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027B1 -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027B1
KR102269027B1 KR1020190059547A KR20190059547A KR102269027B1 KR 102269027 B1 KR102269027 B1 KR 102269027B1 KR 1020190059547 A KR1020190059547 A KR 1020190059547A KR 20190059547 A KR20190059547 A KR 20190059547A KR 102269027 B1 KR102269027 B1 KR 102269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brary
equipment
data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371A (ko
Inventor
김효정
서지현
조상형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02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94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using additional data, e.g. patient information, image labeling, acquisi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61B2034/256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having a database of accessory information, e.g. including context sensitive help or scientific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obotics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CT 장비 별로 HU 정보가 기록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와, 촬영된 CT 데이터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여 CT 데이터의 CT 장비를 인식하는 단계와, HU 라이브러리에서 인식된 CT 장비와 대응되는 HU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HU 정보를 CT 데이터에 반영하여 CT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Method for planning implant surgery using HU information of CT device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기술을 포함한 의료영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과정은 소프트웨어 상에서 임플란트 구조물(크라운, 어버트먼트, 픽스쳐 등)과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물을 고려하여 임플란트 식립 계획을 수립한 후,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한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을 하는 과정에서 픽스쳐 식립은 크라운과의 관계, 인접치, 치조골 등 해부학적 구조물을 고려하여 최종 식립할 픽스쳐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 치조골 정보는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고정력에도 영향을 미쳐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 및 실패와 연관되는 중요한 정보로 사용된다.
치과용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이하, 'CT'라 칭함) 또는 CBCT(cone-beam CT) 데이터는 정확한 2D 또는 3D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프로그램은 CT 데이터의 밀도와 관련된 하운스필드 유닛(Hounsfield Unit: HU, 이하 'HU'라 칭함) 정보를 기반으로 2D 및 3D 형태의 의료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수술 계획을 수립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등록특허 10-1530015 (2015년6월12일 등록)
일 실시 예에 따라,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시, 사용자의 조작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정확하게 수술 계획을 수립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CT 장비 별로 HU 정보가 기록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와, 촬영된 CT 데이터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여 CT 데이터의 CT 장비를 인식하는 단계와, HU 라이브러리에서 인식된 CT 장비와 대응되는 HU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HU 정보를 CT 데이터에 반영하여 CT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CT 장비 별로 각 CT 장비와 CT 영상을 구성하는 각 밀도영역의 HU 정보를 매칭하여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사전에 구성할 수 있다.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HU 라이브러리에 CT 영상의 밀도영역 별 HU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밀도영역 별 색상 정보 및 투명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 별 맞춤형으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할 수 있다.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는, HU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추가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HU 라이브러리를 확장하는 단계와, HU 라이브러리에서 소정의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HU 라이브러리를 축소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T 데이터의 CT 장비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촬영된 CT 데이터에 기록된 태그정보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CT 장비정보로부터 CT 장비를 인식하며, 태그정보는 검사방식(Modality), 제조사(Manufacturer) 및 제품명(StationNam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CT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된 CT 장비에 대해 소정의 밀도영역을 초기 설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CT 영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밀도영역을 HU 라이브러리에서 선택 입력받는 단계와, HU 라이브러리에서 초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밀도영역과 매칭되는 HU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HU 정보를 해당 밀도영역의 CT 영상에 반영하여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은, CT 장비 별로 치조골 영역에 대해 HU 정보를 기반으로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와, 촬영된 CT 데이터의 태그정보에 포함된 장비정보를 확인하여 CT 장비를 인식하고 인식된 장비와 대응하는 HU 라이브러리의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된 밀도정보를 로딩되는 치조골 영역에 컬러 맵 형태로 반영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은,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CT 데이터의 HU 정보를 기반으로 CT 영상을 로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은,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HU 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HU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CT 장비 별로 HU 정보가 기록된 HU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촬영된 CT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고 획득된 CT 데이터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여 CT 데이터의 CT 장비를 인식하며 저장부에 저장된 HU 라이브러리에서 인식된 CT 장비와 대응되는 HU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HU 정보를 CT 데이터에 반영하여 CT 영상을 구성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의해 구성된 CT 영상을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CT 장비 별로 각 CT 장비와 CT 영상을 구성하는 각 밀도영역의 HU 정보를 매칭하여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사전에 구성하여 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HU 라이브러리에 CT 영상의 밀도영역 별 HU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밀도영역 별 색상 정보 및 투명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 별 맞춤형으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여 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는, HU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추가 입력하거나 HU 라이브러리에서 소정의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출력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HU 라이브러리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제어부는, 촬영된 CT 데이터에 기록된 태그정보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CT 장비정보로부터 CT 장비를 인식하며, 태그정보는 검사방식(Modality), 제조사(Manufacturer) 및 제품명(StationNam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CT 장비에 대해 소정의 밀도영역을 초기 설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CT 영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밀도영역을 HU 라이브러리에서 선택 입력받으면, HU 라이브러리에서 초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밀도영역과 매칭되는 HU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HU 정보를 해당 밀도영역의 CT 영상에 반영하여 로딩할 수 있다.
제어부는, CT 장비 별로 치조골 영역에 대해 HU 정보를 기반으로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촬영된 CT 데이터의 태그정보에 포함된 장비정보를 확인하여 CT 장비를 인식하고 인식된 장비와 대응하는 HU 라이브러리의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밀도정보를 로딩되는 치조골 영역에 컬러 맵 형태로 반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CT 데이터의 HU 정보를 기반으로 CT 영상을 로딩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HU 조정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출력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HU 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HU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에 따르면, CT 장비 별 HU의 기준정보를 반영하여 CT 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CT 영상을 표현하거나 임플란트 구조물과 치조골 등 해부학적 구조물의 정보를 활용하는 과정에 사용자 조작 방식이 아닌 사전 구축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CT 장비 별 HU의 기준정보를 제시하는 HU 라이브러리를 제공함에 따라, HU의 기준정보가 없는 경우 CT 장비 별로 CT 영상의 HU 정보에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영상이 정확도를 높이며, 사용자가 다수의 장비를 보유한 경우에도 장비 별 HU 정보의 차이에 따른 사용자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CT 장비 별로 HU 정보가 반영된 치조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치조골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여 치조골 정보를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CT 촬영을 통해 로딩되는 CT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사용자에 의한 밀도영역의 HU 조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HU 라이브러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 데이터의 태그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U 정보에 따른 밀도영역의 밀도정보를 기반으로 컬러 맵(Color Map)으로 표현되는 치조골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CT 촬영을 통해 로딩되는 CT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그램이 촬영된 CT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화면에 CT 영상으로 로딩하는 과정에서, 로딩되는 CT 영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밀도영역의 하운스필드 유닛(Hounsfield Unit: HU, 이하 'HU'라 칭함)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된다. 이를 위해 초기 설정되어 있거나 프로그램에서 소정의 밀도영역을 선택하여 CT 데이터의 선택된 밀도영역의 HU 정보를 기반으로 CT 영상을 로딩한다. 로딩되는 CT 영상은 도 1의 3D 볼륨 영상과 같은 3D 형태뿐만 아니라 2D 형태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해당 방식으로 로딩되는 CT 영상은 HU의 기준정보가 없어 CT 장비 별로 CT 영상의 HU 정보에 차이가 발생한다. CT 장비 별 HU 정보의 차이로 인하여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CT 데이터의 영상이 부정확할 수 있으며, 다수의 장비를 보유한 경우 장비 별 HU 정보에 차이가 있어 사용자의 혼동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에 의한 밀도영역의 HU 조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초기 설정되어 있거나 프로그램에서 임의로 정의된 밀도영역을 대상으로 해당 밀도영역의 HU 정보를 조정하는 박스(box) 또는 바(bar)와 같은 HU 조정 인터페이스(3)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HU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또는 밀도영역의 HU 수치를 사용자가 직접 변경하는 방식 등으로 HU 조정이 가능하다.
이하,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CT 장비 별 HU의 기준정보를 반영하여 CT 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CT 영상을 표현하거나 임플란트 구조물과 치조골 등 해부학적 구조물의 정보를 활용하는 과정에 사용자 조작 방식이 아닌 사전 구축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조작을 최소화하며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에 대해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의료영상 처리장치(1)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과 같은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은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 이외에, 스캔 프로그램, CAD 프로그램 등이 있다. 또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이외에 다른 일반적인 의료영상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하나, 영상처리가 가능하면 다른 프로그램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처리 과정은 수술 환자 등록, 등록된 환자의 CT 데이터 및 구강 모델 데이터 획득, CT 데이터 및 구강 모델 데이터의 정합, 정합된 영상 데이터에서 악궁 라인 생성 및 악궁 라인을 이용한 파노라믹 영상(panoramic image) 생성, 환자의 구강 모델 데이터에서 크라운 모델 위치 및 크기 결정, 환자의 CT 데이터에서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 위치 결정, 가이드 형상 디자인, 최종 가이드 출력을 포함한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위 과정에서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CT 장비 별 최적화된 HU 정보를 활용하여 CT 영상을 제공하며, 나아가 치조골을 포함한 해부학적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3의 구성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의료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에 대해 후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영상 처리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의 기초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기초 영상 데이터는 X-ray 데이터, CT 데이터, 구강 모델 데이터 등이 있다. 데이터 획득부(10)는 기초 영상 데이터를 프로그램에서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 및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서 CT 데이터, 구강 모델 데이터 등이 기초 데이터로 필요할 수 있다. 특히, CT 데이터는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를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영상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영상에서 치아 부분의 경계를 구분(Segmentation)한 후 하나로 취합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구강 모델 데이터 및 CT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의료영상 처리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가 저장되어, 제어부(14)의 요청 시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2)에는 CT 장비 별로 HU 정보가 기록된 HU 라이브러리가 저장된다. HU 라이브러리는 CT 장비 별로 각 CT 장비와 CT 영상을 구성하는 각 밀도영역의 HU 정보를 매칭하여 기록한 것이다. CT 장비는 제조사 및 제품명으로 구분된다.
제어부(14)는 영상 데이터에서 가상의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한 식립 설계정보를 생성하고 가이드 형상을 디자인하여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4)는 영상 데이터에 가상의 임플란트 구조물 객체를 식립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임플란트 식립 계획 설계를 위해 생성된 환자의 치아 배열이 나타난 2D, 3D 등의 다차원 영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0)를 통해 획득된 기초 영상 데이터, 파노라믹(panoramic) 영상 데이터, 재구성을 통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 복수의 영상을 정합한 정합 데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이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저장부(12)에 저장되는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한다. 그리고 획득된 CT 데이터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여 CT 데이터의 CT 장비를 인식하고 저장부(12)에 저장된 HU 라이브러리에서 인식된 CT 장비와 대응되는 HU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HU 정보를 CT 데이터에 반영하여 CT 영상을 구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CT 장비 별로 각 CT 장비와 CT 영상을 구성하는 각 밀도영역의 HU 정보를 매칭하여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사전에 구성하여 이를 저장부(12)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는 HU 라이브러리에 CT 영상의 밀도영역 별 HU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밀도영역 별 색상 정보 및 투명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 별 맞춤형으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여 이를 저장부(12)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HU 라이브러리를 확장하거나 축소한다. 예를 들어, HU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추가 입력하거나 HU 라이브러리에서 소정의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부(16)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HU 라이브러리를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촬영된 CT 데이터에 기록된 태그정보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CT 장비정보로부터 CT 장비를 인식한다. 이때, 태그정보는 검사방식(Modality), 제조사(Manufacturer) 및 제품명(StationName) 정보를 포함한다. CT 데이터의 태그정보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CT 장비에 대해 소정의 밀도영역을 초기 설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6)를 통해 CT 영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밀도영역을 HU 라이브러리에서 선택 입력받으면, HU 라이브러리에서 초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밀도영역과 매칭되는 HU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HU 정보를 해당 밀도영역의 CT 영상에 반영하여 로딩한다. 제어부(14)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CT 데이터의 HU 정보를 기반으로 CT 영상을 로딩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HU 조정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HU 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부(16)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HU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CT 장비 별로 치조골 영역에 대해 HU 정보를 기반으로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여 저장부(12)에 저장한다. 이어서, 촬영된 CT 데이터의 태그정보에 포함된 장비정보를 확인하여 CT 장비를 인식하면 인식된 장비와 대응하는 HU 라이브러리의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밀도정보를 로딩되는 치조골 영역에 컬러 맵 형태로 반영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CT 장비 별로 HU 정보가 반영된 치조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치조골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여 치조골 정보를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HU 정보가 반영된 치조골 정보 제공 예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출력부(18)는 제어부(14)를 통해 생성되는 CT 영상 및 CT 영상에 가상으로 식립되는 식립 시뮬레이션 화면 등을 포함한 프로그램 화면을 표시한다. 프로그램 화면은 HU 장비 별 사용자 맞춤형 HU 정보를 설정(preset) 하기 위한 HU 라이브러리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HU 라이브러리 설정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HU 라이브러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CT 장비 별로 각 밀도영역(44)의 HU 정보를 기록한 HU 라이브러리(4)를 사전에 구성하여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장비의 밀도영역(44) 별 HU 정보가 HU 라이브러리(4)에 기록될 수 있다. 장비는 제조사(Manufacture)(40) 및 제품(42)에 따라 구분된다. 예를 들어, 장비의 제조사 Osstem 사이고, 제품은 T1이다.
사전 설정된 HU 라이브러리(4)를 이용한 CT 영상 표현방법에 따르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촬영된 CT 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이 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HU 정보를 직접 수정하는 방식(도 2 참조)이 아니라, 사용자가 CT 영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밀도영역을 HU 라이브러리(4)에서 선택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가 HU 라이브러리(4)를 참조하여 선택된 밀도영역과 매칭되는 HU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HU 정보를 CT 영상에 반영하여 해당 밀도영역의 CT 영상을 로딩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로딩된 CT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 별로 각 밀도영역(44)에 대한 HU 정보를 저장한 HU 라이브러리(4)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밀도영역 'Skull_01' 항목(440)을 디폴트(Default)로 초기 설정하였으면, Osstem 사의 T1 장비에서 촬영된 CT 데이터를 로딩하여 생성되는 초기 3D 영상은 밀도영역 'Skull_01'(440)과 매칭되는 HU 정보가 반영되어 표시된다. 만약 사용자가 Airway 영역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HU 라이브러리(4)를 활성화하여 밀도영역 'Airway_01' (442)을 선택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밀도영역 'Airway_01'(442)과 매칭되는 HU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HU 정보를 로딩되는 CT 영상에 반영하여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 데이터의 태그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의료영상 처리장치에서 로딩되는 CT 데이터의 CT 장비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CT 데이터에 기록된 태그정보(5)의 CT 장비정보로부터 획득 가능하다. 촬영된 CT 데이터의 태그정보(5)는 검사방식(Modality)(500), 제조사(Manufacturer)(510), 제품명(StationName)(520)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CT 데이터의 태그정보(5)의 검사방식(Modality)(500)은 CT 촬영이고, 제조사(Manufacturer)(510)는 Vatech Company Limited이며, 제품명(StationName)(520)은 PaX-i3D Smart이다.
태그정보(5)를 통해 인식된 CT 장비정보의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1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의료영상 처리장치에서 CT 데이터의 HU 정보를 기반으로 CT 영상을 로딩할 수 있다. 또한 HU 라이브러리에 없는 CT 장비는 사용자가 CT 장비의 장비정보 및 해당 CT 장비의 밀도영역 별 HU 정보를 직접 추가(Add)(도 4의 46) 하여 HU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HU 라이브러리에서 소정의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사용자 조작 입력에 따라 삭제(Delete)(도 4의 48)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태그정보(5)를 통해 인식된 CT 장비정보의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HU 조정 인터페이스(도 2 참조)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HU를 조정할 수도 있다. 나아가, HU 라이브러리에는 CT 영상의 밀도영역 별 HU 정보뿐만 아니라, 밀도영역과 같이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밀도영역 별 색상 정보와 투명도 정보까지를 포함하도록 하여 사용자 별 맞춤형으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HU 정보에 따른 밀도영역의 밀도정보를 기반으로 컬러 맵(Color Map)으로 표현되는 치조골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CT 장비 별 임플란트 구조물이 환자의 치조골과 맞닿는 영역이나 치조골 등의 치조골 영역을 컬러 맵으로 표현하는 경우,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CT 장비 별로 HU 값을 기반으로 D1~D5 또는 D1~D4 등으로 밀도정보를 구분한 치조골의 밀도영역을 설정하여 HU 라이브러리를 사전에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사(Manufacture): Osstem, 제품명: T1]을 가진 장비의 치조골 영역에 대한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HU 라이브러리에 기록하여 사전 저장한다. D1~D5 또는 D1~D4 등의 구분을 통해 치조골이 연골(Soft bone), 중간골(Normal bone) 또는 경골(Hard bone)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CT 데이터가 촬영되면 촬영된 CT 데이터의 태그정보에 포함된 장비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장비와 대응하는 HU 라이브러리의 HU 정보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HU 정보를 로딩되는 치조골 영역의 컬러 맵에 반영하여 표시한다. 컬러 맵은 치조골 모델에 대해서 골질상태에 따라 다른 컬러를 적용해 표시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컬러 맵 형태로 화면에 표시되는 치조골의 HU 정보를 확인하면서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나아가, 도 6에서는 치조골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해부학적 구조물에 확장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CT 장비 별로 HU 정보가 기록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한다(S710). HU 라이브러리 구성 단계(S710)에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CT 장비 별로 각 CT 장비와 CT 영상을 구성하는 각 밀도영역의 HU 정보를 매칭하여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사전에 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HU 라이브러리의 라이브러리 리스트는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HU 라이브러리 구성 단계(S710)에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HU 라이브러리에 CT 영상의 밀도영역 별 HU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밀도영역 별 색상 정보 및 투명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 별 맞춤형으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촬영된 CT 데이터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여 CT 데이터의 CT 장비를 인식한다(S720). CT 데이터의 CT 장비 인식 단(S720)에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촬영된 CT 데이터에 기록된 태그정보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CT 장비정보로부터 CT 장비를 인식할 수 있다. 태그정보는 검사방식(Modality), 제조사(Manufacturer) 및 제품명(StationNam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HU 라이브러리에서 인식된 CT 장비와 대응되는 HU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HU 정보를 CT 데이터에 반영하여 CT 영상을 제공한다(S730).
일 실시 예에 따른 CT 영상 제공 단계(S730)에서,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확인된 CT 장비에 대해 소정의 밀도영역을 초기 설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CT 영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밀도영역을 HU 라이브러리에서 선택 입력받는다. 이어서, HU 라이브러리에서 초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밀도영역과 매칭되는 HU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HU 정보를 해당 밀도영역의 CT 영상에 반영하여 로딩한다.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CT 데이터의 HU 정보를 기반으로 CT 영상을 로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HU 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HU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의료영상 처리장치는 CT 장비 별로 치조골 영역에 대해 HU 정보를 기반으로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촬영된 CT 데이터의 태그정보에 포함된 장비정보를 확인하여 CT 장비를 인식하고 인식된 장비와 대응하는 HU 라이브러리의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확인한다. 이어서 확인된 밀도정보를 로딩되는 치조골 영역에 컬러 맵 형태로 반영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의료영상 처리장치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에 있어서, 의료영상 처리장치가
    CT 장비 별로 HU 정보가 기록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
    촬영된 CT 데이터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여 CT 데이터의 CT 장비를 인식하는 단계; 및
    HU 라이브러리에서 인식된 CT 장비와 대응되는 HU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HU 정보를 CT 데이터에 반영하여 CT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는
    CT 장비 별로 각 CT 장비와 CT 영상을 구성하는 각 밀도영역의 HU 정보를 매칭하여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사전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는
    HU 라이브러리에 CT 영상의 밀도영역 별 HU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밀도영역 별 색상 정보 및 투명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 별 맞춤형으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는
    HU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추가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HU 라이브러리를 확장하는 단계; 및
    HU 라이브러리에서 소정의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HU 라이브러리를 축소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CT 데이터의 CT 장비를 인식하는 단계는
    촬영된 CT 데이터에 기록된 태그정보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CT 장비정보로부터 CT 장비를 인식하며,
    태그정보는 검사방식(Modality), 제조사(Manufacturer) 및 제품명(StationName)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CT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CT 장비에 대해 소정의 밀도영역을 초기 설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CT 영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밀도영역을 HU 라이브러리에서 선택 입력받는 단계; 및
    HU 라이브러리에서 초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밀도영역과 매칭되는 HU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HU 정보를 해당 밀도영역의 CT 영상에 반영하여 로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은
    CT 장비 별로 치조골 영역에 대해 HU 정보를 기반으로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단계;
    촬영된 CT 데이터의 태그정보에 포함된 장비정보를 확인하여 CT 장비를 인식하고 인식된 장비와 대응하는 HU 라이브러리의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밀도정보를 로딩되는 치조골 영역에 컬러 맵 형태로 반영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은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CT 데이터의 HU 정보를 기반으로 CT 영상을 로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은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HU 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HU 정보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10. CT 장비 별로 HU 정보가 기록된 HU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저장부;
    촬영된 CT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고, 획득된 CT 데이터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여 CT 데이터의 CT 장비를 인식하며 저장부에 저장된 HU 라이브러리에서 인식된 CT 장비와 대응되는 HU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HU 정보를 CT 데이터에 반영하여 CT 영상을 구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구성된 CT 영상을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CT 장비 별로 각 CT 장비와 CT 영상을 구성하는 각 밀도영역의 HU 정보를 매칭하여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사전에 구성하여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HU 라이브러리에 CT 영상의 밀도영역 별 HU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밀도영역 별 색상 정보 및 투명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 별 맞춤형으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여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HU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추가 입력하거나 HU 라이브러리에서 소정의 라이브러리 리스트를 삭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출력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HU 라이브러리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촬영된 CT 데이터에 기록된 태그정보로부터 CT 장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CT 장비정보로부터 CT 장비를 인식하며,
    태그정보는 검사방식(Modality), 제조사(Manufacturer) 및 제품명(StationName)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CT 장비에 대해 소정의 밀도영역을 초기 설정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CT 영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밀도영역을 HU 라이브러리에서 선택 입력받으면, HU 라이브러리에서 초기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밀도영역과 매칭되는 HU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HU 정보를 해당 밀도영역의 CT 영상에 반영하여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CT 장비 별로 치조골 영역에 대해 HU 정보를 기반으로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기록한 HU 라이브러리를 구성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촬영된 CT 데이터의 태그정보에 포함된 장비정보를 확인하여 CT 장비를 인식하고 인식된 장비와 대응하는 HU 라이브러리의 밀도영역 별 밀도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밀도정보를 로딩되는 치조골 영역에 컬러 맵 형태로 반영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CT 데이터의 HU 정보를 기반으로 CT 영상을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인식된 CT 장비가 HU 라이브러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HU 조정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출력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고, HU 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HU 정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처리장치.
KR1020190059547A 2019-05-21 2019-05-21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KR102269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47A KR102269027B1 (ko) 2019-05-21 2019-05-21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47A KR102269027B1 (ko) 2019-05-21 2019-05-21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371A KR20200134371A (ko) 2020-12-02
KR102269027B1 true KR102269027B1 (ko) 2021-06-25

Family

ID=7379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547A KR102269027B1 (ko) 2019-05-21 2019-05-21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98A (ko) * 2021-09-27 2023-04-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드릴의 사양 결정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943B1 (ko) * 2021-05-10 2022-09-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4714A (ja) 1999-09-22 2001-04-0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9039431A (ja) 2007-08-10 2009-02-2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医療装置及びこの医療装置を備えた医療システム
JP2009136506A (ja) 2007-12-06 2009-06-25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診断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5823814B2 (ja) 2011-10-25 2015-11-25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用システム
US20160242934A1 (en) 2015-02-20 2016-08-25 OrthAlign, Inc. Hip replacement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5411B1 (en) * 1997-02-21 2001-03-20 Carnegie Mellon University Computer-assisted surgery planner and intra-operative guidance system
KR101530015B1 (ko) 2014-08-29 2015-06-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퓨터 단층촬영 이미지의 밀도 분석 방법
KR101822105B1 (ko) * 2015-11-05 2018-01-2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턱관절 진단을 위한 의료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878467B1 (ko) * 2016-11-01 2018-07-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차원 치아 영상 데이터와 광학식 스캔 치아 모델의 선택적 정합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4714A (ja) 1999-09-22 2001-04-0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9039431A (ja) 2007-08-10 2009-02-2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医療装置及びこの医療装置を備えた医療システム
JP2009136506A (ja) 2007-12-06 2009-06-25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診断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5823814B2 (ja) 2011-10-25 2015-11-25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用システム
US20160242934A1 (en) 2015-02-20 2016-08-25 OrthAlign, Inc. Hip replacement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98A (ko) * 2021-09-27 2023-04-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드릴의 사양 결정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77517B1 (ko) 2021-09-27 2023-09-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드릴의 사양 결정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371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2820B2 (en) Feature-driven rule-based framework for orthopedic surgical planning
KR102232294B1 (ko)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KR102269027B1 (ko) Ct 장비 별 hu 정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KR102314890B1 (ko)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KR102339827B1 (ko) 신경관 라인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계획 수립장치
KR102322518B1 (ko) 사용자 맞춤형 템플릿 기반 수술 보고서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2314891B1 (ko)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제공 방법
KR102292872B1 (ko) 보철물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9358B1 (ko) 임플란트 중심선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484571B1 (ko)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의 구조물을 디자인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223475B1 (ko) 다중 파노라믹 영상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장치
KR102292874B1 (ko)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영역 미세조정 방법 및 그 가이드 디자인 장치
KR102292873B1 (ko) 상악동 영역 분할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20210114223A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계획 수립방법 및 그 장치
US10909773B2 (en) Medical image modeling system and medical image modeling method
KR102350098B1 (ko) 악궁라인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KR102210341B1 (ko) 영상처리 및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신경관 자동 검출방법 및 그 장치
KR102197309B1 (ko) 상악동 리프팅을 위한 픽스쳐 침범영역 분할이 가능한 의료영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425570B1 (ko) 프린터별 가이드 오프셋을 반영한 가이드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1215B1 (ko) 신경관 라인 자동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KR102269028B1 (ko) 치과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을 위한 데이터 관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KR102234425B1 (ko)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KR102456703B1 (ko) 신경관 라인 생성방법 및 치과 임플란트 수술계획 수립장치
KR102474298B1 (ko) 보철물 모델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00908A (ko) 신경관 라인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