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058B1 -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058B1
KR102269058B1 KR1020200083848A KR20200083848A KR102269058B1 KR 102269058 B1 KR102269058 B1 KR 102269058B1 KR 1020200083848 A KR1020200083848 A KR 1020200083848A KR 20200083848 A KR20200083848 A KR 20200083848A KR 102269058 B1 KR102269058 B1 KR 102269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layer
face
manufactur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102020008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058B1/ko
Priority to KR1020210078950A priority patent/KR102473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8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powder or granula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리기 위한 마스크 몸체와 귀에 걸기 위한 귀걸이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 몸체는 해당 마스크 몸체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층; 상기 여과층 외측으로 형성된 외측 항균층; 상기 여과층과 상기 외측 항균층 사이에 형성된 외측 접착층; 상기 여과층 내측으로 형성된 내측 항균층; 상기 여과층과 상기 내측 항균층 사이에 형성된 내측 접착층;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을 미리 촬영하여 마스크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만큼 상기 외측 항균층 상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내측 항균층과 마스크 착용자의 피부접촉을 줄이기 위해 상기 내측 항균층의 내측면으로 형성된 엠보싱층;을 포함하여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눈과 코 입의 위치에 따라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장치에 의해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을 인식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MAST CAPABLE OF RECOGNIZING OF FACE IM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안면 부분을 착용하는 마스크 표면에 인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더라고 안면인식이 될 수 있도록 한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약회사 연구원들은 연구소에서 감염예방 또는 위생관리 차원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생활하는 시간이 많다.
그리고 제약회사 연구소에서는 보안을 위해 출입시 연구원들의 안면인식을 통해 출입을 통제하고 있고 있다.
그러다 보니 연구원들은 연구소 건물에서 다른 연구소 건물로 이동하여 출입할 때, 또는 연구실에서 다른 연구실로 출입할 때마다, 출입을 위한 안면인식 승인을 받기 위해 종래 일반적인 마스크를 착용한 경우 마스크를 벗었다 착용했다를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일반적인 무지의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안면을 인식할 수 있는 코, 입, 볼을 전체적으로 가리게 되어 안면인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착용자는 안면인식이 필요한 연구소의 출입구에서 상시적으로 마스크를 벗었다 써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804호(2019. 08. 06)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착용자의 주문 또는 필요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 부분을 미리 촬영한 후, 착용자의 마스크 착용으로 가려지는 부분을 마스크에 인쇄함으로써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눈과 코 입의 위치에 따라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장치에 의해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내측면에 엠보싱을 형싱시켜 접촉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에 형성되는 귀걸이가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도록 하여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리기 위한 마스크 몸체와 귀에 걸기 위한 귀걸이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 몸체는 해당 마스크 몸체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층; 상기 여과층 외측으로 형성된 외측 항균층; 상기 여과층과 상기 외측 항균층 사이에 형성된 외측 접착층; 상기 여과층 내측으로 형성된 내측 항균층; 상기 여과층과 상기 내측 항균층 사이에 형성된 내측 접착층;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을 미리 촬영하여 마스크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만큼 상기 외측 항균층 상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인쇄층; 및 상기 내측 항균층과 마스크 착용자의 피부접촉을 줄이기 위해 상기 내측 항균층의 내측면으로 형성된 엠보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제조방법은 (a)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이식이 가능한 마스크를 착용할 착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실사출력이 가능한 인쇄장치에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 (b) 내측의 기능성 천에 나노사이즈의 섬유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내측의 기능성 천에 나노사이즈의 섬유가 도포된 상태에서 외측의 기능성 천을 적층시키는 단계; (d) 내측의 기능성 천과 나노사이즈의 섬유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필터 사이에 개재되는 내측 접착층과, 상기 필터 상에 적층되는 외측의 기능성 천 사이에 개재되는 외측 접착층에 의해 적층된 상태의 내측의 기능성 천, 나노사이즈의 섬유로 만들어진 필터 및 외측의 기능성 천을 접착시키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내측의 기능성 천, 나노사이즈의 섬유로 만들어진 필터 및 외측의 기능성 천이 일체로 접착되면, 이를 염화구리 용액이 담긴 인큐베이터에 넣어두는 단계; (f) 상기 (e)단계까지 수행되어 만들어진 마스크 제조용 천을 1차 재단하는 단계; (g) 상기 실사출력이 가능한 인쇄장치가 1차 재단이 이루어진 마스크 제조용 천의 외측 항균층에 마스크 착용시 가려지는 부분을 인쇄하는 단계; (h) 상기 마스크 제조용 천에 인쇄된 부분을 2차 재단하여 재봉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 및 (i) 상기 마스크 몸체 양측면에 귀걸이 체결부를 형성하고, 귀걸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는 착용자의 주문 또는 필요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 부분을 미리 촬영한 후, 착용자의 마스크 착용으로 가려지는 부분을 마스크에 인쇄함으로써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눈과 코 입의 위치에 따라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장치에 의해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을 인식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는 착용자가 사진 촬영시에도 착용자의 안면부 식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마스크 착용 사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의 마스크 본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귀걸이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마스크를 착용했음에도 표면에 미리 촬영된 착용자의 안면부분이 인쇄되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것처럼 용이하게 착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의 구성에 대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와 입 등을 가리기 위한 마스크 몸체(110)와 귀에 걸기 위한 귀걸이(1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마스크 몸체(110)는 중앙에 여과층(111)이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외측 항균층(112), 상기 여과층(111)과 상기 외측 항균층(112)을 접착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형성된 외측 접착층(113)을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 몸체(100)는 상기 외측 항균층(112) 외측 표면으로 형성된 인쇄층(114)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마스크 몸체(110)는 중앙의 여과층(111)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내측 항균층(112`), 상기 여과층(111)과 상기 내측 항균층(112`)을 접착시키기 위해 그 사이에 형성된 내측 접착층(113`)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항균층(112`) 내측 표면으로 형성된 엠보싱층(115)을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여과층(111)은 상기 마스크 몸체(1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구성으로 폴리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층(111)은 폴리우레탄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되는 나노 섬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방사기를 이용하여 섬유 베이스(미도시) 상에 폴리우레탄 용액을 전기 방사하는 방식으로 폴리우레탄 나노 섬유의 여과층(11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나노 섬유의 여과층(111)을 통해 미세 이물질에 대한 여과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섬유 베이스(미도시)를 사용할 경우, 여과층(111)은 섬유 베이스와 폴리우레탄 나노 섬유를 포함한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전기 방사기는, 주지된 기술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분자 방사용액이 내부에 충진되는 방사용액 주탱크와, 방사용액 주탱크 내에 충진된 고분자 방사용액을 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계량펌프와, 방사 용액 주탱크 내에 충진된 고분자 방사용액을 토출하되 핀 형태로 이루어지는 노즐이 다수개 배열설치되는 노즐블록과,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분자 방사용액을 집적하기 위하여 노즐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는 컬렉터와, 그리고 컬렉터에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 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용액 주탱크 내에 충진되는 고분자 방사용액이 계량펌프를 통하여 노즐블록에 형성되는 다수의 노즐 내에 연속적으로 정량 공급되고, 공급되는 고분자 방사용액은 노즐을 통해 높은 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 상에 방사 및 집속되어 컬렉터 상에서 이동되는 섬유 베이스 상에 나노 섬유가 형성되면서 여과층(111)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형태로써,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방사용액 주탱크에 상술한 고분자 방사용액에 더해서 후술할 구리이온 수용액을 함께 충진할 경우, 섬유 베이스 상에 나노 섬유의 여과층이 형성되면서 나노 입자의 사이 사이에 구리이온이 자리를 잡을 수 있어, 별도로 항균층을 적층하지 않고서도 하나의 여과층에 항균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외측 항균층(112) 및 내측 항균층(112`)은 상기 마스크 몸체(110)에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의 감염원이 묻을 경우 이의 서식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의 감염원이 마스크(100)에 묻을 경우 항균층(112)에 의해 감염원의 서식이 어려워지면서 감염원의 잔류나 전파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마스크(100)의 외면을 만질 경우 사용자의 손으로 감염원이 이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나아가 혹시 사용자의 손에 있던 감염원이 마스크(100)로 이전되더라도 마스크(100)에서의 감염원의 서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항균층(112) 및 내측 항균층(112`)은 셀룰로즈 섬유가 구리이온 수용액에 침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대표적인 항균 재질인 은에 비해 저렴해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은과 유사한 항균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마스크(100)를 착용할 경우 안면의 피부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이온은 인체의 많은 생리학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에너지 생성에 필요한 시토크롬 C 산화 효소나 항산화에 관여하는 과산화물 제거효소와 같이 구리-의존적 효소의 형성에 구리이온이 이용될 수 있고, 또한 구리이온은 엘라스틴과 콜라겐의 가교에 필요한 리졸 옥시다아제, 카테콜 아민 형성에 필요한 도파민베타 히드록시라아제 등과 같은 효소에 필수적일 수 있다.
상기 구리이온 수용액은 초순수(ultrapure water, De-Ionized Water)에 염화구리물(CuCl2.2H2O)을 녹여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침지는 대략 40 내지 80도(℃)에서 대략 30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논문 "Man-Made Fiber Year Book 2012; 정천희"에 개재된 바와 같이, 33 dtex, 스테이플 길이 60 mm인 셀룰로즈 섬유를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구리이온을 셀룰로즈 섬유에 흡수시키기 위하여, 초순수 1L에 CuCl2.2H2O를 10.732g을 녹여서 구리이온 4g/L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초순수 1L에 상기 용액을 25mL를 희석하여 100mg/L 구리이온 수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처리 시간에 따른 구리이온 흡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mg/L의 구리이온을 포함하는 1L의 수용액에 셀룰로즈 섬유 10g을 침지시키고 0.5, 1, 3, 8, 24시간 후에 각각 10mL의 용액을 채취하여 초순수 100mL에 희석시킨 후 원자흡수분광계(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구리이온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0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셀룰로즈 섬유에 흡수된 구리이온의 양은 6.64mg/g이었으나, 24시간 처리하였을 때에는 6.86mg/g으로 증가하였다.
처리시간 30분일 때 구리이온 흡수량은 24시간 처리하였을 때 구리이온 흡수량의 96.8%로 평형을 이루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셀룰로즈 섬유의 구리이온 흡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빠르게 이루어지며, 30분 이내에 평형에 이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리 온도가 구리이온 흡수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리이온농도 4 g/L 수용액 5mL을 초순수 250mL로 희석하여 80mL 구리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였다. 40, 50, 60, 70, 80℃에서 각각 2g의 셀룰로즈 섬유를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셀룰로즈 섬유를 제거한 후 남은 용액을 원자흡수분광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처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구리이온 흡수량이 증가하였다. 80℃에 흡수된 구리 이온량은 40℃에서 흡수된 구리이온량 보다 13.1%가 더 많이 흡수되었다.
농도에 따른 구리이온 흡수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리이온농도 4 g/L 수용액 5, 10, 25, 50, 100mL를 각각 1000mL의 초순수와 희석하여 구리이온 농도가 다른 5개의 처리액을 준비하였다. 10g의 셀룰로즈 섬유를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한 섬유를 초순수로 수세한 후 105℃에서 건조하였다.
셀룰로즈 섬유 중의 구리이온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약 1g의 셀룰로즈 섬유를 105℃에서 4시간동안 건조하여 항량(W)하였다. 섬유를 100mL의 비커안에 넣고 sulphuric acid 98% 수용액 20ml를 첨가하였다. 24시간 뒤에 초순수 1L로 희석한 후 원자흡수분광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리이온 농도가 20, 40, 100, 200, 400mg/L일 때 각각의 구리이온 흡수량은 1.16, 1.23, 6.53, 8.03, 9.22mg/g으로 구리이온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량 또한 증가하였다. 셀룰로즈 섬유에 의해 흡수된 구리이온양은 각각의 처리액이 포함하고 있는 구리이온의 58.0, 30.8, 65.3, 40.2, 23.0%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처리액의 구리이온 농도를 달리하여 다른 양의 구리이온을 포함하는 섬유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외측 접착층(113) 및 상기 내측 접착층(113`)은 저융점 폴리우레탄이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방사를 통해 상기 외측 접착층(113) 및 상기 내측 접착층(113`)에도 나노 섬유 형태의 다공부가 형성될 수 있어, 본 발명의 마스크(100)를 통해 들숨 시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날숨 시에 숨이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 접착층(113)을 통해서도 여과와 함께 그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측 접착층(113) 및 상기 내측 접착층(113`)은, 여과층(111)과 항균층(112) 중 어느 하나에 먼저 형성시켜 여과층(111)과 항균층(112)을 포개는 형태로 접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는 상기 여과층(111)을 중심으로 각각 외측방향으로 외측 항균층(112)이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내측 항균층(112`)이 형성됨에 다라 외부 감염원뿐만 아니라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의 입에서 발산되는 비말인 내부 감염원 모두에 대한 서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114)은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을 미리 촬영하여 마스크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만큼 상기 외측 항균층(112) 상에 인쇄함으로써 생성되는 층이다.
상기 인쇄층(114)은 미리 촬영된 착용자의 얼굴을 실사출력이 가능한 인쇄장치가 상기 마스크의 외측 항균층(112)에 인쇄하되, 상기 인쇄장치의 마이컴은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마스크가 얼굴을 가리는 부분을 좌표화하여 해당 좌표 내로 인쇄하고,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볼 등 라운드진 부분이 반영되어 인쇄될 수 있도록 좌표를 보정하여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엠보싱층(11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접촉에 따른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며,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귀걸이(1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몸체(110) 양측면 상하로 한 쌍씩 형성된 귀걸이 체결부(116)에 체결되어 마스크 몸체(110)에 형성된다.
상기 귀걸이 체결부(116)는 내부가 중공되어 상하가 관통하는 구성으로 후술된 귀걸이(120)의 상부 체결고리(122)와 하부 체결고리(123)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귀걸이(1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21), 상부 체결고리(122), 하부 체결고리(123), 및 길이 조절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121)는 다소의 신축성을 가진 밴드로 사용자의 귀에 직접 걸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자의 안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상부 체결고리(122)는 상기 마스크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귀걸이 체결부(116)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 체결고리(123)는 상기 마스크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귀걸이 체결부(116)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부 체결고리(122) 및 하부 체결고리(123)는 하부가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각각 상부와 하부의 귀걸이 체결부(116)에 삽입되어 쉽게 빠지지 않고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길이 조절부(124)는 상기 상부 체결고리(122)와 하부 체결고리(123) 사이의 상기 밴드(121) 상에 형성되어 일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밴드의 두 겹 부분을 길게 확대하여 밴드 전체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고, 타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밴드의 두 겹 부분을 짧게 축소하여 밴드 전체의 길이를 길게 조절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다.
제조업자인 작업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이식이 가능한 마스크를 착용할 착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실사출력이 가능한 인쇄장치에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통기성이 우수하고 땀을 빨리 배출하는 내측의 기능성 천에 나노사이즈의 섬유를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
상기 S200단계에서 내측의 기능성 천을 엠보싱이 형성된 기능성 천으로 사용함에 따라 상기 엠보싱층(115)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내측의 기능성 천에 나노사이즈의 섬유가 도포된 상태에서 외측의 기능성 천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300).
상기 전기 방사기로 전기 방사하여 적층된 상태의 내측의 기능성 천, 나노사이즈의 섬유로 만들어진 필터 및 외측의 기능성 천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상기 내측의 기능성 천과 외측의 기능성 천 또는 상기 나노입자 섬유가 폴리우레탄 재질의 고중합체로서 상기 전기 방사기에 의한 전기 방사시 용이하게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S400단계에서 상기 내측의 기능성 천, 나노사이즈의 섬유로 만들어진 필터 및 외측의 기능성 천이 일체로 접착되면, 이를 인큐베이터의 염화구리 용액에 넣어두는 단계를 수행한다(S50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의 기능성 천, 나노사이즈의 섬유로 만들어진 필터 및 외측의 기능성 천을 염화구리 용액에 넣어둠에 따라, 항균입자 즉 구리입자가 상기 내측의 기능성 천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내측 항균층(112`)이되고, 항균입자 즉 구리입자가 상기 외측의 기능성 천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외측 항균층(112)이된다.
상기 S500단계까지 수행되어 만들어진 마스크 제조용 천을 1차 재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600).
즉, 상기 S600에서는 마스크 하나에 해당하는 크기를 A4크기 정도로하여 복수의 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로 1차 재단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실사출력이 가능한 인쇄장치가 1차 재단이 이루어진 마스크 제조용 천의 외측 항균층(112)에 인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00).
즉, 상기 S700단계에서 상기 인쇄장치는 마스크 착용시 가려지는 부분을 상기 마스크 제조용 천에 인쇄한다.
상기 인쇄장치는 사진의 명도를 반영하여 입체감을 줌으로써 상기 마스크용 천에 실사출력으로 인쇄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쇄장치의 마이컴은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마스크가 얼굴을 가리는 부분을 좌표화하여 해당 좌표 내로 인쇄하고,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 볼 등 라운드진 부분이 반영되어 인쇄될 수 있도록 좌표를 보정하여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마스크 제조용 천에 인쇄된 부분을 2차 재단하여 재봉하여 상기 마스크 몸체(110)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800).
상기 S800단계에서 마스크 제조용 천을 좌우 두 개의 조각으로 2차 재단하여 코에서 턱으로 이어지는 중심라인을 따라 곡면구조인 착용자의 안면구조에 맞게 상기 재봉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마스크 몸체(110) 양측면에 귀걸이 체결부(116)를 형성하고, 상기 귀걸이(120)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900).
상술한 바와 같이 안면부가 프린팅되어 제조된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를 착용함에 따라, 출입시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인식기는 실제 눈과 마스크에 프린팅된 코와 입의 상대적 위치를 고려함으로써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마스크 착용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마스크
110 : 마스크 몸체
111 : 여과층
112 : 외측 항균층
112` : 내측 항균층
113 : 외측 접착층
113` : 내측 접착층
114 : 인쇄층
115 : 엠보싱층
120 : 귀걸이
121 : 밴드
122 : 상부 체결고리
123 : 하부 체결고리
124 : 길이 조절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이식이 가능한 마스크를 착용할 착용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실사출력이 가능한 인쇄장치에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
    (b) 내측의 기능성 천에 나노사이즈의 섬유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내측의 기능성 천에 나노사이즈의 섬유가 도포된 상태에서 외측의 기능성 천을 적층시키는 단계;
    (d) 내측의 기능성 천과 나노사이즈의 섬유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필터 사이에 개재되는 내측 접착층과, 상기 필터 상에 적층되는 외측의 기능성 천 사이에 개재되는 외측 접착층에 의해 적층된 상태의 내측의 기능성 천, 나노사이즈의 섬유로 만들어진 필터 및 외측의 기능성 천을 접착시키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상기 내측의 기능성 천, 나노사이즈의 섬유로 만들어진 필터 및 외측의 기능성 천이 일체로 접착되면, 이를 염화구리 용액이 담긴 인큐베이터에 넣어두는 단계;
    (f) 상기 (e)단계까지 수행되어 만들어진 마스크 제조용 천을 1차 재단하는 단계;
    (g) 상기 실사출력이 가능한 인쇄장치가 1차 재단이 이루어진 마스크 제조용 천의 외측 항균층에 마스크 착용시 가려지는 부분을 인쇄하는 단계;
    (h) 상기 마스크 제조용 천에 인쇄된 부분을 2차 재단하여 재봉하여 마스크 몸체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 및
    (i) 상기 마스크 몸체 양측면에 귀걸이 체결부를 형성하고, 귀걸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내측의 기능성 천을 엠보싱이 형성된 기능성 천으로 사용하여 엠보싱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제조방법.
  8.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는
    신축성을 가진 밴드;
    상기 밴드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귀걸이 체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체결고리;
    상기 밴드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귀걸이 체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 체결고리; 및
    상기 상부 체결고리와 하부 체결고리 사이에 형성된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상부 체결고리와 하부 체결고리 사이의 상기 밴드 상에 형성되어 일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밴드가 두 겹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확대하여 밴드 전체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고, 타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밴드가 두 겹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축소하여 밴드 전체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제조방법.
KR1020200083848A 2020-07-08 2020-07-08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2269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848A KR102269058B1 (ko) 2020-07-08 2020-07-08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20210078950A KR102473446B1 (ko) 2020-07-08 2021-06-17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848A KR102269058B1 (ko) 2020-07-08 2020-07-08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950A Division KR102473446B1 (ko) 2020-07-08 2021-06-17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058B1 true KR102269058B1 (ko) 2021-06-23

Family

ID=765993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848A KR102269058B1 (ko) 2020-07-08 2020-07-08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20210078950A KR102473446B1 (ko) 2020-07-08 2021-06-17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950A KR102473446B1 (ko) 2020-07-08 2021-06-17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9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8292A1 (en) * 2020-09-24 2022-04-21 Remasque, LLC Mask with sewn-in filter, lanyard and adjustable ear strap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942Y1 (ko) * 2005-11-07 2006-02-07 이경식 항균 마스크
KR20110001143U (ko)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항균 및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마스크
US20160029716A1 (en) * 2014-07-30 2016-02-04 Elwha Llc Customized face mask
JP2016107101A (ja) * 2014-12-02 2016-06-20 株式会社ワカ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 着色識別領域を有する放射性物質除去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174631A1 (en) * 2014-12-23 2016-06-23 Profit Royal Pharmaceutical Limited Protective masks with coating comprising different electrospun fibers interweaved with each other, formulations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KR20160105025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금황제지 복합 기능 한지 필터가 구비된 호흡기용 다용도 위생 마스크
KR20180114283A (ko) * 2017-04-10 2018-10-18 조규영 미소 마스크
KR200489804Y1 (ko) 2015-04-27 2019-10-21 주식회사 더말코리아 문양이 인쇄된 화장용 마스크
KR102108768B1 (ko) * 2019-06-18 2020-05-08 홍창석 항균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491B1 (ko) * 2015-12-16 2018-02-02 (주)에프티이앤이 폴리우레탄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942Y1 (ko) * 2005-11-07 2006-02-07 이경식 항균 마스크
KR20110001143U (ko) * 2009-07-27 2011-02-08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항균 및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마스크
US20160029716A1 (en) * 2014-07-30 2016-02-04 Elwha Llc Customized face mask
JP2016107101A (ja) * 2014-12-02 2016-06-20 株式会社ワカ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 着色識別領域を有する放射性物質除去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174631A1 (en) * 2014-12-23 2016-06-23 Profit Royal Pharmaceutical Limited Protective masks with coating comprising different electrospun fibers interweaved with each other, formulations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KR20160105025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금황제지 복합 기능 한지 필터가 구비된 호흡기용 다용도 위생 마스크
KR200489804Y1 (ko) 2015-04-27 2019-10-21 주식회사 더말코리아 문양이 인쇄된 화장용 마스크
KR20180114283A (ko) * 2017-04-10 2018-10-18 조규영 미소 마스크
KR102108768B1 (ko) * 2019-06-18 2020-05-08 홍창석 항균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8292A1 (en) * 2020-09-24 2022-04-21 Remasque, LLC Mask with sewn-in filter, lanyard and adjustable ear s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460A (ko) 2022-01-17
KR102473446B1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058B1 (ko) 안면인식이 가능한 마스크 및 그 마스크의 제조방법
EP3922119A1 (en) Face 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uses thereof
CN111685410A (zh) 新颖口罩结构
AU2021238505A1 (en)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for protecting a user from airborne pathogens
US20080283072A1 (en) Artificial Nose Hair
ITTO20000008A1 (it) Filtro nasale.
KR20170003790U (ko) 다기능 마스크
CN211747161U (zh) 一种便于面部识别的口罩
KR20220025619A (ko) 대용량의 통기량을 갖는 투명 마스크
CN213912032U (zh) 一种自粘密闭式医用口罩
KR20210127462A (ko) 귀걸이 끈을 구비하지 않는 기능성 마스크.
KR20040039250A (ko) 코 마스크와 이의 제조방법
KR20210144986A (ko) 투시가능한 위생 마스크
BG3922U1 (bg) Филтър на маска за лице срещу патогени и вируси
CN213785481U (zh) 一种抗菌抗病毒口罩
CN212065782U (zh) 一种新型透明口罩
US20210029992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KR102225035B1 (ko) 마스크
CN212279995U (zh) 一种抗菌抗病毒口罩
CN211608272U (zh) 一种医院就诊用一次性面具式面罩
CN213029822U (zh) 一种不影响视线的传染病防护用透气面罩
CN217524017U (zh) 一种3d立体口罩
CN213939785U (zh) 口罩
CN210696069U (zh) 一种门诊护士用医疗口罩穿戴结构
US20210269949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