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561B1 -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561B1
KR102269561B1 KR1020190116281A KR20190116281A KR102269561B1 KR 102269561 B1 KR102269561 B1 KR 102269561B1 KR 1020190116281 A KR1020190116281 A KR 1020190116281A KR 20190116281 A KR20190116281 A KR 20190116281A KR 102269561 B1 KR102269561 B1 KR 10226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space
water tank
foreig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384A (ko
Inventor
신병철
Original Assignee
신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병철 filed Critical 신병철
Priority to KR102019011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5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4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35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 또는 실내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유입된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환기시스템은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되고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출공간과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입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적어도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배출공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출팬과 유입공간에 구비되어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유입팬을 포함하는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기시스템{AIR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 또는 실내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유입된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18542호(등록일자: 2014.07.04., 발명의 명칭: 창틀 부착 환풍기)는 높이조절부가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팬;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프레임을 샤시에 밀착하는 밀착부가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설치되고, 상기 팬은 상기 전원부에 결합되는 전원연결부가 설치된 팬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부착 환풍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00302호(등록일자: 2017.01.20., 발명의 명칭: 필터가 장착된 창문형 환풍기)는 창문형 환풍기에 있어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이 장착된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팬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전방 측의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필터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공기흡입부; 상기 필터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공기흡입부 만큼 이격되어 상기 본체 전면부에 형성된 본체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필터를 장착하기 위한 필터케이스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케이스 전방 측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고정 결합시키는 필터케이스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전방 측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질소산화물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센서가 더 형성되며, 상기 센서에 의한 출력값에 따라 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커버에는 상기 센서에 의한 질소산화물 감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본체커버와 상기 필터의 전면 사이에 상기 공기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머무르는 시간을 조절하거나 와류를 형성시키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가 장착된 창문형 환풍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실내와 실외 사이에서 공기의 강제 배출과 공기의 강제 유입이 어려우므로, 양방향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실외의 공기가 유입될 때, 이물질이 혼입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32578호 (발명의 명칭 : 창문형 공기조화기, 2000. 06. 1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 또는 실내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유입된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되고,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출공간과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입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적어도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상기 배출공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유입공간에 구비되어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유입팬을 포함하는 순환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실내에 구비되고, 내부가 공간구획부를 매개로 배출공간과 유입공간으로 구획된 케이스;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적어도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상기 배출공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배출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유입공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입팬을 포함하는 순환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 또는 실내에 구비되고, 통합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통합공간에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상기 통합공간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통합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통합공간에서 배출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보유하는 분사헤더; 상기 분사헤더에 보유된 물이 분산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노즐;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서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과 상기 이물질을 접촉시키는 미스트제거기; 및 상기 미스트제거기의 하측에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수조에서 물을 정수하는 정수모듈; 상기 수조에서 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 및 상기 수조에서 물의 동결을 방지하는 동결방지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는, 상부에 상기 분사노즐이 결합되는 제거프레임;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이 낙하하면서 상기 이물질과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높이 방향과 공기의 이동 방향에 모두 교차되는 탈착 방향을 따라 상기 제거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거필터; 및 상기 제거필터의 탈착 방향에서 상기 제거프레임을 개폐하는 프레임개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케이스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하는 여과필터;를 더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배출팬에 여과된 공기가 전달되도록 상기 배출공간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출여과필터; 및 상기 유입팬에 여과된 공기가 전달되도록 상기 유입공간에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유입여과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수조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수조급수수단; 및 상기 케이스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헤더로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수조 및 상기 수조급수수단과 상기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을 정수하는 정수모듈; 상기 수조 및 상기 수조급수수단과 상기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 및 상기 수조 및 상기 수조급수수단과 상기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의 동결을 방지하는 동결방지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상기 케이스를 통과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유닛;을 더 포함한다.
특히, 열교환유닛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냉각 작용에 대응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가열 작용을 구현하고,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 작용에 대응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냉각 작용을 구현한다.
또한, 열교환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대해 냉각 작용과 가열 작용을 함께 구현하여 공기를 제습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유닛은, 상기 배출공간에 구비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배출공간과 상기 유입공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응축 작용이 이루어지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배출공간과 상기 유입공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팽창된 냉매의 증발 작용이 이루어지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응축 작용이 일어나는 응축관; 및 상기 응축관을 지지하는 응축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응축프레임에는, 상기 응축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케이스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하는 여과필터;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응축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공간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출여과필터; 및 상기 유입공간에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유입여과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관은, 상기 응축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응축프레임이 감싸는 상기 배출여과필터와 상기 유입여과필터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유닛은, 상기 배출공간에 구비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배출공간과 상기 유입공간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응축 작용이 이루어지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배출공간과 상기 유입공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팽창된 냉매의 증발 작용이 이루어지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팽창된 냉매의 증발 작용이 일어나는 증발관; 및 상기 증발관을 지지하는 증발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증발프레임에는, 상기 증발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케이스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하는 여과필터;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증발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공간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출여과필터; 및 상기 유입공간에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유입여과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관은, 상기 증발프레임이 감싸는 상기 배출여과필터와 상기 유입여과필터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제거유닛에는, 상기 이물제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로 안내하는 전달덕트;가 더 포함된다.
특히, 상기 전달덕트는 상기 유입공간에서 상기 이물제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응축기 또는 상기 증발기로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순환팬과 상기 이물제거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열교환유닛의 동작을 추가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에 따르면,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 또는 실내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유입된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며, 적어도 유입되는 실외의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로부터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제거유닛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에 흡착되어 낙하됨에 따라 실외의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스트제거기를 통해 실외의 공기와 물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에 안정되게 흡착되도록 하며, 제거필터에서 1차 제습 및 필터링이 이루어지고, 제거필터를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제거필터가 염화비닐 소재의 필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거프레임으로부터 분리 세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여과필터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키고, 유입여과필터를 통해 2차 제습 및 필터링이 이루어지고, 기존 헤파필터를 통한 공기청정 및 환기에 대한 단점(지속적인 쓰레기 발생, 필터의 소모성, 실외의 공기 청정에 부적합, 필터의 소모에 따른 유입팬의 과부하 등)을 보완하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여과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팬을 통과하므로, 배출팬의 오염을 방지하고, 유입여과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팬을 통과하므로, 유입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급수수단을 통해 수조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수조에서 물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노즐급수수단을 통해 분사노즐에 안정되게 물을 공급하여 분사노즐에서 미스트 형태의 물이 안정되게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모듈을 통해 수조 및 수조급수수단과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을 정수시키고, 살균모듈을 통해 수조 및 수조급수수단과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을 살균하며, 동결방지모듈을 통해 수조 및 수조급수수단과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유닛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유닛에서 배출여과필터와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공간에서 구성품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유닛에서 유입여과필터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유입공간에서 구성품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달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기가 유입될 때, 미스트제거기를 통과한 공기에 별도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유닛을 통해 유닛들의 제어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에 저장되는 물의 정수 작용과 살균 작용을 간편하게 하고, 미스트제거기에서 오염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주요 구성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주요 구성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열교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응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증발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이물제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이물제거유닛의 미스토제거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유입되는 실외의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케이스(10)와, 열교환유닛(20)과, 이물제거유닛(50)과, 순환팬을 포함하고, 열교환유닛(20)을 더 포함하며, 제어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된다. 일예로, 케이스(10)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창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실내의 공기는 케이스(10)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되고, 실외의 공기는 케이스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된다. 케이스(10)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출공간(11)과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입공간(12)이 형성된다. 배출공간(11)과 유입공간(12)은 공간구획부(W)에 의해 분리된다.
또한, 공간구획부(W)는 배출공간(11)과 이물제거유닛(50)의 수조(53)가 설치되는 수조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간구획부(W)는 유입공간(12)과 수조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배출공간(11)과 유입공간(12)은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입공간(12)은 배출공간(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조공간은 배출공간(1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케이스(10)에는 후술하는 이물제거유닛(50)의 미스트제거기(57)에서 제거프레임(571)에 탈부착 가능한 제거필터(574)가 통과하는 점검구(13)가 구비될 수 있다. 점검구(13)는 케이스(10)의 측면 또는 유입공간(12)의 측면에 개구된다. 일예로, 점검구(13)는 제거필터(574)가 유입공간(12)의 제거프레임(571)에 까움 결합되거나 제거필터(574)가 유입공간(12)의 제거프레임(571)으로부터 분리되는 제거필터(574)가 배출되도록 케이스(10)의 측면에 개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케이스(10)에는 벽체의 개구부 또는 창틀에 지지되는 창틀지지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유닛(20)은 케이스(10)를 통과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열교환유닛(20)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냉각 작용에 대응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가열 작용이 이루어지고,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 작용에 대응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냉각 작용이 이루어진다.
열교환유닛(20)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1)와, 압축기(21)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응축 작용이 이루어지는 응축기(22)와, 응축기(22)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23)와, 팽창밸브(23)에 의해 팽창된 냉매의 증발 작용이 이루어지는 증발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1)는 배출공간(11)에 구비되어 압축기(21)에서 발생되는 열을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응축기(22)는 배출공간(11)과 유입공간(1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응축기(22)가 배출공간(11)에 구비되는 경우, 응축기(22)는 냉매의 응축 작용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응축기(22)가 유입공간(12)에 구비되는 경우, 냉매의 응축 작용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응축기(22)는 압축기(21)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응축 작용이 일어나는 응축관(222)과, 응축관(222)을 지지하는 응축프레임(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관(222)은 지그재그로 배열되고, 응축프레임(221)은 통상 사각형 틀 형상으로 응축관(222)을 지지한다.
응축프레임(221)에는 응축기(22)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케이스(10)로 유입되는 공기와 케이스(10)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하는 여과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응축프레임(221)에는 응축기(22)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배출공간(11)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출여과필터(51)와 유입공간(12)에서 미스트제거기(57)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유입여과필터(52)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 응축기(22)에서 여과필터를 일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응축관(222)은 응축기(22)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응축프레임(221)이 감싸는 배출여과필터(51)와 유입여과필터(52)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응축기(22)는 배출공간(11)에 구비되고, 응축관(222)은 배출여과필터(51)를 통과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때, 응축기(22)는 배출공간(11)에서 실내와 연통되는 응축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응축유입구에는 배출보호망(111)이 구비되어 실내측에서 응축기(22)를 보호할 수 있다.
증발기(24)는 배출공간(11)과 유입공간(1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증발기(24)가 배출공간(11)에 구비되는 경우, 증발기(24)는 냉매의 증발 작용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증발기(24)는 유입공간(12)에 구비되는 경우, 증발기(24)는 냉매의 증발 작용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증발기(24)는 팽창밸브(23)에 의해 팽창된 냉매의 증발 작용이 일어나는 증발관(242)과, 증발관(242)을 지지하는 증발프레임(241)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관(242)은 지그재그로 배열되고, 증발프레임(241)은 통상 사각형 틀 형상으로 응축관(222)을 지지한다.
증발프레임(241)에는 증발기(24)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케이스(10)로 유입되는 공기와 케이스(10)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하는 여과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증발프레임(241)에는 증발기(24)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배출공간(11)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출여과필터(51)와 유입공간(12)에서 미스트제거기(57)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유입여과필터(52)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 증발기(24)에서 여과필터를 일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관(242)은 증발기(24)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증발프레임(241)이 감싸는 배출여과필터(51)와 유입여과필터(52)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증발기(24)는 유입공간(12)에 구비되고, 증발관(242)은 유입여과필터(52)를 통과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때, 증발기(24)는 유입공간(12)의 중간 부분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접촉면적을 상태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순환팬은 배출팬(30)과, 유입팬(4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배출팬(30)은 배출공간(11)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킨다. 배출팬(30)은 흡입력으로 실내의 공기가 배출여과필터(51)를 통과하여 배출공간(11)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배출공간(11)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팬(30)은 배출공간(11)에서 실외와 연통되는 응축배출구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응축배출구에는 배출그릴(31)이 구비되어 실외측에서 배출팬(30)을 보호하고,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배출팬(30)은 배출공간(11)으로 유입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킨다.
유입팬(40)은 유입공간(12)에 구비되어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킨다. 유입팬(40)은 흡입력으로 실외의 공기가 이물제거유닛(50)의 미스트제거기(57)와 유입여과필터(52)를 통과하여 유입공간(12)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공간(12)의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킬 수 있다. 유입팬(40)은 유입공간(12)에서 실내와 연통되는 증발배출구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증발배출구에는 유입그릴(41)이 구비되어 실내측에서 유입팬(40)을 보호하고,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유입팬(40)은 유입공간(12)으로 유입된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킨다.
이물제거유닛(50)은 적어도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물제거유닛(50)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이물제거유닛(50)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물제거유닛(50)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53)와, 수조(53)의 물을 유입공간(12) 쪽으로 펌핑하는 펌프(54)와, 펌프(54)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보유하는 분사헤더(55)와, 분사헤더(55)에 보유된 물이 분산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노즐(56)과,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유입공간(12))에서 분사노즐(56)에서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을 접촉시키는 미스트제거기(57)와, 미스트제거기(57)의 하측에 구비되고, 미스트제거기(57)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5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제거유닛(50)은 케이스(10)로 유입되는 공기와 케이스(10)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하는 여과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여과필터는 배출팬(30)에 여과된 공기가 전달되도록 배출공간(11)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배출여과필터(51)와, 유입팬(40)에 여과된 공기가 전달되도록 유입공간(12)에서 미스트제거기(57)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유입여과필터(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여과필터가 응축기(22) 또는 증발기(2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배출여과필터(51)는 응축기(22)의 전방 또는 응축기(22)의 후방에서 응축기(22) 또는 배출보호망(1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증발기(24)의 전방 또는 증발기(24)의 후방에서 증발기(24) 또는 배출보호망(1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열교환유닛(20)과 배출팬(30) 사이에 배치되거나, 배출팬(30)의 흡입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여과필터가 응축기(22) 또는 증발기(2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유입여과필터(52)는 증발기(24)의 전방 또는 증발기(24)의 후방에서 증발기(24) 또는 전달덕트(577)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응축기(22)의 전방 또는 응축기(22)의 후방에서 응축기(22) 또는 전달덕트(577)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열교환유닛(20)과 유입팬(40) 사이에 배치되거나, 유입팬(40)의 흡입 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물제거유닛(50)은 수조(53)의 수위에 대응하여 수조(53)로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수조급수수단과, 케이스(10)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에 대응하여 분사헤더(55)로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60)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좀더 자세하게, 제어유닛(60)은 배출팬(30)과 유입팬(40)과 이물제거유닛(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유닛(60)은 열교환유닛(20)의 동작을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수조(53)는 공간구획부(W)에 의해 배출공간(11)과 구획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수조(53)는 배출공간(11)에 구비될 수 있다.
수조(53)에는 수조(53)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벤트(531)와, 수조(53)의 내부 점검을 위한 수조개폐부(53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제거유닛(50)은 수조(53)에서 물을 정수하는 정수모듈(미도시)과, 수조(53)에서 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미도시)과, 수조(53)에서 물의 동결을 방지하는 동결방지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54)는 배출공간(11)에 구비될 수 있다.
분사헤더(55)는 유입공간(12)에 구비될 수 있다. 분사헤더(55)에는 분사헤더(55)로 유입되는 물의 수충격을 흡수하는 수격방지부(551)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56)은 유입공간(12)에서 미스트제거기(57)에 결합되고, 물을 미스트 형태로 미스트제거기(57)의 제거필터(574)에 공급할 수 있다.
미스트제거기(57)는 유입공간(12)에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분사노즐(56)에서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이 포함된 실외의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워터샤워를 통해 실외의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은 물론, 습기를 머금은 실외의 공기에 대하여 1차 제습 및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진다.
미스트제거기(57)는 유입공간(12)에 구비되는 제거프레임(571)과, 케이스(10)의 높이 방향과 공기의 이동 방향에 모두 교차되는 탈착 방향을 따라 제거프레임(57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거필터(574)와, 제거필터(574)의 탈착 방향에서 제거프레임(571)을 개폐하는 프레임개폐부(5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프레임(571)은 "ㄷ" 자형 틀 형상을 나타내어 일측에서 제거필터(574)의 끼움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거프레임(571)에서 측면 개구부는 케이스(10)의 점검구(13)와 연통되고, 제거프레임(571)에서 측면 개구부에는 프레임개폐부(576)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거프레임(571)의 내측면에는 제거필터(574)를 가이드하는 끼움가이드(572)가 구비될 수 있다. 끼움가이드(572)는 레일 형태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어 제거필터(574)가 끼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제거프레임(571)의 상부에는 분사노즐(56)이 결합되는 노즐연결슬릿(573)이 관통 형성된다.
제거필터(574)는 분사노즐(56)에서 배출되는 미스트 형태의 물이 낙하하면서 이물질과 접촉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거필터(574)에서는 워터샤워를 통해 실외의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함은 물론, 습기를 머금은 실외의 공기에 대하여 1차 제습 및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거필터(574)에서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는 쪽에서는 분사노즐(56)에서 배출되는 미스트 형태의 물이 낙하함에 따라 워터샤워를 통해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과 함께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거필터(574)에서 실외의 공기가 배출되는 쪽에서는 습기를 머금은 실외의 공기가 무차별적으로 부딪히면서 1차 제습 및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을 구현할 수 있다.
일예로, 제거필터(574)에서 실외의 공기가 배출되는 쪽에서는 공기의 배출 방향에 대응하여 허니컴 단면 구조 또는 격자무늬 단면 구조 또는 이들이 조합된 단면 구조 또는 공기의 충돌을 위한 다양한 격벽 구조를 갖는 필터부재가 배치되어 공기와의 충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거필터(574)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워터샤워 기능과 1차 제습 및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거필터(574)에는 제거필터(574)의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하는 필터프레임(574-1)이 구비될 수 있다.
제거필터(574) 또는 필터프레임(574-1)에는 분사노즐(56)에서 배출되는 미스트 형태의 물이 공급되도록 노즐연결슬릿(573)과 연통되는 유체투입부(575)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개폐부(576)는 제거프레임(571)에서 측면 개구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점검구(1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제거유닛(50)에는 이물제거유닛()50을 통과한 공기를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로 안내하는 전달덕트(57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달덕트(577)는 유입공간(12)에서 이물제거유닛(50)을 통과한 공기를 유입공간(12)의 증발기(24)로 유도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미스트제거기(57)는 유입공간(12)에서 이물제거유닛(50)을 통과한 공기를 유입공간(12)의 증발기(24)로 유도하는 전달덕트(5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덕트(577)는 유입공간(12)에 응축기(22)가 구비되는 경우, 미스트제거기(57)의 제거필터(574)를 통과한 공기를 유입공간(12)의 응축기(22)로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미스트제거기(57) 또는 제거프레임(571)에 끼움 결합된 제거필터(574)는 유입공간(12)에서 실외와 연통되는 증발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증발유입구에는 유입보호망(121)이 구비되어 실외측에서 미스트제거기(57)를 보호할 수 있다.
수조급수수단은 수조(53)에서 수조(53)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591)와, 인가되는 전원에 대응하여 급수유닛에서 공급되는 물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보충밸브(541)와, 수위감지부(591)에서 감지하는 수조(53)의 수위에 대응하여 보충밸브(541)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보충스위치(59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급수수단은 급수유닛으로부터 수조(53)까지 물의 보충유로를 형성하는 수조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공급관에는 보충밸브(541)가 구비된다.
수조급수수단은 급수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수커넥터(5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커넥터(545)는 급수유닛과 수조공급관을 연결한다. 수조(53)의 급수구와 수조급수관은 보충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보충밸브(541)와 급수커넥터(545) 사이에서 수조공급관에는 급수유닛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점검밸브(543)가 구비될 수 있다, 점검밸브(543)는 평상시 수조공급관을 개방시켜 급수유닛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수조(53)의 유지보수 또는 보충밸브(541)의 유지보수를 위해 수조공급관을 폐쇄시켜 급수유닛의 물이 수조(53) 쪽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유닛(60)은 수위감지부(591)가 감지하는 수조(53)의 수위를 감시할 수 있다. 제어유닛(60)은 수위감지부(591)가 감지하는 수조(53)의 수위와 기설정된 보충조건을 비교하거나, 수조(53)의 수위에 따라 설치된 수위감지부(591)에서의 신호를 감시할 수 있다.
제어유닛(60)의 감시 결과, 수조(53)의 수위감지부(591)가 수조(53)의 물부족 수위를 감지하면, 제어유닛(60)은 보충스위치(592)를 "온" 으로 동작시켜 보충밸브(541)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급수유닛에서 공급되는 물을 수조(5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60)의 감시 결과, 수위감지부(591)가 수조(53)의 만수위를 감지하면, 제어유닛(60)은 보충스위치(592)를 "오프" 로 동작시켜 보충밸브(541)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 급수유닛에서 수조(53)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다.
노즐급수수단은 유입공간(12)으로 유입되는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을 감지하는 이물감지부(593)와, 인가되는 전원에 대응하여 수조(53)에서 공급되는 물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공급밸브(542)와, 이물감지부(593)에서 감지하는 이물질의 양에 대응하여 펌프(54)와 공급밸브(542)에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공급스위치(594)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급수수단은 수조(53)로부터 분사헤더(55)까지 물의 공급유로를 형성하는 헤더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더공급관에는 수조(53)로부터 분사헤더(55)를 향해 공급밸브(542)와 펌프(54)가 차례로 구비될 수 있다.
노즐급수수단은 수조(53)의 배수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급커넥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커넥터(미도시)는 수조(53)와 헤더공급관을 연결한다. 분사헤더(55)와 수조(53)의 배수구는 헤더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분사헤더(55)와 펌프(54) 사이에서 헤더공급관에는 수조(53)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점검밸브(543)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점검밸브(543)는 헤더공급관에서 수조(53)와 공급밸브(542)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헤더(55)와 펌프(54) 사이에서 헤더공급관에는 분사헤더(55)에 공급되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544)가 구비될 수 있다. 헤더공급관에는 펌프(54)로부터 분사헤더(55)를 향해 점검밸브(543)와 체크밸브(544)가 차례로 구비될 수 있다.
점검밸브(543)는 평상시 헤더공급관을 개방시켜 펌프(54)의 동작에 따라 수조(53)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분사헤더(55)의 유지보수 또는 분사노즐(56)의 유지보수 또는 제거필터(574)의 교체 또는 공급밸브(542)의 유지보수 또는 펌프(54)의 유지보수를 위해 헤더공급관을 폐쇄시켜 수조(53)의 물이 분사헤더(55) 쪽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유닛(60)은 이물감지부(593)가 감지하는 이물질의 양을 감시할 수 있다. 제어유닛(60)은 이물감지부(593)가 감지하는 이물질의 양과 기설정된 공급조건을 비교하거나, 이물질의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제어유닛(60)의 감시 결과, 이물감지부(593)가 이물질을 감지하거나, 이물감지부(593)가 감지한 이물질의 양이 기설정된 공급조건 이상이 되면, 제어유닛(60)은 공급스위치(594)를 "온" 으로 동작시켜 펌프(54)와 공급밸브(542)에 전원이 인가되므로, 수조(53)에서 공급되는 물을 분사헤더(55)에 전달할 수 있다. 분사헤더(55)에 수용된 물은 분사노즐(56)을 통해 미스트 형태로 배출되어 미스트제거기(57)의 제거필터(574)에서 낙하된다. 이때, 제거필터(574)를 통과하는 실외의 공기는 미스트 형태의 물을 통과하므로, 미스트 형태의 물에는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부착되어 제거필터(574)에 쌓이거나 물과 함께 물받이 쪽으로 낙하된다. 이에 따라, 미스트제거기(57)를 통과하는 실외의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60)의 감시 결과, 이물감지부(593)가 이물질을 감지하지 않거나, 이물감지부(593)가 감지한 이물질의 양이 기설정된 조건 미만으로 낮아지면, 제어유닛(60)은 공급스위치(594)를 "오프" 로 동작시켜 펌프(54)와 공급밸브(542)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 수조(53)에서 분사헤더(55)로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고, 분사헤더(55)에서 배출되는 미스트 형태의 물 배출이 정지되며, 실외의 공기는 자연스럽게 미스트제거기(57)의 제거필터(574)를 통과하게 된다.
수조급수수단과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전원커넥터(5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급수수단이 전원커넥터(595)를 포함하는 경우, 수조공급수단은 전원커넥터(595)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보충밸브(541)의 동작을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5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급수수단이 전원커넥터(595)를 포함하는 경우, 노즐공급수단은 전원커넥터(595)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펌프(54)와 공급밸브(542)의 동작을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부(5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에서 이물제거유닛(50)은 수조(53) 및 수조급수수단과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을 정수하는 정수모듈(미도시)과, 수조(53) 및 수조급수수단과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미도시)와, 수조(53) 및 수조급수수단과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의 동결을 방지하는 동결방지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모듈(미도시)과, 자외선살균모듈(미도시)과, 동결방지모듈(미도시)은 수조(53)에 구비되는 경우, 각 모듈에는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정수모듈(미도시)에는 초음파진동부와 탈취필터가 구비되어 물의 정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모듈(미도시)에는 자외선발광부가 구비되어 자외선을 통해 물의 살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결방지모듈(미도시)에는 PTC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가 구비되어 물의 동결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간(11)에는 응축기(30)가 설치되고, 유입공간(12)에는 증발기(40)가 설치되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실외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배출공간(11)에는 증발기(40)가 설치되고, 유입공간(12)에는 응축기(39)가 설치됨으로써,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실외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구성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10)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실외의 공기와 실내의 공기로 구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이 실내에 구비되는 경우, 케이스(10)에 유입되는 공기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로 치환되고, 케이스(1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로 치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실내에 구비되고 내부가 공간구획부(W)를 매개로 배출공간(11)과 유입공간(12)으로 구획된 케이스(10)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적어도 유입공간(12)에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50)과,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은 배출공간(11)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배출공간()11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30)과, 유입공간(12)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유입공간(12)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입팬(4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10)의 내부를 배출공간(11)과 유입공간(12)으로 구분하고, 배출공간(11)과 유입공간(12)에 각각 응축기(22)와 증발기(24)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하나의 통합공간이 구비되고, 하나의 통합공간에 열교환기(20)의 응축기(22)와 증발기(24)가 모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하나의 통합공간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측과,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측이 개구되고, 유입측으로부터 배출측을 향해 공기가 이동될 때,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유입측에는 이물제거유닛(50)의 미스트제거기(57)가 구비되고, 배출측에는 응축기(22)가 구비되며, 미스트제거기(57)와 응축기(22) 사이에는 증발기(24)가 구비되고, 하나의 통합공간에는 유입측으로부터 배출측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순환팬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순환팬은 배출측에 구비되고, 순환팬과 증발기(24) 사이에 응축기(2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달덕트(577)는 미스트제거기(57)로부터 배출측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통합공간에는 이물제거유닛(50)의 수조(53)와 펌프(54), 열교환유닛(20)의 압축기(21)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간구획부(W)에 의해 통합공간과 구획된 더미공간에는 이물제거유닛(50)의 수조(53)와 펌프(54), 열교환유닛(20)의 압축기(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더미공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통풍구가 구비되어 케이스(10)를 기준으로 단순히 공기가 통과 순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물제거유닛(50)의 수조(53)는 별도로 구획된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 또는 실내에 구비되고 통합공간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통합공간에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50)과, 통합공간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통합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통합공간에서 배출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환기시스템에 따르면,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 실외의 공기는 이물제거유닛(50)에서 제거필터(574)를 통과함에 따라 워터샤워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됨은 물론, 습기를 머금은 실외의 공기는 제거필터(574)에 무차별적으로 부딪히면서 1차 제습 및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지고, 열교환유닛(20)을 거쳐 유입여과필터(52)를 통과함에 따라 2차 제습 및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짐으로써, 습기를 머금은 실외의 공기는 습기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실내로 유입된다.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팬(40)을 통과함에 따라 유입팬(40)에는 습기 또는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고, 유입팬(40)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경우, 실내의 공기는 배출여과필터(51)를 통과함에 따라 제습 및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짐으로써, 실내의 공기는 습기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팬(30)을 통과함에 따라 배출팬(30)에는 습기 또는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고, 배출팬(30)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환기시스템에 따르면,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 또는 실내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유입된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며, 적어도 유입되는 실외의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로부터 미세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물제거유닛(50)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에 흡착되어 낙하됨에 따라 실외의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미스트제거기(57)를 통해 실외의 공기와 물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에 안정되게 흡착되도록 하며, 제거필터(574)에서 1차 제습 및 필터링이 이루어지고, 제거필터(574)를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제거필터(574)가 염화비닐 소재의 필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거프레임(571)으로부터 분리 세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여과필터(5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키고, 유입여과필터(52)를 통해 2차 제습 및 필터링이 이루어지고, 기존 헤파필터를 통한 공기청정 및 환기에 대한 단점(지속적인 쓰레기 발생, 필터의 소모성, 실외의 공기 청정에 부적합, 필터의 소모에 따른 유입팬(40)의 과부하 등)을 보완하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여과필터(51)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팬(30)을 통과하므로, 배출팬(30)의 오염을 방지하고, 유입여과필터(52)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팬(40)을 통과하므로, 유입팬(4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조급수수단을 통해 수조(53)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수조(53)에서 물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노즐급수수단을 통해 분사노즐(56)에 안정되게 물을 공급하여 분사노즐(56)에서 미스트 형태의 물이 안정되게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정수모듈(미도시)을 통해 수조(53) 및 수조급수수단과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을 정수시키고, 살균모듈(미도시)을 통해 수조(53) 및 수조급수수단과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을 살균하며, 동결방지모듈(미도시)을 통해 수조(53) 및 수조급수수단과 노즐급수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물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닛(2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닛(20)에서 배출여과필터(51)와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공간(11)에서 구성품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닛(20)에서 유입여과필터(52)와의 결합 관계를 통해 유입공간(12)에서 구성품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달덕트(577)를 통해 실내로 공기가 유입될 때, 미스트제거기(57)를 통과한 공기에 별도의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60)을 통해 유닛들의 제어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조(53)에 저장되는 물의 정수 작용과 살균 작용을 간편하게 하고, 미스트제거기(57)에서 오염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W: 공간구획부 10: 케이스 11: 배출공간
111: 배출보호망 12: 유입공간 121: 유입보호망
13: 점검구 14: 창틀지지부 20: 열교환유닛
21: 압축기 22: 응축기 221: 응축프레임
222: 응축관 23: 팽창밸브 24: 증발기
241: 증발프레임 242: 증발관 30: 배출팬
31: 배출그릴 40: 유입팬 41: 유입그릴
50: 이물제거유닛 51: 배출여과필터 52: 유입여과필터
53: 수조 531: 벤트 532: 수조개폐부
54: 펌프 541: 보충밸브 542: 공급밸브
543: 점검밸브 544: 체크밸브 545: 급수커넥터
55: 분사헤더 551: 수격방지부 56: 분사노즐
57: 미스트제거기 571: 제거프레임 572: 끼움가이드
573: 노즐연결슬릿 574: 제거필터 574-1: 필터프레임
575: 유체투입부 576: 프레임개폐부 577: 전달덕트
58: 물받이 591: 수위감지부 592: 보충스위치
593: 이물감지부 594: 공급스위치 595: 전원커넥터
596: 변환유닛 60: 제어유닛

Claims (13)

  1.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되고,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출공간과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입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적어도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상기 배출공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유입공간에 구비되어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유입팬을 포함하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보유하는 분사헤더;
    상기 분사헤더에 보유된 물이 분산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노즐;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서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과 상기 이물질을 접촉시키는 미스트제거기; 및
    상기 미스트제거기의 하측에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미스트제거기는,
    상부에 상기 분사노즐이 결합되는 제거프레임;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이 낙하하면서 상기 이물질과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높이 방향과 공기의 이동 방향에 모두 교차되는 탈착 방향을 따라 상기 제거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거필터; 및
    상기 제거필터의 탈착 방향에서 상기 제거프레임을 개폐하는 프레임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2. 실내에 구비되고, 내부가 공간구획부를 매개로 배출공간과 유입공간으로 구획된 케이스;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적어도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상기 배출공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배출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유입공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입팬을 포함하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보유하는 분사헤더;
    상기 분사헤더에 보유된 물이 분산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노즐;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서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과 상기 이물질을 접촉시키는 미스트제거기; 및
    상기 미스트제거기의 하측에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미스트제거기는,
    상부에 상기 분사노즐이 결합되는 제거프레임;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이 낙하하면서 상기 이물질과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높이 방향과 공기의 이동 방향에 모두 교차되는 탈착 방향을 따라 상기 제거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거필터; 및
    상기 제거필터의 탈착 방향에서 상기 제거프레임을 개폐하는 프레임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3.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 또는 실내에 구비되고, 통합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통합공간에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상기 통합공간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통합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통합공간에서 배출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보유하는 분사헤더;
    상기 분사헤더에 보유된 물이 분산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노즐;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서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과 상기 이물질을 접촉시키는 미스트제거기; 및
    상기 미스트제거기의 하측에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미스트제거기는,
    상부에 상기 분사노즐이 결합되는 제거프레임;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이 낙하하면서 상기 이물질과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높이 방향과 공기의 이동 방향에 모두 교차되는 탈착 방향을 따라 상기 제거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거필터; 및
    상기 제거필터의 탈착 방향에서 상기 제거프레임을 개폐하는 프레임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4.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에 구비되고,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출공간과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입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적어도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상기 배출공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유입공간에 구비되어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유입팬을 포함하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보유하는 분사헤더;
    상기 분사헤더에 보유된 물이 분산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노즐;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서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과 상기 이물질을 접촉시키는 미스트제거기; 및
    상기 미스트제거기의 하측에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수조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수조급수수단; 및
    상기 케이스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헤더로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노즐급수수단;
    상기 수조에서 물을 정수하는 정수모듈;
    상기 수조에서 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 및
    상기 수조에서 물의 동결을 방지하는 동결방지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5. 실내에 구비되고, 내부가 공간구획부를 매개로 배출공간과 유입공간으로 구획된 케이스;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적어도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상기 배출공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배출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과, 상기 유입공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입팬을 포함하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보유하는 분사헤더;
    상기 분사헤더에 보유된 물이 분산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노즐;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서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과 상기 이물질을 접촉시키는 미스트제거기; 및
    상기 미스트제거기의 하측에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수조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수조급수수단; 및
    상기 케이스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헤더로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노즐급수수단;
    상기 수조에서 물을 정수하는 정수모듈;
    상기 수조에서 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 및
    상기 수조에서 물의 동결을 방지하는 동결방지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6.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체의 개구부 또는 실내에 구비되고, 통합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통합공간에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유닛; 및
    상기 통합공간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통합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통합공간에서 배출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물을 보유하는 분사헤더;
    상기 분사헤더에 보유된 물이 분산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노즐;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서 상기 분사노즐에서 배출되는 물과 상기 이물질을 접촉시키는 미스트제거기; 및
    상기 미스트제거기의 하측에서 상기 미스트제거기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수조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수조급수수단; 및
    상기 케이스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헤더로의 물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노즐급수수단;
    상기 수조에서 물을 정수하는 정수모듈;
    상기 수조에서 물을 살균하는 살균모듈; 및
    상기 수조에서 물의 동결을 방지하는 동결방지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유닛은,
    상기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케이스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하는 여과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통과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닛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응축 작용이 이루어지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팽창된 냉매의 증발 작용이 이루어지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응축 작용이 일어나는 응축관; 및
    상기 응축관을 지지하는 응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응축프레임에는,
    상기 응축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케이스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하는 여과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닛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응축 작용이 이루어지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팽창된 냉매의 증발 작용이 이루어지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팽창된 냉매의 증발 작용이 일어나는 증발관; 및
    상기 증발관을 지지하는 증발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증발프레임에는,
    상기 증발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케이스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하는 여과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제거유닛에는,
    상기 이물제거유닛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로 안내하는 전달덕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KR1020190116281A 2019-09-20 2019-09-20 환기시스템 KR10226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81A KR102269561B1 (ko) 2019-09-20 2019-09-20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81A KR102269561B1 (ko) 2019-09-20 2019-09-20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384A KR20210034384A (ko) 2021-03-30
KR102269561B1 true KR102269561B1 (ko) 2021-06-25

Family

ID=7526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281A KR102269561B1 (ko) 2019-09-20 2019-09-20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5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578A (ko) 1998-11-16 2000-06-15 구자홍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00459769B1 (ko) * 2002-12-04 2004-12-03 박춘경 공기조화장치
KR100768452B1 (ko) * 2004-08-25 2007-10-18 이용호 냉,난방장치
KR101962411B1 (ko) * 2015-12-09 2019-03-26 유건렬 홈 공기청정화 시스템
KR102399992B1 (ko) * 2017-12-06 2022-05-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384A (ko)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870B1 (ko) 환기장치
JP3308278B2 (ja) 液体スプレー式空気浄化装置
WO2006007225A2 (en) Portable air cleaning apparatus
KR101036549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항온, 항습 시스템
KR100768453B1 (ko) 세척수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CN213146846U (zh) 一种通风装置温度调节系统
KR20000014834A (ko) 물 생성장치
CN110701707A (zh) 厨房空调系统
KR102269561B1 (ko) 환기시스템
KR20190059105A (ko) 미세먼지제거 및 공기청정 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용 필터가습 유닛
KR20110061084A (ko) 제습형 공기청정기
KR20190001334A (ko) 선택적으로 가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 청정기
US6743279B2 (en) Air purification device for air handling units
CN110715373A (zh) 厨房空调系统
KR2008005975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18266A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1362317B1 (ko) 공기조화기
KR100768452B1 (ko) 냉,난방장치
KR101305891B1 (ko)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에어워터 시스템
KR100615062B1 (ko) 물을 이용한 에어컨디셔너
KR100764733B1 (ko) 단독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패키지 에어컨
KR102502097B1 (ko) 전열교환기
CN211822908U (zh) 厨房空调系统
KR102331135B1 (ko) 공기의 세척과 정화장치
TWI828083B (zh) 空氣清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