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888B1 - Tdevice to test the performance of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 Google Patents

Tdevice to test the performance of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888B1
KR102269888B1 KR1020200029326A KR20200029326A KR102269888B1 KR 102269888 B1 KR102269888 B1 KR 102269888B1 KR 1020200029326 A KR1020200029326 A KR 1020200029326A KR 20200029326 A KR20200029326 A KR 20200029326A KR 102269888 B1 KR102269888 B1 KR 102269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ssure sensor
smart
sho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민
고봉균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에프아이티아이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2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8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8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 G01L25/006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for measuring work or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 A43B3/000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for a pressure sensor for smart sho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for the pressure sensor for the smart shoes is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pressure sensor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mart shoes, comprising: a foot-shaped upper pressing unit fixed on a lower side of a first frame and inserted into the shoes; one or more lower pressing units plac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ensor by being fixed on an upper side of a second frame which is plac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by being apart from the first frame; and an operation unit which vari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apply the pressing force controll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ressing unit and the lower pressing unit to the pressure sens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is able to consistently and reliabl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y defect and the normal or abnormal operation of the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mart shoes and the accuracy or inaccuracy of pressure measurement when the pressure sensor is used, even without a manual work by a worker or a damage or cut on the finished shoes, and the universal quality control and maintenance for the smart shoes can be conveniently and rapidly conducted.

Description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TDEVICE TO TEST THE PERFORMANCE OF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Performance test device for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TDEVICE TO TEST THE PERFORMANCE OF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본 발명은,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신발의 아웃솔에 탑재된 압력센서의 작동여부나 민감도 등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성능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a pressure sensor of a smart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an outsole of a smart shoe, such as operation or sensitivity.

산업분야 기술의 고도화의 진행에 따라, 일상적인 사용을 넘어 고온이나 극저온 등과 같은 악조건하에서도 고정밀, 높은 신뢰도의 계측이 가능한 센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고, 이에 부응한 다양한 센서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he industrial field, the demand for a sensor that can measure with high precision and high reliability even under adverse conditions such as high temperature or cryogenic temperature beyond daily use is increasing,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nsor technologies is actively developing. is in progress

이러한 센서기술은, 최근 반도체 기술과 마이크로 머시닝 기술의 꾸준한 발전에 힘입어로 보다 소형화되고 복합화된 다기능의 스마트 센서기술로 이어지고 있다.Such sensor technology is leading to more compact and complex multi-functional smart sensor technology thanks to the steady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micro-machining technology in recent years.

다양한 센서기술 중 압력센서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소정의 힘 또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소자로서, 위와 같은 소형화, 초박막화된 센서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공업계측, 자동제어 분야는 물론이고, 근래에는 의료, 환경제어, 전기용품, 생활의류 용품 등 그 적용 범위가 폭 넓게 확장되고 있다.Among various sensor technologies, a pressure sensor is an element for measuring a predetermined force or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 environmental control, electrical appliances, household clothes, etc.,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is broadly expanding.

위와 같은 압력센서의 활용 분야 중 에너지나 철강과 같은 대형 연소로를 갖는 산업분야의 경우, 흡배기 가스나 연료의 유량 측정 등을 통한 에너지 절감 또는 연소 효율의 향상을 위해 고도의 관리제어기술이 요구되는데, 이때 압력센서는 핵심적 소자로 취급되고 있다.Among the fields of application of the pressure sensor, in the case of an industrial field having a large combustion furnace such as energy or steel, advanced management and control technology is required to reduce energy or improve combustion efficiency by measuring the flow rate of intake/exhaust gas or fuel. In this case, the pressure sensor is treated as a key element.

또한, 거대 장치 산업분야 이외에 생활용품이나 의류 산업분야에서도, 웨어러블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압력센서가 의류 등에 탑재되어 실생활의 편의에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field of household goods and clothing, in addition to the giant device industry, the pressure sensor is mounted on clothe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rapid development of wearable technology and is directly utilized for convenience in real life.

일례로, 웨어러블 제품 중 신발의 바닥면 즉, 아웃솔 또는 미드솔에 압력센서를 탑재한 스마트 신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통신모듈을 내장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분포를 기초로 운동 자세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제품이다.For example, among wearable products, smart shoes equipped with a pressure sensor on the bottom surface of a shoe, that is, an outsole or a midsole,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interlocking with a smartphone as shown in FIG. 1 to measure the pressure distribution applied to the soles of the feet. This product was developed so that you can easily check the exercise posture based on the basics.

이러한 스마트 신발은 기존의 신발 개념을 넘어서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잘못된 운동 자세를 손쉽게 확인하고 보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운동효과를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These smart shoes have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exercise effect in that they immediately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hat can easily identify and correct incorrect exercise postures that users do not recognize, going beyond the conventional shoe concept.

이러한 운동 관련 정보들은 오로지 압력센서에 의존하여 측정되고 제공된다는 점에 압력센서의 불량여부나 사용시 압력측정의 정확성 여부는, 스마트 신발의 품질관리나 유지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12422호(공고일: 2018년01월30일) 등과 같이 일반 신발류 완제품을 가지고 단순히 마모성능 정도를 평가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만을 개시하고 있어서, 압력센서 등이 탑재된 스마트 신발에 대한 특별한 취급이 필요한 실정이다.Although such exercise-related information is measured and provided only depending on the pressure sensor, whether the pressure sensor is defective or whether the pressure measurement is accurate when using it is a key factor in quality control or maintenance of smart shoes. , the prior art discloses only a technology for a device that simply evaluates the degree of wear performance with a general footwear finished product, such a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12422 (announcement date: January 30, 2018), etc. There is a need for special handling of the mounted smart shoes.

아울러, 완제품 신발을 훼손하거나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신발 안쪽의 바닥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압력센서에 대한 불량여부나 사용시 압력측정의 정확성 여부 등이 일관성과 신뢰성 있게 시험 내지 평가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shoe that is difficult to access when the finished shoe is not damaged or cut, the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pressure sensor, which has to be done manually by the operator, or whether the pressure measurement is accurate when used, etc.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evices that can be tested or evaluated are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자세의 확인을 위해 스마트 신발에 탑재된 압력센서와 관련하여 그 불량이나 고장 여부, 측정의 정확성 및 신속성 여부 등과 같은 성능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시험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한편, 스마트 신발에 대한 평가를 위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sent a standard that can accurately and reliably test and evaluate performance such as whether there is a defect or malfunction, accuracy and speed of measurement, etc. in relation to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a smart shoe for checking an exercise posture On the other hand, it is to provide a performance test device for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for evaluation of smart shoes.

상기 목적은, 스마트 신발의 바닥면에 탑재된 압력센서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프레임의 아래쪽에 고정되어 상기 신발에 삽입되는 발형상의 상부압박부; 상기 제1 프레임의 아래쪽에 이격배치된 제2 프레임의 위쪽에 고정되되, 상기 압력센서에 대응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하부압박부; 및 상기 상부압박부의 하면과 상기 하부압박부를 통해 제어된 가압력이 상기 압력센서에 가해지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n apparatus for testing the performance of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smart shoe, comprising: an upper compression unit in the shape of a foot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and inserted into the shoe; a lower pressure part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ram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rame and disposed at least one or mo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ensor; and an operation unit for vary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so that a pressing force controll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essing unit and the lower pressing unit is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This is achieved by a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sensors.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상대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안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이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직선 이동하도록 강제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one or more guide bar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guide the relative movement of any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first frame to force the first frame to move linearly toward the second frame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bar.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된 동력장치와, 상기 동력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길게 배치된 스크류축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볼스크류이거나, 펌프로부터 제공된 유체의 압력으로 피스톤을 직선 왕복시키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The driving means includes a power unit coupled to the first frame, a screw shaft elongated toward the second fram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unit, and a screw shaft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and screwed with the screw shaft. It may be a ball screw including a nut or a hydraulic cylinder that linearly reciprocates a piston with the pressure of a fluid provided from a pump.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최대 이격거리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압박부에 대한 상기 신발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회전하도록 안내하는 회동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made to be separated at a maximum separation distance by the driving means, and at one side of the guide bar, the shoe is smoothly inserted into the upper compression unit, the first A rotating part for guiding one of the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rotate relative to the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성능시험장치는, 상기 신발에 탑재된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의 가변작동에 따라 가압되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mance tes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shoe and receives and processes the press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pressure sensor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variabl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상기 상부압박부는, 발의 아치에 대응하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앞뒤로 분할되어 전단의 발볼부와 후단의 뒤꿈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볼부는, 피시험물인 상기 신발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뒤꿈치부에 대하여 앞뒤로 신축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compression part is divided back and forth based on the central part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foot, and consists of a ball part of the front end and a heel part of the rear end, and the ball part is stretched and contract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heel part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shoe under test It can be slidably coupl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발볼부와 상기 뒤꿈치부에는, 상기 압력센서의 배치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Pressing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ressure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foot ball part and the heel part,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프레임의 아래쪽에 고정되어 신발에 삽입되는 발형상의 상부압박부와, 제1 프레임에 이격된 제2 프레임의 상면에서 압력센서에 대응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하부압박부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시키는 작동부를 통해 제어된 가압력이 압력센서에 가해짐에 따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거나 완제품 신발을 훼손되거나 절단하지 않고도 스마트 신발의 바닥면에 탑재된 압력센서에 대한 불량 내지 정상작동 여부나 사용시 압력측정의 정확성 여부 등이 일관성과 신뢰성 있게 판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마트 신발에 대한 범용적인 품질관리나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ot-shaped upper compression part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and inserted into the shoe, and at least one lower part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enso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As a pressing force controlled by the pressure sensor is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through the pressing unit and the operating unit that vari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bottom of the smart shoe does not require manual work by the operator or damage or cutting of the finished shoe. Defective or normal operation of the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surface, or whether the pressure measurement is accurate during use, can be determined consistently and reliably, so that general-purpose quality control and maintenance of smart shoes can be performed simply and quickly. be able to

도 1은 압력센서가 탑재된 스마트 신발의 일반적인 외형과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신발의 착용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신발에 탑재된 압력센서의 성능시험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general appearance and structure of a smart shoe equipped with a pressure sensor.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for a pressure sensor of a smart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
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wearing process of smart shoes step by step based o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 line AA of FIG. 2 .
5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erformance test process of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a smart shoe step by step based o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 line AA of FIG. 2 .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for a pressure sensor of a smart sho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압력센서가 탑재된 스마트 신발의 일반적인 외형과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신발의 착용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를 기준으로 스마트 신발에 탑재된 압력센서의 성능시험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general appearance and structure of a smart shoe equipped with a pressure senso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rformance test apparatus for a pressure sensor of a smart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FIG.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wearing process of smart shoes step by step based o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 line AA of FIG. 2, and FIG. 5 is a smart shoe based o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 line AA of FIG. It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performance test process of the mounted pressure sensor step by step,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for a pressure sensor of a smart sho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3개의 축은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여 바뀔 수 있으며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이에 따른다.Top (top), bottom (bottom), left and right (side or lateral), front (front, front), back (back, back), etc., which refer to directions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are not used for limiting right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drawings and the configuration, and the three axes may be rotat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changed, except where specifically limited otherwise.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발명의 피시험물인 스마트 신발(10)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명칭 여하를 불문하고 신발(10)의 바닥면(12) 중 소정 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탑재되어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얇은 시트형상의 압력센서(20), 압력센서(20)와 연결된 상태로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측정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제어명령 등을 수신하는 통신모듈(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10)을 말한다.Befor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shoe 10, which is the test subject of the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or more at a predetermined point among the bottom surfaces 12 of the shoe 10 irrespective of the name. A thin sheet-shaped pressure sensor 20 that is mounted and measur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a communication module 30 that transmits measurement data or receives a control command in connection with the pressure sensor 20 in conjunction with a smartphone It refers to the shoe 10, including the back.

이때, 압력센서(20)는, 전기절연물 위에 격자 위에 격자모양의 저항선 또는 포토리소그라피로 가공한 저항박을 배선하고 인출선을 연결한 시트형상의 센서로서, 저항선 등의 변형정도에 따라 변하는 저항값에 기초하여 외력 즉, 압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essure sensor 20 is a sheet-shaped sensor in which a grid-shaped resistance wire or a resistance foil processed by photolithography is wired on a grid on an electrical insulator and a lead wire is connected, and a resistance value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resistance wire, etc.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that is, the pressure based on the

이러한 압력센서(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압력측정을 위한 압력센서(20), 발볼의 안쪽과 바깥쪽에 가해지는 압력측정을 위한 압력센서(20) 및 발가락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측정을 위한 압력센서(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Such a pressure sensor 20, as shown in FIG. 1, a pressure sensor 20 for measur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eel, a pressure sensor 20 for measur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ll of the foot, and the toe It may be composed of a pressure sensor 20 or the like for measur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art.

위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20)가 장착된 스마트 신발(10)은, 착용 중에 측정된 발바닥 압력분포를 스마트폰 등에 송신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인식하지 못한 잘못된 운동 자세나 신체 밸런스를 손쉽게 확인하고, 보행이나 운동별 자세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동효과을 향상키는 고유의 특징이 있다.The smart shoe 10 equipped with one or more pressure sensors 20 as described above transmits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soles measured during wearing to a smart phone, etc. to easily check the wrong exercise posture or body balance that the user did not recognize, and walk However, it has a unique feature of improving the exercise effect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ture and the like for each exercise to the user.

그리나 스마트 신발(10)의 압력센서(20)는, 신발(10) 안쪽의 바닥면(12)에 깊숙이 배치되는 구조여서 압력센서(20)의 불량여부나 사용시 압력측정의 정확성 여부 등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스마트 신발(10)을 직접 착용한 후 테스트한다거나 가압수단을 스마트 신발(10) 내부로 투입하여 압력센서(20) 부분을 수동으로 눌러 판별할 수밖에 없었고, 이에 의하더라도 한 쌍으로 구성된 스마트 신발(10)의 압력센서(20)가 상호 동일한 감도 수준으로 동기화되었는지 등에 대한 판별은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웠다.However, since the pressure sensor 20 of the smart shoe 10 is a structure that is deep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12 of the inside of the shoe 10,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sure sensor 20 is defective or whether the pressure measurement is accurate when used. For this, the operator had no choice but to test after directly wearing the smart shoes 10, or to manually press the pressure sensor 20 part by putting the pressurizing means into the smart shoes 10, and even according to this, a pair of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and objectively determine whether the pressure sensors 20 of the smart shoes 10 we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at the same sensitivity level.

이러한 주관적이고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작업자에 의한 테스트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100)는, 완제품 스마트 신발(10)을 훼손되거나 절단하지 않고도 스마트 신발(10)의 바닥면(12)에 탑재된 압력센서(20)에 대한 불량 내지 정상작동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압력센서(20)의 감도 정확성 여부와, 한 켤레에 대한 압력센서(20)의 동기화 여부 등도 일관성 있고 신뢰성 있게 판별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performance test apparatus 100 for a pressure sensor of a smart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improve a test method by an operator who is subjective and difficult to guarantee accuracy is a smart shoe without damaging or cutting the finished smart shoe 1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sure sensor 20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12 of the shoe 10 is defective or operates normally, and whether the sensitivity of the pressure sensor 20 is accurate, and the pressure sensor 20 for a pair ) is also made to be determined consistently and reliably.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압박부(110), 하부압박부(120) 및 작동부(130)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볼부(110a)와 뒤꿈치부(110b)로 분할되어 스마트 신발(10)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상부압박부(110)를 포함하는 변형예로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pecifically implement the functions or a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 test apparatus 100 for a pressure sensor of a smart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5 , an upper compression unit 110, As shown in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lower compression part 120 and the operation part 130,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6, it is divided into a ball part 110a and a heel part 110b to the size of the smart shoe 10. It may be configured as a modified example including the upper compression unit 110, the length of which is variable accordingly.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부압박부(110)는, 제1 프레임(112)의 아래쪽에 고정된 상태로 상술한 스마트 신발(10)에 삽입되어 스마트 신발(10)의 바닥면(12)에 탑재된 압력센서(20)의 상면을 직접 가압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기둥 형상이 아니라 발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First, the upper pressure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smart shoe 10 described above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12 of the smart shoe 10 ( 20) as a component that directly presses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S. 2 to 3 , it can be manufact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foot rather than a simple column shape.

이때, 상부압박부(110)를 발형상으로 제작한 이유는, 스마트 신발(10) 안쪽의 발뒤꿈치 부분은 물론, 스마트 신발(10) 안쪽의 발볼 및 발가락 부분에 배치되는 압력센서(20)에 대한 가압까지도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reason that the upper pressure part 110 is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foot is not only the heel part of the inside of the smart shoe 10, but also the pressure sensor 20 disposed on the ball of the foot and the toe part inside the smart shoe 10. This is to ensure that even pressurization is performed smoothly.

제1 프레임(112)은, 후술할 제2 프레임(122)의 상부에 이격배치되어 상부압박부(110)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후술할 작동부(130)에 의해 제2 프레임(122)에 대하여 상대이동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발형상의 상부압박부(110)가 고정될 수 있는 판형상이면 충분하고,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first frame 112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122 to be described late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upper pressing unit 110 is fixed, while the second frame ( As a component that moves relative to 122), a plate shape to which the foot-shaped upper compression unit 110 can be fixed is sufficient, and the specific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러한 상부압박부(110)는, 스마트 신발(10) 바닥면(12)에 얇은 시트형태로 매설된 압력센서(20)에 대한 원활한 가압을 위해 경도가 큰 금속 소재로 제작되거나, 필요에 따라 신체와 유사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upper pressure unit 1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a high hardness for smooth pressurization of the pressure sensor 20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12 of the smart shoe 10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if necessary, the body It can be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elasticity similar to that of

하부압박부(120)는, 스마트 신발(10) 내부에서 압력센서(20)의 상면을 가압하는 상술한 상부압박부(110)와 함께 스마트 신발(10)의 바닥면(12)에 접하여 압력센서(20)의 하면을 직접 가압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2)의 아래쪽에 이격배치된 제2 프레임(122)의 위쪽에서 압력센서(20)에 대응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고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pressure unit 12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2 of the smart shoe 10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upper pressure unit 110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sensor 20 inside the smart shoe 10 to contact the pressure sensor. As a component that directly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20), as shown in FIGS. 2 to 3, the pressure sensor 20 above the second frame 122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112. At least one may be arranged and fix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

이러한 하부압박부(120)는, 스마트 신발(10)에 탑재된 압력센서(20)의 배치와 개수에 대응하여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제2 프레임(122)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소정 두께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이와 달리 스마트 신발(10)에 탑재된 압력센서(20)의 배치와 개수에 대응하여 제2 프레임(122)에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pressure unit 120 is made of a permanent magnet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is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econd frame 122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and number of the pressure sensors 20 mounted on the smart shoe 10 .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second frame 122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and number of the pressure sensors 20 mounted on the smart shoe 10 .

이때,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하부압박부(120)는, 제2 프레임(122)에 대한 하부압박부(120)의 자유로운 위치변경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신발(10)에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compression unit 120 made of a permanent magnet can be universally used in various types of smart shoes 10 through a free position change of the lower compression unit 120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122 . .

제2 프레임(122)은, 상술한 제1 프레임(112)의 하부에 이격배치되어 하부압박부(120)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후술할 작동부(130)에 의해 제1 프레임(112)에 대하여 상대이동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하부압박부(120)가 고정 또는 형성될 수 있는 판형상이면 충분하고,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second frame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first frame 112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ower compression unit 120 is fixed, while the first frame ( As a component for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112), a plat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lower pressing parts 120 can be fixed or formed is sufficient, and a specific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작동부(130)는, 상부압박부(110)의 하면과 하부압박부(120)를 통해 제어된 가압력이 압력센서(20)에 가해지도록,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22)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132) 및 구동수단(1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30 includes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22 so that the pressing force controll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essing unit 110 and the lower pressing unit 120 is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20 . As a component for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as shown in FIGS. 2 to 5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bar 132 and a driving means 134 .

여기서 가이드바(132)는,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22) 중 어느 하나의 상대이동을 안내하며 제1,2 프레임(112,122) 간의 이격거리가 기울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가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막대형성의 구성요소이다.Here, the guide bar 132 guides the relative movement of any one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22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2 and 122 is constantly variable without being inclined. It is a component of rod formation prepared for

이러한 가이드바(132)는,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22) 사이에서 일단이 제2 프레임(122)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 프레임(112)을 관통하는 구조로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One or more guide bars 132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frame 122 betwee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22 , and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first frame 112 . This can be installed.

구동수단(134)은, 상술한 가이드바(132)의 안내에 따라 제2 프레임(122)에 대한 제1 프레임(112)의 직선 이동을 강제하기 위해 제1 프레임(112)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22) 중 어느 하나의 직선운동을 가능케 하는 상용화된 장치라면 어떠한 구동 방식이라도 무방하다.The driving means 134 is a component provided in the first frame 112 to force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frame 112 with respect to the second frame 122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bar 132 described above. As a result, any driving method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commercially available device that enables linear motion of any one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22 .

즉, 구동수단(134)은, 제1 프레임(112) 또는 제2 프레임(122)에 결합된 피스톤을 펌프로부터 제공된 유체의 압력으로 직선 왕복시키는 유압실린더(HC) 방식(도 2 등에 참고로 도시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기어와, 제1 프레임(112) 또는 제2 프레임(122)에 결합된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M)와 연결되어 랙기어와 치합을 이루고 정역 회전에 따라 랙기어 상을 이동하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at is, the driving means 134 is a hydraulic cylinder (HC) method (shown for reference in FIG. 2 and the like) that linearly reciprocates the piston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2 or the second frame 122 with the pressure of the fluid provided from the pump. ), and is connected to a rack gear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ower unit M such as a motor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2 or the second frame 122 to mesh with the rack gear. It can be implemented in a manner consisting of a pinion gear that moves on the rack gear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또한, 구동수단(134)은,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M)와 연계된 한 쌍의 풀리와 일측이 제1 프레임(112) 또는 제2 프레임(122)에 결합된 상태로 풀리와 치합을 이루며 한 쌍의 풀리에 걸쳐 배치되는 벨트 등으로 구성된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134, a pair of pulleys associated with the power unit M such as a motor and one side are engaged with the pulley in a state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2 or the second frame 122, It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manner consisting of a belt disposed over a pair of pulleys.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134)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구조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강한 가압력으로 정확한 직선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동력장치(M), 스크류축(S) 및 너트부(N) 등을 포함하는 볼스크류 방식으로 구현된다.However, as shown in FIGS. 2 to 5, the driving means 13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maintain, and is a power device ( M), a screw shaft (S) and a nut portion (N) is implemented in a ball screw method including.

여기서 동력장치(M)는,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모터 등과 같은 상용화된 장치로 이루어져 제1 프레임(112)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Here, the power unit M is a component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2 made of a commercially available device such as a motor operat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40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스크류축(S)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모터 등과 같은 상술한 동력장치(M)와 직접 연결되는 구성요소이고, 너트부(N)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술한 스크류축(S)과 나사결합을 이루며 스크류축(S)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1 프레임(112)을 상하로 직선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And the screw shaft (S) is a component directly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power device (M) such as a motor made of a rod shape having a male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nut portion (N) is a female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a component that is screwed with the screw shaft (S) and linearly moves the first frame (112)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S).

이러한 볼스크류 방식의 구동수단(134)에 의해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22) 간의 이격거리가 자유롭게 가변됨에 따라 스마트 신발(10) 내에 탑재된 압력센서(20)에 대한 상부압박부(110)와 하부압박부(120)의 가압작동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자재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22 is freely varied by the ball screw type driving means 134 , the upper pressure on the pressure sensor 20 mounted in the smart shoe 10 .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art 110 and the lower pressing part 120 can also be made freely as shown in FIG. 5 .

한편, 제1,2 프레임(112,122) 간의 이격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볼스크류 방식의 구동수단(134)이 작동하게 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축(S)은 너트부(N)로부터 이탈되어 제1 프레임(112)과 제2 프레임(122)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ll screw type driving means 134 operates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12 and 122 is maximized, as shown in (a) of FIG. 4 , the screw shaft S is a nut Separated from the part N,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22 are in a state in which the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때, 가이드바(132)의 일측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2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회전하도록 안내하는 회동부(133)가 더 구비됨으로써, 도 4의 (b)처럼 상부압박부(110)에 대한 신발(10)의 삽입이 원활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on one side of the guide bar 132, as shown in FIGS. 2 and 4, any one of the first frame 112 and the second frame 122 is guided to rotate relative to the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eing further provided with a rotating part 133 that is, the insertion of the shoe 10 into the upper compression part 110 as shown in FIG. 4 (b) can be made smoothly and easily.

제어부(140)는, 스마트 신발(10)에 탑재된 통신모듈(3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술한 작동부(130)의 가변작동에 따라 가압되는 압력센서(20)로부터 측정된 압력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22)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이와 달리 제1 프레임(112)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4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30 mounted on the smart shoe 10 and receives the press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pressure sensor 20 that is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variabl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nit 130 . As a component for processing and processing, it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122 as shown in FIGS. 2 to 3 , or alternative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12 .

이러한 제어부(140)는, 구체적으로 상술한 구동수단(134)의 동력장치(M), 유압실린더(HC), 후술할 신축부(116)의 동력장치(M)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피시험물로서 상부압박부(110)에 끼워진 스마트 신발(10)의 통신모듈(3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압력센서(20)로부터 측정된 압력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아두이노(Arduino)와 같은 모듈화된 정보처리유닛, 전달 및 처리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표시장치 및 제어작동을 설정하는 버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is control unit 140, specifically, the power unit (M) of the above-described driving means 134, the hydraulic cylinder (HC), the power unit (M)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unit 116 to be described later, etc.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se MCU that controls the operation and wirelessly connects to the communication module 30 of the smart shoe 10 fitted in the upper compression unit 110 as a test object to receive and process the press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pressure sensor 20 (micro controller unit), a microcomputer, a modula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such as an Arduino, a display device that visually displays transmitted and processed information, and a button for setting control operation. .

위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각 장치를 제어하고 수신된 압력정보 등을 처리하고, 표시 및 저장하는 제어부(140)의 일련의 처리과정은, 상술한 정보처리유닛을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고, 이는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series of processing processes of the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each devic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as above, processing, displaying, and storing the received pressure information, etc., include C, C++, which can be read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described above. This is done by coding in a programming language such as JAVA or machine language, and this can be easily done in various ways and forms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구성에서 상부압박부(110)를 스마트 신발(10)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변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test apparatus 100 for a pressure sensor of a smart sho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upper compression unit 110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to the size of the smart shoe 10 . It can be made by deforming it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according to it.

위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의 구체적인 구현을 위해, 변형예에 따른 상부압박부(110)는, 발의 아치에 대응하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분할된 전단의 발볼부(110a)와 후단의 뒤꿈치부(110b), 신축부(116) 및 가압돌기(11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the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e above functions or actions, the upper compression part 110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includes the front part of the foot ball part 110a and the rear part of the heel part 110b divided based on the central part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foo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retchable portion 116 and a pressing protrusion 118 .

발볼부(110a)는 발의 아치를 기준으로 전방의 발볼과 발가락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이고, 뒤꿈치부(110b)는 발의 아치를 기준으로 후방의 발 뒤꿈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제1 프레임(112)에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The ball part 110a is a componen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ll of the foot and the toe region in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arch of the foot, and the heel part 110b is ma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el of the rear based on the arch of the foot, and the upper end is a component coupled to the first frame 112 .

신축부(116)는, 피시험물인 스마트 신발(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술한 발볼부(110a)가 제어부(140)의 제어작동을 통해 뒤꿈치부(110b)에 대하여 앞뒤로 신축작동을 하도록 강제하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동력장치(M), 스크류축(S), 너트부(N), 슬라이드바(114a) 및 슬라이드홈(114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116 is forced to perform a forward and backward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heel part 110b through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40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smart shoe 10, which is the test object. As a component, it may be composed of the power unit M, the screw shaft S, the nut portion N, the slide bar 114a and the slide groove 114b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동력장치(M)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꿈치부(110b)에 내설되어 제어부(14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모터 등으로 구현되는 구성요소이고, 스크류축(S)은 동력장치(M)와 결합된 상태로 발볼부(110a)에 형성된 너트부(N)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발볼부(110a)와 뒤꿈치부(110b) 간의 이격거리를 늘이거나 줄이는 구성요소이다.Here, the power unit M is a component implemented as a motor, etc., which is built into the heel part 110b and is operat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40, as shown in FIG. 6, and the screw shaft S is a power unit. (M) is a component that is screwed to the nut portion (N) formed on the ball part (110a) in a coupled stat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all part (110a) and the heel part (110b) according to the rotation.

그리고 슬라이드바(114a) 및 슬라이드홈(114b)은, 뒤꿈치부(110b)에 대한 발볼부(110a)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신축작동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발볼부(110a)와 뒤꿈치부(110b)에 각각 대응되는 돌기와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구조를 이루게 된다.And the slide bar 114a and the slide groove 114b are components provided to guide the accurate and stabl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ball part 110a with respect to the heel part 110b, and the ball part 110a and the heel part ( 110b) is formed in the shape of projections and groov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coupling structure.

가압돌기(118)는, 대향된 위치에 형성된 상술한 하부압박부(120)와 함께 스마트 신발(10)의 압력센서(20)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발볼부(110a)와 뒤꿈치부(110b)에서 각각 압력센서(20)의 배치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The pressing protrusion 118 is a component provided to accurately and effectively press the pressure sensor 20 of the smart shoe 10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lower compression unit 120 formed at the opposite position, and the above-mentioned foot ball part ( 110a) and the heel portion 110b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ressure sensor 20, respective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 인해, 작업자는 스마트 신발(10) 크기에 대한 제약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성능시험장치(100)를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스마트 신발(1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되는 압력센서(20)의 배치에 대응한 정확한 성능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Due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can universally utilize the performance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restrictions on the size of the smart shoe 10 , and the size of the smart shoe 10 . Accurate performance test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ressure sensor 20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마트 신발 12: 바닥면
20: 압력센서 30: 통신모듈
100: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
110: 상부압박부 110a: 발볼부
110b: 뒤꿈치부 112: 제1 프레임
114a: 슬라이딩바 114b: 슬라이딩홈
116: 신축부 118: 가압돌기
120: 하부압박부 122: 제2 프레임
130: 작동부 132: 가이드바
133: 회동부 134: 구동수단
M: 동력장치 S: 스크류축
N: 너트부 HC: 유압실린더
140: 제어부
10: smart shoes 12: bottom
20: pressure sensor 30: communication module
100: performance test device for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110: upper compression part 110a: foot ball part
110b: heel 112: first frame
114a: sliding bar 114b: sliding groove
116: stretchable portion 118: pressing protrusion
120: lower compression unit 122: second frame
130: operation unit 132: guide bar
133: rotating unit 134: driving means
M: Power unit S: Screw shaft
N: Nut part HC: Hydraulic cylinder
140: control unit

Claims (7)

스마트 신발의 바닥면에 탑재된 압력센서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1 프레임의 아래쪽에 고정되어 상기 신발에 삽입되는 발형상의 상부압박부; 상기 제1 프레임의 아래쪽에 이격배치된 제2 프레임의 위쪽에 고정되되, 상기 압력센서에 대응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하부압박부; 및 상기 상부압박부의 하면과 상기 하부압박부를 통해 제어된 가압력이 상기 압력센서에 가해지도록,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간의 이격거리를 가변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상대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안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이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직선 이동하도록 강제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최대 이격거리에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압박부에 대한 상기 신발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상대회전하도록 안내하는 회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
As a device for testing the performance of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bottom of a smart shoe,
A foot-shaped upper compression unit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inserted into the shoe; a lower pressure part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fram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rame and disposed at least one or mor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ensor; and an operation unit for vary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so that a pressing force controll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ressing unit and the lower pressing unit is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The operation unit,
at least one guide ba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guide the relative movement of any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driving means provided in the first frame to force the first frame to move linearly toward the second frame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bar;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t is made to be separated from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by the driving means,
On one side of the guide bar,
Sm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otating part for guiding one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rotate relative to the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shoe into the upper compression part is made smoothly. Performance test device for pressure sensor of sho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된 동력장치와, 상기 동력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길게 배치된 스크류축과, 상기 제2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볼스크류이거나,
펌프로부터 제공된 유체의 압력으로 피스톤을 직선 왕복시키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means is
A ball including a power unit coupled to the first frame, a screw shaft elongated toward the second fram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unit, and a nut portion provided in the second frame and screwed with the screw shaft screw, or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pressure sensors of smart sho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hydraulic cylinder that linearly reciprocates a piston with the pressure of the fluid provided from the pump.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시험장치는,
상기 신발에 탑재된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의 가변작동에 따라 가압되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erformance test device,
Performance for the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shoe and receives and processes the pressur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pressure sensor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variabl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te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박부는,
발의 아치에 대응하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앞뒤로 분할되어 전단의 발볼부와 후단의 뒤꿈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볼부는, 피시험물인 상기 신발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뒤꿈치부에 대하여 앞뒤로 신축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ressure part,
It is divided back and forth based on the central part corresponding to the arch of the foot and consists of a ball part at the front end and a heel part at the rear end,
The ball-of-foot part is a performance test device for a pressure sensor of a smart sho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lidably coupled so as to be stretched and contract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heel part in response to the size of the shoe, which is the test objec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볼부와 상기 뒤꿈치부에는,
상기 압력센서의 배치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가압돌기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의 압력센서용 성능시험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ball part and the heel part,
A 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for a pressure sensor of a smart sho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ressing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ressure sensor is provided.
KR1020200029326A 2020-03-10 2020-03-10 Tdevice to test the performance of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KR1022698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26A KR102269888B1 (en) 2020-03-10 2020-03-10 Tdevice to test the performance of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326A KR102269888B1 (en) 2020-03-10 2020-03-10 Tdevice to test the performance of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888B1 true KR102269888B1 (en) 2021-06-25

Family

ID=7662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326A KR102269888B1 (en) 2020-03-10 2020-03-10 Tdevice to test the performance of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8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770B1 (en) * 2021-11-19 2023-02-16 무발연구소 주식회사 Automatic device testing durability of shoe so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452B1 (en) * 2012-11-07 2013-04-05 유광호 Apparatus for testing slip of shoes
KR101763832B1 (en) * 2016-06-24 2017-08-0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Machine for evaluating abrasion characteristic of shoes based on vision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452B1 (en) * 2012-11-07 2013-04-05 유광호 Apparatus for testing slip of shoes
KR101763832B1 (en) * 2016-06-24 2017-08-0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Machine for evaluating abrasion characteristic of shoes based on vision recogn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770B1 (en) * 2021-11-19 2023-02-16 무발연구소 주식회사 Automatic device testing durability of shoe s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888B1 (en) Tdevice to test the performance of pressure sensor of smart shoes
CN202396601U (en) Body-measuring and size-selecting device
CN106536177B (en) The control method of control system, press machine and press machine
JPH10179524A (en) Muscle hardness meter
CN205580873U (en) A bending test fixture device for epoxy
US20070250287A1 (en) Orthopods and equipment to generate orthopedic supports from computerized data inputs
RU2686201C1 (en) Measuring shoe
CN106904824A (en) For the wire-drawing frame of high-accuracy glass fiber pulling machine
CN106820450A (en) A kind of intelligent dynamic and static foot type data acquisition device and its method
KR101395280B1 (en) A tester for Friction and Abrasion
KR102285315B1 (en) Foot pressure analyzer
CN206974682U (en) Mobile phone side key strength test machine
CN101398421A (en) Method for measuring leather sense characteristic parameters
KR102103332B1 (en) A Smart Automatic System for Manufacturing a Insole with a Correcting and Curing Function
CN212459261U (en) Measuring device for shoemaking leather
CN208075892U (en) A kind of detection jig
CN206462510U (en) A kind of foot shape measurement instrument
CN105342068A (en) Heel-lasting machine lasting plate clamping degree control device
CN205374173U (en) Pulling -force testing machine
RU2584115C2 (en) Device for determining deformation and pain threshold of compression of side surface of foot
CN10485636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 last by measuring foot shape through foot measuring instrument
CN113367684A (en) Special device for selecting type of regular insole capable of actively drawing and driving foot to move
CN213981140U (en) Bidirectional piston, slipper and swash plate gap measuring device
CN218898581U (en) Exhaust type sole ventilation testing machine
EP3106855B1 (en) A measuring device of a sk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