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061B1 - System for recommending providing integrated contents using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of applications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commending providing integrated contents using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of applic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061B1
KR102269061B1 KR1020210015523A KR20210015523A KR102269061B1 KR 102269061 B1 KR102269061 B1 KR 102269061B1 KR 1020210015523 A KR1020210015523 A KR 1020210015523A KR 20210015523 A KR20210015523 A KR 20210015523A KR 102269061 B1 KR102269061 B1 KR 102269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est
application
user
cont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토
Priority to KR102021001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0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0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2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softwar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38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monitoring of user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 through recognition of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an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eting community for each user's interest and topic and enable the user to enjoy content on the basis of the user's interests and tas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comprises: a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receiving a user's profile information and receiving settings for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nterest categories to register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by proceeding with a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a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for supporting online social community activities between the users who have joined through the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a user data extraction unit extracting user personal behavior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isit frequency, search content, a selection tag, interests, and feed content for each user through the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and user interaction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follower targets, comment target posts, comment responses, and profile information inquiry targets; and a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unit analyzing the user personal behavior data and the user interaction data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 most suitable for each user's interest among a plurality of stored contents.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SYSTEM FOR RECOMMENDING PROVIDING INTEGRATED CONTENTS USING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OF APPLICATIONS}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of user-customized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FOR RECOMMENDING PROVIDING INTEGRATED CONTENTS USING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OF APPLICATION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최근 스마트 폰의 보급과 함께 모바일 단말기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으로는 메신저 서비스,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Recently, along with the spread of smart phones, the number of users who install and use various applications on mobile terminals is increasing rapidly, and the applications that users have downloaded the most are messenger services, online shopping malls, portal sites, SNS and applications related to video sharing services. .

이러한 인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는 모바일 단말기 구매 시 기본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설치되어 출시되고 있다. Some of these popular applications are installed and released as basic applications when purchasing a mobile terminal.

이와 같은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를 찾고, 주고 받을 때 부가적으로 관련된 콘텐츠 정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이 아닌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찾아야 하고, 또는 소통을 통해 공유해야 하는 등 그 과정 상에 불편함이 존재한다.Inconvenience exists in the process, such as having to find additionally related content information in applications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s or sharing it through communication when searching for and exchanging information through applications that are frequently used by such users. do.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자들이 가장 관심이 있는 대상에 대한 관련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추천 기능이 구비된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latform equipped with a new application recommendation function capable of providing related content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to an application that users are most interested in for applications frequently used by users.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5013호(공개일자: 2019년06월11일)Publication No. 10-2019-0065013 (published date: June 11, 2019)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0146호(공개일자: 2012년09월12일)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00146 (published date: September 12, 201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관심사 별, 주제 별 모임 커뮤니티를 제공하고, 사용자 본인의 관심사와 취향에 기반한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자들이 가장 관심이 있는 대상에 대한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eting community for each user's interests and topics, enables users to enjoy content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and tastes, and targets applications that users are most interested in. It provides a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 through recognition of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that provides relevant content to a targ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프로필정보를 입력 받고, 다수의 관심사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받아 사용자 개인정보를 등록하여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 가입 처리부; 상기 회원 가입 처리부를 통해 가입된 사용자 간의 온라인 소셜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부; 상기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부를 통한 사용자 별 방문 빈도, 조회 콘텐츠, 선택 태그, 관심사 및 피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행동 데이터와, 팔로워 대상, 댓글 대상 게시글, 댓글 반응, 프로필정보 조회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상호 교류 데이터를 추출하는 사용자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사용자 개인 행동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상호 교류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저장된 콘텐츠 중 사용자 각각의 관심사에 가장 부합되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A user-customiz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system for recognizing application u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user's profile information, set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nterest categories, registers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proceeds with a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a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for supporting online social community activities between users who have joined through the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At least one of user personal behavior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isit frequency, search content, selection tag, interest, and feed content for each user through the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follower target, comment target post, comment response, and profile information inquiry target a user data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user interaction data including; and a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unit that analyzes the user's personal behavior data and the user interaction data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 that best matches each user's interests among pre-stored content.

또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된 콘텐츠를 추천하고 제공하기 위한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설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홈 화면 상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기간 단위로 획득하고, 식별정보가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선정하는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에너지 자원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시간과 배터리 사용량을 일정 시간 또는 기간 단위로 각각 획득하되, 상기 사용시간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배터리 사용량에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낮은 제2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시간이 길고 상기 배터리 사용량이 큰 상위 n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선정하는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및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에 표시되는 로고, 키워드, 캐릭터 및 메인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실행되는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실행 횟수를 일정 시간 또는 기간 단위로 각각 획득하여 실행 횟수가 가장 많은 상위 n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선정하는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및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상기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및 상기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로 제공하는 최종 어플리케이션 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unit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integrated content based on usag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herein the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unit includes: a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for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having a shortcut icon installed on the home screen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selecting the application from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as a first candidate applic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energy resource usag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usage time and the battery usage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re respectively acquired in a unit of a predetermined time or period, a first weight is given to the usage time, and the first weight is applied to the battery usage a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that assigns a second weight lower than the weight to select the top n applications with a long usage time and high battery usage as second candidate applications; and recognizing at least one of a logo, a keyword, a character, and a main color displayed on a main page of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when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recognizing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that is executed, and the recognized first application a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that counts the number of executions of the candidate applications, obtains the counted execution times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or period, respectively, and selects the top n applications with the highest number of executions as a third candidate application; and selecting the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at least one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ng unit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ng unit,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ng unit, and the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ng unit as the user's interest. It may include a final application selection unit provided as a part.

또한, 상기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메신저 서비스,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의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되,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되지 않은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탈락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가 메신저 서비스인 경우 일정 시간 단위로 총 워드 수가 가장 많은 말풍선과 답장이 가장 많은 말풍선에 각각 포함된 채팅 내용, 및 채팅 창에 표시되는 링크 정보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제1 관심대상으로 추출하는 제1 관심대상 추출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가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일정 시간 단위로 피드와 태그, 및 검색/조회 이력이 가장 많은 상위 n개의 키워드와 복사/공유 이력이 가장 많은 상위 n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제2 관심대상으로 각각 추출하는 제2 관심대상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classifies the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selection unit into a preset category of a messenger service, an online shopping mall, a portal site, an SNS, and a video sharing service, but a candidate application that is not classified into a preset category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to drop out; When the category of the candidate application classified through the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is a messenger service, chat contents included in the speech bubble with the most total number of words and the speech bubble with the most replies, respectively, and link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hatting window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 first object of interest extracting unit for analyzing and extracting at least one keyword and extracting it as a first object of interest; and when the category of the candidate application classified through the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is at least one of an online shopping mall, a portal site, an SNS, and a video sharing service, the top n with the most feeds, tags, and search/inquiry histories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It may include a second interes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keywords and the top n keywords having the most copy/sharing histories as second objects of interest.

또한, 상기 콘텐츠 추천 제공부는, 상기 제1 관심대상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상기 제1 관심대상에 대하여 미리 구축된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웹 크롤링을 통해 제1 관심대상 콘텐츠를 각각 추출하여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제1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 상기 제2 관심대상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상기 제2 관심대상에 대하여 미리 구축된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웹 크롤링을 통해 제2 관심대상 콘텐츠를 각각 추출하여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 및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지 않은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해당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recommendation providing unit extracts first content of interest through a pre-built first database and web crawling for the first object of interest extracted through the first object of interest extraction unit, respectively, and provides it in the form of a pop-up message a first 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A second interest-of-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that extracts second interest-of-interest content through a pre-built second database and web crawling for the second object of interest extracted through the second interest-of-interest extraction unit, respectively, and provides a pop-up message form ;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and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is provided from at least one of an affiliated online shopping mall, portal site, SNS, and video sharing service, provided through a new application that is no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a new application recommendation unit for recommending at least one new application among a corresponding online shopping mall, a portal site, an SNS, and a video sharing service may be included.

또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의 제공 순위 및 조회 순위를 각각 분석하여 실시간 제공 순위 및 조회 랭킹 정보를 제공하되, 각 랭킹 정보에 등록된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3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and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are analyzed for a plurality of users, respectively, to provide real-time provision order and search rank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order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arch order of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the first registered in the respective ranking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tent of interest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and provides thumbnail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interest and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또한,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와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기간 내에 조회하지 않은 관심대상 콘텐츠를 각각 자동 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ent-of-interest providing unit and the second content-of-interest providing unit ar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trieve content of interest that is not inquired within a preset time or period for the first content-of-interest and the second content-of-interest, respectively. can be delet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관심사 별, 주제 별 모임 커뮤니티를 제공하고, 사용자 본인의 관심사와 취향에 기반한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사용자들이 가장 관심이 있는 대상에 대한 관련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a meeting community for each user's interests and topics, enables users to enjoy content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and tastes, and targets applications that users are most interested 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customiz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system through recognition of related content and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that provides the corresponding cont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원 가입 처리부와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에 대한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관심대상 추출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관심대상 추출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 어플리케이션 추천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user-customiz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system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and a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uni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integrated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se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a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a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a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an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the first interest-of-interest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the second interest-of-interest extr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recommend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the first and second content-of-interest provid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a new application recommend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specific cases, there are also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원 가입 처리부와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에 대한 개요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관심대상 추출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관심대상 추출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추천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규 어플리케이션 추천부의 실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user-customiz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ystem,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and a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unit through recogni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system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sel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a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a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ample,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an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the first extraction unit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and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the second extraction unit of inte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this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recommend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6 and 1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llustrates an execution method of a new application recommend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n for designa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단말(10)과 인터넷 네트워크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관리 서버(2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1 and 2 , the system 1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Internet. It is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network,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anagement server 20 in which a database is built.

본 실시예에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 include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laptop computer, an electronic book terminal,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n MP3 device. It may be a player, a digital camera, or a navigation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안드로이드(Android), 아이오에서(i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web server in terms of hardware, and is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languages such as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in software. It can contain program modules that perform multiple functions. In addition, it is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operating system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macintosh, Android, and iOS in general server hardware.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 web server program being developed.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과 관리 서버(20) 간을 연결하는 인터넷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A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f an Internet network connecting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management serv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5G, etc.) . In addition, an example of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clos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or a wide area network (WAN), and preferably an ope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Internet is a TCP/IP protocol and several services existing in its upper layers, namely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 (File Transfer Protocol), DNS (Domain Name System),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 ( It refers to a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structure that provides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 (Network File Service), and NIS (Network Information Servic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1)은 회원 가입 처리부(1000),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부(2000), 사용자 데이터 추출부(3000),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부(4000) 및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50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user-customiz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system 1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1000 , a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2000 , and a user data extraction unit ( 3000), a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unit 4000 and at least one of an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unit 5000 .

상기 회원 가입 처리부(1000)는, 사용자의 프로필정보를 입력 받고, 다수의 관심사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받아 사용자 개인정보를 등록하여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나이, 성별, 프로필 사진(본인 사진, 배경사진) 등의 프로필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브랜딩, 마술, 에세이, 철학, 와인 등 미리 제공되는 다수의 관심사 카테고리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 받음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1000 may receive the user's profile information, se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nterest categories, register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proceed with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For example, you can register profile information such as user name, age, gender, and profile picture (personal picture, background picture), and at least among a number of pre-provided interest categories such as branding, magic, essay, philosophy, wine, etc. It can be set by selecting one or more.

상기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부(2000)는, 회원 가입 처리부(1000)를 통해 가입된 사용자 간의 온라인 소셜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업로드, 새로운 글쓰기(피드 작성), 댓글 쓰기, 좋아요 누르기, 다른 회원 프로필정보 조회하기, 다른 회원 등록글 보기, 다른 회원 관심 태그, 관심사 정보 검색/조회 또는 확인하기, 회원 간 채팅하기 등 다양한 온라인 소셜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2000 may support online social community activities between users who have joined through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1000 . For example, uploading photos, writing new posts (writing feeds), writing comments, clicking likes, viewing other member profile information, viewing other member posts, tagging other members, searching/inquiring or viewing interest information, chatting between members It can provide programs and services for various online social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상기 사용자 데이터 추출부(3000)는,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부(2000)를 통한 사용자 별 앱 방문 빈도, 사용자가 조회한 콘텐츠, 사용자가 선택한 태그, 사용자가 설정한 관심사 및 사용자가 작성한 피드 내용 등의 사용자 개인 행동 데이터와, 팔로워 대상(누구를 팔로우했는지), 댓글 대상 게시글(어느 타 회원의 글에 어떠한 글을 남겼는지), 댓글 반응(타 회원의 글이나 사진 등의 콘텐츠에 어떠한 반응을 남겼는지), 타 회원의 프로필정보 조회 대상(어느 회원의 프로필정보를 조회 또는 검색하여 확인했는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상호 교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The user data extraction unit 3000 is a user-specific app visit frequency through the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2000, user-inquired content, user-selected tags, user-set interests, and user-created feed contents. Personal behavior data, follower target (who you followed), comment target post (what other member posted what kind of post), and comment response (what kind of reaction they left to other members’ posts or photos) , other member's profile information inquiry target (which member's profile information was searched or searched for), etc., can be extracted.

상기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부(4000)는, 사용자 데이터 추출부(3000)를 통해 추출된 사용자 개인 행동 데이터와 사용자 상호 교류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저장된 콘텐츠 중 사용자 각각의 관심사에 가장 부합되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술과 관련된 콘텐츠, 회원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마술과 관련하여 미리 저장된 또는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부(4000)는 사용자 본인과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의 일상을 구경하고 시간/장소의 제약 없이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SNS 서비스와 사용자의 관심도에 기반한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끼리 오프라인에서 만날 수 있는 모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추천하는 취향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커머스 스토어 서비스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관심사 별, 주제 별 모임 커뮤니티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 본인의 관심사와 취향에 기반한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다.The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unit 4000, by analyzing the user personal behavior data and user interaction data extracted through the user data extraction unit 3000, provides customized content that best matches each user's interests among pre-stored content can do. For example, when it is analyzed that the content related to magic and the member's interest are high, content that is previously stored or newly updated in relation to magic may be recommended and provided to the user. In addition, the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unit 4000 provides an online SNS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view the daily lives of people who have similar tastes to the user and communicate without time/place restrictions and a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the user's intere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eting service where people with the same interests can meet offline, and by providing a commerce store service where people can purchase favorite items recommended by people they like, through the meeting community platform by user interests and topics Users can enjoy content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and tastes.

상기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5000)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된 콘텐츠를 추천하고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00),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 콘텐츠 추천 제공부(5300) 및 최종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unit 5000 may recommend and provide integrated contents based on usag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5 , th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00 and the us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terest selection unit 5200 , a content recommendation providing unit 5300 , and a final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40 .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00)는, 사용자 단말(10)의 화면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설치 위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00 may select at least one applic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n installation location of an application ic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 an application usage amount, and an application usage frequency.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10),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20) 및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pplication selector 5100 selects at least one of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10,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20, and the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30 as shown in FIG. may include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10)는, 사용자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 설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의 홈 화면 상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기간 단위로 획득하고, 식별정보가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선정할 수 있다.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10 is configured to sel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in which a shortcut icon is installed on the hom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based on the application install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 and an application for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may be selected as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정보는 앱 스토어 등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본정보(앱 이름, 앱 카테고리, 개발자 등)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10)의 메모리에 다운로드 및 설치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홈 화면에 바로가기로 추가되었는지에 대한 아이콘 설치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10)는 아이콘 설치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설치정보로부터 현재 사용자 단말(10)의 홈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파악하고, 파악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기본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기본정보를 식별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는 24시간 또는 1주일 주기로 획득하여 주기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다.The application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e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app name, app category, developer, etc.) when the application is downloaded from the app store, etc., and the icon of the application after the application is downloaded and installed in the memory of the user terminal 10 It may include icon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it has been added as a shortcut to the home screen. Based on the icon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10 identifies an application in which a shortcut icon is currently installed on the hom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from the application installa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 7 , and identifies it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basic information can be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ppl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periodically updated by acquiring it every 24 hours or a week.

상기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20)는, 사용자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 에너지 자원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시간과 배터리 사용량을 일정 시간 또는 기간 단위로 각각 획득하되, 사용시간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배터리 사용량에 제1 가중치보다 낮은 제2 가중치를 부여하여 사용시간이 길고 배터리 사용량이 큰 상위 n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선정할 수 있다.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20 acquires, based on the application energy resource usag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the usage time and the battery usage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 respectively, in a predetermined time or period unit. , by assigning a first weight to the usage time and a second weight lower than the first weight to the battery usage, so that the top n applications having a long usage time and a large battery usage may be selected as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s.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1 내지 5 중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자 할 때, 어플리케이션 1의 현재 사용시간은 50분, 배터리 사용량 5%이고, 어플리케이션 2의 현재 사용시간은 10분, 배터리 사용량 2.8%이고, 어플리케이션 3의 현재 사용시간은 2시간 10분, 배터리 사용량 11%이고, 어플리케이션 4의 현재 사용시간은 30분, 배터리 사용량 7%이고, 어플리케이션 5의 현재 사용시간은 1시간 30분, 배터리 사용량 8.7%이면, 각 사용시간에 대하여 제1 가중치(예를 들어 2 내지 3)를 곱하고, 배터리 사용량에 대하여 제2 가중치(예를 들어 1.5 내지 1.7)를 곱하여 각각 수치로 환산(이때, 사용시간은 분 단위로 하며 10분 당 1점으로 할 수 있음)하여 보면, 어플리케이션 1은 (5*2)+(5*1.5)=17.5점, 어플리케이션 2는 (1*2)+(2.8*1.5)=6.2점, 어플리케이션 3은 (13*2)+(11*1.5)=42.5점, 어플리케이션 4는 (3*2)+(5*1.5)=13.5점, 어플리케이션 5는 (9*2)+(8.7*1.5)=31.05점이 된다. 이때, 기준치를 15점으로 했을 때, 15점을 초과하는 어플리케이션 1, 3, 5가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20)는 일일 단위로 업데이트 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시간과 배터리 사용량을 기반으로 24시간마다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when a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is selected from among applications 1 to 5, the current usage time of application 1 is 50 minutes, the battery usage is 5%, and the current usage time of application 2 is 10 minutes, battery usage is 2.8%, application 3's current usage time is 2 hours and 10 minutes, battery usage is 11%, application 4's current usage time is 30 minutes, battery usage is 7%, and application 5's current usage time is 1 If the time is 30 minutes and the battery usage is 8.7%, the first weight (for example, 2 to 3) is multiplied for each usage time, and the second weight (for example, 1.5 to 1.7) is multiplied by the battery usage and converted into numerical values. (At this time, the usage time is in minutes and can be 1 point per 10 minutes), Application 1 is (5*2)+(5*1.5)=17.5 points, Application 2 is (1*2)+ (2.8*1.5)=6.2 points, application 3 is (13*2)+(11*1.5)=42.5 points, application 4 is (3*2)+(5*1.5)=13.5 points, application 5 is (9) *2)+(8.7*1.5)=31.05 points. In this case, when the reference value is 15 points, applications 1, 3, and 5 exceeding 15 points may select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20 may select a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every 24 hours based on the usage time and battery usage of the application updated on a daily basis.

상기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30)는,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에 표시되는 로고, 키워드, 캐릭터 및 메인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실행되는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실행 횟수를 일정 시간 또는 기간 단위로 각각 획득하여 실행 횟수가 가장 많은 상위 n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선정할 수 있다.The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30 recognizes at least one of a logo, a keyword, a character, and a main color displayed on the main page of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when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selects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to be execute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count the number of executions of the recognized first candidate application, and obtain the counted execution times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or period, respectively, so that the top n applications with the highest number of executions may be selected as the third candidate application.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카오톡" 아이콘 등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실행화면이 표시되는데, 해당 실행화면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로고, 키워드, 캐릭터, 메인 색상 등의 인식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30)는 이전에 인식된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카카오톡"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정보들이 검출되면, 새롭게 검출된 인식정보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인 "카카오톡"이 새롭게 실행됨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소 등을 통해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실행화면이 지속적으로 바뀌더라도 로고, 키워드, 캐릭터, 메인 색상 등의 조합 모두가 바뀌지 않은 이상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이 아니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가 바뀐 것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실행 카운팅을 실시한지 미리 설정된 시간(약 10초) 이내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인식정보들이 다시 검출되면 멀티태스킹에 의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잠깐 실행한 후 사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실행 횟수를 카운팅하지 않으며, 멀티태스킹에 의해 잠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인식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만을 카운팅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when the user selects and executes the "KakaoTalk" icon, etc., an execution scree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identified on the corresponding execution screen. Recognition information such as available logos, keywords, characters, and main colors may be displayed. At this time, when the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30 detects information that can be recognized as "Kakao Talk"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recognized application, "Kakao Talk", which i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newly detected recognition information, is newly executed. it can be recognized that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which application is currently being executed through the address of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addition, even if the execution screen is continuously changed, unless all combinations of logo, keyword, character, main color, etc. are changed,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page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has changed rather than that another application has been executed, and whether execution counting has been performed If th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detected again within a preset time (about 10 seconds), it is judged that another application has been temporarily executed by multitasking and then used, the number of executions is not counted, and the recognition of the temporarily executed application by multitasking By detecting the information, only the number of executions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an be counted.

상기 최종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40)는,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10),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20) 및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3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final application selector 5140 selects at least one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10 ,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20 , and the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5130 . Information on the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the uni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5200 .

예를 들어, 최종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40)는 사용자가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 방식을 통해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선정을 원하는 경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10)를 통해 선정된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로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 방식을 통해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선정을 원하는 경우,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20)를 통해 선정된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로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 방식을 통해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선정을 원하는 경우,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30)를 통해 선정된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로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 방식을 통해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선정을 원하는 경우, 제1 및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110, 120)를 통해 선정된 제1 및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로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제1 및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 방식을 통해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선정을 원하는 경우, 제1 및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110, 130)를 통해 선정된 제1 및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로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제2 및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 방식을 통해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선정을 원하는 경우, 제2 및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120, 130)를 통해 선정된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로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 방식을 통해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선정을 원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110, 120, 130)를 통해 선정된 제1 내지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로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은 중복될 수 있으며, 중복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은 하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취급하여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로 제공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desires to select a candidate application through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method, the final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40 may select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10 of interest to the user. It can be set to be provided to the target selection unit 5200, and when a candidate applic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method,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20 is selected by the user as a target of interest. It can be set to be provided to the selection unit 5200, and when a candidate applic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method,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the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30 is selected as an object of interest to the user. It can be set to be provided to the government 5200, and when a candidate applic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methods, the first se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s 110 and 120 and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can be set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5200, and when the candidate applic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first and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methods, the first and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s ( When the first and third candidate applications selected through 110 and 130 can be set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5200, and candidate applications are selected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methods,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s 120 and 130 may be set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5200, and the candidates are select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methods. If you want to select an application, you can set to provide the first to third candidate applications select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s 110 , 120 , 130 to 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5200 . . However, the first to third candidate applications may be duplicated, and the duplicate candidate applications may be treated as one candidate application and may be set to be provided to 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5200 .

상기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는,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00)를 통해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피드와 태그', '채팅 내용', '검색/조회' 및 '복사/공유(붙여넣기 방식도 포함)'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관심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5200, the user's 'feeds and tags', 'chat contents', 'search/inquiry' and 'copy/share through at least on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00' At least one user interest may be selected by analyzing at least one of the 'history' (including paste method).

이를 위해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5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5210), 제1 관심대상 추출부(5220) 및 제2 관심대상 추출부(5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9 , 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5200 includes one of the application analysis subjec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5210 , the first interest object extraction unit 5220 , and the second interest object extraction unit 5230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상기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5210)는,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00)를 통해 선정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메신저 서비스,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등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되,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되지 않은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탈락시킬 수 있다. The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5210 classifies the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00 into preset categories such as messenger service, online shopping mall, portal site, SNS and video sharing service, but the preset category Candidate applications that are not classified may be rejected.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5100)를 통해 "카카오톡", "쿠팡", "네이버", "인스타그램", "유튜브", "MS Office"가 선정(후보 어플리케이션 1 내지 6)된 경우, 후보 어플리케이션 6은 "MS Office"로서 문서작성 또는 문서뷰어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며, 이러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5210)에서 카테고리로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므로, 해당 후보 어플리케이션은 자동 탈락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 "KakaoTalk", "Coupang", "Naver", "Instagram", "YouTube", and "MS Office" are sel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00 (candidates) In the case of applications 1 to 6), candidate application 6 is an application dedicated to document creation or document viewer as "MS Office", and in this case, since it is not an application classified as a category in the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5210, the corresponding candidate application may be automatically eliminated.

상기 제1 관심대상 추출부(5220)는,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5210)를 통해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가 '메신저 서비스'인 경우 일정 시간 단위로 총 워드 수가 가장 많은 말풍선과 답장이 가장 많은 말풍선에 각각 포함된 채팅 내용, 및 채팅 창에 표시되는 링크 정보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제1 관심대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The first interest extraction unit 5220, when the category of the application classified through the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5210 is 'messenger service', the speech balloon with the largest number of total words and the largest number of replies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It is possible to extract at least one keyword by analyzing the chat content included in each speech bubble and link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hatting window, and extract it as the first object of interest.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중 새 글이 등록된 채팅 창(대중 채팅, 개인 채팅)을 모니터링하고, 각 채팅 창에서 사용자의 말풍선 중 워드 수가 많은 가장 많은 말풍선(a)과, 답장이 가장 많이 달린 말풍선(b)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채팅 내용을 분석할 수 있으며, 또한 채팅 창에 표시되는 링크 정보(c)에 대한 키워드 추출을 통해 제1 관심대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키워드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채팅 문장 또는 링크정보에 해당하는 게시물의 핵심 또는 이슈가 되는 단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통해 실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chat window (public chatting, private chatting) in which a new article is registered among the user's messenger applications is monitored, and the speech balloon with the largest number of words among the user's speech balloons in each chat window (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hat contents included in each of a) and the speech bubble (b) with the most replies, and also extract the first object of interest through keyword extraction for the link information (c) displayed in the chat window. can This can be done in a way that extracts the key or issue words of a post corresponding to chatting sentences or link information through a keyword analysis algorithm.

상기 제2 관심대상 추출부(5230)는,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5210)를 통해 분류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가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일정 시간 단위로 피드와 태그, 및 검색/조회 이력이 가장 많은 상위 n개의 키워드와 복사/공유 이력이 가장 많은 상위 n개의 키워드를 추출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2 관심대상을 추출할 수 있다.The second object of interest extraction unit 5230 is config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unit when the category of the candidate application classified through the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5210 is at least one of an online shopping mall, a portal site, an SNS, and a video sharing service. At least one second object of interest may be extracted by extracting the feeds and tags, and the top n keywords having the most search/inquiry histories and the top n keywords having the most copy/sharing histories.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SNS를 통해 가장 많이 업로드 한 피드와 태그를 선정하고, 선정된 피드 및 태그와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 the feed and tag that the user has uploaded the most through SNS may be selected, and keywords related to the selected feed and tag may be extracted.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동영상 공유 서비스" 카테고리의 후보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의 검색 및/또는 조회 이력을 분석하고, 이 중 사용자의 검색 및/또는 조회 이력을 많은 상위 3개의 핫 키워드를 제2 관심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 the user's search and/or inquiry history is analyzed for each candidate application in the categories of "online shopping mall", "portal site", "SNS", and "video sharing service", and among them, the user The top three hot keywords with many search and/or search histories may be selected as the second interest object.

상기 콘텐츠 추천 제공부(5300)는,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관심대상과 매칭되는 콘텐츠를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거나, 사용자 관심대상과 매칭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추천 및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recommendation providing unit 5300 extracts and provides content matching at least one user's interest selected through the user's interest selection unit from the pre-built database 30, or a new application matching the user's interest can be recommended and provided.

이를 위해 콘텐츠 추천 제공부(53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5310),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5320), 제3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5330) 및 신규 어플리케이션 추천부(53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15 , the content recommendation providing unit 5300 includes a first content of interest providing unit 5310 , a second content of interest providing unit 5320 , and a third content of interest providing unit 5330 . and at least one of a new application recommendation unit 5340 .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5310)는, 제1 관심대상 추출부(5220)를 통해 추출된 제1 관심대상에 대하여 미리 구축된 제1 데이터베이스(31) 및 웹 크롤링을 통해 제1 관심대상 콘텐츠를 각각 추출하여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interest-of-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5310 is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object of interest through a web crawling and a first database 31 previously built with respect to the first object of interest extracted through the first object of interest extraction unit 5220 . Each content can be extracted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pop-up message.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심대상 콘텐츠는 팝업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바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확인하지 못한 콘텐츠 메시지에 대해서는 콘텐츠 메시지 저장함으로 이동하여 별도로 관리 및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기간 내에 조회하지 않은 관심대상 콘텐츠는 각각 자동 삭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관심대상 콘텐츠는 사용자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확인된 관심대상에 대한 기사 내용, 블로그 내용, 커뮤니티 내용, 뉴스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대화 간에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op-up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immediately, and for content messages that have not been checked, the content message can be moved to the content message storage box and managed and checked separately. Also, among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content of interest that is not viewed within a preset time or period may be automatically deleted.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may include article content, blog content, community content, news content, and the like on the object of interest identified in the user's messenger application, so that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quickly provided between user conversations.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5320)는, 제2 관심대상 추출부(5230)를 통해 추출된 제2 관심대상에 대하여 미리 구축된 제2 데이터베이스(32) 및 웹 크롤링을 통해 제2 관심대상 콘텐츠를 각각 추출하여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interest-of-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5320 is configured to perform a second object of interest through a web crawling and a second database 32 previously built with respect to the second object of interest extracted through the second object of interest extraction unit 5230 . Each content can be extracted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 pop-up message.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심대상 콘텐츠는 팝업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바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확인하지 못한 콘텐츠 메시지에 대해서는 콘텐츠 메시지 저장함으로 이동하여 별도로 관리 및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기간 내에 조회하지 않은 관심대상 콘텐츠는 각각 자동 삭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관심대상 콘텐츠는 사용자의 포털 사이트, 온라인 쇼핑몰, SNS, 동영상 공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확인된 관심대상에 대한 기사 내용, 블로그 내용, 커뮤니티 내용, 뉴스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미 검색한 정보에 대한 연관 정보, 후속 정보, 및 좀 더 심도 깊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op-up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it, and for content messages that have not been checked, they can be managed and checked separately by moving to the content message storage box. Also, among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content of interest that is not viewed within a preset time or period may be automatically deleted. Such second interest content may include article content, blog content, community content, news content, etc. about the object of interest identified in the user's portal site, online shopping mall, SNS, and video sharing service application, and the user has already searched for it. It allows you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about one piece of information, follow-up information, and more in-depth information.

상기 제3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5330)는, 다수의 사용자 즉,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5000)의 전체 또는 연령, 성별, 지역, 관심사 별로 구분되는 사용자 그룹 각각에 대하여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제2 관심대상 콘텐츠의 제공 순위 및 조회 순위를 각각 분석하여 실시간 제공 순위 및 조회 랭킹 정보를 제공하되, 각 랭킹 정보에 등록된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제2 관심대상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third content-of-interest providing unit 5330 is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content of interest for a plurality of users, that is, all of the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unit 5000 or a group of users classified by age, gender, region, and interest. and providing real-time provision ranking and inquiry rank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provision ranking and inquiry ranking of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respectively, but generating thumbnail information for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and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registered in each ranking information can be provided.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5000)의 전체 사용자 또는 연령, 성별, 지역, 관심사 별로 구분되는 사용자 그룹 각각에 대하여 제1 관심대상 콘텐츠(a)와 제2 관심대상 콘텐츠(b)의 랭킹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랭킹 정보는 사용자들의 관심대상 변경에 따라 실시간 변경 또는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또한, 제3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5330)는 제1 관심대상 콘텐츠(a)와 제2 관심대상 콘텐츠(b)의 랭킹 정보만으로도 별도의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세부 카테고리를 분류해 다양한 정보와 소식들을 전달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 that is, for all users of the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unit 5000 or for each user group divided by age, gender, region, and interest,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a) and Rank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b) may be provided, and the ranking information may be changed or upd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terest of users. In addition, the third 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5330 creates a separate community with only the rank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a) and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b) to classify detailed categories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nd news. can also be forwarded.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추천부(5340)는,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되,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지 않은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해당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The new application recommendation unit 5340 is provided from at least one of an online shopping mall, a portal site, an SNS, and a video sharing servic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and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is affiliated, the user terminal 10 If provided through a new application that is not installed in the , at least one new application among the corresponding online shopping mall, portal site, SNS, and video sharing service may be recommended.

예를 들어 기존에 사용자가 "카카오톡", "네이버", "인스타그램", "유튜브"를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 관심대상으로 하였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와 유사한 다르면서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인 "라인", "네이트온", "페이스북", "틱톡"에 대한 설치 유도 메시지를 제공하여 제휴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도울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광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user has previously selected "Kakao Talk", "Naver", "Instagram", and "YouTube" as a candidate application as a target of interest, as shown in FIG. 10) By providing installation guidance messages for applications that are not installed in "Line", "Nate On", "Facebook", and "TikTok", it is possible to help the installation of affiliated applications, and the effect of application advertisements can be expected. can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A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1: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
1000: 회원 가입 처리부
2000: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부
3000: 사용자 데이터 추출부
5000: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부
5000: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
5100: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5110: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5120: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5130: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5140: 최종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5200: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
5210: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
5220: 제1 관심대상 추출부
5230: 제2 관심대상 추출부
5300: 콘텐츠 추천 제공부
5310: 제1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
5320: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
5330: 제3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
5340: 신규 어플리케이션 추천부
10: 사용자 단말
20: 관리 서버
30 데이터베이스
31: 제1 데이터베이스
32: 제2 데이터베이스
40: 웹 서버
1: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system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1000: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2000: Department of Social and Community Services
3000: user data extraction unit
5000: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er
5000: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unit
5100: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10: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20: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30: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5140: final application selection unit
5200: User interest target selection unit
5210: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5220: first interest object extraction unit
5230: second interest target extraction unit
5300: content recommendation provider
5310: First 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5320: Second 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5330: Third 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5340: New application recommendation unit
10: user terminal
20: management server
30 database
31: first database
32: second database
40: web server

Claims (7)

사용자의 프로필정보를 입력 받고, 다수의 관심사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받아 사용자 개인정보를 등록하여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하는 회원 가입 처리부;
상기 회원 가입 처리부를 통해 가입된 사용자 간의 온라인 소셜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부;
상기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부를 통한 사용자 별 방문 빈도, 조회 콘텐츠, 선택 태그, 관심사 및 피드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행동 데이터와, 팔로워 대상, 댓글 대상 게시글, 댓글 반응, 프로필정보 조회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상호 교류 데이터를 추출하는 사용자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사용자 개인 행동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 상호 교류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저장된 콘텐츠 중 사용자 각각의 관심사에 가장 부합되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된 콘텐츠를 추천하고 제공하기 위한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콘텐츠 추천 및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설치 위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량, 및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의 피드와 태그, 채팅 내용, 검색/조회 및 복사/공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관심대상을 선정하는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 및
상기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관심대상과 매칭되는 콘텐츠를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거나, 상기 사용자 관심대상과 매칭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추천 및 제공하는 콘텐츠 추천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정부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설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홈 화면 상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 기간 단위로 획득하고, 식별정보가 획득된 어플리케이션을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선정하는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에너지 자원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시간과 배터리 사용량을 일정 시간 또는 기간 단위로 각각 획득하되, 상기 사용시간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배터리 사용량에 상기 제1 가중치보다 낮은 제2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시간이 길고 상기 배터리 사용량이 큰 상위 n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선정하는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및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에 표시되는 로고, 키워드, 캐릭터 및 메인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실행되는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실행 횟수를 일정 시간 또는 기간 단위로 각각 획득하여 실행 횟수가 가장 많은 상위 n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으로 선정하는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및
상기 제1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상기 제2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및 상기 제3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어플리케이션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로 제공하는 최종 어플리케이션 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
a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the user's profile information, set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nterest categories, register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proceeds with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a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for supporting online social community activities between users who have joined through the member registration processing unit;
At least one of user personal behavior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isit frequency, search content, selection tag, interest, and feed content for each user through the social community service unit, follower target, comment target post, comment response, and profile information inquiry target a user data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user interaction data including; and
and a user-customized content providing unit that analyzes the user personal behavior data and the user interaction data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 that best matches each user's interests among pre-stored content,
Further comprising an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ding unit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integrated content based on the usag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e integrat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unit,
an application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at least one applica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n installation location of an application ic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 application usage amount, and an application usage frequency;
A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that selects at least one user interest object by analyzing at least one of a user's feed and tag, chat contents, search / inquiry and copy / sharing history through at least on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selection unit ; and
A content recommendation providing unit that extracts and provides content matching at least one user's interest selected through the user's interest selection unit from a pre-built database, or recommends and provides a new application matching the user's interest, and ,
The application selection unit,
Based on the application install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having a shortcut icon installed on the hom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ob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a predetermined period unit, and the application obtain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as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a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Based on the application energy resource usag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usage time and the battery usage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re respectively acquired in a unit of a predetermined time or period, a first weight is given to the usage time, and the first weight is applied to the battery usage. a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that assigns a second weight lower than the weight to select the top n applications with a long usage time and high battery usage as second candidate applications; and
When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executed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a logo, a keyword, a character, and a main color displayed on the main page of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is recognized, and the recognized first candidate a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or for counting the number of executions of the application, acquiring the counted number of executions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or period, respectively, and selecting the top n applications with the highest number of executions as a third candidate application; and
Information on a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at least one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the first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the secon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and the third candidate application selec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User-customized content recommendation and provision system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nal application selection unit to prov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심대상 선정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정부를 통해 선정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메신저 서비스,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의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하되,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로 분류되지 않은 후보 어플리케이션을 탈락시키는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가 메신저 서비스인 경우 일정 시간 단위로 총 워드 수가 가장 많은 말풍선과 답장이 가장 많은 말풍선에 각각 포함된 채팅 내용, 및 채팅 창에 표시되는 링크 정보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제1 관심대상으로 추출하는 제1 관심대상 추출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분석대상 카테고리 분류부를 통해 분류된 후보 어플리케이션의 카테고리가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일정 시간 단위로 피드와 태그, 및 검색/조회 이력이 가장 많은 상위 n개의 키워드와 복사/공유 이력이 가장 많은 상위 n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제2 관심대상으로 각각 추출하는 제2 관심대상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terest selection unit,
An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the candidate application sel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selection unit into preset categories of messenger service, online shopping mall, portal site, SNS and video sharing service, but excludes candidate applications that are not classified into the preset category ;
When the category of the candidate application classified through the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is a messenger service, chat contents included in the speech bubble with the most total number of words and the speech bubble with the most replies, respectively, and link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hatting window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a first object of interest extracting unit for analyzing and extracting at least one keyword and extracting it as a first object of interest; and
When the category of the candidate application classified through the application analysis target category classification unit is at least one of an online shopping mall, a portal site, an SNS, and a video sharing service, the top n feeds, tags, and search/inquiry histories with the most A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interest object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the keywords and the top n keywords with the most copy/share history and extracts them as second interest object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추천 제공부는,
상기 제1 관심대상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상기 제1 관심대상에 대하여 미리 구축된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웹 크롤링을 통해 제1 관심대상 콘텐츠를 각각 추출하여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제1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
상기 제2 관심대상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상기 제2 관심대상에 대하여 미리 구축된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웹 크롤링을 통해 제2 관심대상 콘텐츠를 각각 추출하여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 및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되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지 않은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해당 온라인 쇼핑몰, 포털 사이트, SNS 및 동영상 공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ent recommendation providing unit,
A first interest-of-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that extracts a first content of interest through a web crawling and a first database built in advance for the first object of interest extracted through the first object of interest extraction unit and provides it in the form of a pop-up message ;
A second interest-of-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that extracts second interest-of-interest content through a pre-built second database and web crawling for the second object of interest extracted through the second interest-of-interest extraction unit, respectively, and provides it in the form of a pop-up message ;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and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is provided from at least one of an affiliated online shopping mall, portal site, SNS, and video sharing service, but provided through a new application that is no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new application recommendation unit for recommending at least one new application among the corresponding online shopping mall, portal site, SNS, and video sharing service.
제5 항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의 제공 순위 및 조회 순위를 각각 분석하여 실시간 제공 순위 및 조회 랭킹 정보를 제공하되, 각 랭킹 정보에 등록된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3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users are provided with real-time provision ranking and search rank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provision order and search order of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and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respectively, and the first object of interest registered in each ranking information The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further comprising a third content of interest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and provides thumbnail information on the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와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제1 관심대상 콘텐츠 및 상기 제2 관심대상 콘텐츠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기간 내에 조회하지 않은 관심대상 콘텐츠를 각각 자동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 정보 인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및 제공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interest-of-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and the second interest-of-interest content providing unit,
The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 through application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and content of interest that has not been inquired within a preset time or period for the first content of interest and the second content of interest is automatically deleted.
KR1020210015523A 2021-02-03 2021-02-03 System for recommending providing integrated contents using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of applications KR1022690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523A KR102269061B1 (en) 2021-02-03 2021-02-03 System for recommending providing integrated contents using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of appli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523A KR102269061B1 (en) 2021-02-03 2021-02-03 System for recommending providing integrated contents using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of applic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061B1 true KR102269061B1 (en) 2021-06-24

Family

ID=7660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523A KR102269061B1 (en) 2021-02-03 2021-02-03 System for recommending providing integrated contents using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of applic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06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771B1 (en) * 2022-03-02 2022-10-24 지한빈 Content based user customized eco friendly service provision method
WO2023043130A1 (en) *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씨젠 Method of generating individual-directed information record sheet by mir server
KR102624046B1 (en) * 2023-08-24 2024-01-11 주식회사 배움의모든것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lecture matching service
KR102632973B1 (en) * 2023-11-30 2024-02-01 이수민 Electronic device for provding user interface for multimedia content cre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146A (en) 2011-03-03 2012-09-12 (주)디지털다임 System and method for user behavior analysis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KR20180071571A (en)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에네이 Contents curation method providing custermized contents using big data based on sns and call data
KR20190007513A (en) * 2019-01-14 2019-01-22 주식회사 엘렉시 System for Recommendation of APP, User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KR20190065013A (en)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퍼풀 Method and application for recommending content through user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146A (en) 2011-03-03 2012-09-12 (주)디지털다임 System and method for user behavior analysis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KR20180071571A (en) * 2016-12-20 2018-06-28 주식회사 에네이 Contents curation method providing custermized contents using big data based on sns and call data
KR20190065013A (en) 2017-12-01 2019-06-11 주식회사 퍼풀 Method and application for recommending content through user recognition
KR20190007513A (en) * 2019-01-14 2019-01-22 주식회사 엘렉시 System for Recommendation of APP, User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30A1 (en) * 2021-09-14 2023-03-23 주식회사 씨젠 Method of generating individual-directed information record sheet by mir server
KR102457771B1 (en) * 2022-03-02 2022-10-24 지한빈 Content based user customized eco friendly service provision method
KR102624046B1 (en) * 2023-08-24 2024-01-11 주식회사 배움의모든것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lecture matching service
KR102632973B1 (en) * 2023-11-30 2024-02-01 이수민 Electronic device for provding user interface for multimedia content cre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061B1 (en) System for recommending providing integrated contents using usage information recognition of applications
US20240126824A1 (en) Web document enhancement
US107063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network resource as a source of content for a recommendation system
US10963461B2 (en) Generating activities based upon social data
US10223465B2 (en) Customizable, real time intelligence channel
KR101322679B1 (en) An assistant―adviser using the semantic analysis of community exchanges
CN110380954B (en) Data shar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RU2571593C2 (en) Scanning of social network data
CN105812830B (en) The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of hotel service content
US20140095308A1 (en) Advertisement distribution apparatus and advertisement distribution method
CN109688479B (en) Bullet screen display method, bullet screen display device and bullet screen display server
CN108305180B (en) Friend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KR1014623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users having matter of common interest and change of talent using tag applicable to mobile messenger
CN105227971A (en) The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of a kind of hotel TV and system
US20150356102A1 (en) Automatic article enrichment by social media trends
Laitinen et al. The Nordic Tweet Stream: A dynamic real-time monitor corpus of big and rich language data
KR20150046431A (en) Auto-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derive effective marketing
JP5725619B2 (en)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tagging position information with keywords based on a large number of comment sentences
US118938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earch results based o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techniques and machine-encoded text
KR1019296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ation of open chat room through chat log keyword extraction
KR1020075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contents information per user
CN108710682B (en) Object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CN109829033B (en) Data display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Alzahrani et al. Finding organizational accounts based on structural and behavioral factors on twitter
JP5836892B2 (en)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tagging identification name of geographical feature to event 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