evacuation system of a foldable safety rail installed in an apartment or other building.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에는 화재 발생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접이식 안전난간이 설치된다. 상기 접이식 안전난간은 난간본체와 피난계단으로 구성되는데, 평시에는 피난계단이 안전난간과 동일 높이로 포개어져 있진 상태에 있다가, 화재 등이 발생시에는 피난계단이 하측으로 하강되어 펼쳐짐(전개)으로써 산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피난계단을 구비하는 접이식 안전난간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0261호 등에 공지된다. In general, in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foldable safety rails are installed to safely evacuate in case of fire. The folding safety railing is composed of a railing body and an evacuation stairway. In normal times, the evacuation stairway is overlapp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afety railing, and in the event of a fire, the evacuation stairway is lowered and unfolded. It is constructed so that it can be evacuated in the mountains. A folding safety handrail having such an evacuation staircase is know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40261 and the lik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접이식 안전난간의 경우, 피난계단의 전개후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할때 수동형 복원장치를 사용하는바, 아파트 각 세대 마다 직접 복원장비를 사용해야 함으로 불편하고, 외부 창문이 협소할 경우 장비 사용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난간 2개소에 복원장비를 설치하는 관계로 외부에 노출되는 창문이 1개일 경우 원상 복원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원상 복원시 딜레이 타임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예컨대, 아프트 30층의 경우, 원복에 10분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총 5시간의 원상 복원 시간이 필요하고, 원상 복원시 딜레이 타임이 길어 방범 안전 등에 문제성이 있으며, 복원 작업에 소요되는 인건비 상승 요인이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folding safety railing, a manual restoration device is used to restore the evacuation stair to its original state after the deployment of the evacuation stairs. interfere with the use of the equipment. In addition, since restoration equipment is installed on two railings, it takes a lot of time to restore to its original state if there is only one window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elay time loss is large during restor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30th floor of an apartment building, it takes about 10 minutes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so a total restoration time of 5 hours is required. become a factor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2062호에는 자동으로 피난계단을 원상 복원할 수 있는 윈치 스태커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윈치 스태커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매우 커서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으며, 높은 하중으로 안전성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보다 컴팩트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안전난간 원상 복원 장치가 요구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12062 has proposed a winch stacker capable of automatically restoring an evacuation staircase to its original state. However, this winch stacker has a complex structure and a very large volume, which limits the installation space, and has disadvantages in that safety is not high due to a high loa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ore compact and convenient safety handrail restoration device.

특허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0261호(일체형 접이식 안전난간 및 옥외피난계단으로 활용되는 피난 대피장치)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40261 (Evacuation evacuation device used as an integrated folding safety railing and outdoor evacuation stairs) 특허문헌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2062호(피난 대피장치용 윈치 스태커)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12062 (Winch Stacker for Evacuation Evacuation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안전난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보다 컴팩트한 구조와 경량성을 가지며 사용이 편리한 안전난간 자동 원상 복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safety rail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safety rail restoration device having a more compact structure and light weight and convenient to u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복원 장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하측으로 전개된 피난계단을 원래 위치로 상승시키는 윈치와; 상기 메인프레임을 하방에서 지지하되 안전난간의 난간본체의 상부프레임 상에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베이스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n evacuation staircase of a safety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frame; a winch fixedly coupled to the main frame and raising the evacuation stairway deployed downward to its original position; It supports the main frame from below, but includes a mounting base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frame of the handrail body of the safety handrail.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좌우 양측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양측 수직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하여, 중앙에 상기 윈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Here, the main frame includes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to connect both vertical portions to each other,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to install the winch in the center.

그리고, 상기 윈치는 전원 공급에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된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외주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피난계단에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inch includes a motor configured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according to power supply, a winding roll configured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a hook having one end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oll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evacuation stairway includes

그리고, 상기 마운팅베이스는, 상부면에 상기 메인프레임이 고정 결합되어 지지되는 판체로서, 중앙에는 상기 윈치와 연결된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1개구와 상기 권취롤에 연결된 와이어가 통과되는 제2개구가 관통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난간본체의 상부프레임을 파지 고정하는 제1죠 및 제2죠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base is a plate body to which the main frame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supported, and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a cable connected to the winch passes and a second opening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winding roll passes through the center a formed base plate; It includes a first jaw and a second jaw arranged in parallel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for holding and fixing the upper frame of the handrail body.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제2개구에는 상기 윈치의 와이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롤러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opening of the base plate is provided with a tension roller for preventing the wire of the winch from sagging.

그리고, 상기 제1죠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롯에는 슬라이딩블럭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first jaw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guide slot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sliding blocks are coupled to the guide slots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또한, 상기 제2죠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 양측의 제2죠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전후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는 나비볼트가 삽입 결합된다. In addition,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jaw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late so that the second jaw is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butterfly bol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ng hol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컴팩트한 구조와 경량성을 가지며, 자동으로 피난계단을 원상 복원 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원상 복원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has a more compact structure and light weight, and it is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can automatically restore the evacuation stairs to their original sta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ork efficiency is increase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복원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안전난간의 피난계단이 전개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복원 장치에 의해 피난계단이 원상 복원된 상태의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복원 장치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복원 장치 중 마운팅베이스의 분해도,
도 5 는 상기 마운팅베이스의 전방측 하방 사시도(a) 및 후방 사시도(b),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복원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vacuation stairway of a safety handrail deployed in a state where the automatic restoration device of the evacuation staircase of the safety han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vacuation stair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automatic evacuation stair restoration device of the safety han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automatically restoring an evacuation staircase of a safety han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mounting base of the automatic restoration device for the evacuation stairs of the safety han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side downward perspective view (a) and a rear perspective view (b) of the mounting base;
6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restoring the evacuation stairs of the safety han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원상 복원 장치(A)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vacuation stair restoration device (A) of the safety han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먼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10)의 피난계단 자동 복원 장치는 안전난간(10)의 난간본체(12) 중 상부프레임(12a) 상에 고정 설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터(210)에 의해 작동되는 윈치(200)를 구비하며, 윈치(200)의 와이어(214)가 피난계단(14)의 상부에 후크(22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윈치(200)에 의해 와이어(214)가 권취되면서 피난계단(14)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시 피난계단(14)이 난간본체(12)와 같은 높이로 포개어져 있다가, 화재 발생 등으로 인하여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계단(14)이 난간본체(12)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전개되는 경우, 윈치(200)의 모터(2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214)가 풀리게 되고, 이에 따라 피난계단(14)이 와이어(214)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 후 하중이 지지된다. 그 다음, 피난계단(14)을 원상으로 복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윈치(200)의 모터(210)가 역회전되어 와이어(214)가 권취됨에 따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계단(14)이 난간본체(12)와 같은 높이로 상승된다. 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restoring the evacuation stairs of the safety handrai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2a of the handrail body 12 of the safety handrail 10 . and a winch 200 operated by a motor 2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ire 214 of the winch 20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evacuation staircase 14 by a hook 220, and the As the wire 214 is wound by the winch 200, the evacuation staircase 14 is configured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More specifically, in normal times, the evacuation stairway 14 is superimposed on the same height as the handrail body 12, but due to a fire, etc., as shown in FIG. 1, the evacuation stairway 14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andrail body 12. In the case of falling and deployed, the motor 210 of the winch 2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release the wire 214, and accordingly, the evacuation stair 14 is the load after the shock is alleviated by the wire 214. is supported Then, when the evacuation stairway 14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e motor 210 of the winch 200 is reversely rotated and the wire 214 is wound, as shown in FIG. 2 , the evacuation stairway 14 It is raised to the same height as the handrail body (12).

도 3 에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10)의 피난계단 원상 복원 장치(A)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10)의 피난계단 원상 복원 장치(A)는 메인프레임(100), 윈치(200), 윈치장착브라켓(300) 및 마운팅베이스(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vacuation stair restoration device (A) of the safety handrai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evacuation stair restoration device (A) of the safety handrai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00, a winch 200, a winch mounting bracket 300 and a mounting base 400. is composed

메인프레임(100)은 후술하는 윈치(20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양측 수직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하여, 중앙에 윈치(2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구조, 즉, 대체로 옆으로 눕혀진 'ㄷ'자 내지 'Π'자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좌우 양측 수직부는 후술하는 마운팅베이스(400)의 베이스플레이트(410) 상부에 플랜지와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수직부 외측에는 파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10)가 구비되고, 일측 수직부의 전면부에는 커넥터브라켓(120)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브라켓(120)은 후술하는 윈치(200)의 모터(210)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거치할 수 있는 브라켓이다. The main frame 100 is a frame for fixing and installing a winch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s shown in FIG. 3 ,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to connect both vertical portions to each other.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so that the winch 200 can be installed in the center, that is, it is generally configured in a 'C' shape to a 'Π' shape lying sideways. The left and right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main frame 100 ar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410 of the mounting base 400 to be described later by a flange and a bolt. A handle 110 for facilitating gripping and transpor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main frame 100, and a connector bracket 120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on one side. The connector bracket 120 is a bracket capable of mounting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able of the motor 210 of the winch 200 to be described later.

윈치(200)는 피난계단(14)을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의 원 안에 도시(편의상 윈치장착브라켓(300)의 전면부 일부를 절개하여 표시함)된 바와 같이, 모터(210), 권취롤(212), 및 와이어(214)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10)는 전원 공급에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권취롤(212)은 상기 모터(210)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모터(210)의 구동에 따라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14)는 권취롤(212)의 외주면에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220)가 결합되고, 상기 후크(22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난계단(1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모터(210)가 구동되면 권취롤(212)이 회전되어 와이어(214)가 권권취되며, 와이어(214)와 연결된 피난계단(14)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The winch 200 is for raising the evacuation staircase 14, and as shown in the circle of FIG. 3 (for convenience, a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winch mounting bracket 300 is cut and displayed), the motor 210, winding a roll 212 , and a wire 214 . The motor 210 is configured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according to power supply, and the winding roll 212 is coupled to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210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210 . In addition, one end of the wire 214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oll 212 , and a hook 22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as shown in FIG. 1 , and the hook 220 is evacuated as described above. coupled to the stairs 14 . Accordingly, when the motor 210 is driven, the winding roll 212 is rotated to wind the wire 214, and the evacuation staircase 14 connected to the wire 214 can be lifted upwar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윈치(200)는 윈치장착브라켓(3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00)의 상부 수평부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윈치장착브라켓(300)에는 측면에서 상기 권취롤(21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에서는 모터(210)가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윈치장착브라켓(300)은 고정클립(310)에 의해 메인프레임(100)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클립(310)은 'Π'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중앙의 공간부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부 수평부에 걸쳐진 상태로 장착되고, 좌우 양측 하단부는 볼트(312)에 의해 윈치장착브라켓(30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고정클립(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장착브라켓(300)의 좌우 양측에 1개씩 구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윈치(200)가 메인프레임(100)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된다. The winch 2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ain frame 100 in a state mounted on the winch mounting bracket 300 . The winding roll 21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winch mounting bracket 300 from the side, and the motor 210 is fixedly coupled from the top side. Then, the winch mounting bracket 300 is fixed to the main frame 100 by the fixing clip 310 .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clip 310 is bent in a 'Π' shape so that the central space portion is mounted in a state that spans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of the main frame 100, and the lower left and right lower portions are attached to the bolts 312.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inch mounting bracket 300 by the The fixing clip 310 may be provided one by on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nch mounting bracket 300 as shown, and several may be installed as neede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winch 200 is stably fixed to the main frame 100 .

마운팅베이스(400)는 상기한 메인프레임(100)과 윈치(200)를 하방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난간본체(12)의 상부프레임(12a) 상에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410), 제1죠(420) 및 제2죠(430)를 포함한다. The mounting base 400 supports the main frame 100 and the winch 200 from below, and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frame 12a of the handrail body 12, and shown in FIGS. As shown, it includes a base plate 410 , a first jaw 420 and a second jaw 430 .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는 대체로 좌우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사각판체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단 상부면에 메인프레임(100)의 양측 수직부가 고정 결합되고, 중앙에는 제1개구(411)와 제2개구(412)가 나란하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개구(411)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거치된 윈치(200)의 모터(210)와 연결된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모터(210)의 직하방측 베이스플레이트(410)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412)는 상기 권취롤(212)과 연결된 와이어(214)가 통과될 수 있도록 권취롤(212)의 직하방측 베이스플레이트(410)에 관통 형성된다. The base plate 410 is a rectangular plate body formed to extend generally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and as shown in FIG. 3 , both vertical portions of the main frame 100 ar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 first opening is provided in the center. (411) and the second opening (412) is formed through the side by side. The first opening 411 is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410 directly below the motor 210 so that a cable connected to the motor 210 of the winch 200 mounted on the main frame 100 passes through, and the The second opening 412 is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410 directly below the winding roll 212 so that the wire 214 connected to the winding roll 212 can pass therethrough.

상기 제2개구(412)에는 텐션롤러(413)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텐션롤러(413)는 제2개구(412)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수평 배치되되, 내측에 롤러축(413a)이 구비되고, 상기 롤러축(413a)과 텐션롤러(413)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되어 텐션롤러(413)가 롤러축(413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축(413a)의 양단은 상기 제2개구(412)의 내측 좌우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축홈(412a)에 삽입 안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윈치(200)의 와이어(214)는 제2개구(412)를 통과시 상기 텐션롤러(413)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되어 텐션이 부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214)가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와이어(214)의 권취에 따라 상기 텐션롤러(413)는 롤러축(413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와이어(214)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A tension roller 413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second opening 412 . The tension roller 413 is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second opening 412, and a roller shaft 413a is provided inside, and a bearing (413a) is provided between the roller shaft 413a and the tension roller 413. (not shown) is interposed so that the tension roller 413 is rotatably configured around the roller shaft 413a. Here, both ends of the roller shaft 413a are inserted and seated in the shaft grooves 412a concavely formed on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opening 412 . Accordingly, when the wire 214 of the winch 200 passes through the second opening 412, it is pressed to one side by the tension roller 413 to give tension, and thus the wire 214 is sagging. prevent. As the wire 214 is wound, the tension roller 413 is rotated about the roller shaft 413a so that the wire 214 can move smoothly.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하부에는 제1죠(420)와 제2죠(430)가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죠(420)와 제2죠(430)는 한쌍이 일종의 집게와 같이 난간본체(12)의 상부프레임(12a)을 전후 방향에서 파지하여 고정한다. A first jaw 420 and a second jaw 430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410 . The first jaw 420 and the second jaw 430 are fixed by gripping the upper frame 12a of the handrail body 1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 pair of tongs.

제1죠(4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하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사각 바 형상으로 구성되되, 좌우 양측 하단부는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양측이 각각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양측 하단부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긴 가이드슬롯(42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422)의 내측 상부면 및 바닥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돌기 형태의 가이드레일(422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롯(422)의 좌우 양단은 대체로 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The first jaw 420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bar shape extending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plate 410, and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are further extended to the lower side so that both sides protrude. In addition, long guide slots 422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A protrusion-shaped guide rail 422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protrude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slot 422 ,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guide slot 422 are formed to be roun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상기 가이드슬롯(422)에는 슬라이딩블럭(424)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블럭(424)은 제1블럭(424-1)과 제2블럭(424-2)으로 구성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럭(424-1)은 상기 가이드슬롯(422)의 수평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슬롯(422)의 수직 길이와 상응하는 수직 길이를 갖는 제1외측판(424-1a)과, 상기 제1외측판(424-1a)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슬롯(422)의 일측 외부로부터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슬롯(422)의 내측 상부면 및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22a)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레일(422a)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돌부(424-1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블럭(424-2)은 상기 가이드슬롯(422)의 타측 외부로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슬롯(422)의 수직 길이 보다 더 긴 수직 길이를 갖는 제2외측판(424-2a)과, 상기 제2외측판(424-2a)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블럭(424-1)의 제1돌부(424-1b)와 맞대어져 결합되는 제2돌부(424-2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슬롯(422)의 양측에서 각각 제1블럭(424-1)과 제2블럭(424-2)이 삽입되어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블럭(424-1)과 제2블럭(424-2)을 상호 관통 결합하는 볼트(미도시)에 의해 제1블럭(424-1)과 제2블럭(424-2)이 상호 결합되어 슬라이딩블럭(424)이 구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슬라이딩블럭(424)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슬롯(42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후술하는 제2죠(430)가 고정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죠(420)의 가이드슬롯(422)에 결합된 슬라이딩블럭(424) 중 제2블럭(424-2)의 제2외측판(424-2a) 부분이 난간본체(12)의 상부프레임(12a) 일측면에 접촉되며, 상기 제1죠(420) 및 베이스플레이트(410)를 좌우로 이동시켜 베이스플레이트(410) 상부에 지지된 윈치(20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A sliding block 424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slot 422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More specifically, the sliding block 424 includes a first block 424-1 and a second block 424-2.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block 424 - 1 has a length shor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guide slot 422 and a first outer plate having a vertic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guide slot 422 . (424-1a) and the first outer plate (424-1a)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of the guide slot (422) doedoe inserted from the outside,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guide slot (422) and It has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guide rails 422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includes a first protrusion 424-1b that slides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s 422a. In addition, the second block 424-2 is disposed outside the other side of the guide slot 422 and has a vertical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guide slot 422. A second outer plate 424-2a. And, a second protrusion (424-2b) which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plate (424-2a) and is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424-1b) of the first block (424-1). includes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block 424-1 and the second block 424-1 and the second block 424-2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422 from both sides and are facing each other. The first block 424-1 and the second block 424-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bolts (not shown) that penetrate and couple the two blocks 424-2 to each other to form the sliding block 424. The sliding block 424 formed in this way is configur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slot 422 as shown in FIG. 5 .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econd block 424-2 of the sliding blocks 424 coupled to the guide slot 422 of the first jaw 42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jaw 430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fixedly coupled. A portion of the second outer plate 424-2a of the handrail body 12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upper frame 12a, and the first jaw 420 and the base plate 410 are moved left and right to the base plate ( 410)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winch 200 supported on the upper part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제2죠(430)는 상기 제1죠(420)와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되, 좌우 하단부가 하측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난간본체(12)의 하부면에 걸리는 걸림턱(43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죠(430)는 전후 방향(상기 제1죠(42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좌우 양측의 제2죠(43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전후 방향으로 장공(414)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414)에는 나비볼트(415)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나비볼트(415)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장공(414)을 통과하여 상기 제2죠(430)의 상부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2죠(430)를 베이스플레이트(410)에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난간본체(12)의 상부프레임(12a)의 두께에 따라 상기 제2죠(43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상기 나비볼트(415)를 조여 제2죠(430)를 고정한다. 상기 제2죠(430)가 제1죠(420)를 향하여 난간본체(12)의 상부프레임(12a)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블록도 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죠(420)와 제2죠(430)는 난간본체(12)의 상부프레임(12a)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상 복원 장치(A) 전체가 난간본체(12)의 상부프레임(12a) 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jaw 430 is arranged side by side to face the first jaw 420,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nd the inner surface has a locking jaw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rail body 12 . 430a is formed. Here, the second jaw 43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direction closer to or away from the first jaw 420 ). To this end, a long hole 414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jaw 43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late 410, and a butterfly bolt 415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ng hole 414. . As the butterfly bolt 415 passes through the long hole 414 of the base plate 41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jaw 430 , the second jaw 430 is fixed to the base plate 410 .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econd jaw 430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frame 12a of the handrail body 12 to adjust the position, and then the butterfly bolt 415 is tightened to the second jaw ( 430) is fixed. Since the second jaw 430 presses the upper frame 12a of the handrail body 12 toward the first jaw 420, the sliding block is also fixed without moving left and right, and accordingly, the first jaw 420 and the second jaw 430 firmly grip the upper frame 12a of the handrail body 12 so that the entire restoration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frame 12a of the handrail body 12. It is firmly fixed on the top.

도 6 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10)의 피난계단(14) 원상 복원 장치(A)가 난간본체(12)의 상부프레임(12a) 상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윈치(200)의 와이어(214)에 연결된 후크(220)가 피난계단(14)에 결합된 상태가 정면도로 도시된다. 6 shows the winch 200 in a state in which the evacuation stairway 14 of the safety handrai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12a of the handrail body 12. A state in which the hook 220 connected to the wire 214 of the is coupled to the evacuation staircase 14 is shown in a front view.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계단(14)이 펼쳐지면 와이어(214)가 권출되면서 피난계단(14)의 하중을 지지하여 충격을 완화하고, 복원시에는 와이어(214)가 권취되면서 피난계단(14)이 자동으로 상승되어 원상 복원된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 , when the evacuation stair 14 is unfolded, the wire 214 is unwound to support the load of the evacuation stair 14 to alleviate the impact, and when the evacuation stair 14 is restored, the wire 214 is As it is wound, the evacuation stairs 14 are automatically raised and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chang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ho has it will understand.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안전난간 12 : 난간본체
12a : 상부프레임 14 : 피난계단
A : 원상 복원 장치 100 : 메인프레임
110 : 손잡이 120 : 커넥터브라켓
200 : 윈치 210 : 모터
212 : 권취롤 214 : 와이어
220 : 후크 300 : 윈치장착브라켓
310 : 고정클립 312 : 볼트
400 : 마운팅베이스 410 : 베이스플레이트
411 : 제1개구 412 : 제2개구
412a : 축홈 413 : 텐션롤러
413a : 롤러축 414 : 장공
415 : 나비볼트 420 : 제1죠
422 : 가이드슬롯 422a : 가이드레일
424 : 슬라이딩블럭 424-1 : 제1블럭
424-1a : 제1외측판 424-1b : 제1돌부
424-2 : 제2블럭 424-2a : 제2외측판
424-2b : 제2돌부 430 : 제2죠
430a : 걸림턱
10: safety handrail 12: handrail body
12a: upper frame 14: evacuation stairs
A: restore device 100: mainframe
110: handle 120: connector bracket
200: winch 210: motor
212: winding roll 214: wire
220: hook 300: winch mounting bracket
310: fixing clip 312: bolt
400: mounting base 410: base plate
411: 1st opening 412: 2nd opening
412a: shaft groove 413: tension roller
413a: roller shaft 414: long hole
415: butterfly bolt 420: first jaw
422: guide slot 422a: guide rail
424: sliding block 424-1: first block
424-1a: first outer plate 424-1b: first protrusion
424-2: second block 424-2a: second outer plate
424-2b: the second protrusion 430: the second jaw
430a: jamming jaw

Claims (7)

안전난간(10)의 난간본체(12)로부터 전개 가능하게 구비된 피난계단(14)의 원상 복원 장치(A)로서,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고, 하측으로 전개된 피난계단(14)을 원래 위치로 상승시키는 윈치(2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하방에서 지지하되 안전난간(10)의 난간본체(12)의 상부프레임(12a) 상에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베이스(400)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좌우 양측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양측 수직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부를 포함하여, 중앙에 상기 윈치(2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윈치(200)는 전원 공급에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의 구동에 따라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된 권취롤(212)과, 상기 권취롤(212)의 외주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에는 피난계단(14)에 결합되는 후크(220)가 연결되는 와이어(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
As the original restoration device (A) of the evacuation staircase 14 provided so as to be deployable from the handrail body 12 of the safety handrail 10,
mainframe 100 and;
a winch 200 fixedly coupled to the main frame 100 and elevating the evacuation staircase 14 deployed downward to its original position;
It supports the main frame 100 from below but includes a mounting base 400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frame 12a of the handrail body 12 of the safety handrail 10;
The main frame 100 includes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to connect both vertical portions to each other,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winch 200 can be installed in the center;
The winch 200 includes a motor 210 configured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according to power supply, a winding roll 212 configured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according to driving of the motor 210 ,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roll 212 .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the evacuation stairway automatic restoration device of the safety rai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 214 to which a hook 220 coupled to the evacuation stairway 14 is conn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베이스(400)는,
상부면에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고정 결합되어 지지되는 판체로서, 중앙에는 상기 윈치(200)와 연결된 케이블이 통과되는 제1개구(411)와 상기 권취롤(212)에 연결된 와이어(214)가 통과되는 제2개구(412)가 관통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4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하부에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난간본체(12)의 상부프레임(12a)을 파지 고정하는 제1죠(420) 및 제2죠(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base 400,
As a plate body to which the main frame 10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supported, the first opening 411 through which the cable connected to the winch 200 passes and the wire 214 connected to the winding roll 212 in the center a second opening 412 through which the base plate 410 is formed;
Safe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jaw 420 and a second jaw 430 arranged in parallel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410 to hold and fix the upper frame 12a of the handrail body 12 Automatic restoration device for evacuation stairs of railing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제2개구(412)에는 상기 윈치(200)의 와이어(214)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롤러(4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opening 412 of the base plate 410 is provided with a tension roller 413 for preventing the wire 214 of the winch 200 from sagging.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죠(420)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슬롯(4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롯(422)에는 슬라이딩블럭(424)이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guide slot 422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jaw 420, respectively, and a sliding block 424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slot 422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An evacuation staircase automatic restoration device for safety rails,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죠(4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의 좌우 양측의 제2죠(43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전후 방향으로 장공(414)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414)에는 나비볼트(415)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Long holes 414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jaws 43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late 410 so that the second jaws 430 ar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long holes ( 414) has a butterfly bolt (415)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afety handrail evacuation stairs automatic resto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90025108A 2019-03-05 2019-03-05 Automated restoring apparatus for escape stair of safety rail KR102270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08A KR102270038B1 (en) 2019-03-05 2019-03-05 Automated restoring apparatus for escape stair of safety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08A KR102270038B1 (en) 2019-03-05 2019-03-05 Automated restoring apparatus for escape stair of safety r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42A KR20200106642A (en) 2020-09-15
KR102270038B1 true KR102270038B1 (en) 2021-06-25

Family

ID=7245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108A KR102270038B1 (en) 2019-03-05 2019-03-05 Automated restoring apparatus for escape stair of safety 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0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074B1 (en) * 2020-10-30 2023-02-13 (주)삼덕에스디피 Foldable safety railing with automatic deployment and restoration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792A (en) * 1995-07-18 1997-02-0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Winch unit of forklift
KR101206232B1 (en) * 2010-08-26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Cable support device of winch for transfer system using cable
KR20120006541U (en) * 2011-03-14 2012-09-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Winch
KR20130006134A (en) * 2011-07-08 2013-01-16 세민텍크 주식회사 Winch respond to emergency person and emergency ladder with expandable parts
KR101740261B1 (en) 2016-10-13 2017-05-2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A safety de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KR101912062B1 (en) 2018-02-27 2019-01-04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A stacker for transfering emergency escap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642A (en)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632B2 (en) Collapsible platform assembly for a ladder
US20130214224A1 (en) Lifting system
US20070169996A1 (en) Powered lift platform
US9217285B2 (en) Material lifting mechanism
JP2016524668A (en) Ladder safety mechanism
KR102270038B1 (en) Automated restoring apparatus for escape stair of safety rail
KR101168089B1 (en) Vertically movable worktable
KR101676346B1 (en) Structure of veranda with improved safety
US20070269303A1 (en) Combination loft ladder and lift
JP3125537U (en) Portable worktable
JP6271975B2 (en) Lift device for panel-like goods
KR101230656B1 (en) Aerial Ladder truck
US8230971B2 (en) Ladder support apparatus
KR20210001616U (en) Automated restoring apparatus for escape stairs
WO2007132272A1 (en) Combination loft ladder & lift
KR101455475B1 (en) High place working vehicles
US8602389B2 (en) Curtain door installation system
US7942243B1 (en) Intermediate cable fairlead
KR20180012881A (en) Structure of veranda installed with room for outside unit of air-conditioner within house
JPH11125001A (en) Temporary stage
US1482898A (en) Scaffold
KR20110001477A (en) Ascent and descent device of roof working scaffold
JP3662064B2 (en) Manual lifting floor device
US9944495B2 (en) Portable lift
JP2008214062A (en) Lifting device and structural material moun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